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737B1 - The fire escaping apparatus using a gallery window in the high building - Google Patents
The fire escaping apparatus using a gallery window in the high buil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5737B1 KR101975737B1 KR1020190006077A KR20190006077A KR101975737B1 KR 101975737 B1 KR101975737 B1 KR 101975737B1 KR 1020190006077 A KR1020190006077 A KR 1020190006077A KR 20190006077 A KR20190006077 A KR 20190006077A KR 101975737 B1 KR101975737 B1 KR 1019757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ed
- frame
- locking
- fire
- wi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2778 mo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0369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7 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2 ve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 내 에어컨 실외기가 설치되는 갤러리 창에 설치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에어컨 실외기로부터 배출되는 열기를 건물 바깥으로 내보내는 열기 배출구로 활용되는 한편, 고층 건물 내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되었을 때에는 건물 내부에 갇힌 사람이 화재를 피해 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화재 피난 장치로 구조 변경될 수 있는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vacuating apparatus using a gallery window in a high-rise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evacuating apparatus using a gallery window in a high-rise building, In the case of a fire or disaster in a high-rise building, a person trapped inside the building can move to the lower floor to avoid fire. In a high-rise building where the building can be changed to a fire evacuation system using a gallery window And the evacuation device.
일반적으로, 현대에는 건축물 내부의 거주 공간을 확대함과 더불어 좁은 부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고층 건물이 증대되고 있는바, 상기 고층 건물에는 통상적으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주출입문이 갖추어지고, 상기 주출입문의 반대편으로는 베란다나 에어컨 실외기가 설치되는 갤러리창(Gallery window)이 설치된다.Generally, in the modern age, the number of high-rise buildings has been increased in order to expand the residential space inside the building and effectively utilize the narrow space. In the high-rise building, a main entrance door is generally provided for people to enter, The opposite side of the door is a gallery window where a veranda or an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is installed.
또한, 상기 베란다에는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safe railing prevention rail is installed on the veranda.
이러한 고층화된 건축물은 좁은 부지 안에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높은 빌딩안에서 주위 경관을 바라볼 수 있으며, 한 건물 내부에 여러 편의 시설을 갖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se high-rise buildings have the advantage that they can accommodate a large number of people in a narrow area, can see the surrounding landscape in a tall building, and have various facilities inside a building.
하지만, 최근 130명의 사상자를 낸 의정부시 대봉 그린 아파트와, 양주시 삼숭동 15층 아파트 등지에서의 화재 사건이 잇따르면서 고층 아파트와 오피스텔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However, as a result of fire accidents at Daebong Green Apartments in Uijeongbu and the 15th floor apartment in Yangju City, which have recently killed 130 people, the anxieties of residents in high-rise apartments and office buildings are increasing.
'설마' 했던 일이 현실로 이뤄지면서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나 오피스텔에서 불이 나면 어떻게 해야 할까 걱정하는 분위기다.When I realized that what I did not do was a reality, I was worried about what to do if I got a fire in an apartment or an office building where I live.
고층 아파트, 오피스텔 화재가 위험한 건 불이 나면 피할 곳이 마땅치 않아서다.High-rise apartments, office buildings If a fire is dangerous, there is no place to avoid it.
게다가 피하기도 전에 가스와 연기가 엘리베이터 수직 통로나 계단을 타고 빠르게 퍼져 목숨을 잃게 될 수 있다.Moreover, gases and fumes can quickly spread through elevator vertical passageways or stairwells before they can be avoided, resulting in death.
엄청난 돈을 들이고 과학적으로 설계한 건물이라도 한 순간의 실수로 재앙을 몰고 올 수 있어 평소 화재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Even with buildings that cost huge amounts of money and are designed scientifically, you can bring disaster with a momentary mistake and you need to prepare for the fire.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베란다에 설치된 완강기를 이용하여 화재로부터 몸을 피하는 방법도 있으나, 상기와 같은 완강기는 조작이 어려워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 무리가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하나의 로프에 사용자의 체중을 전부 실어야 한다는 부담 때문에 화재로 인한 공포감과 아울러 완강기 사용에 따른 불안감을 떨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is a method of avoiding the body from the fire by using the stabilizer installed on the veranda.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abilizer described above is difficult to operate,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it is not feared due to fear of fire due to the burden of loading the entire weight of the user,
또한, 상기 완강기는 앙카 볼트를 이용하여 내벽에 고정시켜야 하나 상기 앙카 볼트 대신에 일반 볼트로 고정된 곳이 적잖아 자칫 완강기 사용 중 내벽에 고정된 완강기가 탈락되어 구난자가 추락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stabilizer should be fixed to the inner wall using an anchor bolt, there are few places fixed with ordinary bolts in place of the anchor bolt, so that the stabilizer fixed to the inner wall during use of the stabilizer may be dropped and the rescuer may fall .
한편, 본 발명의 선행 기술로는 특허등록번호 "10-1176978"호의 "바닥 설치형 화재 피난 장치"가 출원되어 등록되었는데, 상기 바닥 설치형 화재 피난 장치는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가 상부 링크와 하부 링크 및 연결 링크로 연동되게 연결된 것에 있어서, 프레임의 상면 둘레에 외측패킹삽입구와 내측패킹삽입구를 형성하여 외측패킹삽입구에는 외측패킹을 삽입하고 내측패킹삽입구에는 상면에 밀착돌부가 돌출된 내측 패킹을 삽입하며, 프레임의 일측 내면 양측에 스프링으로 탄지된 피스톤이 내장된 실린더를 고정 설치하여 피스톤의 끝단을 상부 도어 양측 모서리에 설치된 연결 아암과 연결축으로 연결시켜 제작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oor-mounted fire escape apparatus" of the patent registration number "10-1176978" is filed and registered. In the floor-standing fire escape apparatus, the upper door and the lower door a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links The outer packing is inserted into the outer packing insertion port and the inner packing is inserted into the inner packing insertion port so that the inner packing is protru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acking insertion port, A cylinder having a spring-biased piston is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frame, and the end of the pist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arm and the connecting shaft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door.
하지만, 상기 바닥 설치형 화재 피난 장치는 베란다 바닥에 설치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실내 미관을 해칠 수 있고, 방음 기능이 약해 어느 한 층에서 발생된 소음을 다른 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floor-mounted fire evacua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veranda, so that it can hurt the indoor aesthetics of ordinary life without fire danger, and the soundproofing function is weak, so that the noise generated from one floor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floor.
또한, 상기 바닥 설치형 화재 피난 장치에는 구난 사다리가 구비되지 않아 위층 거주자가 탈출 과정 중 낙상 사고를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어린 아이나 노인의 경우 층간 높이가 높아 탈출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sident ladder is not provided in the floor-standing type fire escape apparatus, so that a resident of the upper floor may suffer a fall accident during the escape process, and in case of a child or an elderly person,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갤러리(Gallery) 창에 설치되어 에어컨 실외기로부터 배출되는 열기를 건물 바깥으로 내보내는 한편,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아래층으로 내려갈 수 있는 화재 피난 장치로 구조 변경되어 고층 거주자가 화재 피난 장치를 통해 지상으로 내려올 수 있도록 한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e escape device which is installed in a window of a gallery in the absence of a fire hazard and externally discharges heat discharged from the outdoor air conditioner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evacuation apparatus using a gallery window in a high-rise building in which a resident of a high-rise building can be lowered to the ground through a fire evacuation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린이나 노약자일지라도 본 발명에 대한 기본 사용 방법만 알면 화재 발생 시 본 발명을 이용하여 고층에서 지상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한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evacuation apparatus using a gallery window in a high-rise building which can descend from a high-rise building to a ground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is generated by knowing only basic us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는 갤러리창이 설치되는 고층 건물의 각층 외벽에 상기 갤러리창 대신에 설치되고 상기 고층 건물의 각층 외벽에 줄지어 설치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에어컨 실외기로부터 빠져나오는 열기를 건물 바깥으로 배출하는 환기구로 사용되다가 고층 건물 내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되었을 때에는 고층 건물내 사람이 화재 또는 재난을 피해 탈출할 수 있는 화재 피난 장치로 구조 변경되는 화재 피난 장치(A)에 있어서, 상기 화재 피난 장치(A)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갤러리창이 설치되는 고층 건물의 외벽에 상기 갤러리창 대신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0)과;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겹쳐지고 건물 내 화재가 발생되어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고정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이동 프레임(11);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11)을 고정 프레임(10)에 고정시키고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락킹(Locking) 해제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을 분리시키는 이동 프레임 락킹(Locking) 수단(12);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된 현재층 락킹 해제 핸들(131) 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Locking)을 해제하거나 해제하지 않는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13);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된 아래층 락킹 해제 핸들(141) 조작 여부에 따라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B)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을 해제하거나 해제하지 않는 아래층 락킹 해제 수단(14); 상기 이동 프레임(11) 전면에 장착되고 전면에 건물 내부로부터 발생된 열기를 건물 바깥으로 내보내거나 건물 외부의 공기를 건물 내부로 들여보내는 환기구(151)가 가공된 전면 패널(15);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좌우측 후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며 좌우측 선단이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이동 프레임(11)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지는 반면,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에서 고정 프레임(10)으로 진입한 사람이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하고 윗면에 탈출구(161)가 갖추어진 접이식 발판(16); 상기 접이식 발판(16)에 갖추어진 탈출구(161)에 힌지(Hinge) 결합되고 상기 탈출구(161)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발판 해치(17)(Hatch);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이동 프레임(11)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이 설치되며 후단 상하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고 선단 상하부가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펼쳐져 화재 발생 시 고정 프레임(10)을 통해 접이식 발판(16) 위에 올라선 사람의 추락사를 방지하는 접이식 측부 프레임(18); 사람이 발을 디딜 수 있는 리프트(Lift) 발판(191)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레일(Rail) 결합되어 상기 리프트 발판(191)과 함께 고정 프레임(1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리프트 발판(191)과 함께 고정 프레임(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승강기(19);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될 때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던 상기 리프트 발판(191)을 수평 방향으로 눕히고 상기 승강기(19)를 리프트 발판(191)과 함께 고정 프레임(10)의 하부 방향으로 하강시키거나 하강된 승강기(19)를 리프트 발판(191)과 함께 고정 프레임(10)의 상부 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승강기 구동 수단(20); 및 아래층 승강기 제어 핸들(211) 조작 여부에 따라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B)에 갖추어진 승강기 구동 수단(20)을 작동시켜 아래층에 설치된 승강기(19)와 리프트 발판(191)을 하강시키는 아래층 승강기 제어 수단(21)으로 이루어져, 건물 내 화재로 인해 건물 내부에 고립된 사람이 자신이 거주하는 층에 마련된 현재층 락킹 해제 핸들(131)과 아래층 락킹 해제 핸들(141)을 조작하면, 사람이 거주하는 현재층과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A,B)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 락킹(Locking) 수단(12)이 각각 해제되면서 현재층과 아래층에 설치된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건물 바깥으로 이동되고 반으로 접혀있던 접이식 발판(16)과 접이식 측부 프레임(18)이 펼쳐지며, 상기 사람이 자신이 거주하는 층에 마련된 접이식 발판(16)에 올라선 다음 발판 해치(17)를 열고 탈출구(161)를 통해 아래층에 설치된 리프트 발판(191)에 발을 디딘 다음, 자신이 거주하는 층에 마련된 아래층 승강기 제어 핸들(211)을 조작하면 상기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B)에 갖추어진 리프트 발판(191)이 사람을 실은 채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B)로 이동하여 위층에 거주하는 사람을 아래층으로 이동시키게 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ire evacuation apparatus using a gallery window in a high-ris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outer wall of each floor of a high-rise building where a gallery window is installed, instead of the gallery window, When a fire or disaster occurs in a high-rise building, it is used as a ventilation duct for venting the heat coming out of the air-conditioner outdoor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 fire evacuation apparatus (A)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e evacuation apparatus (A) comprises a fixed frame (10)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a high-rise building where a gallery window is installed as a rectangular frame instead of the gallery window; When the locking of the movable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는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갤러리(Gallery) 창에 설치되어 에어컨 실외기로부터 배출되는 열기를 건물 바깥으로 내보내는 환기구로 사용되는 한편,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아래층으로 내려갈 수 있는 화재 피난 장치로 구조 변경되어 고층 거주자가 화재 피난 장치를 통해 지상으로 내려올 수 있도록 한다.A fire escape apparatus using a gallery window in a high-rise building having such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gallery window at a normal time without fire risk, and is used as a vent for discharging heat discharged from an outdoor air- When a fire occurs, it is changed to a fire evacuation device that can go down to the lower level, allowing high-rise residents to come down to the ground through the fire evacua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건물 외벽에 납작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에어컨 실외기로부터 방출되는 열기만 건물 바깥으로 내보내므로 건물 내·외부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heat emitted from the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is transmitted outside the building in a state in which it is flatly folded on the outer wall of a normal building without fire risk,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urt the inside / outside view.
또, 본 발명은 어린이나 노약자일지라도 본 발명에 대한 기본 사용 방법만 알면 화재 발생 시 본 발명을 이용하여 고층에서 지상으로 내려갈 수 있어 화재로부터 귀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a child or an elderly person is aware of the basic us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lower the fire to the ground from the high-rise floor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1은 본 발명이 고층 건물의 위 아래층에 연달아 설치된 상태도,
도면 2a는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본 발명의 상태도,
도면 2b는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본 발명을 건물 내부에서 바로 본 상태도,
도면 3a는 화재 발생 시 본 발명이 화재 피난 장치로 구조 변경된 상태도,
도면 3b는 전면 패널이 제거된 본 발명을 도시한 도면,
도면 4는 고정 프레임 상부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면 5는 고정 프레임 전면에 설치된 리프 스프링(Leaf Spring)을 도시한 도면,
도면 6a는 접이식 발판에 갖추어진 수동 개방 레버와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6b는 이동 프레임 상부에 설치된 레버 걸림바를 도시한 도면,
도면 7은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8a 내지 도면 8c는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9는 접이식 측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10은 접이식 발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11은 발판 해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12는 이동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13은 발판 해치 개방 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14는 고정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15a 내지 도면 15b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승강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15c는 좌·우측 지지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16은 승강기 구동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17a 내지 도면 17j는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shows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a high-
Figure 2a shows a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mmediately seen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FIG. 3A is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ally changed to a fire evacuation apparatus when a fire occurs,
Figure 3b illustrates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front panel removed,
4 is a view showing a moving frame locking mean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xed frame,
5 is a view showing a leaf spring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a fixed frame,
6A is a view for explaining a manual opening lever provided in a folding footrest and a working principle thereof,
6B is a view showing a lever catching ba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fram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layer locking release means,
8A to 8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moving frame locking means,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lding side frame,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lding foot structure,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ot hatch structure,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mobile frame,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oot hatch opening means,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fixed frame,
15A to 15B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levator structure equipp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5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bars,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vator driving means,
FIGS. 17A to 17J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d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는 도면 1 내지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갤러리창이 설치되는 고층 건물의 각층 외벽에 상기 갤러리창 대신에 설치되고 상기 고층 건물의 각층 외벽에 줄지어 설치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에어컨 실외기로부터 빠져나오는 열기를 건물 바깥으로 배출하는 환기구로 사용되다가 고층 건물 내 화재 또는 재난이 발생되었을 때에는 고층 건물내 사람이 화재 또는 재난을 피해 탈출할 수 있는 화재 피난 장치로 구조 변경되는 화재 피난 장치(A)에 있어서, 상기 화재 피난 장치(A)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갤러리창이 설치되는 고층 건물의 외벽에 상기 갤러리창 대신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0)과;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겹쳐지고 건물 내 화재가 발생되어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고정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이동 프레임(11);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11)을 고정 프레임(10)에 고정시키고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락킹(Locking) 해제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을 분리시키는 이동 프레임 락킹(Locking) 수단(12);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된 현재층 락킹 해제 핸들(131) 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Locking)을 해제하거나 해제하지 않는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13);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된 아래층 락킹 해제 핸들(141) 조작 여부에 따라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B)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을 해제하거나 해제하지 않는 아래층 락킹 해제 수단(14); 상기 이동 프레임(11) 전면에 장착되고 전면에 건물 내부로부터 발생된 열기를 건물 바깥으로 내보내거나 건물 외부의 공기를 건물 내부로 들여보내는 환기구(151)가 가공된 전면 패널(15);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좌우측 후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며 좌우측 선단이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이동 프레임(11)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지는 반면,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에서 고정 프레임(10)으로 진입한 사람이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하고 윗면에 탈출구(161)가 갖추어진 접이식 발판(16); 상기 접이식 발판(16)에 갖추어진 탈출구(161)에 힌지(Hinge) 결합되고 상기 탈출구(161)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발판 해치(17)(Hatch);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이동 프레임(11)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이 설치되며 후단 상하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고 선단 상하부가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펼쳐져 화재 발생 시 고정 프레임(10)을 통해 접이식 발판(16) 위에 올라선 사람의 추락사를 방지하는 접이식 측부 프레임(18); 사람이 발을 디딜 수 있는 리프트(Lift) 발판(191)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레일(Rail) 결합되어 상기 리프트 발판(191)과 함께 고정 프레임(1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리프트 발판(191)과 함께 고정 프레임(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승강기(19);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될 때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던 상기 리프트 발판(191)을 수평 방향으로 눕히고 상기 승강기(19)를 리프트 발판(191)과 함께 고정 프레임(10)의 하부 방향으로 하강시키거나 하강된 승강기(19)를 리프트 발판(191)과 함께 고정 프레임(10)의 상부 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승강기 구동 수단(20); 및 아래층 승강기 제어 핸들(211) 조작 여부에 따라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B)에 갖추어진 승강기 구동 수단(20)을 작동시켜 아래층에 설치된 승강기(19)와 리프트 발판(191)을 하강시키는 아래층 승강기 제어 수단(21)으로 이루어져, 건물 내 화재로 인해 건물 내부에 고립된 사람이 자신이 거주하는 층에 마련된 현재층 락킹 해제 핸들(131)과 아래층 락킹 해제 핸들(141)을 조작하면, 사람이 거주하는 현재층과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A,B)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 락킹(Locking) 수단(12)이 각각 해제되면서 현재층과 아래층에 설치된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건물 바깥으로 이동되고 반으로 접혀있던 접이식 발판(16)과 접이식 측부 프레임(18)이 펼쳐지며, 상기 사람이 자신이 거주하는 층에 마련된 접이식 발판(16)에 올라선 다음 발판 해치(17)를 열고 탈출구(161)를 통해 아래층에 설치된 리프트 발판(191)에 발을 디딘 다음, 자신이 거주하는 층에 마련된 아래층 승강기 제어 핸들(211)을 조작하면 상기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B)에 갖추어진 리프트 발판(191)이 사람을 실은 채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B)로 이동하여 위층에 거주하는 사람을 아래층으로 이동시키게 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a fire evacuation apparatus using a gallery window in a high-ris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outer wall of each floor of a high-rise building in which a gallery window is installed, When a fire or disaster occurs in a high-rise build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erson in a high-rise building from escaping from a fire or disaster. A fire evacuation device (A) structured by a fire evacuation device, wherein the fire evacuation device (A) comprises a fixed frame (10) mounted on the outer wall of a high-rise building on which a gallery window is installed, and; When the locking of the movable frame locking means 12 is released by overlapping the
건물 외벽을 마주보는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후면에는 도면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측 가로바(101)가 부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측 가로바(101)에는 건물 외벽 단턱에 앙카 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하부 기역자형 브라켓(102)이 장착된다.As shown in FIG. 3B, a fixed frame side
상기 이동 프레임(11)을 마주보는 고정 프레임(10)의 전면에는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 스프링으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10) 전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하부가 상기 이동 프레임(11) 방향으로 꺽어진 리프 스프링(22)(Leaf spring)이 장착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 락킹(Locking) 수단(12)의 락킹(Locking)이 해제되면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 사이에 끼어 있던 리프 스프링(22)이 탄성 복원되면서 이동 프레임(11)을 건물 바깥 방향으로 밀어낸다.As shown in FIG. 5, on the front face of the
또한, 본 발명은 도면 6a 내지 도면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이식 발판(16)을 접이식 발판(16)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홀(162)(Slit Hole)과; 플랫바(Flat Bar) 형태로서 상기 슬릿홀(162)(Slit Hole)에 끼워지고 상기 슬릿홀(162)의 좌·우측면에 축 고정된 상태에서 축 회전되는 수동 개방 레버(163); 및 단면이 'ㄷ'자 형태인 각관으로서 상기 이동 프레임(11) 윗면에 '1'자 형태로 세워지고 밑면이 상기 이동 프레임(11) 윗면에 고정된 레버 걸림바(164)를 더 포함하여, 화재 발생시 아래층 이동 프레임 락킹(Locking) 수단(12)의 락킹이 해제되지 않을 때 위층 화재 피난 장치(A)에 갖추어진 수동 개방 레버(16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수동 개방 레버(163)의 하단이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B)에 갖추어진 레버 걸림바(164)를 건물 바깥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B)에 갖추어진 아래층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이 해제된다.6A to 6B,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상기 수동 개방 레버(163)의 후면 상부에는 도면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ㄱ'자 형태인 기역자형 핸들(165)이 부가 장착된다.As shown in FIG. 6 (a), a rear side of the
상기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13)은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층 락킹 해제 와이어(132)와, 상기 현재층 락킹 해제 와이어(132)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현재층 락킹 해제 와이어(132)를 당기거나 당기지 않는 현재층 락킹 해제 핸들(131)을 포함한다.The current layer unlocking means 13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urrent
상기 아래층 락킹 해제 수단(14)은 아래층 락킹 해제 와이어(142)와, 상기 아래층 락킹 해제 와이어(142)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아래층 락킹 해제 와이어(142)를 당기거나 당기지 않는 아래층 락킹 해제 핸들(141)을 포함한다.The lower layer unlocking means 14 includes a lower layer unlocking wire 142 and a lower layer unlocking wire 142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ower layer unlocking wire 142 to rotate the lower layer unlocking wire 142 when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a
상기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은 도면 8a 내지 도면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후면 상부를 관통하는 이동 프레임측 락킹 홀(121)과; 상기 이동 프레임측 락킹 홀(121)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락킹바(122)(Locking Bar);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동 프레임(11)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마주 접했을 때 상기 이동 프레임측 락킹 홀(121) 내부로 삽입되고 전면에 상기 락킹바(122)가 삽입되는 락킹바 삽입홈(1231)이 갖추어진 상부 락킹 고정편(123); 상기 상부 락킹 고정편(123) 밑에 겹쳐지고 좌측면에 상기 락킹바 삽입홈(1231)을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는 걸림 후크(1241)가 갖추어지며 좌측 선단이 테이퍼(Taper)지며 우측면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락킹 고정편(123)의 우측면과 맞닿는 회전 방지턱(1242)이 갖추어지고 우측 선단에 상기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13)에 갖추어진 현재층 락킹 해제 와이어(132)와 위층 화재 피난 장치로부터 연장된 아래층 락킹 해제 와이어(142)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편(1243)이 갖추어진 하부 락킹 회전편(124); 상기 하부 락킹 회전편(124)과 상기 상부 락킹 고정편(123)을 축 고정하는 고정축(125); 중앙이 상기 고정축(125)에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상부 락킹 고정편(123)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락킹 회전편(124)에 고정되는 비틀림 스프링(126)으로 이루어져,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락킹바 삽입홈(1231)안에 끼워진 락킹바(122)를 상기 걸림 후크(1241)가 물어잡아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이 분리되지 못하도록 하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현재층 락킹 해제 와이어(132) 또는 위층 화재 피난 장치에 설치된 아래층 락킹 해제 와이어(142)가 당겨지면 상기 걸림 후크(1241)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락킹바(122)를 락킹바 삽입홈(1231) 바깥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을 분리시키고 상기 현재층 락킹 해제 와이어(132) 또는 아래층 락킹 해제 와이어(142)가 당겨지지 않으면 상기 비틀림 스프링(12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림 후크(124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회전 방지턱(1242)은 상부 락킹 고정편(123)의 우측면과 맞닿는다.As shown in FIGS. 8A to 8C, the moving frame locking means 12 includes a moving frame
상기 접이식 측부 프레임(18)은 도면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 상·하부가 상기 이동 프레임(11)에 힌지(Hinge) 결합된 전방 측부 프레임(181)과; 후단 상·하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힌지(Hinge) 결합되고 선단이 상기 전방 측부 프레임(181)의 후단과 힌지(Hinge) 결합된 후방 측부 프레임(182)으로 이루어져,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전방 측부 프레임(181)과 후방 측부 프레임(182)이 서로 포개져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건물 바깥으로 이동되면 포개져 있던 상기 전방 측부 프레임(181)과 후방 측부 프레임(182)이 펼쳐진다.9, the
상기 접이식 발판(16)은 도면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측 선단이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고 후면이 개방된 전방측 탈출구(1661)가 갖추어진 전방측 발판(166)과; 좌우측 후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고 전면이 개방된 후방측 탈출구(1671)가 갖추어지며 선단이 상기 전방측 발판(166)의 후단과 경첩 연결된 후방측 발판(167)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측 탈출구(1661)와 후방측 탈출구(1671)는 상기 접이식 발판(16)의 전후 방향으로 마주보고, 상기 탈출구(161)는 상기 전방측 탈출구(1661)와 후방측 탈출구(1671)가 합쳐진 형태이다.10, the
상기 발판 해치(17)(Hatch)는 도면 11과 도면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측 탈출구(1661)에 끼워지고 상기 전방측 탈출구(1661)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는 전방측 발판 해치(171)와; 상기 후방측 탈출구(1671)에 끼워지고 선단이 상기 전방측 발판 해치(171)와 경첩 연결된 후방측 발판 해치(172); 및 상기 후방측 발판 해치(172) 윗면으로부터 후방측 발판 해치(172)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후방측 탈출구(1671) 가장자리에 얹혀져 상기 전방측 발판 해치(171)와 후방측 발판 해치(172)가 탈출구(161) 밑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스톱(Stop)판(174)을 포함한다.11 and 13, the
상기 접이식 발판(16)이 반으로 포개지면 상기 발판 해치(17)도 상기 접이식 발판(16)을 따라 반으로 포개지는 반면 상기 접이식 발판(16)이 일자('一') 형태로 펼쳐지면 상기 발판 해치(17)도 상기 접이식 발판(16)을 따라 일자('一') 형태로 펼쳐진다.When the
상기 이동 프레임(11)에는 도면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가로 방향으로 눕혀지고 양끝이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좌·우측면에 고정되는 이동 프레임측 가로바(111)가 부가 장착된다.As shown in FIG. 12, the
또한, 본 발명은 도면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접이식 발판(16)이 일자 형태로 펼쳐졌을 때 탈출구(161)를 막고 있는 발판 해치(17)를 개방시키는 발판 해치 개방 수단(23)을 더 포함한다.13, a foot hatch opening means (not shown) for opening a
상기 발판 해치 개방 수단(23)은 도면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측 발판 해치(171) 윗면에 고정된 와이어 고정 풀리(231)와; 일단이 상기 와이어 고정 풀리(23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 프레임측 가로바(111)를 통과하는 해치 개방 와이어(232); 상기 해치 개방 와이어(232)의 타단에 고정 설치된 와이어 손잡이(233); 및 상기 전면 패널(15)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고정 풀리(231)로부터 연장된 해치 개방 와이어(232)를 상기 이동 프레임측 가로바(111) 방향으로 안내하는 와이어 방향 전환 풀리(234)를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 손잡이(233)를 잡아 당기면 상기 전방측 발판 해치(171)가 해치 개방 와이어(232)에 이끌려 축 회전되면서 탈출구(161)가 개방되고 상기 후방측 발판 해치(172)는 상기 전방측 발판 해치(171)와 겹쳐진다.As shown in FIG. 13, the foot hatch opening means 23 includes a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도면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세로바(103)와 우측 세로바(104)를 구비하며, 상기 우측 세로바(104)를 마주보는 좌측 세로바(103)의 한쪽 면에는 좌측 세로바(103)의 길이 방향으로 좌측 레일이 갖추어지고, 상기 좌측 세로바(103)를 마주보는 우측 세로바(104)의 한쪽 면에는 우측 세로바(104)의 길이 방향으로 우측 레일이 갖추어진다.As shown in FIG. 14, the fixed
상기 승강기(19)는 도면 15a 내지 도면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세로바(103)에 갖추어진 좌측 레일에 레일 결합되어 좌측 세로바(103)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 되는 좌측 슬라이딩 로드(192)(rod)와; 윗면에 반원형 와이어 몰딩재(193)가 장착되고 일단이 상기 좌측 슬라이딩 로드(192)의 상단에 축 고정되며 측면에 좌측 장홀(1941)이 갖추어진 좌측 연결암(194); 일단이 상기 좌측 슬라이딩 로드(192)의 하단에 축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좌측 장홀(1941)에 축 고정되어 상기 좌측 연결암(194)이 '1'자 행태로 세워졌을 때에는 길이가 축소되어 있다가 상기 좌측 연결암(194)이 축 회전되어 수평 방향으로 눕혀졌을 때에는 길이가 연장된 다음 락킹(Locking)되어 연장된 길이를 유지하는 좌측 지지바(195); 상기 우측 세로바(104)에 갖추어진 우측 레일에 레일 결합되어 우측 세로바(104)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우측 슬라이딩 로드(196)(rod); 윗면에 반원형 와이어 몰딩재(193)가 장착되고 일단이 상기 우측 슬라이딩 로드(196)의 상단에 축 고정되며 측면에 우측 장홀(1971)이 갖추어진 우측 연결암(197); 일단이 상기 우측 슬라이딩 로드(196)의 하단에 축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우측 장홀(1971)에 축 고정되어 상기 우측 연결암(197)이 '1'자 행태로 세워졌을 때에는 길이가 축소되어 있다가 상기 우측 연결암(197)이 축 회전되어 수평 방향으로 눕혀졌을 때에는 길이가 연장된 다음 락킹(Locking)되어 연장된 길이를 유지하는 우측 지지바(198); 및 좌·우측면이 각각 좌측 연결암(194)과 우측 연결암(197)에 결합되어 상기 좌·우측 연결암(194,197)을 따라 '1'자 형태로 세워지거나 수평 방향으로 눕혀지는 리프트 발판(191)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5A to 15B, the elevator 19 is connected to a left rail provided on the left vertical bar 103 and is sli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vertical bar 103, A rod 192; A left connection arm 194 having a semicircular wire molding material 193 mounted on its upper surface and one e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eft sliding rod 192 and having a left elongated hole 1941 at its side; When one end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left sliding rod 192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left elongated hole 1941 so that the left connection arm 194 is in a ' A left support bar 195 which is extended when the left connection arm 194 is axially rotated and horizontally laid, and then locked to maintain an extended length; A right sliding rod 196 which is rail-coupled to the right rail provided on the right vertical bar 104 and sl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ght vertical bar 104; A right connection arm 197 having a semicircular wire molding material 193 mounted on its upper surface and one e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right sliding rod 196 and having a right elongated hole 1971 on its side; When one end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right sliding rod 196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right elongated hole 1971 so that the right connection arm 197 is in a ' A right support bar 198 which is extended when the right connection arm 197 is axially rotated to be lai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n is locked to maintain an extended length; And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thereof are coupled to the left connection arm 194 and the right connection arm 197 and ar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connection arms 194 and 197 in the form of a ' ).
상기 좌측 지지바(195) 또는 우측 지지바(198)는 도면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이 빈 입체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좌측 슬라이딩 로드(192)나 우측 슬라이딩 로드(196)의 하단에 축 고정되는 연장바 하우징(1981)과; 상기 연장바 하우징(1981)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연장바 하우징(1981) 내부로부터 인출되고 한쪽 끝이 상기 좌측 장홀(1941)이나 우측 장홀(1971)에 축 고정되는 연장바(1982); 및 상기 좌·우측 연결암(194,197)이 축 회전되어 수평 방향으로 눕혀졌을 때 상기 연장바(1982)와 연장바 하우징(1981)을 고정시켜 상기 연장바(1982)가 더이상 연장바 하우징(1981) 내부로 인입되거나 연장바 하우징(1981)으로부터 인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연장바 락킹 장치(1983)를 포함한다.The
상기 승강기 구동 수단(20)은 도면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상부 후면에 고정 설치된 케이스(201)와; 상기 케이스(201) 내부에 권취되고 한쪽 끝이 좌측 연결암(194)에 갖추어진 반원형 와이어 몰딩재(193) 안으로 삽입된 다음 좌측 연결암(194)의 윗면에 고정 설치된 좌측 와이어(202); 상기 케이스(201) 내부에 권취되고 한쪽 끝이 우측 연결암(197)에 갖추어진 반원형 와이어 몰딩재(193) 안으로 삽입된 다음 우측 연결암(197)의 윗면에 고정 설치된 우측 와이어(203);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좌·우측 와이어(202,203)를 케이스(201)안으로 감아 넣거나 케이스(201) 바깥으로 풀어내는 와이어 권취 수단; 및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의 분리 여부를 감지한 다음,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이 분리되었을 때 상기 와이어 권취 수단을 통해 좌·우측 와이어(202,203)를 잡아 당겨 리프트 발판(191)을 수평 방향으로 눕히는 리프트 발판 제어부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6, the elevator driving means 20 includes a
상기 리프트 발판 제어부는 현재층 락킹 해제 핸들(131)이나 아래층 락킹 해제 핸들(141)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의 분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lift foot controller may sense whether the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가 동작되는 과정을 도면 17a 내지 도면 17j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of operating a fire evacuation apparatus using a gallery window in a high-ris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A to 17J.
건물 내 화재 발생 시 건물 내부에 갇힌 요구조자에 의해 사람이 거주하는 층에 설치된 현재층 락킹 해제 핸들(131)과 아래층 락킹 해제 핸들(141)이 조작되면 도면 17a 내지 도면 1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람이 거주하는 층에 마련된 화재 피난 장치(A)와, 사람이 거주하는 층 바로 아래층에 설치된 화재 피난 장치(B)가 펼쳐진다.When a current
다음, 상기 사람이 자신이 거주하는 층에 마련된 화재 피난 장치(A)의 접이식 발판(16)에 올라선 다음, 와이어 손잡이(233)를 잡아 당기면 도면 17e 내지 도면 17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판 해치(17)가 열리면서 닫혀있던 탈출구(161)가 개방된다. Next, when the person climbs on the
다음, 상기 사람이 개방된 탈출구(161)를 통해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B)에 마련된 리프트 발판(191)에 올라선 다음, 아래층 승강기 제어 핸들(211)을 조작하면 도면 17g 내지 도면 17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 발판(191)이 사람을 태운 채 하강하여 사람이 아래층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Next, when the person is climbed on the
상기 요구조자는 상기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고층 건물에서 지상으로 내려올 수 있다. The requesting person can descend from the high-rise building to the ground 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한편, 하강된 리프트 발판(191)은 도면 17i 내지 도면 17j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람을 실어 나른 다음, 소정 시간 후에 다시 고정 프레임(10) 상부로 이동하여 또 다른 사람을 아래층 방향으로 실어 나르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7I to 17J, the lowered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는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갤러리(Gallery) 창에 설치되어 에어컨 실외기로부터 배출되는 열기를 건물 바깥으로 내보내는 환기구로 사용되는 한편,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아래층으로 내려갈 수 있는 화재 피난 장치로 구조 변경되어 고층 거주자가 화재 피난 장치를 통해 지상으로 내려올 수 있도록 한다.A fire escape apparatus using a gallery window in a high-rise building having such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gallery window at a normal time without fire risk, and is used as a vent for discharging heat discharged from an outdoor air- When a fire occurs, it is changed to a fire evacuation device that can go down to the lower level, allowing high-rise residents to come down to the ground through the fire evacua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 건물 외벽에 납작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에어컨 실외기로부터 방출되는 열기만 건물 바깥으로 내보내므로 건물 내·외부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heat emitted from the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is transmitted outside the building in a state in which it is flatly folded on the outer wall of a normal building without fire risk,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urt the inside / outside view.
또, 본 발명은 어린이나 노약자일지라도 본 발명에 대한 기본 사용 방법만 알면 화재 발생 시 본 발명을 이용하여 고층에서 지상으로 내려갈 수 있어 화재로부터 귀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a child or an elderly person is aware of the basic us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lower the fire to the ground from the high-rise floor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 화재 피난 장치 10. 고정 프레임
101. 고정 프레임측 가로바 102. 하부 기역자형 브라켓
103. 좌측 세로바 104. 우측 세로바
11. 이동 프레임 111. 이동 프레임측 가로바
12.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 121. 이동 프레임측 락킹 홀
122. 락킹바 123. 상부 락킹 고정편
1231. 락킹바 삽입홈 124. 하부 락킹 회전편
1241. 걸림 후크 1242. 회전 방지턱
1243. 와이어 연결편 125. 고정축
126. 비틀림 스프링
13.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 131. 현재층 락킹 해제 핸들
132. 현재층 락킹 해제 와이어 14. 아래층 락킹 해제 수단
141. 아래층 락킹 해제 핸들 142. 아래층 락킹 해제 와이어
15. 전면 패널 151. 환기구
16. 접이식 발판 161. 탈출구
162. 슬릿홀 163. 수동 개방 레버
164. 레버 걸림바 165. 기역자형 핸들
166. 전방측 발판 1661. 전방측 탈출구
167. 후방측 발판 1671. 후방측 탈출구
17. 발판 해치 171. 전방측 발판 해치
172. 후방측 발판 해치 174. 스톱판
18. 접이식 측부 프레임 181. 전방 측부 프레임
182. 후방 측부 프레임 19. 승강기
191. 리프트 발판 192. 좌측 슬라이딩 로드
193. 반원형 와이어 몰딩재 194. 좌측 연결암
195. 좌측 지지바 196. 우측 슬라이딩 로드
197. 우측 연결암 198. 우측 지지바
1981. 연장바 하우징 1982. 연장바
1983. 연장바 락킹 장치 20. 승강기 구동 수단
201. 케이스 202. 좌측 와이어
203. 우측 와이어 21. 아래층 승강기 제어 수단
211. 아래층 승강기 제어 핸들 22. 리프 스프링
23. 발판 해치 개방 수단 231. 와이어 고정 풀리
232. 해치 개방 와이어 233. 와이어 손잡이
234. 와이어 방향 전환 풀리A.
101. Fixed frame side
103. Left
11. Moving
12. Moving frame locking means 121. Moving frame side locking hole
122. Locking
1231. Locking
1241. Retaining
1243.
126. Torsion spring
13. Current floor unlocking means 131. Present floor unlocking handle
132. Current
141. Lower layer unlocking handle 142. Lower layer unlocking wire
15.
16. Folding
162.
164.
166. Front
167.
17.
172. Rear step
18.
182.
191. Lift
193. Semicircular
195.
197.
1981.
1983. Extended
201.
203.
211. Downstairs elevator control handle 22. Leaf spring
23. Stepping hatch opening means 231. Wire fixing pulley
232. Hatch
234. Wire Orientation Pulley
Claims (9)
상기 화재 피난 장치(A)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갤러리창이 설치되는 고층 건물의 외벽에 상기 갤러리창 대신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0)과;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겹쳐지고 건물 내 화재가 발생되어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고정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이동 프레임(11);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11)을 고정 프레임(10)에 고정시키고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락킹(Locking) 해제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을 분리시키는 이동 프레임 락킹(Locking) 수단(12);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된 현재층 락킹 해제 핸들(131) 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Locking)을 해제하거나 해제하지 않는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13);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설치된 아래층 락킹 해제 핸들(141) 조작 여부에 따라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B)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을 해제하거나 해제하지 않는 아래층 락킹 해제 수단(14);
상기 이동 프레임(11) 전면에 장착되고 전면에 건물 내부로부터 발생된 열기를 건물 바깥으로 내보내거나 건물 외부의 공기를 건물 내부로 들여보내는 환기구(151)가 가공된 전면 패널(15);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좌우측 후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며 좌우측 선단이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어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이동 프레임(11)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지는 반면,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일자('一') 형태로 펼쳐져 화재 발생시 건물 내부에서 고정 프레임(10)으로 진입한 사람이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하고 윗면에 탈출구(161)가 갖추어진 접이식 발판(16);
상기 접이식 발판(16)에 갖추어진 탈출구(161)에 힌지(Hinge) 결합되고 상기 탈출구(161)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발판 해치(17)(Hatch);
경첩에 의해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이동 프레임(11)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이 설치되며 후단 상하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고 선단 상하부가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상하부에 축 고정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 사이에서 반으로 접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펼쳐져 화재 발생 시 고정 프레임(10)을 통해 접이식 발판(16) 위에 올라선 사람의 추락사를 방지하는 접이식 측부 프레임(18);
사람이 발을 디딜 수 있는 리프트(Lift) 발판(191)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레일(Rail) 결합되어 상기 리프트 발판(191)과 함께 고정 프레임(1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리프트 발판(191)과 함께 고정 프레임(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승강기(19);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고정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될 때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던 상기 리프트 발판(191)을 수평 방향으로 눕히고 상기 승강기(19)를 리프트 발판(191)과 함께 고정 프레임(10)의 하부 방향으로 하강시키거나 하강된 승강기(19)를 리프트 발판(191)과 함께 고정 프레임(10)의 상부 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승강기 구동 수단(20);
및 아래층 승강기 제어 핸들(211) 조작 여부에 따라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B)에 갖추어진 승강기 구동 수단(20)을 작동시켜 아래층에 설치된 승강기(19)와 리프트 발판(191)을 하강시키는 아래층 승강기 제어 수단(21)으로 이루어져,
건물 내 화재로 인해 건물 내부에 고립된 사람이 자신이 거주하는 층에 마련된 현재층 락킹 해제 핸들(131)과 아래층 락킹 해제 핸들(141)을 조작하면, 사람이 거주하는 현재층과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A,B)에 설치된 이동 프레임 락킹(Locking) 수단(12)이 각각 해제되면서 현재층과 아래층에 설치된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건물 바깥으로 이동되고 반으로 접혀있던 접이식 발판(16)과 접이식 측부 프레임(18)이 펼쳐지며, 사람이 자신이 거주하는 층에 마련된 접이식 발판(16)에 올라선 다음 발판 해치(17)를 열고 탈출구(161)를 통해 아래층에 설치된 리프트 발판(191)에 발을 디딘 다음, 자신이 거주하는 층에 마련된 아래층 승강기 제어 핸들(211)을 조작하면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B)에 갖추어진 리프트 발판(191)이 사람을 실은 채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B)로 이동하여 위층에 거주하는 사람을 아래층으로 이동시키는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
And is installed in the outer wall of each floor of the high-rise building where the gallery window is installed, instead of the above-mentioned gallery window, and is installed at the outer wall of each floor of the high-rise building, and is used as a vent for discharging the heat escaping from the outdoor air- In a fire evacuation device (A) in which a person in a tall building is changed to a fire evacuation device capable of escaping from a fire or a disaster when a fire or a disaster occurs in the building,
The fire evacuation apparatus (A) comprises a fixed frame (10)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a high-rise building where a gallery window is installed as a rectangular frame instead of the gallery window;
When the locking of the movable frame locking means 12 is released by overlapping the fixed frame 10 and a fire in the building, which is a square type frame, A moving frame 11 which is moved forward of the frame 10;
When the movable frame 11 is fixed to the fixed frame 10 so that the movable frame 11 and the fixed frame 10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out a fire hazard and when a fire occurs in the building, A moving frame locking means 12 for separating the moving frame 11 from the fixed frame 10;
A current floor unlocking means (13) for releasing or not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moving frame locking means (12)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current floor unlocking handle (131) installed on the fixed frame (10) is operated;
A lower layer unlocking means 14 for releasing or not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movable frame locking means 12 provided on the lower layer fire extinguisher B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lower layer unlock handle 141 provided on the fixed frame 10 is operated, ;
A front panel 15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ving frame 11 and having a ventilating hole 151 for discharging heat gen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or for letting air outside the building into the building;
The right and left rear ends are fixed to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xed frame 10 and the left and right front ends are fixed to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vable frame 11 so that the fixed frame 10 When a fire occurs and the moving frame 11 is moved to the front of the fixed frame 10, it is unfolded in the form of a '1' A foldable footrest 16 having an escape opening 16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a person entering the fixed frame 10 can walk thereon;
A footplate hatch (17) hinged to an escape opening (161) provided in the folding footrest (16) and closing or opening the escape opening (161);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rear ends are fixed to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xed frame 10 and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ovable frame 11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xed frame 10, The movable frame 11 is fix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xed frame 10 and is folded in half between the movable frame 11 and the fixed frame 10 in a normal state without a fire, A foldable side frame 18 which is unfolded when it is moved forward to prevent a person falling on the foldable footrest 16 through the fixed frame 10 when a fire occurs,
The lift frame 191 includes a lift foot 191 on which a person can walk and is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10 by a rail so as to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xed frame 10 together with the lift foot 191 An elevator 19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10 together with the lift foot 191 in the normal state without a fire hazard;
When the movable frame 11 is moved to the front of the fixed frame 10, the lift footrest 191 sta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horizontally laid down and the elevator 19 is fixed together with the lift footrest 191 Elevator driving means 20 for raising the lowered or lowered elevator 19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fixed frame 10 together with the lift foot 191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fixed frame 10;
And a lower floor elevator control unit (not shown) for lowering the elevator 19 installed on the lower floor and the lift footboard 191 by operating the elevator driving means 20 provided on the lower floor fire escape apparatus B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lower floor elevator control handle 211 is operated Means 21,
When a person isolated inside the building due to fire in the building operates the current floor unlocking handle 131 and the lower floor unlocking handle 141 provided on the floor in which the occupant is present, The moving frame locking means 12 provided on each of the movable frames A and B are released and the movable frame 11 installed on the current floor and the lower floor is moved out of the building and the foldable foot 16, The side frame 18 is unfolded and the person climbs on the folding scaffold 16 provided on the floor where the person is present and then opens the foot hatch 17 and places the foot on the lift scaffold 191 installed on the lower layer through the escape opening 161 When the lower floor elevator control handle 211 provided on the floor in which the occupant is present is operated, the lift footboard 191 provided in the lower floor fire evacuation device B is moved to the lower floor fire evacuation device B while the person is loaded Fire escape with gallery windows in high-rise buildings to move the people living upstairs downstairs.
상기 이동 프레임(11)을 마주보는 고정 프레임(10)의 전면에는 판형 스프링으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10) 전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하부가 상기 이동 프레임(11) 방향으로 꺽어진 리프 스프링(22)(Leaf spring)이 장착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 락킹(Locking) 수단(12)의 락킹(Locking)이 해제되면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 사이에 끼어 있던 리프 스프링(22)이 탄성 복원되면서 이동 프레임(11)을 건물 바깥 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eaf spring 22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frame 10 as a plate spring and having upper and lower portion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moving frame 11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frame 10 facing the moving frame 11, When the locking of the moving frame locking means 12 is released and the leaf spring 22 is released and the leaf spring 22 sandwiched between the moving frame 11 and the fixed frame 10 is elastically restored Wherein the movable frame (11) is pushed towar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상기 접이식 발판(16)을 접이식 발판(16)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홀(162)(Slit Hole)과,
플랫바(Flat Bar) 형태로서 상기 슬릿홀(162)(Slit Hole)에 끼워지고 상기 슬릿홀(162)의 좌·우측면에 축 고정된 상태에서 축 회전되는 수동 개방 레버(163),
및 단면이 'ㄷ'자 형태인 각관으로서 상기 이동 프레임(11) 윗면에 '1'자 형태로 세워지고 밑면이 상기 이동 프레임(11) 윗면에 고정된 레버 걸림바(164)를 더 포함하여,
화재 발생시 아래층 이동 프레임 락킹(Locking) 수단(12)의 락킹이 해제되지 않을 때 위층 화재 피난 장치(A)에 갖추어진 수동 개방 레버(16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수동 개방 레버(163)의 하단이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B)에 갖추어진 레버 걸림바(164)를 건물 바깥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아래층 화재 피난 장치(B)에 갖추어진 아래층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의 락킹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lit hole 162 passing through the folding foot 16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folding foot 16,
A manual opening lever 163 in the form of a flat bar which is fitted in the slit hole 162 and is axially rotated in a state that the shaft is fix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lit hole 162,
And a lever catching bar 164 which is formed in a '1'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11 and whose bottom surface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11,
When the locking of the lower layer moving frame locking means 12 is not released when a fire occurs, when the manual opening lever 163 provided in the upper fire escape apparatus A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manual opening lever 163 The lower end pushes the lever catching bar 164 provided in the lower-layer fire escaping apparatus B towar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the locking of the lower-layer moving frame locking means 12 provided in the lower- Fire escaping device using a gallery window in a high-rise building.
상기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13)은 현재층 락킹 해제 와이어(132)와, 상기 현재층 락킹 해제 와이어(132)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현재층 락킹 해제 와이어(132)를 당기거나 당기지 않는 현재층 락킹 해제 핸들(131)을 포함하고,
상기 아래층 락킹 해제 수단(14)은 아래층 락킹 해제 와이어(142)와, 상기 아래층 락킹 해제 와이어(142)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아래층 락킹 해제 와이어(142)를 당기거나 당기지 않는 아래층 락킹 해제 핸들(141)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 락킹 수단(12)은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후면 상부를 관통하는 이동 프레임측 락킹 홀(121)과,
상기 이동 프레임측 락킹 홀(121)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락킹바(122)(Locking Bar),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동 프레임(11)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11)이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마주 접했을 때 상기 이동 프레임측 락킹 홀(121) 내부로 삽입되고 전면에 상기 락킹바(122)가 삽입되는 락킹바 삽입홈(1231)이 갖추어진 상부 락킹 고정편(123),
상기 상부 락킹 고정편(123) 밑에 겹쳐지고 좌측면에 상기 락킹바 삽입홈(1231)을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는 걸림 후크(1241)가 갖추어지며 좌측 선단이 테이퍼(Taper)지며 우측면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락킹 고정편(123)의 우측면과 맞닿는 회전 방지턱(1242)이 갖추어지고 우측 선단에 상기 현재층 락킹 해제 수단(13)에 갖추어진 현재층 락킹 해제 와이어(132)와 위층 화재 피난 장치로부터 연장된 아래층 락킹 해제 와이어(142)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편(1243)이 갖추어진 하부 락킹 회전편(124),
상기 하부 락킹 회전편(124)과 상기 상부 락킹 고정편(123)을 축 고정하는 고정축(125),
중앙이 상기 고정축(125)에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상부 락킹 고정편(123)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락킹 회전편(124)에 고정되는 비틀림 스프링(126)으로 이루어져,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상기 락킹바 삽입홈(1231)안에 끼워진 락킹바(122)를 상기 걸림 후크(1241)가 물어잡아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이 분리되지 못하도록 하다가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현재층 락킹 해제 와이어(132) 또는 위층 화재 피난 장치에 설치된 아래층 락킹 해제 와이어(142)가 당겨지면 상기 걸림 후크(1241)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락킹바(122)를 락킹바 삽입홈(1231) 바깥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을 분리시키고 상기 현재층 락킹 해제 와이어(132) 또는 아래층 락킹 해제 와이어(142)가 당겨지지 않으면 상기 비틀림 스프링(12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림 후크(124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회전 방지턱(1242)은 상부 락킹 고정편(123)의 우측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rrent layer unlocking means 13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urrent layer unlocking wire 132 and the current layer unlocking wire 132 to rotate the current layer unlocking wire 132 when it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Unlocking handle 131 that does not pull or pull the handle 132,
The lower layer unlocking means 14 includes a lower layer unlocking wire 142 and a lower layer unlocking wire 142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ower layer unlocking wire 142 to rotate the lower layer unlocking wire 142 when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a lower unlocking handle 141 that does not pull or pull,
The moving frame locking means 12 includes a moving frame side locking hole 121 passing through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11,
A locking bar 122 vertically installed in the moving frame side locking hole 121,
The locking frame 1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10 and projects in the direction of the moving frame 11, And a locking bar insertion groove 1231 into which the locking bar 122 is inserted, the upper locking locking piece 123,
A locking hook 1241 which overlies the upper locking locking piece 123 and faces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bar insertion groove 1231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lower locking locking piece 123 and the left side end is tapered, The present floor unlocking wire 132 and the current floor unlocking wire 132 provided at the right end of the present layer unlocking means 13 and the upper floor unlocking wire 132 provided at the right end from the upper floor fire evacuating device A lower locking rotating piece 124 provided with a wire connecting piece 1243 to which an extended lower layer unlocking wire 142 is connected,
A fixing shaft 125 for fixing the lower locking rotation piece 124 and the upper locking fixing piece 123,
And a torsion spring 126 whose center is fixed to the fixed shaft 125 and whose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locking locking piece 123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lower locking rotating piece 124,
The locking bar 122 inserted into the locking bar insertion groove 1231 is not hooked by the locking hook 1241 so that the moving frame 11 and the fixed frame 10 can 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lower floor unlocking wire 142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unlocking wire 132 or the upper floor unlocking wire is pulled, the locking hook 1241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locking bar 122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bar insertion groove The torsion spring 126 is pushed outwardly to separate the moving frame 11 and the fixed frame 10 and the current layer unlocking wire 132 or the lower layer unlocking wire 142 is not pulled, The locking hook 1241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upper locking locking piece 123 and the rotation locking tab 1242 is in contact with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upper locking locking piece 123 Fire evacuation device using the library window.
상기 접이식 발판(16)은 좌우측 선단이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고 후면이 개방된 전방측 탈출구(1661)가 갖추어진 전방측 발판(166)과,
좌우측 후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하부 좌우측에 축 고정되고 전면이 개방된 후방측 탈출구(1671)가 갖추어지며 선단이 상기 전방측 발판(166)의 후단과 경첩 연결된 후방측 발판(167)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측 탈출구(1661)와 후방측 탈출구(1671)는 상기 접이식 발판(16)의 전후 방향으로 마주보고, 상기 탈출구(161)는 상기 전방측 탈출구(1661)와 후방측 탈출구(1671)가 합쳐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ldable footrest 16 includes a front footrest 166 having right and left front ends fixed to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ving frame 11 and having a front side exit 1661 opened rearward,
Side rear foot 167 is fixed to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xed frame 10 and the front side is opened and the front end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ront foot pedal 166 by a rear foot pedestal 167 Including,
The front side escape opening 1661 and the rear side escape opening 1671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oldable footrest 16 and the escape opening 161 is formed by the front side escape opening 1661 and the rear side escape opening 1671 The fire escaping device using a gallery window in a high-rise building.
상기 발판 해치(17)(Hatch)는 상기 전방측 탈출구(1661)에 끼워지고 상기 전방측 탈출구(1661)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는 전방측 발판 해치(171)와,
상기 후방측 탈출구(1671)에 끼워지고 선단이 상기 전방측 발판 해치(171)와 경첩 연결된 후방측 발판 해치(172),
및 상기 후방측 발판 해치(172) 윗면으로부터 후방측 발판 해치(172)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후방측 탈출구(1671) 가장자리에 얹혀져 상기 전방측 발판 해치(171)와 후방측 발판 해치(172)가 탈출구(161) 밑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스톱(Stop)판(174)을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발판(16)이 반으로 포개지면 상기 발판 해치(17)도 상기 접이식 발판(16)을 따라 반으로 포개지는 반면 상기 접이식 발판(16)이 일자('一') 형태로 펼쳐지면 상기 발판 해치(17)도 상기 접이식 발판(16)을 따라 일자('一') 형태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ootplate hatch 17 includes a front footplate hatch 171 fitted to the front side escape opening 1661 and hinged to a front end of the front side escape opening 1661,
A rear side footplate 172 fitted to the rear side escape opening 1671 and having a front end hinged to the front footplate hatch 171,
Side footplate 172 and the rear side footplate 172. The front footplate hatch 171 and the rear footplate hatch 172 protrude from the upper side of the rear footplate hatch 172 rearwardly of the rear footplate hatch 172 and rest on the edge of the rear- And a stop plate (174) that does not fall under the lower plate (161)
When the foldable footrest 16 is folded in half, the footrest 17 is folded in half along the foldable footrest 16, whereas when the foldable footrest 16 is folded in a ' Wherein the hatch (17) is also laid out in a '1' shape along the folding footrest (16).
상기 이동 프레임(11)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가로 방향으로 눕혀지고 양끝이 상기 이동 프레임(11)의 좌·우측면에 고정되는 이동 프레임측 가로바(111)가 부가 장착되고,
화재가 발생되어 상기 접이식 발판(16)이 일자 형태로 펼쳐졌을 때 탈출구(161)를 막고 있는 발판 해치(17)를 개방시키는 발판 해치 개방 수단(23)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판 해치 개방 수단(23)은 상기 전방측 발판 해치(171) 윗면에 고정된 와이어 고정 풀리(231)와,
일단이 상기 와이어 고정 풀리(23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 프레임측 가로바(111)를 통과하는 해치 개방 와이어(232),
상기 해치 개방 와이어(232)의 타단에 고정 설치된 와이어 손잡이(233),
및 상기 전면 패널(15)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고정 풀리(231)로부터 연장된 해치 개방 와이어(232)를 상기 이동 프레임측 가로바(111) 방향으로 안내하는 와이어 방향 전환 풀리(234)를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 손잡이(233)를 잡아 당기면 상기 전방측 발판 해치(171)가 해치 개방 와이어(232)에 이끌려 축 회전되면서 탈출구(161)가 개방되고 상기 후방측 발판 해치(172)는 상기 전방측 발판 해치(171)와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oving frame 11 is additionally mounted with a moving frame side horizontal bar 111 which is laid down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oving frame 11 and whose both ends are fix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ving frame 11,
Further comprising a foot hatch opening means (23) for opening a foot hatch (17) blocking the escape opening (161) when the folding footrest (16)
The foot hatch opening means 23 includes a wire fixing pulley 231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footplate hatch 171,
A hatch opening wire 232 having one end fixed to the wire fixing pulley 231 and the other end passing through the horizontal bar 111 on the moving frame side,
A wire knob 233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hatch opening wire 232,
And a wire direction diverting pulley 234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 and guiding a hatch opening wire 232 extending from the wire fixing pulley 231 in the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ar 111 of the moving frame side So,
When the wire knob 233 is pulled out, the front footplate hatch 171 is axially rotated by being pulled by the hatch opening wire 232 to open the escape opening 161 and the rear footplate hatch 172 is moved (171) of the fire extinguisher.
상기 고정 프레임(10)은 좌측 세로바(103)와 우측 세로바(104)를 구비하며,
상기 우측 세로바(104)를 마주보는 좌측 세로바(103)의 한쪽 면에는 좌측 세로바(103)의 길이 방향으로 좌측 레일이 갖추어지고,
상기 좌측 세로바(103)를 마주보는 우측 세로바(104)의 한쪽 면에는 우측 세로바(104)의 길이 방향으로 우측 레일이 갖추어지며,
상기 승강기(19)는 상기 좌측 세로바(103)에 갖추어진 좌측 레일에 레일 결합되어 좌측 세로바(103)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 되는 좌측 슬라이딩 로드(192)(rod)와,
윗면에 반원형 와이어 몰딩재(193)가 장착되고 일단이 상기 좌측 슬라이딩 로드(192)의 상단에 축 고정되며 측면에 좌측 장홀(1941)이 갖추어진 좌측 연결암(194),
일단이 상기 좌측 슬라이딩 로드(192)의 하단에 축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좌측 장홀(1941)에 축 고정되어 상기 좌측 연결암(194)이 '1'자 행태로 세워졌을 때에는 길이가 축소되어 있다가 상기 좌측 연결암(194)이 축 회전되어 수평 방향으로 눕혀졌을 때에는 길이가 연장된 다음 락킹(Locking)되어 연장된 길이를 유지하는 좌측 지지바(195),
상기 우측 세로바(104)에 갖추어진 우측 레일에 레일 결합되어 우측 세로바(104)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우측 슬라이딩 로드(196)(rod),
윗면에 반원형 와이어 몰딩재(193)가 장착되고 일단이 상기 우측 슬라이딩 로드(196)의 상단에 축 고정되며 측면에 우측 장홀(1971)이 갖추어진 우측 연결암(197),
일단이 상기 우측 슬라이딩 로드(196)의 하단에 축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우측 장홀(1971)에 축 고정되어 상기 우측 연결암(197)이 '1'자 행태로 세워졌을 때에는 길이가 축소되어 있다가 상기 우측 연결암(197)이 축 회전되어 수평 방향으로 눕혀졌을 때에는 길이가 연장된 다음 락킹(Locking)되어 연장된 길이를 유지하는 우측 지지바(198),
및 좌·우측면이 각각 좌측 연결암(194)과 우측 연결암(197)에 결합되어 상기 좌·우측 연결암(194,197)을 따라 '1'자 형태로 세워지거나 수평 방향으로 눕혀지는 리프트 발판(19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frame 10 includes a left vertical bar 103 and a right vertical bar 104,
One side of the left vertical bar (103) facing the right vertical bar (104) is provided with a left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vertical bar (103)
One side of the right side vertical bar 104 facing the left side vertical bar 103 is provided with a right side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ght side vertical bar 104,
The elevator 19 includes a left sliding rod 192 which is coupled to a left rail provided on the left vertical bar 103 and is sli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vertical bar 103,
A left connection arm 194 having a semicircular wire molding material 193 mounted on its upper surface and one e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eft sliding rod 192 and having a left elongated hole 1941 at its side,
When one end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left sliding rod 192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left elongated hole 1941 so that the left connection arm 194 is in a ' When the left connection arm 194 is axially rotated to be laid horizontally, the left support bar 195 is extended to a length and is then locked to maintain the extended length,
A right sliding rod 196 which is coupled to the right rail provided on the right vertical bar 104 and is sli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ght vertical bar 104,
A right connecting arm 197 having a semicircular wire molding material 193 mounted on its upper surface and one e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right sliding rod 196 and having a right elongated hole 1971 on its side,
When one end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right sliding rod 196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right elongated hole 1971 so that the right connection arm 197 is in a ' When the right connection arm 197 is axially rotated to be lai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right support bar 198 is extended to a length and then is locked to maintain an extended length,
And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thereof are coupled to the left connection arm 194 and the right connection arm 197 and ar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connection arms 194 and 197 in the form of a ' A fire escape device using a gallery window in a high-rise building.
상기 승강기 구동 수단(20)은 상기 고정 프레임(10)의 상부 후면에 고정 설치된 케이스(201)와,
상기 케이스(201) 내부에 권취되고 한쪽 끝이 좌측 연결암(194)에 갖추어진 반원형 와이어 몰딩재(193) 안으로 삽입된 다음 좌측 연결암(194)의 윗면에 고정 설치된 좌측 와이어(202),
상기 케이스(201) 내부에 권취되고 한쪽 끝이 우측 연결암(197)에 갖추어진 반원형 와이어 몰딩재(193) 안으로 삽입된 다음 우측 연결암(197)의 윗면에 고정 설치된 우측 와이어(203),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좌·우측 와이어(202,203)를 케이스(201)안으로 감아 넣거나 케이스(201) 바깥으로 풀어내는 와이어 권취 수단,
및 상기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의 분리 여부를 감지한 다음 이동 프레임(11)과 고정 프레임(10)이 분리되었을 때 상기 와이어 권취 수단을 통해 좌·우측 와이어(202,203)를 잡아 당겨 리프트 발판(191)을 수평 방향으로 눕히는 리프트 발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or driving means 20 includes a case 201 fixed to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fixed frame 10,
A left wire 202 wound inside the case 201 and inserted into a semicircular wire molding material 193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eft connection arm 194 and then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connection arm 194,
A right wire 203 wound inside the case 201 and inserted into a semicircular wire molding material 193 provided at one end of the right connection arm 197 and then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ight connection arm 197,
A wire winding means for winding the left and right wires 202 and 203 into the case 201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lectric motor or for releasing the left and right wires 202 and 203 out of the case 201,
And when the movable frame 11 and the fixed frame 1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left and right wires 202 and 203 are gripped by the wire winding means And a lift foot controller for pulling up the lift foot plate 19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6077A KR101975737B1 (en) | 2019-01-17 | 2019-01-17 | The fire escaping apparatus using a gallery window in the high buil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6077A KR101975737B1 (en) | 2019-01-17 | 2019-01-17 | The fire escaping apparatus using a gallery window in the high build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5737B1 true KR101975737B1 (en) | 2019-05-07 |
Family
ID=6665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6077A Active KR101975737B1 (en) | 2019-01-17 | 2019-01-17 | The fire escaping apparatus using a gallery window in the high build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5737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3083B1 (en) * | 2019-05-10 | 2019-12-06 | 김평욱 | Device for emergency escape |
CN111119692A (en) * | 2019-12-17 | 2020-05-08 | 江苏斐素建筑规划设计有限公司 | Escape window for building intelligent installation engineering |
CN111719984A (en) * | 2020-07-01 | 2020-09-29 | 惠州市奇思创想科技有限公司 | Environment-friendly intelligent fire-fighting ventilation equipment |
KR102252742B1 (en) | 2020-09-25 | 2021-05-17 | (주)이스케이프원 | Fire Escaping Apparatus for Two Neighbors |
KR102252741B1 (en) | 2020-09-25 | 2021-05-17 | (주)이스케이프원 | Fire Escaping Apparatus for Two Neighbors |
KR20220046112A (en) | 2020-10-07 | 2022-04-14 | 류순모 | High-rise building fire evacuation device |
KR102600261B1 (en) | 2022-12-29 | 2023-11-09 | 주식회사 디딤돌 | Evacuation structure of high-rise building with louver window for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
KR102601754B1 (en) * | 2022-11-30 | 2023-11-10 | 전말숙 | Building evacuation facility using building outer walls and louver windows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3592B1 (en) * | 2009-06-22 | 2011-06-22 | 주식회사 에스엠텍 | Safety Handrails for Fire Evacuation |
KR101176978B1 (en) | 2010-10-14 | 2012-08-24 | 주식회사 세이프테크코리아 | Bottom establishment style fire evacuation system |
KR101706609B1 (en) | 2016-07-27 | 2017-02-27 |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 A safety dvice and emergency escape device for high-rise building |
KR101733986B1 (en) | 2016-12-16 | 2017-05-10 | 최영림 | Floor structures of building evacuation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1750700B1 (en) * | 2016-12-02 | 2017-07-11 |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 Vertical escape management system |
KR101782139B1 (en) * | 2017-06-16 | 2017-10-12 | 주식회사 에스엠텍 | Fire and disaster escaping system in a structure |
KR101903545B1 (en) * | 2017-08-28 | 2018-10-02 | 류순모 | The fire and disaster escaping system in a high-rise building |
-
2019
- 2019-01-17 KR KR1020190006077A patent/KR10197573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3592B1 (en) * | 2009-06-22 | 2011-06-22 | 주식회사 에스엠텍 | Safety Handrails for Fire Evacuation |
KR101176978B1 (en) | 2010-10-14 | 2012-08-24 | 주식회사 세이프테크코리아 | Bottom establishment style fire evacuation system |
KR101706609B1 (en) | 2016-07-27 | 2017-02-27 |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 A safety dvice and emergency escape device for high-rise building |
KR101750700B1 (en) * | 2016-12-02 | 2017-07-11 |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 Vertical escape management system |
KR101733986B1 (en) | 2016-12-16 | 2017-05-10 | 최영림 | Floor structures of building evacuation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1782139B1 (en) * | 2017-06-16 | 2017-10-12 | 주식회사 에스엠텍 | Fire and disaster escaping system in a structure |
KR101903545B1 (en) * | 2017-08-28 | 2018-10-02 | 류순모 | The fire and disaster escaping system in a high-rise building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3083B1 (en) * | 2019-05-10 | 2019-12-06 | 김평욱 | Device for emergency escape |
CN111119692A (en) * | 2019-12-17 | 2020-05-08 | 江苏斐素建筑规划设计有限公司 | Escape window for building intelligent installation engineering |
CN111119692B (en) * | 2019-12-17 | 2022-02-22 | 江苏斐素建筑规划设计有限公司 | Escape window for building intelligent installation engineering |
CN111719984A (en) * | 2020-07-01 | 2020-09-29 | 惠州市奇思创想科技有限公司 | Environment-friendly intelligent fire-fighting ventilation equipment |
KR102252742B1 (en) | 2020-09-25 | 2021-05-17 | (주)이스케이프원 | Fire Escaping Apparatus for Two Neighbors |
KR102252741B1 (en) | 2020-09-25 | 2021-05-17 | (주)이스케이프원 | Fire Escaping Apparatus for Two Neighbors |
KR20220046112A (en) | 2020-10-07 | 2022-04-14 | 류순모 | High-rise building fire evacuation device |
KR102457789B1 (en) * | 2020-10-07 | 2022-10-20 | 류순모 | High-rise building fire evacuation device |
KR102601754B1 (en) * | 2022-11-30 | 2023-11-10 | 전말숙 | Building evacuation facility using building outer walls and louver windows |
KR102600261B1 (en) | 2022-12-29 | 2023-11-09 | 주식회사 디딤돌 | Evacuation structure of high-rise building with louver window for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5737B1 (en) | The fire escaping apparatus using a gallery window in the high building | |
KR102005216B1 (en) | The fire escaping apparatus in high buildings | |
KR101173585B1 (en) | Eemergency escaping apparatus of a layer space | |
KR101863901B1 (en) | The folding type fire and disaster escaping system combined using for balcony balustrade | |
KR101843842B1 (en) | Fire and disaster escaping system combined using for balcony balustrade | |
CN110799250B (en) | Fire or other disaster evacuation facility in a building | |
KR101962656B1 (en) | Disaster Escaping System Equipped with Gate for Skyscraper | |
KR101615728B1 (en) |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building | |
KR102021931B1 (en) | Fire Escaping Apparatus for Two Neighbors | |
US4079812A (en) | Movable shelter floor type emergency escape | |
KR101913093B1 (en) | Apparatus For Emergency Escape For Building | |
KR20130103132A (en) | Eemergency shelter apparatus a hatch type | |
KR101131484B1 (en) | Escaping apparatus for emergency evacuation | |
KR101043592B1 (en) | Safety Handrails for Fire Evacuation | |
KR101153908B1 (en) | Ladder for evacuation | |
KR102037262B1 (en) | Safety rail for veranda in building | |
KR101171249B1 (en) |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 |
KR101171248B1 (en) |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 |
KR101141297B1 (en) |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 |
KR100655858B1 (en) | Window structure of multi-storey building for emergency evacuation | |
KR102183490B1 (en) | Safety rails for evacuation of buildings with fire-proof doors | |
US5025891A (en) | Escape for a building | |
KR101105685B1 (en) | Fire Evacuation Descent | |
KR20210009876A (en) | Mechanical emergency escape device of joint housing and high-rise building | |
KR101659943B1 (en) | Balcony device having shelter function in apartment house in case of fi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1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9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4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