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75818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818B1
KR101975818B1 KR1020180111047A KR20180111047A KR101975818B1 KR 101975818 B1 KR101975818 B1 KR 101975818B1 KR 1020180111047 A KR1020180111047 A KR 1020180111047A KR 20180111047 A KR20180111047 A KR 20180111047A KR 101975818 B1 KR101975818 B1 KR 101975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insulator
cover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욱
Original Assignee
(주)연호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호엠에스 filed Critical (주)연호엠에스
Priority to TW108204382U priority Critical patent/TWM582255U/zh
Priority to CN201920484316.0U priority patent/CN209766680U/zh
Priority to JP2019074526A priority patent/JP6832974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8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일단에는 상대 커넥터와의 접속을 위한 접촉부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터미널; 상기 복수의 터미널이 상호 이격된 형태로 장착되고, 상기 접촉부가 안착되는 텅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와 결합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차폐쉘;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쉘은, 전방과 후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텅플레이트를 감싸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쉘; 및 상기 제1쉘의 후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의 후방측 개구를 완전히 덮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인슐레이터의 측면부를 덮는 연장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2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접속 기구인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접속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져서 기구적으로 결합되며, 두 전기 커넥터의 터미널 내지 핀이 서로 도통되어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기 커넥터에는 다량의 신호를 빠른 시간 내에 교환하기 위하여 터미널이 복수 개로 구비되며, 터미널이 장착되는 인슐레이터가 복수의 터미널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구성된다.
전기 커넥터는 터미널을 전자기 간섭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금속 등의 재질로 차폐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재질의 쉘(shell)이 인슐레이터에 결합되어 있는 터미널을 감싸도록 구성할 수 있다. 차폐 성능의 향상을 위해서는 쉘이 터미널이 지나는 경로를 최대한 가리도록 설계하는 것이 유리하다.
아래의 선행 특허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는 쉘의 일부를 절개 및 벤딩하여 고정다리, 탄성편, 차폐부 등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 절개된 부분으로 인하여 차폐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리셉터클 커넥터의 후면, 즉 플러그 커넥터가 접속하는 반대편에도 추가적으로 전자기 간섭의 차폐를 위한 구조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선행 특허문헌에 개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와 같이, 단일 부재의 쉘을 벤딩시키는 구조에서는 인슐레이터의 후면 및 측면의 상당 부분이 가려지지 않는다. 또한, 벤딩을 위한 타공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인슐레이터의 노출된 부분과, 쉘의 타공 부분을 통하여 전자기 간섭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가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져 접속되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 두 전기 커넥터의 결합 방향은 회로기판에 평행할 수도 있고, 회로기판에 수직이 될 수도 있다. 플러그 커넥터가 회로기판에 평행한 방향으로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의 수용부가 회로기판에 평행한 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를 가지고, 회로기판과 마주하는 수용부의 하면 일부가 절개되어 탄성편을 형성한다. 상기 구조에서, 전기 커넥터를 회로기판에 솔더링시, 미세하게 비산된 플럭스가 절개된 부분을 통하여 수용부 내로 침투할 가능성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2443호 (2018.02.06. 공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터미널이 지나는 경로를 전자기 간섭으로부터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전기 커넥터를 회로기판에 솔더링시 비산된 플럭스가 수용부 내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일단에는 상대 커넥터와의 접속을 위한 접촉부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터미널; 상기 복수의 터미널이 상호 이격된 형태로 장착되고, 상기 접촉부가 안착되는 텅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와 결합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차폐쉘;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쉘은, 전방과 후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텅플레이트를 감싸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쉘; 및 상기 제1쉘의 후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의 후방측 개구를 완전히 덮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인슐레이터의 측면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연장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2쉘;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쉘의 후면부에는 요철 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쉘에는 상기 요철 형태로 형성되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와 끼움부가 맞물리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장 플레이트 사이에는 홀 형태의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쉘은 상기 수용부의 하면 전단부에서 180도로 벤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용부의 하면을 완전히 덮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쉘은 상기 커버부의 후단에서 벤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터와 복수의 터미널은 상기 차폐부와 제2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하면에는 일부가 절개 및 벤딩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편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탄성편이 하방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방으로 함몰된 엠보스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쉘은 상기 커버부의 양측에서 벤딩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는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되어 솔더링되는 고정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터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인슐레이터 바디와, 상기 인슐레이터 바디의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기 텅플레이트 및 상기 인슐레이터 바디의 하부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 플레이트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보다 높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접촉부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상부 접촉부를 갖는 제1 터미널과, 상기 접촉부가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하부 접촉부를 갖는 제2 터미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텅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접촉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텅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 접촉부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은 상기 텅플레이트에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일단에는 상대 커넥터와의 접속을 위한 접촉부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터미널; 상기 복수의 터미널이 상호 이격된 형태로 장착되고, 상기 접촉부가 안착되는 텅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와 결합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차폐쉘;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쉘은, 전방과 후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텅플레이트를 감싸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쉘; 및 상기 제1쉘의 후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의 후방측 개구를 완전히 덮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2쉘;을 포함하고, 상기 제1쉘의 후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차폐부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터미널은 상기 차폐부와 제2쉘 사이에 배치된다.
상술한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일단에는 상대 커넥터와의 접속을 위한 접촉부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터미널; 상기 복수의 터미널이 상호 이격된 형태로 장착되고, 상기 접촉부가 안착되는 텅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인슐레이터; 및 상기 텅플레이트를 감싸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슐레이터와 결합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차폐쉘;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의 하면에는 상기 하면의 일부가 절개 및 벤딩된 탄성편이 구비되고, 상기 차폐쉘은 상기 수용부의 하면 전단부에서 벤딩되어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커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탄성편으로 인해 형성된 개구를 덮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수용부의 하면을 완전히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탄성편이 하방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방으로 함몰된 엠보스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쉘은 상기 커버부의 양측에서 벤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상기 연장부의 하단에는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되어 솔더링되는 고정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쉘은 상기 커버부의 후단에서 벤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터미널은 상기 차폐부와 제2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쉘은, 전방과 후방으로 개구되는 상기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쉘; 및 상기 제1쉘의 후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의 후방측 개구를 완전히 덮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인슐레이터의 측면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연장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2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쉘의 후면부에는 요철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쉘에는 요철 형태로 형성되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와 끼움부가 맞물리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장 플레이트 사이에는 홀 형태의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서는 제2쉘이 제1쉘의 후방측에 외곽부가 맞물리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수용부의 후방측 개구를 완전히 덮도록 배치되는바, 차폐쉘의 차폐면을 절곡하여 인슐레이터의 후면을 가리는 기존의 구조 대비 인슐레이터의 후면이 보다 많이 가려질 수 있어서, EMI 차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쉘의 연장 플레이트가 인슐레이터의 좌우 측면부 상단보다 높게 연장 형성됨으로써, 측방향에서의 EMI 차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쉘의 커버부의 후단부에 차폐부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차폐부와 제2쉘의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복수의 터미널이 상하로 연장 배치됨으로써,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차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수용부의 하면에 상기 하면의 일부가 절개 및 벤딩된 탄성편이 구비되고, 차폐쉘에 수용부의 하면 전단부에서 벤딩되어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커버부가 구비되며, 커버부가 탄성편으로 인해 형성된 개구를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전기 커넥터를 회로기판에 솔더링시 비산된 플럭스가 수용부 내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장기간 사용에 있어서 수용부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에는 상기 탄성편이 탄성 작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홈 형태의 엠보스드부가 마련되어 탄성편의 작용을 간섭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회로기판으로부터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쉘의 저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서 인슐레이터와 터미널의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의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상면도, 전면도, 하면도, 측면도, 후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HDMI 방식의 A 타입 리셉터클 커넥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HDMI 방식 외의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회로기판으로부터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쉘의 저부를 보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서 인슐레이터와 터미널의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에서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일단에는 플러그 커넥터(상대 커넥터)(미도시)와의 접속을 위한 접촉부(52,57)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회로기판(60)에 실장되는 실장부(53,58)를 구비하는 복수의 터미널(50,55); 상기 복수의 터미널(50,55)이 상호 이격된 형태로 장착되고, 상기 접촉부(52,57)가 안착되는 텅플레이트(43)를 구비하는 인슐레이터(40); 및 상기 인슐레이터(40)와 결합되고, 상기 회로기판(60)에 장착되는 차폐쉘(10,30)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쉘(10,30)은, 전방과 후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텅플레이트(tongue-plate)(43)를 감싸는 수용부(11)를 구비하는 제1쉘(10); 및 상기 제1쉘(10)의 후방측에 상기 수용부(11)의 후방측 개구를 완전히 덮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를 구비하는 제2쉘(30)을 포함하고, 상기 제2쉘(30)의 연장 플레이트(35)가 상기 인슐레이터(40)의 측면부(41,46)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인슐레이터(40), 터미널(50,55) 및 차폐쉘(10,30)을 포함한다.
인슐레이터(40)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로 형성된다. 인슐레이터(40)에는 복수의 터미널(50,55)이 결합되고, 인슐레이터(40)는 이러한 복수의 터미널(50,55)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구성된다.
인슐레이터(40)는 수직 방향으로 직립한 상자 형태로 형성되는 인슐레이터 바디(41)와 상기 인슐레이터 바디(41)의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텅플레이트(43) 및 상기 인슐레이터 바디(41)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 플레이트(46)를 포함한다.
인슐레이터 바디(41)에는 터미널(50,55)이 관통 설치된다. 터미널(50,55)은 인슐레이터 바디(41)에 삽입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터미널(50,55)의 주몸체부(51,56)는 인슐레이터 바디(41)에 삽입되고, 터미널(50,55) 상단의 접촉부(52,57)는 인슐레이터 바디(41)의 전방 상부에 노출되고, 터미널(50,55) 하단의 실장부(53,58)는 인슐레이터 바디(41)의 하부에 노출될 수 있다. 터미널(50,55)은 인슐레이터(40)에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삽입될 수 있다.
텅플레이트(43)는 인슐레이터 바디(41)의 상부 일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텅플레이트(43)는 터미널(50,55)의 접촉부(52,57)를 장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따라, 인슐레이터 바디(41)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텅플레이트(43)는 인슐레이터 바디(41)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즉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대 커넥터와의 조립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인슐레이터 바디(41)의 높이는 높게 형성되고, 텅플레이트(43)는 인슐레이터 바디(4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40)의 텅플레이트(43)에는 터미널(50,55)의 접촉부(52,57)가 안착되고 노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시된 HDMI 커넥터에서는 커넥터의 소형화 추세와 터미널(50,55) 부재의 고밀도 배열에 대한 요구로 인해, 복수의 터미널(50,55)이 텅플레이트(43)의 상하면으로 각각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텅플레이트(43)에는 홈으로 형성되는 안착부(44,45)가 마련된다(도 7 참조). 안착부(44,45)는 터미널(50,55)의 갯수 이상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안착부(44,45)는 텅플레이트(43)의 상면 및 하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44,45)는 텅플레이트(43)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안착부(44)와 텅플레이트(43)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안착부(45)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안착부(44)와 제2 안착부(45)는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정면에서 보았을 때,일측으로부터 제1 안착부(44), 제2 안착부(45), 제1 안착부(44), 제2 안착부(45), 제1 안착부(44), 제2 안착부(45)...와 같은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안착부(44)와 제2 안착부(45)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됨으로써 터미널(50,55)들은 간섭되거나 교차하지 않은 채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안착부(44,45)에 의해 터미널(50,55)은 텅플레이트(43)의 상하면에 각각 배치된다.
텅플레이트(43)에는 안착부(44,45)의 전,후단부에 각각 접촉부홀(48)이 안착부(44,45)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접촉부홀(48)은 접촉부(52,57)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각각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측면 플레이트(46)가 인슐레이터 바디(41)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측면 플레이트(46)는 인슐레이터 바디(41)의 양측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46)는 텅플레이트(43)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마련된다.
인슐레이터(40)의 하부에는 회로기판(60)에 지지되는 지지부(47)가 구비된다. 지지부(47)가 회로기판(60)에 지지됨으로써, 전기 커넥터가 회로기판(60)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47)는 인슐레이터 바디(41) 또는 측면 플레이트(46)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47)는 인슐레이터 바디(41)의 하면 또는 측면 플레이트(46)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7)는 측면 플레이트(46)의 전,후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7)는 차폐쉘(10,30)이 회로기판(60)에 결합되는 경우, 회로기판(60)에 접촉하여 지지력을 갖는다.
인슐레이터 바디(41)의 하면에는 하부홈(42)이 형성되어, 터미널(50,55)의 실장부(53,58)가 배치 및 노출된다.
측면 플레이트(46) 또는 인슐레이터 바디(41)의 하부에는 끼움돌기(49)가 마련되어 차폐쉘(10,30)의 제1쉘(10)이 끼움 결합된다. 제1쉘(10)의 후방으로부터 인슐레이터(40)를 전방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제1쉘(10)의 측면다리부(25)가 끼움돌기(49)에 의해 결합된다.
터미널(50,55)은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터미널(50,55)의 일단부(상단부)는 접촉부(52,57)로서 상대 커넥터(미도시)의 접촉핀과 접촉되어 상호 분리되어 있던 두 전기 회로를 연결하고, 터미널(50,55)의 타단부는 실장부(53,58)로서 회로기판(60)의 터미널 접속부(62)에 솔더링되어 회로기판(60)의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터미널(50,55)의 주몸체부(51,56)는 지면 또는 수직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터미널(50,55)의 상단부에는 접촉부(52,57)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터미널(50,55)의 하단부에는 실장부(53,58)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터미널(50,55)은 복수개가 나란히 배치된다. 터미널(50,55)은 제1 터미널(50)과 제2 터미널(55)로 구분(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터미널(50)과 제2 터미널(55)의 주몸체부(51,56)와 실장부(53,58)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터미널(50)의 접촉부를 제1 접촉부 또는 상부 접촉부(52)라고 하기로 하고, 제2 터미널(55)의 접촉부를 제2 접촉부 또는 하부 접촉부(57)라고 하기로 한다.
제1 터미널(50)의 상부 접촉부(52)는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다. 제1 터미널(50)의 상부 접촉부(52)는 제1 안착부(44)에 장착되어 텅플레이트(43)의 상면에 노출된다.
제2 터미널(55)의 하부 접촉부(57)는 하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다. 제2 터미널(55)의 하부 접촉부(57)는 제2 안착부(45)에 장착되어 텅플레이트(43)의 하면에 노출된다.
상부 접촉부(52)의 전,후단 및 하부 접촉부(57)의 전,후단은 각각 텅플레이트(43)의 접촉부홀(48)에 배치된다.
전기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가 체결시, 인슐레이터(40)의 텅플레이트(43)는 상대 커넥터의 삽입홈으로 삽입되며, 이에 따라, 상부 접촉부(52)와 하부 접촉부(57)는 대응되는 상대 커넥터의 상부 접촉자 및 하부 접촉자와 각각 접촉된다.
터미널(50,55)의 실장부(53,58)는 인슐레이터(40)의 하부에 노출되어, 회로기판(60)의 회로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실장부(53,58)는 회로기판(60)의 터미널 접속부(62)에 솔더링 결합될 수 있다.
차폐쉘(10,30)은 인슐레이터(40)에 결합된 상태로 회로기판(60)에 결합되어, 인슐레이터(40)와 터미널(50,55)을 지지하고 보호하며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 공간을 제공한다. 차폐쉘(10,30)은 인슐레이터(40)와 함께 회로기판(60)에 결합된다.
차폐쉘(10,30)은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부(11)를 구비하고,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차폐쉘(10,30)의 수용부(11)는 인슐레이터(40)의 텅플레이트(43) 및 상기 텅플레이트(43)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노출되는 터미널(50,55)의 접촉부(52,57)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차폐쉘(10,30)은 회로기판(60)에 솔더링되는 복수의 고정핀(2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지될 수 있으며, 이로써 인슐레이터(40)에 수용된 터미널(50,55)들이 외부 전자기 간섭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EMI 차폐). 회로기판(60)에는 복수의 고정핀(21)에 대응되는 복수의 삽입홀(61)이 형성된다. 복수의 고정핀(21)은 복수의 삽입홀(61)에 각각 삽입된 후, 솔더링되어 회로기판(6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수용부(11)의 하면에는 탄성편(17)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하면의 일부가 절개 및 벤딩되어 탄성편(17)을 형성할 수 있다. 탄성편(17)의 일부는 수용부(1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수용부(11) 내로 상대 커넥터가 삽입될 때 탄성력을 가하며 탄성 변형된다. 이처럼, 탄성편(17)은 상대 커넥터를 수용부(11) 내에서 탄성 지지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대 커넥터에는 탄성편(17)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대 커넥터의 삽입이 완료되면, 수용부(11)의 내측으로 돌출된 탄성편(17)의 일부가 상대 커넥터의 홈에 끼워져 클릭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쉘(10)과 제2쉘(30)이 결합되어 차폐쉘(10,30)을 구성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폐쉘(10,30)은 단일 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쉘(10)은 금속성 재료로 형성된다. 제1쉘(10)은 인슐레이터(40)를 수용하고 지지한다. 제1쉘(10)은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대 커넥터를 고정 지지한다. 제1쉘(10)은 판상의 재료가 절개 및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쉘(10)은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수용부(11)를 구비한다. 수용부(11)에는 인슐레이터(40)의 텅플레이트(43)가 삽입된다. 수용부(11)의 전방은 개방되어,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어 접속될 수 있다. 수용부(11)의 후방에는 인슐레이터(40)가 삽입되고 제2쉘(30)이 결합된다. 제2쉘(30)은 수용부(11)의 후방측 개구를 덮도록 제1쉘(10)의 후방측에 결합된다. 제2쉘(30)은 수용부(11)의 후방측 개구를 완전히 덮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2쉘(30)은 제1쉘(10)의 후면 외곽부에 치차 형태로 맞물리도록 결합된다.
제1쉘(10)의 후면부(12)는 'ㄷ'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2,4 참조). 후면부(12)에는 요철 형태의 결합부(13)가 형성된다. 후면부(12)는 제1쉘(10)의 외곽면을 따라 형성되므로 제1쉘(10)과 제2쉘(30)의 결합 부분은 외곽부를 따라 형성되고 인슐레이터(40)를 노출시키지 않는다. 후면부(12)는 수용부(11) 및 측면다리부(25)와 접하거나 일부분을 공유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의 배후에는 측면다리부(25)가 형성된다. 측면다리부(25)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측면다리부(25)는 후면부(12)와 접한다. 측면다리부(25)는 인슐레이터(40)의 끼움돌기(49)에 의해 인슐레이터(40)와 결합된다. 측면다리부(25)는 수용부(11)가 회로기판(6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측면다리부(25)의 단부에는 회로기판(60)의 삽입홀(61)에 삽입되어 솔더링되는 고정핀(21)이 형성된다.
제1쉘(10)은 수용부(11)를 형성하는 하면(14) 전단부에서 180°로 벤딩되어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커버부(15)를 포함한다. 커버부(15)는 수용부(11)의 하면(14) 아래에 중첩되게 배치된다. 커버부(15)의 벤딩을 위하여, 수용부(11)의 하면(14) 전단부와 커버부(15) 사이에는 벤딩홀(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딩홀(16)은 벤딩 라인에 대응되는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딩홀(16)은 수용부(11)와 커버부(15)가 포개지도록 접힌 상태에서 홈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커버부(15)는 수용부(11)의 하면(14) 아래에 배치되어, 탄성편(17)에 의해 형성된 개구(탄성편 주변의 개구)(18)를 덮도록 배치된다. 개구(18)는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부(15)는 회로기판(60)과 수용부(11)의 하면(14)에 포개져, 수용부(11)의 하면에 형성된 개구(18)를 가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조에 따라, 전기 커넥터를 회로기판(60)에 솔더링시, 미세하게 비산된 플럭스(flux)가 개구(18)를 통하여 수용부(11) 내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5)는 장기간 사용에 있어서 수용부(11)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수용부(11)의 하면(14)에 형성된 탄성편(17)에 대응하여, 커버부(15)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홈 형태의 엠보스드부(embossed portion)(19)가 형성된다(도 5 참조). 엠보스드부(19)는 수용부(11) 내로 상대 커넥터가 삽입될 때 하방으로 탄성 변형되는 탄성편(17)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엠보스드부(19)는 탄성편(17)이 하방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하방으로 공간적 여유를 두기 위하여 형성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엠보스드부(19)는 탄성편(17)이 동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1쉘(10)은 커버부(15)에서 벤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20)를 더 포함한다. 연장부(20)는 커버부(15)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0)는 측면다리부(25)와 함께 수용부(11)를 회로기판(6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 배치하여 상대 커넥터와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제1쉘(10)을 회로기판(60)에 결합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장부(20)의 단부에는 회로기판(60)의 삽입홀(61)에 삽입되어 솔더링되는 고정핀(21)이 형성된다. 고정핀(21)은 각 연장부(20)의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연장부(20)가 합쳐진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연장부(20)의 일부가 절개 및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솔더 페이스트가 고정핀(21)과 삽입홀(61) 사이의 공간으로 보다 많이 스며들어 솔더링되는 면적이 넓어질 수 있도록, 고정핀(21)에는 노치부(22)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쉘(10)은 커버부(15)의 후단에서 벤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차폐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23)와 제2쉘(30) 사이에는 터미널(50,55)이 장착된 인슐레이터(40)가 배치된다. 즉, 차폐부(23)는 터미널(50,55)과 인슐레이터(40)를 전방에서 가리도록 배치되고, 제2쉘(30)은 터미널(50,55)과 인슐레이터(40)를 후방에서 가리도록 배치된다. 이처럼, 차폐부(23)가 터미널(50,55)의 주몸체부(51,56)를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EMI 차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2쉘(30)은 제1쉘(10)의 후방에 결합되어 제1쉘(10)에 형성된 수용부(11)의 후방측 개구를 덮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2쉘(30)은 인슐레이터(40)의 후면부와 좌우 측면 플레이트(46)를 덮도록 배치되어, EMI 차폐 성능을 향상시킨다.
제1쉘(10)과 제2쉘(30)은 용접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고, 후크 결합 내지는 끼움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쉘(10)의 후면부(12)에 요철(凹凸) 형태의 결합부(13)가 형성되고, 제2쉘(30)에 상기 수용부(11)에 대응되는 요철(凹凸) 형태의 끼움부(33)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제1쉘(10)과 제2쉘(3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이들의 결합 부분은 용접될 수 있다. 제2쉘(30)의 끼움부(33)가 제1쉘(10)의 결합부(13)에 맞물림으로써 인슐레이터(40)의 후면부는 노출되지 않는다. 제1쉘(10)의 결합부(13)와 제2쉘(30)의 끼움부(33)는 이가 맞물리듯이 결합되어 차폐 성능을 향상시킨다.
제2쉘(30)은 평판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의 양측면에서 벤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플레이트(35)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1)는 제1쉘(10)의 후면부(12)를 완전히 덮도록 배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1)의 외곽부(테두리부)에는 제1쉘(10)의 후면부(12)와의 결합을 위해 요철(凹凸) 형태의 끼움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1)는 제1쉘(10)에 수용된 인슐레이터(40)의 후면을 완전히 덮도록 제1쉘(10)의 후면부(12)를 완전히 덮는 크기로 형성된다.
연장 플레이트(35)는 베이스 플레이트(31)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벤딩되어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연장 플레이트(35)는 인슐레이터(40)의 좌우 측면부(41,46)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인슐레이터(40)의 측면부(41,46)는 인슐레이터 바디(41)의 측면과 측면 플레이트(46)를 포함한다. EMI 차폐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연장 플레이트(35)는 인슐레이터(40)의 좌우 측면 플레이트(46)의 상단보다 높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 플레이트(35)는 제1쉘(10)에 형성된 복수의 연장부(20) 중 적어도 하나를 측면에서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연장 플레이트(35)는 제1쉘(10)에 형성된 복수의 연장부(20) 중 적어도 하나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슐레이터(40)의 측면부(41,46)는 제1쉘(10)의 연장부(20)와 측면다리부(25) 및 제2쉘(30)의 연장 플레이트(35)에 의해 차폐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1)와 연장 플레이트(35)의 연결 부분에는 홀 형태의 연결부(36)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6)는 제1쉘(10)의 결합부(13)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부분은 제1쉘(10)의 결합부(13)에 끼워지는 끼움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연장 플레이트(35)의 하부에는 받침부(37)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받침부(37)는 전기 커넥터가 회로기판(60)에 설치되는 경우 회로기판(60)에 접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받침부(37)가 제2쉘(30)을 지지함으로써 전기 커넥터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받침부(37)는 베이스 플레이트(31) 방향으로 벤딩 및 연장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에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상면도, 전면도, 하면도, 측면도,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들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의 전자기 간섭 차폐 및 비산물 침투 방지 효과가 나타나 있다.
도 9의 상면도에는 제1쉘(10)과 제2쉘(30)의 결합 부분(A)은 결합부(13)와 끼움부(33)에 의해 맞물리듯이 결합되어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인슐레이터(40)가 노출되지 않고 완전히 차폐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10의 전면도에는 제1쉘(10)의 수용부(11) 하면(14) 중에서 탄성편(17)이 형성되는 부분(B)이 커버부(15)에 의해 가려짐으로서 수용부(11) 하면에 대한 차폐가 향상되고, 비산물이나 이물질에 의한 침투가 방지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차폐부(23)에 의해 인슐레이터 바디(41)의 하부가 차폐되고, 연장부(20), 측면다리부(25) 및 연장 플레이트(35)에 의해 인슐레이터(40)의 측면부(41,46)가 차폐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11의 하면도에는 엠보스드부(19)가 형성된 커버부(15)에 의해 수용부(11)의 하면(14)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커버부(15)에 의해 인슐레이터(40)는 차폐되어 텅플레이트(43)는 하방으로 전혀 노출되지 않고 있다.
도 12의 측면도에는 제1쉘(10)과 제2쉘(30)이 결합하는 후방 부분(C)이 맞물리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완전히 차폐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40)의 측면부(41,46)도 노출을 최소화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의 후면도에는 제1쉘(10)과 제2쉘(30)이 결합부(13) 및 끼움부(33), 측면다리부(25)와 연결부(36)에 의해 완전히 맞물리는 상태로 결합되어, 인슐레이터(40)의 후면이 전혀 노출되지 않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14 및 도 1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를 보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쉘(110)과 제2쉘(130)이 결합되는 부분(113,133)이나 수용부(111)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뒤 두자리수를 동일하게 표기하였다. 예를 들어 이전 실시예의 인슐레이터 40은 이 실시예에서 인슐레이터 140이다.)
다만, 이 실시예에서는 제2쉘(130)의 연장 플레이트(135)에 고정핀(12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고정핀(121) 중에서 일부는 제1쉘(110)에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제2쉘(13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연장 플레이트(135)는 확장 형성되어 인슐레이터(140)의 측면 플레이트(146)의 대부분을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서는 제2쉘이 제1쉘의 후방측에 외곽부가 맞물리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수용부의 후방측 개구를 완전히 덮도록 배치되는바, 차폐쉘의 차폐면을 절곡하여 인슐레이터의 후면을 가리는 기존의 구조 대비 인슐레이터의 후면이 보다 많이 가려질 수 있어서, EMI 차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쉘의 연장 플레이트가 인슐레이터의 좌우 측면부 상단보다 높게 연장 형성됨으로써, 측방향에서의 EMI 차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쉘의 커버부의 후단부에 차폐부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차폐부와 제2쉘의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복수의 터미널이 상하로 연장 배치됨으로써,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차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수용부의 하면에 상기 하면의 일부가 절개 및 벤딩된 탄성편이 구비되고, 차폐쉘에 수용부의 하면 전단부에서 벤딩되어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커버부가 구비되며, 커버부가 탄성편으로 인해 형성된 개구를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전기 커넥터를 회로기판에 솔더링시 비산된 플럭스가 수용부 내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장기간 사용에 있어서 수용부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에는 상기 탄성편이 탄성 작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홈 형태의 엠보스드부가 마련되어 탄성편의 작용을 간섭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쉘 11 수용부
12 후면부 13 결합부
14 하면 15 커버부
16 벤딩홀 17 탄성편
18 개구 19 엠보스드부
20 연장부 21 고정핀
22 노치부 23 차폐부
25 측면다리부 30 제2쉘
31 베이스 플레이트 33 끼움부
35 연장 플레이트 36 연결부
37 받침부 40 인슐레이터
41 인슐레이터 바디 42 하부홈
43 텅플레이트 44 제1 안착부
45 제2 안착부 46 측면 플레이트
47 지지부 48 접촉부홀
49 끼움돌기 50,55 제1,제2 터미널
51,56 주몸체부 52,57 상부,하부 접촉부
53,58 실장부 60 회로기판
61 삽입홀 62 터미널 접속부

Claims (20)

  1. 일단에는 상대 커넥터와의 접속을 위한 접촉부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터미널;
    상기 복수의 터미널이 상호 이격된 형태로 장착되고, 상기 접촉부가 안착되는 텅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와 결합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차폐쉘;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쉘은,
    전방과 후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텅플레이트를 감싸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쉘; 및
    상기 제1쉘의 후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의 후방측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인슐레이터의 측면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연장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2쉘;을 포함하고,
    상기 제1쉘의 후면부에는 요철 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쉘에는 상기 요철 형태에 대응되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와 끼움부가 맞물리는 방식으로 상기 제1쉘과 상기 제2쉘이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장 플레이트 사이에는 홀 형태의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부에 끼움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쉘은 상기 수용부의 하면 전단부에서 180도로 벤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용부의 하면을 덮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쉘은 상기 커버부의 후단에서 벤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와 복수의 터미널은 상기 차폐부와 제2쉘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하면에는 일부가 절개 및 벤딩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편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탄성편이 하방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방으로 함몰된 엠보스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쉘은 상기 커버부의 양측에서 벤딩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는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되어 솔더링되는 고정핀이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인슐레이터 바디와,
    상기 인슐레이터 바디의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기 텅플레이트 및
    상기 인슐레이터 바디의 하부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플레이트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보다 높게 연장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접촉부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상부 접촉부를 갖는 제1 터미널과,
    상기 접촉부가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하부 접촉부를 갖는 제2 터미널로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텅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접촉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텅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 접촉부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가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은 상기 텅플레이트에 교대로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
  15. 일단에는 상대 커넥터와의 접속을 위한 접촉부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터미널;
    상기 복수의 터미널이 상호 이격된 형태로 장착되고, 상기 접촉부가 안착되는 텅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와 결합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차폐쉘;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쉘은,
    전방과 후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텅플레이트를 감싸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쉘; 및
    상기 제1쉘의 후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의 후방측 개구를 완전히 덮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인슐레이터의 측면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연장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2쉘;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 플레이트는 상기 제1쉘의 일부를 측면에서 덮도록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인슐레이터 바디와,
    상기 인슐레이터 바디의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기 텅플레이트 및
    상기 인슐레이터 바디의 하부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쉘은 상기 수용부의 하면 전단부에서 180도로 벤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용부의 하면을 덮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쉘은 상기 커버부의 양측에서 벤딩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장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를 측면에서 덮도록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
  19.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연장부의 하단에는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되어 솔더링되는 고정핀이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쉘의 후면부에는 요철 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쉘에는 상기 요철 형태에 대응되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와 끼움부가 맞물리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
KR1020180111047A 2018-04-10 2018-09-17 전기 커넥터 Active KR101975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8204382U TWM582255U (zh) 2018-04-10 2019-04-10 電連接器
CN201920484316.0U CN209766680U (zh) 2018-04-10 2019-04-10 电连接器
JP2019074526A JP6832974B2 (ja) 2018-04-10 2019-04-10 電気コネク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41797 2018-04-10
KR1020180041797 2018-04-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818B1 true KR101975818B1 (ko) 2019-05-08

Family

ID=665800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048A Active KR101975811B1 (ko) 2018-04-10 2018-09-17 전기 커넥터
KR1020180111047A Active KR101975818B1 (ko) 2018-04-10 2018-09-17 전기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048A Active KR101975811B1 (ko) 2018-04-10 2018-09-17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32974B2 (ko)
KR (2) KR101975811B1 (ko)
CN (1) CN209766680U (ko)
TW (1) TWM58225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449A (ko) *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터미널 단자
KR20220061169A (ko) * 2019-09-06 2022-05-12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44412B2 (ja) * 2019-12-25 2023-03-22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11539170B2 (en) * 2020-05-13 2022-12-2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shielding surrounding board-to-board connectors in connected state
CN111934119A (zh) * 2020-08-24 2020-11-13 东莞市奇云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hdmi2.1连接器
EP4027465B1 (en) * 2021-01-08 2024-08-07 ABB Schweiz AG Automotive connector cov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893463U (zh) * 2010-11-10 2011-07-06 东莞长安乌沙联基电业制品厂 Hdmi连接器之金属外壳结构
KR20130025049A (ko) * 2011-09-01 2013-03-11 주식회사 후성테크 커넥터
KR20170089515A (ko) * 2016-01-27 2017-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KR20170093481A (ko) * 2016-02-05 2017-08-16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전기 컨넥터
KR20180012443A (ko) 2016-07-27 2018-02-06 주식회사 트래닛 리셉터클 커넥터
KR101843724B1 (ko) * 2016-10-27 2018-03-30 주식회사 트래닛 리셉터클 커넥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893463U (zh) * 2010-11-10 2011-07-06 东莞长安乌沙联基电业制品厂 Hdmi连接器之金属外壳结构
KR20130025049A (ko) * 2011-09-01 2013-03-11 주식회사 후성테크 커넥터
KR20170089515A (ko) * 2016-01-27 2017-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KR20170093481A (ko) * 2016-02-05 2017-08-16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전기 컨넥터
KR20180012443A (ko) 2016-07-27 2018-02-06 주식회사 트래닛 리셉터클 커넥터
KR101843724B1 (ko) * 2016-10-27 2018-03-30 주식회사 트래닛 리셉터클 커넥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169A (ko) * 2019-09-06 2022-05-12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조립체
KR102695403B1 (ko) 2019-09-06 2024-08-16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조립체
KR20210144449A (ko) *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터미널 단자
KR102497452B1 (ko) * 2020-05-22 2023-02-08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터미널 단자
KR20230019480A (ko) * 2020-05-22 2023-02-08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터미널 단자
KR102645473B1 (ko) * 2020-05-22 2024-03-08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터미널 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811B1 (ko) 2019-05-08
JP6832974B2 (ja) 2021-02-24
TWM582255U (zh) 2019-08-11
CN209766680U (zh) 2019-12-10
JP2019186215A (ja)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818B1 (ko) 전기 커넥터
TWI558006B (zh) 對接的第一連接器及第二連接器
US7922534B2 (en) Socket connector
TWI398050B (zh) 電連接器
JP2622940B2 (ja) シールド式電気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US8262414B1 (en) Connector
TWI578629B (zh) 插頭連接器及與之對接的插座連接器
JP6879647B2 (ja) シールド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TWI589071B (zh) 電連接器組合
TW201803224A (zh) 電連接器組合
JP7606661B2 (ja) 基板用コネクタおよび機器
JP3896049B2 (ja) ガイドポスト付静電気放電型コネクタおよびガイド穴付静電気放電型コネクタ
JP2020140787A (ja) 外導体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KR20030052993A (ko) 실드형 커넥터
CN109378608B (zh) 插座连接器
CN112448202A (zh) 电连接器
US689327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grounding means
CN113437556B (zh) 插头连接器、插座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JP3801448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組立体
JP6826773B2 (ja)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装置
JP2008147020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並びに電気コネクタの組立方法
US6293825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383491B1 (ko) 조립이 용이한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CN205863548U (zh) 插座连接器及其连接器组件
JP2006286223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