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92826B1 - Stapl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tapl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826B1
KR101992826B1 KR1020180018751A KR20180018751A KR101992826B1 KR 101992826 B1 KR101992826 B1 KR 101992826B1 KR 1020180018751 A KR1020180018751 A KR 1020180018751A KR 20180018751 A KR20180018751 A KR 20180018751A KR 101992826 B1 KR101992826 B1 KR 101992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main body
stapler
timing belt
stap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7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도리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to KR1020180018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8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826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G03G15/6541Binding sets of sheets, e.g. by stapling, glue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22Binder, e.g. glueing device
    • G03G2215/00827Stapl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Dovetailed Work, And Nailing Machines And Stapling Machines For 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배지부에 설치되고, 배지된 용지들을 스테이플링 작업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스테이플링 기구로서, 용지의 폭을 따라 일정길이 연장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측 단부에서 소정 반경으로 연장된 선회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회부들에 각각 구비된 선회축 사이에 결합된 타이밍 벨트를 구비한 가이드부; 내장된 철심들을 이용하여 스테이플링 작업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가이드 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타이밍 벨트와 결합되는 스테이플러; 및 상기 타이밍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여, 수평방향의 스테이플링 작업 위치와 사선방향의 스테이플링 작업 위치가 동일한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pling mechanism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stapling discharged paper sheets, which is provided in an output sec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which has a horizontal section extending along a width of the sheet and a predetermined radius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section A guide portion having an extended swivel portion and having a timing belt coupled between pivotal shafts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swivel portions; A stapler operative to staple using built-in iron cores, the stapler engaged with the timing belt to move along the guide portion; And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timing belt, so that the stapling operation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tapling operation position in the diagonal direction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at the same position.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용 스테이플링 기구{Stapl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0001] Stapling apparatus for image forming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용 스테이플링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pling mechanism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복사기나 프린터 등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는 단지 원고를 복사하거나 인쇄하는 기능이 주된 기능이라 할 수 있으나, 근래 들어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다양한 장치와 통합되어 다양한 부가기능을 갖는 추세라 할 수 있다.In general, an image forming apparatus such as a copying machine, a printer, or the like merely has a function of copying or printing a manuscript. However, in recent years, such a function has been combined with various apparatuses considering user's convenience and has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일 예로, 복사기나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의 배지부에는 스테이플링 장치가 구비되는데, 이 스테이플링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복사 또는 인쇄작업이 수행된 후 소정 매수씩 정렬된 용지를 자동적으로 스테이플링한다. 이러한 스테이플링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정렬된 용지의 원하는 위치에 스테이플링을 수행하는 멀티 스테이플링(multi-stapling)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멀티 스테이플링 기능을 갖는 스테이플링 장치는 다수의 스테이플러를 구비하여 용지의 여러 포인트에서 동시에 스테이플링 작업이 행해졌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고 다수의 스테이플러를 구비하기 위한 비용도 많이 들어 최근에는 하나의 스테이플러가 용지의 후단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멀티 스테이플링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For example, a stapling device is provided in an output por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such as a copying machine or a printer. The stapling device automatically staples sheets sort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sheets after the copying or print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do. Such a stapling apparatus generally has a multi-stapling function for performing stapling at a desired position of the aligned paper while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the stapling apparatus having the multi-stapling function has a plurality of staplers, and stapling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at various points of the paper at the same time. However, since the stapling apparatus has a complex structure and a large number of staplers, A method of performing a multi-stapling operation while one stapler moves along the rear edge of the sheet is preferred.

그러나, 종래의 스테이플링 장치는 동일한 스테이플링 위치에서 한 종류의 스테이플링 작업만이 가능하였다. 예를 들면, 용지의 모서리에서 사선방향의 스테이플링 작업과 수평방향의 스테이플링 작업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tapling apparatus was capable of only one type of stapling operation at the same stapling position. For example, the stapling operation in the diagonal direction and the stapling oper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edge of the paper can not be selectively performed.

선행기술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5974호(2007.07.24.)Prior Art Document 1: 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75974 (2007.07.24.)

선행기술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456324호(2014.10.23.)Prior Art Document 2: Registration Patent No. 10-1456324 (Oct. 23, 20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수평방향 및 사선방향의 스테이플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용 스테이플링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pling mechanism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stapling in both horizontal and diagonal direction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배지부에 설치되고, 배지된 용지들을 스테이플링 작업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스테이플링 기구로서, 용지의 폭을 따라 일정길이 연장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측 단부에서 소정 반경으로 연장된 선회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회부들에 각각 구비된 회전축 사이에 결합된 타이밍 벨트를 구비한 가이드부; 내장된 철심들을 이용하여 스테이플링 작업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가이드 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타이밍 벨트와 결합되는 스테이플러; 및 상기 타이밍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pling mechanism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is disposed in a sheet discharge sec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erforms stapling of discharged sheets, A guide portion having a turning portion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radius at both side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having a timing belt coupled between rotational shafts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turning portions; A stapler operative to staple using built-in iron cores, the stapler engaged with the timing belt to move along the guide portion; And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timing belt.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축 및 상기 타이밍 벨트가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플러의 중심부와 결합되는 제1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 상기 제1 가이드 레일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레일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테이플러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2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타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테이플러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3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first guide rail having the rotation shaft and the timing belt, and coupled to a center portion of the stapler; A second guide rail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guide rail on one side of the first guide rail and extending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guide rail and coupled with one end of the stapler; And a third guide rail extending horizontally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uide rail and coupled with the other end of the stapler.

여기서, 상기 스테이플러는, 철심들이 내장되고, 상기 철심들을 배출하여 용지들을 스테이플링 작업하는 클램프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 중심에 구비되고, 상기 타이밍 벨트와 결합하여 상기 타이밍 벨트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결합부; 상기 본체의 저면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여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본체의 저면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3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여 상기 제3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3 결합부를 포함하다.Here, the staple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iron cores and a clamp for ejecting the iron cores to staple the sheets; A first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a center of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moving along the first guide rail by driving the timing belt in association with the timing belt; A second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moving along the second guide rail in engagement with the second guide rail; And a third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moving along the third guide rail in engagement with the third guide rail.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결합부는 상기 제3 가이드 레일이 축설되는 축공 및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는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절개되어, 상기 본체의 일단이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선회할 때 상기 본체는 상기 회동축을 축으로 하여 회동한다.Preferably, the third coupling portion includes a shaft hole in which the third guide rail is extended and a rotation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cutout portion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is inserted, The main body is pivoted about the pivot axis when one end of the main body is pivoted along the second guide rail.

추가적으로,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은 상기 본체의 상기 제2 결합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일부 영역이 단절된 형상을 갖는다.In addition, the second guide rail has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region is cut off to restrict movement of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of the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은 단절된 부분에 리미트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리미트 센서는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한다.Preferably, the second guide rail includes a limit sensor at a disconnected portion, and the limit sensor controls the drive motor.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방향의 스테이플링 작업 위치와 사선방향의 스테이플링 작업 위치가 동일한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pling operation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tapling operation position in the diagonal direction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at the same posi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용 스테이플링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용 스테이플링 기구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용 스테이플링 기구의 선회 작동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용 스테이플링 기구의 선회 작동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용 스테이플링 기구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pling mechanism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pling mechanism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fferent direction,
3 is a plan view sequentially showing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stapling mechanism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equentially showing a pivoting operation of a stapling mechanism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equenti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tapling mechanism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용 스테이플링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stapling mechanism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도 1과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용 스테이플링 기구는 화상 형성 장치의 배지부에 설치되어 배지된 용지들을 소정 매수씩 스테이플링 작업하는 기구로서, 배지부(미도시)에 구비되어 스테이플러(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200), 가이드부(200)를 따라 이동하여 소정 위치에서 용지들을 스테이플링하는 스테이플러(100) 및 가이드부(200)의 타이밍 벨트(214)를 구동하여 스테이플러(100)를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stapling mechanism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n output sec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s provided in an output section (not shown) for stapling sheets discharg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sheets A stapler 100 that moves along the guide unit 200 to staple the sheet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timing belt 214 of the guide unit 200. The guide unit 200 guides the movement of the stapler 100, And a driving motor 300 for moving the stapler 100.

가이드부(200)는 용지의 폭 또는 길이를 따라 일정길이와 폭을 갖는 프레임(201) 상에 구비된다. 이 가이드 부(200)는 용지의 폭을 따라 일정길이 연장된 수평부(211)와 수평부(211)의 양측 단부에서 소정 반경으로 연장된 선회부(212)를 구비한다. 또한, 선회부들(212)에는 각각 선회축(213)이 구비되고, 이 선회축들(213) 사이에는 타이밍 벨트(214)가 결합된다.The guide unit 200 is provided on the frame 20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long the width or length of the paper. The guide unit 200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211 extending along a width of the paper and a swivel portion 212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radius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211. Each of the pivot portions 212 is provided with a pivot shaft 213 and a timing belt 214 is coupled between the pivot shafts 213.

스테이플러(100)는 내장된 철심들을 이용하여 용지들을 스테이플링 작업하도록 작동한다. 또한, 스테이플러(100)는 가이드 부(200)를 따라 이동하도록 타이밍 벨트(214)와 결합되어 소정의 위치들에 선택적으로 스테이플링 작업을 할 수 있다.The stapler 100 operates to staple sheets using built-in iron cores. In addition, the stapler 100 may be coupled with the timing belt 214 to move along the guide portion 200 to selectively staple at predetermined positions.

구동 모터(300)는 프레임(201)의 배면에 구비되고, 타이밍 벨트(214)가 구동되도록 타이밍 벨트(214)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스테이플러(100)를 이동시킨다.The driving motor 300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rame 201 and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the timing belt 214 to move the stapler 100 so that the timing belt 214 is driven.

여기서, 가이드부(200)는 제1 가이드 레일(210), 제2 가이드 레일(220) 및 제3 가이드 레일(230)을 포함한다.Here, the guide unit 200 includes a first guide rail 210, a second guide rail 220, and a third guide rail 230.

제1 가이드 레일(210)은 프레임(201)의 중심에 배치되고, 전술한 타이밍 벨트(214)와 선회축들(213)이 그 내부에 배치된다. 즉, 제1 가이드 레일(210)은 타이밍 벨트(214)와 선회축들(213)을 둘러싸도록 폐곡선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 레일(210)은 프레임(2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수평부(211) 및 이 한 쌍의 수평부(211)의 양측 단부에서 곡선으로 이어진 한 쌍의 선회부(212)를 구비한 타원형 폐곡선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1 가이드 레일(210)은 스테이플러(100)의 중심부와 결합된다.The first guide rail 21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rame 201 and the timing belt 214 and the pivot shafts 213 described above are disposed therein. That is, the first guide rail 210 is formed of a closed curve so as to surround the timing belt 214 and the pivot shafts 213. More specifically, the first guide rail 210 includes a pair of horizontal portions 211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201, and a pair of curved lines at both ends of the pair of horizontal portions 211 And has an elliptic closed curve structure including a swivel portion 212. The first guide rail 210 is engaged with the center portion of the stapler 100.

제2 가이드 레일(220)은 프레임(201) 상에서 제1 가이드 레일(210)의 일측에 제1 가이드 레일(210)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2 가이드 레일(220)은 제1 가이드 레일(2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된다. 즉, 제2 가이드 레일(220)은 한 쌍의 수평부와 한 쌍의 선회부를 구비한 타원형의 폐곡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는 수평부들 중 하나에 단절부(225)를 갖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단절부(225)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2 가이드 레일(220)은 스테이플러(100)의 일단과 결합된다.The second guide rail 220 is disposed on the frame 201 in parallel with the first guide rail 210 on one side of the first guide rail 210. The second guide rail 220 extends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guide rail 210. That is, the second guide rail 220 may have an elliptic closed curve structure including a pair of horizontal portions and a pair of swivel portions. However, Fig. 1 shows a structure having a cut-off portion 225 in one of the horizontal portions. The cut-off portion 225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guide rail 220 is engaged with one end of the stapler 100.

제3 가이드 레일(230)은 프레임(201) 상에서 제1 가이드 레일(210)의 타측에 제1 가이드 레일(210)과 나란하게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제3 가이드 레일(230)은 폐곡선이 아닌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3 가이드 레일(230)은 스테이플러(100)의 타단과 결합된다.The third guide rail 230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first guide rail 210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uide rail 210 on the frame 201. Here, the third guide rail 230 extends in a linear shape rather than a closed curve. The third guide rail 230 is engaged with the other end of the stapler 100.

도 1, 3 및 4를 참조하면, 전술한 스테이플러(100)는 철심들이 내장되고, 이 철심들을 배출하여 용지들을 스테이플링 작업하는 클램프(111)를 구비한 본체(110)를 포함한다. 또한, 스테이플러(100)는 제1 가이드 레일(210)과 결합하는 제1 결합부(101), 제2 가이드 레일(220)과 결합하는 제2 결합부(102) 및 제3 가이드 레일(230)과 결합하는 제3 결합부(103)를 포함한다.1, 3 and 4, the above-described stapler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having iron cores built therein and having a clamp 111 for discharging the iron cores to staple the sheets. The stapler 100 includes a first engaging portion 101 that engages with the first guide rail 210, a second engaging portion 102 that engages with the second guide rail 220, and a third guide rail 230, And a third engaging portion 103 which engages with the second engaging portion.

제1 결합부(101)는 본체(110)의 저면 중심 측에 구비되고, 타이밍 벨트(214)와 결합하여 타이밍 벨트(214)의 구동에 의해 제1 가이드 레일(210)을 따라 이동한다. 이 제1 결합부(101)는 타이밍 벨트(214)와 타이밍 벨트 고정부가 결합된 회전축일 수 있다.The first engaging portion 101 is provided on the cent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moves along the first guide rail 210 by driving the timing belt 214 in combination with the timing belt 214.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01 may be a rotation shaft to which the timing belt 214 and the timing belt fixing portion are coupled.

제2 결합부(102)는 본체(110)의 저면 일단에 구비되고, 제2 가이드 레일(220)과 결합하여 제2 가이드 레일(220)을 따라 이동한다. 이 제2 결합부(102)는 제2 가이드 레일(220)의 가이드 벽과 맞물려 회전하는 이동 롤러일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portion 102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moves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20 in combination with the second guide rail 220.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02 may be a moving roller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guide wall of the second guide rail 220.

제3 결합부(103)는 본체(110)의 저면 타단에 구비되고, 제3 가이드 레일(230)과 결합하여 제3 가이드 레일(230)을 따라 이동한다. 이 제3 결합부(103)는 제3 가이드 레일(230)이 축설되는 축공을 구비할 수 있다.The third coupling portion 103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10 and moves along the third guide rail 230 in combination with the third guide rail 230. The third coupling portion 103 may include a shaft hole through which the third guide rail 230 is installed.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3a 및 도 4a와 같이 배치된 스테이플러(100)는 본체(110)의 클램프(111)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므로, " - "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스테이플링 작업을 하게 된다. 다른 방향으로, 예를 들면 " / "와 같은 사선방향으로 스테이플링 작업을 하기 위해 구동 모터(300)가 구동되면, 타이밍 벨트(214)의 구동에 의해, 제1 결합부(101), 제2 결합부(102) 및 제3결합부(103)가 각각 제1 가이드 레일(210), 제2 가이드 레일(220) 및 제3 가이드 레일(23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1 결합부(101)와 제2 결합부(102)는 도 3b, 3c, 3d 및 도 4b, 4c, 4d와 같이 제1 가이드 레일(210)과 제2 가이드 레일(220)의 선회부를 따라 선회하게 되고, 제3 결합부(103)는 제3 가이드 레일(23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본체(110)가 사선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위치에서 스테이플러(100)는 사선방향으로 용지를 스테이플링 작업을 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clamps 111 of the main body 110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tapler 100 arranged as shown in Figs. 3A and 4A performs the stapling oper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ike "- ". When the driving motor 300 is driven to staple in a diagonal direction such as "/" in the other direction, by driving the timing belt 214, the first engaging portion 101, The engaging portion 102 and the third engaging portion 103 are moved along the first guide rail 210, the second guide rail 220 and the third guide rail 230, respectively. 3B, 3C, 3D and 4B, 4C and 4D, the first coupling part 101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02 ar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rail 210 and the second guide rail 220, respectively, And the third engaging portion 103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third guide rail 230 so that the main body 110 is disposed in the oblique direction. At this position, the stapler 100 can staple the paper in the oblique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제3 결합부(103)는 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103a)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체(110)는 회동축(103a)이 삽입되는 절개부(115)를 구비한다.Preferably, the third engagement portion 103 includes a pivotal shaft 103a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 The main body 110 has a cutout portion 115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103a is inserted.

여기서, 절개부(115)는 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절개된다. 따라서, 본체(110)의 일단이 제1 가이드 레일(210)과 제2 가이드 레일(220)을 따라 선회할 때, 본체(110)는 회동축(103a)을 중심으로 슬라이딩 회동하게 된다.Here, the incision part 115 is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to a predetermined length. When the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turns along the first guide rail 210 and the second guide rail 220, the main body 110 slides about the pivot 103a.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테이플러(100)의 제1 결합부(101) 및 제2 결합부(102)가 선회 운동을 할 때, 제3 결합부(103)의 회동축(103a)이 절개부(115)를 따라 슬라이딩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제3 결합부(103)가 수평 운동만을 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제1 결합부(101)와 제2 결합부(102)의 선회 운동시 제3 결합부(103)가 수평 운동을 함으로써, 스테이플러(100)의 클램프(111)는 용지 상의 수평방향 경로에서만 이동하게 되어 스테이플링 작업이 정해진 수평방향 경로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로에서 선택적으로 수평 또는 사선 형태의 스테이플링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101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02 of the stapler 100 pivot, the turning shaft 103a of the third engaging portion 103 is engaged with the cutout portion 115 So that the third engaging portion 103 can be moved only horizontally. Thus, the third engaging portion 103 moves horizontally during the pivotal movement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01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02, so that the clamp 111 of the stapler 10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paper So that the stapl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only in a predetermined horizontal path, and a horizontal or oblique stapling operation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in this path.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2 가이드 레일(220)은 제1 가이드 레일(210)과 유사한 타원형의 곡선 형상을 갖지만, 단절부(225)에 의해 수평부의 일부가 단절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단절부(225)에 의해 제2 결합부(102)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결합부(102)가 단절부(225)에 도달하는 위치가 스테이플러(100)의 스테이플링 작업 위치가 된다(도 5a 및 5f).Referring again to FIG. 1, the second guide rail 220 has an elliptical curved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guide rail 210, but has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horizontal portion is cut off by the cutout portion 225. The movement of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02 can be restricted by the cut-off portion 225. Here, the position at which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02 reaches the cut-off portion 225 becomes the stapling operation position of the stapler 100 (Figs. 5A and 5F).

추가적으로, 제2 가이드 레일(220)은 단절부(225) 바로 옆에 리미트 센서(226)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리미트 센서(226)는 제2 결합부(102)와 접촉할 때, 구동 모터(300)를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2 결합부(102)가 제2 가이드 레일(220)의 단절부(225), 즉 스테이플링 작업 위치에 도달하면 리미트 센서(226)에 의해 구동 모터(300)의 작동이 제어된다.In addition, the second guide rail 220 may include a limit sensor 226 immediately adjacent to the cut-off portion 225. The limit sensor 226 outputs a signal for stopping the drive motor 300 when the limit sensor 226 contacts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02.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300 is controlled by the limit sensor 226 when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02 reaches the cut-off portion 225 of the second guide rail 220, that is, the stapling operation position.

이하,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용 스테이플링 기구의 작동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tapling mechanism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먼저, 도 5a와 같이 스테이플러(100)는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초기 위치는 수평방향의 스테이플링 작업 위치이다. 이 위치에서, 사선방향으로 스테이플링 작업을 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 모터(300)가 작동하여 타이밍 벨트(214)가 구동되고, 이에 따라 제1 결합부(101), 제2 결합부(102) 및 제3 결합부(103)가 제1 가이드 레일(210), 제2 가이드 레일(220) 및 제3 가이드 레일(230)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한다(도 5b 참조). 이어서, 도 5c 내지 5e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결합부(101)와 제2 결합부(102)는 제1 가이드 레일(210)과 제2 가이드 레일(220)을 따라 선회하고, 제3 결합부(103)는 제3 가이드 레일(230)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결합부들(101, 102, 103)의 이동에 의해, 스테이플러(100)는 소정각도 회동하게 되고, 제2 결합부(102)가 단절부(225)의 리미트 센서(226)와 접촉하여, 구동 모터(300)가 정지된다. 그러면, 스테이플러(100)는 도 5f에 도시된 것처럼, 사선방향의 스테이플링 작업 위치에 배치된다.First, as shown in FIG. 5A, the stapler 100 is disposed at an initial position. This initial position is the stapling operation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position, when a signal for performing a stapling operation in an oblique direction is input, the driving motor 300 is operated to drive the timing belt 214, and thereby the first engaging portion 101,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02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103 move to the left along the first guide rail 210, the second guide rail 220, and the third guide rail 230 (see FIG. 5C to 5E, the first engaging portion 101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02 are pivoted along the first guide rail 210 and the second guide rail 220, The second guide rail 103 moves to the right along the third guide rail 230. The stapler 10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movement of the engaging portions 101, 102 and 103 so that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0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imit sensor 226 of the cut- The motor 300 is stopped. Then, the stapler 100 is disposed at the oblique stapling operation position, as shown in Fig. 5F.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용 스테이플링 기구는 제1,2 결합부들(101, 102)과 제3 결합부(103)가 서로 다른 이동 경로를 갖도록 구성하여, 수평방향의 스테이플링 작업 위치(도 5a의 P)와 사선방향의 스테이플링 작업 위치(도 5f의 D)가 동일한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apling mechanism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101 and 102 and the third engaging portion 103 have different moving paths, The position (P in Fig. 5A) and the oblique stapling operation position (D in Fig. 5F)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at the same position.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is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

100: 스테이플러 101: 제1 결합부
102: 제2 결합부 103: 제3 결합부
103a: 회동축 110: 본체
111: 클램프 200: 가이드부
201: 프레임 210: 제1 가이드 레일
212: 선회부 213: 선회축
214: 타이밍 벨트 220: 제2 가이드 레일
226: 리미트 센서 230: 제3 가이드 레일
300: 구동 모터
100: stapler 101: first engaging portion
102: second coupling portion 103: third coupling portion
103a: Pivot shaft 110:
111: clamp 200: guide part
201: frame 210: first guide rail
212: turning part 213: pivot shaft
214: timing belt 220: second guide rail
226: Limit sensor 230: Third guide rail
300: drive motor

Claims (6)

화상 형성 장치의 배지부에 설치되고, 배지된 용지들을 스테이플링 작업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스테이플링 기구로서,
용지의 폭을 따라 일정길이 연장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측 단부에서 소정 반경으로 연장된 선회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회부들에 각각 구비된 선회축 사이에 결합된 타이밍 벨트를 구비한 가이드부;
내장된 철심들을 이용하여 스테이플링 작업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가이드 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타이밍 벨트와 결합되는 스테이플러; 및
상기 타이밍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스테이플링 기구.
1. A stapling mechanism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is provided in an output por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erforms stapling of discharged sheets,
A guide portion having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a width of the sheet and a turning portion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radius at both side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having a timing belt coupled between pivotal shafts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pivoting portions;
A stapler operative to staple using built-in iron cores, the stapler engaged with the timing belt to move along the guide portion; And
And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timing be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선회축 및 상기 타이밍 벨트가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플러의 중심부와 결합되는 제1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 상기 제1 가이드 레일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레일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테이플러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2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타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테이플러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3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스테이플링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portion
A first guide rail having the pivot shaft and the timing belt, and coupled to a center portion of the stapler;
A second guide rail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guide rail on one side of the first guide rail and extending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guide rail and coupled with one end of the stapler; And
And a third guide rail extending horizontally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uide rail and engaging with the other end of the stapl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러는,
철심들이 내장되고, 상기 철심들을 배출하여 용지들을 스테이플링 작업하는 클램프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 중심에 구비되고, 상기 타이밍 벨트와 결합하여 상기 타이밍 벨트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결합부;
상기 본체의 저면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여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본체의 저면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3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여 상기 제3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3 결합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스테이플링 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apler includes:
A body having iron cores built therein, and a clamp for ejecting the iron cores to staple the sheets;
A first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a center of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moving along the first guide rail by driving the timing belt in association with the timing belt;
A second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moving along the second guide rail in engagement with the second guide rail; And
And a third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engaged with the third guide rail to move along the third guide rai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부는 상기 제3 가이드 레일이 축설되는 축공 및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는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절개되어, 상기 본체의 일단이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선회할 때 상기 본체는 상기 회동축을 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스테이플링 기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hird coupling portion includes a shaft hole through which the third guide rail extends, and a rotation shaft pivot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cutout portion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is inserted,
Wherein the cut portion is cut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when the one end of the main body is pivoted along the second guide rail, the main body rotates about the pivot shaft,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은 상기 본체의 상기 제2 결합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일부 영역이 단절된 형상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용 스테이플링 기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guide rail has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area is cut so as to restrict movement of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of the main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은 단절된 부분에 리미트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리미트 센서는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용 스테이플링 기구.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guide rail has a limit sensor at a disconnected portion, and the limit sensor controls the drive motor.
KR1020180018751A 2018-02-14 2018-02-14 Stapl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Expired - Fee Related KR1019928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751A KR101992826B1 (en) 2018-02-14 2018-02-14 Stapl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751A KR101992826B1 (en) 2018-02-14 2018-02-14 Stapl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826B1 true KR101992826B1 (en) 2019-06-25

Family

ID=67065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751A Expired - Fee Related KR101992826B1 (en) 2018-02-14 2018-02-14 Stapl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82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1989A (en) * 1996-12-27 1998-07-07 Canon Inc Sheet processor equipped with stapler and image former
JP4487670B2 (en) * 2004-07-22 2010-06-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Staple processing device
JP2013032208A (en) * 2011-08-02 2013-02-1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Sheet postprocessing device
US20160176671A1 (en) * 2014-12-18 2016-06-23 Lexmark International, Inc. Multiple Edge Media Stapl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1989A (en) * 1996-12-27 1998-07-07 Canon Inc Sheet processor equipped with stapler and image former
JP4487670B2 (en) * 2004-07-22 2010-06-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Staple processing device
JP2013032208A (en) * 2011-08-02 2013-02-1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Sheet postprocessing device
US20160176671A1 (en) * 2014-12-18 2016-06-23 Lexmark International, Inc. Multiple Edge Media Stapl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216492A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H06191715A (en) Sheet after-treatment device
JP2020083632A (en) Binding processing device, image formation device and image formation system
JP3554632B2 (en) Electric stapler
KR101992826B1 (en) Stapl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6886828B2 (en) Sheet finish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US6910688B2 (en) Sheet discharg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US20060128543A1 (en) Paper fol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7173717B2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JP3927717B2 (en) Paper post-processing device
JP2004168499A (en) Cutting device, and after-treatment device for image formation and image forming device with this cutting device
JP5586501B2 (en) Paper post-processing device
JP2002104712A (en) Paper processing device, paper processing system, and paper processing method
US20030016402A1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JP3834455B2 (en) Sheet post-processing device
JP4184639B2 (en) Paper processing device
JP2008024474A (en) Sheet processing device
US6698745B2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JP3653461B2 (en) Post-process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167120A (en) Paper folder
JPH05319685A (en) Paper folding device
JP3815011B2 (en) Sheet processing device
JP2002087679A (en) Paper treatment device, paper treatment system, and paper treatment method
JP6167555B2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3932048B2 (en) Paper post-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