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791B1 - Construction method of pile with Soil Cement mixing Foundation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of pile with Soil Cement mixing Found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7791B1 KR101977791B1 KR1020190025963A KR20190025963A KR101977791B1 KR 101977791 B1 KR101977791 B1 KR 101977791B1 KR 1020190025963 A KR1020190025963 A KR 1020190025963A KR 20190025963 A KR20190025963 A KR 20190025963A KR 101977791 B1 KR101977791 B1 KR 1019777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e
- foundation
- ground improvement
- ground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924 continuous prod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411 base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437 continuous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72 high-strength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EEYBQQBJWHFJM-OUBTZVSYSA-N iron-52 Chemical compound [57Fe] XEEYBQQBJWHFJM-OUBTZVS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8—Prestressed concrete p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반 개량에서부터 파일 시공이 연속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지반 개량을 통해 파일의 주면마찰력이 증대되며, 파일의 두부 보강이 용이한, 지반 개량 파일 연속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construction method, from the ground improvement to the pile construction is a continuous process, through the ground improvement to increase the principal frictional force of the pile, easy to reinforce the head of the pile, ground improvement pile continuous method will be.
종래, 깊은 기초로서 사용되는 구조물용 파일기초는 PHC 파일(프리텐션 방식의 원심력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이 주로 사용되며, PHC 파일 자체의 내하력과 지반의 지지력을 비교하여 작은 값의 지지력으로 설계 및 시공되어 지고 있다.Conventionally, a pile foundation for a structure used as a deep foundation is mainly used a PHC pile (pretension centrifugal high strength concrete pile), and is designed and constructed with a small bearing capacity by comparing the load capacity of the PHC pile itself with the bearing capacity of the ground. ought.
이 중 지반의 지지력은 PHC 파일의 주면마찰력과 선단지지력의 합으로 적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파일들의 경우 직경을 조절하여 필요 지지력의 그 적용여부가 결정될 수밖에 없었다.Of these, the bearing capacity of the ground is applied as the sum of the principal friction and the tip bearing capacity of the PHC pile, and in the case of these piles, the application of the necessary bearing force was determined by adjusting the diameter.
즉, PHC 파일 자체의 내하력은 큰 하중에도 적용함에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연약지반의 지층에는 지반의 지지력이 작게 검토되어 필요한 직경의 PHC 파일보다 선단지지력과 주면마찰력이 더 큰 직경의 PHC 파일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ther words, the load capacity of the PHC pile itself is not a problem when applied to large loads.However, the bearing capacity of the ground is considered to be small in the soft ground, so that the PHC pile with a larger tip support and principal friction than the required PHC pile can be us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re is no choice.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의 일예로, "횡방향구속이 가능한 PHC 파일 및 그 시공방법"(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588619호, 특허문헌 1)에는 파일의 외주면을 마디 형상으로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돌출된 마디에서의 마찰력을 확보하는 사례가 공개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a technique for solving this problem, "PHC file capable of transverse restrain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588619, Patent Document 1) partially protrude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le in the shape of a node The case of securing the frictional force in the protruding node by forming it is disclosed.
그러나, PHC 파일을 마디형으로 형성하는 것은 그 제조 방법이 종래에 비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파일을 지반에 근입시킴에 있어서도 저항을 많이 받게 되어 타격식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forming the PHC pile in the shape of a node ha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method is not only complicat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but also receives a lot of resistance in infiltrating the pile into the ground, so that the blow type is practically impossible.
이러한 마디형 파일의 시공의 경우 결국 매입 공법을 사용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of the knot-shaped pile, the end-use method is used.
매입 공법은 오거를 이용하여 천공홀을 파일 직경의 1.1배 정도 형성하고, 파일을 설치하면서 파일과 천공홀 외주면 사이를 벌크 시멘트로 단순 충진하게 된다.In the embedding method, the auger is used to form a punched hole about 1.1 times the diameter of the pile, and the pile is simply filled with bulk cement between the pil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lled hole.
이러한 벌크 시멘트와 일반 파일 사이에서는 충분한 주면마찰력을 갖지 못하게 되는바, 매입 공법에서는 최종적으로 최종 경타를 통해 파일 선단부에서의 선단지지력을 확보해줘야만 하게 된다.The bulk cement and the general pile do not have sufficient principal friction, so in the purchase method, the final support should be secured at the tip end of the pile through the final strike.
국내의 경우 지반 구성상 깊지 않은 곳에 암반층이 위치하기 때문에 이러한 매입 공법이나 타격 공법을 통해 선단지지력 확보가 어렵지 않다.In Korea, it is not difficult to secure tip support through such a purchase method or a blow method because the rock layer is located at a deeper location than the ground composition.
그러나, 연약지반의 깊이가 매우 깊고 근입지반인 풍화암이나 연암등 단단한 지반의 길이가 아주 깊은 지반의 경우 파일의 선단지지력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very deep ground of deep ground and a very deep ground such as weathered rock or soft rock, which is a near groun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tip bearing capacity of the pile.
특허문헌 1과 같이 마디형 파일의 경우 파일 자체만으로 봤을 때 주면마찰력 확보가 용이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타격공법은 시공 시 파일의 파손 등의 이유로 시공이 불가능하며, 천공 후 매입 시공방식에서는 파일 외주면에 충진되는 벌크시멘트가 충분한 주면마찰력을 제공해주지 못하게 된다.As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in the case of a node-type pile, it is easy to secure friction when given only by the pile itself.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blow method is impossible due to damage of the pile during construction. Bulk cement fill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e will not provide sufficient principal surface friction.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와 관련된 기술로, "기초파일 시공 방법"(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4662호, 특허문헌 2)이 제시되어 있다.As a technique related to solving such a problem, a "basic pile construction metho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54662, Patent Document 2) is proposed.
특허문헌 2에서는 지반 아래 형성된 일정깊이의 천공홀 내에 주입재와 토양을 혼합 교반시켜 지반개량층을 형성한 후, 지반개량층에 파일을 근입시켜 시공하게 된다.In Patent Literature 2, after mixing and stirring the injection material and the soil in a drilled hol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ormed under the ground,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is formed, and the pile is incorporated into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주입재와 원지반이 혼합 교반되어 지반 개량이 이루어지게 되면 원래의 연약 지반과 파일 표면 사이의 약한 주면 마찰력이 강화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When the ground material is improved by mixing and stirring the injection material and the ground, the weak main surfac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original soft ground and the pile surface is strengthened.
그런데, 천공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케이싱(강관)을 사용하여 케이싱 인발 후 잔여 토사 및 슬러지와 주입재를 교반하는 방법으로 시공순서는 천공, 굴토, 주입, 교반의 과정으로 복잡하며, 파일의 근입은 지반개량층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의 페이스트 상태에서 관입되기 때문에 관입 후에 정위치를 시켜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form a perforation hole, a casing (steel pipe) is used to stir the remaining soil, sludge and injection material after the casing is drawn. The construction procedure is complicated by the process of perforation, gulting, injection, and agitation. Since the improved layer is infiltrated in the paste state before it is completely cu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rrect position is to be made after the infiltration.
특허문헌 2에서는 파일의 단부를 지반개량층 하단으로 근입시킴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소한 것으로 보이나, 전술한 바와 같이 암반층의 깊이가 너무 깊어 파일을 암반층에 도달하지 않게 하면서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 이러한 방법이 적용되기 힘들다.In Patent Literature 2, this problem seems to be solved by incorporating the end of the pile into the bottom of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However, as described above, such a method is applied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pile does not reach the rock layer because the depth of the rock layer is too deep. Hard.
또한, 특허문헌 2에서 천공홀 형성후 지반을 개량하는 과정에서 주입액의 주입 및 파일의 근입에 따라 지반개량층 즉, 원지반과 주입액의 혼합 교반물이 천공홀 부피보다 더 크기 때문에 천공홀 외부로 마치 산처럼 넘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바, 파일 시공 후 이 넘친 부분을 뒷정리 해줘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2, in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ground after the formation of the drilling hole,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that is, the mixed stirring material of the ground and the injection liquid is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drilling hole according to the injection of the injection liquid and the introduction of the pile. As the mountain overflows like a phenomenon occurs, it is necessary to clean up the overflow after construction of the file.
본 발명의 지반 개량 파일 연속 시공 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지반 개량 후 파일을 시공함으로써 파일 외주면의 주면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되, 페이스트 뒷처리의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기초 지지력이 더 향상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The ground improvement pile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constructing the pile after the ground improvement to increase the principal surface fri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le, inconvenient of post-paste processing To solve this problem, the basic support will be improved further.
보다 구체적으로, 지반개량층을 형성하기에 앞서 지반개량층보다 직경이 크면서 시공된 기초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지반을 선 굴착하여 지반 개량 공정 및 파일 삽입 공정에서 원지반과 주입액의 혼합 교반물이 선 굴착된 기초굴착부의 넓은 바닥면으로부터 높은 레벨까지 범람하게 유도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파일 외측에서 넓은 지반개량층이 기초를 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초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게 하고, 지반 개량 과정에서 발생하는 페이스트가 지면 위로 범람하여 뒷처리하는 수고를 덜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prior to forming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the ground mixture is excavated by pre-excavating the ground wit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oundation area, which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so that the mixing mixture of the base and the injection liquid in the ground improvement process and the pile insertion process By overflowing from the wide bottom surface of this pre-excavated foundation excavation to a high level, the foundation can be improved by supporting a large ground improvement layer on the outside of the pile naturally, and the paste generated in the ground improvement process It is intended to reduce the amount of post-flooding work.
뿐만 아니라, 파일의 근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시공함으로써 경화되지 않은 상태의 지반개량층에 매입된 파일이 정위치 상태를 갖게 함으로서 암반에 파일이 삽입되기 어려운 연야지반에서의 파일을 매입식으로 시공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by using a guide member to guide the access of the pile, the pile embedded in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in the unhardened state has a fixed position so that the pile can be embedded in the night ground where it is difficult to insert the pile into the rock. It is intended to enable construction.
더 나아가, 가이드부재의 하부에 탈착식으로 가이드철근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철근이 전술한 지반개량층의 범람 부위에 매입될 수 있게 함으로써 지반개량층 경화 후 가이드부재를 탈거하고 나면 가이드철근만이 남게 되어 그 자체로 파일 외측 영역에서 기초 콘크리트를 보강할 수 있게 하고, 두부 보강용 철근의 연결 시공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두부 보강까지도 원할히 진행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Furthermore, the guide bar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guide member, and the guide bar can be embedded in the above-described flooded part of the above ground improvement layer so that only the guide bar remains after removing the guide member after hardening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It is to be able to reinforce the foundation concrete in the area outside the pile by itself, and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construction of the reinforcing head reinforcement to facilitate the head reinforcement.
본 발명의 지반 개량 파일 연속 시공 방법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공될 기초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일정 깊이까지 지반을 굴착하여 기초굴착부(10)를 형성하는 기초면굴착단계와; 지반개량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굴착부(10)의 하부의 원지반을 교반하면서 주입액을 공급하여 원지반과 주입액이 혼합된 지반개량층(20)을 형성하되, 지반개량층(20)은 상기 기초굴착부(10)의 직경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개량단계와; 상기 지반개량층(20)이 경화되기 전에 지반개량층(20) 내부로 파일을 근입시켜 파일(40)의 근입에 따라 지반개량층(20)의 상부 표면이 상기 기초굴착부(10)의 바닥면과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중간 지점에 도달하게 하는 파일설치단계와; 상기 지반개량층(20)을 경화시킨 후 상기 파일의 상부의 기초굴착부(10)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50)를 시공하는 기초시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ground improvement pile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surface excavation step of forming a
또는, 시공될 기초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일정 깊이까지 지반을 굴착하여 기초굴착부(10)를 형성하는 기초면굴착단계와; 크레인 또는 굴삭기(A)에 연결되는 회전드라이버(110)와, 회전드라이버(110)에 연결되어 회전드라이버(11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며 내부로 주입액이 공급되는 교반봉(110)과, 교반봉(120)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날(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교반봉(120) 및 교반날(130)에는 주입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지반개량장치(100)를 준비한 후, 교반봉(120)의 회전과 주입액 배출을 동시에 진행하면서 상기 기초굴착부(10) 중앙을 하향 굴착 교반한 후 주입액 공급을 계속하면서 교반봉(120)을 상향 이동시켜 기초굴착부(10) 하부에 주입액과 원지반이 교반된 슬러리 형태의 지반개량층(20)을 형성하되, 상기 지반개량층(20)은 원지반의 부피보다 팽창하여 상기 기초굴착부(10) 바닥면보다 높게 범람한 1차범람층(21)이 형성되도록 하는 지반개량단계와; 중앙에 말뚝 가이드홀(31)이 형성된 가이드부재(30)를 준비한 후, 상기 기초굴착부(10)에 위치시키는 가이드부재설치단계와; 크레인(B)으로 파일(40)을 인양하여 준비한 다음 상기 지반개량층(20)이 경화되기 전에 가이드홀(31)에 파일(40) 하단을 끼운 다음 수직 하향 이동시켜 지반개량층(20) 내부로 파일을 근입시켜 파일(40)의 근입에 따라 1차범람층(21)보다 레벨이 높게 범람한 2차범람층(22)을 형성하는 파일설치단계와; 상기 지반개량층(20)을 경화시킨 후 상기 파일의 상부의 기초굴착부(10)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50)를 시공하는 기초시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r, the base surface excavation step of excavating the ground to a predetermined depth wit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foundation to be constructed to form the foundation excavation portion (10);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30)는 상기 기초굴착부(10)의 상부 지표면에 안착되되, 하부에 상기 기초굴착부(10)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하부끼움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저부에 철근끼움홈(34a)이 형성된 고무 끼움부재(34)가 상기 하부끼움부(32)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철근끼움홈(34a)에는 가이드철근(60)이 착탈식으로 체결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파일설치단계에서 가이드부재(30)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철근(60)이 상기 2차범람층(22)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기초시공단계 전에 가이드부재(30)를 가이드철근(60)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단계;가 더 진행되고, 기초시공단계에서 가이드철근(60)이 기초굴착부(10) 내부에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또, 상기 파일(40)은 내부에 중공부(40a)가 형성된 PHC 파일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단계와 기초시공단계 사이에, 상기 파일(50)의 중공부(40a) 내부에 철근지지부재(54)를 설치하고, 상기 철근지지부재(54)에 수직 방향의 주철근(51)을 설치하며, 연결철근((53)을 이용하여 상기 주철근(51)과 가이드철근(60)을 연결한 후, 상기 기초시공단계에서 철근지지부재(54)의 상측에도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파일(40)의 상측 내외부에서 두부 보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 상기 지반개량단계에서 지반개량층(20)의 직경은 시공될 파일(40) 외경의 1.2 ~ 2배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또한, 상기 기초면굴착단계에서 기초굴착부(10)의 용적은, 상기 지반개량층(20)이 경화되고 난 후의 기초굴착부(10) 내 2차범람층(22)의 부피와 상기 기초(50)의 부피를 합한 값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oundation surface excavation step, the volume of the
아울러, 상기 파일(40)은 상측에 하부보다 외경이 큰 상부확경부(41)가 형성되어 있거나, 하부에 상측보다 외경이 큰 하부확경부(42)가 형성되어 있거나, 중간에 다른 부분보다 외경이 큰 마디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지반개량단계에서 지반개량층(20)의 하부에 상부보다 직경이 큰 하부확경개량층(4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ground improvement step, the lower
본 발명에 의해, 지반 개량 후 파일을 시공함으로써 파일 외주면의 주면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되, 페이스트 뒷처리의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기초 지지력이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ain surface friction for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le by constructing the pile after the ground improvement, while reducing the discomfort of the post-paste treatment, the basic supporting force can be further improved.
보다 구체적으로, 지반개량층을 형성하기에 앞서 지반개량층보다 직경이 크면서 시공된 기초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지반을 선 굴착하여 지반 개량 공정 및 파일 삽입 공정에서 원지반과 주입액의 혼합 교반물이 선 굴착된 기초굴착부의 넓은 바닥면으로부터 높은 레벨까지 범람하게 유도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파일 외측에서 넓은 지반개량층이 기초를 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초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게 하고, 지반 개량 과정에서 발생하는 페이스트가 지면 위로 범람하여 뒷처리하는 수고를 덜 수 있게 된다.More specifically, prior to forming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the ground mixture is excavated by pre-excavating the ground wit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oundation area, which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so that the mixing mixture of the base and the injection liquid in the ground improvement process and the pile insertion process By overflowing from the wide bottom surface of this pre-excavated foundation excavation to a high level, the foundation can be improved by supporting a large ground improvement layer on the outside of the pile naturally, and the paste generated in the ground improvement process This will save you the trouble of flooding over the ground.
뿐만 아니라, 파일의 근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시공함으로써 경화되지 않은 상태의 지반개량층에 매입된 파일이 정위치 상태를 갖게 함으로서 암반에 파일이 삽입되기 어려운 연야지반에서의 파일을 매입식으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using a guide member to guide the access of the pile, the pile embedded in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in the unhardened state has a fixed position so that the pile can be embedded in the night ground where it is difficult to insert the pile into the rock. It is possible to construct.
더 나아가, 가이드부재의 하부에 탈착식으로 가이드철근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철근이 전술한 지반개량층의 범람 부위에 매입될 수 있게 함으로써 지반개량층 경화 후 가이드부재를 탈거하고 나면 가이드철근만이 남게 되어 그 자체로 파일 외측 영역에서 기초 콘크리트를 보강할 수 있게 하고, 두부 보강용 철근의 연결 시공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두부 보강까지도 원할히 진행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the guide bar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guide member, and the guide bar can be embedded in the above-described flooded part of the above ground improvement layer so that only the guide bar remains after removing the guide member after hardening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foundation concrete in the area outside the pile itself, and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construction of the reinforcing head reinforcement can be smoothly proceed to the head reinforcement.
도 1은 본 발명에서 기초면굴착단계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지반개량단계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가이드부재설치단계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파일설치단계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기초시공단계가 끝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다양한 파일의 시공 예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가이드부재의 일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가이드부재를 이용한 가이드철근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예에 의한 두부 보강 예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oundation surface excavation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ground improvement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uide member installation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le installation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basic construction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construction of various piles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guide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guide reinforcement using the guide member of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head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example of FIG. 8;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지반 개량 파일 연속 시공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ground continuous pil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1. 기초면굴착단계1. Foundation Excavation Step
시공될 기초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일정 깊이까지 지반을 굴착하여 기초굴착부(10)를 형성한다.The
도면에서는 굴삭기(A)를 이용한 굴착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굴착한다.In the drawings, an example of excavation using the excavator A is show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xcavation is performed using various excavation equipment.
기초굴착부(10)는 도 5, 6 등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초(50)가 상부에 시공되기 때문에 그 면적은 기초(50) 면적과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5, 6, etc., the
더불어, 그 깊이는 후술하겠지만 지반 개량에 의한 1차 범람, 파일 매입에 따른 2차 범람 수위를 감안하여 기초(50)의 시공이 끝난 상태에서 지표면(G.L)이 기초(50) 표면과 동일 레벨이 가능할 수 있게 기초(50)의 높이보다 더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lthough the dept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ground surface GL has the same level as the surface of the
즉, 기초굴착부(10)의 용적은, 상기 지반개량층(20)이 경화되고 난 후의 기초굴착부(10) 내 2차범람층(22)의 부피와 상기 기초(50)의 부피를 합한 값에 의해 결정한다.That is, the volume of the
2. 지반개량단계2. Ground Improvement Stage
지반개량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굴착부(10)의 하부의 원지반을 교반하면서 주입액을 공급하여 원지반과 주입액이 혼합된 지반개량층(20)을 형성하되, 지반개량층(20)은 상기 기초굴착부(10)의 직경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ile supplying the injection liquid while stirring the bas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레인 또는 굴삭기(A)에 연결되는 회전드라이버(110)와, 회전드라이버(110)에 연결되어 회전드라이버(11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며 내부로 주입액이 공급되는 교반봉(110)과, 교반봉(120)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날(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교반봉(120) 및 교반날(130)에는 주입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지반개량장치(100)를 준비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the
더불어, 교반봉(120)의 회전과 주입액 배출을 동시에 진행하면서 상기 기초굴착부(10) 중앙을 하향 굴착 교반한 후 주입액 공급을 계속하면서 교반봉(120)을 상향 이동시켜 기초굴착부(10) 하부에 주입액과 원지반이 교반된 슬러리 형태의 지반개량층(20)을 형성한다.In addition, while rotating the stirring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등록특허 제10-1904485에 제시된 것과 같은 고압 저압 동시 분사형 지반 개량 장치를 이용하여 교반봉이 하향 이동하면서 회전할 때 교반봉 외주면 및 교반날을 통해 주입액이 공급되어 원지반과 믹싱되고, 다시 교반봉이 회전하면서 상향 이동할 때 주입액이 공급되면서 원지반과 교반되도록 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As a more specific example, when the stirring rod is rotated while moving downwards by using a high pressure low pressure simultaneous injection type ground improvement device as shown in Patent No. 10-1904485, the injection liquid is supplied through the stirring ro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tirring blade to be mixed with the ground; When the stirring rod is moved upward while rotating again, the injection liquid may be supplied while being configured to be stirred with the base.
상기 특허와 같은 지반개량장치를 활용함에 있어서 상기 문헌에 나타나지 않은 형태로 굴착과 주입액 공급을 제어하면 하부에 확경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In utilizing the ground improvement device such as the patent, the excavation and the injection liquid supply control in the form not shown in the literature, it is possible to form a larger diameter portion in the lower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특허문헌에 제시된 지반개량장치를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하면서 고압의 주입액을 주입하여, 주입액과 굴착토가 교반된 채 충진된 굴착공을 형성하되, 상기 굴착공의 하부에는 고압의 주입액과 굴착토가 혼합 교반된 하부확경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확경부의 상부에는 저압의 주입액과 굴착토가 혼합된 코어부를 상기 하부확경부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by injecting a high-pressure injection liquid while excavating the ground by using the ground improvement device described in the patent document, to form a drilling hole filled with the injection liquid and the excavation soil, while the high pressur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excavation hole The injection liquid and the excavated soil may be mixed and stirred to form a lower diamet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diameter portion may form a core portion mixed with a low pressure injection liquid and the excavated soil to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diameter portion.
이때 하부확경부는 고압의 주입액을 계속 공급하면서 회전하는 교반봉의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여 굴착 벽면을 주입액이 절삭하면서 절삭된 토양이 주입액과 교반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wer diameter part may be repeatedly formed while cutting the excavation wall surface while cutting the excavation wall surface by repeatedly raising and lowering the rotating stirring rod while continuously supplying the high pressure injection liquid.
이상과 같이 주입액을 공급하면서 교반날을 상하 이동시키게 되면 원지반이 절삭되면서 주입액과 혼합되게 되는데, 이때 형성되는 지반개량층(20)은 원지반의 부피보다 팽창하게 된다.When the stirring blade is moved up and down while supplying the injection liquid as described above, the ground material is cut and mixed with the injection liquid, wherein the
이는 단단한 원지반이 분쇄되어 입자 간 거리가 증가하게 되고, 주입액이 추가로 공급됨에 따른 것으로 이처럼 부피가 팽창하게 되면 지반개량층(20)의 상부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기초굴착부(10) 바닥면보다 높게 범람한 1차범람층(21)이 형성된다.This is because the solid base is crushed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particles, and the injection liquid is additionally supplied. As the volume expands, the upper part of the
지반개량층(20)의 직경은 시공될 파일(40) 외경의 1.2 ~ 2배로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ameter of the
종래 문헌에서 설명했듯이 1.2배 미만일 경우 충분한 주면마찰력 발휘가 어렵게 되며, 2배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기초굴착부(10)의 폭이 과도하게 확대되어 후술하는 가이드철근(60) 등의 설치 면적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As described in the prior art, when it is less than 1.2 times, it is difficult to exhibit sufficient principal surface friction, and when it exceeds 2 times, the width of the
3. 가이드부재설치단계3. Guide member installation step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앙에 말뚝 가이드홀(31)이 형성된 가이드부재(30)를 준비한 후, 상기 기초굴착부(10)에 위치시킨다.As shown in FIG. 3, after the
만일 경타 등을 통해 파일(40) 하단을 암반층에 근입시킬 수 있다면 가이드부재(30)의 설치는 굳이 필요하지 않다.If the lower end of the
그러나,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깊이가 매우 깊어 실질적으로 파일(40) 하단을 암반에 고정시킬 수 없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게 함을 보다 주요한 목적으로 하는 바, 지반개량층(20)이 경화되기 전에 파일(40)의 중심을 잡아줄 필요가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main purpose of making it possible to apply when the depth of the soft ground is very deep so that the bottom of the
따라서, 가이드홀(31)은 파일(40)을 삽입할 때 정위치하여 가이드하고, 삽입 후 지반개량층(20)이 경화되기 전까지 파일(40)을 잡아주게 된다.Therefore, the
이를 위한 가이드부재(30)는 작은 말뚝을 통해 외주면이 지면에 박히거나 고하중의 추를 위에 위치시켜 그 위치를 고정시키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해당 지면에 고정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부재(30)는 가이드홀(31)이 형성되는 구조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나, 도 7 내지 9에 도시된 구성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도시된 구성은 가이드부재(30)는 기초(50)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어 저부가 상기 기초굴착부(10)의 상부 지표면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지되, 하부에 상기 기초굴착부(10)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하부끼움부(32)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취한다.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the
도면을 보면 가이드부재(30)의 바닥면 외곽에는 안착부(33)가 형성되어 지면에 안착됨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he drawings it can be seen that the
이때, 상기 하부끼움부(32)에는 저부에 철근끼움홈(34a)이 형성된 고무 끼움부재(3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lower
상기 끼움부재(34)의 내주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Unevenness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이 끼움부재(34)의 철근끼움홈(34a)에는 가이드철근(60)이 착탈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The rebar
이를 위해 철근끼움홈(34a)의 내경은 가이드철근(60) 외경보다 작게 이루어져 강제 끼움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inner diameter of the rebar
이처럼 가이드철근(60)이 설치되는 경우 하기의 파일설치단계에서 가이드부재(30)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철근(60)이 상기 2차범람층(22) 내부에 삽입되고, 기초 시공 전에 가이드부재(30)로부터 분리되어 기초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일체화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이렇게 되면 가이드철근(60)의 상부는 기초(50)와 일체화되고, 하부는 지반개량층(20),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2차범람층(22)에 매입된 상태가 되어 기초(50)의 구조적 안정성을 매우 간편하게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upper portion of the
4. 파일설치단계4. File installation step
상기 지반개량층(20)이 경화되기 전에 지반개량층(20) 내부로 파일을 근입시켜 파일(40)의 근입에 따라 지반개량층(20)의 상부 표면이 상기 기초굴착부(10)의 바닥면과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중간 지점에 도달하게 한다.Before the
도 4를 살펴보면, 크레인(B)으로 파일(40)을 인양하여 준비한 다음 상기 지반개량층(20)이 경화되기 전에 가이드홀(31)에 파일(40) 하단을 끼운 다음 수직 하향 이동시켜 지반개량층(20) 내부로 파일을 근입시켜 파일(40)의 근입에 따라 1차범람층(21)보다 레벨이 높게 범람한 2차범람층(22)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 after the pile (40) is lifted and prepared by the crane (B), and before the
여기서 2차범람층(22)은 기초굴착부(10)의 바닥면으로부터 파일 근입에 따라 상승한 부위를 말하는 것으로 지반개량단계에서 형성된 1차범람층(21)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the
즉, 2차범람층(22)은 원지반의 교반 및 주입액의 주입에 따라 기초굴착부(10)의 바닥면 위로 상승한 부분에 파일(40)이 지반개량층(20)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추가로 상승된 부분을 합한 것을 의미한다.That is, the
상기 파일(40)은 외주면이 일정한 직경을 이루는 것으로 할 수도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측에 하부보다 외경이 큰 상부확경부(41)가 형성되어 있거나, 하부에 상측보다 외경이 큰 하부확경부(42)가 형성되어 있거나, 중간에 다른 부분보다 외경이 큰 마디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이때, 파일(40)에 하부확경부(42)를 형성하는 방식 외에 지반개량층(20)의 하부가 확경된 형태가 되도록 하는 하부확경개량층(44)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forming the lower
이러한 사례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발명에 공개되어 있다.Such cases are disclosed in the applicant's pre-registered invention.
또, 하단에 선단확장판(43)이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다만 단면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가이드부재(30)의 가이드홀(31)은 확경된 부분에 준해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부에 가이드부재(30)에 접촉하는 부분은 확경된 형태로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However, when the cross section is not constant, the
5. 기초시공단계5. Basic construction stage
상기 지반개량층(20)을 경화시킨 후 상기 파일의 상부의 기초굴착부(10)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50)를 시공한다.After the
이때, 전술한 것처럼 도 7과 같은 가이드부재(3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초시공단계 전에 가이드부재(30)를 가이드철근(60)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단계;가 더 진행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30)를 바깥쪽으로 당기게 되면 가이드철근(60)은 굳어진 2차범람층(22)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게 되므로 고무질로 이루어진 끼움부재(34)의 철근끼움홈(34a)으로부터 가이드철근(60) 상부가 간편하게 분리된다.Specifically, when the
더불어, 기초 시공은 2차범람층(22)이 형성되고 남은 기초굴착부(10)의 잔여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 거푸집을 이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oundation construction is made by placing and curing concrete in the remaining space of the
이 경우의 거푸집은 전술한 기초굴착부(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formwork in this case may be installed in the above-described
잔여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가이드철근(60)은 기초 콘크리트에 매립되게 된다.When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remaining space, the
도 9에는 파일(40)은 내부에 중공부(40a)가 형성된 PHC 파일로 구성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9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이 경우 상기 분리단계와 기초시공단계 사이에, 상기 파일(50)의 중공부(40a) 내부에 철근지지부재(54)를 설치하고, 상기 철근지지부재(54)에 수직 방향의 주철근(51)을 설치하며, 연결철근((53)을 이용하여 상기 주철근(51)과 가이드철근(60)을 연결한 후, 상기 기초시공단계에서 철근지지부재(54)의 상측에도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파일(40)의 상측 내외부에서 두부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between the separation step and the basic construction step, the reinforcing
이 경우 가이드철근(60)이 이미 지반개량층(20)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나머지 철근의 연결이 매우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주철근(51) 설치시 철근지지부재(54)에 도면과 달리 홀타공을 하지 않아도 쉽게 시공할 수 있게 되므로 두부 보강 공사가 매우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특히, 가이드철근(60)이 나머지 철근들과 연결된 상태를 이루고, 가이드철근(60) 및 주철근(51)을 감싸는 나선철근(53)까지 설치할 경우 기초(50) 면적보다 파일(40) 면적이 작게 이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견고하게 기초(50)를 지지하고, 두부에서 전단력 및 휨모멘트에 대한 저항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면, 지반개량층을 형성하기에 앞서 지반개량층보다 직경이 크면서 시공된 기초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지반을 선 굴착하여 지반 개량 공정 및 파일 삽입 공정에서 원지반과 주입액의 혼합 교반물이 선 굴착된 기초굴착부의 넓은 바닥면으로부터 높은 레벨까지 범람하게 유도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파일 외측에서 넓은 지반개량층이 기초를 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초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게 하고, 지반 개량 과정에서 발생하는 페이스트가 지면 위로 범람하여 뒷처리하는 수고를 덜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prior to the formation of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the ground and the injection liquid in the ground improvement process and pile insertion process by pre-excavating the ground wit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oundation area which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By mixing the mixed agitation of the foundation to overflow from the wide bottom surface of the pre-excavated foundation excavation to a high level, the foundation support capacity can be improved by naturally allowing the large ground improvement layer to support the found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pile, Paste from the surface overflows above the ground, saving the need for post-treatment.
뿐만 아니라, 파일의 근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시공함으로써 경화되지 않은 상태의 지반개량층에 매입된 파일이 정위치 상태를 갖게 함으로서 암반에 파일이 삽입되기 어려운 연야지반에서의 파일을 매입식으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using a guide member to guide the access of the pile, the pile embedded in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in the unhardened state has a fixed position so that the pile can be embedded in the night ground where it is difficult to insert the pile into the rock. It is possible to construct.
더 나아가, 가이드부재의 하부에 탈착식으로 가이드철근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철근이 전술한 지반개량층의 범람 부위에 매입될 수 있게 함으로써 지반개량층 경화 후 가이드부재를 탈거하고 나면 가이드철근만이 남게 되어 그 자체로 파일 외측 영역에서 기초 콘크리트를 보강할 수 있게 하고, 두부 보강용 철근의 연결 시공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두부 보강까지도 원할히 진행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the guide bar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guide member, and the guide bar can be embedded in the above-described flooded part of the above ground improvement layer so that only the guide bar remains after removing the guide member after hardening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foundation concrete in the area outside the pile itself, and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construction of the reinforcing head reinforcement can be smoothly proceed to the head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연약지반에 시공되는 말뚝 기초 공사에 적용된다 할 것이며, 연약지반 깊이가 깊은 지형에 최적합하다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lied to the pile foundation construction to be constructed on the soft ground, it will be optimal for the terrain with a deep soft ground depth.
10 : 기초굴착부 20 : 지반개량층
21 : 1차범람층 22 : 2차범람층
30 : 가이드부재 31 : 가이드홀
32 : 하부끼움부 33 : 안착부
34 : 끼움부재 34a : 철근끼움홈
40 : 파일 40a : 중공부
41 : 상부확경부 42 : 하부확경부
43 : 선단확장판 50 : 기초
51 : 주철근 52 : 나선철근
53 : 연결철근 54 : 철근지지부재
60 : 가이드철근 100 : 지반개량장치
110 : 회전드라이버 120 : 교반봉
130 : 교반날
A : 굴삭기
B : 크레인10: foundation excavation 20: ground improvement layer
21: first flood layer 22: second flood layer
30: guide member 31: guide hole
32: lower fitting portion 33: seating portion
34: fitting
40:
41: upper enlarged portion 42: lower enlarged portion
43: tip extension 50: foundation
51: cast iron 52: spiral rebar
53: connecting bar 54: reinforcing bar support member
60: guide reinforcement 100: ground improvement device
110: rotating driver 120: stirring rod
130: stirring blade
A: Excavator
B: Crane
Claims (8)
시공될 기초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일정 깊이까지 지반을 굴착하여 기초굴착부(10)를 형성하는 기초면굴착단계와;
크레인 또는 굴삭기(A)에 연결되는 회전드라이버(110)와, 회전드라이버(110)에 연결되어 회전드라이버(11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며 내부로 주입액이 공급되는 교반봉(110)과, 교반봉(120)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날(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교반봉(120) 및 교반날(130)에는 주입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지반개량장치(100)를 준비한 후, 교반봉(120)의 회전과 주입액 배출을 동시에 진행하면서 상기 기초굴착부(10) 중앙을 하향 굴착 교반한 후 주입액 공급을 계속하면서 교반봉(120)을 상향 이동시켜 기초굴착부(10) 하부에 주입액과 원지반이 교반된 슬러리 형태의 지반개량층(20)을 형성하되, 상기 지반개량층(20)은 원지반의 부피보다 팽창하여 상기 기초굴착부(10) 바닥면보다 높게 범람한 1차범람층(21)이 형성되도록 하는 지반개량단계와;
중앙에 말뚝 가이드홀(31)이 형성된 가이드부재(30)를 준비한 후, 상기 기초굴착부(10)에 위치시키는 가이드부재설치단계와;
크레인(B)으로 파일(40)을 인양하여 준비한 다음 상기 지반개량층(20)이 경화되기 전에 가이드홀(31)에 파일(40) 하단을 끼운 다음 수직 하향 이동시켜 지반개량층(20) 내부로 파일을 근입시켜 파일(40)의 근입에 따라 1차범람층(21)보다 레벨이 높게 범람한 2차범람층(22)을 형성하는 파일설치단계와;
상기 지반개량층(20)을 경화시킨 후 상기 파일의 상부의 기초굴착부(10)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50)를 시공하는 기초시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이드부재(30)는 상기 기초굴착부(10)의 상부 지표면에 안착되되, 하부에 상기 기초굴착부(10)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하부끼움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저부에 철근끼움홈(34a)이 형성된 고무 끼움부재(34)가 상기 하부끼움부(32)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철근끼움홈(34a)에는 가이드철근(60)이 착탈식으로 체결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파일설치단계에서 가이드부재(30)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철근(60)이 상기 2차범람층(22)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기초시공단계 전에 가이드부재(30)를 가이드철근(60)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단계;가 더 진행되고,
기초시공단계에서 가이드철근(60)이 기초굴착부(10) 내부에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개량 파일 연속 시공 방법.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a PHC file,
A foundation surface excavation step of excavating the ground to a predetermined depth wit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foundation to be constructed to form the foundation excavation portion 10;
Rotary driver 110 connected to the crane or excavator (A), the stirring rod 110 is connected to the rotary driver 110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otary driver 110 and the injection liquid is supplied to the inside, and stirring After the ground improvement device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irring blade 130 is installed on the rod 120, the stirring rod 120 and the stirring blade 13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injection liquid, After rotating the stirring rod 120 and discharging the injection liquid at the same time while stirring the excavation downward in the center of the foundation excavation part 10, the stirring rod 120 is moved upward while the injection liquid supply is continued, and the basic excavation part 10 is performed.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20 in the form of a slurry in which the injection liquid and the ground ground are stirred is formed, but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20 is expanded to be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ground ground and flooded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undation excavator 10. A ground improvement step for forming the flooded layer 21;
A guide member installation step of preparing a guide member 30 having a pile guide hole 31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nd then placing the guide member 30 in the foundation excavation portion 10;
After the pile 40 is lifted and prepared by the crane B, the bottom of the pile 4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31 before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20 is cured, and then vertically moved downward to move the inside of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20. A pile installation step of forming a secondary flood layer 22 having a level higher than that of the primary flood layer 21 by incorporating the furnace pile into the furnace;
After the hardening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20, the foundation construction step for constructing the foundation 50 by placing the foundation concrete on the foundation excavation portion 10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ile;
The guide member 30 is seated on the upper ground surface of the foundation excavation portion 10, the lower fitting portion 32 that is fitt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oundation excavation portion 10 is formed,
A rubber fitting member 34 having a rebar fitting groove 34a formed at a bottom thereof is provided at the lower fitting portion 32.
The rebar fitting groove (34a) is made so that the guide bar 60 is detachably fastened,
In the pile installation step, the guide bar 60 installed below the guide member 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ary flood layer 22,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guide member 30 from the guide reinforcement 60 before the basic construction step is further progressed,
In the basic construction step, the guide reinforcement 60 is embedded in the foundation concrete that is poured into the foundation excavation 10, characterized in that
Ground improvement pile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상기 파일(40)은 내부에 중공부(40a)가 형성된 PHC 파일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단계와 기초시공단계 사이에, 상기 파일(40)의 중공부(40a) 내부에 철근지지부재(54)를 설치하고, 상기 철근지지부재(54)에 수직 방향의 주철근(51)을 설치하며, 연결철근((53)을 이용하여 상기 주철근(51)과 가이드철근(60)을 연결한 후,
상기 기초시공단계에서 철근지지부재(54)의 상측에도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파일(40)의 상측 내외부에서 두부 보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개량 파일 연속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ile 40 is composed of a PHC pile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40a therein,
Between the separating step and the basic construction step, the reinforcing bar support member 54 is installed in the hollow portion 40a of the pile 40, and the main reinforcing bar 51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nstalled on the reinforcing support member 54. After connecting the main reinforcing bar (51) and the guide reinforcing bar (60) using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53),
The reinforcement of the head is made inside and outside the upper side of the pile 40 by placing the foundation concrete on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ing support member 54 in the foundation construction step.
Ground improvement pile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상기 지반개량단계에서 지반개량층(20)의 직경은 시공될 파일(40) 외경의 1.2 ~ 2배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개량 파일 연속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 the ground improvement step, the diameter of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is 1.2 to 2 times the outer diameter of the pile 40 to be constructed,
Ground improvement pile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상기 기초면굴착단계에서 기초굴착부(10)의 용적은, 상기 지반개량층(20)이 경화되고 난 후의 기초굴착부(10) 내 2차범람층(22)의 부피와 상기 기초(50)의 부피를 합한 값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개량 파일 연속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volume of the foundation excavation part 10 in the foundation surface excavation step is the volume of the secondary flood layer 22 in the foundation excavation part 10 after the ground improvement layer 20 is cured and the foundation 50. Characterized in that the sum of the volume of the,
Ground improvement pile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5963A KR101977791B1 (en) | 2019-03-06 | 2019-03-06 | Construction method of pile with Soil Cement mixing Found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5963A KR101977791B1 (en) | 2019-03-06 | 2019-03-06 | Construction method of pile with Soil Cement mixing Found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7791B1 true KR101977791B1 (en) | 2019-08-28 |
Family
ID=67775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5963A Active KR101977791B1 (en) | 2019-03-06 | 2019-03-06 | Construction method of pile with Soil Cement mixing Found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7791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1646B1 (en) * | 2019-09-23 | 2020-03-20 |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 Ground improvement type composite pile construction method |
CN113026688A (en) * | 2021-02-08 | 2021-06-25 | 中国水电基础局有限公司 | System for expanding piles to form wall by using foundation rocks at bottom of concrete guide wall foundation |
CN113684785A (en) * | 2021-08-23 | 2021-11-23 | 中交(天津)疏浚工程有限公司 | Construction process of pile foundation wharf |
KR102774109B1 (en) | 2024-08-19 | 2025-03-04 | (주)북마건설 | Ground improvement devices and construction methods capable of continuous processes of injecting ground improvement agents and installing reinforcement material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43600A (en) * | 2008-10-20 | 2010-04-29 | 정영주 | Underground excuvation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percussion rotary drill |
KR101588619B1 (en) | 2014-12-12 | 2016-02-12 | (주)에스앤제이케이 | Phc pile with longitudinal confine effec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KR20170011850A (en) * | 2015-07-24 | 2017-02-02 | (주)아리터 | Ground Improving Devive and Ground Improving Method Using The Same |
KR101754662B1 (en) | 2015-02-17 | 2017-07-07 | 강상욱 | Method for Constructing the Basement Pile |
-
2019
- 2019-03-06 KR KR1020190025963A patent/KR10197779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43600A (en) * | 2008-10-20 | 2010-04-29 | 정영주 | Underground excuvation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percussion rotary drill |
KR101588619B1 (en) | 2014-12-12 | 2016-02-12 | (주)에스앤제이케이 | Phc pile with longitudinal confine effec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KR101754662B1 (en) | 2015-02-17 | 2017-07-07 | 강상욱 | Method for Constructing the Basement Pile |
KR20170011850A (en) * | 2015-07-24 | 2017-02-02 | (주)아리터 | Ground Improving Devive and Ground Improving Method Using The Sam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1646B1 (en) * | 2019-09-23 | 2020-03-20 |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 Ground improvement type composite pile construction method |
CN113026688A (en) * | 2021-02-08 | 2021-06-25 | 中国水电基础局有限公司 | System for expanding piles to form wall by using foundation rocks at bottom of concrete guide wall foundation |
CN113026688B (en) * | 2021-02-08 | 2022-04-22 | 中国水电基础局有限公司 | System for expanding piles to form wall by using foundation rocks at bottom of concrete guide wall foundation |
CN113684785A (en) * | 2021-08-23 | 2021-11-23 | 中交(天津)疏浚工程有限公司 | Construction process of pile foundation wharf |
CN113684785B (en) * | 2021-08-23 | 2023-06-16 | 中交(天津)疏浚工程有限公司 | Construction process of pile foundation wharf |
KR102774109B1 (en) | 2024-08-19 | 2025-03-04 | (주)북마건설 | Ground improvement devices and construction methods capable of continuous processes of injecting ground improvement agents and installing reinforcement material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7791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ile with Soil Cement mixing Foundation | |
JP5265500B2 (en) | Pile digging method, foundation pile structure | |
JP3752560B2 (en) | Basic structure for constructing a new building in an existing basemen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110041391A (en) | Method of forming bearing reinforcement pile structure for foundation work and pile structure used therein | |
EP3318677B1 (en) | Method for forming a reinforced pile and use of an accessory therein | |
JP4858878B2 (en) | Pile hole construction method | |
KR102222835B1 (en) | Ground improvement method for organic soil | |
CN110409525B (en) | Soft soil and unfavorable geology composite foundation reinforcing method | |
JP4154487B2 (en) | Foundation pile construction method, foundation pile | |
JP4872561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ready-made piles | |
JP2005282063A (en) | Composite site construction pile, its construction method, and composite field construction pile construction device | |
JPH02289718A (en) | Drilling method of expanded head pile hole, constructing method of expanded head pile and pile hole drill | |
JP4103105B2 (en) | Pile hole wall kneading equipment | |
JP3760343B2 (en) | Drilling bottom stabilization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building | |
KR102287362B1 (en) | Reinforcement method fot tip of PHC pile using loe fluidity mortar | |
JP2001081770A (en) | Pile foundation work | |
KR20190043709A (en) | Construction Method Soft Surface Treatment And Strength of Reinforced Soil Using Waste Aggregates | |
JP4200237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foundation pile | |
JP4425073B2 (en) | Cast-in-place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 |
KR20100136900A (en) | Foundation reinforcement method of structure | |
JPH07197469A (en) | Structure of earth retaining wall and earth retaining method | |
JP2000154540A (en) | Embedded pile, its construction method, construction equipment and existing pile for embedded pile | |
KR101080160B1 (en) | Construction work apparatus for enlarged endbearing capacity foundation with clothoid screw | |
JP4054903B2 (en) | Method of burying ready-made piles, foundation pile structure and ready-made piles | |
JP4623577B2 (en) | How to build cast-in-place pi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3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3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5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