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76671B1 - Various angles multiple camera mounting devi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 Google Patents

Various angles multiple camera mounting devi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671B1
KR101976671B1 KR1020190013596A KR20190013596A KR101976671B1 KR 101976671 B1 KR101976671 B1 KR 101976671B1 KR 1020190013596 A KR1020190013596 A KR 1020190013596A KR 20190013596 A KR20190013596 A KR 20190013596A KR 101976671 B1 KR101976671 B1 KR 101976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late
unmanned aerial
coupled
aerial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5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창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산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산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산자
Priority to KR1020190013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6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67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B64C2201/1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다각도 멀티 카메라 장착구는 무인비행장치에 결합되는 카메라 장착구에 있어서, 무인비행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디 유닛과 상기 바디 유닛에 결합되는 틸팅 유닛과, 상기 틸팅 유닛의 단부에 설치되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하부에 형성되며 카메라의 삼각대 고정홀에 결합되는 고정구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후면판의 측면에 결합되며 카메라 트리거 케이블이 관통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측면판과, 상기 바닥판과 측면판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에 의해 고정되는 카메라의 전면을 지지하는 카메라 전면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마운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ulti-angle multi-camera mount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uni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 tilting unit coupled to the body unit, A bottom plat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ar plate and having a coupling hole to which a fixture coupled to a tripod fixing hole of the camera is coupled,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rear plate, The camera mount unit includes a side plate having a hole and a camera front plate extending from the bottom plate and the side plate and supporting a front surface of the camera fixed by the coupling hole.

Description

무인비행장치용 다각도 멀티 카메라 장착구 {Various angles multiple camera mounting devi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Various angled multiple camera mounting devi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발명은 항공촬영을 위한 무인비행장치에 복수 대의 카메라가 탑재되어 다각도로 동시 촬영이 가능한 무인비행장치용 다각도 멀티 카메라 장착구에 관한 것이다. The invention relates to a multi-angle multi-camera mount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simultaneously capturing multiple images on a plurality of cameras mounted on an unmanned aerial vehicle for aerial photographing.

일반적으로 무인비행장치는 카메라를 장착하여 원하는 장소를 공중에서 쉽게 촬영할 수 있는 분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unmanned aerial platforms are widely used in the field where cameras can be installed to easily capture a desired place in the air.

상기한 무인비행체의 정의를 살펴보면 '조종사를 태우지 않고 공기 역학적 힘에 의해 부양하여 자율적 또는 원격 조종에 의해 비행하며, 무기 또는 일반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일회용 또는 재사용할 수 있는 동력 비행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무인 비행체는 주로 군사적 목적으로 이용되었으나, 무인 비행체의 설계, 제작 및 운용기술이 민간 목적으로 활발하게 사용되어 농업, 측량, 항공 촬영, 3차원 공간정보 구축, 송유관 감시, 배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예상되는 시장 규모도 매우 크다.The definition of the above unmanned aerial vehicle refers to 'a disposable or reusable power flight vehicle capable of carrying weapons or general cargo by flying autonomously or remotely by levitating by aerodynamic force without burning pilots' . Although these unmanned aerial vehicles were mainly used for military purposes, the design, production and operation techniques of unmanned aerial vehicles were actively used for civil purposes, and they wer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agriculture, surveying, aerial photographing, construction of 3D spatial information, monitoring of oil pipelines, and delivery And the expected market size is also very large.

현재 사용자의 활용도에 맞는 다양한 도구들을 무인비행장치에 장착함으로써 무인비행장치의 활용범위를 넓히고자 하는 시도 또한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등록특허 제10-1302442호의 "무인항공기 카메라 폴딩장치"(이하 '선행기술1')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1은 무인항공기에 탑재된 카메라의 넓은 촬영 범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틸팅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1은 크기가 매우 크고 무거운 무인항공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다수의 사진을 취득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측량분야나 입체모형 제작을 위한 3차원 공간정보 분야에 적용을 위해서, 일반적인 무인비행장치에 탑재하여 촬영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Attempts have been made to expand the range of application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y installing various tools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the current user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 view of the above,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No. 10-1302442, Device " (hereinafter " prior art 1 "). Prior Art 1 allows the camera to be tilted in order to secure a wide shooting range of the camera mount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However, the prior art 1 is applied to a very large and heavy unmanned aerial vehicle. In order to apply it to a surveying field for acquiring a large number of photographs to improve accuracy and a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field for stereoscopic modeling, It is difficult to mount it on the camera.

또한, 종래 카메라 짐벌은 스탠드에 카메라를 탑재하고, 이러한 스탠드를 지지대를 통해 구조물이나 이동수단에 장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일부 카메라 짐벌의 경우 카메라가 거치된 스탠드 및(또는) 지지대가 회동할 수 있게 구성하여 카메라의 다방향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amera gimbals are generally configured to mount a camera on a stand and to mount such a stand on a structure or a moving means through a support. In the case of some camera gimbals, a stand and / So as to control the multi-directional rotation of the camera.

이와 같은 카메라 짐벌은 통상 스테빌라이저라고도 불리며, 카메라를 장착하여 상하좌우와 피치 및 요잉 흔들림을 감지해 카메라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것으로, 공개특허 제10-2011-0111277호(선행기술 2), 공개특허 제10-2015-0141352호(선행기술 3) 등을 통해 다양하게 제시된 바 있다. Such a camera gimbal is also referred to as a stabilizer, and is equipped with a camera to detec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he pitch and the yawing shake, and to keep the direction of the camera constant. The camera gimbal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1-0111277 Open Patent No. 10-2015-0141352 (Prior Art 3).

이러한, 종래 특허의 무인비행장치의 카메라 짐벌들은 카메라를 상하, 좌우, 전후로 회동시키는 축부의 구조가 전체적으로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들 축부가 카메라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여서 카메라 지지를 위한 프레임이나 모터 등의 구조가 함께 촬영될 수 있어 카메라의 촬영 영역이 제한적이고 카메라를 1대만 장착할 수 있어 다수의 사진 및 다양한 각도의 사진 취득에는 비효율적이다. 또한, 짐벌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전기적인 장치가 많이 부착되어야 하고, 카메라 장착 시에도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장착 시키는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e camera gimbals of the conventional unmanned aerial vehicle of the prior art are complicated in structure of the shaft portion which rotates the camera up and down, left and right, back and forth, and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mera. Can be photographed together, so that the shooting area of the camera is limited and only one camera can be mounted, which is inefficient for acquiring a large number of photographs and various angles. In addition, in order to drive the gimbals, a lot of complicated electric devices must be attached, and even when the camera is mounted, it takes a long time to mount the camera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카메라를 간소하면서도 용이하게 고정하여 조립성이 향상되고, 설치가 간편하게 구성하여, 장치 전체의 관리 및 점검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mera capable of easily and easily fixing a camera to improve assemblability and simplify installation, .

아울러, 본 발명의 카메라 마운트 유닛은 다수개를 사용하여 시야각을 보다 다양하게 함으로써, 1회 촬영으로도 다양한 각도 및 다수의 사진을 취득할 수 있고, 무인비행장치의 기체 자체가 영상 안에 걸리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여러 지역을 동시에 촬영가능하여 사진취득 시스템의 활용성을 극대화한 무인비행장치용 다각도 멀티 카메라 장착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mera mou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quire various angles and a large number of photographs even by one-time photographing, by using a plurality of camera mount units to make the viewing angle more diverse, and the problem that the gas itself of the unmanned airplane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providing a multi-angle multi-camera mount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maximizes the utilization of a photo acquisition system by enabling simultaneous shooting of various regions.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다각도 멀티 카메라 장착구는 무인비행장치에 결합되는 카메라 장착구에 있어서, 무인비행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디 유닛과, 상기 바디 유닛에 결합되는 틸팅 유닛과, 상기 틸팅 유닛의 단부에 설치되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하부에 형성되며 카메라의 삼각대 고정홀에 결합되는 고정구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후면판의 측면에 결합되며 카메라 트리거 케이블이 관통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측면판과, 상기 바닥판과 측면판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에 의해 고정되는 카메라의 전면을 지지하는 카메라 전면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마운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ulti-angle multi-camera mount for an unmanned aerial f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uni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 tilting unit coupled to the body unit, A bottom plat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rear plate and formed with a coupling hole to which a fastener coupled to a tripod fixing hole of the camera is coupled, and a camera trigger cable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rear plate And a camera mount unit including a bottom plate and a camera front plate extending from the side plate and supporting a front face of the camera fixed by the coupling hole.

아울러, 상기 카메라 마운트 유닛에서 상기 전면판은 결합홀에 의해 고정되는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되는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amera mount unit, the front plate is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portion corresponding to a lens of a camera fixed by a coupling hole.

그리고, 상기 카메라 마운트 유닛에서 상기 후면판은 상기 카메라와 접촉되는 전면부에 탄성판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mera mount unit, the rear plate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late on a front surface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amera.

또한, 상기 틸팅 유닛은 수직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이 되는 틸팅 프레임과 상기 틸팅 프레임과 결합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ilting unit includes a tilting frame whose height is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astener coupled with the tilting frame.

마지막으로, 상기 바디 유닛은 무인비행장치의 짐벌 장착구와 탈착되는 상측 연결부와, 상기 상측 연결부의 하단의 이음부재와 결합되고 일정 기울기를 갖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네 개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nally, the body unit includes a gimbal moun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 upper connection part to be detached, a support plate coupled with a joint member at a lower end of the upper connection part and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 center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and four fixing portions formed radially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다각도 멀티 카메라 장착구의 카메라 마운트 유닛은 좌면의 개방부를 통하여 카메라를 단순한 슬라이딩 타입으로 손쉽게 장착이 가능하며, 카메라 마운트 유닛의 바닥판에 형성된 결합홀에는 카메라의 바디에 마련되는 삼각대 홀과 결합되어 카메라를 고정하는 고정구가 체결되어 손쉽게 카메라 탈착이 가능하고, 상기 카메라 마운트 유닛의 측면판에는 연결홀이 구비되어 카메라 트리거 케이블이 용이하게 삽입된다는 점에서, 선행기술에 비하여 불필요한 부품 개수를 대폭적으로 줄인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작동이 이루어진다는 이점이 있다.The camera mount unit of the multi-angle multi-camera mount for unmanned aerial f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mount the camera in a simple sliding type through the opening of the seat surface, Since the fixing hole for fixing the camera is coupled with the tripod hole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camera and the side plate of the camera mount unit has the connection hole to easily insert the camera trigger cabl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a relatively simple constitution in which the number is greatly reduced.

또한, 상기 카메라 마운트 유닛의 후면판에는 탄성부재를 가진 탄성판이 형성되어 있어 무인비행장치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전문 카메라뿐만 아니라, 일반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및 열카메라와 같은 다양한 종류로 구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plate having the elastic member is formed on the rear plate of the camera mount unit,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kinds of cameras such as a general camera, an infrared camera, and a thermal camera in addition to a professional camera dedicat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

그리고, 상기 카메라 마운트 유닛의 전면판은 탈착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카메라 렌즈의 크기 및 구성에 따라 적합한 전면판으로 교체가능하고 다양한 크기의 카메라 렌즈를 안정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촬영 시 렌즈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ront plate of the camera mount unit can be formed in a detachable structure, and can be replaced with a suitable front plate according to the size and configuration of various camera lenses. By stably fixing camera lenses of various sizes, Can be prevented.

더욱이, 상기 카메라 마운트 유닛에 결합된 틸팅 유닛을 통하여 사용자가 소정의 조작에 의해 촬영방향의 각도 조절이 가능도록 구성하여, 간단한 구조로도 카메라를 움직여 원활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the tilting unit coupled to the camera mount unit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angle in the photographing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operation, so that the camera can be moved with a simple structure to ensure a smooth visual fiel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다각도 멀티 카메라 장착구를 나타낸 정면사진.
도 2는 도1의 측면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다각도 멀티 카메라 장착구를 나타낸 상면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 유닛과 틸팅 유닛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 유닛의 변형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 유닛에 카메라가 장착된 구조를 나타낸 예시 사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of a multi-angle multi-camera mount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3 is a top view of a multi-angle multi-camera mount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camera mount unit and a tilt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mera mount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amera moun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camera is mounted on a camera mount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형 표현들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복수형도 포함한다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singular forms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nclude th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다각도 멀티 카메라 장착구(10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ulti-angle multi-camera mount 1000 for an unmanned aerial f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다각도 멀티 카메라 장착구(1000)를 나타낸 정면사진이며, 도 2는 도 1의 측면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다각도 멀티 카메라 장착구(1000)를 나타낸 상면 사진이다.FIG. 1 is a front view of a multi-angle multi-camera mount 1000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 And FIG. 13 is a top view showing a multifocal multi-camera mount 1000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비행장치용 다각도 멀티 카메라 장착구(1000)는 바디 유닛(100), 틸팅 유닛(200) 및 카메라 마운트 유닛(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3, a multi-angle multi-camera mount 1000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cludes a body unit 100, a tilting unit 200, and a camera mount unit 300.

먼저, 상기 바디 유닛(100)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유닛(100)은 무인비행장치의 짐벌 장착구와 탈착되는 상측 연결부(110)가 구비되되, 연결부(110)의 상단은 원형으로 마련되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세 개의 물림돌기(112)를 구비함에 따라, 짐벌 장착구에 형성된 물림홈에 상기 물림돌기(112)가 회전 결합으로 체결되어 짐벌 장착구와 탈부착이 가능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body unit 100 includes a gimbal moun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n upper connecting part 110 which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ody unit 100, The upper end is provided with a circular shape and has three bending projections 11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bite protrusion 112 is coupled to the bite groove formed in the gimble mount and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gimbal mount so that the bite moun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

상기 상측 연결부(110)의 상면에 등간격 이격되어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을 통하여 체결되는 결합구(111a)와 이음부재(111)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이음부재(111)의 타단과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120)가 구비된다.A coupling hole formed at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nection part 110 so as to be equidistantly spaced apart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coupling member 111 through a coupling hole 111a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hole, And a support plate 120 coupled with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late 120.

여기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20)는 평판 형태로 일정 기울기를 가지며, 무인비행장치가 정상적으로 비행 시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고속 비행 또는 경사져 비탈진 지형에서 무인비행장치가 기울어지면서 일측으로 하중에 편중되어 쉽게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Here, the support plate 120 has a predetermined slop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functions to balance the unmanned aerial flight device in normal flight. When the unmanned aerial flight device tilts at a high speed or slanting slope, So that it can be easily prevented from overturning.

상기 경사각은 전방으로 20도 내지 30도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각도는 별도로 한정하지 않는다.The angle of inclination may be 20 to 30 degrees forward, but the angl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여기서, 무인비행장치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서, 자이로센서, 관성센서, 기울기센서 등이 무인비행장치에 장착되어 수평상태가 변화되는 정도를 감지하고, 상기 결합구(111a)의 회전 결합으로 체결 또는 해지를 통하여 이음부재(111)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지지플레이트(120)의 기울기를 조정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틸팅 수단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gyro sensor, the inertial sensor, the tilt sensor, and the like are mounted on the unmanned flight device to sense the degree of change of the horizontal state as the sensing means for sensing the tilt change of the unmanned flight device, A tilting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plate 120 to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as the length of the coupling member 111 varies through fastening or disengagement.

이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와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대(121)와 지지대(121)의 하단에 결합되는 중심부(130)가 구비되되, 상기 지지대(121)는 지지플레이트(12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며, 지지대(121)의 상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볼트 결합공에 상단 볼트(121a)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중심부(130)의 볼트 결합공에 하단 볼트(121b)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A support base 121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120 and a center portion 130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upport base 121. The support base 121 supports the support plate 120 And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121 is detachably attached to a bolt coupling hole of the support plate 120 and a lower end bolt 121a is attached to a bolt coupling hole of the center portion 130 at a lower end thereof. (121b) is detachable.

또한, 상기 지지대(121)는 지지 플레이트(120)의 경사각에 대응되도록 전후측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bars 121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on the front and rear sides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upport plate 120.

아울러, 상기 중심부(130)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네 개의 고정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40)는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다각도로 영상을 동시 쵤영함에 따라, 한 방향 촬영에 비해서 촬영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four fixing parts 140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part 130 are formed, and the fixing part 140 is formed in a radial shape so that images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in multiple angles, And the cost can be drastically reduced.

상기 고정부(140)는 중심부(130)에서 'ㄷ'자 형상으로 연장형성되며, 고정부(140)는 후술할 틸팅 유닛(200)을 포함하고, 고정부(140)의 하단에는 카메라 마운트 유닛(300)이 결합된다.The fixing part 140 extends from the central part 130 in the shape of a letter C and the fixing part 140 includes a tilting uni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300).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140)에는 무인비행장치가 비행 중 발생시키는 진동이 카메라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진동을 방지하는 고무를 장착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ixing part 140 may be provided with a vibration preventing rubber to prevent the vibration generated during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amera.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 유닛(300)과 틸팅 유닛(200)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마운트 유닛(300)과 틸팅 유닛(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ructure of the camera mount unit 300 and the tilt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camera mount unit 300 and the tilting unit 200 The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틸팅 유닛(200)은 수직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이 되는 틸팅 프레임(210)과, 상기 틸팅 프레임(210)과 결합되는 체결구(211)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 4, the tilting unit 200 includes a tilting frame 210 whose height is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astening hole 211 to be coupled with the tilting frame 210.

상기 틸팅 유닛(200)은 상기 틸팅 프레임(210)과 결합되는 체결구(211)를 통해서 분해 조립이 가능하며, 체결구(211)가 결합되는 부위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체결구(21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 결합을 통해 체결 또는 해지가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tilting unit 200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through a fastener 211 that is coupled to the tilting frame 210. A female thread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fastener 211 is coupled, A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coupled so as to be able to be tightened or loosened through rotational coupling.

따라서, 상기 체결구(211)를 통해 카메라 마운트 유닛(300)이 수직 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ccordingly, the camera mount unit 300 can be free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fastener 211.

또한, 상기 카메라 마운트 유닛(300)의 후면판(3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닥판(320)에 결합홀(321)이 마련되며, 결합홀(321)에는 카메라 고정구가 체결되어 무인비행장치의 비행 각도에 관계없이 카메라의 위치가 고정되어 흔들림이 최소화된 영상을 얻을 수 있다.A coupling hole 321 is formed in a bottom plate 320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ar plate 310 of the camera mount unit 300 and a camera fixing hole is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 321, The position of the camera is fixed irrespective of the angle of the flight, so that the image with minimum shaking can be obtained.

상기 후면판(310)의 측면에 측면판(330)이 형성되되, 측면판(330)에 카메라 트리거 케이블이 관통되는 연결홀(331)이 구비됨으로써, 무인비행장치의 비행제어장치에서 자동 촬영 신호를 각각의 카메라에 동시에 전달할 수 있는 요소가 된다.A side plate 330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ar plate 310 and a connection hole 331 through which a camera trigger cable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side plate 330, Can be transmitted to each camera at the same time.

다음으로,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 유닛(300)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 유닛(300)의 변형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mount unit 3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amera mount unit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320)과 측면판(330)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전면판(340)은, 상기 결합홀(321)에 의해 고정되는 카메라의 전면을 지지한다.5A, the front plate 340 extending from the bottom plate 320 and the side plate 330 supports the front surface of the camera fixed by the coupling holes 321. [

또한, 상기 전면판(340)은 영상 촬영 시 카메라 렌즈의 전면을 가리지 않도록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되는 곡면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ont plate 340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ens of the camera so as not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camera lens during image capturing.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340)과 측면판(330)이 연결되는 모서리의 외측면과, 상기 전면판(340)과 후면판(310)이 연결되는 모서리의 외측면에는 브라켓(341)과 볼트(342)를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홀이 형성되어,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 렌즈에 대응되도록 상기 전면판(340)의 교체가 가능한 브라켓(341) 구조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5B, the outer surface of the corner where the front plate 340 and the side plate 330 are connecte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rner where the front plate 340 and the rear plate 310 are connected A bolt hole for coupling the bracket 341 and the bolt 342 may be formed and a bracket 341 structure capable of replacing the front plate 340 may be additionally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various types of camera lenses .

아울러, 상기 카메라 마운트 유닛(300)의 후면판(310)에는 카메라와 접촉되는 전면부에 스프링 또는 탄성 소재의 고무를 장착하여 탄성판(311)과 결합시킴으로써, 카메라의 후면부에 탄성력을 가하여 카메라의 장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로 인하여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를 장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rubber spring or an elastic material is attached to a front surface portion of the rear surface plate 310 of the camera mount unit 30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amera, to thereby connect the elastic plate 311 to the rear surface portion of the camera, The mounting state can be firmly maintained, and various kinds of cameras can be mounted due to the elastic members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 유닛(300)에 카메라가 장착된 구조를 나타낸 예시 사진이다.6 is an exemplary photograph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camera is mounted on a camera mount unit 3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마운트 유닛(300)은 좌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좌측 개방부를 통하여 카메라를 슬라이딩 타입으로 고정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6, the camera mount unit 300 is opened at the seating surface, and the camera is slidably fixed through the left opening.

여기서, 상기 카메라 마운트 유닛(300)의 바닥판(320)에 형성된 결합홀(321)에는, 카메라의 바디에 마련되는 삼각대 홀과 결합되어 카메라를 고정하는 고정구가 체결된다.In the coupling hole 321 formed in the bottom plate 320 of the camera mount unit 300, a fixture for fixing the camera is coupled to the tripod hole provided in the body of the camera.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카메라 마운트 유닛(300)은 총 다섯 개의 유닛을 활용하도록 하는데, 제 1유닛은 무인비행장치의 전방에 위치하며 20도 내지 3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장착된다. 제 2유닛은 무인비행장치의 후방에 위치하며 20도 내지 3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장착된다. 제 3유닛은 무인비행장치의 우측에 위치하며 15도 내지 25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장착되고, 제 4유닛은 무인비행장치의 좌측에 위치하며 15도 내지 25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장착된다. 마지막으로, 제 5유닛은 상기 중심부(130)와 수직방향으로 체결된 틸팅 유닛(200)에 결합되어 0도 내지 1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장착된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mera mount unit 300 utilizes a total of five units, the first unit being located in front of the UAV and having an angle of 20 to 30 degrees. The second unit is located behi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is mounted with an angle of 20 to 30 degrees. The third unit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an angle of 15 to 25 degrees, and the fourth unit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an angle of 15 to 25 degrees. Finally, the fifth unit is attached to the tilting unit 200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13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 portion 130, and is mounted with an angle of 0 to 10 degrees.

상기 카메라 마운트 유닛(300)은 비행 방향의 상황을 촬영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의 각도 조절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비행 중 대상체를 다각도로 동시촬영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고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camera mount unit 300 is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a plurality of cameras for photographing a situation in a flying direction, thereby facilitating simultaneous photographing of a subject in flight, thereby obtaining a high-quality image.

또한, 틸팅 유닛(200)을 통하여 수직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카메라의 각도 변화는 무인비행장치를 조정하는 사용자가 소정의 조작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ngle can be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tilting unit 200, and the angle change of the camera can be changed by a user who adjust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상기 카메라 마운트 유닛(300)의 개수는 증가될 수 있으며, 유닛의 개수 증가에 따라 방향 및 각도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number of the camera mount units 300 can be increased and the direction and angle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s the number of units increases.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다각도 멀티 카메라 장착구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can be applied to a multi-angle multi-camera mount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0 : 무인비행장치용 다각도 멀티 카메라 장착구
100 : 바디 유닛 110 : 상측 연결부
111 : 이음부재 111a : 결합구
112 : 물림돌기
120 : 지지 플레이트 121 : 지지대
121a : 상단 볼트 121b : 하단 볼트
130 : 중심부 140 : 고정부
200 : 틸팅 유닛 210 : 틸팅 프레임
211 : 체결구
300 : 카메라 마운트 유닛 310 : 후면판
311 : 탄성판 320 : 바닥판
321 : 결합홀 330 : 측면판
331 : 연결홀 340 : 전면판
341 : 브라켓 342 : 볼트
1000: Multi-angle camera mount for unmanned airplane
100: Body unit 110: Upper connection part
111: joint member 111a:
112: Bite projection
120: support plate 121: support
121a: upper bolt 121b: lower bolt
130: center portion 140:
200: tilting unit 210: tilting frame
211: fastener
300: camera mount unit 310: rear plate
311: elastic plate 320: bottom plate
321: coupling hole 330: side plate
331: Connection hole 340: Front plate
341: Bracket 342: Bolt

Claims (5)

무인비행장치에 결합되는 카메라 장착구에 있어서,
무인비행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디 유닛;
상기 바디 유닛에 결합되는 틸팅 유닛;
상기 틸팅 유닛의 단부에 설치되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하부에 형성되며 카메라의 삼각대 고정홀에 결합되는 고정구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후면판의 측면에 결합되며 카메라 트리거 케이블이 관통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측면판과, 상기 바닥판과 측면판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에 의해 고정되는 카메라의 전면을 지지하는 카메라 전면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마운트 유닛;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장치용 다각도 멀티 카메라 장착구.
In a camera mount coupled to an unmanned flight device,
A body uni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 tilting unit coupled to the body unit;
A bottom plat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rear plate and having a coupling hole to which a fastener coupled to a tripod fixing hole of a camera is formed; And a camera mount unit including a bottom plate and a camera front plate extending from the side plate and supporting a front face of the camera fixed by the fitting hole, A multi - angle multi - camera mount for unmanned aerial fligh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마운트 유닛은,
상기 전면판에서 결합홀에 의해 고정되는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되는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장치용 다각도 멀티 카메라 장착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mera mount unit includes:
Wherein a curved surface portion corresponding to a lens of a camera fixed by a coupling hole in the front plate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마운트 유닛은,
상기 후면판에서 카메라와 접촉되는 전면부에 탄성판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장치용 다각도 멀티 카메라 장착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mera mount unit includes:
Wherein the rear plate further includes a resilient plate on a front portion of the rear plate that contacts the camer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유닛은,
수직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이 되는 틸팅 프레임과, 상기 틸팅 프레임과 결합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장치용 다각도 멀티 카메라 장착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ilting unit includes:
A tilting frame which is adjustable in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astening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the tilting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유닛은,
무인비행장치의 짐벌 장착구와 탈착되는 상측 연결부와, 상기 상측 연결부의 하단의 이음부재와 결합되고 일정 기울기를 갖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네 개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장치용 다각도 멀티 카메라 장착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unit includes:
An upper connecting portion which is detached from the gimbals mounting por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 supporting plate coupled to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 supporting base vertically coupled to the supporting plate, And four fixing portions formed radially outward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portion. The multi-angle multi-camera mounting structur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KR1020190013596A 2019-02-01 2019-02-01 Various angles multiple camera mounting devi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Active KR1019766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596A KR101976671B1 (en) 2019-02-01 2019-02-01 Various angles multiple camera mounting devi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596A KR101976671B1 (en) 2019-02-01 2019-02-01 Various angles multiple camera mounting devi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671B1 true KR101976671B1 (en) 2019-05-09

Family

ID=66545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596A Active KR101976671B1 (en) 2019-02-01 2019-02-01 Various angles multiple camera mounting devi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67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9806A (en) * 2020-09-02 2020-11-20 山西艾弗莱航空科技有限公司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geodetic data mapping device
CN113148165A (en) * 2021-05-31 2021-07-23 邯郸学院 All-weather photographic arrangement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WO2021168821A1 (en) * 2020-02-28 2021-09-02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Mobile platform control method and device
WO2023101045A1 (en) * 2021-12-01 2023-06-08 (주)니어스랩 Mission equipment-mounted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411B1 (en) * 2015-10-20 2016-02-2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ir craft gimbal system for 3demensioins photographic survey
KR101689197B1 (en) * 2016-06-20 2016-12-23 주식회사 엠지아이티 Gimbal assembly for drone
KR20170083980A (en) * 2017-05-31 2017-07-19 주식회사 하우앳 Helicam having vibration proof structure for camera gimb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411B1 (en) * 2015-10-20 2016-02-2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ir craft gimbal system for 3demensioins photographic survey
KR101689197B1 (en) * 2016-06-20 2016-12-23 주식회사 엠지아이티 Gimbal assembly for drone
KR20170083980A (en) * 2017-05-31 2017-07-19 주식회사 하우앳 Helicam having vibration proof structure for camera gimba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8821A1 (en) * 2020-02-28 2021-09-02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Mobile platform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11959806A (en) * 2020-09-02 2020-11-20 山西艾弗莱航空科技有限公司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geodetic data mapping device
CN113148165A (en) * 2021-05-31 2021-07-23 邯郸学院 All-weather photographic arrangement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WO2023101045A1 (en) * 2021-12-01 2023-06-08 (주)니어스랩 Mission equipment-mounted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671B1 (en) Various angles multiple camera mounting devi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US11480291B2 (en) Camera system using stabilizing gimbal
CN108235702B (en) Cloud deck,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30273B2 (en) Vibration damping gimbal sleeve for an aerial vehicle
JP6132983B2 (en) Pan hea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head, and drone
CN110282132B (en) Unmanned vehicles and many meshes imaging system
WO2017129137A1 (en) Gimbal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bearing support thereof
KR101617808B1 (en) Installation for helicam gimbal hav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center of camera
KR101991176B1 (en) Gimbal for 360-degree video and picture shooting
KR101755372B1 (en) Gimbal for 360-degree video and picture shooting
US10150576B2 (en) Vibration damping gimbal sleeve for an aerial vehicle
WO2016109572A1 (en) Multi-headed adjustable camera
JP5629044B1 (en) Panoramic pan head and photographing system using the pan head
US10151968B2 (en) Multi-camera mount
CN206202711U (en) A kind of head and unmanned plane
KR101910819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for aerial photography
KR101549380B1 (en) Apparatus for fixing the aerial camera
KR102174826B1 (en) Overlapping photoflight system for acquiring precise image
CN112960131A (en) Be applied to cloud platform of many cameras
CN217935703U (en) Airborne large-format aerial photography system device
US11042036B2 (en) Device mount for mixed-reality capture
WO2019085154A1 (en) Pan-tilt camera, pan-tilt devic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WO2019061748A1 (en) Connecting end, connecting device, pan-tilt and unmanned aerial vehicle
WO2022041580A1 (en) Adjusting and stabilizing device for photographing module, photographing device and movable platform
WO2017149488A1 (en) Gyrostabilized head for immersive motion picture fil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