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93373B1 - Handle structure of surgical endoscope - Google Patents

Handle structure of surgical endosco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373B1
KR101993373B1 KR1020170090911A KR20170090911A KR101993373B1 KR 101993373 B1 KR101993373 B1 KR 101993373B1 KR 1020170090911 A KR1020170090911 A KR 1020170090911A KR 20170090911 A KR20170090911 A KR 20170090911A KR 101993373 B1 KR101993373 B1 KR 101993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guide rail
main body
pressing member
gri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9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9115A (en
Inventor
정천기
김정현
서영석
Original Assignee
원텍 주식회사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텍 주식회사,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원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0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373B1/en
Publication of KR20190009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1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37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66Proximal part of endoscope body, e.g.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내시경의 핸들 구조는 디스크 또는 신체 조직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절개된 신체의 일부분을 통하여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수술용 내시경의 핸들 구조로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술용 디바이스가 이동 가능한 작업용 채널이 형성되는 본체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외면에 손잡이부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시술자의 파지가 가능한 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외면을 따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체의 외면에 이동 가능한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시술자의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고, 시술자의 핸들링 성능이 향상되어 정밀한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A handle structure of a surgical endosc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le structure of a surgical endoscope inserted into a body through a part of a body incised to remove a part of a disk or body tissue, A handle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the handle is formed in an outer shape that allows the operator to grip the body, and the handle is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dle capable of moving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operator can grasp the stable operation and the handling performance of the operator can be improved, and precise control is possible.

Description

수술용 내시경의 핸들 구조{HANDLE STRUCTURE OF SURGICAL ENDOSCOPE}[0001] HANDLE STRUCTURE OF SURGICAL ENDOSCOPE [0002]

본 발명은 수술용 내시경의 핸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추간판 탈출증 또는 척추관 협착증과 같은 요추 질환의 치료를 위하여 절개된 신체의 일부분을 통하여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수술용 내시경의 핸들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structure of a surgical endosco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le structure of a surgical endoscope inserted into a body through a part of a body incised for the treatment of a lumbar disease such as a herniated disc or spinal stenosis .

일반적으로 요추의 대표적인 질환에는 허리뼈 사이에 물렁뼈 조직인 디스크(추간판)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주변의 신경을 건드려 통증을 유발시키는 추간판 탈출증과, 관절이나 인대가 두꺼워져 척추관을 압박하고, 이로 인해 척추관을 통과하는 신경을 건드려 통증을 유발시키는 척추관 협착증이 있다.Generally, typical diseases of the lumbar spine include 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 which causes discs (intervertebral discs) between the lower bones to protrude outward to touch the surrounding nerves, and joints or ligaments thicken to compress the spinal canal, There is a stenosis of the spinal canal that causes pain by touching the nerves passing through it.

종래에는 추간판 탈출증 및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를 위하여 등을 개복하고, 개복된 부위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통증 유발 부위를 수술 도구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개복수술방법이 주로 수행되었다.In the past, a method of laparotomy was performed in which a lumbar disc herniation and spinal stenosis were treated for the treatment of pain, and the pain-induced area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aparoscope was removed using a surgical tool.

그러나 개복수술 방법은 수술과정이 복잡하고, 수술부위가 광범위하여 수술 후에도 회복에 오랜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수술부위에 후유증의 발생확률이 높고, 수술자의 신체에 광범위한 수술자국이 남아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open surgical procedure is complicated and requires a long time to recover from the surgery, and there is a high incidence of sequelae at the surgical site and a wide surgical margin remains in the operator's body. there was.

최근에는 상기한 개복수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척추경(spine endoscope)을 이용한 시술이 수행되고 있다.Recently, a procedure using a spine endoscope has been perform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open surgery.

척추경을 이용한 시술은 척추경이 들어갈 정도의 크기로 수술자의 신체 일부분만을 절개하고, 절개된 부위로 척추경을 삽입한 후, 척추경 내부로 수술용 디바이스를 삽입하여 통증 유발 부위를 제거함에 따라, 시술이 신속하게 수행되고, 시술 후에도 수술자의 회복속도가 빠르며, 수술자의 신체에도 큰 수술자국이 남지 않는 이점이 있다.In this study, we used a spinal instrument to measure the size of the spinal canal, which was inserted into the vertebral body and inserted the surgical device into the incis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is performed quickly, the recovery speed of the operator is quick after the operation, and the operator does not have a large operation mark left in the body of the operator.

그러나 종래에는 척추경에 시술자가 파지 가능한 별도의 파지수단이 존재하지 않아, 시술자가 척추경에 결합된 CCD 카메라를 파지한 상태로 척추경을 제어하여 매우 불안정한 자세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정밀한 제어가 불가능하여 시술을 불안정한 상태로 수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however, there is no separate gripping means capable of gripping a practitioner in the spinal column, so that the practitioner controls the spinal column in a state in which the CCD camera coupled to the spinal column is gripped to maintain a very unstable posture, So that the procedure is performed in an unstable state.

또한, 척추경에 체결되는 CCD 카메라는 부피가 크고 무거워, 시술자의 안정적인 파지 및 핸들링이 불가능하고, 나아가 자체 무게로 인하여 척추경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the CCD camera fastened to the vertebrae is bulky and bulky,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 practitioner to grasp and handle with stability, and furthermore, it is separated from the vertebra due to its own weight.

아울러, 종래에는 척추경의 삽입 깊이에 따라, 척추경을 파지하고 있는 시술자의 팔의 위치를 변경해야 하므로, 시술자가 척추경을 파지한 상태로 특정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기 곤란하고, 나아가 팔의 위치를 자주 변경하게 되어 시술의 연속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arm of the practitioner holding the vertebra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depth of the vertebra in the past, it is difficult for the practitioner to hold the posture for a long time while holding the vertebra,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inuity of the procedure is deteriorated.

등록특허공보 제10-1681451호Patent Registration No. 10-168145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본체에 구비된 파지수단을 통하여 시술자의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고, 조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시술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여 시술의 연속성을 향상 시킬수 있는 수술용 내시경의 핸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ndoscope for a surgical endoscope, which can securely grasp a practitioner through a gripping means provided in the main body, improve manipulation performance, and reduce the physical burden on a practitioner,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시술자가 본체에 구비된 파지수단을 파지할 경우, 본체의 회전유무를 인지하고, 이를 통해 본체의 위치를 정위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수술용 내시경의 핸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le structure of a surgical endoscope capable of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in a fixed position by recognizing whether the main body rotates when the operator grips the gripping means provided on the main body, .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내시경의 핸들 구조는 디스크 또는 신체 조직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절개된 신체의 일부분을 통하여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수술용 내시경의 핸들 구조로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술용 디바이스가 이동 가능한 작업용 채널이 형성되는 본체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외면에 손잡이부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시술자의 파지가 가능한 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외면을 따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andle structure for a surgical endoscope, the handle structure of a surgical endoscope inserted into a body through a part of a body cut to remove a part of a disk or a body tissue Wherein a handle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handle is formed to have an outer shape capable of being gripped by an operator, And can be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long the outer surface.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A guide rail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grip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estrict rotation of the grip, Can be formed.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가이드레일의 어느 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grip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portion capable of fixing the grip portion to any position of the guide rail.

상기 손잡이부의 외면에는 시술자의 파지 시 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gripping grooves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 finger may be seated when the operator holds the gripper.

상기 복수개의 파지홈은 상기 작업용 채널의 중심축과 일치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gripping grooves may be formed to be oriented in a direction coinciding with a center axis of the working channel.

상기 손잡이부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 시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구름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may be provided with a roll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rail and performs rolling motion when the handle is moved.

상기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가이드레일 측으로 이동된 상기 가압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상기 가압부재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pressing member which penetrates through the knob portion and is arranged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the pressing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ressing member and moving the pressing member toward the guide rail, And a support member protruding outward from the handle portion and supporting an end portion of the pressing member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상기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가이드레일 측으로 이동된 상기 가압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상기 가압부재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에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외면에 형성된 톱니에 걸려 지지되거나, 상기 톱니로부터 이격되는 회전걸림부재, 그리고 상기 회전걸림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톱니로부터 이격된 상기 회전걸림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pressing member which penetrates through the knob portion and is arranged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the pressing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ressing member and moving the pressing member toward the guide rail,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an end portion of the pressing member protruding outwardly of the handle portion and returned to an original position; a pressing member arranged rotatably inside the handle portion, the pressing member being selectively pressed A rotation engaging member engaged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teeth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rail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rotation engaging member to return the rotation engaging member spaced from the tooth to an original position And may include a second elastic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술자본체의 외면에 이동 가능한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시술자의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고, 시술자의 핸들링 성능이 향상되어 정밀한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capable of mov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actitioner's main body so that the practitioner can grasp the stably and the handling performance of the practitioner can be improved to enable precise control.

또한, 선택적으로 손잡이부의 위치를 변경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시술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시술의 연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handle can be selectively changed to stably support the main body at various positions, thereby reducing the physical burden on the operator, thereby improving the continuity of the operation.

또한, 손잡이부의 외면에 작업용 채널의 중심축과 일치되는 방향을 향하는 파지홈이 형성됨에 따라, 시술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하는 것만으로 본체의 회전유무를 확인 가능하고, 이를 토대로 본체를 정위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ripp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to face the direction coinciding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work channel, the operator can check whether the body is rotating or not by only gripping the handle, .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내시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내시경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내시경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내시경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내시경의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홈의 결합부위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내시경의 손잡이부에 구비된 고정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rgical endosc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rgical endosc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mera module of a surgical endosc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urgical endosc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joint portion between a guide rail and a guide groove of a surgical endosc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and FIG. 7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xing part of the handle of the surgical endosco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connected, conne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Is included.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내시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내시경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rgical endosc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urgical endosc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내시경(100)(이하 ‘수술용 내시경(100)’이라 함)은 디스크 또는 신체 조직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절개된 신체의 일부분을 통하여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1 and 2, a surgical endoscop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rgical endoscop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And a body 10 which is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a portion thereof.

본체(10)는 선형(linear)의 관(pipe) 형태로 형성되고, 본체(1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술용 디바이스(예컨대, 포셉(forcep), 레이저 화이버(laser fiber) 등)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터널형의 작업용 채널(working channel, 11)이 형성된다.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linear pipe shape and a surgical device (for example, a forcep, a laser fiber, or the like)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working channel 11 of a tunnel type which can be inserted and moved is formed.

한편, 본체(10)는 사용 목적에 따라 각각 다른 직경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10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더 자세하게는, 본 수술용 내시경(100)이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를 목적으로 할 경우, 본체(10)는 신체 내부로 삽입된 후, 디스크에 접근해야 하므로, 신경다발과 섬유조직에 자극이 전달되지 않도록 최소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를 목적으로 할 경우, 본체(10)는 6mm의 직경으로 형성되고,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된 작업용 채널(11)은 3 ~ 3.2mm 사이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본 수술용 내시경(100)이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를 목적으로 할 경우, 본체(10)는 신체 내부로 삽입된 후, 디스크에 접근하지 않고, 신경다발의 외측에 위치하여 신경을 누르는 비후된 조직의 일부만을 제거하면 되므로, 최대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를 목적으로 제작된 본체(10)는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를 목적으로 제작된 본체(10)에 비해 체내 삽입 깊이가 짧다. 따라서, 신경다발 및 섬유조직과의 간섭확률이 적으므로,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를 목적으로 제작된 본체(10)에 비해 보다 큰 직경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를 목적으로 할 경우, 본체(10)는 6 ~ 15mm 사이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된 작업용 채널(11)의 직경도 본체(1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어, 대구경 수술용 디바이스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surgical endoscope 100 is intended for treatment of herniated disc, the main body 10 must be inserted into the body and then approach the disc, so that irritation is not transmitted to the nerve bundle and the fibrous tissue So that it can be formed in the minimum size. For example, for the treatment of herniated disc herniation, the main body 10 is formed to a diameter of 6 mm, and the working channel 11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3 to 3.2 mm have. Alternatively, when the surgical endoscope 100 is intended for the treatment of spinal stenosis, the main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and then, without approaching the disk, is positioned outside the nerve bundle, Only a part of the tissue is removed, so that it can be formed in the maximum size. That is, the body 10 manufactured for the treatment of spinal stenosis has a shorter insertion depth than the body 10 manufactured for the treatment of the herniated disc herniation. Accordingly, since the probability of interference with the nerve bundle and the fibrous tissue is low, it can be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main body 10 designed for the treatment of herniated disc herniation. For example, for the purpose of treating spinal stenosis, the body 10 may be formed with a diameter between 6 and 15 mm. Accordingly, the diameters of the working channels 11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device for large-diameter surgery can be used.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작업용 채널(11)과 함께, 환부의 혈액 등을 세척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식염수 등의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채널(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이와 함께, 작업용 채널(11), 세정 채널 및 후술할 카메라 모듈(20)이 차지하는 공간 이외의 부분에 조명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섬유(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working channel 11, a cleaning channel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10 for spraying cleaning water such as saline to clean the blood of the affected area and thereby ensure the field of view. In addition, an optical fiber (not shown) for irradiating illumination light may be disposed on a portion other than the space occupied by the working channel 11, the cleaning channel, and a camera module 2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본체(10)에는 커넥터(13)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or 13.

커넥터(13)는 작업용 채널(11)을 제외한 본체(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본체(10)의 내부공간으로 광원(광섬유)이 유입될 수 있도록 외부장치(미도시)와 연결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or 13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so that a light source (optical fib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0 from outside by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0 except for the working channel 11, It can be formed into a possible structure.

또한, 본체(10)에는 관통공(15)이 형성될 수 있다.A through hole 15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10.

더 자세하게는, 본체(10)에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후술할 카메라 모듈(20)과 연결되어 카메라 모듈(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 케이블(200)이 본체(10)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관통공(15)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케이블(200)은 카메라 모듈(20)에 전원을 공급함은 물론, 카메라 모듈(20)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에서 입력된 제어명령을 카메라 모듈(2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control cable 200 connected to a camera module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to supply power to the camera module 20, A through hole 15 may be formed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5. For example, the control cable 200 not only supplies power to the camera module 20 but also transmits the image acquired from the camera module 20 to the outside or transmits a control command inputted from the outside to the camera module 20 Can play a role.

또한, 본 수술용 내시경(100)은 카메라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gical endoscope 100 may include a camera module 20.

카메라 모듈(20)은 본체(10)의 선단에 배치되고, 시술(혹은 수술) 시 신체 내부에서 환부를 촬영하여 해당 영상을 직접적으로 획득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amera module 20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10 and can be formed in such a structure that the affected part can be directly photographed by photographing the affected part inside the body during surgery (or surgery).

즉, 본 수술용 내시경(100)은 본체(10)에 렌즈 및 렌즈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영상 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한 카메라를 별도 구비하지 않고, 본체(10)의 선단에 영상의 촬영 및 영상의 데이터 변환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카메라 모듈(20)을 구비함으로써, 전체 구조를 단순화 시키고, 이를 통해 부피 및 무게를 절감할 수 있다.That is, the surgical endoscope 100 does not include a lens and a camera for converting an image photographed from the lens into image data in the main body 10, By providing one camera module 20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conversion, the entir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the volume and weight can be reduc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내시경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mera module of a surgical endosc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20)은 전방영역을 촬영하는 광학부(2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amera module 20 may include an optical unit 21 for photographing a front region.

광학부(21)는 하우징(217)과, 광학필터(2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tical portion 21 may include a housing 217 and an optical filter 211.

하우징(217)은 일 측 및 타 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217)의 일 측에 형성된 개구는 타 측에 형성된 개구보다 더 작은 직경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17)의 일 측 내면에는 후술할 광학필터(211)의 전면이 걸려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217 is formed so th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open, and a receiving space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Here, the opening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217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opening formed at the other side. Therefore,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housing 217 may be provided with a latching jaw for suppor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optical filter 211 to be described later.

광학필터(211)는 하우징(217)의 일 측 개구와 근접한 수용공간의 선단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필터(211)의 중앙에는 미리 설정된 크기의 조리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의 빛이 조리공을 통해 후술할 렌즈부(213)로 전달될 수 있다.The optical filter 211 can be disposed at the tip of the accommodation space close to the one side opening of the housing 217. [ Here, a cooking cavity having a predetermined size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ptical filter 211. Therefore, the front light can be transmitted to the lens unit 2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cooking cavity.

또한, 광학부(21)는 렌즈부(213), 스페이서(215) 및 커버글라스(219)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tical portion 21 may include a lens portion 213, a spacer 215, and a cover glass 219.

렌즈부(213)는 광학필터(211)의 후방에 배치되어 조리공을 통하여 전달된 빛을 이미지 센서(23) 측으로 굴절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는 렌즈부(213)가 단일(single)구조로 도시되었으나, 렌즈부(213)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상 필요에 따라 다중(multi)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The lens unit 213 is disposed behind the optical filter 211 and can refract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cooking cavity toward the image sensor 23. For example, although the lens unit 213 is shown as a single structure in FIG. 3, the lens unit 213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as a multi structure according to need in the use.

스페이서(215)는 렌즈부(213)의 후방에 배치되어 이미지 센서(23)와 렌즈부(213) 사이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간격을 형성하는 스페이서(215)의 두께는 렌즈부(213)를 통해 굴절되는 빛이 스페이서(215)의 후방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23)에 정확히 전달될 수 있도록 빛의 굴절 각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The spacer 215 may be disposed behind the lens portion 213 to allow the image sensor 23 and the lens portion 213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thickness of the spacer 215 forming the predetermined interval is set such that the light refracted through the lens portion 213 can b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image sensor 23 disposed behind the spacer 215, . ≪ / RTI >

커버글라스(219)는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하우징(217)의 선단에 설치되고, 하우징(217)의 개구된 일 측을 차단하여 하우징(217)의 수용공간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The cover glass 219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217 so as to block the open side of the housing 217 and to block the entry of foreign matter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housing 217.

또한, 광학부(21)는 광학부(21)의 후방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23)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optical portion 21 may include an image sensor 23 disposed behind the optical portion 21.

이미지 센서(23)는 광학부(21)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술한 제어 케이블(200)을 통해 해당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23)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23)로 형성될 수 있다.The image sensor 23 converts an image photographed from the optical unit 21 into digital image data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trol cable 200 described above. Here, the image sensor 23 may be formed of a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23.

또한, 본 수술용 내시경(100)은 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시술자의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부(30)를 포함한다.The endoscope for surgical operation 100 includes a handle 30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capable of gripping the operato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내시경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내시경의 손잡이부에 구비된 고정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urgical endosc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fixing part provided in a handle of a surgical endosc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손잡이부(30)는 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시술자의 파지가 가능한 외형으로 형성되고, 본체(10)의 외면을 따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1 and 4, the handle 3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gripable by an operator and is movable in a predetermined positio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더 자세하게는, 본체(10)의 외면에는 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손잡이부(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7)이 형성되고, 가이드레일(17)이 형성된 부위에 대응되는 손잡이부(30)의 내면에는 가이드레일(17)에 결합되는 가이드홈(31)이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 guide rail 17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protrudes outside the main body 1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grip 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guide groove 3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30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17.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레일(17)이 본체(10)의 외면에 형성되고, 가이드홈(31)이 손잡이부(30)의 내면에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가이드레일(17) 및 가이드홈(31)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반대되는 구조로 적용될 수도 있다. 즉, 가이드레일(17)은 손잡이부(30)의 내면에 형성되고, 가이드홈(31)은 가이드레일(17)이 형성된 부위에 대응되는 본체(10)의 외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guide rail 17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guide groove 3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3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grooves 31 are not limited to these, and may be applied to structures opposite to each other. That is, the guide rails 17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30, and the guide grooves 31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where the guide rails 17 are formed.

따라서, 손잡이부(30)는 가이드레일(17)의 어느 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음은 물론, 가이드레일(17)에 지지되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Therefore, the handle 30 can be moved to any position of the guide rail 17, and the rotation can be restricted by the guide rail 17.

또한, 손잡이부(30)의 내면에는 구름부재(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rolling member 37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30.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홈(31)이 형성된 손잡이부(30)의 내면에는 가이드레일(17)의 외면에 접촉되어 손잡이부(30)의 이동 시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구름부재(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구름부재(37)는 구(球)형상으로 형성되고, 손잡이부(30)의 내면에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부(30)의 내면에는 구름부재(37)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구름부재(37)의 외면에 대응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5, a rolling member 37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30 where the guide groove 31 is formed. The rolling member 37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rail 17 to perform rolling motion when the handle 30 is moved . For example, the rolling member 37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and can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30 so as to face each other. Here, a receiv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ing member 37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30 so that the rolling member 37 can be rotatably received.

따라서, 손잡이부(30)는 상기한 구름부재(37)의 구름운동을 통하여, 보다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시술자는 큰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손잡이부(3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handle 30 can move smoothly and smoothly through the rolling motion of the rolling member 37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operator can easily move the handle 30 even when the operator does not apply a large force.

한편, 손잡이부(30)에는 손잡이부(30)를 가이드레일(17)의 어느 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33)가 구비될 수 있다.The grip portion 30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portion 33 for fixing the grip portion 30 to any position of the guide rail 17.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부(33)는 손잡이부(30)를 관통하여 손잡이부(30)에 설치된 제1 탄성부재(333)의 탄성력을 통해 가이드레일(17)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6, the fixing portion 33 selectively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rail 17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33 provided on the handle 30 through the handle 30 Or the like.

더 자세하게는, 고정부(33)는 손잡이부(30)를 관통하여 가이드레일(17)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압부재(331), 가압부재(33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가이드레일(17) 측으로 이동된 가압부재(331)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 탄성부재(333), 그리고 손잡이부(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가압부재(331)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xing portion 33 includes a pressing member 331 which is arranged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17 through the knob portion 30, A first elastic member 333 for returning the pressing member 331 which has been supported on the guide rail 17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which is supported on the guide rail 17 in a sexual manner, And a support member 332 for supporting the end portion of the member 331. [

또한, 고정부(33)는 가이드레일(17)의 외면에 걸려 이동이 제한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fixing portion 33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portion 33 is caught by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rail 17 and can be restricted from moving.

도 7을 참조하면, 고정부(33)는 상술한 가압부재(331), 제1 탄성부재(333), 및 지지부재(332)와 함께, 가이드레일(17)의 외면에 걸려 지지되는 회전걸림부재(334) 및 회전걸림부재(334)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3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7, the fixing portion 33 is provided with the above-described pressing member 331, the first elastic member 333, and the supporting member 332, And a second elastic member 335 elastically supporting the member 334 and the rotation engaging member 334.

회전걸림부재(334)는 일 측에 톱니 형상의 걸림수단을 구비하여 손잡이부(3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걸림부재(334)의 타 측은 가압부재(331)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걸림부재(334)는 가압부재(331)에 선택적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레일(17)의 외면에 형성된 톱니(171)에 걸려 지지되거나, 톱니(17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The rotation latching member 334 can be rotatably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handle 30 with a serrated engagement means on one side. Here,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latching member 334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member 331. [ The rotation engaging member 334 is selectively urged to the urging member 331 so that it can be caught by the teeth 171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rail 17 or can be separated from the teeth 171. [

예컨대, 톱니(171)의 일면은 본체(10)의 외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톱니(171)의 타면은 본체(10)의 외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회전걸림부재(334)의 일 측에 형성된 걸림수단의 일면은 톱니(171)의 타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걸림수단의 타면은 톱니(171)의 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30)는 회전걸림부재(334)가 톱니(171)에 접해있는 상태에서도 후방(도 7의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손잡이부(30)는 회전걸림부재(334)가 톱니(171)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만 전방(도 7의 좌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surface of the tooth 17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tooth 171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One surface of the engag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engaging member 334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ther surface of the tooth 171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engaging means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tooth 171 . Therefore, the handle 30 can be moved rearward (rightward in Fig. 7) even when the rotation latching member 334 is in contact with the teeth 171. [ On the contrary, the handle 30 can be moved forward (in the leftward direction in Fig. 7) only when the rotation engaging member 334 is spaced apart from the teeth 171. [

제2 탄성부재(335)는 회전걸림부재(334)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톱니(171)로부터 이격된 회전걸림부재(334)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탄성부재(335)는 회전걸림부재(334)의 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리턴스프링일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member 335 can elastically support the rotation engaging member 334 and return the rotation engaging member 334 separated from the tooth 171 to the original position. For example, the second elastic member 335 may be a return spring to which an elastic force acts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latching member 334. [

또한, 손잡이부(30)에는 파지홈(35)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 gripping groove 35 may be formed in the grip 30.

도 1을 참조하면, 손잡이부(30)의 외면에는 시술자의 파지 시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파지홈(35)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plurality of gripping grooves 35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rest of the finger, other than the thumb, may be seated.

따라서, 시술자는 손가락이 파지홈(35)에 안착되도록 손잡이부(30)를 감싸 쥔 후, 손잡이부(30)에 외력을 가하여 손잡이부(30)를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동이 완료되면 파지홈(35)에 안착된 손가락(예컨대, 중지 혹은 약지)의 끝부분을 이용하여 고정부(33)를 가압함으로써 손잡이부(30)를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practitioner holds the grip 30 in such a manner that the finger is seated in the grip groove 35, and then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grip 30 to move the grip 30 to an arbitrary position. When the movement is completed The grip portion 30 can be fixed at an arbitrary position by pressing the fixed portion 33 using the end portion of a finger (e.g., a stop or a ring finger) that is seated in the grip groove 35. [

이때, 파지홈(35)은 미리 설정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ripping grooves 35 may be formed to fac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손잡이부(30)에 형성된 복수개의 파지홈(35)은 작업용 채널(11)의 중심축(CA)과 일치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심축(CA)은 도 4를 기준으로, 작업용 채널(11) 및 카메라 모듈(20)의 중심을 수직으로 지나는 임의의 중심선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4, a plurality of gripping grooves 35 formed on the handle 30 may be formed to face the center axis CA of the working channel 11. Here, the center axis CA refers to an arbitrary center line passing vertically through the center of the working channel 11 and the camera module 20 with reference to Fig.

즉, 복수개의 파지홈(35)은 시술 시 본체(10)가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시술자가 본체(10)의 회전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작업용 채널(11) 및 카메라 모듈(20)의 중심축(CA)과 일치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even if the main body 10 is rotated in an arbitrary direction during the procedure, the plurality of gripping grooves 35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ork channel 11 and the camera module 20 so that the operator can confirm whether or not the main body 10 rotates. And may be formed so as to face the direction coinciding with the axis CA.

따라서, 시술자는 손잡이부(30)를 파지하는 것만으로, 파지홈(35)의 회전방향을 확인하여, 본체(10)의 회전유무를 인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본체(10)를 재조정하여 정위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본체(10)는 복수개의 파지홈(35)이 도 4를 기준으로 12시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 정위치 상태일 수 있다.Therefore, the practitioner can recogniz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by confirm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gripping grooves 35 only by gripping the grip portion 30, State. For example, the main body 10 may be in a normal position when the plurality of gripping grooves 35 are oriented at 12 o'clock with reference to Fig.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술자본체(10)의 외면에 이동 가능한 손잡이부(30)를 구비하여, 시술자의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고, 시술자의 핸들링 성능이 향상되어 정밀한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ortion 30 which is movab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actitioner's main body 10 can be stably gripped by the operator, and the handling performance of the operator can be improved, and precise control can be performed.

또한, 선택적으로 손잡이부(30)의 위치를 변경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본체(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시술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시술의 연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handle 30 can be selectively changed to stably support the main body 10 at various positions, thereby reducing the physical burden on the practitioner, thereby improving the continuity of the operation.

또한, 손잡이부(30)의 외면에 작업용 채널(11)의 중심축과 일치되는 방향을 향하는 파지홈(35)이 형성됨에 따라, 시술자가 손잡이부(30)를 파지하는 것만으로 본체(10)의 회전유무를 확인 가능하고, 이를 토대로 본체(10)를 정위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A gripping groove 35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30 to face the central axis of the working channel 11 so that the wearer can grip the grip 30 only to grip the handle 10,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main body 10 in a fixed position on the basis of this.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수술용 내시경
10. 본체
11. 작업용 채널 13. 커넥터
15. 관통공
17. 가이드레일
171. 톱니
20. 카메라 모듈
21. 광학부
211. 광학필터 213. 렌즈부
215. 스페이서 217. 하우징
219. 커버글라스
23. 이미지 센서
30. 손잡이부
31. 가이드홈
33. 고정부
331. 가압부재 332. 지지부재
333. 제1 탄성부재 334. 회전걸림부재
335. 제2 탄성부재
35. 파지홈
37. 구름부재
200. 제어 케이블
100. Surgical endoscope
10. Body
11. Work channel 13. Connector
15. Through-hole
17. Guide rail
171. Tooth
20. Camera module
21. Optical part
211. Optical filter 213. Lens part
215. Spacer 217. Housing
219. Cover Glass
23. Image Sensor
30. Handle
31. Guide home
33. Fixed Government
331. Pressure member 332. Support member
333. The first elastic member 334. The rotation locking member
335. Second elastic member
35. Finger Home
37. The rolling member
200. Control cable

Claims (8)

디스크 또는 신체 조직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절개된 신체의 일부분을 통하여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수술용 내시경의 핸들 구조 로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술용 디바이스가 이동 가능한 작업용 채널이 형성되는 본체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외면에 손잡이부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시술자의 파지가 가능한 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외면을 따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내면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시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구름부재;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가이드레일의 어느 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가이드레일 측으로 이동된 상기 가압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상기 가압부재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수술용 내시경의 핸들 구조.
A handle structure of a surgical endoscope which is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a portion of an incised body to remove a disc or part of the body tissue,
A main body is provided in which a working channel through which a surgical device is movabl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 handle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grip portion is formed in an outer shape capable of being gripped by the operator and is movabl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A guide rail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pul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pull,
A guid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The handle portion
A rolling member which is loca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and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rail to perform rolling motion when the grip portion is moved; And
And a fixing part fixing the grip part to a position of the guide rail,
The fixing unit includes:
A pressing member penetrating through the handle portion and arranged to be linearly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A first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ressing member and returning the pressing member moved toward the guide rail to an original position, and
And a support member protruding outwardly of the handle portion and supporting an end portion of the pressing member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Handle structure of surgical endosco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외면에는 시술자의 파지 시 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파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내시경의 핸들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gripping grooves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 finger can be seated when the operator grips the hand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파지홈은 상기 작업용 채널의 중심축과 일치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내시경의 핸들 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lurality of gripping grooves are formed to be oriented in a direction coinciding with a central axis of the working channe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에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외면에 형성된 톱니에 걸려 지지되거나, 상기 톱니로부터 이격되는 회전걸림부재, 그리고
상기 회전걸림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톱니로부터 이격된 상기 회전걸림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내시경의 핸들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portion
A rotation engaging member rotatably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knob portion and being selectively urged by the pressing member so as to be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teeth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rail,
And a second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otation locking member to return the rotation locking member separated from the tooth to an original position.
KR1020170090911A 2017-07-18 2017-07-18 Handle structure of surgical endoscope Active KR1019933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911A KR101993373B1 (en) 2017-07-18 2017-07-18 Handle structure of surgical endosco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911A KR101993373B1 (en) 2017-07-18 2017-07-18 Handle structure of surgical endosco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115A KR20190009115A (en) 2019-01-28
KR101993373B1 true KR101993373B1 (en) 2019-06-26

Family

ID=6526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911A Active KR101993373B1 (en) 2017-07-18 2017-07-18 Handle structure of surgical endosco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37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218A (en) 2020-11-04 2022-05-1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Master device for surgical robo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00201A1 (en) 2005-11-02 2007-05-03 Olympus Medical Systems Corporation Endoscope system equipped with manipulating unit for commanding medical therapy to endoscope and medical instrument attached thereto
US20080057470A1 (en) * 2002-12-12 2008-03-06 Discus Dental, Llc Dental tool having a hand grip
US20130184642A1 (en) 2011-12-22 2013-07-18 Joseph A. O'Donnell Steerable sheath handle pulley mechanism
US20140357952A1 (en) 2012-02-20 2014-12-04 Olympus Winter & Ibe Gmbh Video endoscope having an adjustable viewing direction
US20170202578A1 (en) 2013-05-31 2017-07-20 Mark Edmund Richey Vaginal surgical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451B1 (en) 2016-05-18 2016-11-30 주식회사 텍코드 Rigid spine scop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7470A1 (en) * 2002-12-12 2008-03-06 Discus Dental, Llc Dental tool having a hand grip
US20070100201A1 (en) 2005-11-02 2007-05-03 Olympus Medical Systems Corporation Endoscope system equipped with manipulating unit for commanding medical therapy to endoscope and medical instrument attached thereto
US20130184642A1 (en) 2011-12-22 2013-07-18 Joseph A. O'Donnell Steerable sheath handle pulley mechanism
US20140357952A1 (en) 2012-02-20 2014-12-04 Olympus Winter & Ibe Gmbh Video endoscope having an adjustable viewing direction
US20170202578A1 (en) 2013-05-31 2017-07-20 Mark Edmund Richey Vaginal surgica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115A (en) 201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93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 surgical procedure
US6746454B2 (en) Implant insertion tool
CN104837421B (en) Recoverable basket equipment
US20110263933A1 (en) Resilient support
RU2010112426A (en) TOOLS FOR INSERTING AND REMOVING LACRIMAL IMPLANTS
EP3245940A1 (en) Spinal endoscope with novel elongate rigid tube
CN109688894B (en)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WO2015158070A1 (en) Operating sheath and operating system for intervertebral foramen endoscope, and usage method thereof
KR20130031403A (en) Structure of effector of surgical instrument
JP6234267B2 (en) Surgical manipulator operating device and surgical manipulator system
JP2010137056A (en) Adjustable pin drill guid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1502446B1 (en) Spine surgical instrument and surgical robot system employing the same
KR101993373B1 (en) Handle structure of surgical endoscope
JP2022523426A (en) scope
KR102289108B1 (en) The foraminal stenosis therapeutic device for spinal disorder
KR101982810B1 (en) Surgical endoscope with a built in image sensor
EP3957258B1 (en) Tissue removal device
JP2012165812A (en) Treatment tool for flexible endoscope and scissors forceps
US20070249903A1 (en) Endoscopic treatment tool
JP2007275386A (en) Medical forceps
JP6883190B2 (en) Tooth extraction device
KR20190009116A (en) Zoom optical module bulit into the endoscope
KR20190009117A (en) Camera module applied to endoscope
KR102300220B1 (en) Tissue removal apparatus
KR20160071254A (en) Catheter for endosc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