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85684B1 -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684B1
KR101985684B1 KR1020170122247A KR20170122247A KR101985684B1 KR 101985684 B1 KR101985684 B1 KR 101985684B1 KR 1020170122247 A KR1020170122247 A KR 1020170122247A KR 20170122247 A KR20170122247 A KR 20170122247A KR 101985684 B1 KR101985684 B1 KR 101985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honing
end portion
ball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729A (ko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김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영 filed Critical 김주영
Priority to KR1020170122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68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6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92Grinding attachments for lat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3/00Hon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33/08Hon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가공물의 호닝 가공시 호닝공구장치가 편심 및 편각됨에 따라 호닝부재가 가공물의 가공홀 위치에 자동으로 중심을 따라 호닝 가공되어 위치가 어긋난 가공물의 호닝가공이 가능하여 절삭 품질이 개선되고 호닝부재의 파손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후단부가 회전력 및 왕복이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결합되되 내부에 탄성부재가 삽입 고정되도록 축방향으로 볼삽입홀이 형성된 베이스장착부; 양단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도록 축방향으로 장착홀이 형성되되 후단부에 상기 베이스장착부의 전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커버부; 후단부에 구비된 장착단부로부터 후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의 전단부를 통해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되 전단부에 가공물이 호닝가공되도록 호닝부재가 구비되는 호닝장착부; 상기 볼삽입홀의 입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탄성복원력을 제공받아 상기 연장지지부의 단부에 밀착되어 탄발지지하는 편각대응볼부; 및 상기 장착공간의 내부에 상기 연장지지부가 상기 장착공간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호닝장착부의 편심 회전 및 편각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다차원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apparatus for honing tool}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물의 호닝 가공시 호닝공구장치가 편심 및 편각됨에 따라 호닝부재가 가공물의 가공홀 위치에 자동으로 중심을 따라 호닝 가공되어 위치가 어긋난 가공물의 호닝가공이 가능하여 절삭 품질이 개선되고 호닝부재의 파손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개선된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닝 가공은 공작물의 내주면을 마무리하는 가공법 중 하나이며, 호닝 가공을 통해 엔진용 실린더 등의 공작물의 내주면에는 그물망 형태의 크로스해치(cross hatch)라는 특수한 가공 조흔이 형성된다.
이러한, 크로스해치와 같은 호닝가공을 통해 실린더의 내주면에 윤활유막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피스톤의 과다 마모를 방지하고 부드러운 유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호닝 가공을 위한 호닝 공구는 다각 형상으로 구비되되, 단부에 호닝 숫돌이 장착되는 스톤 홀더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호닝 숫돌과 실린더의 내주가 접한 상태에서 상기 호닝 공구가 회전 및 상하 이동됨에 따라 실린더의 내주가 호닝 가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닝 공구는 스핀들 헤드의 스핀들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스핀들 헤드가 상기 공작물의 측부에 구비된 수직 프레임에서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상하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엔진용 실린더 등의 가공물은 금속재질로 구비되며, 호닝 숫돌은 상기 실린더의 내주를 강하게 가압한 상태에서 회전과 왕복운동으로 절삭 가공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의 호닝 공구는 상기 가공물의 호닝 가공시 편심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스핀들에 연결되어 상기 가공물에 진동을 제공하도록 구비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호닝 공구는 편심 회전시 상기 스핀들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이를 커버하는 하우징의 파손이 잦아 제품의 고장 및 부품 교체 진도가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가공물의 내주면이 축방향에 대응되도록 수평하게 형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호닝 숫돌이 쉽게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1995-000804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공물의 호닝 가공시 호닝공구장치가 편심 및 편각됨에 따라 호닝부재가 가공물의 가공홀 위치에 자동으로 중심을 따라 호닝 가공되어 위치가 어긋난 가공물의 호닝가공이 가능하여 절삭 품질이 개선되고 호닝부재의 파손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개선된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단부가 회전력 및 왕복이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결합되되 내부에 탄성부재가 삽입 고정되도록 축방향으로 볼삽입홀이 형성된 베이스장착부; 양단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도록 축방향으로 장착홀이 형성되되 후단부에 상기 베이스장착부의 전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커버부; 후단부에 구비된 장착단부로부터 후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의 전단부를 통해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되 전단부에 가공물이 호닝가공되도록 호닝부재가 구비되는 호닝장착부; 상기 볼삽입홀의 입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탄성복원력을 제공받아 상기 연장지지부의 단부에 밀착되어 탄발지지하는 편각대응볼부; 및 상기 장착공간의 내부에 상기 연장지지부가 상기 장착공간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호닝장착부의 편심 회전 및 편각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다차원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지지부의 상기 편각대응볼부와 대면되는 단부에는 상기 연장지지부의 전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협소화되며 경사면 전체가 중앙부를 향해 구배지게 라운드접촉홈이 형성되며, 상기 편각대응볼부는 상기 연장지지부의 단부에 대면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라운드접촉홈의 테두리에 탄발적으로 밀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장착단부 및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는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수직유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장착홀의 테두리 직경 미만의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장지지부는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수평유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의 축방향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의 전단부에는 상기 장착홀의 테두리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장착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단차지게 돌출된 단차부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장착고정부 및 상기 단차부 사이에 배치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개의 볼베어링이 개재되는 마찰저감부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롤러부가 구비되되, 상기 지지롤러부는 상기 호닝장착부의 축방향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되 상호 이격되어 상기 호닝장착부의 편심 회전시 상기 장착공간의 테두리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회전하는 편심지지롤러와, 상기 편심지지롤러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호닝장착부의 편심 회전시 상기 연장지지부와 상기 편심지지롤러의 접촉을 방지하는 보조지지롤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호닝장착부는 장착단부가 장착홀 내부에 형성된 수직유격공간 및 수평유격공간의 내측에서 편심 및 편각 이동됨에 따라 호닝가공 수행 시 호닝부재가 가공물의 가공홀의 중심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되므로 편심 위치가 어긋난 가공물의 호닝가공이 가능하여 품질 개선 및 호닝부재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롤러부에 의해 다양한 방향에서 외면이 회전 지지되어 구름마찰에 의해 마찰력이 감소됨에 따라 호닝장착부가 가공물의 가공홀 위치로 용이하게 중심 이동되어 부드럽게 회전되므로 가공물에 대한 호닝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호닝장착부는 스프링결합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의 삽입깊이에 따라 상기 호닝장착부에 대한 탄발지지력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므로 상기 편각대응볼부의 탄발지지력에 대응하여 상기 가공물에 요구되는 편심량 및 편각량의 범위가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가공 정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편각대응볼부는 호닝장착부의 후단부로부터 연장된 연장지지부의 단부에 형성된 라운드접촉홈의 테두리에 밀착되어 호닝장착부를 회전지지점으로써 탄발지지하므로 자동으로 호닝장착부를 가공물의 중심으로 이동시켜 위치가 어긋난 가공물과 호닝부재간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므로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의 커버부, 호닝장착부 및 다차원 회전지지부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에서 다차원 회전지지부의 지지롤러부가 배치된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에서 호닝장착부가 편심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에서 호닝장착부가 편각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의 커버부, 호닝장착부 및 다차원 회전지지부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에서 다차원 회전지지부의 지지롤러부가 배치된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에서 호닝장착부가 편심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에서 호닝장착부가 편각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200)는 베이스장착부(110), 커버부(120), 호닝장착부(130), 편각대응볼부(140), 다차원 회전지지부(15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장착부(110)는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볼삽입홀(1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볼삽입홀(111)에는 축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12)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볼삽입홀(111)에는 상기 탄성부재(112)가 탄발복원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112)의 후단부측에 스프링결합부(113)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112)는 상기 볼삽입홀(111)에 상기 스프링결합부(113)가 삽입된 후 상기 스프링결합부(113)측에 후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장착부(110)에는 상기 볼삽입홀(111)과 연통되도록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외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관통 형성된 스프링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고정홀의 테두리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나사홈부가 형성된 삽입조절부재(114)가 상기 스프링고정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고정홀은 상기 스프링결합부(113)의 외면 일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조절부재(114)가 상기 스프링결합부(113)의 외면 일측을 밀착 가압하도록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프링결합부(113)는 상기 탄성부재(112)의 전단부측에 축방향으로 가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볼삽입홀(111)에 삽입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상기 탄성부재(112)가 탄발복원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12)의 전단부측, 즉 상기 볼삽입홀(111)의 입구측에는 후술되는 연장지지부(132)의 단부에 밀착되어 탄발지지하는 상기 편각대응볼부(14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장착부(110)의 후단부에는 구동장착부(115)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장착부(115)는 상기 구동수단(미도시)에 장착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구동수단(미도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구동수단(미도시)이 CNC 선반과 같은 일반적인 공작기계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구동장착부(115)는 상기 공작기계에 장착되도록 후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협소화되도록 중앙부를 향해 구배지게 경사진 외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미도시)이 호닝머신 전용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구동장착부(115)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호닝머신에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장착부(115)가 후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협소화되도록 중앙부를 향해 구배지게 경사진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었으나, 상기 구동장착부(115)는 상기 구동수단(미도시)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120)는 양단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도록 축방향으로 장착홀(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120)는 상기 베이스장착부(110)의 전단부측에 배치되어 후단부에 개구된 상기 장착홀(121)의 입구측 상기 장착공간에 상기 베이스장착부(110)의 전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장착홀(121)의 테두리 직경은 상기 베이스장착부(110)의 전단부 직경에 대응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장착홀(121)의 테두리와 상기 베이스장착부(110)의 전단부측 외면에는 상호 형합되는 나사산 및 나사홈부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120)의 전단부측 상기 장착홀(121)의 테두리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장착고정부(121b)가 일체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고정부(121b)의 내측에는 상기 장착홀(121)과 연통되되 테두리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단차지게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캡삽입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장착공간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성부품이 전단부를 통해 임의로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120)의 전단부측에는 장착캡(12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장착캡(124)의 전단부측 외주에는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캡날개부(124b)가 일체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캡날개부(124b)는 상기 장착캡(124)이 상기 캡삽입홀(121a)에 삽입되면 상기 커버부(120)의 전단부측 대향면에 밀착되어 나사 결합 등의 체결방법으로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캡(124)의 중앙부에는 장착연통홀(124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호닝장착부(130)가 상기 장착공간에 후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장착연통홀(124a)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닝장착부(130)는 장착단부(131), 연장지지부(132) 및 조절연장부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장착단부(131)는 상기 장착공간에 배치되며 후단부에 상기 연장지지부(132)가 후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조절연장부가 전측을 향해 연장된다. 여기서, 후측은 상기 베이스장착부(110)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전측은 상기 베이스장착부(110)로부터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장착단부(131)의 후단부측 외주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단차지게 돌출된 단차부(137)가 일체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단차부(137)는 상기 장착홀(121)의 테두리 직경 미만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단부(131)는 상기 장착연통홀(124a)의 테두리 직경 미만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는 상기 베이스장착부(110)의 회전시 회전력에 의해 상기 호닝장착부(130)가 상기 장착홀(121)의 테두리를 따라 편심 회전할 수 있도록 수직유격공간(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차부(137)의 전측에는 마찰저감부(125)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마찰저감부(125)는 내부에 상기 장착단부(131)의 직경에 대응되는 테두리 직경을 갖는 회전지지홀(125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홀(125b)에는 상기 장착단부(131)가 삽입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마찰저감부(125)가 상기 장착단부(131)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찰저감부(125)는 상기 수직유격공간(122)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장착홀(121)의 테두리 직경 미만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찰저감부(125)는 상기 단차부(137)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찰저감부(125)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개의 볼베어링(125a)이 개재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볼베어링(125a)은 후측이 상기 단차부(137)의 전단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연장지지부(132)가 상기 편각대응볼부(140)에 의해 전측을 향해 탄발지지되면 상기 단차부(137)는 상기 마찰저감부(125)에 의해 상기 장착고정부(121b)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마찰저감부(125)는 상기 상기 호닝장착부(130)의 회전시 상기 장착고정부(121b)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면서도 회전력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볼베어링(125a)이 연동 회전되므로 제품의 에너지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찰저감부(125)의 전측에는 회전지지링(12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지지링(126)은 내부에 중공(126a)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장착단부(131)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링(126)은 상기 장착홀(121)의 테두리 직경 미만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고정부(121b)와 상기 마찰저감부(125)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지지링(126)은 후단부가 상기 복수개의 볼베어링(125a)의 전측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마찰저감부(125)의 회전시 상기 장착고정부(121b)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어 마모 내지 파손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지지부(132)는 상기 장착단부(131)의 후단부의 중앙으로부터 후측을 향해 일체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연장지지부(132)는 상기 편각대응볼부(140)에 대면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편각대응볼부(140)에 밀착되도록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지지부(132)는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수평유격공간(123)이 형성되도록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의 축방향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의 후단부 및 상기 베이스장착부(110)의 전단부 사이에는 상기 수평유격공간(1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호닝장착부(130)의 편각 이동시 유격될 수 있는 여유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지지부(132)의 상기 편각대응볼부(140)와 대면되는 단부에는 라운드접촉홈(13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라운드접촉홈(132a)은 상기 연장지지부(132)의 전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협소화되며 경사면 전체가 중앙부를 향해 구배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운드접촉홈(132a)은 테두리에 상기 편각대응볼부(140)의 외면 일측이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최대직경이 상기 편각대응볼부(140)의 최대직경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편각대응볼부(140)는 상기 호닝장착부(130)가 편심 회전되거나 편각 이동되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상기 라운드접촉홈(132a)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어 안정적인 탄발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편각대응볼부(140)는 상기 라운드접촉홈(132a)의 테두리에 밀착되어 상기 호닝장착부(130)를 회전지지점으로써 탄발지지하므로 자동으로 상기 호닝장착부(130)를 가공물(c)의 중심으로 이동시켜 위치가 어긋난 가공물과 후술되는 호닝부재(163) 간의 충돌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편각대응볼부(140)는 상기 호닝장착부(130)의 편심 회전 및 편각 이동시 안정적으로 회전궤적을 유지하도록 탄발지지력을 제공하므로 다양한 가공물에 대한 호닝 가공의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편각대응볼부(140)는 후측이 상기 탄성부재(112)의 전단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볼삽입홀(111)의 입구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편각대응볼부(140)는 상기 연장지지부(132)의 단부에 대면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라운드접촉홈(132a)의 테두리에 탄발적으로 밀착된다.
이때, 상기 편각대응볼부(140)는 상기 볼삽입홀(111)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편각대응볼부(140)는 상기 호닝장착부(130)에 의해 가압되거나 상기 탄성부재(112)로부터 탄성복원력이 제공되면 상기 볼삽입홀(111) 내측에서 안정적으로 유격되어 상기 연장지지부(132)를 안정적으로 탄발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각대응볼부(140)는 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호닝장착부(130)가 고속 회전되더라도 상기 탄성부재(112)에 회전력이 가해지지 않아 상기 탄성부재(112)의 탄성력 손실 내지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편각대응볼부(140)는 상기 라운드접촉홈(132a)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라운드진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된 라운드면이 형성되는 구조라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편각대응볼부는 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전단부에 라운드진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된 라운드면이 형성되어 상기 라운드접촉홈(132a)에 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결합부(113)는 상기 볼삽입홀(111)에 삽입되는 삽입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프링결합부(113)는 상기 탄성부재(112)의 탄성복원력이 증가되도록 전단부와 상기 볼삽입홀(111)의 사이 간격이 좁아지도록 상기 탄성부재(112)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삽입조절부재(11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편각대응볼부(140)는 상기 구동수단(미도시)의 회전력 내지 왕복이동력에 대응하여 상기 호닝장착부(130)의 편심 회전이나 편각 이동시 탄발지지력이 조절되므로 상기 가공물(c)에 요구되는 진동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호닝장착부(130)는 상기 편각대응볼부(140)의 탄발지지력에 대응하여 가압됨에 따라 상기 가공물(c)에 요구되는 편심량 및 편각량의 범위가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가공 정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절연장부는 상기 장착단부(131)의 전단부로부터 전측을 향해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연장부의 전단부에는 전측을 향해 개구되도록 축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연장부의 전단부에는 호닝고정부가 구비되어 호닝바디부(160)의 후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호닝바디부(160)에는 호닝확장툴(170)이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툴삽입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닝바디부(160)의 전단부에는 확장호닝부가 일체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확장호닝부의 중앙부에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툴삽입홀로부터 연통되도록 확장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호닝부의 외면에는 상기 호닝부재(163)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호닝부재(163)는 알루미나 계열 내지 탄화수소계열의 숫돌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숫돌은 상기 가공물(c)의 재질이나 절삭 가공의 종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숫돌은 입자의 종류, 입도, 결합도 세기, 조직, 결합제 종류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닝부재(163)는 연속적으로 안정적인 절삭 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확장호닝부의 외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장호닝부에는 직경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절개홈은 상기 확장호닝부의 외면에 축방향으로 절개되며 상기 확장호닝부의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호닝부재(163)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닝확장툴(170)은 슬라이드몸체부와 확장바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몸체부는 상기 삽입홈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삽입될 수 있으며, 전단부에 상기 확장바가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툴삽입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장바의 전단부에는 전측을 향해 일체로 연장된 확장단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확장단부는 전측으로 갈수록 중앙부를 향해 단면적이 협소화되도록 구배지게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단부가 전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확장중공의 테두리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절개홈이 벌어져 상기 확장호닝부의 직경이 확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호닝부재(163)의 마모시에도 상기 호닝확장툴(170)을 전측 또는 후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확장호닝부의 직경을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호닝부재(63)와 상기 가공물(c) 간의 접촉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연속적인 절삭가공이 가능하여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장조절부(180)는 상기 조절연장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장조절부(180)는 상기 조절연장부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몸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조절부(180)는 회전에 대응하여 축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조절연장부의 외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확장조절부(180)는 상기 조절연장부의 외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되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호닝확장툴(170)이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호닝바디부(160)는 상기 확장조절부(180)의 회전 조작만으로도 상기 가공물(c)에 요구되는 직경이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어 상기 가공물(c)에 대한 상기 호닝부재(163)의 절삭시 정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호닝부재(163)가 장착된 호닝바디부(160)의 직경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구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가공물(c)에 상기 호닝부재(163)를 이용한 절삭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상기 호닝장착부(130)에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는 상기 장착공간의 내부에 상기 연장지지부(132)가 상기 장착공간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는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관통지지홀(15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지지홀(151)은 상기 연장지지부(132)의 최대직경 이상의 직경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지지부(132)가 안정적으로 관통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의 전단부에는 후측을 향해 단차장착홈부(152)가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차장착홈부(152)는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의 전단부 외면 일측으로부터 중앙부를 경유하는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의 후단부에는 복수개의 삽입돌기(1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복수개의 삽입돌기(153)는 상기 관통지지홀(151)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의 후단부로부터 후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삽입돌기(153)는 상기 베이스장착부(110)의 전단부에 후측을 향해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 베이스단차홈부(110a)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가 상기 베이스장착부(110)의 회전 내지 왕복이동에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는 상기 장착홀(121)의 테두리 직경 미만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는 상기 베이스장착부(110)의 회전시 회전력에 의해 상기 호닝장착부(130)가 상기 장착홀(121)의 테두리를 따라 편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유격공간(12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롤러부(154)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지지롤러부(154)는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전측 지지롤러부(154A)와,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후측 지지롤러부(154B)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측 지지롤러부(154A) 및 상기 후측 지지롤러부(154B)가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한쌍으로 구비된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여기서, 한쌍의 전측 지지롤러부(154A)는 상기 관통지지홀(151)을 중심으로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전측 지지롤러부(154A)는 상기 관통지지홀(151)을 사이에 두고 폭방향으로 상호 대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전측 지지롤러부(154A)는 상기 단차장착홈부(152)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한쌍의 전측 지지롤러부(154A)가 상기 관통지지홀(151)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단차장착홈부(152)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후측 지지롤러부(154B)는 상기 한쌍의 전측 지지롤러부(154A)에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한쌍의 전측 지지롤러부(154A)가 상하방향으로 상호 대향 배치되면 상기 한쌍의 후측 지지롤러부(154B)는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지지롤러부(154A,154B)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바라보는 경우 상기 관통지지홀(151)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므로 상호 중첩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는 상기 호닝장착부(130)의 편심 및 편각 이동시 다양한 방향에서 상기 지지롤러부(154)에 의해 외면이 회전 지지되어 구름마찰에 의해 마찰력이 감소됨에 따라 상기 호닝장착부(130)가 가공물(c)의 가공홀 위치로 용이하게 중심 이동되어 부드럽게 회전되므로 상기 가공물(c)에 대한 호닝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는 상기 장착홀(121)의 테두리와의 마찰이 감소되어 상기 호닝장착부(130)의 회전력 손실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테두리와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한 마모 내지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및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측 지지롤러부(154A)는 제1편심지지롤러(155) 및 제1보조지지롤러(156)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제1편심지지롤러(155)는 한쌍으로 구비되며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된다. 여기서, 상기 제1편심지지롤러(155)는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의 축에 대응되는 축을 갖도록 배치되어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의 회전시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각 제1편심지지롤러(155a,155b)의 사이 간격은 상기 단차부(137)에 구비된 연동돌기(137a)가 삽입되는 간격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동돌기(137a)는 상기 연장지지부(132)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단차부(137)의 후단부로부터 후측을 향해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연동돌기(137a)는 상기 각 제1편심지지롤러(155a,155b)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제1편심지지롤러(155a,155b)는 상기 베이스장착부(110)의 회전시 상기 단차장착홈부(152)의 테두리에 걸림됨에 따라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는 각 제1편심지지롤러(155a,155b) 사이에 삽입된 상기 각 연동돌기(137a)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어 연동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제1편심지지롤러(155a,155b)는 외주면 일측이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의 외주면 프로파일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는 상기 장착홀(121)의 테두리에 접촉되며 회전되더라도 회전력이 저하되도록 걸림되는 돌출부없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제1편심지지롤러(155a,155b)는 상기 장착홀(121)의 테두리에 접촉되면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의 회전력에 대응하여 회전됨에 따라 마찰에 의한 회전력 감소가 최소화될 수 있어 제품의 구동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보조지지롤러(156)는 상기 각 제1편심지지롤러(155a,155b)의 회전축에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보조지지롤러(156)는 상기 장착홀(121)에 인접하도록 상기 각 제1편심지지롤러(155a,155b)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보조지지롤러(156)는 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제1편심지지롤러(155a,155b)가 양단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되 상기 단차장착홈부(152)의 양측 테두리 사이폭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보조지지롤러(156)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편심지지롤러(155)와 상기 연장지지부(132)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간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보조지지롤러(156)는 상기 제1편심지지롤러(155)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되더라도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편심지지롤러(155)와의 접촉시 접촉면적이 최소화된 상태로 지지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측 지지롤러부(154B)는 제2편심지지롤러(157) 및 제2보조지지롤러(158)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편심지지롤러(157) 및 상기 제2보조지지롤러(158)는 상기 제1편심지지롤러(155) 및 상기 제1보조지지롤러(156)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 및 구조로 구비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장착부(110)에는 상기 단차장착홈부(152)에 대응하여 상호 직교하도록 상기 베이스단차홈부(11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단차홈부(110a)의 중앙부에는 상기 편각대응볼부(14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한쌍의 후측 지지롤러부(154B)는 상기 편각대응볼부(140)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도록 상기 베이스단차홈부(110a)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제2편심지지롤러(157a,157b) 사이에는 상기 삽입돌기(153)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삽입돌기(153)가 상기 각 제2편심지지롤러(157a,157b)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장착부(110)의 회전력이 안정적으로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장착부(110),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 및 상기 호닝장착부(130)는 상기 구동수단(미도시)의 회전력 및 왕복이동력에 대응하여 상호 연동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호닝장착부(130)의 회전축(s2)은 상기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면 상기 가공물(c)의 중심축(s1)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편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찰저감부(125), 상기 단차부(137) 및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는 연동하여 상기 장착홀(121)의 테두리에 외면 일측이 접촉되도록 편심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차부(137)는 상기 편각대응볼부(140)로부터 상기 연장지지부(132)가 탄발지지됨에 따라 상기 마찰저감부(125)를 가압하도록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마찰저감부(125)는 상기 단차부(137)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도 상기 복수개의 볼베어링(125a)이 구비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호닝장착부(130)는 상기 편각대응볼부(140)의 탄발지지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12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도 안정적으로 편심 회전되어 상기 가공물(c)에 대한 절삭 가공시 상하진동을 제공하여 제품의 절삭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는 상기 호닝장착부(130)의 편심 회전시 상기 장착홀(121)의 테두리와의 접촉시 상기 지지롤러부(154)에 의해 마찰이 저감되어 회전 효율을 극대화하면서도 상기 커버부(120)의 마모 내지 파손 등이 방지되므로 구동효율 및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호닝장착부(130)의 회전축(s3)은 정상상태의 회전축(s2)으로부터 기울기각(θ)에 대응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호닝장착부(130)는 상기 편각대응볼부(14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축(s3)이 정상상태의 회전축(s2)으로부터 상기 기울기각(θ)에 대응되도록 기울어져 편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울기각(θ)은 상기 수직유격공간(122) 및 상기 수평유격공간(123)에 대응하여 다양한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닝장착부(130)가 편심 배치됨에 따라 상기 수직유격공간(122) 및 상기 수평유격공간(123) 사이에서 상기 마찰저감부(125), 상기 단차부(137) 및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가 상기 기울기각(θ)에 대응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각대응볼부(140)는 상기 연장지지부(132)가 상기 기울기각(θ)에 대응하여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상기 탄성부재(112)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라운드접촉홈(132a)에 밀착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호닝장착부(130)는 편각 이동되더라도 상기 편각대응볼부(140)에 의해 지속적으로 탄발지지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상기 커버부(120)에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는 상기 호닝장착부(130)가 편각 이동된 상태에서 회전되더라도 상기 지지롤러부(154)가 상기 장착홀(121)의 테두리 일측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상기 호닝장착부(130)가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호닝장착부(130)는 상기 수직유격공간(122) 및 상기 수평유격공간(123)의 내측에서 편심 회전 및 편각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가공물(c)에 대한 호닝 가공 수행 시 상기 호닝부재(163)가 상기 가공물(c)의 가공홀의 중심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되므로 편심 위치가 어긋난 가공물의 호닝가공이 가능하여 품질이 개선되고 상기 호닝부재(163)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150)는 상기 호닝장착부(130)의 편심 회전뿐만 아니라 편각 이동된 상태의 회전시에도 상기 지지롤러부(154)가 다양한 각도에서 상기 장착홀(121)의 테두리에 접촉되어 연동 회전되도록 구비되므로 제품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호닝장착부(130)는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상기 커버부(120)의 내측에 상기 장착단부(131)가 삽입된 후 각 구성부품과 더불어 결합되기만 하면 장착이 완료되는 단순한 구조로 제품의 조립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10: 베이스장착부 111: 볼삽입홀
112: 탄성부재 120: 커버부
121: 장착홀 122: 수직유격공간
123: 수평유격공간 125: 마찰저감부
130: 호닝장착부 131: 장착단부
132: 연장지지부 132a: 라운드접촉홈
140: 편각대응볼부 150: 다차원 회전지지부
154: 지지롤러부 200: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

Claims (5)

  1. 후단부가 회전력 및 왕복이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결합되되 내부에 탄성부재가 삽입 고정되도록 축방향으로 볼삽입홀이 형성된 베이스장착부;
    양단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도록 축방향으로 장착홀이 형성되되 후단부에 상기 베이스장착부의 전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커버부;
    후단부에 구비된 장착단부로부터 후측을 향해 연장된 연장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의 전단부를 통해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되 전단부에 가공물이 호닝가공되도록 호닝부재가 구비되는 호닝장착부;
    상기 볼삽입홀의 입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탄성복원력을 제공받아 상기 연장지지부의 단부에 밀착되어 탄발지지하는 편각대응볼부; 및
    상기 장착공간의 내부에 상기 연장지지부가 상기 장착공간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호닝장착부의 편심 회전 및 편각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다차원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지지부의 상기 편각대응볼부와 대면되는 단부에는 상기 연장지지부의 전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협소화되며 경사면 전체가 중앙부를 향해 구배지게 라운드접촉홈이 형성되며,
    상기 편각대응볼부는 상기 연장지지부의 단부에 대면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라운드접촉홈의 테두리에 탄발적으로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단부 및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는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수직유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장착홀의 테두리 직경 미만의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장지지부는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수평유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의 축방향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전단부에는 상기 장착홀의 테두리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장착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단차지게 돌출된 단차부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장착고정부 및 상기 단차부 사이에 배치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개의 볼베어링이 개재되는 마찰저감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상기 다차원 회전지지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롤러부가 구비되되,
    상기 지지롤러부는
    상기 호닝장착부의 축방향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되 상호 이격되어 상기 호닝장착부의 편심 회전시 상기 장착공간의 테두리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회전하는 편심지지롤러와,
    상기 편심지지롤러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호닝장착부의 편심 회전시 상기 연장지지부와 상기 편심지지롤러의 접촉을 방지하는 보조지지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
KR1020170122247A 2017-09-22 2017-09-22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 Active KR101985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247A KR101985684B1 (ko) 2017-09-22 2017-09-22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247A KR101985684B1 (ko) 2017-09-22 2017-09-22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29A KR20190033729A (ko) 2019-04-01
KR101985684B1 true KR101985684B1 (ko) 2019-06-04

Family

ID=6610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247A Active KR101985684B1 (ko) 2017-09-22 2017-09-22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6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1474B1 (ko) * 2023-10-19 2024-09-27 주식회사 영테크 비틀림 상쇄용 플로팅조인트를 갖춘 호닝머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882B1 (ko) * 2022-03-24 2024-01-11 변권섭 디버링 툴
KR102623881B1 (ko) * 2022-03-24 2024-01-11 변권섭 디버링 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4743A1 (en) 2001-09-14 2003-03-20 Negley Marvin C. Honing tool
JP2004136414A (ja) 2002-10-18 2004-05-13 Takezawa Seiki:Kk ホーニング用加振アタッチメント
JP2008049405A (ja) 2006-08-22 2008-03-06 Kuraki Co Ltd 回転工具の着脱装置
JP2008194776A (ja) 2007-02-13 2008-08-28 Toyo Advanced Technologies Co Ltd ホーニング加工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ホーニングツ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2165B2 (ja) * 1993-05-14 1997-04-23 タミックス株式会社 研磨装置
KR0180574B1 (ko) 1993-09-09 1999-03-20 쯔지 요시후미 호닝가공방법, 호닝가공장치 및 실린더 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4743A1 (en) 2001-09-14 2003-03-20 Negley Marvin C. Honing tool
JP2004136414A (ja) 2002-10-18 2004-05-13 Takezawa Seiki:Kk ホーニング用加振アタッチメント
JP2008049405A (ja) 2006-08-22 2008-03-06 Kuraki Co Ltd 回転工具の着脱装置
JP2008194776A (ja) 2007-02-13 2008-08-28 Toyo Advanced Technologies Co Ltd ホーニング加工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ホーニングツ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1474B1 (ko) * 2023-10-19 2024-09-27 주식회사 영테크 비틀림 상쇄용 플로팅조인트를 갖춘 호닝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29A (ko)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684B1 (ko)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
KR101453373B1 (ko) 복수의 작업 공구가 장착된 회전하는 공구캐리어를 구비한 안경 렌즈용 가공 장치
JP4210730B2 (ja) プラスチック製の光学レンズの縁部を加工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並びに加工のためのコンビネーションツール
JP2003127018A (ja) 光学要素の製造において非脆弱性の材料の工作物を表面加工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のためのツール
US7014540B2 (en) Device for the precision working of planar surfaces
JP2007502719A (ja) ツールホルダとの係合を改良すべく構成されたカッティングツール
KR20010015525A (ko) 외부 연삭기
JP6667258B2 (ja) 研磨装置、押圧ユニット、及び研磨方法
KR101939829B1 (ko)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
JP2003136413A (ja) 研磨機用ブラシ
JP2015174181A (ja) 工作機械の固定部材
RU2414333C2 (ru) Фрезерная головка
CN108290236A (zh) 工具机、特别是用于对孔进行精细加工的铰扩工具
CN102029420A (zh) 加工偏心槽的切机
CN113458917B (zh) 一种精确制导舵机外壳打磨夹具
KR101092924B1 (ko) 호닝툴
JP2015196232A (ja) 加工装置及び加工システム
KR20140005532A (ko) 면취기
JP5911520B2 (ja) ネジ研削砥石用のドレッサ
CN210757109U (zh) 一种轴承滚子球基面超精机构
KR20140101704A (ko) 면취기
KR101912009B1 (ko) 다이아몬드 버니싱공구
JP2006102924A (ja) フライスカッター
KR20140143871A (ko) 수치 제어 선반
CN220094234U (zh) 装夹结构以及铣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