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03992B1 -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 - Google Patents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992B1
KR102003992B1 KR1020170120501A KR20170120501A KR102003992B1 KR 102003992 B1 KR102003992 B1 KR 102003992B1 KR 1020170120501 A KR1020170120501 A KR 1020170120501A KR 20170120501 A KR20170120501 A KR 20170120501A KR 102003992 B1 KR102003992 B1 KR 102003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casing
present
airflow
bl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049A (ko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현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현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현기술
Priority to KR1020170120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99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9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means of rotor construction or layout, e.g. unequal distribution of blades or v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케이싱의 일측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더블석션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중앙 주판에 연장되게 돌출되며, 기류가 합류되는 곳에서 난류가 생성되지 않도록 회전식깃을 갖는 주판가이드깃; 및 상기 임펠러의 양 측판에 각각 연장되게 돌출되며, 임펠러에서 나오는 고속의 기류를 안정화시키고 정압으로 변화시키는 회전식깃을 갖는 측판안정깃;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원심식(Airfoil backward)과 Sirocco(Forward curved)의 케이싱이 있는 회전하는 임펠러 끝단에서 발생하는 기류의 충돌을 최소화하여 기류를 안정화시켜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며, 이로 인해 송풍기 모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blower module maximizing air flow stabilization and efficiency}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류 유도 가이드 깃에 의해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심식(Airfoil backward)과 Sirocco(Forward curved)의 케이싱이 있는 회전하는 임펠러 끝단에서 발생하는 기류의 충돌을 최소화하여 기류를 안정화시켜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며, 이로 인해 송풍기 모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송풍기(fan, 送風機)는, 유동을 일으키는 날개차(impeller)로, 날개차로 들어가고 나오는 유동을 안내하는 케이싱(casing)으로 이루어진다. 송풍기의 분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날개차를 통과하는 유동의 특성에 의한 분류이며, 그것은 축류형 송풍기(Axial-flow fan), 반경류형 송풍기(Radial-flow fan), 혼합류형 송풍기(Mixed-flow fan)로 나눈다.
공기의 유동이 날개차의 회전축과 평행 방향으로 발생하면 축류송풍기라고 하며, 이 경우에는 날개차 입구와 출구의 유동 방향이 모두 회전축과 일치한다. 프로펠러형 송풍기, 즉 보통의 가정용 선풍기가 여기에 속한다. 축류형 송풍기는 가해준 에너지가 주로 유체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데 사용되며, 따라서 유량은 많이 필요하나 압력은 그리 필요하지 않은 곳에 사용된다. 반경류형 송풍기는 원심력에 의한 압력 증가가 주된 목적이며 따라서 유량보다는 압력이 필요한 곳에 많이 사용된다.
원심형 송풍기는 보통 날개차 입구 유동은 회전축 방향이나 출구 유동은 회전축의 직각 방향이 되도록 나선형의 케이싱을 사용하는 경우와 날개차 입구 유동과 출구 유동이 둘 다 회전축 방향이 되도록 튜브형 케이싱을 사용하는 경우로 크게 구별된다.
혼합류형 송풍기는 날개차 내에서 축 방향과 반경 방향의 유동이 같이 존재하는 경우로 유량과 압력의 증가가 동시에 요구될 때 사용된다. 이외에 날개차의 회전에 의하지 않는 새로운 방식의 송풍기들이 특수 목적에 사용되기도 하는데,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모터가 필요없는 송풍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송풍기는 그 응용 대상과 작동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야 하는데, 공업적으로는 공기조화시스템, 각종 흡·배기시스템 등에 주로 사용된다. 그 크기도 컴퓨터용 냉각팬 등 소형으로부터 대형 공업용 송풍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종래 기술은 도 1(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의 끝단에서 발생하는 충돌 기류에 의해 난류가 발생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재 순환공기들의 충돌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아울러 특히 출구에서는 구조적으로 충돌현상을 최소화시키는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여러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6,935,835호(2005. 08. 30)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93685호(2015. 02. 10)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45209호(2016. 07. 28)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30610호(2015. 06. 16)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6584호(2002. 05. 14)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더블석셕(double suction) 송풍기 또는 싱글석셕(single suction) 송풍기에 케이싱과 고정식가이드깃 그리고 임팰러와 주판가이드깃 및 측판안정깃이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원심식(Airfoil backward)과 Sirocco(Forward curved)의 케이싱이 있는 회전하는 임펠러 끝단에서 발생하는 기류의 충돌을 최소화하여 기류를 안정화시켜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며, 제3목적은 임펠러의 끝단에 기류 유도 가이드 깃을 설치하여 케이싱이 있는 팬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고, 제4목적은 주판깃이 좌우 흡입구로부터 진입된 고속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충돌을 막아 난기류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측판깃이 케이싱 토출구와 가까이 위치하여 임펠러에서 나온 기류가 케이싱 내부로 재순환 되지 않고 토출구로 곧바로 송출하여 효율을 상승시키는 것이고, 제6목적은 임펠러에 의해서 발생한 동압을 가이드 깃을 통하여 기류의 안정으로 정압변환이 되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며, 제7목적은 재 순환공기들이 충돌하지 않도록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며, 제8목적은 출구에서 구조적으로 충돌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9목적은 풍량, 정압, 효율이 향상되고, 소음이 저하되는 이점이 있도록 한 것이며, 제10목적은 이로 인해 송풍기 모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싱의 일측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더블석션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중앙 주판에 연장되게 돌출되며, 기류가 합류되는 곳에서 난류가 생성되지 않도록 회전식깃을 갖는 주판가이드깃; 및 상기 임펠러의 양 측판에 각각 연장되게 돌출되며, 임펠러에서 나오는 고속의 기류를 안정화시키고 정압으로 변화시키는 회전식깃을 갖는 측판안정깃;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의 일측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더블석션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의 양 측판에 각각 연장되게 돌출되며, 임펠러에서 나오는 고속의 기류를 안정화시키고 정압으로 변화시키는 회전식깃을 갖는 측판안정깃;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의 일측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더블석션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의 중앙 주판에 연장되게 돌출되며, 기류가 합류되는 곳에서 난류가 생성되지 않도록 회전식깃을 갖는 주판가이드깃;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의 일측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더블석션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 및 상기 케이싱 내부 중앙 천장의 하단에 연장되게 돌출 설치되며, 기류가 합류되는 곳에서 난류가 생성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깃;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의 일측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더블석션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 및 상기 케이싱의 양 측면에 각각 조립 설치되며, 임펠러에서 나오는 고속의 기류를 안정화시키고 동압을 정압으로 변화시키는 고정식가이드깃;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의 일측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싱글석션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주판에 연장되게 돌출되며, 기류가 합류되는 곳에서 난류가 생성되지 않도록 회전식깃을 갖는 주판가이드깃; 및 상기 임펠러의 측판에 연장되게 돌출되며, 임펠러에서 나오는 고속의 기류를 안정화시키고 정압으로 변화시키는 회전식깃을 갖는 측판안정깃;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의 일측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싱글석션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의 측판에 연장되게 돌출되며, 임펠러에서 나오는 고속의 기류를 안정화시키고 정압으로 변화시키는 회전식깃을 갖는 측판안정깃;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의 일측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싱글석션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의 주판에 연장되게 돌출되며, 기류가 합류되는 곳에서 난류가 생성되지 않도록 회전식깃을 갖는 주판가이드깃;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의 일측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싱글석션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 및 상기 케이싱에 조립 설치되며, 임펠러에서 나오는 고속의 기류를 안정화시키고 동압을 정압으로 변화시키는 고정식가이드깃;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더블석셕(double suction) 송풍기 또는 싱글석셕(single suction) 송풍기에 케이싱과 고정식가이드깃 그리고 임팰러와 주판가이드깃 및 측판안정깃이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원심식(Airfoil backward)과 Sirocco(Forward curved)의 케이싱이 있는 회전하는 임펠러 끝단에서 발생하는 기류의 충돌을 최소화하여 기류를 안정화시켜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임펠러의 끝단에 기류 유도 가이드 깃을 설치하여 케이싱이 있는 팬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주판깃이 좌우 흡입구로부터 진입된 고속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충돌을 막아 난기류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측판깃이 케이싱 토출구와 가까이 위치하여 임펠러에서 나온 기류가 케이싱 내부로 재순환 되지 않고 토출구로 곧바로 송출하여 효율을 상승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임펠러에 의해서 발생한 동압을 가이드 깃을 통하여 기류의 안정으로 정압변환이 되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재 순환공기들이 충돌하지 않도록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출구에서 구조적으로 충돌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풍량, 정압, 효율이 향상되고, 소음이 저하되는 이점이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송풍기 모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의 (a)는 종래 송풍기 구조의 더블석션 타입 구조도이고,
(b)는 종래 송풍기 구조의 싱글석션 타입 구조도이다.
도 2 의 (a)는 본 발명 더블석션 송풍기 타입의 제1실시예 구성도이고,
(b)는 제1실시예 임펠러 사시도이다.
도 3 의 (a)는 본 발명 더블석션 송풍기 타입의 제2실시예 구성도이고,
(b)는 제2실시예 임펠러 사시도이다.
도 4 의 (a)는 본 발명 더블석션 송풍기 타입의 제3실시예 구성도이고,
(b)는 제3실시예 임펠러 사시도이다.
도 5 의 (a)는 본 발명 더블석션 송풍기 타입의 제4실시예 구성도이고,
(b)는 제4실시예 케이싱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 더블석션 송풍기 타입의 제5실시예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 싱글석션 송풍기 타입의 제1실시예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 싱글석션 송풍기 타입의 제2실시예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 싱글석션 송풍기 타입의 제3실시예 구성도.
도 10 은 본 발명 싱글석션 송풍기 타입의 4실시예 구성도.
본 발명에 적용된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은 도 2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더블석셕(double suction) 송풍기(100)와 싱글석셕(single suction) 송풍기(100a)를 제공하는 것으로, 먼저 더블석셕(double suction) 송풍기(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케이싱(110)의 일측에 흡입구(130)와 토출구(140)가 형성된 더블석션 송풍기(100)에 있어서 이하의 기술적 구성이 구비된다.
즉, 도 2(a)(b)의 제1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2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임펠러(120)의 중앙 주판에 연장되게 돌출되며, 흡입구로부터 진입된 고속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충돌을 막고, 기류가 합류되는 곳에서 난류가 생성되지 않도록 회전식깃을 갖는 주판가이드깃(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임펠러(120)의 양 측판에 각각 연장되게 돌출되며, 임펠러(120)에서 나오는 고속의 기류를 안정화시키고 정압으로 변화시키며, 케이싱의 토출구와 가까이 위치하여 임펠러에서 나온 기류가 케이싱 내부로 재순환 되지 않고 토출구로 곧바로 송출하여 효율을 상승시키는 회전식깃을 갖는 측판안정깃(122)이 포함된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 도 3(a)(b)의 제2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케이싱(110)의 일측에 흡입구(130)와 토출구(140)가 형성된 더블석션 송풍기(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2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임펠러(120)의 양 측판에 각각 연장되게 돌출되며, 임펠러(120)에서 나오는 고속의 기류를 안정화시키고 정압으로 변화시키는 회전식깃을 갖는 측판안정깃(122)이 포함된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 도 4(a)(b)의 제3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케이싱(110)의 일측에 흡입구(130)와 토출구(140)가 형성된 더블석션 송풍기(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2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임펠러(120)의 중앙 주판에 연장되게 돌출되며, 흡입구로부터 진입된 고속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충돌을 막고, 기류가 합류되는 곳에서 난류가 생성되지 않도록 회전식깃을 갖는 주판가이드깃(121)이 포함된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 도 5(a)(b)의 제4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케이싱(110)의 일측에 흡입구(130)와 토출구(140)가 형성된 더블석션 송풍기(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2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싱(110) 내부 중앙 천장의 하단에 연장되게 돌출 설치되며, 기류가 합류되는 곳에서 난류가 생성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깃(111)이 포함된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 도 6의 제5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케이싱(110)의 일측에 흡입구(130)와 토출구(140)가 형성된 더블석션 송풍기(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2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싱(110)의 양 측면에 각각 조립 설치되며, 임펠러(120)에서 나오는 고속의 기류를 안정화시키고 동압을 정압으로 변화시키는 고정식가이드깃(115)이 포함된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식가이드깃(115)은 기류가 합류되는 곳에서 난류가 생성되지 않도록 "
Figure 112018117347523-pat00018
"와 같은 형상으로 가이드깃이 형성되어 임펠러에서 발생한 동압을 상기 고정식가이드깃(115)을 통하여 기류의 안정으로 정압 변환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된 싱글석셕(single suction) 송풍기(100a)를 설명한다.
본 발명 도 7 의 제1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케이싱(110)의 일측에 흡입구(130)와 토출구(140)가 형성된 싱글석션 송풍기(100a)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2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임펠러(120)의 주판에 연장되게 돌출되며, 주판과 측판 사이에서 생성된 기류가 합류되는 곳에서 난류가 생성되지 않도록 회전식깃을 갖는 주판가이드깃(121)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임펠러(120)의 측판에 연장되게 돌출되며, 임펠러(120)에서 나오는 고속의 기류를 안정화시키고 정압으로 변화시키는 회전식깃을 갖는 측판안정깃(122)이 포함된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 도 8 의 제2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케이싱(110)의 일측에 흡입구(130)와 토출구(140)가 형성된 싱글석션 송풍기(100a)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2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임펠러(120)의 측판에 연장되게 돌출되며, 임펠러(120)에서 나오는 고속의 기류를 안정화시키고 정압으로 변화시키는 회전식깃을 갖는 측판안정깃(122)이 포함된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 도 9 의 제3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케이싱(110)의 일측에 흡입구(130)와 토출구(140)가 형성된 싱글석션 송풍기(100a)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2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임펠러(120)의 주판에 연장되게 돌출되며, 기류가 합류되는 곳에서 난류가 생성되지 않도록 회전식깃을 갖는 주판가이드깃(121)이 포함된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 도 10 의 제4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케이싱(110)의 일측에 흡입구(130)와 토출구(140)가 형성된 싱글석션 송풍기(100a)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2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싱(110)에 조립 설치되며, 임펠러(120)에서 나오는 고속의 기류를 안정화시키고 동압을 정압으로 변화시키는 고정식가이드깃(115)이 포함된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식가이드깃(115)은 기류가 합류되는 곳에서 난류가 생성되지 않도록 "
Figure 112018117347523-pat00019
"형상으로 가이드깃이 형성되어 임펠러에서 발생한 동압을 상기 고정식가이드깃을 통하여 기류의 안정으로 정압 변환이 되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임펠러(120)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깃(121)(122)(의 길이는 기류를 유도하기 위해 임펠러 직경(지름)×1.1 이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원심식(Airfoil backward)과 Sirocco(Forward curved)의 케이싱이 있는 회전하는 임펠러 끝단에서 발생하는 기류의 충돌을 최소화하여 기류를 안정화시켜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더블석셕(double suction) 송풍기(100)와 싱글석셕(single suction) 송풍기(100a)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임펠러(120)의 끝단에 기류 유도 가이드 깃을 설치하여 케이싱이 있는 팬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주판깃이 더블석션 송풍기의 좌우 흡입구(130) 또는 싱글석션 송풍기의 일측 흡입구로부터 진입된 고속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충돌을 막아 난기류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측판깃이 케이싱(110)의 토출구(140)와 가까이 위치하여 임펠러(120)에서 나온 기류가 케이싱(120) 내부로 재순환 되지 않고 토출구(140)로 곧바로 송출하여 효율을 상승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임펠러(120)에 의해서 발생한 동압을 가이드 깃을 통하여 기류의 안정으로 정압변환이 되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재 순환공기들이 충돌하지 않도록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출구에서 구조적으로 충돌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풍량, 정압, 효율이 향상되고, 소음이 저하되는 이점이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을 실험한 결과 본 발명은,
풍량: 기존의 대비 동일 압력기준 21% 상승
정압: 기존의 성능 대비 동일 풍량기분 11% 상승
효율: 기존의 팬 대비 사용 운전점에서 10% 상승
성능곡선이 가파른 형상으로 만들어 시스템 정압 변동 대비 풍량 변화를 최소화시켰다.
아래 표 1, 2 는 실험 결과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7091272227-pat00001
Figure 112017091272227-pat00002
본 발명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더블석셕(double suction) 송풍기
100a: 싱글석셕(single suction) 송풍기
110: 케이싱
115: 고정식가이드깃
120: 임팰러
121: 주판가이드깃
122: 측판안정깃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케이싱의 일측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송풍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 및
    상기 케이싱의 양 측면에 각각 조립 설치되며, 임펠러에서 나오는 고속의 기류를 안정화시키고 동압을 정압으로 변화시키는 고정식가이드깃;이 포함되되,
    상기 고정식가이드깃은 기류가 합류되는 곳에서 난류가 생성되지 않도록 "
    Figure 112019045897995-pat00020
    "형상으로 가이드깃이 형성되어 임펠러에서 발생한 동압을 상기 고정식가이드깃을 통하여 기류의 안정으로 정압 변환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케이싱의 일측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송풍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 및
    상기 케이싱에 조립 설치되며, 임펠러에서 나오는 고속의 기류를 안정화시키고 동압을 정압으로 변화시키는 고정식가이드깃;이 포함되되,
    상기 고정식가이드깃은 기류가 합류되는 곳에서 난류가 생성되지 않도록 "
    Figure 112019045897995-pat00021
    "형상으로 가이드깃이 형성되어 임펠러에서 발생한 동압을 상기 고정식가이드깃을 통하여 기류의 안정으로 정압 변환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
  10. 삭제
KR1020170120501A 2017-09-19 2017-09-19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 Active KR102003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501A KR102003992B1 (ko) 2017-09-19 2017-09-19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501A KR102003992B1 (ko) 2017-09-19 2017-09-19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049A KR20190032049A (ko) 2019-03-27
KR102003992B1 true KR102003992B1 (ko) 2019-07-25

Family

ID=65906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501A Active KR102003992B1 (ko) 2017-09-19 2017-09-19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9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874B1 (ko) * 2019-05-08 2020-09-03 주식회사 정아마린 공기 부양정의 부양용 송풍장치
KR102046750B1 (ko) * 2019-05-28 2019-11-19 (주)에이피 고효율 저소음형 임펠러 및 그것을 구비한 팬코일유니트
CN110566513B (zh) * 2019-09-24 2025-02-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导风装置及空气净化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9336A (ja) * 2003-03-04 2006-08-24 ツィーエル−アーベグ・アーゲー ラジアル・ファン・ホイール、ファン・ユニット、およびラジアル・ファン装置
US20150337855A1 (en) * 2014-05-20 2015-11-26 Ajung Tech Co., Ltd. Installation structure for drive motor of double suction blow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200U (ko) * 1997-11-13 1999-06-05 배길훈 자동차용 블로워팬내의 와류방지장치
KR100276584B1 (ko) 1998-12-18 2000-12-15 김무 테이프 비지에이 기판용 캐리어 프레임 및 그의 제작방법
ITVI20020145A1 (it) 2002-07-02 2004-01-02 Comefri Spa Ripartitore antirumore e antivortice
KR20100104870A (ko) * 2009-03-19 2010-09-29 에이스냉동공조 주식회사 송풍기 및 이러한 송풍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1530610B1 (ko) 2013-04-22 2015-06-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후향전곡깃 형태의 원심임펠러
KR101493685B1 (ko) 2013-08-19 2015-02-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후향전곡 비틀림깃형 혼류 임펠러의 구조
KR101645209B1 (ko) 2014-10-14 2016-08-0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뒤쪽굽움 에어포일 흡입면 형상의 비틀림깃 원심임펠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9336A (ja) * 2003-03-04 2006-08-24 ツィーエル−アーベグ・アーゲー ラジアル・ファン・ホイール、ファン・ユニット、およびラジアル・ファン装置
US20150337855A1 (en) * 2014-05-20 2015-11-26 Ajung Tech Co., Ltd. Installation structure for drive motor of double suction bl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049A (ko)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8997B1 (ko) 이중 반전 팬
US10731881B2 (en) Fan coil unit with shrouded fan
US11401939B2 (en) Axial fan configurations
JP2003532026A (ja) 通風機、特に電子機器を換気するための通風機
US10052931B2 (en) Outdoor cooling unit in vehicle air-conditioning apparatus
EP0772007A2 (en) Jet fan
KR102003992B1 (ko) 기류 안정화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송풍기 모듈
US20220106966A1 (en) Diagonal fan with outlet guide vane device
CN104454572B (zh) 单吸入式离心风机
CN102066772A (zh) 离心式送风机和汽车用座椅
JP2010124534A (ja) 電動機用斜流ファンと該斜流ファンを備えた電動機
CN103486081B (zh) 轴流风叶、风机及空调器室外机
JP2017180094A (ja) 送風ファ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送風ユニット
JP2004218450A (ja) 遠心式送風機
JP2002106494A (ja) 軸流ファン
JP2701604B2 (ja) 空気調和装置
JP2016160905A (ja) 遠心ファン
JP2019113037A (ja) 多翼遠心ファン
JPH0593523A (ja) 空気調和装置
CN107044441B (zh) 吸尘器叶轮
JP4423921B2 (ja) 遠心送風機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US12078187B2 (en) Impeller, fan,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JP2002285996A (ja) 多翼送風ファン
JP6685433B2 (ja) 送風機及び空気調和装置
JP6771589B2 (ja) 遠心送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421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5042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