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546B1 - Operating Method for Image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Operating Method for Image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0546B1 KR101980546B1 KR1020130001174A KR20130001174A KR101980546B1 KR 101980546 B1 KR101980546 B1 KR 101980546B1 KR 1020130001174 A KR1020130001174 A KR 1020130001174A KR 20130001174 A KR20130001174 A KR 20130001174A KR 101980546 B1 KR101980546 B1 KR 1019805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pointer
- remote control
- display coordinates
- displ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86 mem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원격제어장치 및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원격제어장치와 사용자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포인터 표시를 위한 표시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표시 좌표에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원격제어장치 및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최적화된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하고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user, determining the display coordinates for the pointer display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user And displaying the pointer at the determined display coordinates. The pointer can be displayed and used at an optimized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user,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제어장치 동작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of improving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improving user convenience.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The image display device i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displaying an image that a user can watch. The user can watch the broadcast through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video display device displays a broadcast selected by a user on a display among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Currently, broadcasting is shifting from analog broadcasting to digital broadcasting worldwide.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향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Digital broadcasting refers to broadcasting for transmitting digital video and audio signals. Digital broadcasting is more resistant to external noise than analog broadcasting, so it has less data loss, is advantageous for error correction, has a higher resolution, and provides a clearer picture. In addition, unlike analog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is capable of bidirectional services.
한편, 영상표시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원격제어장치(리모콘) 등이 이용되고 있다. 영상표시장치에서 실행되는 동작의 다변화에 따라, 원격제어장치에 대해서도 다양한 기능이 추가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or the like is used to operate the image display device. As the opera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s diversified, various functions are additionally required for the remote control device. Therefore, in the video display device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various methods for increasing the user's convenience have been studied.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제어장치 동작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improves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improves the user convenien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원격제어장치 및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원격제어장치와 사용자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포인터 표시를 위한 표시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표시 좌표에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 location of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user, based on a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user, Determining display coordinates and displaying a pointer on the determined display coordinates.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제어장치 및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최적화된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하고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inter can be displayed and used at an optimized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the user,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7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1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of FIG. 1.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remote controller of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method of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merely given in consideration of ease of prepara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o not impart any particular meaning or role by themselves. Therefore, the "module" and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튜너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The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and if the analog broadcas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 / SIF). That is, the
또한, 튜너부(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튜너부(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Meanwhile, the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The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The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19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external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A / V input / output unit may receive a video and audio signal of an external devi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perform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other electronic devic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The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로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다른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The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저장부(140)는 IR 신호로써 다른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IR 포맷 키(key)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고, 복수의 전자기기의 IR 포맷 키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1은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1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The user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개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정보 외에, 개인 정보에 의해 접속 중인 웹 서버 정보를 더 수신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300)와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여,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수행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휴대 단말기(300) 내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장치(200)는, IR 방식 또는 RF 방식 등에 따라, 개인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수신되는 개인 정보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300 and the
한편, 이때의 개인 정보는, 휴대 단말기(300)에 대한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 개인 이메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개인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에 대한,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 개인 이메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개인 정보는, 휴대 단말기(300)를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에서 공용으로 사용 가능한, 개인 아이디 정보 또는 비밀 번호 정보 등일 수 있다. 또는, 개인 정보는, 휴대 단말기(300)에서 미리 저장된 소정 웹 서버로의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 등일 수 있다. 또는, 개인 정보는, 휴대 단말기(300)를 비롯한 영상표시장치(100) 등에서 사용 가능한, 소정 웹 서버로의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 등일 수 있다. 또는, 개인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접속된 서버에 대한,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 등일 수 있다.Meanwhile, the personal information at this time may include personal ID information, password information, personal email information, and the like for the mobile terminal 300. Alternatively,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include personal ID information, password information, personal email information, and the like for the
즉, 개인 정보는 전자기기 또는 서비스에 대하여 소정 계정으로 로그인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That is,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necessary to log in to a predetermined account for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service.
한편,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로부터, 다른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The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을 참조하여 후술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The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Meanwhile, the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160)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The
제어부(170)는, 공지된 다양한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고, 기타 사용자의 손을 감지할 수 있다.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로그인은, 영상표시장치(100) 자체의 로그인,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접속된 서버로의 로그인 또는 개인 정보에 의해 가입된 소정 웹 서버로의 로그인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수신되는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에 의해, 영상표시장치(100) 자체에 로그인한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 계정별로 설정된 개인 화면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청 중인 영상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시청 중인 영상과 함께, 개인 설정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시청 중인 영상을 장면 전환하여, 개인 설정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when the user logs in to the
다른 예로, 영상표시장치(100)에 접속된 서버로의 로그인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해당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서버 접속 화면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앱 서버(app server) 화면일 수 있다. 시청 중인 영상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시청 중인 영상과 함께, 서버 접속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시청 중인 영상을 장면 전환하여, 서버 접속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As another example, when logging in to a server connected to the
다른 예로, 수신되는 개인 정보가 다른 전자기기,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기(300)에서 접속 중인 소정 웹 서버들에 대한 개인 정보인 경우,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해당 웹 서버들에 접속하도록 제어하고, 접속된 웹 서버에 대한 화면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웹 서버들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들일 수 있다. 시청 중인 영상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시청 중인 영상과 함께, 접속된 웹 서버에 대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시청 중인 영상을 장면 전환하여, 접속된 웹 서버에 대한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received personal information is personal information about predetermined web servers that are connected to another electronic device, specifically, the mobile terminal 300, the
한편, 제어부(170)는, 개인 정보가 수신된 상태에서,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원이 오프상태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원을 온 하도록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개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웨이크 업 모드(wake up mode)로 전환하여, 각 종 모듈 또는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체이스부(135) 또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개인 정보에 따라, 각 전자기기 등이 접속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다른 전자기기가 로그인 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또는,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해당 기기 정보,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복호화딘 영상 등과 함께 스트림 복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signal or the external input signal. The channel browsing processor may receive a stream signal TS output from the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18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은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humbnail list may be displayed in a simple viewing manner displayed in a partial region while a predetermined image is displayed on the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The
디스플레이(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The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The
촬영부(160)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160)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160)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16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제어부(170)는, 촬영부(160)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The
또한, 제어부(170)는, 촬영부(160)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원격제어장치(200) 기타 오브젝트의 위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는, 소정 전자기기와 근거리 자기장 통신 등에 의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는, 상술한 바에 따라, 휴대 단말기, 영상표시장치, 또는 전자기기 등에서 사용 가능한,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수신되는 개인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의 통신 방식은, IR 방식 또는 RF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 표시가 가능한 공간 리모콘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즉, 원격제어장치(200)는, RF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개인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개인 정보 외에, 개인 정보에 의해 접속 중인 웹 서버 정보 등을 더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에서 로그인 접속 중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웹 서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웹 서버 정보도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된다.Meanwhile, the
한편,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로부터, 다른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다른 전자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기기로 채널, 주파수 또는 코드를 할당하여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device information of another electronic device, channel information remotely controllable by another electronic device, frequency information, code information, and the like from the adjacent electronic device around the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Meanwhile, the above-described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Meanwhile, a block diagram of the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1의 도시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 2은 도 1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FIG.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of FIG. 1.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The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The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The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OSD 생성부(340)는, 영상표시장치(100) 자체에 로그인이 된 경우, 설정된 개인 화면을 생성 또는 구성할 수 있다. 또는, OSD 생성부(340)는, 접속된 서버로의 로그인하는 경우, 해당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서버 접속 화면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서버 접속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생성하거나 구성할 수 있다. 또는, OSD 생성부(340)는, 개인 정보에 의해 접속 중인 웹 서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웹 서버 접속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생성하거나 구성할 수 있다. Meanwhil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이때,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각각 2D 신호 및 3D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The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포맷터(Formatter)(360)는, 믹서(345)에서 믹싱된 신호, 즉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1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The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3D 영상 표시를 위해,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거나,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The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Also, the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The data processor (not shown) in the
한편, 도 2에서는 OSD 생성부(340)와 영상 처리부(320)으로부터의 신호를 믹서(345)에서 믹싱한 후, 포맷터(360)에서 3D 처리 등을 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믹서가 포맷터 뒤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FIG. 2, the signals from the
한편,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Meanwhile, a block diagram of the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도 3은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remote controller of FIG. 1.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As illustrated in FIG. 3A, a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3의 (b)), 앞뒤(도 3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The user can move or rotate the
도 3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3B illustrates that when the user moves the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도 3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3C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user moves the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ile pressing a specific button in the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oving speed o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간리모콘(201)은, 각종 입력키 또는 입력 버튼 등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patial remote control 2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input keys or input buttons.
예를 들어, 공간리모콘(201)은, 확인키(Okay key)(291), 메뉴키(292), 사방향키(293), 채널 조정키(294), 볼륨 조정키(296)를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patial remote control 201 may include an
예를 들어, 확인키(Okay key)(291)는 메뉴 또는 항목 선택시 사용 가능하며, 메뉴키(292)는 소정 메뉴 표시를 위해 사용 가능하며, 사방향키(293)는 포인터 또는 인디케이터를 상,하,좌우 이동시 사용 가능하며, 채널 조정키(294)는 채널 상, 하 조정시 사용 가능하며, 볼륨 조정키(296)는, 볼륨 업, 다운 조정 시 사용 가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또한, 공간리모콘(201)은, 백 키(back key)(297), 홈 키(home key)(29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키(back key)(297)는 이전 화면 이동시 사용 가능하며, 홈 키(298)는, 홈 화면으로의 이동시 사용될 수 있다. The spatial remote control 201 may further include a
한편, 도면과 같이, 확인키(291)는, 스크롤 기능이 추가된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확인키(291)는 휠 키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즉, 확인키(291)가 눌려지는 경우, 해당 메뉴 또는 항목 선택으로 사용되고, 확인키(291)가 상,하로 스크롤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 스크롤링 또는 리스트 페이지 전환 등이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figure, the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80)에 디스플레이의 사이즈 보다 더 큰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해당 영상 탐색을 위해 확인키(291)를 스크롤링하면,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 않던 영상 영역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된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180)에 리스트 페이지가 표시되는 경우, 확인키(291)를 스크롤링하면, 현재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In detail, when an imag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display is displayed on the
이러한 스크롤 기능은, 확인키(291)가 아닌 별도의 키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scroll function may be provided as a key other than the
한편, 사방향키(293)는, 도면과 같이, 원형 타입에서, 상,하,좌,우키가 각각 사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사방향키(293)에 대한 터치 입력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방향키(293) 내의 상 키(up key)에서부터 하 키(down key)까지 터치 동작이 있는 경우, 해당 터치 입력에 따라, 설정된 기능이 입력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ur-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무선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The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위한, NFC 모듈(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The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소정 전자기기와 근거리 자기장 통신 등에 의해, 개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수신되는 개인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의 통신 방식은, IR 방식 또는 RF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The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개인 정보 외에, 개인 정보에 의해 접속 중인 웹 서버 정보 등을 더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300)에서 로그인 접속 중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웹 서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웹 서버 정보도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다른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다른 전자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기기로 채널, 주파수 또는 코드를 할당하여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키(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e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The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또는,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흐름을 파악해 나침반처럼 방위를 탐지할 수 있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여 방위의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The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The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The
또한, 저장부(270)는 IR 신호로써 다른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IR 포맷 키(key)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고, 복수의 전자기기의 IR 포맷 키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제어부(280)는, 전자기기와 근거리 자기장 통신 등에 의해, 수신된 개인 정보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280)는, 수신된 개인 정보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그 외, 제어부(280)는, 수신된 개인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 외의 다른 전자기기에도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각 전자기기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채널, 주파수 또는 코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채널, 주파수 또는 코드는, 미리 다른 전자기기로부터의 기기 정보,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에 기반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211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215)를 구비할 수 있다. The user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2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2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가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좌표값 산출부(215)는 무선통신부(21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포인터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The coordinate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880)로 전송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2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어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As another example, the coordinate
도 6은 원격제어장치 동작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스마트 TV 보급에 따라 사용자가 컨트롤해야 할 작업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UI의 복잡성이 증가되었고, 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공간 리모콘과 같은 포인팅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다. 포인팅 장치들은 대체로 막대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사용시 조작 대상에 대하여 자연스럽게 지향성을 지니게 된다.As the number of tasks to be controlled by the user increases with the spread of smart TVs, the complexity of the UI has increased, and a pointing remote controller such as a space remote controller is used to efficiently use it. Since the pointing devices generally take the form of a rod, they are naturally oriented towards the object of operation in use.
원격제어장치가 페어링되거나,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하여 포인터가 표시될 때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는 위치, 예를 들어, 화면(screen) 중앙에 표시된다.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paired or in the wake-up mode and the pointer is displayed, it is display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consider the user's position, for example, the center of the screen.
따라서, 사용자의 위치 및 원격제어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동작 상황을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포인팅이 불편하고 부정확해질 수 있다.Thus, by not considering the user's location and the operating situation of the user who is us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the pointing may be inconvenient and inaccurate.
한편, 포인팅 원격제어장치는 평면 디스플레이를 대상으로 2차원 좌표를 생성하는데,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상대좌표계를 사용하는 경우 커서 이동 영역은 화면크기로 제한된다.On the other hand, the pointing remote control device generates two-dimensional coordinates for a flat panel display, when using a relative coordinate system using a gyro sensor, the cursor movement area is limited to the screen size.
이와 같은 경우, 공간 포인팅 원격제어장치의 지향점이 화면을 벗어났다 들어올 때 화면을 벗어난 만큼 커서의 위치와 장치의 지향점이 불일치하여 직관성 저하와 손목 꺾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In such a case, when the orientation point of the spatial pointing remote control device leaves the scree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sition of the cursor and the orientation point of the device are inconsistent as the off-screen direction causes a loss of intuition and wrist bending.
도 6과 같이 원격제어장치를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하게 되면 현재 상태의 원격제어장치(200)의 위치 또는 사용자가 포인터가 표시되길 원하는 위치(402)와 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포인터 위치(401) 간에 오차(e)가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used for a certain time as shown in FIG. ) May occur.
영상표시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수평, 수직 이동량을 산출하고, 이전 포인터 위치에 산출된 이동량을 더해주면 포인터가 표시될 새로운 좌표가 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산출된 좌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포인터가 표시된다.The
오차의 발생 원인은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 센서류의 센서 오차, 센서 자체 오차에 의한 적분 오차, 실제 동일 거리 이동시 원격제어장치 상태, 움직임 방법, 속도 등에 따른 센서 출력 값 변동 등이다. 상기와 같은 오차들은 계속 누적되기 때문에 일정 시간 경과 후에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위치 또는 지시 영역과 표시되는 포인터 위치(401) 간에 오차(e)가 발생할 수 있다.The cause of the error is sensor error of sensors such as gyro sensor and acceleration sensor, integration error due to sensor itself error, sensor output value variation according to remote controller status, movement method, speed, etc. when moving the same distance. Since the above errors continue to accumulate, an error (e) may occur between a position or an indication area of the
따라서, 원격제어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중에도, 사용자와 원격제어장치의 위치 관계에 따라 포인터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even while us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pointer according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제어장치 동작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can improve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8 내지 도 12는 도 7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to 1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method of FIG. 7.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 및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다.(S710)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촬영부(160)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160)는 사용자의 신체 중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얼굴이나 손을 촬영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촬영부(160)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160)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16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제어부(170)는, 촬영부(160)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The
제어부(170)는, 촬영부(160)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The
또한, 제어부(170)는, 촬영부(160)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원격제어장치(200) 기타 오브젝트의 위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와 상기 사용자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포인터 표시를 위한 표시 좌표를 결정하고,(S720) 디스플레이(180) 화면 중 상기 결정된 표시 좌표에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30) On the other hand, the
종래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 장치의 한계 상 초기 제어권 획득 시 항시 포인터를 화면 정 가운데에서 시작했다. 이 경우에, 시청자 위치에 따라 해당 시작 위치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pointing device, the pointer always starts at the center of the screen when the initial control right is acquired. In this case, there is a case where the corresponding start position is not suitable depending on the viewer posi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카메라, 기타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원격제어장치(200)로 사용되는 포인팅 디바이스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여 최적화된 표시 좌표를 결정하여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the optimized display coordinates by using the camera and other sensors to determin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pointing device used as the
한편, 상기 감지 단계(S710)는, 상기 원격제어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tecting step (S710), it may be characterized by detecting the face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user.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170)는, 도 8의 (a)와 같이, 상기 원격제어장치(200)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800)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Rx, Ry)보다 우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A, when the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도 8의 (b)와 같이, 상기 원격제어장치(200)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800)보다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Rx, Ry)보다 좌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도 8의 (c)와 같이, 상기 원격제어장치(200)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800)과 동일선상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포인터(205)를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Rx, Ry)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즉, 원격제어장치가 사용자를 기준으로 좌측에 있으면,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 예를 들어, 화면 정중앙지점에서 좌측에 포인터를 표시하고, 원격제어장치가 사용자를 기준으로 우측에 있으면, 화면 정중앙지점에서 우측에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That is, if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on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user, a default setting coordinate, for example, displays a pointer on the left side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nd if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on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user, You can mark the pointer on the right side of the point.
한편, 제어부(170)는 사용자 얼굴(800)과 원격제어장치(200)의 거리(a1, b1)에 기초하여, 상기 디폴트 설정 좌표(Rx, Ry)를 기준으로 한 좌표 변화량들(a2, b2)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얼굴(800)과 원격제어장치(200)의 거리(a1, b1)과 상기 좌표 변화량들(a2, b2)은 비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기준 거리 이상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좌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하고,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기준 거리 이상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우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원격제어장치와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이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포인터의 표시 위치를 변경할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가 사용자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기준 거리 보다 더 떨어진 경우에만 포인터가 표시될 좌표를 변경할 수 있다.When the face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recognized user a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necessity of chang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pointer may be relatively low. Therefore, the
한편,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S720)에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와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거리에 비례하는 보정값을,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에 적용하여, 표시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와 얼굴 사이의 거리에 비례식을 적용하여 스케일링(scaling) 팩터를 산출하고, 이를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 예를 들어, 화면 정중앙지점에 합산 또는 곱하여 표시 좌표를 변경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isplay coordinate calculation step (S720), the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S720)는, 복수의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원격제어장치와 가장 가까운 거리의 얼굴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표시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lay coordinate calculation step (S720), when detecting the face of a plurality of users, can calculate the display coordinates based on the face position of the distance closest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have.
영상표시장치(100)는 가족 등 복수의 사용자가 함께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카메라가 복수의 얼굴을 감지한 경우에는 원격제어장치와 상대적으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얼굴을 우선 사용자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우선 사용자와 원격제어장치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포인터의 표시 좌표를 산출하고, 결정할 수 있다.The
도 9를 참초하면, 영상표시장치가 원격제어장치(200) 및 3명의 사용자(910, 920, 930)를 감지한 경우에,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3명의 사용자(910, 920, 930) 사이의 거리(c1, c2, c3)를 각각 판별하고 비교하여 가장 가까운 거리의 사용자(920)를 우선 사용자로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detects th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원격제어장치 및 사용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포인터의 표시 좌표를 주기적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periodicall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user and periodically correcting the display coordinates of the pointer. .
제어부(170)는 연속적으로 또는 소정 주기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중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감지하고, 원격제어장치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판정할 수 있다.The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원격제어장치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포인터의 표시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원격제어장치 및 사용자의 위치의 감지를 실패한 경우에,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S720)에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를 상기 표시 좌표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원격제어장치 및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 제어부(170)는 일단 종래와 같이 디폴트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고, 이후 감지된 위치 정보에 따라 포인터의 표시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ction of the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user fails, in the display coordinate calculation step (S720), th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모션(motion)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의 새로운 표시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새로운 표시 좌표에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motion information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calculating new display coordinates of the pointer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the pointer at the new display coordinates.
이 경우에, 상기 새로운 표시 좌표 산출 단계는, 상기 모션 정보 중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위치 변화량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 변화량을 뺀 값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표시 좌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alculating of the new display coordinates may include calculating the new display coordinates based on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position change amount of the user from the position change amou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mong the motion information.
제어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포인터를 표시한 후에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원격제어장치의 센싱된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도록 포인터를 이동 표시할 수 있다.After the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와 사용자가 같이 움직이는 경우에,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를 들고 이동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자신의 이동량은 포인터의 이동에 반영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디폴트 위치(Rx, Ry)에 포인터(205)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를 들고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경우를 살펴보자. 통상적으로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의 이동량(e1)의 이동량에 대응하여 포인터(205)의 이동량(e3)을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이동량(e2)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의 이동량(e1)에서 사용자의 이동량(e2)의 차이가 기준값을 뺀 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포인터를 이동시키지 않고, 표시 위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감지 단계(S710)는, 촬영부 또는 센서부를 통하여, 상기 원격제어장치, 상기 사용자의 얼굴 및 상기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원격제어창치와 얼굴 외에 사용자의 손을 추가적으로 더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얼굴 대신 감지된 손을 기준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nsing step (S710), it may be characterized by detec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the user's face and the user's han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or the sensor unit. In some embodiments, the user's hand may be additionally detected in addition to the remote control window and the face, or the detected hand may be used as reference information instead of the user's face.
한편, 사용자의 손과 원격제어장치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기준으로 포인터의 표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position of the pointer may be changed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hand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예를 들어,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S720)는, 상기 사용자의 손이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좌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이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우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coordinate calculation step (S720), when the user's hand is located to the left side of the user's face, determines the display coordinates to the left of the default setting coordinates of the pointer, When the user's hand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user's face, the display coordinates may be determined to the right of the pointer.
또는,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S720)는,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손이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기준 거리 이상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좌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이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기준 거리 이상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우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isplay coordinate calculation step (S720), the display coordinate calculation step, when the user's hand is located to the left of the reference distance or more than the user's face, the left than the default setting coordinates of the pointer The display coordinates may be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display coordinates, and the display coordinates may be determined to the right of the pointer when the user's hand is located to the right by more than a reference distance from the face of the user. .
이 경우에도, 사용자의 얼굴과 원격제어장치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기준으로 포인터의 표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Even in this case, the display position of the pointer may be changed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face and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따라서,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S720)는,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좌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하고,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우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display coordinate calculation step (S720),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located to the left of the face of the user, determines the display coordinates to the left of the default setting coordinates of the pointer, the remote control When the device is located to the right of the face of the user, the display coordinates may be determined to the right of the pointer rather than the default setting coordinates.
또한,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S720)는,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는,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기준 거리 이상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좌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하고,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기준 거리 이상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우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coordinate calculation step (S720), the display coordinate calculation step,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located to the left of the reference distance more than the user's face, the left than the default setting coordinates of the pointer The display coordinates may be determined, and the display coordinates may be determined to the right of a default setting coordinate of the pointer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located at a right side of the user by more than a reference distance.
한편,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S720)에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와 상기 사용자의 손 또는 얼굴의 거리에 비례하는 보정값을,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에 적용하여, 표시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와 손 또는 얼굴 사이의 거리에 비례식을 적용하여 스케일링(scaling) 팩터(factor)를 산출하고, 이를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 예를 들어, 화면 정중앙지점에 합산 또는 곱하여 표시 좌표를 변경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isplay coordinate calculation step (S720), the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이 상기 사용자의 얼굴(1110) 또는 손(1120)과 거리가 기설정된 기준 거리(f1) 이내인 경우에는 디폴트 설정 좌표(Rx, Ry)에 포인터(205)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1130)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또는 기준 거리(f1)보다 더 멀리 우측으로 떨어진 경우에 디폴트 설정 좌표(Rx, Ry)의 우측에 포인터(205)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사용자 얼굴(1130)과 원격제어장치(200)의 거리(f2)와 상기 좌표 변화량(f3)은 비례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tance f2 between the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1130)과 손(1140)의 상대적인 거리에 따라 상기 표시 좌표를 산출할 수도 있다.The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S720)는, 복수의 사용자의 손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원격제어장치와 가장 가까운 거리의 손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표시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lay coordinate calculation step (S720), when detecting the hand of a plurality of users, can calculate the display coordinates based on the hand position of the closest distance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have.
영상표시장치(100)는 가족 등 복수의 사용자가 함께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카메라(160)가 복수의 손을 감지한 경우에는 원격제어장치와 상대적으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손을 우선 사용자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우선 사용자와 원격제어장치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포인터의 표시 좌표를 산출하고, 결정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S720)에서, 제어부(170)는, 상기 원격제어장치를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이 왼손인지 오른손인지에 따라 다른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이, 제어부(170)는, 왼손으로 원격제어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면, 디폴트 위치의 왼쪽에 포인터가 표시되도록 표시 좌표를 변경하고, 오른손으로 원격제어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면, 디폴트 위치의 오른쪽에 포인터가 표시되도록 표시 좌표를 변경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isplay coordinate calculation step (S720),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제어장치 및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최적화된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하고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inter can be displayed and used at an optimized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the user,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한편, 본 발명은 도면들에서 포인터의 예로 도시된 모양에 한정되지 않으며, 커서나 이미지, 아이콘 등으로 다양하게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as an example of the pointer in the drawings, it can be variously displayed by a cursor, an image, an icon, or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are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May be optionally combined.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ng method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processor-readable code on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vid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Examples of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processor-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튜너부 120: 복조부
130 :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135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40 : 저장부 150 :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170 : 제어부 180 : 디스플레이
200 : 원격제어장치110: tuner portion 120: demodulation portion
130: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network interface unit 140: storage unit 150: user input interface unit 170: control unit 180: display
200: remote control device
Claims (18)
상기 원격제어장치와 상기 사용자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포인터 표시를 위한 표시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에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모션(motion)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의 새로운 표시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표시 좌표에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표시 좌표 산출 단계는, 상기 모션 정보 중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위치 변화량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 변화량을 뺀 값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표시 좌표를 산출하며,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위치 변화량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 변화량을 뺀 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지 않고, 표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Sensing the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user;
Calculating display coordinates for pointer display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user; And,
Displaying a pointer on the calculated display coordinates;
Receiving motion information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Calculating new display coordinates of the pointer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pointer at the new display coordinates;
The calculating of the new display coordinates may include calculating the new display coordinates based on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position change amount of the user from the position change amou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mong the mo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user from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smaller than a reference value, the display position is maintained without moving the pointer.
상기 감지 단계는, 상기 원격제어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cting step may include detecting the face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the user.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는,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좌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하고,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우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2,
In the displaying coordinate calculating step,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located to the left of the user's face, the display coordinates are determined to the left of the pointer from the default setting coordinates of the pointer, and the remote controller determines the display coordinates of the user. And determining the display coordinates to the right of the pointer when positioned at the right side of the face.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는,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기준 거리 이상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좌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하고,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기준 거리 이상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우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2,
In the displaying coordinate calculating step,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located to the left of the user by more than a reference distance, the display coordinates are determined to the left of the default setting coordinates of the pointer. And determining the display coordinates to the right of the pointer when the position is located at the right side by more than a reference distance from the face of the user.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와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거리에 비례하는 보정값을,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에 적용하여, 표시 좌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2,
In the displaying coordinate calculating step, the display coordinates are determined by applying a correction value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user's face to the default setting coordinates of the pointer. Method of operation.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는, 복수의 사용자의 얼굴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원격제어장치와 가장 가까운 거리의 얼굴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표시 좌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2,
In the displaying coordinate calculating step, when the plurality of user faces are detected, the display coordinates are calcula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face closest to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감지 단계는, 상기 원격제어장치, 상기 사용자의 얼굴 및 상기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cting step may include detec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the face of the user and the user's hand.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는, 상기 원격제어장치를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이 왼손인지 오른손인지에 따라 다른 설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alculating of the display coordinates may include applying different settings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s hand holding the remote controller is a left hand or a right hand.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손이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좌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이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우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displaying coordinate calculating step, when the user's hand is located to the left of the user's face, the display coordinates are determined to the left of a default setting coordinate of the pointer, and the user's hand is determined by the user's hand. And determining the display coordinates to the right of the pointer when positioned at the right side of the face.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손이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기준 거리 이상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좌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이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기준 거리 이상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우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displaying coordinate calculating step, when the user's hand is located to the left of the user's face by more than a reference distance, the display coordinates are determined to the left of a default setting coordinate of the pointer. And determining the display coordinates to the right of the pointer when the position is located at the right side by more than a reference distance from the face of the user.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는,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좌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하고,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우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displaying coordinate calculating step,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located to the left of the user's face, the display coordinates are determined to the left of the pointer from the default setting coordinates of the pointer, and the remote controller determines the display coordinates of the user. And determining the display coordinates to the right of the pointer when positioned at the right side of the face.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는,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기준 거리 이상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좌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하고,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보다 기준 거리 이상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보다 우측으로 표시 좌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displaying coordinate calculating step,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located to the left of the user by more than a reference distance, the display coordinates are determined to the left of the default setting coordinates of the pointer. And determining the display coordinates to the right of the pointer when the position is located at the right side by more than a reference distance from the face of the user.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와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거리에 비례하는 보정값을,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에 적용하여, 표시 좌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displaying coordinate calculating step, the display coordinates are determined by applying a correction value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user's face to the default setting coordinates of the pointer. Method of operation.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는, 복수의 사용자의 손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원격제어장치와 가장 가까운 거리의 손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표시 좌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displaying coordinate calculating step, when the plurality of user's hands are detected, the display coordinates are calculated based on a hand position of a distance closest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상기 원격제어장치 및 사용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포인터의 표시 좌표를 주기적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1,
Periodically sensing the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user; And,
And periodically correcting display coordinates of the pointer.
상기 원격제어장치 및 사용자의 위치의 감지를 실패한 경우에,
상기 표시 좌표 산출 단계는, 상기 포인터의 디폴트(default) 설정 좌표를 상기 표시 좌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1,
If the detection of the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user fails,
In the calculating of the display coordinates, a default setting coordinate of the pointer is determined as the display coordinates.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1174A KR101980546B1 (en) | 2013-01-04 | 2013-01-04 | Operating Method for Image Display apparatus |
PCT/KR2013/010466 WO2014106991A1 (en) | 2013-01-04 | 2013-11-18 | Operating method of image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1174A KR101980546B1 (en) | 2013-01-04 | 2013-01-04 | Operating Method for Image Display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9209A KR20140089209A (en) | 2014-07-14 |
KR101980546B1 true KR101980546B1 (en) | 2019-08-28 |
Family
ID=51062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1174A Expired - Fee Related KR101980546B1 (en) | 2013-01-04 | 2013-01-04 | Operating Method for Image Display apparatu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0546B1 (en) |
WO (1) | WO2014106991A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158511A1 (en) * | 2010-06-17 | 2011-12-2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Instruction input device, instruction input method,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integrated circuit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760400B2 (en) * | 2007-09-07 | 2014-06-24 | Apple Inc. | Gui applications for use with 3D remote controller |
KR101585466B1 (en) * | 2009-06-01 | 2016-01-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Electronic Appliance Using Motion Detection and Electronic Appliance Employing the Same |
KR101695728B1 (en) * | 2010-12-21 | 2017-01-2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system including stereo camera and position detecting method using the same |
KR101314685B1 (en) * | 2011-04-11 | 2013-10-07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Display apparatus having camer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789683B1 (en) * | 2011-06-13 | 2017-11-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nd remote controller |
-
2013
- 2013-01-04 KR KR1020130001174A patent/KR10198054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11-18 WO PCT/KR2013/010466 patent/WO201410699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158511A1 (en) * | 2010-06-17 | 2011-12-2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Instruction input device, instruction input method,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integrated circu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106991A1 (en) | 2014-07-10 |
KR20140089209A (en) | 2014-07-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5092B1 (en) | Operating Method for Image Display apparatus | |
US11449297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
KR20130130453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
US9432739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US9715287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US20160216852A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
KR20130026234A (en) | An image display device, a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2313306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obile termial | |
US9400568B2 (en) |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 |
US20170308509A1 (en) | Image display device | |
KR20130042325A (en) | Remote controller | |
KR102782042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KR101980546B1 (en) | Operating Method for Image Display apparatus | |
KR20160097023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
KR20130042326A (en) | Remote controller | |
KR101828399B1 (en) |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 |
KR101799315B1 (en) |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 |
US20160062479A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1809045B1 (en) |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40020653A (en) |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60081650A (en) | Image providing apparatus | |
KR20130019258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30010687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80107952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
KR20140081266A (en) | Remote controll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1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