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90535B1 - Remote elevator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Remote elevator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535B1
KR101990535B1 KR1020180128174A KR20180128174A KR101990535B1 KR 101990535 B1 KR101990535 B1 KR 101990535B1 KR 1020180128174 A KR1020180128174 A KR 1020180128174A KR 20180128174 A KR20180128174 A KR 20180128174A KR 101990535 B1 KR101990535 B1 KR 101990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pushing member
delete delete
fault
remote manag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1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옥순
신지혜
김재곤
Original Assignee
박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옥순 filed Critical 박옥순
Priority to KR1020180128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5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53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 B66B11/0266Passi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관리를 위한 승강기 제작 방법에 있어서, 승강기 이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 충격 흡수재를 갖춘 흡수 공간이 형성된 승강카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바닥을 내부 공간의 바닥 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하며, 가장자리를 볼트로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 공간을 벽체 부분을 주름지게 형성하여 충격 흡수를 할 수 있게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수 공간을 벽체 부분을 주름지게 형성하여 충격 흡수를 할 수 있게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벽체는 도장설비를 통하여 도장처리되는 것인 원격 관리를 위한 승강기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단말 등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승강기 전반의 운용을 안전하게 관리하며 승강기 자체에 탑승한 탑승객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승강기 원격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vator for remote management,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an elevating car having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n elevator user and having an absorbing space provided with a shock absorber therein; And forming a bottom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bottom portion of the inner space and fastening the bottom portion with a bolt, wherein the absorbing space is formed by corrugating the wall portion so as to absorb shock,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the absorbent space by forming a corrugated portion of the wall so as to absorb shock, wherein the wall is painted through a painting facilit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vator remote management system that can safely manage the operation of the entire elevator by using a terminal or the like and enhance the safety of a passenger boarding the elevator itself.

Figure R1020180128174
Figure R1020180128174

Description

승강기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용 승강기의 제작방법{Remote elevator management system}Elevator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remote elevator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승강기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용 승강기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 등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승강기 전반의 운용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 및 이러한 관리 시스템에 최적화되며 승강기 자체에 탑승한 탑승객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승강기의 제작을 위한 승강기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용 승강기의 제작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vator for remote manag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nagement system for securely managing the operation of the entire elevator by using a terminal or the like and an eleva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vator for remote management for making an elevator capable of enhancing safety of passengers aboard the elevator.

종래의 승강기 시스템(도 1 참조)은 승강기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승강기의 시스템 사양, 서비스 툴과 서비스 매뉴얼, 사용한 자재, 고장 수리 기술, 시스템에 대한 정확한 이해, 운행 및 고장이력 및 수리 정보, 외부의 도움 등의 다양한 부분이 필요하다. 또한 승강기 제어반은 승강기 운행을 총괄 관리하는 인간의 뇌와 같은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해당하므로 관계자 외에는 접근 불가하도록 관리가 필요한 부분이다. 그런데, 종래의 서비스 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서비스 툴(108)은 서비스 보안을 위하여 서비스 메뉴를 승강기 제어반 주PCB(100)의 운용프로그램 메모리나(102) 특정 부위에 프로그램하여 서비스 툴(108)을 직렬 또는 병렬 포터에(107) 연결하여 표시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비스 툴(108)의 메뉴를 바꾸고 싶으면 설치된 전체 승강기를 모두 프로그램 업그레이드를 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비용이나 시간 때문에 거의 변경 불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이러한 서비스 툴(108)은, 보안상의 문제로 운용프로그램 업그레이드 또는 단순 프로그램 다운로드를 인증되어 있는 서비스 요원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버그에 의해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법규 변경에 의한 프로그램 기능 업그레이드 등 프로그램 변경 시에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The conventional elevator system (see FIG. 1) requires elevator system specifications, service tools and service manuals, used materials, trouble shooting techniques,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system, operation and breakdown history, and repair Information, external help, and so on. Also, since the elevator control panel is an important part of the human brain that manages the elevator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elevator control in such a way that it can not be accessed except for the persons concerned. 3, the conventional service tool 108 programs a service menu in a specific area of the operation program memory 102 of the elevator control panel main PCB 100 for service security, If you want to change the menu of the service tool 108 by connecting the tool 108 to the serial or parallel port 107 and making it displayable, you have to program upgrade all the installed elevators, so that it is hardly changeable due to cost or time.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ervice tool 108 is only capable of service personnel who are authorized to upgrade the operation program or download the simple program due to a security problem. Therefore, the program tool can be upgraded by the program bug, It also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to change it.

또한 종래의 이러한 서비스 툴은(108), 해당 제품에 맞게 별도의 서비스 툴을(108)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비용과 서비스 툴을 업그레이드를 필요시 하드웨어의 환경 때문에 변경 불가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종래의 이러한 서비스 툴(108)을이용한 서비스는, 승강기 운행 중 고장 발생 시에 서비스 요원의 기술 능력, 서비스 매뉴얼 보유 여부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고장 수리 가능여부와 고장 처리 시간이 결정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고객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고장 수리 시에 부품 교체가 필요한 고장 발생 시에는 서비스 자재센터에 연락하여 승강기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알려 주어야 하고, 서비스 자재센터 자재담당자는 해당 부품을 찾기 위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고장 수리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승강기 관리 시스템 자체에 대한 연구 개선에 치중되어 정작 승강기 자체 자체에 대해서는 등한시되어 안전하고 효과적인 승강기의 운용이 미흡하며, 이러한 운용을 위한 승강기를 제작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service tool 108 needs to create a separate service tool 108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it is often impossible to change the cost and the service tool due to the hardware environment when the upgrade is required. In addition, since the service using the service tool 108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ervice can be repaired according to various variables such as the technical ability of the service personnel and the service manual, when the trouble occurs during the elevator operation, In case of a trouble that causes many inconveniences to the customer, and if the parts need to be replaced at the time of repairs, contact the Service Material Center to inform them of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elevator, and the service material center staff Because it takes time, it takes a long time to repair the trouble. However, most of all, the improvement of research on the elevator management system itself is focused on, so that the elevator itself is neglected and the safe and effective operation of the elevator is insufficient and it is not easy to construct an elevator for such operation.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7225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72253

본 발명은, 단말 등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승강기 전반의 운용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 및 이러한 관리 시스템에 최적화되며 승강기 자체에 탑승한 탑승객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승강기의 제작을 위한 승강기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용 승강기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agement system for securely managing operation of an entire elevator by using a terminal or the like, and an elevator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making an elevator optimized for such a management system and capable of enhancing the safety of a passenger boarded on the elevator itself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vator for remote management.

본 발명은, 원격 관리를 위한 승강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기의 운행관리를 총괄하는 상기 제어반; 상기 제어반 및 상기 관리센터의 각종 서버에 대한 접근 인증을 하는 통신 서버와, 상기 제어반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고장 운행이력을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며 승강기 고장시 상기 휴대용단말의 고장 진단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기에 대한 고장진단을 수행하는 고장 진단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기는 승강기이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이 내부 공간의 바닥 하부에는 내부에 충격 흡수재를 갖춘 흡수 공간이 형성된 승강카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은 내부 공간의 바닥 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바닥이 흡수 공간 안으로 변형되면서 1차 충격을 흡수한 다음, 충격 흡수재를 통해 2차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는 원격 관리를 위한 승강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vator management system for remote management, the elevator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control panel that supervises operation management of an elevator; A communication server for authenticating access to various servers of the control center and the management center,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and storing various fault history data stored in the control panel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storing the faults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 fault diagnosis request signal The elevator includes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a user of the elevator, and an absorption space having a shock absorber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ternal space. And an elevator car for remote management in which the floor is formed to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floor area of the inner space and the floor is absorbed into the absorption space to absorb the first shock and then the second shock is absorbed through the shock absorber System.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원격 관리를 위한 승강기 제작 방법에 있어서, 승강기 이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 충격 흡수재를 갖춘 흡수 공간이 형성된 승강카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바닥을 내부 공간의 바닥 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하며, 가장자리를 볼트로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 공간(120)을 벽체(122) 부분을 주름지게 형성하여 충격 흡수를 할 수 있게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수 공간(120)을 벽체(122) 부분을 주름지게 형성하여 충격 흡수를 할 수 있게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벽체는 도장설비를 통하여 도장처리되는 것인 원격 관리를 위한 승강기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vator for remote management,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n elevator car having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n elevator user, the elevator car having an absorbing space therein; (120) is formed by corrugating the wall (122) portion so that shock absorption can be achieved. [7]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to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floor area of the inner spa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the absorbing space (120) by forming a portion of the wall body (122) in a corrugated shape so as to absorb shock, wherein the wall is painted through a painting equipment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elevators for remote management.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 등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승강기 전반의 운용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 및 이러한 관리 시스템에 최적화되며 승강기 자체에 탑승한 탑승객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승강기의 제작을 위한 승강기 원격 관리 시스템 및 원격 관리용 승강기의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nagement system for securely managing operation of an entire elevator using a terminal or the like, and an elevator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making an elevator optimized for such a management system and capable of enhancing the safety of a passenger boarded on the elevator itself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vator for remote management.

도 1은 승강기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주 제어반의 주 PCB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서비스 툴 연결 접속 방법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폰을이용한 승강기 원격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5는 종래의 서비스 툴의 메뉴를 예시한 개요도도 6은 본 발명의 휴대폰 승강기 관리용 앱 프로그램 메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주 PCB와 원격관리센터 서버 접근 인증 업무를 예시한 업무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승강기 관리용 앱 프로그램에서 프로그램 메뉴 선택 시에 대한 업무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9a와 9b는 본 발명의 승강기 관리용 앱 프로그램에서 사양 변경 메뉴 선택 시에 대한 업무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승강기 관리용 앱 프로그램에서 데이터 전송 메뉴 선택 시에 대한 업무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11a와 11b는 본 발명의 승강기 관리용 앱 프로그램에서 자재관리 메뉴 선택 시에 대한 업무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12a와 12b는 본 발명의 승강기 관리용 앱 프로그램에서 고장진단 메뉴 선택 시에 대한 업무 흐름도이다.
도 13은 주 PCB와 휴대폰 사이 무선 데이터 통신하는 휴대폰을이용한 승강기 원격관리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승강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승강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승강카의 바닥이 변형되는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승강카의 바닥을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주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승강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승강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설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따른 도장설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에 따른 도장설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에 따른 도장설비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0에 따른 도장설비의 진공실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설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system.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ain PCB of the main control panel.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service tool connection connection method.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remote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enu of a conventional service tool;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program menu for managing the mobile phon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ccess authentication between a main PCB and a remote management center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ask for selecting a program menu in the elevator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tasks for selecting a specification change menu in an elevator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ask of selecting a data transmission menu in an elevator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A and 11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task for selecting a material management menu in an elevator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A and 12B are workflow diagrams for selecting a fault diagnosis menu in an elevator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block diagram of an elevator remote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phone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main PCB and a mobile phone.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levator car construction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lifting / lowering car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floor of the elevator car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or of the elevator car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1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lifting / lowering car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lifting / lowering car of an elevato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in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ainting equipment according to Fig. 20; Fig.
Fig. 22 is a plan view showing the painting equipment according to Fig. 20; Fig.
2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painting equipment according to Fig.
24 is a view showing a vacuum chamber structure of the painting equipment according to FIG.
25 to 27 are views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pain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승강기 원격 관리 시스템>
도 1은 승강기 시스템 전체 구성에 대한 실례이다. 승강기는 운행이동 경로인 승강로(10)로 엘리베이터 카(62)가 상하 수직으로이동하여 승객을 목적 층으로이동 시킨다. 승강로(10) 내에는 주 제어반(21)과 권상기(22)가 있는 기계실과(20), 승강장에서 목적 층으로이동 하기 위해 승강기를 호출하고이동하는 승강기의 현재의 위치를 알려 주기 위해 각 층마다 설치되는 층 표시기및 호출버턴(31~54)과, 목적 층으로이동하기 위해 타고 다니는 승강기 카(62)와, 목적 층에 도착해서 승객이 타고 내릴 수 있도록 도어를 여 닫힘을 행하는 도어개폐장치(61)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상술에서 기술된 기계실(20) 내에 설치되는 주 제어반(21)의 주 PCB 내부 구성의 실례이다. 주 PCB는(100)에는 권상기(22) 구동, 카 및 홀 부름 입력 처리, 각종 입출력 처리, 운행 알고리즘 등이 저장되어 있는 운용 프로그램 메모리(102)와 서비스 층, 모터 용량, 정격 용량, 파킹 층, 비상운전 유무 등과 같은 건물 환경및 승강기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시스템 사양 메모리(103)와, 승강기는 운행 중에 사소한 고장부터 중대고장까지 시시때때로 발생하기 때문에 발생한 시각, 내용 등 고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해 두었다가 고장처리시 저장되어 있는 고장이력을 확인하여 고장 수리를 행한다.이러한 고장이력을 저장하여 두는 고장 데이터메 모리(104)와, 승강기는 상하로이동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운행거리 즉이동거리를 연산할 수 있으며, 또한 부름에의해서 움직이기 때문에 기동 횟수를 연산할 수 있고, 승객이 타고 내려야 하기 때문에 카도어 및 홀 도어의 개폐 횟수, 각 층별 부름 횟수 등 다양한 운행이력이 연산할 수 있다.
이러한 연산된 운행이 력을 저장하여 두는 운행이력데이터 메모리(105)와, 주 PCB(100)의 CPU는(101) 각종 입력, 운용프로그램, 사양 데이터를 가지고 각종 출력 및 모터 구동 등을 행하여 승강기 운행을 실시한다. 이러한 승강기의 각종 입력과 출력을 처리하여 저장하여 두는 각종 입출력 데이터 메모리(106)와, 서비스 요원들이 서비스를 하기 위한 휴대하고 다니는 서비스 툴(108)이나 휴대폰(140)을 연결하여 주 PCB의 각종 내용 확인 및 여러 가지 작업을 행할수 있도록 하는 직렬 또는 병렬 포터(107)로 구성되어 있다. 도 3과 도 5는 종래의 서비스 툴의 연결 및 메뉴에 대한 실례이다. 도 3은 서비스 툴이(108)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사용하는 실례이며, 도 5는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서비스 툴(108)의 메뉴에 대한 실례이다. 도 3과 5에서 도시된 종래의 방식은 서비스 요원이 서비스 툴을(108) 항상 휴대하고 다니면서 고장 발생 시에 서비스 툴을(108) 주 PCB(100)의 직렬 또는 병력 포트(107)에 연결하여 고장 데이터를 확인하고 각 모델별로 서비스 매뉴얼을 가지고 고장 수리를 행한다. 또한 서비스 층 변경, 추가 기능 업그레이드 등 건물 및 승강기 시스템 환경이 바뀔 경우 사양변경(181) 메뉴에 들어가서 서비스 요원이 매뉴얼을 보고 설계 데이터로 변환하여 시스템 사양 데이터 메모리(103)의 데이터를 변경한다.
또한, 사양 변경 및 고장과 상관없이 승강기 점검을 위한 것일 경우 운행정보(182) 메뉴에 들어가서 각종 입출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을 하는 서비스 요원이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메뉴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폰을이용한 승강기 원격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의 실시 예이다. 제어반 주 PCB(100)의 직렬 또는 병렬 포터(107)에 휴대폰을(140) 연결하며, 휴대폰은 제어반에 연결됨과 동시에 통신망 등을 통하여 원격지 원격관리센터와 연결된다. 한편 원격관리센터의 시스템은 각 휴대폰과 통신 접속을 하는 원격관리센 터의(150) 통신 서버와(160), 각 로컬에 설치되어 있는 주 제어반의(21) 주 PCB(100) 모델 별 기본 프로그램, 기능 업그레이드 프로그램, 기본 프로그램 버그에의한 버그 개선 프로그램 등 승강기 운용에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해 두고 있는 운용프로그램 서버와(170), 승강기 고장 내용 및 수리이력 저장, 운행이력 저장, 고장 발생 시에 서비스 요원이 원격관리센터를(150) 접속하여 고장진단을 요청하면 자동으로 고장 진단하는 로직을 저장해 두는 고장 및 운행이력, 고장 진단 서버와(171), 건물 환경 정보, 승강기의 설계 정보 등 승강기 시스템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해 두는 승강기 시스템 정보 서버와(172), 로컬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기 시스템에 관한 자재 정보와 현장에서 자재 재고 확인, 발주, 출하 요청, 납기, 단가 등 다양한 자재 정보를 저장해 두고 있는 자재관리 서버(173)로 구성되는 실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폰을이용한 승강기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승강기 유지보수용 휴대폰에서(140) 사용하는 승강기 관리용 앱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실행시 앱 초기화면(200)의 실례이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승강기 유지보수용 휴대폰은, 로컬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기 주 제어반의(21) 제작번호·주 PCB의 로트 넘버·승 강기 관리번호·휴대폰 전화번호 등의 유니크한 정보를이용하여 휴대폰으로(140) 해당 제어반의(21) 주 PCB(100) 및 원격관리센터 접근 승인을 받는 인증 메뉴와(201), 현장 프로그램 기본 프로그램·버그 개선 프로그램·기능 업그레이드 프로그램 등 주 PCB의 프로그램 다운로드가 필요할 경우 원격관리센터(150)의 운용프로그램 서버에(170) 접속하여 주 PCB(100)의 운용프로그램 메모리 프로그램 업데이트 하는 프로그램 메뉴와(202), 서비스 층 변경, 파킹 층 변경 등 건물 측 환경 및 승강기 시스템 환경 변경 발생 시에 원격관리센터(150)의 승강기 시스템 정보 서버(172)에 접속하여 현재의 승강기 설계 및 건물 환경 정보를 확인하고 변경된 부분을 수정 저장하고 해당 내용을 다운로드를 받아서 주 PCB의(100) 시스템 사양 메모리(103) 데이터 중에서 해당 내용을 업데이트 하는 사양변경 메뉴와(203), 승강기는 상하로이동하기 때문에 운행거리가 연산되고, 도어 열림 닫힘에의해 도어 여닫힘 횟수·카 및 홀 부름 횟수·기동 횟수·가동시간 등 승강기의 운행이력 및 운행 중 발생 하는 각종 고장에 대한이력들이 주 PCB(100)의 고장이력 데이터 메모리(104)와 운행이력 데이터 메모리(105)의 데이터 및이력 관리가 필요한 사전에 정의된 데이터를 원격관리센터(150)의 고장 및 운행이력 고장진단 서버로(171) 전송하는 데이터전송 메뉴와(204), 승강기 운행도중 고장 발생하여 서비스 요원이 고장 수리 중에 부품교체가 필요하거나 부품이 노후화되어 교체하여야 할 경우 현장에서 서비스 요원이 원격관리센터(150)의 자재관리 서버(173)에 접속하여 해당 호기의 부품 리스트를 업로드하여 교체해야할 부품의 규격을 확인 후 재고 여부, 단가, 납기 등을 확인하고 부품 청구까지 할 수 있는 자재관리 메뉴와(205), 승강기가 고장 발생하였을때 서비스 요원이 고장 수리가 가능한 경우와 가능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하는데, 본인의 능력으로는 고장수리가 불가능한 경우 서비스 요원이 해당 고장 내용을 클릭, 원격관리센터의(150) 고장진단 서버(171)에 접속하면 고장진단 서버는 해당 고장의 고장진단 로직에의해 고장 원인을 찾아내어 휴대폰으로(140) 재전송하므로 서비스 요원이 그 내용을 확인하고 고장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고장진단 로직에서도 고장의 원인을 찾지 못할 경우에는 원격관리센터의(150) 고장진단 서버(171)에 직접 연결되어 유사고장을 검색하여 고장 수리를 행할 수 있게 하는 고장진단 메뉴(206)를 포함하는 휴대폰의 승강기 관리용의 앱 프로그램을 탑재한다. 도 7은 주 제어반의(21) 주 PCB(100) 및 원격관리센터의 각 서버 접근을 허락 인증을 받는 업무 흐름도의 실례이다. 먼저 휴대폰을(140) 주 PCB에(100) 접속하고(제301단계) 휴대폰의(140) 승강기 관리용 앱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제302단계) 앱 초기화면(200)에 각종 기능수행을 위한 메뉴들이 표시되고 그 중에서 인증 메뉴를 클릭하 면(제303단계) 휴대폰은 원격관리센터의(150) 통신서버(160)와 접속을 시도한다. 통신서버와(160) 접속되면(제305단계) 제품 제작번호, 주 PCB(100) 생산 로트 번호, 관리번호, 휴대폰 전화번호 등 유니크한 정보가 관리하고 있는 승강기의 것과 맞는지, 자사에서 생산한 것이 맞는지 또한 언제생산한 것인지, 휴대폰 전화번호가 우리 직원인지 등을 확인하여 주 PCB(100) 및 원격관리센터의(150)의 각종 서버(170~173) 접속 승인을 하여 주면 (제306단계) 승강기 관리용 메뉴가 표시되며, 승강기 관리용 메뉴에서 필요한 메뉴를 선택하여 필요한 업무를 수행하면 된다(제307단계, 제309~313단계). 만약에 통신서버 접속이 실패하면 재접속을 시도한다(제305단계).
통신서버에(160) 접속이 되더라도 승인이 실패하면 승강기 관리용 메뉴도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나머지 업무를 수행할 수 없다. 도 8은 주 PCB(100) 및 원격관리센터의 각종 서버 접근 인증을 받은 후 승강기 관리용 앱 초기화면(200)에서 프로그램 메뉴를 선택하였을 때 업무 흐름도이다. 원격관리센터로부터 인증을 받고 프로그램 메뉴를 클릭하면(제351단계) 동일 버전 다운로드(제352단계), 프로그램 버그 발생하여 버그를 제거한 버그 업그레이드(제353단계), 기능 업그레이드(제354단계) 메뉴가 나타나면 그중 필요한 메뉴를 선택하고(제352~354단계) 다운로드를 클릭하면 원격관리센터의(150) 운용프로그램서버(170)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를 받아서 주 PCB(100)의 운용프로그램 메모리에(102) 업데이트를 한다(제355단계, 제356단계). 다운로드에의한 업데이터가 완료되면 승강기 정상적인 운행 동작을 확인하여 정상이면(제358단계) 메뉴를 종료한다(제359단계). 만약 비정상 동작이면 프로그램 선택부터 운행확인까지 재차 실시한다(제352~358 단계).
도 9-1 및 9-2는 건물 및 승강기 시스템 환경이 변경되어 사양을 변경하여야 할 경우 사양변경 업무 흐름도이다. 원격관리센터로부터 주 PCB(100) 및 원격관리센터(150)의 각종 서버(170~173) 접근 인증절차를 완료하고, 승강기 관리용 앱 프로그램의 초기메뉴에 프로그램(202), 사양변경(203), 데이터전송(204), 자재관리(205), 고장진 단(206) 메뉴가 나타나면 건물 및 승강기 시스템의 환경이 변화되어 시스템 사양이 변경을 하여야 할 경우 사양 변경(203) 메뉴를 선택한다(제401단계). 현재 사양을 변경하고자 하는 주 제어반의(21) 주 PCB(100)가 어떤 현장이고 어느 호기인지를 알릴 수 있는 제어반 관리번호, 제작번호 등과 같은 유니크한 정보을 입력하여 원격관 리센터의(150) 승강기 시스템정보 서버로(172) 전송하면(제402단계) 승강기 시스템정보 서버는 전송되어 온 정보에 해당 호기의 사양 데이터를 휴대폰으로 반환한다(제403단계). 반환받은 호기의 승강기 사양 데이터 중 변경하고자 하는 사양 데이터를 확인하고(제404단계) 사양변경을 하여(제405단계) 사양 변경 데이터를 원격관리센 터의(150) 승강기 시스템 정보 서버로(172) 전송하고(제406단계) 승강기 시스템정보 서버는 전송받은 사양 변경 데이터를 승강기 시스템 정보 서버에(172) 저장하고(제408단계) 변경 사양 정보를 설계 데이터로 변환하여 그설계 데이터를 다시 승강기 시스템 정보 서버의(172) 설계 정보 메모리에 저장하고(제408단계) 변환된 설계 데이터를 다시 휴대폰으로 전송하면(140) 휴대폰은 다시 주 PCB(100)의 시스템 사양 메모리의(103) 해당 데이터를 업데이터 한다(제409단계, 제410단계).
사양 데이터가 업데이터가 되면 정상적으로 업데이터가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승강기 운행시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여 정상적인 동작이면 메뉴를 종료한다(제411단계~제413 단계). 도 10은 주 제어반의(100) 주 PCB에 저장되어 있는 고장 및 운행 등과 같은 각종이력을 원격관리센터로 전송·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효율적인 승강기 관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이력 데이터 전송 업무흐름도이다. 승강기 관리용 앱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원격관리센터의 통신 서버로부터 주 PCB(100) 및 원격관리센터(150)의 각종 서버(170~173) 접근 인증을 완료하면, 앱 초기 메뉴에서 프로그램(202), 사양변경(203), 데이터전송(204), 자재관리(205), 고장진단(206) 메뉴가 나타나며, 고장 및 운행이력 데이터 등을 원격관리센터로(150) 전송을 해야 할 경우 데이터 메뉴를 선택한다(제451단계). 데이터(204) 메뉴를 선택한 후 전송하는 데이터의 호기 정보를 알려 줄 수 있는 유니크한 데이터를 입력하고(제452단계)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면(제453단계) 고장 및 운행이력, 기타 지정해 놓은 데이터를 원격관리센터의(150)의 고장 및 운행이력 고장진단서버(171)로 전송한다(제454단계).
보내 준 해당 호기 고장 및 운행이력, 기타이력 정보를 원격관리센터의(150) 고장 및 운행이력을 고장진단 서버(171)의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호기에 대응되도록 저장한다(제455단계). 정상적으로 수신 및 저장이 되면 완료한다(제456단계). 도 11-1과 도 11-2는 승강기가 고장 발생 시에 서비스 요원이 승강기 시스템 점검을 하고 있는 현장에서 자재 재고 확인부터 발주, 출하 요청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행하는 자재관리 업무 흐름도이다. 원격관리센터로부터 주 PCB(100) 및 원격관리센터(150)의 각종 서버(170~173) 접근 승인을 득하면 승강기 관리용 앱 메뉴가 프로그램(202), 사양변경(203), 데이터전송(204), 자재관리(205), 고장진단(206) 메뉴가 나타나고 고장 수리 중에 부품 교체에의한 고장 수리가 발생하여 자재를 구하여야 할 경우 자재관리 메뉴(204) 선택한다. 고장이 발생하여 고장 수리를 하고 있는 중에(제501단계) 부품을 교체해야 만 되는 고장 발생하여(제502단계) 자재관리 메뉴를 선택하고(제503단계) 제작번호, 관리번호 등 고장 수리하고 있는 호기를 인식시키기 위한 유니크한 정보를 입력하며(제505단계), 교체해야 할 부품의 부품 명·규격·도면번호 등 검색 가능한 키값을 입력하여(제506단계) 원격관리센터의(150) 자재관리 서버(173) 전송하면 자재관리 서버는(173) 로컬에서 요청한 해당 부품을 검색하여 휴대폰으로(140) 재전송한다(제507단계). 전송된 자재리스트에 찾고자 하는 부품이 있는지 확인하고(제508단계) 있으면 재고가 있는지 확인한다(제509단계) 있으면 자재발주 및 배송 요청한다 (제501단계). 부품이 현장에 도착하면 부품을 교체하여 고장수리를 완료하고(제511단계) 원격관리센터에 고장수리 완료 보고를 하고 업무를 종료한다(제512단계). 만약에 전송되어 온 자재리스트에 찾고자하는 자재가 없으면 다른 키 값으로 다시 원격관리센터의(150) 자재관리서버에(173) 재전송하여 교체부품을 재검색한다(제508단계).
전송되어 온 자재리스트에 찾고자 하는 부품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자재재고가 없으면 우선 자재를 발주 요청하고 자재 납기 확인 후 고객에게 상황설명을 하며(제513단계, 제514단계) 원격관리센터에(150) 고장수리 완료 보고를 하여 고장 수리를 종료한다(제512단계). 도 12-1과 도 12-2는 승강기 고장 발생 시에 해당 고장에 대한 원격관리센터의(150) 고장진단서버(171)에 접속하여 고장 진단을 하는 고장진단 업무 흐름도이다. 원격관리센터로부터 제어반 및 원격관리센터(150)의 각종 서버(170~173) 접근 인증을 완료하면 승강기 관리용 앱 초기메뉴에는 프로그램(202), 사양변경(203), 데이터전송 (204), 자재관리(205), 고장진단(206) 메뉴가 나타난다. 서비스 요원이 승강기 시스템 현장에서 고장 수리 중, 그 고장이 자체 해결하기 힘든 고장이어서 원격관리센터(150) 고장진단 서버(171)의 도움을 받아야 할 경우, 서비스 요원은 앱 초기메뉴에서 고장진단 메뉴를(206) 선택한다(제561단계, 제562단계, 제563단계). 또한, 서비스 요원은 고장진단 서버에 접속하여 원격관리센터(150) 고장진단 서버의 고장진단 자동로직에의해 고장을 진단할 것인지 수동으로 진단할 것인가를 선택한다(제555단계). 고장진단 자동로직을이용할 경우에는, 고장 내용을 선택하고(제556단계), 자동 고장 진단 메뉴(241) 선택하여 진단요청을 행하면(제557단계) 원격관리센터의(150) 고장진단 서버가(171) 접속되며, 고장진단 서버는 현장에서 전송되어 온 고장 내용에 대응하여 기 저장되어 있는 고장진단 로직을 가동하여 고장진단을 시작하고 그 결과가 나오면(제559단계, 제563단계) 휴대폰으로 전송하고 (제563단계) 제시된 예상 고장 부위 및 해결방법을 가지고 고장수리를 행한다(제566단계). 고장 수리가 완료되면 원격관리센터에(150) 고장 수리보고를 완료하고 고장수리를 종료한다.
만약에 자동 고장 진단로직에의해 고장수리가 불가한 경우 또는 처음부터 수동으로 고장진단을 하고 싶은 경우에는(제556단계) 수동고장진단 메뉴를 (242) 선택하고 유사 고장 내용 검색을 위한 검색 키 값을 입력하고 원격관리센터의(150) 고장진단서버에(171) 전송한다(제561단계). 고장진단 서버는 전송되어 온 고장 검색 키 값을 가지고 대응하는 고장을 검색하며 검색 결과인 고장 내용 및 수리이력 등을 휴대폰으로(140) 재전송하여 준다(제562단계). 서비스 요원은 전송되어 온고장 내용 및 수리이력 중에서 유사한 것이 있는지 확인하고 있으면(제564단계) 해당 내용의 과거의 고장 수리이력 참조하여 고장 수리를 행한다(제565단계, 제566단계). 만약에 유사한 고장 내용이 없으면(제564단계) 다시 고장 검색 키 값을 재입력하여 고장 검색하여 고장 수리를 행하고 고장 수리 내용을 원격관리센터에 보고한다 (제567단계). 도 14는 주 PCB와(100) 휴대폰(140) 사이에 무선으로 접속되는 주 PCB와 휴대폰 사이 무선 데이터 통신 구성도이다. 서비스 요원이 도 1의 승강기 시스템 구성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20) 및 승강기 카 상부, 피트, 승강장에 있으면서 주 PCB에 무선 접속되어서 주 PCB의 각종 데이터를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어반 주 PCB와(100) 휴대폰이 유선으로 연결 접속되어 사용 시에 유선으로 인한 불편이 있을 수 있으나, 본 실시예는 블루 투스·적외선 통신·기타 여러 가지 무선 방법으로 접속하여 그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승강기 유지보수용 휴대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휴대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를 대신하여 승강기 유지보수용 앱 프로그램을 탑재한 스마트폰, 랩탑, PDA 중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기가 상기 유지보수용 휴대폰을 대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격 관리 시스템에의하여 운용되는 승강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는, 도 14 내지 도 16과 같이, 승강기이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내부 공간(2110)과이 내부 공간(2110)의 바닥(2111) 하부에 형성한 흡수 공간(2120)으로이루어진 승강 카(2100)를 포함한다. 특히, 일 실시예은 승강카(2100)가 자유 낙하와 같이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이 바닥(2111)이 1차로 충격을 흡수하고, 동시에 상기 흡수 공간(2120)에 설치한 충격 흡수재(2121)를 통해 2차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승강기이용자가 발을 딛고 있는 부분을 통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강카(2100)는 건축물 등에서 상하로 움직이며 화물과 사람을 운송하는 승강기의 일부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 14 내지 도 16과 같이 인명용으로 제작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승강카(2100)는 승강기이용자가 타거나 내릴 수 있는 내부 공간(2110)과, 내부 공간(2110)의 바닥(2111) 하부에 형성한 흡수 공간(2120)을 포함한다. 내부 공간(2110)은, 도 14 내지 도 16과 같이, 실질적으로 승강기이용자가 타고 내릴 수 있는 수용 공간으로, 승강기의 규모에 따라 그 내부 면적의 크기가 결정된다.
상기 내부 공간(2110)은 승강카(2100)가 자유 낙하하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승강기이용자가 딛고 있는 바닥(2111)이 바깥쪽(2도면의 아래쪽)으로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바닥(2111)은, 도 15와 같이, 그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승강카(2100)에 고정한 프레임(2100')에 용접 (2W)한다. 이때, 용접(2W)은 가장자리 전체를 하거나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하거나 스폿 용접과 같이 점 용접 방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용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용접(2W)은 내부 공간(2110)에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인원의 중량에는 충분히 견딜 수 있으나, 승강카(2100)가 추락하였을 때 생긴 힘으로 파단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용접(2W)을 파단시키는 힘은 승강카(2100)가 추락하다가 안전 브레이크가 작동함에 따라 멈추는 힘이나, 승강카(2100)를 강제로 멈추게 하는 완충기의 힘, 승강카(2100)가 승강로 바닥에 충돌하였을 때 받는 힘, 또는이런 힘들 복합적으로 받는 힘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2111)은 내부 공간(2110)의 바닥 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용접(2W) 부분이 파단되면 바닥(2111)이 변형을 일으키게 되는 데, 이때 바닥(2111) 테두리와 내부 공간(2110) 사이에 약간의 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두어이 바닥(2111)이 쉽게 변형을 일으키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하여 충격 흡수 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이처럼이루어진 내부 공간(2110)은 도 15와 같이 정상 상태에서는 승강기이용자가 바닥(2111) 위에 발을 딛고 서더라도이를 충분히 지지하고, 도 3과 같이 승강카(2100)의 추락 사고가 발생하면 용접(2W) 부분의 파단과 더불어 바닥(2111)이 변형을 일으키면서 승강기이용자와 가장 근접한 곳에서 1차로 충격 흡수가이루어지게 한다. 흡수 공간(2120)은, 도 14 내지 도 16과 같이, 상술한 바닥(2111)의 하부에 오도록 승강카(2100)에 형성한다. 특히, 이 흡수 공간(2120)에는 내부에 충격 흡수재(2121)를 구성함으로써, 도 3과 같이 바닥(2111)이 파단과 변형을 통해 1차로 충격 흡수한 상태에서 다시이 충격 흡수재(2121)를 통해 2차로 충격 흡수가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한다. 충격 흡수재(2121)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기술로이루어진 충격 흡수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재(2121)는 상기 흡수 공간(2120) 내부 전체를 채울 수 있게 형성할 수도 있고, 도 15와 같이 바닥(2111)과 소정의 간격만큼 공간을 두어이 바닥(2111)이 쉽게 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이루어진 흡수 공간(2120)은, 도 3과 같이 1차로 충격 흡수하여 파단과 변형된 바닥(2111)이 변형할 수 있은 공간을 제공하고, 특히 변형된 바닥(2111)이 충격 흡수재(2121) 위에서 완충 작용을 통해 2차로 충격을 흡수 함과 동시에 바닥(2111)이 더이상 밑으로 빠지거나 승강기이용자가 밑으로 빠지지 않게 하는 작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승강기이용자가 받을 딛고 서 있는 바닥의 파단과 변형을 통해 1차로 충격을 흡수한 다음, 충격 흡수재를 통해 2차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승강카 자체를 통해 승강기이용자에게 직접 전해질 수 있는 충격을 승강기이용자가 발을 딛고 있는 바닥을 통해 바로 흡수할 수 있어 안전효과를 높일 수 있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는, 도 17와 같이, 상술한 일 실시예과 같은 구성이나 바닥(2111)을 고정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는 그 고정 방식에 관해서만 설명하고, 일 실시예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는, 도 17와 같이, 승강카(2100)에 장착한 프레임(2100')에 바닥(2111)을 고정할 때, 볼트(2112)를이용 하여 고정한다. 볼트(2112)는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바닥(2111)의 테두리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볼트(2112)는 같은 간격으로 바닥(2111) 테두리와 프레임(2100')을 체결하여 고정하고, 특히 바닥(2111)을 변형시킬 힘이 가해졌을 때 전단력을 받아 파단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는, 도 18와 같이, 상술한 일 실시예과 같은 구성에서 흡수 공간(2120)을 구성하는 벽체(2122)를 주름지게 구성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는 벽체(2122)에 관해서만 설명하고, 일 실시예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예은, 도 18와 같이, 충격 흡수재(2121)를 갖춘 흡수 공간(2120)을 구성하는 벽체(2122)를 주름지게 구성한 것이다. 이는 흡수 공간(2120)이 승강로 바닥과 부딪치거나 완충기 등이 흡수 공간(2120) 바닥과 충돌하여 외부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이 벽체(2122)가 주름지게 눌리면서 변형되어 충격 흡수를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또 다른 실시예은 바닥(2111)의 파단과 변형, 충격흡수재(2121)를 통한 충격 흡수, 그리고 벽체(2122)의 변형을 통해 충격 흡수량을 늘려 안전기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는, 도 19과 같이, 상술한 또 다른 실시예과 같은 구성에서 손잡이(2130)를 더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는 손잡이(2130)에 관해서만 설명하고, 또 다른 실시예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9과 같이, 승강기이용자가 탑승하는 내부 공간(2110)에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2130)를 더 구성한 것이다. 특히, 손잡이(2130)는 늘어나면서 충격 흡수 기능을 할 수 있는 스트링을이용함으로써, 승강기이용자가 손잡이(2130)를 잡은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이 스트링이 늘어나면서 충격 흡수 효과를 추가로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원격 관리용 승강기의 제작방법>
원격 관리를 위한 승강기 제작 방법에 있어서, 승강기 이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 충격 흡수재를 갖춘 흡수 공간이 형성된 승강카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바닥을 내부 공간의 바닥 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하며, 가장자리를 볼트로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흡수 공간(120)을 벽체(122) 부분을 주름지게 형성하여 충격 흡수를 할 수 있게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수 공간(120)을 벽체(122) 부분을 주름지게 형성하여 충격 흡수를 할 수 있게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카의 벽체, 기타 필요 구성부는 도장설비를 통하여 도장처리 된다.
상기 도장설비를 이용한 도장처리장치와 그 운용방법 등에 대해서 설명하면, 부식방지를 위해 열전사가 가능한 소재의 표면에 분체도장 및 전착도장처리를 하는 도장공정과, 상기 공정을 거친 소재의 표면에 각종 무늬가 인쇄된 열전사지를 진공압으로 압착시키는 압착공정과, 상기 공정에 의해 열전사지가 압착된 소재의 도장막에 열에 의해 승화되어 전사되는 전사공정 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의 전처리공정으로 일반적인 탈지-크롬산염 또는 인산염피막처리 등과 같은 보편적인 도장전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도장공정은 열전사될 소재의 부식방지 및 열전사 제품의 내후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분체도장 및 전착도장처리를 수행한 후 건조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분체도료는 그 목적을 달성할수 있는 특성의 고품질 특수분체도료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압착공정은 도장처리후 건조된 소재에 나무무늬, 대리석무늬, 꽃무늬 등과 같이 각종 무늬가 인쇄된 열전사지를 씌워 진공압으로 소재의 표면에 압착시키는 공정으로서, 이를 위해 진공펌프를 갖는 열전사장치가 사용되고, 상기 소재는 각종 알루미늄 및 금속 압출형재, 압연판재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전사공정은 열전사장치를 이용해 압착공정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위해 열전사장 치의 가열버너가 사용되고, 소재표면은 200℃∼250℃의 열로 2∼5분간 가열됨으로써 소재의 표면에 열전 사지의 무늬가 전사되고, 열전사가 완료된 열전사지를 소재표면에서 떼어냄으로써 일련의 도장 및 열전사 작업을 완료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열전사장치는 도 20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고, 이의 구성을 그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후술한 바와 같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외관을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압착 및 전사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중간부의 오븐(610)을 중심으로 이의 전.후방측으로 가이드프레임(618)이 형성되고, 상기 오븐(610)의 전.후방측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618)측으로 개구부(616a)(616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616a)(616b) 측에는 진공실(620a)(620b)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진공실 (620a)(620b)은 오븐(610)의 내부로 교호로 출입하도록, 즉 일측진공실(620a)을 오븐(610) 내부로 밀어 넣게 되면 타측 진공실(620b)이 상기 오븐(610) 외부로 밀려나 개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진공실(620a)(620b)은 하부측에 복수개로 형성된 레일(617)에 의해서 오븐(610)측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실(620a)(620b)의 전.후방측에는 진공실(620a)(620b)의 오븐(610) 출입시 상기 오븐(610)의 전.후방측에 형성된 개구부(616a)(616b)를 개폐시키는 개폐판(626a)(626b)이 일체로 형성되며, 전방측 개폐판 (626a)에는 진공압을 발생하는 진공펌프(628)가 구비된다. 이와함께 상기 오븐(610)의 일측에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같이 열을 발생하는 가열버너(614)가 장착되고, 상기 가열버너(614)는 콘트롤판넬(612)의 조작에 의해서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진공실 (620a)(620b)의 하부측에는 레일(617)을 따라 구름접촉하는 롤러(619)가 형성되어 상기 레일(617)을 따라 진공 실(620a)(620b)이 오븐(61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9a는, 후술되어질 진공실(620a)(620b)의 상부커버프레임(623)이 걸어 고정되는 고리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보인 일부절개 측단면도로서, 이는 상기한 바와같이 중간부의 오븐(610)을 중심으로 이의 전후방측에 가이드프레임(618)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618)과 오븐(610)사이에는 개구부(616a)(616b)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616a)(616b)를 따라 레일(6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617)상 에는 한쌍의 진공실(620a)(620b)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진공실(620a)(620b)은 상부커버프레임(623)과 하부 커버프레임(622)으로 상호 개폐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커버프레임(622)에는 레일(617)에 구름접촉하는 롤러(619)가 형성되어 진공실(620a)(620b)이 상기 레일(617)을 따라 이송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진공실 (620a)(620b)의 전후방측에는 수직의 개폐판(626a)(626b)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개폐판(626a)(626b)은 오븐 (610)의 개구부(616a)(616b)에 상응하는 높이로 형성되고, 일측 진공실(620a)의 내측 개폐판(626b)과 타측 진공실(620b)의 외측 개폐판(626a) 사이의 간격이 오븐(610)의 넓이를 이루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이는 일측 진공실(620a)의 완전개방시 타측 진공실(620b)의 개폐판(626a)과 개방된 일측 진공실(620a)의 내측 개폐판 (626b)이 오븐(610)의 각 개구부(616a)(616b)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4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진공실 구조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진공실(620a)(620b)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각틀체 형상으로 상부커버프레임(623) 및 하부커버프레임(622)으로 상호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프레임(623) 및 하부커버프레임(622)에는 각각 상.하부커버 프레임(623)(622)의 중간 공간부가 막혀지게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 탄력성이 우수한 상부 내열러 버(625) 및 하부내열러버(624)가 기밀하게 씌워지며 이의 각 단부측은 상기 상. 하부커버프레임(623)(622)에 부착 및 고정한다. 또한 상기 상. 하부커버프레임(623)(622)의 전.후방측에는 수직방향의 개폐판(626a)(626 b)이 일체로 형성되고, 일측개폐판(626a)에는 진공펌프(628)가 장착되며, 상기 진공펌프(628)는 상.하부커프 프레임(623)(622)의 내부와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커버프프레임(622)의 하부측에는 롤러 (619)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 (619)는 레일(617)을 따라 구름접촉하면서 수평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24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측 진공실(620a)의 상부커버프레임(623)을 개방시킨다. 그런 다음 하부커 버프레임(622)의 하부내열러버(62)상에 열전사될 소재(630)를 안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소재(630)에 홈이 형성된 경우에는 그 홈에 일치되는 밀착부재(632)를 끼워 상기 홈에 열전사지(6F)를 밀착시킨후 다시 상부 버프레임(623)을 닫는다.
그 후, 진공펌프(628)를 작동시켜 상기 진공실(620a) 내부에 진공압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의 진공압으로 상,하부내열러버(625)(624)가 수축하면서 소재(630)의 외부에 씌워진 열전사지(6F)를 소재(630)의 표면에 밀착 시키게 된다. 그다음 콘트롤판넬(612)을 조작하여 가열버너(614)를 약 200℃∼250℃의 열을 발생하도록 작동시키게 되고, 그 열은 2∼5분동안 소재(630)의 표면을 가열하여 열전사지(6F)의 무늬가 소재(630)의 도장 막에 전사됨으로써 무늬를 갖는 소재가 얻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일측 진공실(620a)(620b)에 의한 소재(630)의 열전사공정을 수행한 후에는 타측 진공실(620b)에 또다른 열전사될 소재(630)를 열전사지(6F)로 감아 안착시키게 되면, 일측 진공실(620a)의 인출과 동시에 타측 진공실(620b)이 오븐(610) 내부로 인입됨으로써 연속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것이다.
한편, 상기 진공실(620a)의 상,하부커버프레임(623)(622)에 씌어진 상,하부내열러버(625)(624)에서 하부내열러 버(624)를 사용하지 않고, 고강도 금속판재로써 지지기능만을 갖도록 변형이 가능하고, 압출형재의 일측면 만을 선택적으로 열전사할 경우와 판재나 사각재와 같이 바닥이 평평한 소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설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장설비의 저면부(예컨데, 오븐(10), 가이드프레임 (18), 기타 지면과의 접촉이 가능한 부위 등)에는 다수의 받침축(3610)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축(3610)들은 상호 연속하여 일열로 배치된 채로 가압모듈에 의하여 가압된다. 가압모듈은 상기 받침축(3610)들 중 제1 받침축(3611)을 수용하는 제1-1 푸싱부재(3621)와, 상기 제1 받침축(3611)과 이웃하는 제2 받침축(3612)를 수용한 채 상기 제1-1 푸싱부재(3621)에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도록 유동되는 제1-2 푸싱부재(3622)와, 상기 제2 받침축(3612)와 이웃하는 제3 받침축(3613)을 수용한 채 상기 제1-2 푸싱부재(3622)에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도록 유동되는 제1-3 푸싱부재(3623)을 포함하는 제1 푸싱부재(3620)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모듈은 상기 제1-1 푸싱부재(3621)과 상기 제1-2 푸싱부재(3622)를 수용하는 제2-1 푸싱부재(3631)와, 상기 제1-3 푸싱부재(3623)을 수용한 채 상기 제2-1 푸싱부재(3631)에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도록 유동되는 제2-2 푸싱부재(3632)를 포함하는 제2 푸싱부재(36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압모듈은 상기 제2-1 푸싱부재(3631)을 수용하는 제3-1 푸싱부재(3641)와, 상기 제2-2 푸싱부재(3632)를 수용한 채 상기 제3-1 푸싱부재(3641)에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도록 유동되는 제3-2 푸싱부재(3642)를 포함하는 제3 푸싱부재(36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푸싱부재(3620)는 상기 제2 푸싱부재(3630)에서 승강을 통하여 외부 노출되거나 하강을 통하여 내부로 숨겨진 채로 상기 제2 푸싱부재(3630)에 의하여 가압되며, 상기 제2 푸싱부재(3630)는 상기 제3 푸싱부재(3640)에서 승강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거나 하강을 통하여 내부로 숨겨진 채로 상기 제3 푸싱부재(3640)에 의하여 가압된다. 상기 받침축(3610)는 상기 도장설비의 저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기 설정된 제1 크기의 힘에 의하여 유동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받침축(3610) 및 상기 제2 받침축(3610) 사이에는 유동에 대한 일정한 저항힘을 가진채 일정하게 저항하면서 유동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가고정모듈(3311a, 3311b)과, 상기 제1 가고정모듈(3311a, 3311b)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이 구비된다.
상기 제1 푸싱부재(3620)는 한 쌍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한 쌍으로 상기 제1 푸싱부재를 양측에서 가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푸싱부재(3620) 내지 상기 제3 푸싱부재(3630)는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통형상체의 구조물로서 유압, 공압, 기계 방식 등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각형은 물론 원통형, 기타 다각형으로의 적용도 가능하다.
한편,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1 푸싱부재(3621) 내지 상기 제1-3 푸싱부재(3623) 상호간의 유동 시에 받침축(3611, 3612, 3613) 상호간의 인접을 최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1 푸싱부재(3621) 내지 상기 제1-3 푸싱부재(3623)에는 연통형 공간부(3GH)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형 공간부(3GH)로 상기 받침부가 경유하여 일정범위로 상호 밀접하게 이웃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가고정모듈(3311a, 3311b)과 상기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은 상기 제1 받침축(3610)과 상기 제2 받침축(3610)사이에서 가압된다. 상기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들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는 다수의 제1 접착액내장체(3312a1)가 구비되며, 마주하는 나머지 하나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접착액내장체(3312a1)과 치합되는 제2 접착액내장체(3312b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접착액내장체(3312a1)과 상기 제2 접착액내장체(3312b1)는 마주하여 상호 가압되는 상기 각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의 가압에 기반하여 파손되면 내부에 접착액이 유출되어, 상기 각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 상호간을 접착시킨다.
상기 각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의 외측에는 제3 접착액내장체(P2)가 구비되며, 제3 접착액내장체(P2)는 상기 제1 가고정모듈(3311a, 3311b)과 상기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의 접촉에 기반하여 파손되면 내부에 접착액이 유출되어, 상기 제1 가고정모듈(3311a, 3311b)과 상기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 상호간을 접착시킨다. 상기 각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의 외측에는 제3 접착액내장체(P2)가 구비되며, 제3 접착액내장체(P2)는 상기 제1 가고정모듈(3311a, 3311b)과 상기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의 접촉에 기반하여 파손되면 내부에 접착액이 유출되어, 상기 제1 가고정모듈(3311a, 3311b)과 상기 제2 가고정모듈(3312a, 3312b) 상호간을 접착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levator remote management system>
1 is an example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system. The elevator car moves up and down vertically by the elevator car 10, which is a traveling movement route, to move the passenger to the destination floor. In the hoistway 10, a machine room 20 having a main control panel 21 and a hoisting machine 22, and an elevator for calling the elevator to move to the destination floor at the platform, A floor indicator and call buttons 31 to 54 to be installed, an elevator car 62 to ride on to the destination floor, and a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61). 2 is an example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ain PCB of the main control board 21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20 described above. The main PCB 10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program memory 102 in which a traction machine 22 is driven, a car / hall call input process, various input / output processes, A system specification memory 103 having information on a building environment and an elevator system such 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mergency operation, etc., and an elevator, which occasionally occurs from a minor fault to a major fault during operation, The failure data memory 104 storing such a failure history and the elevator are basically a product that moves up and down, so that the operation distance, that is, the movement distance, It can also calculate the number of maneuvers because it moves by calling, and passengers must ride down Because there is a variety of operation history such as the number of opening and closing, each floor call count of the car door and the hall door it can be calculated.
The operation history data memory 105 storing the calculated operation history and the CPU of the main PCB 100 perform various output and motor driving operations with various inputs, operation programs, and specification data, . Output data memory 106 for processing and storing various inputs and outputs of the elevator and a service tool 108 or a cellular phone 140 carried by the service staff for service, And a serial or parallel porter 107 which enables confirmation and various operations to be performed. FIGS. 3 and 5 show an example of connection and menu of a conventional service tool. FIG. 3 is an example in which the service tool 108 is connected and used independently, and FIG. 5 is an example of a menu of the service tool 108 connected independently. The conventional approach shown in Figures 3 and 5 is that the service personnel always carry the service tool 108 and connect the service tool 108 to the serial or force port 107 of the main PCB 100 at the time of failure Check the fault data and repair the fault with the service manual for each model. When the environment of a building or an elevator system changes, such as a service floor change or an upgrade of an additional function, the user enters a specification change (181) menu and the service personnel changes the data of the system specification data memory 103 by converting the manual into design data.
In addition, when it is for the elevator check regardless of the specification change and the failure, it is possible to enter only the most basic menu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service personnel who check the operation information 182 menu to check whether various input and output operations are normally performed. Fig. 4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vator remote management system using a cellular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llular phone 140 is connected to the serial or parallel porter 107 of the control PCB main PCB 100 and the cellular phone is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cent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On the other hand, the system of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includes a communication server (160) of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160) communicating with each mobile phone, a main program (21) of the main control panel (170) storing various programs related to the elevator operation, such as a function upgrade program, a bug improvement program by the basic program bug, etc., storing the contents of the elevator malfunction and repair history, storing the operation history, When an agent accesses a remote management center (150) to request a fault diagnosis, the fault and the operation history storing the logic for automatically diagnosing the fault, the fault diagnosis server (171), the buil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elevator An elevator system information server 172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vator system, An illustration consisting of re-check stock, orders, materials with a wide range of materials with stored information, and shipment request, delivery time, price management server 173. FIG. 6 is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initial screen 200 when executing an elevator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140 in an elevator maintenance mobile phone in an elevator remot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mobile phone for elevator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a unique number, such as a production number of the elevator main control panel (21) installed locally, a lot number of the main PCB, an ascending steel management number, (140), authentication menu (201) for approval of access to the main PCB 100 and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of the corresponding control panel (21), program download of the main PCB including the field program basic program, bug improvement program, and function upgrade program A program menu for updating the operating program memory program of the main PCB 100 by accessing the operating program server 170 of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150 and a program menu 202 for changing the service layer, When an environment change occurs, the elevator system information server 172 of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150 is accessed to check the current elevator design and building environment information (100) system specification memory 103 data of the main PCB by correcting and storing the changed parts, downloading the contents, and (203) a specification changing menu for updating the contents of the data in the system specification memory 103 of the main PCB. Therefore, The history of the elevator's operation such as the number of times of door closing, the number of car and hall calls, the number of times of start-up, the operation time, and various faults occurring during operation can be stored in the fault history data memory A data transfer menu 204 for transferring the data of the operation history data memory 104 and the predefined data requiring the history management to the failure and operation history failure diagnosis server 171 of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150, , If the service personnel breaks down during the elevator operation and the parts need to be replaced during repair, or the parts are to be replaced, The user can access the material management server 173 of the re-center 150 to upload the parts list of the corresponding machine, check the specification of the parts to be replaced, check the stock status, unit price, delivery date, And (205), when a fault occurs in the elevator, service personnel can not repair the fault or it is not possible to do so. If the fault is not possible due to the fault of the faulty person, The fault diagnosis server finds the cause of the fault by the fault diagnosis logic of the fault and re-transmits the fault to the mobile phone (140). Therefore, the service agent can confirm the contents of the fault and repair the fault have.
In addition, if the cause of the failure can not be found in the failure diagnosis logic, the failure diagnosis menu 206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ailure diagnosis server 171 of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150 to allow the failure to be repaired by searching for similar failures And an application program for managing the elevator of a mobile phone. FIG. 7 is an illustration of an example of a workflow diagram that is authorized to access each server of the main PCB 100 and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of the main control panel 21. First, the mobile phone 140 is connected to the main PCB 100 in operation 301, and the application program for the elevator management of the mobile phone 140 is executed in operation 302. In the application initial screen 200, If the user clicks the authentication menu (step 303), the mobile phone tries to access the communication server 160 of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150. When it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server 160 (Step 30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nique information such as the product production number, the production lot number of the main PCB 100, the management number, the mobile phone number, (Step 306), the server 100 confirms whether or not the mobile phone number is an employee of the mobile phone, and when the mobile phone number is the employee of the mobile phone, A management menu is displayed, and a required menu is selected in the elevator management menu to perform necessary tasks (Step 307, Steps 309 to 313). If the connection to the communication server is unsuccessful, reconnection is attempted (Step 305).
Even if the communication server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server (160), if the approval fails, the elevator management menu is not displayed, so that the remaining tasks can not be performed. 8 is a workflow diagram when a program menu is selected in the elevator management application initial screen 200 after receiving various server access authentication of the main PCB 100 and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If the user clicks on the program menu (Step 351) and downloads the same version (Operation 352), the bug is removed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program bug (Operation 353), and the function upgrade (Operation 354) If a necessary menu is selected from among them (steps 352 to 354) and download is clicked, the operation program server 170 of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150 downloads the corresponding program, and the program is downloaded to the operation program memory 102 of the main PCB 100 ) (Step 355 and Step 356). When the updater by the download is completed,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is confirmed, and if it is normal (Step 358), the menu is terminated (Step 359). If the operation is abnormal, steps from the program selection to the operation confirmation are performed again (steps 352 to 358).
Figs. 9-1 and 9-2 are flowcharts of specification change work when the environment of the building and elevator system is changed and the specification is to be changed. The server 202 completes the access authentication procedure of the servers 170 through 173 of the main PCB 100 and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150 from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and adds the program 202 and the specification change 203 to the initial menu of the elevator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The data transfer 204, the material management 205, and the faulty terminal 206 are displayed, when the environment of the building and the elevator system changes and the system specification needs to be changed, a menu of the specification change 203 is selected step). (150) of the remote control center by inputting unique information such as a control panel management number, a production number, and the like, which can inform which of the scene and which equipment the main PCB (100) In operation 402, the elevator system information server returns the specification data of the corresponding CPU to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ystem information server in operation 403. The specification change data of the returned elevator specification data is checked in operation 404 and the specification is changed in operation 405 and the specification change data is transmitted to the elevator system information server 172 of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150, (Step 406). The elevator system information server stores the transmitted specification change data in the elevator system information server 172 (step 408), converts the changed specification information into design data, and transmits the design data again to the elevator system information The design data is stored in the design information memory of the server 172 in operation 408 and the converted design data is transmitted to the cellular phone in operation 140 to update the corresponding data in the system specification memory 103 of the main PCB 100 again (Operations 409 and 410).
When the specification data becomes the updater, it is ascertained whether the updater is operated normally by ascending or descending to ascertain whether or not the updater is normal, and if the operation is normal, the menu is terminated (steps 411 to 413). 10 is a history data transmission job flow diagram for enabling various elevator management by storing various histories such as faults and operations stored in the main PCB 100 of the main control panel to a remote management center and storing them in a database. The elevator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to complete access authentication of the various servers 170 to 173 of the main PCB 100 and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150 from the communication server of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The data change menu 203, the data transfer 204, the material management 205 and the failure diagnosis 206 menu are displayed. If the failure and the operation history data should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150, (Step 451). After selecting the data 204 menu, unique data capable of informing the exhalation information of the data to be transmitted is inputted (Step 452) and data transmission is started (Step 453). Then, the failure and the operation history and other specified data To the failure and operation history failure diagnosis server 171 of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150 (Step 454).
In step 455, the fault and operation history and the other history information that have been sent to the fault management server 171 are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fault diagnosis server 171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units. If it is normally received and stored, it is completed (Step 456). FIGS. 11A and 11B are material management workflow diagrams for performing a one-stop service from a material inventory check to an ordering and shipment request at a site where service personnel are checking the elevator system when an elevator fails. The access management menu for the elevator management can be changed from the program 202 to the specification change 203 to the data transfer 204 ), Material management (205), and failure diagnosis (206) menu are displayed. If the material is to be recovered due to a failure due to part replacement during repair, the material management menu (204) is selected. (Step 502), a material management menu is selected (step 503), and a repair number such as a production number, a control number, and the like is repaired (Step 505), and inputs a searchable key value such as a part name, a specification, and a drawing number of a part to be replaced (Step 506) After the server 173 transmits the request, the material management server 173 retrieves the requested part requested locally and retransmits the requested part to the cellular phone 140 (step 507). In step 50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part to be searched in the transferred material list.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09 that there is no stock, the ordering and delivery of the material are requested (step 501). When the part arrives at the site, it completes the repair by replacing the parts (step 511), reports the completion of the repair to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and terminates the work (step 512). If there is no material to be found in the transferred material list, it is re-transmitted to the material management server (150) of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173) again with another key value to rediscover the replacement part (Step 508).
If there is no material stock even though there is a part to be found in the transferred material list, a request for ordering of the material is requested first, and after the material delivery is confirmed, the customer is explained with the situation (steps 513 and 514) The repair completion report is made and the fault repair is terminated (Step 512). FIGS. 12A and 12B are flowcharts of a fault diagnosis service in which a fault diagnosis is performed by connecting to the fault diagnosis server 171 of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150 for a corresponding fault when an elevator fault occurs. Upon completion of the access authentication of the various servers 170 to 173 of the control panel and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150 from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the program 202, the specification change 203, the data transfer 204, The management 205 and the failure diagnosis 206 menu are displayed. If the service personnel need to be assisted by the fault management server (171) of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150) because the fault is difficult to solve during the repair of the fault in the elevator system, the service personnel can access the fault diagnosis menu (Step 561, step 562, step 563). In addition, the service personnel accesses the failure diagnosis server and selects whether to diagnose the failure or manually by the failure diagnosis automatic logic of the failure diagnosis server of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150 (Step 555). When the fault diagnosis automatic logic is used, the fault details are selected (Step 556), the automatic fault diagnosis menu 241 is selected and a diagnosis request is made (Step 557) 171), and the failure diagnosis server starts the failure diagnosis by operating the stored failure diagnosis logic corresponding to the failure contents transmitted from the site, and when the result is obtained (Step 559, Step 563) (Operation 563). In operation 566, the fault is repaired with the estimated failure location and the solution suggested. When the fault has been repaired, complete the fault reporting (150) and remedy the fault repair to the Remote Control Center.
If it is impossible to repair the fault by the automatic fault diagnosis logic or if it is desired to perform a fault diagnosis manually from the beginning (Step 556), the manual fault diagnosis menu (242) is selected and a retrieval key value And transmits it to the fault diagnosis server 150 of the remote management center 150 (step 561). The fault diagnosis server retrieves the corresponding fault with the fault search key value transmitted and retransmits the fault content and the repair history as a search result to the mobile phone (step 562). If the service personnel confirms that there is a similar one among the transmitted failure contents and the repair history (operation 564), the service agent performs the failure repair by referring to the past failure history of the contents (operations 565 and 566). If there is no similar fault content (operation 564), the fault search key is re-entered again to perform a fault search, and the fault repair information is reported to the remote control center (operation 567). 14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main PCB and a mobile phone wirelessly connected between a main PCB and a mobile phone 140. FIG. The service personnel can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ain PCB while viewing the various data of the main PCB in the machine room 20, the elevator car, the pit, and the platform as shown in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Therefore, although the control board main PCB and the (100) mobile phone are connected and connected by a wire, there may b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wire during use, but the present embodiment can solve such a problem by connecting by Bluetooth, infrared communication or various other wireless methods It was possible. Although the mobile phone for maintenance of the elevator i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phone is not limited to the mobile phone. Instead, the mobile phone may be a smart phone, a laptop, or a PDA equipped with an elevator maintenance application program, Is able to replace the maintenance mobile phone.
<Elevators operated by remote management system>
The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ternal space 2110 on which an elevator user can ride and an absorption space 2120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loor 2111 of the internal space 2110, The elevator car 2100 includes an elevator car 2100. Particularly, in an embodiment, when a safety accident occurs such as a free fall of the elevating car 2100, the bottom 2111 absorbs the impact first, and at the same time, the shock absorber 2121 installed in the absorption space 2120 So that the elevator user can absorb the shock through the part on which the foot is rested, thereby enhancing the safety. Hereinafter,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elevator car 2100 is a part of an elevator that moves up and down in a building or the like to transport cargo and peo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car 21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lifesaver as shown in Figs. 14 to 16. The lifting and lowering car 2100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space 2110 which can be lifted or lowered by a user of the elevator and an absorption space 2120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2111 of the inner space 2110 ). As shown in FIGS. 14 to 16, the internal space 2110 is a space for the elevator user to ride on and off, and the size of the internal area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elevator.
The inner space 2110 can absorb the impact while the floor 2111 on which the elevator user stands is deformed to the outside (lower side in the drawing) when a safety accident such as the free fall of the elevator car 2100 occurs . To this end, the bottom 2111 is welded (2W) to a frame 2100 'fixed to the elevator car 2100 so as to support its rim,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welding (2W) can be weld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the whole edge, a predetermined gap or a spot welding method such as spot welding.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ding 2W can sufficiently withstand the maximum number of persons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2110, but can be broken by a force generated when the elevator car 2100 falls . For example, the force for breaking the welding 2W may be a force to stop the elevator car 2100 when the elevator car 2100 falls, a force of the shock absorber to forcibly stop the elevator car 2100, Refers to the force received when a vehicle collides with the bottom of a hoistway, or the force that a vehicle receives in combination. Also,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2111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bottom area of the inner space 2110. This is because when the welding portion 2W is broken, the bottom 2111 is deformed. At this time, a slight deformable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rim of the bottom 2111 and the inner space 2110,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impact while causing deformation, thereby enhancing the shock absorbing effect.
15, even if the elevator user stands on the floor 2111, the inner space 2110 fully supports the elevator 2111. When the elevator car 2100 falls down as shown in FIG. 3, 2W), the bottom 2111 is deformed, and the shock absorption is performed at a position closest to the elevator user. As shown in Figs. 14 to 16, the absorption space 2120 is formed in the elevating car 2100 so as to be located below the bottom 2111 described above. Particularly, since the shock absorbing member 2121 is formed in the absorption space 2120, the bottom 2111 is absorbed by the shock absorber 2121 through the shock absorber 2121 in a state where the shock absorbing member 2121 is firstly absorbed through the fracture and deformation, It is constructed so that shock absorption can be achieved by car. The shock absorber 2121 may be a shock absorber made of conventional techniques used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absorber 2121 may be formed so as to fill the entire interior of the absorption space 2120 or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loor 2111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arrange a space to be secured. The absorbing space 2120 form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bottom 2111 deformed due to the first shock absorption to provide a deformable bottom 2111, Absorbs shocks through the buffering action and at the same time acts to prevent the bottom 2111 from falling further down or to prevent the elevator user from falling dow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user absorbs the impact through the break and deformation of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and then absorbs the shock through the shock absorber. Therefore, The impact that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elevator user can be absorbed directly through the floor on which the foot is placed, thereby enhancing the safety effect. As shown in FIG. 17, the elev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manner of fixing the floor 2111. Here, only the fixed method will be described,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stitution as the one embodiment will be omitted.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17, when the bottom 2111 is fixed to the frame 2100 'mounted on the elevating car 2100, the bolts 2112 are used to fix the bottom 2111. The bolts 2112 are fastened and fixed to the rim of the bottom 2111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lts 2112 fasten and fix the frame 2100 'with the rim of the bottom 2111 at equal intervals and receive a shearing force when a force is applied to deform the bottom 2111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it so that it can be broken. The elev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elevator in that the wall 2122 constituting the absorbing space 2120 is configured to be corrugat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above embodiment as shown in Fig.
Here, only the wall 2122 will be described,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stitution as the embodiment will be omitted.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18, the wall 2122 constituting the absorption space 2120 equipped with the shock absorbers 2121 is formed to be corrugated. This is because the absorbing space 2120 collides with the floor of the hoistway or the shock absorber collides with the bottom of the absorption space 2120 and is subjected to an external impact so that the wall body 2122 is deformed while being pressed to be corrugated, to be. Therefore, another embodiment can enhance the safety function by increasing the amount of shock absorption through breakage and deformation of the bottom 2111, shock absorption through the shock absorber 2121, and deformation of the wall 2122. [ As shown in FIG. 19, the elev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handle 2130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another embodiment. Only the handle 2130 will be described here,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other embodiments will be omitted.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19, at least one handle 2130 is further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2110 on which the elevator user boarded. Particularly, by using a string capable of absorbing the impact while stretching the handle 2130, when the elevator user grasps the handle 2130, when the external impact is applied, the string is stretched and the shock absorption effect is further obtained .
&Lt; Manufacturing method of elevator for remote management &gt;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vator for remote management,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an elevator car having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n elevator user and having an absorption space with a shock absorber therein; And forming the bottom to a size smaller than the bottom area of the inner space, and fastening the edge with a bol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forming the absorbing space 120 by forming the wall 122 in a corrugated shape so that the absorbing space 120 may be formed by corrugating the wall 122, Thereby absorbing the ultraviolet rays. Here, the walls and other necessary components of the elevator car are painted through painting equipment.
A coating process using the coating facility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A coating process for performing powder coating and electrodeposition coating on the surface of a material capable of thermal transfer for preventing corrosion, And a transfer step in which the thermal transfer paper is sublimated by heat and transferred to a coating film of the material to which the thermal transfer paper is squeezed by the above process. In addition, a general pre-coating process such as a general degreasing-chromate or phosphate coat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e pretreatment process. The coating process is intended to prevent corrosion of the material to be thermally transferred and to improve the weather resistance of the thermal transfer product. After the powder coating and the electrodeposition coating process are performed, the drying process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powder coating material achieves its object High-quality special powder coatings having the characteristics as described above are used. The pressing step is a step of pressing a dried material on a surface of a workpiece with pneumatic pressure on which a thermal transfer paper printed with various patterns such as a wood pattern, a marble pattern, and a flower pattern is printed, and a vacuum pump A heat transfer device is used, and various aluminum and metal extruded shapes, rolled plates, and the like are used as the material. The transferring process i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pressing process using the thermal transfer device. For this purpose, a heating burner of a thermal transfer device is used and the surface of the material is heated for 2 to 5 minutes at a temperature of 200 to 250 DEG C, And the thermal transfer is completed, the thermal transfer paper is peeled from the surface of the material, thereby completing a series of painting and thermal transfer operations.
The thermal transfer device is as shown in FIGS. 20 to 6, and its constru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0, the guide frame 618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oven 610 in the middle part where the pressing and transferring processes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Openings 616a and 616b ar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oven 610 on the guide frame 618 side. Vacuum chambers 620a and 620b are slidably provided on the sides of the openings 616a and 616b so that the vacuum chambers 620a and 620b alternately enter and exit the inside of the oven 610, 620a are pushed into the oven 610 so that the other vacuum chamber 620b can be pushed out of the oven 610 and opened. The vacuum chambers 620a, 620b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And guided to the oven 610 side by the rail 617 formed.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s 616a and 616b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oven 610 when the oven 610 is moved into and out of the vacuum chambers 620a and 620b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vacuum chambers 620a and 620b, Opening and closing plates 626a and 626b are integrally formed, and a vacuum pump 628 for generating vacuum pressure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pening and closing plate 626a. 21 and 22, a heating burner 614 for generating heat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oven 610. The heating burner 614 is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panel 612 . A rollers 619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vacuum chambers 620a and 620b in a rolling manner along the rails 617 so that the vacuum chambers 620a and 620b are transferred to the oven 610 along the rails 617 . Here, the reference numeral 19a denotes a ring on which the upper cover frame 623 of the vacuum chambers 620a and 620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hooked and fixed.
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frame 618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oven 610 in the middle, Openings 616a and 616b are formed between the ovens 610 and a rail 617 is formed along the openings 616a and 616b. A pair of vacuum chambers 620a and 620b are provided on the rail 617. The vacuum chambers 620a and 620b are openable and closable by an upper cover frame 623 and a lower cover frame 622, And a roller 619 rolling on the rail 617 is formed on the lower cover frame 622 so that the vacuum chambers 620a and 620b can be moved along the rail 617. Vertical open / close plates 626a and 626b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vacuum chambers 620a and 620b. The open / close plates 626a and 626b correspond to the openings 616a and 616b of the oven 610, And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ide open / close plate 626b of the one side vacuum chamber 620a and the outer side open / close plate 626a of the other side vacuum chamber 620b forms the width of the oven 610,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626a of the other side vacuum chamber 620b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626b of the one side vacuum chamber 620a are opened to block the opening portions 616a and 616b of the oven 610 It is.
FIGS. 24 and 6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vacuum chamb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4 and FIG. 6, the vacuum chambers 620a and 620b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saw- The upper cover frame 623 and the lower cover frame 622 are configured to be openable and closable by a cover frame 622 so that the intermediate spaces of the upper and lower cover frames 623 and 622 are blocked As shown in the figure, the upper heat-resistant rubber 625 and the lower heat-resisting rubber 624, which are excellent in stretch elasticity, are hermetically sealed, And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lower cover frames 623 and 622. Also, Vertical opening and closing plates 626a and 626b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ower cover frames 623 and 622. A vacuum pump 628 is mounted on the one opening and closing plate 626a, The pump 628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upper and lower cuff frames 623 and 622.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cover frame 622, a roller 619 is formed, and the roller 619 is configured to horizontally mov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rail 617.
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First, as shown in Fig. 24, the upper cover frame 623 of one side vacuum chamber 620a is opened. Then, the material 630 to be thermally transferred is placed on the lower heat-resistant rubber 62 of the lower cover frame 622. When the groove 630 is formed in the material 630, 632 are sandwiched between the thermal transfer paper 6F and the upper transfer frame 6F.
Thereafter, the vacuum pump 628 is operated to generate a vacuum pressure inside the vacuum chamber 620a, and the vacuum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material 630 while the upper and lower heat resistant rubber 625, So that the thermal transfer paper 6F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material 630. Then, the control panel 612 is operated to operate the heating burner 614 to generate heat of about 200 ° C to 250 ° C, and the heat heats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630 for 2 to 5 minutes, 6F are transferred to the coating film of the material 630, a material having a pattern can be obtained.
After performing the thermal transfer process of the material 630 by the one side vacuum chamber 620a and 620b, another material 630 to be thermally transferred is placed on the other side vacuum chamber 620b by the thermal transfer paper 6F The other side vacuum chamber 620b is drawn into the oven 610 at the same time as the one side vacuum chamber 620a is drawn out, so that the continuous operation can be performed.
On the other hand, the upper and lower heat-resistant rubber 625 and 624, which are placed on the upper and lower cover frames 623 and 622 of the vacuum chamber 620a, are not supported by the high-strength metal plate, And can be applied to a flat bottom surface material such as a plate material or a rectangular material by selectively thermally transferring only one side of the extruded shape material.
25 to 27 are views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pain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upport shafts 3610 ar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painting equipment (for example, the oven 10, the guide frame 18, a portion capable of being in contact with other ground surfaces, etc.), and the support shafts 3610 And are pressed by the pressing module while being continuously arranged in a row. The pressing module includes a first pushing member 3621 for receiving the first support shaft 3611 of the support shafts 3610 and a second support shaft 3612 adjacent to the first support shaft 3611, And a third support shaft 3613 adjacent to the second support shaft 3612. The first support shaft 3612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3612 ar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shaft 3612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3612, And a first pushing member 3620 including a first-third pushing member 3623 that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first-second pushing member 3622 while receiving the first pushing member 3623.
The pressing module includes a second-1-pushing member 3631 for receiving the first-first pushing member 3621 and the first-second pushing member 3622, And a second pushing member (3630) including a second-second pushing member (3632) which is accommodated and at least partly accommodated in the second-first pushing member (3631). The pushing module includes a 3-1 pushing member 3641 for receiving the 2-1 pushing member 3631 and a 3-1 pushing member 3641 for receiving the 2-2 pushing member 3632, And a third pushing member 3642 including a third-second pushing member 3642 that flows so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pushing member 3641.
The first pushing member 3620 is pressurized by the second pushing member 3630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pushing member 3630 or hidden inside through the downward movement, The third pushing member 3640 is pressed by the third pushing member 3640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ird pushing member 3640 or being hidden inside through the downward movement. The support shaft 3610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f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painting equipment and has a resistance against flow by a predetermined first size force. The first support shaft 3610 and / At least one pair of first temporary fixing modules 3311a and 3311b flowing between the second supporting axes 3610 while being constantly resisted with a constant resistance force against the flow and at least one pair of first temporary fixing modules 3311a and 3311b, At least one pair of second temporary fixing modules 3312a and 3312b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mporary fixing modules 3312a and 3311b.
The first pushing members 3620 may be provided as a pair. That is, the first pushing member is pushed at both sides by a pair. The first pushing member 3620 to the third pushing member 3630 may be hydraulic, pneumatic, mechanical, or the like as a structure of a tubular body in which an internal space is formed. It can be applied to cylindrical, other polygons as well as rectangles.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6, when the first to third pushing members 3621 to 3623 move between the support shafts 3611, 3612 and 3613, A communicating space portion 3GH is formed in the first pushing member 3621 to the third pushing member 3623. And the communicating space portion (3GH) passes through the receiving portion and is closely adjacent to a certain range. The first temporary fixing modules 3311a and 3311b and the second temporary fixing modules 3312a and 3312b are pressed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shaft 3610 and the second supporting shaft 3610. [ A plurality of first adhesive liquid housing 3312a1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any one of the second temporary fixing modules 3312a and 3312b and the first adhesive liquid housing 3312a1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other of the second temporary fixing modules 3312a and 3312b, The first adhesive liquid housing 3312a1 and the second adhesive liquid housing 3312b1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by the second temporary fixing liquid housing 3312b1, The first and second temporary fixing modules 3312a and 3312b are adhered to each other.
A third adhesive liquid housing P2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each of the second temporary fixing modules 3312a and 3312b and the third temporary fixing liquid housing P2 is housed in the first temporary fixing modules 3311a and 3311b, If the first temporary fixing modules 3312a and 3312b are broken due to the contact with the second temporary fixing modules 3312a and 3312b, the adhesive liquid flows out of the first temporary fixing modules 3311a and 3311b and the second temporary fixing modules 3312a and 3312b . A third adhesive liquid housing P2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each of the second temporary fixing modules 3312a and 3312b and the third temporary fixing liquid housing P2 is housed in the first temporary fixing modules 3311a and 3311b, If the first temporary fixing modules 3312a and 3312b are broken due to the contact with the second temporary fixing modules 3312a and 3312b, the adhesive liquid flows out of the first temporary fixing modules 3311a and 3311b and the second temporary fixing modules 3312a and 3312b .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100 : 승강기
140 : 휴대폰
150 : 원격관리센터
160 : 통신서버?
100: Lift
140: Mobile phone
150: Remote Management Center
160: Communication server?

Claims (7)

원격 관리를 위한 승강기 제작 방법에 있어서,
승강기 이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 충격 흡수재를 갖춘 흡수 공간이 형성된 승강카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승강카의 바닥을 내부 공간의 바닥 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하며, 가장자리를 볼트로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 공간을 벽체 부분을 주름지게 형성하여 충격 흡수를 할 수 있게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수 공간을 벽체 부분을 주름지게 형성하여 충격 흡수를 할 수 있게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벽체는 도장설비를 통하여 도장 처리되며,
상기 승강기는 승강기의 운행관리를 총괄하는 제어반; 상기 제어반 및 관리센터의 각종 서버에 대한 접근 인증을 하는 통신 서버와, 상기 제어반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고장 운행이력을 소정의 휴대용 단말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며 승강기 고장시 상기 휴대용 단말의 고장 진단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기에 대한 고장진단을 수행하는 고장 진단 서버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운용되며,
상기 도장설비의 저면부에는 다수의 받침축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축들은 상호 연속하여 일열로 배치된 채로 가압모듈에 의하여 가압되는 승강기 제작 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vator for remote management,
Providing an elevator car having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elevator users and having an absorbing space with a shock absorber therein;
Forming a floor of the elevator car at a size smaller than a floor area of the internal space and fastening the edge with a bolt,
And forming the absorbing space so that the wall portion is formed in a corrugated shape so as to absorb shock,
And forming the absorbing space so that the wall portion is formed in a corrugated shape so as to absorb shock,
The wall is painted through a painting equipment,
The elevator includes a control panel for manag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A communication server for performing access authentication for the various servers of the control panel and the management center; and a communication server for receiving and storing various fault history stored in the control panel from a predetermined portable terminal and storing the fault history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 fault diagnosis request signal And a failure diagnosis server for performing a failure diagnosis on the elevator,
Wherein a plurality of support shafts ar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painting equipment, and the support shafts are pressed by the pressing module while being arranged in a row in a mutually continuous manner.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압모듈은,
상기 받침축들 중 제1 받침축을 수용하는 제1-1 푸싱부재와, 상기 제1 받침축과 이웃하는 제2 받침축을 수용한 채 상기 제1-1 푸싱부재에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도록 유동되는 제1-2 푸싱부재와, 상기 제2 받침축과 이웃하는 제3 받침축을 수용한 채상기 제1-2 푸싱부재에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도록 유동되는 제1-3 푸싱부재를 포함하는 제1 푸싱부재를 포함하는 승강기 제작 방법.
Claim 1
The pressure module,
A first pushing member which receives a first support shaft of the support shafts and a second support shaft which is adjacent to the first support shaft and accommodates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support shaft, A first pushing member including a first pushing member and a second pushing member, and a first pushing member including a first pushing member and at least a first pushing member,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28174A 2018-10-25 2018-10-25 Remote elevator management system Active KR1019905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174A KR101990535B1 (en) 2018-10-25 2018-10-25 Remote elevator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174A KR101990535B1 (en) 2018-10-25 2018-10-25 Remote elevator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535B1 true KR101990535B1 (en) 2019-06-18

Family

ID=6710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174A Active KR101990535B1 (en) 2018-10-25 2018-10-25 Remote elevator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53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1587A (en) * 2020-12-07 2021-04-02 苏州弗朗茨智能电梯有限公司 Villa elevator handrail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9308A (en) * 2011-07-15 2013-01-23 (주)에이치피엔알티 Remote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phone
KR20170043763A (en) * 2015-10-14 2017-04-24 김민영 Safety-enhanced elevator
KR20170072253A (en) 2014-10-22 2017-06-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control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9308A (en) * 2011-07-15 2013-01-23 (주)에이치피엔알티 Remote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phone
KR20170072253A (en) 2014-10-22 2017-06-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control apparatus
KR20170043763A (en) * 2015-10-14 2017-04-24 김민영 Safety-enhanced elev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1587A (en) * 2020-12-07 2021-04-02 苏州弗朗茨智能电梯有限公司 Villa elevator handrail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363B1 (en) A Remote Elevator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For Elevator Managemant
US9382099B2 (en) Motorized height access device for tower cranes
AU2016277453B2 (en) Lift system with predictive call production
US20060144646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intenance of an elevator or escalator installation
KR101990535B1 (en) Remote elevator management system
KR101897142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High Place Working Vehicles
JP6231169B1 (en) BIM system, method and program
AU2010240934A1 (en) Method for location-dependent management of persons in a building
CN107298351A (en) Method, program and mobile device for controlling elevator device
KR20090062162A (en) Workshop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fault code
JP2002020062A (en) Elevator cage device
KR102162671B1 (en) Elevator breakdown remote recovery system
JP5474121B2 (en) Mobile terminal for elevator diagnosis and mobile terminal operation system
JP2017007799A (en) Passenger conveyor program update system
JP5476140B2 (en) Elevator par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7024871A (en) Elevator system
JP5738634B2 (en) Elevator system
CN109982955B (en) Remote recovery system for elevator fault
KR101987907B1 (en) Elevator monitoring system and elevator manufacturing method
JP5755205B2 (en) Seismic structure and earthquake resistance method for mechanical multilevel parking equipment, and mechanical multilevel parking equipment
AU20194159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issioning a passenger transportation system
CN107187998B (en) A kind of elevator easy to repair
CN107128764B (en) A kind of detachable elevator
KR102182551B1 (en) Elevator system
KR20180129003A (en) Operator authentication method for elevator mainten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