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83116B1 -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116B1
KR101983116B1 KR1020170177842A KR20170177842A KR101983116B1 KR 101983116 B1 KR101983116 B1 KR 101983116B1 KR 1020170177842 A KR1020170177842 A KR 1020170177842A KR 20170177842 A KR20170177842 A KR 20170177842A KR 101983116 B1 KR101983116 B1 KR 101983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tor
control command
compressor
ti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식
김의현
남징락
고의현
황규태
정창화
한정호
박정환
Original Assignee
부림전기 주식회사
에이치케이티전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림전기 주식회사, 에이치케이티전기(주) filed Critical 부림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7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11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07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or pump cylinders, wherein the flow-path through the stages can be changed, e.g. from series to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 F04B49/03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by mea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3/00Motor parameters
    • F04B2203/02Motor parameters of rotating electric motors
    • F04B2203/0201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와, 공기를 압축하여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압축부와, 리시버 탱크로 압축 공기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밸브로 구성되되, 상기 모터만 구동되는 무부하 운전과 상기 모터 및 상기 압축부가 함께 구동되어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부하 운전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공기압축기와, 상기 공기압축기로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와, 상기 리시버 탱크의 출력단 압력을 측정하는 공기압 측정부와, 측정된 전류값과 출력단 압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압축기 각각의 모터의 구동 여부와 밸브의 개방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종래 방식에 비해 모터의 기동을 감소시키고 불필요한 운전시간을 최소화하여 전기비용이 20~30% 절감될 수 있고, 일정 모터가 정지하거나 오랜 시간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압축기의 균등한 가용시간을 확보함으로써 장비 노화 및 교체 등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INTEGRATED CONTROL SYSTEM OF MULTI-AIR COMPRESSOR AND METHOD THEROF}
본 발명은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공기압축기 복합 운전 설비에서 동작 중인 공기압축기의 수를 줄이고 복수 개의 공기압축기 간의 동작 및 운용시간을 조절하여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는 산업 기계의 동력원 등으로 사용되는 압축공기를 만들어 공급하는 장치이다.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기압축기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생산하고 생산된 압축공기를 리시버 탱크에 저장한다.
대부분의 산업현장에서는 복수 개의 공기압축기가 병렬로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일정한 압력을 에너지 낭비 없이 공급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공기압축기의 부하 제어를 통해 균일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에는 복수 개의 공기압축기에 의한 목적압력을 균일한 설정값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서, 각 공기압축기마다 개별적으로 자체 제어패널을 구비하고, 각 제어패널이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각 공기압축기의 토출압력에 따라 각 공기압축기의 밸브를 개폐함으로써, 전체 압축공기량을 조절하여 목적압력을 조절하는 방법, 즉, 각각의 공기압축기마다 토출 압력을 측정한 후 측정된 공기압을 기준으로 목적 압력의 도달 여부를 판단하여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의 경우, 시스템 최종 출력인 리시버 탱크의 공기압 설정값과 공기압축기 간의 개별 공기압 설정값 사이에 배관 등의 설비 환경 영향으로 인하여 편차가 발생할 수 있어 리시버 탱크에 수용된 공기압이 목표치에 도달하여도 불특정 간헐 운전을 지속하게 되고, 공기압축기가 무작위로 운전하여 특정 호기에 동작 시간이 집중될 수 있어 불필요한 모터 동작시간과 편중된 공기압축기 사용빈도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7-0127627 A KR 10-0481016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압축기 복합 운전 설비에서 동작 중인 공기압축기의 수를 줄이고 복수 개의 공기압축기 간의 동작 및 운용시간을 조절하여 소비전력의 절감과 더불어 장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시스템은, 모터와, 공기를 압축하여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압축부와, 리시버 탱크로 압축 공기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밸브로 구성되되, 상기 모터와 상기 압축부가 구동되는 무부하 운전과, 상기 모터와 상기 압축부가 함께 구동되고 상기 밸브가 작동하여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부하 운전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공기압축기와, 상기 공기압축기로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와, 상기 리시버 탱크의 출력단 압력을 측정하는 공기압 측정부와, 측정된 전류값과 출력단 압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압축기 각각의 모터의 구동 여부와 밸브의 개방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출력단 압력값을 기설정된 상한값 및 하한값과 각각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압축기 각각의 밸브의 개방 여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초기 기동에 따른 소비전력량과 기동 직후 무부하 운전에 따른 소비전력량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무부하 상태인 공기압축기 중 어느 하나의 모터를 제어하는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방법은, 모터와, 공기를 압축하여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압축부와, 리시버 탱크로 압축 공기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밸브로 구성되되, 상기 모터와 상기 압축부가 구동되는 무부하 운전과, 상기 모터와 상기 압축부가 함께 구동되고 상기 밸브가 작동하여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부하 운전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공기압축기를 통합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축기로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리시버 탱크의 출력단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전류값과 출력단 압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압축기 각각의 모터의 구동 여부와 밸브의 개방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출력단 압력값을 기설정된 상한값 및 하한값과 각각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압축기 각각의 밸브의 개방 여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초기 기동에 따른 소비전력량과 기동 직후 무부하 운전에 따른 소비전력량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무부하 상태인 공기압축기 중 어느 하나의 모터를 제어하는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방식에 비해 모터의 기동을 감소시키고 불필요한 운전시간을 최소화하여 전기비용이 20~30% 절감될 수 있고, 일정 모터가 정지하거나 오랜 시간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압축기의 균등한 가용시간을 확보함으로써 장비 노화 및 교체 등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압축기의 모터 및 공기압축기의 상태에 따른 무부하 운전과 부하 운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제어부에서 복수의 공기압축기 각각마다 측정된 공기압을 기설정된 상한값 및 하한값과 각각 비교한 결과에 따른 제어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공기압축기, 모터 및 밸브의 상태와 그에 따른 시간별 소비전력의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를 함께 표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의 S200단계에 측정된 압력값을 기설정된 상한값 및 하한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1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5의 S100단계에 측정된 전류값에 기초한 제1,2 소비전력량의 차이에 따라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압축기의 모터 및 공기압축기의 상태에 따른 무부하 운전과 부하 운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제어부에서 복수의 공기압축기 각각마다 측정된 공기압을 기설정된 상한값 및 하한값과 각각 비교한 결과에 따른 제어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공기압축기, 모터 및 밸브의 상태와 그에 따른 시간별 소비전력의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를 함께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시스템은 크게 리시버 탱크(100), 공기압축기(200), 전류 측정부(300), 공기압 측정부(400) 및 제어부(500)로 구성된다.
공기압축기(200)는 모터(21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210)와, 공기를 압축하여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압축부(220)와, 리시버 탱크(100)로 압축 공기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밸브(230)로 구성된다.
여기서, 공기압축기(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병렬 연결된 형태로 후술할 제어부(500)에 의해 통합적으로 제어되되, 입력단에는 소정 전원이 인가되고 출력단은 리시버 탱크(100)와 공기배관으로 연결되어 있고, 밸브(230)는 공기압축기(200)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개폐 동작을 통해 공기압축기(200)로의 공기 유입 여부를 조절한다.
이때, 공기압축기(200)는 모터(210)와 압축부(220)가 함께 구동되는 무부하 운전과 모터(210) 및 압축부(220)가 함께 구동되고 밸브(230)가 동작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부하 운전으로 동작한다.
이와 관련하여, 참고로, 공기압축기(200)의 소비전력은 모터(210)의 기동횟수가 적을수록, 무부하운전시간이 짧을수록 적어진다.
예컨대, 도 2를 참조하면, 모터(210)의 상태를 "ON(41)", "OFF(42)", "ON(43)" 순으로 변경하고 공기압축기(200)의 운전 상태를 "무부하(51)", "정지(52)", "기동(무부하)(53)", "부하(54)" 순으로 변경하는 경우엔, 모터(210)의 기동(OFF->ON) 동작으로 인해 기동 전력은 소비되나 모터(210)가 중간에 정지함(42)에 따라 공기압축기(200)의 무부하 운전(51,53)에 의한 모터(210)의 사용전력은 줄어들게 된다.
반면, 모터(210)를 구동 상태(61)로 계속 유지하고 공기압축기(200)의 운전 상태를 "무부하(71)", "부하(72)" 순으로 변경하는 경우엔, 모터(210)가 구동 상태를 유지함(61)에 따라 공기압축기(200)의 무부하 운전(71)에 의한 모터(210)의 사용전력은 상대적으로 늘어나나 기동 전력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무부하 운전시간을 줄이고자 모터(210)를 정지시키면 필요시 모터(210)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동 전력이 발생하고 기동전력을 줄이기 위해 무부하 운전을 유지하면 어느 시점부터 모터(210) 운전을 정지하고 기동하는데 사용되는 전력보다 많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동작 관계를 이용하여 모터(210)의 기동 여부와 무부하/부하 운전 여부를 적절히 제어한다면 전기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것이란 점에 착안하여 제안되었다.
리시버 탱크(100)는 공기압축기(200)로부터 로딩되는 압축 공기를 일정량 수용한다.
이때, 공기압축기(200) 및 리시버 탱크(100)의 수와 사양은 설비에서 요구되는 공기압의 용량에 따라 설계시에 선정될 수 있다.
전류 측정부(300)는 전류를 측정하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소정의 전류 센서로 마련되되, 복수의 공기압축기(200)의 전원 입력단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의 공기압축기(200)로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한다.
공기압 측정부(400)는 공기압을 측정하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소정의 압력 센서로 마련되되, 리시버 탱크(100)에 설치되어 복수의 공기압축기(200)로부터 로딩되어 수용된 압축공기의 공기압을 측정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들을 이용하여, 리시버 탱크(100)에 압축 공기를 충전할 땐, 공기압축기(200)의 모터(210)를 기동하고 밸브(230)를 열어 부하 운전하면서 리시버 탱크(100)의 공기압을 측정하는 순으로 진행하고, 리시버 탱크(100)에 압축 공기를 충전하지 않을 땐, 동작 중이던 공기압축기(200)의 밸브(230)를 닫아 무부하 운전을 하거나 무부하 운전 후 공기압축기(200)의 모터(210)를 정지하여 리시버 탱크(100)의 공기압을 측정하는 순으로 진행하게 된다.
제어부(500)는 전류 측정부(300)에서 측정된 전류값과 공기압 측정부(400)에서 측정된 압력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기압축기(200) 각각의 모터(210)의 구동 여부와 밸브(230)의 개방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예컨대, 제어부(500)는 전류 측정부(300)에서 측정된 전류값과 공기압 측정부(400)에서 측정된 압력값을 입력받은 후, 기설정된 공기압 상한값 및 하한값, 각 공기압축기 동작시간, 무부하 운전 설정시간, 모터 기동횟수, 재기동시간, 공기압축기의 개수 및 리시버 탱크의 개수와 같은 내부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모터의 기동/중지나 밸브의 열림/닫힘과 같은 제어 명령을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500)는 공기압 측정부(400)에서 측정된 압력값을 기설정된 상한값(Apx) 및 하한값(Apn)과 각각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기압축기(200) 각각의 밸브(230)의 개방 여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초기 기동에 따른 소비전력량과 기동 직후 무부하 운전에 따른 소비전력량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무부하 상태인 공기압축기(200) 중 어느 하나의 모터(210)를 제어하는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제어명령과 관련하여, 제어부(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압 측정부(400)에서 측정된 압력값(A1)이 상기 하한값(Apn)보다 낮으면 무부하 상태(모터:ON, 밸브:OFF)인 공기압축기(200) 중 어느 하나의 밸브(230)를 열어 부하 운전시키고(1), 상기 측정된 압력값(A2)이 상기 상한값(Apx)보다 높으면 부하 상태(모터:ON, 밸브:ON)인 공기압축기(200) 중 어느 하나의 밸브(230)를 닫아 무부하 운전시키도록(2) 하는 제1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00)는 복수 개의 공기압축기(200)를 제어하고자 할 땐, 공기압 측정부(400)에서 측정된 압력값이 상기 하한값(Apn)보다 낮은 경우엔 상기 압력값이 정상 범위에 들어올 때까지 복수 개의 공기압축기(200)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부하 운전시키고, 상기 측정된 압력값이 상기 상한값(Apx)보다 높은 경우엔 상기 압력값이 정상 범위에 들어올 때까지 복수 개의 공기압축기(200)를 순차적으로 무부하 운전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면, 병렬 연결된 N개의 공기압축기(200)과 연결된 리시버 탱크(100)의 출력단에서 측정된 공기압이 상기 하한값(Apn)보다 낮은 경우엔, 제1 공기압축기(200-1)를 동작시켜 부하 운전을 한 후 공기압을 재측정하고, 재측정된 공기압도 상기 하한값(Apn)보다 낮은 경우엔 제1 공기압축기(200-1)가 부하 운전 중인 상태에서 제2 공기압축기(200-2)도 부하 운전을 한 후 다시 공기압을 측정하며, 다시 측정된 공기압도 상기 하한값(Apn)보다 낮다면, 제1 공기압축기(200-1) 및 제2 공기압축기(200-2)가 모두 부하 운전 중인 상태에서 제3 공기압축기(200-3)도 부하 운전을 한 후 공기압을 측정함으로써, 즉, 순차적으로 공기압축기(200)를 하나씩 부하 운전으로 변경한 후 공기압을 측정하여 상기 하한값(Apn)과 비교하는 과정을 리시버 탱크(100)의 출력단 공기압이 정상 범위에 속할 때까지 반복 수행하게 된다.
반면, 병렬 연결된 N개의 공기압축기(200)와 연결된 리시버 탱크(100)의 출력단에서 측정된 공기압이 상기 상한값(Apx)보다 높은 경우엔, 제1 공기압축기(200-1)를 무부하 운전시킨 후 공기압을 재측정하고, 재측정된 공기압도 상기 상한값(Apx)보다 높은 경우엔 제1 공기압축기(200-1)가 무부하 운전중인 상태에서 제2 공기압축기(200-2)도 무부하 운전시킨 후 다시 공기압을 측정하며, 다시 측정된 공기압도 상기 상한값(Apx)보다 높다면, 제1 공기압축기(200-1) 및 제2 공기압축기(200-2)가 모두 무부하 운전중인 상태에서 제3 공기압축기(200-3)도 무부하 운전시킨 후 공기압을 측정하는 등 순차적으로 공기압축기(200)를 하나씩 무부하 운전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즉, 순차적으로 공기압축기(200)를 하나씩 무부하 운전으로 변경한 후 공기압을 측정하여 상기 상한값(Apx)과 비교하는 과정을 리시버 탱크(100)의 출력단 공기압이 정상 범위에 속할 때까지 반복 수행하게 된다.
또한, 만일 리시버 탱크(100)가 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500)는 각각의 리시버 탱크(100)에서 측정된 공기압 중 어느 하나가 상한값(Apx) 이상이거나 하한값(Apn) 미만인 경우에 이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면, 제1 리시버 탱크(100-1)에서 측정된 공기압은 정상 범위에 속하는 데 반해, 제2 리시버 탱크(100-2)에서 측정된 공기압은 상기 상한값(Apx) 이상인 경우, 제어부(500)는 부하 상태(모터:ON, 밸브:ON)인 공기압축기(200) 중 어느 하나의 밸브(230)를 닫아 무부하 운전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한값(Apx) 및 상기 하한값(Apn)은 압축공기가 사용될 현장에서 요구하는 압축공기압의 상한선 및 하한선을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 대부분의 산업 현장에서 상기 상한값은 7.5 bar이고 상기 하한값은 6.2 bar로 정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제어명령의 생성과 관련하여, 제어부(500)는, 초기 기동이 개시되는 제1시간(t1)부터 무부하 운전 상태로 전환되는 제2시간(t2)까지의 제1 소비전력량(W기동)과 제2시간(t2)부터 현재 시간(t)까지의 제2 소비전력량(W무부하)을 각각 계산한 후, 제1 소비전력량(W기동)의 크기가 제2 소비전력량(W무부하) 이하이면 무부하 상태인 공기압축기(200) 중 어느 하나의 모터(210)를 오프(OFF)시키도록 하는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류 측정부(300)에서 측정된 전류값을 이용하여 아래의 수학식 1,2에 따라 순간 전력(P) 및 소비전력량(W)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는 이미 공지된 계산 공식이므로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Figure 112017128107067-pat00001
Figure 112017128107067-pat00002
여기서, P는 순간 전력, i는 전류측정부(300)에서 측정된 전류값, Zmotor는 기설정된 모터의 임피던스값, W는 소비전력량을 나타낸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밸브(230)가 닫힌 상태(31)에서 모터(210)의 기동(11)이 시작되는 제1시간(t1)부터 공기압축기(200)가 무부하 운전 상태(12)로 전환되는 제2시간(t2)까지의 시간 동안에는 모터(210)가 기동될 때(21)의 소비전력량에 해당하는 제1 소비전력량(W기동)을 소비하게 된다. 이후, 공기압축기(200)의 무부하 운전 상태(12)가 시작되는 제2시간(t2)부터 현재 시간(t)까지의 시간 동안에는 모터(210)가 기동된 직후 무부하 상태(12)일 때(21,31)의 소비전력량에 해당하는 제2 소비전력량(W무부하)을 소비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500)는 제1 소비전력량(W기동)과 제2 소비전력량(W무부하)의 차이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무부하 운전시간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제1 소비전력량(W기동)에서 제2 소비전력량(W무부하)을 뺀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α)보다 크면 무부하 상태인 공기압축기(200) 중 어느 하나의 공기압축기(200)의 무부하 운전시간을 늘리도록 하고,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제1 소비전력량(W기동)에서 제2 소비전력량(W무부하)을 뺀 값이 상기 임계값(α) 미만이면 무부하 상태인 공기압축기(200) 중 어느 하나의 공기압축기(200)의 무부하 운전시간을 줄이도록 하는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하게 된다.
Figure 112017128107067-pat00003
Figure 112017128107067-pat00004
여기서, W기동은 제1 소비전력량, W무부하는 제2 소비전력량, α는 임계값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시스템은 모터(210)의 기동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공기압축기(200) 각각의 기동시간을 계수하는 계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제1 소비전력량(W기동)의 크기가 제2 소비전력량(W무부하) 이하이면 무부하 상태인 공기압축기(200) 중 상기 계수된 기동시간이 가장 높은 모터(210)를 오프(OFF)시키도록 하는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량이 가장 많은 공기압축기의 모터를 우선적으로 정지하여 일정 모터가 정지하거나 오랜 시간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압축기의 균등한 가용시간을 확보함으로써 장비 노화 및 교체 등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의 S200단계에 측정된 압력값을 기설정된 상한값 및 하한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제1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5의 S100단계에 측정된 전류값에 기초한 제1,2 소비전력량의 차이에 따라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전술한 도면들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공기압축기(200)로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한다(S100).
여기서, 공기압축기(200)는 모터(21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210)와, 공기를 압축하여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압축부(220)와, 리시버 탱크(100)로 압축 공기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밸브(230)로 구성된다.
또한, 공기압축기(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병렬 연결된 형태로 후술할 제어부(500)에 의해 통합적으로 제어되되, 입력단에는 소정 전원이 인가되고 출력단은 리시버 탱크(100)와 공기배관으로 연결되어 있고, 밸브(230)는 공기압축기(200)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개폐 동작을 통해 공기압축기(200)로의 공기 유입 여부를 조절한다.
이때, 공기압축기(200)는 모터(210)와 압축부(220)가 함께 구동되는 무부하 운전과 모터(210) 및 압축부(220)가 함께 구동되고 밸브(230)가 동작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부하 운전으로 동작한다.
이와 관련하여, 예컨대, 도 2를 참조하면, 모터(210)의 상태를 "ON(41)", "OFF(42)", "ON(43)" 순으로 변경하고 공기압축기(200)의 운전 상태를 "무부하(51)", "정지(52)", "기동(무부하)(53)", "부하(54)" 순으로 변경하는 경우엔, 모터(210)의 기동(OFF->ON) 동작으로 인해 기동 전력은 소비되나 모터(210)가 중간에 정지함(42)에 따라 공기압축기(200)의 무부하 운전(51,53)에 의한 모터(210)의 사용전력은 줄어들게 된다.
반면, 모터(210)를 구동 상태(61)로 계속 유지하고 공기압축기(200)의 운전 상태를 "무부하(71)", "부하(72)" 순으로 변경하는 경우엔, 모터(210)가 구동 상태를 유지함(61)에 따라 공기압축기(200)의 무부하 운전(71)에 의한 모터(210)의 사용전력은 상대적으로 늘어나나 기동 전력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무부하 운전시간을 줄이고자 모터(210)를 정지시키면 필요시 모터(210)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동 전력이 발생하고 기동전력을 줄이기 위해 무부하 운전을 유지하면 어느 시점부터 모터(210) 운전을 정지하고 기동하는데 사용되는 전력보다 많아지게 된다.
다음으로, 리시버 탱크(100)의 압력을 측정한다(S200).
여기서, 리시버 탱크(100)는 공기압축기(200)로부터 로딩되는 압축 공기를 일정량 수용한다.
이때, 공기압축기(200) 및 리시버 탱크(100)의 수와 사양은 설비에서 요구되는 공기압의 용량에 따라 설계시에 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S100 단계에서 측정된 전류값과 S200 단계에서 측정된 압력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공기압축기(200) 각각의 모터(210)의 구동 여부와 밸브(230)의 개방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한다(S300).
여기서,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S300)는 크게 제1 제어명령 생성하는 단계(S410~S440)와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S500~S5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S410~S440)에서는, 상기 측정된 압력값을 기설정된 상한값(Apx) 및 하한값(Apn)과 각각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압축기(200) 각각의 밸브(230)의 개방 여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S410~S440)의 경우,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된 압력값(A1)이 상기 하한값(Apn)보다 낮으면(S410) 무부하 상태(모터:ON, 밸브:OFF)인 공기압축기(200) 중 어느 하나의 밸브(230)를 열어 부하 운전시키고(S420), 상기 측정된 압력값(A2)이 상기 상한값(Apx)보다 높으면(S430) 부하 상태(모터:ON, 밸브:ON)인 공기압축기(200) 중 어느 하나의 밸브(230)를 닫아 무부하 운전시키도록(S440) 하는 제1 제어명령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한값(Apx) 및 상기 하한값(Apn)은 압축공기가 사용될 현장에서 요구하는 압축공기압의 상한선 및 하한선을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 대부분의 산업 현장에서 상기 상한값은 7.5 bar이고 상기 하한값은 6.2 bar로 정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S500~S560)에서는 초기 기동에 따른 소비전력량과 기동 직후 무부하 운전에 따른 소비전력량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무부하 상태인 공기압축기 중 어느 하나의 모터를 제어하는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S500~S520)의 경우, 초기 기동이 개시되는 제1시간(t1)부터 무부하 운전 상태로 전환되는 제2시간(t2)까지의 제1 소비전력량(W기동)과 제2시간(t2)부터 현재 시간(t)까지의 제2 소비전력량(W무부하)을 각각 계산한 후(S500), 제1 소비전력량(W기동)의 크기가 제2 소비전력량(W무부하) 이하이면(S510) 무부하 상태인 공기압축기(200) 중 어느 하나의 모터(210)를 오프(OFF)시키도록 하는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하게 된다(S520).
이와 관련하여, S100 단계에 측정된 전류값을 이용하여 전술한 수학식 1,2에 따라 순간 전력(P) 및 소비전력량(W)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는 이미 공지된 계산 공식이므로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밸브(230)가 닫힌 상태(31)에서 모터(210)의 기동(11)이 시작되는 제1시간(t1)부터 공기압축기(200)가 무부하 운전 상태(12)로 전환되는 제2시간(t2)까지의 시간 동안에는 모터(210)가 기동될 때(21)의 소비전력량에 해당하는 제1 소비전력량(W기동)을 소비하게 된다. 이후, 공기압축기(200)의 무부하 운전 상태(12)가 시작되는 제2시간(t2)부터 현재 시간(t)까지의 시간 동안에는 모터(210)가 기동된 직후 무부하 상태(12)일 때(21,31)의 소비전력량에 해당하는 제2 소비전력량(W무부하)을 소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S530~S560)에서는, 제1 소비전력량(W기동)과 제2 소비전력량(W무부하)의 차이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무부하 운전시간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소비전력량(W기동)에서 제2 소비전력량(W무부하)을 뺀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α)보다 크면(S530) 무부하 상태인 공기압축기(200) 중 어느 하나의 공기압축기(200)의 무부하 운전시간을 늘리도록 하고(S540), 제1 소비전력량(W기동)에서 제2 소비전력량(W무부하)을 뺀 값이 상기 임계값(α) 미만이면(S550) 무부하 상태인 공기압축기(200) 중 어느 하나의 공기압축기(200)의 무부하 운전시간을 줄이도록(S560) 하는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방법의 경우, 상기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S200)와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S300) 사이에, 모터(210)의 기동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공기압축기(200) 각각의 기동시간을 계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S500~S530)에서는, 제1 소비전력량(W기동)의 크기가 제2 소비전력량(W무부하) 이하이면 무부하 상태인 공기압축기(200) 중 상기 계수된 기동시간이 가장 높은 모터(210)를 오프시키도록 하는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방식에 비해 모터의 기동을 감소시키고 불필요한 운전시간을 최소화하여 전기비용이 20~30% 절감될 수 있고, 일정 모터가 정지하거나 오랜 시간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압축기의 균등한 가용시간을 확보함으로써 장비 노화 및 교체 등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강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 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써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 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리시버 탱크
200: 공기압축기
210: 모터
220: 압축부
230: 밸브
300: 전류 측정부
400: 공기압 측정부
500: 제어부

Claims (8)

  1. 모터와, 공기를 압축하여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압축부와, 리시버 탱크로 압축 공기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밸브로 구성되되, 상기 모터와 상기 압축부가 구동되는 무부하 운전과, 상기 모터와 상기 압축부가 함께 구동되고 상기 밸브가 작동하여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부하 운전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공기압축기;
    상기 공기압축기로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상기 리시버 탱크의 출력단 압력을 측정하는 공기압 측정부; 및
    측정된 전류값과 출력단 압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압축기 각각의 모터의 구동 여부와 밸브의 개방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출력단 압력값을 기설정된 상한값 및 하한값과 각각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압축기 각각의 밸브의 개방 여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초기 기동에 따른 소비전력량과 기동 직후 무부하 운전에 따른 소비전력량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무부하 상태인 공기압축기 중 어느 하나의 모터를 제어하는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초기 기동이 개시되는 제1시간부터 무부하 운전 상태로 전환되는 제2시간까지의 제1 소비전력량과 상기 제2시간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제2 소비전력량을 각각 계산한 후 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무부하 상태인 공기압축기 중 어느 하나의 모터를 제어하는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출력단 압력값이 상기 하한값보다 낮으면 무부하 상태인 공기압축기 중 어느 하나의 밸브를 열어 부하 운전시키고, 상기 측정된 출력단 압력값이 상기 상한값보다 높으면 부하 상태인 공기압축기 중 어느 하나의 밸브를 닫아 무부하 운전시키도록 하는 제1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시스템.
  5. 모터와, 공기를 압축하여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압축부와, 리시버 탱크로 압축 공기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밸브로 구성되되, 상기 모터와 상기 압축부가 구동되는 무부하 운전과, 상기 모터와 상기 압축부가 함께 구동되고 상기 밸브가 작동하여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부하 운전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공기압축기를 통합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축기로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리시버 탱크의 출력단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전류값과 출력단 압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압축기 각각의 모터의 구동 여부와 밸브의 개방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출력단 압력값을 기설정된 상한값 및 하한값과 각각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압축기 각각의 밸브의 개방 여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초기 기동에 따른 소비전력량과 기동 직후 무부하 운전에 따른 소비전력량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무부하 상태인 공기압축기 중 어느 하나의 모터를 제어하는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초기 기동이 개시되는 제1시간부터 무부하 운전 상태로 전환되는 제2시간까지의 제1 소비전력량과 상기 제2시간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제2 소비전력량을 각각 계산한 후 이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무부하 상태인 공기압축기 중 어느 하나의 모터를 제어하는 제2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출력단 압력값이 상기 하한값보다 낮으면 무부하 상태인 공기압축기 중 어느 하나의 밸브를 열어 부하 운전시키고, 상기 측정된 출력단 압력값이 상기 상한값보다 높으면 부하 상태인 공기압축기 중 어느 하나의 밸브를 닫아 무부하 운전시키도록 하는 제1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방법.
KR1020170177842A 2017-12-22 2017-12-22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ctive KR101983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842A KR101983116B1 (ko) 2017-12-22 2017-12-22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842A KR101983116B1 (ko) 2017-12-22 2017-12-22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116B1 true KR101983116B1 (ko) 2019-05-30

Family

ID=66675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842A Active KR101983116B1 (ko) 2017-12-22 2017-12-22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1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482B1 (ko) * 2019-07-09 2020-12-23 (주)삼광이엠씨 과다 무부하운전 자동방지 기능이 구비된 압축기 운전 제어 시스템
CN112302919A (zh) * 2020-10-29 2021-02-02 新奥数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计算的多台空压机寻优控制方法及系统
CN114151314A (zh) * 2021-12-14 2022-03-08 中国核工业二四建设有限公司 一种空压机系统、控制系统及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016B1 (ko) 2001-09-18 2005-04-07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복수대의 압축기의 제어방법 및 압축기시스템
KR101167556B1 (ko) * 2011-07-22 2012-07-30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압축기 대수 제어 시스템
KR101521537B1 (ko) * 2014-10-07 2015-05-18 주식회사 에스피앤알 공기 압축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27627A (ko) 2016-05-12 2017-11-22 (주)스마트에어 공기압축기의 통합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016B1 (ko) 2001-09-18 2005-04-07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복수대의 압축기의 제어방법 및 압축기시스템
KR101167556B1 (ko) * 2011-07-22 2012-07-30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압축기 대수 제어 시스템
KR101521537B1 (ko) * 2014-10-07 2015-05-18 주식회사 에스피앤알 공기 압축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27627A (ko) 2016-05-12 2017-11-22 (주)스마트에어 공기압축기의 통합 제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482B1 (ko) * 2019-07-09 2020-12-23 (주)삼광이엠씨 과다 무부하운전 자동방지 기능이 구비된 압축기 운전 제어 시스템
CN112302919A (zh) * 2020-10-29 2021-02-02 新奥数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计算的多台空压机寻优控制方法及系统
CN112302919B (zh) * 2020-10-29 2022-09-27 新奥数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计算的多台空压机寻优控制方法及系统
CN114151314A (zh) * 2021-12-14 2022-03-08 中国核工业二四建设有限公司 一种空压机系统、控制系统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55377B1 (en) Fluid compression system and control device therefor
KR101983116B1 (ko) 다중 공기압축기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8894381B2 (en) Compressor capacity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capacity of a compressor
JP2754079B2 (ja) コンプレッサ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5816529B2 (ja) 空気圧縮装置の制御装置
JP4897414B2 (ja) 空気圧縮装置の制御装置
US6287083B1 (en) Compressed air production facility
US11773855B2 (en) Gas compressor
EP3779191A1 (en) Air compressor
JP2006522252A (ja) 複数の圧縮機を備えた圧縮空気装置を制御する方法、それに使用する制御ボックス、および前記方法を使用する圧縮空気装置
JP6704247B2 (ja) 空圧システム運転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0053733A (ja) 空気圧縮機運転台数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014040786A (ja) 空気圧縮機
JP6997648B2 (ja) 圧縮機システム
CN114992815A (zh) 一种空调器及其控制方法、装置和可读存储介质
JP2004340025A (ja) 気体圧縮機集合システムにおけるメンテナンス実施時期の管理方法
JPH11324963A (ja) スクリュー圧縮機の圧力制御方法
JP5444264B2 (ja) 気体圧縮装置の制御装置
JP4742862B2 (ja) インバータ駆動容積形圧縮機の容量制御装置及び方法
KR10038865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5013338A (zh) 一种前级真空泵系统
JP2000320467A (ja) 空気圧縮機
CN114607796B (zh) 用于压缩机的电磁阀、压缩机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JP2017203463A (ja) 流体圧縮システムまたはその制御装置
KR20170127627A (ko) 공기압축기의 통합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