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280B1 -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device in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device in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1280B1 KR101981280B1 KR1020170136065A KR20170136065A KR101981280B1 KR 101981280 B1 KR101981280 B1 KR 101981280B1 KR 1020170136065 A KR1020170136065 A KR 1020170136065A KR 20170136065 A KR20170136065 A KR 20170136065A KR 101981280 B1 KR101981280 B1 KR 1019812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ecific device
- wireless communication
- specific
- communication
- pe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 H04B5/0031—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 H04M1/7253—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디바이스 연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의 통신모드에서 원하는 디바이스와 보다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디바이스 연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장치가, 특정 장치와 접촉을 통해 통신연결을 위한 장치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특정 장치와 상기 통신연결이 되면 상기 특정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통신 연결 모드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특정 장치의 장치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장치 검색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장치 검색 동작의 결과가 상기 특정 장치의 상기 장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장치 식별 정보를 가지는 장치를 포함하면,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특정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necting a device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necting a device in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more conveniently connected to a desired device in a communic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order to achieve this, an apparatus includes a local communication unit for exchanging device information for a communication connection through a contact with a specific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specific device when the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with the specific device, Wherein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device is received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the device search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if the result of the device search operation corresponds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specific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디바이스 연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의 통신모드에서 원하는 디바이스와 보다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디바이스 연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necting a device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necting a device in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more conveniently connected to a desired device in a communic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Wi-Fi P2P(Wi-Fi Peer to Peer or Wi-Fi Direct)기술은 기존의 Wi-Fi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Wi-Fi 단말들 간에 기존의 Infrastructure network의 매개체인 AP(Access Point)없이 직접 연결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Wi-Fi Peer to Peer or Wi-Fi Direct (Wi-Fi Peer to Peer) technology utilizes existing Wi-Fi interfaces to provide direct connectivity between Wi-Fi terminals without the AP Technology.
기존의 Wi-Fi의 경우 AP(Access Point)를 통한 인터넷 연결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Wi-Fi 단말 간의 직접통신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였다.In the case of existing Wi-Fi, most of them are aimed only at internet connection through AP (Access Point), and there is insufficient consideration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Wi-Fi terminals.
이러한 부분은 블루투스가 어느 정도 메우고 있었으나 전송거리 및 전송속도를 고려할 때, Wi-Fi P2P는 블루투스가 커버하지 못하는 부분을 메우게 될 것으로 기대를 받고 있다.This part of the bluetooth is filling in a certain amount, but considering the transmission distance and the transmission speed, Wi-Fi P2P is expected to fill the part that Bluetooth can not cover.
기존에도 Wi-Fi에는 Ad-hoc모드라고 하는 직접연결을 지원하는 방식이 있었으나, 보안의 취약함, 전력소모문제, Throughput이 11Mbps로 제한되는 점등 여러 가지 단점으로 인해, 실제로는 거의 쓰이고 있지 않은 기술이다.In the past, Wi-Fi supported a direct connection called ad-hoc mode. However, due to various weaknesses such as weak security, power consumption, and limited throughput of 11Mbps, to be.
Wi-Fi 다이렉트는 WPA2의 보완모드를 지원함으로써 보완의 취약성을 보완하였으며, WSC(Wi-Fi Simple Configuration)을 이용하여 보다 간단한 Wi-Fi 단말 간의 연결성을 지원한다. 또한, 802.11n까지 지원하여 Ad-hoc대비 Throughput을 대폭 개선하였으며, 향상된 전력소모 알고리즘이 추가되었다.Wi-Fi Direct complements the complementary weakness of WPA2 by supporting the complementary mode of WPA2, and supports connectivity between simpler Wi-Fi terminals using Wi-Fi Simple Configuration (WSC). In addition, support for up to 802.11n has significantly improved throughput compared to ad-hoc, and an improved power consumption algorithm has been added.
Wi-Fi 다이렉트 기능은 Legacy Wi-Fi의 IEEE802.11기반으로 만들어진 규격으로, 기존 Legacy Wi-Fi 단말과 호환성을 이룰 수 있으며, H/W적인 변경 없이 손쉽게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The Wi-Fi direct function is based on Legacy Wi-Fi's IEEE802.11 standard. It can be compatible with legacy Wi-Fi terminals and can be easily upgraded without changing the hardware.
Wi-Fi P2P를 이용하여 Wi-Fi 단말 간에 연결하는 것을 P2P 그룹이라고 한다. 1:1연결을 가정할 때 하나의 디바이스는 GO(Group Owner)로서 동작하고, 다른 디바이스는 GC(Group Client)로 동작한다. 이때, GO(Group Owner)단말은 WLAN AP(Access Point)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되며, GC(Group Client)단말은 WLAN Station과 같은 역할을 한다.Connecting Wi-Fi terminals using Wi-Fi P2P is called P2P group. Assuming a 1: 1 connection, one device acts as a GO (Group Owner) while the other device acts as a GC (Group Client). At this time, the GO (Group Owner) terminal functions as a WLAN AP (access point), and the GC (Group Client) terminal functions as a WLAN station.
이와 같은 각 P2P 단말의 역할은 Wi-Fi P2P 연결과정의 Group Owner Negotiation이라는 P2P만의 프로토콜을 통해 결정되게 된다.The role of each P2P terminal is determined through P2P-only protocol called Group Owner Negotiation in Wi-Fi P2P connection procedure.
Wi-Fi P2P기술을 이용한 P2P Group의 생성은 1:1 연결뿐만 아니라 1:N 연결도 가능하며, GO(Group Owner)단말의 능력에 따라 수용 가능한 GC(Group Client)의 개수가 정해진다.The generation of P2P Group using Wi-Fi P2P technology is possible not only 1: 1 connection but also 1: N connection, and the number of acceptable GC (Group Clie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apability of GO (Group Owner) terminal.
Wi-Fi P2P 연결과정을 살펴보면, Device Discovery과정을 통해 디바이스들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들 중 연결을 희망하는 디바이스와 Provision Discovery를 수행하게 된다.In the Wi-Fi P2P connection process, devices are searched through a device discovery process, and a provisioning discovery is performed with a device wishing to connect among the searched devices.
Provision Discovery 과정은 연결을 희망하는 디바이스에게 연결방법을 알려주는 것으로, WSC 연결방법에는 버튼입력으로 수행되는 PBC 또는 핀 번호 입력으로 수행되는 PIN이 있다.The Provision Discovery process informs the device that the connection is desired to be connected. In the WSC connection method, there is a PIN performed by inputting a PBC or a pin number performed by a button input.
따라서 원하는 연결방법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팝업등을 통해 상대방에게 알려 주게 된다.Accordingly, a desired connection method message is transmitted, and the device receiving the message notifies the other party through a pop-up or the like.
상기 팝업에는 Provision Discovery를 요청한 Device name과 같은 정보가 포함되게 되어, 요청을 받은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연결을 수용할지 여부 및 WSC을 가능하게 한다.The pop-up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the device name requesting the provision discovery so that the user of the device receiving the request can decide whether to accept the connection and enable the WSC.
Provision discovery과정 이후에는 GO Negotiation과정을 통해서, 단말상호간의 역할을 결정하게 된다. GO(Group Owner)로 결정된 디바이스는 AP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고, GC(Group Client)로 결정된 디바이스는 Wi-Fi Station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After the provision discovery process, the roles of the terminals are determined through the GO negotiation process. A device determined as a GO (Group Owner) performs the same operation as an AP, and a device determined by a GC (Group Client) performs the same operation as a Wi-Fi Station.
디바이스의 역할인 GO(Group Owner) 또는 GC(Group Client)가 결정 되면, 두 디바이스는 Provisioning 과정을 통해 인증정보(Authentication type, encryption type, network key, ssid)를 교환하고, P2P 연결을 완료하게 된다.When the GO (Group Owner) or the GC (Group Client), which is a role of the device, is determined, the two devices exchang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type, encryption type, network key, ssid) through the provisioning process and complete the P2P connection .
그러나, Wi-Fi P2P 통해 해당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매번 디바이스 검색과정을 통해 원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상기와 같은 복수의 연결 과정들을 수행해야만 한다. 또한 디바이스 검색과정에서 원하는 디바이스가 검색되지 않을 경우, 원하는 디바이스가 검색될 때까지 디바이스 검색과정을 반복 수행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However, in order to connect to the device through the Wi-Fi P2P, a plurality of connection processes as described above must be performed by selecting a desired device through a device search process. Also, when a desired device is not searched in the device search process, there is a need to repeatedly perform the device search process until a desired device is search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통신모드에서 원하는 디바이스와 보다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디바이스 연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a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more conveniently connect with a desired device in a communic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원하는 디바이스와 통신연결을 위한 디바이스 정보를 교환하면서, 편리하게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디바이스 연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conn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conveniently perform a Wi-Fi direct connection while exchanging device information for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a desired device through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가, 특정 장치와 접촉을 통해 통신연결을 위한 장치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특정 장치와 상기 통신연결이 되면 상기 특정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통신 연결 모드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특정 장치의 장치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장치 검색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장치 검색 동작의 결과가 상기 특정 장치의 상기 장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장치 식별 정보를 가지는 장치를 포함하면,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특정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ing: a local communication unit for exchanging device information for a communication connection through a contact with a specific apparatu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specific apparatus, Mode,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device is received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the device search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result of the device search operation is compared with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devic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specific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n the device h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에서 장치와 연결하는 방법은, 특정 장치가 접촉되면,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특정 장치의 장치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특정 장치의 장치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동안 무선 통신에 따라 장치 검색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장치 검색 동작의 결과가 상기 특정 장치의 상기 장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장치 식별 정보를 가지는 장치를 포함하는지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장치 검색 동작의 결과가 상기 특정 장치의 상기 장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장치 식별 정보를 가지는 장치를 포함하면, 상기 특정 장치로부터 수신된 장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connecting to a device in a wireless terminal for accomplish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device through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hen a specific device is contacted, Performing a device search operation accord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while receiving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a result of the device search operation includes an apparatus ha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device, If the result of the device search operation includes a device ha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specific device based on the dev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pecific device .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연결을 통해 무선 단말기를 장치와 연결하는 방법은,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가 특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지 결정하는 과정,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와 상기 특정 장치 간에 장치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 이외의 무선 프로토콜을 통한 장치 검색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교환된 장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상기 장치 검색의 결과에 상기 특정 장치가 포함되어 있는지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장치 검색의 결과에 상기 특정 장치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교환된 장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 단말기와 상기 특정 장치간의 제2 통신 연결을 성립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necting a wireless terminal to a device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is connected to a specific device through the short- Exchanging device informa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specific device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when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evice, performing a device search operation through a wireless protocol other tha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pecific device is included in the result of the device search based on at least a part of the exchanged device information, and if the specific device is included in the result of the device search, A second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specific device It may comprise the step of establishing.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디바이스들 간의 접촉을 통해 통신이 연결되는 휴대단말기의 디바이스 연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Wi-Fi P2P의 사용성을 극대화하고, 원하는 디바이스의 접촉만으로 통신이 연결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이 구비된 디바이스들 간의 상호접촉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의도가 반드시 동반되어야하는 접근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안이 관련된 문제에서도 큰 장점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conn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communication is connected through a contact between devices having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thereby maximizing the usability of Wi-Fi P2P,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venience in which the user is present. In addition, since mutual contact between devices equipped with local communication requires accessibility that must be accompanied by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re is an effect that a great advantage can be exhibited even in the problem of secur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원하는 디바이스와의 Wi-Fi P2P 연결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원하는 디바이스와의 Wi-Fi P2P 연결과정을 도시한 흐름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Fi P2P connection process with a desired device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Fi P2P connection process with a desired device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nfigurations of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whenever possib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단말기에서 디바이스 연결을 위한 통신모드로써 Wi-Fi P2P 통신모드를 일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Wi-Fi P2P 통신모드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검색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통신모듈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Fi P2P communication mode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mode for device connection in a mobile terminal. However, in the Wi-Fi P2P communication mode, The same applies to all communication modul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키 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The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원하는 디바이스와 Wi-Fi P2P 연결을 성립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모듈(180)을 통해 접촉된 특정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교환된 디바이스 정보를 통해 특정 디바이스와 Wi-Fi P2P를 연결하도록 제어한다.The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Wi-Fi 통신연결 설정화면에서 휴대단말기가 특정디바이스와 접촉을 통해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Wi-Fi P2P를 온 시켜서 휴대단말기가 자동으로 Wi-Fi P2P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contacts the specific device via the Wi-Fi communication connection sett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근거리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Wi-Fi P2P가 오프일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와 접촉을 통해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특정 디바이스에서도 Wi-Fi P2P가 온 되면서 자동으로 Wi-Fi P2P모드로 전환하게 된다.When the Wi-Fi P2P of the specific device having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is off, when the local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through the contact with the portable terminal, Wi-Fi P2P is automatically turned on and Wi-Fi P2P Mode.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Wi-Fi P2P모드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80)을 통해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MAC 어드레스를 교환하는 동시에 디바이스 검색동작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 검색동작이 완료되어, 디바이스 검색결과가 표시되는 상기 표시부(160)에 상기 특정 디바이스가 표시되면, 즉 검색된 디바이스들 중 상기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MAC 어드레스를 가지는 디바이스가 존재하면, 특정 디바이스와의 역할결정과정 및 특정 디바이스와의 인증정보 교환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Wi-Fi P2P 연결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If the specific device is displayed on the
이때 검색된 디바이스에 상기 특정 디바이스가 존재한다는 것은 Wi-Fi P2P 연결을 위한 디바이스 정보를 이미 교환한 것이다. 따라서 접촉을 통해 이미 Wi-Fi P2P 연결을 원하는 디바이스로 선택된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역할결정과정 및 디바이스와의 인증정보 교환과정을 수행한 후, Wi-Fi P2P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istence of the specific device in the searched device means that the device information for the Wi-Fi P2P connection has already been exchanged. Therefore, after performing the role determination process and the process of exchang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the device, the Wi-Fi P2P connection can be performed with the specific device selected as the device that is already connected to the Wi-Fi P2P connection through the contact.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 검색동작이 완료되어, 디바이스 검색결과로써 표시되는 상기 표시부(160)에 상기 특정 디바이스가 표시되지 않으면, 즉 검색된 디바이스들 중 상기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MAC어드레스를 가지는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80)을 통해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Wi-Fi P2P 연결을 위한 디바이스 정보를 교환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를 통해 특정 디바이스와의 역할결정과정 및 특정 디바이스와의 인증정보 교환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연결하도록 제어한다.If the specific device is not displayed on the
따라서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Wi-Fi P2P 통신연결을 위한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접촉을 통해 이미 Wi-Fi P2P 연결을 원하는 디바이스로 선택된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역할결정과정 및 디바이스와의 인증정보 교환과정을 수행한 후, Wi-Fi P2P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by using the device information for the Wi-Fi P2P communication connection received from the specific device via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specific device selected as the device which has already made a Wi-Fi P2P connection through the contact, After perform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exchange process of Wi-Fi P2P connection, it can perform Wi-Fi P2P connection.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 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모듈(180)을 통해 접촉된 특정 디바이스와 MAC 어드레스 및 디바이스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교환된 MAC 어드레스 및 디바이스 정보를 통해, 디바이스 검색과정, 특정 디바이스와의 역할결정 및 특정 디바이스와의 인증정보 교환과정 없이,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Wi-Fi P2P을 연결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Wi-Fi 모듈(170)은 IEEE 802.11 의 규격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Wi-Fi 모듈(170)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Wi-Fi P2P 그룹을 형성(또는 생성)하여 데이터 교환 기능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Wi-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80)은 근거리 내에서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모듈이다.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8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접촉되는 특정 디바이스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과 통신을 연결하여 MAC 어드레스 및 Wi-Fi P2P 연결을 위한 디바이스의 정보를 교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8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가 될 수 있다.The short-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The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표시부(160)에는 상기 키 입력부(127)와 같은 키들을 표시할 수 있다. The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서 디바이스 연결 과정을 도 2 - 도 3을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The device connection process in the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원하는 디바이스와의 Wi-Fi P2P 연결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Fi P2P connection process with a desired device in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의 Wi-Fi P2P 설정화면이 표시되는 201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Wi-Fi P2P 연결을 원하는 특정 디바이스와 접촉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80)인 NFC을 통해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Wi-Fi P2P를 온 시켜서 상기 휴대단말기를 Wi-Fi P2P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203단계를 진행한다.Referring to FIG. 2, in
이때 상기 특정디바이스의 Wi-Fi P2P가 오프일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연경을 통해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Wi-Fi P2P가 온 되면서 상기 특정 디바이스를 Wi-Fi P2P 모드로 자동 전환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Wi-Fi P2P of the specific device is off, Wi-Fi P2P of the specific device is turned on through the close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pecific device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Wi-Fi P2P mode .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NFC를 통해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MAC 어드레스를 교환하는 동시에 디바이스 검색을 수행하는 204단계를 진행한다.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pecific device via the NFC, the
상기 디바이스의 검색결과, 검색된 디바이스 중 상기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MAC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디바이스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역할을 결정하는 207단계 그리고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인증정보를 교환하는 208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Wi-Fi P2P 연결을 성립하는 209단계를 진행한다.If there is a device matching the MAC address received from the specific device among the searched devices as a result of the search of the device, the
상기 특정 디바이스가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 중에 존재한다는 것은 Wi-Fi P2P 연결을 위한 디바이스 정보를 이미 교환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특정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었다는 것은 휴대단말기가 상기 특정 디바이스를 Wi-Fi P2P 연결을 원하는 특정 디바이스로 이미 선택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에 상기 특정 디바이스가 존재하면,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역할결정과정 및 디바이스와의 인증정보 교환과정을 수행한 후, Wi-Fi P2P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The existence of the specific device in the searched device means that the device information for the Wi-Fi P2P connection has already been exchanged. The fact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a specific device by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that the portable terminal has already selected the specific device as a specific device for which a Wi-Fi P2P connection is desired. Therefore, if the specific device exists in the searched devic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Wi-Fi P2P connection after performing the role determination process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exchange process between the specific device and the device.
그러나, 상기 디바이스의 검색결과,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 중 상기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MAC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2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80)인 NFC를 통해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Wi-Fi P2P 연결을 위한 디바이스 정보를 교환하는 206단계를 진행한다.However, if there is no device matching the MAC address received from the specific device among the searched devices as a result of the search of the device, the
그리고,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역할을 결정하는 207단계 및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인증정보를 교환하는 208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Wi-Fi P2P 연결을 성립하는 상기 209단계를 진행한다.After performing th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원하는 디바이스와의 Wi-Fi P2P 연결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Fi P2P connection process with a desired device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의 Wi-Fi P2P 설정화면이 표시되는 301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Wi-Fi P2P 연결을 원하는 특정 디바이스와 접촉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80)인 NFC을 통해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Wi-Fi P2P를 온 시켜서 상기 휴대단말기를 Wi-Fi P2P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303단계를 진행한다.Referring to FIG. 3, in
이때 상기 특정디바이스의 Wi-Fi P2P가 오프일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연경을 통해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Wi-Fi P2P가 온 되면서 상기 특정 디바이스를 Wi-Fi P2P 모드로 자동 전환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Wi-Fi P2P of the specific device is off, Wi-Fi P2P of the specific device is turned on through the close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pecific device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Wi-Fi P2P mode .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NFC를 통해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MAC 어드레스 및 Wi-Fi P2P 연결을 위한 디바이스 정보를 교환하는 304단계를 진행한다.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pecific device via the NFC, the
그리고, 디바이스 검색과정, 특정 디바이스와 역할결정 과정 및 특정 디바이스와 인증정보 교환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MAC 어드레스 및 Wi-Fi P2P 연결을 위한 디바이스 정보를 통해,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Wi-Fi P2P 연결을 성립하는 305단계를 진행한다. Then, without performing a device search process, a specific device and role determination process, and a process of exchang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a specific device, the MAC address and device information for Wi-Fi P2P connection received from the specific device, Proceed to step 305 to establish a Wi-Fi P2P connection.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110: 제어부, 170: Wi-Fi 모듈, 180:근거리 통신(NFC)모듈110: control unit, 170: Wi-Fi module, 180: short range communication (NFC) module
Claims (20)
제1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무선 통신부;
제2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 연결 모드에서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통한 상기 제1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특정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연결 모드에서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장치 검색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특정 장치의 상기 장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장치 검색 동작에 의해 검색된 장치들 중에서 상기 특정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특정 장치와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장치.
In the apparatus,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provide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provide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d a control unit,
Recei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device us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a communication connection mode for connect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Performing a device search operation us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od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specific device exists among devices retrieved by the device search operation based on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devic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connect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pecific device .
상기 제1 무선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은 Wi-Fi Peer to Peer (Wi-Fi P2P) 또는 Wi-Fi Direct를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herei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Wi-Fi Peer to Peer (Wi-Fi P2P) or Wi-Fi Direct.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는 NFC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는 Wi-Fi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n NFC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Wi-Fi module.
상기 특정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면 상기 통신 연결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And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ode when the specific device is connected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상기 특정 장치의 상기 장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장치 검색 동작에 의해 검색된 장치들 중에서 상기 특정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하면, Wi-Fi Peer to Peer (Wi-Fi P2P) protocol 또는 Wi-Fi Direct protocol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특정 장치의 상기 장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장치 검색 동작에 의해 검색된 장치들 중에서 상기 특정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특정 장치와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정보를 교환한 이후에 상기 특정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i-Fi Peer to Peer) protocol or a Wi-Fi Direct protocol (Wi-Fi Peer-to-Peer) protocol if it is confirmed that the specific device exists among devices retrieved by the device search operation based on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device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with the specific devic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specific device does not exist among the devices retrieved by the device search operation based on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device, And for communicating with the specific device after exchanging the device information.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특정 장치와 역할 결정 동작 및 인증 정보 교환 동작을 수행한 이후에 상기 특정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trols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a role determination operation and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exchange operation with the specific device, and then connects the communication with the specific device.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통해 교환된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And controls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with the specific device based on the device information includ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장치와 상기 특정 장치 간의 역할 결정 동작 및 상기 장치와 상기 특정 장치 간의 인증 정보 교환 동작 없이, 상기 특정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8. The apparatus of claim 7,
And controls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with the specific device without performing a role determination operation between the device and the specific device and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exchange operation between the device and the specific device.
특정 장치와 제1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제2 무선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 연결 모드에서 장치 검색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특정 장치의 상기 장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장치 검색 동작에 의해 검색된 장치들 중에서 상기 특정 장치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특정 장치의 상기 장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장치 검색 동작에 의해 검색된 장치들 중에서 상기 특정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특정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장치와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of connecting with a device at a wireless terminal,
Recei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device using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pecific device;
Performing a device search operation in a communication connection mode for connecting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Confirming whether the specific device exists among the devices retrieved by the device search operation based on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devic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c device exists among the devices retrieved by the device search operation based on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device, And connecting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pecific device.
상기 제1 무선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을 포함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comprises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상기 제2 무선 통신은 Wi-Fi Peer to Peer (Wi-Fi P2P) 또는 Wi-Fi Direct를 포함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Wi-Fi Peer to Peer (Wi-Fi P2P) or Wi-Fi Direct.
상기 특정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면 상기 통신 연결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utomatically switching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ode when the specific device is connected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특정 장치의 상기 장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장치 검색 동작에 의해 검색된 장치들 중에서 상기 특정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하면, Wi-Fi Peer to Peer (Wi-Fi P2P) protocol 또는 Wi-Fi Direct protocol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 및
상기 특정 장치의 상기 장치 식별 정보에 에 기반하여 상기 장치 검색 동작에 의해 검색된 장치들 중에서 상기 특정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제1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특정 장치와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정보를 교환한 이후에 상기 특정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i-Fi Peer to Peer) protocol or a Wi-Fi Direct protocol (Wi-Fi Peer-to-Peer) protocol if it is confirmed that the specific device exists among devices retrieved by the device search operation based on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device Connecting a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specific device does not exist among the devices retrieved by the device search operation based on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device,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pecific device and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specific device after exchanging the device information.
상기 특정 장치와 역할 결정 동작 및 인증 정보 교환 동작을 수행한 이후에 상기 특정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necting a communication with the specific device after performing a role determination operation and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exchange operation with the specific device.
상기 특정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with the specific device based on the device information includ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pecific device.
상기 무선 단말기와 상기 특정 장치간의 역할 결정 동작 및 상기 무선 단말기와 상기 특정 장치간의 인증 정보 교환 동작 없이, 상기 특정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necting a communication with the specific device without performing a role determination opera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specific device and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exchange opera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specific device.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가 특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특정 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와 상기 특정 장치 간에 장치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 이외의 무선 프로토콜을 통한 제2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 연결 모드에서 장치 검색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교환된 장치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장치 검색 동작에 의해 검색된 장치들 중에서 상기 특정 장치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특정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교환된 장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 단말기와 상기 특정 장치간의 상기 제2 통신 연결을 성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for connecting a wireless terminal to a device via a local area communication connection,
Confirming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is connected to a specific device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Exchanging device informa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specific device us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when the wireless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pecific device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Performing a device search operation in a communication connection mode for a second communication connection through a wireless protocol other tha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Confirming whether the specific device exists among devices retrieved by the device search operation based on at least a part of the exchanged device information; And
And establishing the second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specific device based on the exchanged device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c device exists.
상기 제2 통신 연결은 Wi-Fi Peer to Peer (Wi-Fi P2P) 연결 또는 Wi-Fi Direct 연결을 포함하는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econd communication connection comprises a Wi-Fi Peer to Peer (Wi-Fi P2P) connection or a Wi-Fi Direct connection.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connection with a device in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6.
18.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connecting a wireless terminal to a device via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to 1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6065A KR101981280B1 (en) | 2017-10-19 | 2017-10-19 |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device in wireless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6065A KR101981280B1 (en) | 2017-10-19 | 2017-10-19 |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device in wireless terminal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10126681A Division KR20130060556A (en) | 2011-11-30 | 2011-11-30 |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device in wireless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0544A KR20170120544A (en) | 2017-10-31 |
KR101981280B1 true KR101981280B1 (en) | 2019-05-23 |
Family
ID=60301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6065A Active KR101981280B1 (en) | 2017-10-19 | 2017-10-19 |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device in wireless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1280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44912A1 (en) * | 2008-10-15 | 2010-04-22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Near field communication search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
US20110081923A1 (en) * | 2009-10-02 | 2011-04-07 | Babak Forutanpour | Device movement user interface gestures for file sharing functionality |
US20110275316A1 (en) * | 2010-05-10 | 2011-11-10 | Nokia Corporation | Device to device connection setup using near-field communication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892052B2 (en) * | 2002-03-26 | 2005-05-10 | Nokia Corporation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ased discovery for short range radio communication |
-
2017
- 2017-10-19 KR KR1020170136065A patent/KR10198128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44912A1 (en) * | 2008-10-15 | 2010-04-22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Near field communication search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
US20110081923A1 (en) * | 2009-10-02 | 2011-04-07 | Babak Forutanpour | Device movement user interface gestures for file sharing functionality |
US20110275316A1 (en) * | 2010-05-10 | 2011-11-10 | Nokia Corporation | Device to device connection setup using near-field communic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0544A (en) | 2017-10-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80481B2 (en) | Device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in portable terminal | |
JP6311755B2 (en) |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 |
EP3379895B1 (en) | Device and method | |
US8833641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network connection in a portable terminal | |
KR10196407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bluetooth device in portable terminal | |
KR20130029237A (en) |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device in wireless terminal | |
CN114697929B (en) |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EP3226590B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KR101981280B1 (en) |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device in wireless terminal | |
KR20120078978A (en) |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terminal | |
KR20130044908A (en) | Device and method for discovering device in wireless terminal | |
US20240147223A1 (en) | Remote configuration method of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mote configuration mode | |
CN118450534B (en) | Communica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program product, and chip | |
JP2023158555A (en) |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JP2018129639A (en) | Communication system, data processing unit,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101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11130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1012668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1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71019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5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