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374B1 - A lidar device and rotating poligon mirror used in the lidar device - Google Patents
A lidar device and rotating poligon mirror used in the lidar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9374B1 KR101979374B1 KR1020180081896A KR20180081896A KR101979374B1 KR 101979374 B1 KR101979374 B1 KR 101979374B1 KR 1020180081896 A KR1020180081896 A KR 1020180081896A KR 20180081896 A KR20180081896 A KR 20180081896A KR 101979374 B1 KR101979374 B1 KR 1019793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ser
- mirror
- irradiated
- light receiving
- scanning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1673526 Lyd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98 azimuthal photoelectron diff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3 phase shif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6—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of receivers alon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7—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relating to scann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02B7/18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for rotating or oscillating 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다 장치 및 라이다 장치에 이용되는 회전 다면 미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 장치 및 라이다 장치에 이용되는 회전 다면 미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다 장치는, 레이저를 출사하는 레이저 출력부, 상기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된 레이저를 획득하여 상기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조사영역을 선 형태로 확장시키는 제1 스캐닝부, 상기 제1 스캐닝부에서 조사된 조사영역이 선 형태인 레이저를 획득하여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조사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키는 제2 스캐닝부 및 스캔영역상에 위치하는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캐닝부는 기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노딩하며, 상기 레이저 광의 이동경로를 수직방향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조사영역을 수직방향의 선 형태로 확장시키는 노딩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캐닝부는 수직방향으로 설정된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조사영역이 수직방향의 선 형태인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수평방향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조사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키는 회전 다면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multi-faceted mirror used in a ladder apparatus and a ladder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acet mirror apparatus and a rotary multi-faceted mirror used in a ladder apparatus. The las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ser output unit for emitting a laser beam, a first scanning unit for acquiring a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aser output unit and continuously changing the moving path of the laser beam, A second scanning unit for acquiring a laser beam having a line shape irradiated from the first scanning unit to continuously change the movement path to extend the irradiation area into a planar shape, Wherein the first scanning unit includes a nodding mirror for nodding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nd extending the irradiation area in a vertical line shape by changing the traveling path of the laser light in a vertical direction, As the second scanning unit rotates about one axis se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rradiation area And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for expanding the irradiated area into a face shape by changing the traveling path of the laser in the form of a vertical 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라이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스캔영역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고 상기 스캔영역상에 존재하는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감지하여,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라이다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라이다 장치(LiDAR: Light Detecting And Ranging)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대상체와의 거리를 탐지하는 장치이다. 또한 라이다 장치는 레이저를 이용한 포인트 클라우드(Point cloud)를 생성하여 주변에 존재하는 사물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라이다 장치를 이용한 기상관측, 3차원 맵핑(3D mapping), 자율주행차량, 자율주행드론 및 무인 로봇 센서 등에 대한 연구 역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Light Detecting And Ranging (LiDAR) is a device that detects the distance to an object using a laser. In addition, the lidar device is a device that can acquire position information about an object existing in the vicinity by generating a point cloud using a laser. Also, researches on meteorological observations, 3D mapping, autonomous vehicles, autonomous traveling drones, and unmanned robot sensor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종래의 라이다 장치는 라이다 장치 자체를 기계적으로 회전시키거나, 확산렌즈를 이용하여 스캔영역을 확장해왔다. 그러나 라이다 장치 자체를 기계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다수의 레이저에서 발생하는 열적인 문제나, 기계적 회전에 따라 안정성, 내구성 등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확산렌즈를 이용하여 스캔영역을 확장시키는 라이다 장치의 경우, 레이저의 확산으로 인해 측정 거리가 줄어드는 문제가 있었다. Conventional lidar devices have been used to mechanically rotate the lidar itself or to extend the scan area using a diffuse lens. However, when the Lada apparatus itself is mechanically rotated, problems such as thermal problems occurring in a plurality of lasers and stability and durability due to mechanical rotation have been encounter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Lada device for extending a scan area using a diffusion len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asurement distance is reduced due to the diffusion of the laser.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라이다 장치 자체의 기계적 회전을 통하지 않고 스캔영역을 확장할 수 있으며, 라이다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scan range without mechanically rotating the lidar device itself, and studie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ladar device have been continued.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일 채널의 레이저 만으로도 원하는 스캔영역을 갖는 라이다 장치에 관한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da device having a desired scan area even with a single channel laser alone.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레이저를 확산시키지 않고도 최소한의 전력으로 더 먼거리에 위치하는 대상체를 감지하기 위한 라이다 장치에 관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dar apparatus for detecting a target object positioned at a longer distance with a minimum power without diffusing a laser beam.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광되는 레이저의 양을 증가시켜 최소한의 전력으로 더 먼거리에 위치하는 대상체를 감지하기 위한 라이다 장치에 관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dder device for detecting a target object positioned at a longer distance with a minimum power by increasing the amount of received laser beam.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장치는 레이저를 출사하는 레이저 출력부, 상기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된 레이저를 획득하여 상기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조사영역을 선 형태로 확장시키는 제1 스캐닝부, 상기 제1 스캐닝부에서 조사된 조사영역이 선 형태인 레이저를 획득하여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스캔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키는 제2 스캐닝부 및 상기 스캔영역상에 위치하는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캐닝부는 기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노딩하며, 상기 레이저 광의 이동경로를 수직방향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조사영역을 수직방향의 선 형태로 확장시키는 노딩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캐닝부는 수직방향으로 설정된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조사영역이 수직방향의 선 형태인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수평방향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스캔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키는 회전 다면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da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laser output unit for emitting a laser beam, a first scanning unit for acquiring a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aser output unit and continuously changing a moving path of the laser beam, A second scanning unit for acquiring a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first scanning unit and linearly changing a moving path to expand the scanning area to a planar shape, Wherein the first scanning unit includes a nodding mirror for nodding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nd extending the irradiation area in a vertical line shape by changing a moving path of the laser light in a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scanning unit rotates about one axis set in the vertical direction, If reverse rotation that extends in the form if the scanning area by changing the path of movement of the line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laser may include a mirror.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장치는 레이저를 출사하는 레이저 출력부, 상기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된 레이저를 획득하여 상기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조사영역을 선 형태로 확장시키는 제1 스캐닝부, 상기 제1 스캐닝부에서 조사된 조사영역이 선 형태인 레이저를 획득하여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스캔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키는 제2 스캐닝부 및 상기 스캔영역상에 위치하는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라이다 장치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된 레이저가 스캔영역상에 위치하는 대상체에 도달하기까지의 조사 경로 및 상기 스캔영역상에 존재하는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가 상기 센서부에 도달하기까지의 수광 경로를 가지며, 상기 조사 경로는 상기 제1 스캐닝부 및 상기 제2 스캐닝부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상기 스캔영역을 향하도록 설정 되며, 상기 수광 경로는 상기 제1 스캐닝부 및 상기 제2 스캐닝부 중 상기 제2 스캐닝부를 통하여 상기 센서부를 향하도록 설정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dder device includes a laser output unit for emitting a laser beam, a first scanning unit for acquiring a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aser output unit and continuously changing a moving path of the laser beam, A second scanning unit for acquiring a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first scanning unit and linearly changing a moving path to extend the scanning area to a planar shape, and a second scanning unit for reflecting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object located on the scanning area, An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aser output unit, wherein the laser output unit is configured to irradiate a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aser output unit to a target object located on the scan region, The laser light having a light receiving path until reaching the sensor section, And the second scanning unit, the light receiving path may be set to face the sensor unit through the first scanning unit and the second scanning unit, .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장치에 이용되는 회전 다면 미러는 구동부에 체결되어 구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몸체 및 전달받은 레이저를 반사하기 위한 반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부, 하부 및 상기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의 중심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반사면은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를 제외한 옆면에 위치하며, 거리측정을 위해 출사된 레이저를 획득하여 스캔영역으로 반사하기 위한 조사부분 및 상기 스캔영역상에 위치하는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획득하여 반사하기 위한 수광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tary multi-faceted mirror, comprising: a rotatable body coupled to a driving unit to receive a driving force and a reflecting surface for reflecting a transmitted laser; And a pillar that connects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nd rotates about a rotation axis passing vertically through the center of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nd the reflection surface is located on a side surface excluding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body, And a light receiving part for acquiring and reflecting the laser beam reflected from the object located on the scan area.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olution of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solutions, and the solution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possible.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장치는 회전 다면 미러를 스캔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이용함으로써 단일 채널의 레이저만으로도 스캔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The Lada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extend the scan area with only a single-channel laser by using the rotating polyhedral mirror to expand the scan area.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장치는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변경시켜 스캔영역을 확장시킴으로 인하여 최소한의 전력으로 더 먼거리에 위치하는 대상체를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ladder device can detect a target object positioned at a longer distance with a minimum power by chang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ser to expand the scan area.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장치는 회전 다면 미러를 수광을 하기 위해 이용함으로써 수광되는 레이저의 양을 증가시켜 최소한의 전력으로 더 먼거리에 위치하는 대상체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rotary polyhedral mirror for receiving light, the amount of laser light received can be increased to detect a target object positioned at a longer distance with minimum power.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장치에서 스캐닝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반사면의 수가 3개이며 몸체의 상부 및 하부가 정삼각형 형태인 회전 다면 미러의 시야각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도 7는 반사면의 수가 4개이며 몸체의 상부 및 하부가 정사각형 형태인 회전 다면 미러의 시야각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도 8는 반사면의 수가 5개이며 몸체의 상부 및 하부가 정오각형 형태인 회전 다면 미러의 시야각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의 조사부분 및 수광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의 조사부분 및 수광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의 조사부분 및 수광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의 조사부분 및 수광부분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의 조사부분 및 수광부분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의 높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의 높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의 높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차단부를 포함하는 회전 다면 미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ydia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scanning unit in the Lad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adder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4 is a diagram of a ladder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rotating polygon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top view for explaining a viewing angle of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in which the number of reflecting surfaces is three and the top and bottom of the body are equilateral triangular.
7 is a top view for explaining a viewing angle of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in which the number of reflecting surfaces is four and the top and bottom of the body are square.
8 is a top view for explaining a viewing angle of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in which the number of reflection surfaces is 5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dy are in a pentagonal shape.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rradiated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of a rotating polyhedral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rradiated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of a rotating polyhedral mirr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rradiated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of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of an irradiated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of a rotating polyhedral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of an irradiated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of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height of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eight of a rotating polygon mirr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eight of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7 is a view for explaining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including a light block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양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Ranges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modifications or variation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 However, if a specific term is defined as an arbitrary meaning, the meaning of the term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Accordingly, the terms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on the name of the term, an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e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rawings attached hereto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easily, and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displayed as necessary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도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 장치로서, 레이저를 출사하는 레이저 출력부, 상기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된 레이저를 획득하여 상기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조사영역을 선 형태로 확장시키는 제1 스캐닝부, 상기 제1 스캐닝부에서 조사된 조사영역이 선 형태인 레이저를 획득하여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스캔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키는 제2 스캐닝부 및 상기 스캔영역상에 위치하는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캐닝부는 기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노딩하며, 상기 레이저 광의 이동경로를 수직방향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조사영역을 수직방향의 선 형태로 확장시키는 노딩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캐닝부는 수직방향으로 설정된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조사영역이 수직방향의 선 형태인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수평방향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스캔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키는 회전 다면 미러를 포함하는 라이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ladder device for measuring a distance using a laser, comprising: a laser output unit for emitting a laser; a laser output unit for acquiring a laser output from the laser output unit, A second scanning unit for acquiring a laser beam having a linear irradiation area irradiated from the first scanning unit to continuously change the moving path to enlarge the scan area into a surface shape; And a sensor section for sensing a laser beam reflected from a target object positioned on the scan region, wherein the first scanning section nodding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nd changing the travel path of the laser beam in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second scanning unit includes a nodal mirror that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If the axis of rotation as the rotating surface, based on a scan area by changing the path of movement of the laser irradiation area is the line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xpansion in the form it may be a d including a mirror provided with a device.
여기서, 상기 라이다 장치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된 레이저가 스캔영역상에 위치하는 대상체에 도달하기까지의 조사 경로 및 상기 스캔영역상에 존재하는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가 상기 센서부에 도달하기까지의 수광 경로를 가지며, 상기 조사 경로는 상기 노딩미러 및 상기 회전 다면 미러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상기 스캔영역을 향하도록 설정 되며, 상기 수광 경로는 상기 노딩미러 및 상기 회전 다면 미러 중 상기 회전 다면 미러만을 통하여 상기 센서부를 향하도록 설정 될 수 있다.Here, the Lidar apparatus may include an irradiation path until a laser emitted from the laser output unit reaches a target object located on a scan region, and a laser beam reflected from a target object existing on the scan region reach the sensor unit Wherein the irradiation path is set so as to face the scan area sequentially through the nodding mirror and the rotating polygon mirror, and the light receiving path is set such that only the rotating polygon mirror among the nodding mirror and the rotating polygon mirror To the sensor unit.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는 상기 노딩미러에서 조사된 조사영역이 선 형태인 레이저를 획득하여 상기 스캔영역을 향해 반사하기 위한 조사부분 및 상기 스캔영역상에 위치하는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획득하여 상기 센서부를 향해 반사하기 위한 수광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조사부분은 상기 노딩미러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이 상기 회전 다면 미러와 만나는 선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회전 방향으로 이은 면 형태이며, 상기 수광부분은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반사면 중 상기 센서부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일 부분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회전방향으로 연장시킨 면 형태일 수 있다.Here, the rotary multi-faceted mirror acquires a laser beam having a line-shaped irradiation region irradiated from the nodding mirror and irradiates the irradiated portion to reflect the laser beam toward the scan region, and acquires a laser reflected from the object located on the scan reg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for reflecting the laser beam toward the sensor portion, wherein the irradiated portion is in the form of a plane in which a line where the irradiation region of the laser irradiated by the nodding mirror meets the rotating polygon mirror is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polygon mirror, And a portion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that is reflected to be transmitted toward the sensor portion among the reflective surfaces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is extended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조사부분은 상기 조사 경로에 포함되고,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수광부분은 상기 수광 경로에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irradiated portion of the rotary polyhedral mirror may be included in the irradiation path,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of the rotary polyhedral mirror may be included in the light receiving path.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수광부분의 크기는 적어도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조사부분의 크기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size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may be set at least larger than the size of the irradiated portion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여기서, 상기 조사부분 및 상기 수광부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회전축과 수직인 가상의 단면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조사부분 및 상기 수광부분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회전축과 수직인 가상의 단면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Wherein one of the irradiated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is located on an imaginary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and the other of the irradiated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Can be positioned below the hypothetical cross-section.
여기서, 상기 조사부분과 상기 수광부분은 이격 되어 위치 할 수 있다.Here, the irradiated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may be located apart from each other.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높이는 적어도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조사부분의 높이 및 상기 수광부분의 높이를 합한 값보다 클 수 있다.Here, the height of the rotary polygon mirror may be larger than a sum of a height of the irradiated portion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and a height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
여기서, 상기 조사부분의 높이는 상기 노딩미러의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및 상기 노딩미러와 상기 회전 다면 미러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Here, the height of the irradiated por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of the nodding mirror and a distance between the nodding mirror and the rotating polyhedral mirror.
여기서, 상기 수광부분의 높이는 상기 센서부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Here, the height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of the sensor portion.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를 이용하여 거리측정 하는 라이다 장치에 이용되는 회전 다면 미러로서, 구동부에 체결되어 구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몸체 및 전달받은 레이저를 반사하기 위한 반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부, 하부 및 상기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의 중심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반사면은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를 제외한 옆면에 위치하며, 거리측정을 위해 출사된 레이저를 획득하여 스캔영역으로 반사하기 위한 조사부분 및 상기 스캔영역상에 위치하는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획득하여 반사하기 위한 수광부분을 포함하는 회전 다면 미러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used in a ladder device for measuring distance using a laser, the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comprising: a rotatable body coupled to a driving part to receive a driving force; Wherein the body includes an upper portion, a lower portion, and a column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wherein the body is rotated around a rotation axis passing vertically through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which is located on a side surface and includes an irradiated portion for acquiring a laser emitted for distance measurement and reflecting the laser to a scan reg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for acquiring and reflecting the laser reflected from the object located on the scan region,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수광부분의 크기는 적어도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조사부분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Here, the size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may be larger than at least the size of the irradiating portion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조사부분 및 상기 수광부분은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회전축과 수직인 가상의 단면을 기준으로 나뉘어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irradiated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of the rotary multi-faceted mirror can be set based on an imaginary cross-s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ry multi-faceted mirror.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높이는 적어도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조사 영역의 높이 및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수광 영역의 높이를 합한 값보다 클 수 있다.Here, the height of the rotary polygon mirror may be greater than a sum of at least the height of the irradiation area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and the height of the light receiving area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 장치로서, 레이저를 출사하는 레이저 출력부, 상기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된 레이저를 획득하여 상기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조사영역을 선 형태로 확장시키는 제1 스캐닝부, 상기 제1 스캐닝부에서 조사된 조사영역이 선 형태인 레이저를 획득하여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스캔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키는 제2 스캐닝부 및 상기 스캔영역상에 위치하는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라이다 장치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된 레이저가 스캔영역상에 위치하는 대상체에 도달하기까지의 조사 경로 및 상기 스캔영역상에 존재하는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가 상기 센서부에 도달하기까지의 수광 경로를 가지며, 상기 조사 경로는 상기 제1 스캐닝부 및 상기 제2 스캐닝부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상기 스캔영역을 향하도록 설정 되며, 상기 수광 경로는 상기 제1 스캐닝부 및 상기 제2 스캐닝부 중 상기 제2 스캐닝부를 통하여 상기 센서부를 향하도록 설정 되는 라이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ladder apparatus for measuring a distance using a laser, comprising: a laser output unit for emitting a laser; a laser output unit for acquiring a laser output from the laser output unit, A second scanning unit for extending the scan area to the surface shape by continuously changing the movement path by acquiring a laser beam having a line shape irradiated from the first scanning unit, And a sensor unit for sensing a laser beam reflected from a target object located on the scan area, wherein the laser device includes an irradiation path until a laser emitted from the laser output unit reaches a target object located on a scan area, The laser light reflected by the object existing on the scan area reaches the sensor unit, Wherein the irradiation path is set so as to face the scan area through the first scanning part and the second scanning part in sequence, and the light receiving path is set so as to face the second scanning part and the second scanning part out of the first scanning part and the second scanning part, And is set to face the sensor unit through the scanning unit.
여기서, 상기 제2 스캐닝부는 수직방향으로 설정된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조사영역이 수직방향의 선 형태인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수평방향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스캔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키는 회전 다면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scanning unit may include a rotating multi-facet mirror for expanding the scan area into a plane shape by changing the traveling path of the laser, which is a linear line sha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the irradiation area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ingle axis set in the vertical direction .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는 상기 제1 스캐닝부에서 조사된 조사영역이 선 형태인 레이저를 획득하여 상기 스캔영역을 향해 반사하기 위한 조사부분 및 상기 스캔영역상에 위치하는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획득하여 상기 센서부를 향해 반사하기 위한 수광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조사부분은 상기 제1 스캐닝부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이 상기 회전 다면 미러와 만나는 선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회전 방향으로 이은 면 형태이고, 상기 수광부분은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반사면 중 상기 센서부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일 부분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회전방향으로 연장시킨 면 형태이며,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조사부분은 상기 조사 경로에 포함되고,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수광부분은 상기 수광 경로에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may include an irradiated portion irradiated by the first scanning portion to acquire a laser beam having a linear shape and to reflect the laser beam toward the scan region, and a laser beam reflected from the object located on the scan reg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for reflecting the laser beam toward the sensor portion, wherein the irradiating portion includes a surface shape in which a line irradiated by the laser irradiated by the first scanning portion meets the rotating polygon mirror,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is in the form of a surface extending in a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otary polygon mirror so that a portion of the reflection surface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that is reflected to be transmitted toward the sensor portion is in the form of a surface, Path, and the light-receiving portion of the rotary polyhedral mirror may be included in the light-receiving path .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수광부분의 크기는 적어도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조사부분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Here, the size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may be larger than at least the size of the irradiating portion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여기서, 상기 조사부분 및 상기 수광부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회전축과 수직인 가상의 단면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조사부분 및 상기 수광부분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회전축과 수직인 가상의 단면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Wherein one of the irradiated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is located on an imaginary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and the other of the irradiated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Can be positioned below the hypothetical cross-section.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높이는 적어도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조사부분의 높이 및 상기 수광부분의 높이를 합한 값보다 크며, 상기 조사부분의 높이는 상기 제1 스캐닝부와 상기 회전 다면 미러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1 스캐닝부로부터 상기 조사영역에 이르는 각도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수광 영역의 높이는 상기 센싱부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Here, the height of the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height of the irradiating portion of the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and the height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 and the height of the irradiating portion is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scanning portion and the rotating multi- And the height of the light receiving reg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of the sensing portion.
1. 라이다 장치 및 용어정리1. Lada device and terminology
라이다 장치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거리 및 위치를 탐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라이다 장치와 대상체와의 거리 및 라이다 장치를 기준으로 한 대상체의 위치는 (R, , )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라이다 장치와 대상체와의 거리 및 라이다 장치를 기준으로 한 대상체의 위치는 직교좌표계 (X,Y,Z), 원통좌표계 (R,,z)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A lidar device is a device for detecting the distance and position of an object using a laser.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lidar device and the object and the position of the object with respect to the ladder device are (R, , ).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lidar device and the target object and the position of the target object with respect to the ladder device may be determined using a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X, Y, Z), a 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R, , z), and so on.
또한 라이다 장치는 대상체와의 거리(R)를 결정하기 위하여,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dar device can use a laser reflected from the object to determine the distance R to the obje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다 장치는 대상체와의 거리(R)를 결정하기 위해 출사된 레이저와 감지된 레이저의 시간차이인 비행시간(TOF: Time Of Flight)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다 장치는 레이저를 출력하는 레이저 출력부와 반사된 레이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 장치는 레이저 출력부에서 레이저가 출력된 시간을 확인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를 센서부에서 감지한 시간을 확인하여, 출사된 시간과 감지된 시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대상체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idar may utilize time of flight (TOF), which is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emitted laser and the sensed laser to determine the distance R to the object. For example, the Lidar apparatus may include a laser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laser and 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reflected laser. The lidar apparatus confirms the output time of the laser at the laser output unit, checks the time at which the laser reflected from the object is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calculates the distance from the objec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time and the sensed time It can be judg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다 장치는 대상체와의 거리(R)를 결정하기 위해 감지된 레이저의 감지 위치를 기초로 삼각측량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된 레이저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경우 상기 반사된 레이저는 센서부 중 레이저 출력부와 상대적으로 먼 지점에서 감지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된 레이저가 상대적으로 먼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경우 상기 반사된 레이저는 센서부 중 레이저 출력부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지점에서 감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라이다 장치는 레이저의 감지 위치의 차이를 기초로 대상체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idar device may use triangulation based on the sensed position of the laser sensed to determine the distance R to the object. For example, when the laser emitted from the laser output unit is reflected from a relatively close object, the reflected laser may be detected at a position relatively far from the laser output unit of the sensor unit. In addition, when the laser emitted from the laser output unit is reflected from a relatively far object, the reflected laser can be detected at a position relatively close to the laser output unit of the sensor unit. Accordingly, the Lada apparatus can determine the distance to the object based on the difference in the detection position of the laser.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다 장치는 대상체와의 거리(R)를 결정하기 위해 감지된 레이저의 위상변화(Phase shift)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다 장치는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된 레이저를 AM(Amplitude Modulation)시켜 진폭에 대한 위상을 감지하고, 스캔영역상에 존재하는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레이저의 진폭에 대한 위상을 감지하여 출사된 레이저와 감지된 레이저의 위상 차이에 기초하여 스캔영역상에 존재하는 대상체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idar device may utilize a phase shift of the sensed laser to determine the distance R to the object. For example, the Lidar apparatus detects the phase of the amplitude by AM (Amplitude Modulation) the laser emitted from the laser output unit, detects the phase of the laser reflected from the object existing on the scan reg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istance to the object existing on the scan region based on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laser and the sensed laser.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다 장치는 조사되는 레이저의 각도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다 장치에서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향해 조사된 하나의 레이저의 조사 각도(,)를 알 수 있는 경우, 상기 스캔영역상에 존재하는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레이저가 센서부에서 감지된다면, 라이다 장치는 조사된 레이저의 조사 각도(, )로 상기 대상체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idar device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object using the angle of the irradiated laser. For example, the irradiation angle of one laser irradiated toward the scan area of the laser device in the laser device , If the laser reflected from the object existing on the scan area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 The position of the object can be determin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다 장치는 수광되는 레이저의 각도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대상체와 제2 대상체가 라이다 장치로부터 같은 거리(R)에 있으나, 라이다 장치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 )에 있는 경우, 제1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와 제2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는 센서부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감지될 수 있다. 라이다 장치는 반사된 레이저들이 센서부에서 감지된 지점을 기초로 대상체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idar apparatus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object using the angle of the laser beam received. For example, although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re at the same distance R from the Lada device, , ), The laser reflected from the first object and the laser reflected from the second object can be sensed at different points of the sensor part. The lidar device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object based on the point at which the reflected lasers are sensed by the sensor.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다 장치는 주변의 임의의 대상체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해 대상체를 포함하는 스캔영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스캔영역은 탐지 가능한 영역을 한 화면으로 표현한 것으로 1프레임동안 한 화면을 형성하는 점, 선, 면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스캔영역은 라이다 장치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조사영역은 1프레임 동안 조사된 레이저가 같은 거리(R)에 있는 구면과 만나는 점, 선, 면의 집합을 의미 할 수 있다. 또한 시야각(FOV, Field of view)은 탐지 가능한 영역(Field)을 의미하며, 라이다 장치를 원점으로 보았을 때 스캔영역이 가지는 각도 범위로 정의 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adar device may have a scan area that includes the object to detect the position of any object in the vicinity. Here, the scan area represents a set of points, lines, and faces that form a screen for one frame, which is a representation of a detectable area in one screen. In addition, the scan area may refer to the irradiated area of the laser irradiated by the radar device, and the irradiated area refers to a set of points, lines, and surfaces where the laser irradiated during one frame meets the spherical surface at the same distance (R) . Also, the field of view (FOV) means a detectable field and can be defined as an angle range of the scan area when the LIDAR device is viewed as the origin.
2. 라이다 장치의 구성2. Configuration of the Lada device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Lada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2.1 라이다 장치의 구성요소2.1 Components of the Lidar devic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dar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장치(100)는 레이저 출력부(110), 스캐닝부(120), 센서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라이다 장치(100)는 상기 구성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을 갖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라이다 장치는 상기 스캐닝부 없이 상기 레이저 출력부,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제어부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또한, 라이다 장치(100)에 포함된 레이저 출력부(110), 스캐닝부(120), 센서부(130) 및 제어부(140) 각각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라이다 장치는 복수 개의 레이저 출력부, 복수 개의 스캐닝부, 복수 개의 센서부로 구성 될 수 있다. 물론, 단일 레이저 출력부, 복수 개의 스캐닝부, 단일 센서부로 구성 될 수도 있다. Each of the
라이다 장치(100)에 포함된 레이저 출력부(110), 스캐닝부(120), 센서부(130) 및 제어부(140) 각각은 복수개의 하위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라이다 장치는 복수 개의 레이저 출력 소자가 하나의 어레이로 레이저 출력부를 구성할 수 있다.Each of the
2.1.1 레이저 출력부2.1.1 Laser output section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는 레이저를 출사할 수 있다. 상기 라이다 장치(100)는 상기 출사된 레이저를 이용하여 대상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는 하나 이상의 레이저 출력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는 단일 레이저 출력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레이저 출력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레이저 출력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레이저 출력 소자가 하나의 어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는 905nm대역의 레이저를 출사시킬 수 있으며, 1550nm대역의 레이저를 출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는 800nm에서 1000nm사이 파장의 레이저를 출사시킬 수 있는 등 출사된 레이저의 파장은 다양한 범위에 걸쳐있을 수도 있으며, 특정 범위에 있을 수도 있다. Also, the
또한,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의 레이저 출력소자가 복수개인 경우 각 레이저 출력소자는 같은 파장대역의 레이저를 출사시킬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파장대역의 레이저를 출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레이저 출력소자를 포함하는 레이저 출력부의 경우, 하나의 레이저 출력소자는 905nm대역의 레이저를 출사시킬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레이저 출력소자는 1550nm대역의 레이저를 출사시킬 수 있다.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laser output elements of the
또한 상기 레이저 출력 소자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LD), Solid-state laser, high power laser, Light entitling diode(LED), 빅셀(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 : VCSEL), External cavity diode laser(ECD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laser output device may be a laser diode (LD), a solid-state laser, a high power laser, a light entry diode (LED), a 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 (VCS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2.1.2 스캐닝부2.1.2 Scanning section
스캐닝부(120)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의 조사방향 및/또는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캐닝부(120)는 출사된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변경하여 레이저의 조사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출사된 레이저를 발산시키거나 위상을 변화시켜 레이저의 크기를 변경시키거나 조사방향을 변경시킬 수도 있고, 레이저를 발산시키고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변경시켜 레이저의 조사 방향 및 크기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The
또한 상기 스캐닝부(120)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의 조사방향 및/또는 크기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을 확장시키거나 스캔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또한 상기 스캐닝부(120)는 출사된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해 고정된 각도로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고정미러, 기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노딩(nodding)하며 지속적으로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노딩미러 및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지속적으로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회전미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Further, the
또한 상기 스캐닝부(120)는 출사된 레이저를 발산시키기 위하여 렌즈, 프리즘, 액체 렌즈(Microfluidie lens), Liquid Crysta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the
또한 상기 스캐닝부(120)는 출사된 레이저의 위상을 변화시키고 이를 통하여 조사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OPA(Optical phased array)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the
또한 상기 노딩미러는 출사된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시켜,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확장 또는 변경시키는 것으로 기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노딩할 수 있다. 여기서 노딩은 하나 또는 다수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딩미러는 공진스캐너(Resonance scanner), MEMs mirror, VCM(Voice Coil Motor)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urther, the nodding mirror may continuously chang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emitted laser to no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by expanding or changing the irradiation area of the laser. Here, the nodding can be referred to as rotating about one or more axes and reciprocating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The nodding mirror may be a resonance scanner, a MEMs mirror, a voice coil motor (VCM),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회전미러는 출사된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시켜,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확장 또는 변경시키는 것으로,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미러는 단면미러가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일 수 있으며, 원뿔형 미러가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일 수도 있고, 다면 미러가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축을 기준으로 각도범위 제한 없이 회전하는 미러일 수 있다.Further, the rotating mirror continuously rotat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mitted laser and expands or changes the irradiated area of the laser, so that the rotating mirror can rotate based on one axis. In addition, the rotating mirror may be one in which the end mirror rotates with respect to the axis, or the conical mirror may be rotated about the axis, or the multi-side mirror may rotate about the axis, but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a mirror that rotates without limit of range.
또한 상기 스캐닝부(120)는 단일한 스캐닝부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스캐닝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캐닝부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광학요소를 포함 할 수 있으며, 그 구성에 제한이 없다. The
2.1.3 센서부2.1.3 Sensor section
센서부(130)는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 상에 위치하는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감지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센서부(130)는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130)는 단일 센서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센서 소자로 구성된 센서 어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130)는 하나의 APD(Avalanche Photodiode)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SPAD(Single-photon avalanche diode)이 어레이로 구성된 SiPM(Silicon PhotoMultipliers)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개의 APD를 단일 채널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채널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센서 소자는 PN 포토다이오드, 포토트랜지스터, PIN 포토다이오드, APD, SPAD, SiPM, CCD(Charge-Coupled Device)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ensor element may include a PN photodiode, a phototransistor, a PIN photodiode, an APD, a SPAD, a SiPM, and a CCD (charge-coupled device).
2.1.4 제어부2.1.4 Control section
제어부(140)는 감지된 레이저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다 장치로부터 스캔영역 상에 위치하는 대상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 상기 스캐닝부(120), 상기 센서부(130) 등 상기 라이다 장치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2.2 스캐닝부2.2 Scanning section
이하에서는 상기 스캐닝부(120)에 대해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장치에서 스캐닝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scanning unit in the Lad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의 조사영역에 따라 상기 스캐닝부(120)의 기능이 다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2.2.1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이 점 형태인 경우2.2.1 When the irradiation area of the laser emitted from the laser output part is dot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가 단일 레이저 출력소자를 갖는 경우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되는 레이저(111)의 조사영역은 점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스캐닝부(120)는 상기 레이저(111)의 조사방향 및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선 형태 또는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또한 상기 스캐닝부(120)는 점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상기 레이저(111)의 이동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레이저의 조사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스캐닝부(120)는 점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상기 레이저(111)를 발산하게 하여 상기 레이저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선 또는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스캐닝부(120)는 점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상기 레이저(111)의 위상을 변경하여 레이저의 크기 및 조사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선 또는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스캐닝부(120)는 1차적으로 점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상기 레이저(111)의 이동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하고, 2차적으로 상기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앞서 변경한 이동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변경하여 상기 레이저의 조사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스캐닝부(120)는 1차적으로 점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상기 레이저(111)의 이동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하고, 2차적으로 상기 레이저를 발산하게 하여 상기 레이저의 조사방향 및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스캐닝부(120)는 1차적으로 점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상기 레이저(111)를 발산시키고, 2차적으로 상기 발산된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레이저의 조사방향 및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 시킬 수 있다.Also, the
2.2.2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이 선 형태인 경우2.2.2 When the irradiation area of the laser emitted from the laser output section is in a line form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가 복수 개의 레이저 출력소자로 구성된 경우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되는 레이저(112)의 조사영역은 선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스캐닝부(120)는 상기 레이저(112)의 조사방향 및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이 때, 상기 스캐닝부(120)는 선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상기 레이저(112)의 이동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레이저의 조사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스캐닝부(120)는 선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상기 레이저(112)를 발산시켜 상기 레이저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 시킬 수 있다.Also, the
또한 상기 스캐닝부(120)는 선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상기 레이저(112)의 위상을 변화시켜 상기 레이저의 조사방향 및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가 일렬로 배열된 어레이로 구성된 레이저 출력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112)의 조사영역은 선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스캐닝부(120)는 상기 레이저(112)의 조사방향 및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이 때, 상기 스캐닝부(120)는 선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상기 레이저(112)의 이동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레이저의 조사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스캐닝부(120)는 선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상기 레이저(112)를 발산시켜 상기 레이저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 시킬 수 있다.Also, the
또한 상기 스캐닝부(120)는 선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상기 레이저(112)의 위상을 변화시켜 상기 레이저의 조사방향 및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2.2.3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이 면 형태인 경우2.2.3 When the irradiation area of the laser emitted from the laser output part is in the form of a plane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가 복수 개의 레이저 출력소자로 구성된 경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113)의 조사영역은 면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스캐닝부(120)는 상기 레이저의 조사방향 및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확장시키거나 스캔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이 때, 상기 스캐닝부(120)는 면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상기 레이저(113)의 이동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레이저의 조사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확장시키거나 스캔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스캐닝부(120)는 면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상기 레이저(113)를 발산시켜 상기 레이저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확장시키거나 스캔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스캐닝부(120)는 면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상기 레이저(113)의 위상을 변화시켜 상기 레이저의 조사방향 및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확장시키거나 스캔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Further, the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면 형태의 어레이로 구성된 레이저 출력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113)의 조사영역은 면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스캐닝부(120)는 상기 레이저의 조사방향 및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확장시키거나 스캔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irradiation region of the
이 때, 상기 스캐닝부(120)는 면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상기 레이저(113)의 이동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레이저의 조사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확장시키거나 스캔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스캐닝부(120)는 면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상기 레이저(113)를 발산시켜 상기 레이저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확장시키거나 스캔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스캐닝부(120)는 면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상기 레이저(113)의 위상을 변화시켜 상기 레이저의 조사방향 및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확장시키거나 스캔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Further, the
이하에서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되는 레이저의 조사영역이 점 형태인 라이다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laddering device in which the irradiation area of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aser output part is in a point shap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3. 라이다 장치의 일 실시예3. An embodiment of the Lidar device
3.1 라이다 장치의 구성3.1 Configuration of the Lada device
도 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adder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장치는 레이저 출력부(110), 제1 스캐닝부(121), 제2 스캐닝부(126) 및 센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Lada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 및 상기 센서부(130)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이하에서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 및 상기 센서부(1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 and 2, the
도 1 및 도 2에서 전술된 스캐닝부(120)는 상기 제1 스캐닝부(121) 및 상기 제2 스캐닝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1 스캐닝부(121)는 상기 출사된 레이저의 조사방향 및/또는 크기를 변경하여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선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스캐닝부(121)는 상기 출사된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선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캐닝부(121)는 상기 출사된 레이저를 선 형태로 발산시켜 상기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선 형태로 확장시킬 수도 있다.The
또한 상기 제2 스캐닝부(126)는 상기 제1 스캐닝부(121)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조사방향 및/또는 크기를 변경하여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스캐닝부(126)는 상기 제1 스캐닝부(121)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캐닝부(126)는 상기 제1 스캐닝부에서 조사된 레이저를 발산시켜 상기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을 면 형태로 확장 시킬 수 있다.Further, the
3.2 라이다 장치의 동작3.2 Operation of the Lada device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서는 상기 라이다 장치(100)에서 출사된 레이저의 광경로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는 레이저를 출사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는 상기 제1 스캐닝부(121)에 도달하고, 상기 제1 스캐닝부(121)는 상기 레이저를 상기 제2 스캐닝부(126)를 향하여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는 제2 스캐닝부(126)에 도달하고, 상기 제2 스캐닝부(126)는 상기 스캔영역(150)을 향하여 상기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으로 조사된 상기 레이저는 스캔영역(150)상에 존재하는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제2 스캐닝부(126)를 통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30)는 상기 제2 스캐닝부(126)를 통하여 조사된 상기 레이저를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n FIG. 3, the optical path of the laser emitted from the
3.2.1 라이다 장치의 조사 방법3.2.1 Investigation method of Lada device
라이다 장치(100)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라이다 장치(100)로부터 대상체(16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라이다 장치(100)는 대상체(160)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해야야 하며, 이에 따라, 라이다 장치(100)는 효율적으로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조사방법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조사방법은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가 스캔영역상(150)에 위치하는 대상체(160)에 도달하기까지의 조사경로를 결정하고, 스캔영역(150)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라이다 장치의 조사경로 및 스캔영역(15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는 상기 제1 스캐닝부(121)를 향하여 레이저를 출사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 스캐닝부(121)는 출사된 레이저를 상기 제2 스캐닝부(126)를 향해 조사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2 스캐닝부(126)는 조사된 레이저를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을 향해 조사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은 점 형태이며, 상기 출사된 레이저는 상기 제1 스캐닝부(121)를 통하여 상기 제2 스캐닝부(126)를 향해 조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스캐닝부(121)에서 조사영역이 점 형태인 상기 레이저의 조사방향 및/또는 크기를 변경하여 상기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선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 스캐닝부(121)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로(110)부터 조사영역이 점 형태인 레이저를 전달 받아 조사영역이 선 형태인 레이저를 상기 제2 스캐닝부(126)를 향해 조사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rradiation area of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이 때, 상기 제2 스캐닝부(126)에서 조사영역이 선 형태인 상기 레이저의 조사방향 및/또는 크기를 변경하여 상기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 스캐닝부(121)에서 조사된 레이저는 상기 제2 스캐닝부(126)를 통하여 상기 스캔영역을 향해 조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스캐닝부(126)는 조사영역이 선 형태인 레이저를 상기 제1 스캐닝부(121) 로부터 전달 받아 조사영역이 면 형태인 레이저를 상기 스캔영역(150)을 향해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스캐닝부(126)에서 조사영역이 면 형태인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을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irradiation direction and / or the size of the laser beam having the linear irradiation region in the
3.2.2 라이다 장치의 수광방법3.2.2 Method of receiving Lada device
라이다 장치(100)는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를 감지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라이다 장치(100)는 효율적으로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수광방법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수광방법은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가 센서부에 도달하기까지의 수광경로를 결정하고, 센서부에 도달하는 레이저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수광경로 및 센서부에 도달하는 레이저의 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으로 조사된 레이저는 상기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150)상에 존재하는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는 상기 제2 스캐닝부(126)를 향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스캐닝부(126)는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를 전달받아 반사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대상체(160)의 색상, 재질 등 또는 상기 레이저의 입사각 등에 따라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의 성질이 달라질 수 있다.The laser irradiated to the
또한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상기 레이저는 상기 제2 스캐닝부(126)를 통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될 수 있다. 즉, 상기 대상체로(160)부터 반사된 상기 레이저는 상기 제2 스캐닝부(126)만을 통하여 상기 센서부를 향해 조사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스캐닝부(121) 및 상기 제2 스캐닝(126)부 모두를 통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상기 레이저는 상기 제2 스캐닝부(126)만을 통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스캐닝부(121) 및 상기 제2 스캐닝(126)부 모두를 통하지 않고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130)에 도달하는 레이저의 양은 제2 스캐닝부(126)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Further, the laser reflected from the
또한, 도 3에서는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가 상기 제2 스캐닝부(126)만을 통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상기 대상체(160) 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는 상기 제1 스캐닝부(121) 및 상기 제2 스캐닝부(126)를 거쳐 상기 센서부(130)에 도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는 상기 제1 스캐닝부(121) 및 상기 제2 스캐닝부(126)를 거치지 않고 상기 센서부(130)에 도달될 수도 있다.3, laser beams reflected from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점 형태의 레이저를 출사하는 레이저 출력부(110), 제1 스캐닝부(121) 및 제2 스캐닝부(126)를 포함하는 라이다 장치는 제1 스캐닝부(121) 및 제2 스캐닝부(126)를 이용하여 스캔영역(150)을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라이다 장치 자체의 기계적회전을 통하여 스캔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키는 라이다 장치보다 내구성 및 안정성 측면에서 좋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의 확산을 이용하여 스캔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키는 라이다 장치보다 더 먼거리까지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캐닝부(121) 및 상기 제2 스캐닝(126)의 동작을 제어하면 원하는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으로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ada apparatus including the
4. 노딩미러(Nodding mirror)와 회전 다면 미러(Rotating polygon mirror)를 이용한 라이다 장치4. Lidar device using a nodding mirror and a rotating polygon mirror
라이다 장치(100)의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이 점 형태인 경우, 라이다 장치(100)는 제1 스캐닝부(121) 및 제2 스캐닝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사영역이 점 형태인 출사된 레이저는 제1 스캐닝부(121) 및 제2 스캐닝부(126)를 통하여 레이저의 조사영역이 면 형태로 확장되며, 이에 따라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이 면 형태로 확장될 수 있다. When the irradiation area of the laser emitted from the
또한 라이다 장치(100)는 그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시야각(FOV)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지도(3D Mapping)을 위한 고정형 라이다 장치의 경우는 수직, 수평방향으로 최대한 넓은 시야각을 요구할 수 있으며, 차량에 배치되는 라이다 장치의 경우는 수평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넓은 시야각에 비해 수직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좁은 시야각을 요구할 수 있다. 또한 드론(Dron)에 배치되는 라이다의 경우는 수직, 수평방향으로 최대한 넓은 시야각을 요구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방향에서 요구할 수 있는 시야각과 수평방향에서 요구할 수 있는 시야각이 다른 경우, 제1 스캐닝부(121)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시야각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변경시키고, 제2 스캐닝부(126)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시야각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이 라이다 장치(100)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다.Also, the
또한 라이다 장치(100)는 스캔영역(150)을 향해 조사된 레이저가 스캔영역(150)상에 존재하는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되는 경우, 반사된 레이저를 감지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레이저는 스캔영역(150)상에 존재하는 대상체(160)의 색상, 재질 또는 대상체(160)를 향해 조사되는 레이저의 입사각 등에 따라 사방으로 난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먼 거리에 있는 대상체(160)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 레이저의 확산을 줄여야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스캐닝부(121) 및 제2 스캐닝부(126)는 레이저의 크기를 확장시키지 않되, 이동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확장시키는 것일 수 있다.The
또한 라이다 장치(100)가 3차원으로 스캔을 하기 위하여 제1 스캐닝부(121) 및 제2 스캐닝부(126)는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캐닝부(121)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하며, 제2 스캐닝부(126)는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라이다 장치(100)에서 제1 스캐닝부(121)는 레이저 출력부(110)로부터 조사영역이 점 형태인 레이저를 전달받는 반면, 제2 스캐닝부(126)는 제1 스캐닝부(121)로부터 조사영역이 선 형태인 레이저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캐닝부(126)는 제1 스캐닝부(121) 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크기가 작은 제1 스캐닝부(121)가 크기가 큰 제2 스캐닝부(126) 보다 스캐닝속도가 빠를 수 있다. 여기서 스캐닝 속도는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하는 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The
또한 라이다 장치(100)는 스캔영역(150)을 향해 조사된 레이저가 스캔영역(150)상에 존재하는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되는 경우, 반사된 레이저를 감지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레이저는 스캔영역(150)상에 존재하는 대상체(160)의 색상, 재질 또는 대상체(160)를 향해 조사되는 레이저의 입사각 등에 따라 사방으로 난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먼 거리에 있는 대상체(160)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센서부(130)에서 감지할 수 있는 레이저의 양을 증가시켜야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대상체(160)에서 반사된 레이저는 제1 스캐닝부(121) 및 제2 스캐닝부(126) 중 크기가 큰 제2 스캐닝부(126)만을 통하여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될 수 있다.The
따라서 상술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라이다 장치(100)의 제1 스캐닝부(121)는 노딩미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라이다 장치(100)의 제2 스캐닝부(126)는 회전 다면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제1 스캐닝부(121)는 노딩미러를 포함하며, 제2 스캐닝부(126)는 회전 다면 미러를 포함하는 라이다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4.1 라이다 장치의 구성4.1 Configuration of Lada device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장치에 관한 것이다.4 is a diagram of a lad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는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장치(100)는 레이저 출력부(110), 노딩미러(122), 회전 다면 미러(127) 및 센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 및 상기 센서부(130)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이하에서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 및 상기 센서부(1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 and 2, the
도 3에서 전술된 제1 스캐닝부(121)는 노딩미러(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스캐닝부(126)는 회전 다면 미러(127)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노딩미러(122)는 전술한 제1 스캐너부(121)의 일 구현예일 수 있다. 상기 노딩미러(122)는 일 축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노딩할 수 있으며, 두 축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노딩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노딩미러(122)가 일 축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노딩할 경우 상기 노딩미러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은 선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딩미러(122)가 두 축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노딩할 경우 상기 노딩미러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은 면 형태일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노딩미러(122)의 노딩속도는 기 설정된 각도 전 범위에서 동일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각도 전 범위에서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딩미러(122)는 기 설정된 각도 전 범위에서 동일한 각속도로 노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노딩미러(122)는 기 설정된 각도의 양 끝에서 상대적으로 느리며, 기 설정된 각도의 중앙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빠른 각 속도로 노딩할 수 있다. Also, the nodding speed of the
또한 상기 노딩미러(122)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를 전달받아 반사하며, 기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노딩함에 따라 상기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이저의 조사영역은 선 또는 면 형태로 확장될 수 있다.Further, the
또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는 전술한 상기 제2 스캐너(126)의 일 구현예일 수 있다.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는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는 상기 노딩미러(122)에서 조사된 레이저를 전달받아 반사하며,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310)을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ry
또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의 회전속도는 회전하는 각도 전 범위에서 동일할 수 있으며, 회전하는 각도 범위에서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의 방향이 스캔영역(310)의 중심부분을 향할 때 회전속도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의 방향이 스캔영역(310)의 사이드 부분을 향할 때 회전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느릴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의 회전 차수에 따라서 회전속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또한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수직 시야각을 수평 시야각보다 좁게 설정하는 경우, 상기 노딩미러(122)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변경시켜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인 선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상기 회전 다면미러(127)는 상기 노딩미러(122)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지면에 대하여 수평인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변경시켜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310)을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딩미러(122)는 수직으로 스캔영역(310)을 확장시키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는 수평으로 스캔영역(310)을 확장시킬 수 있다. When the vertical viewing angle of the
또한 상기 노딩미러(122)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를 반사시키므로 상기 노딩미러(122)의 크기는 상기 레이저의 직경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노딩미러(122)에서 조사된 레이저는 조사영역이 선 형태이므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의 크기는 상기 노딩미러(122)에서 조사된 레이저를 반사시키기 위해 상기 조사영역의 크기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딩미러(122)의 크기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으며, 상기 노딩미러(122)의 노딩속도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의 회전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Also, since the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레이저 조사 방법 및 레이저 수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laser irradiation method and the laser light receiving method of the
4.2 라이다 장치의 동작4.2 Operation of the Lidar device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상기 레이저가 출사될 때부터 감지될 때까지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는 상기 노딩미러(122)를 통하여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를 향해 조사되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를 향해 조사된 상기 레이저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를 통해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을 향해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으로 조사된 상기 레이저는 스캔영역(150)상에 존재하는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를 통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30)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를 통하여 조사된 상기 레이저를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4, the movement path of the laser can be known from when the laser of the
4.2.1 라이다 장치의 조사 방법4.2.1 Investigation of Lada apparatus
라이다 장치(100)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라이다 장치(100)로부터 대상체(16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라이다 장치(100)는 대상체(160)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해야 하며, 이에 따라 라이다 장치(100)는 효율적으로 대상체(160)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조사방법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조사방법은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가 스캔영역(150)상에 위치하는 대상체(160)에 도달하기까지의 조사경로를 결정하고, 스캔영역(150)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조사경로 및 스캔영역(15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상기 노딩미러(122)를 향하여 레이저를 출사시킬 수 있으며, 상기 노딩미러(122)는 출사된 레이저를 전달받아 반사하여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를 향해 조사시킬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는 조사된 레이저를 전달받아 반사하여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을 향해 조사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aser can be emitted from the
이 때,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상기 노딩미러(122)를 향해 레이저를 출사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출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은 점 형태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laser can be emitted from the
여기서,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는 상기 노딩미러(122)를 통하여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를 향해 조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노딩미러(122)에서 조사영역이 점 형태인 상기 레이저의 조사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선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노딩미러(122)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로부터 조사영역이 점 형태인 레이저를 전달 받아 조사영역이 선 형태인 레이저를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를 향해 조사할 수 있다.Here,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이 때, 상기 노딩미러(122)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변경시켜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인 선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노딩미러(122)에서 조사된 레이저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를 통하여 상기 스캔영역(150)을 향해 조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에서 조사영역이 선 형태인 상기 레이저의 조사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는 조사영역이 선 형태인 레이저를 상기 노딩미러(122)로부터 전달 받아 조사영역이 면 형태인 레이저를 상기 스캔영역(150)을 향해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에서 조사영역이 면 형태인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을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The laser irradiated from the
또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는 상기 노딩미러(122)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지면에 대하여 수평인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변경시켜 레이저의 조사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또한 이 경우,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은 상기 노딩미러(122)의 기 설정된 각도 및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의 반사면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시야각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딩미러(122)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하는 경우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수직시야각은 상기 노딩미러(122)의 기 설정된 각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레이저의 이동방향을 지속적으로 변경하는 경우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수평시야각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의 반사면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4.2.2 라이다 장치의 수광 방법4.2.2 Method of receiving Lada device
라이다 장치(100)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라이다 장치(100)로부터 대상체(16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를 감지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라이다 장치(100)는 효율적으로 대상체(160)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수광방법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수광방법은 대상체(160)에서 반사된 레이저가 센서부(130)에 도달하기까지의 수광경로를 결정하고, 센서부(130)에 도달하는 레이저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수광경로 및 센서부(130)에 도달하는 레이저의 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으로 조사된 레이저는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상에 존재하는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를 향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는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를 전달받아 반사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대상체(160)의 색상, 재질 등 또는 상기 레이저의 입사각 등에 따라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의 성질이 달라질 수 있다.The laser irradiated to the
또한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상기 레이저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를 통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될 수 있다. 즉,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상기 레이저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만(127)을 통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될 수 있으며, 상기 노딩미러(122) 및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 모두를 통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상기 레이저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만(127)을 통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될 수 있으며, 상기 노딩미러(122) 및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 모두를 통하지 않고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130)에 도달하는 레이저의 양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Also, the laser reflected from the
여기서 상기 대상체로(160)부터 반사된 레이저를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만을 통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되게 하는 것은 상기 노딩미러(122) 및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 모두를 통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되게 하는 것보다 상기 센서부(130)에 도달하는 레이저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130)에 도달하는 레이저의 양을 보다 고르게할 수 있다. Here, the laser beam reflected from the
구체적으로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를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만을 통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되게 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130)에 도달하는 레이저의 양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의 반사면의 크기 및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laser reflected from the
이에 반해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를 상기 노딩미러(122) 및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 모두 를 통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되게 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130)에 도달하는 레이저의 양은 상기 노딩미러(122)의 크기, 상기 노딩미러(122)의 노딩 각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의 반사면의 크기 및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130)에 도달하는 레이저의 양은 상기 노딩미러(122)의 크기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의 크기 중 더 작은 크기를 가진 것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노딩미러(122)의 노딩각도 및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7)의 회전각도에 의해서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만(127)을 통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되게 하는 경우보다 상기 센서부(130)에 도달하는 레이저의 양이 작으며, 상기 센서부(130)에 도달하는 레이저의 양의 변화가 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aser reflected from the
5. 회전 다면 미러(Rotating Polygon mirror)5. Rotating Polygon mirror
5.1 구조5.1 Structure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rotating polygon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1100)는 반사면(1120), 및 몸체(1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110)의 상부(1112)와 하부(1111)를 중심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회전축(113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회전 다면 미러(1100)는 상술한 구성 중 일부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 다면 미러(1100)는 반사면(1120) 및 몸체(1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110)는 하부(1111)만으로 구성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반사면(1120)은 상기 몸체(1110)의 하부(1111)에 지지될 수 있다.5, a rotating
상기 반사면(1120)은 전달받은 레이저를 반사하기 위한 면으로 반사 미러, 반사가능한 플라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또한 상기 반사면(1120)은 상기 몸체(1110)의 상부(1111) 및 하부(1112)를 제외한 옆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1130)과 상기 각 반사면(1120)의 법선이 직교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각 반사면(11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의 스캔영역을 동일하게하여 동일한 스캔영역을 반복적으로 스캔하기 위함일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반사면(1120)은 상기 몸체(1110)의 상부(1111) 및 하부(1112)를 제외한 옆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각 반사면(1120)의 법선이 상기 회전축(1130)과 각각 상이한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각 반사면(11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의 스캔영역을 상이하게하여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확장시키기 위함일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반사면(1120)은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Further, the reflecting
또한 상기 몸체(1110)는 상기 반사면(112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1112), 하부(1111) 및 상부(1112)와 하부(1111)를 연결하는 기둥(11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둥(1113)은 상기 몸체(1110)의 상부(1112) 및 하부(1111)의 중심을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110)의 상부(1112) 및 하부(1111)의 각 꼭지점을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몸체(1110)의 상부(1112) 및 하부(1111)의 각 모서리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나, 상기 몸체(1110)의 상부(1112) 및 하부(1111)를 연결하여 지지하기 위한 구조에 한정은 없다. The body 1110 may include a top 1112, a bottom 1111 and a
또한 상기 몸체(1110)는 회전하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해서 구동부(1140)에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110)의 하부(1111)를 통하여 구동부(1140)에 체결될 수도 있고, 상기 몸체(1110)의 상부(1112)를 통하여 구동부(1140)에 체결될 수도 있다.The body 1110 may be fastened to the
또한 상기 몸체(1110)의 상부(1112) 및 하부(1111)는 다각형의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몸체(1110)의 상부(1112)와 상기 몸체(1110)의 하부(1111)의 형태는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몸체(1110)의 상부(1112)와 상기 몸체(1110)의 하부(1111)의 형태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The
또한 상기 몸체(1110)의 상부(1112) 및 하부(1111)는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몸체(1110)의 상부(1112)와 상기 몸체(1110)의 하부(1111)의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The
또한 상기 몸체(1110)의 상부(1112) 및/또는 하부(1111)는 공기가 지나다닐 수 있는 빈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도 5에서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100)가 4개의 반사면(1120)을 포함하는 4각 기둥 형태의 육면체로 설명이 되어 있으나, 상기 회전 다면미러(1100)의 반사면(1120)이 반드시 4개인 것은 아니며, 반드시 4각 기둥 형태의 6면체인 것은 아니다.5, the rotary
또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100)의 회전 각도를 탐지하기 위하여, 라이다 장치는 인코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다 장치는 상기 탐지된 회전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 다면 미러(1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코더부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100)에 포함될 수도 있고, 상기 회전 다면 미러(110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detect the rotation angle of the
5.2 시야각 (FOV : Field Of View)5.2 Field Of View (FOV)
라이다 장치는 그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시야각(FOV)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지도(3D Mapping)을 위한 고정형 라이다 장치의 경우는 수직, 수평방향으로 최대한 넓은 시야각을 요구할 수 있으며, 차량에 배치되는 라이다 장치의 경우는 수평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넓은 시야각에 비해 수직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좁은 시야각을 요구할 수 있다. 또한 드론(Dron)에 배치되는 라이다의 경우는 수직, 수평방향으로 최대한 넓은 시야각을 요구 할 수 있다.The Lidar device may have a different viewing angle (FOV) depending on its applic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ixed ladder device for 3D mapping, a wide viewing angle may be requir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in the case of a ladder device disposed in the vehicle, a relatively wide viewing ang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relatively narrow viewing angle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required. Also, in the case of the ladder disposed in the dron, a wide viewing angl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may be required.
또한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은 회전 다면 미러의 반사면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라이다 장치의 시야각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요구되는 라이다 장치의 시야각에 기초하여 회전 다면 미러의 반사면의 수를 결정 할 수 있다.Also, the scan area of the lidar devic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reflecting surfaces of the rotating polyhedral mirror, so that the viewing angle of the lidar device can be determin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number of reflecting surfaces of the rotating polygon mirror based on the required viewing angle of the radar apparatus.
5.2.1 반사면의 수와 시야각 5.2.1 Number of reflective surfaces and viewing angle
도 6 내지 도 8은 반사면의 수와 시야각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6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reflection surfaces and the viewing angle.
도 6 내지 도 8에는 반사면이 3개, 4개, 5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나, 상기 반사면의 수는 정해져있지 않으며, 반사면의 수가 다른 경우 이하 설명을 유추하여 손쉽게 계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는 몸체의 상부 및 하부가 정다각형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나, 몸체의 상부 및 하부가 정다각형이 아닌 경우에도 이하 설명을 유추하여 손쉽게 계산할 수 있다.6 to 8 illustrate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reflection surfaces is 3, 4, and 5, but the number of the reflection surfaces is not fixed. 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reflection surfaces is differ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can be easily calculated by analogy with the following description. 6 to 8 illustrate the case wher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dy are regular polygons. However, even wh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dy are not regular polygons, the following explanation can be easily derived.
도 6은 상기 반사면의 수가 3개이며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가 정삼각형 형태인 회전 다면 미러(1200)의 시야각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6 is a top view for explaining a viewing angle of the rotary
도 6를 잠조하면, 레이저(1250)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00)의 회전축(1240)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입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00)의 상부는 정삼각형 형태이므로 3개의 반사면이 이루는 각도는 각 60도 일 수 있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00)가 시계방향으로 조금 회전하여 위치하는 경우 상기 레이저는 도면상에서 위쪽부분으로 반사되며, 상기 회전 다면 미러가 반시계방향으로 조금 회전하여 위치하는 경우 상기 레이저는 도면상에서 아래쪽부분으로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을 참조하여 반사되는 레이저의 경로를 계산하면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최대 시야각을 알 수 있다.6, the
예를 들어,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00)의 1번 반사면을 통하여 반사되는 경우, 반사된 레이저는 상기 입사된 레이저(1250)와 위쪽으로 120도의 각도로 반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3번 반사면을 통하여 반사되는 경우, 반사된 레이저는 상기 입사된 레이저와 아래쪽으로 120도의 각도로 반사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reflected through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of the rotary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200)의 상기 반사면의 수가 3개이며,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가 정삼각형 형태인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최대 시야각은 240도 일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number of the reflection surfaces of the rotary
도 7는 상기 반사면의 수가 4개이며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가 정사각형 형태인 회전 다면 미러의 시야각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7 is a top view for explaining a viewing angle of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in which the number of the reflection surfaces is four and the top and bottom of the body are square.
도 7를 참조하면, 레이저(1350)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300)의 회전축(1340)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입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300)의 상부는 정사각형 형태 이므로 4개의 반사면이 이루는 각도는 각 90도 일 수 있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 다면 미러(1300)가 시계방향으로 조금 회전하여 위치하는 경우 상기 레이저는 도면상에서 위쪽부분으로 반사되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300)가 반시계방향으로 조금 회전하여 위치하는 경우 상기 레이저는 도면상에서 아래쪽부분으로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을 참조하여 반사되는 레이저의 경로를 계산하면 상기 회전 다면 미러(1300)의 최대 시야각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예를 들어, 상기 회전 다면 미러(1300)의 1번 반사면을 통하여 반사되는 경우, 반사된 레이저는 상기 입사된 레이저(1350)와 위쪽으로 90도의 각도로 반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300)의 4번 반사면을 통하여 반사되는 경우, 반사된 레이저는 상기 입사된 레이저(1350)와 아래쪽으로 90도의 각도로 반사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aser beam is reflected through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of the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300)의 상기 반사면의 수가 4개이며,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가 정사각형 형태인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300)의 최대 시야각은 180도 일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number of the reflection surfaces of the rotary
도 8는 상기 반사면의 수가 5개이며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가 정오각형 형태인 회전 다면 미러의 시야각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8 is a top view for explaining a viewing angle of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in which the number of the reflection surfaces is 5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dy are in a pentagonal shape.
도 8를 참조하면, 레이저(1450)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400)의 회전축(1440)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입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400)의 상부는 정오각형 형태 이므로 5개의 반사면이 이루는 각도는 각 108도 일 수 있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 다면 미러(1400)가 시계방향으로 조금 회전하여 위치하는 경우 상기 레이저는 도면상에서 위쪽부분으로 반사되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400)가 반시계방향으로 조금 회전하여 위치하는 경우 상기 레이저는 도면상에서 아래쪽부분으로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을 참조하여 반사되는 레이저의 경로를 계산하면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최대 시야각을 알 수 있다.8, the
예를 들어, 상기 회전 다면 미러(1400)의 1번 반사면을 통하여 반사되는 경우, 반사된 레이저는 상기 입사된 레이저(1450)와 위쪽으로 72도의 각도로 반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400)의 5번 반사면을 통하여 반사되는 경우, 반사된 레이저는 상기 입사된 레이저(1450)와 아래쪽으로 72도의 각도로 반사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reflected through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of the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400)의 상기 반사면의 수가 5개이며,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가 정오각형 형태인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최대 시야각은 144도 일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number of the reflection surfaces of the rotary
결과적으로 상술한 도 6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반사면의 수가 N개이고,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가 N각형인 경우, 상기 N각형의 내각을 라 하면,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최대 시야각은 360도-2가 될 수 있다.6 to 8, when the number of reflection surfaces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is N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dy are N-angular, , The maximum viewing angle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is 360 ° -2 .
다만, 상술한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시야각은 최대값을 계산한 것일 뿐이므로 라이다 장치에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에 의해 결정되는 시야각은 상기 계산한 최대값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이 때 라이다 장치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각 반사면의 일부분만을 스캐닝에 이용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viewing angle of the rotary polygon mirror is calculated only in the maximum value, the viewing angle determined by the rotary polygon mirror in the Lada apparatus may be smaller than the calculated maximum value. Further, at this time, the Lidar apparatus can use only a part of each reflection surface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for scanning.
5.3 조사부분 및 수광부분5.3 Irradiation section and receiving section
라이다 장치의 스캐닝부가 회전 다면 미러를 포함하는 경우 회전 다면 미러는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된 레이저를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을 향해 조사하기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스캔영역상에 존재하는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를 센서부로 수광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If the scanning unit of the lidar apparatus includes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the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can be used to irradiate the laser emitted from the laser output unit toward the scan region of the laser apparatus, The laser can be used to receive the laser beam from the sensor unit.
여기서 출사된 레이저를 라이다 장치의 스캔영역으로 조사하기 위해 이용되는 회전 다면 미러의 각 반사면의 일 부분을 조사부분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스캔영역상에 존재하는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를 센서부로 수광시키기 위한 회전 다면 미러의 각 반사면의 일 부분을 수광부분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One portion of each reflecting surface of the rotating polyhedral mirror used for irradiating the emitted laser to the scan region of the Lydia device will be referred to as an irradiated portion. And a part of each reflection surface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for receiving the laser reflected from the object on the scan area to the sensor unit will be referred to as a light receiving part.
5.3.1 조사부분 및 수광부분을 갖는 회전 다면 미러5.3.1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with irradiation and receiving parts
5.3.1.1 회전 다면 미러를 포함하는 라이다 장치의 회전 다면 미러5.3.1.1 The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of a lidar apparatus including a rotating multi-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의 조사부분 및 수광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rradiated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of a rotating polyhedral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는 점 형태의 조사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반사면에 입사될 수 있다. 다만, 도 9에는 표현되지 않았으나,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는 선 또는 면 형태의 조사영역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laser emitted from the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가 점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에서 조사부분(1551)은 상기 출사된 레이저가 상기 회전 다면 미러와 만나는 점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회전방향으로 이은 선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1)은 각 반사면에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회전축(1510)과 수직한 방향의 선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laser output from the
또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1)에서 조사되어,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으로 조사된 레이저는 상기 스캔영역(150)상에 존재하는 대상체로(160)부터 반사될 수 있으며,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는 조사된 레이저(1520)보다 큰 범위에서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는 조사된 레이저와 평행하며, 더 넓은 범위로 라이다 장치(100)로 수광 될 수 있다.The laser irradiated from the irradiated
이 때,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반사면의 크기보다 크게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수광부분(1561)은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를 센서부(130)로 수광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반사면의 크기보다 작은 상기 반사면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를 통해서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되는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반사면 중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부분이 수광부분(1561)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수광부분(1561)은 상기 반사면 중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일 부분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회전방향으로 연장시킨 부분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와 상기 센서부(130) 사이에 집광렌즈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수광부분(1561)은 상기 반사면 중 상기 집광렌즈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일 부분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회전방향으로 연장시킨 부분일 수 있다.The
다만 도 9에서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1)과 수광부분(1561)을 이격되어 있는 것처럼 설명하였으나,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50)의 조사부분(1551)과 수광부분(1561)은 일부가 겹칠 수도 있으며, 상기 조사부분(1551)이 상기 수광부분(1561)의 내부에 포함 될 수도 있다.9, the
5.3.1.2 제1 스캐닝부 및 회전 다면 미러를 포함하는 라이다 장치의 회전 다면 미러5.3.1.2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of a ladder device including a first scanning portion and a rotating multi-
도 10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의 조사부분 및 수광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rradiated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of a rotating polyhedral mirr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0를 참조하면, 제1 스캐닝부(121)에서 조사된 레이저는 선 형태의 조사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반사면에 입사될 수 있다. 다만, 도 10에는 표현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스캐닝부(121)에서 조사된 레이저는 면 형태의 조사영역을 가질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상기 제1 스캐닝부(121)에서 조사된 레이저가 선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에서 조사부분(1552)은 상기 조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이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와 만나는 선 형태의 점군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회전방향으로 이은 면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2)은 각 반사면에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회전축(1510)과 수직한 법선을 가진 면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laser irradiated from the
또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2)에서 조사되어,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으로 조사된 레이저는 상기 스캔영역(150)상에 존재하는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될 수 있으며,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는 조사된 레이저보다 큰 범위에서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는 조사된 레이저(1520)와 평행하며, 더 넓은 범위로 라이다 장치(100)로 수광 될 수 있다. The laser irradiated from the irradiated
이 때,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반사면의 크기보다 크게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수광부분(1562)은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를 센서부(130)로 수광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반사면의 크기보다 작은 상기 반사면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를 통해서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되는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반사면 중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부분이 수광부분(1562)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수광부분(1562)은 상기 반사면 중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일 부분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회전방향으로 연장시킨 부분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와 상기 센서부(130) 사이에 집광렌즈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수광부분(1562)은 상기 반사면 중 상기 집광렌즈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일 부분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회전방향으로 연장시킨 부분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urther including a condensing lens between the rotating
다만 도 10에서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2)과 수광부분(1562)을 이격되어 있는 것처럼 설명하였으나,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2)과 수광부분(1562)은 일부가 겹칠 수도 있으며, 상기 조사부분(1552)이 상기 수광부분(156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10 shows that the
5.3.1.3 노딩미러 및 회전 다면 미러를 포함하는 라이다 장치의 회전 다면 미러5.3.1.3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of a ladder device including a nodding mirror and a rotating multi-
도 11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의 조사부분 및 수광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rradiated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of a rotating polyhedral mirr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노딩미러(122)에서 조사된 레이저는 선 형태의 조사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반사면에 입사될 수 있다. 다만, 도 11에는 표현되지 않았으나, 상기 노딩미러(122)에서 조사된 레이저는 면 형태의 조사영역을 가질 수도 있다.11, the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상기 노딩미러(122)에서 조사된 레이저가 선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에서 조사부분(1553)은 상기 조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이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와 만나는 선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회전방향으로 이은 면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3)은 각 반사면에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회전축(1510)과 수직한 방향의 법선을 가진 면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laser irradiated from the
또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63)에서 조사되어,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으로 조사된 레이저는 상기 스캔영역(150)상에 존재하는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될 수 있으며,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는 조사된 레이저(1520)보다 큰 범위에서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는 조사된 레이저(1520)와 평행하며 더 넓은 범위로 라이다 장치로 수광 될 수 있다.The laser irradiated from the irradiated
이 때,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반사면의 크기보다 크게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수광부분(1563)은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를 센서부(130)로 수광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반사면의 크기보다 작은 상기 반사면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를 통해서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되는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반사면 중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부분이 수광부분(1563)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수광부분(1563)은 상기 반사면 중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일 부분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회전방향으로 연장시킨 부분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와 상기 센서부(130) 사이에 집광렌즈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수광부분(1563)은 상기 반사면 중 상기 집광렌즈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일 부분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회전방향으로 연장시킨 부분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urther including a condenser lens between the rotary
다만 도 11에서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3)과 수광부분(1563)을 이격되어 있는 것처럼 설명하였으나,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3)과 수광부분(1563)은 일부가 겹칠 수도 있으며, 상기 조사부분(1553)이 상기 수광부분(1563)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11 shows that the
5.3.2. 조사부분 및 수광부분을 가지는 회전 다면 미러를 포함하는 라이다 장치의 조사경로 및 수광경로5.3.2. The irradiation path and the light receiving path of the ladder device including the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having the irradiating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라이다 장치의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된 레이저가 스캔영역상에 위치하는 대상체에 도달하지까지의 경로를 조사경로라고 지칭하며,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가 센서부에 도달하기 까지의 경로를 수광경로라 지칭하기로 한다.The path from when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aser output unit of the laser device reaches the object located on the scan area is referred to as an irradiation path and the path from when the laser beam reflected by the object reaches the sensor unit is called a light path .
이하에서는 조사부분 및 수광부분을 가지는 회전 다면 미러를 포함하는 라이다 장치의 조사경로 및 수광경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rradiation path and the light receiving path of the Lada apparatus including the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having the irradiating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5.3.2.1 회전 다면 미러를 포함하는 라이다 장치5.3.2.1 Lidar apparatus including a rotating polyhedral mirror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장치(100)는 레이저 출력부(110), 회전 다면 미러(1500), 센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9, the
여기서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를 통하여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을 향해 조사 될 수 있다.The laser emitted from the
구체적으로,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를 향하여 레이저를 출사시킬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는 출사된 레이저를 전달받아 반사하여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을 향해 조사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출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은 점 형태일 수 있다.In detail, the laser can be emitted from the
이 때,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1)은 상기 출사된 레이저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와 만나는 점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회전방향으로 이은 선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1)은 각 반사면에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회전축(1510)과 수직한 방향의 선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rradiated
그리고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조사경로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시작하여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1)을 통해 스캔영역(150)까지 이어지는 경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1)은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조사경로에 포함될 수 있다.The irradiation path of the
또한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으로 조사된 레이저는 스캔영역(150)상에 존재하는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를 통하여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될 수 있다.The laser irradiated to the
구체적으로,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으로 조사된 레이저는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상에 존재하는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를 향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는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를 전달받아 반사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할 수 있다. The laser irradiated to the
이 때,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수광부분(1561)은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를 상기 센서부(130)로 수광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반사면의 크기보다 작은 상기 반사면의 일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수광부분(1561)은 상기 반사면 중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일 부분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회전방향으로 연장시킨 부분일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수광경로는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수광부분(1561)을 통해 센서부(130)까지 이어지는 경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수광부분(1561)은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수광경로에 포함될 수 있다.The light receiving path of the
또한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상기 레이저(1530)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를 통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될 수 있다. 즉,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상기 레이저(1530)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를 통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와 상기 센서부(130) 사이에 집광렌즈 등 다른 광학장치가 포함 될 수 있다.The
5.3.2.2 제1 스캐닝부 및 회전 다면 미러를 포함하는 라이다 장치5.3.2.2 Lidar device including first scanning portion and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다시 도 10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장치는 레이저 출력부(110), 제1 스캐닝부(121), 회전 다면 미러(1500) 및 센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0, the Ldar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여기서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는 상기 제1 스캐닝부(121) 및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를 통하여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을 향해 조사 될 수 있다.The laser output from the
구체적으로,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상기 제1 스캐닝부(121)를 향하여 레이저를 출사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 스캐닝부(121)는 출사된 레이저를 전달받아 반사하여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를 향해 조사시킬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는 조사된 레이저를 전달받아 반사하여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으로 조사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출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은 점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스캐닝부(121)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은 선 또는 면 형태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laser can be emitted from the
상기 제1 스캐닝부(121)에서 조사된 레이저가 선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2)은 상기 조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이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와 만나는 선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회전방향으로 이은 면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2)은 각 반사면에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회전축(1510)과 수직한 방향의 법선을 갖는 면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그리고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조사경로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1 스캐닝부(121)를 통해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을 향하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2)을 통해 스캔영역(150)까지 이어지는 경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2)은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조사경로에 포함 될 수 있다.The irradiation path of the
또한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으로 조사된 레이저는 스캔영역(150)상에 존재하는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를 통하여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될 수 있다.The laser irradiated to the
구체적으로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으로 조사된 레이저는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상(150)에 존재하는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를 향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는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를 전달받아 반사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할 수 있다.The laser irradiated to the
이 때,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수광부분(1562)은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를 상기 센서부(130)로 수광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반사면의 크기보다 작은 상기 반사면의 일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수광부분(1562)은 상기 반사면 중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일 부분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회전방향으로 연장시킨 부분일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수광경로는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수광부분(1562)을 통해 센서부(130)까지 이어지는 경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수광부분(1562)은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수광경로에 포함될 수 있다.The light receiving path of the
또한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상기 레이저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를 통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될 수 있다. 즉,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상기 레이저(1530)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를 통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와 상기 센서부(130) 사이에 집광렌즈 등 다른 광학장치가 포함 될 수 있다.Further, the laser reflected from the
5.3.2.3 노딩미러 및 회전 다면 미러를 포함하는 라이다 장치5.3.2.3 Lidar apparatus including nodding mirror and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장치(100)는 레이저 출력부(110), 노딩미러(122), 회전 다면 미러(1500) 및 센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1, the
여기서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는 상기 노딩미러(122) 및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를 통하여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을 향해 조사 될 수 있다.The laser emitted from the
구체적으로,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상기 노딩미러(122)를 향하여 레이저를 출사시킬 수 있으며, 상기 노딩미러(122)는 출사된 레이저를 전달받아 반사하여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를 향해 조사시킬 수 있고,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는 조사된 레이저를 전달 받아 반사하여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으로 조시시킬수 있다. 이 때 상기 출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은 점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노딩미러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은 선 또는 면 형태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laser can be emitted from the
상기 노딩미러(122)에서 조사된 레이저가 선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3)은 상기 조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이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와 만나는 선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회전방향으로 이은 면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3)은 각 반사면에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의 법선을 갖는 면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그리고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조사경로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시작하여 상기 노딩미러(122)를 통해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3)을 향하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3)을 통해 스캔영역(150)까지 이어지는 경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53)은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조사경로에 포함될 수 있다.The irradiation path of the
또한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으로 조사된 레이저는 스캔영역(150)상에 존재하는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를 통하여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될 수 있다.The laser irradiated to the
구체적으로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으로 조사된 레이저는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상에 존재하는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를 향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는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를 전달받아 반사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할 수 있다.The laser irradiated to the
이 때,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수광부분(1563)은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530)를 상기 센서부(130)로 수광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반사면의 크기보다 작은 상기 반사면의 일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수광부분(1563)은 상기 반사면 중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일 부분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회전방향으로 연장시킨 부분일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수광경로는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수광부분(1563)을 통해 센서부(130)까지 이어지는 경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수광부분(1563)은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수광경로에 포함될 수 있다.The light receiving path of the
또한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상기 레이저(1530)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를 통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될 수 있다. 즉, 상기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상기 레이저(1530)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를 통하여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조사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와 상기 센서부(130) 사이에 집광렌즈 등 다른 광학장치가 포함 될 수 있다.The
5.3.3 조사부분 및 수광부분의 위치 - 도면95.3.3 Position of irradiation part and receiving part - Drawing 9
5.3.3.1 조사부분 및 수광부분의 나뉨5.3.3.1 Separation of irradiated and light receiving sections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의 조사부분 및 수광부분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of an irradiated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of a rotating polyhedral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71) 및 수광부분(1581)은 나뉘어서 설정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irradiated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는 반사면 및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부, 하부 및 기둥을 포함한다. 또한 이 때, 상기 회전 다면 미러는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1510)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otating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각 반사면은 각 반사면 내에 조사부분(1571) 및 수광부분(158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사부분(1571) 및 상기 수광부분(1581)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회전축(1510)과 수직인 가상의 단면(1540)을 기준으로 나뉘어 설정 될 수 있다.Here, each of the reflection surfaces of the rotary
여기서 상기 회전축(1510)과 수직인 가상의 단면(1540)은, 상기 조사부분(1571) 및 상기 수광부분(1581)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조사부분(1571) 및 상기 수광부분(1581)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회전축(1510)과 수직인 단면(1540)을 기준으로 상측에 설정될 수 있으며, 이 때 다른 하나는 상기 회전축과 수직인 단면을 기준으로 하측에 설정될 수 있다.Here, any one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사부분(1571) 및 상기 수광부분(1581)이 나뉘어져 있는 경우, 라이다 장치의 조사경로 및 수광경로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에서 분리되므로 상기 조사부분(1571) 및 상기 수광부분(1581)이 겹쳐져 있는 경우 보다 스캔영역을 향하여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한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스캔영역상의 대상체로부터 조사경로 및 수광경로가 분리되는 경우보다 센서부로 전달되는 레이저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5.3.3.2 조사부분 및 수광부분의 이격5.3.3.2 Separation of irradiation part and receiving part
도 13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의 조사부분 및 수광부분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of an irradiated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of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3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1500)의 조사부분(1572) 및 수광부분(1582)은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irradiated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는 반사면 및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부, 하부 및 기둥을 포함한다. 또한 이 때,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는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15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otating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각 반사면은 각 반사면 내에 조사부분(1572) 및 수광부분(158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사부분(1572) 및 상기 수광부분(1582)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의 회전축(1510)과 수직인 단면을 기준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Each of the reflective surfaces of the rotary
여기서 상기 회전축과 수직인 단면은, 상기 조사부분(1572) 및 상기 수광부분(1582)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may be located inside the rotary polygonal mirror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여기서 상기 조사부분(1572) 및 상기 수광부분(158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회전축과 수직인 단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때 다른 하나는 상기 회전 축과 수직인 단면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조사부분 및 상기 수광부분은 이격되어 위치 할 수 있다.Here, any one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사부분(1572) 및 상기 수광부분(1582)이 나뉘어져 있는 경우, 라이다 장치의 조사경로 및 수광경로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500)에서 더욱 분리되므로 상기 조사부분(1572) 및 상기 수광부분(1582)이 겹쳐져 있는 경우 보다 스캔영역을 향하여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한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스캔영역상의 대상체로부터 조사경로 및 수광경로가 분리되는 경우보다 센서부로 전달되는 레이저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rradiating
5.3.4 회전 다면 미러의 높이5.3.4 Height of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라이다 장치에서 이용되는 회전 다면 미러가 조사부분 및 수광부분을 갖으며, 상기 조사부분 및 상기 수광부분이 나뉘어져 있는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높이는 상기 조사부분 및 상기 수광부분의 높이를 합한 것 이상일 수 있다.Wherein the rotary multi-faceted mirror used in the lidar apparatus has an irradiated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and when the irradiated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are divided, the height of the rotary multi-faceted mirror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irradiated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have.
5.3.4.1 회전 다면 미러를 포함하는 라이다 장치5.3.4.1 Ladders incorporating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도 14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의 높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height of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를 포함하는 라이다 장치(100)는 레이저 출력(110)부, 회전 다면 미러(1600), 센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a
여기서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가 점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600)의 조사부분(1651)은 상기 출사된 레이저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600)와 만나는 점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600)의 회전방향으로 이은 선 현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600)의 조사부분(1651)의 높이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의 직경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또한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상에 존재하는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630)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600)를 통해서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되는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600)의 반사면 중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부분이 수광부분(1661)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부분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600)의 회전방향으로 이은 면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600)의 수광부분(1661)의 높이는 상기 센서부(130)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600)의 높이(1640)는 상기 조사부분(1651) 및 상기 수광부분(1661)의 높이를 합한 높이 이상이어야 하므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600)의 높이(1640)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의 직경 및 상기 센서부(130)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Since the
또한 상기 라이다 장치(100)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600) 및 상기 센서부(130) 사이에 배치되는 집광렌즈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600)의 수광부분(1661)은 상기 반사면 중 상기 집광렌즈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부분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600)의 회전방향으로 연장시킨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600)의 수광부분(1661)은 상기 집광렌즈의 직경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600)의 높이(1640)는 상기 조사부분(1651) 및 상기 수광부분(1661)의 높이를 합한 높이 이상이어야 하므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600)의 높이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에서 출사된 레이저의 직경 및 상기 집광렌즈의 직경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Since the
5.3.4.2 제1 스캐닝부 및 회전 다면 미러를 포함하는 라이다 장치5.3.4.2 Lada device including first scanning portion and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도 1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의 높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eight of a rotating polygon mirr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1700)를 포함하는 라이다 장치(100)는 레이저 출력부(110), 제1 스캐닝부(121), 회전 다면 미러(1700), 센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15, a
여기서 상기 제1 스캐닝부(121)에서 조사된 레이저가 선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700)의 조사부분(1751)은 상기 조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이 상기 회전 다면 미러(1700)와 만나는 선 형태의 점군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700)의 회전방향으로 이은 면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700)의 조사부분(1751)의 높이는 상기 제1 스캐닝부(121)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700)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1 스캐닝부로(121)부터 상기 조사영역에 이르는 각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또한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상에 존재하는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730)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700)를 통해서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되는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700)의 반사면 중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부분이 수광부분(1761)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부분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700)의 회전방향으로 이은 면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700)의 수광부분(1761)의 높이는 상기 센서부(130)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700)의 높이(1740)는 상기 조사부분(1751) 및 상기 수광부분(1761)의 높이를 합한 높이 이상이어야 하므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700)의 높이(1740)는 상기 제1 스캐닝부(121)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700)사이의 거리, 상기 제1 스캐닝부(121)로부터 상기 조사영역에 이르는 각도 및 상기 센서부(130)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Since the
또한 상기 라이다 장치(100)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700) 및 상기 센서부(130) 사이에 배치되는 집광렌즈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700)의 수광부분(1761)은 상기 반사면 중 상기 집광렌즈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부분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700)의 회전방향으로 연장시킨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700)의 수광부분(1761)의 높이는 상기 집광렌즈의 직경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700)의 높이(1740)는 상기 조사부분(1751) 및 상기 수광부분(1761)의 높이를 합한 높이 이상이어야 하므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700)의 높이(1740)는 상기 제1 스캐닝부(121)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700)사이의 거리, 상기 제1 스캐닝부(121)로부터 상기 조사영역에 이르는 각도 및 상기 집광렌즈의 직경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Since the
5.3.4.3 노딩미러 및 회전 다면 미러를 포함하는 라이다 장치5.3.4.3 Lidar apparatus including nodding mirror and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도 1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의 높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eight of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6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다면 미러(1800)를 포함하는 라이다 장치(100)는 레이저 출력부(110), 노딩미러(122), 회전 다면 미러(1800), 센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16, a
여기서 상기 노딩미러(122)에서 조사된 레이저가 선 형태의 조사영역을 갖는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800)의 조사부분(1851)은 상기 조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이 상기 회전 다면 미러(1800)와 만나는 선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800)의 회전방향으로 이은 면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800)의 조사부분(1851)의 높이는 상기 노딩미러(122)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800)사이의 거리 및 상기 노딩미러(122)로부터 상기 조사영역에 이르는 각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노딩미러(122)로부터 상기 조사영역에 이르는 각도는 상기 노딩미러(122)의 기 설정된 각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또한 상기 라이다 장치(100)의 스캔영역(150)상에 존재하는 대상체(160)로부터 반사된 레이저(1830)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800)를 통해서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되는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800)의 반사면 중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부분이 수광부분(1861)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30)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부분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800)의 회전 방향으로 이은 면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800)의 수광부분(1861)의 높이는 상기 센서부(130)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800)의 높이(1840)는 상기 조사부분(1851) 및 상기 수광부분(1861)의 높이를 합한 높이 이상이어야 하므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800)의 높이(1840)는 상기 노딩미러(122)와 상기 회전 다면 미러 사이(1800)의 거리, 상기 노딩미러(122)로부터 상기 조사영역에 이르는 각도 및 상기 센서부(130)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노딩미러(122)로부터 상기 조사영역에 이르는 각도는 상기 노딩미러(122)의 기 설정된 각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Since the
또한 상기 라이다 장치(100)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800) 및 상기 센서부(130) 사이에 배치되는 집광렌즈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800)의 수광부분(1861)은 상기 반사면 중 상기 집광렌즈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부분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1800)의 회전방향으로 연장시킨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800)의 수광부분(1861)의 높이는 상기 집광렌즈의 직경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800)의 높이(1840)는 상기 조사부분(1851) 및 상기 수광부분(1861)의 높이를 합한 높이 이상이어야 하므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800)의 높이(1840)는 상기 노딩미러(122)와 상기 회전 다면 미러(1800)사이의 거리, 상기 노딩미러(122)로부터 상기 조사영역에 이르는 각도 및 상기 집광렌즈의 직경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노딩미러(122)로부터 상기 조사영역에 이르는 각도는 상기 노딩미러(122)의 기 설정된 각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Since the
5.4 광 차단부를 포함하는 회전 다면 미러5.4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comprising a light blocking portion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차단부를 포함하는 회전 다면 미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7 is a view for explaining a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including a light block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라이다 장치에서 회전 다면 미러(1900)를 이용하는 경우, 회전 다면 미러(1900)는 조사부분(1951)과 수광부분(1961)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다 장치는 조사부분(1951)을 포함하는 조사경로를 가지며, 수광부분(1961)을 포함하는 수광경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회전 다면 미러(1900)의 표면에서 난반사가 일어나는 경우, 라이다 장치의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된 레이저는 라이다 장치의 조사경로를 따르지 않고, 상기 조사부분(1951)에서 반사되어 바로 센서부를 향해 반사될 수도 있다. 이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대상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 장치의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When the rotary
따라서, 상기 회전 다면 미러(1900)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900)의 조사부분(1951)과 수광부분(1961) 사이에 배치되는 광 차단부(19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차단부(1940)는 상기 조사부분(1951)에서 반사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오 감지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광 차단부(1940)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900) 상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회전 다면 미러(190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The
또한 상기 광 차단부(1940)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1900)의 조사부분(1951) 및 수광부분(1961)이 이격되어 있는경우, 상기 조사부분(1951)과 상기 수광부분(196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광 차단부(1940)는 빛을 흡수하는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 천 등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20)
레이저를 출사하는 레이저 출력부;
상기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된 레이저를 획득하여 반사하는 제1 스캐닝부;
상기 제1 스캐닝부에서 조사된 레이저를 획득하여 반사하는 제2 스캐닝부; 및
스캔영역상에 위치하는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감지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캐닝부는 기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노딩하며, 상기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변경시키는 노딩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캐닝부는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변경시키는 회전 다면 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다 장치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된 레이저가 스캔영역상에 위치하는 대상체에 도달하기까지의 조사 경로 및 상기 스캔영역상에 존재하는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가 상기 센서부에 도달하기까지의 수광 경로를 가지며,
상기 조사 경로는 상기 노딩미러 및 상기 회전 다면 미러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상기 스캔영역을 향하도록 설정 되며,
상기 수광 경로는 상기 노딩미러 및 상기 회전 다면 미러 중 상기 회전 다면 미러만을 통하여 상기 센서부를 향하도록 설정 되는
라이다 장치.
1. A ladder apparatus for measuring a distance using a laser,
A laser output unit for emitting a laser;
A first scanning unit for acquiring and reflecting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aser output unit;
A second scanning unit that acquires and reflects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first scanning unit; An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laser beam reflected from a target object positioned on the scan region; , ≪ / RTI &
Wherein the first scanning unit includes a nodding mirror for nodding 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and changing a travel path of the laser,
Wherein the second scanning unit includes a rotating polygonal mirror for changing a travel path of the laser as the first scanning unit rotates about one axis,
Wherein the laser device includes an irradiation path until a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aser output unit reaches a target object located on a scan region and a laser beam reflected from a target object existing on the scan region until reaching the sensor unit Light receiving path,
Wherein the irradiation path is set to face the scan region sequentially through the nodding mirror and the rotating polyhedral mirror,
Wherein the light receiving path is set to face the sensor unit via only the rotary polygon mirror among the nodding mirror and the rotary polygon mirror
Lt; / RTI >
상기 회전 다면 미러는 상기 노딩미러에서 조사된 조사영역이 선 형태인 레이저를 획득하여 상기 스캔영역을 향해 반사하기 위한 조사부분 및 상기 스캔영역상에 위치하는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획득하여 상기 센서부를 향해 반사하기 위한 수광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조사부분은 상기 노딩미러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이 상기 회전 다면 미러와 만나는 선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회전 방향으로 이은 면 형태이며,
상기 수광부분은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반사면 중 상기 센서부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일 부분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회전방향으로 연장시킨 면 형태인
라이다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acquires a laser beam having a line-shaped irradiation region irradiated from the nodding mirror and irradiates the irradiated portion to reflect the laser beam toward the scan region and acquires a laser reflected from the object located on the scan region, And a light-receiving portion for reflecting the light toward the light-
Wherein the irradiated portion has a surface shape in which a line where the irradiated region of the laser irradiated by the nodding mirror meets the rotating polyhedral mirror is parallel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polyhedral mirror,
Wherein the light receiving portion is a surface type in which a portion of the reflection surface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that is reflected so as to be transmitted toward the sensor portion is extended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Lt; / RTI >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조사부분은 상기 조사 경로에 포함되고,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수광부분은 상기 수광 경로에 포함되는
라이다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rradiated portion of the rotary polyhedral mirror is included in the irradiation path,
Wherein the light-receiving portion of the rotary multi-faceted mirror is included in the light-
Lt; / RTI >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수광부분의 크기는 적어도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조사부분의 크기보다 같거나 큰
라이다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ize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 of the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is at least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ize of the irradiating portion of the rotating multi-
Lt; / RTI >
상기 조사부분 및 상기 수광부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회전축과 수직인 가상의 단면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조사부분 및 상기 수광부분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회전축과 수직인 가상의 단면의 하측에 위치되는
라이다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one of the irradiated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is located on an imaginary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ry polyhedral mirror
And the other of the irradiating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is positioned below a virtual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Lt; / RTI >
상기 조사부분과 상기 수광부분은 이격 되어 위치 하는
라이다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rradiated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Lt; / RTI >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높이는 적어도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조사부분의 높이 및 상기 수광부분의 높이를 합한 값보다 같거나 큰
라이다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height of the rotary polygon mirror is at least equal to or greater than a sum of a height of the irradiated portion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and a height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
Lt; / RTI >
상기 조사부분의 높이는 상기 노딩미러의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및 상기 노딩미러와 상기 회전 다면 미러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라이다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height of the irradiated portion is determined based o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of the nodding mirror and a distance between the nodding mirror and the rotating polyhedral mirror
Lt; / RTI >
상기 수광부분의 높이는 상기 센서부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라이다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height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of the sensor portion
Lt; / RTI >
레이저를 출사하는 레이저 출력부;
상기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된 레이저를 획득하여 상기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조사영역을 선 형태로 확장시키는 제1 스캐닝부;
상기 제1 스캐닝부에서 조사된 조사영역이 선 형태인 레이저를 획득하여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조사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키는 제2 스캐닝부; 및
스캔영역상에 위치하는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감지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되,
상기 라이다 장치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에서 출사된 레이저가 스캔영역상에 위치하는 대상체에 도달하기까지의 조사 경로 및 상기 스캔영역상에 존재하는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가 상기 센서부에 도달하기까지의 수광 경로를 가지며,
상기 조사 경로는 상기 제1 스캐닝부 및 상기 제2 스캐닝부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상기 스캔영역을 향하도록 설정 되며,
상기 수광 경로는 상기 제1 스캐닝부 및 상기 제2 스캐닝부 중 상기 제2 스캐닝부를 통하여 상기 센서부를 향하도록 설정 되는
라이다 장치.
1. A ladder apparatus for measuring a distance using a laser,
A laser output unit for emitting a laser;
A first scanning unit for acquiring a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aser output unit and continuously changing a moving path of the laser beam to expand the irradiation area into a line shape;
A second scanning unit for acquiring a laser beam having a linear irradiation area irradiated from the first scanning unit to continuously change the moving path to extend the irradiation area into a surface shape; An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laser beam reflected from a target object positioned on the scan region; , ≪ / RTI &
Wherein the laser device includes an irradiation path until a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aser output unit reaches a target object located on a scan region and a laser beam reflected from a target object existing on the scan region until reaching the sensor unit Light receiving path,
Wherein the irradiation path is set to face the scan region sequentially through the first scanning unit and the second scanning unit,
The light receiving path is set to face the sensor unit through the second scanning unit of the first scanning unit and the second scanning unit
Lt; / RTI >
상기 제2 스캐닝부는 수직방향으로 설정된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조사영역이 수직방향의 선 형태인 레이저의 이동경로를 수평방향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조사영역을 면 형태로 확장시키는 회전 다면 미러를 포함하는
라이다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second scanning unit includes a rotating polygonal mirror for expanding the irradiated area into a surface shape by changing the traveling path of the laser, which is a line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the irradiation area rotates with respect to a single axis set in the vertical direction
Lt; / RTI >
상기 회전 다면 미러는 상기 제1 스캐닝부에서 조사된 조사영역이 선 형태인 레이저를 획득하여 상기 스캔영역을 향해 반사하기 위한 조사부분 및 상기 스캔영역상에 위치하는 대상체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획득하여 상기 센서부를 향해 반사하기 위한 수광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조사부분은 상기 제1 스캐닝부에서 조사된 레이저의 조사영역이 상기 회전 다면 미러와 만나는 선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회전 방향으로 이은 면 형태이고,
상기 수광부분은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반사면 중 상기 센서부를 향해 전달되도록 반사하는 일 부분을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회전방향으로 연장시킨 면 형태이며,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조사부분은 상기 조사 경로에 포함되고,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수광부분은 상기 수광 경로에 포함되는
라이다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acquires a laser beam having a line-shaped irradiation region irradiated from the first scanning unit and irradiates the irradiated portion to reflect the laser beam toward the scan region and acquires a laser beam reflected from the object located on the scan reg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for reflecting toward the sensor portion,
Wherein the irradiated portion has a surface shape in which a line where an irradiation area of the laser irradiated by the first scanning unit meets the rotating polyhedral mirror is in a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polyhedral mirror,
Wherein the light receiving portion is a surface shape in which a portion of the reflection surface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that is reflected so as to be transmitted toward the sensor portion is extended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Wherein the irradiated portion of the rotary polyhedral mirror is included in the irradiation path,
Wherein the light-receiving portion of the rotary multi-faceted mirror is included in the light-
Lt; / RTI >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수광부분의 크기는 적어도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조사부분의 크기보다 같거나 큰
라이다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ize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 of the rotating multi-faceted mirror is at least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ize of the irradiating portion of the rotating multi-
Lt; / RTI >
상기 조사부분 및 상기 수광부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회전축과 수직인 가상의 단면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조사부분 및 상기 수광부분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회전축과 수직인 가상의 단면의 하측에 위치되는
라이다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one of the irradiated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is located on an imaginary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ry polyhedral mirror
And the other of the irradiating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is positioned below a virtual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ry polygonal mirror
Lt; / RTI >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높이는 적어도 상기 회전 다면 미러의 상기 조사부분의 높이 및 상기 수광부분의 높이를 합한 값보다 크며,
상기 조사부분의 높이는 상기 제1 스캐닝부와 상기 회전 다면 미러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1 스캐닝부로부터 상기 조사영역에 이르는 각도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수광부분의 높이는 상기 센서부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라이다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height of the rotating polygon mirror is at least larger than a sum of a height of the irradiated portion of the rotating polygon mirror and a height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
The height of the irradiated portion is determined based o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scanning portion and the rotating polyhedral mirror and an angle from the first scanning portion to the irradiation region,
The height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of the sensor portion
Lt; / RTI >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880090950.4A CN112204419B (en) | 2018-01-08 | 2018-11-29 | Laser radar device |
PCT/KR2018/014923 WO2019135494A1 (en) | 2018-01-08 | 2018-11-29 | Lidar device |
EP18898056.9A EP3739357A4 (en) | 2018-01-08 | 2018-11-29 | LIDAR DEVICE |
US16/240,512 US11953626B2 (en) | 2018-01-08 | 2019-01-04 | LiDAR device |
KR1020190054624A KR102570355B1 (en) | 2018-05-14 | 2019-05-10 | A lidar device and rotating poligon mirror used in the lidar device |
US16/709,729 US11808889B2 (en) | 2018-01-08 | 2019-12-10 | LiDAR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862671305P | 2018-05-14 | 2018-05-14 | |
US62/671,305 | 2018-05-14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4624A Division KR102570355B1 (en) | 2018-05-14 | 2019-05-10 | A lidar device and rotating poligon mirror used in the lidar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9374B1 true KR101979374B1 (en) | 2019-05-16 |
Family
ID=64671404
Famil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1896A Active KR101979374B1 (en) | 2018-01-08 | 2018-07-13 | A lidar device and rotating poligon mirror used in the lidar device |
KR1020180081898A Active KR101977315B1 (en) | 2018-01-08 | 2018-07-13 | A lidar device |
KR1020180081897A Active KR101947404B1 (en) | 2018-01-08 | 2018-07-13 | A lidar device |
KR1020180095385A Active KR102009025B1 (en) | 2018-01-08 | 2018-08-16 | A lidar device and nodding mirror used in the lidar device |
KR1020180099340A Active KR101937777B1 (en) | 2018-05-14 | 2018-08-24 | Lidar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distance using the same |
KR1020180100701A Active KR101966971B1 (en) | 2018-01-08 | 2018-08-27 | A lidar device |
KR1020180120184A Active KR101925816B1 (en) | 2018-01-08 | 2018-10-10 | Method for calculating distance and lidar device performing the same |
KR1020180126278A Active KR101964971B1 (en) | 2018-01-08 | 2018-10-22 | A lidar device |
KR1020190017433A Active KR102263181B1 (en) | 2018-05-14 | 2019-02-14 | A lidar device |
KR1020190054624A Active KR102570355B1 (en) | 2018-05-14 | 2019-05-10 | A lidar device and rotating poligon mirror used in the lidar device |
Family Applications After (9)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1898A Active KR101977315B1 (en) | 2018-01-08 | 2018-07-13 | A lidar device |
KR1020180081897A Active KR101947404B1 (en) | 2018-01-08 | 2018-07-13 | A lidar device |
KR1020180095385A Active KR102009025B1 (en) | 2018-01-08 | 2018-08-16 | A lidar device and nodding mirror used in the lidar device |
KR1020180099340A Active KR101937777B1 (en) | 2018-05-14 | 2018-08-24 | Lidar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distance using the same |
KR1020180100701A Active KR101966971B1 (en) | 2018-01-08 | 2018-08-27 | A lidar device |
KR1020180120184A Active KR101925816B1 (en) | 2018-01-08 | 2018-10-10 | Method for calculating distance and lidar device performing the same |
KR1020180126278A Active KR101964971B1 (en) | 2018-01-08 | 2018-10-22 | A lidar device |
KR1020190017433A Active KR102263181B1 (en) | 2018-05-14 | 2019-02-14 | A lidar device |
KR1020190054624A Active KR102570355B1 (en) | 2018-05-14 | 2019-05-10 | A lidar device and rotating poligon mirror used in the lidar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0) | KR101979374B1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5538B1 (en) * | 2019-12-13 | 2020-06-22 | 주식회사 토르 드라이브 | Efficient Map Matching Method for Autonomous Driving and Apparatus Thereof |
KR20210029108A (en) * | 2019-09-05 | 2021-03-15 | 주식회사 에스오에스랩 | A lidar device |
WO2021149995A1 (en) * | 2020-01-20 | 2021-07-29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Motor |
WO2023096102A1 (en) * | 2021-11-23 | 2023-06-01 | 오토엘 주식회사 | Lidar with inclined scanning mirror structure |
KR20230099080A (en) | 2021-12-27 | 2023-07-04 | 조금배 | 3d lidar sensor device |
KR20230099073A (en) | 2021-12-27 | 2023-07-04 | 조금배 | 3d lidar sensor device |
US11808889B2 (en) | 2018-01-08 | 2023-11-07 | Sos Lab Co., Ltd. | LiDAR device |
US11953596B2 (en) | 2018-01-08 | 2024-04-09 | Sos Lab Co., Ltd. | LiDAR device |
US12135393B2 (en) | 2018-05-14 | 2024-11-05 | Sos Lab Co., Ltd. | LiDAR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beam steering cells for steering a laser bea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054508B2 (en) | 2017-01-05 | 2021-07-06 | Innovusion Ireland Limited | High resolution LiDAR using high frequency pulse firing |
TR201819800A2 (en) * | 2018-12-19 | 2020-07-21 | Orta Dogu Teknik Ueniversitesi | ADAPTIVE METHODS AND MECHANISMS FOR FAST LIDAR AND POSITION DETECTION APPLICATIONS |
CN113302515B (en) | 2019-01-10 | 2024-09-24 | 图达通智能美国有限公司 | LIDAR system and method with beam steering and wide-angle signal detection |
KR102176834B1 (en) * | 2019-01-23 | 2020-11-10 |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Environment feature based position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s |
EP3914929A4 (en) * | 2019-03-05 | 2022-11-02 | Waymo LLC |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degraded lidar range measurement accuracy |
KR102284337B1 (en) * | 2019-08-28 | 2021-08-02 | (주)카네비컴 | Lidar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WO2021044792A1 (en) * | 2019-09-05 | 2021-03-11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Light emission device, light detection system, and vehicle |
WO2021088831A1 (en) * | 2019-11-07 | 2021-05-14 | 上海禾赛科技股份有限公司 | Laser radar |
WO2021139834A1 (en) * | 2020-01-06 | 2021-07-15 |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 Lidar, and detection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lidar |
US11843221B2 (en) | 2020-03-30 | 2023-12-12 | Namuga, Co., Ltd. | Light source module for emitting high density bea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2476951B1 (en) * | 2020-03-30 | 2022-12-14 | 주식회사 나무가 | A method to optimize light output of a light output device |
CN111487634B (en) * | 2020-04-21 | 2022-07-05 | 湖南镭目科技有限公司 | Laser range finder protector |
CN113642355A (en) * | 2020-04-27 | 2021-11-12 |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 Mov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JP2023527115A (en) * | 2020-04-30 | 2023-06-27 | プロメガ・コーポレーション | Laser illumination technique for capillary electrophoresis |
WO2021235778A1 (en) | 2020-05-22 | 2021-11-25 | 주식회사 에스오에스랩 | Lidar device |
US11828879B2 (en) | 2020-07-29 | 2023-11-28 | Lg Innotek Co., Ltd. | Vibrated polarizing beam splitter for improved return light detection |
US20220035010A1 (en) * | 2020-08-03 | 2022-02-03 | Sense Photonics,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power-efficient subsampled 3d imaging |
KR102565472B1 (en) * | 2021-03-17 | 2023-08-16 | 주식회사 신원엔지니어링 | Roll structure for magnetic sensor |
KR102310242B1 (en) | 2021-04-05 | 2021-10-08 | (주)스핀텍 | Plate mirror scanning lidar with multiple fields of view |
KR20230022805A (en) | 2021-08-09 | 2023-02-16 | 주식회사 위멤스 | Scanning mirror-based lidar device |
WO2023107099A1 (en) * | 2021-12-07 | 2023-06-15 | Waymo Llc |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device having a light-guide manifold |
KR102526992B1 (en) | 2022-09-28 | 2023-04-28 | 람다이노비전 주식회사 | Multi-Channel Transmitting/Receiving For Coherent LiDAR |
KR20240052606A (en) | 2022-10-14 | 2024-04-23 | 주식회사 위멤스 | 2-axis laser beam scanning devis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6973A (en) * | 1997-06-16 | 1999-01-12 | Asahi Optical Co Ltd | Optical scanning device |
JP2014020889A (en) * | 2012-07-18 | 2014-02-03 | Ricoh Co Ltd | Object detection device |
JP2014032149A (en) * | 2012-08-06 | 2014-02-20 | Ricoh Co Ltd | Article detecting device |
JP2017150990A (en) * | 2016-02-25 | 2017-08-31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Laser radar device and traveling body |
Family Cites Families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33017A (en) * | 1987-11-18 | 1989-05-25 | Nec Corp | Infrared image pickup device |
KR200290162Y1 (en) * | 1996-12-30 | 2002-12-31 | 위아 주식회사 | Heat dissipation device of machine tool control panel |
JP2958456B1 (en) * | 1998-06-25 | 1999-10-06 | 防衛庁技術研究本部長 | Traveling vehicle distance measurement device |
KR100366155B1 (en) * | 2000-04-10 | 2002-12-31 | 송태선 | Two-dimensional optical scanning apparatus |
JP3802394B2 (en) * | 2001-10-16 | 2006-07-26 | オムロン株式会社 | Automotive radar equipment |
KR20040091500A (en) * | 2003-04-22 | 2004-10-28 | 송석호 | Polygon mirror with cooling fan in laser printer |
JP4521164B2 (en) * | 2003-07-02 | 2010-08-11 | シャープ株式会社 | Optical scanning device |
JP4023426B2 (en) * | 2003-09-30 | 2007-12-19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Retina scanning display device |
JP2007088601A (en) * | 2005-09-20 | 2007-04-05 | Toyota Motor Corp | Object detection device |
JP5370798B2 (en) * | 2006-07-31 | 2013-12-18 | 株式会社リコー |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optical scanning device |
JP2010038859A (en) * | 2008-08-08 | 2010-02-18 | Toyota Motor Corp | Three-dimensional laser range finder |
KR101102489B1 (en) * | 2009-12-29 | 2012-01-05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Cooling device using Peltier element |
JP5626770B2 (en) | 2010-06-08 | 2014-11-19 | 株式会社Ihiエアロスペース | Laser distance measuring device |
KR101117755B1 (en) * | 2010-06-29 | 2012-03-16 | 이석길 | Radiating Apparatus For Light Emitting Diode |
JP5644437B2 (en) * | 2010-12-03 | 2014-12-24 | 富士通株式会社 | Distance measuring device and distance measuring method |
KR101282123B1 (en) * | 2011-07-20 | 2013-07-04 | (주) 유남옵틱스 | Wide area projection exposure apparatus |
JP2014071029A (en) * | 2012-09-28 | 2014-04-21 | Denso Wave Inc | Laser radar device |
JP2014071038A (en) * | 2012-09-28 | 2014-04-21 | Denso Wave Inc | Laser radar device |
JP6032416B2 (en) * | 2012-12-10 | 2016-11-30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Laser radar |
JP6090433B2 (en) * | 2013-04-01 | 2017-03-08 | 三菱電機株式会社 | Optical device, lidar device, and imaging device |
JP6460445B2 (en) * | 2014-08-01 | 2019-01-30 | 船井電機株式会社 | Laser range finder |
KR20170063196A (en) * | 2015-11-30 | 2017-06-08 |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 Lida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WO2017143217A1 (en) * | 2016-02-18 | 2017-08-24 | Aeye, Inc. | Adaptive ladar receiver |
KR102235710B1 (en) * | 2016-05-31 | 2021-04-02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Scanning lidar having optical structures with transmission receiving single lens |
KR101997095B1 (en) * | 2016-07-22 | 2019-07-08 | 전자부품연구원 | Scanning lidar for controlling horizontal resolution and image acquisition frame |
-
2018
- 2018-07-13 KR KR1020180081896A patent/KR101979374B1/en active Active
- 2018-07-13 KR KR1020180081898A patent/KR101977315B1/en active Active
- 2018-07-13 KR KR1020180081897A patent/KR101947404B1/en active Active
- 2018-08-16 KR KR1020180095385A patent/KR102009025B1/en active Active
- 2018-08-24 KR KR1020180099340A patent/KR101937777B1/en active Active
- 2018-08-27 KR KR1020180100701A patent/KR101966971B1/en active Active
- 2018-10-10 KR KR1020180120184A patent/KR101925816B1/en active Active
- 2018-10-22 KR KR1020180126278A patent/KR101964971B1/en active Active
-
2019
- 2019-02-14 KR KR1020190017433A patent/KR102263181B1/en active Active
- 2019-05-10 KR KR1020190054624A patent/KR10257035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6973A (en) * | 1997-06-16 | 1999-01-12 | Asahi Optical Co Ltd | Optical scanning device |
JP2014020889A (en) * | 2012-07-18 | 2014-02-03 | Ricoh Co Ltd | Object detection device |
JP2014032149A (en) * | 2012-08-06 | 2014-02-20 | Ricoh Co Ltd | Article detecting device |
JP2017150990A (en) * | 2016-02-25 | 2017-08-31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Laser radar device and traveling body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808889B2 (en) | 2018-01-08 | 2023-11-07 | Sos Lab Co., Ltd. | LiDAR device |
US11953626B2 (en) | 2018-01-08 | 2024-04-09 | SOS Lab co., Ltd | LiDAR device |
US11953596B2 (en) | 2018-01-08 | 2024-04-09 | Sos Lab Co., Ltd. | LiDAR device |
US12135393B2 (en) | 2018-05-14 | 2024-11-05 | Sos Lab Co., Ltd. | LiDAR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beam steering cells for steering a laser beam |
KR20210029108A (en) * | 2019-09-05 | 2021-03-15 | 주식회사 에스오에스랩 | A lidar device |
KR102281886B1 (en) * | 2019-09-05 | 2021-07-26 | 주식회사 에스오에스랩 | A lidar device |
KR102125538B1 (en) * | 2019-12-13 | 2020-06-22 | 주식회사 토르 드라이브 | Efficient Map Matching Method for Autonomous Driving and Apparatus Thereof |
US11629963B2 (en) | 2019-12-13 | 2023-04-18 | ThorDrive, Inc. | Efficient map matching method for autonomous driving and apparatus thereof |
WO2021149995A1 (en) * | 2020-01-20 | 2021-07-29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Motor |
WO2023096102A1 (en) * | 2021-11-23 | 2023-06-01 | 오토엘 주식회사 | Lidar with inclined scanning mirror structure |
KR20230099080A (en) | 2021-12-27 | 2023-07-04 | 조금배 | 3d lidar sensor device |
KR20230099073A (en) | 2021-12-27 | 2023-07-04 | 조금배 | 3d lidar sensor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7404B1 (en) | 2019-02-13 |
KR101966971B1 (en) | 2019-04-08 |
KR20190130495A (en) | 2019-11-22 |
KR102009025B1 (en) | 2019-08-08 |
KR101937777B1 (en) | 2019-01-11 |
KR101925816B1 (en) | 2018-12-06 |
KR102263181B1 (en) | 2021-06-09 |
KR101964971B1 (en) | 2019-04-02 |
KR101977315B1 (en) | 2019-05-20 |
KR102570355B1 (en) | 2023-08-25 |
KR20190130468A (en) | 2019-1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9374B1 (en) | A lidar device and rotating poligon mirror used in the lidar device | |
US11808889B2 (en) | LiDAR device | |
CN112204419B (en) | Laser radar device | |
US12196855B2 (en) | Distance detection device | |
KR102281886B1 (en) | A lidar device | |
KR102020037B1 (en) | Hybrid LiDAR scanner | |
KR102263182B1 (en) | A lidar device and rotating mirror used in the lidar device | |
KR102505575B1 (en) | Optic module for reducing noise and lidar device using the same | |
JP737795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LIDAR field of view | |
CN110658527A (en) | LiDAR, Autonomous Mobile Robots and Smart Vehicles | |
KR20210058718A (en) | A laser emitting array and a lidar device employing thereof | |
JPWO2017135224A1 (en) | Optical scanning type object detection device | |
KR20210144531A (en) | Lidar device | |
KR20220015820A (en) | Device for emitting laser | |
KR102592158B1 (en) | LiDAR scanning system | |
WO2017065049A1 (en) | Optical-scanning-type object detection device | |
JP2022103109A (en) | Object detection device, sensing device, and mobile body | |
KR20230081835A (en) | Lidar device | |
KR20220064831A (en) | Lidar device | |
KR20220064830A (en) | Lida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0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6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51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