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88863B1 -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 - Google Patents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863B1
KR101988863B1 KR1020170165125A KR20170165125A KR101988863B1 KR 101988863 B1 KR101988863 B1 KR 101988863B1 KR 1020170165125 A KR1020170165125 A KR 1020170165125A KR 20170165125 A KR20170165125 A KR 20170165125A KR 101988863 B1 KR101988863 B1 KR 101988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peroxide
peroxide vapor
vapor
honeycomb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5699A (ko
Inventor
이강봉
김영천
남윤식
김명기
전진오
김재은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6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863B1/ko
Priority to US15/910,007 priority patent/US20190168158A1/en
Publication of KR20190065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86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3/3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9Multiple step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8Hydrogen pe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71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not provided for in B01D53/8603 - B01D53/866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32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34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2Plati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01J23/745I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01J23/755Nick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5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configuration
    • B01J35/56Foraminous structures having flow-through passages or channels, e.g. grids or three-dimensional monoliths
    • B01J35/57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3Biocide decomposition means, e.g. catalysts, 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10Noble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102Platinum group metals
    • B01D2255/1021Plati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3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38I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53Nick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90Physical characteristics of catalysts
    • B01D2255/904Multiple 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3Tox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atalyst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 공간의 과산화수소 증기를 흡입하는 과산화수소 증기 흡입부; 흡입된 과산화수소 증기를 분해하는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부; 및 과산화수소 증기의 분해 산물을 배출하는 증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HYDROGEN PEROXIDE VAPOR DETOXIFYING SYSTEM}
본 발명은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실내 또는 밀폐된 공간에 멸균을 위해 분사된 과산화수소 증기를 다시 흡입하여 분해 및 제독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산화수소 증기(Hydrogen peroxide vapor, HPV)를 발생시켜 멸균하는 방식은 과산화수소 분자가 활성 산소(산소 자유 라디칼)를 발생시킴으로서 각종의 균류,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아포를 분해시켜 멸균하는 소독제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과산화수소 증기는 인체에도 유해한 독성 화합물이기 때문에, 사용 후에 잔류된 과산화수소 증기는 분해 촉매에 의해 물과 산소로 분해시켜, 제독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과산화수소 증기가 인체와 접촉하거나, 인체가 흡입함으로서, 피부에서의 자극이나 염증, 코, 목, 폐를 포함하는 호흡기관등에 치명적이고, 각막 손상 및 실명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산화수소 증기는 제한된 공간에서 멸균을 위해 사용된 후에는 신속하게 분해하여 제독시켜야한다.
한국특허출원공개 제10-2016-0083423호 한국특허출원공개 제10-2015-0061203호
일반적으로, 과산화수소 증기는 공기로 희석시키는 방법이 가장 간단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이는 주변의 공기를 과산화수소로 오염시킴으로서, 2차 오염에 의한 독성 피해를 줄 수가 있어 실내에서 분해시켜 제거해야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시스템(1000)은, 가열부(1001)를 통해 기화된 과산화수소 증기를 배출부(1002)를 통해 대상 공간을 멸균하는 시스템을 기재하고 있으나, 이러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시스템은 멸균이 완료된 공기 중에 노출된 과산화수소 증기를 환기를 통해 제독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특허문헌 2 역시 배출된 멸균액을 효과적으로 제독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현재까지 대상 공간에서 분사된 과산화수소 증기의 분해 및 제독은 과산화수소 증기 발생 장비와 함께 내부에 설치되어 멸균 후에 제독을 진행시키는데, 이 때 실내공간의 과산화수소 증기 농도를 제한 농도 이하로 낮추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장비활용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분해 촉매의 재활용과 효능 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과산화수소 증기를 효율적으로 분해 및 제독시키기 위하여, 장비 운영이 간단하고 제독이 매우 효율적이며, 과산화수소 증기 분해 촉매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압력 저하(Pressure drop)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이 필요하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상 공간의 과산화수소 증기를 흡입하는 과산화수소 증기 흡입부; 흡입된 과산화수소 증기를 분해하는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부; 및 과산화수소 증기의 분해 산물을 배출하는 증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기 흡입부는, 과산화수소 증기의 흡입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기 제독부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허니컴 구조체; 하우징에 수용되고, 과산화수소 증기가 흡입되는 방향에서 허니컴 구조체의 이전 위치에 배치되는 예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은, 예열 장치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와, 예열 장치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열 장치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예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흡입된 과산화수소 증기를 50℃ 내지 150℃ 범위로 예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허니컴 구조체는 복수로 직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허니컴 구조체는 원통형이고, 원통의 내부에서 그물망으로 배치되는 구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허니컴 구조체의 구조부는, 백금, 철 및 니켈 산화물 중 하나 이상의 촉매가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통의 외주에는, 하우징 내에서 허니컴 구조체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링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산화수소 증기 배출부는, 과산화수소 증기의 분해에 따른 분해 산물 기체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의 흐름, 압력 저하(Pressure drop), 촉매 재활용, 공기 예열 장치를 포함하는 장비의 크기 및 중량과 휴대 가능 여부 등을 해결할 수 있는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허니컴 구조체로 형성된 촉매를 활용함으로 인해 과산화수소 증기 분해 및 제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동시에 장비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황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간이식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과산화수소 증기를 흡입하는 방향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기재된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에 있어서, 과산화수소 증기 분해 산물의 배출 방향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부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단일의 허니컴 구조체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부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2개의 허니컴 구조체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부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예열 장치와 이러한 예열 장치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부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과산화수소 증기가 흡입되는 방향에서 허니컴 구조체 이전에 예열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부의 구성에 있어서, 허니컴 구조체 대신 이산화망간 촉매로 충진 된 비교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과 도 7에 기재된 비교예에 따른 제독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과산화수소 증기의 분해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과 도 7에 기재된 비교예에 따른 제독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공기 유량의 압력 저하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과 도 7에 기재된 비교예에 따른 제독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중량과 부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종래의 과산화수소 증기를 멸균 대상 공간에 주입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도 12는 종래의 과산화수소 촉매 분해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100)의 작동 관계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과산화수소 증기의 유동을 화살표로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100)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은 과산화수소 증기를 흡입하는 방향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2는 과산화수소 증기 분해 산물의 배출 방향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100)은, 대상 공간으로 배출된 과산화수소 증기를 흡입하는 증기 흡입부(6), 흡입된 과산화수소 증기를 분해하는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부(2), 과산화수소 증기의 분해 산물을 배출하는 증기 배출부(4)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구성들은 과산화수소 증기와 과산화수소 증기의 분해 산물이 유동되는 배송관으로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과산화수소 증기 흡입부(6)는 과산화수소 증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제어부(1)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100)은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100)의 전원 공급 장치(3)과 장소 이동 편의를 위한 바퀴와 같은 이송장치(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부(2)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3에서는 단일의 허니컴 구조체(22)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부(2)는 하우징(21)과 이러한 하우징(21) 내부에 수용되는 허니컴 구조체(22)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부(2)는 촉매 장치 개수, 연결 상태 및 촉매 종류, 유입되는 대상공간의 공기의 예열 장치의 존재 유무에 따라 세부적인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제독부(2) 내에는 흡입되는 과산화수소 증기가 단일의 허니컴 구조체(22)를 통과하여 증기 배출부(4)로 배출된다.
한편, 과산화수소 증기 배출부(4)는 과산화수소 증기의 분해에 따른 분해 산물 기체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허니컴 구조체(22)는 원통형이 될 수 있고, 원통의 내부에서 그물망(mesh)으로 배치되는 구조부에 과산화수소 증기를 분해하기 위한 촉매가 코팅되어 있다. 촉매는 바람직하게 백금(Pt) 촉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과산화수소 증기의 제독 효율을 높이기 위해 철 산화물 또는 니켈 산화물 중에 하나 이상의 촉매가 구조부에 코팅될 수 있다.
한편, 허니컴 구조체(22)의 원토의 외주에는, 하우징(21) 내부에서 허니컴 구조체(22)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링(23)이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21)의 각 모서리에는 과산화수소 증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용 실리콘이 도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부(2)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2개의 허니컴 구조체(22, 22‘)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산화수소를 분해하는 하우징 구조체(22, 22‘)가 2개로 구성되기 때문에, 하나의 하우징 구조체로 형성한 증기 제독부(2)에 비하여 과산화수소 증기가 촉매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넓어짐으로, 그 만큼의 과산화수소 증기의 분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부(2)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예열 장치(41)와 이러한 예열 장치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42)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부(2) 내부에서 과산화수소 증기가 흡입되는 방향에서 허니컴 구조체(22) 이전에 예열 장치(41)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산화수소 증기의 분해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예열 장치(41)를 통해 유입되는 과산화수소 증기를 미리 예열할 수 있고, 예열 장치(41)의 온도는 하우징(21) 상단에 위치하는 온도 센서(42)를 통해 측정하여, 온도 조절부는 전술한 제어부(1)의 제어를 통해 예열 장치(4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예열 장치(41)는 과산화수소 증기의 활성 온도를 고려하여 50 ℃ 내지 150 ℃로 예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열 장치(41)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예열 플레이트(41a)로 구성되어, 허니컴 구조체(41)에 유입되기 이전에 예열 플레이트(41a)와 과산화수소 증기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하여 예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과산화수소 증기의 분해는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는데, 전술한 예열 장치(41)를 통해 과산화수소 증기가 허니컴 구조체(41)의 촉매와의 활성 온도가 높아지는 만큼 과산화수소 증기의 분해 효율도 함께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100)을 이용한 과산화수소 증기의 분해 효율을 실험하였고, 실험의 비교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허니컴 구조체(22) 대신 이산화망간 촉매(51)로 충진 된 제독 시스템을 함께 사용하였다.
실험 1: 과산화수소 증기의 분해 효율 측정
증기 제독부(2)의 유형에 따라 각각의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효율을 측정하였다.
허니컴 구조체(22)를 1개로 구성된 실시예와, 2개를 직렬로 배치한 실시예, 예열 장치(41)를 함께 구성한 실시예, 이산화망간 촉매로 구성된 비교예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조건으로 상온(25℃)에서 측정하였으며, 생성된 과산화수소 증기가 제독 시스템(100)으로 유입되는 과산화수소 증기의 농도는 1000 ppm으로 고정하였다.
또한, 농도 측정은 유입구 부분과 출구 부분에 각각 설치하여 과산화수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농도 측정 장치는 ATI 사의 protasens II를 이용하였고, 비교예에서 사용된 이산화망간 촉매(51)의 무게는 400 g을 사용하였다.
또한, 대상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의 용량은 50 m3/hr으로 흡입하였으며, 본 발명의 예열 장치(41)를 사용한 실시예의 경우 예열 장치(41)의 온도를 70 ℃로 유지 하였다.
또한, 과산화수소 증기 시스템의 기기적 안정성과 정확한 성능 측정을 위해 시스템 가동 후 15분 후에 측정하였다. 사용된 전원은 시스템별로 300 W 내지 500 W의 전압을 이용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금 촉매를 사용하는 단일의 허니컴 구조체의 실시예와 2개의 허니컴 구조체를 직렬로 연결한 제독 시스템의 과산화수소 증기 분해 효율은 각각 99.26 %, 99.36 %으로 상당히 높게 분해 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예열 장치(41)를 추가로 배치한 실시예의 경우, 분해 효율이 99.49%로서 예열 장치(41)가 없는 경우에 비해 분해 효율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유입되는 1000 ppm의 과산화수소 농도가 시스템을 통과 후 5 ppm 정도의 농도로 낮아짐을 의미한다.
한편, 이산화망간 촉매(MnO2)를 사용한 비교예의 분해 효율은 99.40 %로 나왔으며, 이를 통해, 허니컴 구조체(22)와 예열 장치(41)를 함께 사용한 경우, 매우 우수한 과산화수소 증기 분해 효율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 2: 각 촉매의 감압량 측정 비교
전술한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시스템을 통해, 각각의 증기 통과 효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으로, 각 제독부를 통과하기 전의 기압과 각 제독부를 통과하고 난 후의 기압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실험 조건으로 상온(25℃)에서 측정하였으며, 공기의 유량은 25 cm3/hr로 일정하게 공급해주었고, 각각의 제독부를 통과하기 전후의 물기둥높이(수밀리미터(mmH2O))를 확인하여 압력의 기본 단위인 파스칼(Pa)단위로 변환하였다.
비교예의 이산화망간 촉매는 200 g을 사용하였고, 실험 데이터 값의 안정성과 정확한 측정을 위해 장치 가동후 15분 후에 측정하였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허니컴 구조체를 사용한 경우(Honeycomb I)와 2개의 허니컴 구조체를 사용한 경우(Honeycomb II)의 감압량은 각각 12.00 %, 24.00 %로 매우 낮은 감압량을 보였으며, 특히, 단일의 허니컴 구조체를 사용한 경우 높은 증기 통과율을 보여주었다.
이에 반하여, 이산화망간 촉매(MnO2)를 사용한 비교예는 72.00 %로서 매우 높은 압력 손실을 나타내었다. 이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약 6배에 이르는 매우 높은 수치이며, 그 만큼의 높은 압력 저하(Pressure drop)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 3: 각 촉매의 물리적 특성 비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독부와 비교예에 따른 제독부 각각의 물리적 특성(중량, 부피)를 측정하였다. 중량 측정 방법에는 CAS사의 전자저울 CUX6200HX 모델을 사용하였고, 부피 측정 방법은 액체 안에 잠긴 늘어난 부피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 조건으로 상온(25 ℃), 액체의 온도 역시 상온과 같은 25 ℃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 데이터 값의 안정성과 정확한 측정을 위해 측정 시작 후 2분 후의 측정값을 사용하였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허니컴 구조체를 사용한 경우(Honeycomb I)는 중량, 부피가 각각 146 g, 347 cm3로 모두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가볍고 부피가 작으므로 매우 컴팩트한 설계에 용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허니컴 구조체를 직렬로 배치하여 사용한 경우(Honeycomb II)는 중량, 부피는 각각 292 g, 694 cm3로 전술한 (Honeycomb I)에 비하여 거의 2배에 가까운 수치를 기록하였다.
또한, 이산화망간 촉매(MnO2)를 사용한 비교예의 경우, 중량, 부피는 각각 200 g, 488 cm3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중간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제독하고자 하는 공간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촉매를 사용 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전술한 실시 형태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상기 실시 형태들에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균등한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산화망간 촉매를 이용시 발생할 수 있는 공기 흐름, 압력 저하, 촉매 재활용 문제 등을 극복할 수 있고, 제독부의 구성을 매우 컴팩트하게 제조하여, 전체 시스템의 크기 및 중량 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휴대가 가능한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과산화수소 증기를 이용한 병원균 멸균에 사용 후, 과산화수소 증기를 완전 제거하여 다시 대상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고, 잔류된 과산화수소 증기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없도록 과산화수소 증기를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100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
1 제어부 2 증기 제독부
21 하우징 22 허니컴 구조체
22‘ 허니컴 구조체 23 링
41 예열 장치 41a 예열 플레이트
42 온도 센서 3 전원 장치
4 증기 배출부 6 과산화수소 증기 흡입구

Claims (11)

  1. 대상 공간의 과산화수소 증기를 흡입하는 과산화수소 증기 흡입부;
    흡입된 상기 과산화수소 증기를 분해하는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부; 및
    상기 과산화수소 증기의 분해 산물을 배출하는 증기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제독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허니컴 구조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과산화수소 증기가 흡입되는 방향에서 상기 허니컴 구조체의 이전 위치에 배치되는 예열 장치; 상기 예열 장치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상기 예열 장치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예열 장치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예열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50 ℃내지 70 ℃범위로 예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흡입부는, 상기 과산화수소 증기의 흡입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니컴 구조체는 복수이고, 복수의 허니컴 구조체는 직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허니컴 구조체는 원통 형이고, 상기 원통의 내부에서 그물망으로 배치되는 구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부는, 백금, 철 산화물 및 니켈 산화물 중 하나 이상의 촉매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의 외주에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허니컴 구조체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링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 증기 배출부는, 상기 과산화수소 증기의 분해에 따른 분해 산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
KR1020170165125A 2017-12-04 2017-12-04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988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125A KR101988863B1 (ko) 2017-12-04 2017-12-04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
US15/910,007 US20190168158A1 (en) 2017-12-04 2018-03-02 Hydrogen peroxide vapor detoxify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125A KR101988863B1 (ko) 2017-12-04 2017-12-04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699A KR20190065699A (ko) 2019-06-12
KR101988863B1 true KR101988863B1 (ko) 2019-06-13

Family

ID=6665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125A Expired - Fee Related KR101988863B1 (ko) 2017-12-04 2017-12-04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90168158A1 (ko)
KR (1) KR1019888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7591B2 (en) * 2018-11-29 2023-08-08 Better Vision Solutions LLC Methods for disinfecting contact lenses with a manganese-coated disc, and related contact lens treatment systems
KR102248516B1 (ko) 2020-10-14 2021-05-06 유재광 멸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2799A (ja) 2004-04-30 2005-11-10 Shibuya Kogyo Co Ltd 滅菌方法
JP2007202628A (ja) 2006-01-31 2007-08-16 Daikin Ind Ltd 滅菌装置及び滅菌システム
KR101348222B1 (ko) * 2013-01-24 2014-01-08 주식회사 휴먼메디텍 멸균기
KR101484689B1 (ko) * 2013-10-15 2015-01-20 국방과학연구소 이동형 제독장치 및 그 작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31532B (sv) * 1982-09-08 1984-02-13 Eka Ab Forfarande vid framstellning av veteperoxid
JPH11348922A (ja) * 1998-06-05 1999-12-21 Shikoku Kakoki Co Ltd ガス処理装置を備えた食品充填包装機
EP1121976A1 (en) * 2000-02-03 2001-08-08 Engelhard Corporation Chemical process in reactor with structured catalyst
US20090087921A1 (en) * 2007-10-02 2009-04-02 Steris Inc. Vaporized hydrogen peroxide concentration detector
US9457344B2 (en) * 2011-09-23 2016-10-04 Shubin, Inc. Mixed phase oxide catalysts
PL2787040T3 (pl) * 2013-04-04 2016-09-30 Kompozycja do wytwarzania nanostrukturyzowanego biodegradowalnego materiału polimerowego, otrzymany materiał i jego zastosowania
KR102156371B1 (ko) 2013-11-27 2020-09-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이티브 빌드 기반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083423A (ko) 2014-12-31 2016-07-12 (주)우정비에스씨 건물 내장형 멸균장치
WO2017004055A1 (en) * 2015-07-02 2017-01-05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rocess and material for growth of adsorbed compound via nanoscale-controlled resistive heating and uses thereof
US20170312687A1 (en) * 2016-04-28 2017-11-02 Rasirc, Inc.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removing hydrogen peroxide or hydrazine from a process gas stream
JP6498736B2 (ja) * 2017-09-13 2019-04-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KR102167206B1 (ko) * 2018-10-05 2020-10-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허니컴 구조체를 이용하는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2799A (ja) 2004-04-30 2005-11-10 Shibuya Kogyo Co Ltd 滅菌方法
JP2007202628A (ja) 2006-01-31 2007-08-16 Daikin Ind Ltd 滅菌装置及び滅菌システム
KR101348222B1 (ko) * 2013-01-24 2014-01-08 주식회사 휴먼메디텍 멸균기
KR101484689B1 (ko) * 2013-10-15 2015-01-20 국방과학연구소 이동형 제독장치 및 그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68158A1 (en) 2019-06-06
KR20190065699A (ko)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3387B2 (ja) 流体処理方法及び流体処理装置
KR101785093B1 (ko) 살균 장치
KR101111388B1 (ko) 과산화수소 증기를 이용한 이동식 멸균장치
KR101985173B1 (ko) 과산화수소 증기 멸균 및 제독 시스템
KR20110128393A (ko) 화학 및 생물학 작용제의 제독 및 살균 장치 및 방법
KR101988863B1 (ko)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
CN104302328A (zh) 以氮氧化物为基础的灭菌法以及灭菌装置
US20240033386A1 (en) A disinfection system, method and chamber thereof
EP3116553B1 (en) Disinfection apparatus
KR101695946B1 (ko) 공기 살균 소독 및 탈취를 위한 이산화염소 가스의 순환 장치
KR20160053458A (ko)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한 의료용 멸균기
US11364319B2 (en) Air purifier and air purifying method
JPH08503864A (ja) 好ましくは廃棄物のような固形の材料、特に汚染除去を行うための処理装置
KR102167206B1 (ko) 허니컴 구조체를 이용하는 과산화수소 증기 제독 시스템
KR101887112B1 (ko) 과산화수소 증기 제거 장치
CN212415681U (zh) 内窥镜主机
CN214859499U (zh) 氙准分子臭氧消杀治疗仪
US20220143257A1 (en) Uvc steriliz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atient ventilation
WO2020141359A1 (en) Super-fast sterilizer device for medical equipment with advanced oxidation process (aop) technology
CN111407915A (zh) 一种采用杀毒溶液的空气过滤器及空气过滤方法
KR102506526B1 (ko)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덕트
ES2890498B2 (es) Dispositivo digital para ozonizacion confinada en un volumen de un flujo de aire
US87905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residual biocide from a decontamination area
JP7116873B2 (ja) 病原微生物増殖抑制装置
CN212440492U (zh) 一种多功能可自洁医院空气净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