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357B1 - 개량형 난간 포스트 - Google Patents
개량형 난간 포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8357B1 KR101978357B1 KR1020180112392A KR20180112392A KR101978357B1 KR 101978357 B1 KR101978357 B1 KR 101978357B1 KR 1020180112392 A KR1020180112392 A KR 1020180112392A KR 20180112392 A KR20180112392 A KR 20180112392A KR 101978357 B1 KR101978357 B1 KR 1019783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corner
- skin member
- tube
- end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
- E04H2017/14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사각형상의 지지대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프레임 고정구가 구비된 개량형 난간 포스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각관의 외측 모서리에 +형태를 갖는 모서리 프레임이 각각 결합되어지고, 상기 모서리 프레임의 가로방향 사이에 스킨부재가 전후방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모서리 프레임의 세로방향 사이에 상기 프레임 고정구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프레임 고정구는 좌우로 결합된 스킨부재의 상단에 얹혀지게 끼워진 고정 프레임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모서리 프레임의 외측 모서리에 모서리 스킨부재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각관의 세로방향 상부와 고정 프레임에 관통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난간대를 지지하는 아우터 프레임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하여 충분한 저항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주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개량형 난간 포스트의 분해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개량형 난간 포스트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개량형 난간 포스트에 인너 프레임과 아우터 프레임이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어 난간 프레임이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개량형 난간 포스트에 인너 프레임과 아우터 프레임이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어 난간 프레임이 지지되는 상태를 분리 도시한 횡단면도.
상기 ∪형태를 갖는 관통홀(h)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삽입된 아우터 프레임(420)에 형성된 제2숫나사부(421)가 결합부재(430)에 형성된 암나사부(431)의 외측단부(431b)에 나사결합되어지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430)에 형성된 암나사부(431)의 내측단부(431a)에는 인너 프레임(410)에 형성된 제1숫나사부(411)의 외측단부(411a)가 중간 까지만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암나사부(431)의 외측단부(431b)에는 아우터 프레임(420)에 형성된 제2숫나사부(421)가 중간 까지만 나사결합되어짐으로써, 상기 아우터 프레임(420)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 1차적으로 결합부재(430)를 통해 각관(110)에 작용되도록 하여 완화되는 가운데 인장력이 프레임 몸체(211)의 외측면인 보강리브(212)와 U형태를 갖는 관통홀(h)이 형성된 부분에 직접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변형 내지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420)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 1차적으로 결합부재(430)를 통해 완화된 후 이어 2차적으로 각관(110)의 내부로 위치된 인너 프레임(410)을 통해 이웃하는 다른 아우터 프레임(420)으로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 고정구(20)를 포함하는 난간 포스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10:각관 120:모서리 프레임
121:모서리 안착편 122:간격유지편
123:절곡부 124:경사편
125:연장편 126:걸림편
127:연장공간부 130:스킨부재
140:모서리 스킨부재 210:고정 프레임
211:프레임 몸체 212:보강리브
213:돌출부
Claims (7)
- 사각형상의 지지대(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프레임 고정구(20)가 구비된 개량형 난간 포스트(A)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각관(110)의 외측 모서리에 +형태를 갖는 모서리 프레임(120)이 각각 결합되어지고, 상기 모서리 프레임(120)의 가로방향 사이에 스킨부재(130)가 전후방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모서리 프레임(120)의 세로방향 사이에 상기 프레임 고정구(2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프레임 고정구(20)는 좌우로 결합된 스킨부재(130)의 상단에 얹혀지게 끼워진 고정 프레임(210)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모서리 프레임(120)의 외측 모서리에 모서리 스킨부재(14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각관(110)의 세로방향 상부와 고정 프레임(210)에 관통홀(h)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고정 프레임(210)은 직사각의 중공형태를 갖는 프레임 몸체(211)의 외측에 2열의 보강리브(21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보강리브(212) 사이로 상부가 오픈된 ∪형태를 갖는 관통홀(h)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프레임 몸체(211)의 내측에 상기 각관(110)을 향하도록 형성된 돌출부(213)에는 돌출된 양측의 외측면이 상기 모서리 프레임(120)의 외측에 형성된 간격유지편(122)의 단부 및 측면이 맞대어지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돌출부(213)에 원형태를 갖는 관통홀(h)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원형태를 갖는 관통홀(h)을 관통하여 노출된 인너 프레임(410)에 형성된 제1숫나사부(411)의 외측단부(411a)에 결합부재(430)에 형성된 암나사부(431)의 내측단부(431a)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숫나사부(411)의 내측으로 조여지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부재(430)의 내측단부(431a)가 고정 프레임(210)에 형성된 돌출부(213)의 내측면에 맞대어져 각관(110)의 표면으로 가압시켜 상기 돌출부(213)가 각관(110)의 외측면에 긴결되게 결합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형태를 갖는 관통홀(h)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삽입된 아우터 프레임(420)에 형성된 제2숫나사부(421)가 결합부재(430)에 형성된 암나사부(431)의 외측단부(431b)에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결합부재(430)에 형성된 암나사부(431)의 내측단부(431a)에는 인너 프레임(410)에 형성된 제1숫나사부(411)의 외측단부(411a)가 중간 까지만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암나사부(431)의 외측단부(431b)에는 아우터 프레임(420)에 형성된 제2숫나사부(421)가 중간 까지만 나사결합되어 상기 아우터 프레임(420)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 1차적으로 결합부재(430)를 통해 각관(110)에 작용되도록 한 후 이어 2차적으로 각관(110)의 내부로 위치된 인너 프레임(410)을 통해 이웃하는 다른 아우터 프레임(420)으로 작용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난간 포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프레임(120)은 모서리 안착편(121)의 외측에 각각 2개의 간격유지편(12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간격유지편(122) 사이로 위치된 절곡부(123)에 각각 경사편(124)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경사편(124)의 단부에 상기 간격유지편(122)과 평행한 2개의 연장편(125)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2개의 연장편(125) 단부에 걸림편(126)이 연결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난간 포스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프레임(120)에 결합되어지는 모서리 스킨부재(140)는 사각기둥 또는 사각통형태로 형성되어 슬라이딩으로 끼워지되, 상기 모서리 스킨부재(140)의 외측 모서리는 라운딩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125)은 2열로 형성되어짐으로서 내부에 연장공간부(127)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난간 포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부재(130) 및 모서리 스킨부재(140)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난간 포스트.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2392A KR101978357B1 (ko) | 2018-09-19 | 2018-09-19 | 개량형 난간 포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2392A KR101978357B1 (ko) | 2018-09-19 | 2018-09-19 | 개량형 난간 포스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8357B1 true KR101978357B1 (ko) | 2019-05-16 |
Family
ID=66671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2392A Active KR101978357B1 (ko) | 2018-09-19 | 2018-09-19 | 개량형 난간 포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835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1655B1 (ko) * | 2021-11-02 | 2022-10-06 | 에스와이우드(주) | 난간 상부 구조체 |
KR102451666B1 (ko) * | 2021-11-02 | 2022-10-06 | 에스와이우드(주) |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4349Y1 (ko) * | 2011-01-12 | 2011-06-29 | (주)우리조경건설 | 목재 마감재가 구비된 파고라 기둥 |
KR200473181Y1 (ko) * | 2014-02-14 | 2014-06-16 | 김경자 |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 고정구 |
KR101706096B1 (ko) | 2016-08-24 | 2017-02-15 | 에스와이우드(주) | 난간대의 각도변화가 가능한 개량형 난간 구조 |
-
2018
- 2018-09-19 KR KR1020180112392A patent/KR10197835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4349Y1 (ko) * | 2011-01-12 | 2011-06-29 | (주)우리조경건설 | 목재 마감재가 구비된 파고라 기둥 |
KR200473181Y1 (ko) * | 2014-02-14 | 2014-06-16 | 김경자 |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 고정구 |
KR101706096B1 (ko) | 2016-08-24 | 2017-02-15 | 에스와이우드(주) | 난간대의 각도변화가 가능한 개량형 난간 구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1655B1 (ko) * | 2021-11-02 | 2022-10-06 | 에스와이우드(주) | 난간 상부 구조체 |
KR102451666B1 (ko) * | 2021-11-02 | 2022-10-06 | 에스와이우드(주) | 유동방지용 난간 구조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6686B1 (ko) | 건축용 외장패널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 |
US6299142B1 (en) | Post and railing system | |
KR101978357B1 (ko) | 개량형 난간 포스트 | |
KR101548905B1 (ko) | 이탈방지를 강화한 금속천장재 고정장치 | |
KR102122981B1 (ko) |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 |
CA2821740A1 (en) | Railing assembly | |
UA124109C2 (uk) | Пристрій для прикріплення переважно плоского предмета до споруди | |
KR101464304B1 (ko) | 교량 점검로 | |
US10625329B2 (en) | Railing system | |
KR101409637B1 (ko) | 안전난간용 철골고정 클램프 | |
US8215063B1 (en) | Guard rail lock assembly | |
KR101634503B1 (ko) | 목교 | |
KR101978360B1 (ko) | 개량형 난간의 결합구조 | |
US3007678A (en) | Handrail and support | |
KR101199507B1 (ko) |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연결장치 | |
KR101805132B1 (ko) | 트러스 거더 설치용 지지대 | |
KR101567301B1 (ko) | 점검시설용 발판 설치구조 | |
KR101808460B1 (ko) | 데크로드의 조립식 난간 구조 | |
KR200488105Y1 (ko) | 난간지주용 가로대 고정구 | |
KR101471489B1 (ko) | 조립식 발코니 난간대 | |
KR101095600B1 (ko) | 난간의 도난방지장치 | |
KR101395743B1 (ko) | 방음패널 조립체 | |
KR101692853B1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형 난간구조 | |
KR101166795B1 (ko) | 교량의 점검시설용 난간지주 | |
US20030091386A1 (en) | Furniture joi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1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