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99885B1 -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885B1
KR101999885B1 KR1020170032178A KR20170032178A KR101999885B1 KR 101999885 B1 KR101999885 B1 KR 101999885B1 KR 1020170032178 A KR1020170032178 A KR 1020170032178A KR 20170032178 A KR20170032178 A KR 20170032178A KR 101999885 B1 KR101999885 B1 KR 101999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raviola
cosmetic composition
mixture
sk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5308A (ko
Inventor
차웅호
진선미
김민지
김진휘
Original Assignee
(주)하이메디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메디코스 filed Critical (주)하이메디코스
Priority to KR1020170032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88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5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88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물,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메타세콰이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라디칼 소거능 또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추출혼합물, 상기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추출혼합물에 아데노신을 더 포함하여 항산화 효과를 향상시킨 복합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ION MIXTURE}
본 발명은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라비올라(Graviola, Annona muricata)는 열대지방 전역의 해발 1,000 m 이하의 낮고, 연 강수량이 1,000 mm 이상인 곳에서 재배되고 있는 상록활엽소 교목이다. 나무 높이는 6 m 정도 이고, 곧은 가지와 줄기가 있으며 긴 나뭇잎은 무성하지 않다. 꽃은 크고 노란색에 가까운 연두색으로 줄기에 직접 붙어서 피며 일반적으로 하나씩 핀다. 그라비올라의 잎, 뿌리, 줄기, 씨앗 및 열매는 오래 전부터 원주민들이 상처 치료에 사용하였고, 이외에도 해열, 설사, 이질, 기침, 천식, 기생충구제, 신경통, 관절염, 간장질환 및 당뇨병 등의 치료에 사용되었다. 그라비올라 나무에서 얻어지는 각 부분의 추출 성분이 갖는 진정 효과, 경련 억제 효과, 혈압강하 작용 등을 이용하여 소위 만병통치약으로 이용되어졌다.
메타세콰이아(Metasequoia glyptostroboides, Dawn Redwood)는 측백나무과(Cuptessaceae)에 속하는 낙엽침엽교목으로 동아시아, 북아메리카 및 유럽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메타세콰이아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는 탁솔(taxodone), 탁소퀴논(taxoquinone), 메타세글리프토린 A(metaseglyptorin A), 메타세과이아 산 C(metasequoia acid C) 및 폴리페놀(polyphenol)성 성분 등이 있다. 현재까지 메타세콰이아에 대한 생리활성에 대한 주요 연구로는 항균활성, 항산화(antioxidant) 및 항피부진균 작용, 항진균 작용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한편, 최근 과학 및 의학의 발달에 의해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게 됨에 따라 피부노화를 방지 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많은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피부 노화는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내인성노화(intrinsic aging)로서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피할 수 없는 노화 현상을 나타내고, 두 번째는 광노화(photoaging)로서 햇빛에 노출된 피부에서 관찰되는 노화 현상을 나타낸다. 기존에 알려진 노화에 대한 이론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최근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노화설은 노화의 자유 라디칼 이론(Free radical theory of aging)으로서 주위 환경 및 인체 내에서 활성 산소종(ROS : Reactive Oxygen Species)은 호흡 등과 같은 생리작용에 의해 세포에서 생성되는 독성물질로 끊임없이 생산되고 소멸하며,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3 내지 5 % 정도로 존재한다. 이러한 활성산소종은 슈퍼옥시드라디칼(superoxide radical), 하이드록시라디칼(hydroxyl radical)과 같은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의 형태 또는 과산화수소나 일중항 산소(singlet oxygen)와 같이 쌍을 이룬 전자를 가진 화합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현재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작용을 억제할 수 있는 항산화제에 관한 연구가 미용업계에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항산화력이 강력한 천연물 등의 연구가 노화 예방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비타민 C(ascorbic acid)는 수용성 비타민으로서, 체내에 신진대사 및 촉매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콜라겐 합성의 필수적인 성분으로 노화방지, 피부 주름 개선, 기미, 주근깨 등의 색소 침착 개선, 피부 수분 조절 및 자외선 차단에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비타민 C는 피부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부 환경에 극히 불안정하여 쉽게 분해되고 피부에 자극을 가할 수 있어 기능성 화장품 분야에서 제품 응용에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항산화력이 높은 천연물을 이용하여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탁월한 개선 효과를 낼 수 있는 추출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은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물,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메타세콰이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혼합물;을 포함하고 항산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장품 조성물은 상기 추출혼합물에 아데노신(Adenosine)을 더 포함하여 항산화 효과를 향상시킨 복합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장품 조성물은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상기 메타세콰이아 추출물은 0.5 내지 20 중량%이고,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물은 0.5 내지 20 중량%이며, 여분의 상기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그라비올라 열매, 잎 및 메타세콰이아 추출물을 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단일 추출물과 비교하여 보다 높은 항산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단일 추출물과 추출혼합물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추출혼합물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추출혼합물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추출혼합물 및 아데노신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일 제조예의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조예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조예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조예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조예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조예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조예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정상적인 세포에서 대사 과정 중에 어느 정도의 자유 라디칼(free radical)과 기타 활성산소(oxygen free radical) 및 과산화물(peroxide)이 생성된다. 이와 같은 활성산소 등의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가 노화를 비롯하여 각종 질환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임이 입증됨으로써, 활성산소 소거 활성을 갖는 항산화성 생체 기능 물질의 노화 억제 및 질환의 치료제로서 가능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노화 및 각종 질병의 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항산화성 생체 기능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은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물,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메타세콰이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혼합물;을 포함한다.
그라비올라(Graviola)는 일반적으로 브라질을 포함한 아마존 일대와 남미, 북미의 열대에서 자생하고 있는 5 m 내지 6 m 정도의 작은 상록수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그라비올라 열매는 타원형이며, 단 맛이 있고, 가시가 있으며 짙은 녹색 또는 황록색 껍질에 흰 과육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그라비올라 잎은 매끈하고 윤기가 나며,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잎 끝이 뾰족하며 잎자루 부분은 쐐기 모양이다. 그라비올라 나무 껍질, 잎 , 뿌리, 씨앗 등은 오래전부터 약재로 사용되어 왔고, 각 부위에 따라 그 효능과 이용법이 다르다. 특히 그라비올라에는 항산화 물질 및 폴리페놀 등이 풍부하기 때문에 신체 내부의 산화적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타세콰이아(Metasequoia)는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침엽교목으로 조리된 식품과 아울러 식품의 품질을 유지시키기 위한 천연소재로 사용된다. 메타세콰이아 나무에는 탁솔(taxodone), 탁소퀴논(taxoquinone), 메타세글리프토린(metaseglyptorin A), 메타세콰이아 산 C(metasequoia acid C), 12R-히드록시-8,15-이소피마라딘-18-오익산(12R-hydroxyl-8,15-isopimaradien-18-oicacid), (-)-아코라-2,4,8-트리엔-15-오익산((-)-acora-2,4, 8-trien-15-oic acid) 및 3 개의 새로운 노리그난(norlignans), 그 외 에도 카테킨(catechin)류와 같은 폴리 페놀성 성분 등도 포함되어 있어, 항균활성, 항산화 및 항피부진균 작용, 항진균 작용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그라비올라 열매, 그라비올라 잎 및 메타세콰이아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혼합하여 피부 노화를 지연시키고, 노화와 관련된 증상들을 방지, 개선시킬 수 있는 안전하고 유효한 추출혼합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혼합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술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 형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추출혼합물의 제조
각각의 건조된 그라비올라 열매, 그라비올라 잎 및 메타세콰이아 열매 5 g에 물 :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의 비율이 3 : 7인 70 % 부틸렌글라이콜 100 g을 혼합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침출하였다. 혼합물을 침출한 뒤, 이것을 여과하여 그라비올라 열매, 그라비올라 잎 및 메타세콰이아 각각의 추출물을 얻었다. 각 추출물 및 각 추출물들을 1 : 1 : 1로 혼합한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 1을 통해서 제조된 그라비올라 열매, 그라비올라 잎 및 메타세콰이아 각각의 단일 추출물과 3 가지 추출물 혼합물의 DPPH 자유라디칼(DPPH Free radical) 소거능(소거활성) 비교 시험을 수행하였다.
준비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 200 ㎕ 피펫(pipette), 20 ㎕ 피펫, 피펫 팁(pipette tip), 호일, E-튜브(tube), 메탄올(methanol) 및 에탄올(ethanol), DPPH(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라디칼)(1,1-dipheyl-2-picrylhydrazyl radical) : sigma.Cat.#D-9132, 표준물질(standard substance) :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시약 준비
0.2 mM DPPH (1 M : 394 g) 50 ml 제조 : DPPH 0.0039 g (0.2 mM) + 메탄올 50 ml
시험방법
1. control(blank) : DPPH 150 ㎕ + 에탄올 50 ㎕
2. sample : DPPH 150 ㎕ + sample 또는 표준물질(standard) 100 ㎍/ml 내지 500 ㎍/ml + 에탄올 0 ㎕ 내지 50 ㎕
3. 37 ℃, 20 분 (10 분 내지 30 분에서 반응) 암반응, 호일로 감쌈)
4. 517 nm에서 흡광도 측정
억제(Inhibition)(%) = ((control- test)/control) × 100
도 1은 단일 추출물과 추출 혼합물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그라비올라 열매, 그라비올라 잎 및 메타세콰이아의 단일 추출물및 추출 혼합물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DPPH는 항산화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자유 라디칼이다. DPPH는 보라색 화합물로, 항산화 활성을 갖는 물질과 반응하여 노란색으로 탈색되는 광흡수 특징을 가지고 있어 항산화 활성 평가에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그라비올라 열매, 그라비올라 잎 및 메타세콰이아 각각의 단일 추출물과 세 가지 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에 대해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하여 나타냈다. 결과 그래프를 보면 각 단일 추출물을 사용했을 때 보다 추출혼합물을 사용했을 때 항상화 효과가 더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시험예 2
본 발명의 추출 혼합물의 프로콜라겐(Procollagen) 증가 시험을 수행하였다. 프로콜라겐 합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HDF-N cell을 48 well plate에 1 × 104 cell/well로 분주하고 세포 배양 조건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에 배지를 제거하고, 24 시간 동안 세포의 기아 상태를 유지하며, 세포 배양 배지인 FBM(medial supplement 제외)에 희석하고, 농도 별로 세포에 처리한 후 24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의 배지를 수거하여 프로콜라겐 타입Ⅰ C-펩타이드 EIA 키트(procollagen typeⅠ C-peptide(PIP) EIA kit)(TAKARA, MK101)를 사용하여 프로콜라겐의 양을 측정하였다. 한편 바닥에 부착되어 있는 세포는 PBS로 세척한 후, 1 N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으로 용균(lysis)시켜 총 단백질 양을 측정하고 일정 단백질 당 프로콜라겐 합성 양을 계산하였다. 결과는 mean ± SD로 나타내었고, 통계 처리는 Student's t-test를 사용했으며, 유의 확률 p < 0.005, 양측 검정을 사용했다.
단백질양 측정법
단백질 측정법 중에서 로우리변법(Lowry method)을 기본으로 한 Bio-rad DC protein kit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1. cell 상층액(lysate)을 각각 5 ㎕ 씩 96-well plate에 넣는다.
2. 표준 단백질(protein standard) 제조 : 1.5 mg/ml 농도의 소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BSA, Bio-Rad, 500-0007)을 cell lysis buffer에 8 가지 농도로 희석하여 5 ㎕ 씩 96-well plate에 넣는다.
3. 키트에 포함된 시약(reagent) A 및 시약 S를 40 : 1의 비율로 섞어서 각 well에 25 ㎕ 씩 넣는다.
4. 키트에 포함된 시약 B를 각각 200 ㎕ 씩 넣는다.
5. 상온에서 15 분 간 반응시킨 뒤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6. BSA 검량선에 따라 cell의 총 단백질 양을 계산한다.
도 2는 추출혼합물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추출혼합물에 대한 프로콜라겐 증가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프로콜라겐은 여러 척주 동물의 피부 및 기타 기관에서 발견되는 콜라겐의 전구물질로, 프로콜라겐의 합성 효과가 높은 것은 주름 개선 효과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또한, TGF-β는 주름 개선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물질로서, 프로콜라겐 증가 시험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도 2를 참조하면, 양성대조군인 TGF-β를 10 ㎍/ml 처리한 경우, 프로콜라겐의 양이 대조군에 비해서 144.0 % 더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TGF-β에 의해 HDF-N 세포의 프로콜라겐 생합성이 촉진됨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라비올라 열매, 그라비올라 잎 및 메타세콰이아 추출혼합물을 각각 0.1 %, 0.5 % 및 1.0 %의 농도로 처리하여 프로콜라겐 합성능을 평가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각각 110.0 %, 142.7 % 및 162.1 %의 프로콜라겐이 생성됨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혼합물로 주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본 발명의 추출혼합물의 자외선에 의한 MMP-1(matrix metaloproteinase-1) 발현 억제 시험을 수행하였다.
HDF-N cell을 24 well plate에 2 × 104 cell/well 로 분주한 다음, 세포 배양 조건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24 시간 이후, 배지를 버리고 DPBS로 세척한 다음, DPBS 200 ㎕를 첨가하여 UVA 5 J/cm2 + UVB 30 mJ/cm2를 조사하였다. 시료를 배지에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고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 배양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배양액을 취하여 Human total MMP-1 ELISA kit(R&D system, DY901)을 사용하여 MMP-1 양을 측정하고 측정된 MMP-1의 양은 총 단백질 양으로 보정하였다. 결과는 mean ± SD로 나타내었고, 통계처리는 Student's t-test를 사용하였으며 유의확률 p < 0.005, 양측검정을 사용하였다.
도 3은 추출혼합물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에는 그라비올라 열매, 그라비올라 잎 및 메타세콰이아의 추출혼합물의 자외선에 의한 MMP-1 발현 억제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MMP-1은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 및 젤라틴과 같은 거대 생분자들을 분해할 수 있는 금속을 포함하는 효소이며,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때, 체내에서 평소보다 많이 생성되어 콜라겐 과 결합 후 콜라겐을 절단하여 피부노화를 유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UV 조사군은 비 조사군에 비해서 MMP-1의 양이 136.2 % 생성되었고, 이를 통해서 HDF-N 세포는 자외선(UVA 5 J/cm2 + UVB 30 mJ/cm2)에 의해서 MMP-1 발현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한편, HDF-N cell에 그라비올라 열매, 그라비올라 잎 및 메타세콰이아 추출혼합물을 0.1 %, 0.5 % 및 1.0 %의 농도로 처리한 후, Human total MMP-1 ELISA kit(R&D system, DY901)로 측정한 결과, UVA 조사군에 비해서 각각 117.9 %, 111.1 % 및 99.7 %의 MMP-1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시험 결과를 통해서 UV 조사군에 비해 본 발명의 추출혼합물을 사용하였을 때, 추출혼합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MMP-1의 생성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장품 조성물은 상기 추출혼합물에 아데노신(Adenosine)을 더 포함하여 항산화 효과를 향상시킨 복합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아데노신은 유전자인 DNA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 중 하나로, 아데닌(Adenine)이라는 염기 및 라이보즈(ribose)라는 당이 결합한 화합물로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피부의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 원료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당에 세 개의 인산(phosphate)이 붙으면 세포 내 에너지의 주 근원인 ATP(adenosine 5'-triposphate)가 되고, 아데노신은 신체를 구성하면서 원활한 대사 진행에 결정적인 겨할을 하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아데노신은 세포 내 성분이기 때문에 피부 침투 시 안정성과 지속력이 뛰어나며 진피층에서 DNA 및 단백질 합성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에서 할산화 및 안티에이징 활성을 갖는 그라비올라 열매, 그라비올라 잎 및 메타세콰이아 추출혼합물에 주름 개선 기능성 원료인 아데노신을 혼합한 복합혼합물로 보다 향상된 항산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혼합물을 이용하여 피부 노화 지연, 피부 노화의 제반 증상 방지 및 개선이 가능하며 안전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시험예 4
그라비올라 열매, 그라비올라 잎 및 메타세콰이아 추출혼합물, 아데노신 및 추출혼합물 및 아데노신을 혼합한 복합혼합물의 DDPH 자유라디칼 소거능 비교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방법은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도 4는 추출혼합물 및 아데노신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그라비올라 열매, 그라비올라 잎 및 메타세콰이아 추출혼합물과 아데노신, 그리고 추출혼합물 및 아데노신을 혼합한 복합혼합물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하였을 때, 추출혼합물과 아데노신 복합혼합물, 아데노신, 추출혼합물 순으로 항산화 효과가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혼합물과 아데노신이 복합적으로 사용된 복합혼합물의 경우, 기존의 알려진 아데노신의 항산화 효과 보다 더욱 향상된 항산화 효과를 얻는 것을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장품 조성물은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상기 메타세콰이아 추출물은 0.5 중량% 내지 20 중량%이고,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물은 0.5 내지 20 중량%이며, 여분의 상기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조예 1.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제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화장품을 제조했다.
성분 함량(중량%)
1. 그라비올라잎추출물 To 100
2. 글리세린 10
3. 부틸렌글라이콜 2
4. 판테놀 2
5.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3
6. 망고씨드버터 0.5
7. 세테아릴알코올 0.5
8. 스쿠알란 5
9.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1
10. 그라비올라열매추출물 1
11. 메타세콰이아추출물 1
제조방법
1. [표 1]의 원료 1 내지 4를 혼합 용해하여 수상 파트를 제조한다.
2. 별도의 비커에서 원료 5 내지 9를 80 ℃에서 용해하여 유상 파트를 제조한다.
3. 80 ℃ 이상에서, 상기 2 단계에서 제조한 유상을 상기 1 단계에서 제조한 수상에 첨가하고 호모 믹서(Homo Mixer)로 교반하여 혼합한다.
4. 상기 3 단계에서 [표 1]의 원료 10 내지 11을 첨가하여 더 혼합한다.
5. 상기 4 단계의 혼합물의 기포를 제거하여 화장품을 제조한다.
시험예 5
그라비올라 열매, 그라비올라 잎 및 메타세콰이아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눈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품을 피부에 사용하고 눈가 주름의 개선을 확인하는 임상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료 사용 전, 사용 2 주 후 및 사용 4 주 후 각각의 시험 결과를 PRIMOS 분석 소프트웨어(PRIMOS version 5.8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험 대상자는 방문 12 시간 전부터 기초 제품 사용 및 화장을 금지하였다. 방문 후 지급된 세안제로 세안을 한 후에, 30 분 동안 항온 항습 조건에서 안정을 취한 후, PRIMOS 측정용 고정 장비 세트에 시험 대상자의 얼굴을 고정하고 측정하였다.
1. PRIMOS High Resolution을 이용한 눈가 주름 측정
측정 부위의 수축 이완 및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수 제작된 PRIMOS 측정용 고정 장비 세트에 시험 대상자의 얼굴을 고정하였다. 매 측정 시, 동일한 부위를 측정하기 위해서 장비를 시험 부위에 일치하도록 고정하고 측정하였다.
2. 이미지 분석(Image analysis)을 이용한 눈가 주름 평가
PRIMOS의 3 차원 측정은 피부에 투사된 평행 투시도 선(parallel projection stripes)이 피부 표면의 높이 차이에 따라 변화되고, 이렇게 변화된 정도는 컴퓨터에 의해 정량적으로 계산된다. PRIMOS로 측정된 눈가 주름 이미지를 3D 매칭(matching)을 이용하여 측정 부위를 일치시켰다. 변수 값(Ra : 전체 측정 범위 안의 프로파일의 최고치들의 산술 평균값)이 작아지면 눈가 주름이 개선됨을 의미한다. PRIMOS High Resolution에 의한 Ra 값의 감소율은 다음의 공식을 이용하였다.
감소율(%) = ((시료 사용 전 측정값 - 시료 사용 후 측정 값)/시료 사용 전 측정 값) × 100
3. DSLR을 이용한 눈가 화상 사진 촬영
시료 사용 전, 사용 2 주 후 및 사용 4 주 후를 각각 DSLR 및 조명 세트를 이용하여 실내 조명의 밝기가 동일한 조건에서 눈가 주름 화상 사진을 촬영하였다. 표준화를 위하여 사진촬영은 동일 연구자가 시행하고, 특수 제작된 장비를 통하여 촬영 조건(측정 방향 및 위치)을 고정하여 촬영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는 95 % 신뢰구간에서 시료 사용 전/후 간의 유의성 여부를 반복측정(Repeated measures ANOVA)을 통해서 가설평균 차 5 %(p < 0.05)로 확인하였다.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제조예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눈가 주름 개선 시험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눈가 주름 개선 시험 결과 사진을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눈가 주름을 의미하는 Ra 값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제조예를 통해 제조된 화장품 사용 전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 < 0.05)으로 사용 2 주 후 및 사용 4 주 후의 측정 값이 각각 2.67 % 및 5.86 % 감소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이 눈가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6
본 발명의 그라비올라 열매, 그라비올라 잎 및 메타세콰이아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피부 탄력 개선 시험을 수행하였다.
Cutometer MPA580 (Courage and Khazaka, Germany)(피부 탄력도 측정기)을 이용하여, 제조예를 통해 제조된 화장품 사용 전, 사용 2 주 후 및 사용 4 주 후 각각의 볼 부위 피부 탄력을 평가했다. 지속적인 음압을 통해 측정 시간 동안 프로브(Probe) 속으로 피부가 빨려 들어간 뒤, 음압이 제거되면 피부가 원래 모습으로 돌아가는 원리를 이용한 피부 탄력도 측정기로 피부 탄력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기기에 연결된 2 mm 직경의 프로브를 피부에 밀착시켜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측정했다. 측정 조건으로 모드 1(Mode 1)을 사용했으며, 일정하게 유지되는 450 mbar의 음압, 석션(suction) 시간 2 초, 완화(Relaxation) 시간 2 초의 조건으로 연속 3 번 측정 후에 산술평균을 구하여 결과를 얻었다. 측정 값이 증가할수록 피부의 탄력이 개선된 것을 의미하며, 각 파라미터(parameter) 값이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R2 : gross elasticity
R5 : net elasticity
R7 : skin firmness
피부 탄력도 측정기를 이용한 위의 R2, R5 및 R7 값의 증가율은 다음의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며, 통계 분석 결과는 95 % 신뢰구간에서 시료 사용 전/후 간의 유의상 여부를 반복 측정을 통해서 가설평균 차 5 %(p < 0.05)로 확인했다.
증가율(%) = ((시료 사용 후 측정 값 - 사료 사용 전 측정 값) / 시료 사용 후 측정 값) × 100
도 7 내지 9는 제조예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조예를 통해 제조된 화장품의 피부 탄력 시험 결과 값을 나타낸 것으로, 도 7은 R2값, 도 8은 R5 값 그리고 도 9는 R7 값을 나타낸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피부 탄력도 측정기를 이용한 볼 부위의 피부 탄력 지표별 측정 값을 분석한 결과,
도 7의 R2 값의 경우는 시료 사용 전에 비해서 사용 2 주 후, 사용 4 주 후 측정 값이 각각 2.94 % 및 5.04 %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 < 0.05)으로 증가했으며,도 8의 R5 값의 경우에도 시료 사용 전에 비하여 사용 2 주 후, 4 주 후의 값이 각각 4.55 % 및 7.18 %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 < 0.05)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도 9의 R7 값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시료 사용 전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사용 2 주 후, 4 주 후 값이 각각 3.79% 및 6.90%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은 피부 탄력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사용 기간이 길수록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시험예 7
본 발명의 그라비올라 열매, 그라비올라 잎 및 메타세콰이아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피부 두께 및 진피치밀도 개선 효과 시험을 수행하였다.
제조예를 통해 제조된 화장품 사용 전, 사용 2 주 후 및 사용 4 주 후의 볼 부위의 피부 두께 및 진피치밀도를 평가하였다. 피부두께 및 진피치밀도는 20 MHz의 고해상도의 초음파를 영상화하는 장치인 Dermascan-C(Cortex Technology, Denmark)를 사용하였다. 측정하려는 볼 부위에 초음파 검사용 젤을 바르고 프로브를 피부와 직각이 되도록 한 후 약간 눌러서 측정하였다. 분석 범위는 표피 바로 아래에서 피하지방층 윗부분으로 한정했으며, 진피치밀도를 의미하는 파라미터인 intensity를 측정 및 분석하고 피부 두께도 측정 및 분석하였다. 피부 두께와 진피치밀도가 증가하면 측정 값이 증가하고, 감소하면 측정값이 감소한다. Dermascan-C를 이용한 피부두께 및 진피치밀도의 측정값의 증가율은 다음의 공식을 이용하였으며, 통계 분석 결과는 95 % 신뢰구간에서 시료 사용 전 / 후 간의 유의성 여부를 반복 측정을 통해 가설평균 차 5 %(p < 0.05)로 확인하였다.
증가율(%) = ((시료 사용 후 측정값 - 시료 사용 전 측정값) / 시료 사용 후 측정값) × 100
도 10 및 도 11은 제조예에 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시험예 7의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0은 Dermascan-C를 이용한 피부 두께 개선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고, 도 11은 Dermascan-C를 이용한 진피치밀도 개선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통해서 제조된 화장품 사용 전에 비하여, 화장품 사용 2 주 후, 4 주 후의 측정 값 증가율이 각각 1.62 %, 3.24 %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 < 0.05)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사용하면 피부 두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통해서 제조된 화장품 사용 전에 비하여, 화장품 사용 4 주 후 1.88 % 증가하였으므로,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 < 0.05)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사용하면 진피치밀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제조예등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물,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메타세콰이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적용된 피부에서 항산화 효과를 갖고, 프로콜라겐 생성을 증가시키고 MMP-1 발현을 억제하여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며,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물,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메타세콰이아 추출물 단독 사용 시 보다 향상된 항산화 효과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혼합물에 아데노신(Adenosine)을 더 포함하여 항산화 효과를 향상시킨 복합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상기 메타세콰이아 추출물은 0.5 중량% 내지 20 중량%이고,
    상기 그라비올라 열매 추출물은 0.5 중량% 내지 20 중량%이며,
    화장품 조성물이 총 100 중량%가 되도록 여분의 상기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0170032178A 2017-03-15 2017-03-15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1999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178A KR101999885B1 (ko) 2017-03-15 2017-03-15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178A KR101999885B1 (ko) 2017-03-15 2017-03-15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308A KR20180105308A (ko) 2018-09-28
KR101999885B1 true KR101999885B1 (ko) 2019-07-15

Family

ID=63721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178A Expired - Fee Related KR101999885B1 (ko) 2017-03-15 2017-03-15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885B1 (ko)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sian Pac J Trop Med, Vol.7, Supplement 1, pp.S355-S363 (2014)*
Food Research International, Vol.44, pp.2155-2159 (2011)*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2, No.3, pp.363-368 (20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308A (ko)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639B1 (ko)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조성물
US7189419B2 (en) Use of active extracts to lighten skin, lips, hair, and/or nails
CN108883030A (zh) 包含植物提取物的局部组合物
KR102083294B1 (ko)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1286133B1 (ko) 강화사자발쑥과 감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 항균 효과를 갖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915655B1 (ko) 드래곤블러드수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9096B1 (ko)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8808761B2 (en)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rose extract and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KR20100061881A (ko)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129600A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CN106333886B (zh) 一种具有保湿和美白亮肤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KR100638137B1 (ko) 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24132A (ko) 효소처리를 이용한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KR102056620B1 (ko) 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56756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45927A (ko) 위릉채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48592A (ko) 지베렐린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1999885B1 (ko)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10074194A (ko) 쉬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2484A (ko)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52553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0299A (ko) 희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피부보습 또는 피부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9990075521A (ko) 주름개선효과가 있는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102337422B1 (ko) 호호바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및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7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