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79986B1 - 스위치 영역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패널 - Google Patents

스위치 영역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986B1
KR101979986B1 KR1020167029104A KR20167029104A KR101979986B1 KR 101979986 B1 KR101979986 B1 KR 101979986B1 KR 1020167029104 A KR1020167029104 A KR 1020167029104A KR 20167029104 A KR20167029104 A KR 20167029104A KR 101979986 B1 KR101979986 B1 KR 101979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lass
region
glass
substrate
feed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6375A (ko
Inventor
파트릭 베버
한스-게오르크 에써
옌스 본트코브스키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60136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9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05B3/86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the heating conductors being embedded in the transparent or reflec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74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 B32B17/10183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being not continuous, e.g. in edge regions
    • B32B17/10192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being not continuous, e.g. in edge regions patterned in the form of columns or gr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05B1/0236Industrial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1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heating of metal pie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362Coil arrangements with flat coil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44Coil arrangements having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8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with layout including a portion free of resistive material, e.g. communication window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1Heaters using laterally extending conductive material as connec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2Heaters specially designed for de-icing or protection against ic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 표면(III)을 갖는 투명 기판(1), - 표면(III)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열된 적어도 1개의 투명 전기 전도성 층(2), - 층(2)을 가열 영역(3) 및 스위치 영역(10)으로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적어도 1개의 분리선(4.1), 및 - 집전 전도체(5.1, 5.2) 사이에 가열 전류를 위한 전류 경로(7)가 형성되도록 가열 영역(3)에 연결된, 전압원(6)에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적어도 2개의 집전 전도체(5.1, 5.2)를 포함하고, 여기서 스위치 영역(10)이 적어도 1개의 접촉 영역(11), 공급 영역(12) 및 연결 영역(13)을 가지며, 연결 영역(13)이 전자 센서(14)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인, 스위치 영역(10)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패널(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위치 영역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패널 {ELECTRICALLY HEATABLE PANEL WITH SWITCH REGION}
본 발명은 스위치 영역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판유리, 판유리 배열체, 판유리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모터 차량 창문, 특히 바람막이창의 시야는 성에 및 결로가 없게 유지되어야 한다. 내연 엔진을 갖는 모터 차량의 경우, 예를 들어 엔진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스트림이 창문으로 향해 갈 수 있다.
별법으로, 창문이 전기 가열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해서, 개개의 판유리 중 하나의 내측 표면 상에 투명 전기 전도성 코팅으로 제조된 전기적 가열 층을 갖는 복합 판유리가 알려져 있다. 외부 전압원을 이용해서, 코팅 및 그것과 함께 판유리를 가열하는 전류가 전기 전도성 코팅을 통해 전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O2012/052315 A1은 금속을 기재로 하는 그러한 가열가능한 전기 전도성 코팅을 개재한다.
US 2007/0020465 A1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적 가열 층의 전기적 접촉은 전형적으로 버스바를 통해 달성된다. 버스바는 예를 들어 인쇄되어 소성된 은 페이스트로부터 제조된다. 버스바는 전형적으로 판유리의 상부 가장자리 및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뻗어 있다. 버스바는 전기적 가열 층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집전하고, 전류를 전압원에 연결된 외부 급전선에 전도한다. 통상적으로, 전기적 가열 층에 가하는 전압은 외부 스위치에 의해 조절되고, 이 외부 스위치는 모터 차량에서 예를 들어 계기판에 통합된다. 또한, DE 10 2012 018 001 A1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그러한 판유리는 다수의 전압원에 연결되는 다수의 버스바를 가질 수 있고 이렇게 해서 추가로 일부 영역들이 가열될 수 있다.
스위치 표면은 선형 또는 표면 전극에 의해 또는 2개의 커플링된 전극의 배열에 의해 예를 들어 용량성 스위치 표면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는 US 2007/0194216 A1에서 발견된다. 물체가 스위치 표면에 접근할 때, 표면 전극의 정전용량이 접지와 대비하여 변하거나 또는 2개의 커플링된 전극에 의해 형성된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이 변한다. 정전용량 변화는 회로 배열 또는 센서 전자장치에 의해 측정되고; 문턱 값을 초과할 때, 스위칭 신호가 촉발된다. 용량성 스위치를 위한 회로 배열은 예를 들어 DE 20 2006 006 192 U1, EP 0 899 882 A1, US 6,452, 514 B1 및 EP 1 515 211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판유리 내에 간단하게 및 경제적으로 통합될 수 있고 판유리를 통한 보기(vision)에 지장을 주지 않고 판유리 내에서 대략 균일한 가열 전력 분포를 갖는 스위치 영역을 갖는 개선된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판유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독립항인 청구항 1에 따른 스위치 영역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판유리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종속항으로부터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영역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판유리는 적어도 다음 특성:
- 표면을 갖는 투명 기판,
- 그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열된 적어도 1개의 투명 전기 전도성 층,
- 전기 전도성 층을 가열 영역 및 스위치 영역으로 전기적으로 구분하는 적어도 1개의 분리선,
- 버스바 사이에 가열 전류를 위한 전류 경로가 형성되도록 가열 영역에 연결되는, 전압원에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적어도 2개의 버스바
를 포함하고,
여기서, 스위치 영역이 적어도 1개의 접촉 영역, 급전선 영역, 및 연결 영역을 가지며, 연결 영역이 센서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급전선 영역은 접촉 영역을 연결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전기 전도성 층은 적어도 1개의 분리선에 의해 가열 영역 및 스위치 영역으로 전기적으로 구분된다. 스위치 영역은 3개의 영역을 갖는다: 접촉 영역, 급전선 영역 및 연결 영역. 이러해서, 접촉 영역, 급전선 영역 및 연결 영역이 모두 전기 전도성 층의 영역이라는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접촉 영역, 급전선 영역 및 연결 영역이 모두 전기 전도성 층의 물질로 제조된다는 것을 이해한다. 이 영역들은 연속적이고, 이러해서 서로 전기 전도성 연결되고 이렇게 해서 급전선 영역이 접촉 영역을 연결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급전선 영역의 종방향은 실질적으로 가열 전류를 위한 전류 경로의 방향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는 전류 경로와 급전선 영역의 종방향 사이의 각도 α가 0°내지 45°,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0°내지 10°임을 의미한다. 이것은 급전선 영역이 가열 영역을 통한 전류 흐름을 아주 조금 방해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전류 경로 및 급전선 영역이 직선이 아닌 경우, "전류 경로의 방향" 및 "급전선 영역의 종방향"은 각각의 평균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급전선 영역의 폭(bz) 대 길이(lz)의 비는 1:7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100이다. 급전선 영역이 일정한 폭(bz)를 갖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급전선 영역이 사다리꼴 또는 액적 형상으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맥락에서 "폭(bz)"라는 용어는 급전선 영역의 평균 폭을 의미한다.
급전선 영역의 길이(lz)는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70 cm, 특히 바람직하게는 3 cm 내지 8 cm이다. 급전선 영역의 폭(bz)는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1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2 mm이다. 급전선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스트립 또는 선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연결 영역은 판유리의 바깥쪽 가장자리 상에 및/또는 버스바 중 하나에 인접해서 배열된다. 바깥쪽 가장자리까지 또는 가장 가까운 버스바까지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0 c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cm 미만이다. 이것은 광학적으로 눈에 띄지 않는 흑색 임프린트 하에서 또는 커버링, 예를 들어 카메라 하우징을 갖는 경우에 연결 영역과 예를 들어 호일 전도체의 전기적 접촉을 감추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영역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접촉 영역은 1 ㎠ 내지 2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9 ㎠의 면적을 갖는다. 접촉 영역의 길이(lB)는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14 cm, 특히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3 cm이다. 접촉 영역의 최대 폭(bB)는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14 cm, 특히 바람직하게는 1 cm 내지 3 cm 이다. 원리적으로, 접촉 영역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촉 표면을 둘러서 가열 전류의 전류 흐름의 좋은 구분을 가능하게 하는 형상이 특히 적당하다. 특히 적당한 접촉 영역은 원, 타원 또는 액적형으로 구현된다. 별법으로, 각진 형상, 예를 들어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또는 다른 유형의 사각형 또는 더 많은 변을 갖는 다각형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임의의 코너가 라운딩된(rounded)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스위치 영역의 모든 영역, 특히 접촉 영역과 급전선 영역 사이 및/또는 급전선 영역과 연결 영역 사이의 전이 영역에 적용된다. 코너가 적어도 3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 mm의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영역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급전선 영역의 폭(bz) 대 접촉 영역의 최대 폭(bB) 비는 적어도 1:2, 특히 적어도 1:10이다. 이러해서, 특히 좋은 스위칭 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분리선의 폭(d)는 30 ㎛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70 ㎛ 내지 140 ㎛이다. 그러한 얇은 분리선은 신뢰성 있고 적당히 높은 전기적 격리를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판유리를 통한 보기에 아주 조금 지장을 주거나 또는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는 전기 전도성 층을 갖는 기판의 표면이 열가소성 중간 층을 통해 커버 판유리에 면결합으로(areally) 연결된 판유리를 포함한다. 이것은 스위치 영역 및 가열 영역이 복합 판유리의 내부에 기밀 밀폐되고 이러해서 직접 접촉 및 부식으로부터 보호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스위치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용량성 스위치 영역이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스위치 영역은 표면 전극을 형성한다. 표면 전극의 정전용량은 외부 정전용량 센서 전자장치를 통해 측정된다. 표면 전극의 정전용량은 접지된 물체가 그에 근접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표면 전극 위의 절연체 층에 닿을 때 접지에 대비하여 변한다. 절연체 층은 특히 기판 그 자체 또는 중간 층 또는 커버 판유리를 포함한다. 정전용량 변화는 센서 전자장치에 의해 측정되고, 문턱 값을 초과할 때, 스위칭 신호가 촉발된다. 스위치 영역은 표면 전극의 형상 및 크기에 의해 정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대안적 실시양태에서, 전기 전도성 층은 전기 전도성 층을 스위치 영역의 주변 영역으로 전기적으로 구분하는 적어도 1개의 추가의 분리선을 갖는다. 주변 영역이 스위치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둘러싸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가열 영역 및 특히, 가열 영역의 전압 변화가 스위치 영역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되기 때문에, 그러한 주변 영역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주변 영역은 스위치 영역과 유사한 형상 또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특히, 원, 타원 또는 액적 형상 또는 라운딩된 코너를 갖는 형상 뿐만 아니라 스트립 형상이 특히 유리하고, 그 이유는 그 경우에 특히 유리하게 가열 전류가 주변 영역을 둘러서 우회하여 국소적 핫스팟이 전혀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아주 조금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변 영역은 스위치 영역의 경계를 정하는 분리선으로부터 20 m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15 mm의 거리를 갖는다. 이러해서, 스위치 영역이 가열 영역으로부터 특히 잘 보호된다.
주변 영역이 센서 전자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추가의 연결 영역을 갖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그러한 배열에서, 스위치 영역 및 주변 영역은 서로 용량성 커플링되는 2개의 전극을 형성한다.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은 물체, 예를 들어 인체 부위의 접근에 의해 변한다. 정전용량 변화는 센서 전자장치에 의해 측정되고, 문턱 값을 초과할 때, 스위칭 신호가 촉발된다. 민감성 영역은 전극이 용량성 커플링되는 영역의 형상 및 크기에 의해 정해진다.
별법으로, 또한, 스위치 영역은 무접촉 유도성, 열적, 또는 모든 다른 센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무접촉"은 스위칭 작동의 촉발에 전기 전도성 구조의 직접 접촉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가 전기 전도성 구조에 접근가능한 경우에는, 전기 전도성 구조의 직접 접촉으로도 스위칭 기능이 활성이 된다는 것을 이해한다. 원리적으로, 또한, 접촉-의존형 센서 기능을 갖는 스위치 영역도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치 영역 및 임의로, 주변 영역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내에 통합된다. 이러해서, 판유리에 장착해야 하는 별도의 구성요소로서의 스위치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단일의 판유리로서 또는 복합 판유리로서 구현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그의 표면 상에 반대편이 보이는 영역에 배열되는 다른 구성요소를 갖지 않는다. 이것은 판유리의 얇은 구조에 관해서 특히 유리할 뿐만 아니라 판유리를 통한 보기에 아주 조금 지장을 준다.
본 발명의 유리한 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및 연결 영역을 통해 스위치 표면 및 임의로, 주변 표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 전자장치를 갖는 판유리 배열체를 포함한다. 센서 전자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용량성 센서 전자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배열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센서 전자장치의 민감도는 센서 전자장치가 사람 손가락이 기판 상에서 접촉 영역을 터치할 때는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고, 커버 판유리 상에서 접촉 영역을 터치할 때는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지 않거나 또는 상이한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도록 선택된다. 물론, 또한, 접촉 영역의 접촉은 다수의 손가락으로 또는 인체의 상이한 부위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접촉"은 측정 신호, 예를 들어 정전용량의 측정가능한 변화를 초래하는, 스위치 영역과의 임의의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특히, 이것은 스위치 영역의 직접 접촉 또는 절연체를 통한, 예를 들어 기판의 두께 또는 중간 층의 두께 또는 중간 판유리 및 커버 판유리의 두께를 통한 접촉이다.
생성되는 이 스위칭 신호는 임의의 유형일 수 있고, 각각의 용도의 요건에 맞출 수 있다. 이러해서, 스위칭 신호는 양의 전압, 예를 들어 12 V를 의미할 수 있고, 스위칭 신호가 없음, 예를 들어 0 V를 의미할 수 있고, 또 다른 스위칭 신호, 예를 들어 +6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신호는 CAN 버스에 통상적인 전압 CAN_High 및 CAN_Low에 상응할 수 있고, 그 사이의 전압 값만큼 변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신호는 펄스화될 수 있고/있거나 디지털 암호화될 수 있다.
센서 전자장치의 민감도는 간단한 실험과 관련해서 접촉 영역의 크기의 함수로서 및 기판, 중간 층 및 커버 판유리의 두께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특히, 2 내지 4의 유전율 수치 및 바람직하게는 0.5 mm의 최소 두께를 갖는 중간 층은 커버 판유리를 통한 접촉과 비교해서 기판을 통한 접촉 표면의 접촉 사이에 정전용량 변화의 분명한 차이를 야기한다. 커버 판유리가 기판과 동일한 또는 기판보다 큰 두께를 갖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그러한 판유리 배열체의 특별한 이점은 스위칭 신호가 한 면으로부터의 판유리의 접촉을 통해서만 촉발될 수 있다는 데 있다. 모터 차량 창문에 판유리 배열체를 이용하고 기판 측이 차량 내부 방향에 있게 판유리를 설치하는 경우,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개개인에 의한 스위칭 작동의 촉발 또는 비 또는 바람막이창 와이퍼의 움직임에 의한 스위칭 작동의 원하지 않는 촉발을 신뢰성 있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관련 분야 기술자에게 예상 밖이었고 놀라운 것이었다.
바로 앞에서 서술된 판유리 배열체와 조합해서 또는 그의 대안으로, 센서 전자장치의 민감도는 사람 손가락이 기판 및/또는 커버 판유리 상의 접촉 영역을 터치할 때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고, 기판 및/또는 커버 판유리 상의 급전선 영역을 터치할 때는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지 않거나 또는 상이한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센서 전자장치의 민감도는 간단한 실험과 관련해서 접촉 영역의 크기의 함수로서 및 급전선 영역의 기하학적 구조 뿐만 아니라 폭과 길이 사이의 종횡비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급전선 영역의 폭을 가능한 한 작게 선택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의 이 실시양태의 특별한 이점은 접촉 영역 또는 그의 바로 주변을 터치하는 것만으로 스위칭 신호가 촉발될 수 있고, 이러해서 스위칭 작동의 정밀한 조절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부주의에 의한 스위칭이 방지된다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의 유리한 개선에서는, 연결 영역이 편평 전도체에 연결되고, 편평 전도체는 판유리 밖으로 안내된다. 그래서, 통합된 판유리 배열체가 사용 장소에서 전압원에 및 예를 들어 차량에서 CAN 버스를 통해 센서 회로의 스위칭 신호를 평가하는 신호선에 간단히 연결될 수 있다.
버스바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층의 측방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열된다. 버스바의 길이는 전형적으로 전기 전도성 층의 측방 가장자리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지만, 또한 그것은 조금 더 크거나 또는 더 작을 수 있다. 심지어 2개 초과의 버스바가 전기 전도성 층 상에,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층의 2개의 서로 반대쪽에 있는 측방 가장자리를 따라서 가장자리 영역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층에 2개 이상의 독립된 가열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또는 버스바가 1개 또는 복수의 코팅되지 않은 구역, 예컨대 통신 창에 의해 단속되거나 또는 대체될 때, 심지어 2개 초과의 버스바가 전기 전도성 층 상에 배열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가르침은 독립된 가열 영역 중 적어도 1개에, 바람직하게는 각각에 적용된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는 인쇄되어 소성된 전도성 구조물로서 구현된다. 인쇄된 버스바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합금, 적어도 하나의 금속 화합물, 및/또는 탄소,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귀금속, 특히 은을 함유한다. 인쇄 페이스트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성 입자, 금속 입자, 및/또는 탄소, 및 특히, 귀금속 입자, 예컨대 은 입자를 함유한다. 전기 전도도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입자에 의해 달성된다. 입자는 유기 및/또는 무기 기질, 예컨대 페이스트 또는 잉크, 바람직하게는 유리 프릿을 갖는 인쇄 페이스트에 있을 수 있다.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3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4 mm 내지 20 mm, 특히 10 mm 내지 20 mm이다. 더 얇은 버스바는 지나치게 높은 전기 저항을 초래하고, 이러해서 작업 동안에 버스바의 지나치게 높은 가열을 초래한다. 게다가, 더 얇은 버스바는 인쇄 기술, 예컨대 스크린인쇄에 의해 제조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다. 더 두꺼운 버스바는 바람직하지 않게 높은 물질 이용을 요구한다. 게다가, 더 두꺼운 버스바는 판유리의 반대편이 보이는 영역의 지나치게 크고 비심미적인 제한을 초래한다. 버스바의 길이는 가열 영역의 크기에 의해 좌우된다. 전형적으로 스트립 형상으로 구현되는 버스바의 경우, 그의 치수 중 더 긴 것을 "길이"라고 부르고, 그의 치수 중 덜 긴 것을 "폭"이라고 부른다. 제3 또는 추가의 버스바는 훨씬 더 얇게, 바람직하게는 0.6 mm 내지 5 mm로 구성될 수 있다.
인쇄된 버스바의 층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40 ㎛, 특히 바람직하게는 8 ㎛ 내지 20 ㎛,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8 ㎛ 내지 12 ㎛이다. 이 두께를 갖는 인쇄된 버스바는 실현하기가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유리한 전류 운반 용량을 갖는다.
버스바의 비저항 ρa은 바람직하게는 0.8 μohm·cm 내지 7.0 μohm·c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μohm·cm 내지 2.5 μohm·cm이다. 이 범위의 비저항을 갖는 버스바는 실현하기가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유리한 전류 운반 용량을 갖는다.
그러나, 별법으로, 버스바는 또한 전기 전도성 호일의 스트립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그래서, 버스바는 예를 들어 적어도 알루미늄, 구리, 주석 도금 구리, 금, 은, 아연, 텅스텐, 및/또는 주석, 또는 그의 합금을 함유한다.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5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300 ㎛의 두께를 갖는다. 이 두께를 갖는 전기 전도성 호일로 제조된 버스바는 실현하기가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유리한 전류 운반 용량을 갖는다. 스트립은 예를 들어 납땜 컴파운드를 통해, 전기 전도성 접착제를 통해 또는 압력을 가하여 직접 배치에 의해 전기 전도성 구조에 전기 전도성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는 기판을 포함하고, 기판 상에 가열가능한 전기 전도성 층이 배열된다. 층의 유형에 의존해서, 이 층을 보호 층, 예를 들어 페인트, 중합체 필름 및/또는 커버 판유리로 보호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투명 전기 전도성 층이 위에 배열된 기판의 표면이 열가소성 중간 층을 통해 커버 판유리에 면결합으로 결합된다.
원리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및 이용 조건 하에서 열적으로 및 화학적으로 안정할 뿐만 아니라 치수적으로 안정한 모든 전기 절연 기판이 기판 및 임의로, 커버 판유리로 적당하다.
기판 및/또는 커버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특히 바람직하게는 편평 유리, 플로트 유리, 석영 유리,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소다 석회 유리, 또는 맑은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강직성 맑은 플라스틱,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기판 및/또는 커버 판유리는 특히 차량의 바람막이창 또는 뒷 창문으로서의 판유리의 용도 또는 높은 광 투과율이 요망되는 다른 용도를 위해 투명하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투명"은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 70% 초과의 투과율을 갖는 판유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또한, 운전자의 교통 관련 시야 내에 위치하지 않는 판유리의 경우, 예를 들어 지붕 패널의 경우에는, 투과율이 훨씬 더 작을 수 있고, 예를 들어 5% 초과일 수 있다.
기판 및/또는 커버 판유리의 두께는 폭넓게 다양할 수 있고, 이러해서 개개의 경우의 요건에 탁월하게 맞출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25 mm, 바람직하게는 모터 차량 유리의 경우 1.4 mm 내지 2.5 mm 및 바람직하게는 가구, 장치 및 건물, 특히 전기 가열기의 경우 4 mm 내지 25 mm의 표준 두께가 이용된다. 판유리의 크기는 폭넓게 다양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용도의 크기에 의해 좌우된다. 모터 차량 엔지니어링에서 및 건축 부문에서 기판 및 임의로, 커버 판유리는 예를 들어 200 ㎠ 내지 20 ㎡의 통상적인 면적을 갖는다.
판유리는 임의의 3-차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차원 형상은 섀도우(shadow) 구역을 갖지 않으며, 이렇게 해서 그것은 예를 들어 캐소드 스퍼터링에 의해 피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판은 평면이거나 또는 한 방향에서 또는 복수의 공간 방향에서 약간 또는 크게 굴곡된다. 특히, 평면 기판이 이용된다. 판유리는 무색일 수 있거나 또는 착색될 수 있다.
다수의 기판 및/또는 커버 판유리가 적어도 1개의 중간 층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중간 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부티랄 (PVB),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EVA), 및/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를 함유한다. 그러나, 또한, 열가소성 중간 층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PU),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PE), 폴리카르보네이트 (PC),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아세테이트 수지, 캐스팅 수지, 아크릴레이트, 플루오린화 에틸렌-프로필렌,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및/또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그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열가소성 중간 층은 1개의 열가소성 필름에 의해 또는 심지어 차곡차곡 쌓여 배열된 복수의 열가소성 필름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열가소성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25 mm 내지 1 mm, 전형적으로 0.38 mm 또는 0.76 mm이다.
기판, 중간 층 및 커버 판유리로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경우, 투명 전기 전도성 층은 직접 기판 상에 또는 캐리어 필름 상에 또는 중간 층 그 자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 및 커버 판유리는 각 경우에서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갖는다. 기판 및 커버 판유리의 내측 표면은 서로 대면하고, 열가소성 중간 층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기판 및 커버 판유리의 외측 표면은 서로 간에 및 열가소성 중간 층에 대면하지 않는다. 투명 전기 전도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기판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된다. 물론, 추가의 전기 전도성 코팅이 커버 판유리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판유리의 외측 표면이 코팅을 가질 수 있다. "기판" 및 "커버 판유리"라는 용어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에서 2개의 판유리를 구별하기 위해 선택된다. 그 용어는 기하학적 배열에 관한 어떠한 설명과도 관련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가 예를 들어 모터 차량 또는 건물의 개구에서 내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제공되는 경우, 기판은 내부 또는 외부 환경에 대면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투명 전기 전도성 코팅을 함유한다. 여기서, "투명"은 전자기 복사선, 바람직하게는 300 nm 내지 1300 nm의 파장의 전자기 복사선, 특히 가시 광에 투과성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전도성 층은 예를 들어 DE 20 2008 017 611 U1, EP 0 847 965 B1, 또는 WO2012/052315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그것은 전형적으로 1개 또는 복수, 예를 들어 2개, 3개, 또는 4개의 전기 전도성 기능성 층을 함유한다. 기능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예를 들어 은, 금, 구리, 니켈 및/또는 크롬, 또는 금속 합금을 함유한다. 기능성 층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의 금속, 특히 적어도 99.9 중량%의 금속을 함유한다. 기능성 층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기능성 층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은 또는 은 함유 합금을 함유한다. 그러한 기능성 층은 특히 유리한 전기 전도도를 가지고 동시에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 높은 투과율을 갖는다. 기능성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nm 내지 5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8 nm 내지 25 nm이다. 기능성 층의 두께의 이 범위에서,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의 유리하게 높은 투과율 및 특히 유리한 전기 전도도가 얻어진다.
전형적으로, 적어도 1개의 유전 층이 각 경우에서 2개의 인접하는 기능성 층 사이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또 다른 유전 층이 제1 기능성 층 아래에 및/또는 마지막 기능성 층 위에 배열된다. 유전 층은 유전 물질로 제조된, 예를 들어 질화물, 예컨대 규소 질화물 또는 산화물, 예컨대 알루미늄 산화물을 함유하는 유전 물질로 제조된 적어도 1개의 개개의 층을 포함한다. 그러나, 또한, 유전 층은 복수의 개개의 층, 예를 들어 개개의 유전 물질 층, 평활 층, 적응 층, 차단 층, 및/또는 반사방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전 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nm 내지 200 nm이다.
이 층 구조는 일반적으로 진공 방법, 예컨대 자기에 의해 증진되는 캐소드 스퍼터링에 의해 수행되는 일련의 침착 작업에 의해 얻는다.
다른 적당한 전기 전도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인듐 주석 산화물 (ITO), 플루오린-도핑된 주석 산화물 (SnO2:F), 또는 알루미늄-도핑된 아연 산화물 (ZnO:Al)을 함유한다.
원리적으로, 전기 전도성 층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임의의 코팅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가, 예를 들어 창문 부문에서의 판유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것을 통한 보기를 가능하게 하도록 의도된 경우, 전기 전도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하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전기 전도성 층은 2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이하의 총 두께를 갖는 1개의 층이거나 또는 다수의 개개의 층의 층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한 전기 전도성 층은 0.4 Ω/square 내지 10 Ω/square의 시트 저항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전도성 층은 0.5 Ω/square 내지 1 Ω/square의 시트 저항을 갖는다. 그러한 시트 저항을 갖는 코팅은 12 V 내지 48 V의 전형적인 온보드 전압을 갖는 모터 차량 판유리의 가열에 또는 500 V 이하의 전형적인 온보드 전압을 갖는 전기 차량의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전기 전도성 층은 기판의 전체 표면 위를 덮어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별법으로, 전기 전도성 층은 또한 기판의 표면의 일부 위를 덮어서만 연장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기판의 내측 표면의 적어도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위를 덮어서 연장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층은 1개 또는 복수의 코팅되지 않은 구역을 가질 수 있다. 이 구역은 전자기 복사선에 투명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창 또는 통신 창으로서 알려져 있다.
복합 판유리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기판의 내측 표면은 전기 전도성 층이 제공되지 않은 2 mm 내지 50 mm,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20 mm의 폭을 갖는 둘레 가장자리 영역을 갖는다. 이 경우에는 전기 전도성 층이 분위기와 접촉하지 않고, 유리하게 판유리의 내부에서 열가소성 중간 층에 의해 손상 및 부식으로부터 보호된다.
전기 급전선은 바람직하게는 호일 전도체 또는 가요성 호일 전도체(편평 전도체 또는 리본 전도체)로서 구현된다. 이것은 가열 영역의 버스바의 급전선 및 연결 영역 또는 영역들에 연결되는 스위치 영역의 급전선 둘 모두에 적용된다. "호일 전도체"라는 용어는 폭이 두께보다 분명히 큰 전기 전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그러한 호일 전도체는 예를 들어 구리, 주석 도금 구리, 알루미늄, 은, 금 또는 그의 합금을 함유하거나 또는 그것으로 제조된 스트립 또는 밴드이다. 호일 전도체는 예를 들어 2 mm 내지 16 mm의 폭 및 0.03 mm 내지 0.1 mm의 두께를 갖는다. 호일 전도체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를 기재로 하는 절연,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외피를 가질 수 있다. 판유리에서 전기 전도성 코팅의 접촉에 적당한 호일 전도체는 예를 들어 불과 0.3 mm의 총 두께를 갖는다. 그러한 얇은 호일 전도체는 개개의 판유리 사이에서 열가소성 중간 층에 수월하게 매립될 수 있다. 서로 전기 절연된 다수의 전도성 층이 호일 전도체 스트립에 위치할 수 있다.
별법으로, 또한, 얇은 금속 와이어가 전기 급전선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금속 와이어는 특히 구리, 텅스텐, 금, 은, 또는 알루미늄, 또는 이 금속들 중 적어도 2개의 합금을 함유한다. 또한, 합금은 몰리브덴, 레늄, 오스뮴, 이리듐, 팔라듐 또는 백금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전기 급전선은 접촉 스트립에 의해, 예를 들어 납땜 컴파운드 또는 전기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버스바에 연결된다. 그 다음, 접촉 스트립이 버스바에 연결된다. 접촉 스트립은 유리하게는 버스바의 전류 운반 용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버스바와 급전선 사이의 접촉 지점의 바람직하지 않은 가열이 접촉 스트립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추가로, 급전선을 이미 형성된 버스바에 연결, 예를 들어 납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접촉 스트립은 전기 급전선에 의해 버스바의 전기적 접촉을 단순화한다.
접촉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특히 바람직하게는 구리, 주석 도금 구리, 은, 금, 알루미늄, 아연, 텅스텐, 및/또는 주석을 함유한다. 이것은 접촉 스트립의 전기 전도도에 관해서 특히 유리하다. 또한, 접촉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1개 또는 복수의 언급한 원소 및 임의로, 다른 원소를 함유하는 합금, 예를 들어 황동 또는 청동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스트립은 간단히 버스바 상에 놓일 수 있고, 적층된 판유리 내의 의도된 위치에 내구적으로 안정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는 광 조사 수단 및 광 편향 수단을 갖는다. 광 조사 수단 및 광 편향 수단은 기판 내에 또는 기판 상에 및/또는 커버 판유리 상에 배열된다. 스위치 영역은 광 편향 수단과 동일한 기판 표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스위치 영역을 갖는 전기 전도성 층은 기판의 방향에서 벗어나서 광 편향 수단 위에 또는 아래에 또는 광 편향 수단과 동일한 평면에 배열될 수 있다. 별법으로, 전기 전도성 층 및 광 편향 수단은 기판의 반대 표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 조사 수단은 적어도 1개의 광원, 바람직하게는 LED 또는 OLED를 포함한다. 특별한 이점은 작은 치수 및 낮은 전력 소모에 있다.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파장 범위는 예를 들어 실용적 및/또는 심미적 고려에 기초해서 가시 광 범위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광 조사 수단은 특히 광을 편향시키기 위한 광학적 요소, 바람직하게는 반사체 및/또는 광 도파체, 예를 들어 유리 섬유 또는 중합체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조사 수단은 기판 또는 커버 판유리 상에 임의의 위치에, 특히 기판 또는 커버 판유리의 측방 가장자리 상에 또는 기판 또는 커버 판유리의 중앙의 작은 함몰부 내에 배열될 수 있다.
광 편향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입자, 점 그리드, 스티커, 침착물, 노치, 절개, 선 그리드, 임프린트, 및/또는 스크린 프린트를 포함하고, 그로부터 기판 내에서 또는 커버 판유리 내에서 수송되는 광을 탈커플링하기에 적당하다.
광 편향 수단은 기판 또는 커버 판유리의 수평면에 임의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광 편향 수단이 접촉 영역의 영역에 또는 바로 주변 영역에 배열되고, 이러해서 그렇지 않으면 거의 보이지 않는 접촉 영역을 신속하게 찾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야간에 또는 어둠 속에서 특히 유리하다.
별법으로, 광은 투명 기판, 중간 층, 또는 커버 판유리 상에 배열되는 도파체에 의해 스위치 영역에 안내될 수 있고, 스위치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별법으로 또는 조합해서, 광 편향 수단과 함께 광 조사 수단은 판유리의 전기적 가열이 켜지든 또는 꺼지든 판유리 상의 데이터를 가시화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용량성 스위치 영역의 스위칭 상태를 보고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대안적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접촉 영역은 직접적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거나, 또는 능동 광원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발광 다이오드 (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백열 전구, 또는 다른 능동 발광체, 예컨대 발광 물질, 바람직하게는 형광 또는 인광 물질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또 다른 대안적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스위치 영역은 투명 기판, 중간 층 또는 커버 판유리 상에 착색, 바람직하게는 백색 또는 흑색 임프린트, 예를 들어, 스크린인쇄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이것은 스위치 영역이 내구적으로 및 전압원과 독립적으로 나타내어진다는 특별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임프린트는 발광 물질, 바람직하게는 형광 또는 인광 물질을 함유할 수 있고/있거나 발광성일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적어도
(a) 투명 기판의 표면(III) 상에 투명 전기 전도성 층을 형성하고,
(b) 전기 전도성 층을 적어도 1개의 가열 영역 및 적어도 1개의 스위치 영역으로 전기적으로 구분하는 적어도 1개의 분리선을 도입하고,
(c) 가열 전류를 위한 전류 경로가 버스바 사이에 형성되도록 전기 전도성 층에 연결되는, 전압원에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적어도 2개의 버스바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위치 영역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판유리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 b) 및 c)가 또한 역순서로 일어날 수 있고, 이렇게 해서 먼저 버스바가 전기 전도성 층 상에 배열되고, 그 후에 전기 전도성 층 내에 분리선이 도입된다는 것을 이해한다.
방법 단계 (a)에서 전기 전도성 층의 형성은 공지된 방법 그 자체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자기에 의해 증진되는 캐소드 스퍼터링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기판의 간단하고 빠르고 경제적이고 균일한 피복에 관해서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또한, 전기 전도성 층은 예를 들어 증착, 화학 증착 (CVD), 플라즈마-증진 화학 증착 (PECVD), 또는 습식 화학적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방법 단계 (a) 후에 기판을 온도 처리로 처리할 수 있다. 기판이 전기 전도성 층과 함께 적어도 20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0 ℃의 온도로 가열된다. 온도 처리는 투과율을 증가시키고/증가시키거나 전기 전도성 층의 시트 저항을 감소시키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방법 단계 (a) 후에 기판을 전형적으로 500℃ 내지 700℃의 온도에서 굽힐 수 있다. 편평 판유리를 피복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더 간단하기 때문에, 기판을 굽혀야 하는 경우에는 이 절차가 유리하다. 그러나, 별법으로, 또한, 예를 들어 전기 전도성 층이 손상 없이 굽힘 공정을 견뎌내기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방법 단계 (a) 전에 기판을 굽힐 수 있다.
방법 단계 (b)에서 버스바 형성은 바람직하게는 실크스크린 인쇄 방법으로 또는 잉크-젯 방법으로 전기 전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소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별법으로, 버스바는 전기 전도성 호일의 스트립으로서 전기 전도성 층 상에 바람직하게는 접촉 압력으로 가압하거나, 납땜하거나 또는 접착제로 붙여서 형성될 수 있다.
실크스크린 인쇄 방법의 경우, 횡방향 형상화는 금속 입자를 갖는 인쇄 페이스트를 프레싱하여 통과시키는 직물을 차폐함으로써 달성된다. 차폐의 적당한 형상화에 의해, 예를 들어 버스바의 폭(b)을 미리 정하고 특별히 간단한 방식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전기 전도성 층에서 개개의 분리선의 탈코팅은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빔을 이용해서 달성된다. 얇은 금속 호일을 패터닝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EP 2 200 097 A1 또는 EP 2 139 049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탈코팅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10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200 ㎛, 특히 70 ㎛ 내지 140 ㎛이다. 이 범위에서, 특별히 깨끗하고 잔류물이 없는 탈코팅이 레이지 빔을 이용해서 일어난다. 레이저-빔 탈코팅이 특히 유리하고, 그 이유는 탈코팅된 선이 시각적으로 상당히 눈에 띄지 않고 외관 및 판유리를 통한 보기를 아주 조금 손상시키기 때문이다. 레이저 절개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선의 탈코팅은 레이저 빔으로 선의 반복된 트레이싱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선 폭이 증가함에 따라 가공 시간 및 가공 비용이 증가한다. 별법으로, 탈코팅은 기계적 어블레이션에 의해 뿐만 아니라 화학적 또는 물리적 에칭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개선은 적어도 다음 추가의 단계를 포함한다:
(d) 기판의 피복된 표면 상에 열가소성 중간 층을 배열하고, 열가소성 중간 층 상에 커버 판유리를 배열하는 단계, 및
(e) 기판을 열가소성 중간 층을 통해 커버 판유리에 결합시키는 단계.
방법 단계 (d)에서, 기판은 전기 전도성 층이 제공된 그의 표면 중 하나가 열가소성 중간 층에 대면하도록 배열된다. 이렇게 해서, 이 표면이 기판의 내측 표면이 된다.
열가소성 중간 층은 하나의 개개의 열가소성 필름에 의해 또는 또한, 면결합으로 차곡차곡 쌓여 배열된 2개 이상의 열가소성 필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방법 단계 (e)에서 기판 및 커버 판유리의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열, 진공 및/또는 압력 작용 하에서 달성된다. 판유리를 제조하는 공지된 방법 그 자체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른바 "오토클레이브 방법"을 대략 10 bar 내지 15 bar의 승압 및 130℃ 내지 145℃의 온도에서 대략 2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공지된 진공 백 또는 진공 링 방법 자체가 예를 들어 대략 200 mbar 및 80℃ 내지 110℃에서 가동된다. 또한, 제1 판유리, 열가소성 중간 층 및 제2 판유리를 캘린더에서 적어도 1쌍의 롤러 사이에서 프레싱하여 판유리를 형성할 수 있다. 판유리를 제조하는 이 유형의 시스템은 공지되어 있고, 보통 프레싱 유닛으로부터 상류에 적어도 1개의 가열 터널을 갖는다. 프레싱 작업 동안의 온도는 예를 들어 40℃ 내지 150℃이다. 캘린더 및 오토클레이브 방법의 조합이 실제로 특히 가치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별법으로, 진공 적층기가 이용될 수 있다. 이것은 1개 또는 복수의 가열가능하고 진공화가능한 챔버로 이루어지고, 여기에서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가 예를 들어 대략 60분 이내에 0.01 mbar 내지 800 mbar의 감압 및 80℃ 내지 170℃의 온도에서 적층된다.
추가로, 본 발명은 건물에서, 특히 출입 영역, 창문 영역, 지붕 영역, 또는 파사드 영역에서, 가구 및 장치에서 빌트인 구성요소로서, 육상, 공중, 또는 수상 이동을 위한 수송 수단에서, 특히 열차, 선박 및 자동차에서, 예를 들어 바람막이창, 뒷 창문, 옆 창문 및/또는 지붕 패널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영역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판유리의 용도를 포함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가열 영역에서 판유리의 가열 기능을 스위칭하기 위한, 특히 켜고 끄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판유리의 스위치 영역의 용도를 포함한다.
다음에서, 본 발명을 도면 및 예시 실시양태와 관련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은 개략적 묘사이고, 비율에 충실하지 않은 것이다. 결코 도면이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의 실시양태의 상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세부사항 Z의 확대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절단선 A-A'를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d는 도 1a의 세부사항 Z의 또 다른 도면이다.
도 2a는 도 1a의 세부사항 Z의 확대도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대안적 실시양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절단선 B-B'를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a의 세부사항 Z의 확대도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또 다른 대안적 실시양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대안적 실시양태의 상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세부사항 Z의 확대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절단선 C-C'를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양태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101)의 예시 실시양태의 상면도를 묘사한다. 판유리(100)는 기판(1)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소다 석회 유리로 제조된다. 전기 전도성 층(2)이 기판(1)의 표면(III) 상에 형성된다. 전기 전도성 층(2)은 층 시스템이고, 층 시스템은 예를 들어 유전 층에 의해 서로 분리된 3개의 전기 전도성 은 층을 포함한다. 전류가 전기 전도성 층(2)을 통해 흐를 때, 그의 전기 저항 및 줄 열 발생의 결과로 전기 전도성 층(2)이 가열된다. 따라서, 전기 전도성 층(2)은 판유리(100)의 능동 가열에 이용될 수 있다. 판유리(100)의 치수는 예를 들어 0.9 m x 1.5 m이다.
전기 전도성 층(2)은 분리선(4.1)에 의해 가열 영역(3) 및 스위치 영역(10)으로 구분된다. 다시 말해서, 가열 영역(3) 및 스위치 영역(10) 둘 모두가 전기 전도성 층(2)으로부터 제조되지만, 분리선(4.1)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격리된다. 분리선(4.1)은 예를 들어 불과 100 ㎛의 폭(d1)을 갖지만, 예를 들어 레이저 패터닝에 의해 전기 전도성 층(2) 내에 도입된다. 그러한 작은 폭을 갖는 분리선(4.1)은 광학적으로 거의 인지할 수 없고, 판유리(100)를 통한 보기를 아주 조금 방해하고, 이것은 특히 모터 차량에 이용하는 경우 운전 안전을 위해 특히 중요하다.
가열 영역(3)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 제1 버스바(5.1)가 가열 영역(3)의 하부 가장자리 영역에 배열되고, 또 다른 제2 버스바(5.2)가 상부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배열된다. 버스바(5.1, 5.2)는 예를 들어 은 입자를 함유하고, 스크린인쇄 방법으로 인쇄된 후에 소성된다. 버스바(5.1, 5.2)의 길이는 대략 전기 전도성 층(2)의 치수에 상응한다. 2개의 버스바(5.1, 5.2)는 대략 평행하게 뻗어 있다.
도 1b는 도 1a의 세부사항 Z의 확대도를 묘사한다. 스위치 영역은 접촉 영역(11)을 포함하고, 접촉 영역은 대략 액적형으로 구현되고 급전선 영역(12)으로 전이된다. 여기서, "액적형"은 접촉 영역(11)이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급전선 영역(12) 쪽을 향하여 일 측에서 깔때기처럼 테이퍼형으로 된다. 접촉 영역(11)의 폭(bB)는 예를 들어 40 mm이다. 급전선 영역(12)의 폭(bz)는 예를 들어 1 mm이다. 이러해서, bz:bB 비는 대략 1:40이다. 급전선 영역(12)은 연결 영역(13)에 연결된다. 연결 영역(13)은 라운딩된 코너 및 예를 들어 12 mm의 변 길이(bA)를 갖는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급전선 영역의 길이(lZ)는 대략 48 mm이다.
연결 영역(13)은 전기선 연결부(20)를 통해 호일 전도체(17)에 전기 전도성 연결된다. 호일 전도체(17)는 예를 들어 50 ㎛ 두께 구리 호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연결 영역(13) 밖에서 폴리이미드 층으로 절연된다. 이러해서, 호일 전도체(17)는 버스바(5.2)를 지나서 판유리(100)의 상부 가장자리 위를 덮어서 전기 단락 없이 밖으로 안내될 수 있다. 물론, 외부에 연결 영역의 전기적 연결은 또한 절연된 와이어를 통해 또는 버스바(5.2)가 단속된 영역을 통해 바깥쪽으로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 호일 전도체(17)는 예를 들어 판유리(100) 밖에서 용량성 센서 전자장치에 연결되고, 용량성 센서 전자장치는 "접지"와 대비하여 스위치 영역(10)의 정전용량 변화를 측정하고, 문턱 값의 함수로서 스위치 신호를 연결 지점(19)을 통해 예를 들어 모터 차량의 CAN 버스에 보낸다. 모터 차량에서의 임의의 기능, 예를 들어 심지어 전압원(6), 및 이러해서, 가열 영역(3)을 통한 판유리(100)의 전기적 가열이 스위치 신호를 통해 스위칭될 수 있다.
도 1c는 도 1a의 절단선 A-A'를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이다. 여기서, 판유리(100)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중간 층(8)을 통해 서로 결합된 기판(1) 및 커버 판유리(9)를 포함한다. 판유리(100)는 예를 들어 모터 차량 창문 및 특히, 승용차의 바람막이창이다. 기판(1)은 예를 들어 설치된 위치에서 내부에 대면하도록 의도된다. 다시 말해서, 기판(1)의 면(IV)은 내부로부터 밖으로 접근가능하고, 반면, 커버 판유리의 면(I)은 바깥쪽에 대면한다. 기판(1) 및 커버 판유리(9)는 예를 들어 소다 석회 유리로 제조된다. 기판(1)의 두께는 예를 들어 1.6 mm이고, 커버 판유리(9)의 두께는 2.1 mm이다. 물론, 기판(1) 및 커버 판유리(9)는 임의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심지어 동일한 두께로 구현될 수 있다. 열가소성 중간 층(8)은 폴리비닐 부티랄(PVB)로 제조되고, 0.76 mm의 두께를 갖는다. 전기 전도성 층(2)은 기판(1)의 내측 표면(III) 상에 형성된다.
전기 전도성 층(2)은 예를 들어 8 mm의 폭을 갖는 둘레 프레임형 피복되지 않은 영역을 제외한 기판(1)의 전체 표면(III) 위를 덮어서 연장된다. 피복되지 않은 영역은 전압을 운반하는 전기 전도성 층(2)과 모터 차량 차체 사이의 전기 절연에 유용하다. 전기 전도성 층(2)을 손상 및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피복되지 않은 영역은 중간 층(8)에 접착제로 붙임으로써 기밀 밀폐된다.
전기 전도성 층(2)의 가열 영역(3)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 제1 버스바(5.1)가 전기 전도성 층(2) 상에 하부 가장자리 영역에 배열되고, 추가의 제2 버스바(5.2)가 상부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배열된다. 버스바(5.1, 5.2)는 예를 들어 은 입자를 함유하고, 스크린인쇄 방법에 의해 인쇄된 후 소성된다. 버스바(5.1, 5.2)의 길이는 대략 가열 영역(3)의 치수에 상응한다.
버스바(5.1, 5.2)에 전압을 가할 때, 가열 영역(3)의 전기 전도성 층(2)을 통해 버스바(5.1, 5.2) 사이에 균일한 전류가 흐른다. 각 버스바(5.1, 5.2)의 대략 중심에 호일 전도체(17)가 배열된다. 호일 전도체(17)는 판유리(100) 내에 예를 들어 납땜 컴파운드에 의해, 전기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또는 간단한 배치 및 접촉 압력에 의해 접촉 표면을 통해 버스바(5.1, 5.2)에 전기 전도성 연결된다. 호일 전도체(17)는 예를 들어 10 mm의 폭 및 0.3 mm의 두께를 갖는 주석 도금 구리 호일을 함유한다. 버스바(5.1, 5.2)는 호일 전도체(17)를 통해 급전선(18)을 통해 전압원(6)에 연결되고, 전압원(6)은 모터 차량에 통상적인 온보드 전압, 바람직하게는 12 V 내지 15 V, 예를 들어 대략 14 V를 제공한다. 별법으로, 또한 전압원(6)은 더 높은 전압, 예를 들어 35 V 내지 45 V, 특히 42 V를 가질 수 있다.
묘사된 예에서, 버스바(5.1, 5.2)는 예를 들어 대략 10 ㎛의 일정한 두께 및 예를 들어 2.3 μohm·cm의 일정한 비저항을 갖는다.
도 1d는 도 1a의 세부사항 Z의 또 다른 도면을 묘사하고, 여기서는 스위치 영역(10)의 주변에 중심 전류 경로(7)가 묘사된다. 급전선 영역(12)의 종방향 (여기서는 평행한 점선(21)으로 묘사됨)이 전류 경로(7)의 방향에 대해 예를 들어 0.5°의 각도 α를 갖는다. 이러해서, 버스바(5.1, 5.2)에 전압을 가할 때 가열 전류의 전류 흐름이 급전선 영역(12)에 의해 아주 조금 방해받는다. 따라서, 급전선 영역(12)은 가열 전류의 진로가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방해받지 않도록 및 국소적 과열 영역, 이른바 "핫 스팟"이 판유리(100) 상에서 발생하지 않도록 임의의 길이로 선택될 수 있다.
판유리(100)가 예를 들어 모터 차량에서 바람막이창으로서 이용될 때, 급전선 영역(12)의 길이는 모터 차량의 운전자 또는 앞좌석 탑승자가 스위치 영역(10)의 접촉 영역(11)에 편리하게 닿을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2a는 도 1a의 세부사항 Z의 확대도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의 대안적 실시양태를 묘사한다. 스위치 영역(10)은 접촉 영역(11)을 포함하고, 접촉 영역(11)은 코너가 라운딩된 것으로 구현되고 대략 4 mm의 곡률 반경 r을 갖는 대략 정사각형으로 구현된다. 접촉 영역(11)이 급전선 영역(12)으로 전이된다. 접촉 영역(11)의 폭(bB) 및 길이(lB)는 예를 들어 40 mm이다. 급전선 영역(12)의 폭(bZ)는 예를 들어 1 mm이다. 급전선 영역(12)은 연결 영역(13)에 연결된다. 연결 영역(13)은 라운딩된 코너를 가지고 예를 들어 12 mm의 변 길이(bA)를 갖는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판유리(100)의 나머지 구조는 예를 들어 도 1a의 판유리(100)의 구조에 상응한다.
도 2b는 절단선 B-B'를 따라서 절단된 도 2a에 따른 실시양태의 단면도를 묘사한다.
도 3은 도 1a의 세부사항 Z의 확대도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의 또 다른 대안적 실시양태를 묘사한다. 판유리(100)의 예시 실시양태는 도 1a의 판유리에 상응하고, 다만, 접촉 영역의 폭(bZ)가 더 넓게 구현되고 예를 들어 30 mm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의 상면도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배열체(101)의 대안적 실시양태를 묘사하고, 여기서는 전기 전도성 층(2)이 스위치 영역(10), 가열 영역(3) 및 주변 영역(15)을 갖는다. 그 밖에는, 이 예시 실시양태의 판유리(100)는 예를 들어 도 1a의 판유리(100)에 상응한다.
도 4b는 도 4a의 세부사항 Z의 확대도를 묘사한다. 주변 영역(15)이 분리선(4.1) 및 또 다른 분리선(4.2)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되고, 분리선(4.2)은 주변 영역(15)을 가열 영역(3)으로부터 전기적으로 구분한다.
도 4c는 도 4b의 절단선 C-C'를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를 묘사한다. 스위치 영역(10), 주변 영역(15) 및 가열 영역(3)은 모두 서로 전기적으로 격리되는 전기 전도성 층(2)의 영역이다.
분리선(4.1, 4.2)은 예를 들어 불과 100 ㎛의 폭을 가지며, 예를 들어 레이저 패터닝에 의해 전기 전도성 층(2) 내에 도입된다. 그러한 작은 폭을 갖는 분리선(4.1, 4.2)은 시각적으로 거의 인지할 수 없고, 판유리(100)를 통한 보기를 아주 조금 방해하고, 이것은 특히 모터 차량에 이용하는 경우 운전 안전을 위해 특히 중요하다.
주변 영역(15)의 폭(c)는 예를 들어 60 mm이고, 스위치 영역(10)을 완전히 둘러싼다. 그러한 주변 영역(15)은 그것이 스위치 영역(10)과 가열 영역(3)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고 이러해서 스위치 영역(10)의 정전용량의 정밀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동시에, 그것 때문에, 정전용량 측정이 가열 영역(3)을 통한 전류 흐름에 의해 덜 영향받는다.
주변 영역(15)은 여기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전기선 집합체(20)를 통해 호일 전도체(17)에 연결되는 연결 지점을 갖는다. 이것은 예를 들어 스위치 영역(10)과 주변 영역(15)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의 시차 측정을 위해 2개의 입력을 갖는 센서 전자장치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정전용량 차이의 정밀한 측정에 특히 유리하다.
도 5는 스위치 영역(10)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판유리(100)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시 실시양태의 흐름도를 묘사한다.
도 1-4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는 스위치 영역(10)을 가지며, 스위치 영역(10)은 예를 들어 용량성 센서 전자장치(14)에 연결될 수 있다. 동시에, 판유리(100)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가열 영역(3)을 가지며, 여기서 가열 기능 및 가열 전력 분포는 스위치 영역(10)에 의해 아주 조금 손상되거나 또는 전혀 손상되지 않는다. 게다가, 분리선(4.1, 4.2)의 작은 폭 때문에, 판유리를 통한 보기가 최소한으로만 손상되고, 예를 들어 모터 차량 글레이징의 요건을 충족시킨다.
센서 전자장치(14)의 민감도가 스위칭 작동의 선택적 촉발이 판유리(100)의 한 면으로부터만 가능하도록 스위치 영역(10)의 기하학적 구조 및 치수로 조정되는 복합 판유리를 갖는 판유리 배열체(101)는 특히 유리하고 놀라운 것이었다.
이 결과는 관련 분야 기술자에게 예상 밖이었고 놀라웠다.
1: 기판, 투명 기판
2: 층, 투명 전기 전도성 층
3: 가열 영역
4.1, 4.2: 분리선
5.1, 5.2: 버스바
6: 전압원
7: 전류 경로
8: 중간 층
9: 커버 판유리, 투명 커버 판유리
10: 스위치 영역
11: 접촉 영역
12: 급전선 영역
13: 연결 영역
14: 센서 전자장치, 용량성 센서 전자장치
15: 주변 영역
17: 호일 전도체
18: 급전선
19: 연결 지점 CAN 버스
20: 전기선 연결부
21: 급전선 영역(12)의 방향
α: 전류 방향(7)과 급전선 영역(12)의 방향 사이의 각도
c: 주변 영역(15)의 폭
bA: 연결 영역(13)의 폭
bB: 접촉 영역(11)의 폭
bZ: 급전선 영역(12)의 폭
d1, d2: 분리선(4.1, 4.2)의 폭
r: 곡률 반경
lA: 연결 영역(13)의 길이
lB: 접촉 영역(11)의 길이
lZ: 급전선 영역(12)의 길이
A-A': 절단선
B-B': 절단선
C-C': 절단선
Z: 세부사항

Claims (34)

  1. 스위치 영역(10)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판유리(100)이며,
    - 표면(III)을 갖는 투명 기판(1),
    - 표면(III)의 일부 상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투명 전기 전도성 층(2),
    - 층(2)을 가열 영역(3) 및 스위치 영역(10)으로 전기적으로 구분하는 하나 이상의 분리선(4.1),
    - 버스바(5.1, 5.2) 사이에 가열 전류를 위한 전류 경로(7)가 형성되도록 가열 영역(3)에 연결된, 전압원(6)에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2개 이상의 버스바(5.1, 5.2)
    를 포함하고,
    여기서,
    - 스위치 영역(10)은, 접촉 영역(11), 급전선 영역(12) 및 연결 영역(13)이 층(2)의 연속 영역들이도록 접촉 영역(11), 급전선 영역(12) 및 연결 영역(13)을 가지며,
    - 급전선 영역(12)은 접촉 영역(11)을 연결 영역(13)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 연결 영역(13)은 센서 전자장치(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며,
    스위치 영역(10)은 2개 이상의 버스바(5.1, 5.2) 사이에 배열되고,
    급전선 영역(12)은 1 cm 내지 70 cm의 길이(lz)와 0.5 mm 내지 10 mm의 폭(bz)를 가지며,
    전류 경로(7)와 급전선 영역(12)의 종방향 사이의 각도 α가 0°내지 45°인,
    스위치 영역(10)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판유리(100).
  2. 제1항에 있어서, 급전선 영역(12)이 1 cm 내지 8 cm의 길이(lz)를 가지며, 0.5 mm 내지 2 mm의 폭(bz)를 가지는 판유리(100).
  3. 제2항에 있어서, 급전선 영역(12)은 직사각형, 스트립 또는 선 형상을 갖는 것인 판유리(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 전류 경로(7)와 급전선 영역(12)의 종방향 사이의 각도 α가 0° 내지 20°이거나, (ii) 급전선 영역(12)의 폭(bz) 대 길이(lz)의 비가 1:700 이하이거나, (iii) 전류 경로(7)와 급전선 영역(12)의 종방향 사이의 각도 α가 0° 내지 20°이면서 급전선 영역(12)의 폭(bz) 대 길이(lz)의 비가 1:700 이하인 판유리(100).
  5. 제4항에 있어서, 전류 경로(7)와 급전선 영역(12)의 종방향 사이의 각도 α가 0° 내지 10°인 판유리(100).
  6. 제4항에 있어서, 급전선 영역(12)의 폭(bz) 대 길이(lz)의 비가 1:5 내지 1:100인 판유리(100).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 연결 영역(13)이 판유리(100)의 가장자리에 배열되거나, (ii) 연결 영역(13)이 버스바(5.1, 5.2) 중 하나에 인접해서 배열되거나, (iii) 연결 영역(13)이 판유리(100)의 가장자리에 배열되며 버스바(5.1, 5.2) 중 하나에 인접해서 배열되는 판유리(100).
  8. 제7항에 있어서, 가장자리 또는 버스바로부터의 각 거리는 10 cm 이하인 판유리(100).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 접촉 영역(11)의 면적이 1 ㎠ 내지 200 ㎠ 이거나, (ii) 접촉 영역(11)이 원, 타원 또는 액적 형상을 가지거나 또는 라운딩된 코너를 갖거나, (iii) 접촉 영역(11)의 면적이 1 ㎠ 내지 200 ㎠ 이며 원, 타원 또는 액적 형상을 가지거나 또는 라운딩된 코너 것인 판유리(100).
  10. 제9항에 있어서, 접촉 영역(11)의 면적이 1 ㎠ 내지 9 ㎠ 인 판유리(100).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가 분리선(4.2)이 층(2)을 주변 영역(15)으로 전기적으로 구분하고, 주변 영역(15)이 스위치 영역(1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것인 판유리(100).
  12. 제1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가 분리선(4.2)이 스위치 영역(10)을 완전히 둘러싸는 것인 판유리(100).
  13. 제11항에 있어서, 주변 영역(15)이 스위치 영역(10)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판유리(100).
  14. 제13항에 있어서, 주변 영역(15)이 원, 타원, 액적 또는 스트립 형상으로 및 라운딩된 코너를 갖도록 구현된 것이 판유리(100).
  15. 제11항에 있어서, 주변 영역(15)이 센서 전자장치(14)에 연결될 수 있는 추가의 연결 영역을 갖는 것인 판유리(100).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선(4.1)의 폭(d1)이 30 ㎛ 내지 200 ㎛인 판유리(100).
  17. 제16항에 있어서, 분리선(4.1)의 폭(d1)이 70 ㎛ 내지 140 ㎛인 판유리(100).
  1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판(1)의 표면(III)이 열가소성 중간 층(8)을 통해 커버 판유리(9)에 면결합으로 연결되는 판유리(100).
  19. 제18항에 있어서, 중간 층(8)은 2 내지 4의 유전율 수치를 갖는 것인 판유리(100).
  2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판(1), 또는 커버 판유리(9), 또는 기판(1) 및 커버 판유리(9) 모두가, 유리 또는 중합체 또는 그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인 판유리(100).
  21. 제20항에 있어서, 기판(1), 또는 커버 판유리(9), 또는 기판(1) 및 커버 판유리(9) 모두가, 편평 유리, 플로트 유리, 석영 유리,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또는 소다 석회 유리를 함유하는 것인 판유리(100).
  22. 제20항에 있어서, 기판(1), 또는 커버 판유리(9), 또는 기판(1) 및 커버 판유리(9) 모두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인 판유리(100).
  2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2)은 (i) 0.4 Ω/square 내지 10 Ω/square 의 시트 저항을 가지거나, (ii) 은 (Ag), 인듐 주석 산화물 (ITO), 플루오린-도핑된 주석 산화물 (SnO2:F), 또는 알루미늄-도핑된 아연 산화물(ZnO:Al)을 함유하거나, (iii) 0.4 Ω/square 내지 10 Ω/square 의 시트 저항을 가지며 은 (Ag), 인듐 주석 산화물 (ITO), 플루오린-도핑된 주석 산화물 (SnO2:F), 또는 알루미늄-도핑된 아연 산화물(ZnO:Al)을 함유하는 판유리(100).
  24. 제23항에 있어서, 층(2)은 0.5 Ω/square 내지 1 Ω/square의 시트 저항을 갖는 판유리(100).
  25. - 제18항에 따른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판유리(100), 및
    - 연결 영역(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 전자장치(14)
    를 포함하고,
    여기서, 센서 전자장치(14)의 민감도가, 사람 손가락이 기판(1) 상에서 접촉 영역(11)을 터치할 때는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고, 커버 판유리(9) 상에서 접촉 영역(11)을 터치할 때는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지 않거나 또는 상이한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도록 선택되는 것인
    판유리 배열체(101).
  26. 제25항에 있어서, 센서 전자장치(14)는 용량성 센서 전자장치(14)인 판유리 배열체(101).
  27. - 제18항에 따른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판유리(100), 및
    - 연결 영역(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 전자장치(14)
    를 포함하고,
    여기서, 센서 전자장치(14)의 민감도는, 기판(1), 또는 커버 판유리(9), 또는 기판(1) 및 커버 판유리(9) 상의 접촉 영역(11)이 사람 손가락에 의해 터치될 때는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고, 기판(1), 또는 커버 판유리(9), 또는 기판(1) 및 커버 판유리(9) 상의 급전선 영역(12)이 터치될 때는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지 않거나 또는 상이한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도록 선택되는 것인 판유리 배열체(101).
  28. 제27항에 있어서, 센서 전자장치(14)는 용량성 센서 전자장치(14)인 판유리 배열체(101).
  29. 제25항에 있어서, 연결 영역(13)이 편평 전도체(17)에 연결되고, 편평 전도체(17)는 판유리(100) 밖으로 안내되는 것인 판유리 배열체(101).
  3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판유리(100)의 제조 방법이며,
    (a) 투명 기판(1)의 표면(III) 상에 투명 전기 전도성 층(2)을 형성하는 단계;
    (b) 층(2)을 하나 이상의 가열 영역(3) 및 하나 이상의 스위치 영역(10)으로 전기적으로 구분하는 하나 이상의 분리선(4.1)을 도입하는 단계; 및
    가열 전류를 위한 전류 경로(7)가 버스바(5.1, 5.2) 사이에 형성되도록 층(2)에 연결되는, 전압원(6)에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2개 이상의 버스바(5.1, 5.2)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판유리(100)의 제조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분리선(4.1)은 레이저 패터닝에 의해 또는 기계적 또는 화학적 어블레이션에 의해 도입되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판유리(100) 제조 방법.
  32. 가구, 장치 및 건물에서의 빌트인 구성요소 또는 기능성 개별 부속품 뿐만 아니라 육상, 공중, 또는 수상 이동을 위한 수송 수단에서 사용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판유리(100).
  33. 제32항에 있어서, 모터 차량에서 바람막이창, 뒷 창문, 옆 창문 또는 지붕 패널로서 사용되는 판유리(100).
  34. 제32항에 있어서, 전기 가열기로서 사용되는 판유리(100).
KR1020167029104A 2014-04-24 2015-04-21 스위치 영역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패널 Active KR101979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65740.3 2014-04-24
EP14165740 2014-04-24
PCT/EP2015/058553 WO2015162108A1 (de) 2014-04-24 2015-04-21 Elektrisch beheizbare scheibe mit schaltberei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375A KR20160136375A (ko) 2016-11-29
KR101979986B1 true KR101979986B1 (ko) 2019-05-17

Family

ID=50542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104A Active KR101979986B1 (ko) 2014-04-24 2015-04-21 스위치 영역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패널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638549B2 (ko)
EP (1) EP3135075B1 (ko)
JP (1) JP6328273B2 (ko)
KR (1) KR101979986B1 (ko)
CN (1) CN105723802B (ko)
CA (1) CA2944275C (ko)
EA (1) EA035186B1 (ko)
ES (1) ES2794100T3 (ko)
HU (1) HUE050460T2 (ko)
MX (1) MX379198B (ko)
PL (1) PL3135075T3 (ko)
WO (1) WO20151621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383B1 (ko) * 2020-04-20 2021-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발열 기능을 가진 유리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377323B (es) * 2014-04-24 2025-03-07 Saint Gobain Cristal con una superficie de conmutación iluminada y una función de calentamiento.
MX390153B (es) * 2015-11-06 2025-03-20 Saint Gobain Cristal compuesto calentable electricamente que tiene una region de conmutacion capacitiva.
JP6717957B6 (ja) * 2015-11-06 2020-08-05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 容量性スイッチ領域を有している加熱可能な複合ペインを有しているペイン装置
JP6791980B2 (ja) * 2016-05-23 2020-11-25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 センサアセンブリを有している積層ガラスペイン、及び、センサアセンブリを有している積層ガラスペインを製造する方法
KR102301646B1 (ko) 2016-07-20 2021-09-13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무접촉식으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정전용량식 스위칭영역을 갖는 창유리
GB201617577D0 (en) 2016-10-17 2016-11-30 Pilkington Group Limited Vehicle glazing
BR112019008814A2 (pt) 2016-11-04 2019-07-16 Saint Gobain arranjo de painel compreendendo um painel compósito tendo uma região de comutação capacitiva estendida
EP3518616A1 (en) * 2018-01-26 2019-07-31 AGC Glass Europe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icing a transparent window using an electric heating device
US11229091B2 (en) * 2018-05-30 2022-01-18 Betterfrost Technologies, Inc. Continuous resistance and proximity checking for high power deicing and defogging systems
CN109041308B (zh) * 2018-09-21 2024-09-17 苏州本瑞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加热功能玻璃及显示模组
DE102018217970A1 (de) * 2018-10-19 2020-04-23 Hegla Boraident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onischen Struktur auf einer Glasscheibe sowie Glastafel mit mindestens einer derartigen Glasscheibe
DE202022002762U1 (de) 2021-04-09 2023-05-15 Saint-Gobain Glass France Elektronische Brücke für mehrere beheizbare Kamerafenster
DE202022002766U1 (de) 2021-04-09 2023-06-12 Saint-Gobain Glass France Elektronische Anordnung für mehrere beheizbare Kamerafenster
WO2022214367A1 (de) 2021-04-09 2022-10-13 Saint-Gobain Glass France Elektronische anordnung für mehrere beheizbare kamerafenster
WO2023143945A1 (de) 2022-01-25 2023-08-03 Saint-Gobain Glass France Scheibe mit schaltungsbereich
DE102023113534A1 (de) * 2023-05-24 2024-11-28 Erhard Rohrmoser Elektrische Heizschicht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5599A1 (en) * 2003-01-10 2006-12-07 Hugues Lefevre Glazing comprising electronics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37215A (en) * 1919-01-29 1922-11-28 Corona Typewriter Co Inc Typewriting machine
US6144017A (en) 1997-03-19 2000-11-07 Libbey-Owens-Ford Co. Condensation control system for heated insulating glass units
DE19727220C2 (de) 1997-06-26 1999-08-26 Captron Elect Gmbh Schaltungsanordnung für einen kapazitiven Schalter
WO2000044018A1 (en) 1999-01-26 2000-07-27 Harald Philipp Capacitive sensor and array
DE10160806A1 (de) 2001-12-11 2003-06-26 Saint Gobain Sekurit D Gmbh Heizscheibe mit einer elektrisch leitenden Oberflächenbeschichtung
FR2859525B1 (fr) 2003-09-09 2006-06-02 Delphi Tech Inc Commutateur capacitif glissant
JP4219790B2 (ja) * 2003-11-14 2009-02-04 日本板硝子株式会社 電熱窓ガラス
US7335421B2 (en) 2005-07-20 2008-02-26 Ppg Industries Ohio, Inc. Heatable windshield
US20070194216A1 (en) * 2006-02-21 2007-08-23 Exatec, Llc Printable controls for a window assembly
DE202006006192U1 (de) 2006-04-18 2006-07-27 Captron Electronic Gmbh Türbetätigungstaster
GB0705120D0 (en) 2007-03-16 2007-04-25 Pilkington Group Ltd Vehicle glazing
JP2010251230A (ja) 2009-04-20 2010-11-04 Fujifilm Corp 電熱窓ガラス
DE202009017952U1 (de) * 2009-09-25 2010-09-23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erglasung mit integrierter Schaltvorrichtung
EP2444381A1 (de) 2010-10-19 2012-04-25 Saint-Gobain Glass France Transparente Scheibe
PT2766774T (pt) * 2011-10-10 2019-05-17 Saint Gobain Envidraçamento isolante electrocromático com superfície de comutação de sensores
DE102012018001B4 (de) * 2011-11-29 2025-03-0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Transparente Scheibe, Scheiben-Sensor-Einheit und Kraftfahrzeug
ES2823755T3 (es) * 2011-12-20 2021-05-10 Saint Gobain Cristal compuesto con estructura de antena y superficie de conmutación integrad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5599A1 (en) * 2003-01-10 2006-12-07 Hugues Lefevre Glazing comprising electronics elem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383B1 (ko) * 2020-04-20 2021-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발열 기능을 가진 유리판 및 그 제조방법
US12010767B2 (en) 2020-04-20 2024-06-11 Hyundai Motor Company Glass plate hav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44275A1 (en) 2015-10-29
WO2015162108A1 (de) 2015-10-29
CN105723802B (zh) 2020-06-19
CA2944275C (en) 2019-08-20
KR20160136375A (ko) 2016-11-29
EP3135075A1 (de) 2017-03-01
JP6328273B2 (ja) 2018-05-23
HUE050460T2 (hu) 2020-12-28
US10638549B2 (en) 2020-04-28
EA035186B1 (ru) 2020-05-12
MX379198B (es) 2025-03-10
JP2017520079A (ja) 2017-07-20
CN105723802A (zh) 2016-06-29
US20170034875A1 (en) 2017-02-02
EA201692102A1 (ru) 2017-02-28
EP3135075B1 (de) 2020-04-08
MX2016013707A (es) 2017-01-13
PL3135075T3 (pl) 2020-08-10
ES2794100T3 (es)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986B1 (ko) 스위치 영역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패널
KR101975092B1 (ko) 조명되는 스위칭 표면 및 가열 기능을 갖는 패널
KR101986031B1 (ko)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복합 판유리
KR102179326B1 (ko)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가열가능한 복합 판유리를 갖는 판유리 어셈블리
KR101818829B1 (ko) 전기 가열층을 갖는 판유리
JP6985387B2 (ja) 拡張された容量性スイッチ領域を有している複合ペインを有しているペイン装置
US10694586B2 (en) Transparent pane having a heatable coating
KR20180080278A (ko) 용량성 스위칭 영역을 갖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복합 판유리
EA034331B1 (ru) Прозрачная панель с нагреваемым покрытием
CN116868510A (zh) 具有电路区域的玻璃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