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77910B1 - Crane system for mounting glass window frame - Google Patents

Crane system for mounting glass window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910B1
KR101977910B1 KR1020180108484A KR20180108484A KR101977910B1 KR 101977910 B1 KR101977910 B1 KR 101977910B1 KR 1020180108484 A KR1020180108484 A KR 1020180108484A KR 20180108484 A KR20180108484 A KR 20180108484A KR 101977910 B1 KR101977910 B1 KR 101977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oom
roller
frame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4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영근
이해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산기
주식회사 한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산기, 주식회사 한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산기
Priority to KR1020180108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91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91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4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the effective length of which is variable in operation, e.g. longitudinally displaceable, exten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 내부에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인출 및 인입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붐대와, 상기 붐대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유리 창틀의 상부에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상부 연결유닛과,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붐대에 설치되어 유리 창틀의 하부에 제3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하부 연결유닛으로 구성되어,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의 내부에 크레인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어 유리 창틀을 건물의 개구부로 이동하기 쉽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shield, comprising a main body disposed on a roof of a building or a building, a boom bar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drawn out and drawn in and adjusted in length, A crane system is installed on the roof of the building or inside the building. The crane system is installed on the roof of the building or inside the building. It is easy to move the glass window frame to the opening of the building and the construction time can be shortened.

Description

유리 창틀 설치용 크레인 시스템{CRANE SYSTEM FOR MOUNTING GLASS WINDOW FRAM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system for installing a window frame,

본 발명은 유리 창틀을 건물의 개구부로 이동시키는 유리 창틀 설치용 크레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system for installing a window sill for moving a window sill to an opening of a building.

건물의 유리 창틀은 건물의 하부에서 크레인 장치를 이용하여 유리 창틀을 들어 올려서 건물의 개구부로 이동시키고 크레인 장치가 유리 창틀을 지지한 상태에서 건물의 개구부에 유리 창틀을 고정한다. The glass window frame of the building uses a crane device at the bottom of the building to lift the glass window frame to the opening of the building and fix the glass window frame to the opening of the building with the crane device supporting the glass window frame.

종래의 크레인은 등록특허공보 10-1858537(2018년 05월 10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인출 가능한 붐과, 붐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붐이 고정되는 차량으로 구성되어, 와이어에 유리 창틀을 고정한 후 붐을 인출하여 유리 창틀을 건물의 개구부까지 들어올린 후 유리 창틀을 개구부에 고정한다. A conventional crane is constituted by a drawable boom, a wire connected to the boom, and a vehicle to which the boom is fixed,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10-1858537 (May 10, 2018) After the boom is pulled out, the glass window frame is raised to the opening of the building and the glass window frame is fixed to the opening.

하지만, 이와 같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유리 창틀을 설치할 경우 고층일 경우 설치가 어렵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when a glass window frame is installed using such a crane, it is difficult to install it in a high-rise building, a long operation time is required, and installation cost increases.

등록특허공보 10-1858537(2018년 05월 10일)Patent Registration No. 10-1858537 (May 10, 201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인 시스템을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의 내부에 설치하여 유리 창틀을 건물의 개구부에 고정하기 쉽고 편리한 유리 창틀 설치용 크레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ane system for installing a glass window frame in which a crane system is installed on the roof of a building or inside of a building to easily and conveniently fix the glass window frame to the opening of the build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레인 장치가 소형이고, 이동 가능하여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어 고층 건물에도 유리 창틀을 설치할 수 있는 유리 창틀 설치용 크레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ne system for installing a window frame on a roof of a building, which can be moved to a roof of a building or inside of a build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리 창틀 설치용 크레인 시스템은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 내부에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인출 및 인입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붐대와, 상기 붐대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유리 창틀의 상부에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상부 연결유닛과,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붐대에 설치되어 유리 창틀의 하부에 제3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하부 연결유닛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rane system for installing a window sill includes a main body disposed on a roof of a building or inside a building, a boom bar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drawn out and drawn and adjusted in length, An upper connecting unit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indow frame by a first wire and a second wire, and a lower connecting unit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glass window frame by a third wire, the lower connecting unit being connected to the main body.

상기 본체는 베이스 프레임에 제1회전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는 이동바퀴가 장착되며,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컨트롤 박스에 의해 조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is rotatably mounted on the base frame by the first rotation part, and the mobile wheel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base frame, and is controlled by a control box connected wirelessly or by wire.

상기 상부 연결유닛은 붐대의 끝부분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와이어 지지대와, 와이어 지지대의 양쪽 끝부분에 각각 장착되는 제1롤러 및 제2롤러에 감겨지고 유리 창틀의 상면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를 포함한다.The upper connection unit includes a wire support which is horizontally rotatably mounted on the end of the boom frame, a first roller which is mounted on both ends of the wire support and a second roller which is wound on the second roller, 1 wire and a second wire.

상기 와이어 지지대는 그 중앙부분이 제2회전부에 의해 상기 붐대의 끝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회전부는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와이어 지지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er of the wire suppor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boom frame by a second rotation part, and the second rotation part rotates the wire support according to a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part.

상기 하부 연결유닛은 상기 본체에 힌지 연결되는 붐대에 배치되는 제3롤러와, 상기 제3롤러에 감겨지는 제3와이어와, 상기 제3와이어의 끝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유리 창틀의 하부에 장착되는 제2연결부에 연결되고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연결을 끊을 수 있는 제2후크부를 포함한다. The lower connecting unit includes a third roller disposed on a boom rope hinged to the main body, a third wire wound on the third roller, and a third wire wound around the third roller and mounted on an end portion of the third wire, And a second hook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capable of breaking the connection in accordance with an electrical signal.

상기 제3롤러와 붐대 사이에는 이동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유리 창틀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3롤러의 위치를 조절한다. A moving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third roller and the boom fram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third roller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indow frame.

본 발명의 유리 창클 설치용 크레인 시스템은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의 내부에 크레인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어 유리 창틀을 건물의 개구부로 이동하기 쉽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The crane system for installing the glass windowpa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stall the crane system on the roof of the building or inside the building, so that the glass window frame can be easily moved to the opening of the building and the construction time can be shortened.

또한, 크레인 시스템이 건물의 옥상이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어 고층 건물의 개구부에도 유리 창틀을 설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ane system can be installed on the roof or inside of the building, and a window pane can be installed in the opening of the high-rise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시스템에 유리 창틀이 연결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시스템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시스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의 구성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crane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window sill connected to a cra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op view of a crane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cra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시스템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시스템에 유리 창틀이 연결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시스템의 상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시스템의 작동 상태도이다. FIG. 1 is a side view of a cra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window sill connected to a cra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of a cra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창틀 설치용 크레인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의 내부에 배치되는 본체(10)와, 본체(10)에 연결되고 인출 및 인입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붐대(20)와, 붐대(20)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유리 창틀(100)의 상부에 제1와이어(32) 및 제2와이어(34)에 의해 연결되는 상부 연결유닛(30)과, 본체(10)에 연결되는 붐대(20)에 설치되어 유리 창틀(100)의 하부에 제3와이어(42)에 의해 연결되는 하부 연결유닛(40)을 포함한다. 1 to 4, a crane apparatus for installing a window s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disposed on a roof of a building or inside a building, a main body 1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An upper connecting unit 30 provided at an end of the boom frame 20 and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lass window frame 100 by a first wire 32 and a second wire 34, And a lower connection unit 40 installed on a boom table 2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and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lass window frame 100 by a third wire 42.

본체(10)는 내부에 크레인 시스템의 제어 및 구동에 필요한 각종 부품들이 내장되고, 그 하부에는 베이스 프레임(12)이 배치되고 베이스 프레임(12)과 본체 (10) 사이는 크레인 본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부(16)가 형성된다. The main body 10 has various components necessary for controlling and driving the crane system therein and a base frame 12 is disposed under the main body 10 and a crane body is rotatably disposed between the base frame 12 and the main body 10. [ The rotation part 16 is formed.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2)에는 크레인 시스템의 이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이동바퀴(16)가 장착된다. The base frame 12 is equipped with a moving wheel 16 so as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crane system.

이와 같은 본체(10)는 건물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져야 되므로 조종자의 탑승이 불가능한 구조이고, 조종자는 본체(10)의 외부에서 무선 또는 유선 컨트롤 박스를 이용하여 크레인 시스템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crane system using a wireless or wired control box outside the main body 10, because the controller 10 has a size capable of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회전부(14) 및 이동바퀴(16)는 구동부가 구비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The rotation unit 14 and the movement wheel 16 are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and can be automatically driv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그리고, 본체(10)는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본체(10)에 연결되는 붐대(20) 및 붐대(20)에 매달리는 유리 창틀(100)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건물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구(18)가 구비되거나, 별도의 지지부가 구비되어 붐대(20) 및 유리 창틀(100)의 무게를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main body 10 is small in size, the boom frame 2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and the fixture 18 fixed inside the building so as to withstand the weight of the glass sash 100 hanging from the boom frame 20, Or a separate supporting part may be provided to sufficiently bear the weight of the boom frame 20 and the glass window frame 100. [

붐대(20)는 다단으로 이루어지고, 일 예로,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붐대(22)와, 제1붐대(22)에서 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붐대(24)와, 제2붐대(24)에서 인출되고 상부 연결유닛(30)이 설치되는 제3붐대(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붐대(22)와 본체(10) 사이에는 붐대(20)를 상하방향으로 올리고 내릴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 실린더(28)가 장착된다. For example, the boom frame 20 includes a first boom frame 22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at least one second boom frame 24 drawn out from the first boom frame 22, And a third boom frame 26 drawn out from the second boom frame 24 and provided with an upper connection unit 30. A drive cylinder 28 is mounted between the first boom frame 22 and the main body 10 to drive the boom frame 20 up and down.

상부 연결유닛(30)은 제3붐대(26)의 끝부분에 제3분대(26)의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연결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와이어 지지대(36)와, 와이어 지지대(36)의 양쪽 끝부분에 장착되는 제1롤러 및 제2롤러에 각각 감겨지고 유리 창틀(100)의 상면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32) 및 제2와이어(34)를 포함한다. The upper connection unit 30 includes a wire support 36 connected to the end of the third boom 26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component 26 and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first wire 32 and a second wire 34 which are respectively wound on first and second rollers mounted on both ends a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lass window frame 100.

와이어 지지대(36)와 제3붐대(26) 사이에는 와이어 지지대(36)를 수평방향으로 화살표 A와 같이, 회전시키는 회전부(38)가 설치되어 와이어 지지대(36)가 회전부(36)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유리 창틀(100)의 설치 위치를 조정한다. Between the wire support 36 and the third boom 26 is provided a rotation part 38 for rotating the wire support 3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indicated by arrow A so that the wire support 36 is rotated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glass window frame 100 is adjusted.

와이어 지지대(36)는 그 중앙부분이 회전부(3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양쪽 끝부분에는 각각 제1롤러 및 제2롤러가 장착되고, 제1와이어(32)는 제1롤러에 감겨지고, 제2와이어(34)는 제2롤러에 감겨지며, 유리 창틀(100)의 상면에 양쪽 가장자리에는 제1와이어(32) 및 제2와이어(34)가 연결되는 제1연결부(102)가 고정되고, 제1와이어(32)와 2와이어(34)의 끝부분에는 제1연결부(10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후크부(62)가 장착된다. The wire support 36 has its central portion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tion portion 38, and has a first roller and a second roller mounted on both ends thereof, and the first wire 32 is wound on the first roller The first wire 32 and the second wire 34 ar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lass window frame 100 at both edges thereof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wires 34 and 3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first hook portion 62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02 is mounted at an end portion of the first wire 32 and the second wire 34. [

이와 같이, 상부 연결유닛(30)은 와이어 지지대(36)가 회전 구동될 수 있어 유리 창틀(100)이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설치 위치에 유리 창틀(100)을 정렬하기 쉽고 편리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connection unit 30 can be rotated and driven so that the glass window frame 100 is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it is easy and convenient to align the glass window frame 100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제1와이어(32) 및 제2와이어(34)가 감겨지는 와이어 드럼은 본체에 설치될 수 있고, 제3붐대(26)의 끝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The wire drum around which the first wire 32 and the second wire 34 are wound can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can b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third boom frame 26.

하부 연결유닛(40)은 제1붐대(22)에 설치되는 제3롤러(44)와, 제3롤러(44)에 감겨지는 제3와이어(42)와, 제3와이어(42)의 끝부분에 장착되고 유리 창틀(100)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2연결부(104)에 연결되고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연결을 끊을 수 있는 제2후크부(46)을 포함한다. The lower connecting unit 40 includes a third roller 44 mounted on the first boom frame 22, a third wire 42 wound on the third roller 44, And a second hook portion 46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04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lass window frame 100 and capable of breaking the connection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제3와이어(42)가 감기는 와이어 드럼은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고 제1붐대(22)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wire drum to which the third wire 42 is wound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or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boom frame 22. [

하부 연결유닛(40)에는 제3롤러(44)의 위치를 유리 창틀(100)의 높이에 맞게 변경할 수 있는 이동유닛을 구비된다. 즉, 유리 창틀(100)은 그 상부가 상부 연결유닛(30)에 연결되고, 그 하부가 하부 연결유닛(40)에 연결되어 수평한 상태로 올려진다. 이때, 유리 창틀(100)의 높이에 맞게 제3롤러(44)가 이동되어 제3와이어(42)가 수직방향으로 인출되어 유리 창틀(100)의 하부에 연결되도록 한다. The lower connecting unit 40 is provided with a moving unit that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third roller 44 to match the height of the window sill 100.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glass window frame 100 is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unit 30,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ng unit 40 and is raised in a horizontal state. At this time, the third roller (44)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glass window frame (100) so that the third wire (42) is drawn ou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glass window frame (100).

이동유닛(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붐대(22)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부(62)와, 슬롯부(6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3롤러(44)가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64)와, 가이드 부재(64)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5, the mobile unit 60 includes a slot portion 62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om frame 22, a third roller 44 slidably supported on the slot portion 62, And a driving unit (not shown) for linearly reciprocating the guide member 64. The driving unit

여기에서, 구동부는 랙과 피니언이 구비된 구동모터, 구동 실린더, 타이밍 벨트 형태 등 가이드 부재를 직선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동부도 적용될 수 있다. Here, the drive unit may be any drive unit that can linearly reciprocate the guide member such as a drive motor, a drive cylinder, a timing belt, and the like provided with a rack and a pinion.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창틀 설치용 크레인 시스템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crane system for installing a window s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constructed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본체(10)를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 내부에 고정한다. 여기에서, 본체(10)는 이동바퀴(16)에 의해 이동되고 높이 및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일반 건물의 내부로 이동이 가능하다. 본체(10)는 유리 창틀(100)을 설치하고자 하는 층의 바로 위층에 배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First, the main body 10 is fixed on the roof of the building or inside the building. Here, the main body 10 is moved by the moving wheel 16 and can be moved to the inside of the general building because of its small height and size.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10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layer on which the glass sash 100 is to be installed.

그리고, 본체(10)를 건물 내부에 고정하여 붐대(20)의 무게 및 유리 창틀(100)의 무게에 의해 본체(1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The main body 10 is fixed inside the building to prevent the main body 10 from tilting due to the weight of the boom rope 20 and the weight of the glass window frame 100.

그리고 붐대(20)를 인출함과 아울러 제1와이어(32), 제2와이어(34) 및 제3와이어(42)를 인출하여 제1와이어(32) 및 제2와이어(34)는 유리 창틀(100)의 상부에 연결하고, 제3와이어(42)는 유리 창틀(100)의 하부에 연결한다. 이때, 이동유닛(60)에 의해 제3롤러(44)가 직선 이동되어 유리 창틀(100)의 높이에 맞게 제3와이어(42)를 이동시킨다. The first wire 32 and the second wire 34 are drawn out from the glass window frame 20 by pulling out the first wire 32, the second wire 34 and the third wire 42, 100, and the third wire 42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lass window frame 100. At this time, the third roller (44) is linearly moved by the moving unit (60) to move the third wire (42)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glass window frame (100).

그런 후 제1와이어(32), 제2와이어(34) 및 제3와이어(42)를 감으면 유리 창틀(100)이 수평한 상태로 상승된다. 이와 같이, 유리 창틀(100)을 들어올릴 때 수평한 상태로 들어올리기 때문에 외부의 바람 등에 의해 유리 창틀(10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다 안정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When the first wire 32, the second wire 34, and the third wire 42 are wound, the glass window frame 100 is raised in a horizontal state. In this way, since the glass window frame 100 is lifted in a horizontal state when it is lifted, the glass window frame 1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haken by an external wind or the like, and can be raised more stably.

유리 창틀(100)이 들어 올려지면, 유리 창틀(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한 상태로 위치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3와이어(42)가 인출되면 유리 창틀(100)이 회전되면서 수직으로 세워진다. When the glass window frame 100 is lifted, the glass window frame 100 is positioned in a horizontal state as shown in FIG. 2. In this state, when the third wire 42 is pulled out, And is erected vertically.

그리고 붐대(20)가 회전되면서 유리 창틀(100)이 건물의 개구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부 연결유닛(30)의 와이어 지지대(36)가 수평방향으로 회전 운동되면서 유리 창틀(100)의 위치가 건물의 개구부에 일치되도록 정렬한다. When the boom frame 20 is rotated and the glass window frame 100 is positioned at the opening of the building and the wire support frame 36 of the upper connection unit 30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유리 창틀(100)이 건물의 개구부에 위치되면 제3와이어(42)의 끝부분에 장착된 제2후크부(46)가 자동으로 연결이 끊어지면서 유리 창틀(100)의 상부만 제1와이어(32) 및 제2와이어(34)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되고 작업자가 건물의 개구부에 유리 창틀(100)을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When the glass window frame 100 is positioned at the opening of the building, the second hook portion 46 mounted on the end of the third wire 42 is automatically disconnected and only the upper portion of the glass window frame 100 is disconnected from the first wire 32 and the second wire 34, and the operator performs an operation of fixing the glass window frame 100 to the opening of the buildin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 본체 20: 붐대
22: 제1붐대 24: 제2붐대
26: 제2붐대 30: 상부 연결유닛
32: 제1와이어 34: 제2와이어
36: 와이어 지지대 40: 하부 연결유닛
42: 제3와이어 44: 제3롤러
60: 이동유닛 100: 유리 창틀
10: main body 20: boom
22: first boom zone 24: second boom zone
26: second boom bar 30: upper connecting unit
32: first wire 34: second wire
36: wire support 40: lower connection unit
42: third wire 44: third roller
60: Moving unit 100: Glass window frame

Claims (7)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 내부에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인출 및 인입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붐대;
상기 붐대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유리 창틀의 상부에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상부 연결유닛;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붐대에 설치되어 유리 창틀의 하부에 제3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하부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연결유닛은 상기 본체에 힌지 연결되는 붐대에 배치되는 제3롤러와, 상기 제3롤러에 감겨지는 제3와이어와, 상기 제3와이어의 끝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유리 창틀의 하부에 장착되는 제2연결부에 연결되고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연결을 끊을 수 있는 제2후크부와, 상기 제3롤러와 붐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 창틀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3롤러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제3롤러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붐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부와, 슬롯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3롤러가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유리 창틀 설치용 크레인 시스템.
A body disposed on the roof of the building or inside the building;
A boom bar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drawn out and drawn in and adjusted in length;
An upper connection unit installed at an end of the boom frame and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lass window frame by a first wire and a second wire; And
And a lower connection unit installed on a boom bar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glass window frame by a third wire,
The lower connecting unit includes a third roller disposed on a boom rope hinged to the main body, a third wire wound on the third roller, and a third wire wound around the third roller and mounted on an end portion of the third wire, A second hook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capable of breaking the connection in accordance with an electrical signal, and a third hook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third roller and the boom fram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third roller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glass window frame. A moving unit for moving the rollers,
Wherein the moving unit comprises a slot for formi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m frame, a guide member for slidably moving the slot section, and a drive section for linearly moving the guide member,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베이스 프레임에 제1회전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는 이동바퀴가 장착되며,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컨트롤 박스에 의해 조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창틀 설치용 크레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is rotatably mounted on a base frame by a first rotation part, and a mobile wheel is mounted on a lower part of the base frame, and the main body is controlled by a control box connected wirelessly or by w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유닛은 붐대의 끝부분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와이어 지지대와, 와이어 지지대의 양쪽 끝부분에 각각 장착되는 제1롤러 및 제2롤러에 감겨지고 유리 창틀의 상면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를 포함하는 유리 창틀 설치용 크레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connection unit includes a wire support which is horizontally rotatably mounted on the end of the boom frame, a first roller which is mounted on both ends of the wire support and a second roller which is wound on the second roller, 1 < / RTI > wire and a second wi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지지대는 그 중앙부분이 제2회전부에 의해 상기 붐대의 끝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회전부는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와이어 지지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창틀 설치용 크레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enter of the wire suppor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boom frame by a second rotation part and the second rotation part rotates the wire support in accordance with a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part.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08484A 2018-09-11 2018-09-11 Crane system for mounting glass window frame Active KR1019779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484A KR101977910B1 (en) 2018-09-11 2018-09-11 Crane system for mounting glass window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484A KR101977910B1 (en) 2018-09-11 2018-09-11 Crane system for mounting glass window fr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910B1 true KR101977910B1 (en) 2019-05-21

Family

ID=66676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484A Active KR101977910B1 (en) 2018-09-11 2018-09-11 Crane system for mounting glass window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91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627B1 (en) * 2019-06-28 2019-12-27 한관우 Mini crane for building curtain wall
KR102107338B1 (en) * 2019-08-14 2020-05-12 주식회사 제이에스이엔지 Dispenser Type Alternative Maritime Power System
KR20220008197A (en) 2020-07-13 2022-01-20 박길수 Crane of Floor Installation Type
CN115009466A (en) * 2022-07-08 2022-09-06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Glass mount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7892A (en) * 1990-01-31 1991-10-08 Tokyu Constr Co Ltd Lift crane
JPH08108991A (en) * 1994-10-07 1996-04-30 Aichi Corp Crane equipment
JP3139525U (en) * 2007-11-29 2008-02-21 プラフォーム株式会社 Equipment for loading materials for emergency restoration of embankments and revetments
KR101858537B1 (en) 2016-04-15 2018-05-1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eventing Apparatus for Overturn of Mobile Cra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7892A (en) * 1990-01-31 1991-10-08 Tokyu Constr Co Ltd Lift crane
JPH08108991A (en) * 1994-10-07 1996-04-30 Aichi Corp Crane equipment
JP3139525U (en) * 2007-11-29 2008-02-21 プラフォーム株式会社 Equipment for loading materials for emergency restoration of embankments and revetments
KR101858537B1 (en) 2016-04-15 2018-05-1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eventing Apparatus for Overturn of Mobile Cra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627B1 (en) * 2019-06-28 2019-12-27 한관우 Mini crane for building curtain wall
KR102107338B1 (en) * 2019-08-14 2020-05-12 주식회사 제이에스이엔지 Dispenser Type Alternative Maritime Power System
KR20220008197A (en) 2020-07-13 2022-01-20 박길수 Crane of Floor Installation Type
CN115009466A (en) * 2022-07-08 2022-09-06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Glass moun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910B1 (en) Crane system for mounting glass window frame
KR20090041382A (en) Retractable prop
JP2015501769A (en) Scissor lift table
KR100859269B1 (en) Binder Type Curtain Device
JP6449423B1 (en) Work gondola
KR20090040201A (en) Portable light bridge with acoustic reflector
KR101704272B1 (en) Electric door curtain for vehicle
KR101295986B1 (en) Moving type blackboard
CN110259094B (en) Integrated operating platform for curtain wall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03182954A (en) Cable guiding device
KR101872824B1 (en) Flag pole of ascend and descend type
JP7063698B2 (en) Building material lifting device and its lifting method
JP2002115399A (en) Curing device for external wall of building
JP2000103589A (en) Gate type weight lifting device
KR101500606B1 (en) Roving hoist apparatus for theater
JPH1129295A (en) Elevating device and propped-up type lift
JPH0544343A (en) Attaching method for outside wall member for building skeleton
CN217296995U (en) Cigarette rack lifting device
JP4536560B2 (en) Pole light
CN218579475U (e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hangs machine of lifting
EP0480893A1 (en) Means for extending the arm of a swing hoist for lifting loads
KR102590849B1 (en) Gondola apparatus of double rail structure
JPH06210217A (en) Wall surface moving device
KR101977909B1 (en) Gondola for working at indoor
JP2002129742A (en) Gondola device ascending/descending along wall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