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87162B1 - Assembly structure of medical bed - Google Patents

Assembly structure of medical b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162B1
KR101987162B1 KR1020180139762A KR20180139762A KR101987162B1 KR 101987162 B1 KR101987162 B1 KR 101987162B1 KR 1020180139762 A KR1020180139762 A KR 1020180139762A KR 20180139762 A KR20180139762 A KR 20180139762A KR 101987162 B1 KR101987162 B1 KR 101987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ir
seating
type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7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우영
Original Assignee
박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영 filed Critical 박우영
Priority to KR1020180139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1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16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05Bedstead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wel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be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structure of the medical bed comprising: a base part; an intermediate fram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art in a fixed or height-adjustable type and having a quadrangular frame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longitudinal and horizontal ba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mat fram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djusting plates for adjusting an angle of a mattress placed on the upper part in which the mat frame is coupled to a middle frame by a coupling means in a state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termediate frame. Therefore, since the medical bed is formed to distribute a load and a volume thereof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mat frame longer than a height of a person can be separated and assembled, a worker can easily deliver the same even alone and operation thereof is easy during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thereof.

Description

의료용침대의 조립구조{Assembly structure of medical bed}[0002] Assembly structures of medical beds [0003]

본 발명은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트프레임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며 그 조립구조가 견고하여 작업자 혼자서도 의료용침대를 이송 및 설치할 수 있으며, 조립시 그 내구성이 증진되는 의료용침대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b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dical bed capable of easily separating and assembling a mat frame and having a rigid assembling structure so that a medical bed can be transferred and installed by a worker alone and the durability of a medical bed Structure.

일반적으로 복지용구란 심신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지장이 있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노인장기 요양보험 대상자의 일상생활 또는 신체활동 지원에 필요한 용구로서,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것이며, 사용자가 직접 구입해야 하는 구입전용품목과 사용자가 구입하거나 대여할 수 있는 구입/대여품목으로 구별된다.In general, welfare equipment is the equipment requir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to support the daily life or physical activity of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recipi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daily life due to their inferior mental and physical functions, It is distinguished by purchase-only items that the user must purchase directly, and purchase / rental items that the user can purchase or rent.

일례로, 구입전용품목은 이동변기, 목욕의자, 보행차, 보행보조차, 안전손잡이, 미끄럼 방지용품(미끄럼방지매트, 미끄럼방지액, 미끄럼방지양말), 간이변기(간이대변기ㆍ소변기), 지팡이, 욕창예방 방석 등이 있으며, 구입/대여품목은 수동휠체어, 전동침대, 수동침대, 욕창예방 매트리스, 이동욕조, 목욕리프트 등이 있다.For example, the items to be purchased are movable toilets, bath stools, walking trolleys, walking aids, safety handles, anti-slip products (non-slip mats, non-slip lids, non-slip socks), simple toilets , Bedsore prevention cushion, etc. Purchase / rental items include manual wheelchair, electric bed, manual bed, bed rest prevention mattress, mobile bathtub, bath lift.

여기서, 특히 전동침대의 경우 짧게는 수일, 길게는 수개월이나 1년 이상의 대여 기간동안 사용자에게 대여된 후, 대여 기간이 지나면 대여업체에서 회수하여 소독, 고장보수 등을 수행한 후 대여되는 품목이다.In particular, the electric bed is rented after being rented to the user for a short period of several days, for a long period of several months or more than 1 year, and after the rental period, the rental company collects the money and performs disinfection and repair.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전동침대는 한번 조립이 완료되면 분해 및 결합이 불가능하거나 난해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트리스가 안치되는 프레임 부분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운반 및 조립 시에 그 하중이 상당하므로 최소 2인 이상이 동원되어야 하는 바, 침대의 대여 및 회수를 위한 해체, 조립 및 운반이 불편하며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lectric bed of the related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disassembly and coupling are impossible or complicated once the assembly is completed, and the frame portion in which the mattress is placed is formed as an integral body, It is inconvenient to disassemble, assemble and transport for borrowing and collecting the bed, and it has a problem that a labor cost is larg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7245호Korean Patent No. 10-1317245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람의 신장(身長)보다 길이가 긴 매트프레임이 분리 및 조립 가능한 구조로 그 하중 및 부피가 분산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 혼자서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그 설치 및 보수시에도 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의료용침대의 조립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Accordingly,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 mat frame having a longer length than a person's height can be separated and assembled, and its load and volume are dispersed so that a worker can easily carry the mat frame easily. And to provide a structure for assembling a medical bed which is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even when the patient is a patient.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의한 의료용침대의 조립구조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고정형 또는 높이 조절형으로 결합되며 한 쌍의 종바 및 횡바가 서로 연결된 4각틀 구조로 구성되는 중간프레임; 상부에 안치되는 매트리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조절판이 마련되며, 상기 중간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수단에 의해 중간프레임과 결합되는 매트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ssembly structure for a medical bed comprising: a base; An intermediate fram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in a fixed or height-adjustable manner and having a quadrangular frame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vertical bars and transverse ba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mat fram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djustment plates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mattress to be placed on the upper portion and being coupled to the intermediate frame by the coupling means while being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frame.

이때, 상기 매트프레임은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이 서로 결합되어 이뤄지는 구조로, 상기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은 각각 상기 중간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서 인입되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중간프레임과의 결합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mat fram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drawn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termediate frame, respectively, And coupling with the intermediate frame is performed.

또한, 상기 제 1프레임은 나란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제 1종프레임 및 상기 제 1종프레임과 나란하며 그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날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프레임은 나란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제 2종프레임 및 상기 제 2종프레임과 나란하며 그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날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한 쌍이 나란하게 이격되는 상기 제 1종프레임 및 상기 제 2종프레임의 이격된 간격은 상기 중간프레임에 구성되는 한 쌍의 종바 간 이격된 간격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상기 중간프레임과 매트프레임 간 결합시, 상기 제 1종프레임과 제 2종프레임은 상기 종바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frame may include a pair of first type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and a pair of first wing frames arrang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type frame, A pair of second type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and a pair of second wing frames arranged in parallel with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type frame, Wherein the spacing distance of the second type frame is the same as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spacing formed in the intermediate frame so that when coupling between the intermediate frame and the mat frame, And is supported on the longitudinal bar.

일례로써, 상기 결합수단은, 한 쌍의 상기 종바 외면에 대칭되게 구성되며 양측을 향해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브라켓; 한 쌍의 상기 제 1종프레임 중 상기 제 2프레임을 향하는 끝단부에서 각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중간프레임과 제 1프레임 간 결합 시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 1안착돌기; 한 쌍의 상기 제 2종프레임 중 상기 제 1프레임을 향하는 끝단부에서 각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중간프레임과 제 2프레임 간 결합시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 2안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example, the engaging means may include: a seating bracket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to a pair of the vertical outer surfaces and having a seating groove formed toward both sides; A first seating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n end portion of the pair of first type frames toward the second frame and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when the intermediate frame and the first frame are coupled; And a second seating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n end portion of the pair of second type frames toward the first frame and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when the intermediate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coupled to each other .

다른 예로써, 상기 결합수단은, 한 쌍의 상기 제 1종프레임의 외측에 각각 구성되고 상기 제 1안착돌기와 일정 간격 이격되며 제 1체결홀이 형성되는 제 1가이드브라켓; 한 쌍의 상기 제 2종프레임의 외측에 각각 구성되고 상기 제 2안착돌기와 일정 간격 이격되며 제 2체결홀이 형성되는 제 2가이드브라켓; 상기 종바의 선단 및 후단부 외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중간프레임과 매트프레임 간 결합 시, 상기 제 1체결홀 및 제 2체결홀의 대응 위치에 형성되는 체결공; 상기 제 1체결홀 및 제 2체결홀이 상기 체결공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들을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xample, the engaging means may include: a first guide bracket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pair of first type frames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ating projections and having a first fastening hole; A second guide bracket formed outside a pair of the second type frames, the second guide bracket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eating projections and having a second fastening hole; A fastening hole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when the middle frame and the mat frame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in a state where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are located in the fastening hole.

이때, 상기 안착브라켓은 그 양측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꺽임단이 형성되고, 상기 꺽임단과 상기 종바 간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eating brackets are formed with bent ends formed by bending outward at both ends thereof, and spaced spaces are formed between the bent ends and the vertical bars.

하나의 예로써, 상기 이격공간에는 상기 제 1안착돌기 및 제 2안착돌기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서로 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구가 더 구성되되, 상기 체결구는, 단면의 형상이 상기 이격공간에 대응되는 한 쌍의 측부; 상기 측부의 상단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one example, the spacing space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hole for preventing the first seating projection and the second seating projec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first seating projection and the second seating projection are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A pair of sid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spacing spaces;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side portions.

이때, 상기 측부의 일면 중 한 쌍이 마련되는 상기 체결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돌출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protruding surfaces are formed on mutually facing surfaces of the fastening holes provided with one pair of the side surfaces.

또한, 상기 제 1가이드브라켓 및 제 2가이드브라켓은 그 하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침대의 조립구조.Wherein the first guide bracket and the second guide bracket are provided with folded ends formed by bending the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bracket and the second guide bracket outwardly.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침대의 조립구조는 사람의 신장(身長)보다 길이가 긴 매트프레임이 그 하중 및 부피가 분산될 수 있도록 분리 및 조립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작업자 혼자서도 의료용침대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설치 및 보수 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The structure for assembling the medic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ed such that the mat frame having a longer length than a person's height can be separated and assembled so that the load and the volume can be dispersed so that the worker can easily carry the medical bed And the workability during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is grea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침대의 조립구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중간프레임 및 매트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중간프레임과 제 1프레임 간 결합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중간프레임과 제 2프레임 간 결합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중간프레임 및 매트프레임 간 결합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안착브라켓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체결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체결구가 안착브라켓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체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ssembling structure of a medic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termediate frame and a mat frame, which ar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coupling between an intermediate frame and a first frame,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upling between an intermediate frame and a second frame,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and Fig. 5B are front views showing an example of inter-frame and mat frame interlocking,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ating bracket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astening member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operational states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fastener,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eating bracket;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astening tool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upling means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hi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침대의 조립구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중간프레임 및 매트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중간프레임과 제 1프레임 간 결합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중간프레임과 제 2프레임 간 결합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중간프레임 및 매트프레임 간 결합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안착브라켓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체결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체결구가 안착브라켓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체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termediate frame and a mat frame, which are a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a and 3b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edic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coupling between an intermediate frame and a first frame, FIGS. 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coupling between an intermediate frame and a second frame,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A and 5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combination between an intermediate frame and a mat frame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ating bracket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fastener,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eating bracket,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er, Fig.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astening tool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침대의 조립구조는 매트프레임(300)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며 그 조립구조가 견고하여 작업자 혼자서도 의료용침대의 이송 및 설치가 가능하며 내구성이 증진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침대의 조립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 중간프레임(200) 및 매트프레임(3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medic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at frame 300 can be easily separated and assembled and its assembling structure is robust so that the worker can transport and install the medical bed alone and enhance durability.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dical b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상기 베이스부(100)는 상기 중간프레임(200)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중간프레임(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바닥면에 복수의 이송휠(120)을 마련하여 의료용침대가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프레임(200)의 승강을 제어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110)이 더 구성될 수도 있다.The base unit 100 is disposed below the intermediate frame 200 so that the intermediate frame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height.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feed wheels 120 And a height adjuster 110 for controll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intermediate frame 200 may be further provided.

그리고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베이스부(100)는 고정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중간프레임(200)을 지지하는 역할만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한 바이다.Although not shown, the base 100 may be fixedly mounted to support the intermediate frame 200.

상기 중간프레임(200)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그 형태는 도 2에서와 같이 한 쌍의 종바(210) 및 횡바(220)가 서로 연결되는 4각틀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와 같이 한 쌍의 종바(21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바(230)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The middle frame 20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100 and has a quadrangular frame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vertical bars 210 and a horizontal bar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And at least one reinforcing bar 230 connecting the pair of lifting bars 210 a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further constructed.

이때, 상기 종바(210)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횡바(220)보다 비교적 긴 길이로 구성되며, 상기 횡바(220)는 상기 종바(210)의 끝단 간을 수직으로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vertical bar 210 has a relatively longer length than the horizontal bar 220 as shown in the figure, and the horizontal bar 220 is vertically connected between the ends of the vertical bar 210.

또한, 상기 매트프레임(300)은 상기 중간프레임(20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수단(400)에 의해 중간프레임(200)과 결합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에는 매트리스를 지지하며 매트리스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조절판(301)이 마련될 수 있다.The mat frame 300 is coupled to the intermediate frame 200 by the coupling means 400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frame 200.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upper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ttle plates 301 that support the mattress and are configur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mattress.

이때, 상기 조절판(301)은 도 1에서 도면상 좌측에서와 같이 3개가 링크구조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하체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면상 우측에서와 같이 비교적 긴 조절판(301) 한 개가 사용자의 상체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ree of the throttle plates 30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ink structure as shown in the left side of FIG. 1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ower body of the user, and one of the relatively long throttle plates 301 And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ody of the user.

이하,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매트프레임(300)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mat frame 300,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5. FIG.

본 실시 예에 따른 매트프레임(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프레임(310)과 제 2프레임(320)이 서로 결합되어 이뤄지도록 하여 매트프레임(300)의 이송 및 설치시 제 1프레임(310)과 제 2프레임(320)을 분리하여 그 하중 및 부피를 분산시킴에 따라 이송 및 설치에 관한 작업 효율이 크게 개선될 수 있게 된다.2, the first frame 310 and the second frame 32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frame 310 and the second frame 32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separating the frame (310) and the second frame (320) and dispersing the load and the volume thereof, the working efficiency in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can be greatly improved.

일반적으로 사람의 키보다 크게 제작되는 침대의 특성상 매트리스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매트프레임(300) 역시 그 하중 및 부피가 상당하여 일체로 제작되는 매트프레임(300)의 경우 작업자가 적어도 둘 이상이 함께 운반해야 하며 특히 좁은 복도 등을 통과하거나 커브 구간에서는 작업효율이 현저히 저하된다.In general, a mat frame 300 configured to support a mattress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f a bed made larger than a person's key also has a large load and a large volume, so that the mat frame 300, which is integrally manufactured, In particular, work efficiency is significantly reduced in a narrow passage or in a curve section.

따라서, 상기와 같이 매트프레임(300)이 제 1프레임(310)과 제 2프레임(320)으로 분리 가능하며 이들을 조립하여 완성되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작업자 혼자서도 제 1프레임(310)과 제 2프레임(320)으로 분리시킨 매트프레임(300)의 이송이 가능해지며 특히, 좁은 복도나 커브구간에서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중간프레임(200)과의 조립시 분리되어 하중이 분산된 제 1프레임(310)과 제 2프레임(320)을 순차적으로 중간프레임(200)에 조립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운송 및 설치에 관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us, the mat frame 300 can be separated into the first frame 310 and the second frame 320, and the first frame 310 and the second frame 320 can be assembled and completed, It is possible to convey the mat frame 300, which is separated from the floor panel 320, particularly in a narrow corridor or a curved section. The first frame 310 and the second frame 320,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assembled with the intermediate frame 200, can be sequentially assembled to the intermediate frame 200. As a result, It can be greatly improved.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프레임(310) 및 제 2프레임(3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중간프레임(200)의 일측과 타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인입되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수단(400)에 의해 중간프레임(200)과의 결합이 이뤄질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first frame 310 and the second frame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respectively drawn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termediate frame 200, So that the coupling with the intermediate frame 200 can be performed by the coupling means 400.

이때, 상기 제 1프레임(3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제 1종프레임(311) 및 상기 제 1종프레임(311)과 나란하며 그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날개프레임(3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frame 310 includes a pair of first type frames 3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2, and a pair of first and second frames 311 and 311, And a first wing frame 313 of the first wing 313.

그리고 상기 제 2프레임(320) 역시 나란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제 2종프레임(321) 및 상기 제 2종프레임(321)과 나란하며 그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날개프레임(3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frame 320 includes a pair of second type frames 32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air of second wing frames 323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type frame 321, As shown in FIG.

이때, 한 쌍이 나란하게 이격되는 상기 제 1종프레임(311) 및 상기 제 2종프레임(321)의 이격된 간격은 상기 중간프레임(200)에 구성되는 한 쌍의 종바(210) 간 이격된 간격과 동일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중간프레임(200)과 매트프레임(300) 간 결합시, 상기 제 1종프레임(311)과 제 2종프레임(321)이 상기 종바(210)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구조를 취하게 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부여될 수 있게 된다.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type frame 311 and the second type frame 321,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ai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between a pair of vertical bars 210 formed in the middle frame 200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type frame 311 and the second type frame 321 are seated and supported on the vertical bar 210 when the middle frame 200 and the mat frame 300 are coupled So that structural stability can be imparted.

또한, 상기 제 1종프레임(311) 및 제 종2프레임에는 그 외측으로 한 쌍의 제 1날개프레임(313)과 제 2날개프레임(323)이 구성되되, 한 쌍의 제 1날개프레임(313)의 간격 및 한 쌍의 제 2날개프레임(323)의 간격은 침대 사이즈 즉, 매트리스의 폭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게 된다.A pair of first wing frames 313 and a second wing frame 323 are formed outside the first type frame 311 and the second type frame,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second wing frames 323 can be variously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bed size, that is, the width of the mattress.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결합수단(400)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2 to 9, specific embodiments of the coupling means 400,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 1실시 예에 따른 결합수단(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브라켓(410), 제 1안착돌기(421) 및 제 2안착돌기(42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coupling means 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ating bracket 410, a first seating projection 421, and a second seating projection 422 as shown in FIG.

먼저, 상기 안착브라켓(410)은 한 쌍의 종바(210) 외면 일 지점에서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을 향하는 오목한 안착홈(412)이 형성된다.First, the seating brackets 410 are symmetr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t one point on an outer surface of a pair of vertical bars 210, and concave seating grooves 412 facing both sides are formed as shown in FIG. 3A.

이때, 상기 안착브라켓(410)은 상기 종바(210)의 외면 일 지점 중 상기 제 1프레임(310)과 제 2프레임(320) 간 맞닿는 지점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착브라켓(410)은 상기 종바(210)에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seating bracket 410 may be positioned at a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first frame 310 and the second frame 320 at one poin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bar 210. In addition, the seating bracket 410 may be welded to the vertical bar 210, or may be coupled by various coupling methods.

상기 제 1안착돌기(421)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1종프레임(311)에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종프레임(311)의 양 단 중 제 2프레임(320)을 향하는 끝단지점에서 각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중간프레임(200)과 제 1프레임(310) 간 결합시 상기 안착홈(412)에 제 1안착돌기(421)가 안착될 수 있게 된다.3A, the first seating protrusions 421 are formed in a pair of first type frames 311, and the second seating frames 320 of both ends of the first type frame 311 The first seating protrusion 421 may be seated in the seating recess 412 when the intermediate frame 200 and the first frame 310 are coupl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

그리고 상기 제 2안착돌기(422)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2종프레임(321)에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2종프레임(321)의 양 단 중 제 1프레임(310)을 향하는 끝단지점에서 각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중간프레임(200)과 제 2프레임(320) 간 결합시 상기 안착홈(412)에 제 2안착돌기(422)가 안착될 수 있게 된다.4A, the second mounting protrusions 422 are formed in a pair of second type frames 321, and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rotrusions 421, The second seating protrusion 422 is seated in the seating recess 412 when the middle frame 200 and the second frame 320 are coupled as shown in FIG. 4B .

한편, 상기 결합수단(400)에는 상기 중간프레임(200)과 매트프레임(300) 간 보다 조립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 1가이드브라켓(430), 제 2가이드브라켓(440), 체결공(450) 및 체결부재(4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bracket 430 and the second guide bracket 430 are formed on the coupling unit 400 so that they can be more easily assembled and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than between the intermediate frame 200 and the mat frame 300. [ 440, a fastening hole 450, and a fastening member 460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 1가이드브라켓(43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종프레임(311)의 외측에 한 쌍이 대칭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안착돌기(421)와는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As shown in FIG. 3A, the first guide bracket 430 is symmetrically arrang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type frame 311,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ating projections 4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제 1가이드브라켓(43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후면을 관통하는 제 1체결홀(432)이 형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guide bracket 430 is formed with a first fastening hole 432 passing through its front and rear surfaces.

아울러, 상기 제 1가이드브라켓(430)은 상기 제 1종프레임(311)의 하측으로 연장되되, 그 연장되는 길이는 제 1종프레임(311)이 상기 종바(2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종바(210)의 하단보다 더 돌출하지 않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며, 그 끝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되는 제 1절곡단(431)이 마련된다.The first guide bracket 430 extends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type frame 311 and the length of the first guide bracket 430 is extended from the first type frame 311 in a state where the first type frame 311 is seated on the vertical bar 210 210, and a first bending end 431 bent outward is provided at an end thereof.

이어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가이드브라켓(440)은 상기 제 1가이드브라켓(43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 2종프레임(321)의 외측에서 한 쌍이 대칭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2안착돌기(422)와는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As shown in FIG. 4A, the second guide bracket 440 is configured such that one pair of the second guide brackets 440 are symmetrical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type frame 321 like the first guide bracket 43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projections 42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제 2가이드브라켓(440)에는 그 전후면을 관통하는 제 2체결홀(442)이 형성된다.The second guide bracket 440 is formed with a second fastening hole 442 passing through its front and rear surfaces.

아울러, 상기 제 2가이드브라켓(440)은 상기 제 2종프레임(321)의 하측으로 연장되되, 그 연장되는 길이는 제 2종프레임(321)이 상기 종바(2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종바(210)의 하단보다 더 돌출하지 않도록 구성되며, 그 끝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되는 제 2절곡단(441)이 마련된다.The second guide bracket 440 extends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longitudinal frame 321 and the extended length of the second guide bracket 440 is set to be long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second longitudinal frame 321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longitudinal frame 321 is seated on the vertical bar 210 210, and a second bending step 441 is formed at an end thereof to bend outwardly.

상기 제 1가이드브라켓(430)과 상기 제 2가이드브라켓(440)에는 각각 그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되는 제 1절곡단(431) 및 제 2절곡단(441)이 마련되어 상기 제 1프레임(310)과 제 2프레임(320)이 각각 중간프레임(200)과 결합될 때, 한 쌍이 양측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는 제 1가이드브라켓(430) 및 제 2가이드브라켓(440) 사이에 상기 중간프레임(200)을 용이하게 인입시킬 수 있게 된다.The first guide bracket 430 and the second guide bracket 440 are provided with a first folding end 431 and a second folding end 441 whose ends are bent outward so that the first frame 310, The intermediate frame 2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bracket 430 and the second guide bracket 440 which are protruded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frame 200 when the second frame 320 and the second frame 320 are coupled to the intermediate frame 200, As shown in FIG.

즉, 작업자는 상기 제 1종프레임(311) 또는 제 2종프레임(321)을 상기 종바(21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도 3a 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을 안착브라켓(410) 측으로 슬라이딩 시키게 되면 상기 중간프레임(200)이 상기 제 1가이드브라켓(430) 또는 제 2가이드브라켓(440) 사이에 쉽게 인입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first type frame 311 or the second type frame 321 is seated on the vertical bar 210, the operator slides the first type frame 311 or the second type frame 321 toward the seating bracket 410 as shown in FIG. 3A or FIG. The intermediate frame 200 can be easily inserted between the first guide bracket 430 and the second guide bracket 440.

그리고 상기 체결공(450)은 상기 종바(210)의 선단 및 후단부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프레임(200)과 매트프레임(300) 간 결합 시, 각각의 체결공(450)은 상기 제 1가이드브라켓(430)의 제 1체결홀(432) 및 제 2가이드브라켓(440)의 제 2체결홀(442)의 대응위치에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intermediate frame 200 and the mat frame 300 are coupled together, the fastening holes 450 are formed on the outer ends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vertical bar 210, Are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first fastening holes 432 of the first guide bracket 430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s 442 of the second guide bracket 440.

상기와 같은 결합수단(400)의 구성에 의해 상기 제 1프레임(310)이 상기 중간프레임(200)과의 결합을 위해 도 3b에서와 같이 한 쌍의 제 1가이드브라켓(430) 사이에 중간프레임(200)이 인입되고 그 상태로 안착브라켓(410)을 향해 더 슬라이딩 되어 제 1안착돌기(421)가 안착브라켓(4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체결홀(432)과 체결공(450)은 서로 대향 배치되므로 이후 나비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460)에 의해 상기 제 1체결홀(432)과 체결공(450)을 서로 결합시켜 상기 중간프레임(200)과 제 1프레임(310)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게 된다.3B, the first frame 310 may be coupled to the intermediate frame 200 by a pair of first guide brackets 430 as shown in FIG. 3B, The first fastening hole 432 and the fastening hole 450 are 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421 is seated on the fastening bracket 410 while the fastening hole 200 is inserted and further slid toward the fastening bracket 410 The intermediate frame 200 and the first frame 31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coupling the first coupling hole 432 and the coupling hole 450 with each other by a coupling member 460 such as a butterfly nut, So that it can be firmly fastened.

마찬가지로 상기 제 2프레임(320)도 상기 중간프레임(200)과의 결합을 위해 도 4b에서와 같이 한 쌍의 제 2가이드브라켓(440) 사이에 중간프레임(200)이 인입되고 그 상태로 안착브라켓(410)을 향해 더 슬리이딩 되어 제 2안착돌기(422)가 상기 안착브라켓(4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체결홀(442)과 체결공(450)은 서로 대향 배치되므로 이후 나비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460)에 의해 상기 제 2체결홀(442)과 체결공(450)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중간프레임(200)과 상기 제 2프레임(320)은 견고히 체결되게 된다.4B, the intermediate frame 200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guide brackets 440 in order to couple the second frame 320 with the intermediate frame 200. In this state, Since the second fastening hole 442 and the fastening hole 450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422 is further slid toward the fastening hole 410 a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422 is seated on the fastening bracket 410, The intermediate frame 200 and the second frame 320 are securely fastened to each other by engaging the second fastening holes 442 with the fastening holes 450 by the fastening member 460 such as the fastening member 460.

한편, 상기 안착브라켓(4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꺽임단(414)이 형성되고, 상기 꺽임단(414)과 상기 종바(210) 간 사이에 이격공간(415)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 1프레임(310) 및 제 2프레임(320)이 한 쌍의 상기 안착브라켓(410)에 사이에 인입될 때 인입되는 과정에서 서로간 간섭을 제어하여 의료용침대의 조립시 그 작업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6, the seating brackets 410 are formed with bent ends 414 formed by bending outward at both ends of the seating brackets 410. Between the bent ends 414 and the vertical bars 210, The first frame 310 and the second frame 320 are interposed between the pair of seating brackets 410 to control the interferences between the first frame 310 and the second frame 320, The work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when the medical bed is assembled.

한편, 상기 제 1안착돌기(421) 및 제 2안착돌기(422)는 상기 안착브라켓(410)의 안착홈(41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460)가 제거되거나 체결부재(460)를 체결하기 전에는 상기 중간프레임(200)과 매트프레임(300) 간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되는 바, 이하에서는 상기 이격공간(415)에 장착되는 것으로, 제 1안착돌기(421) 및 제 2안착돌기(422)가 상기 안착홈(412)에 안착된 상태에서 서로 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구(470)가 더 구성되는 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rotrusions 421 and 422 may be removed from the seating groove 412 of the seating bracket 410 or the coupling member 460 may be removed, The intermediate frame 200 and the mat frame 300 can be easily separated before the intermediate frame 200 is fastened. Hereinafter, the intermediate frame 200 and the mat frame 300 are mounted in the spacing space 415, And a fastener 470 for preventing the fastening portions 422 from separating from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fastening portions 422 are seated in the seating recesses 412. [

상기 체결구(470)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부(472) 및 연결부(47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fastening member 470 includes a pair of side portions 472 and a connecting portion 474 as shown in FIGS.

상기 측부(47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브라켓(410)의 꺽임단(414)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공간(415)에 삽입될 수 있도록 SECT A-A'에서와 같이 그 단면의 형상이 상기 이격공간(415)과 대응되도록 즉, 측부(472)의 일면이 상기 꺽임단(414)이 절곡된 각도와 대응되는 경사면(473)이 마련된다.As shown in FIG. 7, the side portion 472 may be inserted into a spacing space 415 formed by the bent ends 414 of the seating bracket 410, as shown in FIG. An inclined surface 47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portion 472 so that the shape of the side portion 472 corresponds to the spacing space 415. The inclined surface 473 corresponds to the angle at which the bent end 414 is bent.

이러한 상기 측부(472)는 한 쌍이 대칭되게 구성되어 안착브라켓(410)의 양측에 형성되는 이격공간(415)에 동시에 삽입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연결부(474)는 한 쌍의 측부(472)의 상단 간을 연결하여 상기 체결구(470)가 하나의 구성으로써, 작업자는 상기 연결부(474)를 파지한 상태로 이격공간(415)에 한 쌍의 측부(472)를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The pair of side portions 472 are symmetrically formed and are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spacing space 415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bracket 410. The connecting portion 474 is formed by a pair of side portions 472 The fastener 47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so that the operator can insert the pair of side portions 472 into the spacing space 415 while holding the connecting portion 474. [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체결구(470)에 의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412)에 안착돌기가 안착된 이후, 도 8b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구(470)의 측부(472)가 이격공간(415)에 삽입됨에 따라 안측브라켓의 양측에 개방된 구조로 구성되는 안착홈(412)은 폐쇄구조가 되어 그 내측에 인입되어 있는 안착돌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fter the seating protrusion is seated in the seating recess 412 by the fastener 470 as shown in FIG. 8A, the side portion 472 of the fastener 470, as shown in FIG. 8B, The seating groove 412 having a structure that is opened to both sides of the inner bracket as it is inserted into the spacing space 415 becomes a closed structur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ating projections drawn into the inside thereof from being separated.

이는 상기 제 1프레임(310)의 제 1체결홀(432) 및 제 2프레임(320)의 제 2체결홀(442)을 중간브라켓의 체결공(450)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460)의 미설치 중에도 그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므로 중간프레임(200)과 매트프레임(300) 간 단계적 조립에 유리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의료용침대의 견고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is is because the fastening member 460 fastening the first fastening holes 432 of the first frame 310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s 442 of the second frame 320 to the fastening holes 450 of the intermediate bracket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advantageous for the stepwise assembly between the intermediate frame 200 and the mat frame 300, and as a whole, the robustness of the medical bed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부(472)의 일면 중 한 쌍이 대칭되게 마련되는 상기 체결구(47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볼록면(476)이 형성될 수 있는 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 1종프레임(311)과 제 2종프레임(321)이 상기 중간프레임(200)의 종바(210) 상에 안착된 상태로 서로 맞닿게 되는 과정에서 제 1종프레임(311)과 제 2종프레임(321)이 그를 향해 돌출된 상기 볼록면(476)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이격공간(415)에 삽입된 체결구(470)를 꺽임단(414) 측으로 가압하는 효과가 작용되어 상기 체결구(470)는 상기 제 1종프레임(311) 및 제 2종프레임(321)과 안착브라켓(410) 사이에서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9, a convex surface 476 may be formed on the mutually facing surfaces of the fasteners 470, which are symmetrically arranged on one side of the side portions 472, as shown in FIG. The first type frame 311 and the second type frame 32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type frame 311 and the second type type frame 321 are seated on the vertical bar 210 of the intermediate frame 200, The effect of pushing the fastener 470 inserted into the spacing space 415 toward the bent end 414 is applied by pressing the convex surface 476 protruded toward the second frame 321, The sphere 470 can be more firmly coupled between the first type frame 311 and the second type frame 321 and the seating bracket 410.

상기에서는 제 1종프레임(311)과 제 2종프레임(321) 간에 각각에 형성되는 제 1안착돌기(421) 및 제 2안착돌기(422)가 안착브라켓(410)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예에 대해 살펴보았으나,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그 밖에도 상기 제 1종프레임(311)과 제 2종프레임(321) 간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다양한 결합수단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The first seating protrusion 421 and the second seating protrusion 422 which are respectively formed between the first type frame 311 and the second type frame 321 are seated on the seating bracket 410 and coupled The various types of combining means for combining the first type frame 311 and the second type type frame 321 with each other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종프레임(311) 및 제 2종프레임(321) 중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단면적이 크게 구성되되, 작은 쪽이 큰 쪽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그 일례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 2종프레임에는 상기 제 1종프레임(311)이 삽입될 수 있는 홈부(481)를 마련하여 서로 간 결합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0A, one of the first type frame 311 and the second type frame 321 may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other, while a smaller one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 larger side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type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portion 481 into which the first type frame 311 can be inserted, so that they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그리고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종프레임(311)에는 삽입단(482)이 형성되고, 제 2종프레임(321)에는 상기 삽입단(48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483)이 형성되어, 상호 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10 (b), the insertion end 482 is formed in the first type frame 311, and the insertion end 482 is formed in the second type frame 321 so that the insertion end 482 can be inserted. (483) are formed, and they can be easily combined with each other.

다른 예로, 도 10의 (c)에서와 같이 제 1종프레임(311)과 제 2종프레임(321)보다 면적이 크며 양측으로 관통하는 중공(485)이 형성되는 체결관(484)이 마련되고 제 1종프레임(311)과 제 2종프레임(321)는 각각 상기 체결관(484)의 중공(485)에 삽입되어 그 체결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게 된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10C, a fastening pipe 484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type frame 311 and the second type frame 321 and having a hollow 485 penetrating to both sides is provided The first type frame 311 and the second type frame 321 can be inserted into the hollow 485 of the coupling pipe 484 to be easily fastened.

이때, 상기 실시 예들에서 제 1종프레임(311)과 제 2종프레임(321)이 서로 간 삽입되는 방식에 의해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호 간보다 견고히 그 체결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미도시) 등 체결수단에 의해 견고히 체결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type frame 311 and the second type frame 321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a method in which the first type frame 311 and the second type frame 321 are inserted into each other. In order to maintain the fastened state more firmly, And may be tightly fastened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 예로써,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종프레임(311)과 제 2종프레임(321)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체결브라켓(486)에 감싸진 상태로 B-B'단면도에서와 같이 볼트(부호 미도시)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10 (d), the first type frame 311 and the second type type frame 321 are held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fastening bracket 486 May be configured to be fastened by bolts (not shown) as in the B-B 'sectional view.

또한, 도 10의 (e)에서와 같이 제 1종프레임(311)에는 걸이부(488)가 마련되고 제 2종프레임(321)에는 체결클램프(487)이 마련되어 상호 간 맞닿은 상태에서 와이어 형태로 된 체결클램프(487)가 걸이부(488)에 걸리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게 된다.10 (e), a hook 488 is provided in the first type frame 311 and a clamping clamp 487 is provided in the second type frame 321, So that the fastening clamp 487 is hooked on the hook 488. [

그리고 도 10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종프레임(311)에는 체결볼트(489)가 마련되고, 제 2종프레임(321)에는 회전식암나사(490)을 마련하여 회전식암나사(490)를 회전시켜 체결볼트(489)와 체결되도록 하여 제 1종프레임(311)과 제 2종프레임(321) 간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10 (f), a fastening bolt 489 is provided in the first type frame 311, a rotary type female thread 490 is provided in the second type frame 321, and a rotary type female thread 490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type frame 311 and the second type frame 321 can be easily and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by being rotated with the fastening bolts 489.

상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면의 좌측을 제 1종프레임(311)으로, 도면의 우측을 제 2종프레임(321)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면상 좌측이 제 2종프레임(321)이고, 우측이 제 1종프레임(311)이 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바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is the first type frame 311 and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is the second type frame 321.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side is the second type frame 321 , And the right side may be the first type frame 311. [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00 : 베이스부 200 : 중간프레임
210 : 종바 220 : 횡바
300 : 매트프레임 301 : 조절판
310 : 제 1프레임 311 : 제 1종프레임
320 : 제 2프레임 321 : 제 2종프레임
400 : 결합수단 410 : 안착브라켓
421 : 제 1안착돌기 422 : 제 2안착돌기
430 : 제 1가이드브라켓 432 : 제 1체결홀
440 : 제 2가이드브라켓 442 : 제 2체결홀
450 : 체결공 460 : 체결부재
470 : 체결구
100: base portion 200: intermediate frame
210: vertical bar 220:
300: mat frame 301: throttle
310: first frame 311: first type frame
320: second frame 321: second type frame
400: coupling means 410: seating bracket
421: first mounting projection 422: second mounting projection
430: first guide bracket 432: first fastening hole
440: second guide bracket 442: second fastening hole
450: fastening hole 460: fastening member
470: Fastener

Claims (9)

바닥면에 복수의 이송휠이 구비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고정형 또는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높이 조절형으로 결합되며, 한 쌍의 종바와 상기 종바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한 쌍의 횡바가 서로 연결된 단일의 4각틀 구조로 구성되고, 한 쌍의 종바 간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바가 연결되는 중간프레임; 및
상부에 안치되는 매트리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조절판이 마련되며,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이 양분된 구조로 상기 중간프레임 상부의 일측과 타측에서 인입되어 서로 맞닿아 중간프레임에 각각 안착 및 지지되면서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이 중간프레임과 결합되는 매트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침대의 조립구조.
A bas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feed wheels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 pair of longitudinal bars and a pair of transverse bars relatively shorter in length than the longitudinal ba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height adjustable manner by a fixed or height adjusting mean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 intermediate frame to which at least one reinforcing bar is connected; And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divided into two halves and are drawn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iddle frame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be seated and supported on the middle frame, And wherei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coupled to the intermediate frame by the coupling mean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레임은 나란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제 1종프레임 및 상기 제 1종프레임과 나란하며 그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날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프레임은 나란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제 2종프레임 및 상기 제 2종프레임과 나란하며 그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날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한 쌍이 나란하게 이격되는 상기 제 1종프레임 및 상기 제 2종프레임의 이격된 간격은 상기 중간프레임에 구성되는 한 쌍의 종바 간 이격된 간격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상기 중간프레임과 매트프레임 간 결합시, 상기 제 1종프레임과 제 2종프레임은 상기 종바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침대의 조립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rame comprises a pair of first type frames spaced apart in parallel and a pair of first wing frames arranged in parallel with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ype frame,
The second frame includes a pair of second type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and a pair of second wing frames arrang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type frame,
The spaced apart intervals between the first type frame and the second type fram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air are the same as the spaced intervals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frames constituting the intermediate frame, And the first type frame and the second type frame are supported on the longitudinal ba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한 쌍의 상기 종바 외면에 대칭되게 구성되며 양측을 향해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브라켓;
한 쌍의 상기 제 1종프레임 중 상기 제 2프레임을 향하는 끝단부에서 각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중간프레임과 제 1프레임 간 결합 시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 1안착돌기;
한 쌍의 상기 제 2종프레임 중 상기 제 1프레임을 향하는 끝단부에서 각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중간프레임과 제 2프레임 간 결합시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 2안착돌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침대의 조립구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upling means comprises:
A seating bracket symmetrically formed on a pair of the vertical outer surfaces of the pair of brackets and having a seating groov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 first seating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n end portion of the pair of first type frames toward the second frame and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when the intermediate frame and the first frame are coupled;
A second seating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n end portion of the pair of second type frames toward the first frame and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when the intermediate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coupled;
And an elastic member for supporting the medical b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한 쌍의 상기 제 1종프레임의 외측에 각각 구성되고 상기 제 1안착돌기와 일정 간격 이격되며 제 1체결홀이 형성되는 제 1가이드브라켓;
한 쌍의 상기 제 2종프레임의 외측에 각각 구성되고 상기 제 2안착돌기와 일정 간격 이격되며 제 2체결홀이 형성되는 제 2가이드브라켓;
상기 종바의 선단 및 후단부 외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중간프레임과 매트프레임 간 결합 시, 상기 제 1체결홀 및 제 2체결홀의 대응 위치에 형성되는 체결공;
상기 제 1체결홀 및 제 2체결홀이 상기 체결공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들을 체결시키는 체결부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침대의 조립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upling means comprises:
A first guide bracket formed outside a pair of the first type frames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ating projections and having a first fastening hole;
A second guide bracket formed outside a pair of the second type frames, the second guide bracket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eating projections and having a second fastening hole;
A fastening hole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when the middle frame and the mat frame are coupled to each other;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in a state where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are located in the fastening hole;
Wherein the medical bed has a plurality of opening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브라켓은 그 양측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꺽임단이 형성되고, 상기 꺽임단과 상기 종바 간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침대의 조립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ating brackets are formed with bent ends formed by bending outward at both ends thereof, and spaced spaces are formed between the bent ends and the vertical bar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에는 상기 제 1안착돌기 및 제 2안착돌기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서로 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구가 더 구성되되,
상기 체결구는,
단면의 형상이 상기 이격공간에 대응되는 한 쌍의 측부;
상기 측부의 상단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침대의 조립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rotrusions are seated in the seating recess,
The fastener includes:
A pair of side portions in which a shape of a cross section corresponds to the spacing space;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side portions;
And an elastic member for supporting the medical b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의 일면 중 한 쌍이 마련되는 상기 체결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볼록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침대의 조립구조.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convex surface is formed on opposite surfaces of the fastening holes of the pair of side surface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브라켓 및 제 2가이드브라켓은 그 하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침대의 조립구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guide bracket and the second guide bracket are provided with folded ends formed by bending the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bracket and the second guide bracket outward.
KR1020180139762A 2018-11-14 2018-11-14 Assembly structure of medical bed Active KR1019871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762A KR101987162B1 (en) 2018-11-14 2018-11-14 Assembly structure of medical b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762A KR101987162B1 (en) 2018-11-14 2018-11-14 Assembly structure of medical b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162B1 true KR101987162B1 (en) 2019-06-10

Family

ID=66848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762A Active KR101987162B1 (en) 2018-11-14 2018-11-14 Assembly structure of medical b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1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615A (en) * 2022-07-01 2024-01-09 대건메디피아 주식회사 Bed for medic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970A (en) * 2000-02-02 2001-08-07 Kokuyo Co Ltd Bed
KR20100099952A (en) * 2009-03-04 2010-09-15 성심의료산업 주식회사 Medical bed assembled and disassembled easily for using at home
KR101317245B1 (en) 2011-12-29 2013-10-15 주식회사 하이로닉 Medical bed for preventing fal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970A (en) * 2000-02-02 2001-08-07 Kokuyo Co Ltd Bed
KR20100099952A (en) * 2009-03-04 2010-09-15 성심의료산업 주식회사 Medical bed assembled and disassembled easily for using at home
KR101317245B1 (en) 2011-12-29 2013-10-15 주식회사 하이로닉 Medical bed for preventing fa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615A (en) * 2022-07-01 2024-01-09 대건메디피아 주식회사 Bed for medical
KR102773982B1 (en) * 2022-07-01 2025-03-04 대건메디피아(주) Bed for medic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2581B2 (en) Modular foundation assemblies for beds
US5038430A (en) Attaching means for bed cross brace
EP1106112A1 (en) Modular chair construction
US9265351B2 (en) Bed lifting system
US20070000059A1 (en) Tilting furniture
KR101987162B1 (en) Assembly structure of medical bed
JP3922705B2 (en) Beds, especially medical beds and / or nursing beds
US6971132B2 (en) Mattress with hand supports
KR200478132Y1 (en) Easy To Assemble Bed Frame
US20080258515A1 (en) Chair for mechanics
US5611094A (en) Wall stop for a bed
KR101345910B1 (en) Separate type bunk bed
ITVE20060021A1 (en) PERFORMED ARMCHAIR FOR OFFICE.-
EP1016397A2 (en) Patient transfer device, convertible into a chair
KR102584465B1 (en) Bed to which one-touch assembly is applied
KR200453339Y1 (en) Prefab Bunk Bed
US6116681A (en) Picnic table which accommodates individuals confined to wheelchairs
EP1672228A1 (en) Device for connecting frame members
JP2004065577A (en) Bed equipment
US20030160496A1 (en) Furniture elevating device
JPH0438769Y2 (en)
EP2846752A1 (en) Articulated, foldable protection bedrail, of the type with a bedrail body and related removable anchor slide, for hospital bed with a safety hooking device and related hospital bed
KR200242170Y1 (en) A frame for bed
AU2005100364A4 (en) Improvements in construction of beds
WO2012076857A1 (en) An integrated recliner or lift-recliner mechanism for adjustable furni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