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216B1 - Bobbin and Toroidal Inductor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obbin and Toroidal Inductor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5216B1 KR101995216B1 KR1020170154045A KR20170154045A KR101995216B1 KR 101995216 B1 KR101995216 B1 KR 101995216B1 KR 1020170154045 A KR1020170154045 A KR 1020170154045A KR 20170154045 A KR20170154045 A KR 20170154045A KR 101995216 B1 KR101995216 B1 KR 1019952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bobbin
- toroidal inductor
- circumferential surface
- win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976 Electrical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89 perm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01F30/16—Toroidal transform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토로이달 인덕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대략 링 형상의 본체를 포함하되, 본체는,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돌출부로서, 제1돌출부의 길이방향 양단에 배치되는 제1단철부 및 제1단철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요홈부를 포함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토로이달 인덕터를 제공한다.A bobbin for a toroidal inductor and a toroidal inductor including the bobbin are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substantially ring-shaped main body, the main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spaced apart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first protrusion including a first recessed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monotonous portion and the first monotonous portion, and a toroidal inductor including the bobbin.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토로이달 인덕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bbin and a toroidal inductor including the bobbin.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인덕터(inductor)는 전기전자회로에서 인덕턴스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부품이다. 코어의 형상 또는 권선을 권취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인덕터가 존재한다.Inductors are components used to obtain inductance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circuits. Various types of inductors exist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ore or the method of winding the windings.
예를 들면, 막대형 코어를 갖는 솔레노이드형 인덕터, 하나의 도선만으로 이루어진 단일도선형 인덕터, 평면에 소용돌이 모양으로 권취된 코일을 갖는 스파이더리 인덕터(spidery inductor), 및 링 형상의 코어를 가지는 토로이달 인덕터(toroidal inductor) 등이 있다.For example, a solenoidal inductor with a rod core, a single-pole linear inductor with only one lead, a spidery inductor with a coil wound in a planar spiral, and a toroidal with a ring- An inductor (toroidal inductor) and the like.
이 중에서도 토로이달 인덕터는 링 형상의 코어의 내측과 외측을 오가며 반복하여 권취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권취 특성 때문에, 종래의 토로이달 인덕터는 대전류용으로 이용될 경우 권선의 굵기가 굵어지면서 권취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토로이달 인덕터는 권취 후에도 권선을 규칙적으로 배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Among these, the toroidal inductor has a characteristic in which the toroidal inductor is repeatedly wound around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ring-shaped core. Due to such winding characteristics, when the conventional toroidal inductor is used for a large current, the thickness of the winding becomes thick, which makes winding difficult.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oroidal inductor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gularly arrange windings even after winding.
또한, 규칙적인 권취가 어려운 종래의 토로이달 인덕터는 같은 상들을 가지는 권선들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권취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In addition, in a conventional toroidal inductor in which regular winding is difficult, winding is often performed in a state where windings having the same phase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권선이 겹쳐진 상태에서 권취가 이루어질 경우, 권선 간의 기생 커패시턴스(parasitic capacitance)가 커지게 되어 고주파에서 임피던스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에서도 일정한 크기 이상의 인덕턴스를 얻기 위해서는, 권선들 사이에 간격을 두어 기생 커패시턴스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When winding is per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windings are overlapped, the parasitic capacitance between the windings becomes large,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impedance decreases at high frequencies.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an inductance equal to or larger than a predetermined magnitude even at a high frequency,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parasitic capacitance by providing a gap between the windings.
한편, 종래의 대전류용 토로이달 인덕터는 권선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클 수밖에 없으므로, 발열이 심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toroidal inductor for large current has a problem that heat is generated severely because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is large.
이에, 본 발명은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토로이달 인덕터를 제공함으로써 권선의 권취를 규치적으로 하고, 이를 통해, 기생 커패시턴스를 감소시키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bbin and a toroidal inductor including the same, wherein the bobbin includes a first protrusion spac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thereby making winding of the winding rule judged and thereby reducing parasitic capacitance .
또한, 본 발명은 제1돌출부에 제1요홈부를 형성함으로써 토로이달 인덕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purpose of effectively cooling the heat generated in the toroidal inductor by forming the first recessed portion in the first protrus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대략 링 형상의 본체를 포함하되, 본체는,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돌출부로서, 제1돌출부의 길이방향 양단에 배치되는 제1단철부 및 제1단철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요홈부를 포함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을 제공한다.
또한,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제1돌출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돌출부로서, 제2돌출부의 길이방향 양단에 배치되는 제2단철부 및 제2단철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요홈부를 포함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되, 제1단철부는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높이만큼 돌출되고, 제1요홈부는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높이보다 작은 제2높이만큼 돌출되고, 제2단철부는 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제3높이만큼 돌출되고, 제2요홈부는 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제3높이보다 작은 제4높이만큼 돌출되고, 본체에 권취되는 권선이, 본체의 외주면 상에서 제1요홈부와 중첩되지 않고 본체의 내주면 상에서 제2요홈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구성된 보빈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substantially ring-shaped main body, the main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spaced apart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first protrusion including a first recessed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monotonous portion and the first monotonous por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arranged to face the first protrusion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second protrusions being dispos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rotrusions, and the second recesses being disposed between the second notches And the first stepped portion is protrude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by a first height, the first recessed portion protrudes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by a second height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The second concave portion is protruded by a third height smaller than the third heigh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winding wound around the main body is not overlapped with the first recessed por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recessed portion is not overlapped with the second recessed portion on the bobbi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 토로이달 인덕터는 권선을 규칙적으로 권취함으로써 기생 커패시턴스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토로이달 인덕터가 고주파에서도 높은 임피던스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bbin and the toroidal inductor including the bobbin effectively reduce the parasitic capacitance by winding the windings regularly, and thereby, the toroidal inductor has a high impedance even at high frequencies.
또한, 권선을 균일하게 권취함으로써, 토로이달 인덕터의 대량 생산시, 각각의 토로이달 인덕터가 가지는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 변동 경향이 서로 균일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uniformly winding the windings, there is an effect that, in the mass production of the toroidal inductor, the impedance fluctuation tendencies according to the frequencies of the respective toroidal inductors become uniform.
또한,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 및 이를 포함하는의 토로이달 인덕터의 형상을 제공함으로써 토로이달 인덕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the reliability of the toroidal inductor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the shape of the toroidal inductor bobbin and the toroidal inductor including the bobbin for improving the cooling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에 권선이 권취된 토로이달 인덕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내부에 자심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선 및 돌출지지부를 포함하는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로이달 인덕터의 권취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bbin for a toroidal indu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roidal inductor in which a winding is wound on a bobbin for a toroidal indu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bobbin for a toroidal indu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a bobbin for a toroidal inductor illustrating that a magnetic core member is disposed within a bod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bbin for a toroidal inductor including a guide wire and a protruding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bbin for a toroidal inductor including a second protrus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 winding method of the toroidal indu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cond, i), ii), a), b) and the like can be used. These codes are for distinguishing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natur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the order and the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ose cod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mprising" or "comprising" an element in the specification,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explicitly contradicted by the descrip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bbin for a toroidal indu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에 권선(200)이 권취된 토로이달 인덕터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roidal inductor in which a winding 200 is wound around a bobbin for a toroidal indu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은 본체(100), 제1돌출부(110) 및 분리벽(1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bobbin for a toroidal inductor includes a
본체(100)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본체(100)의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권선(200)은 본체(100)에 형성된 중공을 통해, 본체(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본체(1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반복되어 권취될 수 있으며, 이로써, 토로이달 인덕터(toroidal inductor)가 형성된다.The
또한, 본체(100)는 본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돌출부(110)를 포함한다.The
제1돌출부(110)는 제1돌출부(110)의 길이방향 양단에 배치되는 제1단철부(112) 및 제1단철부(112)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요홈부(114)를 포함한다.The
제1돌출부(110)는, 권선(200)이 본체(100)에 권취될 때, 제1돌출부(110)들 사이에 권선(200)을 위치시킴으로써 권선(200)이 규칙적인 배열 및 간격을 유지하면서 본체(100)에 권취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은 권선(200)을 규칙적으로 권취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기생 커패시턴스를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고주파에서도 높은 임피던스를 가지는 토로이달 인덕터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bobbin for the toroidal indu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toroidal inductor having the high impedance can be obtained by reducing the parasitic capacitance by inducing the winding 200 to be wound regularly.
또한, 권선(200)을 균일하게 권취함으로써, 토로이달 인덕터의 대량 생산시, 각각의 토로이달 인덕터가 가지는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 변동 경향이 서로 균일해지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by winding the winding 200 uniformly,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in the mass production of the toroidal inductor, the impedance fluctuation tendencies according to the frequencies of the respective toroidal inductors are uniform.
복수 개의 가이드홈(132)은 본체(100)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분리벽(130)은 가이드홈(132)에 삽입되어 본체(100)의 내주면 내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구획을 형성한다.The plurality of
토로이달 인덕터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권선(200)은 하나 이상의 상(phase)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상을 가지는 권선(200)은 서로 분리되어 권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toroidal inductor is used, the
그런데, 토로이달 인덕터는, 권선(200)이 본체(100)의 내측과 외측을 반복하여 권취되는 특성 때문에, 본체(100)의 내주면에서는 외주면 측 대비 권선밀도가 높아 서로 다른 상의 권선(200)들이 인접 또는 접촉하여 배치될 가능성이 높다.Since the toroidal inductor has a high winding density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벽(130)은 본체(100)의 내주면에서 서로 다른 상의 권선(200)을 분리하여 권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separating
또한, 서로 다른 상을 가지는 권선들은 상의 차이로 인해 전압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권선에 의도치 않은 전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벽(130)은, 서로 다른 상을 가지는 권선(200)들 사이에서 절연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Also, windings having different phases may experience voltage differences due to phase differences, which may result in unintentional current generation in the windings. Thus, the separating
또한, 가이드홈(132)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본체(100)의 외주면까지 본체(10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드홈(132)은 권선이 본체(100)에 규칙적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1 and 2,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선(116)을 포함하는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의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a bobbin for a toroidal inductor that includes an
도 3을 참조하면, 제1단철부(112)는, 권선(200)의 권취를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본체(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H2)가 3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 높이(H2)는 본체(100)의 크기 및 권선의 굵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하다.3, the first
권선(200)이 제1돌출부(110)들 사이에 권취되는 경우, 제1돌출부(110)는 본체(100)의 외주면 상에서 권선(200)의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100)의 외주면 상에서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권선(200)의 면적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권선(200)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른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은 제1돌출부(110)에 제1요홈부(114)를 포함시킴으로써, 권선(200)의 권취는 규칙적이게 되도록 유도하면서, 동시에, 권선(200)이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은 넓힐 수 있다. 따라서, 권선(200)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bobbin for a toroidal indu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recessed
본체(100)가 제1절편(102) 및 제2절편(104)을 포함할 경우, 제1절편(102) 및 제2절편(104)이 서로 어긋나게 연결 또는 체결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제1요홈부(114)에는 정렬선(116)이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정렬선(116)은, 제1절편(102)과 제2절편(104)이 서로 어긋나지 않게 배치되었을 때, 제1절편(102)에 배치된 제1돌출부(110)와 제2절편(104)에 배치된 제1돌출부(110)를 잇는 일직선상에 위치한다.The
정렬선(116)은 제1요홈부(114) 상에 인쇄된 실선 또는 점선일 수 있으며, 또는, 제1요홈부(114) 상에서 약간 돌출되거나 홈이 패인 형상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또한, 제1요홈부(114)는 정렬선(116)을 따로 포함하지 않더라도, 제1요홈부(114) 자체가 본체(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됨으로써 정렬선(116)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요홈부(114)가 본체(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H1)는 0.5 mm 이상일 수 있다.The firs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의 내부에 자심부재(400)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의 분해도이다.4 is an exploded view of a bobbin for a toroidal inductor illustrating that a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제1절편(102) 및 제2절편(104)을 포함한다. 제1절편(102)과 제2절편(104) 사이에는 자심부재(400)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자심(磁心, magnetic core)부재(400)는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토로이달 인덕터의 자속을 증가시킨다. 자심부재(400)는 토로이달 인덕터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저주파에서 주로 사용되는 토로이달 인덕터의 경우, 자심부재(400)는 규소강판이나 고투자율 합금(퍼멀로이 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고주파에서 주로 사용되는 토로이달 인덕터의 경우, 자심부재(400)는 와전류손을 피하기 위해 페라이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자심부재(400)의 소재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심부재(400)는 경우에 따라 상술한 소재와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oroidal inductor mainly used at low frequencies,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선(506) 및 돌출지지부(540)를 포함하는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bbin for a toroidal inductor including a
도 5를 참조하면,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은 가이드선(506) 및 돌출지지부(5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bobbin for the toroidal inductor includes a
복수 개의 가이드선(506)은 본체(500)의 내주면을 따라 제1돌출부(510)와 대향하여 형성된다. The plurality of
가이드선(506)은 본체(500)의 내주면 상에 인쇄된 실선 또는 점선일 수 있으며, 또는, 본체(500)의 내주면 상에서 약간 돌출되거나 홈이 패인 형상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가이드선(506)은, 본체(500)의 내주면에 가이드홈(132) 및 분리벽(130) 등과 같은 별도의 부재들 없이도, 본체(500)의 내주면에 구획을 표시함으로써 서로 다른 상을 가지는 권선(200)들이 본체(500)의 내주면 내에서 분리되어 권취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복수 개의 돌출지지부(540)는 본체(500)의 일측에서 본체(5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The plurality of protruding
돌출지지부(540) 또한 가이드선(506)과 마찬가지로, 가이드홈(132) 및 분리벽(130) 등과 같은 별도의 부재들 없이도, 서로 다른 상을 가지는 권선(200)들이 본체(100)의 내주면 내에서 분리되어 권취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가이드선(506) 또는 돌출지지부(540)를 이용할 경우, 가이드홈(132) 및 분리벽(130) 등과 같은 물리적인 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본체(500)의 내측에는 많은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은 가이드선(506) 또는 돌출지지부(540)를 이용함으로써, 내측에 권취된 권선(200)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면적을 넓히고, 이를 통해, 내측에 권취된 권선(200)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bobbin for the toroidal indu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bbin for a toroidal indu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은 제2돌출부(6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bobbin for the toroidal inductor includes a
복수 개의 제2돌출부(650)는 본체(600)의 내주면을 따라 제1돌출부(610)와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돌출부(650)는 본체(600)의 내측에서도 권선(200)이 규칙적으로 권취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은 기생 커패시턴스의 발생을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bobbin for the toroidal indu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ffectively reduce the generation of parasitic capacitance.
또한, 제2돌출부(650)는 제2돌출부(650)의 길이방향 양단에 배치되는 제2단철부(652) 및 상기 제2단철부(652)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요홈부(654)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rojecting
권선(200)이 제2돌출부(650)들 사이에서 권취되는 경우, 제2돌출부(650)는 본체(600)의 내주면 상에서 권선(200)의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600)의 내주면 상에서 외부의 공기에 노출되는 권선(200)의 면적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권선(200)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은 제2돌출부(650)에 제2요홈부(310)를 형성함으로써, 권선(200)의 권취는 규칙적이게 되도록 유도하면서, 동시에, 권선(200)이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은 넓히고, 이를 통해, 권선(200)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bobbin for a toroidal inducto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recessed portion 310 is formed in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로이달 인덕터의 권취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7 illustrates a winding method of the toroidal indu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를 참조하면, 권선(200)은 본체(100)의 외주면 상에서 제1원주방향(X)으로 제1돌출부(110)들 사이에 순차적으로 권취된다. 이러한 순차적인 권취 방식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로이달 인덕터의 가장 일반적인 권취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7 (a), the winding 200 is sequentially wound between the
그러나, 본체(100)의 내경이 작거나 권선(200)의 두께가 굵은 경우, 도 7(a)에서 도시된 권취 방식을 통해서는, 본체(100)의 내주면 상에서 권선(200)이 겹쳐진 상태에서 권취되어 규칙적인 권취가 어려울 수 있다.However,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도 7(b)를 참조하면, 권선(200) 중 적어도 일부는 권선(200)과 인접하는 권선(200) 사이에 제1돌출부(110)가 두 개씩 배치되도록 제1원주방향(X)으로 권취된 후, 다시 제1원주방향(X)의 반대방향으로 권선(200)이 권취되지 않은 제1돌출부 사이(110)에 순차적으로 권취된다.At least a part of the winding 200 is wound in the first circumferential direction X so that two
따라서, 도 7(b)에서 도시된 권취 방식을 이용하면, 본체(100)의 내경이 작거나 권선(200)의 두께가 굵은 경우에도, 권선(200)이 본체(100)에 규칙적으로 권취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토로이달 인덕터의 기생 커패시턴스 발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7 (b), even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또한, 도 7(b)에서 도시된 권취 방식에 따르면, 본체(100)의 내경이 작거나권선(200)의 두께가 굵은 경우에도, 토로이달 인덕터의 대량 생산시, 각각의 토로이달 인덕터가 가지는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 변동 경향이 서로 균일해지는 효과가 있다.7 (b), even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여기서, 제1 원주방향(X)은 본체(100)의 두 개의 원주방향 중 권취가 이루어지는 원주방향과 그 반대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편의상 정의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도 7에서는 제1원주방향(X)이 시계방향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원주방향(X)은 반시계방향일 수도 있다.Here, the first circumferential direction X is merely defined for expressi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which the winding of the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체 110: 제1돌출부 112: 제1단철부
114: 제1요홈부 130: 분리벽 132: 가이드홈
200: 권선 400: 자심부재
506: 가이드선 540: 돌출지지부
650: 제2돌출부 652: 제2단철부 654: 제2요홈부100: main body 110: first protrusion 112: first step portion
114: first recessed portion 130: separating wall 132: guide groove
200: winding 400:
506: guide wire 540:
650: second projection 652: second stepped portion 654: second recessed portion
Claims (13)
제1절편 및 제2절편을 포함하는 링 형상의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자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돌출부로서, 상기 제1돌출부의 길이방향 양단에 배치되는 제1단철부 및 상기 제1단철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요홈부를 포함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돌출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돌출부로서, 상기 제2돌출부의 길이방향 양단에 배치되는 제2단철부 및 상기 제2단철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요홈부를 포함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단철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높이만큼 돌출되고, 상기 제1요홈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높이보다 작은 제2높이만큼 돌출되고,
상기 제2단철부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제3높이만큼 돌출되고, 상기 제2요홈부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3높이보다 작은 제4높이만큼 돌출되고,
상기 본체에 권취되는 권선이, 상기 본체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제1요홈부와 중첩되지 않고 상기 본체의 내주면 상에서 제2요홈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절편 및 상기 제2절편은 상기 자심부재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1요홈부에 정렬선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A bobbin configured to wind a winding made of a conductive wir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 ring-shaped body including a first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And
And a magnetic core member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The main body includes:
And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spac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first protrusions including a first stepped portion dispos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ded portion and a first recessed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stepped portions, ;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arranged to face the first protrusion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second protrusions being dispos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rotrusions, and a second protrusion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s, And a second projection including a second portion,
Wherein the first stepped portion is protrud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by a first height, the first recessed portion is protrud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by a second height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Wherein the second notch portion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by a third height and the second recess portion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by a fourth height smaller than the third height,
Wherein the winding wound around the main body is not overlapped with the second recessed portio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without overlapping with the first recessed por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form a receiving space of the magnetic core member,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with an alignment line in the first recessed groove
And a bobbin for the toroidal inductor.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1요홈부가 상기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0.5 mm 이상의 높이까지 돌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is protrud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to a height of 0.5 mm or more
And a bobbin for the toroidal inductor.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1단철부가 상기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3 mm 이상의 높이까지 돌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to a height of 3 mm or more
And a bobbin for the toroidal inductor.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돌출부와 대향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선
을 더 포함하는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guide wire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face the first projections,
Further comprising a bobbin for the toroidal inductor.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상기 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돌출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nd a plurality of projecting and supporting members space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ing a bobbin for the toroidal inductor.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의 내주면 내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구획을 형성하는 분리벽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spaced apart from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A separating wall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to form at least two compartments i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ing a bobbin for the toroidal inductor.
상기 분리벽은 절연체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토로이달 인덕터용 보빈.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parating wall is made of an insulator
And a bobbin for the toroidal inductor.
상기 본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반복해서 권취되는 권선으로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제1 돌출부들 사이에 권취되는 권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로이달 인덕터.10. A bobbi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5 to 9; And
A winding wound between the first projection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winding being woun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repeatedly from outside to inside,
And an induc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inductor.
상기 권선 중 적어도 일부는,
권선과 인접하는 권선 사이에 상기 제1돌출부가 두 개씩 배치되도록 제1원주방향으로 권취된 후, 다시 상기 제1원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권선이 권취되지 않은 상기 제1돌출부 사이에 순차적으로 권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토로이달 인덕터.13. The method of claim 12,
At least a portion of the windings,
The first projections are wound in a first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projections are disposed between the windings and the adjacent windings and then sequentially wound between the first projections in which the windings are not woun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t
Wherein the inductor has an induc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4045A KR101995216B1 (en) | 2017-11-17 | 2017-11-17 | Bobbin and Toroidal Inductor Compri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4045A KR101995216B1 (en) | 2017-11-17 | 2017-11-17 | Bobbin and Toroidal Inductor Compri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6763A KR20190056763A (en) | 2019-05-27 |
KR101995216B1 true KR101995216B1 (en) | 2019-07-02 |
Family
ID=6667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4045A Active KR101995216B1 (en) | 2017-11-17 | 2017-11-17 | Bobbin and Toroidal Inductor Compri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521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316606B (en) * | 2023-11-28 | 2024-03-19 | 季华实验室 | High-precision radio frequency air core induct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76995A (en) * | 2004-03-24 | 2005-10-06 | Densei Lambda Kk | Bobbin structure |
JP2010147199A (en) * | 2008-12-18 | 2010-07-01 | Totoku Electric Co Ltd | Braided-wire toroidal coil |
JP2012124396A (en) * | 2010-12-10 | 2012-06-28 | Nittoku Eng Co Ltd | Toroidal coil |
-
2017
- 2017-11-17 KR KR1020170154045A patent/KR10199521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76995A (en) * | 2004-03-24 | 2005-10-06 | Densei Lambda Kk | Bobbin structure |
JP2010147199A (en) * | 2008-12-18 | 2010-07-01 | Totoku Electric Co Ltd | Braided-wire toroidal coil |
JP2012124396A (en) * | 2010-12-10 | 2012-06-28 | Nittoku Eng Co Ltd | Toroidal coi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6763A (en) | 2019-05-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380745B2 (en) | Trance | |
US9202621B2 (en) | Slotted bobbin magnetic component devices and methods | |
JP7060146B2 (en) | Coil device | |
JP6562830B2 (en) | choke coil | |
CN107210123A (en) | Magnetic devices including low AC resistance paper tinsel winding and Gapped magnet core | |
US12198849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former | |
US11972896B2 (en) | Compact inductor employing redistributed magnetic flux | |
US20130328654A1 (en) | Coil device | |
US9183974B1 (en) | Bobbin apparatus for reducing gap losses in magnetic components | |
CN102460609B (en) | Winding and winding manufacture method | |
JP6527586B2 (en) | Low-winding capacitance coil form | |
KR101995216B1 (en) | Bobbin and Toroidal Inductor Comprising the Same | |
JP2016115864A (en) | Coil component | |
CN107924760A (en) | Current transformer module | |
JP2014157916A (en) | Transformer | |
KR100782910B1 (en) | High voltage transformers | |
JP5189637B2 (en) | Coil parts and power supply circuit using the same | |
US6404316B1 (en) | Magnet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 |
JP6451229B2 (en) | Trance | |
JP2000331850A (en) | High voltage generating coil | |
JP6187806B2 (en) | Trance | |
JP4711568B2 (en) | Transformer | |
US20240321506A1 (en) | Coil device | |
EP2992536B1 (en) | Bobbin and transformer employing the same | |
KR200432013Y1 (en) | High voltage transform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3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5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6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6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5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