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033B1 - Waterlevel interlocking type mooring device for floating photovoltaic power plant - Google Patents
Waterlevel interlocking type mooring device for floating photovoltaic power pla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6033B1 KR101996033B1 KR1020180117069A KR20180117069A KR101996033B1 KR 101996033 B1 KR101996033 B1 KR 101996033B1 KR 1020180117069 A KR1020180117069 A KR 1020180117069A KR 20180117069 A KR20180117069 A KR 20180117069A KR 101996033 B1 KR101996033 B1 KR 1019960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mooring
- pulley
- pair
- buoyancy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31 greenhous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76 im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63B2021/203—Mooring cables or ropes, hawsers, or the like; Adaptation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63B2021/206—Weights attached to mooring lines or chain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P(polypropylene)소재의 계류로프가 수면 상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계류로프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수위 변화에 연동하여 태양광 설비를 수면 상부에 노출시키고 설치 영역을 벗어나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수위연동형 수상태양광 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태양광 모듈이 안착되는 안착대; 상기 안착대의 하부에 장착되며 수위 변화에 연동하여 승강하면서 상기 안착대를 수면 상부에 위치시키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부력체; 및 선택된 부력체의 측면에서 수중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며, 일단과 타단이 각각 수중의 지면에 고정되고 타단에 복수의 무게추가 장착되어 상기 부력체에 일정한 인장력을 전달하는 PP(polypropylene) 소재의 계류로프를 포함하여 상기 안착대가 설치 영역을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mooring ropes from being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water by preventing the mooring rope of the PP (polypropylene) material, while exposing the solar installation to the upper part of the water in conjunction with the water level change and moving out of the installation area or rotating. It relates to a water level linked type solar photovoltaic device for supporting so as not to, in particular, a seating table on which at least one solar module is mounted; At least one buoyant body mounted below the seating board and positioned to seat the seating board at the top of the water while being lifted in association with a change in water level; And a mooring rope of PP (polypropylene) material, which is mounted so as to be underwater in the side of the selected buoyancy body,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which are fixed to the ground of the water and a plurality of weights are attached to the other end to transmit a constant tensile force to the buoyancy bod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for supporting so that the seating board does not leave the installation area.
Description
본 발명은 PP(polypropylene)소재의 계류로프가 수면 상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계류로프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수위 변화에 연동하여 태양광 설비를 수면 상부에 노출시키고 설치 영역을 벗어나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수위연동형 수상태양광 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mooring ropes from being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water by preventing the mooring rope of the PP (polypropylene) material, while exposing the solar installation to the upper part of the water in conjunction with the water level change and moving out of the installation area or rotating. It relates to a water level interlocking water photovoltaic mooring device that does not support.
일반적으로 태양전지(태양광 모듈)를 이용하여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태양광 발전(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V) 설비는 온실가스 배출, 소음, 환경파괴 등을 초래하지 않는 무공해 에너지원이다. In general,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V) equipment that converts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using solar cells (solar modules) is a pollution-free energy source that does not cause greenhouse gas emissions, noise, or environmental damage.
이러한 태양광발전은 화석연료의 수입에 의존할 필요 없이 자체조달이 가능하여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 유리하므로 인류가 직면한 환경문제, 즉 CO2 저감과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신재생 에너지란 측면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Sinc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can be self-procured without relying on imports of fossil fuels,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nergy security. Therefore, environmental problems faced by humankind, such as CO2 reduction and sustainable renewable energy, which can replace fossil fuels Various studies are underway.
특히 태양광 발전은 신재생 에너지 중에서도 입지조건이 까다로운 풍력, 조수력 발전과는 달리 지역 및 규모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며 유지관리비용도 매우 저렴하여 신재생 에너지 분야 중 가장 큰 성장을 나타내고 있다.In particular, unlike the wind and tidal power generation, which has a difficult location among renewable energy, solar power generation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region and size, and the maintenance cost is very low.
하지만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을 수집하기 위해서 일정 면적을 필요로 하므로, 지상에서 태양광 발전을 구축하는 경우에는 건축물 등에 부가적으로 태양광 모듈을 설치해야 하는데 경사 및 방위각, 온도, 음영 등에 제약이 있어 다른 신재생 에너지에 비해 면적당 발전효율이 작아 요구되는 발전량을 얻기 위해서는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한다.Howeve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requires a certain area to collect sunlight, so when building photovoltaic power on the ground, additional solar modules must be installed in buildings, etc. As the generation efficiency per area is lower than other renewable energy, a large area is required to obtain the required generation amount.
따라서 좁은 국토 내에서 면적집약적인 태양광발전산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태양광 모듈을 수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수상 부유식 태양광 발전 구조물 공법이 시행되고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area-intensive photovoltaic industry in a narrow country, a floating floating photovoltaic construction method is being implemented to install a solar module on the water surface.
수상 부유식 태양광 발전은 호수, 댐, 저수지, 바다 등의 유휴수면을 자원으로 활용하여 태양광모듈을 수면에 설치하는 것이며, 이러한 수상 부유식 태양광 발전에서는 태양광 모듈을 비롯하여 부가 설비들을 수상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계류장치가 동반 설치된다.Floating floating solar power is to install solar modules on the surface by using idle water such as lakes, dams, reservoirs, and the sea as resources. The mooring device is essentially installed in order to secure it.
수상 부유식 태양광 발전에 적용되는 계류장치는 수위 변화에 자동 연동하여 수상 부유식 태양광 발전 설비들을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계류장치의 일 구성인 계류로프의 경우 주로 체인, PP로프, 와이어로프 등이 사용되고 있다. The mooring device applied to the water floating solar power plant automatically fixes the water floating solar power facilities by interlocking with the water level change. In the case of the mooring rope,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mooring device, the chain, PP rope, wire rope, etc. It is used.
이 중 체인과 와이어로프는 수면 상부에서는 내구성이 높으나, 수면 아래에서는 부식 문제 때문에 내구성이 낮다. Among them, chains and wire ropes are more durable at the top of the surface of the water, but less durable due to corrosion problems.
반면에 PP로프는 수면 아래에서는 내구성이 높으나, 수면 상부에서는 햇빛에 의한 부스러짐 현상 때문에 내구성이 낮다. PP ropes, on the other hand, are more durable under water, but less durable due to sun-dried phenomena at the top.
즉 PP로프는 수분을 흡수하지 않아 잘 썩지가 않고 충격흡수력와 마모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햇빛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 산화에 의한 부스러짐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주기적인 유지보수와 교체가 요구되는 바, 그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PP rope does not absorb moisture, so it does not rot easily and has strong shock absorption and abrasion resistance.However, if it is exposed to sunlight for a long time, flakes caused by oxidation are gen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cost is increased accordingly.
따라서 본 발명이 목적은 계류로프의 가격 측면에서 우위에 있는 PP(polypropylene)소재의 로프를 사용하면서 PP로프의 전체 부위를 수중에 잠기도록 하여 햇빛 노출에 따른 산화 및 수명 단축 문제를 해결하고 선택적으로 PP로프의 인양이 가능한 수위연동형 수상태양광 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oxidation and life shortening by exposure to sunlight by submerging the whole part of the PP rope in water while using the rope of PP (polypropylene) material which is superior in the cost of mooring rope. It is to provide a water level linked type solar photovoltaic mooring device capable of lifting a PP rope.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수위연동형 수상태양광 계류장치는, 하나 이상의 태양광 모듈이 안착되는 안착대; 상기 안착대의 하부에 장착되며 수위 변화에 연동하여 승강하면서 상기 안착대를 수면 상부에 위치시키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부력체; 및 선택된 부력체의 측면에서 수중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며, 일단과 타단이 각각 수중의 지면에 고정되고 타단에 복수의 무게추가 장착되어 상기 부력체에 일정한 인장력을 전달하는 PP(polypropylene) 소재의 계류로프를 포함하여 상기 안착대가 설치 영역을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water level interlocking water solar moo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table on which one or more solar modules are mounted; At least one buoyant body mounted below the seating board and positioned to seat the seating board at the top of the water while being lifted in association with a change in water level; And a mooring rope of PP (polypropylene) material, which is mounted so as to be underwater in the side of the selected buoyancy body,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which are fixed to the ground of the water and a plurality of weights are attached to the other end to transmit a constant tensile force to the buoyancy bod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for supporting so that the seating board does not leave the installation area.
하나의 예로써, 상기 연결부는, 선택된 부력체의 측면에서 수중에 잠기도록 장착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측판; 상기 한 쌍의 측판 간 형성되는 공간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계류로프가 수위 변화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승강하도록 회전하며 계류로프의 인장력을 부력체에 전달하는 제 1풀리; 및 상기 한 쌍의 측판 간 형성되는 공간의 하부에서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며 수중에서 상기 제 1풀리를 향하는 계류로프의 일측과 상기 제 1풀리를 통과하여 수중을 향하는 계류로프의 타측에 각각 접하여 계류로프의 방향을 각각 유도하는 한 쌍의 제 2풀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one example, the connection portion, a pair of side plates mounted to be submerged in the water on the side of the selected buoyancy body an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 first pulley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a spa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the mooring rope rotating to automatically move up and down in response to a change in water level, and transmitting a tensile force of the mooring rope to a buoyancy body; And a mooring rope moun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and contacting one side of the mooring rope toward the first pulley in water and the other side of the mooring rope through the first pulley toward water. And a pair of second pulleys each of which induces a direction of the;
하나의 예로써,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측판 간 형성되는 공간에서 상기 한 쌍의 제 2풀리 각각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 1풀리를 향하는 계류로프의 일측과 상기 제 1풀리를 통과하여 수중을 향하는 계류로프의 타측이 각각 관통되도록 하는 가이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one example, the connecting portion is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pair of second pulleys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and passes through one side of the mooring rope toward the first pulley and the first pulle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guide pipes for allowing the other side of the mooring rope toward the water respectively.
하나의 예로써,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측판 간 형성되는 공간을 밀폐하되, 상기 제 1풀리를 향하는 계류로프의 일측 및 상기 제 1풀리를 통과하여 수중을 향하는 계류로프의 타측과 대면하는 부위가 개방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the connecting portion seals a spa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and faces one side of the mooring rope facing the first pulley and the other side of the mooring rope facing the water through the first pulle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sing;
하나의 예로써, 상기 한 쌍의 제 2풀리는 각각 상호 대면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측판에 형성되는 장공에 체결축이 체결되어 장공을 따라 유동 가능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제 2풀리의 각 체결축에 일정한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측판에 장착되는 장력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the pair of second pulleys are fastened to the long shafts formed in the side plates along the mutually facing directions so that the pair of second pulleys are movable along the long holes,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air of second pulley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ension spring mounted to the side plate to impart a constant tensile or compressive force to each fastening shaft.
하나의 예로써, 상기 연결부와 부력체 사이에서 수면 상부로부터 수중의 일정 깊이까지 연직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연결부를 부력체에 연결하며, 연직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유동공과 선택된 하나의 유동공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승강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승강레일과 접하는 일측면에 상기 유동공의 직경과 대응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선택된 하나의 유동공에 상기 고정핀을 통해 핀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특징이다.As one example,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buoyancy body is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water surface to a certain depth in the water to connect the connection portion to the buoyancy body, a plurality of flow holes and a selected on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lifting rail including a fixing pin coupled to the flow hole, wherein the connection part includes a fix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flow hole on one side of the lifting rail, and fixed to the selected one of the flow hole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pinned and fixed through pins.
하나의 예로써, 상기 승강레일의 상단에 탈, 부착되며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인양로프를 통해 연결되고 외부의 동력 부여에 따라 상기 연결부를 선택적으로 수면 상부로 인양하는 인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n example, the lifting device which is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rail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through a lifting rope and selectively lifts the connecting part to the upper surface according to the external power is applied. It is characteristic.
상술한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수위연동형 수상태양광 계류장치는, 계류로프의 가격 측면에서 우위에 있는 PP(polypropylene)소재의 로프를 사용하면서 PP로프의 전체 부위를 수중에 잠기도록 하여 햇빛 노출에 따른 산화 및 수명 단축 문제를 해결하고 선택적으로 PP로프의 인양이 가능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the above-mentioned solution, the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olar photovoltaic moo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osed to sunlight by immersing the entire area of the PP rope in water while using a rope made of PP (polypropylene) material that has an advantage in terms of mooring rope pric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oxidation and shorten the lifespan and to selectively lift the PP rope, thereby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위연동형 수상태양광 계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의 평상 시 수중에 잠겨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의 유지 보수 시 수면 상부로 인양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력스프링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1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 level interlocking water solar mo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is normally locked in the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lifted to the upper surface during maintenance of the connection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tension sp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or word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 invention of his or her ow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위연동형 수상태양광 계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의 평상 시 수중에 잠겨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의 유지 보수 시 수면 상부로 인양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 level interlocking water solar mo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is normally submerged in the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is lifted during maintenance of the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력스프링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An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and Figure 4b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tension sp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위연동형 수상태양광 계류장치(이하 '계류장치'라 칭함)은, 안착대(100)와 부력체(200) 및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olar photovoltaic mooring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o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ing table 100, a
상기 안착대(100)는 하나 이상의 태양광 모듈(10)이 안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부력체(200)에 의해 수위 변화에 연동하면서 상기 태양광 모듈(10)이 수면 상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 seating table 100 allows one or more
상기 안착대(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복수의 금속 프레임 간 상호 연결을 통해 구성될 수 있으며, 수중 환경에 적합하도록 내식성이 우수한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상기 부력체(200)는 상기 안착대(100)의 하부에 장착되며 수위 변화에 연동하여 승강하면서 상기 안착대(100)가 항상 수면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The
이러한 부력체(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대(100)의 면적이나 태양광 발전 설비의 규모 등을 고려하여 단위 부력체로서 하나 이상의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상기 연결부(300)는 선택된 부력체(200)의 측면에서 수중에 잠겨 있도록 장착되어 햇빛에 노출되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 연결부(300)는 부력체(200)의 안정적인 고정 및 지지를 위하여 4곳의 각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중에 잠기기 위해서는 부력체(200)의 하단에 연결되는 것이 적합한 바, 부력체(200)의 하단에 위치함으로써 무게 중심에 유리한 이점이 더해진다. The
상기 연결부(300)는 수중의 지면에 설치된 싱커(311)에 고정 설치되며, 수위 변화에 연동하는 계류로프(310)와 상기 계류로프(310)에 작용되는 인장력을 부력체(200)에 전달하고, 수위 변화에 연동하여 계류로프(310)가 자동으로 승강되도록 회전하는 제 1풀리(330)를 포함하여, 연결된 상기 부력체(200)에 일정한 인장력을 전달하면서 수위 변화에 연동하여 상기 계류로프(310)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부력체(200)는 물론 부력체(200)에 연결된 상기 안착대(100)가 설치 영역을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한다.The
일 예로 상기 계류로프(310)는 PP(polypropylene) 소재로 일단과 타단이 각각 수중의 지면에 설치된 싱커(sinker)(311)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그리고 계류로프(310)의 타측에는 복수의 무게추(312)가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수위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300)가 수중에서 함께 하강함에 따라 무게추(312)의 자중에 의해 제 1풀리(330) 기준으로 부력체(200)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 반대로 상기 부력체(200)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And the other side of the
수상 태양광 발전 설비에 있어 태양광 모듈(10)은 태양광을 풍부하게 받을 수 있도록 회전하지 않고 방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고수위시 높은 수면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계류로프(310)는 여유 있는 길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water-based photovoltaic facility, it is important that the
또한 상기 무게추(312)는 저수위가 될수록 이완되는 계류로프(310)에 자중에 의해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부력체(200)에 일정한 인장력이 전달되는 것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태양광 모듈(10)이 정해진 설치 영역을 벗어나거나 불필요하게 회전하는 문제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계류장치에서는 가격적인 측면과 내구성이 우수한 PP 소재의 계류로프(310)를 사용하면서 상기 계류로프(310)가 햇빛 노출에 의해 산화되어 부스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계류로프(310)를 포함하는 연결부(300) 전체를 수면 아래로 잠기도록 함으로써 산화 방지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비가 소요되지 않아 유지 관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oo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300)는 앞서 언급한 제 1풀리(330)에 더하여 계류로프(310)가 제 1풀리(33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방향으로 유도하는 한 쌍의 제 2풀리(340)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풀리 구조를 통해 수중에 위치하는 계류로프(310)의 인장력이 상기 부력체에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면서 상기 계류로프(310)의 일단과 타단의 고정 위치를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300)는 선택된 부력체(200)의 측면에서 수중에 잠기도록 장착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측판(320)과, 상기 한 쌍의 측판(320) 간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제 1풀리(330) 및 제 2풀리(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상기 한 쌍의 측판(320)의 부력체(200)에 대한 연결 구조는 공지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air of
상기 제 1풀리(330)는 상기 한 쌍의 측판(320) 간 형성되는 공간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계류로프(310)가 수위 변화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승강하도록 회전하며 계류로프(310)의 인장력을 부력체(20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상기 제 2풀리(340)는 상기 한 쌍의 측판(320) 간 형성되는 공간의 하부에서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며, 수중에서 상기 제 1풀리(330)를 향하는 계류로프(310)의 일측과 상기 제 1풀리(330)를 통과하여 수중을 향하는 계류로프(310)의 타측에 각각 접하여 계류로프(310)가 상기 제 1풀리(330)의 중심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각각 방향을 유도한다.The
즉 상기 연결부(300)의 제 1풀리(330)는 최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계류로프(310)의 인장력을 부력체(20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 1풀리(330)로부터 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2풀리(340)는 각각 수중에 위치하게 되는 계류로프(310)의 방향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the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 2풀리(340)의 상호 이격 거리에 의해 상기 계류로프(310)의 일측과 타측 간 각도가 결정될 수 있는 바, 안정적인 지지 구조가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 2풀리(340)의 이격 거리를 결정하여 적합한 각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ngle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또한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한 쌍의 측판(320) 간 형성되는 공간에서 상기 한 쌍의 제 2풀리(340) 각각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 1풀리(330)를 향하는 계류로프(310)의 일측과 상기 제 1풀리(330)를 통과하여 수중을 향하는 계류로프(310)의 타측이 각각 관통되도록 하는 가이드관(3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가이드관(350)은 조류를 포함하는 수중 환경의 영향으로 상기 계류로프(310)가 흔들림이 발생할 시, 계류로프(31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의 제 2풀리(34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결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측판(320) 간 형성되는 공간을 밀폐하는 케이싱(3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케이싱(360)은 상기 제 1풀리(330)를 향하는 계류로프(310)의 일측 및 상기 제 1풀리(330)를 통과하여 수중을 향하는 계류로프(310)의 타측이 대면하는 부위가 개방되어 수위 변화에 연동하여 유동하는 계류로프(310)의 움직임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한다.The
이러한 케이싱(360)은 상기 연결부(300)가 수중에 위치하더라고 수면을 투과하는 자외선 등의 빛이 상기 한 쌍의 측판(320) 간 형성되는 공간에서 노출되어 있는 계류로프(310)에 조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계류로프(310)를 햇빛 노출에 따른 산화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The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 2풀리(340)는 각각 상호 대면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측판(320)에 형성되는 장공(370)에 체결축(381)이 체결되어 장공(370)을 따라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pair of
그리고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한 쌍의 제 2풀리(370)의 각 체결축(381)에 일정한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측판(320)에 장착되는 장력스프링(3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예를 들면 상기 장력스프링(38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2풀리(340) 사이에 위치하여 각 제 2풀리(340)의 체결축(381)에 압축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장력스프링(380)를 통해 각 제 2풀리(340)에 접한 계류로프(310)의 일측과 타측 모두에 장력이 도입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the
반대로 상기 장력스프링(38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 2풀리(340)의 체결축(381)에 외측방향에 각각 인장력이 부여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각 제 2풀리(340)에 접한 계류로프(310)의 일측 및 타측에 개별적으로 장력이 도입되게 할 수도 있다.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4B, the
이와 같은 장력스프링(380)은 각각의 제 2풀리(340)에 대하여 일정한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부여함으로써 제 2풀리(340)에 접하는 계류로프(310)의 일측과 타측 또는 일측이나 타측 중 어느 하나가 이완되어 제 2풀리(3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은 물론 이에 연계되어 상기 제 1풀리((330)에 감겨진 계류로프(310)의 일 부위가 이탈되어 상기 부력체(200) 부여된 인장력이 완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뿐만 아니라 조류와 같은 흔들림에 의하여 상기 제 2풀리(340)에 계류로프(310)가 접한 부위에 대한 피로도의 누적으로 인해 상기 계류로프(310)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urability of the
한편 도 2a는 연결부(300)의 평상 시 수중에 잠겨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을 나타내며, 도 2b는 상기 연결부(300)의 유지 보수 시 수면 상부로 인양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300)은 선택적로 인양되어 수면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Meanwhile, FIG. 2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계류장치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00)와 부력체(200) 사이에서 수면 상부로부터 수중의 일정 깊이까지 연직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연결부(300)를 부력체(200)에 연결하는 승강레일(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o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a and 2b is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rface to a certain depth between the connecting
이러한 승강레일(400)은 상기 연결부(300)의 수직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연결부(3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lifting
일 예로, 상기 승강레일(400)은 연직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유동공(410)과,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동공에 결합되는 고정핀(420)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fting
그리고 상기 연결부(300)의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승강레일(400)과 접하는 일측면에 상기 유동공(410)의 직경과 대응하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동공(410)에 상기 고정핀(420)을 통해 핀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Although the
즉, 상기 연결부(300)에 대한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연결부(300)는 승강레일(400)을 따라 상부로 인양되었다가 유지 보수가 완료되면 다시 원래의 수중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특히 유지 보수 시 상부로 인양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핀(420)을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이때, 상기 승강레일(400)의 상단에는 인양기(430)가 장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 인양기(430)는 상기 연결부(300)의 인양시에만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레일(400) 상부에 탈,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부(300)의 상단에 인양로프를 통해 연결되고 외부의 동력 부여에 따라 상기 연결부(300)를 선택적으로 수면 상부로 인양할 수 있다.Th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 : 태양광 모듈
100 : 안착대 200 : 부력체
300 : 연결부 310 : 계류로프
311 : 싱커 312 : 무게추
320 : 측판 330 : 제 1풀리
340 : 제 2풀리 350 : 가이드관
360 : 케이싱 370 : 장공
380 : 장력스프링 381 : 체결축
400 : 승강레일 410 : 유동공
420 : 고정핀 430 : 인양기10: solar module
100: seating table 200: buoyant body
300: connection part 310: mooring rope
311: Sinker 312: Weight
320: side plate 330: first pulley
340: the second pulley 350: guide tube
360: casing 370: long hole
380: tension spring 381: tightening shaft
400: lifting rail 410: flow ball
420: fixed pin 430: lifting device
Claims (7)
상기 안착대의 하부에 장착되며 수위 변화에 연동하여 승강하면서 상기 안착대를 수면 상부에 위치시키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부력체; 및
선택된 부력체의 측면 하단부위에 장착되어 수중에서 상기 부력체의 승강에 함께 연동하며, PP(polypropylene) 소재로 일단과 타단이 각각 수중의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에는 복수의 무게추가 일정 간격을 따라 장착되어 상기 부력체에 인장력을 전달하는 계류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대가 설치 영역을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선택된 부력체의 측면에서 수중에 잠기도록 장착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측판;
상기 한 쌍의 측판 간 형성되는 공간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계류로프가 수위 변화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승강하도록 회전하며 계류로프의 인장력을 부력체에 전달하는 제 1풀리;
상기 한 쌍의 측판 간 형성되는 공간에서 상기 제 1풀리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하부에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며 수중에서 상기 제 1풀리를 향하는 계류로프 일측의 내측부위와 상기 제 1풀리를 통과하여 수중을 향하는 계류로프 타측의 내측부위에 각각 접하여 계류로프가 상기 제1 풀리를 중심으로 각각 일측과 타측을 향하게 되는 각도와 방향을 유도하는 한 쌍의 제 2풀리; 및
상기 한 쌍의 측판 간 형성되는 공간에서 상기 한 쌍의 제 2풀리 각각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 1풀리를 향하는 계류로프의 일측과 상기 제 1풀리를 통과하여 수중을 향하는 계류로프의 타측이 각각 관통되도록 하는 가이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연동형 수상태양광 계류장치.
A seating table on which one or more solar modules are seated;
At least one buoyant body mounted below the seating board and positioned to seat the seating board at the top of the water while being lifted in association with a change in water level; And
It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lected buoyancy body and interlocks with the lifting of the buoyancy body in water. Includes a mooring rope mounted to transfer the tensile force to the buoyancy body, the connec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seat so as not to leave the installation area;
The connecting portion,
A pair of side plates mounted to be submerged in the side of the selected buoyancy body an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 first pulley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a spa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the mooring rope rotating to automatically move up and down in response to a change in water level, and transmitting a tensile force of the mooring rope to a buoyancy body;
Mooring that is mount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lower lower than the first pulley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and through the inner portion of the side of the mooring rope toward the first pulley and the first pulley toward the water A pair of second pulleys each in contact with an inn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rope to induce an angle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mooring ropes are directed towar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pulley; An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ar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pair of second pulleys, one side of the mooring rope toward the first pulley and the other side of the mooring rope through the first pulley toward the water respectively A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olar moor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guide tube to be penetrated.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측판 간 형성되는 공간을 밀폐하되, 상기 제 1풀리를 향하는 계류로프의 일측 및 상기 제 1풀리를 통과하여 수중을 향하는 계류로프의 타측과 대면하는 부위가 개방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연동형 수상태양광 계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portion,
A casing which seals a spa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s, wherein a portion facing one side of the mooring rope toward the first pulley and the other side of the mooring rope toward the water through the first pulley is opened. Water level interlocking type solar photovoltaic mo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한 쌍의 제 2풀리는 각각 상호 대면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측판에 형성되는 장공에 체결축이 체결되어 장공을 따라 유동 가능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제 2풀리의 각 체결축에 일정한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측판에 장착되는 장력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연동형 수상태양광 계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ir of second pulleys are fastened to the long hole formed in the side plat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he fastening shaft is fastened and can flow along the long hole,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tension spring mounted to the side plate to impart a constant tensile or compressive force to each coupling shaft of the pair of second pulleys.
상기 연결부와 부력체 사이에서 수면 상부로부터 수중의 일정 깊이까지 연직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연결부를 부력체에 연결하며, 연직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유동공과 선택된 하나의 유동공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승강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승강레일과 접하는 일측면에 상기 유동공의 직경과 대응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선택된 하나의 유동공에 상기 고정핀을 통해 핀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연동형 수상태양광 계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buoyancy body is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water surface to a certain depth in the water to connect the connecting portion to the buoyancy body, coupled to a plurality of flow holes and a selected one selected to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t further comprises a lifting rail including a fixing pin;
The connecting portion,
A water level linked type solar photovoltaic mo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flow hole is formed on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lifting rail and is pin-coupled to the selected one of the flow holes through the fixing pin.
상기 승강레일의 상단에 탈, 부착되며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인양로프를 통해 연결되고 외부의 동력 부여에 따라 상기 연결부를 선택적으로 수면 상부로 인양하는 인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연동형 수상태양광 계류장치.The method of claim 6,
A lifting device detachable from and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rail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rail through a lifting rope and selectively lifting the connecting part to the upper surface according to external power. Type water solar moor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7069A KR101996033B1 (en) | 2018-10-01 | 2018-10-01 | Waterlevel interlocking type mooring device for floating photovoltaic power pla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7069A KR101996033B1 (en) | 2018-10-01 | 2018-10-01 | Waterlevel interlocking type mooring device for floating photovoltaic power pla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6033B1 true KR101996033B1 (en) | 2019-10-17 |
Family
ID=6842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7069A Expired - Fee Related KR101996033B1 (en) | 2018-10-01 | 2018-10-01 | Waterlevel interlocking type mooring device for floating photovoltaic power pla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603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4436B1 (en) | 2020-11-16 | 2021-01-18 | 주식회사 선공 | Water solar generating facility concrete anchor with shear key |
KR20230069739A (en) | 2021-11-12 | 2023-05-19 | 현대글로벌 주식회사 | Combined mooring device for the maintance of effective mooring force, creation of a relaxation area and monitoring of mooring lines of floating structur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2473B1 (en) * | 2011-08-19 | 2012-07-03 | 한국수자원공사 | A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with variable supporting rope |
KR101487286B1 (en) * | 2013-08-16 | 2015-01-30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Semisubmersible structure |
KR20150078235A (en) * | 2013-12-30 | 2015-07-08 |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 Device for automatically winding and unwinding wire for floating 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and floating 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including the same |
KR101572938B1 (en) * | 2014-12-22 | 2015-12-01 | 오토렉스 주식회사 | Gravity type mooring apparaus for floating offshore structure |
KR20160130388A (en) * | 2014-02-06 | 2016-11-11 | 유니버시티 오브 메인 시스템 보드 오브 트러스티스 | Method of mooring floating wind turbine platforms |
KR101774008B1 (en) | 2017-04-05 | 2017-09-01 | 주식회사 북극곰 | Mooring construction device of maritim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quipment |
-
2018
- 2018-10-01 KR KR1020180117069A patent/KR10199603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2473B1 (en) * | 2011-08-19 | 2012-07-03 | 한국수자원공사 | A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with variable supporting rope |
KR101487286B1 (en) * | 2013-08-16 | 2015-01-30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Semisubmersible structure |
KR20150078235A (en) * | 2013-12-30 | 2015-07-08 |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 Device for automatically winding and unwinding wire for floating 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and floating 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including the same |
KR20160130388A (en) * | 2014-02-06 | 2016-11-11 | 유니버시티 오브 메인 시스템 보드 오브 트러스티스 | Method of mooring floating wind turbine platforms |
KR101572938B1 (en) * | 2014-12-22 | 2015-12-01 | 오토렉스 주식회사 | Gravity type mooring apparaus for floating offshore structure |
KR101774008B1 (en) | 2017-04-05 | 2017-09-01 | 주식회사 북극곰 | Mooring construction device of maritim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quipmen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4436B1 (en) | 2020-11-16 | 2021-01-18 | 주식회사 선공 | Water solar generating facility concrete anchor with shear key |
KR20230069739A (en) | 2021-11-12 | 2023-05-19 | 현대글로벌 주식회사 | Combined mooring device for the maintance of effective mooring force, creation of a relaxation area and monitoring of mooring lines of floating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44822B2 (en) | Floating device for generating energy from water streams | |
ES2928199T3 (en) | solar power plant | |
RU2349791C2 (en) | Submerged hydraulic turbines mounted on deck | |
CN110450917B (en) | Floating type offshor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latform | |
KR101837237B1 (en) | Offshore platform with outset columns | |
CN108884807B (en) | Device for converting wave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method for deploying same at a production location | |
US20180106236A1 (en) | Submersible power generation platform | |
KR20090102868A (en) | Hydro column | |
KR101996033B1 (en) | Waterlevel interlocking type mooring device for floating photovoltaic power plant | |
CN114802627A (en) | Semi-submersible offshor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latform and offshor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rray | |
KR101232314B1 (en) | Water surface floating 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 |
KR101497812B1 (en) | Anchoring installation of the floated generating apparatus on the seaside or the channel | |
CN101855131B (en) | An off-shore structure, a buoyancy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n off-shore structure | |
KR101642489B1 (en) | Half-diving type marine structure | |
KR102480001B1 (en) | Mooring system for solar power plant on water | |
TW201522163A (en) | Apparatus of wave generators and mooring system is used to generate electricity | |
CA2837613C (en) | Submersible apparatus and methods of installing anchoring equipment | |
CN1454290A (en) | System for the exploitation of tidal-and river current energy | |
KR102284699B1 (en) | A guard pence of offshor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 |
KR101402763B1 (en) | Rolling pitching damper for aquatic facilities | |
NO347179B1 (en) | A mooring system for a plurality of floating units | |
KR20210087697A (en) | Convergence tidal current generation module and ocean city using elastic energy pendulum motion aberration | |
JP2010149818A (en) | Mooring device | |
KR20190025511A (en) | Tidal generator that generates into buoyancy board movement through tidal tide difference | |
TW202245404A (en) | Photovoltaik-einheit fuer gewaess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0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