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502B1 - Wastewater reusing system using the selective operation - Google Patents
Wastewater reusing system using the selective oper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9502B1 KR101999502B1 KR1020190026191A KR20190026191A KR101999502B1 KR 101999502 B1 KR101999502 B1 KR 101999502B1 KR 1020190026191 A KR1020190026191 A KR 1020190026191A KR 20190026191 A KR20190026191 A KR 20190026191A KR 101999502 B1 KR101999502 B1 KR 1019995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treated water
- ozone
- water
- turbidit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 B01F3/04248—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2—Grey water, e.g. from clothes washers, showers or dishwash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4—Diffusers or nozzles for ozon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처리 시스템은, 처리수유입구로부터 제공된 처리수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수를 순환시키거나 상기 오염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처리수조와 연통된 배출구로 배출시키기 위한 중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배관 모듈, 상기 처리수유입구로부터 상기 처리수가 유입되고, 상기 배관 모듈 상에 배치되어 상기 처리수와 오존이 포함된 미세기포가 반응하도록 하는 밀폐형 반응부, 상기 밀폐형 반응부로부터 배출된 전처리된 처리수에 오존이 포함된 미세기포를 투입하여 상기 밀폐형 반응부로 유입시키는 미세기포 생성부, 상기 배관 모듈 상에 배치되어 상기 처리수와 오존이 포함된 용존가스가 반응하도록 하는 가스용존부, 상기 밀폐형 반응부와 상기 가스용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오존이 포함된 미세기포와 상기 처리수가 혼합되도록 하는 기액혼합부 및 상기 배관 모듈 상에 배치되어 상기 처리수의 부유물을 필터링하며,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세라믹막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vy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irculating the treated water to remove pollutants of the treated water provided from the treated milk feeding inlet 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from which pollutants have been removed to an outlet communicated with the treated water tank Wherein the treatment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treatment liquid feeding inlet and the microbubbles disposed on the piping module and containing the treated water and the ozone are introduced into the piping module, A fine bubble generating unit for injecting fine bubbles containing ozone into the pretreated tre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ealed reaction unit and introducing the fine bubbles into the sealed reaction unit, A gas-dissolved portion for allowing a dissolved gas containing ozone to react, a gas- And a ceramic membrane processing unit disposed on the piping module for filtering the suspended matter of the treated wat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wherein the ceramic membrane treating unit is disposed on the piping module to mix the ozone-containing micro- .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폐수, 방류수를 재이용하기 위한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처리수유입구로부터 제공된 처리수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수를 순환시키거나 상기 오염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처리수조와 연통된 배출구로 배출시키기 위한 중수처리 시스템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생활하수 또는 초기우수 등 강이나 바다의 수질을 오염시킬 수 있는 오수는 오수처리 시설에서 일정수준의 수질로 정화처리한 상태로 방류하도록 규제되고 있고, 또한 빗물 등을 지하의 저류조에 저장한 후 이를 활용하는 등의 내용은 주지된 바와 같다.In general, sewage that can contaminate water quality of river or sea such as domestic sewage or early stormwater is regulated to discharge in a sewage treatment facility with purified water of a certain level of quality, and rainwater is stored in an underground storage tank As well as to use it afterwards.
이러한 오수 내지 중수(이하, 간단히 '중수' 또는 '재이용수'라고 함)가 저장되는 장소 또는 합류되는 장소 등에는 처리 대상인 중수의 종류에 적합한 형태의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처리 시설이 설비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이 설비되는 처리 시설을 통해서 하수 또는 초기우수 등 중수는 일정 수준의 수질로 정화된 상태로 하천, 강 또는 바다에 방류됨에 따라서 생태계 손상이 방지되고, 일정한 저류조에 저장됨으로써 재활용 될 수 있는 것이다.A physical, chemical, or biological treatment facility should be provided in a place where the wastewater or heavy water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heavy water" or "reused water") is stored or joined together in a form suitable for the type of heavy water to be treated. Through such treatment facilities, the sewage or initial stormwater is discharged to rivers, rivers or the sea in a state of being purified to a certain level of water quality, thereby preventing ecosystem damage and being stored in a certain storage tank and being recycled.
이러한 처리 시설은 처리대상 오수의 오염된 정도에 따라서 1차, 2차, 3차 또는 그 이상의 오수처리 공정을 거치면서 수질의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처리대상 중수의 성질에 따라서 부유물을 걷어내는 단계, 오물을 침전시키는 단계, 오수의 여과단계, 이물질의 흡착단계, 약품처리 단계, 미생물처리 단계 등 다양하면서도 복잡한 단계를 거쳐 요구하는 정도의 수질로 정화가 이루어지게 된다.These treatment facilities are constructed so that water quality can be purified through primary, secondary, tertiary or mor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depending on the polluted degree of the treated wastewater.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heavy water to be treated, the water quality required through various and complicated steps such as the step of removing the suspended matters, the step of precipitating the dirt, the step of filtering the wastewater, the step of adsorbing foreign matter, As shown in FIG.
한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152529호의 '오수처리장의 전처리 공정용 분괴 파쇄장치', 특허등록번호 10-402759호의 '하수 및 오폐수 전처리 방법 및 그 장치', 특허등록번호 10-467055호의 '오폐수 처리장치', 특허등록번호 '10-555142호의 '상, 하수 및 폐수 등의 침사제거 및 종합 전처리장치', 특허등록번호 10-721437호의 '폐수 전처리장치', 특허등록번호 10-696702호의 '산업폐수 처리를 위한 전처리 시스템', 특허등록번호 10-800559호의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특허등록번호 10-823236호의 '방사형 초기우수처리장치' 등에서는 본격적인 오수 및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 앞서서 오수 및 폐수 등에 포함된 이물질을 먼저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들의 장치들이 공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In the meantime, there is disclosed a method of using a pretreatment device for pretreatment of a waste water treatment plant, which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152529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atent Document No. 10-402759 entitl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treatment of Sewage and Wastewater," Patent Registration No. 10-467055, A wastewater treatment device ', a patent application number' 10 -555142 ',' a pre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sediments such as wastewater and wastewater ', a' pretreatment device for wastewater ', a patent registration No. 10-721437, A pretreatment system for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 an' initial stormwater treatment device including a cartridge spiral screen 'of Patent Registration No. 10-800559 and a' radial initial stormwater treatment device 'of Patent Registration No. 10-823236,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types of device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prior to the treatment process, such as sewage and wastewater, are known.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공지된 대부분의 전처리 장치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게 구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타 처리 시설에 호환성이 떨어지게 구성되는 등 그 효율성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most known preprocessing apparatuses have a complicated structure, and are incompatible with other processing facilities,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efficiency.
본 발명의 목적은, 처리수유입구로부터 제공된 처리수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오염정도에 따라 선택 조건을 적용하여 상기 처리수를 순환시키거나 상기 오염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처리수조와 연통된 배출구로 배출시키기 위한 중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treated water by applying a selection condi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to remove contaminants from the treated water supplied from the treated milk feeding inlet, And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discharge po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처리 시스템은, 처리수유입구로부터 제공된 처리수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수를 순환시키거나 상기 오염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처리수조와 연통된 배출구로 배출시키기 위한 중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배관 모듈, 상기 처리수유입구로부터 상기 처리수가 유입되고, 상기 배관 모듈 상에 배치되어 상기 처리수와 오존이 포함된 미세기포가 반응하도록 하는 밀폐형 반응부, 상기 밀폐형 반응부로부터 배출된 전처리된 처리수에 오존이 포함된 미세기포를 투입하여 상기 밀폐형 반응부로 유입시키는 미세기포 생성부, 상기 배관 모듈 상에 배치되어 상기 처리수와 오존이 포함된 용존가스가 반응하도록 하는 가스용존부, 상기 밀폐형 반응부와 상기 가스용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오존이 포함된 미세기포와 상기 처리수가 혼합되도록 하는 기액혼합부 및 상기 배관 모듈 상에 배치되어 상기 처리수의 부유물을 필터링하며,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세라믹막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기포 생성부는, 외부의 전원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부, 상기 임펠러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채,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공기유입부 및 상기 공기유입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채, 오존이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오존유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heavy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irculating the treated water to remove pollutants of the treated water provided from the treated milk feeding inlet 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from which pollutants have been removed to an outlet communicated with the treated water tank Wherein the treatment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treatment liquid feeding inlet and the microbubbles disposed on the piping module and containing the treated water and the ozone are introduced into the piping module, A fine bubble generating unit for injecting fine bubbles containing ozone into the pretreated tre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ealed reaction unit and introducing the fine bubbles into the sealed reaction unit, A gas-dissolved portion for allowing a dissolved gas containing ozone to react, a gas- And a ceramic membrane processing unit disposed on the piping module for filtering the suspended matter of the treated wat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wherein the ceramic membrane treating unit is disposed on the piping module, The fine bubble generating unit includes a motor part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n impeller part rotating by the motor part, an air inflow part provided adjacent to the impeller part, And an ozone inlet disposed adjacent to the air inlet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ozone is intro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처리 시스템의 상기 밀폐형 반응부는, 중앙부분이 넓으며, 상부측과 하부측으로 단면이 각각 좁아지는 원추형 또는 각뿔형으로 구성되는 밀폐형 반응조, 상기 밀폐형 반응조의 일측 벽면에 형성되며 전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밀폐형 반응조의 일측 벽면에 형성되며 상기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관, 상기 밀폐형 반응조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밀폐형 반응조 내의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관, 상기 밀폐형 반응조의 일측 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미세기포 생성부와 연결되는 생성부유입관 및 생성부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closed reaction unit of the heavy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losed type reaction tank having a wide central portion and a conical or pyramidal shape whose cross section is narrowed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 sludge discharge pip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losed type reaction tank and discharging sludge in the closed type reaction tank, a discharge pipe formed at one side wall of the closed type reaction tank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And a product floating inlet and a product outlet pipe formed on one wall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microbubble genera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처리 시스템의 상기 임펠러부는,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날개부로 구성되는 블레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날개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날개부는, 상기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impeller portion of the heavy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ade portion including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 rotation shaft of the motor portion and a plurality of blades radially arranged alo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Each wing portion constituting the wing portion can be rotatably mounted on the engag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처리 시스템은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의 회전 수가 변화되도록 하는 인버터부, 상기 생성부유입관에 설치되어, 상기 생성부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밀폐형 반응조 내의 처리수의 탁도를 센싱하는 탁도센서부 및 상기 탁도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처리수의 탁도를 기초로,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탁도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처리수의 탁도가 기 설정된 탁도보다 큰 경우, 상기 모터부의 회전 수가 증가하도록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며, 상기 탁도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처리수의 탁도가 기 설정된 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터부의 회전 수가 감소하도록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heavy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verter unit connected to the motor unit to change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unit, a treatment unit installed in the product floating inlet, Further comprising a turbidity sensor unit for sensing the turbidity of wat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verter unit based on the turbidity of the treated water measured by the turbidity sensor unit, When the turbidity of the treated water measured by the turbidity sensor unit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urbidit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nverter unit to increas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motor unit when the turbidity of the treated water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urbidit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verter section so as to decrea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처리 시스템의 상기 미세기포 생성부는, 상기 공기유입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부를 개폐하는 제1 밸브부 및 상기 오존유입부에 형성되어 상기 오존유입부를 개폐하는 제2 밸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icro bubble generator of the heavy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valve unit formed in the air inlet unit to open and close the air inlet unit and a second valve unit formed in the ozone inlet unit to open and clos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처리 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날개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날개부는, 상기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연결된 날개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날개편은, 탄성을 갖는 복수의 세라믹 핀이 중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날개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날개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이웃한 날개부와 중첩되어 배치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이웃한 날개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Each wing portion constituting the plurality of wing portions of the heavy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of a mounting portion rotatably mounted on the engaging portion and a blade piece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Each of the wings constituting the plurality of wings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engaging portion at a first posit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verlaps the adjacent wing portion, And can be moved to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a w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처리 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세라믹 핀 각각은, 상기 임펠러부가 회전하는 경우, 인접한 세라믹 핀과 충돌하여 무질서 운동할 수 있다.In each of the plurality of ceramic fins of the heavy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mpeller rotates, it can collide with adjacent ceramic fins and perform disordered mo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처리 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날개부는,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 날개부, 제2 날개부 및 제3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날개부, 상기 제2 날개부 및 상기 제3 날개부의 각각의 날개편의 길이는 상이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ings of the heavy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wing portion, a second wing portion and a third wing portion which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first wing portion, And the length of each blade of the third wing can be different.
본 발명에 의하면, 처리수의 오염도(탁도)에 따라 미세기포의 양과 입자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하여, 충분한 혼합효과 및 정화효과를 얻을 수 있어 오염물질 제거 효율을 최대한 증대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가동을 억제하여 에너지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fine bubbles and the size of particles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turbidity) of the treated water, so that sufficient mixing effect and purification effect can be obtained and the efficiency of removing contaminants can be maximized, And energy savings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처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처리 시스템의 밀폐형 반응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처리 시스템의 미세기포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처리 시스템의 탁도센서부 및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heavy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hermetic reaction part of a heavy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7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micro-bubble generator of a heavy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urbidity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of a heavy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heavy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처리 시스템(1)은, 처리수유입구(In)로부터 제공된 처리수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수를 순환시키거나 상기 오염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처리수조와 연통된 배출구(Out)로 배출시키기 위한 시스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heavy
본 발명의 중수처리 시스템(1)은, 배관 모듈(10), 밀폐형 반응부(20), 미세기포 생성부(30), 가스용존부(40), 기액혼합부(50) 및 세라믹막 처리부(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vy
상기 배관 모듈(10)은, 상기 처리수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처리수유입구(In)와 배출구(Out) 사이에 배치되는 밀폐형 반응부(20), 가스용존부(40), 기액혼합부(50) 및 세라믹막 처리부(60)를 경유하는 처리수의 이동 통로를 제공한다.Specifically, the
상기 밀폐형 반응부(20)는, 상기 처리수유입구(In)로부터 상기 처리수가 유입되고, 상기 배관 모듈(1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처리수와 오존이 포함된 미세기포가 반응하도록 할 수 있다.The closed
상기 가스용존부(40)는, 상기 배관 모듈(1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처리수와 오존이 포함된 용존가스가 반응하도록 할 수 있다.The gas dissolving
구체적으로, 가스용존부(40)는, 배관 모듈(10) 상에 배치되어 처리수와 오존이 포함된 용존가스가 반응하도록 한다. 가스용존부(40)는 압력유지 보조탱크를 이용한 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내의 가스의 용존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Specifically, the gas dissolved
상기 기액혼합부(50)는, 상기 밀폐형 반응부(20)와 상기 가스용존부(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오존이 포함된 미세기포와 상기 처리수가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The gas-
상기 세라믹막 처리부(60)는, 상기 배관 모듈(1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처리수의 부유물을 필터링하며, 상기 배출구(Out)와 연통될 수 있다.The ceramic
구체적으로, 상기 세라믹막 처리부(60)는, 처리수가 세라믹막을 통과하는 중에, 세라믹막에 오염물질이 필터링되도록 하는 일종의 멤브레인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ceramic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처리 시스템의 밀폐형 반응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hermetic reaction part of a heavy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처리 시스템(1)의 밀폐형 반응부(20)는, 중앙부분이 넓으며, 상부측과 하부측으로 단면이 각각 좁아지는 원추형 또는 각뿔형으로 구성되는 밀폐형 반응조(21), 상기 밀폐형 반응조(21)의 일측 벽면에 형성되며 전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관(23), 상기 밀폐형 반응조(21)의 일측 벽면에 형성되며, 상기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관(25), 상기 밀폐형 반응조(2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밀폐형 반응조(21) 내의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관(27), 상기 밀폐형 반응조(21)의 일측 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미세기포 생성부(30)와 연결되는 생성부유입관(28) 및 생성부배출관(29)을 포함할 수 있다.2, the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처리 시스템의 미세기포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3 to 7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micro-bubble generator of a heavy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처리 시스템(1)의 미세기포 생성부(30)는, 외부의 전원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부(33), 상기 임펠러부(33)와 인접하게 배치된 채,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공기유입부(35) 및 상기 공기유입부(35)와 인접하게 배치된 채, 오존이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오존유입부(37)를 구비할 수 있다.3 to 7, the micro-bubble generating
상기 미세기포 생성부(30)는, 상기 밀폐형 반응부(20)로부터 전처리된 처리수가 유출되는 생성부배출관(29)을 통해 전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된 채, 상기 공기유입부(35)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상기 오존유입부(37)로부터 유입된 오존과 혼합되어 임펠러부(33)를 통해 상기 밀폐형 반응부(20) 내로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micro-bubble generating
구체적으로, 상기 미세기포 생성부(30)는, 상기 밀폐형 반응부(20)로부터 배출된 전처리된 처리수에 오존이 포함된 미세기포를 투입하여 상기 밀폐형 반응부(2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전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고, 오존 가스가 주입되면, 믹싱 펌프 및 라인믹서에 의한 믹싱이 이루어고 이에 의해 오존 가스가 안개 상태의 초미세기포로 분해된다. 이에 따라 안개 상태로 분해된 오존 가스와 처리수의 접촉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상기 공기유입부(35)는, 공기발생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미세기포 생성부(30)로의 공기를 유입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오존유입부(37)는, 오존발생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미세기포 생성부(30)로의 오존을 유입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상기 임펠러부(33)는, 공기와 오존이 혼합된 전처리된 처리수가 상기 밀폐형 반응부(20)의 생성부유입관(28)을 통해 배출되기 전에, 공기와 오존이 미세기포화 되도록 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임펠러부(33)는,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결합부(331) 및 상기 결합부(331)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날개부(333a)로 구성되는 블레이드부(333)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상기 복수의 날개부(333a)를 구성하는 각각의 날개부(333a)는, 상기 결합부(3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Each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날개부(333a)를 구성하는 각각의 날개부(333a)는, 상기 결합부(3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장착부(361) 및 상기 장착부(361)에 연결된 날개편(362)으로 구성될 수 있다.Each
상기 복수의 날개부(333a)는, 상기 생성부배출관(29)의 종단면적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채, 상기 모터부의 회전에 따라 생긴 간극으로 처리수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또한, 상기 복수의 날개부(333a)는, 상기 미세기포 생성부(30)로부터 상기 밀폐형 반응부(20)로의 처리수 이동을 위하여, 블레이드의 형성 방향 또는 회전 방향이 결정된다.The formation direction or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lades is determined by the plurality of
상기 장착부(361)는, 상기 결합부(331)를 기준으로 회전되며, 이 때 상기 날개편(362) 또한 상기 장착부(361)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331)에 방사형으로 배열된 날개편(362)은 이웃한 날개편(362)과 중첩되거나 중첩 해제될 수 있다.The
날개편(362)이 중첩되도록 위치 이동되는 경우에는, 날개편(362)과 날개편(362) 사이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협소해지며, 이에 따라 날개편(362)과 날개편(362)에 의해 분쇄되는 공기의 입자가 작아질 수 있다.The space between the
또한, 날개편(362)이 중첩 해제되어 이격되도록 위치 이동되는 경우에는, 날개편(362)과 날개편(362) 사이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며, 이에 따라 날개편(362)과 날개편(362)에 의해 분쇄되는 공기의 입자가 커질 수 있다.The space between the
한편, 후술할 제어부(90)에 의한 인버터부(70)의 제어에 따라 모터부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미세기포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처리수의 오염도(탁도)에 따라 미세기포의 양과 미세기포의 입자 크기를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un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제어부(90)의 인버터부(70) 제어에 따른 미세기포의 양은 탁도가 클수록 비례하여 많도록 하고, 날개편(362)과 날개편(362)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처리수의 오염물질 크기에 따라 비례하여 중첩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또한, 상기 날개편(362)은, 탄성을 갖는 복수의 세라믹 핀(363)이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복수의 날개부(333a)를 구성하는 각각의 날개편(362)은 각각이 복수의 세라믹 핀(363)이 중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세라믹 핀(363)은 탄성으로 변형될 수 있다.Concretely, each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세라믹 핀(363) 각각은, 상기 임펠러부(33)가 회전하는 경우, 인접한 세라믹 핀(363)과 충돌하여 무질서 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펠러부(33)가 회전하면, 상기 복수의 세라믹 핀(363) 각각은 관성에 의해 휘어질 수 있으며, 유입된 처리수와의 수류에 따라 각각이 무질서한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는 인접한 세라믹 핀(363)과의 충돌에 의해 더욱 무질서한 운동이 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또한, 각각의 세라믹 핀(363)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 미세기포는 세라믹 핀(363)의 무질서한 운동에 분쇄되어 입자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Further, the fine bubbles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respective
미세기포의 입자가 작아질수록 입자의 수는 증가함과 동시에 더욱 작은 오염물질과 접촉될 수 있어, 공기 또는 오존에 의한 정화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The smaller the number of fine bubbles, the more the number of particles increases, and at the same time, the smaller the number of fine bubbles, the smaller the number of particles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maller pollutants, so that the purification action by air or ozone can be actively performed.
한편, 상기 복수의 날개부(333a)는,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 날개부(333a-1), 제2 날개부(333a-2) 및 제3 날개부(333a-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상기 복수의 날개부(333a)를 구성하는 각각의 날개부(333a)는, 적어도 일부분이 이웃한 날개부(333a)와 중첩되어 배치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331)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이웃한 날개부(333a)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이웃한 날개부(333a)의 중첩과 이격에 관하여는 이미 앞서 설명한 바 있다.Each
상기 제1 날개부(333a-1), 상기 제2 날개부(333a-2) 및 상기 제3 날개부(333a-3)의 각각의 날개편(362)의 길이는 상이할 수 있다.The length of each
구체적으로, 이웃한 날개부(333a)의 길이가 미세하게 상이하도록 하여, 날개부(333a)의 회전에 따른 날개부(333a) 사이의 공간이 변칙적으로 변화되어 미세기포의 분쇄가 가속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임펠러부(33)의 회전에 따른 일정 수류가 상이한 길이로 형성되는 날개부(333a)에 의해 상이한 위치에서 와류가 발생하도록 하여, 미세기포의 불규칙 운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미세기포의 인접한 기포 및 부재와의 충돌을 촉진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length of the neighboring
또한, 상기 미세기포 생성부(30)는, 상기 공기유입부(35)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부(35)를 개폐하는 제1 밸브부 및 상기 오존유입부(37)에 형성되어 상기 오존유입부(37)를 개폐하는 제2 밸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1 밸브부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밸브부는, 오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valve unit can regulate the amount of air, and the second valve unit can regulate the amount of ozone.
오존은, 처리수의 종류에 따라 그 흡수율이 상이하므로, 처리수에 따라 그 양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참고적으로, 처리대상수가 공업용수처리수인 경우, 오존주입율은 3 내지 10ppm, 하수처리수인 경우, 8 내지 10ppm, 폐수유기물처리수인 경우, 40 내지 80ppm으로 상이하다.Since ozone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treated water, the amount of ozone needs to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treated water. For reference, when the number of water to be treated is water for industrial use, the ozone injection rate is 3 to 10 ppm, 8 to 10 ppm for wastewater treated water, and 40 to 80 ppm for wastewater treated organic wastewater.
본 발명은 상기 제1 밸브부와 상기 제2 밸브부를 통해 일정양의 혼합기체를 주입하되, 그 비율을 상이하게 조절하도록 하여, 처리수의 정화를 효율적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ertain amount of mixed gas is injected through the first valve portion and the second valve portion, and the ratios thereof are adjusted differently, so that purification of treated water can be efficiently realiz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처리 시스템의 탁도센서부 및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urbidity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of the heavy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처리 시스템(1)은,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의 회전 수가 변화되도록 하는 인버터부(70), 상기 생성부유입관(28)에 설치되어, 상기 생성부유입관(28)으로 유입되는 상기 밀폐형 반응조(21) 내의 처리수 탁도를 센싱하는 탁도센서부(80) 및 상기 탁도센서부(80)에 의해 측정된 상기 처리수의 탁도를 기초로, 상기 인버터부(70)를 제어하는 제어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heavy
상기 인버터부(70)는, 처리수의 수온과 성상에 따라 최적화된 파인 버블(fine bubbble) 생성을 위하여, 처리수를 마찰 분쇄할 수 있다. 이는, 회전수의 변화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탁도센서부(80)에 의해 측정된 처리수의 탁도가 기 설정된 탁도보다 큰 경우, 상기 모터부의 회전 수가 증가하도록 상기 인버터부(70)를 제어하며, 상기 탁도센서부(80)에 의해 측정된 처리수의 탁도가 기 설정된 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터부의 회전 수가 감소하도록 상기 인버터부(70)를 제어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90)에 의한 인버터부(70)의 제어에 따라 모터부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미세기포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un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상기 제어부(90)의 인버터부(70) 제어에 따른 미세기포의 양은 탁도가 클수록 비례하여 많도록 하여 정화 효율을 높이고, 탁도가 작을수록 반비례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막을 수 있다.As the turbidity increases, the amount of minute bubbles generated by the control of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중수처리 시스템
10: 배관 모듈
20: 밀폐형 반응부
30: 미세기포 생성부
40: 가스용존부
50: 기액혼합부
60: 세라믹막 처리부
70: 인버터부
80: 탁도센서부
90: 제어부1: heavy water treatment system
10: Piping module
20: closed reaction part
30: Micro bubble generator
40: gas-dissolved part
50: gas-liquid mixing section
60: Ceramic film processing section
70: Inverter section
80: Turbidity sensor section
90:
Claims (8)
상기 처리수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배관 모듈;
상기 처리수유입구로부터 상기 처리수가 유입되고, 상기 배관 모듈 상에 배치되어 상기 처리수와 오존이 포함된 미세기포가 반응하도록 하는 밀폐형 반응부;
상기 밀폐형 반응부로부터 배출된 전처리된 처리수에 오존이 포함된 미세기포를 투입하여 상기 밀폐형 반응부로 유입시키는 미세기포 생성부;
상기 배관 모듈 상에 배치되어 상기 처리수와 오존이 포함된 용존가스가 반응하도록 하는 가스용존부;
상기 밀폐형 반응부와 상기 가스용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오존이 포함된 미세기포와 상기 처리수가 혼합되도록 하는 기액혼합부; 및
상기 배관 모듈 상에 배치되어 상기 처리수의 부유물을 필터링하며,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세라믹막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기포 생성부는,
외부의 전원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부, 상기 임펠러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채,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공기유입부 및 상기 공기유입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채, 오존이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오존유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폐형 반응부는,
중앙부분이 넓으며, 상부측과 하부측으로 단면이 각각 좁아지는 원추형 또는 각뿔형으로 구성되는 밀폐형 반응조,
상기 밀폐형 반응조의 일측 벽면에 형성되며 전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밀폐형 반응조의 일측 벽면에 형성되며 상기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관,
상기 밀폐형 반응조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밀폐형 반응조 내의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관,
상기 밀폐형 반응조의 일측 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미세기포 생성부와 연결되는 생성부유입관 및 생성부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부는,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날개부로 구성되는 블레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날개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날개부는,
상기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처리 시스템.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heavy water treatment system for circulating the process water to remove contaminants from the process water supplied from a process milk feeding inlet, or for discharging the process water from which contaminants have been removed to an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process water tank,
A piping module for providing a moving passage of the process water;
A sealed reaction unit for introducing the treated water from the treated milk feeding inlet and disposed on the piping module so that the treated water reacts with fine bubbles containing ozone;
A fine bubble generating unit for injecting fine bubbles containing ozone into the pretreated tre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ealed reaction unit and introducing the fine bubbles into the sealed reaction unit;
A gas dissolution part disposed on the piping module for allowing dissolved water containing ozone to react with the treated water;
A gas-liquid mix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closed reaction unit and the gas-dissolved unit to mix the micro-bubbles containing the ozone with the process water; And
And a ceramic membrane processing unit disposed on the piping module for filtering suspended matters of the treated wat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Wherein the micro-
An impeller portion rotated by the motor portion; an air inlet portion provided adjacent to the impeller portion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And an ozone inlet disposed adjacent to the ozone inlet and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ozone is introduced,
The closed-
A closed type reaction tank having a wide central portion and a conical or pyramidal shape whose cross section is narrowed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n inlet pipe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sealed reaction tank and having a pretreated process water flowing therein,
A discharge pipe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closed reaction tank and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A sludge discharge pip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losed reaction tank for discharging sludge in the closed reaction tank,
And a product floating inlet and a product outlet pipe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sealed reaction tank and connected to the microbubble generator,
The impeller portion
And a blade portion having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 rotation axis of the motor portion and a plurality of blades radially arranged alo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Wherein each of the vanes constituting the plurality of vanes comprises:
And is rotatably mounted on the coupling portion.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의 회전 수가 변화되도록 하는 인버터부;
상기 생성부유입관에 설치되어, 상기 생성부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밀폐형 반응조 내의 처리수 탁도를 센싱하는 탁도센서부; 및
상기 탁도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처리수의 탁도를 기초로,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탁도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처리수의 탁도가 기 설정된 탁도보다 큰 경우, 상기 모터부의 회전 수가 증가하도록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며, 상기 탁도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처리수의 탁도가 기 설정된 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터부의 회전 수가 감소하도록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처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verter unit connected to the motor unit to change a rotation speed of the motor unit;
A turbidity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generated floating inlet to sense turbidity of treated water in the closed type reaction tank flowing into the generated floating inlet;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verter unit based on the turbidity of the treated water measured by the turbidity sensor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nverter unit to increase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motor unit when the turbidity of the treated water measured by the turbidity sensor unit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urbidity and the turbidity of the treated water measured by the turbidity sensor unit And controls the inverter section so that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motor section is reduced when the turbidity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urbidity.
상기 미세기포 생성부는,
상기 공기유입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부를 개폐하는 제1 밸브부 및 상기 오존유입부에 형성되어 상기 오존유입부를 개폐하는 제2 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처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icro-
A first valve unit formed in the air inlet unit to open and close the air inlet unit, and a second valve unit formed in the ozone inlet unit to open and close the ozone inlet unit.
상기 복수의 날개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날개부는,
상기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연결된 날개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날개편은, 탄성을 갖는 복수의 세라믹 핀이 중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날개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날개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이웃한 날개부와 중첩되어 배치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이웃한 날개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처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vanes constituting the plurality of vanes comprises:
A mounting portion rotatably mounted on the coupling portion, and a blade piece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The blade piece is formed by superimposing a plurality of resilient ceramic fins,
Wherein each of the vanes constituting the plurality of vanes comprises:
Is rotated to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neighboring wing portion (12), the first wing portion being rotated relative to the first wing portion at a first posit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wing portion is overlapped with the neighboring wing portion.
상기 복수의 세라믹 핀 각각은,
상기 임펠러부가 회전하는 경우, 인접한 세라믹 핀과 충돌하여 무질서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처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ceramic fins comprises:
Wherein when the impeller rotates, it collides with adjacent ceramic fins and performs disordered movement.
상기 복수의 날개부는,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 날개부, 제2 날개부 및 제3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날개부, 상기 제2 날개부 및 상기 제3 날개부의 각각의 날개편의 길이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수처리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lurality of wings
A first wing portion, a second wing portion and a third wing portion which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Wherein the lengths of the respective blades of the first wing portion, the second wing portion and the third wing portion are differ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6191A KR101999502B1 (en) | 2019-03-07 | 2019-03-07 | Wastewater reusing system using the selective oper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6191A KR101999502B1 (en) | 2019-03-07 | 2019-03-07 | Wastewater reusing system using the selective oper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9502B1 true KR101999502B1 (en) | 2019-07-12 |
Family
ID=6725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6191A Active KR101999502B1 (en) | 2019-03-07 | 2019-03-07 | Wastewater reusing system using the selective oper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950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324727A1 (en) * | 2021-04-12 | 2022-10-13 | Osram Gmbh | Apparatus for sterilizing a liquid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5366B1 (en) * | 2010-09-16 | 2013-02-20 | 한국농어촌공사 | Apparatus for Supplying Agricultural Water Containing Micro―Nano Bubbles |
KR101559312B1 (en) * | 2015-05-18 | 2015-10-15 | 주식회사 에이이 | Fine-Bubble Generator |
KR101842450B1 (en) * | 2018-01-04 | 2018-05-14 |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Continuous circulating wastewater reusing system using ceramic membrane |
-
2019
- 2019-03-07 KR KR1020190026191A patent/KR10199950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5366B1 (en) * | 2010-09-16 | 2013-02-20 | 한국농어촌공사 | Apparatus for Supplying Agricultural Water Containing Micro―Nano Bubbles |
KR101559312B1 (en) * | 2015-05-18 | 2015-10-15 | 주식회사 에이이 | Fine-Bubble Generator |
KR101842450B1 (en) * | 2018-01-04 | 2018-05-14 |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Continuous circulating wastewater reusing system using ceramic membran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324727A1 (en) * | 2021-04-12 | 2022-10-13 | Osram Gmbh | Apparatus for sterilizing a liqui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78356B2 (en) | Microbubble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1577348B1 (en) | Multi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1779748B1 (en) | System for water treatment | |
KR100938146B1 (en) | Waste water traement system using distribution manifold | |
US20230192512A1 (en) | Apparatus and procedure for cavitation water purification | |
CN101397161A (en) | Flocculation device | |
US20110084012A1 (en) | Hydrocyclone flotation system and wate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 |
JP4099456B2 (en) | Waste liquid treatment system | |
KR101999502B1 (en) | Wastewater reusing system using the selective operation | |
KR100970427B1 (en) |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micro-bubbles | |
KR101989833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drain water of land aquatic plant | |
KR101842450B1 (en) | Continuous circulating wastewater reusing system using ceramic membrane | |
JP2009195888A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 |
KR101704672B1 (en) | Decreasing device of waste water sludge | |
KR100530772B1 (en) | Second sewage treatment apparatus and treatment method thereof | |
KR101391903B1 (en) | The treatmenting equipment of contaminated water and treatment method utilizing thereof | |
KR101227257B1 (en) |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in river with non-wowenfabrics module | |
JP2007330894A (en) | Activated sludge treatment equipment | |
KR20220073159A (en) | Direct filtration apparatus having cleaning function | |
KR100804221B1 (en) |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Pressurized Turbulent Reactor | |
JP5005996B2 (en) | Waste water treatment method and waste water treatment equipment | |
KR102406985B1 (en) | waste water neutralization treatment | |
KR101219864B1 (en) |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airfloatation in the river | |
Pylkkanen | Clarification System | |
US20060283788A1 (en) | Tri-clone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3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7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