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86914B1 -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914B1
KR101986914B1 KR1020170159386A KR20170159386A KR101986914B1 KR 101986914 B1 KR101986914 B1 KR 101986914B1 KR 1020170159386 A KR1020170159386 A KR 1020170159386A KR 20170159386 A KR20170159386 A KR 20170159386A KR 101986914 B1 KR101986914 B1 KR 101986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guide
along
guide ra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1237A (ko
Inventor
장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159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914B1/ko
Priority to US16/767,051 priority patent/US11039679B2/en
Priority to PCT/KR2018/012512 priority patent/WO2019103321A1/ko
Publication of KR20190061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9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10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A45C2011/002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2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F2200/0516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1516Holders or carriers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는 휴대용 기기에 장착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관통홀의 양측면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케이스와,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수용하는 가이드 홈들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관통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선회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고리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요철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복수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Accessory of a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 PMP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기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가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에 삽입되어 고리형 액세서리가 휴대용 기기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용 기기를 휴대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고리형 액세서리는 휴대용 기기의 케이스의 중앙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리형 액세서리가 상기 휴대용 기기로부터 탈착하거나, 상기 휴대용 기기의 고정 위치의 변경이 어렵다. 따라서, 휴대용 기기의 크기 및 사용자의 손의 크기가 다양하고 선호하는 부착 위치가 다양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한 구조이다.
특히, 자기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를 충전하는 경우, 고리형 액세서리에 포함된 금속 링 때문에 무선 충전시 상기 금속 링이 가열되어 화재가 발생하거나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내부에 금속 탐지 센서가 내장되어, 상기 금속 탐지 센서가 무선충전기의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에 금속을 탐지할 경우,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충전 기능을 멈추게 한다. 그러므로, 상기 자기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도 금속 재질의 액세서리가 부착된 휴대용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금속 재질의 고리부를 착탈 및 이동 가능하도록 부착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는 휴대용 기기에 장착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관통홀의 양측면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케이스와,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수용하는 가이드 홈들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관통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선회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고리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요철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복수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관통홀의 연장 단부에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의 연장 단부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장착되거나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캡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관통홀의 연장 단부까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 및 상기 요철부가 상기 캡에도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면을 차폐하기 위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관통홀의 일측면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돌기를 형성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요철부는 상기 관통홀의 일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돌기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판 스프링의 상기 돌기는 상기 플레이트의 가이드 홈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부면을 향해 상방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돌기를 형성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요철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부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돌기를 각각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양 측면에 상기 가이드 홈에서부터 하부면까지 연장하는 측면 홈이 형성되며, 상기 판 스프링의 상기 돌기는 상기 플레이트의 가이드 홈 및 상기 측면 홈을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의 하부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홈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고정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관통홀의 양측면을 향해 상기 돌기가 각각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요철부는 상기 관통홀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돌기를 각각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는 케이스의 관통홀의 양측면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케이스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플레이트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된 고리부가 상기 케이스에서 이동하거나 상기 케이스로부터 착탈 가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고리부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고리부의 위치를 이동하거나 상기 고리부를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하여 자기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장치에서 상기 액세서리가 장착된 휴대용 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100)는 케이스(110), 플레이트(120), 연결부(130), 고리부(140) 및 요철부(15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휴대용 기기(미도시)에서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전면과 반대되는 후면에 장착된다. 케이스(110)는 상기 휴대용 기기를 보호한다.
케이스(110)는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홀(112)을 갖는다. 가이드 레일(114)은 관통홀(112)의 연장 방향 양측면을 따라 케이스(110)에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즉, 가이드 레일(114)은 관통홀(112)의 양측면으로부터 케이스(110)의 후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관통홀(112)에 삽입되어 가이드 레일(114)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관통홀(1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양 측면에 가이드 홈(122)이 구비된다. 가이드 홈(122)은 플레이트(120)의 양 측면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플레이트(120)의 측면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도 있다.
가이드 홈(122)에 가이드 레일(114)이 수용되어 플레이트(120)가 가이드 레일(114)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다.
플레이트(120)가 관통홀(1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므로, 케이스(110)에서 플레이트(120)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판 스프링(124)을 포함한다.
판 스프링(124)은 플레이트(120)에 고정되며, 플레이트(120)의 일측 측면과 마주보는 관통홀(112)의 일측 측면을 향해 절곡되어 돌기(124a)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판 스프링(124)의 돌기(124a)는 플레이트(120)의 가이드 홈(122)을 통해 플레이트(120)의 상기 일측 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판 스프링(124)의 돌기(124a)는 탄성력에 의해 플레이트(120)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커버(126)는 플레이트(120)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플레이트(120)의 하부면을 차폐한다. 일 예로, 커버(126)는 플레이트(120)의 하부면에 접착될 수 있다. 커버(126)는 플레이트(120)의 하부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124)이 플레이트(120)의 하부면을 통해 삽입되어 플레이트(120)에 고정되는 경우, 커버(126)는 판 스프링(124)이 플레이트(1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철부(150)는 가이드 레일(114)을 따라 다수의 요철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면, 요철부(150)는 관통홀(1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관통홀(112)의 일측 측면에 형성된다. 이때, 요철부(150)는 가이드 레일(114)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요철부(150)는 가이드 레일(114)의 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요철부(150)는 상기 요철에 판 스프링(124)의 돌기(124a)를 수용함으로써 플레이트(120)를 복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케이스(110)는 관통홀(112)의 연장 단부에 케이스(11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캡(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캡(116)은 일측이 개방된 대략 U자 형상을 갖는다. 가이드 레일(114) 및 요철부(150)가 캡(116)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116)의 개방 부위가 관통홀(112)과 연결된다. 따라서, 캡(116)이 케이스(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플레이트(120)가 관통홀(112)의 연장 단부까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캡(116)이 케이스(110)에 분리된 상태에서 관통홀(112)의 연장 단부를 통해 플레이트(120)가 가이드레일(114)에 장착되거나 가이드레일(11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플레이트(120)의 장착이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캡(116)의 크기는 플레이트(120)의 크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130)는 연결 블록(132) 및 체결 부재(134)를 포함한다.
연결 블록(132)은 플레이트(120)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체결 부재(134)는 플레이트(120)의 하부면에서 플레이트(120)를 관통하여 연결 블록(132)과 체결된다. 체결 부재(134)의 예로는 나사, 리벳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130)는 플레이트(1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고리부(140)는 연결부(130)에 고정되며, 연결부(130)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일 예로, 고리부(140)는 연결부(130)를 관통하여 고정되며, 고리부(140)와 연결부(130)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고리부(140)를 연결부(130)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고리부(140)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개구가 형성된 부위가 고리부(140)와 맞물릴 수 있다. 고리부(140)와 연결부(130)가 맞물리는 부위에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고리부(140)를 연결부(130)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고리부(140)는 연결부(130)와 연결되는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 평탄부를 갖는다. 상기 평탄부는 고리부(140)가 바닥면(미도시)과 접촉할 때 접촉 면적을 넓힌다. 즉, 고리부(140)의 다른 부위가 상기 바닥면과 접촉할 때보다 상기 평탄부가 바닥면과 접촉할 때 보다 넓은 접촉 면적을 가짐에 따라 액세서리(100)가 안정적으로 상기 휴대용 기기를 지지할 수 있다.
고리부(140)는 사용자에 의해서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강도가 높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액세서리(100)가 장착된 휴대용 기기를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경우,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에 플레이트(120), 연결부(130), 고리부(140)가 위치하지 않도록 케이스(110)에서 플레이트(120), 연결부(130), 고리부(140)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케이스(110)에서 플레이트(120), 연결부(130), 고리부(140)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120), 연결부(130), 고리부(140) 중 적어도 하나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액세서리(100)가 장착된 휴대용 기기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서 충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200)는 케이스(210), 플레이트(220), 연결부(230), 고리부(240) 및 요철부(250)를 포함한다.
케이스(210), 연결부(230) 및 고리부(240)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 케이스(110), 연결부(130) 및 고리부(140)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플레이트(220)는 관통홀(212)에 삽입되어 가이드 레일(214)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관통홀(2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홈(222)에 가이드 레일(214)이 수용되어 플레이트(220)가 가이드 레일(214)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다.
플레이트(220)가 관통홀(2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므로, 케이스(210)에서 플레이트(220)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플레이트(220)는 판 스프링(224)을 포함한다.
판 스프링(224)은 대략 평판 형태를 가지며, 플레이트(220)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판 스프링(224)은 체결 나사(225)에 의해 플레이트(220)의 하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판 스프링(224)은 양측에 상면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224a)를 갖는다. 따라서, 판 스프링(224)은 플레이트(220)에 고정된 상태에서 돌기(224a)가 가이드레일(214)의 하부면을 향해 각각 돌출될 수 있다.
플레이트(220)는 양 측면에 가이드 홈(222)에서부터 하부면까지 연장하는 측면 홈(223)이 형성된다. 따라서, 판 스프링(224)의 돌기(224a)는 플레이트(220)의 가이드 홈(222) 및 측면 홈(223)을 통해 가이드 레일(214)의 하부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커버(226)는 플레이트(220)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플레이트(220)의 하부면을 차폐한다. 일 예로, 커버(226)는 플레이트(220)의 하부면에 접착될 수 있다. 커버(226)는 체결 나사(225)가 체결된 플레이트(220)의 하부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철부(250)는 가이드 레일(214)의 하부면을 따라 다수의 요철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면, 요철부(250)는 관통홀(2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가이드 레일(214)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요철부(250)는 상기 요철에 판 스프링(224)의 돌기(224a)를 수용함으로써 플레이트(220)를 복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액세서리(200)가 장착된 휴대용 기기를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경우,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에 플레이트(220), 연결부(230), 고리부(240)가 위치하지 않도록 케이스(210)에서 플레이트(220), 연결부(230), 고리부(240)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케이스(210)에서 플레이트(220), 연결부(230), 고리부(240)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220), 연결부(230), 고리부(240) 중 적어도 하나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액세서리(200)가 장착된 휴대용 기기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서 충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300)는 케이스(310), 플레이트(320), 연결부(330), 고리부(340) 및 요철부(350)를 포함한다.
케이스(310), 연결부(330) 및 고리부(340)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 케이스(110), 연결부(130) 및 고리부(140)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플레이트(320)는 관통홀(312)에 삽입되어 가이드 레일(314)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관통홀(3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플레이트(320)는 상부 플레이트(321) 및 하부 플레이트(323)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321)는 연결부(330)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연결 블록(332)이 상부 플레이트(321)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체결 부재(334)는 상부 플레이트(321)의 하부면에서 상부 플레이트(321)를 관통하여 연결 블록(332)과 체결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323)는 상부 플레이트(321)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부 플레이트(321)에 고정된다. 상부 플레이트(321)와 하부 플레이트(323)가 상기 일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플레이트(320)의 측면 둘레를 따라 가이드 홈(322)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홈(322)에 가이드 레일(314)이 수용되어 플레이트(320)가 가이드 레일(314)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다.
플레이트(320)가 관통홀(3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므로, 케이스(310)에서 플레이트(320)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323)는 관통홀(312)의 양측 측면을 향해 각각 절곡되어 돌출되는 돌기(324)를 구비한다. 돌기(324)가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하부 플레이트(323)에서 돌기(324) 부위는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돌기(324)는 탄성력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323)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커버(326)는 하부 플레이트(323)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하부 플레이트(323)의 하부면을 차폐한다. 일 예로, 커버(326)는 하부 플레이트(323)의 하부면에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326)는 플레이트(320)의 하부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철부(350)는 가이드 레일(314)을 따라 다수의 요철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면, 요철부(350)는 관통홀(3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관통홀(312)의 일측 측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돌기(324)가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323)가 가이드 홈(322)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므로, 요철부(350)는 가이드 레일(314)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350)는 상기 요철에 하부 플레이트(323)의 돌기(324)를 수용함으로써 플레이트(320)를 복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액세서리(300)가 장착된 휴대용 기기를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경우,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에 플레이트(320), 연결부(330), 고리부(340)가 위치하지 않도록 케이스(310)에서 플레이트(320), 연결부(330), 고리부(340)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케이스(310)에서 플레이트(320), 연결부(330), 고리부(340)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320), 연결부(330), 고리부(340) 중 적어도 하나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액세서리(300)가 장착된 휴대용 기기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서 충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가 장착된 휴대용 기기를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경우 케이스에 대해 플레이트, 연결부 및 고리부의 위치를 이동하거나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플레이트,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고리부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고리부 중 적어도 하나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액세서리가 장착된 휴대용 기기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서 충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액세서리 110 : 케이스
112 : 관통홀 114 : 가이드 레일
120 : 플레이트 122 : 가이드 홈
124 : 판 스프링 124a : 돌기
126 : 커버 130 : 연결부
132 : 연결블록 134 : 체결 부재
140 : 고리부 150 : 요철부

Claims (9)

  1. 휴대용 기기에 장착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관통홀의 양측면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케이스;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수용하는 가이드 홈들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관통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선회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고리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요철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복수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의 연장 단부에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의 연장 단부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장착되거나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캡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관통홀의 연장 단부까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 및 상기 요철부가 상기 캡에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면을 차폐하기 위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관통홀의 일측면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돌기를 형성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요철부는 상기 관통홀의 일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의 상기 돌기는 상기 플레이트의 가이드 홈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7. 휴대용 기기에 장착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관통홀의 양측면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케이스;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수용하는 가이드 홈들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관통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선회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고리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요철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복수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부면을 향해 상방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돌기를 형성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요철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부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돌기를 각각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양 측면에 상기 가이드 홈에서부터 하부면까지 연장하는 측면 홈이 형성되며,
    상기 판 스프링의 상기 돌기는 상기 플레이트의 가이드 홈 및 상기 측면 홈을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의 하부면을 향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9. 휴대용 기기에 장착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관통홀의 양측면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케이스;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수용하는 가이드 홈들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관통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선회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고리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요철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복수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홈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고정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관통홀의 양측면을 향해 상기 돌기가 각각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요철부는 상기 관통홀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돌기를 각각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KR1020170159386A 2017-11-27 2017-11-27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Active KR101986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386A KR101986914B1 (ko) 2017-11-27 2017-11-27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US16/767,051 US11039679B2 (en) 2017-11-27 2018-10-22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PCT/KR2018/012512 WO2019103321A1 (ko) 2017-11-27 2018-10-22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386A KR101986914B1 (ko) 2017-11-27 2017-11-27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237A KR20190061237A (ko) 2019-06-05
KR101986914B1 true KR101986914B1 (ko) 2019-06-21

Family

ID=66631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386A Active KR101986914B1 (ko) 2017-11-27 2017-11-27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39679B2 (ko)
KR (1) KR101986914B1 (ko)
WO (1) WO20191033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246B1 (ko) * 2019-12-10 2021-05-10 전대형 슬라이딩 가능한 핸드폰 액세서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914B1 (ko) * 2017-11-27 2019-06-21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USD958131S1 (en) * 2019-02-19 2022-07-19 Miworld Accessories Llc Smart phone back protector with ring holder
USD927477S1 (en) * 2019-03-11 2021-08-10 Christopher Douglas Jordan Phone holder
USD928769S1 (en) * 2019-09-26 2021-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28766S1 (en) * 2019-09-26 2021-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28767S1 (en) * 2019-09-26 2021-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CN110840040B (zh) * 2019-12-13 2024-10-25 深圳西塔克工业有限公司 一种按扣开合式可穿戴收容盒
KR200492747Y1 (ko) * 2020-04-14 2020-12-03 윤여신 휴대 기기 그립 장치
US11994251B2 (en) * 2020-05-06 2024-05-28 Tommie T. Daniels Cellular phone carrier
CN112425142B (zh) * 2020-05-21 2022-02-11 朴佳颖 可无线充电便携式终端用支架装置
USD915386S1 (en) * 2020-11-02 2021-04-06 Yiqiang Zhou Case for mobile telephone
US11265035B1 (en) * 2021-02-08 2022-03-01 Ping Zhang Mobile device holder
USD960146S1 (en) * 2021-11-12 2022-08-09 Shenzhen R-JUST Technology Co. Ltd Mobile phone stand
CN216619151U (zh) * 2021-11-26 2022-05-27 广州泊霖科技有限公司 转盘支架和使用其的平板保护壳
CN216599728U (zh) * 2021-12-06 2022-05-24 汪胜刚 一种多功能支架手机保护壳
CN217283011U (zh) * 2022-05-07 2022-08-23 深圳市得一创新技术有限公司 一种手机支架
USD995504S1 (en) * 2022-08-03 2023-08-15 Wenbin Chen Mobile phone case
USD978852S1 (en) * 2022-11-16 2023-02-21 Qi Hu Combined mobile phone case and card case
WO2024111939A1 (ko) * 2022-11-23 2024-05-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를 위한 거치형 액세서리
USD1034566S1 (en) * 2022-12-16 2024-07-09 Jicheng Technology (shenzhen) Co., Ltd. Mobile phone case
USD982570S1 (en) * 2023-01-06 2023-04-04 Wenqiang Huang Combined mobile phone case and card case
USD1006006S1 (en) * 2023-05-19 2023-11-28 Yu Chen Case for mobile telephone
USD1006004S1 (en) * 2023-05-19 2023-11-28 Yu Chen Case for mobile telephone
USD1006005S1 (en) * 2023-05-19 2023-11-28 Yu Chen Case for mobile telepho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631Y1 (ko) * 2002-01-05 2002-05-08
KR101267636B1 (ko) * 2012-11-09 2013-05-27 원무웅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1615B2 (ja) * 1999-04-23 2002-05-13 シック株式会社 改良型携帯電話機
US7926429B2 (en) * 2008-09-02 2011-04-19 Cooler Master Co., Ltd. Angle-adjustable heat-dissipating pad for portable computer
US9316344B2 (en) * 2013-01-07 2016-04-19 Zero Chroma,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s
US8374657B2 (en) * 2009-02-27 2013-02-12 Rich Interdonato Finger holder for handheld communication units
US9179565B2 (en) * 2011-01-11 2015-11-03 Sung-mok Cho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20130146625A1 (en) * 2011-12-13 2013-06-13 Bryan Karle Attachable holder with flexible ring for any handheld device
EP2809194A4 (en) * 2012-02-02 2015-09-23 Superior Communications Inc BOWL WITH SIDE SUPPORT
US20140166707A1 (en) * 2012-12-17 2014-06-19 Philip J. Leisey-Bartsch Apparatus with rotating disc for electronic devices and the like
MY168518A (en) * 2013-04-12 2018-11-12 Aauxx Korea Co Ltd Accessory for mobile device and device for mounting mobile device having same on vehicle
TW201510404A (zh) * 2013-09-13 2015-03-16 Hon Hai Prec Ind Co Ltd 支架
US9397717B2 (en) * 2014-04-23 2016-07-19 John S. Curran Electronic device gripping system
WO2016111517A1 (ko) * 2015-01-06 2016-07-14 장진태 마운팅 부재
KR101608754B1 (ko) * 2015-09-07 2016-04-04 전효진 휴대용 전자,전기 기기의 액세서리
KR200483203Y1 (ko) * 2015-11-06 2017-04-14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KR101866881B1 (ko) * 2015-11-25 2018-06-12 (주) 폰투조이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823970B1 (ko) * 2016-01-08 2018-02-01 (주)에이프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101810443B1 (ko) * 2016-02-26 2017-12-19 전대형 액세서리를 구비한 핸드폰용 보호케이스
USD811412S1 (en) * 2016-12-15 2018-02-27 Blucase, Llc Cell phone and tablet holder
USD858507S1 (en) * 2017-04-24 2019-09-03 Aauxx Korea Co., Ltd. Stand for a mobile telephone
USD844598S1 (en) * 2017-07-24 2019-04-02 Aauxx Korea Co., Ltd. Stand for mobile telephones
US20190055062A1 (en) * 2017-08-21 2019-02-21 Dublyu, LLC Fully collapsible handle system and device
KR101832922B1 (ko) * 2017-09-26 2018-02-27 유현주 스마트 단말기용 핑거 그립
KR101986914B1 (ko) * 2017-11-27 2019-06-21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KR101880750B1 (ko) * 2017-12-07 2018-07-20 채수현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파지 장치
US10530411B2 (en) * 2018-03-07 2020-01-07 The Haus, Llc Cardholder accessor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210315366A1 (en) * 2018-07-06 2021-10-14 Popsockets Llc Guide rail accessory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627046B1 (en) * 2018-09-28 2020-04-21 Aauxx Usa, Inc. Detachable ring holder, compatible with wireless charging, for smartphone
US10533700B1 (en) * 2018-11-20 2020-01-14 Michael Mulhall Multi-functional handle system
KR101979629B1 (ko) * 2018-12-19 2019-05-17 여창기 다용도 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631Y1 (ko) * 2002-01-05 2002-05-08
KR101267636B1 (ko) * 2012-11-09 2013-05-27 원무웅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246B1 (ko) * 2019-12-10 2021-05-10 전대형 슬라이딩 가능한 핸드폰 액세서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3321A1 (ko) 2019-05-31
US20200297103A1 (en) 2020-09-24
US11039679B2 (en) 2021-06-22
KR20190061237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914B1 (ko)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KR200483203Y1 (ko)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CN106790829B (zh) 壳体组件、显示装置及移动终端
US7309253B2 (en) Battery cover fixing mechanism and battery cover and housing assembly
US8300388B2 (en) Accessory strap securing mechanism
EP3355157A1 (en) Hous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N106941540B (zh) 壳体组件、显示装置及移动终端
CN108650367B (zh) 手机夹持机构及头戴产品
EP2533129A2 (e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777505B1 (ko) 휴대단말기용 악세사리
KR200473759Y1 (ko) 집게타입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CN108352851A (zh) 用于将护套联接到另一部件的系统和方法
CN111048343B (zh) 按键及电子设备
KR101753520B1 (ko) 스마트폰 거치대
US828306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etachable battery cover having elastic positioning element
CN102006737A (zh) 便携式电子装置
KR101996591B1 (ko) 차량의 송풍구 설치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CN206402276U (zh) 壳体组件、显示装置及移动终端
KR200407607Y1 (ko) 휴대용 단말기 착용 및 거치 장치
CN211182034U (zh) 按键组件以及移动电源
US791647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electable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KR101963660B1 (ko)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CN209860904U (zh) 一种夹具及手持终端
CN216520466U (zh) 支架组件、设备连接件以及设备保护壳
KR20190003445A (ko)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