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76147B1 -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 - Google Patents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147B1
KR101976147B1 KR1020180102738A KR20180102738A KR101976147B1 KR 101976147 B1 KR101976147 B1 KR 101976147B1 KR 1020180102738 A KR1020180102738 A KR 1020180102738A KR 20180102738 A KR20180102738 A KR 20180102738A KR 101976147 B1 KR101976147 B1 KR 101976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safety
plug
dust
barri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강현
선다영
이지연
Original Assignee
전강현
선다영
이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강현, 선다영, 이지연 filed Critical 전강현
Priority to KR1020180102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14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 홀이 형성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일면에 상기 플러그 접속단자를 콘센트 홀(120)로 유도되도록 콘센트 홀(120)에 근접할수록 좁아지는 상부 가이드(110)와 하부 가이드(111)로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 홀(120)의 상부에 먼지차단막(300)이 형성되며, 상기 먼지차단막(300)에는 상기 콘센트 홀(120)로 유도된 플러그의 접속단자를 상기 콘센트 접속홀로 유도하는 유도절개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유도절개부(310)는 2개의 플러그 접속단자가 유도되도록 2개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A safety concent with improved ease of use}
본 발명은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콘센트에 플러그의 접속이 용이하도록 플러그 가이드가 형성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보통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일종의 어댑터로 플러그를 끼워 전기를 연결하는 기구로서 일반 가정이나 상가, 산업현장 등에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콘센트는 각각의 삽입구가 있어 플러그를 연결할 때 콘센트와 알맞게 대응되는 구멍에 삽입해야 전원이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콘센트는 대부분 안전을 위해 벽의 아래쪽 구석진 곳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로인해 야간이나 물건에 가려진 경우 제대로 된 삽입구의 형태를 알아보기 힘들어 플러그를 정확하게 꽂는 것이 어려워 여러 번 시도해야 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콘센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98907호에서는 플러그가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방향표식이 점등되어 플러그가 끼워지는 방향을 확인할 수 있게 하고, 플러그가 끼워진 상태에서 플러그를 분리할 때에는 플러그 분리 판을 누름에 의해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게 한 플러그 삽입 방향의 확인이 용이한 콘센트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98907호는 책상 하단과 같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방향표식에 의해 콘센트의 위치 및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시각적으로 보기 힘든 곳에 위치하는 콘센트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와 같이 광원이 형성되는 콘센트는 침실이나 영화관 같은 빛이 방해가 될 수 있는 장소에서는 상시 발광하는 광원이 사용자가 방해를 받을 수 있으며 위험상황에 대한 인지능력이 부족한 유아나 반려동물의 지나친 관심을 유도하여 다양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콘센트는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콘센트의 접속홀이 개방된 상태일 뿐만 아니라 콘센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도 개방되어 있어, 먼지 등의 이물질이 플러그 삽입구에 쌓이게 되고, 빗물이나 먼지 등이 쌓인 상태로 오래 있으면 화재의 원인이 될 수도 있어 안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어두운 밤이나 시각적으로 보기 힘든 곳에 위치한 콘센트에 플러그의 접속이 용이하도록 플러그 가이드가 형성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는 미사용 시에는 콘센트 접속홀이 차단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 홀이 형성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일면에 상기 플러그 접속단자를 콘센트 홀(120)로 유도되도록 콘센트 홀(120)에 근접할수록 좁아지는 상부 가이드(110)와 하부 가이드(111)로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 홀(120)의 상부에 먼지차단막(300)이 형성되며, 상기 먼지차단막(300)에는 상기 콘센트 홀(120)로 유도된 플러그의 접속단자를 상기 콘센트 접속홀로 유도하는 유도절개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유도절개부(310)는 2개의 플러그 접속단자가 유도되도록 2개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 가이드(110), 하부 가이드(111)는 콘센트 일면의 모서리에서 이어져 상기 콘센트의 유도절개부(310)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상부 가이드(110), 하부 가이드(111)는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먼지차단막(300)에는 콘센트 접속홀을 막는 안전차단막(500)이 형성되며, 상기 안전차단막(500)은 유도절개부(310)에 유도되는 플러그 접속단자에 의해 회전되어 콘센트 접속홀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전차단막(500)은 먼지차단막에 형성된 회전부(411)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먼지차단막에 형성된 안전차단막 고정대(502)에 의해 회전각을 제한되고, 상기 회전부(411)와 안전차단막 고정대(502)에 안전차단막 복귀 스프링(511)이 형성되어 플러그 접속단자 제거시에 먼지치단막 복귀 스프링에 의해 먼지치단막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는 어두운 밤이나 시각적으로 보기 힘든 곳에 위치한 콘센트에 플러그의 접속이 용이하도록 플러그 가이드가 형성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는 미사용 시에는 콘센트 접속홀이 차단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 콘센트에 플러그가 접지되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 콘센트에 플러그 접속단자의 이동으로 안전차단막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의 사용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 콘센트에 플러그가 접지되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 콘센트에 플러그 접속단자의 이동으로 안전차단막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의 사용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플러그(10) 자체가 삽입되는 콘센트 홀(120)과 플러그 접속단자(12)가 삽입되는 콘센트 접속홀(미도시)가 형성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일면에 상기 플러그 접속단자를 콘센트 홀(120)로 유도되도록 콘센트 홀(120)에 근접할수록 좁아지는 상부 가이드(110)와 하부 가이드(111)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가이드(110)는, 콘센트의 상부 모서리 끝에서 콘센트 홀(120)까지연결되며, 상기 하부 가이드(111)는 콘센트 하단의 모서리 끝에서 콘센트 홀(120)까지 연결되어 플러그 접속단자를 콘센트 홀(120)까지 유도하게 된다.
상기 상부 가이드 및 하부 가이드는 플러그 접속단자가 유도될 때 끊어짐 없이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콘센트 홀(120)의 상부에 먼지차단막(300)이 형성되어 콘센트 홀로 침투되는 먼지를 차단한다.
상기 먼지차단막(300)은 도 2, 3에서와 같이 콘센트 홀(21)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콘센트 홀 내부의 상, 하단 끝 부분에 2개의 먼지차단막 복귀 스프링(311) 및 먼지차단막 고정대(302)가 형성되어 플러그를 연결할 시 먼지차단막 복귀 스프링(311)이 압축하여 들어가고, 플러그 제거 시에 먼지차단막 복귀 스프링(311)의 탄성에 의해 먼지차단막(300)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도록 형성된다.
상기 먼지차단막 고정대(302)는 콘센트 홀(21)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먼지차단막이 먼지차단막 복귀 스프링(311)에 의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먼지차단막(300)에는 상기 콘센트 홀(120)로 유도된 플러그 접속단자를 상기 콘센트 접속홀로 유도하는 유도절개부(310)가 형성되다.
상기 유도절개부(310)는 도 1에서와 같이 2개의 플러그 접속단자가 유도되도록 2개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접속단자를 용이하게 콘센트 접속홀에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유도절개부(310)는 도 1에서와 같이 'ㅅ'자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플러그 접속단자가 콘센트 홀(21)에 들어가기 전에 정확한 위치에 들어갈 수 있도록 길을 형성하여 플러그 접속 단자가 각각 한씩 들어가도록 설계되어 플러그가 콘센트에 잘못 연결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먼지차단막(300)에는 콘센트 접속홀을 막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차단막(5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차단막(500)은 도 3에서와 같이 유도절개부(310)에 유도되는 플러그 접속단자에 의해 회전되어 콘센트 접속홀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안전차단막(500)은 대략 'ㄷ'자 형태로 유도절개부(310) 뒤에 위치하여 플러그의 접속단자(12)가 들어오면서 회전하도록 형성되고, 안전차단막(500)이 회전하면서 콘센트 홀(21)이 개방되어 플러그 접속단자(12)를 접속하며, 플러그 제거 시에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 먼지와 이물질의 출입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안전차단막(500)은 도 3에서와 같이 먼지차단막에 형성된 회전부(411)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먼지차단막에 형성된 안전차단막 고정대(502)에 의해 회전각을 제한하여 플러그 접속단자(12)의 한쪽이 들어가면 안전차단막(500)이 멈추고, 나머지 플러그 접속단자가 콘센트 접속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회전부(411)와 안전차단막 고정대(502)에 안전차단막 복귀 스프링(511)이 형성되어 플러그 접속단자 제거시에 먼지치단막 복귀 스프링에 의해 먼지치단막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안전차단막 복귀 스프링(511)은 토션 스프링을 사용하여 안전차단막(500)의 움직임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는 플러그 접속단자(12)를 상부 가이드(10)나 하부 가이드(11)에 접촉한 후 가이드 선을 따라 유도절개부(310) 쪽으로 들어가면 콘센트 홀(120) 모양에 맞게 플러그 접속 단자(12)가 위치한다.
상기 플러그 접속단자(12)는 안전차단막(500)을 밀어내고 유도 절개부(310)의 끝까지 들어가고, 콘센트 접속홀이 개방되며 먼지차단막(300)을 눌러 콘센트와 연결할 수 있다.
즉, 가이드를 통해 콘센트의 모양을 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연결이 가능하여 일반인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도 쉽게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는 도 4에서와 같이 2구 콘센트로 형성하여 좌우측 어느 방향에서든지 플러그를 움직여 플러그를 콘센트와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하우징: 100 상부 가이드: 110
하부 가이드: 111 콘센트 홀: 120
먼지차단막: 300 먼지차단막 고정대:302
유도절개부: 310 먼지치단막 복귀 스프링: 311
회전부: 411 안전차단막: 500
안전차단막 고정대: 502 안전차단막 복귀 스프링: 511

Claims (4)

  1.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 홀이 형성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일면에 플러그 접속단자를 콘센트 홀(120)로 유도되도록 콘센트 홀(120)에 근접할수록 좁아지는 상부 가이드(110)와 하부 가이드(111)로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 홀(120)의 상부에 먼지차단막(300)이 형성되며, 상기 먼지차단막(300)에는 상기 콘센트 홀(120)로 유도된 플러그 접속단자를 콘센트 접속홀로 유도하는 유도절개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유도절개부(310)는 2개의 플러그 접속단자가 유도되도록 2개의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 가이드(110), 하부 가이드(111)는 콘센트 일면의 모서리에서 이어져 상기 콘센트의 유도절개부(310)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110), 하부 가이드(111)는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차단막(300)에는 콘센트 접속홀을 막는 안전차단막(500)이 형성되며,
    상기 안전차단막(500)은 유도절개부(310)에 유도되는 플러그 접속단자에 의해 회전되어 콘센트 접속홀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차단막(500)은 먼지차단막에 형성된 회전부(411)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먼지차단막에 형성된 안전차단막고정대(502)에 의해 회전각을 제한되고,
    상기 회전부(411)와 안전차단막 고정대(502)에 안전차단막 복귀 스프링(511)이 형성되어 플러그 접속단자 제거시에 먼지치단막 복귀 스프링에 의해 먼지치단막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
KR1020180102738A 2018-08-30 2018-08-30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 Expired - Fee Related KR101976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738A KR101976147B1 (ko) 2018-08-30 2018-08-30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738A KR101976147B1 (ko) 2018-08-30 2018-08-30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147B1 true KR101976147B1 (ko) 2019-05-07

Family

ID=6665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738A Expired - Fee Related KR101976147B1 (ko) 2018-08-30 2018-08-30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1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300Y1 (ko) * 1991-03-12 1993-07-10 김경호 콘센트 안전장치
KR200256742Y1 (ko) * 1998-08-01 2002-02-20 이장우 콘센트
KR20020025911A (ko) * 2002-02-05 2002-04-04 김용호 쉬운 꽂음 콘센트
KR20090002704A (ko) * 2007-07-04 2009-01-09 신헌수 안전콘센트 및 이를 포함한 멀티탭
KR101428511B1 (ko) * 2012-11-20 2014-08-12 박주하 접속 콘센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300Y1 (ko) * 1991-03-12 1993-07-10 김경호 콘센트 안전장치
KR200256742Y1 (ko) * 1998-08-01 2002-02-20 이장우 콘센트
KR20020025911A (ko) * 2002-02-05 2002-04-04 김용호 쉬운 꽂음 콘센트
KR20090002704A (ko) * 2007-07-04 2009-01-09 신헌수 안전콘센트 및 이를 포함한 멀티탭
KR101428511B1 (ko) * 2012-11-20 2014-08-12 박주하 접속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1644C (en) Tamper-resistant electrical wiring device system
US7214101B1 (en) Electrical socket with dependent shutter
US8568152B1 (en) Shutter assembly for electrical devices
US6537089B1 (en) Gated electrical safety outlet
US8242362B2 (en) Tamper-resistant electrical wiring device system
US5989052A (en) Electrical outlet safety cover and cord connector
US6135802A (en) Cover-equipped connector
US4952755A (en) Safety plate for electrical outlet
US6468095B2 (en) Electrical plug and receptacle having safety features
US6767228B2 (en) Internal safety cover and method to prevent electrical shock
US5997318A (en) Structure of an electrical socket
US20120208384A1 (en) Plug device having a closure unit
CN109565131A (zh) 用于电配线装置的防误触机构
TW201121167A (en) Direct current outlet
EP3352308B1 (en) Front cover device for power socket and power socket equipped with such a front cover device
CN116914470A (zh) 一种安全插座
KR101976147B1 (ko)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안전 콘센트
CN220291161U (zh) 一种安全插座
KR20180085972A (ko) 콘센트 커버장치
EP1079474B1 (en) Scoop-proof plug connector system
KR101096344B1 (ko) 벽체 매설형 안전 콘센트
WO2001003248A1 (en) Electrical outlet safety cover and cord connector
CA2624409C (en) Tamper-resistant electrical wiring device system
CN214542662U (zh) 一种插线板
CN112352356A (zh) 安全电源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