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78205B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205B1
KR101978205B1 KR1020120060729A KR20120060729A KR101978205B1 KR 101978205 B1 KR101978205 B1 KR 101978205B1 KR 1020120060729 A KR1020120060729 A KR 1020120060729A KR 20120060729 A KR20120060729 A KR 20120060729A KR 101978205 B1 KR101978205 B1 KR 101978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arty
person
icon
display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7283A (ko
Inventor
황명희
이기문
황수정
이나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0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205B1/ko
Priority to US13/900,213 priority patent/US9622056B2/en
Priority to EP13169260.0A priority patent/EP2672682B1/en
Priority to CN201310223912.0A priority patent/CN103491225B/zh
Publication of KR20130137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20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5Methods of retrieving data using interactive graphical means or pictorial represen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data transmission, e.g.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user interface aspects of conference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상대방 각각의 개인 정보와 프로필 이미지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와 인물이 표시된 인물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인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인물들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인식된 얼굴과 동일인물로 추정되는 상대방의 포함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인식된 얼굴과 동일인물로 추정되는 상대방의 개인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인물들과 그룹콜 또는 그룹 대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물 이미지를 이용하여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인물들과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상대방과 연락을 취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특정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것이다. 특정 상대방에게 통화 연결을 시도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특정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거나,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복수의 상대방 목록 중 특정 상대방을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방식은 특정 상대방과 그룹콜이나 그룹 대화를 시도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다. 일예로, 그룹콜을 진행하기 위해 그룹콜 통화 연결을 시도할 사용자를 모두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보다 간편하게 그룹콜이나 그룹 대화를 진행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과는 달리, 효과적으로 그룹콜 또는 그룹 대화를 시도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미지를 기반으로 복수의 상대방에게 그룹콜 또는 그룹 대화를 시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상대방 각각의 개인 정보와 프로필 이미지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와 인물이 표시된 인물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인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인물들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인식된 얼굴과 동일인물로 추정되는 상대방의 포함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인식된 얼굴과 동일인물로 추정되는 상대방의 개인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인물들과 그룹콜 또는 그룹 대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인물이 표시된 인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인물들의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얼굴과 동일인물로 추정되는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인물들과 그룹콜 또는 그룹 대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효과적으로 복수의 상대방과 그룹콜 또는 그룹 대화를 시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이미지를 기반으로 복수의 상대방과 그룹콜 또는 그룹 대화를 시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및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
도 4는 전화번호부가 디스플레이되는 도중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프로필 이미지를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카메라(121)를 통해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기 저장된 이미지를 기초로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인물 이미지에 복수의 상대방이 표시된 경우 얼굴인식 알고리즘의 적용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인식된 얼굴과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의 유무에 따라 인물 이미지 위에 제1, 2 아이콘이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인식된 얼굴과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의 유무가 표시되는 화면의 다른 예시도.
도 10은 인식된 얼굴을 프로필 이미지로 사용하는 신규 상대방을 추가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
도 11은 인식된 얼굴 중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에게 다른 상대방의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2는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복수의 상대방과 그룹콜을 진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3은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복수의 상대방과 그룹 대화를 진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4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대방이 표시되는 인물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5는 기 저장된 이미지 위에 그룹 커뮤니케이션에 참가시키고자 하는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를 추가하여 인물 이미지를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00)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호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호칭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위해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즉, 이동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둘 다의 방향으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터치 패드(135) 전용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장착됨으로써,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51), 메모리(16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카메라(12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151)으로 구성되는 경우 더욱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기에,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151)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은 후술될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흐름도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80)는 상대방의 개인 정보와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를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S301). 상대방의 개인 정보와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는 메모리(160) 내에서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검색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대방의 개인 정보는 상대방의 전화번호, 성함, 거주지 주소, 이메일 주소, IM(Instant Message) 서비스 ID, 클라우드 서버 ID, SNS ID 및 홈페이지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필 이미지는 상대방의 사진이거나 또는 상대방을 대표할 수 있는 그림일 수 있다.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상대방의 개인정보와 프로필 이미지를 저장할 때, 반드시 상대방의 개인정보와 프로필 이미지가 동시에 입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대방의 개인정보가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후,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를 추가할 수도 있고, 이와 반대로,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가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후, 상대방의 개인 정보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후술될 도면을 통해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를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는 동작의 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를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다. 일예로, 도 4는 전화번호부가 디스플레이되는 도중 카메라(121)를 활성화하여 프로필 이미지를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는 터치스크린(151)에 전화번호부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사용자가 전화번호부의 디스플레이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도 4a와 같이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상대방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화번호부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대방의 프로필 사진을 추가하기 위해 카메라(121)의 활성화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활성화하고, 터치스크린(151)의 출력이 전화번호부에서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도 4b 참조). 도 4a에서는 사용자가 카메라(121) 버튼(401)을 터치함으로써, 카메라(121)의 활성화 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일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12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촬영 버튼(403)을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촬영된 이미지를 메모리(160)에 저장하고, 촬영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촬영된 이미지에 복수의 인물이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의 프로필 이미지로 사용하고자 하는 부분(405)을 선택할 수 있다(도 4c 참조). 사용자가 프로필 이미지로 사용하고자 하는 부분(405)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프로필 이미지와 상대방을 매핑하여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80)는 도 4d에 도시된 선택 메뉴(407)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프로필 이미지와 상대방을 매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 4d에 도시된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상대방, 또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신규 상대방과 프로필 이미지를 매칭할 수 있다. 도 4d의 선택 메뉴 중 '기존 인물에 추가' 메뉴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기 포함된 상대방 중 어느 한명과 프로필 이미지를 매핑하는 것이고, '새로운 인물로 추가' 새로운 사용자에게 프로필 이미지를 할당한 뒤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 있어서, 촬영된 이미지에 한명의 인물만이 표시된 상태라면, 사용자가 프로필 이미지로 사용하고자 하는 부분을 선택하는 도 4c의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도 4의 예시에 있어서, 전화번호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도중 카메라(121)를 반드시 활성화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사용자가 카메라(121)의 활성화 명령 대신 갤러리 진입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카메라(121)의 활성화 없이도 프로필 이미지를 추가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전화번호부가 디스플레이되는 도중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가 추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를 추가하는 방법이 도 4의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화번호부가 디스플레이되기 전이라도, 카메라(121)를 통해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이나,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또는 외부 단말을 통해 수신한 이미지 등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를 추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한다.
도 5는 카메라(121)를 통해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사용자가 카메라(12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활성화 하고,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메라(121)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및 촬영 메뉴가 표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에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속 인물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속 인물의 얼굴이 포착되면, 제어부(18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된 얼굴에 윤곽선(503)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간 입력 영상 속 특정 인물의 얼굴이 인식된 이후, 사용자가 촬영 메뉴의 전화번호부 버튼(501)을 누르면, 제어부(180)는 인식된 얼굴을 프로필 이미지로 하는 상대방을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예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인물의 얼굴이 인식된 상태에서, 전화번호부 버튼(501)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된 복수의 얼굴 중 프로필 이미지로 사용하고자 하는 얼굴의 선택을 종용하는 선택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식된 복수의 얼굴 중 프로필 이미지로 사용하고자 하는 얼굴을 선택(505)하면, 제어부(180)는 도 5d에 도시된 선택 메뉴(507)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상대방과 프로필 이미지를 매칭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d에 도시된 선택 메뉴(507)는 앞서 도 4d에서 살펴본 선택 메뉴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5와 달리, 기 저장된 이미지를 기초로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기 저장된 이미지란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이거나,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파일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메모리(160)에 기 저장된 이미지를 감상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모리(160)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터치스크린(151)을 제어할 수 있다. 이미지 파일 목록 중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이미지를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출력되는 이미지로부터 사용자가 프로필 이미지로 사용하고자 하는 부분(601)을 선택하면(도 6c 참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부분(601)과 상대방을 매핑하여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가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프로필 이미지로 사용하고자 하는 부분(601)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도 6d에 도시된 선택 메뉴(603)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상대방과 프로필 이미지를 매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d에 도시된 선택 메뉴(603)는 앞서 도 4d에서 살펴본 선택 메뉴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이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프로필 이미지를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다. 후술될 예와 같이, 프로필 이미지는 인물 이미지와 대조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모리(160)에 저장된 인물 이미지가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2). 여기서 인물 이미지는 적어도 한명의 상대방이 표시된 사진이나 그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물 이미지는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진(또는 그림) 등일 수 있다. 다만, 인물 이미지가 반드시 사진이나 그림 등의 정지영상(still cut)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인물 이미지는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일수도 있으며, 카메라(121)를 통해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일 수도 있다.
인물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제어부(180)는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상대방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S303). 인물 이미지에 복수의 상대방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상대방 각각의 얼굴을 인식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복수의 상대방 모두의 얼굴을 인식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일예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물 이미지에 표시되는 복수의 상대방 중 어느 한명의 얼굴만을 인식할 수도 있다.
도 7은 인물 이미지에 복수의 상대방이 표시된 경우 얼굴인식 알고리즘의 적용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인물 이미지에 복수의 상대방이 도시된 경우, 제어부(180)는 인물 이미지의 전체 영역을 대상으로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도 7a에 도시된 예와 같이, 복수의 상대방 모두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도 7a에서는 4명의 상대방 모두의 얼굴이 인식된 것으로 예시, 701~707).
인물 이미지에 복수의 상대방이 표시된 경우라 하더라도, 얼굴인식 알고리즘의 적용 범위가 제한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상대방 중 일부 상대방의 얼굴만이 인식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물 이미지 위 소정 영역을 선택한 경우(710), 제어부(180)는 선택된 영역(710)에 제한적으로 얼굴인식 알고리즘이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b에서는 선택된 영역에 2명의 상대방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4명의 상대방 중 2명에 한하여 얼굴이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712,714).
도 7b와 같이, 사용자가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고자 하는 영역(710)을 선택하도록 강제하는 경우, 얼굴 인식 알고리즘의 적용 영역을 감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의 연산 범위도 감소할 것이므로, 제어부(180)의 연산량이 감소하여, 인물 이미지로부터 상대방의 얼굴을 인식하는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축됨과 동시에 배터리 효율이 증대될 수 있을 것이다.
인물 이미지로부터 상대방의 얼굴이 인식되면, 제어부(180)는 인식된 얼굴과 메모리(160)(구체적으로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상대방 각각의 프로필 이미지를 비교하여, 인식된 얼굴과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이 상기 전화번호부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304). 인물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얼굴이 인식된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인식된 얼굴 각각을 프로필 이미지와 대조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제어부(180)는 S304 단계의 판단 결과를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S305). 일예로, 인식된 얼굴과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이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경우, 제어부(180)는 인물 이미지 위 당해 상대방의 얼굴 주변에 제1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인식된 얼굴과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이 부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인물 이미지 위 당해 상대방의 얼굴 주변에 제1 아이콘과는 다른 제2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8은 인식된 얼굴과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의 유무에 따라 인물 이미지 위에 제1, 2 아이콘이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인식된 얼굴과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이 전화번호부에 포함된 경우에는 인식된 얼굴 주변에 제1 아이콘(도 8에서는 통화 아이콘으로 예시, 810)을 표시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인식된 얼굴 주변에 제2 아이콘(도 8에서는 물음표 아이콘으로 예시, 820)이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S304 단계의 판단 결과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 8에 도시된 예와 같이 인물 이미지 위에 S304 단계의 판단 결과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제어부(180)는 S304 단계의 판단 결과를 표시하는 별도의 화면을 구성하여, 구성된 화면이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9는 인식된 얼굴과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의 유무가 표시되는 화면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인물 이미지 위가 아닌 별도의 화면 구성을 통해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상대방과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상대방 사이의 비교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인식된 얼굴과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이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인식된 얼굴과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이 존재하는 경우, 인식된 얼굴과 개인정보(도 9에서는 성명과 전화번호가 예시됨)를 매칭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당해 상대방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이와 함께, 인식된 얼굴과 제1 아이콘(도 9에서는 통화 아이콘으로 예시, 910)을 매칭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반대로, 인식된 얼굴과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인식된 얼굴과 제2 아이콘(도 9에서는 물음표 아이콘으로 예시, 920)을 매칭하여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도 9의 예에서, 사용자는 인식된 얼굴과 매칭되는 상대방의 개인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인식된 얼굴과 매칭되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확인함으로써, 전화번호부에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에서는 인식된 얼굴과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이 존재하는 경우, 상대방의 개인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상대방의 개인정보 외에도,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과의 메시지 송수신 내용, 이메일 송수신 내용, 통화 수발신 내역 등이 인식된 얼굴에 매칭되어 표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인식된 얼굴과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사용자가 전화번호부에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한 이후,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예로, 도 8 및 도 9의 예에서, 사용자가 제1 아이콘을 터치한 경우, 제어부(180)는 당해 인식된 얼굴과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거나, 상대방에게 메시지(SMS, LMS, MMS 등의 문자 메시지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인물 이미지가 자동 첨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시지에 인물 이미지가 자동 첨부되도록 함으로써,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상대방과 간편하게 인물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다.
또는, 제1 아이콘이 터치된 경우, 제어부(180)는 당해 인식된 얼굴과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의 SNS 계정이나 클라우드 계정, 또는 상대방의 홈페이지로 접근을 시도할 수도 있다.
반대로, 도 8 및 도 9의 예에서, 사용자가 제2 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당해 인식된 얼굴을 프로필 이미지로 사용하는 신규 상대방을 추가하기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10은 인식된 얼굴을 프로필 이미지로 사용하는 신규 상대방을 추가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의 예에서, 사용자가 제2 아이콘을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도 10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의 예에서, 사용자는 추가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개인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신규 사용자를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상대방 중 어느 한명과 커뮤니케이션(통화, 메시지 전송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80)는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복수의 상대방을 대상으로, 그룹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S306). 여기서 그룹 커뮤니케이션은 그룹콜, 그룹 대화 등 다수의 상대방이 동시에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룹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에 앞서, 제어부(180)는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상대방 중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개인 정보가 저장된 상대방으로부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개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대방의 개인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인물 이미지에 복수의 상대방이 표시된 경우, 인물 이미지에 표시되는 상대방 중 일부는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이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반면, 나머지는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이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상대방 중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개인 정보가 저장된 상대방에게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개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대방의 개인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1을 참조한다.
도 11은 인식된 얼굴 중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에게 다른 상대방의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1의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복수의 인물 각각을 좌에서 우의 순서로 제1 내지 제4 상대방(1110,1120,1130,1140)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1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물 이미지에 복수의 인물이 표시되어 제어부(180)가 복수의 얼굴을 인식한 경우, 복수의 인식된 얼굴 중 일부는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사용자가 전화번호부에 포함되는 반면 일부는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사용자가 전화번호부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판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인식된 얼굴 각각 주변에 제1 아이콘(1122)이나 제2 아이콘(1112)을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a의 예에서, 제1 상대방(1110) 주변에는 제2 아이콘(1112)이 표시되고, 제2 내지 제4 상대방(1120,1130,1140) 주변에는 제1 아이콘(1122)이 표시된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때, 제2 아이콘(1112)을 제1 아이콘(1122) 또는 제1 아이콘(1122)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얼굴로 드래그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상대방에게 제2 아이콘(1112)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개인 정보를 제공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즉, 도 11a에서 제1 상대방(1110) 주변의 제2 아이콘(1112)을 제2 상대방(1120) 주변의 제1 아이콘(1122)으로 드래그하는 경우(도 11b 참조), 제어부(180)는 제2 상대방(1120)에게 제1 상대방(1110)의 개인 정보를 제공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선택된 상대방(도 11b에서는 제2 상대방,1120)의 전화번호로 제2 아이콘(1112)에 해당하는 얼굴 이미지를 첨부하여 문자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도 11c에 도시된 예와 같이, 기 설정된 텍스트와 함께 제2 아이콘(1112)에 애칭되는 상대방의 얼굴 이미지가 자동으로 첨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상대방(1120)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된 문자 메시지 속 얼굴 이미지를 확인하여 제1 상대방(1110)의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클라우드 서버(1150)로 제1 상대방(1110)의 개인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클라우드 서버(1150)로 접속한 뒤, 제2 상대방의 클라우드 계정의 스토리지(storage)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상대방(1110)의 얼굴과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의 개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1c 및 도 11d의 예에서, 제1 상대방(1110)의 개인 정보가 수신된다면, 제어부(180)는 제1 상대방(1110) 주변에 표시되던 제2 아이콘(1112)이 제1 아이콘(1122)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상대방 중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개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대방의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당해 상대방의 개인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당해 사용자도 그룹 커뮤니케이션에 참가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복수의 상대방과 그룹콜 또는 그룹 대화 등의 그룹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도 12 및 도 13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복수의 상대방과 그룹콜을 진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a와 같이, 인물 이미지 위에 복수의 상대방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룹콜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인물 이미지 위에 표시된 복수의 상대방을 대상으로 그룹콜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2a의 예에서, '전화하기' 버튼(1202)이 터치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상대방을 대상으로 그룹콜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도 12a의 예에서는,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제1 내지 4 상대방(1210,1220,1230,1240)에 대한 개인 정보(특히, 전화번호)가 모두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태라 가정한다. 만약, 제1 내지 4 상대방(1210,1220,1230,1240) 중 적어도 한명에 대한 개인 정보(특히,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당해 사용자를 제외한 채 그룹콜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그룹콜을 진행함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인물 이미지를 배경으로 그룹콜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인물 이미지 위 복수의 상대방 중 그룹콜 시도가 성공한 상대방과 그렇지 않은 상대방이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b에서는 그룹콜 통화 연결에 실패한 상대방(제1 상대방,1210) 위에 문자 'X'(1206) 가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그룹콜 통화가 진행되는 도중, 제어부(180)는 인물 이미지 위에 음성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상대방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4 상대방(1240)으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인물 이미지 중 제4 상대방(1240)의 얼굴을 강조하거나, 얼굴 주변에 알림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c에서는 제4 상대방(1240)에 해당하는 얼굴 주변에 대화 박스(1208)가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그룹콜 통화 중 송수신하는 음성 데이터의 내용이 텍스트 형태로 표시(1212)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통화 내용을 텍스트로 표시함으로써, 터치스크린(151)의 출력을 통해 통화 내용을 좀 더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도 12d에서는 인물 이미지 하단에 그룹콜 통화 중 송수신하는 음성 데이터의 내용이 텍스트 형태로 표시(1212)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그룹콜 통화가 진행되는 도중, 제어부(180)는 그룹콜 통화가 진행 중인 복수의 상대방 중 적어도 일부와 통화 연결이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2d에서 제2 내지 4 상대방(1210,1220,1230,1240)과 그룹콜을 진행하는 도중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제2 상대방(1220)의 얼굴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제2 상대방(1220)과의 그룹콜 통화가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복수의 상대방과 그룹 대화를 진행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복수의 상대방과 그룹 대화를 진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a와 같이, 인물 이미지 위에 복수의 상대방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룹대화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인물 이미지 위에 표시된 복수의 상대방을 대상으로 그룹 대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와 상대방 사이 메시지의 전송 매개는 SMS, LMS, MMS 등의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한 것이거나, 인스턴트 메시지일 수도 있다. 도 13a의 예에서, '대화하기' 버튼(1304)이 터치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상대방과 그룹 대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a의 예에서는,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제1 내지 4 상대방(1310,1320,1330,1340)에 대한 개인 정보(특히, 전화번호 또는 IM 서비스 ID)가 모두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태라 가정한다. 만약, 제1 내지 4 상대방(1310,1320,1330,1340) 중 적어도 한명에 대한 개인 정보가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당해 사용자를 제외한 채 그룹 대화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그룹 대화를 진행함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인물 이미지를 배경으로 그룹 대화가 진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룹 대화가 진행되는 도중,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나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그룹 대화에 참가하는 복수의 상대방(구체적으로는,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복수의 상대방)에게 메시지가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3a의 예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는, 제1 내지 4 상대방(1310,1320,1330,1340)에게 모두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그룹 대화에 참가 중인 상대방 중 적어도 한명에게는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가 송신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예로, 그룹 대화가 진행되는 도중 사용자가 제3 상대방(1330)의 얼굴을 터치한 경우, 제어부(180)는 제3 상대방(1330)을 제외한 제1, 2 및 4 상대방(1310,1320,1340)에게만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제어부(180)는 제1, 2 및 4 상대방(1310,1320,1340)을 제외한 제3 상대방(1330)에게만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대화에 참가 중인 복수의 사용자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상대방이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b에서는 제3 상대방(1330)의 얼굴이 음영처리(1302) 된 것으로 예시되었다.
그룹 대화에 참가 중인 상대방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80)는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이 식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3c에서는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의 얼굴 주변에 메시지 내용이 쓰인 대화박스(1304)가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의 얼굴 주변에, 대화 내용을 표시함으로써,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의 이름과 함께 메시지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이 식별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3d에서는 인물 이미지 위에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의 이름과 메시지 내용이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도 3에서는 S304 단계의 판단결과가 표시된 이후(S304),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상대방과 그룹 커뮤니케이션(S305)이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상대방과 동일인물로 판단되는 상대방이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표시하는 과정은 생략되거나, 사용자 선택에 의해, S305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도 8, 도 9, 도 11 내지 13에 표시된 제1 아이콘(통화 아이콘으로 예시) 및 제2 아이콘(물음표 아이콘으로 예시)의 표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상대방과 그룹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데에만 이용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인물 이미지를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상대방과 공유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상대방과 일정(Schedule)을 공유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상대방과 음악, 동영상, 이북, 어플리케이션 설치 파일 등 다양한 컨텐트를 공유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그룹콜 또는 그룹 대화를 진행하는데 이용되는 인물 이미지가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된 사진이나 외부 단말에서 수신된 사진인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사용자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대방이 표시되는 인물 이미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14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대방이 표시되는 인물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예컨대, 도 14a는 같은 인물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기본 프레임이 출력되는 것의 예시도이다. 도 14a의 예에서, 사용자가 추가 버튼(1402)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대방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b에서 사용자가 그룹콜 또는 그룹 대화에 참여시키고자 하는 상대방을 선택하면(도 14b에서는 상대방 2로 예시), 제어부(180)는 도 14c와 같이 선택된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1420)가 기본 프레임 위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기본 프레임 위에 그룹콜 또는 그룹 대화에 참여시키고자 하는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를 추가함으로써 인물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된 사진이나 외부 단말에 수신된 사진에 그룹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고자 하는 상대방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화번호부의 프로필 이미지를 더욱 추가하여 인물 이미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15는 기 저장된 이미지 위에 그룹 커뮤니케이션에 참가시키고자 하는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를 추가하여 인물 이미지를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저장된 이미지 위에 제1 내지 제4 인물(1501,1503,1505,1507)이 표시된 상태라 가정한다. 도 15a에 도시된 이미지 속에 그룹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고자 하는 상대방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적절한 조작을 통해 그룹 커뮤니케이션에 초청하고자 하는 상대방을 추가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5b에 도시된 추가 버튼(1510)을 선택하면, 제어부는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상대방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도 15c에 도시된 상대방 목록 중 그룹 커뮤니케이션에 초청하고자 하는 상대방을 선택하면(도 15c에서는 'Mary' 가 선택된 것으로 예시,1520), 제어부는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저장된 이미지 위에 그룹 커뮤니케이션에 초청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프로필 이미지(1530)가 추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프로필 이미지를 이용하여 인물 이미지에 표시되는 인물의 수를 증가함으로써, 그룹 커뮤니케이션에 참가할 수 있는 상대방의 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21 : 카메라
151 : 디스플레이부(터치스크린)
160 : 메모리
180 : 제어부

Claims (20)

  1. 복수의 상대방 각각의 개인 정보 및 프로필 이미지를 포함한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 및 인물 이미지를 저장한 메모리;
    상기 인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인물 이미지 내의 얼굴들을 인식하고,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인식된 얼굴들에 해당하는 상대방들의 개인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물 이미지에 표시된 인물들과 그룹 콜 또는 그룹 대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인식된 얼굴들 중 일부 얼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상대방의 개인 정보의 추출이 실패되면,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이 성공된 개인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상대방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상대방의 개인 정보를 요청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물 이미지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상대방의 얼굴 주변에 제1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물 이미지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대방 얼굴 주변에 제2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이콘이 상기 제2 아이콘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제2 아이콘에 해당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대방에게 상기 제1 아이콘에 해당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상대방의 개인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고, 상기 제2 아이콘에 해당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대방의 클라우드 계정에 접속하여, 상기 제1 아이콘에 해당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상대방의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대방의 SNS 계정 또는 홈페이지에 접속을 시도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거나, 문자 메시지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의 송신을 시도하는, 이동 단말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아이콘에 해당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상대방의 얼굴을 프로필 이미지로 하는 신규 상대방이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물 이미지를 배경으로 상기 그룹콜 또는 상기 그룹 대화가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물 이미지 상에 상기 그룹콜 연결에 성공한 인물과 상기 그룹콜 연결이 실패한 인물이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콜 통화가 진행되는 도중, 상기 인물 이미지 상에 현재 발언 중인 인물이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콜 통화가 진행되는 도중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인물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콜 통화가 진행되는 도중, 상기 인물 이미지 상의 특정 인물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인물과의 그룹콜 통화가 종료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인물에게만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20060729A 2012-06-07 2012-06-07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Expired - Fee Related KR101978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729A KR101978205B1 (ko) 2012-06-07 2012-06-07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US13/900,213 US9622056B2 (en) 2012-06-07 2013-05-22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or extracting available pers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recognized faces
EP13169260.0A EP2672682B1 (en) 2012-06-07 2013-05-24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310223912.0A CN103491225B (zh) 2012-06-07 2013-06-06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729A KR101978205B1 (ko) 2012-06-07 2012-06-07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283A KR20130137283A (ko) 2013-12-17
KR101978205B1 true KR101978205B1 (ko) 2019-05-14

Family

ID=48578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729A Expired - Fee Related KR101978205B1 (ko) 2012-06-07 2012-06-07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22056B2 (ko)
EP (1) EP2672682B1 (ko)
KR (1) KR101978205B1 (ko)
CN (1) CN1034912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55830S1 (en) * 2013-12-18 2016-05-10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5092S1 (en) 2014-03-03 2016-08-30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6318S1 (en) 2014-03-07 2016-09-1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026046B2 (en) 2014-04-11 2021-06-01 Flaregun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ly connecting people
US9351118B2 (en) * 2014-04-11 2016-05-24 Keith Crutchfield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ly connecting people
KR102276853B1 (ko) * 2014-09-12 202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5046133A (zh) * 2015-07-21 2015-11-11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显示方法及车载终端
CN105306678A (zh) * 2015-09-14 2016-02-0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10444982B2 (en) 2015-10-16 2019-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operation using intensity of gesture in electronic device
WO2017068817A1 (ja) * 2015-10-20 2017-04-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170073068A (ko) * 2015-12-18 2017-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97054B1 (ko) * 2016-02-05 2022-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필 통화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프로필 통화 방법
JP6256497B2 (ja) * 2016-03-04 2018-01-10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426388B (zh) * 2016-05-24 2021-02-19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一种智能呼叫装置、系统及方法
CN106201244A (zh) * 2016-06-28 2016-12-07 上海青橙实业有限公司 图片处理方法及移动终端
EP3324582A1 (en) * 2016-11-18 2018-05-2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D910046S1 (en) 2017-09-29 2021-02-0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57033S1 (en) 2017-11-07 2019-08-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785449B2 (en) * 2017-12-08 2020-09-22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ng using media content
USD879132S1 (en) 2018-06-03 2020-03-2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502862B2 (en) * 2018-09-05 2022-11-15 Avaya Inc. Custom communication actions based on environment analysis
US10895964B1 (en) * 2018-09-25 2021-01-19 Snap Inc. Interface to display shared user groups
USD883319S1 (en) 2018-10-29 2020-05-0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9766156B (zh) * 2018-12-24 2020-09-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会话创建方法及终端设备
CN110197171A (zh) * 2019-06-06 2019-09-03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用户的动作信息的交互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D949184S1 (en) 2020-06-17 2022-04-19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6489268A (zh) * 2020-08-05 2023-07-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识别方法及相关装置
CN114465967B (zh) * 2020-10-22 2024-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群组内群成员隐私保护方法、通信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907521B2 (en) * 2021-01-28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gmented reality calling interfa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5821A (ja) * 2004-12-03 2006-06-22 Nikon Corp 携帯電話機
KR100783553B1 (ko) 2007-01-22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의 전화번호부의 그룹사진 생성 방법및 그를 이용한 통신 이벤트 수행 방법
KR100868638B1 (ko) 2007-08-07 2008-11-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 통화 말풍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191B1 (ko) 2006-10-18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촬영 기기와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513616B1 (ko) * 2007-07-31 201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영상정보 관리방법
WO2009046574A1 (en) 2007-10-11 2009-04-16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act management and organization
US8116727B1 (en) * 2008-06-19 2012-02-14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d presenting a current likelihood of a mobile station successfully engaging in a communication session
EP2180674A1 (en) 2008-10-24 2010-04-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Conference Call Participant Identifier Images on a Display of a Mobile Device
US20100216441A1 (en) * 2009-02-25 2010-08-26 Bo Larsson Method for photo tagging based on broadcast assisted face identification
US8938677B2 (en) 2009-03-30 2015-01-20 Avaya Inc. System and method for mode-neutral communications with a widget-based communications metaphor
US20110013810A1 (en) * 2009-07-17 2011-01-20 Engstroem Jimmy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tagging of a digital image
US8798684B2 (en) 2010-04-19 2014-08-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38913B1 (ko) * 2010-06-14 201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7613B1 (ko) * 2010-06-21 201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그룹 생성 방법
EP3734408A1 (en) * 2011-02-10 2020-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8620136B1 (en) * 2011-04-30 2013-12-31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media intelligent recording in a network environment
US8447863B1 (en) * 2011-05-06 2013-05-21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 recognition
US20120311080A1 (en) * 2011-06-03 2012-12-06 Thomas Alsina Management of Downloads from a Network-Based Digital Data Repository
CN108965498B (zh) * 2011-12-02 2021-07-27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在无线设备之间共享通信的方法和装置
US9363356B2 (en) * 2013-03-15 2016-06-07 Qula, Inc. System and methods to enable efficient and interactive management of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5821A (ja) * 2004-12-03 2006-06-22 Nikon Corp 携帯電話機
KR100783553B1 (ko) 2007-01-22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의 전화번호부의 그룹사진 생성 방법및 그를 이용한 통신 이벤트 수행 방법
KR100868638B1 (ko) 2007-08-07 2008-11-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 통화 말풍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283A (ko) 2013-12-17
EP2672682A3 (en) 2014-04-23
CN103491225A (zh) 2014-01-01
CN103491225B (zh) 2017-11-28
EP2672682B1 (en) 2017-09-13
US9622056B2 (en) 2017-04-11
EP2672682A2 (en) 2013-12-11
US20140011487A1 (en)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20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204985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0903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1769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58873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한 대화 방법
KR101899816B1 (ko) 단말 장치 및 이의 필기 공유 방법
KR2014013486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1310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8831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9033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락이 설정된 대기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7942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5004251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14391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59772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0093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2908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3769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
KR101677630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정보 알림장치
KR10151362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스티커 기능 수행방법
KR10165057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증강현실을 이용한 메신저 제공방법
KR10163891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1576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71803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167152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데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20681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6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6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