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93349B1 -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349B1
KR101993349B1 KR1020190038270A KR20190038270A KR101993349B1 KR 101993349 B1 KR101993349 B1 KR 101993349B1 KR 1020190038270 A KR1020190038270 A KR 1020190038270A KR 20190038270 A KR20190038270 A KR 20190038270A KR 101993349 B1 KR101993349 B1 KR 101993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groove
folding table
lever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병회
Original Assignee
성용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용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용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8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3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2003/008Folding or stowable tables the underframe parts being stored in recesses in the underside of the tabl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테이블 전체가 자유롭게 이동되는 것은 물론, 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동작에 의하여 프레임과 걸림 또는 풀림되는 걸림수단을 통하여 상판을 용이하게 펼쳐 테이블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판을 세워 고정하여 보관시 부피를 축소하여 협소한 공간에서의 테이블 보관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테이블의 사용을 위하여 상판이 펼쳐진 상태가 걸림돌기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유지됨으로써 사용중 상판의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Folding table with top plate with locking means}
본 발명은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테이블 전체가 자유롭게 이동되는 것은 물론, 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동작에 의하여 프레임과 걸림 또는 풀림되는 걸림수단을 통하여 상판을 용이하게 펼쳐 테이블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판을 세워 고정하여 보관시 부피를 축소하여 협소한 공간에서의 테이블 보관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테이블의 사용을 위하여 상판이 펼쳐진 상태가 걸림돌기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유지됨으로써 사용중 상판의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접이식 테이블은 지지체의 상측에 상판이 결합되고 상기 지지체는 다리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는데,다수의 테이블을 용이하게 적층하기 위해 상판을 접어 수직으로 세울 수 있게 된 접이식 테이블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접이식 테이블의 일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120424호(등록일: 2012년 02월 20일) 접이식 테이블은,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회동수단으로 결합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판의 회전을 단속하는 단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접이식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단속수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된 레버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단속판을 포함하고, 상기 단속판은, 일정두께의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상판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수평걸림홈과, 상기 상판을 수직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수직걸림홈이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는, 상기 단속판의 수평걸림홈과 수직걸림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짐이 가능한 걸림돌기가 일측부에 형성된 단속블럭과, 상기 단속블럭의 타측부 하면에 형성된 장착돌기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돌기는 밑면이 평평하고, 상기 밑면과 연결된 상면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라운딩된 라운딩면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의 구성 중 상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는 레버와 핸들, 레버축, 연결브라켓, 단속판 등의 각각의 구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복잡한 구성을 통하여 상판의 펼쳐지거나 접힌 상태가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상판의 회전 및 이의 제어를 위한 레버와 핸들, 레버축, 연결브라켓, 단속판 등으로 이루어진 구성의 조립이 어렵고,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져 조립생산과정에서 작업자의 취급 부주의에 의하여 쉽게 다치는 문제점과 조립작업의 어려움에 따른 작업불량율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 접이식 테이블의 구성 이외에 특허등록 제10-1687143호(등록일: 2016년 12월 09일) 테이블, 특허등록 제10-1744798호(등록일: 2017년 06월 01일) 상판의 높이 및 각도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테이블, 특허등록 제10-1586360호(등록일: 2016년 01월 12일) 가림막을 구비한 접이식 테이블 등 다양한 형태의 접이식 테이블 관련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으나, 앞서 문제점으로 지적된 구성의 복잡성에 의한 조립불량, 생산성 저하 및 생산비용의 상승 및 사용중 사용자에 의하여 쉽게 손상되거나 부분적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계속되어 상판이 펼쳐지거나 접혀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함으로써 접이식 테이블이 쉽게 폐기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02858호(등록일: 2018년 09월20일) "한손으로 작동이 가능한 폴딩테이블" 등록특허공보 제10-1792635호(등록일: 2017년 10월 26일)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등록특허공보 제10-1687143호(등록일: 2016년 12월 09일) "테이블" 등록특허공보 제10-0868341호(등록일: 2008년 11월 05일) "접이식 테이블" 등록특허공보 제10-1744798호(등록일: 2017년 06월 01일) "상판의 높이 및 각도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테이블" 등록특허공보 제10-1674369호(등록일: 2016년 11월 03일) "절첩구조가 단일체로된 이동식 테이블" 등록특허공보 제10-1586360호(등록일: 2016년 01월 12일) "가림막을 구비한 접이식 테이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판을 용이하게 회전시키고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상판을 세우거나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한 후,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협소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동시에, 운반이나 보관이 매우 편리한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더욱이,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전체적인 구성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생산원가의 절감을 통하여 구매자의 구입비용 부담을 저하시킬 수 개선된 형태의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판의 사용을 위하여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걸림수단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상판의 저면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테이블의 취급 부주의에 의하여 걸림수단이 파손 또는 손상되더라도 부분적인 교체 및 수리를 통하여 접이식 테이블의 기능을 계속하여 유지시킬 수 있어 접이식 테이블의 수명연장을 통한 교체비용의 절감 및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한 개선된 형태의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은,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상부에 구비되며 저면에 한 쌍의 연결부(11)와 걸림수단(30)이 형성된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의 연결부(1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브라켓(21)이 양측에 조립되며 연결바(50)와 걸림봉(60)으로 연결되는 다리프레임(20)과, 상기 다리프레임(20)의 하부 일측으로 돌출된 보조프레임(24)과, 상기 상판(10)과 연결바(50)에 양 단부가 조립되는 실린더(40);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판(101)에 독립적으로 형성된 걸림수단(30)이 걸림봉(60)에 걸림되거나 걸림이 해제되어 상판(10)의 회전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수단(30)은 일측에 제1홈(311)과 상기 제1홈(311)의 대항되는 위치에 제2홈(312)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2홈(312)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3홈(315)을 갖는 격벽(316)과 가장자리에 복수 개의 볼트안내공(313) 및 중앙부분에 가이드핀(314)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31)와, 상기 몸체부(31) 내부에 수용되어 좌우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갖으며 와이어(35)가 걸림되는 걸림홈(321)이 형성된 하우징(322)의 일측에 몸체부(31)의 외부로 돌출되는 쇄기부(323)와 타측에 상기 가이드핀(314)의 양측에 위치되며 내부에 스프링(34)이 수용되는 한 쌍의 수용홈(324)이 일체로 형성된 이동부(32) 및 중앙부분에 상기 몸체부(31)와 격벽(316)의 사이공간(a)에 끼움되는 회전축(331)의 일측에 상기 몸체부(31)의 제2홈(312)과 제3홈(315)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레버(332)와, 타측에 "ㄱ"형태로 절곡되며 중앙부분에 와이어(35)가 끼움되는 끼움홈(333)이 형성된 외이어 연결부(334)가 일체로 형성된 레버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수단(30)은 상판(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판(10)과 레버(332)를 동시에 파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보조프레임(24)의 사이간격(W2)은 한 쌍의 다리프레임(20)의 사이간격(W1)보다 넓게 형성하여 다리프레임(20)이 보조프레임(24) 사이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은, 협소한 공간을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간단히 접어, 쉽게 운반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의 효과는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사용자가 상판의 저면에 조립 설치된 걸림수단의 레버를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 상판이 프레임에 걸린 상태가 해제되어 자연 회전 가능한 형태로 변형되고, 이 후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적은 힘으로도 쉽게 회전하여 접힘으로써 일반 사용자도 쉽게 상판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판은 펼침되는 과정이 사용자가 상판의 상면을 가압하여 누름으로써 상판의 저면에 조립된 걸림수단의 쇄기부 외면과 걸림봉의 외면이 면밀착된 상태에서 계속 가압되어 쇄기부가 내부의 스프링의 탄성을 이기면서 몸체 내측으로 이동하여 쇄기부가 걸림봉을 넘어 걸림되는 형태로 고정됨으로써 상판의 펼침되는 과정과 접힘되는 과정이 매우 단순하고 쉽게 이루어져 비숙련자도 쉽게 접이식 태이블을 취급할 수 있으며, 상판의 펼침된 상태가 걸림수단에 의하여 눌림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상판의 펼쳐진 상태가 유동되거나 흔들림이 방지되어 안정적으로 펼쳐진 상태가 유지됨으로서 학습 효과 향상 및 주의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걸림수단은 상판의 저면에 조립 설치되는 독립적인 구성으로써, 접이식 테이블을 구성하는 다른 구성과 관계없이 접이식 테이블에서 제거하거나 교체할 수 있어 접이식 테이블의 취급 부주의에 의하여 걸림수단이 파손 또는 손상되더라도 부분적인 교체 및 수리를 통하여 접이식 테이블의 기능을 계속하여 유지시킬 수 있어 접이식 테이블의 수명연장을 통한 교체비용의 절감 및 신속한 유지보수를 통한 계속적인 사용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 중 걸림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 중 걸림수단의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 중 걸림수단이 프레임에 걸림된 상태의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 중 설림수단이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의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의 사용을 위한 상판이 펼쳐진 상태의 걸림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의 사용을 위한 상판이 접혀지는 상태의 걸림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 중 걸림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 중 걸림수단의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 중 걸림수단이 프레임에 걸림된 상태의 측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 중 설림수단이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의 측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의 사용을 위한 상판이 펼쳐진 상태의 걸림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의 사용을 위한 상판이 접혀지는 상태의 걸림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이하, '테이블'이라 한다.)(100)는 크게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판(10)이 회전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는 다리프레임(20)과, 상판(10)의 저면에 조립되어 사용자의 동작에 의하여 다리프레임(20)에 걸림되거나 풀림되는 형태로 동작하는 걸림수단(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10)은 합성수지 또는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판상의 저면에 걸림수단(30)과 양측에 연결부(11)가 조립된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30)은 상판의 크기 및 테이블(100)의 형태에 따라서 저면 중앙부분에 하나가 설치되거나 또는 양측으로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리프레임(20)은 내부가 중공된 타원관 형태를 갖으며 상부에 상기 상판(10)의 연결부(1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브라켓(21)과 하부에 바퀴(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리프레임(20)은 한 쌍이 내부측에 연결바(50)와 걸림봉(60)으로 연결되어 대략 "П"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봉(60)은 일측에 차 후 설명할 걸림수단(30)의 쇄기부(323)와 면밀착되는 걸림부(61)를 갖는다.
또한, 상기 다리프레임(20)의 하부외측으로는 단부에 바퀴(22)가 형성된 보조프레임(24)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프레임(24)이 외부측으로 확장된 형태를 갖음으로써 다리프레임(20)이 한 쌍의 보조프레임(24) 사이공간으로 끼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한 쌍의 보조프레임(24)의 사이간격(W2)은 한 쌍의 다리프레임(20)의 사이간격(W1)보다 넓게 형성되어 다리프레임(20)이 보조프레임(24) 사이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는 형태를 갖음으로써 실질적으로 테이블을 보관시 복수 개의 상판(10)을 회전시켜 접은 상태에서 다리프레임(20)을 근접시킬 수 있어 보관공간으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많은량의 테이블을 보관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걸림수단(30)은 상판(10)의 저면에 고정되는 몸체부(31)와, 상기 몸체부(31) 내부에 수용되며 좌우 이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는 이동부(32)와, 상기 몸체부(3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와이어(35)로 이동부(32)와 연결되는 레버부(33) 및 일측이 상기 몸체부(31)의 내면에 밀착되고 타측이 이동부(32)에 밀착되는 스프링(3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30)은 상판(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판(10)과 레버(332)를 동시에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레버의 사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31)는 일측에 이동부(32)의 일부분이 이동가능한 형태로 끼움되는 제1홈(311)과 상기 제1홈(311)의 대항되는 위치에 레버부(33)의 일부분이 끼움되는 제2홈(312)이 형성되며 내부 가장자리에 고정볼트(미도시)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볼트안내공(313)과 중앙부분에 가이드핀(3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홈(312)이 위치한 내측에는 제2홈(312)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3홈(315)을 갖는 격벽(316)이 형성되어 몸체부(31)와 격벽(316)의 사이공간(a)에 레버(33)의 회전축(331)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32)는 와이어(35)가 걸림되는 걸림홈(321)이 형성된 하우징(322)의 일측에 몸체부(31)의 외부로 돌출되는 쇄기부(323)와 타측에 상기 가이드핀(314)의 양측에 위치되며 내부에 스프링(34)이 수용되는 한 쌍의 수용홈(324)이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스프링(34)은 수용홈(324)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단부가 격벽(316)의 일면에 밀착되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레버부(33)는 중앙부분에 상기 몸체부(31)와 격벽(316)의 사이공간(a)에 끼움되는 회전축(331)의 일측에 상기 몸체부(31)의 제2홈(312)과 제3홈(315)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레버(332)와, 타측에 "ㄱ"형태로 절곡되며 중앙부분에 와이어(35)가 끼움되는 끼움홈(333)이 형성된 외이어 연결부(334)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홈(333)은 입구부를 협소하게 형성하고 내부에서 확장되는 형태를 갖음으로써 끼워진 와이어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와이어(35)의 체결상태를 빠짐없이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와이어(35)의 단부에 걸림판(351)을 형성하여 걸림판(351)이 끼움홈(333)의 내면에 밀착되어 와이어(35)의 자연 빠짐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레버부(33)의 레버(332)와 연결부(334)는 회전축(331)을 중심으로 15도 ~ 30도 범위로 절곡된 형태를 갖음으로써 걸림수단(30)이 상판(10)의 저면에 조립한 상태에서 레버(332)의 조작이 용이하며 연결부(334)에 연결되는 와이어(35)가 레버(332)의 회전에 의하여 당김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30)의 동작형태를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부(32)에 형성된 각각의 수용홈(324)에 스프링(34)을 삽입하여 스프링(34)의 일측이 이동부(32)의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부(32)가 준비된 상태에서 이동부(32)를 몸체부(31)의 내부에 안착하면, 이동부(32)의 일측의 쇄기부(323)가 제1홈(31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의 수용홈(324)이 가이드핀(314)의 양측에 위치되며 스프링(34)의 노출된 부분의 단부가 격벽(316)의 일면에 밀착된다.
또한, 레버부(33)는 끼움홈(333)에 와이어(35)를 연결한 상태에서 중앙부분의 회전축(331)이 몸체부(31)와 격벽(316)의 사이공간(a)에 위치되고 레버(332)가 제2홈(312)을 관통하여 몸체부(31)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의 연결부(334)는 제3홈(315)을 관통하여 몸체부(31)의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레버부(33)에 형성된 와이어(35)는 타측이 이동부(32)의 걸림홈(321)에 끼움하여 당김된 상태로 연결되며, 와이어(35)는 중앙부분이 가이드핀(314)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일측이 레버부(33)의 연결부(334)에 고정되고 타측이 이동부(32)의 걸림홈(321)에 연결되어 직선 형태의 당김된 상태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수단(30)을 결합한 상태에서 몸체부(31)를 상판(10)의 저면에 밀착시키고 볼트안내공(313)을 통하여 볼트로 상판(10)에 고정하면, 걸림수단(30)의 레버(332)가 상판(10)으로부터 15도 ~ 30도 범위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노출된다.
또한, 노출된 레버(332)를 사용자가 상부로 회전시키면 몸체부(10) 내부에 위치된 연결부(334)가 하향회전하며 와이어(35)를 당김하여 와이어(35)의 타측에 연결된 이동부(32)가 스프링(34)의 탄성을 이기며 몸체부(31) 내부로 이동함으로써 이동부(32)의 노출된 쇄기부(323)가 다리프레임(20)의 걸림봉(60)으로부터 이격되어 상판(10)을 회전 가능한 형태로 변형시킨다.
또한, 이동부(32)의 쇄기부(323)는 사용자가 레버(332)의 가압상태를 해소함으로써 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하여 몸체부(31)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원상복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판이 테이블의 미사용에 따른 보관을 위하여 접히는 과정이 걸림수단(30)이 걸림봉(60)으로부터 이격되어 자연회전 가능하게 변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판을 들어올리면 실린더(40)의 공압에 의하여 상판(10)은 양측의 연결브라켓(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지면과 대략 수직형태로 회전한다.
또한, 상판의 회전되는 과정은 상판(10)과 연결바(50)에 연결된 실린더(40)에 의하여 적은 힘으로도 쉽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된 후에는 (접힌 후에는) 견고하게 유지된다.
한편, 상기 테이블의 사용을 위하여 상판(10)을 펼치는 경우 상판의 상면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걸림봉(60)의 상면에 이동부(32)의 쇄기부(323)가 밀착되고 계속 가압하면 이동부(32)가 상판(10)이 가압됨으로써 스프링(34)의 탄성을 이기면서 걸림봉(60)의 외면에 쇄기부(323)의 단부가 밀착된 상태로 몸체부(31)측으로 이동하고 쇄기부(323)가 걸림봉(30)을 넘어가면 스프링(34)의 탄성에 의하여 쇄기부(323)가 돌출되며 걸림봉(60)의 걸림부(61)에 걸림되어 상판(10)의 펼쳐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은, 협소한 공간을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간단히 접어, 쉽게 운반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의 효과는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사용자가 상판의 저면에 조립 설치된 걸림수단의 레버를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 상판이 프레임에 걸린 상태가 해제되어 자연 회전 가능한 형태로 변형되고, 이 후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적은 힘으로도 쉽게 회전하여 접힘으로써 일반 사용자도 쉽게 상판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특징이 있으며, 더욱이, 상판의 펼침되는 과정이 사용자가 상판의 상면을 가압하여 누름으로써 상판의 저면에 조립된 걸림수단의 쇄기부 외면과 걸림봉의 외면이 면밀착된 상태에서 계속 가압되어 쇄기부가 내부의 스프링의 탄성을 이기면서 몸체 내측으로 이동하여 쇄기부가 걸림봉을 넘어 걸림되는 형태로 고정됨으로써 상판의 펼침되는 과정과 접힘되는 과정이 매우 단순하고 쉽게 이루어져 비숙련자도 쉽게 접이식 태이블을 취급할 수 있으며, 상판의 펼침된 상태가 걸림수단에 의하여 눌림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상판의 펼쳐진 상태가 유동되거나 흔들림이 방지되어 안정적으로 펼쳐진 상태가 유지됨으로서 학습 효과 향상 및 주의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은 상판의 저면에 조립 설치되는 독립적인 구성으로써, 접이식 테이블을 구성하는 다른 구성과 관계없이 접이식 테이블에서 제거하거나 교체할 수 있어 접이식 테이블의 취급 부주의에 의하여 걸림수단이 파손 또는 손상되더라도 부분적인 교체 및 수리를 통하여 접이식 테이블의 기능을 계속하여 유지시킬 수 있어 접이식 테이블의 수명연장을 통한 교체비용의 절감 및 신속한 유지보수를 통한 계속적인 사용을 보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상판 11 : 연결부
20 : 다리프레임 21 : 연결브라켓
22 : 바퀴 24 : 보조므라켓
30 : 걸림수단 31 : 몸체부
311 : 제1홈 312 : 제2홈
313 : 볼트안내공 314 : 가이드핀
315 : 제3홈 316 : 격벽
32 : 이동부 321 : 걸림홈
322 : 하우징 323 : 쇄기부
324 : 수용홈 33 : 레버부
331 : 회전축 332 : 래버
333 : 끼움홈 334 : 연결부
34 : 스프링 35 : 와이어
351 : 밀착판 40 : 유압실린더
50 : 연결바 60 : 걸림봉

Claims (4)

  1. 접이식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상부에 구비되며 저면에 한 쌍의 연결부(11)와 걸림수단(30)이 형성된 상판(10);
    상기 상판(10)의 연결부(1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브라켓(21)이 양측에 조립되며 연결바(50)와 걸림봉(60)으로 연결되는 다리프레임(20);
    상기 다리프레임(20)의 하부 일측으로 돌출된 보조프레임(24);
    상기 상판(10)과 연결바(50)에 양 단부가 조립되는 실린더(40);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수단(30)은 일측에 제1홈(311)과 상기 제1홈(311)의 대항되는 위치에 제2홈(312)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2홈(312)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3홈(315)을 갖는 격벽(316)과 가장자리에 복수 개의 볼트안내공(313) 및 중앙부분에 가이드핀(314)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31);
    상기 몸체부(31) 내부에 수용되어 좌우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갖으며 와이어(35)가 걸림되는 걸림홈(321)이 형성된 하우징(322)의 일측에 몸체부(31)의 외부로 돌출되는 쇄기부(323)와 타측에 상기 가이드핀(314)의 양측에 위치되며 내부에 스프링(34)이 수용되는 한 쌍의 수용홈(324)이 일체로 형성된 이동부(32);
    중앙부분에 상기 몸체부(31)와 격벽(316)의 사이공간(a)에 끼움되는 회전축(331)의 일측에 상기 몸체부(31)의 제2홈(312)과 제3홈(315)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레버(332)와, 타측에 "ㄱ"형태로 절곡되며 중앙부분에 와이어(35)가 끼움되는 끼움홈(333)이 형성된 와이어 연결부(334)가 일체로 형성된 레버부(33);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판(10)에 독립적으로 형성된 걸림수단(30)이 걸림봉(60)에 걸림되거나 걸림이 해제되어 상판(10)의 회전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30)은 상판(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판(10)과 레버(332)를 동시에 파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조프레임(24)의 사이간격(W2)은 한 쌍의 다리프레임(20)의 사이간격(W1)보다 넓게 형성하여 다리프레임(20)이 보조프레임(24) 사이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
KR1020190038270A 2019-04-02 2019-04-02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 Active KR101993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270A KR101993349B1 (ko) 2019-04-02 2019-04-02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270A KR101993349B1 (ko) 2019-04-02 2019-04-02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349B1 true KR101993349B1 (ko) 2019-06-26

Family

ID=6710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270A Active KR101993349B1 (ko) 2019-04-02 2019-04-02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3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33690A (zh) * 2023-01-31 2023-04-28 北京电子工程总体研究所 一种显控台
KR102836224B1 (ko) * 2025-02-03 2025-07-22 주식회사 미도화학 폴딩타입 수납 테이블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341B1 (ko) 2008-03-19 2008-11-12 (주)캠퍼스라인 접이식 테이블
KR101586360B1 (ko) 2015-09-07 2016-01-19 주식회사 이노프 가림막을 구비한 접이식 테이블
KR101653943B1 (ko) * 2016-03-22 2016-09-02 주식회사 퍼맥스 접철식 테이블
KR101674858B1 (ko) * 2016-05-16 2016-11-09 주식회사 퍼맥스 접철식 테이블
KR101674369B1 (ko) 2016-05-19 2016-11-09 김지영 절첩구조가 단일체로된 이동식 테이블
KR101687143B1 (ko) 2016-08-08 2016-12-28 원영근 테이블
KR101744798B1 (ko) 2016-06-30 2017-06-09 주식회사 주경 상판의 높이 및 각도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테이블
KR101792635B1 (ko) 2017-06-14 2017-11-20 주식회사 대명산업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KR101902858B1 (ko) 2018-06-28 2018-11-22 (주) 파트라 한손으로 작동이 가능한 폴딩테이블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341B1 (ko) 2008-03-19 2008-11-12 (주)캠퍼스라인 접이식 테이블
KR101586360B1 (ko) 2015-09-07 2016-01-19 주식회사 이노프 가림막을 구비한 접이식 테이블
KR101653943B1 (ko) * 2016-03-22 2016-09-02 주식회사 퍼맥스 접철식 테이블
KR101674858B1 (ko) * 2016-05-16 2016-11-09 주식회사 퍼맥스 접철식 테이블
KR101674369B1 (ko) 2016-05-19 2016-11-09 김지영 절첩구조가 단일체로된 이동식 테이블
KR101744798B1 (ko) 2016-06-30 2017-06-09 주식회사 주경 상판의 높이 및 각도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테이블
KR101687143B1 (ko) 2016-08-08 2016-12-28 원영근 테이블
KR101792635B1 (ko) 2017-06-14 2017-11-20 주식회사 대명산업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KR101902858B1 (ko) 2018-06-28 2018-11-22 (주) 파트라 한손으로 작동이 가능한 폴딩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33690A (zh) * 2023-01-31 2023-04-28 北京电子工程总体研究所 一种显控台
KR102836224B1 (ko) * 2025-02-03 2025-07-22 주식회사 미도화학 폴딩타입 수납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0502A (en) Collapsible closet frame structure
US4986195A (en) Tilting table top mechanism
US20180296869A1 (en) Fold Down Trampoline
US20070209112A1 (en) Bassinet selectively rockable when mounted upon a support as well as being displaced therefrom
US20210112967A1 (en) Folding stool or folding table
KR101068110B1 (ko) 높이조절 및 접이식 테이블
KR101993349B1 (ko) 걸림수단을 갖는 상판이 구비된 접이식 테이블
EP2205128A2 (en) Collapsible articles of furniture
KR101101187B1 (ko) 절첩식 지지대를 구비한 가구
TWI603820B (zh) 可收折的支撐架
KR101980531B1 (ko) 접이식 테이블
US4299423A (en) Knockdown settee
US6820629B2 (en) Leg assembly for a canopy
KR102267916B1 (ko) 실린더가 내장된 접이식 테이블용 폴딩장치
KR20150004278U (ko)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EP0972473B1 (en) Split lockable hinge for a baby bed
KR200483499Y1 (ko) 보강력이 향상된 접이식 낚시좌대
KR102189004B1 (ko) 단순한 구조의 절첩수단을 갖는 접이식 테이블
KR20030031781A (ko) 폴딩 테이블
US12220058B2 (en) Sofa bed
JP4442379B2 (ja) テーブル
JP2017024731A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KR101297842B1 (ko) 휴대성 및 이동성이 향상된 절첩식 테이블
JPH11103981A (ja) サークル付き折畳式ベッド
KR101440035B1 (ko) 접이식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