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01934B1 -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934B1
KR102001934B1 KR1020170078008A KR20170078008A KR102001934B1 KR 102001934 B1 KR102001934 B1 KR 102001934B1 KR 1020170078008 A KR1020170078008 A KR 1020170078008A KR 20170078008 A KR20170078008 A KR 20170078008A KR 102001934 B1 KR102001934 B1 KR 102001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mmunication
power source
power
communication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7995A (ko
Inventor
선호동
백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8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934B1/ko
Priority to US15/919,531 priority patent/US11063466B2/en
Publication of KR20180137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9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5Cost re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1Invert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4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the electric parameters, e.g. current or voltage
    • H02M2001/003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제1 전원부; 일측이 상기 제1 전원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통신선에 연결되는 제1 통신부;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통신선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제어부; 일측이 상기 통신선에 연결되고 타측이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제2 통신부; 상기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제2 전원부; 상기 통신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부와 연결되어 전압을 생성하는 해제전압 생성부; 및 상기 제2 통신부 및 상기 해제전압 생성부와 연결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Power supplying apparatus having power saving function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설치되는 압축기는 모터를 구동원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모터에는 전력 변환 장치로부터 교류 전력이 공급된다.
이와 같은 전력 변환 장치는 주로, 정류부, 역률 제어부 및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우선, 상용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의 상용 전압은, 정류부에 의하여 정류된다. 이러한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압은 인버터에 공급된다. 이때, 인버터에서는 정류부에서 출력된 전압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교류 전력을 생성한다.
한편, 공기 조화기는 이와 같은 전력 변환 장치 외에 제어부(마이컴) 및 기타 각 부분에 전력을 공급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여, 주로 실내기에서 이루어지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 제어에 따라 실외기가 제어될 수 있다.
실내기에서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멈추거나 또는 사용자가 리모컨을 이용하여 작동을 중지시킨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대기 전력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즉, 대기 전력 상태에서는 실외기에 공급되는 전력 중 일부분을 차단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와 같은 대기 전력 저감을 위하여 릴레이를 이용한 회로를 구성하거나 추가 제어 라인을 이용하여 실외기 전원을 오프(off) 시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추가 구성 및 제어 라인을 최소화하면서 대기 전력 상태에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대기 전력 상태에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내기에서 통신선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추가 회로를 이용하여 대기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1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제1 전원부; 일측이 상기 제1 전원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통신선에 연결되는 제1 통신부;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통신선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제어부; 일측이 상기 통신선에 연결되고 타측이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제2 통신부; 상기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제2 전원부; 상기 통신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부와 연결되어 전압을 생성하는 해제전압 생성부; 및 상기 제2 통신부 및 상기 해제전압 생성부와 연결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제전압 생성부는, 상기 제2 전원부와 연결되는 펄스 트랜스; 및 상기 펄스 트랜스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하여 구동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펄스 트랜스는, 1차 측이 상기 제2 전원부와 연결되고 2차 측이 상기 통신선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펄스 트랜스의 1차 측과 상기 제2 전원부의 접지 측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대기 전력 상태에서 해제 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해제전압 생성부의 트랜지스터에 펄스 신호를 인가하여 해제 신호를 상기 제1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제전압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변환부와 상기 교류 전원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2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전원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3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통신선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실내기 및 실외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기는,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제1 전원부; 일측이 상기 제1 전원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통신선에 연결되는 제1 통신부;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통신선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일측이 상기 통신선에 연결되고 타측이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제2 통신부; 상기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제2 전원부; 상기 통신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부와 연결되어 전압을 생성하는 해제전압 생성부; 및 상기 제2 통신부 및 상기 해제전압 생성부와 연결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제전압 생성부는, 상기 제2 전원부와 연결되는 펄스 트랜스; 및 상기 펄스 트랜스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하여 구동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펄스 트랜스는, 1차 측이 상기 제2 전원부와 연결되고 2차 측이 상기 통신선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대기 전력 상태에서 해제 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해제전압 생성부의 트랜지스터에 펄스 신호를 인가하여 해제 신호를 상기 제1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먼저, 대기 전력 기능에 의하여 대기 전력 상태에서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대기 전력 상태에서 해제되는 동작은 해제전압 생성부의 동작 및 연결부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해제전압 생성부를 이루는 펄스 트랜스 및 연결부를 이루는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여 저비용으로 대기 전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은 부품 구성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대기 전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 회로에서 대기 전력 상태에서 정상 운전 상태로 전환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회도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 회로에서 정상 운전 상태의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회도로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 회로에서 대기 전력 상태로 전환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회도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제1, 제2 등의 용어가 여러 가지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은 이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로 나누어질 수 있고, 이러한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는 통신선(C)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는 각각 제1 통신부(120) 및 제2 통신부(210)를 포함하여, 이러한 제1 통신부(120) 및 제2 통신부(210)에 의하여 제1 장치(100)와 제2 장치(200) 사이에 통신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제1 제어부(140) 및 제2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통신 과정에 의하여 제1 장치(100)가 대기 전력 상태로 진입하여 전체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제1 장치(100) 및 제2 장치(200)는 공기 조화기를 구성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제1 장치(100) 및 제2 장치(200)는 각각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실내기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장치(100)와 실외기(100), 제2 장치(200)와 실내기(200) 및 관련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 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100)와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외기(100)와 실내기(200)는 통신선(C)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실외기(100)는 크게, 외부의 교류 전원(T/N)에 연결되어 실외기(100)의 각 부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110; SMPS부), 일측이 제1 전원부(110)에 연결되고 타측이 통신선(C)에 연결되는 제1 통신부(120), 이 제1 통신부(120) 및 통신선(C)에 연결되는 연결부(130), 이러한 제1 통신부(120) 및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제어부(140; MICOM)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20)는 제1 전원부(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120)는 제1 제어부(140)로부터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부(140)로부터 제1 통신부(120)로 전송되는 신호를 전송신호(Tx)라 하고 제1 제어부(140)에서 제1 통신부(12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수신신호(Rx)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통신부(120)는 일측이 제1 전원부(110)에 연결되고 타측이 통신선(C)에 연결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결부(130)의 일측은 제1 통신부(120) 및 통신선(C)에 연결되고, 타측은 접지선(N)에 연결된다.
또한, 연결부(130)는 제1 제어부(140)에 의하여 제어되는 포토 커플러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연결부(130)의 트랜지스터 측이 제1 제어부(140)와 연결되고 포토 다이오드 측은 제1 통신부(120) 및 통신선(C)과 연결될 수 있다.
대기 전력 상태 진입 시에, 제1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하여 제1 전원부(110)는 내부에 포함된 레귤레이터를 오프(off) 시킴으로써 제1 제어부(140) 이외의 부분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실내기(200)는 실외기(100)의 제1 통신부(120)와 통신선(C)을 통하여 통신하는 제2 통신부(210), 교류 전원(T/N)과 연결되어 제2 통신부(210) 및 실내기(200)의 각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220), 통신선(C)과 연결되고 제2 전원부(220)와 연결되어 전압을 생성하는 해제전압 생성부(230) 및 제2 통신부(210)에 제어 신호(일례로, Tx)를 전달하고 해제전압 생성부(230)와 연결되는 제2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제어부(240)는 교류 전원(T/N)에 연결되는 제2 전원부(2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실외기(100)와 실내기(200)는 모두 교류 전원(10)에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2 통신부(210)는 제2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하여 통신선(C)을 통하여 제1 통신부(120)와 통신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때, 실외기(100)와 마찬가지로, 제2 제어부(240)로부터 제2 통신부(210)로 전송되는 신호를 전송신호(Tx)라 하고 제2 제어부(240)에서 제2 통신부(21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수신신호(Rx)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통신부(210)는 일측이 통신선(C)과 연결되고 타측이 교류 전원(T/N)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부(210)의 타측은 저항(1 Kohm)을 통과하여 접지선(N)에 연결될 수 있다.
해제전압 생성부(230)는, 제2 전원부(220)와 연결되는 펄스 트랜스(231) 및 이 펄스 트랜스(231)의 일측과 연결되며 제2 제어부(240)에 의하여 구동되는 트랜지스터(Q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펄스 트랜스(231)는, 1차 측이 제2 전원부(220)와 연결되고 2차 측이 통신선(C)과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펄스 트랜스(231)의 1차 측은 제2 전원부(220)와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접지선(N)과 연결되는데, 이 접지선(N)은 제2 전원부(220)와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은 제2 제어부(240)와 연결되어, 제2 제어부(240)에서 하이(high) 신호를 인가하면 트랜지스터(Q1)는 턴 온(turn on) 되어 제2 전원부(220)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펄스 트랜스(231)의 2차 측으로 전원이 유도되어 통신선(C) 측으로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자세히 후술한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펄스 트랜스(231)의 2차 측은 통신선(C) 및 접지선(N)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연결 상태에서, 대기 전력 상태에서 해제 시, 제2 제어부(240)는, 해제전압 생성부(230)의 트랜지스터(Q1)에 펄스 신호를 인가하여 해제 신호를 통신선(C)을 통하여 제1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해제전압 생성부(23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위에서 설명한 연결부(130)를 통하여 제1 제어부(14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선(C)은 제1 통신부(120)와 제2 통신부(210)를 연결함과 동시에, 해제전압 생성부(230)의 펄스 트랜스(231)에 연결될 수 있다. 이 해제전압 생성부(230)에 연결된 통신선(C)은 펄스 트랜스(231)의 2차 측을 통과하여 교류 전원의 접지선(N)에 연결될 수 있다.
대기 전력 상태 진입 시에 제1 제어부(140)에서 제1 통신부(120), 통신선(C) 및 제2 통신부(210)를 통하여 제2 제어부(240)로 대기전력 상태 진입을 알릴 수 있다.
여기서, 대기 전력 상태 진입 시, 제1 제어부(140)는 제1 전원부(110)는 내부에 포함된 레귤레이터를 오프(off) 시킴으로써 제1 제어부(140) 이외의 부분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실외기(100) 측에는 모터(300)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변환부(150)와 교류 전원(T/N)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릴레이(1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이 릴레이(160)는 제1 제어부(140)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공기 조화기의 정상적인 작동 시에는 릴레이(160)가 연결되어 전력변환부(150)가 동작하여 모터(300)가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대기 전력 상태 진입 시에는 릴레이(160)가 해제되어 전력변환부(150)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통신부(120) 및 제2 통신부(21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결합된 두 포토 커플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통 제1 제어부(140) 또는 제2 제어부(240)에서 신호가 전송되는 부분(Tx)에 포토 다이오드가 위치하고, 그 반대 측에 트랜지스터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 회로에서 대기 전력 상태에서 정상 운전 상태로 전환시의 동작을 나타낸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기 전력 상태 진입 시에 제1 제어부(140)에서 제1 통신부(120), 통신선(C) 및 제2 통신부(210)를 통하여 제2 제어부(240)로 대기전력 상태 진입을 알릴 수 있다.
여기서, 대기 전력 상태 진입 시, 제1 제어부(140)는 제1 전원부(110)는 내부에 포함된 레귤레이터를 오프(off) 시킴으로써 제1 제어부(140) 이외의 부분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공기 조화기의 스위치를 켜거나 리모컨을 조작하여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시작하는 경우, 도 2에서 화살표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교류 전원(T/N)이 제2 전원부(220)에 공급되어 실내기(200)의 제2 전원부(220)가 동작을 시작한다.
이에 따라, 실내기(200)의 제2 제어부(240)가 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 화살표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교류 전원(T/N)은 실외기(100) 측의 제1 전원부(110)와 연결되어 제1 전원부(110)에도 전력이 공급된다. 이때, 제1 제어부(140)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제1 제어부(140)는 대기 전력 상태에서 깨어나게 된다. 그러나 제1 전원부(110)의 레귤레이터는 오프(off)되어 있어서 나머지 부하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이다.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실외기(100)에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실내기(200)의 제2 제어부(240)가 대기 전력 상태에서 깨어나 동작을 시작하면, 실내기(200)의 제2 제어부(240)에서 해제전압 생성부(230)에 펄스(pulse) 파형을 인가한다(D).
부연하면, 제2 제어부(240)에서 해제전압 생성부(230)에 인가되는 펄스(pulse) 파형(D)은 해제전압 생성부(230)의 트랜지스터(Q1)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펄스(pulse) 파형(D)이 해제전압 생성부(230)의 트랜지스터(Q1)에 인가되면 하이(high) 신호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에 인가될 때 펄스 트랜스(231)가 제2 전원부(220)와 연결된다.
그러면, 펄스 트랜스(231)의 2차 단에 전압이 유도되어, 화살표 E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펄스 트랜스(231)의 2차 단, 접지선(N), 연결부(130) 및 통신선(C) 그리고 다시 펄스 트랜스(231)로 연결되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즉, 펄스 트랜스(231)를 통하여 통신선(C)에 전원이 인가되고, 이러한 전원은 연결부(130)를 통과하여 흐르게 된다.
따라서, 연결부(130)의 작동에 의하여, 펄스 파형(D)은 실외기(100)의 제1 제어부(140)로 전달된다(F). 이로 인하여 제1 제어부(140)를 통한 대기 전력 상태에서 깨어나는 동작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펄스 파형(D)이 전달된 제1 제어부(140)는 제1 전원부(110)를 동작시켜, 예를 들어, 제1 전원부(110)의 레귤레이터가 동작을 시작하게 되고, 이와 같이, 제1 전원부(110)에 의하여 실외기(100)는 전력을 공급받아서 전체 실외기(100)가 동작을 시작한다.
그러면,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제어부(140)는 릴레이(160)를 온(ON) 상태로 동작시킨다(G). 따라서, 전력변환부(150)는 교류 전원(T/N)과 연결되어 동작을 시작하여 모터(300)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 회로에서 정상 운전 상태의 회로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외기(100)는 통신선(C)을 통하여 실내기(200)와 통신한다. 예를 들면, 통신선(C)을 통하여 제1 통신부(120)와 제2 통신부(210)가 연결된 상태이고, 제2 통신부(210)는 통신선(C)을 통하여 제1 통신부(120)와 연결되고, 제1 통신부(120)는 제1 전원부(110)의 출력(72V)과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제어부(140) 및 제2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하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화살표 H로 표시된 전류의 흐름에 의하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서는 실외기(100)에서 실내기(200)로 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즉, 실외기(100)가 마스터(master) 상태가 되고 실내기(200)가 슬레이브(slave) 상태가 되어 통신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40)에서 제1 통신부(120)에 신호를 전달하여 제1 통신부(120)가 동작하고, 제1 전원부(110)로부터 제1 통신부(120)를 통하여 통신선(C)으로 신호가 전송된다.
그러면 통신선(C)을 통하여 신호가 제2 통신부(210)로 전달되고, 화살표 G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 제2 통신부(210)에서 제2 제어부(240)로 신호가 전달된다.
한편, 반대로 실내기(200)에서 실외기(100)로 신호가 전송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번갈아 일어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 회로에서 대기 전력 상태로 전환시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대기전력 상태로 전환시,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작동을 정지시키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실외기(100)의 제1 제어부(140)에서 실내기(200)의 제2 제어부(240)로 대기 전력 상태로 전환됨을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정상 운전 상태의 통신 동작과 같이, 제1 제어부(140)에서 제1 통신부(120)에 신호를 전달하여 제1 통신부(120)가 동작하고, 제1 전원부(110)로부터 제1 통신부(120)를 통하여 통신선(C)으로 신호가 전송된다.
그러면 통신선(C)을 통하여 신호가 제2 통신부(210)로 전달되고, 화살표 G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 제2 통신부(210)에서 제2 제어부(240)로 신호가 전달된다.
이와 같은 과정(화살표 I로 표시된)에 의하여 실외기(100)에서 실내기(200)로 대기 전력 상태로의 진입을 알려줄 수 있다.
이후,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외기(100)의 제1 제어부(140)는 릴레이(160)를 제어하여 전력변환부(15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J).
다음, 제1 제어부(140)는 제1 전원부(110)의 레귤레이터 동작을 모두 오프(off) 시킨다.
이와 같은 대기 전력 기능에 의하여 대기 전력 상태에서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대기 전력 상태에서 해제되는 동작은 해제전압 생성부(230)의 동작 및 연결부(13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해제전압 생성부(230)를 이루는 펄스 트랜스(231) 및 연결부(130)를 이루는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여 저비용으로 대기 전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은 부품 구성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대기 전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실외기 110: 제1 전원부
120: 제1 통신부 130: 연결부
140: 제1 제어부 150: 전력 변환부
160: 릴레이 200: 실내기
210: 제2 통신부 220: 제2 전원부
230: 해제전압 생성부 231: 펄스 트랜스
240: 제2 제어부 300: 모터

Claims (12)

  1.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제1 전원부;
    일측이 상기 제1 전원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통신선에 연결되는 제1 통신부;
    일측이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통신선에 연결되고 타측이 접지선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제어부;
    일측이 상기 통신선에 연결되고 타측이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제2 통신부;
    상기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제2 전원부;
    상기 통신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부와 연결되어 전압을 생성하는 해제전압 생성부; 및
    상기 제2 통신부 및 상기 해제전압 생성부와 연결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해제전압 생성부는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하여 구동되는 트랜지스터 및 1차 측이 상기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전원부와 연결되고 2차 측이 상기 통신선과 연결되는 펄스 트랜스를 포함하고,
    대기 전력 상태에서 해제 시, 상기 펄스 트랜스의 2차 단, 상기 접지선,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통신선 그리고 다시 상기 펄스 트랜스로 연결되는 전류가 흐르고,
    상기 해제전압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제어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펄스 트랜스의 1차 측과 상기 제2 전원부의 접지 측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대기 전력 상태에서 해제 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해제전압 생성부의 트랜지스터에 펄스 신호를 인가하여 해제 신호를 상기 제1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변환부와 상기 교류 전원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8. 삭제
  9. 통신선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실내기 및 실외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기는,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제1 전원부;
    일측이 상기 제1 전원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통신선에 연결되는 제1 통신부;
    일측이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통신선에 연결되고 타측이 접지선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일측이 상기 통신선에 연결되고 타측이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제2 통신부;
    상기 교류 전원에 연결되는 제2 전원부;
    상기 통신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원부와 연결되어 전압을 생성하는 해제전압 생성부; 및
    상기 제2 통신부 및 상기 해제전압 생성부와 연결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해제전압 생성부는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하여 구동되는 트랜지스터 및 1차 측이 상기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전원부와 연결되고 2차 측이 상기 통신선과 연결되는 펄스 트랜스를 포함하고,
    대기 전력 상태에서 해제 시, 상기 펄스 트랜스의 2차 단, 상기 접지선,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통신선 그리고 다시 상기 펄스 트랜스로 연결되는 전류가 흐르고,
    상기 해제전압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제어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대기 전력 상태에서 해제 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해제전압 생성부의 트랜지스터에 펄스 신호를 인가하여 해제 신호를 상기 제1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170078008A 2017-06-20 2017-06-20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Active KR102001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008A KR102001934B1 (ko) 2017-06-20 2017-06-20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US15/919,531 US11063466B2 (en) 2017-06-20 2018-03-13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power saving function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008A KR102001934B1 (ko) 2017-06-20 2017-06-20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995A KR20180137995A (ko) 2018-12-28
KR102001934B1 true KR102001934B1 (ko) 2019-07-19

Family

ID=6465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008A Active KR102001934B1 (ko) 2017-06-20 2017-06-20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063466B2 (ko)
KR (1) KR1020019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8370A (ja) * 2004-03-26 2005-10-06 Hitachi Via Mechanics Ltd トランジスタ制御方法および制御回路
JP2017055481A (ja) 2015-09-07 2017-03-16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直流電源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5673A (ja) * 1991-05-31 1992-12-09 Toshiba Corp 冷凍機の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
JP2005257239A (ja) * 2004-03-15 2005-09-22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及び制御方法
KR20080035173A (ko) * 2006-10-18 2008-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8629714B2 (en) * 2009-06-25 2014-01-14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Wake-up circuits, devices and methods for galvanic isolators
WO2011065002A1 (ja) * 2009-11-25 2011-06-03 ローム株式会社 電源アダプタ、dc/dcコンバータの制御回路および機器側コネクタ、dc/dcコンバータ、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KR101711837B1 (ko) * 2010-06-21 2017-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1964714B (zh) * 2010-10-28 2013-01-30 南京大学 唤醒远端设备的方法和系统
KR101858938B1 (ko) * 2011-09-19 2018-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US8987946B2 (en) * 2011-12-28 2015-03-24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er
JP5472333B2 (ja) * 2012-01-26 2014-04-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4132420B (zh) * 2013-05-02 2017-04-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低功耗待机电路装置和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GB201421055D0 (en) * 2014-11-27 2015-01-14 Dialog Semiconductor Inc Isolated switching power converter with data communica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ides
AU2017243865A1 (en) * 2016-03-29 2018-11-01 Xped Holdings Pt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 network and device discovery
KR101951675B1 (ko) * 2017-03-28 2019-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공기 조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8370A (ja) * 2004-03-26 2005-10-06 Hitachi Via Mechanics Ltd トランジスタ制御方法および制御回路
JP2017055481A (ja) 2015-09-07 2017-03-16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直流電源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66975A1 (en) 2018-12-20
US11063466B2 (en) 2021-07-13
KR20180137995A (ko)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443B1 (ko) 저전력소모 대기 회로장치, 에어컨 및 에어컨의 제어방법
KR100378813B1 (ko) 전기 기기의 대기 전력 절감 회로
EP2455676A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1951675B1 (ko)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공기 조화기
JP3730808B2 (ja) 空気調和機
WO2007063788A1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その起動方法
MXPA99010360A (es) Circuito y metodo de ahorro de energia de monitor.
CN107300245B (zh) 空调控制器和通讯隔离方法
US6424549B1 (en) Low consumption converter directly connectable to the mains
KR102001934B1 (ko)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1911273B1 (ko)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23457B1 (ko)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JP2004343708A (ja) マイクロプロセッサと減磁回路と通常モード及び低電力モードを有するスイッチモード電源とを包含する装置及び表示ユニット
KR101915992B1 (ko)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CN210840127U (zh) 可选择调光式内置分能的应急输出电路及应急装置
JP2012222991A (ja) 電源回路
WO2017126047A1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JP2012241915A (ja) 多室型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102536962B1 (ko) 주제어 및 인버터 제어를 일체화한 창문형 에어컨의 제어 회로 장치
JP5920657B2 (ja) Acアダプタ
CN111586938B (zh) 驱动器、控制方法与发光系统
KR20190002033A (ko)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20150002317A (ko) 전원 공급 장치
JP2001265449A (ja) 電気機器の待機電力を低減する装置
KR101993228B1 (ko) 대기 전력 기능을 가지는 전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7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