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77157B1 - 기능성 뻥튀기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기능성 뻥튀기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157B1
KR101977157B1 KR1020170164058A KR20170164058A KR101977157B1 KR 101977157 B1 KR101977157 B1 KR 101977157B1 KR 1020170164058 A KR1020170164058 A KR 1020170164058A KR 20170164058 A KR20170164058 A KR 20170164058A KR 101977157 B1 KR101977157 B1 KR 101977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lock
supply
discharge plate
b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창순
조영철
Original Assignee
함지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지박(주) filed Critical 함지박(주)
Priority to KR1020170164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15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30Puffing or expand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등을 사용하여 나비 형상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입체 뻥튀기를 제조하기 위한 뻥튀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단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승강 로드; 승강 로드를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메인 블록; 상기 승강 로드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블록; 상기 메인 블록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 블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실린더;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실린더; 상기 제2 실린더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작동 블록; 상기 고정 블록의 후방 하부로부터 전후진하는 배출 플레이트; 상기 공급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공급 플레이트; 및 상기 공급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호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곡물의 공급이 원활하고 뻥튀기 제조 후 금형으로부터 뻥튀기를 자동으로 밀어내어 배출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는 뻥튀기 제조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기능성 뻥튀기 제조장치 {Popping Grain Apparatus}
본 발명은 곡물과 버섯 등을 건조하여 분쇄하여 혼합한 원료를 사용하여 나비 형상과 버섯모양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입체 뻥튀기를 제조하기 위한 기능성 뻥튀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뻥튀기는 곡물을 높은 온도의 금형에 넣고 튀긴 과자를 일컫는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4162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뻥튀기 제조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뻥튀기 제조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지지로드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이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고 히터가 내재된 상부금형, 이 상부금형의 하측에 위치하며 히터가 내재된 하부금형, 이 하부금형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코어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하측에 결합되어 하부금형 및 코어금형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구비한 가열/압착수단; 상기 하부금형의 일측에 설치되어 곡물을 저장하는 호퍼, 이 호퍼의 하측에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곡물을 하부금형으로 이송하는 곡물이송판이 구비된 곡물공급수단; 상기 호퍼의 일측에 설치되며 모터축으로 연결되는 구동모터, 상기 모터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연동축을 구비한 구동수단; 및 상기 곡물이송판에 결합되어 곡물이송판을 수평 이동시키는 링크, 상기 연동축에 결합되어 연동축의 회전에 따라 링크를 가동시키는 작동캠을 구비한 작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뻥튀기 제조장치는 곡물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고, 뻥튀기 제조 후에는 코어 금형 위에 올려지는 상태로만 배출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이를 손으로 직접 밀어내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곡물의 공급이 원활하고 뻥튀기 제조 후 금형으로부터 뻥튀기를 자동으로 밀어내어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뻥튀기 제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곡물과 버섯, 깨 등과 같은 기능성 식품을 건조 분쇄하여 혼합한 원료를 다양한 형태의 입체 뻥튀기를 제조하기 위한 기능성 뻥튀기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뻥튀기 제조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단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승강 로드; 승강 로드를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뻥튀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성형 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메인 블록; 상기 승강 로드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되, 저면에는 상기 각 성형 홀과 대응하여 제1 성형 돌기가 형성된 고정 블록; 상기 메인 블록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 블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블록을 승강시키도록 형성된 제1 실린더;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제2 실린더; 상기 제2 실린더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되, 상면에는 상기 각 성형 홀과 대응하여 제2 성형 돌기가 형성된 작동 블록; 상기 고정 블록의 후방 하부로부터 전후진 하면서 전단을 통해 상기 메인 블록 상부로 배출되는 뻥튀기를 전방으로 밀어 배출시키도록 판 형태로 형성된 배출 플레이트; 상기 배출 플레이트의 상부에 밀착된 상태로 전후진 하되, 상기 각 성형 홀과 대응하여 곡물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개의 보관 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출 플레이트와 함께 전진한 후 상기 배출 플레이트 보다 늦게 후퇴하여 상기 각 보관 홀에 보관된 곡물을 각 성형 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플레이트; 및 상기 공급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곡물을 저장하는 한편, 하부의 개폐부를 통해 상기 공급 플레이트가 후퇴한 상태에서 각 보관 홀에 일정량의 곡물을 공급하기 위한 호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출 플레이트 및 공급 플레이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은; 상기 배출 플레이트 및 공급 플레이트의 양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배출 플레이트와 공급 플레이트의 전후진을 안내하기 위한 서포트 롤러가 설치된 측판; 상기 측판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 상기 양측의 측판 사이에 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동시에 회전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각 테두리에는 상기 배출 플레이트와 공급 플레이트를 각각 전후진 시키기 위한 가이드 트랙을 형성하되, 상기 배출 플레이트와 공급 플레이트가 동기에 전지하고, 상기 배출 플레이트가 먼저 후퇴한 후에 상기 공급 플레이트가 후퇴하는 과정이 반복되도록 하는 캠 디스크; 및 상기 양측 측판에 각각 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 플레이트와 공급 플레이트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각각에는 상기 양측 캠 디스크의 트렉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롤러가 설치된 링크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뻥튀기 제조장치에 의하면 곡물의 공급이 원활하고 뻥튀기 제조 후 금형으로부터 뻥튀기를 자동으로 밀어내어 배출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뻥튀기 제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뻥튀기 제조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설명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뻥튀기 제조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설명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뻥튀기 제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단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승강 로드(200); 승강 로드를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메인 블록(300); 상기 승강 로드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블록(400); 상기 메인 블록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 블록(50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실린더(600);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실린더(700); 상기 제2 실린더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작동 블록(800); 상기 고정 블록의 후방 하부로부터 전후진하는 배출 플레이트(900); 상기 공급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공급 플레이트(1000); 및 상기 배출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호퍼(1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평평한 판 형태로서 그 상부에는 상기 제1 실린더(600)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 형태로서 내부에 각종 장비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 로드(2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단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로서 상기 메인 블록(300)의 승강을 안내한다.
상기 메인 블록(300)은 상기 승강 로드(200)를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뻥튀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성형 홀(31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성형 홀(310)의 개수는 뻥튀기(1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1 이상 다수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블록의 성형 홀(310)은 버섯형상, 하트형상, 별형상, 동물형상 등의 뻥튀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성형 홀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상기 고정 블록(400)은 상기 승강 로드(20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되, 저면에는 상기 각 성형 홀(310)과 대응하여 제1 성형 돌기(4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 블록(400)은 내부에 설치된 전열선을 통해 뻥튀기(10) 형성을 위한 발열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하부에는 상기 성형 홀(310)의 상부를 차단하기 위한 제1 성형 돌기(41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 블록(500)은 상기 메인 블록(30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린더(600)와의 연결을 통해 상기 메인 블록(300)을 승강시키는 한편, 상기 메인 블록(300)의 하부에 작동 블록(8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 블록(500)과 메인 블록(300) 사이의 일정간격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서포트 바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실린더(6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하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블록(500)을 승강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블록(500)의 상승 높이는 상기 메인 블록(300)의 성형 홀(310)이 상기 고정 블록(400)의 제1 성형 돌기(410)에 의해 차단되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 블록(500)의 하강 높이는 상기 배출 플레이트(900) 및 공급 플레이트(1000)가 상기 고정 블록(400)과 메인 블록(300) 사이로 통과하여 전후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실린더(700)는 상기 베이스 블록(50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것으로서, 후술하는 작동 블록(800)을 일정높이 승강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 실린더(700)의 하강 높이는 상기 작동 블록(800)의 제2 성형 돌기(810)가 메인 블록(300)의 성형 홀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실린더(700)의 상승 높이는 상기 제2 성형 돌기(810)가 성형 홀(310) 내부에서 형성된 뻥튀기를 위로 밀어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 블록(800)은 상기 제2 실린더(70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되, 상면에는 상기 각 성형 홀(310)과 대응하여 제2 성형 돌기가 형성된다. 즉, 상기 작동 블록(800)은 내부에 설치된 전열선을 통해 뻥튀기 형성을 위한 발열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메인 블록(300)의 성형 홀(310) 하부를 항상 차단하는 상태로 곡물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뻥튀기 형성 후에는 상기 성형 홀(310)로부터 뻥튀기를 밀어 올려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배출 플레이트(900)는 상기 고정 블록(400)의 후방 하부로부터 전후진 하면서 전단을 통해 상기 메인 블록(300) 상부로 배출되는 뻥튀기를 전방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실린더에 의해 메인 블록이 하강한 후 제2 실린더에 의해 뻥튀기가 성형 홀로부터 배출이 완료되면 전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출 플레이트(900)는 모터나 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전후진이 반복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배출 플레이트(900)는 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공급 플레이트(1000)의 각 공급 홀(1010)의 하단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공급 플레이트(1000)는 상기 배출 플레이트(900)의 상부에 밀착된 상태로 전후진 하되, 상기 각 성형 홀(310)과 대응하여 곡물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개의 보관 홀(101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출 플레이트(900)와 함께 전진한 후 상기 배출 플레이트(900) 보다 늦게 후퇴하여 상기 각 보관 홀(1010)에 보관된 곡물을 각 성형 홀(310)에 공급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급 플레이트(1000)는 모터나 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전후진이 반복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호퍼(1100)는 상기 공그 플레이트(10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곡물을 저장하는 한편, 하부의 개폐부(1110)를 통해 상기 공급 플레이트(1000)가 후퇴한 상태에서 각 보관 홀(1010)에 일정량의 곡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배출 플레이트(900) 및 공급 플레이트(1000)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서, 상기 배출 플레이트 및 공급 플레이트의 양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배출 플레이트와 공급 플레이트의 전후진을 안내하기 위한 서포트 롤러(1210)가 설치된 측판(1200), 상기 측판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1300), 상기 양측의 측판 사이에 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동시에 회전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각 테두리에는 상기 배출 플레이트와 공급 플레이트를 각각 전후진 시키기 위한 가이드 트랙(1410)을 형성하되, 상기 배출 플레이트와 공급 플레이트가 동기에 전지하고, 상기 배출 플레이트가 먼저 후퇴한 후에 상기 공급 플레이트가 후퇴하는 과정이 반복되도록 하는 캠 디스크(1400) 및 상기 양측 측판에 각각 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 플레이트와 공급 플레이트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각각에는 상기 양측 캠 디스크의 트렉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롤러(1510)가 설치된 링크 로드(1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 플레이트(900)에는 상기 공급 플레이트(1000)와 연결되는 링크 로드(150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슬릿을 절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뻥튀기 제조 후 금형으로부터 뻥튀기를 자동으로 밀어내어 배출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10: 뻥튀기 11: 곡물
100: 베이스 플레이트
200: 승강 로드
300: 메인 블록 310: 성형 홀
400: 고정 블록 410: 제1 성형 돌기
500: 베이스 블록
600: 제1 실린더
700: 제2 실린더
800: 작동 블록 810: 제2 성형 돌기
900: 배출 플레이트
1000: 공급 플레이트 1010: 보관 홀
1100: 호퍼 1110: 개폐부
1200: 측판 1210: 서포트 롤러
1300: 모터
1400: 캠 디스크 1410: 트렉
1500: 링크 로드 1510: 가이드 롤러

Claims (3)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단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승강 로드;
    승강 로드를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뻥튀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성형 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메인 블록;
    상기 승강 로드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되, 저면에는 상기 각 성형 홀과 대응하여 제1 성형 돌기가 형성된 고정 블록;
    상기 메인 블록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 블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블록을 승강시키도록 형성된 제1 실린더;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제2 실린더;
    상기 제2 실린더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되, 상면에는 상기 각 성형 홀과 대응하여 제2 성형 돌기가 형성된 작동 블록;
    상기 고정 블록의 후방 하부로부터 전후진 하면서 전단을 통해 상기 메인 블록 상부로 배출되는 뻥튀기를 전방으로 밀어 배출시키도록 판 형태로 형성된 배출 플레이트;
    상기 배출 플레이트의 상부에 밀착된 상태로 전후진 하되, 상기 각 성형 홀과 대응하여 곡물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개의 보관 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출 플레이트와 함께 전진한 후 상기 배출 플레이트 보다 늦게 후퇴하여 상기 각 보관 홀에 보관된 곡물을 각 성형 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플레이트; 및
    상기 공급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곡물을 저장하는 한편, 하부의 개폐부를 통해 상기 공급 플레이트가 후퇴한 상태에서 각 보관 홀에 일정량의 곡물을 공급하기 위한 호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상기 배출 플레이트 및 공급 플레이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은;
    상기 배출 플레이트 및 공급 플레이트의 양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배출 플레이트와 공급 플레이트의 전후진을 안내하기 위한 서포트 롤러가 설치된 측판;
    상기 측판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
    상기 양측의 측판 사이에 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동시에 회전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각 테두리에는 상기 배출 플레이트와 공급 플레이트를 각각 전후진 시키기 위한 가이드 트랙을 형성하되, 상기 배출 플레이트와 공급 플레이트가 동기에 전진하고, 상기 배출 플레이트가 먼저 후퇴한 후에 상기 공급 플레이트가 후퇴하는 과정이 반복되도록 하는 캠 디스크; 및
    상기 양측 측판에 각각 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 플레이트와 공급 플레이트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각각에는 상기 양측 캠 디스크의 트렉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롤러가 설치된 링크 로드;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메인 블럭의 성형홀은 버섯형상, 하트형상, 별형상 및 동물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뻥튀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성형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뻥튀기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70164058A 2017-12-01 2017-12-01 기능성 뻥튀기 제조장치 Active KR101977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058A KR101977157B1 (ko) 2017-12-01 2017-12-01 기능성 뻥튀기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058A KR101977157B1 (ko) 2017-12-01 2017-12-01 기능성 뻥튀기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157B1 true KR101977157B1 (ko) 2019-08-29

Family

ID=67775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058A Active KR101977157B1 (ko) 2017-12-01 2017-12-01 기능성 뻥튀기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1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9078A (zh) * 2021-10-30 2022-03-22 舒城圣桂食品有限公司 一种智能化新型干菜发泡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8485B2 (ja) * 1995-11-21 1999-07-12 有限会社ウイポップ 膨化製品製造装置
KR200441626Y1 (ko) * 2007-05-08 2008-08-28 신형구 뻥튀기 제조장치
KR100943210B1 (ko) * 2008-12-30 2010-02-22 서종열 뻥튀기 제조장치
KR20110066620A (ko) * 2009-12-11 2011-06-17 (주)한성기업 자동 팝핑머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8485B2 (ja) * 1995-11-21 1999-07-12 有限会社ウイポップ 膨化製品製造装置
KR200441626Y1 (ko) * 2007-05-08 2008-08-28 신형구 뻥튀기 제조장치
KR100943210B1 (ko) * 2008-12-30 2010-02-22 서종열 뻥튀기 제조장치
KR20110066620A (ko) * 2009-12-11 2011-06-17 (주)한성기업 자동 팝핑머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9078A (zh) * 2021-10-30 2022-03-22 舒城圣桂食品有限公司 一种智能化新型干菜发泡系统
CN114209078B (zh) * 2021-10-30 2022-09-02 舒城圣桂食品有限公司 一种干菜发泡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157B1 (ko) 기능성 뻥튀기 제조장치
CN108552297A (zh) 一种食品自动化上串机器人
CN104186714A (zh) 条形茶自动化炒制成套设备及茶叶加工方法
CN204811891U (zh) 一种连续传动的红枣去核机
KR100943210B1 (ko) 뻥튀기 제조장치
CN106826599A (zh) 砂带自动裁切排片机
US1621234A (en) Toasting machine and the like
CN107668110B (zh) 均布装置
CN212463997U (zh) 一种农用种子精播投种生产线
CN108782641A (zh) 一种麻球生产烹炸装置
CN102701570A (zh) 一种玻璃冲模成型装置
KR102605118B1 (ko) 마카롱 오토 샌딩 시스템
CN107646925B (zh) 饼排布机
CN112021206A (zh) 一种生产蛋制品用加工系统
JP5796884B2 (ja) 米飯成形装置
CN104997132B (zh) 一种连续传动的高效红枣去核机
CN206288658U (zh) 一种饼干上料装置
CN210001135U (zh) 一种自动出料装置
US2057639A (en) Doughnut machine and the like
CN208087669U (zh) 一种棒料调质设备的上料装置
CN205492275U (zh) 一种带自动上料功能的水果薄饼机
CN222158953U (zh) 一种食品穿串机的推料联动机构
CN202643536U (zh) 一种玻璃冲模成型装置
CN210695702U (zh) 用微波能量对蛋糕面包进行加热处理的装置
CN218649898U (zh) 一种转盘式威化筒烘烤机用上模升降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05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