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620B1 - Tools for rebar clip - Google Patents
Tools for rebar cli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8620B1 KR101988620B1 KR1020180089901A KR20180089901A KR101988620B1 KR 101988620 B1 KR101988620 B1 KR 101988620B1 KR 1020180089901 A KR1020180089901 A KR 1020180089901A KR 20180089901 A KR20180089901 A KR 20180089901A KR 101988620 B1 KR101988620 B1 KR 1019886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ip
- reinforcing
- reinforcing bar
- reinforced bar
- fix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146—Clip clamping hand too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E04C5/167—Connection by means of c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공구의 수용부에 철근 결속클립의 연결 부재 측 단부를 삽입하여 파지한 상태에서 서로 직교하는 제1철근과 제2철근을 쉽게 고정할 수 있고, 직교하는 철근을 상호 고정한 후에는 철근 결속클립으로부터 치공구를 쉽게 분리해낼 수 있어 작업성 및 안전성이 우수한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에 대한 것이다. The first reinforcing bars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s, which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can be easily fixed by holding the connecting member side end of the reinforcing clip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tool, and after the orthogonal reinforcing bars are fixed to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l for a reinforcing bar clip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safety since the tool can easily be separated from the clip.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높은 압축강도를 갖는 콘크리트 내부에 인장강도가 높은 철근을 배근하여 보강함으로써,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한 후에도 충분한 변형 성능과 내력이 확보되도록 한 것이다.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reinforces the reinforced concrete with high tensile strength inside the concrete with high compressive strength, so that sufficient deformation performance and strength are ensured even after the crack occurs in the concrete.
이때, 콘크리트 내부에 배근되는 철근은 통상 이방향으로 교차 배근된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bars laid inside the concrete are generally cross-oriented in this direction.
이렇게 교차되는 철근은 일반적으로 철근 결속구를 이용하여 철사와 같은 결속선으로 교차부를 묶어 결속한다. The reinforced bars are usually bound by tying the intersections with wires such as wires using reinforcing bars.
그러나 이러한 철근 결속 작업은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번거로우며 결속 상태가 균일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However, these reinforcing bar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y require a long working time, are cumbersome, and the bonding state is not uniform.
이에 직교하는 철근의 교차부를 간단하게 결속하면서도 철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원터치 철근 결속클립이 개발되어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등록특허 제10-1614839호).A one-touch reinforcing steel binding clip capable of preventing the detachment of the reinforcing bars while being easily coupled to the intersections of the reinforcing bars orthogonal thereto has been developed and used in the field (Patent Registration No. 10-1614839).
상기 등록기술의 철근 결속클립은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 없이 직접 손으로 설치할 수 있어 편리하다. 그러나 설치 속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높이가 높은 곳에서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전용 공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The reinforcing clip of the above registration technique is convenient because the operator can directly install it manually without a separate tool. However, there is a need for a dedicated tool to increase the installation speed and to ensure the safety of workers in high-altitude work.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호 직교하는 철근의 결속부에서 철근 결속클립을 손쉽게 장착할 수 있는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xture for a reinforcing bar clip capable of easily mounting a reinforcing bar binding clip in a binding portion of reinforcing bars orthogonal to each other.
본 발명은 철근 결속클립 설치 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시공성이 우수하고, 고소 작업 등의 경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l for a reinforcing bar clip which can be easily removed after installing a reinforcing bar clip, has excellent workability, and can ensure the safety of a worker in the case of a high-altitude work.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서로 직교하는 제1철근과 제2철근을 상호 고정하기 위해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측 부재의 일단이 연결 부재로 연결되어 사이에 제1철근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 부재의 타단에 수직 방향으로 받침 부재가 각각 돌출되어 상면에 제2철근 거치홈이 형성되는 철근 결속클립을 파지하여 상기 제1철근과 제2철근을 고정하기 위한 치공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철근 결속클립의 연결 부재 측 단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후면에는 철근 결속클립 회전시 철근 결속클립 측 부재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는 제1철근이 삽입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된 클립 고정부; 및 상기 클립 고정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side members, which are parallel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to fix a first reinforcing bar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a fixture for fixing the first reinforcing bar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by gripping a reinforcing bar clip having a second reinforc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rear side of the reinforcing clip side member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ing clip when the reinforcing clip is rotated while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connecting member side end portion of the binding clip is inserted and formed, A clip fixing unit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first reinforcing bar can be inserted; And a grip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lip fixing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xture for a reinforcing bar clip.
삭제delete
삭제delet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는 수용부에 삽입된 철근 결속클립의 전후면을 탄성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ol for a reinforcing bar clip, wherein a pressing member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reinforcing clip inserted in th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portion.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클립 고정부는 좌우로 분할되어 수용부의 폭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p fixing part is divided into right and left parts to adjust the width of the receiving part.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클립 고정부는 좌우로 분할된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폭을 조절하는 연결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p fixing portion includes a first fixing portion and a second fixing portion which are divided into right and left portions, and a connecting member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adjusts the width Wherein the reinforcing bar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bar.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공구의 수용부에 철근 결속클립의 연결 부재 측 단부를 삽입하여 파지한 상태에서 서로 직교하는 제1철근과 제2철근을 철근 결속클립으로 쉽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철근과 제2철근을 철근 결속클립으로 고정한 후에는 철근 결속클립으로부터 치공구를 쉽게 분리해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inforcing bars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s, which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can be easily fixed to the reinforcing bars by inserting the connecting member side end of the reinforcing bars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tool. After fixing the first reinforcing bars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s with the reinforcing bars, the fixtur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reinforcing bars.
그러므로 직교하는 제1, 2철근의 고정 및 철근 결속클립의 분리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이로 인하여 고소 작업 등에도 쉽게 사용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xture for a reinforcing bar clip capable of securing the safety of the worker since the fixing of the orthogonal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and the separation of the reinforcing clip are easy and the workability is excellent. can do.
도 1은 철근 결속클립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와 철근 결속클립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철근 결속클립이 결합된 치공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에 의해 철근이 철근 결속클립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철근 결속클립으로 철근을 고정한 후 치공구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가압 부재가 구비된 본 발명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좌우로 분할된 클립 고정부의 작동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클립 고정부와 손잡이부가 절곡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ing bar binding clip;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ture for a reinforcing clip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ol hole for the reinforcing bar binding clip shown in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tool for a reinforcing bar clip and a reinforcing clip;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ture to which a reinforcing bar clip is couple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inforcing bar is fixed to a reinforcing bar binding clip by means of a fixture for a reinforcing bar binding clip;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fixing a reinforcing bar with a reinforcing bar clip and removing a tool.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xture for a reinforcing clip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pressing member.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clip fixing portions divided into right and left.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clip fixing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are bent.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철근 결속클립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와 철근 결속클립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철근 결속클립이 결합된 치공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아울러 도 6은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에 의해 철근이 철근 결속클립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철근 결속클립으로 철근을 고정한 후 치공구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ing bar clip,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ture for a reinforcing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xture for a reinforcing bar clip shown in FIG.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tool for a reinforcing bar clip and a reinforcing clip,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l having a reinforcing clip coupled thereto.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reinforcing bar is fixed to a reinforcing clip by a fixture for a reinforcing bar clip,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ixing a reinforcing bar and fixing the reinforcing bar with a reinforcing clip.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는 서로 직교하는 제1철근(1a)과 제2철근(1b)을 상호 고정하기 위해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측 부재(21)의 일단이 연결 부재(22)로 연결되어 사이에 제1철근 거치홈(23)이 형성되고, 상기 측 부재(21)의 타단에 수직 방향으로 받침 부재(24)가 각각 돌출되어 상면에 제2철근 거치홈(25)이 형성되는 철근 결속클립(2)을 파지하여 상기 제1철근(1a)과 제2철근(1b)을 고정하기 위한 치공구(3)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철근 결속클립(2)의 연결 부재(22) 측 단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311) 후면에는 철근 결속클립(2) 회전시 철근 결속클립(2) 측 부재(21)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12)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312)의 상부에는 제1철근(1a)이 삽입 가능한 삽입홈(313)이 형성된 클립 고정부(31); 및 상기 클립 고정부(31)의 하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to 7, the fixture for a reinforcing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side members 21 (hereinafter, referred to as " first reinforcing bars " And a supporting
본 발명은 상호 직교하는 철근(1a, 1b)을 고정하기 위한 철근 결속클립(2)을 손쉽게 장착할 수 있고, 설치 후 철근 결속클립(2)으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xture for a reinforcing bar clip which can easily mount reinforcin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근 결속클립(2)은 서로 직교하는 제1철근(1a)과 제2철근(1b)을 상호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1, the
상기 철근 결속클립(2)은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측 부재(21)의 일단이 연결 부재(22)로 연결되어 사이에 제1철근 거치홈(23)이 형성되고, 상기 측 부재(21)의 타단에 수직 방향으로 받침 부재(24)가 각각 돌출되어 상면에 제2철근 거치홈(25)이 형성된다.The reinforcing
상기 한 쌍의 측 부재(21)와 연결 부재(22)에 의하여 사이에 형성된 제1철근 거치홈(23)에는 제1철근(1a)이 통과된다. The first reinforcing bar 1a passes through the first reinforcing
상기 측 부재(21)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받침 부재(24)의 상면에 형성된 제2철근 거치홈(25)에는 제2철근(1b)이 안착된다. The
상기 철근 결속클립(2)은 제1철근 거치홈(23)과 제2철근 거치홈(25)에 각각 서로 직교하는 제1철근(1a)과 제2철근(1b)이 위치되어, 제1철근(1a)과 제2철근(1b)을 고정한다.The first reinforcing bar 1a and the
상기 치공구(3)는 철근 결속클립(2)을 파지하여 상기 제1철근(1a)과 제2철근(1b)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The
상기 치공구(3)는 상부의 클립 고정부(31)와 하부의 손잡이부(32)로 구성된다. The
도 2,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 고정부(31)는 상기 철근 결속클립(2)의 연결 부재(22) 측 단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311)가 형성된다. 2 and 4 and so on, the
상기 수용부(311)는 철근 결속클립(2)의 연결 부재(22) 측 단부의 두께 및 폭과 대응되는 두께와 폭을 갖도록 형성하여, 일단 삽입된 철근 결속클립(2)이 철근 결속클립(2)의 자중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상기 손잡이부(32)는 클립 고정부(31)의 하부에 형성된다.The
즉, 상기 클립 고정부(31)의 수용부(311)가 형성된 반대 측에는 작업자가 쥐고 철근 결속클립(2)을 설치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32)가 형성된다.That i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상기 치공구(3)를 이용하여 철근 결속클립(2)을 파지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고정부(31)의 수용부(311)에 철근 결속클립(2)의 받침 부재(24)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철근 결속클립(2)을 거꾸로 하여 삽입할 수 있다. 4 shows a process of gripping the reinforcing
이에 따라 도 5와 같이, 치공구(3)에 철근 결속클립(2)이 장착된다. Thus, as shown in Fig. 5, the reinforcing
이후 도 6과 같이, 치공구(3)를 거꾸로 돌려 제1철근 거치홈(23)에 제1철근(1a)이 삽입되도록 철근 결속클립(2)을 제1철근(1a) 상부에 밀착시킨 후 치공구(3)를 회전시켜 철근 결속클립(2)의 제2철근 거치홈(25)에 제2철근(1b)이 삽입되도록 한다. 6, the reinforcing
그리고 상기 제2철근 거치홈(25)에 제2철근(1b)이 안착되어 받침 부재(24)가 제2철근(1b)의 하부에 걸리면, 도 7과 같이 치공구(3)를 상부로 당겨 철근 결속클립(2)을 치공구(3)에서 분리한다.When the second reinforcing
이에 따라 치공구(3)가 철근 결속클립(2)을 파지한 상태에서 제1철근(1a)과 제2철근(1b)을 쉽게 고정할 수 있고, 제1철근(1a)과 제2철근(1b)을 고정한 후에는 철근 결속클립(2)으로부터 치공구(3)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The first reinforcing bar 1a and the
그러므로 제1철근(1a)과 제2철근(1b)의 고정 및 철근 결속클립(2)의 분리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이로 인하여 고소 작업 등에도 쉽게 사용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easy to fix the first reinforcing bar 1a and the second reinforcing
상기 치공구(3)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으로 제작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The
도 2 내지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 고정부(31)의 수용부(311) 후면에는 철근 결속클립(2)의 측 부재(21)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부(312)가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2 to 5 and so on, a supporting
상기 철근 결속클립(2)을 제1철근(1a)의 상부에 밀착시켜 제1철근 거치홈(23)에 제1철근(1a)을 삽입한 후, 제2철근(1b)을 받침 부재(24) 상부의 제2철근 거치홈(25)에 안착시키기 위해 철근 결속클립(2)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철근 결속클립(2)이 클립 고정부(31)의 수용부(311)에서 이탈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따라서 철근 결속클립(2)이 클립 고정부(31)의 수용부(3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철근 결속클립(2)의 측 부재(21)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12)를 상부로 돌출 형성시킬 수 있다.A supporting
즉, 철근 결속클립(2)이 수용부(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받침 부재(24)가 돌출 형성된 방향과 반대 방향 측의 클립 고정부(31) 벽을 상부로 연장하여 지지부(312)를 형성할 수 있다.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reinforcing
도 2,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12)의 상부에는 제1철근(1a)이 삽입 가능한 삽입홈(313)이 형성될 수 있다. 2, 4 and so on, an
상기 제1철근(1a)에 철근 결속클립(2)의 제1철근 거치홈(23)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지지부(312)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312)의 상부에는 철근 결속클립(2)의 제1철근 거치홈(2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삽입홈(313)을 형성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supporting
도 8은 가압 부재가 구비된 본 발명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xture for a reinforcing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a pressing member.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311)의 내부에는 수용부(311)에 삽입된 철근 결속클립(2)의 전후면을 탄성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33)가 구비될 수 있다. 8, a pressing
상기 치공구(3)의 사용 중 수용부(311)가 헐거워질 경우, 철근 결속클립(2)으로 제1철근(1a)과 제2철근(1b)을 고정하기 전에 치공구(3)에 파지된 철근 결속클립(2)이 수용부(311)에서 탈락할 수 있다. When the receiving
따라서 수용부(311)의 내부에는 철근 결속클립(2)의 전후면을 탄성 가압하여 철근 결속클립(2)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가압 부재(33)가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a pressing
상기 가압 부재(33)는 금속 선재나 판재를 ㄷ자형으로 절곡 형성하여 수용부(311)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The pressing
상기 가압 부재(33)의 하부는 수용부(311)의 저면에 나사 결합 가능하다.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상기 가압 부재(33)의 측벽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가능하다.The side wall of the pressing
상기 가압 부재(33)의 상단은 수용부(311)의 입구에서 외측으로 벌어지게 절곡하여, 수용부(311)에 철근 결속클립(2) 삽입시 걸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인입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도 9는 좌우로 분할된 클립 고정부의 작동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clip fixing portion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 고정부(31)는 좌우로 분할되어 수용부(311)의 폭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9 (a) and 9 (b), the
상기 철근 결속클립(2)은 결속되는 철근의 지름에 따라 다양한 폭으로 구성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이 경우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3) 역시 철근 결속클립(2)의 크기에 맞게 변경해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In this case, the fixture (3) for the reinforcing clip (2) must also be adapted to the size of the reinforcing clip (2).
따라서 다양한 규격의 철근 결속클립(2)에 대해서 단일 치공구(3)를 적용할 수 있도록 클립 고정부(31)를 좌우로 분할하여 수용부(311)의 폭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refore, the width of the receiving
이때, 상기 클립 고정부(31)는 좌우로 분할된 제1고정부(31a)와 제2고정부(31b) 및 상기 제1고정부(31a)와 제2고정부(31b)의 사이에 구비되어 폭을 조절하는 연결 부재(34)로 구성 가능하다. The
상기 클립 고정부(31)는 중앙에서 제1고정부(31a)와 제2고정부(31b)로 좌우로 분할하되, 제1고정부(31a)와 제2고정부(31b)는 연결 부재(34)로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이때, 상기 제1고정부(31a)와 제2고정부(31b)는 상호 대면하는 단부가 개방되어 연결 부재(34)의 양측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상기 제1고정부(31a)와 제2고정부(31b)의 내부는 각각 연결 부재(34)와 스프링(미도시) 등에 의해 탄성 결합함으로써, 제1고정부(31a)와 제2고정부(31b)가 상호 오므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inside of the
상기 제1고정부(31a)와 제2고정부(31b)는 철근 결속클립(2)의 폭에 따라 사이가 벌어질 수 있다.The
이에 따라 다양한 폭의 철근 결속클립(2)을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제1고정부(31a) 및 제2고정부(31b)와 연결 부재(34)의 내부 탄성에 의해 좌우의 제1고정부(31a)와 제2고정부(31b)가 철근 결속클립(2)의 양측을 가압할 수 있으므로, 수용부(311)에 삽입된 철근 결속클립(2)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the reinforcing
이 경우, 상기 손잡이부(32)는 연결 부재(34)의 하부에 연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도 10은 클립 고정부와 손잡이부가 절곡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10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clip fixing part and the handle are bent.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2)를 클립 고정부(31)와 45도 정도 경사지게 절곡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편안한 각도에서 철근 결속클립(2)으로 철근을 결속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1a: 제1철근 1b: 제2철근
2: 철근 결속클립 21: 측 부재
22: 연결 부재 23: 제1철근 거치홈
24: 받침 부재 25: 제2철근 거치홈
3: 치공구 31: 클립 고정부
31a: 제1고정부 31b: 제2고정부
311: 수용부 312: 지지부
313: 삽입홈 32: 손잡이부
33: 가압 부재 34: 연결 부재1a: first reinforcing
2: reinforcing clip 21: side member
22: connecting member 23: first reinforcing bar groove
24: Support member 25: Second reinforcing bar fixing groove
3: tool 31: clip fixing part
31a: first fixing
311: accommodating portion 312: supporting portion
313: insertion groove 32: handle portion
33: pressing member 34: connecting member
Claims (6)
상기 철근 결속클립(2)의 연결 부재(22) 측 단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311) 후면에는 철근 결속클립(2) 회전시 철근 결속클립(2) 측 부재(21)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12)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312)의 상부에는 제1철근(1a)이 삽입 가능한 삽입홈(313)이 형성된 클립 고정부(31); 및
상기 클립 고정부(31)의 하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
One end of a pair of side members (21) parallel to each other is connected by a connecting member (22) to fix the first reinforcing bar (1a)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1b)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a reinforcing clamping clip 2 in which a supporting member 24 protru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ther end of the side member 21 and on which a second reinforcing bar fixing groove 25 is formed, (3) for fixing the first reinforcing bars (1a)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s (1b)
A reinforcing clip (2)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311) in which the end of the reinforcing clip (2) on th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22) A supporting portion 312 for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side member 21 is protruded upward and an insertion groove 313 into which the first reinforcing bar 1a can be inserted is formed on the supporting portion 312, (31); And
A grip portion 32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lip fixing portion 31; Wherein the reinforcing bars are made of steel.
상기 수용부(311)의 내부에는 수용부(311)에 삽입된 철근 결속클립(2)의 전후면을 탄성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3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reinforcing member (33)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reinforcing clip (2)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311) is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311).
상기 클립 고정부(31)는 좌우로 분할되어 수용부(311)의 폭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lip fixing part (31) is divided into right and left parts to adjust the width of the accommodating part (311).
상기 클립 고정부(31)는 좌우로 분할된 제1고정부(31a)와 제2고정부(31b) 및 상기 제1고정부(31a)와 제2고정부(31b)의 사이에 구비되어 폭을 조절하는 연결 부재(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클립용 치공구.The method of claim 5,
The clip fixing part 31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31a and the second fixing part 31b which are divided into right and left parts and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31a and the second fixing part 31b, And a connecting member (34) for adjusting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9901A KR101988620B1 (en) | 2018-08-01 | 2018-08-01 | Tools for rebar cli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9901A KR101988620B1 (en) | 2018-08-01 | 2018-08-01 | Tools for rebar cli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88620B1 true KR101988620B1 (en) | 2019-06-18 |
Family
ID=6710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9901A Expired - Fee Related KR101988620B1 (en) | 2018-08-01 | 2018-08-01 | Tools for rebar cli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8620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9566U (en) | 1998-07-24 | 1998-10-26 | 안현균 | Rebar ties handle |
JPH11336259A (en) * | 1998-05-26 | 1999-12-07 | Fukutomi Kinzoku Kk | Binding tool for rod-shaped body crossing section |
JP2008297710A (en) * | 2007-05-29 | 2008-12-11 | Sapuron Kenzai Kogyo Kk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binding reinforcements together |
KR20110045221A (en) * | 2009-10-26 | 2011-05-04 | 정진우 | Rebar binding device |
KR101614839B1 (en) * | 2015-03-20 | 2016-04-22 | 김형섭 | Rebar Clip |
-
2018
- 2018-08-01 KR KR1020180089901A patent/KR10198862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36259A (en) * | 1998-05-26 | 1999-12-07 | Fukutomi Kinzoku Kk | Binding tool for rod-shaped body crossing section |
KR19980059566U (en) | 1998-07-24 | 1998-10-26 | 안현균 | Rebar ties handle |
JP2008297710A (en) * | 2007-05-29 | 2008-12-11 | Sapuron Kenzai Kogyo Kk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binding reinforcements together |
KR20110045221A (en) * | 2009-10-26 | 2011-05-04 | 정진우 | Rebar binding device |
KR101614839B1 (en) * | 2015-03-20 | 2016-04-22 | 김형섭 | Rebar Clip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739082C (en) | Pipe clamp with flexible fingers | |
US8117796B2 (en) | System for attaching reinforcing bars | |
JP2008500475A (en) | Mounting clip for siding | |
GB2231635A (en) | Pipe or cable clip | |
RU2495733C1 (en) | Modular cutting tool | |
KR101988620B1 (en) | Tools for rebar clip | |
US10498123B2 (en) | Support bracket for mounting octagonal boxes on furring channels | |
JP6184303B2 (en) | Horizontal stripe holder | |
KR20190021039A (en) | Graiting stopper | |
KR200223945Y1 (en) | A cable hanger for cable holder | |
KR200269701Y1 (en) | cable clamp | |
JP2019019565A (en) | Ceiling board fitting auxiliary tool and ceiling board fitting method | |
KR20080010785A (en) | Clamp for Fixing Cable | |
JPS6133791Y2 (en) | ||
JPS62346Y2 (en) | ||
JP6852900B2 (en) | Piping mounting bracket | |
EP0632556A1 (en) | A cable support bracket | |
EP1753107B1 (en) | Clamping piece | |
JP7278128B2 (en) | Hanging jig | |
JPH0721984Y2 (en) | Suspension member support | |
JP2559639B2 (en) | Box erection tool for concrete burial | |
JP2005130632A (en) | Fixture for cable support insert | |
JPH04339960A (en) | lever scaffolding board clamp | |
JP2017169302A (en) | Connection terminal box auxiliary clamp | |
US20050218578A1 (en) | Fixing pincers for ceiling boar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8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