KR102005331B1 - A bag provided with adjustable length of handle - Google Patents
A bag provided with adjustable length of hand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5331B1 KR102005331B1 KR1020180003151A KR20180003151A KR102005331B1 KR 102005331 B1 KR102005331 B1 KR 102005331B1 KR 1020180003151 A KR1020180003151 A KR 1020180003151A KR 20180003151 A KR20180003151 A KR 20180003151A KR 102005331 B1 KR102005331 B1 KR 1020053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bag
- storage
- storage unit
- bag stra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51 engineering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0 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물이 투입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납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일면과 상기 일면과 마주하는 타면에 구비되는 가방끈과, 상기 가방끈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를 지지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방끈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부에 고정되거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핸들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방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device comprising: a storage part provided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a stored object is inserted, the storage part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tored object; a bag strap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torage part and the other surface facing the one surface; And a bag for supporting the storage unit, wherein the bag strap is fixed or movable to at least a part of the storage uni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andle can be chang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핸들의 길이 또는 위치가 조절가능한 가방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핸들의 길이가 선택적으로 길어지거나 짧아지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어깨에 매거나 손으로 파지하는 것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가방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g adjustable in length or position of a handl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g which is selectively provided with a long or short length so that the user can actively select a user to hold on the shoulder or grasp with the hand.
일반적으로 가방은 책 또는 서류 등의 수납물이 수용되어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가방을 용이하게 파지하고 운반하기 위해 핸들이 구비된다. BACKGROUND ART [0002] In general, a bag is accommodated in a storage such as a book or a document so that it can be easily carried, and a handle is provided to easily grip and carry the bag.
상기 가방은 핸드백, 백팩, 서류가방 등 다양한 종류로 구비될 수 있고, 그 종류에 따라 상기 가방의 무게를 지지하며 상기 가방을 이동시킬 수 있는 핸들은 다양한 길이 및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bag may be provided in various types such as a handbag, a backpack, a briefcase, etc., and the handle capable of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bag and moving the bag according to the type may be provided in various lengths and shapes.
예를들어, 상기 가방이 서류가방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핸들은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상기 서류가방의 개구부를 마주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짧은 끈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방이 핸드백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핸들은 사용자가 어깨에 안착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의 양단에서 상부로 길게 연장되는 긴끈으로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bag is provided as a briefcase, the handle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hort straps that are coupled to face the opening of the briefcas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and transport the bag by hand, The handle may be provided with a long cord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opening to an upper portion so that the handle can be seated and transported by the user on the shoulder.
근자에는, 상기 가방을 손으로 파지하거나 어깨에 안착되어 운반하는 것을 모두 가능하게 하도록 핸들이 길게 구비된 것과, 핸들이 짧게 구비된 것이 모두 구비되는 가방이 등장하였다. 이로써, 사용자는 손이나 어깨의 피로도의 정도, 수납물의 무게 등의 다양한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짧게 구비된 핸들과 상기 길게 구비된 핸들을 선택하여 상기 가방을 운반할 수 있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bag having both a handle with a long handle and a handle with a short handle so that the handle can be grasped by the hand or put on the shoulder and carried.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ively carry the bag by selecting the short handle and the long handle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degree of fatigue of the hand or shoulder, the weight of the stored object, and the like.
그러나, 종래 가방은 상기 핸들을 긴끈과 짧은 끈으로 구비되는 핸들을 모두 구비해야 하므로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생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어깨에 매는 핸들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길게 구비되는 핸들을 보관 및 운반하는 데 불편함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bag ha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because the handle has to include both the handle and the handle provided with a short string. In addition, when the user does not use a handle for hanging on the shoulder,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storing and transporting the long handle.
나아가, 상기 길게 구비되는 핸들이 가방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우 분실의 위험이 있어 상기 가방을 어깨에 매는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Furthermore, if the long handl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g, there is a risk of loss of the handle, thereby losing the function of fastening the bag to the shoulder.
또한, 종래의 가방은 한번 상기 핸들의 길이가 확정되면, 이를 연장하거나 축소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bag, once the length of the handle is determined, it is impossible to extend or reduce the length of the handle, or it is troublesome to adjust the handle with separate fastening means.
본 발명은 하나의 핸들로 손으로 파지하거나 어깨에 안착할 수 있는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g that can be gripped by a hand or held on a shoulder with one handle.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핸들을 구비한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g having a handle that is elongated or shortened as needed.
본 발명은 핸들의 길이가 가변되면 이를 고정할 수 있는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g which can fix the handle when the length of the handle is variable.
본 발명은 손에 파지 가능하게 구비된 복수의 핸들 중 어느 하나의 핸들이 다른 하나의 핸들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어깨에도 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g which is provided so that any one of a plurality of handles which can be gripped by a hand can be extended longer than the other handle so as to be seated on the shoulder .
본 발명은 손에 파지 가능하게 구비된 복수의 핸들 중 어느 하나의 핸들을 어깨에 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들로 변경하여도 가방의 형태 및 각도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g which prevents the shape and angle of the bag from being changed even if the handl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andles that can be gripped by the hand is changed to a handle that can be seated on the shoulder .
본 발명은 부피를 필요에 따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는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g which can expand or contract the volume as needed.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납물이 투입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납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일면과, 상기 일면과 마주하는 타면에 구비되는 가방끈과, 상기 가방끈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를 지지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방끈은 상기 핸들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부에 고정되거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device comprising: a storage unit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a stored object is inserted, the storage unit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the stored object; And a handle which is provided on the bag strap and supports the storage unit. The bag strap is fixed or movable to at least a part of the storage uni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andle can be changed. Bag.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방끈은 상기 저장부의 일면에서 상기 저장부의 타면까지 상기 저장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핸들은 상기 저장부의 일면에 구비된 가방끈과 상기 저장부의 타면에 구비된 가방끈에 서로 대향 가능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가방끈은 상기 복수 핸들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부의 둘레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bag strap is extended from the one side of the storing part to the other side of the storing part, and the handle includes a bag strap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ring part, Wherein the plurality of handlebars ar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face each other on the bag strap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and the bag strap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torage unit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handles can be varied. do.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부는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 사이에 상기 개구부가 구비되는 상부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방끈은 상기 저장부의 일면, 상기 상부면과 대향하는 하부면 및 상기 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핸들 중 어느 하나의 핸들이 상부로 이동하면, 나머지 하나의 핸들은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storage unit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surface having the opening between th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wherein the bag strap has one surface of the storage unit, And the other handle is movable downward when the handl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andles moves upward.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부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핸들이 이동하는 길이를 제한하여, 상기 복수의 핸들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stricting portion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to restrict a length of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handles and to fix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handles The ba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g is provided.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핸들은 상기 저장부의 일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핸들과, 상기 저장부의 타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1핸들의 하단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부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제한부와, 상기 제1핸들의 하단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부의 타면에 구비되는 제2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handles include a first handle which is vertically movable on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and a second handle which is vertically movable on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unit The restric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restricting portion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so as to be contactable with a lower end of the first handle and a second restricting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lower end of the first handle And the bag is provided with a bag.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2핸들이 상기 저장부의 상부면에서 인출될 수 있는 길이가 상기 제1핸들이 상기 저장부의 상부면에서 인출될 수 있는 길이보다 더 길도록, 상기 제1제한부는 상기 제2제한부 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second handle that can be drawn ou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that the first handle can be drawn ou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And the first restricting portion is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second restricting portion.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부의 일면, 타면,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가방끈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g, further comprising a guide unit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one surface, the oth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bag strap.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면, 타면, 하부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가방끈을 수용하며 상기 저장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안내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guide part includes a guide frame which is provided along one side, the oth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part to receive the bag strap and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storage part. .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상기 안내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면, 타면,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가방끈의 양단을 지지하는 안내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g comprising: a guide rib provided on at least one of a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to support both ends of the bag strap; do.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한부는 상기 안내부의 양단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g, wherein the restricting portion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guide portion.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한부의 설치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g, further comprising a moving part capable of chang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stricting part.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한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unit further comprises a rail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to move the restriction unit, and the restriction unit is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rail The bag is provided with a bag.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부의 일면에서 상기 저장부의 타면을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방끈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저장부에 고정시켜 상기 핸들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torage part to one side of the storage part, wherein the fixing part fixes at least a part of the bag strap to the storage part, Thereby adjusting the size of the bag.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한부를 차폐하거나 별도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g, wherein the storage unit further comprises a cover membe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torage unit to shield the restriction unit or to provide a separate storage spac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저장부의 일면의 하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연장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일면과 상기 저장부의 일면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member further includes a coupling portion which is rotatably extended at a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storage portion, and which detachably couples one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with one surface of the cover member Provides a bag with features.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부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방끈이 이동할 수 있는 장력을 제공할 수 있는 보조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g,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handl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the auxiliary handle being capable of providing a tension to move the bag strap.
본 발명은 하나의 핸들로 손으로 파지하거나 어깨에 안착할 수 있는 가방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bag which can be gripped by one hand or held on the shoulder by hand.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핸들을 구비한 가방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providing a bag having a handle that is elongated or shortened as needed.
본 발명은 핸들의 길이가 가변되면 이를 고정할 수 있는 가방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bag that can be fixed when the length of the handle is variable.
본 발명은 손에 파지 가능하게 구비된 복수의 핸들 중 어느 하나의 핸들이 다른 하나의 핸들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어깨에도 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방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bag which is provided so tha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andles which can be gripped by the hand can be extended longer than the other handle, so that the bag can be seated on the shoulder.
본 발명은 손에 파지 가능하게 구비된 복수의 핸들 중 어느 하나의 핸들을 어깨에 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들로 변경하여도 가방의 형태 및 각도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방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g which prevents the shape and angle of the bag from being changed even if the handl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andles that can be gripped by the hand is changed to a handle that can be seated on the shoulder.
본 발명은 부피를 필요에 따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는 가방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bag that can expand or contract the volume as needed.
도1은 본 발명 가방에 관한 일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상기 가방의 어느 하나의 핸들이 길이가 가변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상기 가방의 다른 하나의 핸들이 길이가 가변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상기 가방에서 핸들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상기 가방에서 핸들을 고정하는 제한부의 위치가 가변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 가방의 적용 및 사용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 가방의 핸들의 길이를 조절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가방의 저장부의 부피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shows the structure of an embodiment of the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shows a structure in which one of the handles of the bag is variable in length.
3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of the other handle of the bag can be varied.
Figure 4 illustrates various embodiments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handle in the bag.
5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restricting portion for fixing the handle in the bag is variable.
Figure 6 illustrates an application and use of the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nother embodiment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handle of the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n embodiment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torage portion of the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replaced with the first explana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the attached drawings.
이하에서는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가방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 가방(10)은 수납물이 투입되는 개구부(114a)를 구비하며 상기 수납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100)과, 상기 저장부의 일면(111)과, 상기 일면과 마주하는 타면(112)에 구비되는 가방끈(230)과, 상기 가방끈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를 지지하는 핸들(2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g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part (100) having an opening (114a) into which a stored object is inserted and which provi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tored object, a first side (111) of the storage part
구체적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방끈(230)은 상기 일면(111)과 상기 타면(112)에서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100)에 고정되지 않는 폐곡선 형상의 끈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일면(111)과 상기 타면(112)에 양단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끈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1, the
상기 핸들(200)은 상기 저장부(10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200)은 상기 가방끈(230)과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가방끈(230)과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되되 상기 가방끈(230)과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The
만약, 상기 핸들(200)이 상기 가방끈(230)과 일체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방끈(230) 중 상기 저장부(100)에서 가장 멀리 이격된 영역으로서 상기 저장부(100)의 하중을 고르게 지지할 수 있는 부분이 상기 핸들(200)에 대응될 수 있다.When the
한편, 본 발명 가방(10)의 핸들(200)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도록 구비될 뿐만 아니라, 어깨에도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이를 위해, 상기 가방끈(230)은 일부가 상기 저장부(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저장부(100)에서 일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핸들(20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가방끈(230)이 어깨에 안착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손으로 파지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게되어, 상기 가방끈(230)과 별도로 구비된 짧은 핸들(200)을 생략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가방끈(230) 만 상기 저장부(100)에 설치하고, 별도의 핸들(200)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방(10)의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방끈(230)은 핸들(200)로 사용하는 경우, 가방끈(230)을 상기 가방(10)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도1을 참조하면, 상기 저장부(100)는 내부에 수납물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 할 수 있도록 직육면체, 정육면체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14a)는 수납물이 상기 저장부(100)에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부(100)를 관통 또는 절개하여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도1은 상기 개구부(114a)가 상기 저장부(100)의 상부면(114) 및 측면(113)의 일부를 개방 또는 절개하여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일실시 예일 뿐, 상기 저장부(100)에 수납물이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다면, 상기 개구부(114a)는 상기 저장부(100)의 어떤 위치에 어떤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FIG. 1 illustrates that the
한편, 상기 개구부(114a)는 상기 저장부(100)에 수납된 수납물이 임의로 상기 저장부(100)에서 인출되지 않도록 상기 개구부(114a)를 개폐하는 개폐부(Z)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개폐부(Z)는 지퍼로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저장부의 일면(111)은 상기 저장부의 전방면에 대응될 수 있고, 상기 저장부의 타면(112)은 상기 저장부의 후방면에 대응될 수 있다. One
상기 가방끈(230)은 상기 저장부의 일면(111)에서 상기 저장부의 하부면(117) 및 상기 저장부의 타면(112)까지 상기 저장부(10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폐곡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이때, 상기 핸들(200)은 상기 저장부의 일면(111)에 구비된 가방끈과 상기 저장부의 타면(112)에 구비된 가방끈에 서로 대향 가능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200)은 상기 저장부(100)의 일면(111)에 구비된 가방끈에 구비된 제1핸들(210)과, 상기 저장부(100)의 타면(112)에 구비된 가방끈에 구비된 제2핸들(220)을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즉, 상기 제1핸들(210)은 상기 저장부의 일면(111)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핸들(220)은 상기 저장부의 타면(112)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at is, the
상기 제1핸들(210)과 상기 제2핸들(220)은 상기 가방끈(230)과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가방끈(230)과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가방끈(230)의 한 영역으로서 상기 가방끈(230)과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The
이때, 상기 가방끈(230)은 상기 저장부(100)의 둘레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핸들(210)과 상기 제2핸들(22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구체적으로, 상기 가방끈(230)은 상기 저장부(100) 중 상부면(114)을 제외한 상기 저장부(100)의 둘레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핸들(210)과 상기 제2핸들(220) 중 어느 하나는 상부로 이동하고, 나머지 하나는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방끈(230)은 별도의 이동수단 없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저장부(100)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드 방식 등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가방끈(230)이나 상기 제1핸들(210) 또는 상기 제2핸들(220) 중 어느 하나에 장력을 가하여 상기 가방끈(23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the
한편, 사용자가 상기 핸들(200)을 손으로 파지하거나, 어깨로 안착하여 상기 가방(10)을 운반할 경우에는, 상기 핸들(200) 및 상기 가방끈(230)은 상기 저장부(100)에서 고정되어 이동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 상기 가방끈(230)이 상기 저장부(100)에서 지속적으로 이동한다면, 상기 가방끈(230) 및 상기 핸들(200)은 상기 저장부(1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저장부(100)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가방끈(230)이 임의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 핸들(200)은 상기 가방(1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없어 상기 가방(10)을 운반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When the user holds the
따라서, 본원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방끈(230)의 이동길이를 조절하되, 상기 가방끈(23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300)는 상기 저장부의 일면(111) 또는 타면(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핸들(210)과 상기 제2핸들(220) 및 상기 가방끈(230)이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구체적으로, 상기 길이조절부(300)는 상기 제1핸들(210)과 상기 제2핸들(2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한부(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한부(310)는 상기 핸들(200)의 하단이 접촉되어 상기 핸들(200)이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310)는 상기 가방끈(230)의 이동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방끈(230)이 이동하는 위치를 고정하여 상기 가방끈(230)이 상기 저장부(100)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The
상기 제한부(310)는 전방에 구비된 상기 저장부(100)의 일면(111)에 구비된 제1제한부(311)와, 후방에 구비된 상기 저장부(100)의 타면(112)에 구비된 제2제한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stricting
상기 제1제한부(311)와 상기 제2제한부(312)는 설치된 위치만 상이할 뿐 구조는 서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그 형상과 부피가 다르게 구비될 수도 있다. The first restricting
한편, 상기 가방(10)은 상기 제한부(300) 및 상기 가방끈(230)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15)는 상기 일면(111)의 면적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커버부재(115)의 일면이 상기 저장부의 일면(111)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커버부재(115)는 상기 제한부(310)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가방(10)에서 별도의 수납공간(A)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말해, 사용자는 상기 저장부(100)의 수납공간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부재(115)의 공간(A)도 함께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한부(310) 및 상기 가방끈(23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심미감을 더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 상기 제한부(3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가방끈(230)이 상기 저장부(100)의 표면에 밀착되는 힘을 유지시켜 내구성까지 향상할 수 있다. The
이하에서는 도2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가방(10) 중 상기 가방끈(230)이 이동하면서 상기 핸들(200)의 위치가 가변할 수 있는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도2는 상기 가방(10)의 전방을 도시한 것이며, 도3은 상기 가방(10)의 후방을 도시한 것이다.Fig. 2 shows the front of the
도2(a)를 참조하면, 상기 제1핸들(210)과 상기 제2핸들(220)은 상기 저장부(100)를 기준으로 같은 위치에 서로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가방끈(230)이 위치가 조절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핸들(210)과 상기 제2핸들(220)은 개구부에서 각각 길이 L1 만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the first and
상기 L1은 사용자가 상기 핸들(200)을 손으로 파지할 경우, 상기 가방(10)의 하부면(117)이 지면과 충분히 이격되어 사용자가 상기 가방(10)을 무리없이 운반할 수 있는 높이 또는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L1의 길이는 15cm~20cm에 해당할 수 있다. The height L1 is a height at which the
전술한 것처럼, 상기 제한부(310)는 상기 제1제한부(311)와 상기 제2제한부(3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체를 이루는 제한바디(301)와, 상기 제한바디(302)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저장부의 일면(111)에 결합되는 접지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바디(301)와 상기 접지부(303)는 단면이 'c'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방끈(230)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302)를 형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stricting
상기 제한바디(301)는 상기 가방끈(230)이 상기 저장부(100)의 일면(111) 또는 타면(112)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접지부(303)는 상기 제한바디(301)를 상기 저장부(100)에 고정 및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방끈(230)이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한부(310)는 상기 가방끈(230)이 정해진 위치 또는 범위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The restricting
도2(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2핸들(220)을 상부방향(II)로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제2핸들(220)은 장력으로 인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가방끈(230)도 상기 제2핸들(2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핸들(220)을 더욱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제2핸들(220)은 점점 상부방향(II)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핸들(210)은 하부방향(I)으로 이동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2B, when the user pulls the
이때, 상기 제1핸들(210)이 상기 제1제한부(311)의 상단에 접촉되면 상기 가방끈(230)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제1핸들(210)도 더 이상 하부방향(I)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한바디(301)는 상기 제1핸들(210)이 상기 제1제한바디(301)를 향해 이동할 경우, 상기 제한바디(301)의 상단이 상기 제1핸들(210)의 하단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제한바디(301)는 상기 제1핸들(210)이 더 이상 하부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저장부(10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핸들(220)의 위치도 고정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2핸들(220)만을 파지하거나 어깨에 안착시켜 상기 가방(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이때, 상기 제1핸들(210)과 상기 제1제한부(311)의 상단의 간격이 L1에 해당한다면, 상기 제1핸들(210)은 L1만큼 하부방향(I)으로 더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핸들(220)은 L1만큼 상부방향(II)으로 더 이동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결과적으로, 상기 제2핸들(220)은 상기 저장부(100)의 상부면에서 상기 L1만큼 연장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한편,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제한부(310)는 상기 저장부(100)의 상부면 또는 개구부에서 L2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first restricting
이는 사용자가 상기 가방끈(230)을 이동시켜 상기 제2핸들(220)이 상기 제1핸들(210)의 본래 길이 인 L1만큼만 길어지게 되면, 상기 제2핸들(220)이 L1만큼 밖에 길어지지 않아 사용자가 상기 제2핸들(220)을 어깨에 안착시키기에는 길이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if the user moves the
다시말해, 사용자가 손으로 핸들(200)을 파지하여 가방(10)을 운반할 수 있는 길이(L1)는 사용자가 어깨로 가방끈(230)을 지지하여 가방(10)을 운반할 수 있는 길이 보다 현격히 짧게 구비되므로, 상기 가방끈(230)이 인출되는 길이는 상기 L1길이를 훨씬 초과하여야만 사용자가 상기 가방(10)을 어깨로 지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length L1 in which the user can grip the
따라서, 상기 가방끈(230)이 L1 보다 길게 연장되기 위해, 상기 제1제한부(310)는 상기 저장부(100)의 상부에서 하부로 L2의 길이 만큼 더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L1의 길이가 손으로 가방(10)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을 만큼 짧게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는 L1의 길이 뿐만 아니라 L2의 길이만큼 더 상기 제2핸들(220)을 충분히 인출할 수 있어 상기 제2핸들(220)을 어깨에 안착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first restricting
이로써, 상기 L2와 상기L1의 길이가 합한 길이 만큼 상기 제2핸들(220)은 인출될 수 있고, 최대로 인출된 가방끈(230)의 길이 L3는 기존 제2핸들의 길이인 L1과 제1핸들의 길이 L1 및 제1제한부(311)까지의 길이 L2가 합한 길이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따라서, 상기 L3는 사용자가 어깨에 상기 제2핸들(220)을 안착시킬 만큼 충분한 길이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L3는 50~60cm에 해당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3 may be long enough for the user to seat the
도3은 상기 가방(10)을 후방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 3 shows the
도3(a)를 참조하면, 상기 제2핸들(220)은 상기 타면(112)에서 상부로 L1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1핸들(210)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the
사용자가 제1핸들(210)을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제2핸들은 하부방향(I)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핸들(210)은 상부방향(II)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user pulls the
도3(b)를 참조하면, 상기 제2핸들(220)의 하단이 상기 제2제한부(312)의 상단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2핸들(220)은 상기 더 이상 하부방향(I)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되며, 상기 제1핸들(210)도 더 이상 상부방향(II)으로 인출되지 못하고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제한부(312)가 상기 저장부(100)의 상부면의 하단, 또는 개구부의 하단에 구비되면, 상기 제1핸들(210)이 최대로 인출된 거리 L4는 L1의 2배에 해당하므로 전술한 L3보다 짧다. 즉, 상기 제1핸들(210)은 사용자가 어깨에 상기 제1핸들(210)을 안착시킬 수 있을 정도인 L3의 길이만큼 인출될 수 없다.3 (b), when the lower end of the
결과적으로, 상기 제1핸들(210)이 최대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제2핸들(220)이 최대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핸들(210)이 상기 제2핸들(220)와 같이 L3의 길이로 인출될 수 있다면, 상기 제1제한부(311)가 상기 저장부의 상부면(114)보다 훨씬 아래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가방끈(230)이 상기 저장부(100)의 일면(111)에서 이격되며 상기 제1제한부(311)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가방(10)이 각도(B) 만큼 기울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3(C) 참조)As a result, the maximum length of the
즉, 본 발명 가방(10)은 상기 제1핸들(210)과 상기 제2핸들(220)이 나란하게 구비된 길이가 L1으로 짧게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2핸들(220)이 충분히 인출될 수 있도록 제1제한부(311)의 위치를 상기 저장부(100)의 상부면(114)보다 L2 낮게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제1핸들(210)만으로 가방을 지지하게 되면 상기 가방은 필연적으로 각도(B)만큼 회전하게 된다. That is, even if the length of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가방(10)은 상기 제2제한부(312)를 상기 제1제한부(311)보다 더 높게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핸들(210)이 인출되는 길이가 상기 제2핸들(220)이 인출되는 길이보다 짧게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핸들(210)이 인출되는 길이가 어깨에 안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지 않게 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2핸들(220)을 다시 인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결과적으로, 본 발명 가방(10)은 사용자가 상기 제1핸들(210) 만으로 상기 가방(10)을 운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가방끈(230)을 어깨에 안착하여 상기 가방(10)을 운반하려는 경우에는 상기 제2핸들(220)만을 인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1제한부(311)가 상기 제2제한부(312)보다 하부에 구비되므로 상기 제2핸들(220)이 상기 제1핸들(210)보다 더 길게 인출되어 어깨에 상기 제2핸들(220)을 안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As a result, the
또한, 상기 제2제한부(312)가 상기 가방(10)의 상부면(114)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2핸들(220)만으로 상기 가방(10)을 지지하여도 상기 가방(10)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Since the second restricting
도4는 본 발명 길이조절부(300)가 상기 가방끈(23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안내부(320)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4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상기 안내부(320)는 상기 저장부(100)의 일면, 타면,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가방끈(23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부(320)는 상기 저장부(100)의 내면, 외면, 내면과 외면 사이 중 적어도 어느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가방끈(230)이 꼬이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가방끈(230)의 길이방향 외에 다른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가방끈(230)은 상기 저장부(100)의 하부면(117)을 지지하므로 상기 저장부(100)가 자중에 의해 상기 가방끈(230)을 기준으로 형상이 뒤틀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부(320)은 일정한 강성을 갖춘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가방끈(230)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저장부(100)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도4를 참조하면, 왼쪽 확대도와 오른쪽 확대도는 그 구성이 달리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각각의 실시예로 좌우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left enlargement and the right enlargemen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construction. However, the left enlargement and the right enlargement can be provided symmetrically in each embodiment.
도4의 왼쪽 확대도를 참조하면, 상기 안내부(320)는 상기 저장부의 일면(111), 타면(112), 하부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가방끈(230)을 수용하며 상기 저장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안내프레임(321)을 포함할 수 있다.4, the
상기 안내프레임(321)은 상기 가방끈(230)의 전체면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가방끈(230)의 노출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c'자 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The
상기 안내프레임(321)은 본체를 이루는 프레임바디(321a)와 상기 프레임바디(321a)에서 상기 가방끈(230)을 수용하도록 상기 저장부(100)를 향해 연장되는 수용프레임(32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프레임(321)은 금속이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강화플라스틱과 같이 강성이 큰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프레임(321)은 상기 가방(10)에 다양한 방향의 외력이 작용한다고 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상기 가방끈(230)이 길이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The
한편, 도4의 오른쪽 확대도를 참조하면, 상기 안내부(320)는 상기 저장부의 일면(111), 타면(112),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가방끈의 양단을 지지하는 안내리브(322)를 포함할 수 있다. 4, the
상기 안내리브(322)는 상기 저장부(100)의 표면에서 가방끈(230)의 폭과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리브(322)는 상기 가방끈(230)의 폭과 대응되도록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가방끈(230)이 너비방향으로 이탈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2제한부(312)은 상기 안내부(320)의 양단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제1제한부(311)도 상기 안내부(320)의 양단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한부(310)은 상기 안내부(320)의 말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핸들(200)이 상기 안내부(320)보다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second restricting
예를들어, 상기 제2제한부(312)는 상기 안내프레임(321)의 또는 상기 안내리브(322)의 말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핸들(320)이 하부로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부(320)가 상기 안내리브(322)로 구비되어 상기 가방끈(230)이 표면이 외부로 노출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한부(310)에 의해 상기 안내리브(322)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안내부(320)가 차지하는 무게도 감소시킬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restricting
한편, 상기 제한부(310)가 상기 안내부(32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한부(310)가 상기 저장부(100)에 결합되는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restricting
도5는 상기 제한부(310)의 위치가 가변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5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상기 제한부(310)의 위치가 고정되면 상기 제1핸들(210)과 상기 제2핸들(220)의 인출될 수 있는 위치가 고정되어, 사용자의 키가 다를 경우나, 사용자가 다른 길이로 상기 핸들(200)을 파지하길 원하는 경우에 적절하게 적용되기 어려울 수 있다.When the position of the restricting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일실시예의 가방(10)은 상기 제한부(31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상기 이동부(330)는 상기 저장부의 일면(111) 또는 타면(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한부(3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레일(331)과, 상기 제한부(310)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331)을 따라 이동하는 톱니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상기 레일(331)은 노출면이 요철형상 또는 톱니형식으로 구비되는 제1기어 또는 피니언 기어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톱니부(332)는 접지부(303)의 하단에 상기 제1기어 또는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구비될 수 있는 제2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이동부(330)가 상기 레일(331)와 상기 제2기어(332)로 구비되는 것은 일실시예 일 뿐 상기 구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이동부(330)는 상기 제한부(310)가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고정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나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들어, 상기 제한부(310)가 상기 안내부(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한부(310)의 위치가 가변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이동부(330)는 상기 제한부(310)와 상기 안내부(33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버튼과,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버튼결합부로 구비될 수도 있다. The moving
결과적으로, 상기 제한부(310)는 상기 이동부(330)로 인해 설치위치가 가변됨 으로써 그 만큼 상기 핸들(200)의 인출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restricting
예를 들어, 도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제한부(311)가 상기 L5 만큼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핸들(220)은 L5만큼 상부로 더 연장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when the first restricting
도6은 사용자가 상기 핸들(200) 및 가방끈(230)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6 shows a specific embodiment in which the user adjusts the lengths of the
도6(a)와 같이, 상기 제1핸들(210)과 상기 제2핸들(220)이 나란하게 구비되면 도6(b)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는 제1핸들(210)과 상기 제2핸들(220)을 모두 손이나 팔꿈치로 파지하여 상기 가방(10)을 들 수 있다. 6 (a), when the
이때, 도6(c)와 같이, 상기 제2핸들(220)을 인출하여 상기 가방끈(230)을 이동시키게 되면 도6(d)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제2핸들(220)만을 어깨로 지지하여 상기 가방(10)을 들 수 있다. 6 (c), when the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가방(10)에서 하나의 가방끈(230)을 통해 상기 핸들(200)을 복수개로 만들어 손으로 파지하거나, 상기 핸들(200)을 하나의 끈으로 만들어 어깨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The user can grasp the
이하에서는, 도6(a)와 도6(c)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상기 가방(10)의 상기 가방끈(23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일반적으로, 상기 가방(10) 중 상기 가방끈(230)과 상기 저장부(100)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당한 마찰력이 존재하게 되므로, 상기 가방끈(230)이 이동하기 시작하면 상기 저장부(100)와 마찰되어 상기 가방끈(230)이 상기 저장부(100)에서 인출되지 않을 수 있다. Generally, a considerable frictional force exists in a portion of the
따라서, 사용자는 한손으로 상기 제1핸들(210) 또는 제2핸들(220)을 파지하여 상기 가방끈(230)을 이동시킬 때, 다른손으로 상기 저장부(100)의 표면을 파지하여 상기 저장부(1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가방끈(230)과 상기 저장부(100)의 마찰력보다 큰 외력으로 상기 제1핸들(210)이나 제2핸들(220)을 인출하면 상기 가방끈(230)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holds the
그러나, 사용자는 제1핸들(210)이나 상기 제2핸들(220)을 인출할 때마다 상기 가방(10)의 표면을 파지해야 한다. 이때, 상기 가방(10)의 표면이 미끄러운 경우 사용자는 상기 가방(10)을 제대로 파지하지 못하여 상기 핸들(200)을 인출하지 못할 수 있다. However, the user must grip the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가방(10)의 표면의 형상이 용이하게 변하여 사용자가 상기 가방(10)을 쉽게 파지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핸들(200)을 인출할 때마다 손의 외력에 의해 상기 가방(10)을 변형시키게 되어 상기 가방(10)이 손상될 수 있다.Even if the shape of the surface of the
또한, 사용자의 손이 상기 가방(10)의 표면을 반복적으로 파지하게 되면 상기 가방(10)의 외형이 손상되거나 오염될 수 있다. Further, if the user's hand repeatedly grasps the surface of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가방(10)은 하부면에 사용자가 별도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보조핸들(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핸들(250)은 상기 저장부(100)의 하부면(117)에 결합되거나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가방(10)의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상기 보조핸들(250)은 상기 가방끈(230)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기 가방끈(230)에 걸쳐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보조핸들(250)을 파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The
도6(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핸들(200)을 인출하는 경우, 한 손으로는 상기 제1핸들(210)과 상기 제2핸들(220)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하고, 나머지 한손으로는 상기 보조핸들(250)을 파지할 수 있다. 6A, when the user takes out the
도6(c)를 참조하면, 상기 제1핸들(210)과 상기 제2핸들(220) 중 어느 하나를 잡아당기고, 상기 보조핸들(250)을 상기 핸들(200)의 이동방향과 반대로 잡아당기거나 위치가 가변되지 않도록 고정하면 상기 제1핸들(210)과 상기 제2핸들(220) 중 잡아당겨지는 핸들(200)은 마찰력을 극복하고 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핸들(250)은 상기 가방끈(23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장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6 (c), one of the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가방(10)의 표면을 손으로 잡지 않아도 되어, 상기 가방(10)이 변형 및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가방(10)의 표면이 파지하는데 용이하지 않더라도 상기 가방끈(230)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does not need to hold the surface of the
도7은 본 발명 가방(10)에서 핸들(20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7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length of the
본 발명 가방(10)은 상기 저장부(100)의 일면(111)에서 상기 저장부의 타면(112)에 결합되어 상기 가방끈(230)을 고정하는 고정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다시말해, 상기 가방끈(230)은 이동하지 않고 상기 저방부(100)의 양측에 고정되어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340)는 상기 가방끈(230)을 상기 저장부(100)의 상부면 또는 개구부(114a)에 고정시켜 상기 가방끈(230)이 상기 저장부(100)에서 이격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핸들(20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상기 고정부(340)는 상기 핸들(200)이 상기 저장부(100)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거나, 상기 저장부(100)의 무게중심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상기 고정부(340)는 상기 저장부의 일면(111)에서 연장되어 상기 저장부의 상부면 또는 개구부(114a)를 지한 상기 저장부의 타면(112)에 결합될 수 있는 고정대(341)와 상기 고정대(341)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대(341)을 상기 저장부의 타면(1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후크(342)와, 상기 저장부의 타면(112)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후크(342)와 결합될 수 있는 후크결합부(34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xing
도7(a)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340)가 상기 가방끈(230)의 결합을 해제할 경우에는 상기 가방끈(230)은 길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when the fixing
도7(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340)는 상기 고정대(341)로 상기 가방끈(230)의 일면을 상기 저장부(100)에 밀착시킨 뒤, 상기 고정후크(342)와 상기 후크결합부(343)로 체결하여 상기 가방끈(2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방끈(230)은 그 길이가 짧아져 핸들(200)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7 (b), the fixing
도8은 본 발명 가방(1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전술한 것처럼, 상기 커버부재(115)는 본 발명 가방(10)의 상기 저장부(100)는 상기 저장부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한부를 차폐하거나 별도의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그러나, 본 발명 가방(10)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115)는 상기 저장부의 일면(111)의 하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가방(10)은 상기 커버부재의 일면과 상기 저장부의 일면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상기 결합부(103)는 상기 커버부재(115)와 상기 저장부의 일면(111)의 양측 또는 일측에 구비되는 지퍼레일(103b)과 지퍼(103a)로 구비될 수 있다. The
도8(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평소 상기 저장부(100)와 상기 커버부재(115)를 서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115)의 말단에는 별도의 보조 개구부(115a)가 구비되어 별도로 수납물이 상기 커버부재(115)에도 수납될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개구부(115a)는 별도의 지퍼(z)등의 체결수단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커버부재(115)가 상기 저장부(100)에 결합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커버부재(115)의 공간을 별도로 활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 the user can normally use the
도8(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커버부재(115)을 상기 저장부(100)에서 분리시키면 상기 저장부(100)와 상기 커버부재(115)의 수납공간이 하나로 합쳐지게 되어 상기 가방(10)에 더 큰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8 (b), when the user removes the
이로써,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가방(10)은 수납공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us, the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가방
100 저장부 111 일면 112 타면
113 측면 117 하부면
114 상부면 114A 개구부
115 커버부재
200 핸들 210 제1핸들 220 제2핸들 230 가방끈
300 길이조절부
310 제한부 301 제한바디 302 개구부 303 접지부 304 걸림부
311 제1제한부
312 제2제한부
320 안내부 321 안내프레임
322 안내리브
330 이동부 10 bags
100
113
114 upper surface 114A opening
115 cover member
200
300 Length adjuster
310 restricting
311 First Restriction
312 Second Restriction
320
322 guide rib
330 moving part
Claims (15)
상기 저장부의 일면에서 상기 저장부의 타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일면과 상기 상부면과 대향하는 하부면 및 상기 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방끈;
상기 저장부의 일면에 구비된 가방끈과 상기 저장부의 타면에 구비된 가방끈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를 지지하며 상기 가방끈이 이동할 때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는 복수의 핸들;
상기 저장부의 일면 및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핸들이 이동하는 길이를 제한하여 상기 복수의 핸들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핸들은
상기 저장부의 일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핸들과, 상기 저장부의 타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1핸들의 하단에 접촉 되어 상기 제1핸들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부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제한부와, 상기 제2핸들의 하단에 접촉 되어 상기 제2핸들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부의 타면에 구비되는 제2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핸들이 상기 저장부의 상부면에서 인출될 수 있는 길이가 상기 제1핸들이 상기 저장부의 상부면에서 인출될 수 있는 길이보다 더 길도록 상기 제1제한부는 상기 제2제한부 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A storage portion including a top surface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a stored object is inserted betwee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the storage portion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tored object;
A bag strap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to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unit, the lower side facing the one side and the upper side, and the bag strap movably along the other side;
A plurality of handles provided respectively on a bag strap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and on a bag strap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unit and moving upward or downward while supporting the storage unit and moving the bag strap;
And a restricting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portion to restrict the lengths of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handles to fix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handles,
The plurality of handles
A first handle which is vertically movable on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and a second handle which is vertically movable on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unit,
The limiter
A first restricting portion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so as to contact the lower end of the first handle to fix the first handle, And a second restricting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The first restricting portion is locat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second restricting portion so that the length at which the second handle can be drawn ou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at which the first handle can be drawn ou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And the bag is attached to the bag.
상기 저장부의 일면, 타면,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가방끈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uide unit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one surface, the oth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unit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bag strap.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면, 타면, 하부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가방끈을 수용하며 상기 저장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안내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8. The method of claim 7,
The guide
And a guide frame which is provided along one side, the other sid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part to receive the bag strap and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storage part.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면, 타면,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가방끈의 양단을 지지하는 안내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8. The method of claim 7,
The guide
And a guide rib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one surface, the oth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to support both ends of the bag strap.
상기 저장부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방끈이 이동할 수 있는 장력을 제공할 수 있는 보조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handl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to provide a tension to move the bag strap.
상기 제한부의 설치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oving portion capable of chang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striction portion.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한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mov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rail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to move the restriction portion,
And the restricting portion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along the rail.
상기 저장부의 일면에서 상기 저장부의 타면을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방끈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저장부에 고정시켜 상기 핸들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xing unit for coupl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to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Wherein the fixing portion fixes at least a part of the bag strap to the storage portion to adjust the length of the handle.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한부를 차폐하거나 별도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unit
Further comprising a cover membe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torage unit to shield the restriction unit or to provide a separate storage space.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저장부의 일면의 하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연장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일면과 상기 저장부의 일면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over member is rotatably extended at a lower end of one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portion for detachably coupling one surface of the storage member with one surface of the cover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3151A KR102005331B1 (en) | 2018-01-10 | 2018-01-10 | A bag provided with adjustable length of hand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3151A KR102005331B1 (en) | 2018-01-10 | 2018-01-10 | A bag provided with adjustable length of hand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5253A KR20190085253A (en) | 2019-07-18 |
KR102005331B1 true KR102005331B1 (en) | 2019-07-30 |
Family
ID=6746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3151A Active KR102005331B1 (en) | 2018-01-10 | 2018-01-10 | A bag provided with adjustable length of hand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533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84312B1 (en) * | 2022-04-19 | 2022-12-06 | 宝本商事株式会社 | Handbag for combined use as a back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handbag for combined use as a backpack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5927Y1 (en) * | 2005-12-28 | 2006-05-10 | 곽형주 | Hand strap adjustable bag |
KR200463916Y1 (en) * | 2011-07-26 | 2012-11-30 | 김홍준 | A Bag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394782A (en) * | 1943-10-08 | 1946-02-12 | John E Kalske | Convertible and adjustable article carrier |
JPH0434915U (en) * | 1990-07-16 | 1992-03-24 | ||
JP3083940U (en) * | 2001-08-07 | 2002-02-22 | 株式会社キョーエイ | bag |
-
2018
- 2018-01-10 KR KR1020180003151A patent/KR10200533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5927Y1 (en) * | 2005-12-28 | 2006-05-10 | 곽형주 | Hand strap adjustable bag |
KR200463916Y1 (en) * | 2011-07-26 | 2012-11-30 | 김홍준 | A Ba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5253A (en) | 2019-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03353B2 (en) | Basket | |
US5881932A (en) | Convertible bag | |
CA2904120C (en) | Backpack with a movable load carrying portion | |
US9316428B2 (en) | Cooler with embedded matrix of cleats and attachable accessories | |
US20160100661A1 (en) | Compartments for Tool Bags | |
US8167131B1 (en) | Carrying device for art and craft supplies | |
US9615642B2 (en) | Articulating multi-adjustable divider system | |
US20150021871A1 (en) | Fishing Rod Storage Container | |
US5071048A (en) | Fishing rod and reel carrier | |
US20070080183A1 (en) | Backpack with lateral sliding module | |
KR102005331B1 (en) | A bag provided with adjustable length of handle | |
KR20080066425A (en) | Backpack strap adjuster | |
KR20120005148U (en) | Bag With Strap Holding-Device | |
CN210018211U (en) | Pull rod assembly with lifting box | |
US11937686B2 (en) | Carrying case with pivoting housing | |
JP7188741B2 (en) | Rucksack for transporting pets | |
KR101447444B1 (en) | Non-outstanding structure multi-useful baggage and backpack available in five features | |
US20220047052A1 (en) | Removable Luggage Storage Accessory | |
KR101966019B1 (en) | Vinyl storage box | |
EP3838063A1 (en) | Ski rack system | |
KR200182803Y1 (en) | A satchel | |
JP2021065408A (en) | Hand baggage fixing device for bag | |
JP2008212602A (en) | Sketching bag | |
JP2006181073A (en) | School bag | |
JP2000342320A (en) | Carry ba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7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