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79789B1 -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789B1
KR101979789B1 KR1020190025131A KR20190025131A KR101979789B1 KR 101979789 B1 KR101979789 B1 KR 101979789B1 KR 1020190025131 A KR1020190025131 A KR 1020190025131A KR 20190025131 A KR20190025131 A KR 20190025131A KR 101979789 B1 KR101979789 B1 KR 101979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rod
hatch cover
air
positioner
fi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환
최한
Original Assignee
최지환
최한
지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환, 최한, 지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지환
Priority to KR1020190025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78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63B1/38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02T70/12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직접 물속(바닷속)으로 잠수해 들어가 공기분출구 폐쇄를 위해 선저부에 해치커버를 설치하는 작업수행에 있어, 작업의 편의성 증대 및 그에 따른 작업시간 단축과 아울러 해치커버에 의한 공기분출구의 폐쇄력 증대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몸체로써, 선저부의 공기분출구 차단을 위해 선체표면에 밀착설치되는 해치커버의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해치커버가 상기 선저부에 견고히 압착되도록 하는 바디; 상기 바디 상측에 연계장착되는 한편, 상기 해치커버가 선체에 결속될 수 있게 상기 공기분출구를 통과 후 상기 공기분출구에 걸림 가능한 세로로 긴 횡폭축소형태 또는 가로로 긴 횡폭확장형태로 형태가변을 이루는 픽스포지셔너; 상기 바디를 수직관통하여 상기 픽스포지셔너와 연계조립되는 긴 길이로써, 상기 픽스포지셔너의 형태가변 및 상기 픽스포지셔너를 상기 공기분출구 내면에 밀착시키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텐션로드; 상기 바디 내부에서 반발력을 나타냄에 따라, 장치해체시 상기 픽스포지셔너의 상승작용을 유도하여 상기 픽스포지셔너가 상기 공기분출구로부터 자동이격되게 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바디에 연계장착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른 상기 텐션로드의 구속으로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한 상기 텐션로드의 수직이동을 불가하게 만드는 로킹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HATCH COVER-BINDING DEVICE FOR MAINTENANCE OF VESSEL-AIR LUBR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직접 물속(바닷속)으로 잠수해 들어가 공기분출구 폐쇄를 위해 선저부에 해치커버를 설치하는 작업수행에 있어, 작업의 편의성 증대 및 그에 따른 작업시간 단축과 아울러 해치커버에 의한 공기분출구의 폐쇄력 증대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船舶, vessel)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은 선박운항의 고속화 및 동력절감에 의한 에너지효율의 향상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선박의 저항을 줄이기 위한 노력은 다양한 방법으로 오랜 기간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프루드의 가정(Froude's assumption)에서 선박의 저항은 크게 마찰저항(摩擦抵抗, friction resistance)과 잉여저항(剩餘抵抗, residual resistance)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마찰저항은 선체표면과 유체점성에 의한 상호작용으로 생겨나는 저항성분으로, 저속선에서는 전체저항의 약 80%를 차지하며, 고속선에서는 전체저항의 약 50%를 차지한다.
이러한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한 방법 중 공기윤활법(air lubrication method)은 선체와 물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침수표면적(浸水表面積, wetted surface area)을 줄이는 방법으로서, 선저(船底 / 배의 밑바닥) 평행부에 공기를 분사하여 공기층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방식(flat bottom type)과 선저 평행부에 공기공동(air cavity)을 형성하여 공기층을 유지하는 방식(cavity bottom type)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9166호(발명의 명칭 :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3525호(발명의 명칭 : 공기 윤활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5701호(발명의 명칭 : 내장형 공기챔버를 구비하는 공기윤활시스템과 그 설치방법) 등을 통해, 앞서 언급한 공기윤활법 기반의 공기윤활시스템(air lubrication system)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선행기술이 다수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을 살펴보면, 선체와 물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침수표면적을 줄이기 위한 공기분출구(또는 공기 분사구, 공기 분출공)가 선저표면에 다수 형성되어 있는바, 공기윤활시스템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상기 공기분출구를 폐쇄시켜야 한다.
즉, 공기의 분출흐름이 이어지는 에어튜브(air tube)의 선단 개구부(공기분출구)를 차단해야만 공기윤활시스템의 수리작업이 가능한데, 상기 공기분출구 차단(폐쇄)을 위해서는 작업자(잠수부)가 직접 물속(바닷속)으로 들어가 선박의 선저부까지 잠수상태로 이동 후 공기분출구 형성위치에 홀(hole) 차단을 위한 해치커버(hatch cover)를 단단히 밀착설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해치커버(910) 밀착설치에 필요한 결속장치(920)의 후크형 결속대(921)를 상기 에어튜브(930) 안쪽 인사이드잭(inside jack, 931)에 결속시킨 다음, 상기 결속장치(920)의 핸들(922)을 돌려 그 핸들(922)의 홀더(923)에 의해 해치커버(910)가 선체표면(950)에 압착되어 상기 공기분출구(940)가 폐쇄되도록 해야만 가능하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물속으로 들어가 선저부로 이동한 잠수상태에서, 공기분출구(940)의 형성위치에 상기 해치커버(910)를 밀착설치하는 그 일련의 작업을 실시하는 것 자체가 쉽지가 않다.
그리고, 상기 에어튜브(910) 안쪽에 인사이드잭(931)이 반드시 구성되어 있어야만 상기 후크형 결속대(921)의 결속 및 이를 통한 해치커버(910)의 밀착설치가 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결속장치(920)의 핸들(922)을 돌려 선체표면에 해치커버(910)를 압착시키는 작업을 잠수상태에 있는 작업자가 실시하기에는 그 작업과정이 매우 난해하고도 번거로우며, 그러한 이유로 상당한 작업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기 해지커버(910)의 설치작업이 전술한 바와 같이 상당히 난해하고 번거로운 이유로 작업시간이 길어질 경우, 작업자 생명에 위협이 초래되는 등 장시간 잠수상태의 수중작업 특성상 작업안전을 장담할 수 없게 되는 폐단이 있어왔다.
결국, 사람(작업자)이 직접 물속(바닷속)으로 잠수해 들어가 선저부의 공기분출구 형성위치를 폐쇄시키는 해치커버 설치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상기 해치커버를 보다 수월하고 신속한 설치가 가능토록 한 결속장치의 연구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9166호(등록일자 : 2013.03.25.)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3525호(등록일자 : 2014.08.18.)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5701호(등록일자 : 2016.02.12.)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횡폭 축소 또는 확장의 형태가변이 가능한 픽스포지셔너(fix positioner) 및 그 픽스포지셔너를 동작시키는 텐션로드(tension rod)를 구비, 상기 텐션로드 조작에 따른 상기 픽스포지셔너 형태가변의 동작특성을 이용 선체에 해치커버를 결속 및 밀착설치하는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치몸체로써, 선저부의 공기분출구 차단을 위해 선체표면에 밀착설치되는 해치커버의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해치커버가 상기 선저부에 견고히 압착되도록 하는 바디; 상기 바디 상측에 연계장착되는 한편, 상기 해치커버가 선체에 결속될 수 있게 상기 공기분출구를 통과 후 상기 공기분출구에 걸림 가능한 세로로 긴 횡폭축소형태 또는 가로로 긴 횡폭확장형태로 형태가변을 이루는 픽스포지셔너; 상기 바디를 수직관통하여 상기 픽스포지셔너와 연계조립되며, 상기 픽스포지셔너의 형태가변 및 상기 픽스포지셔너를 상기 공기분출구 내면에 밀착시키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텐션로드; 상기 바디 내부에서 반발력을 나타냄에 따라, 장치해체시 상기 픽스포지셔너의 상승작용을 유도하여 상기 픽스포지셔너가 상기 공기분출구로부터 자동이격되게 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바디에 연계장착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른 상기 텐션로드의 구속으로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한 상기 텐션로드의 수직이동을 불가하게 만드는 로킹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는,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픽스포지셔너의 연계장착 및 상기 픽스포지셔너 수직이동의 승강안내를 위한 가이드멤버가 상단으로부터 돌출 및 상기 텐션로드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텐션로드의 통과를 위한 축공이 중앙에 수직관통되며, 상기 로킹수단의 연계장착을 위한 핀공이 상기 축공을 가로지르는 중앙 하부에 수평관통된다.
더하여, 상기 픽스포지셔너는, 상기 텐션로드의 수직이동 위치에 따라 "
Figure 112019022396703-pat00001
"형 또는 "
Figure 112019022396703-pat00002
"형으로의 형태가변을 위한 관절운동을 하는 다수의 모션레그와, 상기 모션레그들 상호간의 힌지결합과 더불어 상기 바디 및 상기 텐션로드와의 연계결합을 위한 제1조인트 및 제2조인트와, 상기 모션레그들 상호간의 힌지결합을 위한 복수의 제3조인트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텐션로드에는, 손으로 부여잡고 아래로 끌어당기는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풀링핸들이 하말단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조인트를 떠받쳐 상기 텐션로드 상승시 상기 제1조인트가 더불어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픽스포지셔너가 세로로 긴 횡폭축소형태로 형태가변을 이루도록 하는 지지와셔가 더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핀공에 관통조립된 상태로 진퇴작용을 이루며, 그 진퇴여부에 따라 상기 텐션로드를 구속 또는 불구속하는 락핀과, 상기 락핀의 노출 전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한 힌지조작시 상기 락핀을 진퇴시키는 조작핸들과, 상기 락핀과 상기 조작핸들 상호간의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볼트와, 상기 락핀의 노출 후단부에 체결시켜, 상기 락핀의 분리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너트와, 상기 바디와 상기 힌지볼트 사이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락핀 후퇴이동의 반발력을 나타내는 고무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멤버는, 상기 바디의 중앙 상단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갖도록 일체로 돌출조립되는 베이스컬럼과, 상기 픽스포지셔너의 연계장착을 위해 상기 베이스컬럼 상측으로부터 연장조립되되, 상기 텐션로드의 수직이동시 상기 베이스컬럼에 의지된 상태로 더불어 수직이동을 하는 무브먼트컬럼과, 상기 무브먼트컬럼 내측에서 상기 텐션로드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한 하단의 지지로 상기 픽스포지셔너의 형태가변 완료지점까지 텐션로드가 하강될 때의 상기 무브먼트컬럼 하강을 억제하는 서포트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무브먼트컬럼은, 헥스볼트에 의해 상기 베이스컬럼 상측에 연계조립되고, 상기 헥스볼트의 관통 및 상기 베이스컬럼에 의지된 상태로 수직이동 안내를 위한 장공이 중앙부에 세로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픽스포지셔너의 연계조립을 위한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가 상부에 구비결합된다.
더하여, 상기 락핀은, 상기 텐션로드 및 상기 조작핸들에 의한 진출이동시 상기 텐션로드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텐션로드의 수직이동이 불가하게 만드는 통공이 중앙에 수직관통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는, 공기분출구의 폐쇄를 위한 해치커버를 선체표면에 밀착설치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는 픽스포지셔너가 세로로 긴 횡폭축소형태 또는 가로로 긴 횡폭확장형태로 형태가변이 이루어지는바, 그러한 형태가변 특성을 이용하여 공기분출구를 통해 에어튜브 안쪽으로 픽스포지셔너를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고, 이후의 텐션로드 조작으로 상기 픽스포지셔너의 형태를 가변(횡폭확장형태)시켜 상기 공기분출구에 걸림 및 밀착되도록 하는 것만으로도 본 발명의 해치커버 결속장치 결속은 물론이거니와 해치커버 설치가 가능케 되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픽스포지셔너를 공기분출구 내면에 직접 밀착시키는 것만으로도 본 발명의 해치커버 결속장치를 선체에 결속시킬 수 있어 인사이드잭 등과 같이 별도의 힌지부재나 부가 고정장치가 필요없고, 상기 텐션로드를 아래로 끌어당기는 단순행위만으로도 상기 픽스포지셔너의 형태가변 및 그 픽스포지셔너를 공기분출구 내면에 밀착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바디가 공기분출구 외면의 선체표면에 압착되도록 할 수 있어, 해치커버 설치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지금까지 설명한 각종 효과 달성으로, 작업자가 직접 물속으로 잠수해 들어가 선저부에 해치커버를 설치하는 잠수상태의 수중작업 특성상 작업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장시간 잠수상태로 인한 생명위협의 우려를 말끔히 해소할 수 있으며, 아울러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크게 높여 선박의 고속화와 운항동력 절감을 위한 연구개발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2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 4(a)(b)(c)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 각부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작동상태단면도.
도 6(a)(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에 있어서, 로킹수단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작동상태단면도.
도 7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의 다른 구성관계 및 동작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 9(a)(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2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4(a)(b)(c)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 각부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작동상태단면도이고, 도 6(a)(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에 있어서 로킹수단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작동상태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A)는, 장치몸체로써 선저부의 공기분출구 차단을 위해 선체표면에 밀착설치되는 해치커버의 외면을 가압 그 해치커버가 상기 선저부에 견고히 압착되도록 하는 바디(1)와, 상기 바디(1) 상측에 연계장착되는 한편 상기 해치커버가 선체에 결속될 수 있게 상기 공기분출구를 통과 후 그 공기분출구에 걸림 가능한 세로로 긴 횡폭축소형태 또는 가로로 긴 횡폭확장형태로 형태가변을 이루는 픽스포지셔너(2)와, 상기 바디(1)를 수직관통하여 상기 픽스포지셔너(2)와 연계조립되는 긴 길이로써 픽스포지셔너(2)의 형태가변 및 그 픽스포지셔너(2)를 상기 공기분출구 내면에 밀착시키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텐션로드(3)와, 상기 바디(1) 내부에서 반발력을 나타냄에 따라 장치해체시 상기 픽스포지셔너(2)의 상승작용을 유도하여 픽스포지셔너(2)가 공기분출구로부터 자동이격되게 하는 탄성스프링(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1)에 연계장착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른 텐션로드(3)의 구속으로 상기 탄성스프링(4)에 의한 상기 텐션로드(3)의 수직이동을 불가하게 만드는 로킹수단(5)을 더 포함한다.
바디(body, 1)는, 장치구성의 단일화와 아울러 공기분출구를 폐쇠하도록 선체표면에 밀착설치되는 상기 해치커버의 압착을 위한 것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픽스포지셔너(2)의 연계장착 및 그 픽스포지셔너(2) 수직이동의 승강안내를 위한 가이드멤버(11)가 상단으로부터 돌출 및 상기 텐션로드(3)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텐션로드(3)의 통과를 위한 축공(12)이 중앙에 수직관통되어 있고, 상기 로킹수단(5)의 연계장착을 위한 핀공(13)이 상기 축공(12)을 가로지르는 중앙 하부에 수평관통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멤버(11)는, 중앙 상단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갖도록 일체로 돌출조립되는 베이스컬럼(111)과, 픽스포지셔너(2)의 연계장착을 위해 상기 베이스컬럼(111) 상측으로부터 연장조립되되 상기 텐션로드(3)의 수직이동시 상기 베이스컬럼(111)에 의지된 상태로 더불어 수직이동을 하는 무브먼트컬럼(112)과, 상기 무브먼트컬럼(112) 내측에서 상기 텐션로드(3)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탄성스프링(4)에 의한 하단의 지지로 상기 픽스포지셔너(2)의 형태가변 완료지점까지 텐션로드(3)가 하강될 때의 상기 무브먼트컬럼(112) 하강을 억제하는 서포트파이프(11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컬럼(111)과 무브먼트컬럼(112)은, 상기 텐션로드(3)의 통과가 가능한 파이프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무브먼트컬럼(112)의 외면이 상기 베이스컬럼(111)의 내면에 대응밀착되는 상호결합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브먼트컬럼(112)은, 헥스볼트(hex bolt, 112-1)에 의해 상기 베이스컬럼(111) 상측에 연계조립되고, 상기 헥스볼트(112-1)의 관통 및 베이스컬럼(111)에 의지된 상태로 수직이동 안내를 위한 장공(112-2)이 중앙부에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픽스포지셔너(2)의 연계조립을 위한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112-3)가 상부에 구비결합되어 있다.
픽스포지셔너(fix positioner, 2)는, 횡폭확장형태 및 횡폭축소형태로의 형태가변을 통해 직경이 협소한 공기분출구 통과 및 그 내면에 밀착됨에 따른 해치커버의 결속상태 유지를 위한 것으로, 도 2 내지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텐션로드(3)의 수직이동 위치에 따라 "
Figure 112019022396703-pat00003
"형 또는 "
Figure 112019022396703-pat00004
"형으로의 형태가변을 위한 관절운동을 하는 다수의 모션레그(21)와, 상기 모션레그(21)들 상호간의 힌지결합과 더불어 상기 바디(1) 및 텐션로드(3)와의 연계결합을 위한 제1조인트(22-1) 및 제2조인트(22-2)와, 상기 모션레그(21)들 상호간의 힌지결합을 위한 복수의 제3조인트(23)로 구성된다.
상기 모션레그(21)는, 횡폭이 축소된 상태로 상기 공기분출구를 통과 후 횡폭이 확장되는 형태변형을 이룸으로써, 상기한 공기분출구의 내면에 걸림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해치커버의 분리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해치커버 결속상태 유지수단이다.
상기 제1조인트(22-1)는, 상기 모션레그(21)의 힌지결합 및 모션레그(21)와 상기 텐션로드(3)의 연계결합을 위한 핀부재로써, 상기 텐션로드(3) 선단의 통과가 가능한 통공(22-11)이 중앙에 관통되어 있다.
상기 제2조인트(22-2)는, 상기 모션레그(21)의 힌지결합 및 모션레그(21)와 상기 바디(1)의 연계결합을 위한 핀부재로써, 상기 텐션로드(3)의 통과가 가능한 통공(22-21)이 중앙에 관통되어 있다.
상기 제3조인트(23)는, 상기 제1조인트(22-1) 및 제2조인트(22-2)에 의해 상호 힌지결합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모션레그(21)들 상호간의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핀이다.
텐션로드(tension rod, 3)는, 상기 픽스포지셔너(2)의 형태가변 및 수직이동의 사용자 조작을 위한 것으로, 손으로 부여잡고 아래로 끌어당기는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풀링핸들(31)이 하말단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조인트(22-1)를 떠받쳐 상기 텐션로드(3) 상승시 제1조인트(22-1)가 더불어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픽스포지셔너(2)가 세로로 긴 횡폭축소형태로 형태가변을 이루도록 하는 지지와셔(32)가 더 구비되어 있다.
탄성스프링(elasticity spring, 4)은, 상기 바디(1)의 서포트파이프(113)를 상방향으로 밀어제쳐 상기 서포트파이프(113)의 상승 및 그로 인해 상기 픽스포지셔너(2)과 텐션로드(3)가 상승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텐션로드(3)를 둘러 감싼 형태로 배치구성되기에 적합하도록 스프링강의 둥근 막대를 감아서 만든 코일스프링(coil spring)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작용관계 및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기계요소라 한다면 얼마든지 달리 채용할 수 있다.
로킹수단(locking device, 5)은, 상기 바디(1)에 연계장착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른 텐션로드(3)의 구속으로 탄성스프링(4) 반발력에 의한 상기 텐션로드(3)의 상승작용을 포함한 수직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3a 및 도 3b 그리고 도 6(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의 핀공(13)에 관통조립된 상태로 진퇴작용을 이루며 그 진퇴여부에 따라 상기 텐션로드(3)를 구속 또는 불구속하는 락핀(51)과, 상기 락핀(51)의 노출 전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한 힌지조작시 락핀(51)을 진퇴시키는 조작핸들(52)과, 상기 락핀(51)과 조작핸들(52) 상호간의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볼트(53)와, 상기 락핀(51)의 노출 후단부에 체결시켜 락핀(51)의 분리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너트(54)와, 상기 바디(1)와 힌지볼트(53) 사이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락핀(51) 후퇴이동의 반발력을 나타내는 고무링(55)으로 구성된다.
상기 락핀(51)은, 상기 텐션로드(3)의 수직이동 간섭을 위한 것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로드(3) 및 상기 조작핸들(52)에 의한 진출이동시 상기 텐션로드(3)에 밀착됨으로써, 그 텐션로드(3)의 수직이동이 불가하게 만드는 통공(511)이 중앙에 수직관통되어 있다.
상기 조작핸들(52)은, 사용자가 손으로 부여잡은 상태에서 하측으로 잡아당길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픽스포지셔너(2)의 형태가 가변되는 상기 모션레그(21)들의 관절운동 및 픽스포지셔너(2)를 하강이동시키는 작업수행을 수월케 하는 파지수단이다.
상기 고무링(55)은, 형상복원의 탄력을 나타내는 고무를 소재로 하여 락핀(51)의 원위치(후퇴이동) 이동이 가능토록 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기계요소라 한다면 얼마든지 달리 채용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의 다른 구성관계 및 동작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킹수단(5)의 구성은 생략하고, 상기 텐션로드(3)의 회전조작을 통해 그 텐션로드(3)의 수직이동을 이루고 이에 따라 상기 픽스포지셔너(2)의 형태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한 방식으로 장치의 구성을 달리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텐션로드(3)의 하측 선단에는, 상기한 풀링핸들(31)을 대신하여, 상기 텐션로드(3)를 회전(자전)시키는데 필요한 스티어링핸들(3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텐션로드(3)의 정해진 일정구간에는, 상기 수나사산(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픽스포지셔너(2)의 제2조인트(22-2) 중앙에 수직관통된 상기 통공(22-21)의 내면에는, 상기 수나사산(33)에 대응하는 암나사산(22-21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핸들(33)을 회전시켜 상기 암나사산(22-211)에 맞물린 수나사산(33)이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함을 통해 텐션로드(3)가 수직이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픽스포지셔너(2)가 가로로 긴 횡폭확장형태 또는 세로로 긴 횡폭축소형태로 형태가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기 모션레그(21)들의 관절운동이 가능하다.
미 설명부호, (n)은 상기 텐션로드 및 다수의 조인트(제1,2,3조인트)와 락핀 그리고 힌지볼트와 헥스볼트 결합고정용 나이록너트(nyloc nut)이고, (s)는 상기 바디와 가이드멤버의 베이스컬럼 상호간 일체결합용 소켓스크루(socket screw)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a)(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A)는, 공기윤활시스템의 유지보수시 에어튜브(930) 선단 개구부인 공기분출구(940) 차단(폐쇄)을 위해 설치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직접 물속(바닷속)으로 들어가 선박의 선저부 정해진 위치까지 잠수상태로 이동 후 상기 공기분출구(940) 전면에 홀 차단을 위한 해치커버(910)를 밀착설치하는바, 공기분출구(940)가 형성된 선체표면(950)에 상기 해치커버(910)를 밀착시킨 다음, 본 발명의 해치커버 결속장치(A)을 이용하여 상기한 해치커버(910)를 상기 선체표면(950)에 결속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분출구(940)를 통해 바디(1) 상측의 픽스포지셔너(2)를 에어튜브(930) 안쪽으로 투입시킨다. 이때, 상기 픽스포지셔너(2)는, 도 4(a) 및 도 5a 그리고 도 9(a)에서와 같이, 세로로 긴 횡폭축소형태인 "
Figure 112019022396703-pat00005
"형을 이룬 상태임에 따라, 직경이 협소한 공기분출구(940)를 통해 상기 에어투브(930) 안으로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작업자가 텐션로드(3)의 풀링핸들(31)을 손으로 부여잡은 상태로 아래로 끌어당겨 상기 텐션로드(3)가 하강되도록 하는바, 텐션로드(3)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도 4(b) 및 도 5b 그리고 도 9(b)에서와 같이, 상기 픽스포지셔너(2)가 가로로 긴 횡폭확장형태인 "
Figure 112019022396703-pat00006
"형을 이룸에 따라, 본 발명을 포함한 상기 해치커버(910)가 선저부로부터 분리이탈 방지상태로 결속된다.
계속해서, 상기 풀링핸들(31)을 아래고 더 끌어내리게 되면, 상기와 같이 횡폭확장형태로 형태가 가변된 픽스포지셔너(2)가 더 하강하여 상기 공기분출구(940) 내면에 걸려 밀착됨과 아울러, 도 4(c) 및 도 5c 그리고 도 9(b)에서와 같이, 상기 바디(1)가 해치커버(910)의 외면을 강하게 압착케 됨으로써, 상기 해치커버(910)가 선체표면(950)에 견고히 밀착설치되는 것이며, 이에 의거 선체와 해치커버(910) 사이의 불특정 간극에 대응할 수 있음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로킹수단(5)을 조작 상기 텐션로드(3)의 수직이동이 방지되도록 하여 상기 픽스포지셔너(2)가 공기분출구(940)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바디(1)가 해치커버(910) 외면에 압착된 상태의 상기 해치커버(910) 결속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바, 이는 상기 로킹수단(5)의 조작핸들(52)을 회전시켜 그 조작핸들(52)에 힌지결합된 락핀(51)이 진출되도록 하고, 그로써 상기 락핀(51)의 중앙에 수직관통된 통공(511)이 텐션로드(3)에 밀착되는 간섭으로 가능하다.
반면, 공기윤활시스템의 유지보수를 끝마친 이후의 본 발명의 해치커버 결속장치(A)의 해체는, 지금까지 설명한 과정의 역순을 통해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정리하여, 본 발명의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A)에 의하면, 공기분출구(940)의 폐쇄를 위한 해치커버(910)를 선체표면(950)에 밀착설치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는 상기 픽스포지셔너(2)가 세로로 긴 횡폭축소형태 또는 가로로 긴 횡폭확장형태로 형태가변이 이루어지는바, 그러한 형태가변 특성을 이용하여 공기분출구(940)를 통해 에어튜브(930) 안쪽으로 픽스포지셔너(2)를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고, 이후의 텐션로드(3) 조작으로 상기 픽스포지셔너(2)의 형태를 가변(횡폭확장형태)시켜 상기 공기분출구(940)에 걸림 및 밀착되도록 하는 것만으로도 본 발명의 해치커버 결속장치(A) 결속 및 해치커버(910) 설치가 가능케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픽스포지셔너(2)를 공기분출구(940) 내면에 직접 밀착시키는 것만으로도 본 발명의 해치커버 결속장치(A)를 선체에 결속시킬 수 있어, 인사이드잭 등과 같이 별도의 힌지부재나 부가 고정장치가 필요없게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텐션로드(3)를 아래로 끌어당기는 단순행위만으로도 상기 픽스포지셔너(2)의 형태가변 및 그 픽스포지셔너(2)를 공기분출구(940) 내면에 밀착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바디(1)가 공기분출구(940) 외면의 선체표면(950)에 압착되도록 할 수 있어, 해치커버(910) 설치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해치커버 결속장치, 1 : 바디
2 : 픽스포지셔너, 3 : 텐션로드
4 : 탄성스프링, 5 : 로킹수단
11 : 가이드멤버, 12 : 축공
13 : 핀공, 21 : 모션레그
22-1 : 제1조인트, 22-2 : 제2조인트
22-11, 22-21, 511 : 통공, 23 : 제3조인트
31 : 풀링핸들, 32 : 지지와셔
51 : 락핀, 52 : 조작핸들
53 : 힌지볼트, 54 : 체결너트
55 : 고무링, 111 : 베이스컬럼
112 : 무브먼트컬럼, 112-1 : 헥스볼트
112-2 : 장공, 112-3 : 링크부재
113 : 서포트파이프

Claims (7)

  1. 장치몸체로써, 선저부의 공기분출구 차단을 위해 선체표면에 밀착설치되는 해치커버의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해치커버가 상기 선저부에 견고히 압착되도록 하는 바디;
    상기 바디 상측에 연계장착되는 한편, 상기 해치커버가 선체에 결속될 수 있게 상기 공기분출구를 통과 후 상기 공기분출구에 걸림 가능한 세로로 긴 횡폭축소형태 또는 가로로 긴 횡폭확장형태로 형태가변을 이루는 픽스포지셔너;
    상기 바디를 수직관통하여 상기 픽스포지셔너와 연계조립되며, 상기 픽스포지셔너의 형태가변 및 상기 픽스포지셔너를 상기 공기분출구 내면에 밀착시키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텐션로드;
    상기 바디 내부에서 반발력을 나타냄에 따라, 장치해체시 상기 픽스포지셔너의 상승작용을 유도하여 상기 픽스포지셔너가 상기 공기분출구로부터 자동이격되게 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바디에 연계장착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른 상기 텐션로드의 구속으로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한 상기 텐션로드의 수직이동을 불가하게 만드는 로킹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픽스포지셔너의 연계장착 및 상기 픽스포지셔너 수직이동의 승강안내를 위한 가이드멤버가 상단으로부터 돌출 및 상기 텐션로드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텐션로드의 통과를 위한 축공이 중앙에 수직관통되며,
    상기 로킹수단의 연계장착을 위한 핀공이 상기 축공을 가로지르는 중앙 하부에 수평관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포지셔너는, 상기 텐션로드의 수직이동 위치에 따라 "
    Figure 112019022396703-pat00007
    "형 또는 "
    Figure 112019022396703-pat00008
    "형으로의 형태가변을 위한 관절운동을 하는 다수의 모션레그와,
    상기 모션레그들 상호간의 힌지결합과 더불어 상기 바디 및 상기 텐션로드와의 연계결합을 위한 제1조인트 및 제2조인트와,
    상기 모션레그들 상호간의 힌지결합을 위한 복수의 제3조인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로드에는, 손으로 부여잡고 아래로 끌어당기는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풀링핸들이 하말단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조인트를 떠받쳐 상기 텐션로드 상승시 상기 제1조인트가 더불어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픽스포지셔너가 세로로 긴 횡폭축소형태로 형태가변을 이루도록 하는 지지와셔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핀공에 관통조립된 상태로 진퇴작용을 이루며, 그 진퇴여부에 따라 상기 텐션로드를 구속 또는 불구속하는 락핀과,
    상기 락핀의 노출 전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한 힌지조작시 상기 락핀을 진퇴시키는 조작핸들과,
    상기 락핀과 상기 조작핸들 상호간의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볼트와,
    상기 락핀의 노출 후단부에 체결시켜, 상기 락핀의 분리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너트와,
    상기 바디와 상기 힌지볼트 사이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락핀 후퇴이동의 반발력을 나타내는 고무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멤버는, 상기 바디의 중앙 상단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갖도록 일체로 돌출조립되는 베이스컬럼과,
    상기 픽스포지셔너의 연계장착을 위해 상기 베이스컬럼 상측으로부터 연장조립되되, 상기 텐션로드의 수직이동시 상기 베이스컬럼에 의지된 상태로 더불어 수직이동을 하는 무브먼트컬럼과,
    상기 무브먼트컬럼 내측에서 상기 텐션로드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한 하단의 지지로 상기 픽스포지셔너의 형태가변 완료지점까지 텐션로드가 하강될 때의 상기 무브먼트컬럼 하강을 억제하는 서포트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무브먼트컬럼은, 헥스볼트에 의해 상기 베이스컬럼 상측에 연계조립되고, 상기 헥스볼트의 관통 및 상기 베이스컬럼에 의지된 상태로 수직이동 안내를 위한 장공이 중앙부에 세로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픽스포지셔너의 연계조립을 위한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가 상부에 구비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락핀은, 상기 텐션로드 및 상기 조작핸들에 의한 진출이동시 상기 텐션로드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텐션로드의 수직이동이 불가하게 만드는 통공이 중앙에 수직관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
KR1020190025131A 2019-03-05 2019-03-05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 Active KR101979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131A KR101979789B1 (ko) 2019-03-05 2019-03-05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131A KR101979789B1 (ko) 2019-03-05 2019-03-05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789B1 true KR101979789B1 (ko) 2019-05-17

Family

ID=66678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131A Active KR101979789B1 (ko) 2019-03-05 2019-03-05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7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166B1 (ko) 2008-11-21 2013-04-01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KR101433525B1 (ko) 2013-05-30 2014-08-22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공기 윤활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KR101595701B1 (ko) 2015-07-02 2016-02-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내장형 공기챔버를 구비하는 공기윤활시스템과 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166B1 (ko) 2008-11-21 2013-04-01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KR101433525B1 (ko) 2013-05-30 2014-08-22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공기 윤활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KR101595701B1 (ko) 2015-07-02 2016-02-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내장형 공기챔버를 구비하는 공기윤활시스템과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50136C (en) Crew oxygen mask stowage assembly including selective depressurization valve
US7810442B2 (en) Mooring/vessel snap hook device
US5364075A (en) Retractable mount for a mooring line guide and process for operating the same
CN110816788B (zh) 一种无铠装电缆深潜器单绳回收方法
KR20140047904A (ko) 해양용 강제 회수장치
KR101979789B1 (ko) 선박 공기윤활시스템 유지보수용 해치커버 결속장치
CN108087624A (zh) 一种水下膨胀弯快速安装装置及安装方法
KR200480960Y1 (ko) 소방호스 소방수 분사 테스트용 받침대
WO2009058977A2 (en) Latch for boat bow
EP3615412B1 (en) Mooring apparatus
KR20110067259A (ko) 원자로 냉각재 계통 저온관의 열전달 완충 슬리브 제거장치
CN112278203B (zh) 一种深潜器双绳回收装置
CN112298497B (zh) 一种深潜器双绳回收方法
CN202914009U (zh) 在井下实现状态切换的打捞装置
KR101908440B1 (ko) 구조정용 후크장치
KR101067232B1 (ko) 원자로 냉각재 계통 저온관의 열전달 완충 슬리브 제거방법
CN218375928U (zh) 一种飞机发动机罩用摆角钩子锁
US4826229A (en) Cable release mechanism
JP2882451B2 (ja) 水中係維体における分離装置
KR101008571B1 (ko) 신축조절기
US4540210A (en) Cable release mechanism
CN211336360U (zh) 一种固定锁装置及具有其的电池舱盖固定组件、冲浪板
CN211226025U (zh) 一种用于塔吊的安全吊钩
KR101387153B1 (ko) 해양관측장비용 회수장치
CN109057200B (zh) 一种安全可靠的可调节活动栏杆定位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