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500B1 - cabinet panel case - Google Patents
cabinet panel ca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3500B1 KR101983500B1 KR1020180071999A KR20180071999A KR101983500B1 KR 101983500 B1 KR101983500 B1 KR 101983500B1 KR 1020180071999 A KR1020180071999 A KR 1020180071999A KR 20180071999 A KR20180071999 A KR 20180071999A KR 101983500 B1 KR101983500 B1 KR 1019835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disposed
- box
- plate
- side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44 reinfor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2—Details of mechanical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4—Corner connections for frame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배치된 분전반의 보호성이 향상되고, 공간활용성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보강된 조립식 분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상자와 덮개로 이루어지는 분전함에 있어서, 상자는 전면 단부에 배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제1프레임과, 후면 단부 배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후면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후면프레임의 우측면 및 좌측면에 배치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후면프레임 사이 및 후면프레임의 후면 단부에 배치되는 외판을 포함하고, 덮개는 덮개판과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일측이 덮개판과 결합되고, 힌지결합판과 결합되되, 상기 힌지결합판은 제1프레임의 전면측부프레임의 힌지결합판접속홈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ng box comprising a box and a lid, wherein the box has a box-shaped box shape disposed at a front end thereof, A side frame dispos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irst frame and the rear frame and a rear frame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rear frame and a rear end of the rear frame, Wherein the cover includes a cover plate and a hinge,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cover plate and is engaged with the hinge-engaging plate, the hinge engaging plate being engaged with the hinge engaging plate of the hinge- And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plate connecting groove.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배치된 분전반의 보호성이 향상되고, 공간활용성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보강된 조립식 분전함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distributing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distributing box having an improved protection property, improved space utilization, and enhanced durability.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옥내에 설치된 배선에 있어서, 간선(幹線)으로부터 각 분기(分岐) 회로(回路)로 갈라지는 곳에, 각 분기(分岐) 회로(回路)마다의 스위치를 설치(設置)해 놓은 것을 의미하며, 일반주택에 사용되는 주택용 분전반과,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분전반으로 구분된다. Generally, the distribution board means that a switch is installed (installed) for each branch circuit (circuit) in a branch line (circuit) from a trunk line to a branch circuit And it is classified into a distribution board for residential use which is used for general house and an industrial distribution board which is used for industrial field.
상기 분전반이 내부에 설치되는 함체를 분전함이라고 하는바, 일반적으로 분전함은 내부 공간이 형성된 상자와, 상기 상자에 힌지 결합된 덮개로 이루어진다. In general, the distribution box includes a box having an inner space and a cover hinged to the box.
상기한 분전함은 통상적으로 철제로 형성되고, 용접을 통해 조립되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나, 이러한 방식은 용접비드에 의한 함체의 산화 및 분전함의 조립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어 점차 조립식 분전함으로 교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The above-mentioned distributing box is generally formed of iron and assembled through welding. 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easy to oxidize and distribute the enclosure due to the weld bead, and it is gradually replaced with a prefabricated distribution box to be.
상기 조립식 분전함은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바, 공개번호 10-2015-0117400호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모듈화된 조립식 분전반 케이스는 'ㄴ'자 단면 형상의 베이스와, 그 베이스의 그 베이스부의 전후 양측 코너에 각기베이스부의 경계부위를 넘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가 서로 ㄴ 자 형상을 이루는 전후방측 끼움부재로 구성되는 4개의 모서리부재와, 측판부와, 상기 측판부의 전방 측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전방측 끼움부재의 제1 또는 제2돌출부에 끼워져 조립되는 공간부를 가지는 전방측 결합부재와, 상기 측판부의 후방 측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후방측 끼움부재의 제1 또는 제2돌출부에 끼워져 조립되는 공간부를 가지는 후방측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케이스의 4개의 측면부를 구성하게 되는 4개의 측판 프레임부재와, 상기 측판프레임부재의 후방측 결합부재의 안쪽에 형성되는 후면판삽입홈과, 사방의 테두리 부위가 상기 후면판삽입홈 내에끼워져 조립되는 후면판부재, 및 상기 각각의 전후방측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에 각기 나사 체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나사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variety of techniques have been disclosed for the prefabricated distributor box, and a prefabricated distribution board case having a modular structure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174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e modularized panel-type distribution board case has a base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B',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horizontally and vertically beyond boundary portions of the base portion at both front and rear corners of the base portion of the base, A side plate portion, and a front portion having a space portion integrally provided on a front side of the side plate portion and being fitted and assembled to the first or second projecting portion of the front side fitting portion, Side engaging member and a rear side engaging member integrally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ide plate portion and having a space portion that is fitted and assembled to the first or second projecting portion of the rear side sandwiching member to form four side portions of the case A rear plate insertion groove formed inside the rear side coupling member of the side plate frame member, A rear plate member on which the upper plate is inserted and assembled into the rear plate insertion groove, and fixing screws for screwing and fixing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through the respective front and rear side coupling members, respectively .
상기한 종래 조립식 분전함은 전면에서 보았을 때,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나, 분전함의 깊이를 조절할 수 없는 부분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또한, 상기한 종래 조립식 분전함은 내부로 침투되는 이물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 부재하고, 각 부재들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보강할 수 있는 보강부재가 부재하여 사용상의 문제점이 되고 있다.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efabricated distribution box can be adjusted in the transverse length and the longitudinal length when viewed from the front, but it is pointed out that a disadvantage is that the depth of the distribution box can not be controlled. In addition, the above conventional prefabricated distribution box has no constitution to prevent foreign matter penetrating into the inside, and there is no reinforcing member that can firmly fix and reinforce each member, which is a problem in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면에서 보았을 때 가로길이, 세로길이, 깊이를 모두 조절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조립식 분전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distribution box having improved space efficiency becaus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ength, length, and depth of the front surface when viewed from the front.
또한, 본 발명은 분전함 내부로 침투되는 이물질을 방지하여 분전반 보호성이 향상되며, 보강재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된 조립식 분전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distribution box having an improved durability by a reinforcing material,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foreign objects infiltrating into the distribution box and protecting the distribution board.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분전함은 상자와 덮개로 이루어지는 분전함에 있어서, 상자는 전면 단부에 배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제1프레임과, 후면 단부 배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후면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후면프레임의 우측면 및 좌측면에 배치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후면프레임 사이 및 후면프레임의 후면 단부에 배치되는 외판을 포함하고, 덮개는 덮개판과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일측이 덮개판과 결합되고, 힌지결합판과 결합되되, 상기 힌지결합판은 제1프레임의 전면측부프레임의 힌지결합판접속홈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fabricated distribu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tribution box comprising a box and a lid, wherein the box has a first frame of a rectangular frame shape disposed at a front end thereof, a rear frame of a rectangular frame shape disposed at a rear end thereof, And a cover pl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rear frame and at a rear end of the rear frame, the cover including a cover plate and a hinge, And the hinge coupling plate is coupled to the hinge coupling plate connection groove of the front side frame of the first frame.
본 발명은 측면프레임에 의해 분전함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고, 제1프레임 및 후면프레임에 의해 가로, 세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분전함의 공간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th of the distributing box can be adjusted by the side frames, and the length and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can be adjusted, there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of the distributing box.
또한, 본 발명은 보강판 및 보강대에 의해 분전함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distributing box by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reinforcing bar.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방지패널에 의해 분전함의 외부에서 분전함의 내부로 침투되는 이물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foreign matter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of the distributing box to the inside of the distributing box by the foreign matter preventing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자의 우측부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자의 우측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프레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후면프레임을 나탄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측면프레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외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덮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프레임보강재 및 측면프레임보강재의 작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덮개의 조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이물질방지패널의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ight side of th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ight side of th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ell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rame reinforcement and the side frame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of the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oreign matter prevention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공지된 구성 및 그와 관련된 작용은 생략 또는 간단히 설명하였고,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아래 설명에서 전, 후, 좌, 우, 상, 하 방향은 도 1에 도시된 방향을 의미한다. 아래 설명에서 내측 방향은 상자의 중심과 가까운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 방향은 상자의 중심과 먼 방향을 의미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known configurations and their associated operations are omitted or briefly described, and the size of each element or a specific portion constituting the elem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ront, back, left, right, up and down directions refer to the directions shown in Fi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inside direction means the direction close to the center of the box, and the outside direction means the direction far from the center of the box.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분전함은 상자(B)와 덮개(C)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자(B)는 내부 공간으로 분전반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덮개(C)는 상자(B)의 전면에 힌지로 부착되어 상자(B)의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prefabricated distribu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x B and a cover C. As shown in FIG. The box B can house the distribution board into an internal space and the lid C can be hinged to the front of the box B to open and close the internal space of the box B.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자를 살펴본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자(B)의 중앙을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이며, 도 4에서 절단면 해칭은 생략하였다. 상자는 좌우 대칭 형상이므로 아래 설명에서는 상자의 오른쪽만 설명하고 왼쪽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A box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3 and 4 show a state in which the center of the box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tching of the cut surface is omitted in FIG. Since the box is a symmetrical shape, only the right side of the box is described below, and the description of the left side is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상자(B)는 전면 단부에 배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제1프레임(100)과, 후면 단부 배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제2프레임(200)과, 상기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프레임(300)과, 상기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 사이 및 제2프레임(200)의 후면 단부에 배치되는 외판(400)을 포함한다. 제1프레임(100), 제2프레임(200), 측면프레임(300)은 상자의 골조가 되고, 외판(400)은 상자(B)의 상면판, 하면판, 측면판, 뒷판이 되어 함체 형상의 상자(B)를 구성한다.The box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분전함은 제1프레임(100), 제2프레임(200)의 크기와 측면프레임(300)의 전후 길이를 각각 모두 조절할 수 있어 현장에서 요구되는 분점함 가로, 세로, 깊이의 크기 조절 요청에 완벽하게 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외판(400) 또한 제1프레임(100), 제2프레임(200), 측면프레임(300)의 조절된 길이에 맞춰 조절이 가능하다. The prefabricated distribu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both the size of the
도 5를 참조하여 제1프레임을 살펴본다. 도 5의 1점쇄선원 내부에 도시된 것은 제1모서리(110)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프레임(100)의 중앙을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이며, 절단면 해칭은 생략하였다. 아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00)의 우측만 설명한다. The first fr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제1프레임(100)은 상자(B)의 전면 우측 상부 모서리 및 우측 하부 모서리에 배치된 제1모서리(110)와, 상자(B)의 전면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전면상하프레임(120)과, 상자(B)의 우측부에 배치되는 전면측부프레임(130)과, 제1모서리(110), 전면상하프레임(120), 전면측부프레임(130)의 전면 단부에 돌출 굴곡 형성된 이물질방지패널(140)을 포함한다. The
제1모서리(110)는 도 5의 우측 상부에 도시된 제1모서리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모서리(110)는 중앙에 형성된 제1몸체(111)와, 상기 제1몸체(111)의 저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1상하프레임접속구(113)와, 상기 제1몸체(111)의 좌측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2측부프레임접속구(112)와, 상기 제1몸체(111)의 배면에서 후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3측면프레임접속구(114)를 포함한다. The
제1-1상하프레임접속구(113)는 전면상하프레임(120)과 3면 이상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평면형접속구와 굴곡형접속구로 구성된다. 제1-2측부프레임접속구(112) 및 제1-3측면프레임접속구(114) 또한 평면형접속구와 굴곡형접속구로 구성된다. 상기한 3면 접촉은 연속으로 이어진 3면이 아닌 마주보는 2개의 면과 상기 2개의 면과 90도 각도로 위치한 1개의 면을 의미한다. 제1모서리(110)의 각 접속구(112)(113)(114)의 평면형 접속구에는 전면상하프레임(120), 전면측부프레임(130), 측면프레임(300)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다.The 1-1st upper and lower
전면상하프레임(120)은 제1-1상하프레임접속구(113)와 내면 중 3면 이상 접촉 가능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전면상하프레임(120)은 압출 방식으로 성형되며, 강성을 위한 굴곡 및 보강대와, 외판(400)과의 접속 결합을 위한 결합홈을 포함한다. 전면상하프레임(120)은 후면 방향 내측 둘레로 형성된 상하내측평면(121)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내측평면(121)에는 나사위치홈(150)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위치홈(150)은 측면프레임보강재(320)의 전면결합부(322)를 상하내측평면(121)에 안착 시킨후 나사 체결할 때, 나사끝 일부가 나사위치홈(150)에 접속되도록 하여 나사 체결의 정확성 및 나사 체결의 용이성을 향상시킨다. The front upper and
전면측부프레임(130)은 제1-2측부프레임접속구(112)와 내면 중 3면 이상 접촉 가능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전면측부프레임(130) 역시 외판(400)과의 접속 결합을 위한 결합홈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측부프레임(130)은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힌지결합판접속홈(132)과, 상기 힌지결합판접속홈(132)에 접속되는 힌지결합판(133)과, 후면 방향 내측 둘레로 형성된 측부내측평면(131)을 포함하고, 상기 측부내측평면(131)에는 나사위치홈(150)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위치홈(150)은 앞서 설명한 전면상하프레임(120)에 형성된 나사위치홈(150)과 형상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이물질방지패널(140)은 각각 제1모서리(110)의 전면 단부, 전면상하프레임(120)의 전면 단부, 전면측부프레임(130)의 전면 단부에서 전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 후, 외측 방향으로 굴곡 형성된다. 각각의 이물질방지패널(140)은 모두 연결되어 상자(B)의 외측 방향에서 내측 방향으로 침투되는 먼지, 수분 등과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한다. The foreign
도 6을 참조하여 제2프레임을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프레임(200) 중앙을 상하 방향을 절단한 상태이며, 절단면 해칭은 생략하였다. 아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프레임(220)의 우측만 설명한다. The second fr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center of the
제2프레임(200)은 상자(B)의 후면 우측 상부 모서리 및 우측 하부 모서리에 배치된 제2모서리(210)와, 상자(B)의 후면 상부, 하부 및 우측부에 배치되는 후면프레임(220)과, 제2모서리(210), 후면프레임(220). 측면프레임(300)의 결합을 보강하는 제2프레임보강재(230)를 포함한다. The
제2모서리(210)는 도 6의 우측 상부에 도시된 제2모서리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2모서리(210)는 중앙에 형성된 제2몸체(211)와, 상기 제2몸체(211)의 저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1상하프레임접속구(213)와, 상기 제2몸체(211)의 좌측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2측부프레임접속구(212)와, 상기 제2몸체(211)의 전면에서 후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3측면프레임접속구(114)를 포함한다. The
제2-1상하프레임접속구(213) 또한 후면프레임(220)과 3면 이상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평면형접속구와 굴곡형접속구로 구성된다. 제2-2측부프레임접속구(212) 및 제2-3측면프레임접속구(214) 또한 평면형접속구와 굴곡형접속구로 구성된다. 제2모서리(210)의 각 접속구(212)(213)(214)는 동일한 형상이다. The second-1 < th > upper and lower
후면프레임(220)은 제2-1상하프레임접속구(213) 및 제2-2측부프레임접속구(212)와 내면 중 3면 이상 접촉 가능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후면프레임(220) 또한 압출 방식으로 성형되며, 강성을 위한 굴곡 및 보강대와, 외판(400)과의 접속 결합을 위한 결합홈을 포함한다. 후면프레임(220)은 전면 방향과 좌측면 방향 사이에 비스듬하게 내측 둘레로 형성된 후면프레임내측경사면(221)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프레임내측경사면(221)에는 나사위치홈(150)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위치홈(150)은 측면프레임보강재(320)의 후면결합부(321)를 나사 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작용 및 형상은 전면상하프레임(120)에 형성된 나사위치홈(150)과 동일하다. The
제2프레임보강재(230)는 제1보강면(231), 제2보강면(232), 제3보강면(233)을 포함한다. 제2프레임보강재(230)의 각 보강면(231)(232)(233)은 제2모서리(210)의 각 접속구(212)(213)(214)의 평면형접속구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각 보강면(231)(232)(233)에는 상기 제2모서리(210)의 각 접속구(212)(213)(214)중 평면형접속구와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다. 제2프레임보강재(230)는 제2모서리(210)와 후면프레임(220) 및 측면프레임(300)이 결합된 다음, 후면프레임내측경사면(221) 및 측면프레임내측경사면(310)과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어 제2모서리(210)의 각 접속구(212)(213)(214)의 평면형접속구와 나사체결된다. The
도 7을 참조하여 측면프레임을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프레임(300)의 우측만 도시한 상태이다. 아래 설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 배치된 측면프레임만 설명한다. A side fr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is a right side view of the
측면프레임(300)은 제1모서리(110)와 제2모서리(210) 사이에 배치되고,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을 보강 연결하는 측면프레임보강재(320)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프레임(300)은 제1-3측면프레임접속구(114) 및 제2-3측면프레임접속구(214)와 내면 중 3면 이상 접촉 가능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측면프레임(300) 또한 압출 방식으로 성형되며, 강성을 위한 굴곡 및 보강대와, 외판(400)과의 접속 결합을 위한 결합홈을 포함한다.The
상기 측면프레임(300)은 좌측 방향과 하측 방향 사이에 비스듬하게 형성된 측면프레임내측경사면(310)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프레임내측경사면(310)에는 나사위치홈(150)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위치홈(150)은 제2프레임보강재(230)의 각 보강면(231)(232)(233) 중 1면과 제2모서리(210)의 제2-3측면프레임접속구(214)가 나사 체결될 때 나사끝 일부가 나사위치홈(150)에 접속되도록 하여 나사 체결의 정확성 및 나사 체결의 용이성을 향상시킨다. The
측면프레임보강재(320)는 후면 단부에 형성된 후면결합부(321)와, 전면 단부에 형성된 전면결합부(322)를 포함한다. 후면결합부(321)는 후면프레임(220)의 후면프레임내측경사면(221)에 안착 후 나사 체결되고, 전면결합부(322)는 전면측부프레임(130) 및 전면상하프레임(120)의 상하내측평면(121)에 안착 후 나사 체결된다. 측면프레임보강재(320)는 제1프레임(100)과 후면프레임(220) 사이에 배치 및 나사 체결되어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The side
도 8을 참조하여 외판을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판(400)을 중앙을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이며, 절단면 해칭은 생략하였다. 아래 설명에서는 도시된 오른쪽만 설명한다. The outer pl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외판(400)은 측판(410)과 뒷판(420)을 포함한다. 상기 측판(410)은 상자(B)의 우측면, 상면, 하면에 배치되고, 뒷판(420)은 후면프레임(220)의 후면에 배치된다. 즉,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 둘레로 측판(410)이 접속 결합되고, 제2프레임(200)의 후면에 뒷판(420)이 접속 결합되어 함체 형상의 상자(B)가 이루어진다. 상기 측판(410) 및 뒷판(420)의 둘레에는 플렌지(430)가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430)는 제1프레임(100), 제2프레임(200), 측면프레임(300)의 결합홈에 접속 결합된다. 이러한 플렌지(430) 접속 방식의 결합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도 9를 참조하여 덮개를 살펴본다. 도 9는 덮개판(500)의 일부와 힌지(510)만 도시하였다. 덮개(C)는 상자(B)의 전면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덮개판(500)과, 상기 덮개판(500)의 일측에 결합되는 힌지(510)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510)는 일측이 덮개판(500)에 결합되고, 타측은 전면측부프레임(130)에 접속되는 힌지결합판(133)에 결합된다. 힌지(510)의 결합은 나사 체결에 의한 기계적 결합이다. The cov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9 shows only a part of the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프레임보강재 및 측면프레임보강제의 작용을 살펴본다. 제2프레임보강재(230)는 제2모서리(210)와 후면프레임(220), 측면프레임(300)의 결합을 보강한다. 제2모서리(210)의 각 접속구(212)(213)(214)에 후면프레임(220) 및 측면프레임(300)이 접속되고, 상기 후면프레임(220)의 후면프레임내측경사면(221) 및 측면프레임(300)의 측면프레임내측경사면(310)에 제2프레임보강재(230)가 안착된 다음, 제2프레임보강재(230)에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여 나사가 체결되고, 상기 나사는 제2프레임보강재(230), 측면프레임(300) 및 후면프레임(220), 제2모서리(210)를 체결한다.The operation of the second frame stiffener and the side frame reinforc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상기한 나사 체결 과정에서 측면프레임내측경사면(310) 및 후면프레임내측경사면(221)에 형성된 나사위치홈(150)은 나사 체결시 나사의 위치를 안내하고, 나사 체결을 용이하게 한다. The
측면프레임보강재(320)의 후면결합부(321)는 후면프레임(220)의 후면프레임내측경사면(221)에 안착 후 나사 체결되고, 전면결합부(322)는 전면측부프레임(130) 및 전면상하프레임(120)의 상하내측평면(121)에 안착 후 나사 체결된다. 도면에서는 측면프레임보강재(320)가 상자(B)의 내측 우측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측면프레임보강재(320)는 상자(B)의 내측 우측부, 좌측부, 상부, 하부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측면프레임보강재(320)는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 사이를 연결하며 나사 체결되어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측면프레임보강재(320)의 나사 체결시 나사위치홈(150)의 작용에 의해 나사 체결이 용이해지고 체결 나사의 위치를 정확하게 지정할 수 있다. The rear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자와 덮개의 결합을 살펴본다. 덮개(C)의 힌지(510) 일측은 덮개판(500)에 체결되고, 힌지(510)의 타측은 힌지결합판(133)과 결합되며, 상기 힌지결합판(133)은 전면측부프레임(130)의 힌지결합판접속홈(132)에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자(B)와 덮개(C)는 힌지(510)의 갯수 및 힌지결합판(133)의 갯수를 조절하여 상자(B)와 덮개(C)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combination of the box and th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e side of the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물질방지패널의 작용을 살펴본다. 이물질방지패널(140)은 상자(B)의 외측 방향에서 상자(B)의 내부로 침투되는 이물질을 방지한다. 상기 이물질방지패널(140)은 각각 제1모서리(110)의 전면 단부, 전면상하프레임(120)의 전면 단부, 전면측부프레임(130)의 전면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이물질방지패널(140)은 도 12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연결되어 상자(B) 내부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한다. The operation of the foreign matter prevention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foreign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Should b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B:상자 C:덮개
100:제1프레임 110:제1모서리
111:제1몸체 112:제1-2측부프레임접속구
113:제1-1상하프레임접속구 114제1-3측면프레임접속구
120:전면상하프레임 121:상하내측평면
130:전면측부프레임 131:측부내측평면
132:힌지결합판접속홈 133:힌지결합판
140:이물질방지패널 150나사위치홈
200:제2프레임 210:제2모서리
211:제2몸체 212:제2-2측부프레임접속구
213:제2-1상하프레임접속구 214:제2-3측면프레임접속구
220:후면프레임 221:후면프레임내측경사면
230:제2프레임보강재 231:제1보강면
232:제2보강면 233:제3보강면
300:측면프레임 310:측면프레임내측경사면
320:측면프레임보강재 321:후면결합부
322: 전면결합부 400:외판
410:측판 420:뒷판
430:플랜지 500:덮개판 510: 힌지B: Box C: Cover
100: first frame 110: first corner
111: first body 112: first-second side frame connection port
113: 1-1-1 Upper and lower frame connection port 114-3-3 Side frame connection port
120: front upper and lower frame 121: upper and lower inner plane
130: front side frame 131: side inner plane
132: hinge coupling plate connecting groove 133: hinge coupling plate
140: Foreign
200: second frame 210: second corner
211: second body 212: second 2-2 side frame connection port
213: 2-1 upper and lower frame connection ports 214: 2-3 side frame connection port
220: rear frame 221: rear frame inner slope
230: second frame reinforcing member 231: first reinforcing face
232: second reinforcing face 233: third reinforcing face
300: side frame 310: side frame inner inclined surface
320: side frame stiffener 321:
322: Front coupling part 400: Outboard
410: side plate 420: back plate
430: flange 500: cover plate 510: hinge
Claims (4)
상자(B)는 전면 단부에 배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제1프레임(100)과,
후면 단부 배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후면프레임(220)과,
상기 제1프레임(100)과 후면프레임(2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프레임(300)과,
상기 제1프레임(100)과 후면프레임(220) 사이 및 후면프레임(220)의 후면 단부에 배치되는 외판(400)을 포함하고,
덮개(C)는 덮개판(500)과 힌지(51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510)는 일측이 덮개판(500)과 결합되고, 타측이 힌지결합판(133)과 결합되되, 상기 힌지결합판(133)은 제1프레임(100)의 전면측부프레임(130)의 힌지결합판접속홈(132)에 접속되고,
제2프레임(200)은 상자(B)의 후면 우측 상부 모서리 및 우측 하부 모서리에 배치된 제2모서리(210)와, 상자(B)의 후면 상부, 하부 및 우측부에 배치되는 후면프레임(220)과, 제2모서리(210), 후면프레임(220), 측면프레임(300)의 결합을 보강하는 제2프레임보강재(230)를 포함하되,
후면프레임(220)은 제2-1상하프레임접속구(213) 및 제2-2측부프레임접속구(212)와 내면 중 3면 이상 접촉 가능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전면 방향과 좌측면 방향 사이에 비스듬하게 내측 둘레로 형성된 후면프레임내측경사면(221)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프레임내측경사면(221)에는 측면프레임보강재(320)의 후면결합부(321)를 나사 체결하기 위한 나사위치홈(150)이 형성되며,
제2모서리(210)는 중앙에 형성된 제2몸체(211)와, 상기 제2몸체(211)의 저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1상하프레임접속구(213)와, 상기 제2몸체(211)의 좌측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2측부프레임접속구(212)와, 상기 제2몸체(211)의 전면에서 후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3측면프레임접속구(114)를 포함하며,
제2-1상하프레임접속구(213), 제2-2측부프레임접속구(212), 제2-3측면프레임접속구(214)는 후면프레임(220)과 3면 이상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평면형접속구와 굴곡형접속구로 구성되고, 제2모서리(210)의 각 접속구(212)(213)(214)는 동일한 형상이며,
제2프레임보강재(230)는 제1보강면(231), 제2보강면(232), 제3보강면(233)을 포함하고, 제2프레임보강재(230)의 각 보강면(231)(232)(233)은 제2모서리(210)의 각 접속구(212)(213)(214)의 평면형접속구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각 보강면(231)(232)(233)에는 상기 제2모서리(210)의 각 접속구(212)(213)(214)중 평면형접속구와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며,
제2프레임보강재(230)는 제2모서리(210)와 후면프레임(220) 및 측면프레임(300)이 결합된 다음, 후면프레임내측경사면(221) 및 측면프레임내측경사면(310)과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어 제2모서리(210)의 각 접속구(212)(213)(214)의 평면형접속구와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분전함.
In a distributing box comprising a box B and a lid C,
The box B includes a first frame 100 of a rectangular frame shape disposed at the front end,
A rear frame 220 of a rectangular frame shape disposed at the rear end thereof,
A side frame 300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ame 100 and the rear frame 220,
And an outer plate (400)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ame (100) and the rear frame (220) and at the rear end of the rear frame (220)
The lid C includes a cover plate 500 and a hinge 510. The hinge 510 is coupled to the cover plate 500 at one side and to the hinge plate 133 at the other side, The coupling plate 133 is connected to the hinge coupling plate connecting groove 132 of the front side frame 130 of the first frame 100,
The second frame 200 includes a second corner 210 disposed at the upper right corner and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x B and a second frame 210 disposed at the upper, And a second frame stiffener 230 for reinforcing th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edge 210, the rear frame 220 and the side frame 300,
The rear frame 220 is formed in such a shape as to be in contact with at least three of the 2-1 upper and lower frame connection ports 213 and the 2-2 side frame connection ports 212 on the inner surface, And a screw locating groove 150 for screwing the rear engaging portion 321 of the side frame reinforcing member 320 is formed in the rear frame inner side inclined surface 221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ar frame And,
The second corner 210 has a second body 21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 second upper-lower frame connection port 213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ody 211, A second-2 side frame connection port 212 protruding leftward from the left side of the second body 211, and a first-third side frame connection port 114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211 in the rear direction In addition,
The 2-1 upper and lower frame connection ports 213, the 2-2 side frame connection ports 212 and the 2-3 side frame connection ports 214 are connected to the rear frame 220 by three- And the connection ports 212, 213, and 214 of the second edge 210 have the same shape,
The second frame stiffener 230 includes the first reinforcing face 231, the second reinforcing face 232 and the third reinforcing face 233 and the reinforcing face 231 of the second frame stiffener 230 232) 233 are formed parallel to the planar connection ports of the connection ports 212, 213 and 214 of the second edge 210 and the reinforcing surfaces 231, (212), (213), and (214) of the connector (210)
The second frame stiffener 230 is formed by joining the second edge 210 with the rear frame 220 and the side frame 300 and then abutting the rear frame inner slant surface 221 and the side frame inner slant surface 310 And is screwed with a planar connection port of each of the connection ports (212), (213) and (214) of the second edge (210).
제1프레임(100)은 상자(B)의 전면 좌우측 상부 모서리 및 좌우측 하부 모서리에 배치된 제1모서리(110)와, 상자(B)의 전면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전면상하프레임(120)과, 상자(B)의 전면 우측부 및 좌측부에 배치되는 전면측부프레임(130)과, 제1모서리(110), 전면상하프레임(120), 전면측부프레임(130)의 전면 단부에 돌출 굴곡 형성된 이물질방지패널(140)을 포함하고,
제1모서리(110)는 상자(B)의 전면 방향 우측 상부에 배치된 제1모서리(110)를 기준으로 할 때, 중앙에 형성된 제1몸체(111)와, 상기 제1몸체(111)의 저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1상하프레임접속구(113)와, 상기 제1몸체(111)의 좌측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2측부프레임접속구(112)와, 상기 제1몸체(111)의 배면에서 후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3측면프레임접속구(114)를 포함하며,
전면상하프레임(120)은 제1-1상하프레임접속구(113)와 내면 중 3면 이상 접촉 가능한 형상으로서, 후면 방향 내측 둘레로 형성된 상하내측평면(121)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내측평면(121)에는 나사위치홈(150)이 형성되고
전면측부프레임(130)은 제1-2측부프레임접속구(112)와 내면 중 3면 이상 접촉 가능한 형상으로서,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힌지결합판접속홈(132)과, 상기 힌지결합판접속홈(132)에 접속되는 힌지결합판(133)과, 후면 방향 내측 둘레로 형성된 측부내측평면(131)을 포함하고, 상기 측부내측평면(131)에는 나사위치홈(150)이 형성되며,
이물질방지패널(140)은 각각 제1모서리(110)의 전면 단부, 전면상하프레임(120)의 전면 단부, 전면측부프레임(130)의 전면 단부에서 전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 후, 외측 방향으로 굴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분전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rame 100 includes a first corner 110 disposed at upper left and right upper and lower left corners of the box B and a front upper and lower frame 120 disposed at upper and lower front portions of the box B, A front side frame 130 disposed at a front right side portion and a left side portion of the box B and a front side frame 130 disposed at front ends of the first corner 110, the front upper and lower frames 120 and the front side frames 130, Prevention panel 140,
The first corner 110 has a first body 111 formed at the center and a second body 11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body 111, A first upper and lower frame connection port 113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111, a first and second side frame connection ports 112 protruded leftward from a left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111, And a first to third side frame connection ports (114)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111)
The front upper and lower frames 120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upper and lower frame connection ports 113 in three or more inward directions and include upper and lower inner planes 121 formed in the inner periphery in the rear direction, A screw locating groove 150 is formed
The front side frame 130 has a hinge-coupling-plate connecting groove 132 formed in a substantially perpendicular direction to the front side frame 130, A hinge coupling plate 133 connected to the hinge coupling plate 132 and a side inner plane 131 formed in the inner periphery in the rear direction and a screw position groove 150 is formed in the side inner plane 131,
The foreign matter prevention panel 140 is formed by protruding in the front direction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rner 110, the front end of the front upper and lower frame 120 and the front end of the front side frame 130,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측면프레임(300)은 제1모서리(110)와 제2모서리(210) 사이에 배치되고, 제1프레임(100) 및 후면프레임(220)을 보강 연결하는 측면프레임보강재(320)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프레임(300)은 제1-3측면프레임접속구(114) 및 제2-3측면프레임접속구(214)와 내면 중 3면 이상 접촉 가능한 형상으로서, 상자(B)의 우측에 배치된 측면프레임(300)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과 하측 방향 사이에 비스듬하게 형성된 측면프레임내측경사면(310)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프레임내측경사면(310)에는 나사위치홈(150)이 형성되며,
외판(400)은 측판(410)과 뒷판(420)을 포함하되, 상기 측판(410)은 상자(B)의 좌측면, 우측면, 상면, 하면에 배치되고, 뒷판(420)은 후면프레임(220)의 후면에 배치되되, 측판(410) 및 뒷판(420)의 둘레에는 플렌지(430)가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430)는 제1프레임(100), 후면프레임(220), 측면프레임(300)의 결합홈에 접속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분전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frame 300 includes a side frame stiffener 320 disposed between the first edge 110 and the second edge 210 and reinforcingly connecting the first frame 100 and the rear frame 220, The side frame 300 is in contact with at least three of the first to third side frame connection ports 114 and the second to third side frame connection ports 214, And a side frame inner inclined surface 310 formed obliquely between the left side and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300. The side frame inner side inclined surface 310 is formed with a screw position groove 150,
The side plate 410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the right side,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box B, and the back plate 420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the right side, A flange 430 is formed around the side plate 410 and the rear plate 420 and the flange 43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ide frame 410 and the rear plate 420. The flange 430 includes a first frame 100, a rear frame 220, )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20,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1999A KR101983500B1 (en) | 2018-06-22 | 2018-06-22 | cabinet panel ca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1999A KR101983500B1 (en) | 2018-06-22 | 2018-06-22 | cabinet panel cas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83500B1 true KR101983500B1 (en) | 2019-05-28 |
Family
ID=6665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1999A KR101983500B1 (en) | 2018-06-22 | 2018-06-22 | cabinet panel ca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3500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6769Y1 (en) | 1999-02-04 | 2002-03-06 | 류동대 | Door cover structure of switch box |
KR20100123156A (en) * | 2009-05-14 | 2010-11-24 |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 Frame for control cabinet and joining construction thereof |
KR101270556B1 (en) * | 2013-04-24 | 2013-06-03 | (주)서전기전 | Switchgear with enclosing structure reinforced by multi-bending |
JP2013118239A (en) * | 2011-12-02 | 2013-06-13 | Fujitsu Ltd | Frame and frame connection member |
KR101438594B1 (en) * | 2012-12-28 | 2014-09-12 |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 Assembly Switch board |
KR20150117400A (en) | 2014-04-10 | 2015-10-20 | 장준희 | Modular prefabricated cabinet panel case |
-
2018
- 2018-06-22 KR KR1020180071999A patent/KR10198350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6769Y1 (en) | 1999-02-04 | 2002-03-06 | 류동대 | Door cover structure of switch box |
KR20100123156A (en) * | 2009-05-14 | 2010-11-24 |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 Frame for control cabinet and joining construction thereof |
JP2013118239A (en) * | 2011-12-02 | 2013-06-13 | Fujitsu Ltd | Frame and frame connection member |
KR101438594B1 (en) * | 2012-12-28 | 2014-09-12 |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 Assembly Switch board |
KR101270556B1 (en) * | 2013-04-24 | 2013-06-03 | (주)서전기전 | Switchgear with enclosing structure reinforced by multi-bending |
KR20150117400A (en) | 2014-04-10 | 2015-10-20 | 장준희 | Modular prefabricated cabinet panel cas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88008A (en) | Supporting framework for a control cabinet | |
CN104105364B (en) | Rack and the stack of cabinets with the rack | |
US4908733A (en) | Switch box for wall attachment | |
JP2524061B2 (en) | Framework used for switch cabinet | |
JP3408820B2 (en) | Switch cabinet with assembly unit | |
KR101089092B1 (en) | Frame for Control Cabinet | |
KR200168537Y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partition | |
KR101983500B1 (en) | cabinet panel case | |
KR101891286B1 (en) | Fabricated structure of furniture | |
US6335484B1 (en) | Electrical equipment support for attachment to trunking | |
US4823526A (en) | Frame construction providing lead through facilities for cables or like devices | |
JPH0132777Y2 (en) | ||
JP4114865B2 (en) | Panel structure | |
JPS5844726Y2 (en) | Extrusion corner structure of external wall panels for buildings | |
JP2846615B2 (en) | Angle shelf | |
KR101332189B1 (en) | Corner member for control cabinet | |
KR102676380B1 (en) | Concent Box For Fixing On The Panel | |
JP2552390Y2 (en) | Partition panel wiring device | |
CN209799534U (en) | self-locking fastening splicing structure of storage rack box body | |
JP2002280770A (en) | Vertical frame of cabinet for housing electric/electronic apparatus | |
JP5911710B2 (en) | Wall panel assembly member, corner wall panel assembly structure, and side-by-side wall panel assembly structure | |
KR20110011874A (en) | Partition with Horizontal Connection | |
JPH0715173Y2 (en) | Exterior case structure | |
JP2008148532A (en) | Housing box for electrical equipment | |
JPS6135604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2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5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