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302B1 -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6302B1 KR101996302B1 KR1020190038972A KR20190038972A KR101996302B1 KR 101996302 B1 KR101996302 B1 KR 101996302B1 KR 1020190038972 A KR1020190038972 A KR 1020190038972A KR 20190038972 A KR20190038972 A KR 20190038972A KR 101996302 B1 KR101996302 B1 KR 1019963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space
- pipe
- discharge pipe
- membra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가 유입되는 제1유입관과, 상기 제1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수용하는 침전공간부와, 상기 제1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침전공간부로 유도하는 막이판과, 상기 막이판과 연통하여 침전공간부로 돌출되는 제2유입관과, 상기 막이판 후방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출관와, 상기 막이판과 제1배출관 사이에 형성되는 배수로와, 상기 배수로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침전공간부가 수용하고 있는 우수를 여과하는 제1여과필터부 및, 상기 침전공간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2배출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여과필터부는 상,하부가 개방되면서 그 사이에 필터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이탈방지망과, 상기 몸체부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이탈방지망 및, 상기 필터공간에 다수 개의 여재가 충진되어 형성되는 여과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배출관 상부에는 내부에서 다수 개의 여재가 충진되어 있는 제2여과필터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이탈방지망 상면과, 제2여과필터부 내부에는 분사공이 형성된 공기분사관이 구비되되, 상기 하부이탈방지망 상면에 구비된 공기분사관과 여과층 사이에는 공기확산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first inlet pipe through which stormwater is introduced, a sedimentation space for receiving stormwater introduced from the first inlet pipe, a membrane plate for guiding the stormwater introduced from the first inlet pipe to the sedimentation space, A first drain pipe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plate to discharge the storm to the outside, a drain duct formed between the plate and the first drain pipe, And a second discharge pip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ediment space part,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filter parts are opened upward and downward, respectively,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filtration filter portion filled with a plurality of filter media therein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discharge pipe.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eparation prevention net And an air diffusing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air injection pipe and the filtration lay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detachment prevention ne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우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로시설이나 우수관로에 설치되어 하천으로 배출되는 우수로부터 비점오염물을 제거하여 주변환경이 오염되지 않고 부족한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비점오염물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reating non-point pollutants contained in rainfall during rainf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treating non-point pollutants contained in stormwater during rainfall, To a non-point pollutant abatement apparatus capable of securing a non-point pollutant.
우리나라는 도시하수처리장, 산업폐수처리장 등 오염물 처리시설을 대폭 확충해 오고 있으나, 그에 비하여 하천 등의 수질의 향상정도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비점오염물이 포함된 우수에 대한 처리가 부족하여 처리하지 못한 우수가 그대로 하천 등으로 유입되면서 주변환경을 파괴하는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할 수 있다.Korea has greatly expanded pollutant treatment facilities such as municipal sewage treatment plants and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but the improvement in water quality of rivers and the like has not reached the expect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st important reason is to destro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ue to lack of treatment for storm containing non - point pollutants,
따라서 도로시설이나 우수관로에 설치되는 배수로 등을 통해 배수되는 우수 등은, 특히 오염농도가 높은 초기우수에 대한 처리를 위해 비점오염물 저감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오고 있으며, 그 예의 하나로 등록특허 10-1741449의 "유량 조정 및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초기 강우 유출수의 비점오염처리장치"가 있다.Accordingly, various kinds of non-point pollutant abatement apparatuses have been developed in order to treat the rainwater discharged from a road facility or a drainpipe installed in a high-pitched road, in particular, an initial rainwater having a high pollutant concentration. 1741449 entitled "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System for Initial Rainfall Runoff with Flow Adjustment and Backwashing ".
상기 종래기술은 유입조(100)와 여과조(200)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유입조에는 입수관(110)으로부터 유입된 우수 유출수에 대하여 협잡물을 제거하도록 스크린박스(120)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박스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토사를 포함한 침전물을 제거하도록 침사 제거구(130)가 형성되는 바, 이는 유량 조정 기능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상기 여과조는 유입조에 이웃하면서 격벽을 하부 관통로(210)를 통해 진행된 우수의 여과를 수행하도록 부상여재층(220)이 형성되고, 상기 부상여재층의 상단과 하단에는 단위식 인공여재의 유실과 유출을 방지하도록 상하부 지지체(230, 240)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부상여재층의 타측에는 고속 여과에 따른 인공여재의 세척을 도모하면서 정화된 우수가 배수공(250)으로 하여금 신속하게 배수되도록 하는 역세척장치(260)가 형성된다.The filtration tank is formed with a floatation
강우가 그치면 통상적으로 여재층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부상여재층의 세척이 진행되는데, 이러한 세척은 역세척방식으로 이루어진다.If the rainfall is stopped, the filter material is usually cleaned.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the floating filter medium layer is cleaned.
상기 역세척장치는 하부지지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노즐관과, 상기 노즐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부상여재층을 세척할 때 송풍기로부터 공급받는 공기를 노즐관에 설치된 다수 개의 노즐을 통해 분사시켜 부상여재층에 부착된 이물질이 떨어져 나가게 한다.The backwashing device includes a nozzle tu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and a blower for supplying air to the nozzle tube. Therefore, when washing the floating filter medium layer,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is sprayed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s installed in the nozzle tub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floating filter medium layer.
그러나 노즐을 통해 분사된 공기는 직진성을 가지기 때문에 노즐이 위치해 있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부상여재층의 여재는 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nozzle has a linearity, the filter material of the floating filter medium layer other than the portion where the nozzle is located can not be smoothly cleaned.
또한 종래기술의 침전조에 고여있는 슬러지와 우수는 일정한 주기마다 슬러지배출관을 통해 배출한다. 강우가 그치고 부상여재층의 세척이 끝나면 침전조에 고여있는 우수는 바로 배출해야 하나, 그러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침전조에 고여있는 우수 및 슬러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Also, the sludge and storm accumulated in the sedimentation tank of the prior art are discharged through the sludge discharge pipe at regular intervals. When the rainfall ceases and the floating filter media layer is washed, the stormwater in the sedimentation tank must be discharged immediately. However, the stormwater and the sludge accumulated in the sedimentation tank will be stinking over time.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점오염물 처리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여재 등의 필터링부재에 대한 세척이 완벽하고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링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비점오염물 저감장치 사용의 실효성을 높혀 수자원 오염방지의 극대화를 도모하고자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tering member that can quickly and efficiently process non-point pollutants, We intend to maximize the prevention of water pollution by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using non-point pollutant abatement equipment.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우수가 유입되는 제1유입관과, 상기 제1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수용하는 침전공간부와, 상기 제1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침전공간부로 유도하는 막이판과, 상기 막이판과 연통하여 침전공간부로 돌출되는 제2유입관과, 상기 막이판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출관와, 상기 막이판(120)과 제1배출관 사이에 형성되는 배수와, 상기 배수로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침전공간부가 수용하고 있는 우수를 여과하는 제1여과필터부 및, 상기 침전공간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2배출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여과필터부는 상,하부가 개방되면서 그 사이에 필터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이탈방지망과, 상기 몸체부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이탈방지망 및, 상기 필터공간에 다수 개의 여재가 충진되어 형성되는 여과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이탈방지망 상면에는 분사공이 형성된 공기분사관이 구비되되, 상기 하부이탈방지망 상면에 구비된 공기분사관과 여과층 사이에는 공기확산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2배출관(190) 상부에는 내부에서 다수 개의 여재가 충진되어 있는 제2여과필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re is provided a plasma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inflow tube into which rainwater is introduced; a sedimentation space part which receives the rainwater flowing in from the first inflow tube; A first inlet pipe through which the film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plate, a first outlet pipe for discharging the outside to the outside, A drainage formed between the
이때 공기확산수단은 프로펠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유입관은 하단을 폐쇄하는 폐쇄단면과, 상기 폐쇄단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분출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air diffusing means may be made of a propeller, and the second inflow pipe may be composed of a closed cross section closing the lower end and an ejection ho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losed cross section.
더불어 막이판은 보울형상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면의 배면에는 유류포획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brane plate is formed of an inclined surface in the form of a bowl, and an oil catching space may be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inclined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막이판의 상면에는 제1덮개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배수로 상부에는 제2덮개부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ver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and the second cover may be provided on the drain.
본 발명은 필터공간에 공기분사관을 구비시킴으로써, 여과층을 세척할 때 공기분사관의 분사공을 통해 공기를 분사하여 여과층을 형성하는 여재들이 흐트러지면서 서로 부딪치고, 그 충격으로 인해 여재의 표면에 흡착된 오염물들이 떨어지게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air injection pipe in a filter space, air is spray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of the air injection pipe when cleaning the filter layer, and the filter materials forming the filtration layer collide with each other and collide with each other, Causing the contaminants adsorbed on the surface to fall off.
또한 공기분사관과 여재층 사이에는 공기확산수단을 구비하여,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를 공기확산수단에 의해 필터공간 내부에서 넓게 퍼지게 하여 보다 효율적인 세척을 가능하게 한다.Further, air diffusing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air injection pipe and the filter material layer so that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spreads widely in the filter space by the air diffusion means, thereby enabling more efficient cleaning.
또한 침전공간부의 바닥면에 제2배출관을 구비함으로써, 강우가 시작되어 제1여과필터부와 함께 우수를 여과하여 배출하고, 강우가 그치고 제1여과필터부의 세척을 완료한 후에도 제2배출관은 침전공간부에 우수가 고여있지 않도록 잔여우수를 외부로 배출한다.Also, since the second discharge pipe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ttling space portion, the rainfall is started and the rainwater is filtered out together with the first filter portion. After the rain finishes and the washing of the first filter portion is completed, The remaining rain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rainwater does not accumulate in the space.
따라서 침전공간부에 고여있는 우수에 의해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제2배출관의 상부에 여재가 충진된 제2여과필터부를 구비시켜 보다 깨끗한 상태의 우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dor from being generated due to the storm accumulated in the sedimentation space and to provide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part filled with the filter material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discharge pipe so that the clear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do.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비점오염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물 저감장치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비점오염물 저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비점오염물 저감장치의 일부 구성인 막이판의 각 실시예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비점오염물 저감장치의 일부 구성인 제2유입관의 작동관계를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상기 비점오염물 저감장치의 일부 구성인 제1여과필터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비점오염물 저감장치의 일부 구성인 제2배출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공기확산수단이 구비된 제1여과필터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은 상기 공기확산수단의 작용효과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막이판 상부에 구비된 제1덮개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비점오염물 저감장치의 일부 구성인 배수로 상부에 구비된 제2덮개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non-point pollution control apparatus.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each of the embodiments of the membrane plate as a part of the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contamination.
FIG. 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second inflow pipe which is a part of the above-mentioned nonpoint contamination reducing device.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which is a part of the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discharge pipe which is a part of the above-mentioned non-point pollutant abatement apparatus.
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provided with air diffusion means.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ction and effect of the air diffusion means.
10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lid part provided on the plate.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lid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ain water, which is a part of the above-mentioned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devi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order to obscure or obscu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structur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above known structure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물 저감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비점오염물 저감장치(10)의 단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n-point
본 발명은 도로시설이나 우수관로에 설치되는 비점오염물 저감장치(10)는, 우수가 유입되는 제1유입관(110)과, 제1유입관(110)으로부터 유입된 우수를 수용하면서 비중이 큰 오염물이 쌓이도록 바닥면(151)이 형성된 침전공간부(150)와, 제1유입관(110)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침전공간부(150)으로 유도하는 막이판(120)과, 막이판(120)과 연통되는 것으로서 침전공간부(150)로 돌출되는 제2유입관(140)과, 막이판(120) 후방에 형성되어 침전공간부(150)에 수용된 우수를 하천 등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출관(170)과, 제1배출관(170)과 연통되는 배수로(160)와, 상기 배수로(160)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침전공간부(150) 내에 수용된 우수를 여과하는 제1여과필터부(210) 및, 상기 침전공간부(150) 바닥면(151)에 구비되는 제2배출관(190)으로 이루어진다.A nonpoint contamination abatement device (10) installed in a road facility or an excellent pipe path includes a first inflow pipe (110) through which rainwater flows, a second inflow pipe (110) through which the rainwater flowing from the first inflow pipe
상기 막이판(120)은 제1유입관(110)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침전공간부(150)로 유도하면서 우수가 침전공간부(150)에 의한 여과처리 없이 직접 배수로(1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막이판(120)은 여러가지의 형상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예컨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입관(140)에 수직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형상을 가지는 경사면(121)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상기 경사면(121)으로 이루어진 막이판(120)은 제1유입관(110)으로부터 유입된 우수가 경사면(121)에 의해 와류를 발생시켜 보다 신속하게 제2유입관(140)을 통해 침전공간부(150)로 유입되게 한다는 점에서 전자의 경우보다 유리하다. 여기에서는 후자의 경사면(121)을 가진 막이판(12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경사면(121)의 배면에는 유류포획공간(122)이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유류포획공간(122)은 침전공간부(150)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오일성분과 같은 오염물이 포집된다. 따라서 제1여과필터부(210)에서 여과하기 어려운 오일성분의 오염물을 유류포획공간(122)에서 포집함으로써 이들이 제1여과필터부(210)로 흘러들어가는 것 방지한다.The oil capturing
막이판(120)과 배수로(160) 사이에는 슬러지배출구(123)가 구비될 수 있다. A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 저감장치(10)는 일정 주기마다 침전공강부(150)의 바닥면(151)에 쌓인 오염물들을 제거한다. 강우가 그치면 제1여과필터부(210)가 세척되고, 세척할 때 발생되는 오염물들은 침전공간부(150)의 바닥면(151)에 쌓이게 된다. 또한 침전공간부(150)에 잔류해 있는 우수는 제2배출관(190)으로 배출되고 바닥면(151)에는 오염물만 남게 된다.The non-point
이러한 오염물은 비점오염물 저감장치(10)의 슬러지배출구(123)에 호스를 삽입하여 외부에 구비된 흡입장치를 이용해 흡입하여 제거한다.The pollutant is sucked and removed by inserting a hose into the
침전공간부(150)는 제2유입관(140)으로부터 유입된 우수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침전공간부(150)에 유입된 우수를 제1여과필터부(210)까지 흘러가게 하면서 비중이 큰 오염물들이 바닥면(151)에 가라앉아 쌓이도록 한다.The
침전공간부(150)의 우수는 제2유입관(140)을 통해 유입된다. 제2유입관(140)은 침전공간부(15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침전공간부(150)에 유입되는 우수에 의해 상기 침전공간부(150) 내에 있는 우수가 심하게 요동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침전공간부(150)의 바닥면(151)에 가라앉아 있는 오염물들이 다시 부상하지 않도록 한다.The bleed of the
이때 제2유입관(140)으로부터 유입된 우수의 유속을 감속시키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입관(140)은 하단을 폐쇄하는 폐쇄단면(142)과, 상기 폐쇄단면(142)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분출공(141)으로 이루어진다.5, the
이러한 제2유입관(140)에 유입된 우수는 폐쇄단면(142)에 부딪치면서 유속이 감속되고, 양측의 각 분출공(141)으로 우수의 진로가 변경되면서 또 한번 감속하게 된다.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더불어 분출공(141)으로 배출된 우수는 침전공간부(150)의 내벽에 부딪치면서 유속이 추가 감속하게 되고, 침전공간부(150) 내에 와류형성을 촉진시켜면서 유속을 최대한 늦추어 우수의 흐름이 장시간동안 이루어지게 하여 오염물의 침강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In addition, the rain discharged to the
도 6은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 저감장치(10)의 일부 구성인 제1여과필터부(210)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7은 상기 비점오염물 저감장치(10)의 일부 구성인 제2배출관(190)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제1여과필터부(210)는 침전공간부(150)에 수용된 우수를 여과하여 배수로(160)와 제1배출관(17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하부가 개방되면서 그 사이에 필터공간(215)이 형성된 몸체부(211)와, 몸체부(211) 상부에는 여재(221)보다 작은 잔공이 형성된 상부이탈방지망(212) 및, 몸체부(211)의 하부에는 여재(221)보다 작은 잔공이 형성된 하부이탈방지망(213)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상기 여재(221)는 기공과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것으로서 오염물을 흡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상기 여재(221)는 물보다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필터공간(215) 내에서 부유하여 여과층(220)을 형성한다.The
따라서 필터공간(215)은 상부의 여과층(220)과 그 하부의 여유공간(215a)으로 나뉘어진다.Therefore, the
상기 제1여과필터부(210)는 하부이탈방지망(213)에 의한 스크린작용으로 우수에 포함된 부피가 작은 오염물을 걸어내고, 여과층(220)에서는 우수에 포함된 미세한 오염물을 여재(221)에 의한 흡착착용으로 걸러내여 상부이탈방지망(212)의 잔공을 통해 배수로(160)로 배출한다.The first
이때 막이판(120)의 하단보다 배수로(160)의 하단면을 낮게 구성하여, 상기 막이판(120)과 배수로(160)의 수위 차이를 가지게 함으로써 우수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침전공간부(150)의 바닥면(151)에 구비되는 제2배출관(190)은 강우가 진행되는 동안 제1여과필터부(210)와 함께 침전공간부(150)에 유입된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강우가 그친 후에도 침전공간부(150)의 우수가 남아있지 않도록 잔여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러한 제2배출관(190) 상부에는 여재(221)가 충진된 제2여과필터부(191)가 구비된다. 상기 제2여봐필터부(191)는 여재망(191a)과, 상기 여재망(191a)의 내부에 충진되는 여재(221)로 이루어진다.A second
상기 여재망(191a)의 내부에 충진된 여재(221)는 침전공간(150)에 우수가 유입하게 되면, 상기 여재망(191a)의 내부에서 부유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부유한 여재(221)들 하부에는 여유공간이(215a)이 형성된다.The
상기 제2여과필터부(191)는 침전공간부(150) 바닥면(151)에 쌓여 있는 오염물들이 제2배출관(190)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불어 침전공간부(150)에 있는 우수의 미세한 오염물은 제2여과필터부(191)에 충진되어 있는 여재(221)에 의해 여과된다.The second
강우가 그치고나면 제1여과필터부(210)의 여과층(220)에는 별도의 세척수단에 의한 세척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수단은 하부이탈방지망(213)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서, 비점오염물 저감장치(10)의 외부에 설치된 공기공급장치(400)로부터 연장되는 분사공(311)이 구비된 공기분사관(310)으로 이루어진다.After the rain has ceased, the
공기공급장치(40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공기분사관(310)의 분사공(311)을 통해 분사하여 필터공간(215)에 형성된 여과층(220)의 여재(221)를 유동시켜 서로 부딪치게한다. 이때 상기 여과층(220)의 하부에 형성된 여유공간(215a)에 의해 여재(221)들이 더욱 활발하고 넓은 방향으로 유동함으로써 그 충격에 의해 여재(221)의 표면에 흡착된 오염물이 쉽게 떨어지게 한다.The air supplied from the
또한 상기 공기분사관(310)은 제2배출관(190)의 제2여과필터부(191) 내부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공급장치(400)로부터 공기가 상기 공기분사관(310)의 분사공(311)으로 분사되어, 제2여과필터부(191)의 내부에 있응 여재(221)들을 유동시켜 그 충격으로 인해 여재의 표면에 흡착된 오염물이 떨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더불어 제2여재필터부(191)의 여유공간(215a)에 의해 여재(221)들의 더욱 활발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되면서 여재(221)의 표면에 흡착된 오염물들이 쉽게 떨어지게 된다.The
상기 여과층(220)의 모든 여재(221)의 세척을 위해 공기분사관(310)의 상부에는 공기확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확산수단은 여과층(220)의 하부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분산시켜 여과층(220)을 이룬 여재(221)들이 여유공간(215a)으로 퍼져 활발하게 이동하게 됨으로써 우수와의 마찰과 서로 부딪쳐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세척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Air diffusing mean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이러한 공기확산수단은 다양한 수단으로 구성시킬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공기분사관(3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몸통부(321)와, 상기 몸통부(321)의 둘레에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322)로 이루어진 프로펠러(320)로 이루어진다.The air diffusing means may be constructed by various means. Preferably, the air diffusing means includes a
도 8은 본 발명의 필터공간(215)에 프로펠러(320)를 구비시킨 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9는 상기 프로펠러(320)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in which th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우가 그치면 공기공급장치(400)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공기분사관(310)의 분사공(311)을 통해 분사된다. 상기 분사공(311)으로부터 분사된 공기는 경사진 블레이드(322)의 일면을 밀어내면서 프로펠러(320)를 회전시킨다. 회전하는 프로펠러(320)에 의해 필터공간(215)에는 와류가 발생되고, 상기 와류에 의해 여과층(220)을 이루는 여재(221)는 와류를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서로 부딪치게되어 그 충격으로 오염물을 털어낸다.9, when the rainfall ceases, the air supplied from the
이때 여과층(220) 하부에 형성된 여유공간(215a)에 의해 와류를 따라 하부에 있는 여재(221)들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부에 있는 여재(221)들은 필터공간(215)의 외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필터공간(215) 내에서 여과층(220)을 이루는 여재(221)들이 순환되면서 모든 여재(221)들이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게 한다.Therefor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400)는 외부전력과 연결되어 작동하게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충전식베터리(410)에 전기를 충전시켜 저장한 다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공급장치(400)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프로펠러(320)의 작동은 전원의 공급에 의해 할 수도 있으나, 공기공급장치(40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가 분사공(311)을 통해 분사되면서 발생되는 분사압에 의해 프로펠러(320)의 블레이드가 회전되게 할 수도 있다.The blades of the
또한 공기공급장치(400)가 작동되면서 동시에 전기공급장치도 함께 작동되어 프로펠러(320)를 회전시킬 수 있으나,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공기공급장치(40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분사공(311)을 통해 분사시키면, 상기 분사공(311)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프로펠러(320)의 블레이드(322)를 밀어내면서 회전시킨다.In addition, while the
도 10은 막이판(120) 상부에 구비되는 제1덮개부(130)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11은 배수로(160) 상부에 구비되는 제2덮개부(180)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the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 저감장치(10)의 막이판(120) 상부에는 오버플로어공(131)이 형성된 제1덮개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제1덮개부(130)는 침전공간부(150)에서 처리하는 우수의 양보다 유입되는 우수의 양이 많아지면서 막이판(120)으로부터 넘치는 우수를 막아주어 직접 배수로(16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더불어 지속된 강우로 인하여 유입되는 우수의 양이 점점 많아지게 되면서 제1덮개부(130)가 막이판(120)으로부터 넘치는 우수를 막지 못하게 되면 상부에 형성된 오버플로어공(131)으로 우수를 유도해 배수로(160)로 직접 유입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 저감장치(10)는 오염물들이 집중된 초기 우수에 대하여 신속하게 여과한 후 제1배출관(170) 및 제2배출관(19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고, 강우량이 증가된 후기 우수에 대해서는 침전공간부(150)와 제1덮개부(130)의 오버플로어공(131)을 통해 신속히 배수처리하도록 한다.The non-point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 저감장치(10)의 배수로(160) 상부에는 제2덮개부(180)가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제2덮개부(180)에 의해 배수로(160)는 상부배수로(162)와 하부배수로(162)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배수로(162)는 막이판(120)으로부터 직접 유입되는 우수가 제1배출관(17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간이고, 하부배수로(161)는 제2덮개부(180)와 상부이탈방지망(212)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여재필터부(210)로부터 여과된 우수가 제1배출관(17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간이다.The
상기 제2덮개부(180)는 강우량이 많아짐에 따라 막이판(120)에서 넘쳐 배수로(160)로 유입되는 우수에 대하여, 상기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이 상부이탈방지망(212)의 잔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더불어 침전공간부(150)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배출하기 위해 배출구(181)를 구비시킴으로써 오염물이 집중된 초기 우수는 침전공간부(150)를 거쳐 제1여과필터부(210)를 통해 여과되어 하부배수로(161)를 지나 제1배출관(170)으로 배출되고, 증가된 강루량에 의해 막이판(120)으로부터 넘쳐 유입되는 우수는 직접 상부배수로(162)를 통해 제1배출관(17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부이탈방지망(212)이 오염물에 의해 막히지 않고 본래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벌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hat it will be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thereof.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10 ; 비점오염물 저감장치 110 ; 제1유입관
120 ; 막이판 121 ; 경사면
122 ; 유류포획공간 130 ; 제1덮개부
131 ; 오버플로어공 140 ; 제2유입관
141 ; 분출공 150 ; 침전공간부
151 ; 바닥면 160 ; 배수로
170 ; 제1배출관 180 ; 제2덮개부
190 ; 제2배출관 191 ; 제2여과필터부
210 ; 제1여과필터부 211 ; 몸체부
212 ; 상부이탈방지망 231 ; 하부이탈방지망
215 ; 필터공간 220 ; 여과층
221 ; 여재 310 ; 공기분사관
311 ; 분사공 320 ; 프로펠러10; A non-point
120; The
122; The
131;
141;
151;
170; A
190; A
210; A first
212; Top departure prevention network 231; Lower dropout prevention network
215;
221;
311; Min. prop
Claims (7)
상기 제1여과필터부(210)는 상,하부가 개방되면서 그 사이에 필터공간(215)이 형성되는 몸체부(211)와, 상기 몸체부(211)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이탈방지망(212)과, 상기 몸체부(211)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이탈방지망(213) 및, 상기 필터공간(215)에서 다수 개의 여재(221)가 충진되어 형성되는 여과층(2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공간(215) 내부에서 우수에 의해 여과층(220)이 부유하면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여과층(220)과 하부이탈방지망(213)사이에는 여유공간(215a)이 형성되고, 상기 여유공간(215a)에는 프로펠러(320)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이탈방지망(213) 상면과 제2여과필터부(191) 내부에는 분사공(311)이 형성된 공기분사관(310)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장치.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int pollutant abatement device (10) installed in a road facility and an excellent canal path, comprising a first inflow pipe (110) into which rainwater flows, The membrane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pipe 110 and the sedimenting space 150. The membrane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pipe 110 and the sedimenting space 150, A first discharge pipe 170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plate 120 to discharge the storm to the outside and a second discharge pipe 170 extending from the plate 120 to the first discharge pipe 170, A first filtration filter unit 21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rainage channel 160 to filter storm water received in the sedimentation space unit 150; A second discharge pipe 190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151 and a plurality of filter media 221 formed on the second discharge pipe 190, And a second filtering filter unit 191,
The first filter part 210 includes a body part 211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to define a filter space 215 therebetween and an upper detachment prevention network 212 provided on the body part 211. [ And a filtration layer 220 formed by filling a plurality of filter media 221 in the filter space 215,
A filter layer 220 is formed by floating in the filter space 215. A clearance space 215a is formed between the filtration layer 220 and the lower detachment prevention network 213, 215a are provided with a propeller 320,
Wherein an air injection pipe (310) having a spray hole (311)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detachment prevention network (213) and the second filter filter unit (191).
배수로(160)는 막이판(120)의 하단보다 낮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ainage channel (160) is configured to be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membrane (120).
제2유입관(140)은 하단을 폐쇄하는 폐쇄단면(142)과, 상기 폐쇄단면(142)의 양측에 형성되는 분출공(14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inlet pipe (140) comprises a closed end surface (142) for closing the lower end and an ejection hole (14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losed end surface (142).
막이판(120)은 보울형상의 경사면(12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면(121)의 배면에는 유류포획공간(1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brane plate (120) comprises an inclined surface (121) shaped like a bowl and an oil capturing space (122)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inclined surface (121).
상기 막이판(120) 상부에는 오버플로어공(131)이 형성된 제1덮개부(1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rst lid part (130) having an overflow hole (131) is formed on the membrane plate (120).
상기 배수로(160) 상부에는 제2덮개부(1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lid part (180) is provided on the drainage line (16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8972A KR101996302B1 (en) | 2019-04-03 | 2019-04-03 |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8972A KR101996302B1 (en) | 2019-04-03 | 2019-04-03 |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6302B1 true KR101996302B1 (en) | 2019-07-04 |
Family
ID=6725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8972A Active KR101996302B1 (en) | 2019-04-03 | 2019-04-03 |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630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9061993A (en) * | 2024-11-04 | 2024-12-03 | 合肥水泥研究设计院有限公司 | A filtering and anti-blocking structure for municipal water supply and drainag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8281B1 (en) * | 2010-07-05 | 2012-01-31 | 신강하이텍(주) | Filtration type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device for selective treatment of rainfall runoff and automatic discharge of residual water |
KR101741449B1 (en) | 2015-11-24 | 2017-05-30 | 최성필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nd overflow water of confluent water drainage |
KR101785445B1 (en) * | 2017-02-16 | 2017-10-13 | 황성규 | Non-powered pollution reducing manhole using hydraulic gradient |
KR101881848B1 (en) * | 2018-01-16 | 2018-07-25 | 황성규 | Apparatus for decrea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s |
KR101906937B1 (en) * | 2018-02-05 | 2018-12-05 | 조석현 |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and Method therefor |
-
2019
- 2019-04-03 KR KR1020190038972A patent/KR10199630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8281B1 (en) * | 2010-07-05 | 2012-01-31 | 신강하이텍(주) | Filtration type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device for selective treatment of rainfall runoff and automatic discharge of residual water |
KR101741449B1 (en) | 2015-11-24 | 2017-05-30 | 최성필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nd overflow water of confluent water drainage |
KR101785445B1 (en) * | 2017-02-16 | 2017-10-13 | 황성규 | Non-powered pollution reducing manhole using hydraulic gradient |
KR101881848B1 (en) * | 2018-01-16 | 2018-07-25 | 황성규 | Apparatus for decrea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s |
KR101906937B1 (en) * | 2018-02-05 | 2018-12-05 | 조석현 |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and Method therefo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9061993A (en) * | 2024-11-04 | 2024-12-03 | 合肥水泥研究设计院有限公司 | A filtering and anti-blocking structure for municipal water supply and drainag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76637B1 (en) | Device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flowing liquids or gases | |
CA2624643C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a light fluid from a heavy one and/or removing sediment from a fluid stream | |
AU70342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loating and non-floating particulate from rainwater drainage | |
CN104289029B (en) | water treatment facility | |
KR101633767B1 (en) | A upflow type stormwater treatment facilities using float filter media | |
CA2621378C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flowing liquids | |
US10155670B1 (en) | Stormwater polymer treatment system | |
AU2004267098A1 (en) | Apparatus for trapping floating and non-floating particulate matter | |
KR101692678B1 (en) | Apparatus with Fliter and Back Wash Function of Non-point Pollutants removal facility | |
KR101637078B1 (en) | Water Treatment System For Initial Rain Water | |
KR20190083289A (en) | Filtering system for combined sewer overflows and water trea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794124B1 (en)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 |
KR101479462B1 (en)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source contaminants | |
KR101736743B1 (en) | Automatic backwashing system for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ies with automatic backwash and stagnation water treatment | |
KR102009847B1 (en) | System for reducing non point source pollution and monitering non point source pollution | |
KR101562757B1 (en) | Non-point sources pollutants removal facility | |
JP5065567B2 (en) | Solid-liquid separator | |
KR101738952B1 (en) | Polymer poly ethylene filter treatment apparatus of rainwater | |
KR101846421B1 (en) |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 |
JP6316156B2 (en) | Sedimentation pond | |
KR100805877B1 (en) | Sewer reservoir overflow screen device | |
KR20160010952A (en) | Non-point sources pollutants removal facility | |
KR101538439B1 (en) | Non-point pollutant purification equipment for bridges | |
KR101996302B1 (en) |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ion | |
KR102653647B1 (en) |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thru Filteration Ty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4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