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838B1 - Cooking device to control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cooking type - Google Patents
Cooking device to control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cooking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5838B1 KR101975838B1 KR1020180036368A KR20180036368A KR101975838B1 KR 101975838 B1 KR101975838 B1 KR 101975838B1 KR 1020180036368 A KR1020180036368 A KR 1020180036368A KR 20180036368 A KR20180036368 A KR 20180036368A KR 101975838 B1 KR101975838 B1 KR 1019758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king
- stirring
- container
- controlling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8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21395 porrid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47J27/64—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 B01F15/00363—
-
- B01F15/00396—
-
- B01F15/00538—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4—Speed during the op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5—Tempera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 B01F7/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조리 종류에 따라 설정된 가열온도와 해당 음식물이 최적으로 익혀지도록 하는 기준온도에서 온도 펄스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조리되는 음식물이 최적으로 조리될 수 있는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조리원료가 수용되는 용기가 위치하는 조리공간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용기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와 상기 본체부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는 지지부와 상기 용기 내부바닥의 마주하는 교반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조리원료를 교반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된 교반부와 상기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와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여 상기 용기에 가해지는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승강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승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지지부 외부둘레에 배치되어 회전할 수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본체부 상면과 접하며 최하점으로 하강한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켜 상기 교반날개가 상기 용기 내부바닥에서 이격되도록 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조리 종류에 따라 조리 과정을 제어하는 교반장치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irring device in which a temperature pulse is maintained constant at a heating temperature set according to a cooking type and a reference temperature at which the food is optimally cooked so that the food to be cooked can be cooked optimally to be. To this end, there is provided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cooking cavity in which a container containing a cooking material is placed, a heating part for applying heat to the container, a support part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to the main body, And an elevating driving part for stirring the cooking material and stirring the cooking material and stirring the elevating driving part for elevating the elevating part and the heating part to control the temperature applied to the container and controlling the elevating driving par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and lowering of the support uni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a control unit which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unit and rotates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unit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And a control lever An agitator is provided to control the cooking process La.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 종류에 따라 조리 과정을 제어하는 교반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에서 설정된 설정 조건에 따라 조리 과정을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교반날개와 용기 내부바닥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rring device for controlling a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a cooking ty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irring device for controlling a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a cooking typ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gitating device.
알곡이나 분말 상태로 된 곡물 등을 일정량의 물에 혼합하여 죽, 수프, 앙금 등(이하, 조리물이라 함)을 조리할 때 분말 상태의 곡물이 물에 잘 풀어져야 한다. 이에, 물과 혼합된 곡물 등을 끓이면서 분말 상태의 곡물 등이 뭉치지 않고 또 알곡의 경우에는 온도가 고르게 분포되도록 잘 휘저어야 한다.Grain in the form of powder must be loosened in water when it is mixed with a certain amount of water to prepare cereals, soups, sedi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oked food"). Therefore, when the grains mixed with water are boiled, the grains in the form of powder are not clumped, and in the case of grain, they must be well stirred to distribute the temperature evenly.
따라서, 죽을 끓이기 위해서는 가스레인지, 인덕션레인지 등의 가열부에 용기를 설치하고 적정량의 알곡이나 분말화된 곡물(이하, 조리원료라 함)과 물을 담고 조리원료를 가열하면서 조리도구로 젓는다.Therefore, in order to boil the porridge, a container is placed in a heating part such as a gas range or an induction range, and a proper amount of grains or powdered grai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oking material") and water are placed and the cooking material is heated and cooked with a cooking tool.
조리물을 소량 조리 시 조리사가 직접 젓을 수 있지만, 식당, 급식소 등에서 조리물을 대량 조리 시 조리사가 수작업으로 조리원료를 젓는 것은 매우 불편하며 화상 등의 위험이 있다.Although a cook can directly stir a small amount of cooked food, it is very inconvenient for a cook to manually pour the cooked raw material when a large amount of cooked food is cooked in a restaurant or a foodservice.
즉, 일반적으로 죽, 스프 등과 같은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 계속 저어주지 않으면, 가열되는 면에 죽 등이 눌어 타기 쉽고, 맛도 잘 우러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조리사가 계속하여 저어주어야 하나, 이는 인건비의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그 불편함도 크다.In other words, generally, when the food such as porridge, soup, etc. is not continuously stirred in the process of cooking, porridge is likely to be burnt on the surface to be heated, and the taste will not come out well. Therefore, the cook must continue to stir, but this not only leads to a waste of labor costs, but also inconvenience.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교반기를 단순히 전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럴 경우 재료가 쉽게 으깨어지기 쉽고, 조리하는 과정에 여러가지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conventional general stirrer can be simply used and used, but in this case, the material tends to be easily crushed and inconveniences in the cooking process.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교반용 조리 장치는 조리 중 발생하는 음식물 덩어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 conventional general stirring cooking apparatus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effectively remove lumps of food that are generated during cooking.
따라서, 조리사의 조리 작업 개선을 위하여 자동으로 조리원료를 젓는 조리용 교반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Therefore, a cooking stirrer in which raw materials for cooking are automatically poured in order to improve the cooking operation of a cook has been proposed.
종래의 교반장치는 가열부에 놓인 용기 상부에 위치한 구동부에 샤프트가 결합되고 샤프트 하단에는 교반날개가 결합되어 있다. 구동부는 지지부로 교반장치 본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지지부는 승강할 수 있다. 지지부가 상승한 상태에서 구동부 아래에 조리원료가 담기는 용기가 놓이면 지지부는 하강하여 교반날개가 조리원료에 잠기도록 한다. 교반날개가 조리원료에 잠긴 상태에서 구동부 구동으로 샤프트가 회전하여 교반날개가 조리원료를 자동으로 젓는다.In a conventional stirring apparatus, a shaft is coupled to a driving unit located above a container placed on a heating unit, and a stirring blade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haft. The driving par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agitator by a supporting part, and the supporting part can move up and down. When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cooking material is placed under the driving part in a state where the supporting part is elevated, the supporting part is lowered so that the stirring blade is immersed in the cooking material. In a state where the stirring blade is immersed in the cooking material, the shaft is rotated by driving the driving part, and the stirring blade stirs the cooking material automatically.
한편, 지지부의 하강점을 최대한 내렸을 때 교반날개의 하면은 용기 내부바닥에 닿은 상태로 조리원료를 젓는다. 그러나 용기 내부바닥이 평평하지 않고 굴곡이 발생한 경우 굴곡에 따라 교반날개가 승강하여야 하나 그러하지 못하여 교반날개에 많은 압력이 발생하게 되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ownward point of the support portion is reduced to the maximum, the lower surface of the stirring wing contacts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stirs the cooking raw material. However, whe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is not flat and bending occurs, the stirring wing must be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bending, but the stirring wing has a lot of pressure.
또한, 교반날개가 조리원료에 잠길 때 조리물의 조리 온도에 따라 교반날개의 하면이 용기 내부바닥에 접하거나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야 하나 지지부의 승강으로는 교반날개 하면과 용기 내부바닥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없었다.In addition, when the stirrer is submerged in the cooking material, the lower surface of the stirrer should be spaced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or spac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ccording to the cooking temperature of the food, but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of the stirrer, It could not be controlled.
본 발명은 조리 종류에 따라 설정된 가열온도와 해당 음식물이 최적으로 익혀지도록 하는 기준온도에서 온도 펄스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조리되는 음식물이 최적으로 조리될 수 있는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irring device in which a temperature pulse is maintained constant at a heating temperature set according to a cooking type and a reference temperature at which the food is optimally cooked so that the food to be cooked can be cooked optimal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리원료의 종류를 판단하여 조리 중 발생하는 음식물 덩어리를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음식물 덩어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교반날개를 상하 이동하여 용기 바닥에 형성되는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분쇄하는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irring device for effectivel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food masses generated during cooking by judging the type of cooking material and moving the stirring wing up and down when food mass is generated, Quot;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리 종류에 따라 조리 과정을 제어할 수 있으며, 교반장치의 교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최하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교반부의 교반날개와 용기 내부바닥 사이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irr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a cooking type and capable of finel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tirring blade of the stirring part and the bottom of the container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part supporting the stirring part of the stirring device is located at the lowermost point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evice.
본 발명은 조리원료가 수용되는 용기가 위치하는 조리공간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용기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와 상기 본체부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는 지지부와 상기 용기 내부바닥의 마주하는 교반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조리원료를 교반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된 교반부와 상기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와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여 상기 용기에 가해지는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승강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승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지지부 외부둘레에 배치되어 회전할 수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본체부 상면과 접하며 최하점으로 하강한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켜 상기 교반날개가 상기 용기 내부바닥에서 이격되도록 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조리 종류에 따라 조리 과정을 제어하는 교반장치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cooking cavity in which a container containing a cooking material is placed, a heating portion for applying heat to the container, a support portion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an elevating driving part for stirring the cooking material and stirring the cooking material and stirring the elevating driving part for elevating the elevating part and the heating part to control the temperature applied to the container and controlling the elevating driving par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and lowering of the support uni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a control unit which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unit and rotates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unit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Depending on the type of cooking including the control lever An agitat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oking process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온도가 설정되면, 설정온도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후 상기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가열부의 전원을 온(ON)과 오프(OFF)로 반복하여 상기 설정 온도와 기준온도에서 온도 펄스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리원료가 최적으로 조리되고 상기 조리원료의 덩어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조리원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교반날개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리원료의 덩어리가 발생하면 이를 분쇄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부를 일정 간격으로 상하 이동시켜 상기 용기의 바닥에 형성되는 상기 조리원료 덩어리를 상기 교반날개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분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ts the temperature, the controller raises the temperature to the set temperature and then repeatedly turns on and off the power of the heating unit when the set temperature is reached, And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stirring blades to be varied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cooking raw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the cooking raw material from being cooked optimally and to form a mass of the cooking raw material And controlling the grinding of the cooking material so that the grinding of the cooking material is repeatedly performed using the stirring vane by moving the supporting part up and down at regular intervals to crush the lump of the cooking material. .
여기서, 상기 조절레버는, 회전중심을 가지며 상기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거리로 떨어져 있는 제1 접선부와 제2 접선부가 외부둘레에 형성된 회전몸체, 그리고 상기 회전몸체와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lever may include a rotating body having a first tangential line and a second tangential line at an outer circumferential edge, the first tangential line and the second tangential lin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center of rotation, and a handle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can do.
여기서, 상기 제1 접선부와 상기 제2 접선부는 상기 회전몸체 외부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접선부는 상기 제1 접선부보다 더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접선부와 상기 제2 접선부는 상기 회전몸체의 회전으로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선택적으로 접할 수 있다.Here, the first tangent line portion and the second tangent line portion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body, the second tangent line portion is further away from the first tangent lin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And the second tangential portion can be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여기서, 상기 지지부가 최하점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선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접하면 상기 교반날개 하면은 상기 용기 내부바닥의 접하며, 상기 지지부가 최하점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접선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접하면 상기 지지부의 상승으로 상기 교반날개 하면은 상기 용기 내부바닥의 이격될 수 있다.Here, when the first tangential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is lowered to the lowest point, the bottom of the stirring vane touches the inner bottom of the container,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can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irring vane by the rising of the support portion.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일측이 상기 용기 내부바닥의 마주하고 타측이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레버가 결합된 케이스,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로드가 상기 케이스와 유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승강하는 상기 케이스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case and a rod, one side of which faces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control lever is coupled to, and is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a guide rail and a guide block which are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ase and guide the case to be raised and lowered.
여기서, 상기 제2 접선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접하면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유격 범위 내에서 상승하고, 상기 케이스 상승으로 상기 교반날개의 하면은 상기 용기의 내부바닥으부터 떨어질 수 있다.Here, when the second tangential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case rises within the clearance rang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irring blades can be separated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container by the case rising.
여기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교반날개와 연결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동력연결된 교반 구동부 및 상기 샤프트 상단과 상기 지지부의 수평부 내부 상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샤프트를 완충지지하는 교반 텐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irring part may include a shaft connected to the stirring blade, a stirring driving part connected to the shaft, and a stirring tension part positioned between the shaft upper part and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rt of the supporting part to buffer and support the shaft.
여기서, 상기 교반 텐션부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 상단과 결합된 텐션 하우징, 상기 텐션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수평부 내부 상면과 접하는 텐션볼 및 상기 텐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텐션볼이 상기 수평부 내부 상면과 접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교반날개에 외력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면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면서 상기 샤프트는 상승할 수 있다.The stirring tension unit includes a tension housing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haft, a tension ball coupled with the tension housing and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unit, and a tension ball disposed in the tension housing, And an elastic member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When the elastic member is applied to the stirring blade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external force, the elastic member may be compressed and the shaft may be lifted.
본 발명은 조리원료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가열 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조리원료를 최적으로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t the heating time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cooking material, and the cooking material can be cooked optimally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 덩어리가 발생하는 경우에 음식물 덩어리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용기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여 용기 바닥으로 형성되는 음식물 덩어리를 반복적으로 분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peatedly grinding a food mas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y moving the device for removing the food mass up and down inside the container when food mass is generated.
또한, 본 발명은 조리 요건에 따라 조절레버의 간단한 조작으로 교반날개 하면이 용기 내부바닥의 접하거나 이격되게 하므로 조리물 효율이 향상되며, 교반날개 하면이 용기 내부바닥의 이격되어 있으므로 용기 내부바닥의 교반날개 하면이 마찰되지 않아 마찰에 의한 교반날개 마모를 예방할 수 있어 교반날개의 수명이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ottom of the container is contact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y the simple operation of the control lever in accordance with the cooking requirements, the efficiency of the food is improved and the bottom of the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he agitation blade can not be frictioned to prevent the agitation blade wear due to the friction, so that the life of the agitation blade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반날개와 용기 내부바닥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교반장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배면 일부분을 절개한 개략도.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1의 교반부의 샤프트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도 5의 B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2의 조절레버 확대도.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조절레버 조작에 따라 교반날개의 위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어부가 제어하는 구성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조작부의 디스플레이 패널 및 조작부의 기능버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제어부의 동작을 통해 본 발명의 조리 종류에 따라 조리 과정을 제어하는 교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stirrer capable of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a stirring blade and a bottom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Fig.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portion of the back surface of Fig. 1 cut away.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3;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haft of the stirring part of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5;
Figure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trol lever of Figure 2;
Figs. 8 and 9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positions of the stirring vanes according to the control lever operation of Fig. 7; 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unit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functional buttons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operation unit of the oper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tirr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the cooking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part.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반날개와 용기 내부바닥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교반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를 참고하여 설명한다.1 to 8, a stirrer capable of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a stirring blade and a bottom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반날개와 용기 내부바닥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교반장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배면 일부분을 절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의 교반부의 샤프트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의 B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2의 조절레버 확대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조절레버 조작에 따라 교반날개의 위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stirrer capable of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a stirring blade and a bottom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portion of the back surface of FIG.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3,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haft of the stirring portion of Fig. 1,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B of Fig. 5, Fig. Figs. 8 and 9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positions of the stirring blades according to the control lever operation of Fig. 7; Fig.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날개와 용기 내부바닥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교반장치(이하, 교반장치라 함)(100)는, 본체부(10), 지지부(30), 교반부(40) 및 조절레버(50)를 포함하며 교반부(40)를 지지하는 지지부(30)의 로드(321)가 최하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교반부(40)의 교반날개(43)와 용기 내부바닥 사이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1 and 2, a stirr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irring device) 100 capable of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a stirring blade and a bottom of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본체부(10)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공간(11)을 갖는다. 조리공간(11)에는 조리물 조리에 따른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20)가 배치되어 있다. 가열부(20)는 가스레인지, 인덕션레인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열부(20)에는 조리원료가 담기어 조리되는 용기(1)가 놓일 수 있다. 본체부(10)의 전면과 상면의 중앙 부분이 개방되어 조리공간(11)이 형성되므로 조리사는 용기(1)를 가열부(20) 위에 손쉽게 놓고 내릴 수 있다.The
지지부(30)는 케이스(31), 승강 구동부(32), 가이드 레일(33) 및 가이드 블록(34)을 포함한다.The
케이스(31)는 수직부(311)와 수평부(312)를 포함하며 지지부(30)의 외형을 형성한다. 수직부(311)와 수평부(312)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는 비어 있다. 수직부(311)는 본체부(10)의 배면에 위치하여 상면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승강할 수 있다. 수평부(312)는 수직부(311) 상단과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이 가열부(20)에 놓인 용기(1)의 내부바닥과 마주한다.The
도 3을 더 참고하면, 승강 구동부(32)는 구동몸체(322) 및 로드(321)를 포함하는 전동 실린더 구조로 형성되며 케이스(31)를 승강시킨다. 구동몸체(322)는 본체부(10)의 내부바닥에 배치되어 있으며 로드(321)는 구동몸체(322)에서 돌출되어 수직부(311)의 내부 상면과 연결되어 있다. 구동몸체(322)의 구동으로 로드(321)가 작동하여 케이스(31)는 승강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몸체(322)와 로드(321)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전동 실린더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3,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가이드 레일(33)과 가이드 블록(34)은 수직부(311)와 본체부(1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가이드 레일(33)은 본체부(10) 내부 공간에 수직부(311)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가이드 블록(34)은 수직부(311)와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33)과 결합되어 있다. 이에 가이드 레일(33)과 가이드 블록(34)에 의해 로드(321) 작동 시 케이스(31)는 흔들리지 않고 반듯하게 승강할 수 있다.The
한편, 도 4를 더 참고하면, 로드(321)와 수직부(311) 상면은 유격공간(321a)을 두고 연결되어 있다. 로드(321)가 최하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케이스(31)는 유격공간(321a) 범위 내에서 조절레버(50) 조작으로 승강할 수 있다. 이에 교반날개(43) 하면은 로드(321)가 최하점(로드가(321)가 최대로 하강한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조절레버(50)의 조작에 의해 용기(1) 내부바닥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4, the
교반부(40)는 교반 구동부(41), 샤프트(42), 교반날개(43) 및 교반 텐션부(44)를 포함하며 용기(1)에 담긴 조리원료를 젓는다.The stirring
도 2를 다시 참고하면, 교반 구동부(41)는 구동모터(411), 풀리(412) 및 벨트(413)를 포함한다. 풀리(412)는 용기(1)의 내부바닥과 마주하는 수평부(312) 일측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모터(411)는 수평부(312) 타측에 배치되어 있다. 벨트(413)는 구동모터(411)와 풀리(412)를 동력 연결하여 구동모터(411)의 동력을 풀리(412)에 전달하여 풀리(412)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again to Fig. 2, the
도 5를 더 참고하면, 샤프트(42)는 제1 부재(421) 및 제2 부재(422)를 포함하며 지지부(30)의 승강에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제1 부재(421)와 제2 부재(422)는 각각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제1 부재(421)와 제2 부재(422)는 서로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5, the
제1 부재(421)는 풀리(412)와 키 결합되어 있으며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2 부재(422)는 하단이 지지부(30)의 승강에 따라 용기(1) 내부에 위치하거나 용기(1)를 벗어나 있을 수 있다. 풀리(412)의 회전으로 샤프트(42)는 축 회전할 수 있다.The
교반날개(43)는 샤프트(42)의 하단에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으며 샤프트(42) 하단 위치에 따라 용기(1)에 담긴 조리원료에 잠기거나 용기(1)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교반날개(43)가 조리원료에 잠긴 상태에서 샤프트(42)가 회전하면 교반날개(43)는 조리원료를 젓는다.The stirring
여기서, 로드(321)가 최상점(로드(321)가 최대로 상승한 위치)에 위치하면 교반날개(43)는 용기(1)를 벗어나 있는 상태가 되며, 로드(321)가 최하점에 위치하면 교반날개(43)는 용기(1) 내부에 위치하여 그 하면이 용기(1) 내부바닥과 접한 상태가 된다.Here, when the
한편, 교반날개(43)가 용기(1) 내부바닥과 접한 상태에서 용기(1)의 바닥 상태에 따라 교반 텐션부(44)에 의해 완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where the
도 6을 더 참고하면, 교반 텐션부(44)는 텐션 하우징(441), 텐션볼(442) 및 탄성부재(443)를 포함하며 제1 부재(421)와 수평부(312)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샤프트(42)를 완충 지지한다.6, the stirring
텐션 하우징(441)은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부재(421) 상면에 결합되어 제1 부재(421)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텐션 하우징(441)의 내부에는 상면방향으로 개방된 배치공간(441a)이 형성되어 있다.The
텐션볼(442)은 배치공간(441a)에 위치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텐션 하우징(441)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수평부(312)와 연결된 덮개(444)와 접하고 있다. 텐션볼(442)은 배치공간(441a)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탄성부재(443)는 기설정된 탄성력을 유지하며 배치공간(441a)에 위치하여 텐션볼(442)을 탄성 지지한다. 탄성부재(443)를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교반날개(43)가 용기(1) 내부바닥과 접한 상태에서 회전 중 용기(1) 내부바닥 형상에 따라 탄성부재(443)의 탄성 범위 내에서 샤프트(42)는 완충될 수 있다. 이에 교반날개(43)는 용기(1) 내부바닥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본체부(10), 지지부(30) 및 교반부(40)의 좀더 자세한 세부적인 구성은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하여 공지된 앙금 조리기(공개특허 제10-2016-0121443호)(2016.10.19.)의 테이블, 칼럼부 및 교반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ore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도 7을 더 참고하면, 조절레버(50)는 회전몸체(51) 및 손잡이(52)를 포함하며 수직부(311) 외부둘레에 배치되어 본체부(10) 상면과 접하며 로드(321)가 최하점에 위치하였을 때 교반날개(43)의 하면이 용기(1) 내부바닥과 접하거나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7, the
회전몸체(51)는 수직부(311) 외부둘레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으며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회전몸체(51)는 회전 시 중심이 되는 회전중심(511)을 갖는다. 회전몸체(51)의 외부둘레는 회전중심(511)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제1 접선부(512)와 제2 접선부(513)를 갖는다. 제2 접선부(513)는 회전중심(511)을 기준으로 제1 접선부(512) 보다 더 이격되어 있다. 이에 제2 접선부(513)는 제1 접선부(512)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여기서 이격거리(L)는 유격공간(321a)의 범위와 같거나 짧다. 회전몸체(51)의 회전에 따라 제1 접선부(512) 또는 제2 접선부(513)는 본체부(10) 상면에 선택적으로 접할 수 있다.The
손잡이(52)는 회전몸체(51) 외부둘레의 제1 접선부(512)와 제2 접선부(513) 사이에서 기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있다. 손잡이(52)와 회전몸체(51)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조리사가 직접 파지할 수 있으며 손잡이(52)를 이용하여 회전몸체(51)를 회전중심(511)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이와 같은 조절레버(50)는 수직부(311)에 일측면에 배치되어 본체부(10) 상면과 접하거나,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부(311)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본체부(10) 상면과 접한다.The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교반날개와 용기 내부바닥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교반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stirr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tirring blade and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먼저, 로드(321)가 최상점에 위치하여 지지부(30)가 상승한 상태를 유지한다. 가열부(20)에는 조리원료가 담긴 용기(1)를 놓을 수 있다. 가열부(20)는 조리원료를 기설정된 온도로 가열한다. 교반날개(43)가 용기(1) 내부에 위치하도록 로드(321)는 최하점으로 이동하여 지지부(30)가 하강하도록 한다. 지지부(30) 하강으로 교반날개(43)는 용기(1) 내부로 유입되어 조리원료에 잠긴다. 이때 조리물에 따라 교반날개(43)의 하면이 용기(1) 내부바닥과 접하거나 이격되도록 한다. 먼저, 교반날개(43)의 하면이 용기(1) 내부바닥과 접해야 할 경우 로드(321)와 수직부(311) 상면이 접한 상태에서 회전몸체(51)의 제1 접선부(512)가 본체부(10)의 상면과 접하도록 한다(도 8 참고). 교반날개(43)의 하면은 용기(1) 내부바닥과 접하며 교반 구동부(41) 구동으로 샤프트(42)가 회전하여 교반날개(43)는 용기(1) 내부바닥에 접한 상태로 회전하여 조리원료를 젓는다.First, the
한편, 교반날개(43)의 하면이 용기(1)의 내부바닥과 이격된 상태가 필요한 경우 로드(321)가 수직부(311) 상면과 접한 상태에서 회전몸체(51)의 제2 접선부(513)가 본체부(10)의 상면과 접하도록 회전몸체(51)를 회전시킨다. 제1 접선부(512)와 제2 접선부(513)의 이격거리(L)만큼 수직부(311)는 유격공간(321a) 내에서 기설정된 거리(L2)만큼 상승할 수 있다. 수직부(311)는 이격거리(L)만큼 상승할 수 있다. 수직부(311) 상승으로 수평부(312) 및 수평부(312)와 연결된 교반부(40) 또한 상승하게 된다. 이에 용기(1) 교반날개(43)의 하면은 용기(1) 내부바닥으로 기설정된 거리(L2)만큼 떨어지게 된다(도 9 참조). 교반날개(43)는 용기(1) 내부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교반 구동부(41) 구동으로 샤프트(42)가 회전하여 조리원료를 젓는다. 이에 교반날개(43)가 용기(1) 내부바닥과 접하지 않으므로 교반날개(43)가 용기(1) 내부바닥과 접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발생한 교반날개(43) 하면의 마모 등을 예방할 수 있다.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아울러, 교반날개(43)의 하면이 용기(1) 내부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하면 교반날개(43) 하면과 용기(1) 내부바닥 사이에서 조리원료가 뭉치거나 눌은 경우 교반날개(43) 하면이 용기(1) 내부바닥과 접하도록 회전몸체(51)를 회전시켜 지지부(30)가 하강하도록 한다. 지지부(30) 하강으로 교반부(40) 또한 하강하게 되어 교반날개(43) 하면은 용기(1) 내부바닥과 접하며 뭉친 조리원료를 으깨거나 눌은 조리원료를 긁으면서 회전하여 조리원료를 젓는다.If the lower surface of the
이에, 조리물 조리 요건에 따라 조절레버(50)의 간단한 조작으로 교반날개(43) 하면이 용기(1) 내부바닥과 접하거나 이격되게 하므로 조리물 효율이 향상되며, 교반날개(43) 하면이 용기(1) 내부바닥과 이격되어 회전되므로 용기(1) 내부바닥과 교반날개(43) 하면의 마찰에 의한 교반날개(43) 마모를 예방할 수 있어 교반날개(43)의 수명이 증대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제어부가 제어하는 구성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unit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어부(60)는 가열부(20), 승강 구동부(32) 및 교반 구동부(41)의 기능을 제어한다.The
제어부(60)는 본체부(10)에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조작부(15)를 통해 설정한 설정옵션에 따라 가열부(20), 승강 구동부(32) 및 교반 구동부(41)의 기능을 제어한다.The
제어부(60)는 가열부(20)의 온도를 제어하여 조리원료가 포함된 용기에 가해지는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또한, 제어부(60)는 승강 구동부(32)를 제어하여 지지부(3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60)는 사용자가 설정한 상승시간 및 하강 시간에 맞게 승강 구동부(32)의 동작을 제어하여 지지부(30)의 상승 동작 및 하강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Further, the
또한, 제어부(60)는 조리원료의 종류나 조리원료를 이용하여 조리가 되는 요리의 종류가 입력되면, 해당 조리원료 또는 조리원료를 통해 최종적으로 만들어지는 요리의 종류에 맞게 승강 구동부(3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type of cooking is inputted using the type of cooking material or the cooking material, the
즉, 조리시 조리원료의 각 구성 원료들(즉, 요리 재료들)이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되거나 입력되는 경우에 제어부(60)는 조리원료의 각 원료들(즉, 요리 재료들)의 조리시 발생할 수 있는 덩어리의 무게나 생성위치를 판단하여 승강 구동부(32)의 동작을 제어하여 지지부(30)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여 교반날개(43)를 이용하여 조리중에 용기 내에서 발생되는 조리원료의 덩어리를 분쇄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each constituent material (i.e., cooking material) of the cooking material at the time of cooking is set or inputted by the user, the
예를 들어 조리원료가 조리중에 무거운 덩어리가 잘 생기는 조리원료인 경우에는 덩어리가 용기의 바닥부에 잘 생기게 되므로 승강 구동부(32)의 상승 속도보다 하강 속도가 더 빠르도록 제어하여 교반날개(43)로 용기의 하단부에서 생성되는 조리원료의 덩어리를 분쇄한다.For example, when the cooking raw material is a cooking raw material in which a heavy lump is easily generated during cooking, the lump is easil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lowering speed is controlled to be faster than the rising speed of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또한, 조리원료가 조리중에 가벼운 덩어리가 잘 생기는 조리원료인 경우에는 덩어리가 용기의 상층부에 잘 생기게 되므로 승강 구동부(32)의 상승 속도를 하강 속도 보다 더 빠르도록 제어하여 교반날개(43)로 용기의 상단부에서 주로 생성되는 조리원료의 덩어리를 분쇄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cooking material is a cooking material in which a light lump is easily generated during cooking, the lump is easily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rising speed of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또한, 조리원료가 조리중에 전체적으로 덩어리가 잘 생기는 조리원료인 경우에는 덩어리가 용기의 균일하게 분포하게 되므로 승강 구동부(32)의 상승 속도와 하강 속도를 동일한 속도로 제어하여 교반날개(43)가 용기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생성되는 조리원료의 덩어리를 분쇄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cooking raw material is a raw cooking material in which the lumps are well formed in the whole during cooking, the lumps will uniformly distribute the containers, so that the rising speed and the descending speed of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또한, 제어부(60)는 교반 구동부(41)의 동작을 제어하여 교반날개(43)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Further, the
조리원료의 전체적인 구성 원료들(즉, 요리의 재료들)이 밀도가 높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리과정에서 각 재료들이 골고루 익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반 날개(43)의 회전 속도가 밀도가 낮은 재료들을 조리하는 경우보다 더 빨라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60)는 조리원료의 무게나 밀도에 따라 교반 구동부(41)의 동작을 제어하여 교반 날개(43)의 회전 속도를 조리원료의 무게나 밀도에 따라 최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In the case where the overall constituent materials (i.e., cooking materials) of the cooking material are composed of materials having a high density, in order to uniformly ripen the ingredients in the cooking process, the rotating speed of the stirring
도 11은 본 발명의 조작부의 디스플레이 패널 및 조작부의 기능버튼을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functional buttons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operation unit of the oper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를 이용하여 기능버튼을 통해 제어부(60)를 제어하여 본 발명의 조리 종류에 따라 조리 과정을 제어하는 교반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1, control of the stirring unit for controlling the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the cooking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조작부(15)의 전원 버튼(151)은 본 발명의 조리 종류에 따라 조리 과정을 제어하는 교반장치의 전원을 온(ON) 및 오프(OFF) 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디스플레이패널(152)은 각 기능별 버튼의 동작에 따른 기능을 표시하고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표시한다.The
기능버튼(153)은 대기 상태에서 온도 설정 및 가열 조건을 선택하는 버튼이다.The
여기서, 대기 상태는 전원 버튼(151)을 온(ON) 시키면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되는 화면 상태를 의미한다. 대기 상태에서는 도 11의 대기화면에서와 같이 현재 온도가 점멸되어 표시된다.Here, the standby state means a screen stat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when the
기능 버튼(153)을 1회 누르면, 가열온도를 설정하는 가열온도 설정메뉴가 표시된다. 여기서, 가열온도는 조리원료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최대로 가열하는 온도를 의미한다.When the
가열온도 설정메뉴에서는 온도/시간 버튼(155)을 이용하여 온도를 설정한다.In the heating temperature setting menu, the temperature is set using the temperature /
이때, 온도 범위는 0도에서 100도까지 설정 가능하고 설정범위는 1도 단위로 조정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temperature range can be set from 0 degree to 100 degree, and the setting range can be adjusted in 1 degree unit.
기능 버튼(153)을 2회 누르면, 설정 온도 도달 후에 추가로 가열해 주는 추가 가열시간을 설정하는 추가 가열시간메뉴가 표시된다. 여기서, 추가 가열시간은 1분에서 10분 사이에서 1분 간격으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추가 가열시간은 설정온도 도달 후 초기 1회만 실행된다.When the
기능 버튼(153)을 3회 누르면, 설정된 추가 가열시간 후 가열 정지시간을 설정하는 메뉴가 표시된다.When the
가열 정지시간은 1초에서 180초 사이에서 1초 간격으로 설정 가능하다.The heating stop time can be set between 1 second and 180 seconds at intervals of 1 second.
가열 정지시간은 조리원료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에 조리가 되는 음식의 숙성 및 뜸을 들이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다.The heating stopping time is a time required for the fermentation of the food to be cooked when the food is cooked by using the cooking ingredients.
기능 버튼(153)을 4회 누르면, 전체 조리시간을 설정하는 메뉴가 표시된다.When the
전체 조리시간은 최대 120분까지 설정 가능하고 1분단위로 조정 가능하다.The total cooking time can be set up to 120 minutes and can be adjusted up to 1 minute.
도 11의 작동화면1은 가열온도가 95도로 설정되어 있고 전체 조리시간이 표시되어 있다.In the
도 11의 작동화면2는 가열부(20)가 가열되어 현재온도(즉, 용기내 조리온도)가 설정된 가열온도 이상인 경우에 제어부(60)가 가열부(2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11 shows that the
도 11의 메모리1 화면은 메모리 버튼(157)을 눌러 메모리에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을 저장하는 화면으로, 가열온도가 85도로 설정되어 있고 가열시간은 5분으로 설정되어 있고 비가열시간은 10분으로 설정되어 있고 전체 조리시간은 1시간 30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11 is a screen for storing a desired setting in the memory by pressing the
리프트 버튼(156)은 지지부(30)의 위치 및 지지부(30)의 승강 속도를 제어하는 버튼이다.The
조리 중에도 리프트 버튼(156)을 이용하여 지지부(30)를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It is possible to raise and lower the
지지부(30)가 상승한 후에 하강하게 되면 교반날개(43)을 이용하여 용기 내에 생성되는 조리원료의 덩어리를 분쇄할 수 있다.When the
전원이 오프(OFF) 상태에서 기능버튼(153)을 통해 리프트 설정으로 진입하게 되면 리프트 버튼(156)을 통해 지지부(30)의 상승 및 하강 설정을 하고 온도/시간 버튼(155)을 통해 상승 및 하강 시간을 선택한다. 여기서, 하강 시간은 1분에서 5분 사이에서 1분 간격으로 설정 가능하고, 상승 시간은 0초에서 5초 사이에서 1초 간격으로 설정 가능하다.When the power enters the lift setting via the
조리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면서 용기 내에 생성되는 조리원료의 덩어리를 분쇄하는 동작을 세팅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grinding the mass of the cooking material generated in the container while repeating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cooking is set as follows.
도 11에 도시된 전원 OFF 상태의 대기 화면에서, 기능버튼을 1회 누르면 리프트 기능화면으로 진입한다.On the standby screen in the power OFF state shown in Fig. 11, the function button is pressed once to enter the lift function screen.
리프트 기능화면에서 하강 및 상승 시간을 설정한다. 도 11에서는 하강 5분 상승 5초로 설정되어 있다.Set the falling and rise times on the lift function screen. In Fig. 11, the rising time is set to 5 minutes and the rising time is set to 5 seconds.
그리고, 현재는 예약 시간이 off되어 있으나, 예약 시간을 설정하면, 설정된 예약시간에 상술한 리프트의 하강 및 상승시간에 따라 지지부(30)가 상승 및 하강을 하면서 용기 내에 생성되는 조리원료의 덩어리를 분쇄하는 동작을 수행한다.If the reserved time is set at present, if the set time is set, the
이때, 교반날개(43)의 회전은 계속되므로 용기 내의 음식물을 교반날개(43)가 저어가면서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여 용기내에 형성되는 음식물 덩어리를 분쇄한다.At this time, since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메모리 버튼(157)은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을 저장하는 버튼이다. 사용자는 조리원료와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가열온도, 가열시간, 비가열 시간, 전체 조리 시간을 설정하여 제어부(60)에 저장할 수 있다.The
탐색버튼(158)은 제어부(60)에 저장된 메모리 설정을 불러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도 12는 제어부의 동작을 통해 본 발명의 조리 종류에 따라 조리 과정을 제어하는 교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tirr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the cooking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part.
먼저, 1단계로 사용자는 조작부(15)를 이용하여 조리원료를 조리할 가열온도를 설정한다. 이후, 2단계로 설정된 가열온도에 도달한 후에 추가로 가열한 추가 가열시간(①)을 설정한다.First, in a first step, the user sets the heating temperature at which the cooking material is to be cooked by using the
도 12에서는 가열시간이 100도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추가 가열시간(①)은 설정된 가열온도에 도달한 후에 1회만 동작한다. 추가 가열시간(①) 동안은 설정된 가열온도의 100%의 열로 가열을 한다.In Fig. 12, the heating time is set to 100 degrees. Further, the additional heating time (1) is operated only once after reaching the set heating temperature. During the additional heating time (①), heat with 100% of the set heating temperature.
3단계로 가열 정지시간(②)을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 정지시간(②)은 음식물의 숙성과 뜸을 들이기 위한 시간으로 동일한 전체 조리 시간 동안 동일한 조리원료를 이용하여 조리를 할지라도 가열 정지시간(②)에 따라 완성된 음식물의 식감이나 맛이 달라질 수 있다.Set the heating stop time (②) in 3 steps. 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stopping time (②) is the time for immersing and mating the food, and even if the same cooking material is used for the same whole cooking time, Taste can vary.
4단계로 전체 조리시간(T)을 설정한다.The entire cooking time (T) is set in four steps.
5단계로 비가열시간(Nt)을 설정한다. 비가열시간(Nt)이후에는 제어부(60)는 고정된 1분(At)간 자동적으로 설정된 가열온도의 60%~70%에 해당하는 열로 조리원료를 가열한다.Set the non-heat-up time (Nt) in five steps. After the non-heating time (Nt), the
6단계로 제어부(60)는 비가열시간(Nt)과 고정된 1분(At)의 합인 반복 조리시간(Rt) 동안 비가열 및 가열 동작을 전체 조리시간(T)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도 12에서는 전체 조리시간(T) 중에서 반복 조리시간(Rt)이 3회 반복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The
여기서, 상술한 가열온도, 추가 가열시간(①), 가열 정지시간(②), 전체 조리시간(T), 비가열시간(Nt)은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될 수도 있고, 제어부(60)에 조리원료 및 조리원료를 이용하여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입력하면 제어부(60)가 해당 조리원료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최적으로 조리하기 위해 자동을 설정할 수도 있다.The heating temperature, the additional heating time (1), the heating stop time (2), the total cooking time T and the non-heating time Nt may be set by the user, And the food to be cooked is input using the cooking material, the
이렇게 제어부(60)는 설정온도까지 가열부(20)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용기내의조리중인 음식물의 온도가 설정된 가열온도에 도달하면, 가열부(20)의 전원을 온(ON)과 오프(OFF)로 반복하여 설정된 가열온도와 음식물이 최적으로 익혀지도록 하는 기준온도에서 온도 펄스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한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food in the container reaches the set heating temperature after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이렇게 전체 조리시간(T) 동안 설정된 가열온도와 음식물이 최적으로 익혀지도록 하는 기준온도에서 온도 펄스가 일정하게 유지되면, 조리되는 음식물이 너무 푹 익지도 않고 설 익지도 않은 상태에서 최적의 맛이 나도록 익혀질 수 있는 것이다.Thus, if the temperature pulse is maintained constant at the heating temperature set during the entire cooking time (T) and at the reference temperature for the food to be optimally cooked, the food to be cooked will not be too ripe, It can be learn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 용기 100: 교반장치
10: 본체부 11: 조리공간
20: 가열부 30: 지지부
31: 케이스 311: 수직부
312: 수평부 32: 승강 구동부
321: 로드 321a: 유격공간
322: 구동몸체 33: 가이드 레일
34: 가이드 블록 40: 교반부
41: 교반 구동부 411: 모터
412: 풀리 413: 벨트
42: 샤프트 421: 제1 부재
422: 제2 부재 43: 교반날개
44: 교반 텐션부 441: 텐션 하우징
441a: 배치공간 442: 텐션볼
443: 탄성부재 444: 덮개
50: 조절레버 51: 회전몸체
511: 회전중심 512: 제1 접선부
513: 제2 접선부 L: 이격거리
52: 손잡이 60 : 제어부1: vessel 100: stirring apparatus
10: main body part 11: cooking space
20: heating part 30:
31: Case 311:
312: horizontal part 32:
321:
322: drive body 33: guide rail
34: Guide block 40: Agitator
41: stir driving part 411: motor
412: pulley 413: belt
42: shaft 421: first member
422: second member 43: stirring blade
44: stirring tension section 441: tension housing
441a: Arrangement space 442: Tension ball
443: elastic member 444: cover
50: control lever 51: rotating body
511: rotation center 512: first tangential line
513: second tangential portion L: separation distance
52: handle 60:
Claims (9)
상기 용기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
상기 본체부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는 지지부,
상기 용기 내부바닥의 마주하는 교반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조리원료를 교반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된 교반부
상기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여 상기 용기에 가해지는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승강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승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지지부 외부둘레에 배치되어 회전할 수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본체부 상면과 접하며 최하점으로 하강한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켜 상기 교반날개가 상기 용기 내부바닥에서 이격되도록 하는 조절레버
를 포함하는 조리 종류에 따라 조리 과정을 제어하는 교반장치.A main body portion having a cooking cavity in which a container accommodating the cooking raw material is located,
A heating unit for applying heat to the container,
A support portion arrang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on the main body portion,
And a stirrer for stirring the cooking material and being connected to the stirring part,
A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part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supporting par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ing unit to control the temperature applied to the container and controlling the elevation driving unit to elevate the supporting uni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 adjusting lever which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portion and is rotatabl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which lifts the support portion which has descended to the lowermost point,
And controlling the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the cooking type.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온도가 설정되면, 설정온도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후 상기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가열부의 전원을 온(ON)과 오프(OFF)로 반복하여 상기 설정 온도와 기준온도에서 온도 펄스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리원료가 최적으로 조리되고 상기 조리원료의 덩어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조리원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교반날개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리원료의 덩어리가 발생하면 이를 분쇄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부를 일정 간격으로 상하 이동시켜 상기 용기의 바닥에 형성되는 상기 조리원료 덩어리를 상기 교반날개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분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종류에 따라 조리 과정을 제어하는 교반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repeatedly rais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to ON and OFF when the temperature is set by the user and then raises the temperature to the set temperature, Control to keep the pulse constant,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stirring blades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cooking raw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the cooking raw material from being cooked optimally and to form a lump of the cooking raw material,
Wherein when the lump of the cooking material is generated, the support is moved up and down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crush the lump of the cooking material so that the lump of the cooking material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is repeatedly crushed using the stirring vane. An agitator for controlling the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the type.
상기 조절레버는,
회전중심을 가지며 상기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거리로 떨어져 있는 제1 접선부와 제2 접선부가 외부둘레에 형성된 회전몸체, 그리고
상기 회전몸체와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
를 포함하는
조리 종류에 따라 조리 과정을 제어하는 교반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lever comprises:
A rotating body having a first tangential line portion and a second tangential line portion having outer peripheral portions spaced at different distances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And a handle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Containing
A stirr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the cooking type.
상기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접선부는 상기 제1 접선부보다 더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접선부와 상기 제2 접선부는 상기 회전몸체의 회전으로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접하는
조리 종류에 따라 조리 과정을 제어하는 교반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tangential portion is further away from the first tangentia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e first tangential portion and the second tangential portion selectivel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by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A stirr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the cooking type.
상기 지지부가 최하점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선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접하면 상기 교반날개 하면은 상기 용기 내부바닥의 접하며, 상기 지지부가 최하점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접선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접하면 상기 지지부의 상승으로 상기 교반날개 하면은 상기 용기 내부바닥의 이격되는
조리 종류에 따라 조리 과정을 제어하는 교반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first tangential lin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is lowered to the lowermost point, the lower surface of the stirring wing touches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the second tangential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container,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A stirr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the cooking type.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레버가 결합된 케이스,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가 상기 케이스와 유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승강하는 상기 케이스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블록
을 포함하는
조리 종류에 따라 조리 과정을 제어하는 교반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support portion
A cas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coupled with the control lever,
A lifting drive part including a rod, the rod being connected to the case at a clearance and lifting the case,
A guide rail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ase and guiding the case to be raised and lowered,
Containing
A stirr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the cooking type.
상기 제2 접선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접하면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유격 범위 내에서 상승하고, 상기 케이스 상승으로 상기 교반날개의 하면은 상기 용기의 내부바닥으부터 떨어지는
조리 종류에 따라 조리 과정을 제어하는 교반장치.The method of claim 6,
The case rises within the clearance range when the second tangential line portion abu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irring blade falls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container
A stirr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the cooking type.
상기 교반부는,
상기 교반날개와 연결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동력 연결된 교반 구동부 및
상기 샤프트 상단과 상기 지지부의 수평부 내부 상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샤프트를 완충지지하는 교반 텐션부
를 포함하는
조리 종류에 따라 조리 과정을 제어하는 교반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tirring unit
A shaft connected to the stirring vane,
An agitating drive unit connected to the shaft,
And a stirring tension unit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haft and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rt of the support part to buffer and support the shaft,
Containing
A stirr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the cooking type.
상기 교반 텐션부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 상단과 결합된 텐션 하우징,
상기 텐션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수평부 내부 상면과 접하는 텐션볼 및
상기 텐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텐션볼이 상기 수평부 내부 상면과 접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날개에 외력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면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면서 상기 샤프트는 상승하는
조리 종류에 따라 조리 과정을 제어하는 교반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irring tension portion
A tension housing having an upper surface open and coupled with an upper end of the shaft,
A tension ball coupled to the tension housing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An elastic member disposed inside the tension housing and applying an elastic force such that the tension ball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 RTI >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tirring van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force is increased, the elastic member is compressed,
A stirr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the cooking ty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6368A KR101975838B1 (en) | 2018-03-29 | 2018-03-29 | Cooking device to control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cooking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6368A KR101975838B1 (en) | 2018-03-29 | 2018-03-29 | Cooking device to control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cooking typ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5838B1 true KR101975838B1 (en) | 2019-05-09 |
Family
ID=6654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6368A Active KR101975838B1 (en) | 2018-03-29 | 2018-03-29 | Cooking device to control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cooking ty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5838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4271B1 (en) * | 2021-01-29 | 2021-03-31 | 주식회사 키친엑스 | Automatic food cooker |
KR102234269B1 (en) * | 2021-01-29 | 2021-03-31 | 주식회사 키친엑스 | Automatic food cooker |
KR102234272B1 (en) * | 2021-01-29 | 2021-03-31 | 주식회사 키친엑스 | Automatic food cooker |
KR20210057592A (en) * | 2019-11-12 | 2021-05-21 | (주)쿠첸 | Cooking apparatus for storing custom recipe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20210089843A (en) * | 2020-01-09 | 2021-07-19 |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 Double boiler cooker |
KR20210100852A (en) | 2020-02-07 | 2021-08-18 |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 Fixing apparatus for cooking vessel and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WO2022220563A1 (en) * | 2021-04-13 | 2022-10-20 | 김홍배 | Home-use heating-type bean cur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ean curd manufactured thereby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36156U (en) * | 1996-09-25 | 1997-04-15 | 日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Manual lifting type agitator |
KR20110013882A (en) * | 2009-08-04 | 2011-02-10 | 임성일 | Dispenser with rotary control lever |
KR20110024411A (en) * | 2009-09-02 | 2011-03-09 | 신일순 | Drosophila Food Maker |
KR200466194Y1 (en) | 2011-08-10 | 2013-04-03 | 김승렬 | Large Size Cooker |
KR20130112425A (en) * | 2012-04-04 | 2013-10-14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instant gruel manufacturing |
KR20160121443A (en) | 2015-04-10 | 2016-10-19 |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 sediment cooker |
-
2018
- 2018-03-29 KR KR1020180036368A patent/KR10197583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36156U (en) * | 1996-09-25 | 1997-04-15 | 日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Manual lifting type agitator |
KR20110013882A (en) * | 2009-08-04 | 2011-02-10 | 임성일 | Dispenser with rotary control lever |
KR20110024411A (en) * | 2009-09-02 | 2011-03-09 | 신일순 | Drosophila Food Maker |
KR200466194Y1 (en) | 2011-08-10 | 2013-04-03 | 김승렬 | Large Size Cooker |
KR20130112425A (en) * | 2012-04-04 | 2013-10-14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instant gruel manufacturing |
KR20160121443A (en) | 2015-04-10 | 2016-10-19 |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 sediment cooker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57592A (en) * | 2019-11-12 | 2021-05-21 | (주)쿠첸 | Cooking apparatus for storing custom recipe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102311290B1 (en) * | 2019-11-12 | 2021-10-14 | (주)쿠첸 | Cooking apparatus for storing custom recipe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20210089843A (en) * | 2020-01-09 | 2021-07-19 |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 Double boiler cooker |
KR102370281B1 (en) | 2020-01-09 | 2022-03-04 |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 Double boiler cooker |
KR20210100852A (en) | 2020-02-07 | 2021-08-18 |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 Fixing apparatus for cooking vessel and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KR102234271B1 (en) * | 2021-01-29 | 2021-03-31 | 주식회사 키친엑스 | Automatic food cooker |
KR102234269B1 (en) * | 2021-01-29 | 2021-03-31 | 주식회사 키친엑스 | Automatic food cooker |
KR102234272B1 (en) * | 2021-01-29 | 2021-03-31 | 주식회사 키친엑스 | Automatic food cooker |
WO2022220563A1 (en) * | 2021-04-13 | 2022-10-20 | 김홍배 | Home-use heating-type bean cur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ean curd manufactured thereb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5838B1 (en) | Cooking device to control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cooking type | |
KR101626918B1 (en) | A blender available for high-frequency induction heating | |
EP1836905B1 (en) | Easily-washing and multifunctional soya-bean milk maker | |
CN108209538B (en) | Pot device suitable for automatic cooker | |
WO2006124051A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dehydrated powedered food | |
KR101034965B1 (en) | mixer | |
CN204232841U (en) | Dian Guo mechanism and there is the cooking machine of Dian Guo mechanism | |
CN102481071A (en) | Automatic bread making machine | |
CN104013299A (en) | Inner pot of automatic cooker | |
CN102781294A (en) | Automatic bread making machine | |
JP2021159302A (en) | Processing method of object to be processed and agitation device | |
US20190290058A1 (en) | Food cooker with detachable stirrer | |
CN108402883A (en) | A kind of household kitchen Multifunctional frying machine | |
CN114246497B (en) | Control method of cooking appliance, cooking applian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CN102665507A (en) | Automatic bread-maker | |
KR101379814B1 (en) | Apparatus for instant gruel manufacturing | |
CN210095472U (en) | Swingable food material scalding and boiling auxiliary device | |
US5860357A (en) | Breadmaker | |
CN206196788U (en) | A kind of three-pawl type heats pony mixer automatically | |
JP2019093132A (en) | Heating cooking device | |
JP2009125516A (en) | Automatic bread maker | |
CN111528681B (en) | A cooking device | |
CN113017394A (en) | Rice cooker and rice washing process | |
CN109864616A (en) | A kind of cooking machine | |
CN106722966A (en) | A kind of portable automatic donkey-hide gelatin cake cooking equipment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