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899B1 - lid for the drinking container - Google Patents
lid for the drinking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6899B1 KR101986899B1 KR1020170116379A KR20170116379A KR101986899B1 KR 101986899 B1 KR101986899 B1 KR 101986899B1 KR 1020170116379 A KR1020170116379 A KR 1020170116379A KR 20170116379 A KR20170116379 A KR 20170116379A KR 101986899 B1 KR101986899 B1 KR 1019868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aw
- insertion hole
- lid
- beverage container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사용자의 편리함에 따라 빨대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마실 수 있고, 빨대가 뚜껑의 삽입구에 끼워져 쉽게 움직이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음료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상기 삽입구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구를 차폐하고,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향하는 다수의 절개선을 갖는 절개부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의 중심부로 빨대가 관통하는 연질의 차단막; 및
상기 삽입구 내부에서 상기 차단막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빨대의 측면을 지지하여 빨대가 삽입구 내부의 중앙부로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링 형상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which can be safely drink using a straw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the straw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lid so as not to move or detach easily,
A soft blocking film formed inside the insertion hole to shield the insertion hole and having a plurality of incisions extending from the center to the edge thereof and having a straw penetrating into the center of the incision; And
And a ring-shaped support portion formed above the blocking film in the insertion hole and supporting the side surface of the straw to guide the straw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insertion ho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료와 같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에 씌워지고, 빨대를 끼워서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마실 수 있는 음료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which is covered in a container in which contents such as a beverage are accommodated, and which is capable of drinking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by inserting a straw.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내부에 수용되는 음료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뚜껑이 구비되며, 이러한 뚜껑에는 빨대(스트로우)를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소정 반경의 삽입구가 관통되어 형성된다.In general, the beverag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lid for blocking the outflow of the beverage contained therein, the lid is form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a predetermined radius so as to use a straw (straw).
상기 삽입구는 다양한 굵기의 빨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대부분 넉넉한 사이즈로 가공되고, 이러한 삽입구가 구비된 음료용기 뚜껑에 대하여 종래에 공개특허 제10-2005-0087702호로 선 출원된 바 있다.The insertion hole is processed to a large enough size to use straws of various thicknesses, and has been previously fil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87702 for a beverage container lid provided with such an insertion hole.
그러나 종래의 뚜껑에 형성된 삽입구는 굵기가 서로 다른 빨대를 혼용하기 위해 대부분 크게 가공되는데, 상대적으로 굵기가 가느다란 빨대를 사용하는 경우 빨대가 삽입구 내에서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However,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onventional lid is largely processed to mix straw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nd when a straw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is used, the straw is inclined to one side in the insertion hole.
이 경우, 사용자는 빨대가 치우친 쪽으로 컵을 돌려 잡거나 빨대를 다시 정렬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this case, the user has a hassle to turn the cup toward the biased straw or to realign the straw.
또한, 가느다란 빨대에 맞게 삽입구를 작게 형성하면 다양한 굵기의 빨대를 혼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mixed with a straw of various thickness if the insertion port is formed small to fit the thin straw.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한 것으로서, 음료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사용자의 편리함에 따라 빨대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마실 수 있고, 빨대가 뚜껑에서 쉽게 움직이거나 이탈되지 않는 음료용기용 뚜껑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safely drink using a straw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the straw is not easy to move from the lid to the beverage container lid To provide.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other task that i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이 종래 음료용기용 뚜껑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뚜껑은, 빨대를 꼽을 수 있도록 소정의 삽입구가 형성되는 음료용기용 뚜껑에 있어서,In the beverage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lid as described above, in the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in which a predetermined insertion hole is formed so as to put a straw,
상기 삽입구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구를 차폐하고,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다수의 절개선을 갖는 절개부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의 중심부로 빨대가 관통하는 차단막; 및A blocking film formed inside the insertion hole to shield the insertion hole and having a cutout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cutoff lines from a center portion to an edge portion thereof so that a straw passes through the center portion of the cutout portion; And
상기 삽입구 내부에서 상기 차단막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빨대의 측면을 지지하여 빨대가 삽입구 내부의 중앙부로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링 형상의 지지부;를 포함한다.And a ring-shaped support portion formed above the blocking film in the insertion hole and supporting the side surface of the straw to guide the straw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insertion ho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에 상기 빨대가 상기 삽입구 내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돌기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t least two support protrusions for supporting the straw so that the straw is located in the center portion inside the insertion hol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는 삽입구로 삽입되는 빨대에 의해 개방된 일측이 폐쇄되면서 상하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소정공간의 통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etween the supporting protrusio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nt opening of a predetermined space to move the air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while one side opened by the straw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is closed.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뚜껑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발명의 뚜껑에 끼워지는 빨대가 뚜껑 내부의 지지부에 지지되어 움직이거나 흔들리지 않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straw is fitted to the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inside the lid has an effect that does not move or shake.
또한, 상기 지지부에는 빨대의 주름부와 체결되는 톱니부가 형성되어, 빨대가 주름부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빨대의 주름부가 톱니부에 걸려 상하로 움직이지 않아 상기 빨대가 뚜껑에서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tooth portion that is engaged with the wrinkle portion of the straw,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raw from being bent by the wrinkle portion, the straw portion of the straw does not move up and down caught in the tooth portion that the straw is released from the lid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뚜껑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와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뚜껑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도 및 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terior and an embodiment showing the inside of the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안 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presented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먼저,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뚜껑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First, Figure 1 and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뚜껑은, 음료가 수용되는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좁아지는 젖병 젖꼭지 또는 나팔 모양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0); 및 상기 몸체부(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음료가 수용되는 용기와 결합하는 결합부(2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0)와 결합부(20)는 요홈부(13)에 의해 상하로 구분된다.The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fastened to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in which the beverage is accommodated,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은 상기 요홈부(13)의 상측에 젖꼭지 형상의 몸체부(10)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13)의 하측에는 용기와 결합하는 결합부(20)가 형성되는 것이다.That is,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nipple-
상기 결합부(20)는 용기의 상부를 차폐하는 것으로, 용기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테두리부를 하방으로 절곡시켜 용기의 상단부에 씌워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뚜껑이 용기 내부에 끼워져 결합할 때 용기의 상단부에 걸려 용기 내부에서 뚜껑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20a)가 결합부(20)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또한, 본 발명의 음료용기용 뚜껑은 상기 용기의 상단부가 상기 요홈부(13)에 끼워짐으로써 상호 결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is fitted into the groove portion (13).
그리고 본 발명의 뚜껑은 상하방향으로 중공된 삽입구(11)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구(11)를 통해 용기 내부로 빨대(1)가 주입되고, 상기 삽입구(11)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일측에는 뚜껑의 외부로 노출되는 빨대(1)의 상단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홈(12)이 형성된다.And the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다음,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뚜껑의 내부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삽입구(11)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구(11)를 차폐하고,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다수의 절개선(41a)을 갖는 절개부(41)가 형성되어 삽입구(11)에 빨대(1)의 삽입시 빨대(1)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절개선(41a)이 상호 벌어지면서 절개부(41)의 중심부로 빨대(1)가 관통하는 연질의 차단막(40);이 형성된다.Next, Figure 3 and Figure 4 shows the inside of the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삽입구(11) 내부에서 상기 차단막(40)의 상측에는 상기 빨대(1)의 측면을 지지하여 빨대(1)가 삽입구(11) 내부의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관통하도록 유도하는 링 형상의 지지부(30);가 형성된다.And the upper side of the blocking
상기 차단막(40)은 상기 삽입구(11)를 차폐하여 음료가 수용되는 용기를 밀폐하는 것으로, 상기 절개부(41)는 차단막(40)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절개선(41a)이 서로 소정 각 벌어져 형성되고, 상기 빨대(1)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절개선(41a)이 탄성에 의해 빨대(1)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호 벌어져 상기 절개부(41)의 중앙부로 빨대(1)가 관통하며, 상기 빨대(1)가 삽입구(11)에서 분리되면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삽입구(11)를 다시 차폐하게 되는 것이다.The blocking
상기 차단막(40)은 탄성을 갖는 연질의 막으로, "ㅡ"자, "Y"자, "X"자 또는 "┼"자 등 다양한 형상의 절개선(41a)을 포함하는 절개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41)의 중심부에 빨대(1)의 삽입시 연질의 막이 하측으로 휘어지면서 빨대(1)의 외면에 절개된 막의 중심부가 밀착되게 된다.The blocking
상기 지지부(30)는 오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로 관통하는 빨대(1)의 측면을 지지하여 빨대(1)가 상기 삽입구(11)의 내면에 닿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빨대(1)가 상하로 곧게 세워진 상태로 삽입구(11)를 관통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뚜껑에 빨대(1)를 수월하게 꽂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또한, 상기 지지부(30)에는 상기 빨대(1)가 삽입구(11) 내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돌기(31)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31) 사이에는 삽입구(11)로 삽입되는 빨대(1)에 의해 개방된 일측이 폐쇄되면서 상하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소정공간의 통기부(32)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즉, 빨대(1)가 상기 삽입구(11)를 통해 용기에 삽입되면, 상기 빨대(1)가 상기 지지돌기(31)에 의해 삽입구(11) 내부에서 휘어지거나 접혀지지 않도록 지지되어 상기 차단막(40)의 절개선(41a)을 쉽게 가압하면서 차단막(40)을 관통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또한, 상기 지지돌기(31)는 상기 빨대(1)와 접하는 면에 상기 빨대(1)에 형성되는 주름부(1a)에 대응하는 톱니부(31a)가 형성되어, 상기 주름부(1a)와 톱니부(31a)가 상호 체결됨으로 인해 상기 빨대(1)가 상기 삽입구(11)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톱니부(31a)는 빨대(1)의 주름부(1a)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빨대(1)의 주름부(1a)가 지지돌기(31)의 톱니부(31a)에 체결되어 빨대(1)가 주름부(1a)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빨대(1)의 주름부(1a)가 톱니부(31a)에 걸려 상하로 움직이지 않아 상기 빨대(1)가 뚜껑에서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빨대 1a : 주름부
10 : 몸체부 11 : 삽입구
12 : 고정홈 13 : 요홈부
20 : 결합부 30 : 지지부
31 : 지지돌기 31a : 톱니부
40 : 차단막 41 : 절개부
41a : 절개선1:
10: body portion 11: insertion hole
12: fixing groove 13: groove
20: coupling portion 30: support portion
31: support
40: blocking film 41: incision
41a: incision line
Claims (4)
상기 삽입구(11)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구(11)를 차폐하고,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향하는 다수의 절개선(41a)을 갖는 절개부(41)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41)의 중심부로 빨대(1)가 관통하는 차단막(40); 및
상기 삽입구(11) 내부에서 상기 차단막(40)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빨대(1)의 측면을 지지하여 빨대(1)가 삽입구(11) 내부의 중앙부로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링 형상의 지지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30)에는 상기 빨대(1)가 삽입구(11) 내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빨대(1)의 측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돌기(31)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31) 사이에는 삽입구(11) 내부의 빨대(1)에 의해 개방된 일측이 폐쇄되면서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관통되는 통기부(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뚜껑.
In the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in which the insertion hole 11 into which the straw 1 is inserted is formed at one side,
A cutout portion 41 formed in the insertion hole 11 to shield the insertion hole 11 and having a plurality of cut lines 41a from the center to the edge is formed therein to form a central portion of the cutout 41. Block 40 through which straw 1 passes; And
A ring-shaped support part formed above the blocking film 40 in the insertion hole 11 and supporting the side surface of the straw 1 to guide the straw 1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insertion hole 11. 30); and
At least two support protrusions 31 supporting the side surface of the straw 1 are formed in the support part 30 so that the straw 1 is position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insertion hole 11.
For the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between the support projections 31 is formed with a vent 32 through which one side opened by the straw 1 in the insertion hole 11 is closed to move the air in the vertical direction. Lid.
상기 지지돌기(31)는 상기 빨대(1)의 주름부(1a)에 대응하는 톱니부(31a)가 상기 빨대(1)와 접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주름부(1a)와 톱니부(31a)의 체결에 의해 상기 빨대(1)가 상기 삽입구(1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뚜껑.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rotrusion 31 is formed on a surface where the toothed portion 31a corresponding to the wrinkled portion 1a of the straw 1 is in contact with the straw 1, and thus the wrinkled portion 1a and the toothed portion 31a. Lid for the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w (1) is fixed to the insertion opening (11) by the fastening.
상기 삽입구(11)가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11)의 외측에는 빨대(1)의 일단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홈(12)이 형성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하부 외주연에 형성되는 요홈부(13); 및
상기 요홈부(13)의 하측에 형성되고, 용기와 결합하는 결합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뚜껑.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ody portion 10 is formed in the insertion hole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xing groove 12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hole 11 to be fixed to one end of the straw (1);
A recess 13 formed at a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body 10; And
A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groove 13, the coupling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6379A KR101986899B1 (en) | 2017-09-12 | 2017-09-12 | lid for the drinking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6379A KR101986899B1 (en) | 2017-09-12 | 2017-09-12 | lid for the drinking contai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9163A KR20190029163A (en) | 2019-03-20 |
KR101986899B1 true KR101986899B1 (en) | 2019-09-30 |
Family
ID=66036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6379A Active KR101986899B1 (en) | 2017-09-12 | 2017-09-12 | lid for the drinking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6899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6872Y1 (en) * | 2013-12-13 | 2015-04-10 | 김종석 | Watertight seal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57010U (en) * | 1998-08-25 | 1999-03-26 | 久志 武藤 | PET bottle with straw storage one-touch kip |
KR20050087702A (en) | 2004-02-26 | 2005-08-31 | 박광호 | A beverage cup lid |
KR20140001519U (en) * | 2012-09-04 | 2014-03-12 | 윤기문 | Cover of Water Bottle With The Improved Structure |
-
2017
- 2017-09-12 KR KR1020170116379A patent/KR10198689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6872Y1 (en) * | 2013-12-13 | 2015-04-10 | 김종석 | Watertight seal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9163A (en) | 2019-03-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14715B2 (en) | Safety cap spout | |
US10384839B2 (en) | Universal fit bottle cap | |
US11951075B2 (en) | Bottle teat and cap for a drinking bottle | |
US10849826B2 (en) | Flow restrictor | |
US2003657A (en) | Cap for drinking glasses | |
US20160235229A1 (en) | Drinking Container with a Drinking Vessel and a Drinking Lid | |
US20150259115A1 (en) | Sealed Container with Moisture-proof Function | |
US9151398B2 (en) | Valve for a sippy cup | |
JP2020007017A (en) | Beverage container | |
JP2006347580A (en) | Beverage container and lid with drinking mouth | |
CA2454001C (en) | Vent disc with center knob | |
KR101986899B1 (en) | lid for the drinking container | |
US8905262B2 (en) | Combined container holder opener and cap | |
KR20160030166A (en) | Dual configuration bottle assembly | |
US20140209612A1 (en) | Drink Cup Cap | |
AU2003287757B2 (en) | Air valve for a cap provided with a mouthpiece for drinking | |
US20190084732A1 (en) | Beverage can lid | |
KR101344604B1 (en) | Plastic cup | |
KR101893108B1 (en) | Safety cap with easy opening and accuracy | |
KR101947010B1 (en) | Spout safety cap | |
EP3095357A1 (en) | Cup holder | |
US3208617A (en) | Container closure means | |
US3327752A (en) | Jar closure | |
EP3431161B1 (en) | Lid construction for container | |
JP2018083656A (en) | Wet wipe storage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0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5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