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87097B1 - Connector Apparatus with Cantilever Type Terminal - Google Patents

Connector Apparatus with Cantilever Typ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097B1
KR101987097B1 KR1020170042899A KR20170042899A KR101987097B1 KR 101987097 B1 KR101987097 B1 KR 101987097B1 KR 1020170042899 A KR1020170042899 A KR 1020170042899A KR 20170042899 A KR20170042899 A KR 20170042899A KR 101987097 B1 KR101987097 B1 KR 101987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rd
engaging
guide
s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8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2256A (en
Inventor
윤주영
박상현
김동호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70042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097B1/en
Publication of KR20180112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2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0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에 구비되는 단자가 한쪽은 고정되되 다른 쪽은 고정되지 않도록 캔틸레버 타입으로 구성되므로, 트레이에 안착된 카드가 단자에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단자가 하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압력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단자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device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and a terminal provided on the base is configured as a cantilever type so that one side is fixed but the other side is not fixed, The pressure is easily absorbed while moving to the lower part,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of the terminal.

Description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Connector Apparatus with Cantilever Type Terminal}[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device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본 발명은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이에 안착된 카드에 의한 압력을 용이하게 흡수하도록 하여 단자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pparatus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apparatus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for easily absorbing pressure by a card placed on a tray, will be.

최근 대중화되고 있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는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식별 카드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상기 식별 카드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UIM(User Identity Module) 등(이하 '심카드'를 예로 들기로 함)으로 구성되며, 사용자 인증, 글로벌 로밍,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기능을 1장의 카드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을 위한 각종 메모리 카드 등을 단말기에 삽입하거나 또는 인출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digital cameras, camcorders, and MP3 players, which have become popular in recent years, are equipped with identification cards containin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subscribers. The identification card is composed of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 User Identity Module (UIM) and the lik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IM card) Can be implemented on a single card.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memory cards for storing additional data are generally inserted into or pulled out from a portable terminal.

이러한 각종 카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단말기에 삽입되어 착탈되도록 구성되는데, 최근에는 기술의 급속적인 발전으로 인해 새로운 형태의 다양한 카드들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심 카드는 일반형 심 카드, 나노 심 카드, 마이크로 심 카드와 같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메모리 카드 역시 SD카드, 마이크로 SD카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어 오고 있다.These various cards ar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terminal in various ways. Recently, various types of cards of a new type have been continuously released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For example, the SIM card has been diversified as a general SIM card, a nanosim card, a micro SIM card, and a memory card has been introduced in various forms such as an SD card and a micro SD card.

이러한 카드들이 단말기 내에 삽입되어 내부의 접점단자와 접촉하면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삽입된 카드를 견고하게 안착시키고 임의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소켓이 단말기 내에 구비되어 있는데, 하나의 소켓에 다양한 형상의 카드를 범용적으로 안착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소켓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별도의 트레이를 구비하여, 다양한 형상의 카드를 하나의 소켓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In order for the cards to be inserted into the terminal and to be able to communicat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internal contact terminals, a socket is provided in the terminal for fixing the inserted card firmly and securely without being drawn ou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place the card of the shape universally. Thus, a separate tray that can be supported by the socket is provided so that various forms of cards can be placed in one socket.

트레이는 다양한 카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구비되고, 그 외주연은 소켓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트레이만 바꾸거나 변경하면 다양한 종류의 카드를 하나의 단말기의 소켓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The tray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cards, and the outer periphery thereof is formed so as to be coupled to the socket. Accordingly, when the tray is changed or changed, various kinds of cards can be placed in the socket of one terminal.

도 1은 종래 심 카드 소켓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심 카드 소켓(10)은 휴대용 단말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 내부에 실장되며, 그 내부에 트레이(20)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트레이(20)에는 그 상부에 제 1 카드(c1)가 안착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트레이(20)가 소켓(10)에 삽입되면, 제 1 카드(c1)가 소켓(10)에 구비된 제 1 단자(12)에 각각 접촉된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SIM card socket. 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SIM card socket 10 is mounted in a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a smart phone, and a tray 20 is inserted therein. When the tray 20 is inserted into the socket 10 in this state, the first card c1 is inserted into the socket 10 and the first card c1 is inserted into the socket 10, 1 terminal 12, respectively.

그런데 제 1 단자(12)의 경우, 그 양 단부가 소켓(10)의 베이스(10a)에 구속되므로 제 1 카드(c1)에 의한 외부 압력을 탄성적으로 용이하게 흡수할 수 없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 1 단자(12)의 형상이 변형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first terminal 12, since both ends of the first terminal 12 are restrained by the base 10a of the socket 10, the external pressure by the first card cl can not be elastically easily absorb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hape of the first terminal 12 is deformed to deteriorate durability.

또한, 제 1 단자(12)는 베이스에서 제 1 카드(c1) 방향으로 돌출된 높이가 항상 동일하게 구성되어, 제 1 카드(c1)의 높이가 제 1 단자(12)의 높이에 맞지 않는 경우, 제 1 카드(c1)를 필요 이상으로 가압하거나, 또는 제 1 카드(c1)와 접촉이 잘 되지 않게 되어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height of the first terminal 12 protruding from the bas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ard cl is always the same. When the height of the first card cl does not match the height of the first terminal 12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rst card (c1) is pressed more than necessary or the first card (c1) is not in contact with the first card (c1).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22883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28837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이에 안착된 카드에 의한 압력을 용이하게 흡수하도록 하여 단자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device having a cantilever-type terminal for easily absorbing pressure by a card placed on a tray to improve durability of th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레이에 안착되는 카드의 높이에 따라 단자의 높이가 변경되도록 하여, 카드와 단자 간에 접촉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device having a terminal of a cantilever type which prevents a connection failure between a card and a terminal from being caused by changing a height of a terminal according to a height of a card placed on a tra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카드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카드와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에는 상기 단자가 노출되도록 단자노출홀이 형성되되, 상기 단자노출홀의 내주연 일측에 제 1 내부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내부측부와 대향되는 상기 단자노출홀의 내주연 타측에 제 2 내부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단자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내부측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2 내부측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y formed to receive the card a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space; And a terminal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a card of the housing so as to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a card accommodated in the tray, wherein a terminal exposing hole is formed in the base of the housing so as to expose the terminal, A first inner side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and a second inner side portion is provided on the other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terminal exposure hole facing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and the terminal is formed to have elasticity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of the cantilever-type connector.

또한, 상기 제 1 내부측부는 상기 제 2 내부측부보다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방향과 가깝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first inner side portion is located closer to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than a direction in which the tray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또한, 상기 제 2 내부측부에 단자안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내부측부에서 상기 제 2 내부측부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단자의 선단부는 상기 단자안내부에 받쳐지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Wherein a terminal guide portion is further provided on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and a tip portion of the terminal extending from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toward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is positioned to be supported by the terminal guide portion. And a connector terminal.

또한, 상기 단자안내부는 상기 제 2 내부측부와 마주본 상태로 상기 제 1 내부측부 방향으로 연장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제 2 내부측부와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terminal guiding portion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extending in the first inner side direction in a state of facing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and an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receiving portion to engage with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A connector device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is provided.

또한, 상기 제 2 내부측부에는 상기 결합부가 걸림 결합되도록 오목하게 걸림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걸림홈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상기 걸림홈부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engaging portion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receiv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engaging groove and a second engaging groove formed in th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engaging groove And a latching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in a bent state.

또한, 상기 제 2 내부측부의 상부에 상기 걸림홈부가 구비될 때, 상기 제 2 내부측부의 하부에 오목하게 걸림유도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걸림유도부는 상기 걸림홈부와 가까워질수록 상기 제 1 내부측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부에 걸림 결합될 때,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유도부를 따라 슬라이딩된 후 상기 걸림홈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when the engag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the engaging guide portion is reces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The engaging guide portion, Wherein when the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portion, the engaging portion is slid along the engaging guiding portion and then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portion. The cantilever- And a connector.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받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받침부의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제 2 내부측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고정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내부측부의 상기 위치고정부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위치고정부가 삽입되도록 고정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positioning portion is protruded and formed between the pair of adjacent engaging portions of the receiving portion so as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inside side, And a fixing guide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position fixing portion of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so as to insert the position fixing portion.

또한, 상기 단자노출홀의 상기 제 1 내부측부와 상기 제 2 내부측부 사이의 양 측에 구비되는 측벽부의 하측에는 오목하게 받침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받침안내홈에 삽입되도록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concave receiving guide grooves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side wall portions provided on both sides between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of the terminal exposure hole, and th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s Th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ntilever-typ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또한, 상기 단자안내부는, 상기 제 2 내부측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카드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상기 단자의 선단부가 상기 받침부로 안내될 때, 상기 받침부의 상기 단자의 선단부와 맞닿는 위치에는 상기 단자의 선단부가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딩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terminal guiding portion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When the leading end portion of the terminal is guided to the receiving portion by the pressure of the card accommodated in the tray, And a sliding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distal end of the terminal to slide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terminal abuts agains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terminal.

또한, 상기 슬라이딩안내부는 상기 제 2 내부측부와 가까워질수록 그 하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카드가 상기 단자에 가하는 압력에 따라, 상기 단자의 선단부가 상기 슬라이딩안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길이가 상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sliding guide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as it gets closer to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and a length of a length of a leading end portion of the terminal is moved along the sliding guid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erminal by the card accommodated in the tray And a connector terminal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또한, 상기 슬라이딩안내부와 맞닿는 상기 단자의 선단부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device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wherein a tip of the terminal abutting the sliding guide portion is rounded.

또한, 상기 단자는, 상기 제 1 내부측부의 하부에서 상기 제 2 내부측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돌출부와, 상기 연장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내부측부의 상부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와, 상기 제 1 라운드부에서 상기 단자노출홀의 중앙 상부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2 라운드부와, 상기 제 2 라운드부에서 상기 제 2 내부측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3 라운드부와, 상기 제 3 라운드부에서 상기 제 1 내부측부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4 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라운드부 내지 상기 제 4 라운드부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rotrusion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toward the second inner side and a second round portion formed to be roun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at an end of the extension protrusion, A second round portion formed to be rounded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terminal exposure hole in the first round portion and a third round portion formed to be round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in the second round portion, And a fourth round section formed to be round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inner side in the third round section, wherein the first round section to the fourth round section are formed to have elasticity A connector device having a terminal is provided.

또한, 상기 단자는 복수 개가 상기 단자노출홀에 병렬로 배열된 상태로 상기 단자안내부로 안내되고, 상기 단자안내부에는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단자들 사이 공간으로 단자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guided to the terminal guide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terminal exposure hole, and terminal guide protrusions are protruded in a space between a pair of the terminals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terminal of the cantilever type.

또한, 상기 트레이는: 제 1 면부와, 상기 제 1 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면부에 제 1 카드와 제 2 카드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제 1 카드수용부와 제 2 카드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면부의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제 3 카드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 1 카드수용부보다 작은 크기로 오목하게 제 3 카드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의 상기 제 3 카드수용부와 대향되지 않는 위치에 제 1 단자안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에는 제 2 단자안내부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The tray may include a first surface portion and a second surface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portion, and the first card portion and the second card are recessed to receive the first card and the second card, A third card receiving portion is formed and a third card receiving portion is recessed in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card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third card is receiv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card receiving portion of the second face portion, Wherein the first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not facing the third card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first card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guid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econd card accommodating portion through the cantilever type terminal And a connector.

본 발명은 베이스에 구비되는 단자가 한쪽은 고정되되 다른 쪽은 고정되지 않도록 캔틸레버 타입으로 구성되므로, 트레이에 안착된 카드가 단자에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단자가 하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압력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단자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terminal provided on the base is configured to be of a cantilever type so that one side is fixed but the other side is not fixed, the terminal is moved downward due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erminal by the card placed on the tray, , The durability of the terminal is improved.

또한, 단자는 탄성을 갖는 복수 개의 라운드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카드가 단자에 압력을 가하면 복수 개의 라운드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압력을 상쇄하여, 단자는 오랜 시간이 지난다 하더라도 탄성력이 그대로 유지되고, 카드와의 접촉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is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rounded portions having elasticity. When the card applies pressure to the terminal, a plurality of round portions are elastically deformed to cancel the pressure, so that the elasticity of the terminal is maintained even after a long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no contact failure occurs.

또한, 베이스에 고정되지 않은 단자의 단부는 베이스에 구비되는 단자안내부에 지지되므로, 단자가 카드에 가하는 접압력은 항상 일정 수준 이상을 유지하여 단자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nd of the terminal that is not fixed to the base is supported by the terminal guide provided on the base, the contact pressure applied by the terminal to the card is always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or more.

또한, 트레이에 적용되는 카드의 두께에 의하여 단자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가 발생되면, 그 압력 차이만큼 단자안내부의 슬라이딩안내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단자의 길이가 변경되므로, 단자는 카드의 두께와 상관없이 동일한 압력으로 카드를 가압할 수 있게 되어, 단자는 카드와의 접촉의 신뢰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양한 두께를 갖는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when a difference in pressure applied to the terminal due to the thickness of the card applied to the tray is generated, the length of the terminal sliding along the sliding guide portion of the terminal guide portion is chang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The card can be pressed with the same pressure so that the terminal can be brought into electrical contact with a card having various thicknesses while maintaining the reliability of contact with the card.

또한, 베이스에 구속되지 않은 단자의 선단부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므로, 단자의 선단부는 슬라이딩안내부를 따라 매끄럽게 슬라이딩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tip end of the terminal unrestrained to the base is rounded, the tip end of the terminal slides smoothly along the sliding guide.

또한, 단자안내부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베이스의 제 2 내부측부의 걸림홈부에 용이하게 걸림 결합되므로, 단자안내부는 볼트 등의 복잡한 구성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베이스에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terminal guide portion includes the engaging portion and is easily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portion of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of the base, the terminal guide portion has an effect of being coupled to the base by a simple method without complicated structure such as bolts.

또한, 단자안내부의 결합부는 제 2 내부측부의 걸림유도부를 따라 슬라이딩된 후, 걸림홈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engaging portion of the terminal guide portion is slid along the engaging guide portion of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and is then easily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portion.

또한, 단자안내부의 단자안내돌기는 단자가 개별적으로 단자안내부에 위치되도록 가이드되므로,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단자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상호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단자안내부로 안내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rminal guide protrusions of the terminal guide portion are guided so that the terminals are individually positioned at the terminal guide por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erminals are guided to the terminal guide portion firmly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gap therebetween.

도 1은 종래 심 카드 소켓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가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하우징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단자안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단자안내부가 베이스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단자안내부가 베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단자안내부에 구비되는 결합부가 베이스의 걸림유도부를 지나 걸림홈부에 걸림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단자노출홀에 제 1 단자가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단자가 카드의 두께에 의하여 하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SIM card socket.
2 is a schematic view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cantilever type terminal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ray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is inserted into a hous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a housing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terminal guide portion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guide portion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is coupled to a b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guide portion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is coupled to a b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AA 'of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 coupling portion provided in a terminal guide portion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with a coupling groove through a coupling guide portion of a base.
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a first terminal is located in a first terminal exposure hole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3 and 14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terminal of the connector device having the cantilever typ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by the thickness of the car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nector device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트레이가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1000)는 휴대 기기(미도시), 예를 들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우징(100) 및 하우징(100)에 삽입되는 트레이(200)을 포함한다.2 and 3, a connector device 1000 having a cantilever-typ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not shown), for example,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includes a housing 100 and a tray 200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하우징(100)은 휴대용 단말기(미도시)의 내부에 장착되며,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기판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트레이(200)가 안착되도록 일정 면적을 갖는 베이스(120)와, 베이스(120)의 상부를 덮는 커버(110)가 상호 결합되어, 그 사이에 트레이(200)가 수납되도록 공간부(120a)가 구비된다. 커버(110)와 베이스(120)는 경우에 따라 상호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따로 형성된 후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공간부(120a)의 전방 즉, 베이스(120)의 전방은 막히도록 전측부(122)가 구비되고, 공간부(120a)의 후방은 개방되도록 개방부(124)가 구비된다. 그리고 트레이(200)는 개방부(124)를 통하여 하우징(100)의 공간부(120a)로 삽입되며, 이어서 전측부(122)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된다. 한편, 이하에서, 별도로 한정하지 않는 한, 전방이라 함은 개방부(124)에서 전측부(122)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이동되는 방향을 일컫고, 후방이라 함은 상기 전방의 반대 방향 즉, 전측부(122)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일컫는다.The housing 100 is mounted inside a portable terminal (not show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ubstrate or the like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The housing 100 includes a base 120 having a predetermined area for receiving the tray 200 and a cover 110 covering the top of the base 120 so that the tray 200 is received therebetween. A space 120a is provided. The cover 110 and the base 1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then coupled to each other. The front portion 122 is provided so as to block the front of the space 120a of the housing 100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120 and the opening portion 124 is provided so that the rear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120a is opened. do. The tray 200 is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120a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opening portion 124 and then slidably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portion 122. [ Hereinafter,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term "forward" refers to a direction of moving from the opening 124 to the direction of the front portion 122, and the term "rear" refers to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orward direction, that is, 122). ≪ / RTI >

트레이(200)는 하우징(100)의 공간부(120a)에 각종 카드를 삽입시키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공간부(120a)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부(210)와, 트레이(200)의 삽입부(210)가 하우징(100)의 공간부(120a)에 삽입될 때 휴대용 단말기의 외측에 구비되도록 삽입부(210)의 외측에 구비되는 노출부(220)를 포함한다. 삽입부(210)에는 각종 카드가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삽입부(210)는 그 일면에 위치되는 제 1 면부(210a) 및 그 타면 즉, 제 1 면부(210a)의 반대 측에 위치되는 제 2 면부(210b)를 포함한다. 제 1 면부(210a)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후방에서 전방 방향으로 제 1, 2 카드(C1, C2)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제 1 카드수용부(212)와 제 2 카드수용부(2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면부(210b)의 제 1 카드수용부(212)와 대향되는 위치에 제 3 카드(C3)가 수용되도록 제 3 카드수용부(216)가 형성된다. 제 3 카드수용부(216)는 제 1 카드수용부(212)보다 작은 크기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카드수용부(212)의 제 3 카드수용부(216)와 대향되지 않는 위치에 제 1 단자안내부(212a)가 관통 형성되고, 제 2 카드수용부(214)에는 제 2 단자안내부(214a)가 관통 형성된다. 제 1, 2 단자안내부(212a, 214a)는 제 1 카드(C1)의 제 1 접점(미도시)과, 제 2 카드(C2)의 제 2 접점(미도시)이 후술하는 제 1 단자(154: 도 4 도시)와 제 2 단자(156: 도 4 도시)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tray 200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210 for inserting various cards into the space portion 120a of the housing 100 and slidingly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120a of the housing 100, And an exposed portion 220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210 so as to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ion 210 is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120a of the housing 100. [ The insertion portion 210 is configured to receive various cards. The insertion portion 210 includes a first surface portion 210a located on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side surface portion 210b located on the other side, that is,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urface portion 210a. The first card receiving portion 212 and the second card receiving portion 214 are concavely inserted so as to receive the first and second cards C1 and C2 in the forward direction from the rea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rface portion 210a . The third card receiving portion 216 is formed so that the third card C3 is receiv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card receiving portion 212 of the second surface portion 210b. The third card receiving portion 216 is recessed in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card receiving portion 212. A first terminal guide portion 212a is formed at a position not facing the third card receiving portion 216 of the first card receiving portion 212 and a second terminal guide portion 212a is formed in the second card receiving portion 214, A portion 214a is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guides 212a and 214a are connected to a first contact (not shown) of the first card C1 and a second contact (not shown) of the second card C2, 154: FIG. 4) and the second terminal 156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하우징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4 is an exploded view of a housing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커버(110)와 베이스(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베이스(120)에는 이젝트수단(300), 단자부재(150) 및 단자안내부(130)가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4, the housing 100 includes a cover 110 and a base 120. The base 120 is coupled to the ejecting means 300, the terminal member 150, and the terminal guide 130.

이젝트수단(300)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된 트레이(200)를 하우징(100)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면, 하우징(100)으로 삽입된 트레이(200)의 일측을 따라 하우징(100)의 공간부(120a)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젝트바(310)와, 하우징(100)의 전측부(122)에 구비된 회전돌기(122a)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된 트레이(200)와 맞닿도록 구성되고, 그 타단부는 이젝트바(31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캠부(320)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압핀(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하우징(100)의 외부에서 이젝트바(310)를 가압하면, 이젝트바(310)가 캠부(320)를 회전시켜서 캠부(320)와 맞닿은 트레이(200)가 하우징(100) 외부로 인출된다.The ejecting means 300 draws the tray 200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and guides the tray 200 to the housing 100 along one side of the tray 200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An eject bar 310 which is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within the space 120a of the housing 100 and a rotation protrusion 122a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122 of the housing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cam part 32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eject bar 310. The cam part 320 is configured to abut the tray 200 inserted in the housing 100, When the eject bar 310 pushes the eject bar 310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by using a push pin (not shown) or the like, the eject bar 310 rotates the cam portion 320 to move the tray 200, Is pulled out of the housing (100).

단자부재(150)는 트레이(200)에 수용된 제 1, 2, 3 카드(C1, C2, C3)를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베이스(120)의 하면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한 쌍의 단자부(152), 한 쌍의 단자부(152) 사이에 배치되되 단자부(152)와 연결된 상태로 제 1, 2 단자노출홀(126, 128)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제 1, 2 단자(154, 156)와, 단자부(152)와 연결된 상태로 제 3 카드(C3) 방향으로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제 3 단자(158)를 포함한다. 단자부재(150)는 베이스(120) 내부에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120)의 제 1, 2, 3 단자(154, 156, 158)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제 1, 2, 3 단자(154, 156, 158)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각각 제 1, 2, 3 단자노출홀(126, 128, 129)이 형성된다. 제 1, 2, 3 단자(154, 156, 158)는 트레이(200)에 수용된 제 1, 2, 3 카드(C1, C2, C3)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으로, 그 형태 및 개수는 제 1, 2, 3 카드(C1, C2, C3)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member 150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second, and third cards C1, C2, and C3 accommodated in the tray 200 to the portable terminal. A pair of terminal portions 152 and first and second elastic contact members 162 and 162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exposure holes 126 and 128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152 and being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terminal portions 152, Two terminals 154 and 156 and a third terminal 158 of elastic material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card C3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terminal part 152. [ The terminal member 150 may be insert injection molded inside the base 120. At this time, first, second and third terminals 154, 156, and 158 are exposed to the outside at positions opposite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terminals 154, 156, and 158 of the base 120, , And three-terminal exposure holes 126, 128, and 129 are formed. The first, second and third terminals 154, 156 and 158 ar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cards C1, C2 and C3 housed in the tray 200, 2, and 3 cards C1, C2, and C3.

단자안내부(130)는 베이스(120)에 구속되지 않은 제 1 단자(154)의 선단부를 받치도록 제 1 단자노출홀(126)의 내주연에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하기로 한다.The terminal guide portion 130 is provided at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first terminal exposure hole 126 so as to support the tip end of the first terminal 154 that is not constrained to the base 120 and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단자안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5 and 6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terminal guide portion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단자안내부(130)는 받침부(132), 결합부(134), 보조결합부(135), 위치고정부(136) 단자안내돌기(138) 및 결합돌기(139)를 포함한다. 4 to 6, the terminal guide 130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132, a coupling portion 134, an auxiliary coupling portion 135, a position fixing portion 136, a terminal guide projection 138, (139).

받침부(132)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길이는 병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제 1 단자(154)의 전체 폭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받침부(132)의 상면에 제 1 단자(154)의 선단부가 받쳐지도록 위치된다. 이때, 받침부(132)의 상면의 제 1 단자(154)의 선단부와 맞닿는 위치에는 제 1 단자(154)의 선단부가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슬라이딩안내부(132a)가 형성된다. 슬라이딩안내부(132a)는 제 2 내부측부(126b)와 가까워지는 전방으로 갈수록 그 하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The support portion 132 is formed to have a long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support portion 132 corresponds to the entire width of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154 arranged in parallel. The tip of the first terminal 154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32. At this time, a sliding guide portion 132a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top end of the first terminal 154 on the top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32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first terminal 154. The sliding guide portion 132a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side closer to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126b.

결합부(134)는 받침부(132)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그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받침부(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결합부(134)는 받침부(132)에서 그 상부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걸림홈부(126b-1: 도 7 도시)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돌출부(134a)와, 돌출부(134a)의 상단부에서 걸림홈부(126b-1) 방향으로 절곡되어 걸림홈부(126b-1)에 걸리도록 삽입되는 걸림부(134b)를 포함한다.The engaging portion 134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13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plurality of the engaging portions 134 are arrang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32. The engaging portion 134 includes a projecting portion 134a protruding from the receiving portion 132 to face the engaging groove portion 126b-1 (see Fig. 7) And a locking part 134b that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groove 126b-1 and inserted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 126b-1.

보조결합부(135)는 받침부(132)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그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부(134)와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보조결합부(135)는 받침부(132)의 양 단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보조돌출부(135a)와, 보조돌출부(135a)에서 후술하는 보조걸림홈부(126c-1: 도 7 도시)에 걸리도록 절곡되는 보조걸림부(135b)를 포함한다.The auxiliary coupling portion 135 is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32 and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coupling portion 134. Such an auxiliary engaging portion 135 includes an auxiliary protruding portion 135a protru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receiving portion 132 and an auxiliary engaging groove portion 126c-1 (shown in FIG. 7) described later in the auxiliary protruding portion 135a. And an auxiliary locking portion 135b which is bent to be bent.

위치고정부(136)는 받침부(132)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그 전방에 위치된 후술하는 고정안내홈(126b-3: 도 7 도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결합부(13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The position fixing portion 136 is protruded in the direction of a fixing guide groove 126b-3 (see FIG. 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ch is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32, (Not shown).

단자안내돌기(138)는 받침부(132)의 상면에 병렬로 배열된 복수의 제 1 단자(154)가 위치될 때, 받침부(132)의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제 1 단자(154)들 사이 공간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단자안내돌기(138)에 가이드된 각각의 제 1 단자(154)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호 나란하게 받침부(132)의 상면에 위치된다.The terminal guide protrusion 138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a pair of first terminals 154 adjacent to each other of the receiving portion 132 when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154 arranged in parall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32 are positioned, As shown in FIG. Each of the first terminals 154 guided by the terminal guide protrusion 138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32 in parallel to each other while keeping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out being moved toward one side by an external impact or the like.

결합돌기(139)는 후술하는 받침안내홈(126c-3: 도 7 도시)에 삽입되도록 받침부(132)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돌출 형성된다.The engaging projections 139 are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32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uide grooves 126c-3 (shown in Fig. 7) described later.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단자안내부가 베이스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단자안내부가 베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guide portion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is coupled to a b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 9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guide portion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is coupled to a base, and Fig.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120)의 제 1 단자노출홀(126)에 단자안내부(130)가 결합된다. 제 1 단자노출홀(126)의 내주연은 그 후측과 전측에 각각 제 1 내부측부(126a)와 제 2 내부측부(126b)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 1 내부측부(126a)와 제 2 내부측부(126b) 사이의 양측에는 한 쌍의 측벽부(126c)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 2 내부측부(126b)의 하측에서 그 상측 방향으로 단자안내부(130)가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제 2 내부측부(126b)에 걸림홈부(126b-1), 걸림유도부(126b-2) 및 고정안내홈(126b-3)이 구비되고, 측벽부(126c)에 보조걸림홈부(126c-1), 보조걸림유도부(126c-2) 및 받침안내홈(126c-3)이 구비된다.Referring to FIGS. 7 to 9, the terminal guide 130 is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exposure hole 126 of the base 120.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first terminal exposure hole 126 is provided with a first inner side portion 126a and a second inner side portion 126b on the rear side and the front side, respectively.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126c are provided on both sides between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126a and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126b. The terminal guide portion 130 is coupled to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126b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126b. To this end, the engaging groove portion 126b-1 and the engaging guide portion 126b- And a fixing guide groove 126b-3 are formed in the side wall portion 126c and the auxiliary locking groove portion 126c-1, the auxiliary locking guide portion 126c-2 and the receiving guide groove 126c-3 are provided in the side wall portion 126c.

걸림홈부(126b-1)는 제 2 내부측부(126b)에 단자안내부(130)가 결합될 때, 제 2 내부측부(126b)의 결합부(134)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단자안내부(130)의 결합부(134)에 구비되는 걸림부(134b)가 삽입되어 걸림 결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처럼 단자안내부(130)의 결합부(134)가 제 2 내부측부(126b)의 걸림홈부(126b-1)에 간단하게 걸림 결합되므로, 단자안내부(130)는 볼트 등의 복잡한 구성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베이스(120)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The engaging groove portion 126b-1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engaging portion 134 of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126b when the terminal guide portion 130 is engaged with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126b, And the engaging portion 134b of the engaging portion 134 of the guide portion 130 is inserted into and engages with the engaging portion 134b. Since the engaging portion 134 of the terminal guide portion 130 is simply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portion 126b-1 of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126b, the terminal guide portion 130 can be easily assembled without any complicated configu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fixed to the base 120 by a simple method.

걸림유도부(126b-2)는 제 2 내부측부(126b)의 상부에 걸림홈부(126b-1)가 형성될 때, 제 2 내부측부(126b)의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걸림유도부(126b-2)는 걸림홈부(126b-1)와 가까워질수록 제 1 내부측부(126a)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내부측부(126b)에 단자안내부(130)가 결합될 때, 단자안내부(130)의 결합부(134)가 걸림유도부(126b-2)를 따라 슬라이딩된 후 걸림홈부(126b-1)로 안내된다. 이는 도 10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The engaging guide portion 126b-2 is reces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126b when the engaging groove portion 126b-1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126b. The engaging guide portion 126b-2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to be closer to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126a as it approaches the engaging groove portion 126b-1. When the terminal guide portion 130 is coupled to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126b, the engaging portion 134 of the terminal guide portion 130 is slid along the engaging guide portion 126b-2 and then the engaging groove portion 126b- 1). This will be described again in FIG.

고정안내홈(126b-3)은 제 2 내부측부(126b)에 단자안내부(130)가 결합될 때, 제 2 내부측부(126b)의 위치고정부(136)와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고정부(136)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처럼 단자안내부(130)의 위치고정부(136)가 고정안내홈(126b-3)에 삽입되므로, 베이스(120)에 고정된 단자안내부(130)는 외부 충격을 받는다 하더라도,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베이스(12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When the terminal guide 130 is coupled to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126b of the fixing guide groove 126b-3, the fixing guide groove 126b-3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facing the position fixing portion 136 of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126b. (136) is inserted. Since the position fixing portion 136 of the terminal guide portion 13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uide groove 126b-3, the terminal guide portion 130 fixed to the base 120 can be moved in the left-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firmly fixed to the base 120.

보조걸림홈부(126c-1)는 단자안내부(130)의 보조결합부(135)가 삽입되도록 측벽부(126c)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보조걸림유도부(126c-2)는 단자안내부(130)의 보조결합부(135)가 안내되도록 측벽부(126c)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보조걸림홈부(126c-1) 및 보조걸림유도부(126c-2)는 상술한 걸림홈부(126b-1) 및 걸림유도부(126b-2)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auxiliary locking groove portion 126c-1 is recessed in the side wall portion 126c so as to insert the auxiliary coupling portion 135 of the terminal guide portion 130 and the auxiliary locking guide portion 126c- Is recessed in the side wall portion 126c so as to be guided. The auxiliary locking groove portion 126c-1 and the auxiliary locking guide portion 126c-2 have the same functions as the locking groove portion 126b-1 and the locking guide portion 126b-2 described above, .

받침안내홈(126c-3)은 단자안내부(130)가 베이스(120)에 결합될 때, 단자안내부(130)의 결합돌기(139)가 삽입되도록 측벽부(126c)의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처럼 단자안내부(130)에는 위치고정부(136)와 결합돌기(139)가 구비되고, 베이스(120)에는 위치고정부(136)와 결합돌기(139)가 삽입되도록 고정안내홈(126b-3)과 받침안내홈(126c-3)이 구비되므로, 베이스(120)에 고정된 단자안내부(130)는 외부 충격을 받는다 하더라도,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베이스(12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The support guide groove 126c-3 is reces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126c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139 of the terminal guide portion 130 is inserted when the terminal guide portion 130 is coupled to the base 120 . The terminal guide 130 is provided with the position fixing portion 136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39. The base 120 is provided with the fixing guide groove 126b- The terminal guide 130 fixed to the base 120 can be fixed firmly to the base 120 without being shaken to the left or right even if the terminal guide 130 receives an external impact have.

한편, 제 1 내부측부(126a)에는 단자안내돌기(138)와 연동되어 제 1 단자(154)를 가이드하도록 복수 개의 보조단자안내돌기(126a-1)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inner side portion 126a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auxiliary terminal guide protrusions 126a-1 to guide the first terminal 154 in cooperation with the terminal guide protrusion 138. [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단자안내부에 구비되는 결합부가 베이스의 걸림유도부를 지나 걸림홈부에 걸림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 coupling portion provided in a terminal guide portion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with a coupling groove through a coupling guide portion of a base.

도 10을 참조하면, 단자안내부(130)가 베이스(120)에 결합될 때, 단자안내부(130)의 걸림부(134b)는 베이스(120)의 하부로 이격된 상태에서 그 상부로 이동되면서 제 2 내부측부(126b)의 걸림홈부(126b-1)로 삽입된다. 이때, 단자안내부(130)의 걸림부(134b)는 제 2 내부측부(126b)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걸림부(134b)는 제 2 내부측부(126b)의 하측에 걸리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제 2 내부측부(126b)에 오목하게 걸림유도부(126b-2)가 구비되어, 걸림부(134b)는 걸림유도부(126b-2)를 따라 슬라이딩된 후, 걸림홈부(126b-1)로 용이하게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10, when the terminal guide part 130 is coupled to the base 120, the locking part 134b of the terminal guide part 130 is moved to the upper part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base 120 And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portion 126b-1 of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126b. At this time, since the engaging portion 134b of the terminal guide portion 130 protrudes forward from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126b, the engaging portion 134b is caught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126b.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126b is provided with the engaging guide portion 126b-2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134b is slid along the engaging guide portion 126b-2 and then the engaging groove portion 126b-1 ).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단자노출홀에 제 1 단자가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terminal is located in a first terminal exposure hole of a connector device having a cantilever typ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단자(154)는 제 1 단자노출홀(126)에 복수 개가 병렬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 1 단자(154)의 일단부는 제 1 단자노출홀(126)의 제 1 내부측부(126a)에 고정되고, 제 1 단자(154)의 타단부는 별도로 고정되지 아니한 상태로 제 2 내부측부(126b)에 결합된 단자안내부(130)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제 1 카드(C1)에 의하여 제 1 단자(154)에 하방 압력이 가해지면, 캔틸레버(Cantilever)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단자(154)의 타단부가 탄성적으로 하방으로 이동되어, 제 1 카드(C1)에 의한 하방 압력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1 단자(154)는 오랫동안 그 형상이 그대로 유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S. 11 and 12,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154 are provided in the first terminal exposure hole 126 in parallel. One end of the first terminal 154 is fixed to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126a of the first terminal exposure hole 126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terminal 154 is fixed to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126a,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guide portion 130 coupled to the terminal guide portion 126b. Accordingly, when a downward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rst terminal 154 by the first card C1, the other end of the first terminal 154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is elastically moved downward, It is possible to easily absorb the downward pressure by the card C1. Therefore, the shape of the first terminal 154 is maintained as it is for a long time, and durability is improved.

또한, 베이스(120)에 고정되지 않은 제 1 단자(154)의 타단부는 베이스(120)에 구비되는 단자안내부(130)에 지지되므로, 제 1 단자(154)가 제 1 카드(C1)에 가하는 접압력은 항상 일정 수준 이상을 유지하여 단자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other end of the first terminal 154 which is not fixed to the base 120 is supported by the terminal guide 130 provided on the base 120 so that the first terminal 154 is connected to the first card C1, So that the contact reliability of the terminal is improved.

그리고 제 1 단자(154)의 타단부는 별도로 고정되지 아니하므로,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어느 한 쪽으로 쏠릴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자안내부(130)에 단자안내돌기(138)가 구비되고, 제 1 단자(154)의 타단부는 단자안내돌기(138) 사이에 개별적으로 가이드 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제 1 단자(154)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상호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단자안내부(130)로 안내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other end of the first terminal 154 is not fixed separately, the first terminal 154 can be attracted to one side due to an external impact. A terminal guide protrusion 138 is provided on the terminal guide 13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terminal 154 is individually guided between the terminal guide protrusions 138. [ Accordingly, each of the first terminals 154 is guided to the terminal guide part 130 firmly while being kept at a constant interval without being deflected to one side by an external impact or the like.

제 1 단자(154)의 세부 형상을 살펴보면, 제 1 내부측부(126a)의 하부에서 제 2 내부측부(126b)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돌출부(154a)와, 상기 연장돌출부(154a)의 단부에서 제 1 내부측부(126a)의 상부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154b)와, 상기 제 1 라운드부(154b)에서 제 1 단자노출홀(126)의 중앙 상부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2 라운드부(154c)와, 제 2 라운드부(154c)에서 제 2 내부측부(126b)의 상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3 라운드부(154d)와, 제 3 라운드부(154d)에서 제 1 내부측부(126a)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4 라운드부(154e)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라운드부(154b) 내지 제 4 라운드부(154e)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 1 카드(C1)가 제 3 라운드부(154d)에 접촉되면서 제 3 라운드부(154d)에 압력을 가하면 제 1 라운드부(154b) 내지 제 4 라운드부(154e)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압력이 용이하게 상쇄된다. 이에 따라 제 1 단자(154)는 제 1 카드(C1)와 전기적으로 접촉됨은 물론, 오랜 시간이 지난다 하더라도 탄성력이 그대로 유지되어, 접촉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terminal 154 has an elongated protrusion 154a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126a toward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126b and a second protrusion 154b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elongated protrusion 154a A first round portion 154b formed to be rounded in an upper direction of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126a and a second round portion 154b formed in the first round portion 154b so as to be rounded in the upper central direction of the first terminal exposure hole 126 A third round portion 154d formed so as to roun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126b in the second round portion 154c and a third round portion 154d And a fourth round portion 154e formed to be round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126a. The first round portion 154b to the fourth round portion 154e are formed to have elasticity so that the first card C1 contacts the third round portion 154d and applies pressure to the third round portion 154d The first round portion 154b to the fourth round portion 154e ar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pressure is easily canceled. Accordingly, the first terminal 154 is electrically contacted with the first card C1, and the elastic force is maintained as it is even after a long period of time, so that the contact failure does not occur.

한편, 제 1 카드(C1)가 제 3 라운드부(154d)에 접촉되면서 제 3 라운드부(154d)에 압력을 가하면, 제 1 카드(C1)의 두께에 의한 압력을 가하는 정도에 따라 단자안내부(130)의 슬라이딩안내부(132a)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안내부(132a)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 4 라운드부(154e)의 길이가 달라진다. 이는 도 13 및 도 1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third round portion 154d while the first card C1 is in contact with the third round portion 154d, depending on the degree of pressure applied by the thickness of the first card C1, The length of the fourth round portion 154e sliding along the sliding guide portion 132a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sliding guide portion 132a of the sliding guide portion 130 is changed. This will be described in Fig. 13 and Fig.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단자가 카드의 두께에 의하여 하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3 and 14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terminal of the connector device having the cantilever typ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by the thickness of the card.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트레이(200)의 제 1 카드수용부(212)에 수용되는 제 1 카드(C1)는 상대적으로 얇은 제 1 두께(h1)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제 1 카드(C1)가 제 1 단자(154)에 가하는 제 1 압력 또한 상대적으로 약하여, 제 1 단자(154)의 제 3 라운드부(154d)는 상기 제 1 두께만큼 하강되고, 제 4 라운드부(154e)는 슬라이딩안내부(132a)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 1 압력을 상쇄하도록 하부로 슬라이딩된다.13, the first card C1 received in the first card receiving portion 212 of the tray 200 is configured to have a relatively thin first thickness h1. As a result, the first pressure applied by the first card C1 to the first terminal 154 is also relatively weak, so that the third round portion 154d of the first terminal 154 is lowered by the first thickness, The fourth round portion 154e is slid downward to abut the first pressur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liding guide portion 132a.

이어서 도 14를 참조하면, 트레이(200)의 제 1 카드수용부(212)에 수용되는 제 1 카드(C1-a)는 상기 제 1 두께(h1: 도 13 도시)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 2 두께(h2)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제 1 카드(C1-a)가 제 1 단자(154)에 가하는 제 2 압력 또한 상기 제 1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강하여, 제 1 단자(154)의 제 3 라운드부(154d)는 상기 제 2 두께만큼 하강되고, 제 4 라운드부(154e)는 슬라이딩안내부(132a)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 2 압력을 상쇄하도록 하부로 일정 길이(d) 더 슬라이딩된다.14, the first card C1-a received in the first card receiving portion 212 of the tray 200 has a second thickness (h1) that is relatively thicker than the first thickness h1 (h2). As a result, the second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terminal 154 by the first card C1-a is also relatively stronger than the first pressure, and the third round portion 154d of the first terminal 154 And the fourth round portion 154e is further sli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d so as to cancel the second pressur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liding guide portion 132a.

이처럼 본 발명은 트레이(200)에 적용되는 제 1 카드(C1, C1-a)의 두께에 의하여 제 1 단자(154)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가 발생되면, 그 압력 차이만큼 슬라이딩안내부(132a)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단자의 길이가 변경되므로, 제 1 단자(154)는 제 1 카드(C1, C1-a)의 두께와 상관없이 동일한 압력으로 카드를 가압할 수 있게 되어, 제 1 단자(154)는 제 1 카드(C1, C1-a)와의 접촉의 신뢰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양한 두께를 갖는 제 1 카드(C1, C1-a)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difference i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terminal 154 due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card (C1, C1-a) applied to the tray 200 is generated, the sliding guide portion 132a The first terminal 154 can press the card with the same pressure irrespective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card C1 and C1-a so that the first terminal 154 Can be brought into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cards C1 and C1-a having various thicknesses while maintaining the reliability of contact with the first cards C1 and C1-a.

또한, 제 1 단자(154)의 선단부 즉, 제 4 라운드부(154e)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므로, 제 1 단자(154)의 선단부는 슬라이딩안내부(132a)를 따라 매끄럽게 슬라이딩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tip of the first terminal 154, that is, the fourth round portion 154e, is rounded, the tip of the first terminal 154 is slid smoothly along the sliding guide portion 132a.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claims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1000: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
100: 하우징 110: 커버
120: 베이스 120a: 공간부
122: 전측부 122a: 회전돌기
124: 개방부 126: 제 1 단자노출홀
126a: 제 1 내부측부 126b: 제 2 내부측부
126b-1: 걸림홈부 126b-2: 걸림유도부
126b-3: 고정안내홈 126c: 측벽부
126c-1: 보조걸림홈부 126c-2: 보조걸림유도부
126c-3: 받침안내홈 128: 제 2 단자노출홀
129: 제 3 단자노출홀 130: 단자안내부
132: 받침부 132a: 슬라이딩안내부
134: 결합부 134a: 돌출부
134b: 걸림부 135: 보조결합부
135a: 보조돌출부 135b: 보조걸림부
136: 위치고정부 138: 단자안내돌기
139: 결합돌기 150: 단자부재
152: 단자부 154: 제 1 단자
154a: 연장돌출부 154b: 제 1 라운드부
154c: 제 2 라운드부 154d: 제 3 라운드부
154e: 제 4 라운드부 156: 제 2 단자
158: 제 3 단자 200: 트레이
210: 삽입부 210a: 제 1 면부
210b: 제 2 면부 212: 제 1 카드수용부
212a: 제 1 단자안내부 214: 제 2 카드수용부
214a: 제 2 단자안내부 216: 제 3 카드수용부
300: 이젝트수단 310: 이젝트바
320: 캠부
1000: Connector device having terminal of cantilever type
100: housing 110: cover
120: base 120a:
122: front side portion 122a:
124: opening part 126: first terminal exposure hole
126a: first inner side portion 126b: second inner side portion
126b-1: engagement groove portion 126b-2:
126b-3: Fixed guide groove 126c:
126c-1: auxiliary locking groove portion 126c-2: auxiliary locking guide portion
126c-3: support guide groove 128: second terminal exposure hole
129: third terminal exposure hole 130: terminal guide portion
132: receiving portion 132a: sliding guide portion
134: engaging portion 134a:
134b: latching portion 135: auxiliary coupling portion
135a: auxiliary protrusion 135b:
136: Position fixture 138: Terminal guide projection
139: engaging projection 150: terminal member
152: terminal part 154: first terminal
154a: Extension projection 154b:
154c: second round section 154d: third round section
154e: fourth round section 156: second terminal
158: third terminal 200: tray
210: insertion portion 210a: first surface portion
210b: second surface portion 212: first card receiving portion
212a: first terminal guide portion 214: second card receiving portion
214a: second terminal guide portion 216: third card receiving portion
300: ejection means 310: eject bar
320: cam portion

Claims (14)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카드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카드와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에는 상기 단자가 노출되도록 단자노출홀이 형성되되, 상기 단자노출홀의 내주연 일측에 제 1 내부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내부측부와 대향되는 상기 단자노출홀의 내주연 타측에 제 2 내부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단자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내부측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2 내부측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내부측부에 단자안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내부측부에서 상기 제 2 내부측부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단자의 선단부는 상기 단자안내부에 받쳐지도록 위치되고,
상기 단자안내부는 상기 제 2 내부측부와 마주본 상태로 상기 제 1 내부측부 방향으로 연장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제 2 내부측부와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
A housing having a space portion therein;
A tray formed to receive the card a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space; And
And a terminal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card of the housing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ard received in the tray,
And a terminal exposing hole is formed in the base of the housing to expose the terminal, a first inner side portion is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terminal exposing hole, and a second inner side por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terminal exposing hole facing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2 inner sides,
The terminal being configured to be resilient and configur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inner side while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side,
A terminal guide portion is further provided on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terminal extending from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toward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is positioned to be supported by the terminal guide portion,
Wherein the terminal guiding por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inner side while facing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and an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receiving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Type conn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측부는 상기 제 2 내부측부보다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방향과 가깝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is located close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tray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than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부측부에는 상기 결합부가 걸림 결합되도록 오목하게 걸림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걸림홈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상기 걸림홈부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is formed with a recessed groove for engaging the engaging portion,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receiv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engaging groove and an engag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in a state of being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engaging groove on the end of the protrusion. Of the connect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부측부의 상부에 상기 걸림홈부가 구비될 때, 상기 제 2 내부측부의 하부에 오목하게 걸림유도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걸림유도부는 상기 걸림홈부와 가까워질수록 상기 제 1 내부측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부에 걸림 결합될 때,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유도부를 따라 슬라이딩된 후 상기 걸림홈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n the engaging groove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the engaging guide portion is recessed in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And is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it approaches,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slid along the engaging guide portion and then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portion when the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받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받침부의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제 2 내부측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고정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내부측부의 상기 위치고정부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위치고정부가 삽입되도록 고정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aging portions are arranged such that a plurality of the engaging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The position fixing portion is protruded and formed between the pair of adjacent engaging portions of the receiving portion so as to protrude in the second inner side direction,
And a fixed guide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position fixing portion of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so that the position fixing portion is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노출홀의 상기 제 1 내부측부와 상기 제 2 내부측부 사이의 양 측에 구비되는 측벽부의 하측에는 오목하게 받침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받침안내홈에 삽입되도록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ceiving guide groove is formed concavely below the side wall portion provided on both sides between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of the terminal exposure hole,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uide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카드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카드와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에는 상기 단자가 노출되도록 단자노출홀이 형성되되, 상기 단자노출홀의 내주연 일측에 제 1 내부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내부측부와 대향되는 상기 단자노출홀의 내주연 타측에 제 2 내부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단자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내부측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2 내부측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내부측부에 단자안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내부측부에서 상기 제 2 내부측부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단자의 선단부는 상기 단자안내부에 받쳐지도록 위치되고,
상기 단자안내부는, 상기 제 2 내부측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카드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상기 단자의 선단부가 상기 받침부로 안내될 때, 상기 받침부의 상기 단자의 선단부와 맞닿는 위치에는 상기 단자의 선단부가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딩안내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안내부와 맞닿는 상기 단자의 선단부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제 1 내부측부의 하부에서 상기 제 2 내부측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돌출부와, 상기 연장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내부측부의 상부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와, 상기 제 1 라운드부에서 상기 단자노출홀의 중앙 상부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2 라운드부와, 상기 제 2 라운드부에서 상기 제 2 내부측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3 라운드부와, 상기 제 3 라운드부에서 상기 제 1 내부측부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제 4 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라운드부 내지 상기 제 4 라운드부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
A housing having a space portion therein;
A tray formed to receive the card a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space; And
And a terminal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card of the housing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ard received in the tray,
And a terminal exposing hole is formed in the base of the housing to expose the terminal, a first inner side portion is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terminal exposing hole, and a second inner side por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terminal exposing hole facing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2 inner sides,
The terminal being formed to have elasticity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inner side while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side,
A terminal guide portion is further provided on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terminal extending from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toward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is positioned to be supported by the terminal guide portion,
Wherein the terminal guiding por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A sliding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leading end of the terminal to slide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leading end of the terminal contacts the leading end of the terminal of the receiving portion when the leading end of the terminal is guided by the pressure of the card received in the tray,
Wherein a distal end portion of the terminal abutting on the sliding guide portion is formed to be rounded,
The terminal includes an extending projection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toward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and a first round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extending projection to be rounded upward in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A second round portion formed to be rounded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terminal exposure hole in the first round portion and a third round portion formed to be round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second inner side portion in the second round portion, And a fourth round portion formed to be rounded in the first inner side direction in the third round portion,
Wherein the first round portion to the fourth round portion are formed to have elastic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복수 개가 상기 단자노출홀에 병렬로 배열된 상태로 상기 단자안내부로 안내되고,
상기 단자안내부에는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단자들 사이 공간으로 단자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terminals are guided to the terminal guide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terminal exposure hole,
And a terminal guid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terminal guiding part in a space between a pair of adjacent terminals.
제 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제 1 면부와, 상기 제 1 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면부에 제 1 카드와 제 2 카드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제 1 카드수용부와 제 2 카드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면부의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제 3 카드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 1 카드수용부보다 작은 크기로 오목하게 제 3 카드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카드수용부의 상기 제 3 카드수용부와 대향되지 않는 위치에 제 1 단자안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 2 카드수용부에는 제 2 단자안내부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타입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 장치.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2,
Said tray comprising:
A first surface portion and a second surface portion provided below the first surface portion,
A first card accommodating portion and a second card accommodating portion are concavely formed on the first surface portion so as to accommodate the first card and the second card, The third card receiving portion is recessed in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card receiving portion,
The first terminal guide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not facing the third card receiving portion of the first card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card receiving portion.
KR1020170042899A 2017-04-03 2017-04-03 Connector Apparatus with Cantilever Type Terminal KR1019870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899A KR101987097B1 (en) 2017-04-03 2017-04-03 Connector Apparatus with Cantilever Typ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899A KR101987097B1 (en) 2017-04-03 2017-04-03 Connector Apparatus with Cantilever Typ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256A KR20180112256A (en) 2018-10-12
KR101987097B1 true KR101987097B1 (en) 2019-06-10

Family

ID=6387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899A KR101987097B1 (en) 2017-04-03 2017-04-03 Connector Apparatus with Cantilever Typ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0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348B1 (en) * 2018-10-16 2019-11-1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Socket with Noise Decrease Fun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8684A (en) 2003-07-18 2005-02-10 Jst Mfg Co Ltd Connector for memory card
JP2008041372A (en) * 2006-08-03 2008-02-21 Jst Mfg Co Ltd IC card connector
KR101666851B1 (en) 2015-03-05 2016-10-1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Connector System for Preventing Mixing of Tra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837B1 (en) 2011-08-03 2013-02-15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Sim card socket
KR101741436B1 (en) * 2015-09-17 2017-05-30 (주)우주일렉트로닉스 Connector for Car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8684A (en) 2003-07-18 2005-02-10 Jst Mfg Co Ltd Connector for memory card
JP2008041372A (en) * 2006-08-03 2008-02-21 Jst Mfg Co Ltd IC card connector
KR101666851B1 (en) 2015-03-05 2016-10-1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Connector System for Preventing Mixing of T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256A (en)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4596B2 (en) Card connector having low profile and vision indicator
KR100870186B1 (en) Memory card connector
US7326085B2 (en) IC card wrong insertion preventing mechanism and IC card connector having the same
US20070161274A1 (en) Card connector
US6561431B2 (en) Card reader and the mobil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it
US7578703B2 (en) Card connector
KR101641104B1 (en) Connector Apparatus with Contact Failure Preventing Function
KR102046348B1 (en) Socket with Noise Decrease Function
KR20100026909A (en) Memory card connector
KR102042082B1 (en) Connector Apparatus with Tray for Multilayered Type
JP2007234472A (en) Card connector
EP1406204B1 (en) Card holder for cellular phone
US6739911B2 (en) Card connector unit provided with first accommodating position and second accommodating position
KR101833722B1 (en) Connector Apparatus with Receiving Part for Card
KR101489490B1 (en) Connector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KR101836312B1 (en) Connector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plurality of cards
KR101586252B1 (en) Connector System with Multi Receiving Part
KR101823332B1 (en) Connector Apparatus for Effective Use of Space
KR101987097B1 (en) Connector Apparatus with Cantilever Type Terminal
KR101666851B1 (en) Connector System for Preventing Mixing of Tray
KR101774437B1 (en) Connector Apparatus with Integrated Terminal Member
KR101741436B1 (en) Connector for Card
US20060194466A1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KR101806248B1 (en) Connector apparatus with switch member
JP4012708B2 (en) Card conne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