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213B1 - Sludge treatment method before dehydration - Google Patents
Sludge treatment method before dehydr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5213B1 KR102005213B1 KR1020190011468A KR20190011468A KR102005213B1 KR 102005213 B1 KR102005213 B1 KR 102005213B1 KR 1020190011468 A KR1020190011468 A KR 1020190011468A KR 20190011468 A KR20190011468 A KR 20190011468A KR 102005213 B1 KR102005213 B1 KR 1020052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udge
- dewatering
- foaming
- bubbles
- oxidizing ag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oxid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02F11/148—Combined use of inorganic and organic substances, being added in the same treatment ste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 슬러지에 대한 가압 탈수 처리 전에, 가압 탈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하폐수 슬러지를 전처리하는 탈수 전 슬러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탈수 전 슬러지 처리 방법은, 하수처리 시설의 최종 탈수설비로 이송되는 슬러지를 전처리하는 방법으로서, (a) 하폐수에 대한 침전, 생물반응, 농축, 소화 처리 중 하나 이상의 처리단계를 거쳐 배출, 저장된 슬러지를 슬러지저장조에서 가압탈수설비 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 (b) 상기 가압탈수설비 방향으로 이송하는 경로에 발포성 산화제를 주입하기 전에 양이온을 제공하는 무기응집제를 먼저 주입하는 단계; 및 (c) 발포성 산화제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발포성 산화제에 의해 상기 슬러지 내 미생물의 세포벽 또는 세포막이 약화되거나 파괴되고, 상기 가압탈수설비에 의한 슬러지 압착과정에서 상기 슬러지 내 잔존 미생물의 세포벽이나 세포막이 상기 발포성 산화제에 의해 발생한 기포 방향으로 팽창하여 파손되며, 상기 압착과정에서 상기 기포가 상기 슬러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배수통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압탈수설비를 거쳐 최종 배출되는 슬러지 케이크의 함수율이 60% 이하로 저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dewatering sludge treatment method for pre-treating wastewater sludge to increase pressure dewatering efficiency before pressurized dewatering treatment for wastewater sludge, wherein the pre-dewatering sludge treatment method comprises: A method for pretreating sludge, comprising the steps of: (a) transferring stored, sludge from a sludge reservoir to a pressurized dewatering facility via at least one of a settling, biological reaction, concentration, and digestion process for the wastewater; (b) first injecting an inorganic coagulant to provide a cation before injecting the foaming oxidant into the path for transfer to the pressurizing and dewatering facility; And (c) injecting a foaming oxidizing agent, wherein the cell wall or cell membrane of the microorganism in the sludge is weakened or destroyed by the foaming oxidizing agent, and in the sludge squeezing process by the pressurizing and dewatering facility, The cell wall or cell membrane expands and breaks in the direction of bubbles generated by the foaming oxidizing agent and the bubble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ludge in the pressing process to form a drainage passage, And the water content is lowered to 60% or less.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폐수 슬러지에 대한 가압 탈수 처리 전에, 가압 탈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하폐수 슬러지를 전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treating wastewater sludge in order to increase pressure dewatering efficiency before pressurized dewatering treatment for wastewater sludge.
하폐수 슬러지의 해양투기가 금지되고 각 지방의 혐오시설거부 현상으로 육상매립 또한 어려워지고 있는 바, 하폐수 슬러지를 연료화하거나 퇴비화 처리하기 위하여 하폐수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는 것이 시급한 과제가 되었다. 근래 필터프레스 등을 통해 하폐수 슬러지를 함수율 63~66% 선에서 배출하고 있으나 아직 자체 연소가 가능한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바, 함수율을 더욱 낮출 필요가 있다.It has become an urgent task to reduce the water content of wastewater sludge in order to fuel or compost the wastewater sludge, because the marine dumping of wastewater sludge is prohibited and land reclamation becomes difficult due to the rejection of the disgusting facilities in each province. In recent years, wastewater sludge has been discharged at a water content of 63 ~ 66% through a filter press, but it has not yet reached the level of self-combustion, so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water content further.
종래 국내·외에서 하폐수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어 왔는 바, 몇 가지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공개특허 10-2015-0053993 "슬러지의 탈수 처리방법 및 탈수 처리장치"는 슬러지 투입구측에서 가열 수증기 또는 열풍에 의해 슬러지를 직접 가열하고 스크류 프레스기 내에서 슬러지를 가열한 상태에서 탈수하는 방법을 제시하나, 충분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 비용을 감당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Various methods for lowering the water content of the wastewater sludge have been proposed in the past, and some examples are as follows. Open No. 10-2015-0053993, entitled "Dewatering Method and Dewatering Apparatus for Sludge", discloses a method of directly heating sludge by heated water vapor or hot air at the sludge inlet side and dehydrating the sludge in a heated state in a screw press , There is a problem of having to cope with a lot of energy costs in order to obtain a sufficient effect.
등록특허 10-1237828 "첨가제 존재 하에 기계적 혼합과 압축으로 슬러지케익 내의 함수율을 40% 수준으로 재탈수시키는 방법"에서는 1차 탈수한 슬러지케익에 1~3mm 크기의 셀룰로오스분인 목분, 분쇄왕겨, 잦피분말, 팜분말, 두릅나무분말, 볏집분말 및 옥수수분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분말을 첨가하고 교반기로 150~200rpm의 회전속도로 1~2분 이내에 급속회전하여 혼합시켜 슬러지 함수율을 60±3%가 되도록 조정한 상태에서 필터프레스압착기로 50~200kg/㎠로 서서히 압축, 정지를 되풀이하면서 12분 이내에 재탈수시켜 함수율 40±3%의 슬러지케익을 얻고 이 슬러지케익을 혼합기에 넣어 150~200rpm에서 2~3분간 파쇄 및 분쇄시킨 다음 직경 1~3mm의 진동스크린에 의해 부형제만을 선별 회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러나 이 경우 부형제를 회수하는 설비와 그 운전비용이 막대하고, 또한 일반적인 필터프레스 장치의 압력이 15kg/㎠ 내외인 점을 비추어볼 때 50~200kg/㎠의 고압을 가하기 위한 설비를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 현실적이지 않다.In the method of re-dewatering the water content in the sludge cake to 40% level by mechanical mixing and compression in the presence of additives, the first dehydrated sludge cake is coated with 1 ~ 3 mm sized cellulose powder such as wood flour, At least one excipient powd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wder, palm powder, arsomel powder, cornstarch powder and corn powder is added to the mixture, and the mixture is rapidly rotated within a period of 1 to 2 minutes at a rotation speed of 150 to 200 rpm with a stirrer to obtain a sludge moisture content of 60 3% , The sludge cake having a water content of 40 ± 3% was obtained by rehydration within 12 minutes while repeating compression and stopping at 50 to 200 kg / cm 2 with a filter press compactor, and the sludge cake was put into a mixer at 150 to 200 rpm And crushing and pulverizing the mixture for 2 to 3 minutes, and then selecting and collecting the excipient only by a vibration screen having a diameter of 1 to 3 mm. However,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facility for applying a high pressure of 50 to 200 kg / cm 2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equipment for recovering the excipient and the operation cost thereof are enormous and the pressure of the general filter press apparatus is about 15 kg / It is not realistic.
등록특허 10-0891023 "하수 슬러지의 응집 및 탈수방법 및 그 장치"에서는, 고분자응집제 첨가량을 75:25 비율로 나누어 1차 75% 첨가 후 초기 플록을 고속교반을 통해 잘게 부순 후 2차로 25% 첨가하여 2중으로 플록을 만들어서 플록 내에 간극수나 자유수 량을 줄이는 방법을 제시한다. 다만 이러한 방법은 함수율 80%의 슬러지를 함수율 77.4% 수준으로 처리하는 것에 그칠 뿐 최종 가압탈수(필터프레스 등) 결과는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I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flocculation and dehydration of sewage sludge", the amount of the polymer flocculant added is divided by 75:25 ratio, first 75% is added, the initial flocc is crushed through high-speed stirring, and then 25% And a method of reducing the number of voids and free water in the flocs is proposed. However, this method only treats sludge with a water content of 80% at a water content of 77.4%, and does not provide final pressurized dehydration (filter press, etc.).
등록특허 10-0793850 "하수슬러지의 처리방법 및 이로부터 생성된 탈수 케이크"에서는, 하수처리장 슬러지 처리공정에서 소화슬러지에는 석탄 등의 카본 첨가제를 혼합하여 소화슬러지 혼합물로 만들고, 원심농축슬러지에는 폐지용액과 카본 첨가제를 혼합하여 원심농축슬러지 혼합물로 만들어, 이들 각각을 탈수시킴으로써 탈수케이크의 함수율을 저감시키고 발열량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처리방법을 제시한다. 그러나 소화슬러지에 첨가되는 카본 첨가제의 양은 2~10중량%이며, 원심농축 슬러지 혼합물은 원심농축 슬러지 60~70중량%, 폐지용액 20~30중량% 및 카본 첨가제 10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폐지용액은 물 98~99중량%에 폐지 1~2중량%를 혼합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슬러지케익의 고형분이 4~5배로 증가하므로 실제 적용하기 곤란하다고 판단된다. In the "treatment method of sewage sludge and the dehydrated cake produced therefrom", in the sludge treatment process of the sewage sludge, a carbon additive such as coal is mixed into the digested sludge to prepare a digested sludge mixture, And a carbon additive are mixed to prepare a centrifugally concentrated sludge mixture, and each of them is dehydrated, thereby reducing the water content of the dehydrated cake and improving the calorific value. However, the amount of the carbon additive added to the digested sludge is 2 to 10% by weight, the centrifugally concentrated sludge mixture comprises 60 to 70% by weight of the centrifugally concentrated sludge, 20 to 30% by weight of the waste paper solution and 10% by weight of the carbon additive, The solution is mixed with 98 to 99% by weight of water and 1 to 2% by weight of waste paper, so that the solid content of the sludge cake is increased to 4 to 5 times.
일본공개특허 평1-111498 "하수 슬러지의 탈수 방법"에서는 응축슬러지의 고형분에 대하여 40%의 목재칩을 탈수보조제로 첨가하면 함수율 88%가 되고, 이것을 5kg/㎠로 가압탈수하면 함수율 55%가 얻어져서 소각로에서 자체연소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건조한 목재칩을 첨가하여 함수율을 낮추는 효과를 노리는 것이며, 결과적으로는 슬러지의 고형분 량이 약 1.4배 늘어날 뿐이다.In Japanese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1-111498 entitled " Method of dewatering sewage sludge ", a moisture content of 88% is obtained by adding 40% of wood chips to a solid content of condensed sludge as a dehydrating aid, and when this is dewatered under pressure of 5 kg / And is capable of self-burning in an incinerator. However, this is merely aimed at lowering the water content by adding a dry wood chip. As a result, the solids content of the sludge is increased about 1.4 times.
공개특허 10-2017-0116591 "하폐수 처리공정의 슬러지 농축 및 탈수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농축부에 유입되어 수용된 2차 슬러지에 미세기포를 공급하여 폭기시킴으로써 2차 슬러지에 포함된 질소의 안정화에 따른 악취감소 및 이후 탈수기에서의 부하가 감소되어 탈수 효율 및 응집제 사용량이 감소됨은 물론, 배출되는 슬러지에 안정화된 질소가 포함되기에 이를 별도의 후처리 없이 퇴비 등의 상업적 이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함수율 97% 수준의 농축 슬러리를 폭기하는 과정에 관한 것으로서 최종 탈수과정(슬러지 케익 배출과정)의 효율을 높이는 것은 아니다.In the " sludge thickening and dewatering system and method of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 microbubbles are supplied to the secondary sludge introduced into the thickening section and aeration to aerate them, whereby the odor due to the stabilization of nitrogen contained in the secondary sludge And the load on the dehydrator is reduced to thereby reduce the dewatering efficiency and the amount of the flocculant used, as well as the stabilized nitrogen contained in the discharged sludge, so that it is advantageous that commercial use such as composting is easy without any post-treatment . However, this is about the process of aerating a concentrated slurry at a water content of 97%, and does not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final dewatering process (sludge cake discharging process).
등록특허 10-1162533 "마이크로버블발생기를 구비한 벤츄리관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처리장치"에서도 마이크로버블발생기를 이용하여 농축부에 유입된 슬러지에 미세기포를 유입시킴으로써 슬러지 덩어리를 잘게 파쇄하여 소화되기 쉬운 상태로 처리함으로써 미생물에 의한 슬러지의 소화효율을 높이고 가연성 바이오가스의 생산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최종 탈수과정(슬러지 케익 배출 과정)의 효율을 높이는 것은 아니다.In the "Venturi pipe with micro bubble generator and sludge treatment device using the micro bubble generator", microbubbles are introduced into the sludge introduced into the concentrating part by using a micro bubble generator, so that the sludge agglomerates are finely crushed to be easily digeste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digestion efficiency of sludge by microorganisms and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combustible biogas has been proposed. However, this does not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final dewatering process (sludge cake discharge process).
등록특허 10-0413593 "오존 처리에 의한 슬러지 감량화 및 재활용 시스템과 그 방법"은 슬러지 발생량을 감량하기 위해 하·폐수 슬러지를 오존 처리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슬러지 케익의 탈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술이 아니다.Patent Document 10-0413593 "Sludge Reduction and Recycling System and Method by Ozone Treatment" discloses a technique for ozonating bottom and wastewater sludge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sludge generated. However, this is not a technique for increasing the dewatering efficiency of the sludge cake.
본 발명은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 하면서 가압탈수장치에 의한 슬러지 탈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하폐수에 대한 여러 가지 처리 공정(침전, 생물반응, 농축, 미생물에 의한 소화 처리, 약품 처리 등)을 거쳐 배출된 슬러리를 가압 탈수가 잘 이루어지는 상태로 형성시킬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increasing sludge dewatering effect by a pressure dewatering device while minimizing energy consumption. For this purpose, a method of forming a slurry discharged through various treatment processes (sedimentation, biological reaction, concentration, microbial digestion, chemical treatment, etc.) on wastewater can be formed in a state in which pressurized dehydration can be performed well.
종래에 하폐수 슬러지에 대한 탈수처리를 통해 함수율이 63~66%에 도달하는 사례가 있으나, 더 이상의 탈수가 어려운 이유는 하폐수 슬러지 내 미생물 체내의 함수율이 75% 내외에 달하기 때문이다. Conventionally, there is a case in which the water content reaches 63 ~ 66% through the dehydration treatment of the wastewater sludge. However, the reason why further dehydration is difficult is because the moisture content in the microorganism body in the wastewater sludge reaches about 75%.
본 발명에서는 하폐수 슬러지의 함수율을 더욱 낮추기 위해,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urther lower the water content of the wastewater sludge,
(1) 하폐수 슬러지 내 미생물의 세포벽 또는 세포막을 약하게 하거나 손상시키고,(1) weakening or damaging the cell wall or cell membrane of microorganisms in wastewater sludge,
(2) 나아가 상기 세포벽 또는 세포막을 파손시킴으로써 세포 내 물을 체외로 배출시키고,(2) further breaking the cell wall or cell membrane to discharge the intracellular water out of the body,
(3) 세포내에서 배출된 물이 슬러지 케익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통로가 확보되도록 한다.(3) Ensure passage through which the water exiting the cell exits the sludge cake.
위와 같은 작용을 위해, 본 발명은 「(a) 하폐수에 대한 침전, 생물반응, 농축, 소화 처리 중 하나 이상의 처리단계를 거쳐 배출, 저장된 슬러지를 슬러지저장조에서 가압탈수설비 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 (b) 상기 가압탈수설비 방향으로 이송하는 경로(이하 '이송경로')에 발포성 산화제를 주입하기 전에 양이온을 제공하는 무기응집제를 먼저 주입하는 단계; 및 (c) 발포성 산화제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발포성 산화제에 의해 상기 슬러지 내 미생물의 세포벽 또는 세포막이 약화되거나 파괴되고,상기 가압탈수설비에 의한 슬러지 압착과정에서 상기 슬러지 내 잔존 미생물의 세포벽이나 세포막이 상기 발포성 산화제에 의해 발생한 기포 방향으로 팽창하여 파손되며, 상기 압착과정에서 상기 기포가 상기 슬러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배수통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압탈수설비를 거쳐 최종 배출되는 슬러지 케이크의 함수율이 60% 이하로 저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전 슬러지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For the above-mentione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for producing a sludge-containing sludge, comprising the steps of: (a) transferring stored and discharged sludge through one or more treatment steps of sedimentation, biological reaction, concentration and digestion treatment to wastewater; (b) injecting an inorganic coagulant first providing a cation before injecting a foaming oxidant into a path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ansport path') for transporting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izing and dewatering facility; And (c) injecting a foaming oxidizing agent, wherein the cell wall or cell membrane of the microorganism in the sludge is weakened or destroyed by the foaming oxidizing agent, and in the sludge squeezing process by the pressurizing and dewatering equipment, The cell wall or cell membrane expands and breaks in the direction of bubbles generated by the foaming oxidizing agent and the bubble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ludge in the pressing process to form a drainage passage, To thereby lower the water content to 60% or less.
또한, 상기 발포성 산화제와 함께 계면활성제를 함께 주입할 수 있으며, 산기장치에 의해 용해도를 초과하는 양의 기포를 함께 주입할 수 있다.Further, the surfactant may be injected together with the foamable oxidizing agent, and air bubbles having an amount exceeding the solubility may be injected together with the oxidizing agent.
아울러, 상기 이송경로에 상기 발포성 산화제를 주입하기 전에 고분자응집제를 먼저 주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ymer flocculant may be injected before injecting the foamable oxidant into the transfer path.
본 발명이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ystem and method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1. 가압 탈수 공정에 유입되기 전의 슬러지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슬러지 내 미생물의 세포벽 또는 세포막을 용해 또는 훼손을 촉진시킨다.1. The addition of a surfactant to the sludge before entering the pressurized and dewatered process promotes the dissolution or destruction of the cell wall or cell membrane of the microorganisms in the sludge.
2. 상기 계면활성제와 함께 기포를 주입함으로써 슬러지에 배수통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가압탈수장치에 의한 슬러지 케익의 탈수 효율을 향상시킨다.2. By injecting air bubbles together with the surfactant, a drainage passage is formed in the sludge, thereby improving the dewatering efficiency of the sludge cake by the pressure dewatering device.
3. 상기 계면활성제에 의해 상기 기포의 분산성이 향상된다.3. The dispersibility of the bubbles is improved by the surfactant.
4. 가압 탈수 공정에 유입되기 전의 슬러지에 오존, 과산화수소 등의 발포성 산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슬러지 내 미생물의 세포벽 또는 세포막이 파괴되도록 하여, 세포액을 탈수시킬 수 있다.4. By adding a foaming oxidizing agent such as ozone or hydrogen peroxide to the sludge before entering the pressurized and dewatered process, the cell wall or cell membrane of the microorganism in the sludge is broken, and the cell liquid can be dehydrated.
5. 최종 배출되는 슬러지 케익의 함수율을 저하시키기 위해 열에너지를 도입하거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하여 슬러지의 체적을 증가시킨다거나, 가압탈수설비의 압력을 향상시키는 등의 조치 없이 종래의 하폐수처리설비에 본 발명을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다.5. In order to lower the water content of the sludge cake to be finally discharge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sludge by adding heat energy or various additives to the sludge cake, or to improve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dewatering facility, The invention can be applied simply.
6. 최종 배출되는 슬러지 케익은 함수율이 60% 미만으로 낮춰지므로 소각로에서 자체연소 가능하다.6. The final sludge cake is self-combustible in the incinerator because the water content is lowered to less than 60%.
도 1은 하폐수처리 시설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기포에 의해 슬러지 내 미생물의 세포벽 또는 세포막이 파손되고, 배출된 체액이 기포에 의해 형성된 배수통로로 배출되는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기포에 의해 형성된 슬러지 내 배수통로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산기장치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1 schematically shows a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FIG. 2 shows the concept that the cell wall or cell membrane of the microorganism in the sludge is broken by bubbles and the discharged body fluid is discharged into a drainage passage formed by bubbles.
3 shows the concept of the drainage passage in the sludge formed by bubbles.
Fig. 4 shows various embodiments of the oxidizer de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하폐수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는 방법 중 가압 탈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ized dehydration treatment method of lowering the water content of wastewater sludge.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하폐수 슬러지 가압 탈수 처리 과정을 [도 1]의 하폐수 처리 시설 개념도와 함께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폐수 처리 시설에 유입된 하폐수는 침사지(100)에서 흙, 모래 등 비중이 무거운 물질을 침강시켜 제거하고 최초침전지(200)에서 부상, 응집 등의 방법으로 각종 유기물과 무기물을 침전시킨다. 수질이 양호한 상징수(침전지 또는 최초침전조에서 고체물질을 침전시킨 후 그 상부에 존재하는 물)는 최종침전지(400)로 보낼 수 있고 침강된 슬러리는 성상에 따라 생물반응조(300) 또는 농축조(500)로 이송된다. The generalized wastewater sludge pressure dewatering process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ceptual diagram of th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of FIG. The wastewater flowing into th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is removed by sedimentation of heavy materials such as earth and sand from the gypsum (100), and various organic matter and inorganic substances are precipitated by floatation and coagulation in the first sedimentation material (200). (The sedimentation material or the water existing thereon after the solid material is precipitated in the initial sedimentation tank) can be sent to the
유기물 성분이 많은 슬러리는 생물반응조(300)로 이송하여, 미생물(이 과정에서는 주로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 성분을 분해 처리한다. 상기 생물반응조(300)에서 처리된 물은 최종침전지(400)에서 침전시켜 상징수는 살균 후 방류하며 침전된 슬러리는 원심농축기(700)에서 농축 후 슬러리저장조(800)로 이송된다. 상기 최초침전지(200)에 침강된 슬러리 중 유기물 성분이 적은 경우에는 농축조(500)로 이송되어 농축과정을 거친 후 소화조(600)로 이송되어 미생물에 의해 소화처리된다. 이 과정에서는 대체로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메탄가스 등을 발생시키고 상기 메탄가스는 연료로 활용한다. 농축과정을 거친 슬러리를 상기 소화조(600)로 이송할 때에는 필요시 온도 조절을 위해 열교환기(610)를 사용한다. 소화처리된 슬러리는 다시 슬러지저장조(800)로 이송된다.The slurry having a large organic component is transferred to the
상기 슬러지저장조(800)에서 가압탈수설비(1000)로 슬러지를 공급할 때에는 약품주입설비(900)를 이용하여 필요한 약품을 주입하고 탈수를 진행한다. 탈수시 배출된 배출수는 전단계 설비(최초침전지 또는 농축조 또는 생물반응조 또는 소화조 중 적당한 곳)로 이송되고 탈수된 슬러지 케익은 처분한다. 상기 가압탈수설비(1000)로는 밸트프레스, 필터프레스 등을 적용할 수 있는데, 슬러지 내 수분이 고형분에 갇히는 경우에는 탈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When the sludge is supplied from the
본 발명은 「하수처리 시설의 최종 탈수설비로 이송되는 슬러지를 전처리하는 방법으로서, (a) 하폐수에 대한 침전, 생물반응, 농축, 소화 처리 중 하나 이상의 처리단계를 거쳐 배출, 저장된 슬러지를 슬러지저장조(800)에서 가압탈수설비 (1000)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 (b) 상기 가압탈수설비(1000) 방향으로 이송하는 경로(이하 '이송경로')에 발포성 산화제를 주입하기 전에 양이온을 제공하는 무기응집제를 먼저 주입하는 단계 및 (c) 발포성 산화제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treating sludge transferred to a final dewatering facility of a sewage treatment facility, comprising the steps of: (a) discharging the sludge through one or more treatment steps of sedimentation, biological reaction,
상기 발포성 산화제에 의해 상기 슬러지 내 미생물의 세포벽 또는 세포막이 약화되거나 파괴되고, 상기 가압탈수설비(1000)에 의한 슬러지 압착과정에서 상기 슬러지 내 잔존 미생물의 세포벽이나 세포막이 상기 발포성 산화제에 의해 발생한 기포 방향으로 팽창하여 파손되며, 상기 압착과정에서 상기 기포가 상기 슬러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배수통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압탈수설비(1000)를 거쳐 최종 배출되는 슬러지 케이크의 함수율이 60% 이하로 저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전 슬러지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The cell walls or cell membranes of the microorganisms in the sludge are weakened or destroyed by the foamable oxidizing agent and the cell walls or cell membranes of the remaining microorganisms in the sludge in the sludge squeezing process by the
상기 이송경로는 탈수설비연결관(1110)의 입구, 탈수설비연결관(1110) 등을 통칭한다. 슬러지 내 미생물의 세포벽 또는 세포막을 파괴하는 측면에서 상기 가압탈수설비(1000) 방향으로 이송되는 슬러지에 과산화수소, 오존 등의 발포성 산화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발포성 산화제는 슬러지 내 미생물의 세포벽 또는 세포막을 녹이거나 얇게 만들어 세포액이 쉽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슬러지에 대한 탈수성이 개선된다. 특히 과산화수소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슬러지 내 미생물의 세포벽 또는 세포막을 파괴하면서 과산화수소 기포가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과산화수소 기포는 슬러지에 대한 가압 탈수 공정에서 부피변화에 따라 세포벽 또는 세포막에 변형을 일으켜 터지도록 하고, 가압에 의해 상기 과산화수소 기포가 배출되면서 슬러지 케익에 배수통로를 형성시키는 역할도 겸한다.The transfer path generally refers to the inlet of the dewatering
[도 2]는 기포에 의해 슬러지 내 미생물의 세포벽 또는 세포막이 파손되고, 배출된 체액이 기포에 의해 형성된 배수통로로 배출되는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 내에 기포가 없는 경우에는 슬러지를 가압하여도 부피변화는 거의 없다. 그러나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 내에 기포가 있는 경우에는 슬러지를 가압하면 기포의 부피가 줄어들면서 세포벽 또는 세포막이 기포방향으로 팽창되어 파손된다. 파손된 세포벽 또는 세포막의 틈으로 세포 내 체액이 흘러나와 슬러지 압착과정에서 기포의 배출에 의해 형성된 배수통로를 따라 배출되는 것이다.[Fig. 2] shows a concept that the cell wall or cell membrane of the microorganism in the sludge is broken by bubbles, and the discharged body fluid is discharged into a drainage passage formed by bubbles. As shown in Fig. 2 (a), when there is no bubble in the sludge, there is almost no change in volume even when the sludge is pressurized. However, as shown in FIG. 2 (b), when there is air bubbles in the sludge, the volume of the air bubbles is reduced when the sludge is pressurized, and the cell wall or cell membrane expands and breaks in the air bubble direction. The intracellular fluid flows out through the broken cell wall or cell membrane and is discharged along the drainage passage formed by the discharge of the bubbles in the sludge squeezing process.
상기 발포성 산화제는 약품주입설비(900)에서 슬러지저장조(800)의 안쪽으로 연결되는 약품주입관(903)을 통해 탈수설비연결관(1110) 입구에 유입되도록 하거나(슬러지저장조 내의 슬러지와 함께 탈수설비연결관쪽으로 빨려들어가도록 하는 간접 연통 방식), 상기 산기장치(1100) 쪽으로 연결된 약품주입관(901) 또는 상기 가압탈수설비(1000) 쪽으로 직접 연결된 약품주입관(902)을 통해 슬러지에 주입할 수 있다(직접 연통방식). 또한, 상기 이송경로에는 계면활성제를 함께 주입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탈수설비연결관(1110)에 직·간접적으로 연통된 약품주입관(901, 902, 903)을 통해 주입 가능하다.The foamable oxidizing agent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let of the dewatering
상기 계면활성제는 슬러지 내 미생물의 세포벽 또는 세포막을 얇게 만들어 세포벽 또는 세포막이 쉽게 파괴되도록 한다. 슬러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은 세포벽 또는 세포막 내에 세포액을 가두어 두고 있으며 이러한 세포액은 슬러지 케익의 함수율이 낮아지지 않는 원인 중의 하나이다. 종래에도 소화조(600)에서 약품 첨가를 통해 슬러지 내의 유기물이 소화조 내 미생물의 먹이로 활용되도록 하여 소화 효율을 높이는 방법은 있었으나, 이렇게 하더라도 최종적으로는 새로이 성장한 미생물의 세포벽 또는 세포막이 유지됨으로써 세포액이 탈수되지 않는 문제는 상존한다. 따라서, 상기 계면활성제에 의해 슬러지 내 미생물의 세포벽 또는 세포막을 얇게 만들고, 슬러지 가압 시 상기 발포성 산화제에 의해 형성된 기포에 의해 발생되는 세포벽 변형에 의해 상기 세포벽 또는 세포막이 파괴됨으로써 세포액을 배출시키는 것이 슬러지 케익의 함수율을 낮추는데 이바지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를 발포성 산화제와 함께 적용하는 경우에는 슬러지 내에 상기 발포성 산화제에 의해 형성된 기포가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여, 가압 탈수 공정 전에 상기 기포가 미리 세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시너지 효과도 있다.The surfactant makes the cell walls or cell membranes of the microorganisms in the sludge thin to easily break the cell wall or cell membrane. The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sludge confine the cell fluid in the cell wall or the cell membrane, and this cell fluid is one of the reasons why the water content of the sludge cake is not lowered.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a method of enhancing the digestion efficiency by using organic substances in the sludge as food for microorganisms in the
상기 이송경로에는 산기장치(1100)에 의해 형성시킨 기포를 함께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산기장치(1100)에 의해 형성된 기포에 의해 슬러지 내 미생물의 세포벽 또는 세포막이 파손되도록 하는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 내에 기포에 의한 배수통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가압탈수설비(1000)를 통해 슬러지에 압력이 가해질 때 고형분에 갇힌 수분이 쉽게 배출될 수 있는 상태를 보다 쉽게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산기장치(1100)에 의해 형성된 기포는 발포성 산화제에 의해 형성된 기포보다 장기간 존속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포의 주입 공정은 계면활성제 주입과 동시에 또는 계면활성제 주입 이후에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상기 계면활성제에 의해 기포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Bubbles formed by the
다시 [도 1]과 함께 설명하면, 상기 산기장치(1100)는 탈수설비연결관(1110)의 중간에 기포를 주입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즉, 하폐수에 대한 침전, 생물반응, 농축, 소화 처리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거쳐 배출, 저장된 슬러지를 슬러지저장조(800)에서 가압탈수설비(1000)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탈수설비연결관(1110)에 산기장치(1100)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산기장치(1100)에 기포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를 도입할 수도 있으나, 에너지 소요의 최소화를 위해서는 공기압축기(1200)를 통해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과정 또는 베르누이의 원리를 이용하여 공기가 흡입되는 과정에서 미세기포로 파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도 4]에는 상기 산기장치(1100)의 여러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산기장치(1100)는 슬러지를 탈수설비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탈수설비연결관(1110)에 공기를 주입하는 장치로서, 관로 상에 다수 미세공을 타공하여 형성시킨 미세공 타공부 또는 관로의 일부를 다공성 재질로 형성시킨 다공성 재질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미세기포 형태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탈수설비연결관(1110)의 관로상에 형성된 미세공 타공부 또는 다공성 재질 형성부를 공기확산부(1120)라 통칭한다. 상기 탈수설비연결관(1110)에는 상기 공기확산부(1120) 주변을 커버하는 공기안내부(11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안내부(1130)에는 공기유입관(114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공기확산부(1120), 공기안내부(1130) 및 공기유입관(1140)은 [도 4]에 도시된 산기장치(1100) 실시예들의 공통된 구성요소이다. FIG. 4 shows various embodiments of the
[도 4]의 (a)는 공기압축기(1200)에서 제공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확산부(1120)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산기장치(110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입관(1140)의 일단은 상기 공기압축기(1200)에 연통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공기안내부(1130)에 연통되어 있다.(A) of FIG. 4 shows an embodiment of a
[도 4]의 (b)는 상기 탈수설비연결관(1110) 내측, 상기 공기확산부(1120) 형성구간에 슬러지가 흘러갈 유로의 단면적을 줄여서 유속을 빠르게 하기 위하여 흐름제어부(1160)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흐름제어부(1160)는 전체적으로 유선형 몸체로 구성하여 흐름저항을 낮출 수 있고, 머리부분에는 나선형으로 휘어진 흐름안내판(1170)을 설치하여 슬러지가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이동하도록 구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산기장치(1100)가 상기 공기압축기(1200)에서 압축공기를 제공받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상기 공기유입관(1140)을 공기압축기(1200)에 연통시키지 않고, 상기 흐름제어부(1160)에 의해 슬러지의 유속을 빠른 속도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탈수설비연결관(1110) 내부의 부압에 의해 외부(대기 중)의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관(1140)을 통해 흡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B) of FIG. 4 shows a
[도 4]의 (c)는 상기 탈수설비연결관(1110)의 공기확산부(1120) 형성 구간의 관경을 좁게 구성하여 해당 구간의 압력을 낮춤으로써 외부(대기 중)의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관(1140)을 통해 흡입되도록 구성된 산기장치의 실시예이다. 상기 산기장치(1100)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가 모두 슬러지에 용해되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소정의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므로 용해도를 초과하는 공기량을 주입하는 것이 중요하다.(C) of FIG. 4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section where the
한편, 기포가 주입된 슬러지에는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기포를 분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탈수설비연결관(1110) 내부에 인라인믹서(1150)를 설치하여 기포가 주입된 슬러지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이송경로에 발포성 산화제를 주입하기 전에는 양이온을 제공하는 무기응집제를 먼저 주입시킴으로써, 슬러지 내의 유기물이 응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무기응집제로는 염화제2철, 황산제2철, 황산알루미늄,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등을 적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ubbles can be dispersed by apply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sludge into which the bubbles have been injected. Specifically, an
본 발명이 적용되는 탈수 전의 슬러지 상태는 이미 함수율 98% 가량이 되도록 침전, 생물반응, 농축, 소화 처리 등이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물 속에서 음이온 상태로 존재하는 유기물을 상기 무기응집제로 응집시킨 후 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경로에 발포성 산화제를 주입하기 전에는 고분자응집제를 먼저 주입할 수도 있는데, 상기 고분자응집제는 분자량이 큰 만큼 멀리 떨어져 있는 유기물을 응집시키는데 유리하다. 탈수 전 슬러지의 상태에 따라 상기 무기응집제 또는 고분자응집제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양자를 혼용하는 조건을 배제하지 않는다.Since the state of the sludge before dehydr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state in which sedimentation, biological reaction, concentration, digestion treatment and the like have already been carried out so that the water content is already about 98%, the organic matter existing in the anion state in the water is aggregated with the inorganic flocculant will be. In addition, the polymer flocculant may be injected before the foaming oxidant is injected into the transfer path. The polymer flocculant is advantageous for aggregating organic substances far away because the molecular weight is large. The inorganic flocculant or the polymer flocculant may be selectively appli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ludge before dewatering. Of course, it does not exclude the condition of mixing both.
이하에서는, 실험데이터와 함께 본 발명의 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experimental data.
[실시예 1][Example 1]
슬러지 20kg(농도 2.2%)에 염화제2철(38%용액, 비중 1.4) 200ml를 넣고 2분간 교반한 후 발포성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35% 용액)를 아래표와 같이 투입비를 조절하여 투입하고 1분간 교반한 후 파이로트 가압탈수장치(필터 프레스)에 펌프를 이용하여 6kg/㎠ 압력으로 주입한 후 상기 가압탈수장치로 15kg/㎠ 압력에서 16분간 탈수하였다. 탈수 후 케익을 샘플링하여 110℃에서 15시간 건조한 후 함수율을 측정하였다.200 ml of ferric chloride (38% solution, specific gravity 1.4) was added to 20 kg of sludge (concentration 2.2%) and stirred for 2 minutes. Hydrogen peroxide (35% solution) was added as a foaming oxidizing agent After stirring, the mixture was injected into the pilot pressure dewatering device (filter press) at a pressure of 6 kg / cm2 using a pump, and dehydrated at a pressure of 15 kg / cm2 for 16 minutes by the pressure dewatering device. After dewatering, the cake was sampled and dried at 110 ° C for 15 hours, and the water content was measured.
아래 [그래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과산화수소를 투입하지 않은 시험예에서 배출된 슬러지 케익의 함수율은 65.5%이나, 35% 과산화수소 용액을 상기 슬러지 중량 대비 0.125% 투입하였을 때, 배출된 슬러지 케익의 함수율이 54%로 저감되었다. 다만, 상기 35% 과산화수소 용액 투여량을 2배 늘리더라도 배출된 슬러지 케익의 함수율 변화는 크지 않았다.As shown in the graph 1 below,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ludge cake discharged in the test example in which hydrogen peroxide was not added was 65.5%, but when the 35% hydrogen peroxide solution was added at 0.125% of the sludge weight, the water content of the discharged sludge cake 54%. However, even when the dose of the 35% hydrogen peroxide solution was doubled, the water content of the sludge cake discharged was not large.
[그래프 1][Graph 1]
[실시예 2][Example 2]
슬러지 20kg(농도 2.2%)에 염화제2철(38%용액, 비중 1.4) 200ml(슬러지 중량 대비 1.4%)를 넣고 2분간 교반한 후 계면활성제로 로릴황산나트륨(SLS, 90%)을 아래 [표 1]과 같이 슬러지 중량의 기준으로 투입비를 조절하여 투입하고 1분간 교반한 후 과산화수소(35% 용액)를 상기 슬러지 중량 대비 0.125% 투입하고 1분간 교반한 후 파이로트 가압탈수장치에 펌프를 이용하여 6kg/㎠ 압력으로 주입한 후 상기 가압탈수장치에서 15kg/㎠ 압력으로 16분간 탈수하였다. 탈수 후 케익을 샘플링하여 110℃에서 15시간 건조한 후 함수율을 측정하였다.200 ml of sludge (1.4% by weight of sludge) was added to 20 kg of sludge (concentration 2.2%) and stirred for 2 minutes. Sodium laurylsulfate (SLS, 90% (35% solution) was added in an amount of 0.125% based on the weight of the sludge and stirred for 1 minute. Then, the solution was poured into a pilot pressure dewatering apparatus using a pump 6 kg / cm < 2 >, followed by dehydration for 16 minutes at a pressure of 15 kg / cm < 2 > After dewatering, the cake was sampled and dried at 110 ° C for 15 hours, and the water content was measured.
[그래프 2][Graph 2]
위의 [실시예 1]에서 35% 과산화수소 용액 투입량만을 늘렸을 때 탈수 후 슬러지 케익의 함수율에 가시적인 개선이 없었던 것에 비해, 계면활성제인 로릴황산나트륨을 슬러지 중량 대비 0.025% 첨가할 때 배출된 슬러지 케익의 함수율이 1% 저감되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In Example 1, when the amount of the hydrogen peroxide solution was increased by 35%, there was no visible improvement in the water content of the sludge cake after dehydra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sodium lauryl sulfate as the surfactant was 0.025% The water content of 1% was reduced significantly.
[실시예 3][Example 3]
슬러지 20kg(농도 2.2%)에 염화제2철(38%용액, 비중 1.4)의 투입비를 아래 [표 2]와 같이 조절하여 투입하고 2분간 교반한 후 계면활성제인 로릴황산나트륨(SLS, 90%)을 투입하고 1분간 교반한 후 과산화수소(35% 용액)를 투입하고 1분간 교반한 후 파이로트 가압탈수장치에 펌프를 이용하여 6kg/㎠ 압력으로 주입한 후 상기 가압탈수장치에서 15kg/㎠ 압력으로 16분간 탈수하였다. 탈수 후 케이크를 샘플링하여 110℃에서 15시간 건조한 후 함수율을 측정하였다.The addition ratio of ferric chloride (38% solution, specific gravity 1.4) was adjusted to 20 kg (concentration 2.2%) of sludge as shown in Table 2 below and stirred for 2 minutes. Then, sodium lauryl sulfate (SLS, 90% (35% solution) was added thereto. After stirring for 1 minute, the mixture was injected at a pressure of 6 kg / cm 2 using a pump into a pilot pressure dewatering device, and then the mixture was pressurized to 15 kg / Dehydrated for 16 minutes. After dewatering, the cake was sampled and dried at 110 ° C for 15 hours, and the water content was measured.
[그래프 3][Graph 3]
슬러지 중량 대비 염화제2철 용액을 1.4% 투여했을 때보다, 염화제2철 용액 투여량을 1.0%로 낮추더라도 계면활성제인 로릴황산나트륨과 발포 산화제인 35% 과산화수소 용액을 함께 첨가함에 따라 탈수 후 배출된 슬러지 케익의 함수율이 약 7.6% 가량 크게 저감되었다. 또한, 상기 로릴황산나트륨과 35% 과산화수소 용액 첨가량이 동일한 조건에서는 상기 염화제2철 용액 첨가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배출된 슬러지 케익의 함수율의 저감량도 많게 나타났다.Even when the amount of the ferric chloride solution is lowered to 1.0% compared to 1.4% of the ferric chloride solution by the weight of the sludge, the addition of the surfactant, sodium lauryl sulfate and the 35% hydrogen peroxide solution, The water content of the sludge cake was reduced by 7.6%. In additio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addition amount of the sodium lauryl sulfate and the 35% hydrogen peroxide solution were the same, the water content of the discharged sludge cake was reduc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the ferric chloride solution.
[실시예 4][Example 4]
슬러지 20kg(농도 2.2%)에 염화제2철(38%용액, 비중 1.4) 200ml를 투입하고 2분간 교반한 후 계면활성제 로릴황산나트륨(SLS, 90%)을 아래 [표 3]과 같이 투입하고 1분간 교반한 후 과산화수소(35% 용액)를 아래 [표 3]과 같이 투입하고 1분간 교반한 후 파이로트 가압탈수장치에 펌프를 이용하여 6kg/㎠ 압력으로 주입한 후 상기 가압탈수장치에서 15kg/㎠ 압력으로 16분간 탈수하였다. 탈수 후 케이크를 샘플링하여 110℃에서 15시간 건조한 후 함수율을 측정하였다.200 ml of ferric chloride (38% solution, specific gravity 1.4) was added to 20 kg of sludge (concentration 2.2%) and stirred for 2 minutes. Then, the surfactant sodium laurylsulfate (SLS, 90% After stirring for a minute, hydrogen peroxide (35% solution) was added as shown in Table 3 below and stirred for 1 minute. Then, the mixture was injected into the pilot pressure dewatering device at a pressure of 6 kg / Cm < 2 > for 16 minutes. After dewatering, the cake was sampled and dried at 110 ° C for 15 hours, and the water content was measured.
[그래프 4][Graph 4]
염화제2철 투여량이 동일한 조건에서 슬러지 중량 대비 SLS 0.10%, 및 35% 과산화수소 용액 0.35%일 때 탈수 후 슬러지 케익의 함수율이 52.6%로 가장 낮고, 상기 35% 과산화수소 용액 첨가량 또는 SLS 첨가량을 줄이는 경우 슬러지 케익의 함수율이 다소 증가한다.The water content of the sludge cake after dewatering is the lowest at 52.6% when the amount of ferric chloride is 0.10% of SLS and 0.35% of the 35% hydrogen peroxide solution at the same condition of the sludge weight. When the amount of added 35% hydrogen peroxide solution or SLS is decreased The water content of the sludge cake increases somewhat.
[실시예 5][Example 5]
슬러지 20kg(농도 2.2%)에 염화제2철(38%용액, 비중 1.4) 의 200ml를 투입하고 2분간 교반한 후 계면활성제 로릴황산나트륨(SLS, 90%)을 아래표와 같이 투입하소 1분간 교반한 후 과산화수소 (35% 용액)를 아래표와 같이 투입하고 1분간 교반한 후 파이로트 가압탈수장치에 펌프를 이용하여 6kg/㎠ 압력으로 주입한 후 상기 가압탈수장치에서 15kg/㎠ 압력으로 16분간 탈수하였다. 탈수 후 슬러지 케익을 샘플링하여 110℃에서 15시간 건조한 후 함수율을 측정하였다.200 ml of ferric chloride (38% solution, specific gravity 1.4) was added to 20 kg of sludge (concentration 2.2%) and stirred for 2 minutes. Then, the surfactant sodium laurylsulfate (SLS, 90% Then, hydrogen peroxide (35% solution) was added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and stirred for 1 minute. The mixture was injected into the pilot pressure dewatering device at a pressure of 6 kg / cm2 using a pump, Dehydrated. After the dewatering, the sludge cake was sampled and dried at 110 ° C for 15 hours, and the water content was measured.
상기 가압탈수장치에 슬러지를 주입할 때에는 물이 새어나가면서 필터 내표면에 고형분 매트가 형성되고, 점차적으로 상기 고형분 매트가 두꺼워지면서 슬러지 주입에 과압이 부하되면 주입 작업을 종료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공정 시간을 슬러지 주입시간이라 칭하며, SLS와 35% 과산화수소 용액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의 슬러지 주입시간이 350초임에 반해 SLS 0.1% 및 35% 과산화수소 용액 0.38%를 첨가한 경우에는 배출된 슬러지 케익의 함수율이 13% 저감되면서, 슬러지 주입시간도 189초로 크게 단축됨이 확인된다. SLS 및 과산화수소 용액 첨가에 의해 슬러지의 탈수조건이 개선되었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상기 SLS 첨가량을 0.05%로 줄이고, 35% 과산화수소 용액 첨가량을 0.25%로 줄이는 경우에도 슬러지 케익의 함수율 저감효과 및 슬러지 주입시간 단축 효과가 여전히 크게 나타난다. When the sludge is injected into the pressurized dewatering apparatus, a solid ma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while water leaks out. When the solid mat gradually becomes thicker, over-pressure is applied to the sludge inj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process time is referred to as a sludge injection time, and when the sludge injection time in the state where SLS and 35% hydrogen peroxide solution are not added is 350 seconds, when 0.1% of SLS and 0.38% of 35% hydrogen peroxide solution are added, It was confirmed that the water content of the sludge cake was reduced by 13%, and the sludge injection time was also shortened to 189 seconds. It is considered that the sludge dehydration condition was improved by adding SLS and hydrogen peroxide solution. Even when the addition amount of SLS is reduced to 0.05% and the addition amount of 35% hydrogen peroxide solution is reduced to 0.25%, the effect of reducing the water content of the sludge cake and reducing the sludge injection time are still large.
[그래프 5][Graph 5]
아래의 [표 5]와 [그래프 6]은 첨가제 첨가량과 슬러지 가압 탈수시간에 따른 슬러지 케익의 함수율 변화에 대해 실험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타 조건이 동일한 상황에서는 슬러지 가압 탈수시간이 증가할수록 슬러지 케익의 함수율은 저감되는 경향이 있으나, SLS 및 35% 과산화수소 용액의 첨가 없이 슬러지 가압 탈수시간만을 30분으로 늘린 경우보다, SLS 0.025% 및 35% 과산화수소 0.25%를 첨가한 조건에서 슬러지 가압 탈수시간을 9분으로 단축시킨 경우가 슬러지 케익의 함수율이 오히려 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SLS 및 35% 과산화수소 용액의 첨가에 의해 슬러지 가압 탈수 공정의 소요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Table 5] and [Graph 6] below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on the water content change of the sludge cake depending on the additive amount and the sludge pressure dehydration time. In the same condition, the water content of the sludge cake tended to decrease as the sludge pressurization and dewatering time increased, but SLS 0.025% and 35%, respectively, were higher than when the sludge pressurization and dehydration time was increased to 30 minutes without addition of SLS and 35% hydrogen peroxide solution. % Hydrogen peroxide was decreased to 9 minutes, the water content of the sludge cake was lower than that of the sludge pressurized water. Therefore, the addition of the SLS and the 35% hydrogen peroxide solution can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sludge pressurizing and dewatering process.
[그래프 6][Graph 6]
정리하면, 아래 [표 6] 및 [그래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탈수 전 슬러지에 계면활성제 및 발포성 산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 탈수시간을 늘림으로써 배출된 슬러지 케익의 함수율을 일부 저감시킬수는 있으나, 상기 계면활성제 및 발포성 산화제 첨가에 따라 슬러지 주입시간이나 가압 탈수시간을 단축시키면서도 슬러지 케익의 함수율의 저감 폭은 더욱 크게 할 수 있다.In summary, as shown in [Table 6] and [Graph 7] below, it is possible to partially reduc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discharged sludge cake by increasing the pressurized dehydration time without adding the surfactant and the foaming oxidizing agent to the sludge before dehydration , The reduction of the water content of the sludge cake can be further increased while shortening the sludge injection time or pressurized dewatering time depending on the addition of the surfactant and the foaming oxidizing agent.
[그래프 7][Graph 7]
[실시예 6][Example 6]
슬러지 20kg(농도 2.2%)에 폴리철(황산제2철, 11%용액, 비중 1.4) 200ml를 투입하고 2분간 교반한 후 계면활성제 로릴황산나트륨(SLS, 90%) 및 과산화수소(35% 용액)를 아래표와 같이 투입하고 1분간 교반한 후 파이로트 가압탈수장치에 펌프를 이용하여 6kg/㎠ 압력으로 주입한 후 가압탈수장치에 15kg/㎠ 압력으로 탈수 공정을 진행하였다. 탈수 후 케이크를 샘플링하여 110℃에서 15시간 건조한 후 함수율을 측정하였다. 아래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SLS 0.025% 및 35% 과산화수소 용액 0.25%를 첨가했을 때 짧은 가압시간에 함수율 저감효과는 24% 이상의 큰 차이를 보였다. 200 ml of poly iron (ferric sulfate, 11% solution, specific gravity 1.4) was added to 20 kg of sludge (concentration 2.2%) and stirred for 2 minutes. Then, the surface active agent sodium laurylsulphate (SLS, 90%) and hydrogen peroxide The mixture was poured into a pilot pressure dewatering device at a pressure of 6 kg / cm 2 using a pump, and then subjected to a dehydration process at a pressure of 15 kg / cm 2 in a pressure dewatering device. After dewatering, the cake was sampled and dried at 110 ° C for 15 hours, and the water content was measured. As shown in Table 7 below, when the SLS 0.025% and 35% hydrogen peroxide solution 0.25% were added, the water reducing effect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24% in the short pressing tim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be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include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100 : 침사지 200 : 최초침전지 100: Gypsum bed 200: First settling basin
300 : 생물반응조 400 : 최종침전지 300: Bioreactor 400: Final clarifier
500 : 농축조 600 : 소화조500: Enrichment tank 600: Digester
610 : 열교환기 700 : 원심농축기 610: Heat exchanger 700: Centrifugal concentrator
800 : 슬러지저장조 900 : 약품주입설비 800: Sludge storage tank 900: Chemical filling equipment
901, 902, 903 : 약품주입관 1000 : 가압탈수설비901, 902, 903: chemical injection pipe 1000: pressure dewatering equipment
1100 : 산기장치 1110 : 탈수설비연결관 1100: Diffusion device 1110: Dewatering device connection pipe
1120 : 공기확산부 1130 : 공기안내부 1120: air diffusion part 1130: air guide part
1140 : 공기유입관 1150 : 인라인믹서1140: Air inlet pipe 1150: Inline mixer
1160 : 흐름제어부 1170 : 흐름안내판 1160: Flow control unit 1170: Flow guide plate
1200 : 공기압축기1200: air compressor
Claims (4)
(a) 하폐수에 대한 침전, 생물반응, 농축, 소화 처리 중 하나 이상의 처리단계를 거쳐 배출, 저장된 슬러지를 슬러지저장조에서 가압탈수설비 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
(b) 상기 가압탈수설비 방향으로 이송하는 경로에 발포성 산화제를 주입하기 전에 양이온을 제공하는 무기응집제를 먼저 주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가압탈수설비 방향으로 이송하는 경로에 발포성 산화제를 주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발포성 산화제에 의해 발생한 기포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가압탈수설비에 의해 슬러지를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발포성 산화제에 의해 상기 슬러지 내 미생물의 세포벽 또는 세포막이 약화되거나 파괴되고, 상기 가압탈수설비에 의한 슬러지 압착과정에서 상기 슬러지 내 잔존 미생물의 세포벽이나 세포막이 상기 발포성 산화제에 의해 발생한 기포 방향으로 팽창하여 파손되며, 상기 압착과정에서 상기 기포가 상기 슬러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배수통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압탈수설비를 거쳐 최종 배출되는 슬러지 케이크의 함수율이 60% 이하로 저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전 슬러지 처리 방법.A method for pretreating sludge transferred to a final dewatering facility of a sewage treatment plant,
(a) transferring the discharged and stored sludge from the sludge storage tank toward the pressurized dewatering facility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steps: sedimentation, biological reaction, concentration, and digestion treatment for wastewater;
(b) first injecting an inorganic coagulant to provide a cation before injecting the foaming oxidant into the path for transfer to the pressurizing and dewatering facility; And
(c) injecting a foaming oxidant into a path for transfer to the pressure dewatering facility; And
(d) squeezing the sludge by the pressurized dewatering facility in the presence of bubbles generated by the foaming oxidizing agent,
The cell walls or cell membranes of the microorganisms in the sludge are weakened or destroyed by the foamable oxidizing agent and the cell walls or cell membranes of the remaining microorganisms in the sludge are expanded in the direction of the bubbles generated by the foaming oxidizing agent during the sludge squeezing process by the pressure dewatering equipment And a water drainage passage is formed as the bubble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ludge during the squeezing process so that the water content of the sludge cake finally discharged through the pressure dewatering facility is reduced to 60% Sludge treatment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1468A KR102005213B1 (en) | 2019-01-29 | 2019-01-29 | Sludge treatment method before dehydr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1468A KR102005213B1 (en) | 2019-01-29 | 2019-01-29 | Sludge treatment method before dehydration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2442 Division | 2018-05-3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5213B1 true KR102005213B1 (en) | 2019-07-29 |
Family
ID=6748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1468A Active KR102005213B1 (en) | 2019-01-29 | 2019-01-29 | Sludge treatment method before dehydr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521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9855B1 (en) * | 2006-11-22 | 2007-11-28 | 김옥순 | Extraction Method of Buckwheat Sprouts Using Ultrasound |
KR20230029292A (en) | 2021-08-24 | 2023-03-03 |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 Reduction of moisture content method for sludge cake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11498A (en) | 1987-10-23 | 1989-04-28 | Kawasaki Steel Corp | Dehydration process of sewage sludge |
KR20010036813A (en) * | 1999-10-12 | 2001-05-07 | 양인모 | Sewage sludge dewatering process |
KR100413593B1 (en) | 2001-06-11 | 2003-12-31 | 금호산업주식회사 | System and Process for Ozone-Enhanced Reduction and Recycling of Wastewater Sludge |
JP2005510354A (en) * | 2001-11-29 | 2005-04-21 | コーポレイション バイオリックス | Methods for stabilizing and treating urban and industrial wastewater sludge |
JP2007136276A (en) * | 2005-11-15 | 2007-06-07 | Yaskawa Electric Corp | Sewage treatment system |
KR100793850B1 (en) | 2006-05-23 | 2008-01-11 | 대구광역시 환경시설공단 | Sewage sludge treatment method and dehydrated cake produced therefrom |
KR100891023B1 (en) | 2009-01-07 | 2009-03-31 | 인천환경공단 | Sewage sludge flocculation and dewatering method and apparatus |
KR101162533B1 (en) | 2010-07-14 | 2012-07-09 | 뉴엔텍(주) | Venturi Tube Having Mocro Bubble Generator and Sludge Treatment Equipment Using the Venturi Tube |
KR101237828B1 (en) | 2012-09-06 | 2013-02-27 | 한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Mechanical mixing and compression in the presence additives in the water content of sludge cake 40% level of dehydration |
KR20150053993A (en) | 2012-09-11 | 2015-05-19 | 니혼아루시 가부시키가이샤 | Sludge dehydr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hydration processing device |
KR20170116591A (en) | 2017-05-04 | 2017-10-19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sludge concentrating and dehydrating system in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and method of the same |
-
2019
- 2019-01-29 KR KR1020190011468A patent/KR10200521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11498A (en) | 1987-10-23 | 1989-04-28 | Kawasaki Steel Corp | Dehydration process of sewage sludge |
KR20010036813A (en) * | 1999-10-12 | 2001-05-07 | 양인모 | Sewage sludge dewatering process |
KR100413593B1 (en) | 2001-06-11 | 2003-12-31 | 금호산업주식회사 | System and Process for Ozone-Enhanced Reduction and Recycling of Wastewater Sludge |
JP2005510354A (en) * | 2001-11-29 | 2005-04-21 | コーポレイション バイオリックス | Methods for stabilizing and treating urban and industrial wastewater sludge |
JP2007136276A (en) * | 2005-11-15 | 2007-06-07 | Yaskawa Electric Corp | Sewage treatment system |
KR100793850B1 (en) | 2006-05-23 | 2008-01-11 | 대구광역시 환경시설공단 | Sewage sludge treatment method and dehydrated cake produced therefrom |
KR100891023B1 (en) | 2009-01-07 | 2009-03-31 | 인천환경공단 | Sewage sludge flocculation and dewatering method and apparatus |
KR101162533B1 (en) | 2010-07-14 | 2012-07-09 | 뉴엔텍(주) | Venturi Tube Having Mocro Bubble Generator and Sludge Treatment Equipment Using the Venturi Tube |
KR101237828B1 (en) | 2012-09-06 | 2013-02-27 | 한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Mechanical mixing and compression in the presence additives in the water content of sludge cake 40% level of dehydration |
KR20150053993A (en) | 2012-09-11 | 2015-05-19 | 니혼아루시 가부시키가이샤 | Sludge dehydr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hydration processing device |
KR20170116591A (en) | 2017-05-04 | 2017-10-19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sludge concentrating and dehydrating system in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and method of the s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9855B1 (en) * | 2006-11-22 | 2007-11-28 | 김옥순 | Extraction Method of Buckwheat Sprouts Using Ultrasound |
KR20230029292A (en) | 2021-08-24 | 2023-03-03 |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 Reduction of moisture content method for sludge cak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29315C (en) | Rapid non-equilibrium decompression of microorganism-containing waste streams | |
JP6909878B2 (en) | Organic matter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equipment | |
KR102005213B1 (en) | Sludge treatment method before dehydration | |
US20150096343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biodegradable waste flow treatment using a transport fluid nozzle | |
JP2020062640A (en) |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c sludge | |
KR101916120B1 (en) | Sludg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before dehydration | |
KR101352064B1 (en) | Wastewater sludge tre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natural resources reuse | |
JP725458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sludge | |
CN208218632U (en) | A kind of material filling type change air pressure reinforcing excess sludge ozone minimizing device | |
JP6670192B2 (en) | Organic sludge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apparatus | |
JP2008018378A (en) | Organic sludge treatment method and treatment equipment | |
JP4507712B2 (en) | Anaerobic digester for organic waste liquid | |
JP2019501020A (en) | Method for dewatering sludge with improved flocculant and plant implementing this method | |
WO2020157914A1 (en) | Sewage treatment device and sewage treatment method | |
JP2004344833A (en) | Ozone water treatment plant | |
JP6633943B2 (en) | Sludge treatment system and sludge treatment method | |
Mannina et al. | Advances in technologies for sewage sludge management | |
JP2004008892A (en) | Treatment method for organic waste fluid and treatment apparatus therefor | |
JP6164878B2 (en) | Organic wastewater treatment method | |
CN216614386U (en) | Sediment deep dewatering system | |
JP2000229298A (en) | Anaerobic waste water treating system | |
JP202412415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object to be treated | |
JP6164864B2 (en) | Organic wastewater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 |
JP2020049464A (en) | Sewage purification system and sludge solubilizing method | |
CN117142733A (en) |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excess sludge by combining ultrasonic waves and oz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12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80531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006244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4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4I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