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95204B1 - Safety apparatus with measuring device for high place works - Google Patents

Safety apparatus with measuring device for high place wor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204B1
KR101995204B1 KR1020180098101A KR20180098101A KR101995204B1 KR 101995204 B1 KR101995204 B1 KR 101995204B1 KR 1020180098101 A KR1020180098101 A KR 1020180098101A KR 20180098101 A KR20180098101 A KR 20180098101A KR 101995204 B1 KR101995204 B1 KR 101995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titude
work
worker
safety
press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1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정권
Original Assignee
전정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정권 filed Critical 전정권
Priority to KR1020180098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2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20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에 탑승하여 각종 고소 작업을 수행하는 고소작업자에 대해 고소작업차가 급작스럽게 전복되더라도 고소작업자의 추락됨은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고소작업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고소작업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소 작업을 위한 구조물이 내외측에 갖는 틈새설치공간부 또는 상기 구조물의 내외측에 고정대를 고정 설치하여 가공한 가공설치공간부에 수직 또는 수평 배치되고, 길이 가변을 통해 틈새설치공간부 또는 가공설치공간부 상에 압착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고소작업중인 고소작업자를 공중에서 추락하지 않게 지탱하여줄 수 있는 압착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압착고정수단; 상기 압착고정수단 상에 구비되고, 상기 압착고정수단 측 길이 가변시 틈새설치공간부 또는 가공설치공간부 상에서 압착이 형성되는 시점에서부터 미치는 압력을 계측 및 그 계측 정도를 표시하여 알려줌으로써 고소작업자가 육안으로 압착 고정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계측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압착고정수단은, 길이 가변이 가능하면서 고소작업자의 신체중량을 견뎌 지탱 가능한 압착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길이가변장치; 상기 길이가변장치 상에 고정 결합되고,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에 탑승한 고소작업자가 자신의 신체에 착용한 안전로프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전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소작업차를 이용한 고소 작업시 안전성을 제공 및 확보할 수 있음에 따라 고소작업자가 기존에 비해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고 작업효율성 또한 높일 수 있으며, 고소작업차를 이용한 고소 작업중에 고소작업차가 급작스럽게 전복되는 일이 발생하더라도 고소작업자는 안전장치를 통해 고소 작업중인 구조물 측에 안전하게 매달려 있게 되므로 고소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등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고소작업자가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시 장치에 대한 압착 고정력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안전장치의 압착 고정에 따른 신뢰성을 추구할 수 있음은 물론 고소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evice for a high-altitude worker for ensuring the safety of a high-altitude worker so that a high-altitude worker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even if a high-altitude work vehicle is abruptly overturned, , Which is vertically or horizontally arranged in a clearance installation space part of a structure for a high-altitude work inside or outside, or a work installation space part formed by fixing a fixing table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tructure, Or a clamping and fixing means provided to be capable of being pressed and fixed on a work installation space portion and to provide a clamping and clamping force capable of supporting a high worker during a high work work without falling down in the air; And a pressur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pressure applied from a time point when the compression bonding is formed on the clearance installation space or the processing installation space when the length of the compression and fixing means side is variable, And a measuring device for easily confirming the clamping state by the clamping device, wherein the clamping and fixing device comprises: a length variable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clamping force capable of varying a length and capable of withstanding the body weight of a high worker; And a safety collar fixedly coupled to the length variable device and capable of holding a safety rope worn on a body of a high-altitude worker aboard the work platform of the high-altitude work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safety can be provided and secured in a high-altitude work using a high-altitude work vehicle, a high-altitude worker can work more safely and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during a high altitude work using a high- Even if the work car is suddenly overturned, the worker can safely hang on the side of the structure during the work, so that the worker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and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Since the safety device can be installed while visually confirming the clamping force against the device when using the device, it is possible to seek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pressing and fixing of the safety device, and to secure the safety of the worker.

Description

고소작업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계측 가능한 고소작업용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WITH MEASURING DEVICE FOR HIGH PLACE WORK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evice for a high-altitude work,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 등을 이용하는 고소 작업시 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한 계측 가능한 고소작업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소작업차를 이용하여 고소 작업시 고소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작업효율성 또한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며, 고소작업차를 이용한 고소 작업중에 고소작업차가 급작스럽게 전복되는 일이 발생하더라도 고소작업자는 고소 작업중인 구조물 측에 안전하게 매달려 있게 함으로써 고소작업자의 추락은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안전장치의 설치시 압착 고정력을 계측 및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에 대한 신뢰성을 갖게 함은 물론 고소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계측 가능한 고소작업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guard apparatus for a high-altitude work which can be measured to improve safety in a high-altitude work using a high-altitude work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enable a high-altitude worker to work more safely in a high- In addition, it helps to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even if a job car is suddenly overturned during a job using a car for a job, the worker can safely hang on the side of the job during the job.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and to allow the user to confirm the clamping force during the installation of the safety device by measuring and visual inspection so as to ensure reliability of the device and to secure the safety of the worker Measurable safety equipment for high work A.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는 트럭 등과 같은 화물차량에 베이스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테이블을 탑재시킨 이동식 크레인의 일종으로서, 이동성이 좋고 회전테이블의 회전이나 굴절은 물론 붐대의 신축이 가능한 구성을 갖는 특수차량이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 high-altitude working vehicle is a type of mobile crane having a base frame mounted on a freight vehicle such as a truck and a rotary table mounted on the base frame. The mobile crane has a good mobility and has a configuration capable of rotating and refracting the rotary table, It is a special vehicle.

이에, 건물 내외부 비계공사, 전기통신설비 가설 및 유지보수공사, 교량의 점검 및 보수공사, 대형선박의 외부도장공사, 간판 설치공사 등 다양한 분야의 고소 작업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Therefore, it is very useful for complicated work such as scaffolding inside and outside buildings,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inspection and repair of bridges, exterior painting of large vessels, and signboard installation work.

부연하여, 이러한 고소작업차는 높은 장소에서의 작업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작업자를 비롯하여 작업 용구나 물품 등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탑승시킬 수 있도록 회전테이블 상에 장착되어 신축 작용하도록 된 붐대의 선단부에 작업대를 설치하는 구성을 포함한다.In addition, such a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enables work to be carried out at a high place, and it is mounted on a rotary table so as to be able to safely and conveniently carry workers, And a work table is installed.

또한, 고소 작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안전성을 위해 지면 측 고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아웃트리거 등의 안전장치를 설치하고 있다.In addition, a safety device such as an outrigger is installed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ground surface for the safety of the high-altitude work car due to the high altitude operation.

하지만, 이와 같은 안전장치를 차량에 설치하여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작업대에 고소작업자를 탑승한 상태에 고소작업차가 전복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고소작업차의 전복은 고소작업자를 높은 작업위치에서 하측으로 곧바로 추락시키는 불상사를 초래하게 되며, 사망 등 인명사고가 커지는 문제점을 유발시키고 있다.However, although such a safety device is installed in a vehicle, there is a case where a high-altitude work car is overturned while a high-altitude worker is aboarded on a workbench. The overturning of such high- Causing a sudden downfall to the bottom, causing death accidents and other accidents.

고소작업차의 붐대에 설치된 작업대 상에 고소작업자가 자신의 신체에 착용한 안전로프를 걸어 사용하고도 있으나, 고소작업차의 전복시에는 고소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었으며, 이에 대한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There is no way to prevent the fall of the high-altitude worker at the time of the overturning of the high-altitude work car, although the high-altitude worker wears the safety rope worn on her body on the workbench installed on the boom of the high-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improvement.

한편, 고소 작업에 따른 안전장치를 위한 것으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0-0531247호 등지에서는 교량이나 구조물 등에서의 고소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안전 난간대를 개시하고 있으며, 국내등록특허 제10-1397394호 등지에서는 고소작업차의 전복을 방지하는 고소작업차 전복방지장치를 제안 및 개시하고 있으며, 국내공개특허 제10-2017-0122614호 등지에서는 고소작업차를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domestic patent No. 10-0531247 discloses a safety guardrail used to prevent an operator from falling during a high-altitude work in a bridge or a structure, -1397394 proposes and discloses a device for preventing overturning of a high-altitude work vehicle, an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7-0122614 proposes and discloses a high-altitude work vehicl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124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53124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7394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9739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261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22614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소작업차를 이용하여 고소 작업시 고소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작업효율성 또한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며, 고소작업차를 이용한 고소 작업중에 고소작업차가 급작스럽게 전복되는 일이 발생하더라도 고소작업자는 고소 작업중인 구조물 측에 안전하게 매달려 있도록 함으로써 고소작업자의 추락은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안전장치의 설치시 압착 고정력을 계측 및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압착 고정에 따른 장치의 신뢰성은 물론 고소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계측 가능한 고소작업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gh- Even if a complicated work car is suddenly overturned during a complaint using a car, a complainant can safely suspend a structure during a complaint, thereby preventing a complainant from falling.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guard device for a high-altitude work which can be measured and visually confirmed by the clamping force during installation of the safety device,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the high- .

본 발명은 선박 도장공사, 건축교량 공사 및 유지보수, 전기통신 공사 및 유지보수, 간판 설치공사 및 유지보수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의 고소 작업시에 고소작업자의 안전장치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무엇보다 압착 고정력에 대한 계측과 더불어 그 계측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제공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한 상태로 고소작업할 수 있도록 한 고소작업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계측 가능한 고조작업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utilize it as a safeguard for a high-altitude worker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ship painting, construction bridg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telecommunicatio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signboard installation work and maintenanc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safety device for a high altitude work which can be measured for ensuring the safety of a high altitude worker in which high altitude work can be performed in a state of ensuring safety by provid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visually and verifiably hav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계측 가능한 고소작업용 안전장치는,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에 탑승하여 각종 고소 작업을 수행하는 고소작업자에 대해 고소작업차가 급작스럽게 전복되더라도 고소작업자의 추락됨은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고소작업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고소작업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고소 작업을 위한 구조물이 내외측에 갖는 틈새설치공간부 또는 상기 구조물의 내외측에 고정대를 고정 설치하여 가공한 가공설치공간부에 수직 또는 수평 배치되고, 길이 가변을 통해 틈새설치공간부 또는 가공설치공간부 상에 압착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고소작업중인 고소작업자를 공중에서 추락하지 않게 지탱하여줄 수 있는 압착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압착고정수단; 상기 압착고정수단 상에 구비되고, 상기 압착고정수단 측 길이 가변시 틈새설치공간부 또는 가공설치공간부 상에서 압착이 형성되는 시점에서부터 미치는 압력을 계측 및 그 계측 정도를 표시하여 알려줌으로써 고소작업자가 육안으로 압착 고정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계측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압착고정수단은, 길이 가변이 가능하면서 고소작업자의 신체중량을 견뎌 지탱 가능한 압착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길이가변장치; 상기 길이가변장치 상에 고정 결합되고,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에 탑승한 고소작업자가 자신의 신체에 착용한 안전로프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전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afeguard apparatus for safing a high-altitude worker, the safeguard apparatus for safing a high-altitude worker comprising: The safety device for a high-altitude worker for securing the safety of a high-altitude worker so as to prevent a high altitude worker from falling even if the high altitude worker is fallen. And vertically or horizontally arranged in the machined installation space portion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pressed and fixed on the clearance installation space portion or the work installation space portion through a variable length and to support the high- A crimping fixation means for providing a crimping fixation force capable of being provided; And a pressur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pressure applied from a time point when the compression bonding is formed on the clearance installation space or the processing installation space when the length of the compression and fixing means side is variable, And a measuring device for easily confirming the clamping state by the clamping device, wherein the clamping and fixing device comprises: a length variable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clamping force capable of varying a length and capable of withstanding the body weight of a high worker; And a safety collar fixedly coupled to the length variable device and capable of holding a safety rope worn on a body of a high-altitude worker aboard the work platform of the high-altitude work car.

여기에서, 상기 길이가변장치는, 유압잭, 공압잭, 스크루잭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일 수 있다.Here, the length variable device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a hydraulic jack, a pneumatic jack, and a screw jack.

여기에서, 상기 계측수단은, 상기 길이가변장치의 길이 가변이 이루어지는 선단면에 고정 결합되어 길이가변장치의 길이 가변시 틈새설치공간부 또는 가공설치공간부 상에 접촉되도록 구비되고, 틈새설치공간부 또는 가공설치공간부 상에서 압착이 형성되는 시점에서부터 압착고정수단 측에 미치는 압력을 계측하는 계측부; 상기 길이가변장치의 본체 상에 고정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기 계측부로부터 계측 정보를 전달받도록 연결 구비되며, 상기 계측부를 통해 계측된 압력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Here, the measuring means is provided so as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a clearance installation space or a work installation space when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er is variable, and the clearance installation space 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pressure on the side of the pressing and fixing means from the time when the pressing is formed on the work setting space portion; And a display unit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length adjuster and is connected to receive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meter unit and displays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meter unit in a visible manner .

여기에서, 상기 계측부는, 상기 상기 길이가변장치의 길이 가변이 이루어지는 선단면에 고정 결합되고, 틈새설치공간부 또는 가공설치공간부 측과 면 접촉되게 구비되는 플레이트형 몸체의 계측본체부; 상기 계측본체부에 내재되어 계측본체부에 미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측정센서부는 압력 측정이 가능한 압력센서, 중량센서, 로드셀, 가속도센서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일 수 있다.The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measurement body of a plate-like body which is fixedly connected to a distal end surface of the length-variable device, and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gap-setting space or the processing space; And a pressure measurement sensor unit that is contained in the measurement main body unit and measures pressure applied to the measurement main body unit. The pressure measurement sensor uni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a pressur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pressure, a weight sensor, a load cell, and an acceleration sensor have.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계측부를 통해 계측된 압력에 대해 압력의 크기로 표시하는 압력표시부; 상기 계측부를 통해 계측된 압력에 대해 고소작업자를 지탱할 수 있는 중량의 크기로 환산하여 표시하는 중량표시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Here,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pressur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ressure measured through the measuring unit as a magnitude of the pressure; And a weight display unit for converting the measured pressure through the measuring unit into a weight of a weight capable of supporting a high-altitude worker, and displaying the converted weight.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소작업차를 이용한 고소 작업시 안전성을 제공 및 확보할 수 있음에 따라 고소작업자가 기존에 비해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고 작업효율성 또한 높일 수 있으며, 고소작업차를 이용한 고소 작업중에 고소작업차가 급작스럽게 전복되는 일이 발생하더라도 고소작업자는 안전장치에 안전로프를 연결 고정한 상태이므로 고소 작업중인 구조물 측에 안전하게 매달려 있게 할 수 있어 고소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등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고소작업자가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시 장치에 대한 압착 고정력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안전장치의 압착 고정에 따른 신뢰성을 추구할 수 있음은 물론 고소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safety can be provided and secured in a high-altitude work using a high-altitude work vehicle, a high-altitude worker can work more safely and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during a high altitude work using a high- Even if the work vehicle is suddenly overturned, the worker can securely attach the safety rope to the safety device so that the worker can be safely suspended from the structure during the work.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safeties while confirming the clamping force of the device when using the safety device by using the safety device. Therefore, it is possible not only to pursue the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pressing and fixing of the safety device, The usefulness of which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선박 도장공사, 건축교량 공사 및 유지보수, 전기통신 공사 및 유지보수, 간판 설치공사 및 유지보수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의 고소작업차를 이용한 고소 작업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고소작업자의 안전장치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high-altitude operation using a high-altitude work vehicle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ship painting, construction bridg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telecommunicatio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signboard installation work and maintenance, And can be utilized as a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계측 가능한 고소작업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계측 가능한 고소작업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계측 가능한 고소작업용 안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계측 가능한 고소작업용 안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계측 가능한 고소작업용 안전장치에 있어 압착고정수단 측 길이가변장치를 유압잭으로 적용한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afety device for a high-altitude work which can be measured for ensuring safety of a high-altitude wor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safety device for a high-altitude work which can be measured for ensuring safety of a high-altitude wor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safety device for a high-altitude work which can be measured for ensuring the safety of a high-altitude wor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other exemplary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safety device for a high-altitude work which can be measured for securing safety of a high-altitude wor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length variable device for a clamping and fixing means is applied to a hydraulic jack in a safety device capable of being measured for ensuring the safety of a high wor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계측 가능한 고소작업용 안전장치는 고소작업차(1)의 붐대(2)에 연결된 작업대(3)에 탑승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고소 작업하는 고소작업자(4)의 추락 방지 등 안전성을 확보하여주기 위한 계측 가능한 안전장치(100)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고정수단(110)과 계측수단(1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safety device for safe work for measuring the safety of a high wor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afety worker who is carried on a work table 3 connected to a boom stand 2 of a high work worker car 1, 1 to 5,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surable safety device 100 for ensuring safety such as fall prevention of a crusher 4 and a crusher 4, .

상기 압착고정수단(110)은 고소 작업을 위한 구조물이 내외측에 갖는 틈새설치공간부(10) 또는 상기 구조물의 내외측에 고정대나 브래킷 등을 고정 설치하여 설치 가능하도록 가공한 가공설치공간부(20)에 수직 또는 수평 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구조물이 보유하는 틈새설치공간부(10) 또는 구조물 상에 가공 형성시킨 가공설치공간부(20)에 설치하되 길이의 가변을 통해 양측면부를 지지토록 함으로써 압착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crushing and fixing means 110 includes a clearance space portion 10 having a structure for a high-altitude operation on the inside and outside thereof, or a machining installation space portion formed by fixing a bracket or the like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tructure 20, which are vertically or horizontally arranged, and are installed in the clearance installation space 10 of the structure or the processing installation space 20 formed on the structure, and the both side surfaces are supported So that they can be pressed and fixed.

상기 압착고정수단(110)은 이와 같이 길이 가변을 통해 구조물 측에 압착 고정함으로써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에 탑승하여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고소작업자에 대해 고소작업차가 전복되더라도 공중에서 추락하지 않게 지탱하여 잡아줄 수 있는 압착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The crushing and fixing means 110 is pressed and fixed to the structure side through a variable length as described above. The crushing and fixing means 110 is supported by the crushing and fixing means 110 so as not to fall down in the air even when the crushing work vehicle is overturned It is a component to provide a clamping force that can be given.

즉, 상기 압착고정수단(110)은 고소작업차(1)의 길이 조절용 붐대(2)에 결합된 작업대(3)에 탑승하여 고소 작업중인 고소작업자(4)에 대해 고소작업차(1)가 급작스럽게 전복되더라도 공중에서 추락하지 않게 지탱하여줄 수 있도록 하며, 구조물(S) 상에 고소작업자(1)를 안전하게 붙들어줄 수 있을 정도의 압착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The crushing and fixing means 110 is mounted on the workbench 3 coupled to the boom frame 2 for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high altitude work car 1 so that the high altitude workhorse 1 So that it can be supported so as not to fall from the air even if it is suddenly overturned and to provide a clamping force enough to hold the operator 1 safely on the structure S.

상기 틈새설치공간부(10)는 구조물(S)과 그에 이웃하는 구조물(S) 간의 사이 간격이나 창틀프레임이 갖는 사이 공간 등일 수 있고, 구조물(S)의 구축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모든 틈새 간격으로 정의할 수 있다.The clearance space portion 10 may be an interval between the structure S and the structure S adjacent thereto or a space between the frames S and the window frame frame and may be defined as any gap interval naturally form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S. [ can do.

상기 가공설치공간부(20)는 구조물(S) 측에 고정대나 브래킷(B2) 등을 고정 설치하여 기 형성된 벽체나 기둥(B1) 사이에 틈새 간격을 인위적으로 가공하여 형성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The work installation space portion 20 can be defined as a structure formed by artificially machining a clearance between the preformed wall and the column B1 by fixing a fixture or a bracket B2 on the side of the structure S .

여기에서, 상기 구조물(S)은 건물, 교량, 선박 등 지면이나 해상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고소 작업이 가능한 모든 물체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틈새설치공간부(10) 또는 가공설치공간부(20)는 구조물이 갖는 벽체나 기둥과 같이 쉽게 부서지지 않는 강한 내구력을 갖는 구성으로 정의할 수 있다.The structure S may be defined as any object capable of performing a high-altitude operation in a state where the structure S is fixedly installed on the ground or on the ground, such as a building, a bridge, a ship, etc. In the clearance installation space 10 or the processing installation space 20 ) Can be defined as a structure having strong durability such as a wall or a column of a structure that is not easily broken.

상기 압착고정수단(110)은 길이 가변이 가능하면서 고소작업자의 신체중량을 견뎌 지탱 가능한 압착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길이 가변되는 로드부(111a)를 갖는 길이가변장치(111)와, 상기 길이가변장치(111) 상에 고정 결합된 형태로 구비되고 고소작업차(1)의 작업대(3)에 탑승한 고소작업자(4)가 자신의 신체에 착용한 안전로프(5)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전고리부(112)를 포함한다.The crimping and fixing means 110 is provided with a variable length device 111 having a rod portion 111a having a variable length and capable of varying the length of the crimping and fixing means 110 and providing a clamping force capable of withstanding the body weight of a high- The safety worker 4 mounted on the work table 3 of the elevation work car 1 is fixedly coupled to the length variable device 111 and fixedly secured to the body by a safety rope 5 worn on his or her body And a safety hook 112 for allowing the user to operate the apparatus.

이때, 상기 길이가변장치(111)는 유압잭, 공압잭, 스크루잭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길이 가변이 가능하면서 고소작업자의 신체중량을 견뎌 지탱 가능한 압착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기타 다양한 길이가변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At this time, any one of a hydraulic jack, a pneumatic jack, and a screw jack can be used as the length variable device 111. The length variable device 111 can be provided with a condition capable of varying the length and providing a clamping force capable of withstanding the body weight of a high- Other variable length variable devices that can be used may be used.

일 예로, 도 5는 상기 길이가변장치(111)에 대해 유압잭을 적용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예시도로서, 유압을 이용한 길이 가변이 수행되는 로드부를 포함하며, 이와 같이 유압 제공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로드부를 이용하여 틈새설치공간부(10)나 가공설치공간부(20)에 형성된 사이 간격 또는 사이 공간에 맞게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압착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FIG. 5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a hydraulic jack to the length-variable device 111, which includes a rod portion whose length is variable by using hydraulic pressure, The pressing and clamping force can be provided by adjusting the length in accordance with the interval or the space formed in the clearance installation space 10 or the processing installation space 20 by using the part.

상기 안전고리부(112)는 길이가변장치(110)의 본체 상에 일체 형성 및 고리형 구조로 돌출시켜 고소작업자(4)가 자신의 신체에 착용한 안전로프(5)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1개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The safety collar 112 is integrally formed on the main body of the length adjuster 110 and protrudes in an annular structure so that the safety worker 4 can securely fasten the safety rope 5 worn on his or her body And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상기 계측수단(120)은 상기 압착고정수단(110) 상에 구비되고, 상기 압착고정수단(110) 측 길이 가변시 틈새설치공간부(10) 또는 가공설치공간부(20) 상에서 압착이 형성되는 시점에서부터 미치는 압력을 계측 및 그 계측 정도를 표시하여 고소작업자(4)에게 알려줌으로써 고소작업자(4)가 육안으로 압착 고정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안전장치(100)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 구성요소이다.The measurement means 120 is provided on the compression and fixing means 110 and when the length of the side of the compression and fixing means 110 is variable, the compression is formed on the clearance installation space 10 or the work installation space 20 And the degree of measurement of the pressure from the point of time is displayed and informed to the high-level worker (4) so that the high-level worker (4) can visually confirm the high- Which is an essential component for ensuring the safety of the user.

부연하여, 상기 계측수단(120)은 상기 압착고정수단(110)이 갖는 길이가변장치(111)의 본체 상에 장착되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measuring means 12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of the length adjusting device 111 of the pressing and fixing means 110.

즉, 이러한 상기 계측수단(120)을 통해 고소작업자(4)가 틈새설치공간부(10) 또는 가공설치공간부(20) 측에 상기 압착고정수단(110)이 미치는 압착 고정력을 체크하면서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고소작업자(4)가 직접 육안으로 압착 고정력을 체크하면서 설치할 수 있게 하므로 안전성을 확보한 후 고소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That is to say, the crimping worker 4 checks the crimping and fixing force of the crimping and fixing means 110 on the side of the gap setting space portion 10 or the process setting space portion 20 through the measuring means 120, So that the operator 4 can install the machine while checking the clamping force directly by the naked eye. Thus,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afety and to carry out the filling operation.

상기 계측수단(120)은 상기 압착고정수단(110) 측 길이가변장치(111)의 길이 가변이 이루어지는 로드부(111a) 측 선단면에 고정 결합되어 길이가변장치(111)의 길이 가변시 틈새설치공간부(10) 또는 가공설치공간부(20) 상에 접촉되도록 구비되고, 틈새설치공간부(10) 또는 가공설치공간부(20) 상에서 압착이 형성되는 시점에서부터 압착고정수단(110) 측에 미치는 압력을 계측할 수 있도록 한 계측부(121)와, 상기 압착고정수단(110) 측 길이가변장치(111)의 본체 상에 고정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기 계측부(121)로부터 계측 정보를 전달받도록 연결 구비되며 상기 계측부(121)를 통해 계측된 압력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표시하여주는 디스플레이부(122)를 포함한다.The measuring unit 120 is fixedly coupled to a distal end surface of the rod 111a in which the length of the variable device 111 on the side of the crimp fixation unit 110 is variable, Is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pace portion 10 or the work setting space portion 20 and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pressing and fixing means 110 from the time when the pressing is formed on the space for installation space 10 or the space 20 for processing A measuring unit 121 for measuring a pressure applied to the measuring unit 121 and a measuring unit 121 for measur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measuring unit 121, And a display unit 122 for displaying the pressure measured through the measuring unit 121 so that the pressure can be visually confirmed.

상기 계측부(121)는 상기 틈새설치공간부(10) 또는 가공설치공간부(20) 측과 면 접촉되게 구비되는 플레이트형 몸체의 계측본체부(121a)와, 상기 계측본체부(121a)에 내재되어 계측본체부에 미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부(121b)를 포함한다.The measurement unit 121 includes a measurement body 121a of a plate-like body provided in face-to-fac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clearance installation space 10 or the processing installation space 20, And a pressure measurement sensor part 121b measur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measurement main body part.

이때, 상기 압력측정센서부(121b)는 압력 측정이 가능한 압력센서, 중량센서, 로드셀, 가속도센서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 나열하지 않았으나 압력 측정이 가능한 기타 센서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pressure measurement sensor unit 121b may be any one of a pressur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pressure, a weight sensor, a load cell, and an acceleration sensor. Other sensors may be used, will be.

상기 디스플레이부(122)는 상기 계측부(121)를 통해 계측되는 압력에 대해 압력의 크기로 표시하는 압력표시부(122a)와, 상기 계측부(121)를 통해 계측된 현재 압력에 대해 고소작업자(4)를 지탱할 수 있는 중량의 크기로 표시하여주는 중량표시부(122b)를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122 includes a pressure display unit 122a for displaying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121 in terms of the pressure level and a pressure display unit 122b for displaying the current pressur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121, And a weight display unit 122b that displays the weight of the display unit 122 in terms of the size of the weight.

이때, 상기 압력표시부(122a)는 길이가변장치(111) 측 길이 가변에 의해 안전장치(100)에 가해지는 상태를 MPa나 kgf/㎠ 등의 압력단위에 맞게 압력의 크기로 표시하고, 상기 중량표시부(122b)는 길이가변장치(111) 측 길이 가변에 의해 안전장치(100)에 가해져 계측되는 현재 압력의 크기에 대해 고소작업자(4)를 지탱하여 견딜 수 있는 신체 중량으로 환산하여 Kg이나 Ton 등의 중량단위에 맞게 중량의 크기로 표시하도록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pressure display unit 122a displays the state applied to the safety device 100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er 111 as a pressure magnitude corresponding to a pressure unit such as MPa or kgf / cm2, The display unit 122b is provided to the safety device 100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er 111. The display unit 122b converts the current pressure into a body weight capable of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high- Or the like.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22)는 마이컴 등으로 구비되는 제어부(122c)를 포함한다 할 것이며, 상기 제어부(122c)에서는 상기 계측부(121)로부터 계측되어 전달되는 계측 정보를 제어하여 상기 압력표시부(122a)와 중량표시부(122b)에 디스플레이되게 한다.Here, the display unit 122 may include a controller 122c, which may be a microcomputer or the like, and the controller 122c may control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eter unit 121 to be displayed on the pressure display unit 122a and the weight display portion 122b.

상기 디스플레이부(122)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장착하는 배터리장착부(122d)를 포함한다 할 것이며, 상기 계측부(121)의 압력측정센서부(121b)와 연결되는 구성을 통해 배터리를 이용한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The display unit 122 includes a battery mounting part 122d for mounting a battery for power supply and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measuring sensor part 121b of the measuring part 121, Respectively.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계측 가능한 고소작업용 안전장치(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afeguard apparatus 1 capable of being measured for ensuring the safety of the operator of the high schoo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고소작업차(1)를 이용하여 고소 작업하기 위한 대상이 되는 구조물(S)을 살펴, 고소 작업을 위한 구조물(S) 측에 압착고정수단(100)을 압착 고정할 만한 틈새설치공간부(10)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구조물(S) 측에 틈새설치공간부(10)가 없을 경우 구조물(S) 측에 고정대나 브래킷 등을 견고하게 고정 설치하여 안전장치(100)를 압착 고정할 수 있도록 가공설치공간부(20)를 가공 형성하여 구비한다.First, a structure (S) to be subjected to a high-altitude operation is examined using a high-altitude work car (1), and a clearance installation space (100) is formed in the structure (S) If there is no gap space 10 on the side of the structure S, a fixing bracket or a bracket or the like is firmly fixed to the side of the structure S to securely fix the safety device 100 A processing space 20 is formed and processed.

고소 작업을 위한 구조물(S) 측에 틈새설치공간부(10) 또는 가공설치공간부(20)가 확보되면, 이렇게 구조물(S) 측에 확보된 틈새설치공간부(10) 또는 가공설치공간부(20) 내에 안전장치(100)를 배치한다.When the clearance space portion 10 or the processing space portion 20 is secured on the side of the structure S for high-altitude work, the clearance space portion 10 or the machining space portion 20, The safety device 100 is disposed in the main body 20.

이때, 상기 안전장치(100)는 압착고정수단(110)의 길이가 가변되는 반대쪽 일면을 틈새설치공간부(10) 또는 가공설치공간부(20)에 밀착시킨 상태에 길이가변장치(111)에 대해 길이를 조절하여 계측수단(120) 측 계측부(121)가 접촉되게 한다.At this time, the safety device 100 has a length variable device 111 in a state in which the opposite side of the length of the compression and fixing means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rance space portion 10 or the process setting space portion 20 So that the measuring portion 121 of the measuring means 120 is brought into contact.

더욱 상세하게는 계측부(121)의 계측본체부(121a)가 틈새설치공간부(10) 또는 가공설치공간부(20)의 간격 배치된 구조물 측에 접촉되게 하며, 상기 계측본체부(121a)가 접촉되면서 압력측정센서부(121b)가 계측본체부(121a)에 미치는 압력을 실시간 계측하기 시작하고 길이 조절에 의한 가변에 따라 달라지는 압력(압착 고정력)을 계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22)로 전달 및 계측 정보를 수치로 표시한다.More specifically, the measurement main body portion 121a of the measurement portion 12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gap-setting space portion 10 or the space where the process setting space portion 20 is disposed, and the measurement main portion 121a The pressure measuring sensor unit 121b starts measuring the pressure on the measurement main body unit 121a in real time and measures the pressure (compression fixing force) which varies according to the variable by the length adjustment and transmits it to the display unit 122 Display measurement information in numerical value.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22)에서는 압력표시부(122a)를 통해 안전장치(100)에 작용되는 압력(압착 고정력)을 압력단위에 해당하는 압력의 크기로 표시하고, 중량표시부(122b)에는 압력표시부(122a)를 통해 표시되는 압력의 크기에 대응하여 중량단위에 맞게 환산된 중량의 크기 즉 고소작업자(4)를 지탱할 수 있는 중량의 크기로 표시하여준다.Here, the display unit 122 displays the pressure (compression bonding force) applied to the safety device 100 through the pressure display unit 122a in terms of the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unit, and the weight display unit 122b displays the pressure The size of the weight converted to the weight unit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22a, that is, the size of the weight capable of supporting the high-skilled worker 4. [

이에, 고소작업자(4)는 안전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2)를 통해 표시되는 압착 고정력에 대한 압력의 크기 및 중량의 크기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압착고정수단(110) 측 길이가변장치(111)에 대해 길이를 가변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자신의 신체중량을 충분하게 견딜 수 있는 상태로 안전장치(100)를 압착 고정 및 제어할 수 있다.Thus, the bulldozer 4 confirms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nd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with respect to the compression bonding forc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22 of the safety device 100, The safety device 100 can be fixed and controlled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safety device 100 can be adjusted by varying its length and can sufficiently withstand the body weight of the user.

이로서, 고소작업자(4)는 안전장치(100)의 설치 및 압착 고정에 따른 신뢰성을 가지면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22)를 통해 눈에 보이는 수치로 안정감을 획득할 수 있으며, 구조물(S) 측 틈새설치공간부(10) 또는 가공설치공간부(20) 상에 압착 고정된 안전장치(100) 측 압착고정수단(110)이 갖는 안전고리부(112)에 고소작업자(4)가 자신의 신체에 착용한 안전로프(5)를 걸어 고정한 상태로 고소작업차(1)의 작업대(3)에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고소작업차(1)의 작업대(3)에 탑승한 상태에 고소작업자(4)가 자신의 신체에 착용한 안전로프(5)를 걸은 후 고소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Thus, the sergeant 4 can secure the safety with the safety of the safety device 100 and the safety of the safety device 100, and can acquire a sense of security with a visible value through the display part 122, The safety ring part 112 of the safety device 100 side press fitting and fixing part 110 which is pressed and fixed on the clearance setting space part 10 on the side of the structure S or the work setting space part 20 is attached to the safety work part 4 Is mounted on the work table 3 of the high work work car 1 in a state where the safety rope 5 worn on the body of the high work worker 1 is fastened and fixed, It is only necessary to carry out the complaint operation after the complainant 4 has worn the safety rope 5 worn on his / her body.

이에 따라, 고소작업차(1)를 지면에 고정시킨 상태에 붐대(2) 및 작업대(3)를 움직여 고소 작업하게 되는 고소작업자(4)는 구조물(S) 측에 압착 고정된 상태로 안정된 지지력을 제공하는 안전장치(100)가 갖는 안전고리부(112)에 신체에 착용한 안전로프(5)를 걸어 고정한 상태에서 고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기존에 비해 보다 안정감을 유지한 채 고소작업차(1)의 작업대(3) 상에서 고소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혹시라도 지면에 고정된 고소작업차(1)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 급작스럽게 전복되는 경우가 발생되더라도 고소작업자(4)는 안전장치(100)에 고정된 안전로프(5)에 의해 지지된 채로 구조물(S) 측에 매달려 있을 수 있게 되어 고소 작업위치에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후 구조작업을 통해 고소작업자(4)를 구조할 수 있는 상태를 만들 수 있게 되므로 고소작업차(1)를 이용한 고소 작업시 자주 발생되는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Thus, the elevator worker 4, which is to be elevated by moving the boom bar 2 and the workbench 3 in a state where the elevator work car 1 is fixed to the ground, is pressed and fixed to the side of the structure S, The safety rope 5 worn on the body is fastened to the safety collar 112 of the safety device 100 provided with the safety rope 5,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 complaint operation on the workbench 3 of the elevator car 1 and even if a case where the elevator car 1 fixed on the ground is suddenly overturned due to any factor occurs, Can be suspended on the side of the structure S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afety rope 5 fixed to the safety device 100 to prevent the safety device 100 from falling down at the elevation working position, The complainant can rescue the worker (4) It is therefore able to make the state can provid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vent accidents such as the crash that often occurs when accused by the Aerial Work Platform (1) operation.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May be made, which will b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고소작업차 2: 붐대
3: 작업대 4: 고소작업자
5: 안전로프 10: 틈새설치공간부
20: 가공설치공간부 100: 계측 가능한 안전장치
110: 압착고정수단 111: 길이가변장치
112: 안전고리부 120: 계측수단
121: 계측부 121a: 계측본체부
121b: 압력측정센서부 122: 디스플레이부
122a: 압력표시부 122b: 중량표시부
1: High-altitude work car 2: Boom
3: Workbench 4: Sue worker
5: safety rope 10: clearance space part
20: machining space part 100: measurable safety device
110: compression bonding means 111: length variable device
112: safety collar 120: measuring means
121: Measuring section 121a:
121b: pressure measurement sensor unit 122: display unit
122a: pressure display part 122b: weight display part

Claims (5)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에 탑승하여 각종 고소 작업을 수행하는 고소작업자에 대해 고소작업차가 급작스럽게 전복되더라도 고소작업자의 추락됨은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고소작업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고소작업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고소 작업을 위한 구조물이 내외측에 갖는 틈새설치공간부 또는 상기 구조물의 내외측에 고정대를 고정 설치하여 가공한 가공설치공간부에 수직 또는 수평 배치되고, 길이 가변을 통해 틈새설치공간부 또는 가공설치공간부 상에 압착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고소작업중인 고소작업자를 공중에서 추락하지 않게 지탱하여줄 수 있는 압착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압착고정수단;
상기 압착고정수단 상에 구비되고, 상기 압착고정수단 측 길이 가변시 틈새설치공간부 또는 가공설치공간부 상에서 압착이 형성되는 시점에서부터 미치는 압력을 계측 및 그 계측 정도를 표시하여 알려줌으로써 고소작업자가 육안으로 압착 고정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계측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압착고정수단은 길이 가변이 가능하면서 고소작업자의 신체중량을 견뎌 지탱 가능한 압착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유압잭 또는 공압잭에 의한 길이가변장치; 상기 길이가변장치 상에 고정 결합되고,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에 탑승한 고소작업자가 자신의 신체에 착용한 안전로프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전고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수단은 길이가변장치의 길이 가변이 이루어지는 선단면에 고정 결합되어 길이가변장치의 길이 가변시 틈새설치공간부 또는 가공설치공간부 상에 접촉되도록 구비되고, 틈새설치공간부 또는 가공설치공간부 상에서 압착이 형성되는 시점에서부터 압착고정수단 측에 미치는 압력을 계측하는 계측부; 길이가변장치의 본체 상에 고정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기 계측부로부터 계측 정보를 전달받도록 연결 구비되며, 상기 계측부를 통해 계측된 압력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계측부는 길이가변장치의 길이 가변이 이루어지는 선단면에 고정 결합되고, 틈새설치공간부 또는 가공설치공간부 측과 면 접촉되게 구비되는 플레이트형 몸체의 계측본체부; 상기 계측본체부에 내재되어 계측본체부에 미치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력센서, 중량센서, 로드셀, 가속도센서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으로 구비되는 압력측정센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계측 가능한 고소작업용 안전장치.
A safety device for a high-altitude worker for securing the safety of a high-altitude worker in which a high-altitude worker is abruptly overturned even when a high-altitude worker is abruptly transferred to a high altitude worker,
A gap installation space portion provided inside and outside of the structure for high-altitude work, or a processing installation space portion formed by fixing a fixing table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tructure, and is provid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A pressing and fixing means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pressed and fixed on the space portion and to provide a clamping and clamping force capable of supporting a high-altitude worker during a high-altitude work without falling down in the air;
And a pressur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pressure applied from a time point when the compression bonding is formed on the clearance installation space or the processing installation space when the length of the compression and fixing means side is variable, A measuring means for easily confirming the pressed and fixed state by the measuring means; / RTI >
Wherein the compression and fixing means includes a variable length device by a hydraulic jack or a pneumatic jack capable of varying the length and providing a clamping force capable of withstanding the body weight of a high worker; A safety collar fixedly coupled to the length variable device and capable of fixing a safety rope worn on a body of a high altitude worker aboard a work table of a high altitude work car; Lt; / RTI >
Wherein the measuring means is fixedly coupled to a distal end surface of the length adjustable device to be variable in length so as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learance installation space or the work installation space when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able device is variable, A pressur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pressure on the side of the pressure fixing unit from the time when pressure is formed on the pressure fixing unit; A display unit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body of the length adjuster and is connected to receiv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meter unit and displays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meter unit in a visible manner; / RTI >
A measuring body of a plate-like body which is fixedly coupled to a distal end surface of the length-variable device and whose length is variable, and which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gap-setting space or the processing space; A pressure measurement sensor unit for measuring a pressure applied to the measurement main body by being embedded in the measurement main body unit and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pressure sensor, a weight sensor, a load cell, and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safety device for a high-altitude work which can be measured for ensuring safety of a high-altitude work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계측부를 통해 계측된 압력에 대해 압력의 크기로 표시하는 압력표시부;
상기 계측부를 통해 계측된 압력에 대해 고소작업자를 지탱할 수 있는 중량의 크기로 표시하는 중량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계측 가능한 고소작업용 안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unit includes:
A pressur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ressure measured through the measuring unit as a magnitude of the pressure;
A weigh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measured pressure through the measuring unit in a size of a weight capable of supporting a high-altitude worker; And a safety device for a high-altitude work which can be measured for ensuring safety of a high-altitude worker.
KR1020180098101A 2018-08-22 2018-08-22 Safety apparatus with measuring device for high place works Active KR1019952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101A KR101995204B1 (en) 2018-08-22 2018-08-22 Safety apparatus with measuring device for high place wor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101A KR101995204B1 (en) 2018-08-22 2018-08-22 Safety apparatus with measuring device for high place wor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204B1 true KR101995204B1 (en) 2019-07-02

Family

ID=67257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101A Active KR101995204B1 (en) 2018-08-22 2018-08-22 Safety apparatus with measuring device for high place wor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20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6271A (en) * 2003-04-17 2004-11-11 Prop:Kk Fall preventing device for high lift work, and suction device used for the same
KR100531247B1 (en) 2005-08-16 2005-11-29 (주)천일기술단 Safety railing protection for falling
JP2009153852A (en) * 2007-12-27 2009-07-16 Nishi Nihon Kosoku Doro Maintenance Kyushu Kk Anchoring device of lifeline for slope area work
KR101397394B1 (en) 2012-06-21 2014-05-20 오철규 Overturn preventing device of high place works car
KR20170122614A (en) 2016-04-27 2017-11-06 주식회사이티 A high place working vehicle
KR101840604B1 (en) * 2017-09-06 2018-03-20 천보산업개발 주식회사 Dehumidifi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6271A (en) * 2003-04-17 2004-11-11 Prop:Kk Fall preventing device for high lift work, and suction device used for the same
KR100531247B1 (en) 2005-08-16 2005-11-29 (주)천일기술단 Safety railing protection for falling
JP2009153852A (en) * 2007-12-27 2009-07-16 Nishi Nihon Kosoku Doro Maintenance Kyushu Kk Anchoring device of lifeline for slope area work
KR101397394B1 (en) 2012-06-21 2014-05-20 오철규 Overturn preventing device of high place works car
KR20170122614A (en) 2016-04-27 2017-11-06 주식회사이티 A high place working vehicle
KR101840604B1 (en) * 2017-09-06 2018-03-20 천보산업개발 주식회사 Dehumidif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9400B2 (en) Deformable energy absorber with deformation indicator
CN111021705A (en) Hanging basket applied to curved surfa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2092648A (en) Tower crane and balance detection system thereof
WO2004101912A3 (en) Safety restraint system
KR101995204B1 (en) Safety apparatus with measuring device for high place works
KR101942941B1 (en) Out-of-plane bending test apparatus and its test method
KR101942942B1 (en) Out-of-plane bending test equipment of Welded connection bracket and That test method
US8099910B1 (en) Roof hatch grab bars
CN211974271U (en) Hanging basket applied to curved surface
US8656652B1 (en) Safety anchor post system
Häkkinen Crane accidents and their prevention
TWM605945U (en) Mobile crane with anti-overturn monitoring function and anti-overturn monitoring device thereof
CN206873706U (en) A kind of metal curtain wall unit skeleton Integral hoisting equipment
CN107576577A (en) Safety belt test mechanism, testing machine
CN108793026B (en) Lifting point setting method for boiler maintenance platform
CN211971709U (en) Construction electrical equipment construction equipment
KR102152456B1 (en) Anti-fall system of a sophisticated work vehicle
KR101954831B1 (en) Out-of-plane bending test equipment of pipe type gondola bracket and that test method
JP2639119B2 (en) crane
KR100250943B1 (en) Monitor system for fire truck
CN207502312U (en) Safety belt test mechanism, testing machine
KR200204492Y1 (en) Device for checking condition of crane
TWI745978B (en) Mobile crane with anti-overturn monitoring function, anti-overturn monitoring device thereof and mobile crane anti-overturn monitoring method
JPH0312799Y2 (en)
KR101942943B1 (en) Out-of-plane bending test equipment of vertically fastening railing and That tes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