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702B1 - Slave device for a two- wire bus system - Google Patents
Slave device for a two- wire bus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8702B1 KR101998702B1 KR1020170114383A KR20170114383A KR101998702B1 KR 101998702 B1 KR101998702 B1 KR 101998702B1 KR 1020170114383 A KR1020170114383 A KR 1020170114383A KR 20170114383 A KR20170114383 A KR 20170114383A KR 101998702 B1 KR101998702 B1 KR 1019987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ock
- data
- pin
- address
- input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 Contro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핀과 클럭핀의 구분 연결 없이도 슬레이브 어드레스를 설정하여 마스터 디바이스와 통신 수행할 수 있는 투-와이어 버스(Two-Wire Bus)용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투-와이어 버스의 클럭 라인에 연결되는 클럭핀에 클럭입력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버스의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는 데이터핀에 데이터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핀으로 입력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자신에게 부여된 슬레이브 디바이스 어드레스와 동일하면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를 출력하는 정상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과, 상기 클럭핀에 데이터입력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핀에 클럭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클럭핀으로 입력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자신에게 부여된 슬레이브 어드레스와 동일하면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를 출력하는 교차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과, 상기 정상 연결 및 교차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를 상기 클럭핀과 상기 데이터핀중 어느 하나로 선택 출력하는 신호 선택 출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ve device for a two-wire bu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master device by setting a slave address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a data pin and a clock pin, A clock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a clock pin to be connected and a data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a data pin connected to a data line of the bus to decode a slave device address input to the data pin and is identical to a slave device address assigned to the data pin A normal connection bit layer unit for outputting an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a data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clock pin, a clock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data pin, decodes a slave device address input to the clock pin, If it is the same as the slave address And a signal selec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output from the normal connection and cross connection bit layer unit to one of the clock pin and the data pin, ; And
Description
본 발명은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핀과 클럭핀의 구분 연결 없이도 슬레이브 어드레스를 설정하여 마스터 디바이스와 통신 수행할 수 있는 투-와이어 버스(Two-Wire Bus)용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ve device for a two-wire bu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ve device for a two-wire bu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master device by setting a slave address without separately connecting a data pin and a clock pin. .
일반적으로 와 같은 투-와이어 버스를 통해 데이터 통신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101)는 클럭핀(105)과 데이터핀(104) 각각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와이어 버스(106,107)를 통해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클럭핀(102)과 데이터핀(103)에 연결된다.Generally A
만약 2개 이상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투-와이어 버스에 연결하여 시스템을 구성한다면 슬레이브 어드레스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슬레이브 디바이스(201,202)에 어드레스(ADD)핀(209,212)을 사용하거나, 내부 메모리를 사용하거나 기타 다른 추가적인 과정과 방법으로 투-와이어 버스의 슬레이브 어드레스를 수정 사용한다.If two or more slave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two-wire bus to configure the system, address (ADD)
그러나 작업자의 착오 혹은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핀 식별이 불분명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클럭핀을 투-와이어 버스의 데이터 라인에,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데이터핀을 투-와이어 버스의 클럭 라인에 서로 교차하여 연결할 경우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마스터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예를 들면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어드레스 미설정으로 인해 오동작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when an operator's error or the pin identification of the slave device is unclear, when the slave device's clock pin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of the two-wire bus and the data pin of the slave device is connected to the clock line of the two-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master device, for example, the address of the slave device, can not be normally received and malfunctions due to the address unsetting.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발명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투-와이어 버스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사용 가능하되, 클럭핀과 데이터핀을 구분하여 투-와이어 버스에 연결하지 않고서도 부여된 어드레스를 설정하여 정상 동작할 수 있는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있으며,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a system using a two-wire bus, Wire bus, which can operate normally by setting an address assigned to the slave device.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럭핀과 데이터핀 외에 어드레스핀을 더 구비하되, 기존 어드레스핀 추가된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비해 더 많은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어드레스 설정토록 함으로써, 투-와이어 버스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ddress pin in addition to an address pin in addition to a clock pin and a data pin so as to address more slave device addresses than a slave device to which an existing address pin is added, And a slave device for a two-wire bus capable of improving the degree of freedom of layout of a system to be used.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lave device for a two-wire bus,
투-와이어 버스의 클럭 라인에 연결되는 클럭핀에 클럭입력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버스의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는 데이터핀에 데이터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핀으로 입력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자신에게 부여된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어드레스와 동일하면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를 출력하는 정상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과;A clock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a clock pin connected to the clock line of the two-wire bus and a data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a data pin connected to the data line of the bus to decode a slave device address input to the data pin, A normal connection bit layer unit for outputting an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if it is the same as the address of the slave device;
상기 클럭핀에 데이터입력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핀에 클럭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클럭핀으로 입력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자신에게 부여된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어드레스와 동일하면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를 출력하는 교차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과;A data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lock pin, a clock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ata pin, and a slave device address input to the clock pin is decoded. If the address is the same as the address of the slave device assigned to the slave device, A crossing bit layer unit;
상기 정상 연결 및 교차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를 상기 클럭핀과 상기 데이터핀중 어느 하나로 선택 출력하는 신호 선택 출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ignal selection output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an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output from the normal connection and cross connection bit layer unit to one of the clock pin and the data pin.
상술한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정상 연결 및 교차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은 상기 투-와이어 버스에 연결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수에 따라 하나 이상 구비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며,In the above-described slave device for a two-wire bus, the normal connection and cross connection bit layer units ar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slave devices connected to the two-wire bus,
상기 교차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은 자신의 데이터 출력단자와 상기 정상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의 데이터 출력단자 중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를 상기 투-와이어 버스로 전달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상기 신호 선택 출력부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cross connection bit layer unit transmits a selection signal for transferring an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output from one of its data output terminal and a data output terminal of the normal connection bit layer unit to the two- And outputs it to an output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는,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lave device for a two-wire bus,
클럭핀과 데이터핀 및 어드레스(ADD)핀을 구비하되, 이들 3개의 핀중 2개 각각은 투-와이어 버스의 클럭 라인과 데이터 라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나머지 핀 하나는 전원단(VDD) 혹은 접지단(GND)에 연결되되,Each of the three pins is connected to one of a clock line and a data line of a two-wire bus, and the other pin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terminal (VDD) or a ground line Connected to the ground (GND)
클럭입력단자와 데이터입력단자가 상기 3개의 핀중 2개의 핀에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디코팅하여 자신에게 부여된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어드레스와 동일하면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비트 레이어 유닛과;A clock input terminal and a data input terminal are connected to two of the three pins to decoat a slave device address input from the data line and output an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if the address is the same as the address of a slave device assigned to the slave device A plurality of bit layer units;
상기 복수의 비트 레이어 유닛 중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를 상기 클럭 라인과 상기 데이터 라인중 어느 하나로 선택 출력하는 신호 선택 출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ignal selection / output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an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output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it layer units to one of the clock line and the data line.
이러한 구성의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선택 출력부는.In the slave device for a two-wire bus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signal selection output section includes:
상기 복수의 비트 레이어 유닛 각각의 클럭입력단자와 데이터입력단자에 투-와이어 버스의 클럭 라인과 데이터 라인, 전원단 및 접지단이 연결되는 것에 따라 서로 다른 값으로 출력되는 비트값들의 조합정보에 따라 상기 입력되는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의 출력경로를 가변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며,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bit values outputted as different values as the clock line and the data line, the power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of the two-wire bus are connected to the clock input terminal and the data input termina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it layer units, And an output path of the input address setting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is variably set,
상기 비트값들은,The bit values,
상기 클럭입력단자와 상기 데이터입력단자 각각에 상기 클럭 라인과 데이터 라인 연결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논리레벨을 가지고 출력되는 선택신호비트와;A selection signal bit having a different logic level depending on whether the clock line and the data line are connected to the clock input terminal and the data input terminal, respectively;
상기 데이터입력단자에 전원단 연결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논리레벨을 가지고 출력되는 전원연결신호비트와;A power connection signal bit output at a different logic level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pow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ata input terminal;
상기 데이터입력단자에 접지단 연결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논리레벨을 가지고 출력되는 접지연결신호비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nd a ground connection signal bit output at a different logic level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data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투-와이어 버스의 클럭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클럭핀과 데이터핀에 정상 혹은 교차 연결될 경우에도 그 정상 연결 혹은 교차 연결 상태에 각각 반응하는 비트 레이어 유닛을 복수 개 구비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생성된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ACK)를 투-와이어 버스의 데이터 라인에 선택 전달하는 회로 구성을 추가함으로써, 클럭핀과 데이터핀을 구분하여 투-와이어 버스에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설령 작업자의 실수로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클럭핀에 투-와이어 버스의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었다 하더라도 투-와이어 버스 시스템은 정상 동작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the slave device for the two-wire b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onnecting the clock line and the data line of the two-wire bus to the clock pin and the data pin, By adding a circuit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bit layer units each responsive to a cross connection state are selectively provided and an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ACK) generated from any one of them is selectively transferred to a data line of a two-wire bus, There is no need to separate the pins from the data pins and connect to the two-wire bus. Even if the data line of the two-wire bus is connected to the clock pin of the slave device by an operator's accident, have.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클럭핀과 데이터핀 외에 어드레스핀을 더 구비하고 복수의 비트 레이어 유닛과 신호 선택 출력부를 구비함으로써, 단순히 어드레스핀 추가된 기존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비해 더 많은 슬레이브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부여할 수 있고, 이에 투-와이어 버스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ave device for two-wire bus further includes an address pin in addition to a clock pin and a data pi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it layer units and a signal selection output section, It is possible to give more slave device addresses than the slave devices of the two-wire bus,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ayout freedom of the system using the two-wire bus.
도 1과 도 2는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투-와이어 버스를 통해 연결되는 일반적인 투-와이어 버스 시스템의 연결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301, 401, 402)가 채용된 투-와이어 버스 시스템의 연결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상세 구성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501-515)가 채용된 투-와이어 버스 시스템의 연결 예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501)의 상세 구성 예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비트 레이어 유닛에서 출력되는 비트값들의 논리레벨 예시도.1 and 2 illustrate connection examples of a general two-wire bus system in which a master device and a slave device are connected via a two-wire bus;
Figures 3 and 4 illustrate connection examples of a two-wire bus system employing slave devices (301, 401, 402) for two-wire buse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lave device for a two-wire 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nection example of a two-wire bus system employing a slave device 501-515 for a two-wire b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example of a
Fig. 8 is an exemplary logic level diagram of bit values output from the bit layer unit shown in Fig. 7; Fig.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과 같은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301, 401, 402)가 채용된 투-와이어 버스 시스템의 연결도를 예시한 것이다.FIGS. 3 and 4 illustrate connection diagrams of a two-wire bus system employ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30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와이어 버스(306,307)를 통해 마스터 디바이스(300)에 연결 가능하되, 슬레이브 디바이스(301)의 데이터핀(304)은 투-와이어 버스의 클럭 라인(306)을 통해 마스터 디바이스(301)의 클럭핀(302)과 연결 가능하고, 슬레이브 디바이스(301)의 클럭핀(305)은 투-와이어 버스의 데이터 라인(307)을 통해 마스터 디바이스(301)의 데이터핀(303)과 연결될 수 있다.The bus slave device 30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able to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301)는 클럭핀(305)과 데이터핀(304)을 구분하여 투-와이어 버스(306,307)에 연결하지 않고서도 마스터 디바이스(300)와 투-와이어 버스 프로토콜을 수행해 자신에게 부여된 어드레스를 설정하여 정상 동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lave device 301 for the two-wire b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the
한편, 도 4에는 하나의 마스터 디바이스(400)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디바이스(401,402)가 투-와이어 버스(클럭 라인, 데이터 라인)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을 도시하였다.4 shows a system in which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레이브 디바이스(401)의 클럭핀(407)은 클럭 라인을 통해 마스터 디바이스(400)의 클럭핀(405)과 연결되는 것에 반해, 제2슬레이브 디바이스(402)의 클럭핀(409)은 데이터 라인을 통해 마스터 디바이스(400)의 데이터핀(406)과 연결되어 있다.The
이와 같이 클럭핀(407)과 데이터핀(408) 각각이 투-와이어 버스의 클럭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연결(이를 '정상 연결'이라고 함)되어 있는 제1슬레이브 디바이스(400)는 물론, 클럭핀(409)과 데이터핀(410) 각각이 투-와이어 버스의 데이터 라인과 클럭 라인에 연결(이를 '교차 연결'이라고 함)된 제2슬레이브 디바이스(402) 역시 마스터 디바이스(400)와 투-와이어 버스 프로토콜을 통해 어드레스 설정 후 정상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이하 상술한 투-와이어 버스 시스템에 사용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301, 401, 402) 중 하나의 구성을 상세 도시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동작을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5, which shows details of the configuration of one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정상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A)과 교차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B) 및 신호 선택 출력부(C,D, TR)을 포함한다.FIG. 5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slave device for a two-wire 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ave device for a two-wire bus includes a normal connection bit layer unit A and a cross connection bit layer unit B And signal selection output sections C, D and TR.
도 5를 참조하면, 정상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A)은 투-와이어 버스의 클럭 라인에 연결되는 클럭핀(CLOCK)에 클럭입력단자(iCK)가 연결되고 상기 버스의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는 데이터핀(DATA)에 데이터입력단자(iDAT)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핀(DATA)으로 입력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 어드레스(마스터 디바이스에서 전송됨)를 디코딩하여 자신에게 부여된 슬레이브 어드레스와 동일하면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ACK)를 데이터출력단자(oDAT)로 출력한다.5, the normal connection bit layer unit A includes a clock pin CLOCK connected to the clock line of the two-wire bus, a clock input terminal iCK connected to the data line of the bus, The data input terminal iDAT is connected to the data pin DATA to decode the slave device address (transmitted from the master device) input to the data pin DATA, and if it is the same as the slave address assigned to itself, ACK) to the data output terminal oDAT.
이러한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ACK)는 후술할 신호 선택 출력부를 구성하는 제2멀티플렉서(D)로 입력되어, 후술할 교차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B)에서 출력되는 선택신호의 논리레벨에 따라 투-와이어 버스의 데이터 라인으로 전달된다.The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ACK is input to a second multiplexer D constituting a signal selection output section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input to the second multiplexer D in accordance with the logic level of the sel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cross connection bit layer unit B, To the data line of the wire bus.
한편,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또 하나의 교차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B)은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클럭핀(CLOCK)에 데이터입력단자(iDAT)가 연결되고 데이터핀(DATA)에 클럭입력단자(iCK)가 연결되어 상기 클럭핀(CLOCK)을 통해 투-와이어 버스의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자신에게 부여된 슬레이브 어드레스와 동일하면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ACK)를 데이터출력단자(oDAT)를 통해 출력한다.Meanwhile, another cross-connect bit layer unit B constituting a slave device for a two-wire bus has a data input terminal iDAT connected to a clock pin CLOCK constituting a slave device, When a clock input terminal iCK is connected to decode an address of a slave device input from the data line of the two-wire bus through the clock pin CLOCK and is identical to the slave address assigned to the slave device, an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ACK ) Through the data output terminal (oDAT).
교차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B)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ACK)는 신호 선택 출력부를 구성하는 제1멀티플렉서(C)로 입력되며, 제1멀티플렉서(C)로 입력되는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ACK)는 교차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B)에서 출력되는 선택신호의 논리레벨에 따라 클럭핀(CLOCK)에 연결되어 있는 투-와이어 버스의 데이터 라인으로 전달된다.The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ACK output from the cross connection bit layer unit B is input to the first multiplexer C constituting the signal selection output unit and is supplied to the first multiplexer C, (ACK) is transferred to the data line of the two-wire bus connected to the clock pin (CLOCK) according to the logic level of the sel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cross connection bit layer unit (B).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상기 정상 연결 및 교차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A,B)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ACK)를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클럭핀(CLOCK)과 데이터핀(DATA)중 어느 하나로 선택 출력하는 신호 선택 출력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신호 선택 출력부는 제1및 제2멀티플렉서(C,D)와 2개의 스위칭 소자 Q1, Q2를 포함한다.Further, the slave device for two-wire b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ACK output from the normal connection and cross connection bit layer units A and B to the clock pin CLOCK of the slave device, And a data pin (DATA). The signal selection output sec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multiplexers (C, D) and two switching elements Q1, Q2.
교차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B)은 자신의 데이터 출력단자(oDAT)와 정상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A)의 데이터 출력단자(oDAT) 중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ACK)를 투-와이어 버스, 즉 투-와이어 버스의 데이터 라인으로 전달하기 위한 선택신호(SEL)를 SEL_ALT 단자로 출력하여 신호 선택 출력부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멀티플렉서(C,D)로 출력한다.The cross connection bit layer unit B transmits the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ACK output from one of the data output terminal oDAT of the cross connection bit layer unit B and the data output terminal oDAT of the normal connection bit layer unit A, To a SEL_ALT terminal for outputting a selection signal SEL for transfer to a data bus of a wire bus, that is, a two-wire bus, to the first and second multiplexers C and D constituting the signal selection output section.
정상 연결 및 교차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A,B)은 투-와이어 버스에 연결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수에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각 비트 레이어 유닛에는 서로 다른 어드레스가 부여된다.A plurality of normal connection and cross connection bit layer units (A, B)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lave devices connected to the two-wire bus. In this case, different bit addresses are assigned to the respective bit layer units.
참고적으로 정상 연결 및 교차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A,B) 각각은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클럭핀(CLOCK)과 데이터핀(DATA)에 연결된 투-와이어 버스의 데이터 라인과 클럭 라인을 인식하여 내부 상태 레지스터에 저장한다.For reference, each of the normal connection and cross connection bit layer units (A, B) recognizes the data line and the clock line of the two-wire bus connected to the clock pin (CLOCK) of the slave device and the data pin (DATA) .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동작을 부연 설명하면,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lave device for two-wire bu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5에 도시한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클럭핀(CLOCK)에는 투-와이어 버스의 클럭라인이 데이터핀(DATA)에는 데이터라인이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한다.First, it is assumed that a clock line of a two-wire bus is connected to a clock pin (CLOCK) of a slave device shown in FIG. 5, and a data line is connected to a data pin (DATA).
이러한 가정하에 마스터 디바이스로부터 투-와이어 버스 프로토콜에 따라 스타트 신호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어드레스가 전달된다면, 정상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A)은 클럭입력단자(iCK)로 입력되는 클럭에 기반하여 데이터입력단자(iDAT)를 통해 입력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자신에게 부여된 어드레스와 일치하는가 체크한다.If the start signal and the slave device address are transmitted from the master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two-wire bus protocol under this assumption, the normal connection bit layer unit A, on the basis of the clock input to the clock input terminal iCK, Decodes the address of the slave device to be input and checks whether the slave device address agrees with the address given to itself.
체크결과 일치하면 정상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A)은 데이터출력단자(oDAT)를 통해 '로우'레벨의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ACK)를 출력한다. 이러한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ACK)는 제2멀티플렉서(D)의 제1입력단자(0)로 인가되며, 제2멀티플렉서(D)는 교차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B)에서 출력되는 '로우'레벨의 선택신호에 따라 제1입력단자(0)로 인가되는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ACK)가 '하이'레벨로 반전되어 스위칭 소자 Q2의 게이트단으로 인가된다.If the check result is YES, the normal connection bit layer unit A outputs a low level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ACK via the data output terminal oDAT. This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ACK is applied to the
이에 투-와이어 버스의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어 있는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데이터핀(DATA)은 "로우"레벨 상태로 천이되며 마스터 디바이스는 데이터 라인을 통해 "로우" 레벨의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ACK)를 정상적으로 인식하게 된다.The data pin (DATA) of the slave device to which the data line of the two-wire bus is connected transits to the "low" level state and the master device outputs the address setting acknowledge signal (ACK) of "low" level through the data line It is recognized normally.
만약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클럭핀(CLOCK)에 투-와이어 버스의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고, 데이터핀(DATA)에 클럭 라인이 연결되었다고 가정하면, 정상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A)에서는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며 교차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B)에서는 클럭핀(CLOCK)을 통해 입력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자신에게 부여된 어드레스와 일치하면 '로우'레벨의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ACK)를 데이터 출력단자(oDAT)를 통해 출력한다.Assuming that the data line of the two-wire bus is connected to the clock pin (CLOCK) of the slave device and the clock line is connected to the data pin (DATA), the normal connection bit layer unit (A) In the cross connection bit layer unit B, the address of the slave device input through the clock pin (CLOCK) is decoded and the address setting acknowledge signal (ACK) of the 'low' level is received And output through a data output terminal (oDAT).
이러한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ACK)는 제1멀티플렉서(C)의 제2입력단자(1)로 인가되며, 제1멀티플렉서(C)는 교차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B)에서 출력되는 '하이'레벨의 선택신호에 따라 제2입력단자(1)로 인가되는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ACK)가 '하이'레벨로 반전되어 스위칭 소자 Q1의 게이트단으로 인가된다.This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ACK is applied to the
이에 투-와이어 버스의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어 있는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클럭핀(CLOCK)은 "로우"레벨 상태로 천이되며 마스터 디바이스는 데이터 라인을 통해 "로우" 레벨의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ACK)를 정상적으로 인식하게 된다.The clock pin CLOCK of the slave device to which the data line of the two-wire bus is connected transits to the "low " level state and the master device outputs the address setting acknowledge signal ACK of the" It is recognized normall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투-와이어 버스의 클럭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클럭핀과 데이터핀에 정상 혹은 교차 연결될 경우에도 그 정상 연결 혹은 교차 연결 상태에 각각 반응하는 비트 레이어 유닛(A,B)을 복수 개 구비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생성된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ACK)를 투-와이어 버스의 데이터 라인에 선택 전달하는 회로 구성을 추가함으로써, 클럭핀과 데이터핀을 구분하여 투-와이어 버스에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설령 작업자의 실수로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클럭핀에 투-와이어 버스의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었다 하더라도 투-와이어 버스 시스템은 정상 동작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lave device for the two-wire b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erforming normal or cross-connection even when the clock line and the data line of the two-wire bus are normally or cross- By adding a circuit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bit layer units A and B each responsive to the address setting acknowledge signal ACK generated from any one of them are selectively transmitted to the data line of the two-wire bus , It is unnecessary to connect the clock pin and the data pin to the two-wire bus, and even if the data line of the two-wire bus is connected to the clock pin of the slave device by an operator's accident, the two- There are advantages.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501-515)가 채용된 투-와이어 버스 시스템의 연결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501)의 상세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FIG. 6 illustrates a connection diagram of a two-wire bus system employing a slave device 501-515 for a two-wire b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nd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투-와이어 버스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드레스핀(ADD)을 추가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501-515)를 설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디바이스(501-515)들 중 몇몇은 클럭핀(CLOCK)을 통해 투-와이어 버스의 클럭 라인에 연결되고, 몇몇은 데이터핀(DATA)을 통해 투-와이어 버스의 클럭 라인에 연결되고, 몇몇은 어드레스 핀(ADD)을 통해 투-와이어 버스의 클럭 라인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몇몇은 전원단(VDD)에 투-와이어 버스의 클럭 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layout freedom of the system using the two-wire bus, a slave device for a two-wire b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s an address pin ADD as shown in FIG. 6 to a slave device 501-515) can be designed. 6, some of the slave devices 501-515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a clock line of a two-wire bus through a clock pin (CLOCK), and some are connected to a data pin (DATA) To the clock line of the two-wire bus, and some to the clock line of the two-wire bus through the address pin ADD. Also, some of the clock lines of the two-wire bus can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VD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501-515)는 클럭핀(CLOCK)과 데이터핀(DATA) 및 어드레스(ADD)핀을 구비하되, 이들 3개의 핀중 2개 각각은 투-와이어 버스의 클럭 라인(마스터 클럭핀에 연결되는 라인)과 데이터 라인(마스터 데이터핀에 연결되는 라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나머지 핀 하나는 전원단(VDD) 혹은 접지단(GND)에 연결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lave devices 501-515 for two-wire b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clock pin (CLOCK), a data pin (DATA) and an address (ADD) pin, Each of the pins is connected to either the clock line of the two-wire bus (the line connected to the master clock pin) and the data line (the line connected to the master data pin) and the remaining pin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GND).
이러한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Such a slave device for a two-wire bus, as shown in Fig. 7,
클럭입력단자(iCK)와 데이터입력단자(iDAT)가 3개의 핀(iCLOCK, iDATA, iADD)중 2개의 핀에 연결되어 투-와이어 버스의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자신에게 부여된 슬레이브 디바이스 어드레스와 동일하면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ACK)를 데이터 출력단자(oDAT)를 통해 출력하는 복수의 비트 레이어 유닛(Bit layer unit #1-#6)과,The clock input terminal (iCK) and the data input terminal (iDAT) are connected to two pins among three pins (iCLOCK, iDATA, iADD) to decode the slave device address input from the data line of the two- A plurality of bit layer units (1-6) for outputting an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ACK) through a data output terminal (oDAT) if the address is the same as the slave device address,
상기 복수의 비트 레이어 유닛(Bit layer unit #1-#6) 중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ACK)를 연결된 클럭 라인과 데이터 라인중 어느 하나로 선택 출력하는 신호 선택 출력부(700)를 포함한다.A signal selection output unit 700 for selectively outputting an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ACK output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it layer units # 1- # 6 to a connected clock line or a data line, .
참고적으로 상기 신호 선택 출력부(700)는 상기 복수의 비트 레이어 유닛(Bit layer unit #1-#6) 각각의 클럭입력단자(iCK)와 데이터입력단자(iDAT)에 투-와이어 버스의 클럭 라인과 데이터 라인, 전원단(VDD) 및 접지단(GND)이 연결되는 것에 따라 서로 다른 값으로 출력되는 비트값들의 조합정보에 따라 복수의 비트 레이어 유닛((Bit layer unit #1-#6)으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의 출력경로를 가변 설정한다.For reference, the signal selection output unit 700 outputs a clock signal to the clock input terminal iCK and data input terminal iDA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it layer units # 1- # 6, (Bit layer unit # 1- # 6) according to combination information of bit values output as different values as a line, a data line, a power supply terminal (VDD) and a ground terminal (GND) The output path of the address setting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is variable.
상기 비트값들은 비트 레이어 유닛의 클럭입력단자(iCK)와 데이터입력단자(iDAT) 각각에 클럭 라인과 데이터 라인 연결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논리레벨을 가지고 출력되는 선택신호비트(oSEL 단자를 통해 출력됨)와,The bit values are output to the clock input terminal (iCK) and the data input terminal (iDAT) of the bit layer unit through select signal bits (oSEL terminals) output at different logic levels depending on whether clock lines and data lines are connected )Wow,
상기 데이터입력단자(iDAT)에 전원단(VDD) 연결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논리레벨을 가지고 출력되는 전원연결신호비트(oDH 단자를 통해 출력됨)와,A power connection signal bit (output through an oDH terminal) output at different logic level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power supply terminal (VDD) is connected to the data input terminal (iDAT)
상기 데이터입력단자(iDAT)에 접지단(GND) 연결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논리레벨을 가지고 출력되는 접지연결신호비트(oDL 단자를 통해 출력됨)를 포함한다.And a ground connection signal bit (output through an oDL terminal) output at different logic level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ground terminal (GND) is connected to the data input terminal (iDAT).
즉, 신호 선택 출력부(700)는 상기 비트값들의 조합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와 멀티플렉서를 포함함으로써,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구비된 각 비트 레이어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비트값들의 조합정보로부터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클럭핀, 데이터핀, 어드레스핀이 투-와이어 버스의 클럭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전원단(VDD), 접지단(GND)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고, 이로부터 내부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비트 레이어 유닛에서 생성된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ACK)가 투-와이어 버스의 데이터 라인 혹은 클럭 라인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출력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That is, the signal selection output unit 700 includes a decoder and a multiplexer for decoding the combination information of the bit values, so that the slave device clock It is possible to recognize how the pin, the data pin, and the address pin are connected to the clock line, the data line, the power supply terminal (VDD), and the ground terminal (GND) of the two-wire bus, The output path can be set so that the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ACK) generated in the bit layer unit can be transferred to the data line or the clock line of the two-wire bus.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클럭핀과 데이터핀 외에 어드레스핀을 더 구비하고 복수의 비트 레이어 유닛과 신호 선택 출력부(700)를 구비함으로써, 단순히 어드레스핀 추가된 기존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비해 더 많은 슬레이브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부여할 수 있고, 이에 투-와이어 버스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the slave device for two-wire b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ddress pins in addition to the clock pin and the data pi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it layer units and the signal selection output unit 700,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slave device addresses than the existing slave devices added,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ayout freedom of the system using the two-wire bus.
참고적으로 하기 표 1은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투-와이어 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 각 슬레이브 디바이스(501-515)의 핀 연결상태와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를 예시한 것이며, 도 8은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투-와이어 버스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각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6개의 비트 레이어 유닛에서 출력되는 비트값들의 논리레벨을 예시한 것이다.For reference, Table 1 below illustrates the pin connection state of each slave device 501-515 and the address of the slave device when configuring a two-wire bus system as illustrated in FIG. 6, and FIG. Wire bus system, the logic levels of the bit values output from the six bit layer units included in each slave device are illustrated.
디바이스Slave
device
어드레스Slave
Address
이상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슬레이브 디바이스 15개가 투-와이어 버스 시스템을 구성하고 이를 위해 각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6개의 비트 레이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그 수가 가감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fifteen slave devices constitute a two-wire bus system, and each slave device includes six bit layer units for this purpos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7)
상기 클럭핀에 데이터입력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핀에 클럭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클럭핀으로 입력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자신에게 부여된 슬레이브 어드레스와 동일하면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를 출력하는 교차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과;
상기 정상 연결 및 교차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를 상기 클럭핀과 상기 데이터핀중 어느 하나로 선택 출력하는 신호 선택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상 연결 및 교차 연결 비트 레이어 유닛은,
상기 투-와이어 버스에 연결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수에 따라 하나 이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A clock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a clock pin connected to the clock line of the two-wire bus and a data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a data pin connected to the data line of the bus to decode a slave device address input to the data pin, A normal connection bit layer unit for outputting an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if it is the same as the assigned slave device address;
A data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lock pin and a clock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ata pin to decode a slave device address input to the clock pin and output an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if the slave address is the same as the slave address given to the clock pin. A connection bit layer unit;
And a signal selection / output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an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output from the normal connection and cross connection bit layer unit to either the clock pin or the data pin, wherein the normal connection and cross connection bit layer unit ,
Wherein at least one slave device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lave devices connected to the two-wire bus.
상기 클럭핀과 상기 데이터핀에 연결된 투-와이어 버스의 데이터 라인과 클럭 라인을 인식하여 내부 상태 레지스터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each of the normal connection and cross-
Wherein the data line and the clock line of the two-wire bus connected to the clock pin and the data pin are recognized and stored in the internal state register.
클럭입력단자와 데이터입력단자가 상기 3개의 핀중 2개의 핀에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자신에게 부여된 슬레이브 어드레스와 동일하면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비트 레이어 유닛과;
상기 복수의 비트 레이어 유닛 중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를 상기 클럭 라인과 상기 데이터 라인중 어느 하나로 선택 출력하는 신호 선택 출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Each of the three pins is connected to one of a clock line and a data line of a two-wire bus, and the other pin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terminal (VDD) or a ground line Connected to the ground (GND)
A clock input terminal and a data input terminal are connected to two of the three pins to decode a device address inputted from the data line and output an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if the slave address is the same as the slave address assigned to the data line, A unit;
And a signal selection / output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an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output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it layer units to one of the clock line and the data line. .
상기 복수의 비트 레이어 유닛 각각의 클럭입력단자와 데이터입력단자에 투-와이어 버스의 클럭 라인과 데이터 라인, 전원단 및 접지단이 연결되는 것에 따라 서로 다른 값으로 출력되는 비트값들의 조합정보에 따라 상기 입력되는 어드레스 설정 확인응답신호의 출력경로를 가변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The signal selection and output uni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signal selection output unit comprise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bit values outputted as different values as the clock line and the data line, the power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of the two-wire bus are connected to the clock input terminal and the data input termina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it layer units, And the output path of the input address setting acknowledgment signal is variablely set.
상기 클럭입력단자와 상기 데이터입력단자 각각에 상기 클럭 라인과 데이터 라인 연결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논리레벨을 가지고 출력되는 선택신호비트와;
상기 데이터입력단자에 전원단 연결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논리레벨을 가지고 출력되는 전원연결신호비트와;
상기 데이터입력단자에 접지단 연결유무에 따라 서로 다른 논리레벨을 가지고 출력되는 접지연결신호비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와이어 버스용 슬레이브 디바이스.7. The method of claim 6,
A selection signal bit having a different logic level depending on whether the clock line and the data line are connected to the clock input terminal and the data input terminal, respectively;
A power connection signal bit output at a different logic level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pow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ata input terminal;
And a ground connection signal bit output at a different logic level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ground connection is connected to the data input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4383A KR101998702B1 (en) | 2017-09-07 | 2017-09-07 | Slave device for a two- wire bus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4383A KR101998702B1 (en) | 2017-09-07 | 2017-09-07 | Slave device for a two- wire bus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7515A KR20190027515A (en) | 2019-03-15 |
KR101998702B1 true KR101998702B1 (en) | 2019-07-10 |
Family
ID=65762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4383A Active KR101998702B1 (en) | 2017-09-07 | 2017-09-07 | Slave device for a two- wire bus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870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590524B (en) * | 2021-08-03 | 2024-08-09 | 上海联影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 Cross-board daisy chain transmission structure, master board, slave board and syste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81955B1 (en) * | 1992-09-18 | 2001-02-15 | 크리트먼 어윈 엠 | Devices for replacing data lines and clock lines on multi-format data buse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2900A (en) * | 2002-01-21 | 2003-07-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of preventing collision for iic system |
KR100619353B1 (en) | 2005-01-17 | 2006-09-11 | 삼성전기주식회사 | I2C bus control system capable of dual data transmission |
US7587539B2 (en) | 2006-04-25 | 2009-09-08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Methods of inter-integrated circuit addressing and devices for performing the same |
KR20130061512A (en) | 2011-12-01 | 2013-06-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in the communication system |
-
2017
- 2017-09-07 KR KR1020170114383A patent/KR10199870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81955B1 (en) * | 1992-09-18 | 2001-02-15 | 크리트먼 어윈 엠 | Devices for replacing data lines and clock lines on multi-format data bus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7515A (en) | 2019-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8578B1 (en) | Semiconductor package including multiple chips and memory system including the same | |
CN101710314B (en) | High-speed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ion switching controller and realizing method thereof | |
TWI590250B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input/output of memory for mixed memory modules | |
US10216669B2 (en) | Bus bridge for translating requests between a module bus and an axi bus | |
CN101398801B (en) | Method and device for expanding internal integrate circuit bus | |
US20070286010A1 (en) | Identical chips with different operations in a system | |
KR20100102924A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multi-chip package for implementing other termination and termin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220206701A1 (en) | Memory system including a memory controller | |
KR101835637B1 (en) | Integrated circuit chip and transferring/receiving system | |
KR102187781B1 (en) | I2c router system | |
US20080270654A1 (en) | Bus System for Selectiv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Identical Slave Circuits Connected to the Bus and Method Therefore | |
KR101998702B1 (en) | Slave device for a two- wire bus system | |
US7043592B2 (en) | External bus controller | |
JP200553940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using a distributed multiplexed bus | |
US8943256B1 (en) | Serial data intermediary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 |
EP3848807A1 (en) |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d operating a data processing system | |
US8514643B2 (en) | Test mode initialization device and method | |
US8612663B1 (en) | Integrated circui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having automatic configurable mapping of input and/or output data connections | |
JP2010166248A (en) | Communicating system | |
KR100787054B1 (en) | Control device for parts having a common address using I2C communication | |
CN104461968B (en) | A kind of I/O channel distribution method and device | |
US10565143B2 (en) | Circuitry to alleviate printed circuit board routing congestion | |
JP2008040575A (en) | Serial data transfer device and serial data transfer method | |
US9672170B2 (en) | Semiconductor memory | |
CN111128281B (en) | Integrated circuit structure and memo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7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