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258B1 - 오브젝트 검출 방법 및 오브젝트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오브젝트 검출 방법 및 오브젝트 검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2258B1 KR101982258B1 KR1020140124733A KR20140124733A KR101982258B1 KR 101982258 B1 KR101982258 B1 KR 101982258B1 KR 1020140124733 A KR1020140124733 A KR 1020140124733A KR 20140124733 A KR20140124733 A KR 20140124733A KR 101982258 B1 KR101982258 B1 KR 1019822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regression tree
- size
- motion
- in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T7/62—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of area, perimeter, diameter or volum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3—Clustering techniques
- G06F18/231—Hierarchical techniques, i.e. dividing or merging pattern sets so as to obtain a dendrogra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15—Motion-based segment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5—Detecting or recognising potential candidate objects based on visual cues, e.g. shap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62—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clustering, e.g. of similar faces in social networks
- G06V10/7625—Hierarchical techniques, i.e. dividing or merging patterns to obtain a tree-like representation; Dendogra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processing or recognition method
- G06V30/248—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processing or recognition method involving plural approaches, e.g. verification by template match; Resolving confusion among similar patterns, e.g. "O" versus "Q"
- G06V30/2504—Coarse or fine approaches, e.g. resolution of ambiguities or multiscale approach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16—Hierarchical, coarse-to-fine, multiscale or multiresolution image processing; Pyramid transfor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1—Training; Lear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ome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mage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회귀 트리를 생성하기 위해 모션 히스토리 이미지를 얻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션 히스토리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귀 트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입력된 새로운 이미지의 움직이는 객체 정보를 회귀 트리에 입력하여 회귀트리를 순회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움직이는 객체의 크기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상기와 같은 오브젝트 검출 방법의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10 : 회귀 트리 생성부 120 : 오브젝트 크기 판단부
Claims (18)
- 두 개 이상의 이미지에 대응되는 픽셀 간 차이값을 이용하여 움직임 픽셀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픽셀에 대한 정보를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분류하여 회귀 트리(regression tree)를 생성하는 단계;
새로운 이미지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새로운 이미지에 포함된 움직이는 객체의 정보를 상기 회귀 트리에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회귀 트리의 결과값을 기초로 상기 새로운 이미지에 포함된 사람의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검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귀 트리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 픽셀에 대한 정보를 외부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움직임 픽셀에 대한 정보를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회귀 트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검출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픽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움직임 픽셀이 사람을 나타내는 것인지에 대한 정보, 상기 움직임 픽셀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움직이는 객체의 크기(siz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검출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픽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회귀 트리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움직임 픽셀에 대한 정보를 갖는 노드를 배치하여 상기 회귀 트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회귀 트리의 리프 노드가 갖는 움직임 픽셀에 대한 정보들이 상호 유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파라미터와 다른 제2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회귀 트리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검출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최종 회귀 트리의 리프노드는, 움직이는 개체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검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새로운 이미지에 포함된 움직이는 객체의 정보를 상기 회귀 트리에 입력하는 단계는,
복수의 새로운 이미지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복수의 새로운 이미지의 대응되는 픽셀 간 차이값을 이용하여 움직임 픽셀을 식별하는 단계;및
상기 식별된 움직임 픽셀에 대한 정보를 상기 회귀 트리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검출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움직임 픽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식별된 움직임 픽셀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검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이미지에 포함된 사람의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회귀 트리의 결과값을 기초로 상기 입력된 새로운 이미지에 포함된 움직이는 객체가 사람인지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움직이는 객체가 사람이면, 상기 움직이는 객체의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검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크기에 따라 검출 윈도우 스케일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검출 방법. - 오브젝트 검출 장치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이미지의 대응되는 픽셀 간 차이값을 이용하여 움직임 픽셀을 식별하고 상기 움직임 픽셀에 대한 정보를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분류하여 회귀 트리(regression tree)를 생성하는 회귀 트리 생성부; 및
새로운 이미지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새로운 이미지에 포함된 움직이는 객체의 정보를 상기 회귀 트리에 입력하고, 상기 회귀 트리의 결과값을 기초로 상기 새로운 이미지에 포함된 사람의 크기를 판단하는 오브젝트 크기 판단부;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귀 트리 생성부는,
상기 움직임 픽셀에 대한 정보가 외부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움직임 픽셀에 대한 정보를 기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회귀 트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픽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움직임 픽셀이 사람을 나타내는 것인지에 대한 정보, 상기 움직임 픽셀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움직이는 객체의 크기(siz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귀 트리 생성부는,
제1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움직임 픽셀에 대한 정보를 갖는 노드를 배치하여 상기 회귀 트리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회귀 트리의 리프 노드가 갖는 움직임 픽셀에 대한 정보들이 상호 유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파라미터와 다른 제2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회귀 트리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최종 회귀 트리의 리프노드는, 움직이는 개체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크기 판단부는,
복수의 새로운 이미지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복수의 새로운 이미지의 대응되는 픽셀 간 차이값을 이용하여 움직임 픽셀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움직임 픽셀에 대한 정보를 상기 회귀 트리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움직임 픽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식별된 움직임 픽셀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크기 판단부는,
상기 회귀 트리의 결과값을 기초로 상기 입력된 새로운 이미지에 포함된 움직이는 객체가 사람인지 판단하고, 상기 움직이는 객체가 사람이면, 상기 움직이는 객체의 크기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오브젝트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 크기 판단부는,
상기 사람의 크기에 따라 검출 윈도우 스케일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4733A KR101982258B1 (ko) | 2014-09-19 | 2014-09-19 | 오브젝트 검출 방법 및 오브젝트 검출 장치 |
US14/857,099 US9824462B2 (en) | 2014-09-19 | 2015-09-17 | Method for detecting object and object detec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4733A KR101982258B1 (ko) | 2014-09-19 | 2014-09-19 | 오브젝트 검출 방법 및 오브젝트 검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5104A KR20160035104A (ko) | 2016-03-31 |
KR101982258B1 true KR101982258B1 (ko) | 2019-05-24 |
Family
ID=5552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4733A Expired - Fee Related KR101982258B1 (ko) | 2014-09-19 | 2014-09-19 | 오브젝트 검출 방법 및 오브젝트 검출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824462B2 (ko) |
KR (1) | KR10198225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3519B1 (ko) * | 2020-06-04 | 2020-12-21 | 장근직 | 소음 및 진동 감쇄 기능이 포함된 건축물 철거를 위한 외형 구조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066941A (zh) * | 2017-03-01 | 2017-08-18 | 桂林电子科技大学 | 一种人脸识别方法和系统 |
US10628961B2 (en) * | 2017-10-13 | 2020-04-21 | Qualcomm Incorporated | Object tracking for neural network systems |
KR102115199B1 (ko) * | 2018-08-31 | 2020-05-26 | 주식회사 버넥트 | 가상현실 기반의 산업현장 시뮬레이션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7089B1 (ko) | 2011-10-12 | 2013-02-26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랜덤 포레스트 분류 기법을 이용한 산불연기 감지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1933B1 (ko) * | 2003-11-18 | 2006-07-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람검출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사생활 보호방법 및 시스템 |
US20090041297A1 (en) | 2005-05-31 | 2009-02-12 | Objectvideo, Inc. | Human detection and tracking for security applications |
EP2689413A4 (en) | 2011-03-25 | 2015-07-22 | Oblong Ind Inc | QUICK FINGER FINGER DETECTION TO INITIALIZE A VISION BASED HAND TRACER |
KR101724735B1 (ko) | 2011-10-05 | 2017-04-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지면 추정 및 물체 탐지 시스템 |
KR101282742B1 (ko) | 2011-11-11 | 2013-07-05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3차원 영상을 이용한 객체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
CN103177269B (zh) * | 2011-12-23 | 2017-12-15 |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 用于估计对象姿态的设备和方法 |
KR101919831B1 (ko) * | 2012-01-11 | 2018-11-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오브젝트 인식 장치, 분류 트리 학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JP6074143B2 (ja) | 2012-01-30 | 2017-02-01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CN103514453B (zh) | 2012-06-15 | 2017-07-11 | 富士通株式会社 | 对象识别设备和方法 |
US9852511B2 (en) * | 2013-01-22 | 2017-12-26 | Qualcomm Incoporated |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and detecting a target object |
US10474921B2 (en) * | 2013-06-14 | 2019-11-12 | Qualcomm Incorporated | Tracker assisted image capture |
-
2014
- 2014-09-19 KR KR1020140124733A patent/KR101982258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
- 2015-09-17 US US14/857,099 patent/US982446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7089B1 (ko) | 2011-10-12 | 2013-02-26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랜덤 포레스트 분류 기법을 이용한 산불연기 감지 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Schulter et al. Accurate object detection with joint classification regression random forests. CVPR, 2014년 6월, pp. 923-930. 1부.*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3519B1 (ko) * | 2020-06-04 | 2020-12-21 | 장근직 | 소음 및 진동 감쇄 기능이 포함된 건축물 철거를 위한 외형 구조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824462B2 (en) | 2017-11-21 |
US20160086337A1 (en) | 2016-03-24 |
KR20160035104A (ko) | 2016-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077355A1 (en) | Tracker assisted image capture | |
US12154280B2 (en) | Determining multiple camera positions from multiple videos | |
RU2607774C2 (ru) |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в системе захвата изображ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и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 |
US9652857B2 (en) | Object detection apparatus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 |
KR101747216B1 (ko) | 표적 추출 장치와 그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 |
KR20160033800A (ko) | 카운팅 방법 및 카운팅 장치 | |
KR102199094B1 (ko) | 관심객체 검출을 위한 관심영역 학습장치 및 방법 | |
EP3093822B1 (en) | Displaying a target object imaged in a moving picture | |
KR101982258B1 (ko) | 오브젝트 검출 방법 및 오브젝트 검출 장치 | |
US11776137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motion during 3D data reconstruction | |
CN105308618A (zh) | 借助于并行检测和跟踪和/或分组特征运动移位跟踪的人脸识别 | |
US20190042869A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JP2012217165A (ja) | ビデオにおけるカメラ動きの型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装置 | |
CN108875538B (zh) | 属性检测方法、装置和系统及存储介质 | |
US8218823B2 (en) | Determining main objects using range information | |
JP4875564B2 (ja) | フリッカ補正装置及びフリッカ補正方法 | |
US11527091B2 (en) | Analyz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KR20210025175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 |
US10372750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 |
US2018015096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object size | |
KR102496462B1 (ko) | 비디오에서 키프레임 추출을 위한 알고리즘 | |
US10346680B2 (en) |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etermining a posture of an object | |
JP6563964B2 (ja) | 映像生成装置、映像生成方法、プログラム | |
GB2553103A (en) | Method of angle detection | |
CN111967403A (zh) | 视频移动区域确定方法、装置及电子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9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9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