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99268B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268B1
KR101999268B1 KR1020150158596A KR20150158596A KR101999268B1 KR 101999268 B1 KR101999268 B1 KR 101999268B1 KR 1020150158596 A KR1020150158596 A KR 1020150158596A KR 20150158596 A KR20150158596 A KR 20150158596A KR 101999268 B1 KR101999268 B1 KR 101999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door
basket
washing tub
link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662A (ko
Inventor
류주희
박다위
전종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8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268B1/ko
Priority to US15/349,503 priority patent/US9795276B2/en
Priority to CN201680066170.7A priority patent/CN108348131A/zh
Priority to EP16864599.2A priority patent/EP3352639B1/en
Priority to PCT/KR2016/013003 priority patent/WO2017082673A1/en
Publication of KR20170055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2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6Arrangements for lifting rack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47L15/4221Arrangements for redirection of washing water, e.g. water diverters to selectively supply the spray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5Water-heat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7Arrangements for extracting racks, e.g. roller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1Drawers having a lift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47B46/00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by displacement in a vertical plane; by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하부 바스켓을 사용할 때의 불편함을 개선한 식기세척기를 개시한다. 식기세척기는 전면이 개방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상기 세척조 내부로 출입 가능한 바스켓, 상기 세척조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이 상기 세척조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도어 위에 안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상기 도어에 밀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에 이격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바스켓을 사용할 때의 불편함을 개선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장치로, 통상 예비세척, 본 세척, 헹굼, 건조단계를 거친다. 예비세척단계에서는 세제투입 없이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의 찌꺼기를 제거하고, 본 세척과정에서는 세척수를 분사함과 동시에 세제공급장치에 의해 세제가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식기의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식기세척기 내부에는 세척될 식기를 적재하기 위한 바스켓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부 바스켓과 하부 바스켓은 독립적으로 식기세척기 내부로 출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의 하부 바스켓은 사이즈가 크고 무거우며 다량의 식기를 세척할 경우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식기의 적재 및 수거 시 90도 가량 허리를 굽혔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식기세척기의 하부 바스켓을 사용할 때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하부 바스켓을 승, 하강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세척공간을 침범하지 않도록 개선된 승강장치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세척 및 배수 시 승강장치에 발생할 수 있는 오물 걸림 현상을 개선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전면이 개방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상기 세척조 내부로 출입 가능한 바스켓, 상기 세척조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이 상기 세척조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도어 위에 안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승된 위치와 하강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을 안내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도어에 밀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에 이격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하강된 위치일 때 상기 도어 내부에 묻혀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승된 위치일 때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도어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링크부재가 피봇 동작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이 승강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 때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겹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링크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게 배치됨으로써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를 연결하는 링크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 연결부재는 서로 겹치게 배치된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지지하도록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는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승 속도 또는 하강 속도를 완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완속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속장치는 왕복 운동 가능하고 상기 승강장치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가동 바디와 상기 가동 바디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댐핑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링크부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회전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은 그 하부에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롤러가 안착되는 레일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롤러의 이동을 제한하는 롤러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 마련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승강장치가 상기 도어 내부에 묻혀 있을 때 상기 승강장치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승강장치를 커버하였을 때 상기 승강장치 내부로 세척수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개방부를 가지는 세척조, 세척될 식기를 수용하는 바스켓 및 상기 세척조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전면과 배면을 가지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바스켓이 상기 세척조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바스켓을 안내하도록 상기 도어의 배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승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이동 속도를 줄이는 방향으로 댐핑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부에 마련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이 하강된 위치일 때,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도어의 전면과 배면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하강된 위치일 때 상기 승강장치를 덮도록 상기 도어 배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하부 바스켓에 식기를 적재 및 수거 시 사용자의 편의성이 개선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승강장치에 의해 점유되는 세척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 세척 및 배수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물 걸림 현상을 개선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적은 힘을 사용하여 하부 바스켓을 승, 하강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개방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가이드레일이 상승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 도어의 가이드레일이 상승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링크부재 및 링크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링크부재 및 링크 연결부재가 겹치게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도어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완속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완속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도어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완속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커버부재에 실링부가 포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에서 가이드레일이 상승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7의 식기세척기 도어의 가이드레일이 상승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개방한 도면
도 20은 도 19의식기세척기의 가이드레일이 상승한 도면
도 21은 도 19의 식기세척기의 가이드레일 및 승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도 19의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22의 C 부분의 확대도
도 24는 도 22의 C 부분의 확대도로서 롤러를 투명하게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롤러 및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도 25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식기 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12)와, 세척조(12)의 내부에 마련되고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14a,14b)과, 세척수를 포집하고 저장하는 섬프(20)와,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유닛(41,42,43)을 포함한다.
세척조(12)는 대략 박스 형상으로 마련되고, 식기를 출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전면을 갖는다. 세척조(12)의 개방된 전면은 도어(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11)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스켓(14a,14b)은 상부 바스켓(14a)과 하부 바스켓(1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바스켓(14a)은 상부 레일(13a)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하부 바스켓(14b)은 하부 레일(13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부 바스켓(14a)과 하부 바스켓(14b)은 상부 레일(13a)과 하부 레일(13b)에 의해 세척조(12)의 내부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섬프(20)에는 저장된 물을 분사유닛(41,42,43)으로 펌핑하는 세척펌프(21)가 마련될 수 있다. 세척펌프(21)에 의해서 펌핑된 세척수는 제 1 공급관(31)을 통해서 제 1 분사유닛(41)과 제 2 분사유닛(42)으로 공급되거나, 제 2 공급관(32)을 통해서 제 3 분사유닛(43)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세척조(12)의 하부에는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6)와,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펌프(22)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분사유닛(41)은 상부 바스켓(14a)의 상측에 마련되고, 제 2 분사유닛(42)은 상부 바스켓(14a)과 하부 바스켓(14b)의 사이에 마련되고, 제 3 분사유닛(43)은 하부 바스켓(14b)의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분사유닛(41)은 회전축(41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고, 제 2 분사유닛(42)은 회전축(42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분사유닛(41)은 상부 바스켓(14a)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고, 제 2 분사유닛(42)은 상부 바스켓(14a) 및 하부 바스켓(14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한편, 제 3 분사유닛(43)은 제 1 분사유닛(41)과 제 2 분사유닛(42)과는 달리 세척조(12)의 일 측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3 분사유닛(43)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며, 따라서 제 3 분사유닛(43)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직접 식기를 향하지 않을 수 있다.
제 3 분사유닛(43)은 세척수가 분사되는 노즐(44)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44)은 대략 세척조의 일 측면에서 반대 측면까지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고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제 3 분사유닛(43)의 노즐에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조(12)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환어셈블리(60)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하부 바스켓(14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전환어셈블리(60)는 홀더(64)에 의해 분사 레일(62)에 구속되며, 분사 레일(6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개방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가이드레일이 상승하였을 때의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가이드레일이 상승한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스켓은 상부 바스켓과 하부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바스켓은 하부 바스켓을 의미한다.
도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식기세척기(1)는 전면이 개방된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12), 세척조(12) 내부에 구비되어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14b) 및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는 하부에 마련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11)의 외부에 마련된 손잡이(미도시)를 잡아 당겨 도어(11)를 개방할 수 있다. 도어(11)는 상부가 바닥 방향으로 회전하며 개방될 수 있다.
도어(11)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바스켓(14b)이 세척조(12) 외부로 인출되었을 때, 바스켓(14b)이 도어(11)의 배면(11a) 위에 안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100)과, 가이드레일(100)에 의해 도어(11)의 배면(11a) 위에 안착된 바스켓(14b)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장치(120)는 가이드레일(100)이 승강된 위치와 하강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가이드레일(100)의 움직임을 안내할 수 있다.
도어(11)에 커버부재(110)가 설치되는 경우, 커버부재(110)의 배면(111)은 도어(11)의 배면(11a)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치(120)가 하강한 상태일 때 승강장치(120)는 도어(11) 내부에 묻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즉, 승강장치(120)가 도어(11) 내부에 묻혀 있을 때에는 승강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부재(110)로 승강장치(120)를 덮을 수 있다. 따라서, 도어(11)가 닫힌 상태에서는 승강장치(120)가 커버부재(110)에 의해 세척 공간으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도어(11)가 닫혔을 때, 세척조와 승강장치의 공간이 분리되며 간섭이 없는 구조의 승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승강장치가 세척 공간을 침범하지 않고, 동시에 세척수 또는 오물이 승강장치(120)를 오염시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의 아래에 있는 승강장치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14b)은 가이드레일(100)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100)과 결합한 바스켓(14b)을 사용자가 들어 올리면, 바스켓(14b)은 가이드레일(100)과 함께 승강장치(120)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바스켓(14b)이 상승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허리를 조금만 굽혀 식기를 적재하거나 수거할 수 있다.
바스켓(14b)은 그 하부에 복수개의 롤러(15)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15)에 의해 바스켓(14b)이 세척조(12) 내부로 부드럽게 출입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5)는 바스켓(14b)의 하부 양측에 2열로 배치될 수 있고, 각 열의 롤러는 동일한 개수일 수 있다. 이러한 롤러의 배치를 통해 바스켓(14b)이 롤러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는 바스켓(14b)을 세척 공간 밖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100)과, 가이드레일(100)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20) 및 승강장치(120)가 도어(11) 내부에 묻혀 있을 때 승강장치를 커버하는 커버부재(110)를 포함한다.가이드레일(100)은 바스켓(14b)의 롤러(1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가이드레일(100)은 바스켓(14b)의 롤러(15)가 구르는 이동 경로를 정의하며, 롤러(15)가 가이드레일(100)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레일(100)은 롤러(15)가 구르는 길을 형성하는 레일 홈(100a)과, 롤러(15)의 이동 경로와 수직인 방향 즉, 폭 방향으로 롤러(15)가 움직이지 않도록 규제하는 가이드 벽(100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벽(100b)이 롤러(15)의 바깥쪽을 규제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롤러(15)의 안쪽을 규제하는 위치에 형성되어도 효과는 동일하다.
이에 대한 변형 구조로서 롤러(15)의 외주면이 롤러(25)의 회전 중심 방향으로 움푹 파이도록 하고, 가이드레일(200)을 돌출된 리브 형태로 구성하여, 롤러(25)가 구를 때 좌우로 편향되지 않도록 만들 수도 있다(도 25, 26 참조).
또한, 바스켓(14b)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바스켓(14b)의 좌/우측 롤러(15)에 대응하여 양측 한 쌍의 가이드레일(100)을 구성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롤러(15)는 2열로 배치하더라도 가이드레일(100)은 좌/우 어느 한 쪽에만 배치되어도 무관하다. 또한, 가이드레일(100)을 양측의 한 쌍으로 배치한 경우에 각 가이드레일(100)이 동일한 형상일 필요는 없는데, 어느 한 쪽의 가이드레일(100)에는 가이드 벽(100b)이 형성되지 않거나, 레일 홈(100a)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치(120)는 가이드레일(100)이 도어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 가이드레일(100)을 지지하는 링크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130)의 일단에는 회동부(130a)가 마련되어, 회동부(130a)를 중심으로 링크부재가 도어에 대해 피봇 동작함으로써, 가이드레일(10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가이드레일(100)에 바스켓(14b)이 안착되었을 때에는 가이드레일(100)과 바스켓(14b)이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00)이 하강한 상태일 때 링크부재(130)는 도어(11)의 길이 방향 즉, 바스켓(14b)의 롤러(15)가 이동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도어(11) 내부에 묻혀 있게 된다. 가이드레일(100)이 상승하면 링크부재(130)는 회동부(130a)를 중심으로 피봇 동작하여 도어 외부로 노출된다. 즉, 링크부재(130)의 피봇 각도에 따라 가이드레일(100)의 상승 높이는 달라지게 된다.
하나의 가이드레일(100)에는 한 쌍의 링크부재(1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링크부재(130)는 제1링크부재(131)와 제2링크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링크부재(131, 132)는 가이드레일(100)의 하측에 일렬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링크부재(131)와 제2링크부재(132)의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겹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링크부재(130)는 그 내부에 공간이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링크부재(131)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131b,131c)과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의 한 쪽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31d)으로 구성되어, 제1링크부재(131)의 단면을 열린 직사각형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링크부재(132)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132b,132c)과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의 한 쪽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32d)으로 구성되어, 제2링크부재(132)의 단면을 열린 직사각형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링크부재(131, 132)는 상대에 대해 먼 방향에 연결 프레임(131d, 132d)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레일(100)이 도어 내부에 묻힌 상태에서는 어느 링크부재의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은 상대 링크부재의 한 쌍의 측면 프레임 사이에 끼여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링크부재(131,132)가 서로 중첩됨에 따라 어느 한 쪽 링크부재(131)의 하나의 측면프레임(131b)과 연결프레임(131d), 그리고 다른 한 쪽 링크부재(132)의 하나의 측면프레임(132c)과 연결프레임(132d)에 의해 정해지는 링크부재의 내부공간(133)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133)에는 링크 연결부재(140)가 배치될 수 있다.
링크 연결부재(140)는 제1링크부재(131)와 제2링크부재(132)를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링크부재(131, 132)의 피봇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링크 연결부재(140)의 일단(140a)은 제1링크부재(131)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고, 링크 연결부재(140)의 타단(140b)은 제2링크부재(132)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링크부재(131)에 결합된 링크 연결부재(140)의 일단(140a)은 상기 링크부재(131)의 회동부(131a)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만들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00)이 도어 내부에 묻혀 있는 상태에서, 한 쌍의 링크부재(131, 132)에 의해 내부공간(133)이 형성되게 되고, 링크 연결부재(140)는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131, 132)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승강장치가 차지하는 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링크 연결부재(140)를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이드레일(100)을 들어올리는데 필요한 힘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링크 연결부재(140)를 스프링으로 구성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이드레일(100)이 하강한 상태일 때, 한 쌍의 링크부재(131, 132) 및 스프링은 도어(11)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스프링은 그 길이가 늘어난 상태 즉, 바이어스된 상태에 있다. 가이드레일(100)이 상승을 하기 시작하면, 제1링크부재(131)와 스프링의 연결 지점과 제2링크부재(132)와 스프링의 연결지점간의 거리가 점차 가까워진다. 즉, 스프링의 길이는 점차 짧아진다. 이 때,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 힘은 가이드레일(100)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특히, 가이드레일(100) 위에 식기가 적재된 바스켓(14b)이 안착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작은 힘으로도 바스켓(14b)과 가이드레일(100)을 승강시킬 수 있다. 가이드레일(100)을 상승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을 더 줄이기 위해, 스프링의 개수, 탄성계수 또는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스프링의 탄성력이 너무 강해지면 가이드레일(100)이 급히 상승하게 되어, 가이드레일(100) 위에 안착된 바스켓(14b)에 적재된 식기가 충격을 받아 손상되거나 바스켓에서 이탈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 도어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승강장치(120)는 링크부재(131)가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회전 스토퍼(16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131)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목적은 가이드레일(100)의 최대 상승 높이를 규제하기 위함이다. 이는, 가이드레일(100)위에 안착된 바스켓(14b)이 적절한 높이로 상승하여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식기를 적재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승강장치(120)는 회전 스토퍼(160)와 협력하는 완속장치(150)를 구비할 수 있는데, 회전 스토퍼(160)의 동작 설명에 앞서 완속장치(150)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완속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완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승강장치(120)는 가이드레일(100)의 승강 속도 또는 하강 속도를 완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완속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완속장치(150)는 바스켓(14b)이 안착된 가이드레일(100)이 최고 위치 또는 최저 높이에서 멈추기 전에 가이드레일(100)의 속도를 완화시킴으로써, 바스켓(14b)에 적재된 식기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속장치(150)는 왕복 운동하는 가동 바디(151), 가동 바디(15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바디 케이스(152), 가동 바디(151)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댐핑 스프링(153) 및 하우징(154)을 포함할 수 있다. 가동 바디(151)의 양 측면에는 슬라이딩 돌기(151a)가 마련될 수 있고, 바디 케이스(152)에는 슬라이딩 돌기(151a)에 맞물리는 슬라이딩 홈(152a)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홈(152a)은 바디 케이스(1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 양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바디(151)는 바디 케이스(152) 내부에서 바디 케이스(152)의 길이만큼 전, 후진이 가능하다. 이 때, 가동 바디(151)가 바디 케이스(152)의 개방된 전면부를 통해 바디 케이스(15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디 케이스(152)의 전면부 근방에는 슬라이딩 홈(152a)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동 바디(151)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가동 바디(151)가 삽입된 바디 케이스(152)는 하우징(154)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가동 바디(151)와 하우징(154) 사이에는 댐핑 스프링(153)이 마련된다. 따라서, 가동 바디(151)를 후진시키기 위해서는 댐핑 스프링(153)의 탄성력 이상의 힘이 필요하다. 가동 바디(151)에 힘을 가하면 가동 바디(151)는 후진하여 바디 케이스(152) 내부로 삽입되고, 그 힘이 댐핑 스프링(153)의 탄성력과 같아지면 가동 바디(151)는 후진하지 않는다. 가동 바디(151)에 가해지는 힘이 사라지면, 가동 바디(151)는 댐핑 스프링(15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전진하여 돌출된다. 따라서, 댐핑 스프링(153)이 압축될 수 있는 길이에 따라 가동 바디(151)가 제공하는 댐핑력이 결정되는데, 본 실시예에서의 완속장치(150)는 댐핑 스프링(153)이 압축될 수 있는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속장치(150)의 하우징(154)에는 댐핑 스프링(153)을 사이에 두고 가동 바디(151)의 반대 쪽에 배치되는 써포트(155) 및, 가동 바디(151)의 이동 방향을 따라 써포트(155)의 위치를 조절하는 댐핑 조절 탭(156)이 장착된다. 써포트(155)에는 댐핑 스프링(153)의 일단을 수용하는 리세스(155a)와, 댐핑 조절 탭(156)과 결합하기 위한 스크루 홀(155b)이 형성된다. 댐핑 조절 탭(156)은 하우징(154)에 형성된 관통홀(154a)에 의해 끼워져, 하우징(15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댐핑 조절 탭(156)은 댐핑 조절 탭(156)을 돌릴 때 잡는 부분인 노브(156a)와 노브(156a)로부터 연장되어 하우징(154)을 관통하게 되는 스템(stem, 156b)으로 구성되며, 써포트(155)의 스크루 홀(155b)에 결합되는 스템(156b)의 일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루부(156c)가 형성된다.
한편, 써포트(155)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써포트(155)의 적어도 일면이 하우징(154)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댐핑 조절 탭(156)을 돌릴 때 써포트(155)는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댐핑 조절 탭(156)의 노브(156a)을 잡고 돌리면 스템(156b)이 회전하면서 스템(156b)과 나사 결합된 써포트(155)의 위치는 앞으로 또는 뒤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써포트(155)와 가동 바디(151)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되고, 그 사이에 배치된 댐핑 스프링(153)의 길이는 짧아지거나 길어지게 된다. 댐핑 스프링(153)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가동 바디(151)를 바디 케이스(152)의 전방으로 바이어스하려는 힘이 커지므로, 완속장치(150)가 제공하는 댐핑력이 더 커지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도어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완속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의 완속장치(150) 및 회전스토퍼(16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완속장치(150)는 완속장치(150)의 길이 방향이 링크부재(130)의 길이 방향과 연장선 상에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이드레일(100)이 상승할 때, 링크부재(131)의 회전 스토퍼(160)에 의해 가동 바디(151)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00)이 하강한 상태일 때에는 회전 스토퍼(160)와 가동 바디(151)는 일정한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링크부재(131,132)가 도어(11)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을 때에는 회전 스토퍼(160)와 가동 바디(151)는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가이드레일(100)을 들어올려 링크부재(131,132)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회전 스토퍼(160)와 가동 바디(151)의 거리는 점점 가까워진다. 링크부재(131,132)가 회전을 계속함에 따라 회전 스토퍼(160)와 가동 바디(151)는 접촉하게 되고, 회전 스토퍼(160)는 가동 바디(151)가 후퇴하는 방향으로 가동 바디(151)를 가압한다. 한편, 가동 바디(151)에 전달된 힘에 의해 댐핑 스프링(153)이 압축됨에 따라, 댐핑 스프링(153)은 가동 바디(151)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 즉, 댐핑력을 제공한다. 가동 바디(151)에 제공되는 댐핑력은 회전 스토퍼(160)에 전달되어 링크부재(130)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완속장치(150)는 가이드레일(100)이 최고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가이드레일(100)의 상승 속도를 완화시킨다. 동시에, 완속장치(150)의 가동 바디(151)가 회전 스토퍼(160)와 접촉함으로써 링크부재(1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게 된다.
이상에서 완속장치(150)가 가이드레일(100)의 상승 속도를 완화시키는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이러한 실시예와 함께 또는 별도로, 가이드레일(100)의 하강 속도를 완화시키기 위해 완속장치(150)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가이드레일(100)이 상승함에 따라 완속장치(150)의 가동 바디(151)가 후퇴하도록 구성한 실시예와 반대로, 가이드레일(100)이 하강할 때, 링크부재(130)의 일부분이 가동 바디(151)를 후진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완속장치(150)의 길이 방향이 링크부재(13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00)이 상승한 상태일 때, 링크부재(130)와 완속장치(150)는 접촉하지 않는다. 가이드레일(100)을 아래로 밀어 링크부재(130)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링크부재(130)와 가동 바디(151)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진다. 링크부재(130)가 회전을 계속함에 따라 링크부재(130)와 가동 바디(151)는 접촉하게 되고, 링크부재(130)는 가동 바디(151)를 후진시키게 된다. 이 때, 링크부재(130)는 가동 바디(151)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힘을 가하게 되므로 힘이 전달되는 방향을 전환시켜 가동 바디(151)가 후퇴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가동 바디(151)가 링크부재(130)와 접촉하는 부위를 경사지게 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함으로써, 링크부재(130)가 위에서 아래로 미는 힘을 가할 때 가동 바디(151)가 후진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완속장치(150)는 가이드레일(100)의 급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가동 바디(151)를 후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댐핑 스프링(153) 탄성력 이상의 힘이 필요하므로, 링크부재(130)가 가동 바디(151)를 후진시키면서 링크부재(130)의 회전속도가 감소한다. 링크부재(130)의 회전속도가 느려짐에 따라 가이드레일(100)의 하강 속도 또한 느려지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커버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에서 가이드레일이 상승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10)는 승강장치(120) 내부에 세척수 또는 오물이 침투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그 테두리에 실링부(110a)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110a)는 커버부재(110)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커버부재(110)와 도어(11)의 배면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실링구조를 통해, 식기세척기가 동작하거나 가이드레일(100)이 하강한 상태일 때는 링크부재(130) 및 링크 연결부재(140) 등에 세척수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세척수 및 오물로 인해 승강장치가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식기세척기에서 도어의 가이드레일이 상승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00)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이러한 한 쌍의 가이드레일(100) 사이에는 커버부재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한 쌍의 가이드레일(100)은 서로 분리 설치될 수 있다.
각 가이드레일(100)은 링크부재들에 의해 지지되고, 제1링크부재(131)와 제2링크부재(132)가 회동함에 따라 승강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승강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5 내지 도 7에 개시된 것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 18의 실시예에서는, 커버부재를 생략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자재의 수가 축소되며, 원가가 절감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개방한 도면이고, 도 20은 도 19의 식기세척기의 가이드레일이 상승한 도면이며, 도 21은 도19의 식기세척기의 가이드레일 및 승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2)는 전면이 개방된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12), 세척조(12) 내부에 구비되어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14b) 및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는 하부에 마련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11)의 외부에 마련된 손잡이(미도시)를 잡아 당겨 도어(11)를 개방할 수 있다. 도어(11)는 상부가 바닥 방향으로 회전하며 개방될 수 있다.
도어(11)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바스켓(14b)이 세척조(12) 외부로 인출되었을 때, 바스켓(14b)이 도어(11)의 배면 위에 안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100)과, 가이드레일(100)에 의해 도어(11)의 배면 위에 안착된 바스켓(14b)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장치(220)는 가이드레일(100)이 도어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 가이드레일(100)을 지지하는 링크부재(230)와, 댐퍼(240) 및 링크부재(230)와 댐퍼(240)를수용하는 승강장치 케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가이드레일(100)에는 한 쌍의 링크부재(2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링크부재(230)는 제1링크부재(231)와 제2링크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링크부재(231,232)는 가이드레일(100)의 하측에 일렬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링크부재(230)의 일단에는 회동부(231a)(232a)가 마련되어, 회동부(231a)(232a)를 중심으로 링크부재(230)가 도어(11)에 대해 피봇 동작함으로서, 가이드레일(10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가이드레일(100)에 바스켓(14b)이 안착되었을 때에는 가이드레일(200)과 바스켓(14b)이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승강장치(220)가 하강한 상태일 때 승강장치(220)는 도어(11) 내부에 묻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즉, 승강장치(220)가 도어(11) 내부에 묻혀 있을 때에는 승강장치(2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부재(110)로 승강장치를 덮을 수 있다. 따라서, 도어(11)가 닫힌 상태에서는 승강장치가 커버부재(110)에 의해 세척 공간으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따라서, 식기세척기(2)는 도어(11)가 닫혔을 때, 세척조와 승강장치의 공간이 분리되며 간섭이 없는 구조의 승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승강장치 케이스(250)의 일측에는 제1링크부재(23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제1회동축(251)과, 제2링크부재(232)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제2회동축(252)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승강장치 케이스(250)의 타측에는 댐퍼(24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댐퍼 회동축(253)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회동축(251) 및 제2회동축은 링크부재(230)의 회동부(231a, 232a)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댐퍼(240)의 일단에는 댐퍼 회동부(240a)가 마련되어, 댐퍼 회동부(240a)를 중심으로 댐퍼가 도어에 대해 피봇 동작하며, 댐퍼 회동축(253)은 댐퍼 회동부(240a)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승강장치 케이스(250)는 그 일측에 링크부재(230)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회전 스토퍼(26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2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목적은 가이드레일(100)의 최대 상승 높이를 규제하기 위함이다. 이는, 가이드레일(100) 위에 안착된 바스켓(14b)이 적절한 높이로 상승하여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식기를 적재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부재(231)의 전방에 배치된 회전 스토퍼(260)로 인해, 제1링크부재(231)는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제1링크부재(231)가 회전 스토퍼(260)와 접촉하게 되면, 회전 스토퍼(260)가 제1링크부재(231)의 회전 경로를 막기 때문이다. 회전 스토퍼(260)의 위치 및 구조는 도 21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링크부재의 회전을 막도록 구성되는 것이라면 다른 구조로 변형 가능하다. 가이드레일(100)이 하강한 상태일 때 링크부재(230)와 댐퍼(240)는 승강장치 케이스(2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1에 나타나 있듯이, 댐퍼(240)는 그 일단이 승강장치 케이스(250)에 마련된 댐퍼 회동축(253)을 중심으로 피봇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제2링크부재(232)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댐퍼(240)는 길이가 가변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댐퍼(240)는 그 특성상 길이가 가변 가능하고, 길이를 빠르게 늘리거나 줄이려면 힘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댐퍼(240)는 길이가 가변 가능하나 그 길이는 댐퍼(240)의 특성으로 인해 급격하게 변하지 않는다. 이러한 댐퍼(240)의 특성으로 인해, 가이드레일(100)을 상승시킬 때 필요한 힘이 줄어들 수 있고, 가이드레일(100)의 하강 속도를 늦출 수 있다.댐퍼(240)의 내부에는 오일이 수용될 수 있다. 댐퍼(240) 내부의 오일은 댐퍼(240)의 급격한 길이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댐퍼(240)의 내부에는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댐퍼(240) 내부의 스프링은 댐퍼의 길이가 짧아질 때 탄성력을 축적하고 댐퍼의 길이가 길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댐퍼(240)는 가이드레일(100)이 하강한 상태일 때 도어(11)의 길이 방향 즉, 바스켓(14b)의 롤러(15)가 이동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묻혀 있게 된다. 이 때, 댐퍼(240)의 길이는 짧은 상태일 수 있다. 가이드레일(100)이 상승하기 시작하면, 링크부재(230)는 회동부(231a)(232a)를 중심으로 피봇 동작하고, 회동부재에 연결된 댐퍼(240)는 그 길이가 길어지기 시작한다. 댐퍼(240)가 길어지면서 댐퍼(240)는 링크부재(230)에 미는 힘을 작용하고, 그에 따라 가이드레일(100)을 들어올리는 데 필요한 힘을 줄일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가이드레일을 너무 빨리 들어올리려고 하면, 댐퍼는 그 특성상 링크부재에 당기는 힘을 작용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가이드레일의 급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댐퍼(240)는 가이드레일(200)이 상승한 상태일 때 그 길이가 길어진 상태일 수 있다. 가이드레일(200)이 하강하기 시작하면, 링크부재(230)가 회동부(231a)(232a)를 중심으로 피봇 동작하고, 링크부재(230)에 연결된 댐퍼(240)는 그 길이가 짧아지기 시작한다. 이 때, 댐퍼(240)는 식기를 포함한 바스켓의 하중을 견디며 가이드레일(100)의 하강 속도를 늦춘다. 즉, 댐퍼(240)는 바스켓(14b)이 안착된 가이드레일(100)의 하중을 보조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바스켓을 승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기가 바스켓에 적재된 상태에서도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승강장치가 구동될 수 있다.
도 22는 도 19의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도 22의 C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24는 도 22의 C 부분의 확대도로서 롤러를 투명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바스켓(14b)은 그 하부에 복수개의 롤러(15)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15)에 의해 바스켓(14b)이 세척조(12) 내부로 부드럽게 출입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00)은 롤러(15)가 삽입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롤러(1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00)은 일단(102)이 열려있고, 타단(104)이 닫혀있을 수 있다. 롤러(15)는 가이드레일(100)의 열린 일단(102)을 통해 삽입되고 닫힌 타단(104)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00)은, 롤러(15)가 닫힌 타단까지 삽입되었을 때, 롤러(15)를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롤러 스토퍼(101)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스토퍼(101)는 가이드레일(100)의 닫힌 타단에 마련될 수 있다. 롤러 스토퍼(101)는 걸림턱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롤러 및 가이드레일에 대한 변형 구조로서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5)의 외주면이 롤러(25)의 회전 중심 방향으로 움푹 파이도록 하고, 가이드레일(200)을 돌출된 리브 형태로 구성하여, 롤러(15)가 구를 때 좌우로 편향되지 않도록 만들 수 있다.
롤러(25)는 그 외주면의 가운데가 롤러(25)의 회전 중심 방향으로 움푹 파인 함몰부(25a)와, 함몰부(25a)의 양 측면으로서 롤러(25)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돌출부(2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200)은 롤러(25)의 함몰부(25a)에 대응되게 돌출된 레일 돌출부(200a)와, 레일 돌출부(200a)의 양 측면에 형성되고 롤러(25)의 돌출부(25b)와 접촉하는 레일 바닥부(200b)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25)의 함몰부(25a)에 레일 돌출부(200a)가 삽입되고, 롤러(25)는 레일 돌출부(200a)를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드 벽을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롤러(25)가 좌우로 편향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2 : 식기세척기 10 : 본체
11: 도어 12 : 세척조
14a, 14b : 바스켓 13a : 상부 레일
14a : 하부 레일 15, 25 : 롤러
20 : 섬프 21 : 세척펌프
22 : 배수펌프 31 : 제 1 공급관
32 : 제 2 공급관 41 : 제 1 분사유닛
42 : 제 2 분사유닛 43 : 제 3 분사유닛
100, 200 : 가이드레일 100a : 레일 홈
100b : 가이드 벽 110 : 커버부재
110a : 실링부 120, 220 : 승강장치
130 : 링크부재 130a : 회동부
140 : 링크 연결부재 150 : 완속장치
151 : 가동 바디 151a : 슬라이딩 돌기
152 : 바디 케이스 153 : 댐핑 스프링
154 : 하우징 155 : 써포트
156 : 댐핑 조절 탭 160 : 회전 스토퍼
240 : 댐퍼 250 : 승강장치 케이스
260 : 회전 스토퍼

Claims (20)

  1. 전면이 개방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상기 세척조 내부로 출입 가능한 바스켓;
    상기 세척조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이 상기 세척조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도어 위에 안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승된 위치와 하강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을 안내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도어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이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겹치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와,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링크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하강된 위치일 때 상기 도어 내부에 묻혀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승된 위치일 때 상기 도어 외부로 노출되는 식기세척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지지하도록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는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승 속도 또는 하강 속도를 완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완속장치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완속장치는, 왕복 운동 가능하고 상기 승강장치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가동 바디와, 상기 가동 바디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댐핑 스프링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링크부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회전 스토퍼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그 하부에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롤러가 안착되는 레일 홈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롤러의 이동을 제한하는 롤러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은 한 쌍으로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이 하강된 위치일 때, 상기 승강장치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승강장치를 커버하였을 때 상기 승강장치 내부로 세척수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6. 개방부를 가지는 세척조;
    세척될 식기를 수용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이 상기 세척조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바스켓을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승된 위치와 하강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을 안내하는 승강장치; 및
    상기 세척조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승 속도 또는 하강 속도를 완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완속장치를 포함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완속장치는, 왕복 운동 가능하고 상기 승강장치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가동 바디와, 상기 가동 바디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댐핑 스프링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도어의 배면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이 하강된 위치일 때,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도어의 전면과 배면 사이에 수용되는 식기세척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하강된 위치일 때 상기 승강장치를 덮도록 상기 도어 배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0. 전면이 개방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상기 세척조 내부로 출입 가능한 바스켓;
    상기 세척조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이 상기 세척조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도어 위에 안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승된 위치와 하강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을 안내하는 승강장치; 및
    상기 가이드레일이 하강된 위치일 때, 상기 승강장치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승강장치를 커버하였을 때 상기 승강장치 내부로 세척수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50158596A 2015-11-12 2015-11-12 식기세척기 Active KR101999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596A KR101999268B1 (ko) 2015-11-12 2015-11-12 식기세척기
US15/349,503 US9795276B2 (en) 2015-11-12 2016-11-11 Dish washing machine
CN201680066170.7A CN108348131A (zh) 2015-11-12 2016-11-11 洗碗机
EP16864599.2A EP3352639B1 (en) 2015-11-12 2016-11-11 Dish washing machine
PCT/KR2016/013003 WO2017082673A1 (en) 2015-11-12 2016-11-11 Dish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596A KR101999268B1 (ko) 2015-11-12 2015-11-12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662A KR20170055662A (ko) 2017-05-22
KR101999268B1 true KR101999268B1 (ko) 2019-07-12

Family

ID=58690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596A Active KR101999268B1 (ko) 2015-11-12 2015-11-12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95276B2 (ko)
EP (1) EP3352639B1 (ko)
KR (1) KR101999268B1 (ko)
CN (1) CN108348131A (ko)
WO (1) WO2017082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09964B (zh) * 2014-08-25 2019-09-10 工业涡轮(英国)有限公司 燃气涡轮发动机封装件以及相应的方法
US9895046B1 (en) * 2016-12-27 2018-02-20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rack lift system
US10159398B2 (en) 2016-12-27 2018-12-25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rack system
TR201715852A2 (tr) * 2017-10-16 2019-05-21 Guelsen Guengen Bulaşik maki̇nesi̇ hareketli̇ raf yapilanmasi
CN108371723B (zh) * 2018-03-14 2023-09-01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升降机构和消毒设备
KR102492728B1 (ko) * 2018-05-08 2023-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405656B1 (en) * 2018-09-27 2019-09-10 Larry M. Lawrence Drawer sliding mechanism
WO2020122520A1 (ko) * 2018-12-10 2020-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N109431426B (zh) * 2018-12-12 2024-04-16 于维恕 一种拉升式碗篮
CN111374618B (zh) * 2018-12-28 2024-03-0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
CN111945359B (zh) * 2020-07-15 2021-09-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衣物清洗设备
CN114224258B (zh) * 2021-11-22 2023-08-15 宁波欧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消毒、烘干一体式水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5822A (en) 1991-03-20 1992-05-26 Nichols Will E Dishwasher basket assembly including lift mechanism
KR100220731B1 (ko) * 1997-04-28 1999-09-15 윤종용 식기세척기의 하부바스켓 이송장치
US20080018215A1 (en) 2006-07-20 2008-01-24 Maytag Corp. Bottom mount refrigerator having an elevating freezer basket
US20080129168A1 (en) * 2006-11-30 2008-06-05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rack lif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1513A (en) * 1998-03-19 1999-10-26 Cassalia; Alan B. Easy load extendable/retractable bottom dishwasher rack
US6247771B1 (en) * 2000-08-18 2001-06-19 Evelyn J. Miller Lower rack lifting device for a dishwasher
KR20040076668A (ko) 2003-02-26 2004-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US8303053B2 (en) * 2004-09-30 2012-11-06 Easy Lift, Llc Shelf extending and lifting system
KR100854998B1 (ko) 2007-03-28 2008-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DE202009004771U1 (de) * 2009-04-30 2010-09-09 Paul Hettich Gmbh & Co. Kg 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r in einem Haushaltsgerät über mindestens eine Auszugsführung geführten Ablage
EP3085294A1 (de) * 2015-04-24 2016-10-26 BSH Hausgeräte GmbH Hebevorrichtung und geschirrspülmas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5822A (en) 1991-03-20 1992-05-26 Nichols Will E Dishwasher basket assembly including lift mechanism
KR100220731B1 (ko) * 1997-04-28 1999-09-15 윤종용 식기세척기의 하부바스켓 이송장치
US20080018215A1 (en) 2006-07-20 2008-01-24 Maytag Corp. Bottom mount refrigerator having an elevating freezer basket
US20080129168A1 (en) * 2006-11-30 2008-06-05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rack lif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662A (ko) 2017-05-22
US20170135554A1 (en) 2017-05-18
US9795276B2 (en) 2017-10-24
EP3352639A4 (en) 2018-11-21
WO2017082673A1 (en) 2017-05-18
EP3352639A1 (en) 2018-08-01
EP3352639B1 (en) 2019-10-02
CN108348131A (zh)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268B1 (ko) 식기세척기
KR102541186B1 (ko)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JP2004255170A (ja) 食器洗い機
KR20040047014A (ko) 식기세척기의 선반 높이 조절장치
KR101100501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잠금장치
JP3417352B2 (ja) 食器洗い機
KR100981720B1 (ko) 식기세척기
JP2559108B2 (ja) 食器洗浄機のフ−ド昇降装置
KR102722277B1 (ko) 식기 세척기
CN108056718B (zh) 水槽式清洗机的开盖结构
JP4527558B2 (ja) 洗浄装置
JP2003000518A (ja) 食器洗い機
KR20050105713A (ko) 식기 세척기의 탑 테이블 구조
KR20150009399A (ko) 식기세척기
KR100378709B1 (ko) 서랍식 식기 세척기의 밀폐 구조
CN207575117U (zh) 水槽式清洗机的开盖结构
KR101238079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구조
JP2003093309A (ja) 食器洗浄機
KR102313446B1 (ko) 식기 안착부의 승강 기능을 구비한 초음파 식기세척기
CN108056723B (zh) 水槽式清洗机
JP2023042014A (ja) 食器洗い機
KR101208156B1 (ko) 식기 세척기
KR20130033810A (ko) 식기세척기
CN108056735B (zh) 水槽式清洗机的开盖结构
JP2023042015A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1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0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7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