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389B1 - On boarding safety system for children's school b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On boarding safety system for children's school b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9389B1 KR101979389B1 KR1020170084326A KR20170084326A KR101979389B1 KR 101979389 B1 KR101979389 B1 KR 101979389B1 KR 1020170084326 A KR1020170084326 A KR 1020170084326A KR 20170084326 A KR20170084326 A KR 20170084326A KR 101979389 B1 KR101979389 B1 KR 1019793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light
- guide lamp
- lamp
- sens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5/00—Arrangements or devices on vehicles for entrance or exit control of passengers, e.g. turnsti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3—Driving situation
- B60Q2300/336—Cross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학버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어가 개방되면 지면에 진입금지신호를 조명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램프를 구비하는 가이드 조명부와, 도어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의 도어 개방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가이드 램프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illumination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chool bus and includes at least one guide lamp for illuminating the entrance prohibition signal on the ground when the door is opened, a sensor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And a control unit for turning on the guide lamp when the open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최근들어 유치원, 학원 등에서는 집과 유치원, 학원 등을 연계하는 많은 어린이 통학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이러한 통학버스의 운행은 유치원, 학원 등에서 많은 원생을 모집하고, 보다 넓은 지역까지 자신의 유치원, 학원등으로 어린이 수강생을 빠르고 신속하게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many kindergarten buses have been operating in kindergartens, schools, etc., connecting home, kindergarten, and school. These buses are being used by kindergartens and academies for recruiting many aboriginal students and for transferring children to a wider area in their kindergartens and academies.
이러한, 통학버스는 통상 어린이 수강생을 위한 노선이 정해지고, 이를 기준으로 어린이 수강생을 승하차시키면서 운행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들어 이러한 통학버스로 인한 어린이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These buses are normally operated for children's students, and are operated with the students on board. However, in recent years, child safety accidents due to these school buses have frequently occurred, leading to social problems.
어린이 사망사고 또는 상해사고 등은 운전자가 부주의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정부에서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어린이 통학버스의 안전운행에 관한 법률 등을 제정하여 어린이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함에 있으나, 실상 통학버스에 의한 안전사고는 이러한 법률적 기준만으로는 방지할 수 없다.Most accidents involving child death or injury are caused by carelessness by the driver.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the government enacts laws and regulations on safe driving of school buses to prevent child safety accidents. However, safety accidents caused by school buses can not be prevented by these legal standards alone.
즉, 실상 통학버스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주의하지 않으면 어린이 안전사고는 계속해서 발생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주의를 상기시키기 위한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In other words, in reality, if a driver who drives a school bus is not careful, a child safety accident will continue to occur. Therefore, a device for reminding driver's attention is needed.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들의 승하차시에 조명으로 지면에 횡단보도(또는 진입금지선)를 구현하여 어린이들의 승하차 여부를 경보할 수 있는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destrian crossing (or an entry prohibition line) on a ground as lighting when children get on and off,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학버스의 일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램프를 구비하여 도어가 개방되면 지면에 진입금지신호를 조명하는 가이드 조명부와, 도어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의 도어 개방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가이드 램프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센서부는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센서와,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감지센서와, 도어와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 및 도어 및 통학버스의 주변의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보행자, 자동차, 전동기, 자전거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주변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guide lamp provided at one side of a school bus includes a guiding illumination unit for illuminating an entry prohibition signal to the ground when the door is opened, a sensor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And a controller for turning on the guide lamp when a sensing signal is received, wherein the sensor unit includes a door sensor for sens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a light amount sensor for sensing a light amount, a distance sensor for sensing a distance between the door and the ground, And at least one of a pedestrian, a car, an electric motor, and a peripheral sensor for sensing at least one of a pedestrian, an automobile, an electric motor, and a bicycle within a set distance around the door and the school bus.
따라서, 본 발명은 어린이들이 통학버스에 승하차시에 조명으로 횡단보도(또는 진입금지선)를 형성함에 따라 주변에 통행하는 자동차나 전동기, 자전거등에 어린이들의 승하차 여부를 경보할 수 있어 승하차시에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children form a pedestrian crossing (or a prohibiting line) when they get on and off the school bus, it is possible to alert the children whether they are getting in or out of car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from occurring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가이드 조명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가이드 램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afety system for entering and exiting a child's school b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2 is a block diagram of a boarding and safety system for children's school b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guide illumination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guide lamp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boarding and going-off safety system for a children's school bus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n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examples described herein, and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afety system for entering and exiting a child school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trol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afety system for entering and exiting a child's school b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어린이용 통학버스(100)에서 도어(110)가 개방되면 자동으로 지면을 조명하는 가이드 램프(251)를 포함한다. 가이드 램프(25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광을 출력하여 지면에 횡단보도(B, B')(또는 진입금지선)를 형성하되, 백색광이 아닌 유색상의 조명(예를 들면, 적, 청, 황)으로 지면에 횡단보도(B, B')(또는 진입금지선)를 임시 설치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본 발명은 주변의 광량에 따라 램프의 광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오시간에는 아침이나 저녁시간에 비하여 주변 광량이 많기에 가장 센 광량으로 지면에 광을 조명하여 횡단보도(B, B')(또는 진입금지선)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Here,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light intensity of the lamp according to the amount of surrounding light. For example, at the noon time, light is illuminated on the ground with the light amount which is the highest in the amount of ambient light as compared with morning or evening, so that the crosswalk (B, B ') (or the prohibition line) can be formed.
또는 대상 위치가 그늘진 장소이거나 흐린 날씨일 경우에 주변 광량에 맞도록 가이드 램프(251)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Or the light amount of the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유색상의 광으로서 지면에 횡단보도(B, B')(또는 진입금지선)를 임시 설치하되, 주변의 광량에 따라 광을 모으거나(ZOOM IN) 확산(ZOOM OUT) 시켜 횡단보도(B, B')(또는 진입금지선)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More preferably, the crosswalk (B, B ') (or prohibited entry line) is temporarily installed on the ground as light colored light, but the light is collected (ZOOM IN) and diffused (ZOOM OUT)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implement the crosswalk B and B '(or entry prohibition line).
그러므로, 본 발명은 어린이 통학버스(100)에서 어린이들이 승하차할 때, 도어(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횡단보도(B, B')(또는 진입금지선)를 형성함에 따라 주변의 통행차량이나 전동기, 자전거, 보행자들에게 어린이들의 승하차를 알려 해당 위치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안되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hildren ride on and off a child'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safety system for entering and exiting a child's school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boarding and safety system for children's school b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어(110) 및 주변 광량을 감지하는 센서부(220)와, 통학버스(100)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 진입을 금지하는 조명을 출력하는 신호등(230)과, 음성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부(240)와, 지면에 횡단보도(B, B')(또는 진입금지선)를 출력하는 가이드 조명부(250)와, 가이드 조명부(250)를 수동조작하는 복 수개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수동조작부(260)와, 운전자에게 정상작동 여부를 발광 표시하는 작동표시부(270)와,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2,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센서부(220)는 도어(110)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센서(221)와, 주변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감지센서(222)와,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이동사물(보행자, 자동차, 전동기, 자전거중 적어도 하나) 및 도어 주변의 어린이를 감지하는 주변감지센서(223)와,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224)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도어센서(221)는 통학버스(100)의 도어(110)가 개방 또는 폐쇄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제어부(210)에 출력한다. The
광량감지센서(222)는 주변 광량, 특히 도어(110)가 위치된 전방을 중심으로 설정된 범위이내의 광량을 감지하여 제어부(210)에 출력한다. The
주변감지센서(223)는 통학버스(100)를 중심으로 설정된 범위 이내에 자동차, 자전거, 전동기, 보행자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사물과, 도어(110) 주변의 어린이를 감지하여 제어부(210)에 출력한다. 여기서 주변감지센서(223)는 레이저, 적외선, 열영상 카메라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주변을 감지한다. 이와 같은 주변감지센서(223)는 공지된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The
거리감지센서(224)는 도어(110)와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제어부(210)에 출력한다. 이와 같은 도어(110)와 지면과의 거리는 후술되는 가이드 램프(251)의 줌인(ZOOM IN) 또는 줌아웃(ZOON OUT)의 조절과, 가이드 램프(251)의 지향각 조절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된다. The
신호등(230)은 도어(110)의 개방 및/또는 가이드 조명부(250)의 작동과 동시에 점등되어 전방 및/또는 후방으로부터 자동차, 보행자, 전동기 또는 자전거(이하 이동사물로 총칭함)등의 진입을 금지하는 점등신호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로는 교통 신호등(230)의 형상으로 진입금지(예를 들면, 적색등)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등(230)은 통학버스(100)의 전방과 후방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다.The
수동조작부(260)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신호등(230) 및 가이드 램프(251)를 점등시키기 위한 점등스위치(262)와, 가이드 램프(251)의 줌과 지향각을 조절하는 램프조절스위치(261)와, 경보음성을 출력하는 경보출력스위치(263)를 포함한다. The
점등스위치(262)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가이드 램프(251)를 점등시키는 스위치이다. 즉, 점등스위치(262)는 가이드 램프(251)의 점등 명령을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The
바람직하게로는 점등스위치(262)는 신호등(230)의 점등명령을 출력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turn-on
램프조절스위치(261)는 운전자가 가이드 램프(251)의 줌(ZOOM)과 지향각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스위치이다. 즉, 램프조절스위치(261)는 줌인(ZOOM IN) 또는 줌아웃(ZOOM OUT) 명령 및/또는 지향각 조절명령을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The
경보출력스위치(263)는 운전자 또는 인솔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온하면, 제어부(210)로 음성경보 명령을 출력한다. The
작동표시부(270)는 각 구성의 작동 여부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작동표시부(270)는 복 수개의 LED로서 도어(110)의 개방 여부, 신호등(230)의 점등 여부, 가이드 램프(251)의 점등 여부, 음성경보 출력 여부를 점등 표시한다. 또는 작동표시부(270)는 액정 디스플레이로서 문자나 숫자 또는 기호등의 조합에 의하여 각 구성들의 작동 여부를 표시함도 가능하다. The
가이드 조명부(250)는 도어(110)와 지면과의 거리에 따라 지향각도가 조절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색상의 광을 출력하여 지면에 횡단보도(B, B')(또는 진입금지선)를 구현한다. 또한, 가이드 조명부(250)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램프(251)가 도어(110) 양측에서 지면에 광을 조사하여 횡단보도(B, B')(또는 진입금지선)를 구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구성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guiding
도 3은 본 발명에서 가이드 조명부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가이드 램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guide illumination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guide lamp.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조명부(250)는 도어(110)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복 수개의 가이드 램프(251)와, 가이드 램프(251)의 출력을 조절하는 광량조절수단(252)과, 가이드 램프(251)의 줌을 조절하는 줌조절수단(253)과, 가이드 램프(251)의 지향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254)을 포함한다.3 and 4, the
광량조절수단(252)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가이드 램프(251)에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을 조절하여 가이드 램프(251)에서 발광되는 광량을 조절한다. The light amount adjusting means 252 controls the level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줌조절수단(253)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하여 가이드 램프(251)의 촛점을 조절하여 줌인 또는 줌아웃 기능을 구현한다. The
각도조절수단(254)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하여 가이드 램프(251)를 상하로 회전시켜 가이드 램프(251)의 지향각을 조절한다. 또는 각도조절수단(254)은 후술되는 가이드 램프(251)의 렌즈어셈블리(251d) 자체를 상하로 회전시킴도 가능하다. The angle adjusting means 254 controls the direction of the
가이드 램프(251)는 복 수개의 구역으로 구획된 하우징(251a)과, 하우징(251a)의 각 구역별로 설치되는 복 수개의 발광소자(LED)(251b, 251b', 251b'', 251b''')와, 발광소자(LED)(251b, 251b', 251b'', 251b''')의 전면에 고정되는 컬러필터(251c, 251c', 251c'', 251c''')와, 컬러필터(251c, 251c', 251c'', 251c''')에서 투과된 광을 집광하여 출력하는 렌즈어셈블리(251d)를 포함한다. The
하우징(251a)은 내측에 복 수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도록 직립된 복 수개의 벽면을 이루어서 각각의 구역별로 발광소자(LED)(251b, 251b', 251b'', 251b''')가 수용되는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하우징(251a)의 전면은 복 수개의 컬러필터(251c, 251c', 251c'', 251c''')와, 렌즈어셈블리(251d)로서 밀폐된다. The
발광소자(LED)(251b, 251b', 251b'', 251b''')는 복 수개로서,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4 발광소자(LED)(251b, 251b', 251b'', 251b''')가 하우징(251a)의 구역별로 설치되며, 제1발광소자(LED)(251b)와 제3발광소자(LED)(251b'')가 제1색상으로 발광하고, 제2발광소자(LED)(251b')와 제4발광소자(LED)(251b''')가 제2색상으로 발광한다. 251b ', 251b' ', and 251b' '' are a plurality of, for example, first to fourth light emitting devices (LEDs) 251b, 251b ', 251b' The first
또는 제1발광소자 내지 제4발광소자(LED)(251b, 251b', 251b'', 251b''')는 각 발광소자(LED)(251b, 251b', 251b'', 251b''')별로 컬러필터(251c, 251c', 251c'', 251c''')가 설치됨에 따라 동일색상(예를 들면, 백색광)을 출력하는 발광소자(LED)(251b, 251b', 251b'', 251b''')로 적용함도 가능하다. 251b ', 251b', 251b '' ')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LEDs) 251b, 251b', 251b ' (LEDs) 251b, 251b ', 251b' ', and 251b (for example, white light) that emit the same color (e.g., white light) as the
컬러필터(251c, 251c', 251c'', 251c''')는 복 수개로서, 예를 들면, 제1발광소자(251b)의 전면에 제1컬러필터(251c), 제2발광소자(251b')의 전면에 제2컬러필터(251c'), 제3발광소자(251b'')의 전면에 제3컬러필터(251c''), 제4발광소자(251b''')의 전면에 제4컬러필터(251c''')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컬러필터(251c, 251c', 251c'', 251c''')는, 예를 들면, 2색상중 어느 하나로 상호 교번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컬러필터(251c, 251c', 251c'', 251c''')의 색상과 숫자 및 배치방법은 사업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The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컬러필터(251c, 251c', 251c'', 251c''')는 유색상으로 횡단보도(B, B')(또는 진입금지선)가 인쇄된 광투과성 인쇄필름으로 렌즈어셈블리(251d)의 일면에 접착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another embodiment, the
렌즈어셈블리(251d)는 하우징(251a)의 전면에서 복 수개의 렌즈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어셈블리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컬러필터(251c, 251c', 251c'', 251c''')를 통하여 투과된 광을 확산 또는 집광하여 지면에 횡단보도(B, B') 또는 진입금지선과 같은 진입금지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렌즈어셈블리(251d)는 자체가 상하로 회전되면서 지향각을 조절할 수 있다. The lens assembly 251d is an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lenses are sequential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즉, 렌즈어셈블리(251d)는 각도조절수단(254)의 구동에 의하여 상하로 회전되면서 컬러필터(251c, 251c', 251c'', 251c''')에서 투과된 광의 지향각을 조절함도 가능하다. That is, the lens assembly 251d may be rotated up and down by driving the angle adjusting means 254 to adjust the directing angle of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또는 가이드 램프(251)는 각도조절수단(254)에 의하여 전체가 상하로 회전되어 광의 지향각이 조절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렌즈어셈블리(251d) 및 하우징(251a)을 회전 구조와 줌인 또는 줌아웃시키는 기구적 구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Or the
제어부(210)는 도어센서(221)의 도어(110) 개방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신호등(230)을 점등하도록 제어하고, 가이드 조명부(250)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신호등(230)은 교통 신호등(230)과 동일한 색상과 방식으로 구현되며 주변감지센서(223)와 연동되어 신호를 점멸시킨다. 예를 들면, 신호등(230)은 적, 청, 황색의 광을 점등시키고, 제어부(210)는 도어(110)의 개방이 감지되면 황색등을 점등시키고, 도어(110)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적색을 점등시키고, 도어(110) 주변에서 인체가 감지되지 않고 도어(110)가 닫히면 적색을 청색으로 변환하여 점등하도로 제어한다. The
즉, 제어부(210)는 도어센서(221)와 주변감지센서(223)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신호등(230)을 제어한다. That is, the
아울러 제어부(210)는 거리감지센서(224)로부터 도어(110)에서 지면까지의 거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가이드 조명부(250)의 각도조절수단(254)을 제어하여 지면에 구현되는 횡단보도(B, B')(또는 진입금지선)의 길이를 결정한다. The
예를 들면, 제어부(210)는 도어(110)에서 지면과의 거리가 가까우면 가이드 램프(251)를 상향시키고, 도어(110)에서 지면과의 거리가 멀면, 가이드 램프(251)를 하향시켜 점등되도록 제어한다. For example, when the
또한, 제어부(210)는 광량감지센서(222)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광량이 적은 경우에는 줌조절수단(253)을 제어하여 줌아웃(ZOOM OUT)시켜 광을 보다 확산하도록 하고, 광량이 많은 경우에는 줌인(ZOOM IN)시켜 가이드 램프(251)에서 출력되는 광을 설정된 영역에 집중시키고, 광량조절수단(252)을 제어하여 가이드 램프(251)의 광세기를 상향시키도록 제어한다. The
또한, 제어부(210)는 주변감지센서(223)로부터 통학버스(100)의 설정된 영역 이내에서 보행자, 자동차, 자전거, 전동기등이 감지되면, 경보부(240)를 제어하여 어린이들이 하차중임을 경보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When a pedestrian, a car, a bicycle, an electric motor, or the like is detected within the set area of the
여기서, 제어부(210)는 도어(110)가 개방될 때마다 경보부(240)를 구동시켜 소정의 음성신호를 출력하여 주변에 경고함도 가능하다. Here, the
또한, 제어부(210)는 상술한 도어(110) 개방, 신호등(230)의 점등, 인체의 감지, 경보부(240)의 작동 여부, 가이드 램프(251)의 점등 여부를 작동표시부(270)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달성되는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controlling a safety system for a child abutment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서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boarding and going-off safety system for a children's school bus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대기하는 S110 단계와, 도어(110)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S120 단계와, 도어(110)가 개방되었으면 신호등(230)을 점등시키는 S130 단계와, 광량과 거리 및 이동사물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S140 단계와, 가이드 램프(251)를 점등시키는 S150 단계와, 도어(110)에서 설정된 거리 이내에 인체가 감지되는 지를 판단하는 S160 단계와,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가이드 램프(251)를 오프시키는 S170 단계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fety system for a child abutment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ps S110 to S110, step S120 to determine whether the
S110 단계는 제어부(210)가 도어(110)가 개방되기까지 대기하는 단계이다. 이때 통학버스(100)는 다수의 어린이들이 탑승한 체로 이동중이거나 어린이들을 탑승시키기 위하여 지정된 장소로 이동중이다. In step S110, the
S120 단계는 제어부(210)가 도어센서(221)로부터 도어(110)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In step S120, the
S130 단계는 제어부(210)가 S130 단계에서 도어(110)가 개방되었다면, 통학버스(100)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 설치되는 신호등(230)을 점등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신호등(230)은 교통신호등과 동일한 색상을 선택적으로 발광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10)는 도어(110)가 개방되면 표시등을 청색에서 황색으로 변경하고, 도어(110)의 정면에서 설정된 거리 이내에 인체가 감지되면 황색에서 적색으로 점등되도록 제어한다. In step S130, if the
S140 단계는 제어부(210)가 광량감지센서(222)와 거리감지센서(224)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로는 제어부(210)는 주변감지센서(223)로부터 통학버스(100)를 중심으로 설정된 거리 이내에 이동중인 이동사물(예를 들면, 보행자, 자동차, 자전거, 전동기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되면 경보부(240)를 제어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step S140, the
S150 단계는 제어부(210)가 가이드 램프(251)를 점등시키는 단계이다. 제어부(210)는 광량감지신호에 따라 가이드 램프(251)에서 출력되는 광세기를 조절하고, 줌조절수단(253)을 제어한다. 광량조절수단(252)은 가이드 램프(251)에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을 조절하여 가이드 램프(251)의 광출력을 조절한다. 줌조절수단(253)은 렌즈어셈블리(251d)내에 구비된 렌즈들의 간격을 조절하여 줌인 또는 줌아웃을 조절한다. In step S150, the
또한, 각도조절수단(254)은 제어부(210)가 거리감지센서(224)의 감지신호에 따라 도어(110)와 지면과의 거리에 따라 렌즈어셈블리(251d) 또는 가이드 램프(251) 전체를 상하로 회전시켜 지향각을 조절한다. The angle adjusting means 254 adjusts the angle of the lens assembly 251d or the
따라서, 가이드 램프(251)는 도어(110)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각각 지면을 향해 광을 출력하며, 지면에 조명된 광은 컬러필터(251c, 251c', 251c'', 251c''')에 의하여 두 가지 색상이 교번적으로 표시되면서 횡단보도(B, B')(또는 진입금지선)의 형상을 조명하게 된다. 그러므로 어린이들은 횡단보도(B, B')(또는 진입금지선) 사이로 승차 또는 하차하게 된다. Therefore, the
이때, 제어부(210)는 작동표시부(270)를 통하여 도어(110)의 개방여부와, 신호등(230)의 점등여부와 경보부(240)의 작동 여부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작동표시부(270)를 통하여 각 장치들의 정상 작동 여부와 현재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160 단계는 제어부(210)가 도어(110)의 정면에서 인체가 감지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통학버스(100)에서 어린이들의 승차 또는 하차가 완료되면, 도어(110)의 정면에서 인체가 감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가이드 램프(251)의 오프여부를 주변감지센서(223)의 인체 감지여부를 통하여 결정한다. In step S160, the
S170 단계는 제어부(210)가 S160 단계에서 인체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가이드 램프(251)를 오프시키는 단계이다. 즉, 본 발명은 가이드 램프(251)의 오프시기를 도어(110)에서 설정된 거리 이내에 인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로 설정된다. 또한, 제어부(210)는 신호등(230)의 신호를 적색에서 청색으로 변경되도록 함도 가능하다. 여기서, 신호등(230)은 도어(110)가 닫힐 경우에도 신호를 변환시킬 수 있다. In step S170,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주변에서 이동중인 보행자나 차량등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어린이들의 승차 또는 하차 위치에 조명으로 횡단보도(B, B')(또는 진입금지선)를 임시 설치함에 따라 승하차중인 어린이들의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edestrian crossings (B, B ') (or prohibited entry lines) are temporarily installed as lights at the riding or getting off positions of children so that they can be confirmed by pedestrians or vehicles moving in the vicinity, Can be prevented in advance.
특히 본 발명은 주변의 광량과, 도어(110)와 지면과의 거리에 따라서 광의 세기와 광출력을 줌인 줌아웃함에 따라 횡단보도(B, B')와 같은 진입금지신호를 지면에 명확하게 구현할 수 있고, 이동사물들을 감지하여 경보하기에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rance prohibition signal such as the pedestrian walkways B and B 'can be clearly implemented on the ground as the intensity of light and the light output are zoomed in and out according to the ambient light amoun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 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set forth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통학버스 110 : 도어
210 : 제어부 220 : 센서부
221 : 도어센서 222 : 광량감지센서
223 : 주변감지센서 224 : 거리감지센서
230 : 신호등 240 : 경보부
250 : 가이드 조명부 251 : 가이드 램프
251a : 하우징 251b : 발광소자
251c : 컬러필터 251d : 렌즈어셈블리
260 : 수동조작부 252 : 광량조절수단
253 : 줌조절수단 254 : 각도조절수단
261 : 램프조절스위치 262 : 점등스위치
263 : 경보출력스위치 270 : 작동표시부100: School bus 110: Door
210: control unit 220:
221: Door sensor 222: Light amount sensor
223: Ambient detection sensor 224: Distance detection sensor
230: Traffic light 240: Alarm unit
250: guide illumination part 251: guide lamp
251a:
251c: Color filter 251d: Lens assembly
260: manual operation unit 252: light amount adjusting means
253: zoom adjusting means 254: angle adjusting means
261: lamp control switch 262: lighting switch
263: Alarm output switch 270: Operation indicator
Claims (8)
도어(110)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220); 및
센서부(220)의 도어(110) 개방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가이드 램프(251)를 점등시키는 제어부(210); 를 포함하고,
센서부(220)는
도어(110)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센서(221);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감지센서(222);
도어(110)와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224); 및
도어(110) 및 통학버스의 주변의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보행자, 자동차, 전동기, 자전거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주변감지센서(2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시스템.
A guide illumination unit 250 provided with at least one guide lamp 251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chool bus and illuminating an entrance prohibition signal to the ground when the door 110 is opened;
A sensor unit 220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110 is open or closed; And
A control unit 210 for turning on the guide lamp 251 when the detection signal for opening the door 110 of the sensor unit 220 is received; Lt; / RTI >
The sensor unit 220
A door sensor 221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110 is opened;
A light amount detecting sensor 222 for detecting a light amount;
A distance sensing sensor 224 sen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door 110 and the ground; And
A peripheral sensing sensor 223 for sensing at least one of a pedestrian, a car, an electric motor, and a bicycle within a set distance around the door 110 and the school bus; A child restraint system for children's school buses.
The safety syste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ignal lamp (230) for illuminating an entry prohibition light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school bu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0).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하여 가이드 램프(251)에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을 조절하여 가이드 램프(251)에서 출력되는 광의 세기를 조절하는 광량조절수단(252);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하여 가이드 램프(251)의 지향각을 조절하는 각도 조절수단; 및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하여 가이드 램프(251)의 줌인 또는 줌아웃을 조절하는 줌조절수단(253);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시스템.
The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illumination unit (250)
A light amount control means 252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output from the guide lamp 251 by adjusting the level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guide lamp 25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0;
Angle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directing angle of the guide lamp 25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0; And
And zoom adjusting means (253) for controlling zooming or zooming out of the guide lamp (25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0).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251b, 251b', 251b'', 251b''');
발광소자(251b, 251b', 251b'', 251b''')의 전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컬러필터(251c, 251c', 251c'', 251c'''); 및
적어도 하나가 이동 및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컬러필터(251c, 251c', 251c'', 251c''')를 투과한 광을 줌인 또는 줌아웃하는 복 수개의 렌즈가 구비된 렌즈어셈블리(251d);를 포함하는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시스템.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lamp (251)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251b, 251b ', 251b'',251b''');
At least one color filter 251c, 251c ', 251c', and 251c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s 251b, 251b', 251b '', and 251b '''; And
A lens assembly 251d having at least one lens fixed to move and rotate so as to zoom in or out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color filters 251c, 251c ', 251c'', and 251c''' Including children's buses for school bus safety systems.
b)도어(110)가 개방되면 통학버스의 전방과 후방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신호등(230)을 점등시키는 단계;
c)도어(110)가 개방되면 주변의 광량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광량감지신호에 따라 가이드 램프(251)의 광세기를 조절 및 점등시켜 지면에 진입금지신호를 조명하는 단계; 및
e)도어(110)에서 설정된 거리 이내에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가이드 램프(251)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c) 단계는
도어(110)와 지면과의 거리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d)단계는
도어(110)와 지면과의 거리감지신호에 따라 가이드 램프(251)의 지향각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시스템의 제어방법.
a) determining whether the control unit 210 opens the door 110 of the school bus;
b) illuminating a signal lamp (230)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bus when the door (110) is opened;
c) receiving the surrounding light intensity detection signal when the door 110 is opened;
d) adjusting the light intensity of the guide lamp 251 according to the light amount detection signal and illuminating the light to illuminate the entry prohibition signal on the ground; And
e) turning off the guide lamp 251 if no human body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oor 110,
c) The step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a distance sensing signal between the door (110) and the ground,
d) The step
And adjusting a steering angle of the guide lamp (251) according to a distance detection signal between the door (110) and the ground.
d) 단계는 이동사물의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경보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시스템의 제어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step c) further comprises sensing a moving object around the door (110) and the school bus,
and d) the step of outputting an alarm sound when a detection signal of a moving object is receiv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4326A KR101979389B1 (en) | 2017-07-03 | 2017-07-03 | On boarding safety system for children's school b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4326A KR101979389B1 (en) | 2017-07-03 | 2017-07-03 | On boarding safety system for children's school b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4123A KR20190004123A (en) | 2019-01-11 |
KR101979389B1 true KR101979389B1 (en) | 2019-05-16 |
Family
ID=65028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4326A Expired - Fee Related KR101979389B1 (en) | 2017-07-03 | 2017-07-03 | On boarding safety system for children's school b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9389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9566A (en) * | 2021-05-25 | 2022-12-05 | 주식회사 경신 |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passenger getting off vehicle |
WO2023034549A1 (en) * | 2021-09-02 | 2023-03-09 | Hyperfine Operations, Inc. | Light gauss guard for portable magnetic resonance imaging devices |
KR20240140995A (en) | 2023-03-15 | 2024-09-25 | 주식회사 아이커넥트 | Intelligent passenger monitoing system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n school buses for children |
KR20250093882A (en) | 2023-12-18 | 2025-06-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vehicle lighting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984034T3 (en) * | 2020-08-31 | 2024-10-28 | Iveco France Sas | Public transport road vehicle comprising a door control system |
KR102552368B1 (en) * | 2021-05-13 | 2023-07-07 | 주식회사 경신 | Apparatus for notifying getting on and off and control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4231B1 (en) * | 2011-11-14 | 2014-01-2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passenger using graphic light projection |
KR101354131B1 (en) * | 2012-03-15 | 2014-01-24 | 박종국 | Accident prevention indicating devic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
KR20140132605A (en) * | 2013-05-08 | 2014-11-18 | 이슬기 | Children's school vehicle safety systems |
KR20140133312A (en) | 2013-05-10 | 2014-11-19 | 한상신 | Small child sefety help apparatus for school bus |
-
2017
- 2017-07-03 KR KR1020170084326A patent/KR10197938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9566A (en) * | 2021-05-25 | 2022-12-05 | 주식회사 경신 |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passenger getting off vehicle |
KR102552370B1 (en) * | 2021-05-25 | 2023-07-07 | 주식회사 경신 |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passenger getting off vehicle |
WO2023034549A1 (en) * | 2021-09-02 | 2023-03-09 | Hyperfine Operations, Inc. | Light gauss guard for portable magnetic resonance imaging devices |
KR20240140995A (en) | 2023-03-15 | 2024-09-25 | 주식회사 아이커넥트 | Intelligent passenger monitoing system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n school buses for children |
KR20250093882A (en) | 2023-12-18 | 2025-06-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vehicle light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4123A (en) | 2019-0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9389B1 (en) | On boarding safety system for children's school b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
US8075169B2 (en) | External safety illumination for a bus | |
US10741083B2 (en) | Road surface image-drawing system for vehicle | |
US8182125B2 (en) | External safety illumination for a bus with light mounted to mirror arm | |
KR101256041B1 (en) | Road safety system at the pedestrian crossing of school zone | |
JP2009032260A (en) |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 |
CN111497736B (en) | Sign lamp system | |
KR101829220B1 (en) | A crosswalk safety light system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2331250B1 (en) | Traffic safety warning system for Cross Road using LED and Beam Projector | |
KR102484348B1 (en) | Smart pole system that tracks the position of pedestrians in the pedestrian crossing area | |
KR20190052741A (en) | Sign device for safety line of crosswalk | |
KR20200089829A (en) | Reversible lane operating system | |
KR102353084B1 (en) | A Safety signage for traffic lights at crosswalks | |
US20030156044A1 (en) | Traffic control system | |
KR20160089916A (en) | lighting equipment of alert signal lamp for pedestrian | |
KR101446115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bollard of road | |
US20210188163A1 (en) | U-turn signal indicator | |
KR102150539B1 (en) | Smart sign board for crosswalk | |
KR20130137110A (en) | Safety system of getting on and off to achieve the safe getting on and off of children is installed on the school van for the children | |
JPWO2020137455A1 (en) | Vehicle lighting | |
JP2005205950A (en) | Night pedestrian notifying device | |
JP2006265989A (en) | Traffic safety system | |
KR20230049499A (en) | Traffic light interlocking beam projector | |
KR20190030316A (en) | crosswalk lighting system | |
KR100720061B1 (en) | Warning ligh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810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