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81531B1 - 터치 스크린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531B1
KR101981531B1 KR1020120116811A KR20120116811A KR101981531B1 KR 101981531 B1 KR101981531 B1 KR 101981531B1 KR 1020120116811 A KR1020120116811 A KR 1020120116811A KR 20120116811 A KR20120116811 A KR 20120116811A KR 101981531 B1 KR101981531 B1 KR 101981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ing
numbered
routing wirings
wirings
electr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0418A (ko
Inventor
이재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6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531B1/ko
Priority to EP13186937.2A priority patent/EP2722740A3/en
Priority to US14/049,586 priority patent/US9240297B2/en
Priority to CN201310473376.XA priority patent/CN103777809B/zh
Publication of KR20140050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53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젤(bezel)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라우팅 배선(routing wire) 구조를 갖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 터치영역 및 라우팅 배선영역을 구비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터치영역에 형성되며,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전극열들; 상기 기판의 터치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전극열들; 상기 기판의 라우팅 배선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의 일단부들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 상기 기판의 라우팅 배선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열의 일단부들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 중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젤(bezel)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라우팅 배선(routing wire) 구조를 갖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조이스틱,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들이 사용자와 가전기기 또는 각종 정보통신기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사용법을 익혀야 하고 공간을 차지하는 등의 불편을 야기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따라서, 편리하면서도 간단하고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입력장치에 대한 요구가 날로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사용자가 표시장치를 보면서 손이나 펜 등으로 화면을 직접 터치하거나 근접시켜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이 제안되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된 부분을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상판 또는 하판에 금속 전극을 형성하여 직류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터치된 위치를 저항에 따른 전압 구배(voltage gradient)로 판단하는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도전막에 등전위를 형성하고 터치에 따른 상하판의 전압 변화가 일어난 위치를 감지하여 터치된 부분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자펜이 도전막을 터치함에 따라 유도되는 LC값을 읽어들여 터치된 부분을 감지하는 전자 유도 방식(electromagnetic type) 등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광학 방식, 초음파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터치 스크린 패널들은 터치 인식을 위한 터치영역과, 터치 영역에 형성된 터치전극들과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 터치영역에 외측에 형성된 라우팅 배선영역 및 패드영역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라우팅 배선영역과 패드영역을 베젤영역이라 정의한다. 이러한 베젤영역은 터치영역이 커서 라우팅 배선들을 연결하는 채널 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라우팅 배선의 폭이 클수록 증가하게 된다.
이하, 도 1a 내지 도 1b를 참조하여 종래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투명기판의 일측에 터치전극들이 형성된 종래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의 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가 이루어지는 터치영역(A), 터치영역과 신호를 주고받기 위해 라우팅 배선들과 라우팅 패드들이 형성된 라우팅 배선영역(B), 및 패드영역(C)을 포함한다.
터치영역(A)은 투명기판(10) 상에 제 1 방향(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터치 전극열(TS)과, 상기 제 1 터치 전극열(TS)과 절연막(INS)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도록 제 2 방향(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터치 전극열(RS)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터치 전극열(TS)과 복수의 제 2 터치 전극열(RS)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절연층(INS)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라우팅 배선영역(B)은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열(TS, RS)이 형성된 터치영역(A)의 외측에 형성되며, 복수의 제 1 터치 전극열(TS)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과, 복수의 제 2 터치 전극열(RS)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을 포함한다.
패드영역(C)은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라우팅 패드들(TP)과,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라우팅 패드들(RP)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다른 종래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투명기판의 양측에 바 형상의 터치전극들이 형성된 종래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2c는 도 2a의 II-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가 이루어지는 터치영역(A), 터치영역과 신호를 주고받기 위해 라우팅 배선들과 라우팅 패드들이 형성된 라우팅 배선영역(B), 및 패드영역(C)을 포함한다.
터치영역(A)은 투명기판(20)의 일면 상에 제 1 방향(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터치 전극열(TS)과, 상기 투명기판(20)의 타면 상에 제 1 터치 전극열(TS)과 서로 교차하도록 제 2 방향(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터치 전극열(RS)을 포함한다.
라우팅 배선영역(B)은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열들(TS, RS)이 형성된 터치영역(A)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투명기판(20)의 일면 상에서 복수의 제 1 터치 전극열(TS)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과, 상기 투명기판(20)의 타면 상에서 복수의 제 2 터치 전극열(RS)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을 포함한다.
패드영역(C)은 상기 투명기판(20)의 일면 상에서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라우팅 패드들(TP)과, 상기 투명기판(20)의 타면 상에서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라우팅 패드들(RP)을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베젤영역은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TW, RW)과 제 1 및 제 2 라우팅 패드들(TP, RP)이 동일층에 형성되므로, 라우팅 배선영역(B)에 형성되는 라우팅 배선들(TW, RW)의 선폭과 라우팅 배선들간(TW, RW)의 간격 및 패드영역(C)의 제 1 및 제 2 라우팅 패드들(TP, RP)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그런데, 제 1 및 제 2 라우팅 패드들(TP, RP)은 베젤영역의 일부분만을 차지하여 베젤크기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실질적으로는 라우팅 배선들(TW, RW)의 선폭이 중요하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베젤영역은 제 1 라우팅 배선들(TW)과 제 1 패드들(TP)이 동일층에 형성되고, 제 2 라우팅 배선들(RW)과 제 2 패드들(RP)이 동일층에 형성되므로, 라우팅 배선영역(B)에 형성되는 제 1 라우팅 배선들(TW)의 선폭과 제 1 라우팅 배선들간(TW)의 간격 및 패드영역(C)의 제 1 라우팅 패드들(TP)의 크기, 또는 제 2 라우팅 배선들(RW)의 선폭과 제 2 라우팅 배선들간(RW)의 간격 및 패드영역(C)의 제 2 라우팅 패드들(RP)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그런데, 제 1 및 제 2 라우팅 패드들(TP, RP)은 베젤영역의 일부분만을 차지하여 베젤크기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실질적으로는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TW, RW)의 선폭이 중요하다.
그러나, 베젤영역의 축소를 위해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의 선폭을 좁게 형성할 경우 라우팅 배선들의 저항성분이 증가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의 성능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또는 제 2 라우팅 배선들을 동일한 층에 형성하지 않고 상이한 층에 형성시킴으로써 라우팅 배선의 선폭을 줄이지 않고도 전체 라우팅 배선이 점유하는 면적을 줄여 베젤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영역 및 라우팅 배선영역을 구비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터치영역에 형성되며,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전극열들; 상기 기판의 터치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전극열들; 상기 기판의 라우팅 배선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의 일단부들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 상기 기판의 라우팅 배선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열의 일단부들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 중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 중 홀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열들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열들의 교차부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 중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은 상기 절연층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 중 홀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은 상기 절연층에 의해 분리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은 상기 기판의 제 1 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열들은 상기 기판의 제 1 명과 반대면인 제 2 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 중 홀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은 상기 기판의 제 1 면 및 제 2 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 중 홀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은 상기 기판의 제 1 면 및 제 2 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 중 홀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은 상기 기판의 제 1 면 및 제 2 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판의 제 1 면 또는 제 2 면에 형성된 홀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 또는 짝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은 기판에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상기 기판의 제 1 면 또는 제 2 면에 형성된 홀수의 제 1 전극열들 또는 짝수의 제 1 전극열들에 각각 접속된다.
또한, 상기 기판의 제 1 면 또는 제 2 면에 형성된 홀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 또는 짝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은 기판에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상기 기판의 제 1 면 또는 제 2 면에 형성된 홀수의 제 2 전극열들 또는 짝수의 제 2 전극열들에 각각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의하면, 홀수번째의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라우팅 배선들이 동일층에 형성되지 않고 상이한 층에 형성되므로, 홀수번째와 짝수번째의 라우팅 배선들간의 접촉방지를 위한 간격을 유지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라우팅 배선들이 라우팅 배선영역을 점유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베젤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는 투명기판의 일면 상에 터치전극들이 형성된 종래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a는 투명기판의 양측에 바 형상의 터치전극들이 형성된 종래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c는 도 2a의 II-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영역 R1을 도시한 단면도,
도 3c는 도 3a의 영역 R2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윈도우 커버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윈도우 커버를 적용한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도 7b 및 도 7c는 도 7a의 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d는 도 7a의 II-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적용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우선,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영역 R1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c는 도 3a의 영역 R2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가 이루어지는 터치영역(A), 터치 구동신호 및 터치 감지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라우팅 배선들이 형성된 라우팅 배선영역(B), 및 터치 콘트롤러와의 접속을 위한 패드영역(C)을 포함한다.
터치영역(A)은 투명기판(100) 상에 제 1 방향(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터치 전극열(TS)과, 상기 제 1 터치 전극열(TS)과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도록 제 2 방향(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터치 전극열(RS)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터치 전극열(TS)의 각각은 복수의 제 1 전극패턴들(Tx)과, 서로 이웃하는 제 1 전극패턴들(Tx)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 1 연결부들(Tc)로 구성된다. 제 2 터치 전극열(RS)의 각각은 복수의 제 2 전극패턴들(Rx)과, 서로 이웃하는 제 2 전극패턴들(Rx)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 2 연결부들(Rc)로 구성된다. 제 1 터치 전극열(TS)의 제 1 연결부(Tc)와 제 2 터치 전극열(RS)의 제 2 연결부(Rc)는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절연층(INS)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제 1 터치 전극열(TS)을 구성하는 제 1 전극패턴들(Tx)은 절연층(INS) 상에 형성되고, 제 1 연결부들(Tc)은 투명기판(100) 상에 형성되며, 이웃하는 제 1 전극패턴들(Tx)은 절연층(INS)에 형성된 제 1 콘택홀(CH1)을 통해 노출된 제 1 연결부(Tc)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 2 터치 전극열(RS)을 구성하는 제 2 전극패턴들(Rx)과 제 2 연결부들(Rc)은 절연층(INS) 상에 형성된다.
도 3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는 제 1 및 제 2 전극패턴들(Tx, Rx)이 절연층(INS) 상에 형성되고, 이웃하는 제 1 전극패턴들(Tx)이 제 1 연결패턴(Tc)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전극패턴들(Tx)과 제 2 전극패턴들(Rx)이 모두 투명기판(100) 상에 형성되고, 제 1 연결패턴(Tc)과 제 2 연결패턴(Rc)의 교차부에만 이들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절연패턴이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는 제 1 전극패턴들(Tx)과 제 2 전극패턴들(Rx)이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전극패턴들(Tx)과 제 2 전극패턴들(Rx)은 삼각형, 벌집구조, 다각형 구조, 또는 이들의 결합구조 등 어떠한 형상을 가져도 좋다.
라우팅 배선영역(B)은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열(TS, RS)이 형성된 터치영역(A)의 외측 영역에 형성되며,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1~TW5) 및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1~RW5)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1~TW5)은 투명기판(100)과 절연층(INS) 상에 번갈아 형성되며,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예에서는,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1, TW3, TW5)은 절연층(INS) 상에 형성되고, 짝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2, TW4)은 투명기판(1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INS) 상에 형성되는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1, TW3, TW5)은 그 일단부들이 절연층(INS) 상에서 홀수번째의 제 1 전극열들(TS1, TS3, TS5)과 각각 연결되고, 투명기판(100) 상에 형성되는 짝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2, TW4)은 그 일단부들이 절연층(INS)의 제 2 콘택홀(CH2)을 통해 짝수번째의 제 1 전극열들(TS2, TS4)과 각각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1~RW5)은 투명기판(100)과 절연층(INS) 상에 번갈아 형성된다. 홀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1, RW3, RW5)은 절연층(INS) 상에 형성되고, 짝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2, RW4)은 투명기판(1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INS) 상에 형성되는 홀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1, RW3, RW5)은 그 일단부들이 절연층(INS) 상에서 홀수번째의 제 2 전극열들(RS1, RS3, RS5)과 각각 연결되고, 투명기판(100) 상에 형성되는 짝수번째의 제 2 전극열들(RS2, RS4)은 그 일단부들이 절연층(INS)의 콘택홀(도시생략)을 통해 짝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2, RW4)과 각각 연결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TW1~TW5, RW1~RW5)은 투명기판(100)과 절연층(INS) 상에 번갈아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TW1~TW5, RW1~RW5)은 투명기판(100)과 절연층(INS) 상에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패드영역(C)은 라우팅 배선영역(B)의 외측에 형성되며, 복수의 제 1 라우팅 패드들(TP1~TP5), 및 복수의 제 2 라우팅 패드들(RP1~RP5)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라우팅 패드들(TP1~TP5)의 각각은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1~TW5)의 타단부에 각각 접속되며, 복수의 제 2 라우팅 패드들(RP1~RP5)의 각각은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1~RW5)의 타단부에 각각 접속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 구조에 의하면, 제 1 라우팅 배선들(TW1~TW5)은 투명기판(100)과 절연층(INS) 상에 번갈아 형성되고, 제 2 라우팅 배선들(RW1~RW5) 또한 투명기판(100)과 절연층(INS) 상에 번갈아 형성되므로, 즉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과 짝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이 상이한 층에 형성되고, 홀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과 짝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이 상이한 층에 형성되므로, 홀수번째와 짝수번째의 라우팅 배선들간의 간격을 유지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대해, 종래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는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을 동일한 층에 형성하고, 홀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을 동일한 층에 형성하기 때문에 홀수번째의 라우팅 배선과 짝수번째의 라우팅 배선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의하면, 홀수번째의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라우팅 배선들 간의 간격이 유지되지 않더라도 이들이 절연층에 의해 상하층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어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라우팅 배선들이 라우팅 배선영역(B)을 점유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베젤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는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홀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이 절연층에 형성되고, 짝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이 투명기판 상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이 절연층에 형성되고, 짝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홀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이 투명기판 상에 형성되는 경우, 짝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이 절연층에 형성되고,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홀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이 투명기판 상에 형성되는 경우, 또는 짝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홀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이 절연층에 형성되고,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이 투명기판 상에 형성되는 경우도 물론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의 변형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는 제 1 라우팅 배선들(TW1, TW2, TW3, TW4, TW5)이 터치영역(A)의 양측에 나뉘어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부 제 1 라우팅 배선들(TW1, TW2)은 터치영역(A)의 좌측에 형성되고, 나머지 제 1 라우팅 배선들(TW3, TW4, TW5)은 터치영역(A)의 우측에 형성되는 경우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의 변형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은 도 3a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 패널과 마찬가지로 홀수번째 제 1 라우팅 배선들(TW1, TW3, TW5)과 짝수번째 제 1 라우팅 배선들(TW2, TW4)은 투명기판(100)과 절연층(도시생략) 상에 번갈아 형성된다.
또한, 도 3a 실시예 및 도 4의 변형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는 제 1 라우팅 배선들이 제 1 전극열의 일단부에만 접속된 경우의 예를 보여주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열(TS1, TS2, TS3, TS4, TS5)의 양단부에 제 1 라우팅 배선들이 접속되고, 제 1 전극열의 양단을 통해 신호를 주고 받는 구조로 된 더블 라우팅 배선 구조(double routing wire structure)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을 절연층과 투명기판 상에 번갈아 형성함으로써 제 1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 패널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변형예들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강화유리와 같은 윈도우 커버를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윈도우 커버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윈도우 커버를 적용한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착제(AD)를 이용하여 강화유리와 같은 윈도우 커버(WC)를 부착하므로써 보다 안정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에 윈도우 커버(WC)를 덧붙임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을 보호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패널은 도 3a에 도시된 투명기판(100) 대신 강화유리와 같은 윈도우 커버(WC)를 이용하고 있다. 이 경우, 윈도우 커버(WC)에 제 1 및 제 2 전극열들(TS1~TS5, RS1~RS5),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TW1~TW5, RW1~RW5), 제 1 및 제 2 라우팅 패드들(TP1~TP5, RP1~RP5)을 직접 형성하므로 윈도우 커버에 의해 터치 스크린 패널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b 및 도 7c는 도 7a의 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7d는 도 7a의 II-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가 이루어지는 터치영역(A), 터치 구동신호 및 터치 감지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라우팅 배선들이 형성된 라우팅 배선영역(B), 및 터치 콘트롤러와의 접속을 위한 패드영역(C)을 포함한다.
터치영역(A)은 투명기판(200)의 일면 상에 제 1 방향(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터치 전극열(TS)과, 투명기판(200)의 타면 상에서 상기 제 1 터치 전극열(TS)과 교차하도록 제 2 방향(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터치 전극열(RS)을 포함한다.
도 7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제 1 전극열들(TS)과 제 2 전극열들(RS)은 바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전극열들(TS)과 제 2 전극열들(RS)의 각각은 복수의 삼각형, 벌집형,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전극패턴들 또는 이들의 조합 패턴들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도 좋다.
라우팅 배선영역(B)은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열(TS, RS)이 형성된 터치영역(A)의 외측 영역에 형성되며,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1~TW5) 및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1~RW5)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1~TW5)은 투명기판(200)의 일면과 타면 상에 번갈아 형성된다. 도 7b 내지 도 7c에 도시된 예에서는,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1, TW3, TW5)은 투명기판(200)의 일면(도 7a 내지 도 7c의 예에서는 투명기판의 하면) 상에 형성되고, 짝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2, TW4)은 투명기판(200)의 타면(도 7a 내지 도 7c의 예에서는 투명기판의 상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투명기판(200)의 하면 상에 형성되는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1, TW3, TW5)은 그 일단부들이 콘택홀(CH)을 통해 투명기판(200)의 상면 상에서 홀수번째의 제 1 전극열들(TS1, TS3, TS5)과 각각 연결된다.
도 7a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는 제 1 터치 전극열들(TS1~TS5)이 투명기판(200)의 상면에 형성되나,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1, TW3, TW5)은 투명기판(200)의 하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1, TW3, TW5)이 홀수번째의 제 1 터치 전극열들(TS1, TS3, TS5)과 접속되기 위해서는 투명기판(200)에 콘택홀(CH)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수번째의 제 1-1 라우팅 배선들(도 7b에서는 5번째의 제 1-1 터치 전극열(TS5a)만 도시됨)은 투명기판(200)의 하면에 형성되고, 홀수번째의 제 1-2 라우팅 배선들(도 7b에서는 5번째의 제 1-2 라우팅 배선(TW5b)만 도시됨)은 홀수번째의 제 1 터치 전극열들(TS1, TS3, TS5) 및 홀수번째 제 1-1 라우팅 배선들(TS5a)과 각각 접속되도록 투명기판(200)의 상면과 콘택홀(CH) 내에 형성된다.
물론, 홀수번째의 제 1-1 라우팅 배선들(도 7b에서는 5번째의 제 1-1 터치 전극열(TS5a)만 도시됨)은 투명기판(200)의 하면과 콘택홀(CH) 내에 형성되고, 홀수번째의 제 1-2 라우팅 배선들(도 7b에서는 5번째의 제 1-2 라우팅 배선(TW5b)만 도시됨)은 홀수번째의 제 1 터치 전극열들(TS1, TS3, TS5) 및 홀수번째 제 1-1 라우팅 배선들(TS5a)과 각각 접속되도록 투명기판(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1, TW3, TW5)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기판(200)의 하면에만 형성되고, 투명기판(200) 상에 형성된 홀수번째의 제 1 전극열들(TS1, TS3, TS5)이 콘택홀들(CH)을 통해 홀수번째 제 1 라우팅 배선들(TW1, TW3, TW5)과 각각 접속될 수도 있다.
한편, 투명기판(200)의 상면 상에 형성되는 짝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2, TW4)은 그 일단부들이 투명기판(200)의 상면에 형성된 짝수번째의 제 1 전극열들(TS2, TS4)과 각각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1~RW5) 또한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S1, TS3, TS5)과 유사하게 투명기판(200)의 일면과 타면 상에 번갈아 형성된다. 홀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1, RW3, RW5)은 투명기판(200)의 일면(하면) 상에 형성되고, 짝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2, RW4)은 투명기판(200)의 타면(상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투명기판(200)의 하면 상에 형성되는 홀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1, RW3, RW5)은 그 일단부들이 투명기판(200)의 하면상에서 홀수번째의 제 2 전극열들(RS1, RS3, RS5)과 각각 연결되고, 투명기판(200)의 상면 상에 형성되는 짝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2, RW4)은 그 일단부들이 투명기판(200)에 형성된 콘택홀(도시생략)을 통해 짝수번째의 제 2 전극열들(RS2, RS4)과 각각 연결된다. 투명기판(200)의 하면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열들(RS1~RS5)과 제 2 라우팅 배선들(RW1~RW5)의 구체적인 접속관계에 대한 설명은 투명기판(200)의 상면에 형성된 제 1 전극열들(TS1,~TS5)과 제 1 라우팅 배선들(TW1~TW5)의 접속관계와 유사하기 때문에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패드영역(C)은 라우팅 배선영역(B)의 외측에 형성되며, 복수의 제 1 라우팅 패드들(TP1~TP5), 및 복수의 제 2 라우팅 패드들(RP1~RP5)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라우팅 패드들(TP1~TP5)의 각각은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TW1~TW5)의 타단부에 각각 접속되며, 복수의 제 2 라우팅 패드들(RP1~RP5)의 각각은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RW1~RW5)의 타단부에 각각 접속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 구조에 의하면, 제 1 라우팅 배선들(TW1~TW5)은 투명기판(200)의 일면(하면)과 타면(상면)에 번갈아 형성되고, 제 2 라우팅 배선들(RW1~RW5) 또한 투명기판(200)의 일면(하면)과 타면(상면)에 번갈아 형성되므로, 즉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과 짝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이 상이한 층에 형성되고, 홀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과 짝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이 상이한 층에 형성되므로, 홀수번째와 짝수번째의 라우팅 배선들간의 접촉방지를 위한 간격을 유지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대해, 종래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는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을 동일한 층에 형성하고, 또한 홀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을 동일한 층에 형성하기 때문에 홀수번째의 라우팅 배선과 짝수번째의 라우팅 배선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의하면, 홀수번째의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라우팅 배선들 간의 간격이 유지되지 않더라도 이들이 투명기판에 의해 상하층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어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라우팅 배선들이 라우팅 배선영역(B)을 점유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베젤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는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홀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이 투명기판의 일면(하면)에 형성되고, 짝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이 투명기판의 타면(상면)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이 투명기판의 일면(하면)에 형성되고, 짝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홀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이 투명기판의 타면(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짝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이 투명기판의 일면(하면)에 형성되고,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홀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이 투명기판의 타면(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또는 짝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홀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이 투명기판의 일면(하면)에 형성되고,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이 투명기판의 타면(상면)에 형성되는 경우도 물론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의 변형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는 제 1 라우팅 배선들(TW1, TW2, TW3, TW4, TW5)이 터치영역(A)의 양측에 나뉘어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 2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부 제 1 라우팅 배선들(TW1, TW2)은 터치영역(A)의 좌측에 형성되고, 나머지 제 1 라우팅 배선들(TW3, TW4, TW5)은 터치영역(A)의 우측에 형성되는 경우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의 변형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은 도 7a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 패널과 마찬가지로 홀수번째 제 1 라우팅 배선들(TW1, TW3, TW5)과 짝수번째 제 1 라우팅 배선들(TW2, TW4)은 투명기판(200)의 일면 상과 타면 상에 번갈아 형성된다.
또한, 도 7a 실시예 및 도 8의 변형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는 제 1 라우팅 배선들이 제 1 전극열의 일단부에만 접속된 경우의 예를 보여주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열(TS1, TS2, TS3, TS4, TS5)의 양단부에 제 1 라우팅 배선들이 접속되고, 제 1 전극열의 양단을 통해 신호를 주고 받는 구조로 된 더블 라우팅 배선 구조(double routing wire structure)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을 투명기판의 일면(하면)과 타면(상면)에 번갈아 형성함으로써 제 2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 패널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및 변형예들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강화유리와 같은 윈도우 커버를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윈도우 커버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착제(AD)를 이용하여 강화유리와 같은 윈도우 커버(WC)를 부착함으로써 보다 안정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에 윈도우 커버(WC)를 덧붙임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을 보호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의하면, 홀수번째의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라우팅 배선들이 동일층에 형성되지 않고 상이한 층에 형성되므로, 홀수번째와 짝수번째의 라우팅 배선들간의 접촉방지를 위한 간격을 유지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라우팅 배선들이 라우팅 배선영역을 점유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베젤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터치 스크린 패널의 경우, 라우팅 배선의 폭을 10㎛, 인접한 라우팅 배선간의 적정 이격거리를 30㎛, 전체 채널수를 51이라고 가정했을 경우, 라우팅 배선들이 터치 스크린 패널의 베젤에서 차지하는 크기는 대략 2mm가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라우팅 배선들이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기 때문에 인접 라우팅 배선간의 이격거리를 10㎛로 줄였을 경우 전체 채널수를 51이라고 가정했을 경우, 라우팅 배선들이 터치 스크린 패널의 베젤에서 차지하는 크기는 대략 1mm로 되어 종래의 1/2수준으로 감축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제 1 터치 전극열이 구동 전극열, 제 2 터치 전극열이 센싱 전극열인 것으로 해석되도록 설명하였으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설명된 제 1 및 제 2 터치 전극열들, 제 1 및 제 2 라우팅 배선들, 제 1 및 제 2 라우팅 패드들의 숫자는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그 숫자는 필요에 따라 가감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200: 투명기판 TS: 제 1 전극열
Tx: 제 1 전극패턴 RS: 제 2 전극열
Rx: 제 2 전극패턴 INS: 절연층
TW1, TW2, TW3, TW4, TW5: 제 1 라우팅 배선
RW1, RW2, RW3, RW4, RW5: 제 2 라우팅 배선
TP1, TP2, TP3, TP4, TP5: 제 1 라우팅 패드
RP1, RP2, RP3, RP4, RP5: 제 2 라우팅 패드

Claims (9)

  1. 터치영역 및 라우팅 배선영역을 구비하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배치되며 상기 터치영역 및 라우팅 배선영역 모두에 형성되는 절연층;
    상기 기판의 터치영역에 형성되며,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전극열들;
    상기 기판의 터치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전극열들;
    상기 기판의 라우팅 배선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의 일단부들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 및
    상기 기판의 라우팅 배선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열의 일단부들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1전극열들은 각각 복수의 제 1 전극패턴들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복수의 제 1전극패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 1연결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2전극열들은 각각 복수의 제 2 전극패턴들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복수의 제 2전극패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 2연결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1연결부들 및 상기 복수의 제 2연결부들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 1연결부들 및 상기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 중 짝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은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 1전극패턴들, 상기 복수의 제 2전극패턴들, 상기 복수의 제 2연결부들 및 상기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 중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은 상기 절연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 1연결부들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복수의 제 1컨택홀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패턴들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 중 짝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제 2컨택홀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 중 짝수번째 제 1 전극열들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 중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은 상기 절연층상에서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 중 홀수번째 제 1 전극열들과 연결되며,
    상기 짝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과 상기 홀수번째의 제 1 라우팅 배선들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열들, 상기 복수의 제 1 라우팅 배선들, 상기 제 2 라우팅 배선들, 및 상기 절연층은 모두 상기 기판의 한쪽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 중 홀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라우팅 배선들 중 홀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과 짝수번째의 제 2 라우팅 배선들은 상기 절연층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20116811A 2012-10-19 2012-10-19 터치 스크린 패널 Active KR101981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811A KR101981531B1 (ko) 2012-10-19 2012-10-19 터치 스크린 패널
EP13186937.2A EP2722740A3 (en) 2012-10-19 2013-10-01 Touch screen panel
US14/049,586 US9240297B2 (en) 2012-10-19 2013-10-09 Touch screen panel
CN201310473376.XA CN103777809B (zh) 2012-10-19 2013-10-11 触摸屏面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811A KR101981531B1 (ko) 2012-10-19 2012-10-19 터치 스크린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418A KR20140050418A (ko) 2014-04-29
KR101981531B1 true KR101981531B1 (ko) 2019-05-23

Family

ID=4932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811A Active KR101981531B1 (ko) 2012-10-19 2012-10-19 터치 스크린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40297B2 (ko)
EP (1) EP2722740A3 (ko)
KR (1) KR101981531B1 (ko)
CN (1) CN1037778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4644B4 (de) * 2013-05-06 2020-06-04 Polylc Gmbh & Co. Kg Schichtelektrode für Berührungsbildschirme
KR102355326B1 (ko) * 2014-07-24 2022-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387980B1 (ko) * 2015-04-14 2022-04-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
CN106201106B (zh) * 2016-07-29 2019-03-1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
CN106873835B (zh) * 2017-02-23 2020-05-0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触控显示屏
JP2018147348A (ja) * 2017-03-08 2018-09-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10656761B2 (en) * 2017-04-26 2020-05-19 Dell Products L.P. Touch screen and method of compensating for differences in routing trace path lengths
KR102377527B1 (ko) * 2017-09-01 2022-03-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CN109917957B (zh) * 2019-02-27 2023-11-2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和修补方法、触控装置
CN113129770A (zh) * 2020-01-16 2021-07-16 重庆康佳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显示背板、显示设备以及拼接显示设备
KR20210142036A (ko) 2020-05-14 2021-1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3835566A (zh) * 2021-09-27 2021-12-24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基板及显示面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8172A (ja) * 2008-10-29 2010-05-13 Kyocera Corp タッチパネルおよびタッチパネル型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01426C (zh) * 2003-08-19 2007-02-2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窄边框设计的液晶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KR100898221B1 (ko) * 2007-04-30 2009-05-18 안영수 정전용량방식 터치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US8400408B2 (en) * 2007-06-13 2013-03-19 Apple Inc. Touch screens with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resistors
US7538288B1 (en) * 2008-03-31 2009-05-26 Mildex Optical Inc. Touch panel
US8582068B2 (en) * 2008-05-16 2013-11-12 Sharp Kabushiki Kaisha Active matrix substrate with connections of switching elements and inspecting wirings, display device, method for inspecting active matrix substrate, and method for inspecting display device
CN101639594A (zh) * 2008-08-01 2010-02-03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WO2010075308A2 (en) * 2008-12-26 2010-07-01 Atmel Corporation Multiple electrode touch sensitive device
KR101093326B1 (ko) * 2010-02-18 2011-12-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작방법
CN201788340U (zh) * 2010-05-26 2011-04-06 福州华映视讯有限公司 主动组件数组基板
CN102279688A (zh) * 2010-06-12 2011-12-14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多点触控电阻式触摸屏导电线路
KR101719368B1 (ko) * 2010-07-14 2017-03-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12005A (ko) * 2010-07-30 2012-02-09 일진디스플레이(주) 전극 배선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정전용량 터치 센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8172A (ja) * 2008-10-29 2010-05-13 Kyocera Corp タッチパネルおよびタッチパネル型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22740A2 (en) 2014-04-23
CN103777809A (zh) 2014-05-07
KR20140050418A (ko) 2014-04-29
EP2722740A3 (en) 2015-02-25
CN103777809B (zh) 2017-07-04
US20140110236A1 (en) 2014-04-24
US9240297B2 (en) 201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531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JP6078523B2 (ja) タッチセンサ一体型表示装置
CN103777810B (zh) 金属网格型触摸屏面板
TWI538027B (zh) 觸控感測器整合型顯示裝置
CN104750307B (zh) 触摸传感器集成式显示装置
KR102247135B1 (ko) 정전용량식 터치 감지 패널
JP5934330B2 (ja) タッチセンサ一体型表示装置
KR20130046263A (ko) 터치 센서 내장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50025638A (ko) 정전용량식 터치 감지 패널
CN104461113A (zh) 触摸传感器集成型显示装置
KR20140063315A (ko) 상호 정전용량식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862394B1 (ko) 표시장치용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96533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957491B1 (ko) 메쉬형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KR20160043583A (ko) 터치센서 내장형 표시장치
KR102005499B1 (ko) 정전 용량식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50066860A (ko) 터치 센서 일체형 평판 표시장치
KR20130003215A (ko) 표시장치용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24783B1 (ko) 표시장치용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325082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90601B1 (ko) 터치센서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1929574B1 (ko) 표시장치용 터치 스크린 패널
US20170153729A1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Screen Panel
KR20140072646A (ko) 터치 스크린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0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0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1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