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119B1 - 자가-가교가 가능한 공중합체를 이용한 기체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가-가교가 가능한 공중합체를 이용한 기체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6119B1 KR101986119B1 KR1020180008275A KR20180008275A KR101986119B1 KR 101986119 B1 KR101986119 B1 KR 101986119B1 KR 1020180008275 A KR1020180008275 A KR 1020180008275A KR 20180008275 A KR20180008275 A KR 20180008275A KR 101986119 B1 KR101986119 B1 KR 1019861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 separation
- copolymer
- separation membrane
- monomer
- functional grou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08F220/32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containing glycidyl radical, e.g. glycidyl (meth)acryl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a polyether chain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a polyether chain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polyethylene oxide in the alcohol moiety, e.g. methoxy 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220/36—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e.g. 2-N-morpholinoethyl (meth)acrylate or 2-isocyanatoethyl (meth)acryl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중합체 중 하나인 PGP-POEM 가지형 공중합체의 자가-가교 메커니즘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제조예 1 내지 4에 사용된 각 단량체 및 상기 단량체로부터 합성된 고분자를 적외선 분광기(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제조예 1 내지 4에서 합성된 고분자 및 O-(2-아미노프로필)-O'-(2-메톡시에틸)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am-PPG)을 핵자기 공명 분광법(Prot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1H-NMR)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제조예 1 내지 6에서 합성된 고분자를 열중량 분석(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제조예 1 내지 4 및 6에서 합성된 고분자를 시차 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제조예 1 내지 4 및 6에서 합성된 고분자를 X-선 회절 분석법(X-ray diffraction, XRD)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기체 분리막의 단면 성질을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1μm)로, (a)는 실시예 1, (b)는 실시예 2, (c)는 실시예 3, (d)는 실시예 4, (e)는 비교예 1, (f)는 비교예 2를 나타낸다.
도 9는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기체 분리막의 기체 분리 성능을 상온(25℃)에서 1bar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a)는 순수 기체 투과량, (b)는 CO2/N2 선택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2의 기체 분리막에 사용된 고분자의 CO2 흡수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분 | 몰 비율 (x : y : z) |
중량 비율 (GMA : am-PPG : POEM) |
POEM 함량 (중량 %) |
제조예 1 | 1 : 0.31 : 0 | 1 : 1.00 : 0 | 0 |
제조예 2 | 1 : 0.23 : 0.23 | 1 : 0.79 : 0.66 | 26.9 |
제조예 3 | 1 : 0.24 : 0.67 | 1 : 0.81 : 1.90 | 51.2 |
제조예 4 | 1 : 0.24 : 1.08 | 1 : 0.83 : 3.08 | 62.8 |
구분 | POEM 함량 (중량%) |
투과도 (GPU, N2) |
투과도 (GPU, CO2) |
선택도 (CO2/N2) |
실시예 1 | 0 | 10.5 | 204 | 19.4 |
실시예 2 | 26.9 | 11.4 | 257 | 22.4 |
실시예 3 | 51.2 | 11.7 | 281 | 24.1 |
실시예 4 | 62.8 | 15.4 | 315 | 20.5 |
비교예 1 | 100 | 49.0 | 424 | 8.7 |
비교예 2 | - | 3.8 | 108 | 28.8 |
코팅용액 (실시예 3) |
두께 (nm) |
투과도 (GPU, N2) |
투과도 (GPU, CO2) |
선택도 (CO2/N2) |
10중량% | 340 | 11.7 | 281 | 24.1 |
5중량% | 150 | 22.3 | 500 | 22.4 |
2.5중량% | 120 | 36.9 | 637 | 17.2 |
1중량% | 70 | 44.3 | 682 | 15.4 |
Claims (15)
- 에폭사이드 작용기를 갖는 제1단량체;
아민 작용기를 갖는 제2단량체; 및
옥사이드 작용기를 갖는 제3단량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량체는 O-(2-아미노프로필)-O'-(2-메톡시에틸)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인 기체 분리막용 공중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량체는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인 기체 분리막용 공중합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량체는 폴리옥시에틸렌메타아크릴레이트인 기체 분리막용 공중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량체의 함량은 공중합체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65중량% 이하인 기체 분리막용 공중합체. - 다공성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된 선택층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층은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기체 분리막.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폴리에스터설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셀룰로스아세테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릴레이트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기체 분리막.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층의 두께가 50~400nm인 기체 분리막. - (a) 에폭사이드 작용기를 갖는 제1단량체, 아민 작용기를 갖는 제2단량체 및 옥사이드 작용기를 갖는 제3단량체를 반응시켜 공중합체를 합성하는 단계;
(b) 상기 공중합체를 용매에 용해시켜 코팅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다공성 지지체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코팅용액을 코팅하여 기체 분리막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량체는 O-(2-아미노프로필)-O'-(2-메톡시에틸)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인 기체 분리막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반응은 자유라디칼 중합반응에 의한 것인 기체 분리막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단일용기 공정(one-pot process)으로 이루어지는 기체 분리막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코팅용액 중 상기 공중합체의 함량은 0.5~12.5중량%인 기체 분리막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상기 기체 분리막을 건조하여 상기 공중합체를 자가-가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기체 분리막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기체 분리막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8275A KR101986119B1 (ko) | 2018-01-23 | 2018-01-23 | 자가-가교가 가능한 공중합체를 이용한 기체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8275A KR101986119B1 (ko) | 2018-01-23 | 2018-01-23 | 자가-가교가 가능한 공중합체를 이용한 기체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86119B1 true KR101986119B1 (ko) | 2019-09-03 |
Family
ID=67951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8275A Active KR101986119B1 (ko) | 2018-01-23 | 2018-01-23 | 자가-가교가 가능한 공중합체를 이용한 기체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611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61743A (ko) * | 2007-10-26 | 2010-06-08 |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 기체 분리막 |
JP2011041938A (ja) * | 2009-07-21 | 2011-03-03 | Fujifilm Corp | ガス分離膜及び複合膜、それらの製造方法、それらを用いたモジュール、分離装置 |
KR20170011342A (ko) * | 2015-07-22 | 2017-02-02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극성 용매에 용해가 가능한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기체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765860B1 (ko) * | 2016-03-17 | 2017-08-08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체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2018
- 2018-01-23 KR KR1020180008275A patent/KR10198611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61743A (ko) * | 2007-10-26 | 2010-06-08 |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 기체 분리막 |
JP2011041938A (ja) * | 2009-07-21 | 2011-03-03 | Fujifilm Corp | ガス分離膜及び複合膜、それらの製造方法、それらを用いたモジュール、分離装置 |
KR20170011342A (ko) * | 2015-07-22 | 2017-02-02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극성 용매에 용해가 가능한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기체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765860B1 (ko) * | 2016-03-17 | 2017-08-08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체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Dan Luo 외 2인,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Crosslinked Ply[glycidyl methacrylate-poly(ethylene glycol)methyl ether methacrylate] as Gel Polymer Electrolytes",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Vol.120, p.2979-2984* *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Zuo et al. | Design and synthesis of a fluoro-silane amine monomer for novel thin film composite membranes to dehydrate ethanol via pervaporation | |
Park et al. | A highly selective PEGBEM-g-POEM comb copolymer membrane for CO2/N2 separation | |
US9687777B2 (en) | Gas separation composite membrane, gas separation module, gas separation apparatus, gas separation method, and method of producing gas separation composite membrane | |
Han et al. | Fluorene-containing poly (arylene ether sulfone) block copolymers: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 |
WO2016136404A1 (ja) | ガス分離膜、ガス分離モジュール、ガス分離装置、及びガス分離方法 | |
KR102032947B1 (ko) | 공중합체, 이를 이용한 기체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 |
Meng et al. | Synthesis of antifouling nanoporous membranes having tunable nanopores via click chemistry | |
CN102886213B (zh) | 分离膜、其制造方法及包括其的水处理装置 | |
Min et al. | Crystalline elastomeric block copolymer/ionic liquid membranes with enhanced mechanical strength and gas separation properties | |
Muhammed et al. | Polyvinyl alcohol cellulose acetate composite reverses osmosis membranes: I | |
KR101986119B1 (ko) | 자가-가교가 가능한 공중합체를 이용한 기체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39250B1 (ko) |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막, 상기 고분자막을 포함하는 기체 분리막, 상기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기체 분리막의 제조방법 | |
KR890003548B1 (ko) | 다성분계 고분자 분리막의 제조방법 | |
KR101765860B1 (ko) | 기체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671624B1 (ko) | 양친성 가지형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막, 상기 고분자막을 포함하는 기체 분리막, 상기 양친성 가지형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기체 분리막의 제조방법 | |
KR102802063B1 (ko) | 기체 분리용 고분자막,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고분자막을 포함하는 기체 분리막 | |
KR20220007757A (ko) | 양친성 가지형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막, 상기 고분자막을 포함하는 기체 분리막 및 상기 고분자막의 제조방법 | |
KR102036585B1 (ko) | 양친성 공중합체-금속 산화물 복합체를 이용한 수처리용 한외여과막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62866B1 (ko) | 자가-가교가 가능한 조성물을 이용한 기체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 |
KR101894077B1 (ko) | 분리 성능이 우수한 폴리술폰계 고분자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 |
WO2016136396A1 (ja) | ガス分離膜、ガス分離モジュール、ガス分離装置、及びガス分離方法 | |
KR20230027901A (ko) | 기체 분리용 혼합 매질 분리막, 이를 포함하는 기체 분리막, 상기 혼합 매질 분리막의 제조방법 | |
KR20110095511A (ko) | 전기방사를 이용한 염제거막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염제거막 | |
KR102333856B1 (ko) | 가교형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막, 상기 고분자막을 포함하는 기체 분리막, 상기 가교형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 |
KR102558033B1 (ko) | 비페닐-이사틴 및 비페닐-트리플루오로아세토페논을 기반으로 한 폴리이미드 공중합체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4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5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