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82837B1 - 수크랄페이트의 용해 방법,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하는 액상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크랄페이트의 용해 방법,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하는 액상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837B1
KR101982837B1 KR1020170012041A KR20170012041A KR101982837B1 KR 101982837 B1 KR101982837 B1 KR 101982837B1 KR 1020170012041 A KR1020170012041 A KR 1020170012041A KR 20170012041 A KR20170012041 A KR 20170012041A KR 101982837 B1 KR101982837 B1 KR 101982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ucralfate
parts
powder
chloride 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7694A (ko
Inventor
김상준
Original Assignee
(주)세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레코 filed Critical (주)세레코
Priority to KR1020170012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83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7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83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크랄페이트의 용해 방법,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하는 액상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은, 증류수에 수트랄페이트 분말 및 염화이온 함유 염을 첨가하고 분산시켜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분산용액에 구연산을 첨가하여 투명용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크랄페이트의 용해 방법,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하는 액상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MELTING METHOD FOR SUCRALFATE, LIQUID COSMETICS INVOLVING SUCRALF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본 발명은, 수크랄페이트의 용해 방법,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하는 액상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크랄페이트(Sucralfate, Aluminum sucrose octasulfate)는 1981년 제산제로의 사용으로 처음 개발된 의약품이며, 위에 통증을 느낄 때 섭취하는 제산제의 성분이기도 하다. 수크랄페이트의 염 부분이 위벽에 있는 피브로인(fibroin)과 결합하여 하나의 막을 형성하고, 상기 막이 위벽을 코팅하여 위산, 담즙 등으로부터 위를 보호함으로써 위의 통증을 완화시킴으로써 수크랄페이트가 제산제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크랄페이트 염에 의해 세포 재생이 증가하여 손상된 위벽이 다시 재생될 수 있다.
수크랄페이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포 재생 효과도 있어 화장료의 원료로도 쓰이는데, 구체적으로 피부 치료를 받은 후 자극 받아 연약해진 피부를 비롯해 트러블로 민감해진 피부, 갈라진 피부, 거칠어진 피부, 아기 엉덩이 발진, 침 독으로 인한 입술 주위 상처를 진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등에 사용 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화상 연고로도 개발되어 왔으며 이는 혈류를 개선 시켜주고, 피부조직에 있는 손상된 점막을 치유해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화상에 의한 피부조직 손상을 개선시켜주고, 피부자생력을 향상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다만, 상기 수크랄페이트는 용해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어, 현재로서는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는 크림제형으로 제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065845호(1993.09.23.등록)는 황산화 이당류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수크랄페이트의 화장 용도 및 입자 크기를 조절하여 수크랄페이트 분말을 만드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전술한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0065845호(1993.09.23.등록) : 황산화이당류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크랄페이트를 녹여 투명 용액을 제조하는 용해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크랄페이트가 포함되어 피부 항염 및 재생 기능이 있는 액상 화장료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크랄페이트 용액을 이용한 액상 화장료의 제조 방법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크랄페이트 용해방법은,
증류수에 수트랄페이트 분말 및 염화이온 함유 염을 첨가하고 분산시켜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분산용액에 구연산을 첨가하여 투명용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투명용액의 pH를 5 내지 7로 조절하는 제3단계;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염화이온 함유 염은,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는, 증류수 100중량부에 대해 수크랄페이트 분말 0.7 내지 1.2 중량부로 혼합하고, 상기 수크랄페이트 분말 1중량부에 대해 염화이온 함유 염을 0.2 내지 5 중량부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수크랄페이트 분말 1중량부에 대해 구연산을 0.2 내지 3 중량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상 화장료에 있어서,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한다.
증류수에 수크랄페이트 분말과 염화이온 함유 염을 첨가하고 분산시켜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분산용액에 구연산을 첨가하여 투명용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로 제조된다.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된 투명용액의 pH를 5 내지 7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상 화장료는 스킨, 에센스, 미스트 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화이온 함유 염은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계는 증류수 100중량부에 대해 수크랄페이트 분말 0.7 내지 1.2 중량부로 혼합하고, 상기 수크랄페이트분말 1중량부에 대해 염화이온 함유 염 0.2 내지 5 중량부로 첨가하여 분산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계는, 수크랄페이트 분말 1중량부에 대해 구연산을 0.2 내지 3 중량부로 첨가하여 용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 화장료 제조방법은,
증류수에 수트랄페이트 분말 및 염화이온 함유 염을 첨가하고 분산시켜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분산용액에 구연산을 첨가하여 투명용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 및 상기 투명용액의 pH를 5 내지 7로 조절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3단계 다음으로는, pH가 조절된 pH조절용액에 마취현 또는 약쑥을 혼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포함시키는 제4단계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 다음으로는, pH가 조절된 pH조절용액에 천연계면활성제인 레시틴, 라놀린, 사포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선택된 첨가제를 첨가한 후 균질화시키는 제5단계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계는, 증류수 100중량부에 대해 수크랄페이트 분말 0.7 내지 1.2 중량부로 혼합하고, 상기 수크랄페이트분말 1중량부에 대해 염화이온 함유 염 0.2 내지 5 중량부로 첨가하여 분산시키고; 상기 제2단계는, 수크랄페이트 분말 1중량부에 대해 구연산을 0.2 내지 3 중량부로 첨가하여 용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화이온 함유 염은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수크랄페이트의 용해 방법,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하는 액상 화장료 및 그 제조 방법은,
수크랄페이트를 용해시켜 투명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수크랄페이트 용해방법에 의해 수크랄페이트가 포함된 투명의 액상화장료 제조방법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수크랄페이트가 투명용액으로 용해되므로 액상화장료에 첨가되어 사용할 수 있어, 액상화장료 사용으로도 수크랄페이트가 갖는 피부항염 및 재생효과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용해된 수크랄페이트 용액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비교예 1에 따라 폴리머가 생성된 경우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비교예 2에 따라 불용성 수크랄페이트가 생성된 경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증류수에 수트랄페이트 분말 및 염화이온 함유 염을 첨가하고 분산시켜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분산용액에 구연산을 첨가하여 투명용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수크랄페이트의 용해 방법,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하는 액상 화장료 및 상기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하는 액상 화장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크랄페이트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1과 같으며 피부 항염 및 재생 기능이 탁월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09001990-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수크랄페이트는 구조적으로 수크로스 옥타설페이트(sucrose octasulfate) 염 부분과 알루미늄(aluminum) 염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재생 효과를 주로 내는 부분은 수크로스 옥타설페이트 염 부분이며, 알루미늄 염 부분은 피브로인(fibroin) 계열과 결합하여 막을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수크랄페이트는 본래 분말(파우더)상태로 존재하나, 물과 만나면 엉킨 상태 또는 폴리머가 되거나 제형이 풀어지는 등 용해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수크랄페이트를 투명 용액으로 용해하는 방법,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하는 액상 화장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 한다.
수크랄페이트의 용해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증류수에 수크랄페이트 분말 및 염화이온 함유 염을 첨가하고 분산시켜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분산용액에 구연산을 첨가하여 투명용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크랄페이트에 염화 이온 함유 염을 첨가하는 제1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구연산을 첨가하는 제2단계를 수행할 경우, 흰 색의 점도가 있는 폴리머가 생성되어 불용성을 띄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염화이온 함유 염을 혼합하여 분산시키는 제1단계는 폴리머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하며, 분산시키는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교반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화이온 함유 염은 이온화되어 염소 이온을 낼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 일 수 있다.
혼합비로는, 증류수 100중량부에 대해 수크랄페이트 분말 0.7 내지 1.2 중량부로 혼합하고, 혼합되는 수크랄페이트 분말 1중량부에 대해 염화이온 함유 염을 0.2 중량부 이상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염화이온 함유 염은 0.2중량부 이상 혼합한다면 폴리머 생성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상한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염화이온 함유 염의 혼합량이 과도할 경우 사용목적에 따라 다른 성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화장료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민감한 피부에 접촉되므로 피부에 자극되지 않는 5중량부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염화이온 함유 염을 5중량부 이상으로 혼합하여도 폴리머 생성 방지 효과의 증진정도가 미비하였다. 따라서, 상기 염화이온 함유 염은 수크랄페이트 1중량부 대비 0.2 내지 5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수크랄페이트 용해 방법의 제2단계에서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로는 구연산을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 첨가되는 구연산은, 유리 산 또는 염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통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연산은 다양한 식물의 씨 또는 과즙 속에 유리 상태로 존재하는 구연산을 추출하여 제조된다. 또한, 구연산은 곰팡이인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를 이용한 표면 발효 방식(surface fermentation process) 또는 액내 발효 방식(submerged fermentation process)에 의해서도 제조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방식을 포함한 다양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연산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제2단계에서 첨가되는 구연산은 용해도에 영향을 주는바, 제1단계에서 생성된 분산용액에 구연산을 첨가하면 투명용액이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수크랄페이트와 염화이온 함유 염을 반응시켜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이후에 구연산첨가에 의해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제2단계를 수행하여야 분산용액의 용해도 증가로 투명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첨가되는 구연산의 량은 상기 수크랄페이트 1 중량부에 대해 구연산을 0.2 중량부 이상 첨가하면 용해도 증가로 투명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3중량부 이상으로 혼합하면 용해도 증진정도가 거의 없고, 본 발명과 같이 피부에 사용하는 화장료로 사용할 경우 고농도에 의한 피부자극으로 트러블이 발생될 수 있고 이를 중화시키기 위한 추가로 투입되는 중화제의 용량이 증가되어 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제2단계에서의 구연산은 수크랄페이트 1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3 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수크랄페이트 용해방법에서는 수크랄페이트가 용해된 투명용액이 화장료로 사용되기 위해서 인체에 무해한 정도로 pH 조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크랄페이트 용해방법은 투명용액을 제조한 제2단계 다음으로 pH를 조절하는 단계인 제3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는 투명용액의 pH를 5 내지 7로 조절하는 것으로, 투명용액이 산성을 띄기 때문에 염기성물질을 사용하여 pH를 조절하며,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pH조절이 이루어지게 한다.
액상화장료
본 발명은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하는 액상화장료를 제공한다.
상기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하는 액상화장료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스킨, 에센스, 미스트 등 일 수 있고, 기능적으로는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등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시된 수크랄페이트의 용해 방법에 따라 증류수에 수크랄페이트 분말과 염화이온 함유 염을 첨가하고 분산시켜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분산용액에 구연산을 첨가하여 투명용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를 거쳐 용해된 수크랄페이트 용액을 포함하는 액상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체에 무해하도록 하기 위해 pH를 5 내지 7로 조절하는 제3단계를 통해 액상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상 화장료에 있어서, 증류수 100중량부에 대해 수크랄페이트 분말 0.7 내지 1.2 중량부로 혼합하고, 상기 수크랄페이트분말 1중량부에 대해 염화이온 함유 염 0.2 내지 5 중량부로 첨가하여 분산시키는 제1단계와; 제1단계에서 첨가된 수크랄페이트 분말 1중량부에 대해 구연산을 0.2 내지 3 중량부로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제2단계; 및/또는 pH를 5 내지 7로 조절하는 제3단계;를 통해 수크랄페이트가 포함된 액상화장료를 제품화할 수 있다.
상기 염화이온 함유 염을 0.2 중량부 이하로 혼합하면 폴리머가 생성되며, 5중량부 이상으로 혼합하면 폴리머생성 방지효과의 증진정도가 미비하면서 피부자극도가 높아지므로, 상기 범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염화이온 함유 염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대표적으로는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을 사용하여, 피부 항염 및 재생 기능을 갖는 수크랄페이트가 포함된 액상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연산은 앞서 수크랄페이트 용해방법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수크랄페이트 1 중량부에 대해 구연산을 0.2 중량부 이상으로 혼합되어야 용해도 증가로 투명용액을 제조할 수 있고, 3중량부 이상 혼합시에는 용해도 증진정도가 거의 없고 화장료로 사용시 피부트러블 문제나 pH조절제의 투입량이 증가되어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상기 범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증류수에 대해 수크랄페이트분말, 염화이온 함유 염 및 구연산의 혼합비율은, 구연산의 혼합량과 pH조절제인 수산화나트륨의 투입량은 최소화하면서 수크랄페이트의 혼합량을 최대로 하여 투명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비율이다. 따라서 수크랄페이트를 더 첨가하면 폴리머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염화이온 함유 염도 더 첨가하여야 하므로 점도가 증가되고, 투명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구연산의 혼합량도 증가되고 이에 따라 산성도가 증가되므로 중화를 위한 pH조절제의 투입량도 증가해야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비율로 제조하여야 액상 화장료로의 제품화 및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화장료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화장료 제조방법은, 증류수에 수트랄페이트 분말 및 염화이온 함유 염을 첨가하고 분산시켜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분산용액에 구연산을 첨가하여 투명용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 및 상기 투명용액의 pH를 5 내지 7로 조절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단계는, 증류수 100중량부에 대해 수크랄페이트 분말 0.7 내지 1.2 중량부로 혼합하고, 상기 수크랄페이트분말 1중량부에 대해 염화이온 함유 염 0.2 내지 5 중량부로 첨가하여 분산시켜 분산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수크랄페이트 분말은 0.7 중량부 이내로 혼합되면 수크랄페이트의 항염 피부재생 효과가 미비해지고, 1.2중량부 이상을 혼합되면 용해되지 않은 미용해물에 의해 점도가 증가되어 액상 화장료의 다양한 제형에 대한 사용제한과 투명용액으로 제조하기 위한 첨가물질의 투입량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화이온 함유 염은, 수크랄페이트 분말 1중량부에 대해 0.2 중량부 이하로 혼합하면 폴리머생성 방지효율이 낮아지며, 5중량부 이상으로 혼합하면 폴리머생성 방지효과의 증진정도가 미비하면서 피부자극도가 높아지므로, 상기 범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화이온 함유 염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대표적으로는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2단계는, 수크랄페이트 분말 1중량부에 대해 구연산을 0.2 내지 3 중량부로 첨가하여 용해시켜 투명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구연산은 앞서 수크랄페이트 용해방법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수크랄페이트 1 중량부에 대해 구연산을 0.2 중량부 이상으로 혼합되어야 용해도 증가로 투명용액을 제조할 수 있고, 3중량부 이상 혼합시에는 용해도 증진정도가 거의 없고 화장료로 사용시 피부트러블 문제나 pH조절제의 투입량이 증가되어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상기 범위로 혼합하여 투명용액을 제조해 액상화장료로의 제품화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장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크랄페이트는 상기 구연산을 0.2 내지 3 중량부로 첨가하여 용해되는 액상 화장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수크랄페이트 분산 용액을 가장 효과적으로 용해시켜 투명 용액을 만들 수 있으므로 액상 화장료의 제품화가 용이하다.
상기 제3단계는, 피부에 접촉하는 액상 화장료로 제조하기 위해 pH조절제인 수산화나트륨을 투입하여 pH를 조절한다.
상기 제3단계 다음으로는, pH가 조절된 pH조절용액에 마취현 또는 약쑥을 혼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포함시키는 제4단계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4단계는 마취현 또는 약쑥에 포함된 항염효과를 증대시키는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4단계에서는 마취현 또는 약쑥을 세척한 다음 균일하게 분쇄한다. 분쇄된 고형물은 pH가 조절된 투명용액인 pH조절용액 100중량부에 대해 3~5중량부을 혼합하여 50℃의 온도조건에서 10시간동안 온탕하여 유효성분이 추출되도록 하였고, 온탕이 완료되면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여과된 투명용액을 취하여 액상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마취현 또는 약쑥의 유효성분 추출은 상기 방식 이외에 에탄올에 의한 추출한 다음 추출용액을 혼합하는 방법으로 유효성분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 다음으로는, pH가 조절된 pH조절용액에 천연계면활성제인 레시틴, 라놀린, 사포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선택된 첨가제를 첨가한 후 균질화시키는 제5단계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화학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피부에 접촉하는 화장료를 제조하는 것이므로, 피부 자극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천연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균질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액상화장료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수크랄페이트 액상 화장료 제조방법에 의해 증류수 100중량부에 수크랄페이트 1중량부를 첨가하고, 염화이온 함유 염으로는 염화나트륨을 사용하였고 첨가량을 변경하여 혼합하였다. 또한, 제2단계에서는 구연산의 첨가량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혼합하였다. 액상화장료의 조성은 하기 표1과 같은 조성비에 의해 제조되었고,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pH를 6으로 설정하여 최종 액상화장료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7009001990-pat00002
실험예1 - 용해도 평가
상기 실시예1 내지 9와 비교예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100ml를 취하여 유리병에 담고, 실온(25℃)에서 4주 보관과 냉장(5℃)에서 4주 보관을 각각 수행하여 액상의 투명 여부와 석출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용해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투명여부 평가기준>
투명하다 : ○, 약간 탁하다 : △, 탁하다 : ×
<석출여부 평가기준>
이상없음 : ○, 약간 석출 : △, 석출 : ×
Figure 112017009001990-pat00003
상기 표 2를 참조한 바와같이 실시예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4는 모두 실온과 냉장 조건에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실시예1 내지 9는 투명도가 높았고, 석출되는 것이 없었다.
도 1은 실시예 3의 액상화장료를 담은 유리병(우측)과 이를 비이커로 옮겨서 담고 상부에서 찍은 사진(좌측)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폴리머 형태로 뭉친 석출형태가 없으면서 투명한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1은 염화이온 함유 염을 혼합하지 않아 수크랄페이트가 분산되지 않고 폴리머 형태로 석출되었다. 따라서, 석출된 부분을 제외한 다른 용액은 투명하였다.
도 2는 비교예1의 액상화장료를 비이커로 담은 사진으로 좌측사진을 본 바와같이 수크랄페이트가 분산되지 않고 덩어리형태로 석출됨을 알 수 있다.
비교예2는 수크랄페이트가 폴리머 형태로 석출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구연산을 혼합하지 않아 용해율이 낮아 수크랄페이트가 분산형태를 유지하므로 투명도가 약간 탁한 상태로 나타났다.
도 3은 비교예2의 액상화장료를 비이커에 담은 사진으로 수크랄페이트가 용해되지 않고 분산되어 액상이 탁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비교예3은 염화이온 함유 염인 염화나트륨의 혼합량이 적어서 증류수에 혼합된 수크랄페이트 일부가 폴리머로 형성되어 석출되었다. 구연산을 충분하게 투입하여도 석출된 폴리머는 용해시키지 못하여 액상화장료가 약간 탁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비교예4는 수크랄페이트가 폴리머 형태로 석출되지 않았으나, 구연산이 혼합량이 적어서 분산된 수크랄페이트를 전량 용해시키지 못해 액상화장료가 약간 탁한 상태를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7과 9에서와 같이 염화나트륨 또는 구연산의 혼합량을 과하게 투입한 액상화장료의 경우에도 다른 실시예와 같이 투명정도와 석출여부가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제조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과도하게 혼합되지 않는 범위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6)

  1. 증류수에 수트랄페이트 분말 및 염화이온 함유 염을 첨가하고 분산시켜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분산용액에 구연산을 첨가하여 투명용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단계는, 증류수 100중량부에 대해 수크랄페이트 분말 0.7 내지 1.2 중량부로 혼합하고, 상기 수크랄페이트 분말 1중량부에 대해 염화이온 함유 염을 0.2 내지 5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크랄페이트의 용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용액의 pH를 5 내지 7로 조절하는 제3단계;가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크랄페이트의 용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이온 함유 염은,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크랄페이트의 용해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수크랄페이트 분말 1중량부에 대해 구연산을 0.2 내지 3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크랄페이트의 용해방법.
  6.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하는 액상 화장료에 있어서,
    증류수에 수크랄페이트 분말과 염화이온 함유 염을 첨가하고 분산시켜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분산용액에 구연산을 첨가하여 투명용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로 제조되되,
    상기 제1단계는 증류수 100중량부에 대해 수크랄페이트 분말 0.7 내지 1.2 중량부로 혼합하고, 상기 수크랄페이트분말 1중량부에 대해 염화이온 함유 염 0.2 내지 5 중량부로 첨가하여 분산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계는, 수크랄페이트 분말 1중량부에 대해 구연산을 0.2 내지 3 중량부로 첨가하여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된 투명용액의 pH를 5 내지 7로 조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화장료는 스킨, 에센스, 미스트 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이온 함유 염은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
  11. 삭제
  12. 증류수에 수트랄페이트 분말 및 염화이온 함유 염을 첨가하고 분산시켜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분산용액에 구연산을 첨가하여 투명용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 및 상기 투명용액의 pH를 5 내지 7로 조절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단계는, 증류수 100중량부에 대해 수크랄페이트 분말 0.7 내지 1.2 중량부로 혼합하고, 상기 수크랄페이트분말 1중량부에 대해 염화이온 함유 염 0.2 내지 5 중량부로 첨가하여 분산시키고,
    상기 제2단계는, 수크랄페이트 분말 1중량부에 대해 구연산을 0.2 내지 3 중량부로 첨가하여 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다음으로는, pH가 조절된 pH조절용액에 마취현 또는 약쑥을 혼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포함시키는 제4단계가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다음으로는, pH가 조절된 pH조절용액에 천연계면활성제인 레시틴, 라놀린, 사포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선택된 첨가제를 첨가한 후 균질화시키는 제5단계가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 제조방법.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이온 함유 염은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 제조방법.
KR1020170012041A 2017-01-25 2017-01-25 수크랄페이트의 용해 방법,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하는 액상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1982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041A KR101982837B1 (ko) 2017-01-25 2017-01-25 수크랄페이트의 용해 방법,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하는 액상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041A KR101982837B1 (ko) 2017-01-25 2017-01-25 수크랄페이트의 용해 방법,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하는 액상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694A KR20180087694A (ko) 2018-08-02
KR101982837B1 true KR101982837B1 (ko) 2019-05-31

Family

ID=6325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041A Active KR101982837B1 (ko) 2017-01-25 2017-01-25 수크랄페이트의 용해 방법,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하는 액상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242B1 (ko) * 2021-10-19 2022-02-17 유창우 수크랄페이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64889A (ko) 2023-11-03 2025-05-12 (주)코이즈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4230A1 (en) * 2001-05-11 2007-09-27 Pierre Fabre Dermo-Cosmetique Cosmetic composition based on zinc and copper sulphates and sucralphate
JP2016222545A (ja) * 2015-05-27 2016-12-28 ライオン株式会社 スクラルファート含有液状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4230A1 (en) * 2001-05-11 2007-09-27 Pierre Fabre Dermo-Cosmetique Cosmetic composition based on zinc and copper sulphates and sucralphate
JP2016222545A (ja) * 2015-05-27 2016-12-28 ライオン株式会社 スクラルファート含有液状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242B1 (ko) * 2021-10-19 2022-02-17 유창우 수크랄페이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694A (ko)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46606B (zh) 一种水包油祛妊娠纹霜及其制备方法
CN104622710B (zh) 水杨酸和脱乙酰壳多糖复配组合物的制备与应用
CN105997572B (zh) 一种含纳米石墨烯洗面奶及其制备方法
CN112691049B (zh) 一种含透明质酸锌的香波组合物
KR101507883B1 (ko) 세라마이드 액정에 의한 크리스탈 외관을 가지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78198B1 (ko) 미녹시딜을 포함하는 겔 조성물
KR101982837B1 (ko) 수크랄페이트의 용해 방법,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하는 액상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EP1441755A2 (de) Topikale verwendung von cytokinen und/oder chemokinen zur behandlung von viralen oder mykotischen hauterkrankungen oder tumorerkrankungen
CN113908097A (zh) 一种祛痘组合物及其应用
EP1226822B1 (en) Promoter for production of nitric oxide or nitric oxide synthase, and cosmetic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RU2296571C1 (ru) Ранозаживляющий состав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EP0949919A1 (en) A process for stabilizing levogyre ascorbic acid (laa) and stable laa compositions
CN102247374B (zh) 含有四氢嘧啶及其衍生物的治疗皮肤创伤的药物
CN113143961B (zh) 一种抗菌保湿复合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50121409A (ko) 아스코빅애씨드 2-글루코사이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및 안정화된 아스코빅애씨드 2-글루코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28799B1 (ko) 에탄올과 알칼리성 아미노산을 이용한 난용성 유효 약리성분의 가용화 균질용액제제의 제조방법
CN107485598A (zh) 一种自增稠珍珠化妆水及其制备方法
JPH09315987A (ja) 泡盛の抗アレルギー有効成分としての利用
KR101503805B1 (ko) 투명하고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88798B1 (ko) 안정화된 l-아스코빌산을 함유하는 수-유-수 다중에멀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11061A (ko) 상처 치료용 조성물
JPS63297322A (ja) グアイアズレンスルホン酸ナトリウム配合の安定な点眼剤の製造法
CN105663605A (zh) 一种对皮肤、粘膜有保护健康作用的大蒜乳剂凝胶制剂
CN112120964B (zh) 高含量活性剂的水包水组合物
CN103211757A (zh) 一种依达拉奉注射液及其配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