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84612B1 - 내진기능을 갖는 천정 지지용 행거 - Google Patents

내진기능을 갖는 천정 지지용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612B1
KR101984612B1 KR1020180058938A KR20180058938A KR101984612B1 KR 101984612 B1 KR101984612 B1 KR 101984612B1 KR 1020180058938 A KR1020180058938 A KR 1020180058938A KR 20180058938 A KR20180058938 A KR 20180058938A KR 101984612 B1 KR101984612 B1 KR 101984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eiling
earthquake
clip
bo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선
Original Assignee
(주)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창 filed Critical (주)유창
Priority to KR1020180058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6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2009/186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arrangements for damping v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기능을 갖는 천정 지지용 행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행거는 행거볼트와 행거클립으로 구성되며, 이에 더하여 행거클립에 내진 보강부재를 결합하되, 이 보강부재는 행거클립의 상단에 걸쳐지는 상면과, 행거클립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면,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측면으로 구성되고, 상면에는 행거클립에 결합된 행거볼트에 걸려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걸림유지개구가 형성되며, 하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진과 같은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천정 마감패널 설치 구조물들이 안전하게 매달려 있을 수 있게 내진에 대한 구조성능이 향상됨과 동시에 기존 행거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진기능을 갖는 천정 지지용 행거{A hanger for supporting ceiling having earthquake-resistant function}
본 발명은 천정 지지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진에 관련된 구조성능향상과 더불어 조립이 간단한 구조로 된 내진기능을 갖는 천정 지지용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건축물의 실내 천정에는 인테리어 효과와 전선, 파이프 등의 시설물을 감추기 위한 목적 및 여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천정 마감패널을 설치하고 있다.
일반적인 천정 마감패널 설치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이 천정의 슬래브(미도시)에 고정된 행거볼트(10)의 하단에 행거(20)가 결합되고, 상기 행거(20)의 하단에 수평방향의 케링찬넬(30)이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고, 상기 케링찬넬(30)의 하부에는 소정 간격마다 T-바(40)가 상기 케링찬넬(30)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T-바(40)의 하부에는 석고보드나 금속타일 등의 천정 마감패널(50)이 체결된다.
이러한 천정 마감패널 체결구조는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행거(20)에 매달린 천정 마감패널(50)이 수평 혹은 상하 방향으로 흔들리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행거(20) 구조는 설치물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만 제한할 뿐,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가 없어 상기 설치물이 상하방향으로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건물의 설계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내진설계라는 것이 있다. 해당 지역에 지진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건물을 설계하는 것을 말한다. 당연히 내진 설계시 건물의 건축비용이 상승되지만, 지구의 내부구조의 변화와 지진의 불예측성을 고려할 때 내진설계는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면밀하게 검토되어야 한다.
건물의 내진설계는 건물을 구성하는 모든 분야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천정 설치물도 예외는 아니다. 그러므로, 천정에 고정된 행거에도 내진설계에 부응하는 구조적 개선이 따라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진설계가 반영되어 상하 진동을 감내할 수 있게 하는 구조로 된 내진기능을 갖는 천정 지지용 행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내진기능을 갖는 천정 지지용 행거는, 천정의 슬래브에 고정되는 행거볼트와, 행거볼트 하단부에 결합되는 행거클립으로 구성되는 행거에 있어서, 상기 행거볼트와 결합되는 행거클립의 결합면과 행거클립의 단부 사이에 결합되는 내진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정 지지용 행거는 상기 행거볼트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면과, 이 결합면의 일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절곡된 연장면과, 이 연장면의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다단 절곡된 걸림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면의 일측 단부에 일정 깊이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행거클립, 및 상면과 하면, 및 이들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측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면의 일측 단부에 걸림유지개구가 형성되고, 이 걸림유지개구와 마주보는 상기 하면의 일측 단부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정 지지용 행거는 상기 행거볼트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면과, 이 결합면의 일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절곡된 연장면과, 이 연장면의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다단 절곡된 걸림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면의 단부 중앙에 요홈이 형성되는 행거클립, 및 상면과 이 상면의 일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절곡된 측면, 및 이 측면의 하단에서 양 외측으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면의 단부에 걸림유지개구가 형성되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내진기능을 갖는 천정 지지용 행거는 기존의 행거 구조에 내진 보강용 부재를 간단하게 추가 설치하므로써, 행거의 내진 성능을 보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천정 지지용 행거는 행거에 보강부재가 배치됨에 따라 상하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보강부재로 인해 행거에 걸려있는 찬넬 등의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지지바와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게 되어 천정틀이 흔들리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천정 마감패널 설치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천정 지지용 행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정 지지용 행거가 적용된 천정 마감패널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천정 지지용 행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정 지지용 행거가 적용된 천정 마감패널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천정 지지용 행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정 지지용 행거가 적용된 천정 마감패널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정 지지용 행거는 행거볼트(100)와, 이 행거볼트(100)의 하단부에 결합된 행거클립(200)과, 이 행거클립(200)의 개구된 일측에 설치되는 내진 보강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행거볼트(100)는 행거클립(200)의 결합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기존 설치 구조와 동일하게 상단부는 천정의 슬래브에 고정된 앵커에 결합되게 된다. 행거볼트(100)의 둘레는 앵커에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로 형성된다.
행거클립(200)은 천정 마감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찬넬 또는 스퀘어바(SQ-bar) 등의 고정프레임을 지지하며, 행거볼트(100)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지면에 대한 행거클립(20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행거클립(200)은 행거볼트(100)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공(211)이 형성된 결합면(210)과, 이 결합면(210)의 어느 한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절곡된 연장면(220)과, 이 연장면(220)의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다단 절곡되어 고정프레임을 걸기 위한 걸림홈(231)을 형성하는 걸림면(230)을 포함한다.
이때, 결합면(210)의 상면과 저면에는 결합면(210)을 사이에 두고 너트(N)가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행거볼트(100)에 행거클립(20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행거볼트(100)에 체결된 너트(N)가 결합면(210)의 상면과 저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행거클립(200)은 유동없이 행거볼트(100)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걸림면(230)의 일측 단부에는 보강부재(300)의 추가 설치를 위해 일정 깊이의 절개홈(233)이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의 내진 보강부재(300)는 행거볼트(200)의 결합면(210)과 걸림면(230) 사이에 설치되게 된다.
이때, 보강부재(300)는 상면(310)과 하면(330) 및 이들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측면(320)으로 이루어져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면(310)은 행거클립(20)의 결합면(210) 위에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일측 단부에 행거클립(200)에 결합된 행거볼트(100)에 걸려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걸림유지개구(311)가 형성된다.
하면(330)은 행거클립(200)의 걸림면(230)의 절개홈(233)에 끼움 결함되는 부분으로서, 상면(310)의 걸림유지개구(311)와 대응되는 일측에 일정깊이의 끼움홈(333)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보강부재(300)를 천정 지지용 행거에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천정의 슬래브에 설치된 앵커에 행거볼트(100)의 상단부를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행거볼트(100)의 하단부에 너트(N)를 체결한 후, 행거클립(200)의 결합면(210)에 형성된 체결공(211)에 행거볼트(100)의 하단부를 삽입시킨다.
이후, 보강부재(300)의 상면(310)이 행거클립(200)의 결합면(210) 위에 설치되도록 상면(310)의 걸림유지개구(311)와 하면(330)의 끼움홈(333)이 있는 보강부재(300)의 측면을 행거클립(200)의 걸림면(230)의 절개홈(233)이 있는 측면을 향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보강부재(300)의 상면은 행거클립(200)의 결합면(210) 위에 오도록 하고, 보강부재(300)의 하면(330)의 끼움홈(333)은 행거클립(200)의 걸림면(230)의 절개홈(233)에 끼운 후 밀어서 걸림유지개구(311)가 행거볼트(100)에 걸리도록 함과 동시에 끼움홈(333)과 절개홈(233)이 서로 맞물려 끼워지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너트(N)를 계속 회전시켜 보강부재(300)의 상면(310)에 배치시킨다.
이후, 일반적인 천정 마감패널 설치구조와 동일하게, 행거클립(200)의 걸림홈(231)에 수평방향의 케링찬넬(30)이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고, 상기 케링찬넬(30)의 하부에 소정 간격마다 T-바(40)가 상기 케링찬넬(30)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T-바(40)의 하부에 천정 마감패널(50)이 체결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보강부재(300)가 설치된 행거클립(200)은 대략 사각형태로 구성되므로써, 지진과 같은 진동이 상하 혹은 좌우 방향으로 발생하더라도 천정에 천정 마감패널 설치구조물들이 안전하게 매달려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기능을 갖는 천정 지지용 행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정 지지용 행거가 적용된 천정 마감패널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정 지지용 행거는 행거볼트(100)와, 이 행거볼트(100)의 하단부에 결합된 행거클립(200)과, 이 행거클립(200)의 개구된 일측에 설치되는 내진 보강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행거볼트(100)는 행거클립(200)의 결합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기존 설치 구조와 동일하게 상단부는 천정의 슬래브에 고정된 앵커에 결합되게 된다. 행거볼트(100)의 둘레는 앵커에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로 형성된다.
행거클립(200)은 천정 마감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찬넬 또는 스퀘어바(SQ-bar) 등의 고정프레임을 지지하며, 행거볼트(100)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지면에 대한 행거클립(20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행거클립(200)은 행거볼트(100)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공(211)이 형성된 결합면(210)과, 이 결합면(210)의 어느 한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절곡된 연장면(220)과, 이 연장면(220)의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다단 절곡되어 고정프레임을 걸기 위한 걸림홈(231)을 형성하는 걸림면(230)을 포함한다.
이때, 결합면(210)의 상면과 저면에는 결합면(210)을 사이에 두고 너트(N)가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행거볼트(100)에 행거클립(20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행거볼트(100)에 체결된 너트(N)가 결합면(210)의 상면과 저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행거클립(200)은 유동없이 행거볼트(100)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걸림면(230)의 단부 중앙에는 보강부재(400)의 추가 설치를 위해 요홈(235)이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의 내진 보강부재(400)는 행거볼트(200)의 결합면(210)과 걸림면(230) 사이에 설치되게 된다.
이때, 보강부재(400)는 상면(410)과, 이 상면(410)의 어느 한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절곡된 측면(420)과, 이 측면(420)의 하단에서 양 외측으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부(430)로 이루어진다.
상면(410)은 행거클립(200)의 결합면(210) 위에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측면(420)이 형성된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행거클립(200)에 결합된 행거볼트(100)에 걸려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걸림유지개구(411)가 형성된다.
한쌍의 지지부(430)는 측면(420)의 하단 일측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이격판(431)과, 이 이격판(431)으로부터 다시 수직으로 절곡된 지지판(43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판(433)은 길이가 길수록 지지력이 높아지게 되지만, 행거클립(200)의 걸림홈(231)에 설치되게 될 케링찬넬(30)과의 간섭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길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보강부재(400)를 천정 지지용 행거에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천정의 슬래브에 설치된 앵커에 행거볼트(100)의 상단부를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행거볼트(100)의 하단부에 너트(N)를 체결한 후, 행거클립(200)의 결합면(210)에 형성된 체결공(211)에 행거볼트(100)의 하단부를 삽입시킨다.
이후, 보강부재(400)의 상면(410)이 행거클립(200)의 결합면(210) 위에 설치되도록 상면(410)의 걸림유지개구(411)와 지지부(430)의 지지판(433)이 있는 보강부재(400)의 측면(420)을 행거클립(200)의 걸림면(230)의 요홈(235)이 있는 전면을 향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보강부재(400)의 상면(410)은 행거클립(200)의 결합면(210) 위에 오도록 하고, 보강부재(400)의 지지부(430) 사이에 행거클립(200)의 걸림면(230)이 삽입되도록 한 후 걸림유지개구(411)가 행거볼트(100)에 걸리도록 함과 동시에 지지판(433) 사이가 요홈(235)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너트(N)를 계속 회전시켜 보강부재(400)의 상면(410)에 배치시킨다.
이후, 일반적인 천정 마감패널 설치구조와 동일하게, 행거클립(200)의 걸림홈(231)에 수평방향의 케링찬넬(30)이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고, 상기 케링찬넬(30)의 하부에 소정 간격마다 T-바(40)가 상기 케링찬넬(30)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T-바(40)의 하부에 천정 마감패널(50)이 체결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보강부재(400)가 설치된 행거클립(200) 또한, 대략 사각형태로 구성되므로써, 지진과 같은 진동이 상하 혹은 좌우 방향으로 발생하더라도 천정에 천정 마감패널 설치구조물들이 안전하게 매달려 있게 된다.
위의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100 : 행거볼트 200 : 행거클립
210 : 결합면 211 : 체결공
220 : 연장면 230 : 걸림면
231 : 걸림홈 233 : 절개공
235 : 요홈 300,400 : 보강부재
310,410 : 상면 311,411 : 걸림유지개구
320,420 : 측면 330 : 하면
333 : 끼움홈 430 : 지지부
431 : 이격판 433 : 지지판
N : 너트

Claims (6)

  1. 천정의 슬래브에 고정되는 행거볼트;
    상기 행거볼트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의 일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절곡된 연장면과, 상기 연장면의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다단 절곡된 걸림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면의 일측 단부에 일정 깊이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행거클립; 및
    상기 행거볼트와 결합되되, 상면과 하면, 및 이들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측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면의 일측 단부에 걸림유지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유지개구와 마주보는 상기 하면의 일측 단부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내진 보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진 보강부재는 상면이 상기 행거클립의 결합면 위에 설치되되, 상기 걸림유지개구가 행거볼트에 걸림 유지되도록 하고, 하면의 끼움홈이 행거클립의 걸림면에 형성된 절개홈에 맞물려 끼워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지지용 행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58938A 2018-05-24 2018-05-24 내진기능을 갖는 천정 지지용 행거 Active KR101984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938A KR101984612B1 (ko) 2018-05-24 2018-05-24 내진기능을 갖는 천정 지지용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938A KR101984612B1 (ko) 2018-05-24 2018-05-24 내진기능을 갖는 천정 지지용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612B1 true KR101984612B1 (ko) 2019-05-31

Family

ID=66657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938A Active KR101984612B1 (ko) 2018-05-24 2018-05-24 내진기능을 갖는 천정 지지용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6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402A (ko) * 2019-09-20 2021-03-30 주식회사 화영 내진 기능이 강화된 천정 판넬시스템
KR102535566B1 (ko) * 2022-10-17 2023-05-26 김선태 클린룸의 루프패널 고정용 고정브라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682A (ja) * 1994-06-28 1996-01-16 Nippon Kenko Kk 野縁受けの取付け方法及び取付け構造
JP2013023856A (ja) * 2011-07-19 2013-02-04 Sawata Co Ltd 天井下地用ハンガー
KR20160123169A (ko) * 2015-04-15 2016-10-25 주식회사 조은데코 높이 조절 가능한 행거
JP2017222990A (ja) * 2016-06-13 2017-12-21 イイファス株式会社 天井施工用ハンガ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682A (ja) * 1994-06-28 1996-01-16 Nippon Kenko Kk 野縁受けの取付け方法及び取付け構造
JP2013023856A (ja) * 2011-07-19 2013-02-04 Sawata Co Ltd 天井下地用ハンガー
KR20160123169A (ko) * 2015-04-15 2016-10-25 주식회사 조은데코 높이 조절 가능한 행거
JP2017222990A (ja) * 2016-06-13 2017-12-21 イイファス株式会社 天井施工用ハンガ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402A (ko) * 2019-09-20 2021-03-30 주식회사 화영 내진 기능이 강화된 천정 판넬시스템
KR102310529B1 (ko) * 2019-09-20 2021-10-08 주식회사 화영 내진 기능이 강화된 천정 판넬시스템
KR102535566B1 (ko) * 2022-10-17 2023-05-26 김선태 클린룸의 루프패널 고정용 고정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3015C2 (ru) Сейсмоустойчивый зажим
US4716504A (en) Light fixture bracket for suspended ceiling
KR102417604B1 (ko)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고정브라켓
KR101887203B1 (ko) 면진 기능을 구비한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KR101984612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천정 지지용 행거
KR20200071904A (ko) 천장 행거 및 이를 갖는 경량철골 천장틀
KR20180079691A (ko)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KR20190064814A (ko) 댐핑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10205A (ko) 면진 기능을 갖는 천장마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KR20140135553A (ko) 루버용 연결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루버
KR102732588B1 (ko) 내진 및 내풍압 강화 클립바 브라켓장치
KR102659326B1 (ko) 내진 및 내풍압용 금속 천장재 시스템
KR102806664B1 (ko) 내진, 내풍압 기능을 갖는 천장구조시스템
KR102616862B1 (ko) 천장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천장마감시스템
KR102799282B1 (ko) 천장 두께 최적화를 위한 천장패널 고정 구조
JP3163512B2 (ja) 天井バーの連結構造
KR102733861B1 (ko) 불연천장재용 브라켓이 적용된 내진천장시스템
KR200207355Y1 (ko) 천정부재의 조립성을 향상한 행거 구조물
KR20210006265A (ko)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JP3229834U (ja) 取付構造
JP5374781B2 (ja) 天井下地用耐震補強金具
JP2002213042A (ja) 制振天井の施工方法
JP5489109B1 (ja) 野縁取付金具
JP2530371Y2 (ja) 天井用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
KR20200121628A (ko) 마감패널 고정 장치 및 파지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