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86497B1 -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 선택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 선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497B1
KR101986497B1 KR1020180126134A KR20180126134A KR101986497B1 KR 101986497 B1 KR101986497 B1 KR 101986497B1 KR 1020180126134 A KR1020180126134 A KR 1020180126134A KR 20180126134 A KR20180126134 A KR 20180126134A KR 101986497 B1 KR101986497 B1 KR 101986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node
data packet
quality
packe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봉
박수범
유영빈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6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49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 선택 방법은, 제 1 노드에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목적 노드에 대응하는 경로 품질에 따라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로 상기 데이터 패킷의 헤더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헤더를 갖는 데이터 패킷을 제 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 선택 방법{METHOD FOR SELECTING DATA PACKET TRANSMISSION PATH IN MOBILE AD-HOC NETWORK}
본 발명은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 선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무전기는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 등과 같은 기반 망 없이 디지털 무전기 간 패킷 통신을 이용하여 자율적으로 애드혹 망을 구성한다. 애드혹 망은 디지털 무전기의 이동과 지형/지물에 의해 토폴로지가 변경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신뢰성 있는 데이터 패킷 송수신을 위해서는 신속한 토폴로지 변화 인지와 신뢰성 높은 경로를 통한 데이터 패킷 송수신 기술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헤더 내의 경로를 이용하여 토폴로지를 갱신하거나, 별도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갱신하였다. 전자는 단일 경로 정보만을 업데이트 가능하고, 후자는 토폴로지 갱신을 위한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그리고 최소홉(minimum hop) 우선 정책을 이용한 링크 품질을 적용하여 데이터 패킷 전송 경로를 선택하였다. 최소홉 기반의 링크 품질 방법은 최소홉의 경로들이 모두 품질이 떨어지는 경우 데이터 패킷 송수신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힘들다.
등록특허: 10-0766869, 등록일: 2007년 10월 8일, 제목: Ad-Hoc 이동 통신망에서 TEST 프레임을 이용한 토폴로지 갱신 기능 향상 방법. 등록특허: 10-0895621, 등록일: 2009년 4월 23일, 제목: 무선 이동 Ad-Hoc 네트워크에서의 토폴로지 관리방법. 등록특허: 10-1369992, 등록일: 2014년 2월 26일, 제목: MIL-STD-188-220 프로토콜에서 DTR 비트를 활용한 서비스 품질 적용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신뢰성 높은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 선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 선택 방법은: 제 1 노드에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목적 노드에 대응하는 경로 품질에 따라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로 상기 데이터 패킷의 헤더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헤더를 갖는 데이터 패킷을 제 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는, 라우팅 테이블에서 목적 노드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탐색 결과로써 상기 목적 노드까지 단일 경로인 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목적 노드까지 상기 단일 경로가 아닐 때, 모든 후보 경로에 대한 상기 경로 품질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모든 후보 경로 중에서 상기 경로 품질이 가장 높은 경로를 상기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경로 품질을 계산하는 단계는, 링크 품질과 홉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 품질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 품질은 WSNR(weighted signal to noise ratio)과 PDR(packet delivery ratio)을 이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 품질은,
Figure 112018104113700-pat00001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WSNR은, WSNRt = α * SNRt + (1-α) * WSNRt - 1, 0.5 < α <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PDR은,
Figure 112018104113700-pat00002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노드들은 모든 무선 데이터 패킷을 엿듣기로 수신하여 패킷 내 포함된 이웃 노드 정보를 이용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 한다. 그래서 망 변화 정보를 빠르게 라우팅 테이블에 적용할 수 있다. 둘째, 경로 선택 시에 link quality에 HOP 가중치를 적용한 경로 품질을 통해 경로를 선택하여 최소홉 우선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줄인다. 셋째, 중계노드에서 품질이 더 좋은 경로를 재탐색하여 패킷을 전달하므로 데이터 전송 신뢰성을 높인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들은 본 실시 예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실시 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드 장치에서 다른 노드로 송신할 데이터의 내부 처리 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는 중계노드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중계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노드 A의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3의 토폴로지 구성에서 노드 A에서 노드 D로 데이터 송신 시 노드 A에서 경로 품질을 계산하는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노드 A의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노드 C의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노드 A에서 노드 E로 전송할 패킷에 대한 경로 품질 계산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노드 A로부터 전송 받은 패킷에 대해 노드 C에서 다음 중계노드를 선택하기 위한 경로 품질 계산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데이터 패킷을 이용한 라우팅 테이블 업데이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토폴로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노드 A의 최초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노드B의 데이터에 포함된 이웃 노드 정보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노드 A의 변경된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LQE 계산 결과에 따른 링크 품질 등급을 매핑한 테이블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 노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도면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내용을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혹은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혹은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혹은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혹은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혹은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노드 장치의 동작 방법은, Hello 및 패킷 엿듣기를 이용한 토폴로지 업데이트 방법, 데이터 패킷 수신 시 라우팅 테이블에서 경로 탐색 및 선택 방법, 및 중계 노드에서 경로 재탐색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첫째로, Hello 및 패킷 엿듣기를 이용한 토폴로지 업데이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든 노드는 30초 간격으로 1/2-hop 이웃 노드 정보를 담은 Hello 패킷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30초 간격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든 노드는 Hello를 제외한 모든 데이터 패킷에 1-hop 이웃 노드 정보를 담아 송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든 노드는 이웃 노드의 Hello 패킷을 수신 및 데이터 패킷 엿듣기를 이용하여 토폴로지 업데이트 수행할 수 있다.
둘째로, 데이터 패킷 수신 시 라우팅 테이블에서 경로 탐색 및 선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시 예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가 발생하면, 라우팅 테이블에서 전송 가능한 모든 경로 탐색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든 후보 경로에 대해 경로 품질(path quality)을 계산하여 가장 우수한 경로가 선택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경로 품질은 링크 품질(link quality)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8104113700-pat00003
여기서, Link Quality(LQ)는 LQE(Link Quality Estimation) 계산 값을 15단계로
등급화한 결과이다.
한편, LQE(Link Quality Estimation)는 Weighted SNR(WSNR)과 패킷 전달 성공률(PDR)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8104113700-pat00004
여기서, WSNR의 α 값은 최신 SNR 값에 더 가중치를 주기 위한 계수로써 망의 변화가 심할수록 1에 가까운 값을 할당될 수 있다. 또한, SNR(signal to noise ratio)은 신호 대 잡음비로 데이터 수신 시 측정되는 신호세기이다. SNR은 1~10 사이의 값을 가지며, 10 이상으로 측정된 경우 10으로 변환하여 WSNR 계산식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PDR(Packet Delivery Ratio)에서 latest send packet numbers는 최근에 송신한 패킷 수를 의미하며, receive ACK packet numbers 수신 노드가 데이터 수신 후 ACK 패킷 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PDR에서는 오래된 정보를 배제하기 위해 마지막으로 전송한 20개의 데이터에 대해서만 성공률 계산에 이용한다.
셋째로, 중계 노드에서 경로 재탐색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시 예에 있어서, 중계 노드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하여 목적 노드로의 경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헤더의 경로와 비교하여 더 우수한 경로가 있으면 경로를 교체하여 송신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드 장치에서 다른 노드로 송신할 데이터의 내부 처리 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노드 장치의 데이터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노드 장치는 IP 계층으로부터 다른 노드로 송신할 IP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S110). 노드 장치는 IP 패킷 헤더의 목적지 주소를 기반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탐색하여 패킷 전송 가능한 모든 경로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S120). 탐색된 경로가 한 개가 아니라면, 최종 경로 선택을 위한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단일 경로인 경우에는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헤더 구성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S130).
다수 경로의 경우에는 각 경로 별로 경로 품질이 계산될 수 있다(S150). 경로 품질은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Path Quality = (LQ1-hop / 15) * (LQ2-hop /15) * … * (LQn-hop/15).
LQ(link quality)는 전체 15단계로 구분되며, 값이 높을 수록 좋은 경로를 의미한다. LQn-hop은 전체 경로에서 n번째 홉의 경로 품질을 뜻한다. 각 홉의 링크 품질은 15로 나누어져 1 이하의 값으로 변환되며, 링크 별로 변환된 값을 곱하여 최종 경로 품질이 계산될 수 있다. 각 링크 품질 변환값이 1이하여서 곱해질 수록 값이 더 작아지므로 짧은 경로에 대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모든 경로에 대한 경로 품질 계산이 끝나면, 가장 높은 경로 품질을 전송 경로로 선택될 수 있다(S160). 최종 경로가 선택되면, 다음 중계노드와 목적노드 주소가 헤더에 기록될 수 있다(S170). 헤더 구성이 완료되면, 무선링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데이터링크 계층으로 패킷이 전달될 수 있다(S170).
도 2는 중계노드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중계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계노드에서 중계를 수행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중계노드는 데이터링크 계층으로부터 패킷이 수신될 수 있다(S210). 이후의 S220, S230, S240, S250, S260은, 도 1에 도시된 S120, S130, S140, S150, S160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노드 A의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B, C, D는 망을 구성하는 노드이며, 연결선은 노드 간 무선 링크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선상의 숫자는 무선 링크의 품질이다.
도 4는 도 3의 토폴로지 구성에서 노드 A에서 노드 D로 데이터 송신 시 노드 A에서 경로 품질을 계산하는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토폴로지에서 노드A에서 노드D로 전송이 가능한 경로는 총 5개이다. 5개의 경로에 대해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로 품질을 계산하면 노드 B를 이용한 2 hop 경로가 가장 품질이 우수한 경로이다. 따라서 노드A는 헤더에 다음 중계노드 노드 B와, 목적노드 노드 D를 기록하여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노드 A의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노드 A에서 노드 E로의 전송 가능한 경로는, A → B → E, A → C → D → E, A → C → B → E가 있다.
도 6은 노드 C의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노드 B의 라우팅 테이블에는 노드 A에는 아직 업데이트 되지 않은 노드 E로의 직접 연결이 가능한 무선 링크 정보와 노드 D의 망이탈 정보가 이미 업데이트 되어 있다.
도 7은 노드 A에서 노드 E로 전송할 패킷에 대한 경로 품질 계산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 A에서 노드 E로 전송이 가능한 경로는 3개이며, 그 중에서 경로 품질이 가장 높은 A → C → D → E가 우선적으로 경로 선택될 가능성이 높다.
도 8은 노드 A로부터 전송 받은 패킷에 대해 노드 C에서 다음 중계노드를 선택하기 위한 경로 품질 계산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노드 B에서 노드 E로 전송이 가능한 경로들의 경로 품질을 계산해보면 C → E의 경로가 선택될 수 있다.
종래의 소스 직접 릴레이(source directed relay) 방식을 적용하면 송신 노드가 결정한 A → C → D → E의 경로가 변경되지 않고 전송되어 망을 이탈한 노드 D로 중계를 시도한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 방식은 중계노드에서 최신 정보를 이용한 경로 재탐색을 통하여 해당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도 9는 데이터 패킷을 이용한 라우팅 테이블 업데이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토폴로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 B가 노드 C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이 발생하면, 패킷 내에 최신 1-hop 이웃 노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해당 패킷은 노드 A로 전송하는 패킷은 아니지만, 노드 A는 데이터 패킷 엿듣기를 통해 패킷 내의 이웃 노드 정보를 읽고,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10은 노드 A의 최초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노드 A의 라우팅 테이블은 노드 B와 노드 G 간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해당 링크 정보는 노드 B로부터의 Hello 패킷 수신으로 획득 가능하다. 최대 Hello 패킷 송신 주기만큼의 시간 후에 노드 A가 B-G 링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 방식은 링크 정보 업데이트를 빠르게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에도 이웃 노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노드B의 데이터에 포함된 이웃 노드 정보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노드 A의 변경된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노드 B에서 노드 C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 내의 이웃 노드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된 노드 A의 라우팅 테이블이 도시된다.
도 13은 LQE 계산 결과에 따른 링크 품질 등급을 매핑한 테이블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 노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중계 노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제 1 노드에서 중계를 위한 데이터 패킷이 수신될 수 있다(S310). 데이터 패킷의 목적 노드에 대응하는 경로들에 대한 경로 품질이 계산될 수 있다. 계산된 경로 품질 중에서 가장 높은 경로가 선택될 수 있다(S320). 선택된 경로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업데이트 하도록 데이터 패킷이 새롭게 구성될 수 있다(S330). 선택된 경로에 대응하는 제 2 노드로 새롭게 구성된 데이터 패킷이 전송될 수 있다(S340).
본 발명에 따른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다른 순서로, 또는 병렬적으로, 또는 다른 에포크(epoch) 등을 위해 다른 실시 예들에서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명령, 프로그램, 상호작용 데이터 구조(interactive data structure), 클라이언트 및/또는 서버를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일부가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예시적으로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그것들의 어떠한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모듈"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그것들의 어떠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하나 이상의 동작들/단계들/모듈들을 구현/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수단들은 ASICs(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표준 집적 회로들,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적절한 명령들을 수행하는 컨트롤러, 및/또는 임베디드 컨트롤러,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CPLDs(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s), 및 그와 같은 것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술 된 본 발명의 내용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구체적이고 실제로 이용할 수 있는 수단 자체뿐 아니라, 장차 기술로 활용할 수 있는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아이디어인 기술적 사상을 포함할 것이다.
A, B, C, D, E: 노드
PQ: 경로 품질
LQ: 링크 품질

Claims (10)

  1.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 선택 방법에 있어서:
    제 1 노드에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목적 노드에 대응하는 경로 품질에 따라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로 상기 데이터 패킷의 헤더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헤더를 갖는 데이터 패킷을 제 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는, 라우팅 테이블에서 목적 노드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탐색 결과로써 상기 목적 노드까지 단일 경로인 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적 노드까지 상기 단일 경로가 아닐 때, 모든 후보 경로에 대한 상기 경로 품질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 품질을 계산하는 단계는, 링크 품질과 홉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 품질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품질은 WSNR(weighted signal to noise ratio)과 PDR(packet delivery ratio)을 이용하여 계산되고,
    상기 링크 품질은,
    Figure 112019027442744-pat00021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모든 후보 경로 중에서 상기 경로 품질이 가장 높은 경로를 상기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DR은,
    Figure 112019027442744-pat00006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0126134A 2018-10-22 2018-10-22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 선택 방법 Active KR101986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134A KR101986497B1 (ko) 2018-10-22 2018-10-22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 선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134A KR101986497B1 (ko) 2018-10-22 2018-10-22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 선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497B1 true KR101986497B1 (ko) 2019-06-07

Family

ID=66849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134A Active KR101986497B1 (ko) 2018-10-22 2018-10-22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 선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4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852A (ko) * 2004-06-08 2005-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0895621B1 (ko) 2008-03-27 2009-05-06 국방과학연구소 무선 이동 Ad-Hoc 네트워크에서의 토폴로지 관리방법
KR20120067883A (ko) * 2010-12-16 2012-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홉 라우팅 장치 및 라우팅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852A (ko) * 2004-06-08 2005-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0895621B1 (ko) 2008-03-27 2009-05-06 국방과학연구소 무선 이동 Ad-Hoc 네트워크에서의 토폴로지 관리방법
KR20120067883A (ko) * 2010-12-16 2012-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홉 라우팅 장치 및 라우팅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특허: 10-0766869, 등록일: 2007년 10월 8일, 제목: Ad-Hoc 이동 통신망에서 TEST 프레임을 이용한 토폴로지 갱신 기능 향상 방법.
등록특허: 10-1369992, 등록일: 2014년 2월 26일, 제목: MIL-STD-188-220 프로토콜에서 DTR 비트를 활용한 서비스 품질 적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011B1 (ko) 가중된 누적형 예상 전송 시간 메트릭을 사용하는 링크품질 라우팅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2436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route
CN102113404B (zh) 中继装置、控制方法、以及程序
RU2423010C2 (ru) Показатель маршрутизации на основе сведений по радиосвязи и полосе пропускания для многоканальных многоскачковых беспроводных сетей с множеством радиостанций
CN101617549B (zh) 选择多跳无线网络中的接入点或中继节点的方法和设备
US7911962B2 (en) Integrating local congestion and path interference into QoS routing for wireless mobile AD HOC networks
JP4023681B2 (ja) マルチホップ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経路選択方法
KR101269234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품질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30016156A (ko) 메시 내부 및 메시 외부 경로를 통해 패킷을 라우팅하기 위한 무선 통신방법 및 시스템
JP5851020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101986497B1 (ko)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 송신 경로 선택 방법
KR102148981B1 (ko) 인지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오버헤드 감소를 위한 무선 접속 방법
JP5474861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543141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2014138215A (ja) ノード
JP5541380B1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JP542059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4851511B2 (ja) ルーティング方法並びに前記方法を実行するトランシーバ基地局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Xu et al. Finding the fastest path in wireless networks
Clausen et al. A depth first forwarding (dff) extension for the loadng routing protocol
JP5483489B2 (ja) マルチラジオ・マルチチャネル・マルチホップ無線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無線・帯域幅認識型ルーティング・メトリック
JP438592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90062277A (ko) 메쉬 네트워크 시스템, 클라이언트 노드, 메쉬 네트워크시스템의 메쉬 노드에서의 통신 방법,클라이언트노드에서의 통신 방법
Banik et al. Design of QoS Routing Framework based on OLSR Protocol
Gurung et al. A survey of multipath routing schemes of wireless mesh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