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227B1 - Note-book - Google Patents
Note-boo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0227B1 KR101980227B1 KR1020170005616A KR20170005616A KR101980227B1 KR 101980227 B1 KR101980227 B1 KR 101980227B1 KR 1020170005616 A KR1020170005616 A KR 1020170005616A KR 20170005616 A KR20170005616 A KR 20170005616A KR 101980227 B1 KR101980227 B1 KR 1019802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nge
- tablet
- main body
- unit
- display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을 제공한다. 상기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은, 키보드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전 연결되며, 상기 키보드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본체부의 씨피유에 외부 정보를 입력하는 평판 형상의 타블릿 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부와, 상기 타블릿 부를 힌지 연결하여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타블릿 부를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펼쳐지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밀착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tebook having an integral tablet. The notebook having the integrated table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keyboard; A display unit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outputting information input by the keyboard to the outside; A tablet-like tablet unit for inputting external information to a cigarette of the main body; And a rotation part for hinging the tablet part by hinging the tablet part and unfolding the tablet part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according to the rotation position or rotating the tablet part so as to be close to the display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트북 본체에 힌지 타입으로 타블릿을 설치하여, 타블릿을 사용하는 경우 펼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폴딩할 수 있는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tebook having an integrated tab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tebook having a hinge type tablet mounted on a notebook body, and a foldable tablet when the tablet is used.
통상, 노트북을 포함하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스타일러스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 마우스로 정보를 입력하기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Generally, when using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including a stylus program in a personal computer including a notebook, it is very difficult to input information with a mouse.
이에 따라, 종래에는 별도의 구성품인 타블릿을 노트북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해당 타블릿에 입력펜들을 사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있다.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a tablet, which is a separate componen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tebook, and information is input using the input pen to the tablet.
따라서, 종래에는 별도의 구성품인 타블릿을 노트북 본체의 측부에 위치시켜 사용함에 따라,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였다.Therefore, conventionally, the tablets, which are separate components, are placed on the side of the notebook body and used, resulting in inconvenience in use.
근래에 들어, 타블릿을 노트북과 일체로 구성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한 위치로 위치시켜 사용하도록 하고, 사용이 완료된 이후에는 다른 용도로 사용함과 아울러, 별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대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In recent years, the tablet has been integrated with the notebook, and the tablet has been used as a position for use by the user. After the tablet has been used, the tablet is used for other purposes and a separate function can be performed.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required.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122315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타블릿을 내부에 장착한 노트북 컴퓨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Prior art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9-0122315, and the prior art discloses a notebook computer having a tablet mounted therein.
본 발명의 목적은, 노트북 본체에 힌지 타입으로 타블릿을 설치하여, 타블릿을 사용하는 경우 펼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폴딩할 수 있는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tebook having a built-in tablet in which a tablet is installed in a hinge type on a notebook body and folded when the tablet is used and not us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블릿의 힌지 설치 위치를 노트북 본체의 양측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하여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타블릿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blet having an integral tablet which can be easily us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a user who uses the tablet by selectively installing the hing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ablet on either side of the notebook body, .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을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tebook having an integral tablet.
상기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은, 키보드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되고, 상기 키보드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타블릿 부를 포함한다.The notebook having the integrated table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keyboard; A display unit hinged to the main body and rotated up and down to output information input by the keyboard to the outside; And a tablet unit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unit and the display unit and hinged to the main body unit to be rotated up and down.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부 및 상기 타블릿 부는 힌지부에 의해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the display unit, and the tablet unit are connected to be rotated by the hinge.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힌지 연결하는 한 쌍의 제 1힌지와, 상기 한 쌍의 제 1힌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타블릿 부를 회전시키는 제 2힌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inge unit may include a pair of first hinges for hinge-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display unit, and a second hing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hinges for rotating the tablet unit.
상기 타블릿 부는, 하방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 상의 상기 키보드 상에 위치되고, 상방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부의 전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ablet portion is located on the keyboard on the main body when the tablet portion is rotated downward, and is locat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when the tablet portion is rotated upward.
상기 한 쌍의 제 1힌지와, 상기 제 2힌지는 하나의 힌지축에 의해 회전이 안내되되, 상기 제 2힌지는, 상기 힌지축에서 탈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first hinges and the second hinge are rotated by one hinge shaft, and that the second hinge is detachable from the hinge shaft.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tebook having an integral tablet.
상기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은, 키보드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전 연결되며, 상기 키보드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본체부의 씨피유에 외부 정보를 입력하는 평판 형상의 타블릿 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부와, 상기 타블릿 부를 힌지 연결하여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타블릿 부를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펼쳐지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밀착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한다.The notebook having the integrated table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keyboard; A display unit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outputting information input by the keyboard to the outside; A tablet-like tablet unit for inputting external information to a cigarette of the main body; And a rotation part for hinging the tablet part by hinging the tablet part and unfolding the tablet part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according to the rotation position or rotating the tablet part so as to be close to the display part.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제 1회전부와, 상기 타블릿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회전부와 스위블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2회전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rotation unit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rotation unit formed at one side of the tablet and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unit so as to be swivelably rotatable.
상기 제 1회전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구 형상의 회전홀로 형성되고, 상기 제 2회전부는, 상기 타블릿의 일측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전홀에 끼워져 스위블 회전되는 구 형상의 회전 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first rotating portion is formed as a spherical rotating hole formed in one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econd rotating portion is formed by projecting on one side portion of the tablet and being inserted into the rotating hole and being swiveled and rotated, .
상기 회전 돌기는, 상기 타블릿의 일측부에서 탈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on protrusion is desirably detachable from one side of the tablet.
상기 제 1회전부와, 상기 제 2회전부는, 상기 타블릿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외부 정보를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상기 씨피유에 전송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되되, 서로 물리적으로 슬립되도록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rotating portion and the second rotating portio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ransmit the external information input from the tablet to the cuff provided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are preferab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physically slip with respect to each other.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부에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part is furth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art.
상기 타블릿 부는, 상기 외부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패드를 구비하되, 상기 입력 패드는 투명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ablet unit has an input pad for inputting the external information, and the input pad is formed to be transparent.
상기 제 1회전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rotating part is detachab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부의 일측부에는, 다수의 단자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블릿 부에는, 보조 단자부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terminal insertion portion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uxiliary terminal portions are formed on the tablet portion.
상기 보조 단자부는, 상기 타블릿 부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단자 삽입부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 단자와, 상기 타블릿 부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보조 단자 삽입부와, 상기 타블릿 부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연결 단자와 상기 다수의 보조 단자 삽입부를 일대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라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uxiliary terminal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formed on one side of the tablet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erminal insertion portions, a plurality of auxiliary terminal insertion portion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ablet portion,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lines formed on the tablet unit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and the plurality of auxiliary terminal insertion units one-to-one.
상기 다수의 연결 단자는, 상기 타블릿 부의 일측부에서 삽입 및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are installed to be insertable and projectable from one side of the tablet portion.
본 발명은, 노트북 본체에 힌지 타입으로 타블릿을 설치하여, 타블릿을 사용하는 경우 펼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폴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nge-type tablet provided on a notebook body, and has an effect of folding when the tablet is used and when it is not used.
또한, 본 발명은, 타블릿의 힌지 설치 위치를 노트북 본체의 양측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하여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타블릿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mounting position of the tablet is selected and installed on either side of the notebook body, so that the tablet can be easily us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he user who uses the tablet.
도 1은 본 발명의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힌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힌지부 및 이를 통해 연결되는 본체부, 디스플레이부 및 타블릿 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타블릿 부가 하방으로 회전되어 키보드 상에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타블릿 부가 상방으로 회전되어 디스플레이 부의 전면부에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힌지 연결 방식의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힌지단들의 연결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힌지 연결 방식의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힌지단들의 연결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타블릿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회전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타블릿 부가 폴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회전부에서 전기적이 접속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회전부가 본체부의 양측부에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르는 회전 돌기가 탈착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회전부와 회전홀과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의 일측부와 타블릿 부의 일측부와의 경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notebook having an integrated tab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ing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a hing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 between a main body portion, a display portion, and a tablet portion connected thereto through the hinge por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able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downward and disposed on a keyboard.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ab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upward and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ing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method of the hinge stages shown i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ing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method of the hinge stages shown i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tebook having an integrated tab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ablet of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ablet part is folded.
FIG. 14 is a view showing an electrically connected state in the rotat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rotat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main body part.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rotation protru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rotation part and the rotation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view showing a competition relation betwee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one side of the tab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을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notebook having an integrated tab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the term "an upper (or lower)" or a "top (or lower)" of the substrate means that any structure is disposed or arranged in any manner, as long as any structure is provided or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configuration that does not include any other configuration between the substrate and any configuration provided or disposed on (or under) the substr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힌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힌지부 및 이를 통해 연결되는 본체부, 디스플레이부 및 타블릿 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notebook with an integrated tab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i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in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display unit, and a tablet unit.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은, 본체부(100)와, 디스플레이 부(200)와, 타블릿 부(30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notebook computer having an integrated tab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본체부(100)의 상단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110)가 배치된다.At the upper end of the
상기 디스플레이 부(200)는 상기 입력되는 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The
상기 디스플레이 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후단측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200)는 본체부(100)의 상단에 상하 회전되어 키보드를 개방시키거나 커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타블릿 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와 디스플레이 부(200)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부(200)의 상하 회전 방향을 따라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The
즉,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힌지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부(200) 및 타블릿 부(300)는 본체부(100)의 후단에서 상하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디스플레이 부(200) 및 상기 타블릿 부(300)는 힌지부에 의해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좋다.That is, the
여기서, 상기 힌지부의 일 예를 설명한다.Here, an example of the hinge unit will be described.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힌지부는 한 쌍의 제 1힌지(H1,H3)와, 제 2힌지(H2)로 구성된다.2 and 3, the hin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hinges H1 and H3 and a second hinge H2.
상기 한 쌍의 제 1힌지(H1,H3)는 본체부(100)의 후단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본체부(100)의 후단과 디스플레이 부(200)의 하단을 힌지 연결한다.The pair of first hinges H1 and H3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제 2힌지(H2)는 한 쌍의 제 1힌지(H1,H3)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The second hinge (H2)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hinges (H1, H3) and rotatably disposed along the upper and lower sides.
여기서, 상기 제 2힌지(H2)는 상기 타블릿 부(300)의 하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 2힌지(H2)는 타블릿 부(300)의 상하 회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second hinge (H2)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tablet unit (300). Therefore, the second hinge (H2) serves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 1힌지(H1,H3)와 제 2힌지(H2)는 하나의 힌지축(미도시)으로 연결되는 것이 좋다.The pair of first hinges H1 and H3 and the second hinge H2 may be connected by a single hinge shaft (not show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타블릿 부(300)는 서로 힌지 연결되는 본체부(100)와 디스플레이 부(200)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태로, 디스플레이 부(20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도록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구성에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다음은,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타블릿 부의 회전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table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타블릿 부가 하방으로 회전되어 키보드 상에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타블릿 부가 상방으로 회전되어 디스플레이 부의 전면부에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ablet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downward and disposed on a keyboard,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ablet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upward and disposed in a front part of the display part.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타블릿 부(300)는 디스플레이 부(200)가 상방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는 상태에서, 제 2힌지(H2)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키보드(110) 상에 위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이에 따라, 사용자는 키보드(110) 상에 위치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타블릿 부(300)를 사용하여 외부 정보를 입력팬(미도시)을 사용하여 씨피유에 입력하고, 디스플레이 부(2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inputs the external information into the CPU using an input fan (not shown) using the
상기와 같이 사용함에 따라, 타블릿 부(300)를 본체부(100)의 일측부에 배치함에 따르는 공간 낭비와 사용상의 불편한 점이 효율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The use of the
도 5를 참조 하면, 역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타블릿 부(300)는 디스플레이 부(200)가 상방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는 상태에서, 제 2힌지(H2)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부(200)의 전면부에 위치될 수 있다.5, on the contrary, the
여기서, 상기 타블릿 부(300)의 후면은 바람직하게 디스플레이 부(200)의 전면부에 밀착되는 것이 좋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부(200)가 터치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보호 필름의 역할과 동시에 터치 패널로 터치 신호를 제공할 수 잇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동시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부(200)의 전면부에 밀착되도록 위치되는 타블릿 부(300)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터치 패널로 터치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user can provide the touch signal to the touch panel using the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쌍의 제 1힌지(H1,H3)와, 상기 제 2힌지(H2)는 하나의 힌지축에 의해 회전이 안내되되, 상기 제 2힌지(H2)는, 상기 힌지축에서 탈착 가능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air of first hinges H1 and H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hinge H2 are guided by one hinge shaft, H2 may be removable from the hinge axis.
예컨대, 제 2힌지(H2)는 타블릿 부(300)의 하단에서 C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hinge (H2) may be formed in a C shape at the lower end of the tablet unit (300).
그리고, C형상에서 개구되는 부분은, 힌지축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portion which is opened in the C shape can be connected to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타블릿 부(300)를 본체부(100)와 디스플레이 부(200)의 사이에서 회전되는 상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되는 상태로 사용하고, 역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힌지(H2)를 힌지축으로부터 탈거하여 타블릿 부(300)를 본체부(100)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이상, 본 발명의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notebook with integrated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이어,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 타블릿 부 및 디스플레이 부를 회전 연결하는 힌지 연결 방식을 설명하도록 한다.Next, a hinge connection method for rotating and connecting the main body unit, the tablet unit, and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힌지 연결 방식의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힌지단들의 연결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ing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method of the hinge stages shown in FIG.
도 6을 참조 하면, 본체부(100)의 일측 양단부에는 제 1힌지(H1)가 형성되고, 타블릿 부(300)의 하단 양측부에는 제 2힌지(H2)가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부(200)의 하단 양측부에는 제 3힌지(H3)가 형성될 수 있다.6, a first hinge H1 is formed at one end of one side of the
여기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2,3힌지(H1,H2,H3)는, 본체부(100)의 외측부로부터 제 3힌지(H3), 제 1힌지(H1) 및 제 2힌지(H2)의 순서로 결합될 수 있다.6 and 7, the first, second and third hinges H1, H2 and H3 extend from the outer side of the
또한, 상기 제 2힌지(H2)는 타블릿 부(300)의 하단 양측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hinge (H2) may be formed as an axi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utward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tablet part (300).
상기 축은 원형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shaft may be formed in a circular rod shape.
그리고, 상기 제 1힌지(H1)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힌지(H2)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된다.The first hinge H1 is formed in a hole shape and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second hinge H2 formed in the shaft shape.
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부(2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3힌지(H3) 역시,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힌지(H1)의 외측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 2힌지(H2)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져 설치된다.The third hinge H3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즉, 상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 구성을 이루는 경우, 타블릿 부(300)의 하단 양측부에 형성되는 제 2힌지(H2)가 축 형상으로 형성되고, 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힌지(H2)에 순차적으로 제 1,3힌지(H1,H3)가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in the hing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hinge (H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tablet unit (300) is formed in a shaft shape and the second hinge (H2) The first and third hinges H1 and H3 can be inserted and rotated in sequenc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힌지 연결 방식의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힌지단들의 연결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ing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method of the hinge stages shown in FIG.
도 8을 참조 하면, 본체부(100)의 일측 양단부에는 제 1힌지(H1)가 형성되고, 타블릿 부(300)의 하단 양측부에는 제 2힌지(H2)가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부(200)의 하단 양측부에는 제 3힌지(H3)가 형성될 수 있다.8, a first hinge H1 is formed at one end of one side of the
여기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2,3힌지(H1,H2,H3)는, 본체부(100)의 외측부로부터 제 1힌지(H1), 제 3힌지(H3) 및 제 2힌지(H2)의 순서로 결합될 수 있다.8 and 9, the first, second, and third hinges H1, H2, and H3 extend from the outer side of the
또한, 상기 제 2힌지(H2)는 타블릿 부(300)의 하단 양측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은 원형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second hinge (H2) may be formed as an axi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utward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tablet part (300). The shaft may be formed in a circular rod shape.
그리고, 디스플레이 부(2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3힌지(H3)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힌지(H2)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된다.The third hinge H3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더하여, 상기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제 1힌지(H1) 역시,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3힌지(H3)의 외측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 2힌지(H2)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져 설치된다.In addition, the first hinge H1 formed in the
즉, 상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 구성을 이루는 경우, 타블릿 부(300)의 하단 양측부에 형성되는 제 2힌지(H2)가 축 형상으로 형성되고, 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힌지(H2)에 순차적으로 제 3,2힌지(H3,H2)가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in the hing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hinge (H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tablet unit (300) is formed in a shaft shape and the second hinge (H2) And the third and second hinges H3 and H2 may be inserted and rotated in sequen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본체부(100), 디스플레이 부(200) 및 타블릿 부(300)의 힌지를 형성하는 방식은, 제 1,2,3힌지(H1,H2,H3)를 형성하여 다양한 방식 및 순서로 결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of the
더하여 상술한 힌지 결합 순서 이외, 다양한 순서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But may be combined in various order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hinge joining order.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제1,2,3힌지(H1,H2,H3)는 서로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도록 접점이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second, and third hinges H1, H2, and H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so that they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에 따라, 본체부(100)에서 발생되는 신호는 접점을 통해 디스플레이 부(200) 및 타블릿 부(300)로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ly, signals generated in the
더하여, 타블릿 부(300)는 제 2힌지(H2)를 통해 상하 회전되어, 하방으로 회전되어 키보드(110) 상에 위치되는 경우, 타블릿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방으로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부(200)의 전단에 위치되는 경우, 터치 패널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이는, 타블릿 부(300)의 회전 위치에 따라, 본체부(100)로 각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선택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타블릿 부(300)는 타블릿 및 터치패널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더하여, 상기 타블릿 부(300)는 본체부(100)에 설치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접점을 통해 공급 받아 구동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이어, 본 발명의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notebook having the integral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은 크게, 본체부(100)와, 디스플레이 부(200)와, 타블릿 부(300') 및 회전부(400)로 구성된다.10 to 12, a notebook computer having an integrated tab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각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Each of the above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100)의 상면부에는 키보드(110)가 배치된다.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씨피유(120)가 배치된다. 상기 씨피유(120)는 상기 키보드(11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부(20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A
상기 디스플레이 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후측단에 마련되는 힌지단(H)을 통해 상하 회전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상기 디스플레이 부(200)는 키보드(11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씨피유(120)를 통해 전달 받아 외부에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The
그리고, 상술한 타블릿 부(300')는 스타일러스 팬과 같은 입력 수단(미도시)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 정보를 본체부의 씨피유(12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tablet unit 300 'transmits the external information input through an input unit (not shown) such as a stylus fan to the
여기서, 상기 타블릿 부(300')는 상기의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외부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 패드(310)를 구비한다.Here, the tablet unit 300 'includes an
상기 입력 패드(310)의 면적은, 상술한 디스플레이 부(200)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area of the
본 발명에서의 회전부(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부와, 상기 타블릿 부(300')를 힌지 연결하여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타블릿 부(300')를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펼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부(200)의 전면부에 밀착되도록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회전부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otat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도 1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회전부(400)는 본체부(100)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제 1회전부(410)와, 상기 타블릿 부(300')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회전부(410)와 스위블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2회전부(420)로 구성된다.12, the
상기 제 1회전부(4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구 형상의 회전홀(411)로 형성된다.The
상기 제 2회전부(420)는 상기 타블릿 부(300')의 일측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전홀(411)에 끼워져 스위블 회전되는 구 형상의 회전 돌기로 구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회전 돌기(421)는 타블릿 부(300')의 일측부로부터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네크(421a)에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네크(421a)는 다단의 파이프로 구성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돌기(421)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Also, 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회전부에서 전기적이 접속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4 is a view showing an electrically connected state in the rotat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회전부(410)와, 상기 제 2회전부(420)는 타블릿 부(300')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정보를 상기 본체부(100)에 구비되는 상기 씨피유(120)에 전송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즉, 상기 회전홀(411)의 내주에는 제 1신호 전달층(412)이 코팅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상기 제 1신호 전달층(412)은 씨피유(120)와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또한, 상기 회전 돌기(421)의 외측 둘레에는 제 2신호 전달층(422)이 코팅될 수 있다.The second
상기 제 2신호 전달층(422)은, 전선을 통해 타블릿 부(300')의 입력 패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따라서, 회전 돌기(421)가 회전홀(411)에 끼워져 스위블 회전 상태를 이루는 경우, 제 1,2신호 전달층(412,422)은 서로 슬립이 가능하도록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상태를 이루고, 이에 따라, 입력 패드(310)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정보는 제 1,2신호 전달층(412,422)을 통해 씨피유로 전달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상기의 구성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타블릿 부(300')는 회전 돌기(421)가 본체부(100)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회전홀(411)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스위블 회전 가능한 상태를 이룬다.Referr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table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ate in which the
따라서,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타블릿 부(300')를 사용하는 경우, 타블릿 부(300')는 회전부(400)에 의해 본체부(100)의 일측에 수평을 이루는 상태로 펼쳐질 수 있다.10, when the tablet part 300 'is used, the tablet part 300' can be unfolded in a horizontal state on one side of the
역으로, 타블릿 부(3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타블릿 부(300')는 회전부(400)를 통해 디스플레이 부(200)의 전면부에 위치되도록 스위블 회전될 수 있다.4, the tablet part 300 'is swiveled and rotated through the
삭제delete
도 15를 참조 하면, 상술한 제 1회전부(410)인 회전홀(411)은, 본체부(100)의 양측부에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타블릿 부(300')에 구비되는 회전 돌기(421)를 사용하여, 한 쌍의 회전홀(411) 중, 어느 하나의 회전홀(411)에 끼워 결합시킴으로써, 타블릿 부(300')의 폴딩 위치를 선택할 수도 있다.Therefore, by using the
도 1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회전 돌기(421)는 타블릿 부(300')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스크류 홀(320)에 스크류 결합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본 발명에 따르는 회전 돌기(421)는 단부에 네크(421a)를 구비하고, 상기 네크(421a)는 타블릿 부(300')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스크류 홀(320)에 스크류 결합된다.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회전 돌기(421)의 네크(421a)가 해당 스크류 홀(320)에 스크류 결합됨으로써, 타블릿 부(300')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스크류 홀(320)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도 17을 참조 하면, 상기 회전 돌기(421)의 외측 둘레에는 상술한 제 2신호 전달층(422)이 코팅된다.Referring to FIG. 17, the second
그리고, 네크(421a)의 단부에는 결합홈(421b)이 형성된다. 상기 제 2신호 전달층(422)과 결합홈(421b)은 전선을 통해 연결된다.An engaging
또한, 스크류 홀(320)의 내측부에는 상기 결합홈(421b)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 돌기(321)가 형성된다.An engaging
상기 결합 돌기(321)는 전선을 통해 입력 패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따라서, 입력 패드(31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정보는 서로 결합되는 결합홈(421b) 및 결합 돌기(321)를 통해 제 2신호 전달층(422)으로 전달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Therefore, the external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도 18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100)의 일측부에는, 다수의 단자 삽입부(130)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8, a plurality of terminal inserting
그리고, 상기 타블릿 부(300')에는, 보조 단자부가 형성된다.In addition, an auxiliary terminal portion is formed in the tablet portion 300 '.
상기 보조 단자부는 상기 타블릿 부(300')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단자 삽입부(130)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 단자(331)와, 상기 타블릿 부(300')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보조 단자 삽입부(332)와, 상기 타블릿 부(300')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연결 단자(331)와 상기 다수의 보조 단자 삽입부(332)를 일대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라인(333)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terminal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상기 다수의 연결 단자(331)는 상기 타블릿 부(300')의 일측부에서 삽입 및 돌출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plurality of
이의 구성에 따라, 타블릿 부가 본체부의 일측부에 펼쳐지도록 배치되는 경우, 본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단자 삽입부는, 인접되는 다수의 연결 단자와 끼움 결합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tablet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be sprea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 plurality of terminal insertion portions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re fit-engaged with the adjacent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이에 따라, 상술한 다수의 연결 라인들을 통해 보조 단자 삽입부들은, 해당 단자 삽입부와 일대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uxiliary terminal insertion portions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one-to-one with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sertion portion through the plurality of connection lines.
예컨대, USB를 보조 단자 삽입부에 삽입되는 경우, 이로 인한 정보는, 연결 라인을 통해, 해당 연결 단자를 통해 이와 결합되는 단자 삽입부로 전달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B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terminal insertion portion, the resulting information can be transferred through the connection line to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coupled thereto via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terminal.
상기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노트북 본체에 힌지 타입으로 타블릿을 설치하여, 타블릿을 사용하는 경우 펼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폴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stitution and operati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nge-type tablet provided on the notebook body, and has an effect of folding when the tablet is used and when it is not u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타블릿의 힌지 설치 위치를 노트북 본체의 양측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하여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타블릿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use the tablet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he user who uses the tablet by selectively installing the hinge mounting position of the tablet on either side of the notebook body.
이상, 본 발명의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본체부
200 : 디스플레이 부
300' : 타블릿 부
310 : 입력 패드
400 : 회전부
410 : 제 1회전부
411 : 회전홀
412 : 제 1신호 전달층
420 : 제 2회전부
421 : 회전 돌기
421a : 네크
422 : 제 2신호 전달층100:
200:
300 ': Tablet
310: Input Pad
400:
410: first rotating part
411: Rotating hole
412: first signal transmission layer
420:
421: rotation projection
421a: Neck
422: second signal transmission layer
Claims (8)
상기 본체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되고, 상기 키보드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타블릿 부를 포함하되,
상기 타블릿 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부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도록 독립적으로 회전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부 및 상기 타블릿 부는 힌지부에 의해 회전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힌지 연결하는 한 쌍의 제 1힌지와,
상기 한 쌍의 제 1힌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타블릿 부를 회전시키는 제 2힌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힌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힌지는, 상기 타블릿 부의 하단 양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부의 하단 양측부에는 제 3힌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외측부로부터 상기 제 1힌지, 상기 제 3힌지 및 상기 제 2힌지의 순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 2힌지는 상기 타블릿 부의 하단 양측에서 외측으로 설정된 길이를 갖는 원봉 형상의 축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 3힌지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축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 2힌지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제 1힌지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3힌지의 외측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 2힌지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제 1힌지, 상기 제 2힌지, 상기 제 3힌지는 서로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도록 접점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2힌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 2힌지에 형성되는 접점이, 상기 제1힌지에 형성되는 접점 또는 상기 제 3힌지에 형성되는 접점에 통전됨에 따라,
상기 본체부로 각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선택 신호를 발생시키되,
상기 선택 신호는, 타블릿 용도로 사용하는 신호 및, 터치 패널로 사용하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타블릿 용도로 사용하는 신호는, 상기 제 2힌지에 형성되는 접점이, 상기 제 1힌지에 형성되는 접점과 통전되는 경우 발생되고,
상기 터치 패널로 사용하는 신호는, 상기 제 2힌지에 형성되는 접점이, 상기 제 3힌지에 형성되는 접점과 통전되는 경우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
A main body having a keyboard;
A display unit hinged to the main body unit and rotated up and down to output information input by the keyboard to the outside;
And a tablet unit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unit and the display unit and hinged to the main body unit to be rotated up and down ,
Wherein the tablet portion is independently rotated so as to be identical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isplay portion,
The display unit and the tablet unit are connected to rotate by the hinge unit,
The hinge unit includes a pair of first hinges for hinge-connecting the main body unit and the display unit,
And a second hing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hinges for rotating the tablet,
The first hinge is formed at one end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second hinge is formed at both lower ends of the tablet portion,
A third hinge is formed at both lower ends of the display unit,
The first hinge, the third hinge, and the second hinge from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second hinge is formed as a shaft of a circular rod shape having a length set outward at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tablet portion,
The third hing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unit is formed in a hole shape and rotatably fitted to the second hinge formed by the shaft,
Wherein the first hinge is formed in a hole shape and is rotatably fitted in the second hinge so as to be disposed on an outer side of the third hinge,
Wherein the first hinge, the second hinge, and the third hinge are formed with contacts so as to be electrically energized with each other,
As the second hinge is rotated, a contact formed on the second hinge is energized on a contact formed on the first hinge or on a contact formed on the third hinge,
Wherein the main body unit generates a selection signal capable of performing its own function,
Wherein the selection signal includes a signal used for a tablet application and a signal used for a touch panel,
Wherein the signal used for the tablet application is generated when a contact formed on the second hinge is energized with a contact formed on the first hinge,
Wherein the signal used for the touch panel is generated when a contact formed on the second hinge is energized with a contact formed on the third hinge.
상기 타블릿 부는,
하방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 상의 상기 키보드 상에 위치되고,
상방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부의 전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ablet unit includes:
And is positioned on the keyboard on the main body portion when rotated downward,
And when the tablet is rotated upward, the tablet is positioned at a front portion of the display unit.
상기 한 쌍의 제 1힌지와, 상기 제 2힌지는 하나의 힌지축에 의해 회전이 안내되되,
상기 제 2힌지는, 상기 힌지축에서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타블릿을 갖는 노트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ir of first hinges and the second hinge are guided by one hinge shaft,
And the second hinge is detachable from the hinge shaf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5616A KR101980227B1 (en) | 2017-01-12 | 2017-01-12 | Note-boo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5616A KR101980227B1 (en) | 2017-01-12 | 2017-01-12 | Note-boo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3479A KR20180083479A (en) | 2018-07-23 |
KR101980227B1 true KR101980227B1 (en) | 2019-05-21 |
Family
ID=63103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5616A Expired - Fee Related KR101980227B1 (en) | 2017-01-12 | 2017-01-12 | Note-boo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0227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2245B1 (en) * | 1998-03-27 | 2003-07-22 |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 Flexibly interfaceable portable computing device |
JP2005182020A (en) * | 2003-12-19 | 2005-07-07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 Display apparatus |
KR100676820B1 (en) * | 2005-05-23 | 2007-02-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rtable computer with detachable display |
JP2007241962A (en) | 2006-03-03 | 2007-09-20 | Shigeru Taniguchi | Multiple-screen type notebook computer |
US20150153786A1 (en) * | 2002-06-27 | 2015-06-04 | Intel Corporation | Multiple mode display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9721B1 (en) * | 2007-08-24 | 2009-10-06 | 이승진 | Multi Monitor Attachment for Notebook Computer |
-
2017
- 2017-01-12 KR KR1020170005616A patent/KR10198022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2245B1 (en) * | 1998-03-27 | 2003-07-22 |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 Flexibly interfaceable portable computing device |
US20150153786A1 (en) * | 2002-06-27 | 2015-06-04 | Intel Corporation | Multiple mode display apparatus |
JP2005182020A (en) * | 2003-12-19 | 2005-07-07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 Display apparatus |
KR100676820B1 (en) * | 2005-05-23 | 2007-02-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rtable computer with detachable display |
JP2007241962A (en) | 2006-03-03 | 2007-09-20 | Shigeru Taniguchi | Multiple-screen type notebook compu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3479A (en) | 2018-07-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71111B2 (en) | Hinge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100291367B1 (en) | Book type information terminal | |
US6081207A (en) | Multipurpose, folding, portable computer | |
US20130077228A1 (en) | Portable computer assembly | |
CN103309400B (en) | Electronic equipment with concealed hinge | |
AU3358099A (en) | Multipurpose, folding, portable computer keyboard | |
US8922982B1 (en) | Detachable pivoting chassis for electronic devices | |
CN102819290A (en) | Bearing device for integrating protective cover and wireless keyboard | |
TW202105122A (en) | Computing devices with translatable keyboard housings | |
CN204314774U (en) | Double screen flat computer | |
US9128671B2 (en) | Docking device | |
TWM532044U (en) | Electronic device | |
KR101980227B1 (en) | Note-book | |
CN201622492U (en) | Folding electronic device | |
US20130120933A1 (en) | Mobile computer device | |
JP2002318641A (en) | Information processo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
TWI492025B (en) | Electronic device | |
KR200458260Y1 (en) | Portable Computer with a few of Moniter by using Twisting Bar | |
CN206584265U (en) | Leather sheath keyboard | |
TWI454205B (en) | Electronic device | |
KR100824722B1 (en) | Removable input device for mobile device | |
KR100534124B1 (en) | Portable computer | |
KR20050032659A (en) | Portable computer | |
TWI575405B (en) | Tablet computer assembly, accessory thereof, and tablet computer input method | |
KR200304329Y1 (en) | Compu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