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98090B1 - 낚시용 릴의 릴 본체, 낚시용 릴 및 낚시용 릴의 릴 본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릴 본체, 낚시용 릴 및 낚시용 릴의 릴 본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090B1
KR101998090B1 KR1020120106856A KR20120106856A KR101998090B1 KR 101998090 B1 KR101998090 B1 KR 101998090B1 KR 1020120106856 A KR1020120106856 A KR 1020120106856A KR 20120106856 A KR20120106856 A KR 20120106856A KR 101998090 B1 KR101998090 B1 KR 101998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mounting portion
bearing mounting
bearing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0873A (ko
Inventor
아키라 니이츠마
쇼지 나카가와
히로카즈 히라야마
쿠니오 타케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30050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0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01K89/011223Frame details with bear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3Frame details with bearing fe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636Process for making bearing or component thereof
    • Y10T29/49696Moun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있어서, 베어링 장착부를 고정도(高精度)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제1 베어링 장착부(70) 및 제2 베어링 장착부(80)를 제2 측 커버(6b)에 고정한 후에, 제1 베어링 장착부(70)의 제1 내측 부재(72)의 제1 내주면(內周面, 72a)과, 제2 베어링 장착부(80)의 제2 내측 부재(82)의 제3 내주면(82a) 및 제4 내주면(82b)을 절삭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베어링 장착부(70) 및 제2 베어링 장착부(80)를 고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릴 본체, 낚시용 릴 및 낚시용 릴의 릴 본체 제조 방법{FISHING-REEL REEL UNIT, FISHING R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ISHING-REEL REEL UNIT}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릴 본체, 낚시용 릴 및 낚시용 릴의 릴 본체 제조 방법, 특히, 개구를 가지는 본체 부재를 구비한 낚시용 릴의 릴 본체, 낚시용 릴 및 낚시용 릴의 릴 본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낚싯대에 장착되어 낚싯줄의 감기 및 방출을 행하는 낚시용 릴에는, 주로 스피닝 릴과 양 베어링 릴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낚시용 릴은,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들 축과, 핸들 축의 선단(先端)에 고정되는 핸들 조립체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핸들 축은, 금속제의 릴 본체를 기계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開口)의 내주(內周)에 장착된 베어링에 의하여,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3066990호
상기 종래의 낚시용 릴에서는, 핸들 축의 회전을 전달하는 드라이브 기어나 피니언 기어의 모듈을 작게 하면, 기어 간 피치를 고정도(高精度)로 할 필요가 생긴다. 기어 간 피치를 고정도로 하려면, 드라이브 기어가 고정되는 핸들 축이나 피니언 기어가 장착되는 스풀 축을 고정도로 배치하기 위하여, 핸들 축이나 스풀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장착되는 릴 본체의 베어링 장착부의 내주를 고정도로 형성할 필요가 생긴다. 그러나, 종래의 구성에서는, 금속제의 베어링 장착부를 기계 가공한 후에, 릴 본체의 개구에 베어링 장착부를 장착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베어링 장착부를 고정도로 배치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있어서, 베어링 장착부를 고정도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릴 본체는, 낚시용 릴의 릴 본체이고, 본체 부재와 제1 베어링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부재는 제1 개구를 가지는 금속제의 부재이다. 제1 베어링 장착부는 제1 개구에 고정된 금속제의 부재이다. 제1 베어링 장착부는 제1 베어링을 장착 가능한 제1 내주면을 가지고 있다. 제1 내주면은 제1 베어링 장착부가 제1 개구에 고정된 상태에서 기계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베어링 장착부는, 제1 외측 부재와 제1 내측 부재를 가지고 있다. 제1 외측 부재는 제1 개구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내측 부재는 제1 내주면을 가지고, 제1 외측 부재의 내주에 고정되어 있다. 본체 부재는 제1 개구와 이반(離反)하여 배치된 제2 개구를 가지고 있다. 제2 베어링 장착부를 더 구비한다. 제2 베어링 장착부는 제2 개구에 고정된 금속제의 부재이다. 제2 베어링 장착부는 제2 베어링을 장착 가능한 제3 내주면을 가지고 있다. 제3 내주면은, 제2 베어링 장착부가 제2 개구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내주면이 기계 가공되었을 때와 같은 가공 자세로 기계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베어링 장착부는, 제2 외측 부재와 제2 내측 부재를 가지고 있다. 제2 외측 부재는 제2 개구에 고정되어 있다. 제2 내측 부재는 제3 내주면을 가지고, 제2 외측 부재의 내주에 고정되어 있다.
이 릴 본체에서는, 제1 베어링 장착부를 제1 개구에 고정한 후에, 금속제의 제1 베어링 장착부를 기계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내주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베어링 장착부를 고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1 외측 부재와 기계 가공되는 제1 내측 부재를 다른 재료로 형성할 수 있어, 내식성이나 가공성을 고려하여 재료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2 베어링 장착부를 제2 개구에 고정한 후에, 금속제의 제2 베어링 장착부를 기계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제2 내주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베어링 장착부를 고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베어링 장착부의 제1 내주면과 제2 베어링 장착부의 제2 내주면을 1회의 가공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제1 베어링 장착부와 제2 베어링 장착부와의 사이의 거리를 고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2 외측 부재와 제2 내측 부재를 다른 재료로 형성할 수 있어, 내식성이나 가공성을 고려하여 재료를 선정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릴 본체는, 발명 1의 릴 본체에 있어서, 본체 부재의 적어도 외측면은, 제1 개구를 형성한 후에 형성된 내식성 피막으로 덮여 있다. 이 경우, 본체 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제1 개구에 걸쳐 내식성 피막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식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개구의 정도(精度)가 내식성 피막 형성 과정이나 내식성 피막 그 자체에 의하여 저하하여도, 기계 가공에 의하여 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삭제
발명 3에 관련되는 릴 본체는, 발명 1의 릴 본체에 있어서, 제1 외측 부재는 표면에 내식성 피막이 형성된 경금속제이다. 제1 내측 부재는 스테인리스 합금제이다. 이 경우, 제1 외측 부재를,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금속에 의하여 형성하고, 표면에 양극 산화 피막 등의 내식성 피막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외측 부재의 내식성을 높게 유지하면서, 제1 내측 부재를 스테인리스 합금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기계 가공한 후도 제1 내측 부재의 내식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삭제
발명 4에 관련되는 릴 본체는, 발명 1의 릴 본체에 있어서, 제2 베어링 장착부는, 제3 내주면과 동심(同芯)으로 배치된 제3 베어링을 장착 가능한 제4 내주면을 가지고 있다.
삭제
발명 5에 관련되는 릴 본체는, 발명 1의 릴 본체에 있어서, 제2 외측 부재는 표면에 내식성 피막이 형성된 경금속제이다. 제2 내측 부재는 스테인리스 합금제이다. 이 경우, 제2 외측 부재를,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금속에 의하여 형성하고, 표면에 양극 산화 피막 등의 내식성 피막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2 외측 부재의 내식성을 높게 유지하면서, 제2 내측 부재를 스테인리스 합금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기계 가공한 후도 제2 내측 부재의 내식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발명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릴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발명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릴 본체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고정도로 형성된 낚시용 릴을 얻을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있어서, 제1 베어링 장착부를 제1 개구에 고정한 후에, 금속제의 제1 베어링 장착부를 기계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내주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베어링 장착부를 고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양 베어링 릴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제2 측 커버를 이면(裏面)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4는 상기 제2 측 커버의 단면도.
도 5는 상기 제2 측 커버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다른 실시예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릴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트 캐스트용 로우 프로필형의 양 베어링 릴이다. 이 양 베어링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側方)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3)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 측방에 장착된 알루미늄 합금제의 제1 측 커버(6a) 및 제2 측 커버(6b)(본체 부재의 일례)와, 제1 베어링 장착부(70) 및 제2 베어링 장착부(80)를 가지고 있다. 제1 측 커버(6a) 및 제2 측 커버(6b)의 표면에는, 내식성 피막인 크롬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측 커버(6b)의 측부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베어링 장착부(70) 및 제2 베어링 장착부(80)가 코킹(caulking) 고정되는 제1 개구(6c) 및 제2 개구(6d)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릴 본체(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前方)을 덮는 전(前) 커버(7)와, 상부를 덮는 섬 레스트(thumb rest, 8)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1)의 내부에는 줄 감기용의 스풀(12)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5)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1 측판(5a), 제2 측판(5b)과, 제1 측판(5a)과 제2 측판(5b)을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연결부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5) 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축이 낚싯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스풀(12)과, 스풀(12) 내에 균일하게 낚싯줄을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15)와, 서밍(thumbing)을 행하는 경우의 엄지 손가락을 대는 곳으로 되는 클러치 레버(1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풀(12)은, 제1 측판(5a)의 개구(5d)를 통과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5)과 제2 측 커버(6b)와의 사이에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 와인드 기구(15)로 전하기 위한 기어 기구(18)와, 클러치 기구(13)와, 클러치 레버(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기구(13)의 계탈(係脫, 걸리거나 풀리는 것) 및 제어를 행하기 위한 클러치 계탈 기구(19)와, 드래그 기구(21)와, 스풀(12) 회전 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캐스팅 컨트롤 기구(2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과 제1 측 커버(6a)와의 사이에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backlash)를 억제하기 위한 원심 브레이크 기구(23)가 배치되어 있다.
스풀(12)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그네슘 합금을 절삭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외주(外周)에 낚싯줄이 감기는 통상(筒狀)의 줄 감기 몸통부(12b)와, 줄 감기 몸통부(12b)의 양단(兩端)에 각각 직경 방향 외방(外方)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플랜지부(12a)와, 줄 감기 몸통부(12b)의 내주부에 형성되고 내주에 스풀 축(16)에 고정되는 보스부(12c)를 가지고 있다. 줄 감기 몸통부(12b), 플랜지부(12a) 및 보스부(12c)는, 마그네슘 합금의 부재에 의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다. 스풀(12)은, 스풀 축(16)에 예를 들어 세레이션(serration) 결합에 의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 방법은 세레이션 결합 등의 요철에 의한 고정법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이나 인서트 성형 등 다양한 결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스풀 축(16)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합금을 절삭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봉상(棒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 측판(5b)을 관통하여 제2 측 커버(6b)의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연장된 일단(一端)은, 제2 측 커버(6b)에 형성된 제2 개구(6d)에 장착된 제2 베어링 장착부(80)에 취부된 제2 베어링(24b)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풀 축(16)의 타단(他端)은, 원심 브레이크 기구(23) 내에서 제4 베어링(24d)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제2 베어링(24b) 및 제4 베어링(24d)은 볼 베어링이다. 스풀 축(16)의 대경(大徑) 부분(16a)의 우단(右端)은, 제2 측판(5b)의 관통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그곳에는 클러치 기구(13)를 구성하는 계합(係合, 걸어 맞춤) 핀(16b)이 고정되어 있다. 계합 핀(16b)은, 직경을 따라 대경 부분(16a)을 관통하고 있고, 그 양단이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있다.
기어 기구(18)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축(30)과, 핸들 축(30)에 고정된 드라이브 기어(31)와, 드라이브 기어(31)에 맞물리는 통상의 피니언 기어(32)를 가지고 있다. 이 기어 기구(18)의 핸들 축(30)의 상하 위치는, 섬 레스트(8)의 높이를 낮게 하기 위하여, 종래의 위치보다 낮다. 이 때문에, 기어 기구(18)를 수납하는 제2 측판(5b) 및 제2 측 커버(6b)의 하부는, 제1 측판(5a) 및 제1 측 커버(6a)의 하부보다 하방(下方)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핸들 축(3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 커버(6b)에 형성된 제1 개구(6c)에 장착된 제1 베어링 장착부(70)에 취부된 제1 베어링(24a)에 의하여 제2 측 커버(6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베어링(24a)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 베어링이다.
제1 베어링 장착부(7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 커버(6b)에 고정된 통상의 부재이다. 제1 베어링 장착부(70)는, 도 3 및 도 4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 커버(6b)의 제1 개구(6c)에 코킹 고정되는 통상의 제1 외측 부재(71)와, 제1 외측 부재(71)의 내주에 나합(螺合, 나사를 끼워 맞추는 것)·접착 고정되는 통상의 제1 내측 부재(72)를 가지고 있다. 제1 내측 부재(72)의 내주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외측 부재(71)를 제1 개구(6c)에 코킹 고정한 후에 행하여지는 절삭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고, 제1 베어링(24a, 도 2 참조)이 장착되는 제1 내주면(72a)을 가지고 있다. 제1 내측 부재(72)의 외주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외측 부재(71)의 내주에 형성된 제1 암나사부(71a)에 나합 가능한 제1 수나사부(72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외측 부재(71)의 내주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내측 부재(72)의 제1 수나사부(72b)가 나합하는 제1 암나사부(71a)와, 제1 암나사부(71a)의 도 4 좌측에 설치되고 내주에 원웨이 클러치(25, 도 2 참조)가 장착되는 제2 내주면(71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내측 부재(72)는, 도 4 우측으로부터 제1 외측 부재(71)의 내주에 장착되고, 제1 암나사부(71a)에 제1 수나사부(72b)를 나합시키고 있다. 제1 암나사부(71a) 및 제1 수나사부(72b)는, 도 4 좌측으로부터 절삭 가공할 때에 제1 내측 부재(72)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좌 나사로 되어 있다. 제1 암나사부(71a) 및 제1 수나사부(72b)는, 나아가 접착되어 있다. 또한, 제1 내측 부재(72)의 도 4 우측 단면에는, 도시하지 않는 슬롯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슬롯부에는, 제1 내측 부재(72)를 나합하기 위한 공구가 계지(係止, 서로 걸려 고정되는 것)된다. 또한, 제1 외측 부재(71)의 외주에는, 제1 외측 부재(71)를 제1 개구(6c)에 고정할 때의 스토퍼로 되는 제1 플랜지부(71c)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외측 부재(71)는, 표면에 내식성 피막인 양극 산화 피막이 형성된 알루미늄 합금제이다. 또한, 제1 내측 부재(72)는, 내식성 재료인 스테인리스 합금제이며, 표면에 내식성 피막인 양극 산화 피막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제2 베어링 장착부(8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 커버(6b)에 고정된 통상의 부재이다. 제2 베어링 장착부(80)는, 도 3 및 도 4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 커버(6b)의 제2 개구(6d)에 코킹 고정되는 통상의 제2 외측 부재(81)와, 제2 외측 부재(81)의 내주에 나합·접착 고정되는 통상의 제2 내측 부재(82)를 가지고 있다. 제2 외측 부재(8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내측 부재(82)의 외주에 형성된 제2 수나사부(82c)가 나합 가능한 제2 암나사부(81a)와, 외주에 형성되고 제2 외측 부재(81)를 제2 측 커버(6b)의 제2 개구(6d)에 고정할 때의 스토퍼로 되는 제2 플랜지부(81b)를 가지고 있다. 제2 내측 부재(82)는, 제2 베어링(24b, 도 2 참조)이 장착되는 제3 내주면(82a) 및 제3 베어링(24c, 도 2 참조)이 장착되는 제4 내주면(82b)을 가지고 있다. 제3 내주면(82a) 및 제4 내주면(82b)은, 제1 내측 부재(72)의 제1 내주면(72a)이 절삭될 때에 같은 가공 자세로 절삭된다.
제2 내측 부재(82)는, 도 4 좌측으로부터 제2 외측 부재(81)의 내주에 장착되고, 제2 암나사부(81a)에 제2 수나사부(82c)를 나합시키고 있다. 제2 암나사부(81a) 및 제2 수나사부(82c)는, 제1 암나사부(71a) 및 제1 수나사부(72b)와 마찬가지로 좌 나사이고, 도 4 좌측으로부터 절삭 가공할 때에 제2 내측 부재(82)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2 암나사부(81a) 및 제2 수나사부(82c)는, 나아가 접착되어 있다. 또한, 제2 내측 부재(82)의 도 4 좌측 단면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롯부(82d)가 형성되어 있고, 이 슬롯부(82d)에는, 제2 내측 부재(82)를 나합하기 위한 공구가 계지된다.
제2 외측 부재(81)는, 표면에 내식성 피막인 양극 산화 피막이 형성된 알루미늄 합금제이다. 제2 내측 부재(82)는, 내식성 재료인 스테인리스 합금제이며, 표면에 내식성 피막인 양극 산화 피막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은 제1 베어링 장착부(70) 및 제2 베어링 장착부(80)를 제2 측 커버(6b)에 취부하는 공정을 도 5에 도시한다.
우선, 스텝 S1에 있어서, 알루미늄 합금을 다이캐스트 성형하여, 제1 개구(6c) 및 제2 개구(6d)를 가지는 제2 측 커버(6b)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스텝 S2에 있어서, 제2 측 커버(6b)의 제1 개구(6c), 제2 개구(6d), 가공 기준용의 2개소의 위치 결정 구멍(6e, 도 3 참조), 프레임(5)에 조립할 때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2개의 위치 결정 핀(6g, 도 3, 도 4 참조)이 압입되는 2개소의 오목부(6f, 도 3 참조) 등을 성형에 의한 디버링(deburring) 가공을 겸하여 절삭 가공한다.
다음으로, 스텝 S3에 있어서, 위치 결정 구멍(6e)에 나사를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위치 결정 구멍(6e)을 마스킹한다.
다음으로, 스텝 S4에 있어서, 크롬 도금 처리에 의하여, 제2 측 커버(6b)의 표면에 크롬 도금층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스텝 S5에 있어서, 표면에 양극 산화 피막이 형성된 알루미늄 합금제의 제1 외측 부재(71) 및 제2 외측 부재(81)를, 제2 측 커버(6b)의 제1 개구(6c) 및 제2 개구(6d)에 각각 코킹 고정한다.
다음으로, 스텝 S6에 있어서, 제1 외측 부재(71) 및 제2 외측 부재(81)의 내주에, 각각 제1 내측 부재(72) 및 제2 내측 부재(82)를 나합·접착 고정하여, 제1 베어링 장착부(70) 및 제2 베어링 장착부(80)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스텝 S7에 있어서, 제1 베어링 장착부(70)의 제1 내측 부재(72)의 제1 내주면(72a)과, 제2 베어링 장착부(80)의 제2 내측 부재(82)의 제3 내주면(82a) 및 제4 내주면(82b)을, 위치 결정 구멍(6e)을 기준으로 하여 절삭 가공한다.
덧붙여, 위치 결정 구멍(6e)은, 가공 후, 예를 들어, 조립 시에 실리콘 그리스(silicone grease)를 충전하고, 방수 처리된 나사 등으로 폐색한다. 또한, 오목부(6f)에는 위치 결정 핀(6g)을 압입하고, 위치 결정 핀(6g)은 프레임(5)에 조립할 때의 위치 결정으로서 이용한다.
피니언 기어(3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판(5b)의 외방으로부터 내방(內方)으로 연장되고, 중심에 스풀 축(16)이 간격을 두고 관통하는 통상 부재이며, 스풀 축(16)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32)의 도 2 좌단부(左端部)는 제5 베어링(24e)에 의하여 프레임(5)의 제2 측판(5b)에, 피니언 기어(32)의 도 2 우단부는 제3 베어링(24c)에 의하여 제2 측 커버(6b)의 제2 베어링 장착부(80)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3 베어링(24c) 및 제5 베어링(24e)은 볼 베어링이다.
피니언 기어(32)는, 도 2 우단 측 외주부에 형성되어 드라이브 기어(31)에 맞물리는 치부(齒部, 32a)와, 타단 측에 형성된 맞물림부(32b)와, 치부(32a)와 맞물림부(32b)와의 사이에 형성된 잘록부(32c)를 가지고 있다. 맞물림부(32b)는, 피니언 기어(32)의 단면에 직경을 따라 형성된 오목 홈으로 이루어지고, 그곳에 스풀 축(16)을 관통하여 고정된 계합 핀(16b)이 계지된다. 여기에서는 피니언 기어(32)가 외방으로 이동하여 그 맞물림부(32b)와 스풀 축(16)의 계합 핀(16b)이 이탈하면, 핸들 축(30)으로부터의 회전력은 스풀(12)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 맞물림부(32b)와 계합 핀(16b)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13)가 구성된다.
클러치 레버(17)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 사이의 후부에서 스풀(12) 후방(後方)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계탈 기구(19)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요크(40)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요크(40)는, 스풀 축(16)의 외주 측에 배치되어 있고, 2개의 핀(41, 일방(一方)만 도시)에 의하여 스풀 축(16)의 축심(軸心)과 평행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요크(40)는 그 중앙부에 피니언 기어(32)의 잘록부(32c)에 계합하는 계합부(40a)를 가지고 있다. 또한, 클러치 요크(40)를 지지하는 각 핀(41)의 외주에서, 클러치 요크(40)와 제2 측 커버(6b)와의 사이에는 스프링(42)이 배치되어 있고, 클러치 요크(40)는 스프링(42)에 의하여 항상 클러치 온 측으로 압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통상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2)는 내방의 클러치 계합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그 맞물림부(32b)와 스풀 축(16)의 계합 핀(16b)이 계합하여 클러치 온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클러치 요크(40)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32)가 외방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맞물림부(32b)와 계합 핀(16b)과의 계합이 풀려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된다.
드래그 기구(21)는, 드라이브 기어(31)에 압압되는 마찰 플레이트(45)와, 스타 드래그(3)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마찰 플레이트(45)를 드라이브 기어(31)에 소정의 힘으로 압압하기 위한 압압 플레이트(46)를 가지고 있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는, 스풀 축(16)의 양단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복수의 마찰 플레이트(51)와, 마찰 플레이트(51)에 의한 스풀 축(16)의 협지력(挾持力)을 조절하기 위한 제동 캡(52)을 가지고 있다. 좌측의 마찰 플레이트(51)는 브레이크 케이스(65) 내에 장착되어 있다.
원심 브레이크 기구(2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케이스(65)에 고정된 제동 부재(68)와, 제동 부재(68)의 내주 측에 동심으로 배치되고 스풀 축(16)에 고정된 회전 부재(66)와, 회전 부재(66)에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6개의 이동 부재(67)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제1 베어링 장착부(70) 및 제2 베어링 장착부(80)를 제2 측 커버(6b)에 고정한 후에, 제1 베어링 장착부(70)의 제1 내측 부재(72)의 제1 내주면(72a)과, 제2 베어링 장착부(80)의 제2 내측 부재(82)의 제3 내주면(82a) 및 제4 내주면(82b)을 절삭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베어링 장착부(70) 및 제2 베어링 장착부(80)를 고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부품은, 양 베어링 릴의 제2 측 커버(6b)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동 릴이나 카운터 릴의 릴 본체나,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측 커버(6a), 제2 측 커버(6b), 제1 외측 부재(71) 및 제2 외측 부재(81)는 알루미늄 합금제이고, 제1 내측 부재(72) 및 제2 내측 부재(82)는 스테인리스 합금제였지만, 이러한 금속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측 커버(6b), 제1 외측 부재(71) 및 제2 외측 부재(81)는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금속제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 측 커버(6b)의 표면에는 내식성 피막인 크롬 도금층이 형성되고, 제1 외측 부재(71) 및 제2 외측 부재(81)의 표면에는 내식성 피막인 양극 산화 피막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내식성 피막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도금층이나 도장막이어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 내측 부재(82)는, 제2 베어링(24b)이 장착되는 제3 내주면(82a)과, 제3 베어링(24c)이 장착되는 제4 내주면(82b)의 2개의 내주면을 가지고 있었지만, 1개의 베어링이 장착되는 1개의 내주면을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2 베어링(24b)이 장착되는 제3 내주면(82a)을 가지는 내측 부재와, 제3 베어링(24c)이 장착되는 제4 내주면(82b)을 가지는 내측 부재의 2개의 내측 부재를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 측 커버(6b)에 제1 외측 부재(71) 및 제2 외측 부재(81)를 고정 후에, 제1 외측 부재(71) 및 제2 외측 부재(81)에 제1 내측 부재(72) 및 제2 내측 부재(82)를 장착 고정하고 있었지만, 제1 외측 부재(71) 및 제2 외측 부재(81)에 제1 내측 부재(72) 및 제2 내측 부재(82)를 장착 고정한 후에, 제2 측 커버(6b)에 제1 외측 부재(71) 및 제2 외측 부재(81)를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f)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외측 부재(71) 및 제2 외측 부재(81)를 제2 측 커버(6b)의 제1 개구(6c) 및 제2 개구(6d)에 코킹 고정하고 있었지만, 고정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착, 용접, 인서트 성형 등의 고정 방법이어도 무방하다.
(g)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내측 부재(72) 및 제2 내측 부재(82)를 제1 외측 부재(71) 및 제2 외측 부재(81)의 내주에 별체로 장착 고정하고 있었지만, 제1 내측 부재(72) 및 제2 내측 부재(82)를 각각 제1 외측 부재(71) 및 제2 외측 부재(81)와 일체 성형하여,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베어링 장착부(70) 및 제2 베어링 장착부(80)로서 일체의 부재로 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이 경우에는, 제1 베어링 장착부(70) 및 제2 베어링 장착부(80) 자체를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내식성이 높은 금속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릴 본체 2 : 핸들
3 : 스타 드래그 5 : 프레임
5a : 제1 측판 5b : 제2 측판
5d : 개구 6a : 제1 측 커버
6b : 제2 측 커버 6c : 제1 개구
6d : 제2 개구 6e : 위치 결정 구멍
6f : 오목부 6g : 위치 결정 핀
7 : 전 커버 8 : 섬 레스트
12 : 스풀 12a : 플랜지부
12b : 줄 감기 몸통부 12c : 보스부
13 : 클러치 기구 15 : 레벨 와인드 기구
16 : 스풀 축 16a : 대경 부분
16b : 계합 핀 17 : 클러치 레버
18 : 기어 기구 19 : 클러치 계탈 기구
21 : 드래그 기구 22 : 캐스팅 컨트롤 기구
23 : 원심 브레이크 기구 24a : 제1 베어링
24b : 제2 베어링 24c : 제3 베어링
24d : 제4 베어링 24e : 제5 베어링
25 : 원웨이 클러치 30 : 핸들 축
31 : 드라이브 기어 32 : 피니언 기어
32a : 치부 32b : 맞물림부
32c : 잘록부 40 : 클러치 요크
40a : 계합부 41 : 핀
42 : 스프링 45 : 마찰 플레이트
46 : 압압 플레이트 51 : 마찰 플레이트
52 : 제동 캡 65 : 브레이크 케이스
66 : 회전 부재 67 : 이동 부재
70 : 제1 베어링 장착부 71 : 제1 외측 부재
71a : 제1 암나사부 71b : 제2 내주면
71c : 제1 플랜지부 72 : 제1 내측 부재
72a : 제1 내주면 72b : 제1 수나사부
80 : 제2 베어링 장착부 81 : 제2 외측 부재
81a : 제2 암나사부 81b : 제2 플랜지부
82 : 제2 내측 부재 82a : 제3 내주면
82b : 제4 내주면 82c : 제2 수나사부
82d : 슬롯부

Claims (11)

  1. 낚시용 릴의 릴 본체이고,
    제1 개구(開口)를 가지는 금속제의 본체 부재와,
    상기 제1 개구에 고정된 금속제의 제1 베어링 장착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베어링 장착부는 제1 베어링을 장착 가능한 제1 내주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내주면은 상기 제1 베어링 장착부가 상기 제1 개구에 고정된 상태에서 기계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베어링 장착부는, 상기 제1 개구에 고정된 제1 외측 부재와, 상기 제1 내주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외측 부재의 내주에 고정된 제1 내측 부재를 가지고,
    상기 본체 부재는 상기 제1 개구와 이반(離反)하여 배치된 제2 개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개구에 고정된 금속제의 제2 베어링 장착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베어링 장착부는 제2 베어링을 장착 가능한 제3 내주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3 내주면은, 상기 제2 베어링 장착부가 상기 제2 개구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주면이 기계 가공되었을 때와 같은 가공 자세로 기계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베어링 장착부는, 상기 제2 개구에 고정되는 제2 외측 부재와, 상기 제3 내주면을 가지고 상기 제2 외측 부재의 내주에 고정된 제2 내측 부재를 가지는,
    낚시용 릴의 릴 본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재의 적어도 외측면은, 상기 제1 개구를 형성한 후에 형성된 내식성 피막으로 덮여 있는, 낚시용 릴의 릴 본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 부재는 표면에 내식성 피막이 형성된 경금속제이고, 상기 제1 내측 부재는 스테인리스 합금제인, 낚시용 릴의 릴 본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어링 장착부는, 상기 제3 내주면과 동심(同芯)으로 배치된 제3 베어링을 장착 가능한 제4 내주면을 가지는, 낚시용 릴의 릴 본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측 부재는 표면에 내식성 피막이 형성된 경금속제이고, 상기 제2 내측 부재는 스테인리스 합금제인, 낚시용 릴의 릴 본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릴 본체를 구비한 낚시용 릴.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106856A 2011-11-08 2012-09-26 낚시용 릴의 릴 본체, 낚시용 릴 및 낚시용 릴의 릴 본체 제조 방법 Active KR101998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44151A JP5956740B2 (ja) 2011-11-08 2011-11-08 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本体、釣り用リール及び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本体製造方法
JPJP-P-2011-244151 2011-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873A KR20130050873A (ko) 2013-05-16
KR101998090B1 true KR101998090B1 (ko) 2019-07-09

Family

ID=47143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856A Active KR101998090B1 (ko) 2011-11-08 2012-09-26 낚시용 릴의 릴 본체, 낚시용 릴 및 낚시용 릴의 릴 본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25846B2 (ko)
EP (1) EP2591669B1 (ko)
JP (1) JP5956740B2 (ko)
KR (1) KR101998090B1 (ko)
CN (1) CN103081876B (ko)
MY (1) MY167858A (ko)
TW (1) TWI5583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6739B2 (ja) * 2013-09-30 2018-08-22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ユニット
JP6914207B2 (ja) * 2018-01-12 2021-08-0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構成部材の製造方法
CN110214759B (zh) * 2019-07-22 2021-09-10 鹤山市仲德精密制造科技有限公司 一种纺车式渔轮主体及其加工工艺
JP7311443B2 (ja) * 2020-03-03 2023-07-1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構成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054A (ja) * 1998-09-22 2000-04-04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JP2005270012A (ja) * 2004-03-25 2005-10-0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US20080173745A1 (en) 2007-01-23 2008-07-24 Shimano Inc. Dual bearing reel handle shaft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5373A (ja) 1982-11-05 1984-05-17 Shin Meiwa Ind Co Ltd ならい加工装置
JPS59152221U (ja) * 1983-03-31 1984-10-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軸受構造
JP2514526Y2 (ja) * 1990-07-26 1996-10-23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2966490B2 (ja) * 1990-08-10 1999-10-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本体の製造方法
JP3066990B2 (ja) * 1991-11-26 2000-07-1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90630A (ja) * 1992-12-22 1994-07-12 Nippon Chemicon Corp 軸受ブッシュサイジング装置
JP3445934B2 (ja) * 1998-05-26 2003-09-16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品の表面構造
JP3558896B2 (ja) * 1998-10-23 2004-08-2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3819198B2 (ja) * 1999-11-19 2006-09-0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4362203B2 (ja) * 2000-04-17 2009-11-11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部品の製造方法
JP4011400B2 (ja) * 2002-05-17 2007-11-2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4221243B2 (ja) * 2003-05-13 2009-02-12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アルマイト処理方法
JP2005210998A (ja) * 2004-01-30 2005-08-11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TWI331013B (en) * 2004-06-25 2010-10-01 Shimano Kk Spool assembly for a dual bearing reel
US20060289690A1 (en) * 2005-06-01 2006-12-28 Marsh Jeffrey D Bait casting reel and method
JP2007159427A (ja) * 2005-12-09 2007-06-28 Shimano Inc 釣り用部品
JP4903626B2 (ja) * 2007-04-23 2012-03-2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けリール
JP4965410B2 (ja) * 2007-11-19 2012-07-0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2010043733A (ja) * 2008-07-15 2010-02-25 Jtekt Corp プーリ付き転がり軸受装置
JP5205176B2 (ja) * 2008-08-18 2013-06-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軸支持構造
JP5143757B2 (ja) * 2009-01-26 2013-02-13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螺軸及びそれを用いた釣り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2010190403A (ja) * 2009-02-20 2010-09-02 Sii Micro Precision Kk 転がり軸受装置およびピボット装置
JP5349349B2 (ja) * 2010-01-25 2013-11-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発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054A (ja) * 1998-09-22 2000-04-04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JP2005270012A (ja) * 2004-03-25 2005-10-0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US20080173745A1 (en) 2007-01-23 2008-07-24 Shimano Inc. Dual bearing reel handle shaft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91669A1 (en) 2013-05-15
TWI558314B (zh) 2016-11-21
JP5956740B2 (ja) 2016-07-27
CN103081876A (zh) 2013-05-08
MY167858A (en) 2018-09-26
CN103081876B (zh) 2016-08-17
JP2013099264A (ja) 2013-05-23
US8925846B2 (en) 2015-01-06
EP2591669B1 (en) 2017-03-22
US20130112795A1 (en) 2013-05-09
KR20130050873A (ko) 2013-05-16
TW201325446A (zh)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018B1 (ko) 낚시용 릴의 릴 본체 및 낚시용 릴
JP2013099265A5 (ko)
US9468199B2 (en) Reel part for fishing reel
US8882014B2 (en) Fishing-reel reel unit and fishing reel
JP2014197986A5 (ko)
EP2494866B1 (en) Spool of fishing reel
KR101998090B1 (ko) 낚시용 릴의 릴 본체, 낚시용 릴 및 낚시용 릴의 릴 본체 제조 방법
KR20150077323A (ko) 양 베어링 릴의 피니언 기어 및 양 베어링 릴
JP5961364B2 (ja) 両軸受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及び両軸受リール
JP2013099264A5 (ko)
JP2013000043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6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9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7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