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917B1 - A power saving method of a computer system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registry setting values according to the idle resource - Google Patents
A power saving method of a computer system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registry setting values according to the idle resour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2917B1 KR101972917B1 KR1020180169354A KR20180169354A KR101972917B1 KR 101972917 B1 KR101972917 B1 KR 101972917B1 KR 1020180169354 A KR1020180169354 A KR 1020180169354A KR 20180169354 A KR20180169354 A KR 20180169354A KR 101972917 B1 KR101972917 B1 KR 1019729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registry
- mode
- main board
-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7958 sleep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902 propag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1100202428 Neopyropia yezoensis atps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266 hiber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4 remod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 중 현재 시스템의 상황을 체크하여 CPU 속도를 일정치 드롭(drop)하고 불필요한 프로세스들을 제거하며, OS가 부팅되고 안정화되면, 시스템 유휴자원에 따라 Registry의 값을 최적화하는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하는 컴퓨터 유휴자원에 따라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설정 값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ATX 파워 커넥터(60)를 통해 SMPS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파워 버튼(13)이 활성화되면 이를 인식하여 전파하는 SIO(19); 상기 SIO(19)에 현재 전원 상태(모드)를 알리는 칩셋(14); 상기 칩셋(14)을 통해 현재 모드에 따라 SIO(19)의 출력을 행하도록 프로그래밍하는 ROM BIOS(10b); 상기 ATX 파워 커넥터(6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5VSB_PWR)을 메인 보드 상의 소자들에 공급하는 파워스위칭 컴포넌트(140); 현재 작업 DB 및 프로세스 DB의 작업 및 프로세스 DB(131)로부터 현재 진행 중인 작업 및 프로세스를 파악하여 이를 OS(10c)에 통지하여 줌으로써 현재 아이들 모드(S3 모드)인지 혹은 유휴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윈도우 작업관리자(130); 및 상기 OS(10c)의 지시에 따라서 환경변수(151)를 세팅함으로써, 최적의 절전이 행하여 지도록 하는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S is booted and stabilized, the value of the Registry is optimized according to the system idle resources by checking the status of the current system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omputer system, dropping the CPU speed constantly, removing unnecessary process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ergy saving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registry setting value in accordance with computer idle resources for saving energy by a management program. The ATX power connector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SMPS through the ATX power connector, ) Is activated, the SIO 19 recognizes and propagates it; A chipset 14 informing the SIO 19 of a current power state (mode); A ROM BIOS 10b for programming through the chipset 14 to output the SIO 19 according to the current mode; A power switching component 140 for supplying a power source 5VSB_PWR supplied from the ATX power connector 60 to elements on the main board; (S3 mode) or idle state by notifying the OS 10c of the job and the process currently in process from the job DB 13 of the current job DB and the process DB, A window operation manager 130; And a registry management tool 150 for setting an environment variable 151 according to an instruction of the OS 10c so as to perform optimal power saving; And a control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컴퓨터의 메인보드와 주변장치에 공급되는 전원공급장치의 소비전력을 줄이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유휴자원에 따라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설정 값을 제어하되 시스템 유휴자원에 따라 레지스트리(Registry)의 값을 최적화하는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컴퓨터 유휴자원에 따라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설정 값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power supply unit supplied to a main board and a peripheral device of a compu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a registry setting value according to a computer idle resour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 saving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registry setting value in accordance with computer idle resources for saving energy by a management program that optimizes a memory capacity of a computer.
종래의 컴퓨터 전원공급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SMPS와 같은 파워서플라이(20)가 메인보드(10)의 SIO(12)와 24핀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는 +5V의 스탠바이 전압(+5VSB)의 인가용이다. 1, a
사용자가 PC 케이스의 파워스위치(미도시됨)를 누르면, 이와 기구적으로 연결된 파워 버튼(13)이 눌려지고, 파워 버튼(13)이 SIO(12)로 제1 신호(PWRBTN#)를 보내며, 다시 SIO(12)는 파워서플라이(20)로 파워온 신호선(PSON#)을 활성화하며, 칩셋(14)으로는 제2 신호(PWRBTN#_SB)를 발하는바, 파워서플라이(20)는 CPU(11) 및 칩셋(14)으로 파워굳 신호(PWROK) 신호를 보내서 이를 알리며, 이후 메인 보드로 파워가 공급되도록 한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power switch (not shown) of the PC case, the mechanically connected
미설명 부호 15는 칩셋의 리셋 버튼이며, 16은 배터리이고, 17은 리쥼 리셋(17)이며, 18은 LAN이다. 그외에도, CPU 및 칩셋과 연결된 AC, FWH, 슈퍼IO(19), AGP 슬롯, PCI 슬롯, IDE 등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파워서플라이(20)와 메인보드 간에는 비작동시에도 +5V의 대기전력이 인가되는바, 시동 버튼의 인식 및 원격시동의 인식 등을 위해 약 1W의 대기 전력을 필요로 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5 V standby power is applied between the
그리고, 이는 개별적으로는 결코 높지 않는 소비전력이나, 일 기관 전체로는, 나아가 일 국가 전체로는 막대한 에너지의 낭비로 이어지게 된다.And this leads to a waste of energy, which is never high individually, and a huge amount of energy for a whole organization and even for a whole countr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원 콘센트 자체에서 전원을 완전 차단하여 대기전력을 제로로 만드는 스위치를 갖는 콘센트가 개발돼 있는가 하면 (제1 종래기술), 한편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3-0043923호 (전원공급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와 같이, 파워 스위치의 온/오프를 인식하여 전원을 완전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복잡한 장치를 제안하기도 한다(제2 종래기술).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has been developed a socket having a switch which completely cuts off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ocket itself to make the standby power zero (first prior art). 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3-0043923 (Second conventional technique) for recognizing the on / off state of the power switch to completely shut off the power supply, such as th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power supply device.
그러나, 상기 제1 종래기술의 경우,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여러가지 이유로, 사용자가 콘센트의 전원 완전 차단 스위치를 오프하지 않고 자리를 뜨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제2 종래기술의 경우, 대단히 복잡하고 고비용의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장치를 일반 PC에 장착하기가 주저되는 것이 사실이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first prior art, in spite of the fact that it is practically possible for the user to sit in the outlet without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completely disconnected from the outlet, the second prior art is very complicated and expensive It is indispensable to mount such a device on a general PC.
이에, 본 발명자는, 아주 단순하면서도 자동으로 대기전력을 최소화한 컴퓨터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 제1328393호 (명칭: 대기전력이 절감되는 컴퓨터 전원공급장치) 를 제안한 바 있는바, 이를 제3 종래기술로서 설명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has proposed a computer power supply apparatus which is very simple but minimizes standby power automatically, and proposed Korean Patent No. 1328393 (name: computer power supply apparatus whose standby power is reduced) This will be described as a third prior art.
상기 제3 종래기술은, 도 2에서 보듯이, CPU(11), SIO(12), 파워 버튼(13), 칩셋(14), 리셋 버튼(15), 제1 배터리(16), LAN(18) 및 슈퍼IO(19)를 갖는 메인 보드(10); 상기 메인 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SMPS(20); 상기 SMPS의 대기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마이컴(30); 상기 메인보드와 SMPS 간의 신호 및 대기전력 커넥팅을 매개하는 파워 커넥터(60); 및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대기 전력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마이컴(30)은 파워 전원의 대기전력(5VSB)을 상기 스위칭부(40)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메인보드에 공급되는 대기전원을 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2, the third prior art technology has a
즉, 상기 제3 종래기술의 전원공급장치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CPU(11), SIO(12), 파워 버튼(13), 칩셋(14), 리셋 버튼(15), 배터리(16), 리쥼 리셋(17), LAN(18), 슈퍼IO(19) 등을 갖는 메인 보드(10)와, 상기 메인 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SMPS(20), SMPS의 대기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마이컴(30) 및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대기 전력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 '50'은 PC 케이스의 파워스위치이며, '60'은 메인보드와 SMPS 간의 파워 커넥터이다.2, the power supply apparatus of the third prior art includes an existing
상기 제3 종래기술에서는, 파워 커넥터(60)가 메인보드(10)와 SMPS(20) 간의 신호 및 대기전력 커넥팅을 매개하는바, SMPS(20)와 상기 파워 커넥터와는 23개 핀으로 접속되어지고, 대신 하나의 핀인 +5V 대기전력선(+5VSB)은 파워 커넥터 대신 마이컴(30) 및 스위칭부(40)와 접속되어 진다는 점이 도 1의 종래의 전원공급장치와 상이하다. 상기 스위칭부(40)는, 파워스위치용 IC이거나, FET 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third prior art, the
이외에도, 마이컴(30)은, SMPS(20)로부터 SMPS굳 신호(PS_ON#) 혹은 파워굳 신호(PWR_ON) 중의 어느 하나 혹은 양자 모두의 신호를 SMPS(20)로부터 수신받는다. 상기 파워굳 신호(PWR_ON)는 CPU(11) 및 칩셋(14)으로도 인가된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마이컴(30)은 또한, 외부의 케이스 파워 스위치(50)로부터의 스위칭 신호(CASE_PWR_BTN)에 의해 대기전력 공급 개시 동작을 시작하게 되며, 이에 따라 +5V의 대기전력(+5VSB)을 상기 스위칭부(40)를 통해 5V 대기신호(P5V_STBY)로서 메인 보드(10)로 인가하게 되는바, 상기 스위칭부(40)는 상기 마이컴(30)의 제어신호(5VSB_SW)가 '온'일 경우에, 상기 SMPS(20)로부터의 +5V 대기전력(+5VSB)을 5V 대기신호(P5V_STBY)로서 메인 보드(10)로 인가하게 된다. Meanwhile, the
SMPS(20) 파워 커넥터로부터 메인보드(10) 파워 커넥터로 PC 정상동작 전력 +12V 및 -12V 라인, +5V 대기전력선 및 +3.3V 전력선, 그리고 파워굳(PWR_ON) 신호가 간다. 다만, 5V 대기전력선(5VSB)은, 스위칭 장치(40)로 가며, 다시 스위칭 장치(40)에서 메인보드 파워 커넥터로 대기 전력 신호(P5V_STBY)가 간다.From the SMPS (20) power connector to the mainboard (10) power connector, the PC's normal operating power goes to + 12V and -12V lines, + 5V standby power lines, + 3.3V power lines, and power hardening (PWR_ON) signals. However, the 5V standby power line (5VSB) goes to the switching device (40), and the standby power signal (P5V_STBY) goes from the switching device (40) back to the main board power connector.
더욱이, 마이컴(30)으로부터 스위칭부(40)로 대기전원 스위치 신호(5VSB_SW)가, 그리고 메인 파워 버튼(12)으로 파워 버튼 신호(MB_PWR_BTN)가 간다.Further, the standby power switch signal 5VSB_SW from the
역으로, 메인보드(10) 파워 커넥터로부터 SMPS(20) 파워 커넥터로 SMPS굳(PS_ON#) 신호가 간다.Conversely, the SMPS good (PS_ON #) signal goes from the
이들 동작을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3 종래기술의 마이컴(30)은 파워 전원의 대기전력(5VSB)을 상기 스위칭부(40)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메인보드에 공급되는 전원을 통제하는데, 보통 전원이 오프되는 것은 커넥터 간의 오가는 파워굳(PWR_ON) 및/또는 SMPS굳(PS_ON#) 신호를 마이컴에서 감지하여, 전원이 오프일 경우에는 5V 대기전원을 오프해 주면 된다. 즉, 이 경우, 메인보드에 대기전력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컴퓨터의 전원을 켤 수 없는 것이다. First, the
한편, PC 사용자가 케이스 파워 스위치(50)를 누르면, 이 신호에 의해 상기 제3 종래기술의 마이컴(30)이 활성화되며, 마이컴은 커넥터 간의 오가는 파워굳(PWR_ON) 및/또는 SMPS굳(PS_ON#) 신호를 감지하여, 전원이 온일 경우에는 스위칭부(40)로의 제어신호(5VSB_SW)를 턴온하여, 5V 대기전원(5VSB)이 메인보드로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메인보드의 파워 버튼(13)이 온되면, SIO(12)로 입출력 개시명령이 하달되고, SIO(12)는 파워 커넥터(60)를 통해 SMPS(20)로 파워서플라이굳(PS_ON#)을 발하는바, SMPS는 상황이 정상일 경우, 파워굳(PWR_ON) 신호를 역시 커넥터(60)를 통해 메인보드(10)로 전달하면서, 메인보드 동작전원(+12V)를 활성화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C user presses the
따라서, 상기 제3 종래기술에 의하면, 컴퓨터 기동 시스템의 대기전력에 해당하는 1W의 대기전력을 소비하지 않고, 마이컴의 대기전력에 해당하는 0.1W 정도의 대기전력만으로 스탠바이 및 컴퓨터 기동이 가능해 진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third prior art, standby power and computer start-up can be performed only by standby power of about 0.1 W corresponding to the standby power of the microcomputer without consuming standby power of 1 W corresponding to standby power of the computer activation system There are advantages.
그런데, 시스템 전원 '온' 및 '오프' 상태만을 갖는 종래의 시스템과 달리, 최근의 PC들은 S1 내지 S5 모드를 채택하여, 다양하게 세분화된 모드를 채택하고 그에 따라 속도와 자원 활용도를 높인 가장 효율적인 시스템 동작을 하게 된다. 참고로, S0 모드는 컴퓨터 동작 모드이고, S1 모드는 프로세서가 아이들(idle) 상태로서 저전력 공급 상태이나 여전히 램에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 상태이고, S2 모드는 프로세서가 딥슬립(deep sleep)모드로서 그러나 여전히 램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며, S3모드 (절전/대기모드)의 경우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최소 전원을 유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여전히 +5V SB를 OFF하면 안 된다. 이때 DDR 메모리의 타입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출력되지만 VDD 전원이 1.2~1.5V가 계속 유지되는바, 이때에는 메모리와 RTC등 일부에만 전원이 공급된다. 반면, S4 모드 (최대절전모드) 에서는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고 시스템의 모든 전원을 끈다. 즉, 전원 OFF와 거의 동일한 상태가 된다. 이때에는 메모리의 VDD 전원은 전원 OFF 때와 같이 0V 출력된다. 따라서, VDD 신호 하나로 대기전력 차단과 관련한 체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다시 정리하자면, 시스템 대기전력을 OFF 조건인 전원 OFF 및 S4 모드의 경우에는 VDD 신호는 0V이고, 대기전력 ON 조건인 시스템 동작(전원 ON 상태) 및 S3(절전/대기 모드)의 경우에는, VDD 신호는 1.2~1.5V 를 출력하게 된다.Unlike conventional systems that only have the system power 'on' and 'off' states, modern PCs adopt the S1 to S5 mode, adopting various granular modes and thus the most efficient System operation. For reference, the S0 mode is a computer operation mode, the S1 mode is a state in which the processor is in an idle state and is in a low power supply state or a state in which power is still supplied to the RAM, and S2 mode is a deep sleep mode However, in the S3 mode (power saving / standby mode), the power is still supplied to the RAM. In this case, the + 5V SB should not be turned off as the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and the minimum power is maintained.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type of DDR memory, VDD power is maintained at 1.2 ~ 1.5V, but power is supplied only to some parts such as memory and RTC. On the other hand, in S4 mode (hibernate mode), the data is stored on the hard disk and all the system power is turned off. That is, it is almost the same as the power OFF state. At this time, VDD power of memory is output as 0 V as when power is OFF. In other words, the VDD signal is 0 V in the OFF state of the system standby power and in the case of the S4 mode, and the system operation which is the standby power ON condition (Power ON state) and S3 (power saving / standby mode), the VDD signal outputs 1.2 to 1.5V.
따라서, 이와 같은 최근의 S0~S5 모드를 갖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상기 제3 종래기술의 경우에도, 이러한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전원의 상태를 모두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방법으로는 1) SMPS 내부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거나, 2) '파워굳' 등의 몇 가지 신호를 더 확인하여 체크하였는데, 1) 전류를 체크하는 경우 고가의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및 주변회로가 필요하여 대기전력 1W를 줄이는 비용대비 효용가치가 없으며, 2) 또한 '파워굳' 등의 신호를 통하여 체크하는 경우 하나의 신호로 모든 전원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여러 신호를 입력받고 전원상태를 체크하기 위하여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생산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system having the recent S0 to S5 mode, in the case of the third prior art, it is necessary to check all the states of the power source in order to block such standby power. 2) Checking some signals such as 'power good', and checking them. 1) When checking the current, an expensive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and a peripheral circuit are required There is no cost-effective value to reduce standby power of 1W. 2) Also, when checking through signals such as 'power good', all power can not be checked by one signal. Therefore, Structure, which leads to a problem of low production efficiency.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파워온 동작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a conventional general power-on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Fig.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파워온 동작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인바, 종래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원 버튼이 '온'되면, 수퍼IO(19) 내의 PS_ON 회로(19a)가 이를 인식하고, 칩셋(14)의 사우스브릿지와 통신하면서, 메인보드(10)의 SIO(12)의 20핀짜리 커넥터의 PS_ON# 단자를 활성화시켜 메인보드(10)로 파워가 인가되도록 한다.3, the
이상의 도 3의 PS_ON 회로(19a)의 블록도의 일예가, 도 4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에서, 전원 버튼에 해당하는 스위치(S1)가 눌려지면, '로우' 레벨로 떨어지면서, PS_ON 회로(19a)가 활성화되는바, 각종 전압이 SMPS로부터 메인 보드로 인가된다(도 5의 타이밍챠트 참조).An example of the block diagram of the
다른 한편, 도 6은 종래의 일반적인 파워온 동작의 개념을 설명하는 또다른 예의 도면인바, 역시 전원'온' 스위칭(PWR)이 행해지면, 칩셋(14)이 P.ON 신호를 SIO(12)로 출력하고, 다시 SIO(12)는 P.ON 신호를 메인보드의 커넥터의 PS_ON# 단자로 출력하여, 전원이 SMPS로부터 메인보드로 인가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FIG. 6 shows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power-on operation concept. When power-on switching (PWR) is performed, the
도 7은 도 6의 각 신호들의 타이밍 챠트인바, VAC가 활성화(AC 전원이 인가)되면, PS_ON# 신호가 '로우' 레벨로 떨어지면서 활성화되고, 각종 전압이 SMPS로부터 메인보드로 인가되면서, 파워굳 신호로 응답하게 된다.FIG. 7 is a timing chart of the signals of FIG. 6, and when the VAC is activated (AC power is applied), the PS_ON # signal is activated while falling to a low level and various voltages are applied from the SMPS to the main board, It responds with a good signal.
즉, 종래는 도 6에서와 같이, PS_ON# 신호(SMPS 전원 On)도, +5V SB신호를 먼저 On한 후, 메인보드의 전원 '온' 스위치 단에 연결하여 사우스브리지와 Super I/O 칩셋을 통하여 SMPS에 PS_ON#신호를 발생하여, 케이블의 연결이나 개조 작업성이 좋지 않아, 결국 생산성이 낮았다.6, the PS_ON # signal (SMPS power on) is also turned on first by turning on the + 5V SB signal and then by connecting the south bridge and the Super I / O chipset , The PS_ON # signal is generated in the SMPS, and the connection and remodeling workability of the cable is poor, resulting in low productivity.
다른 한편, 본 발명자는,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동작 모드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에서도, 아주 단순하면서도 자동으로 대기전력을 최소화한 컴퓨터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은 대기전력이 절감되는 컴퓨터 전원공급장치를 제안하여 특허 제1623756호로 특허받은 바 있다. 이를 도 2 및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 computer power supply apparatus which is very simple and automatically minimizes standby power even in a computer system having various operation modes, And proposed a computer power supply device that reduces standby power and has been patented as a patent No. 1623756. [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S. 8 to 10. FIG.
도 8은 제4 종래기술에 따른 대기전력이 절감되는 컴퓨터 전원공급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9는 제4 종래기술에 따른 대기전력이 절감되는 컴퓨터 전원공급장치의 상세 회로도이며, 도 10은 제4 종래기술에 따른 대기전력이 절감되는 컴퓨터 전원공급장치의 마이컴의 동작흐름도이다.FIG. 8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power supply apparatus in which standby power is reduced according to a fourth conventional technique, FIG. 9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computer power supply apparatus in which standby power is reduced according to a fourth conventional technique, 4 is a flowchart of the operation of the microcomputer of the computer power supply apparatus in which the standby pow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reduced.
먼저, 제4 종래기술의 발명을 도 8의 블록도로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PC 전원(50)이 '온'인지를 감지하고, 이에 연동하여 SMPS(20)에서 메인보드로 가는 ATX 파워 케이블의 PS_ON# 신호를 '로우' 레벨로 활성화하여, 5V SB 라인을 제외한 라인이 메인보드로 가도록 한다. 이때, 5V SB 라인은 메인보드로 직접 가지 않고, 마이컴(30) 및 제1 스위칭부(40) 등에 Vcc를 제공하며, 이들을 활성화하는바, 이에 따라 파워컨트롤 신호(PWR_CTRL)를 활성화하여 상기 제1 스위칭부(40)로 출력하고, 이에 응하여 상기 제1 스위칭부(40)는 파워 출력 신호(PWR_OUT)를 메인보드의 5V SB 단자로 보냄으로써, 메인보드로 모든 전원공급이 되면서 메인보드를 동작시키게 된다. First, the invention of the fourth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block diagram of FIG. 8. First, it is detected whether the
이때, 상기 마이컴(30)은, PS_ON# 신호를 SMPS(20)에 인가하여 SMPS를 턴온시키고 이에 응하여 상기 신호 및 이에 연동된 공통접지 신호가 SMPS로부터 메인보드(10)로 ATX 케이블을 통해 다른 신호 및 전원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서 메인보드를 동작시킬 수도 있으나,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마이컴(30)이 SMPS를 경유하지 않고 제2 스위칭부(41)를 통하여, PS_ON# 신호를 직접 메인보드로 인가하되, 메인보드의 파워 버튼(13) -> PS_ON 회로(19a) -> 파워커넥터(60)의 PS_ON# 단자로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이들 회로를, 도 9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기술하면, 마이컴(30)의 스위칭입력(SW_IN) 단자(칩의 16번 핀)를 통하여, PC 전원 '온' 스위치(50)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9, the on / off state of the PC power 'on'
이후, 마이컴(30)은, 공통 접지 단자를 활성화 ('하이'에서 '로우'로 감) 하여, 5V, 3.3V, 12V, 파워 굳(PWR_OK) 신호 라인 등이 모두 메인 보드의 단자로 가도록 활성화하여, 각종 파워가 SMPS로부터 메인보드로 인가되도록 한다. 아울러, PS_ON# 단자(칩의 2번 핀)를 통해 PS_ON# 신호를 SMPS(20)로 출력하고 ATX 파워 케이블을 통해 메인보드(10)의 파워 커넥터(60)의 해당 단자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고, 혹은 도 9에서와 같이, 마이컴의 일례로 5번 단자를 통해 SW_OUT 신호를 제2 스위칭부(41)로 출력하고, 상기 스위칭 신호가 메인 보드 내의 파워 버튼# (13)을 통해 슈퍼IO(19)의 PS_ON 회로(19a)를 활성화함으로써, 결국 파워 커넥터(60)의 해당 단자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ereafter, the
한편, 전원 제어 시그널(PWR_CTRL)은 마이컴(30)의 14번 핀을 통해 출력되어, 스위칭부(40)의 제1 및 제3 트랜지스터(Q1, Q3)를 활성화하여, 파워 출력(PWR_OUT) 신호를 메인보드(10)의 커넥터의 5V 스탠바이 신호 단자로 출력한다. 이는 최종적으로, 메모리의 기능을 포함하는 메인 보드(컴퓨터)가 동작함을 의미한다.The power control signal PWR_CTRL is output through the 14th pin of the
마지막으로, 메인보드(10)의 메모리(일례로 DDR3)로 공급되는 전압은, 감지부(70)의 제4 트랜지스터(Q4)에 의해 감지되는바, 그 결과는 파워굳(GD_PWR) 단자(마이컴 칩의 15번 핀)를 통해 마이컴으로 알려진다.Lastly, the voltage supplied to the memory (for example, DDR3) of the
이상의 제4 종래기술의 마이컴의 동작을 도 10을 참조하여 다시 한번 상술한다. The operation of the microcomputer of the fourth conventional art will be described once again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본 발명에서의 마이컴(30)은 시스템 대기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에 (AC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진행되는바, 먼저 시스템 대기 전원이 오프 상태인가? 여부를 판단하며(S1), 그러한 경우에 PC 전원 스위치가 '온'인가? (컴퓨터 전원 스위치가 켜져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바(S2), 만약 그렇지 않으면 일정 시간 지연 후 피드백하여 계속해서 체크하며, '예스'인 경우에는, 다음 단계로 진행하여, 파워컨트롤 신호(PWR_CTRL)를 활성화하여 상기 스위칭부(40)로 출력하고, 이에 응하여 상기 스위칭부(40)는 파워 출력 신호(PWR_OUT)를 메인보드의 5V SB 단자로 보냄으로써, 메인보드로 모든 전원공급이 되게 하면서(S3), 동시에 파워 버튼#(13)을 활성화하고 PS_ON# 신호를 활성화하여, 메인보드를 동작시키게 된다(S4'). First, the
즉, 마이컴(30)이 PC 전원 스위치가 '온'이라는 신호를 받고, 제1 스위칭부(40)로의 파워컨트롤 신호(PWR_CTRL)를 활성화하여 상기 제1 스위칭부(40)를 통해 파워 출력 신호(PWR_OUT)를 메인보드의 5V SB 단자로 보냄으로써, 메인보드로 모든 전원공급이 되게 함과 동시에(S3), 또다른 제2 스위칭부(41)로 스위칭아웃(SW_OUT) 신호를 출력하는바, 이에 상기 제2 스위칭부(41)의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고, 상기 메인보드의 파워버튼(13)으로 PS_ON# 신호를 인가하게 되는바, 이에 파워버튼(13) 및 메인보드의 슈퍼I/O(19)의 PS_ON 회로(19a)를 통해, 상기 커넥터(60)의 PS_ON# 단자를 활성화하여, 결국 메인보드를 동작시키게 된다(S4').That is, the
이후, 메인보드의 메모리(10a)로 공급되는 전압(VDD)을 체크하여(S5), 일정 전압(일례로 0.7V)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6), 이상이면 (이때는 램이 동작 중이므로), 5V SB 전원 '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메인보드로의 파워 공급을 계속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메모리가 작동을 멈춘 것으로 인식하여, 파워컨트롤 신호(PWR_CTRL)를 비활성화하여 상기 스위칭부(40)로 출력하고, 이에 응하여 상기 스위칭부(40)는 파워 출력 신호(PWR_OUT)를 디스에이블시켜 시스템 대기전력을 '오프'시키게 된다(S7).Thereafter, the voltage V DD supplied to the
즉, 상기 종래기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S3 모드 (절전/대기모드)의 경우는 +5V SB를 OFF하면 안 되며, 반면, S4 모드 (최대절전모드) 에서는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고 시스템의 모든 전원을 끈다. 즉, S4 모드 및 전원 OFF인 S5 모드에서 0V 가 출력된다. 따라서, VDD 신호 하나로 대기전력 차단과 관련한 체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다시 정리하자면, 시스템 대기전력을 OFF 조건인 전원 OFF 및 S4 모드의 경우에는 VDD 신호는 0V이고, 대기전력 ON 조건인 시스템 동작(전원 ON 상태) 및 S3(절전/대기 모드)의 경우에는, VDD 신호는 1.2~1.5V 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S5 및 S6 단계에서, 메모리로 공급되는 전압(VDD)을 체크하여(S5), 일정 전압(Vr: 일예로 0.7V)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6), 그 이상이면 5V SB 전원 '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그 미만(VDD < Vr)이면, 시스템 대기전력을 '오프'시키는 것이다(S7). That is, as described above in the related art, the + 5V SB should not be turned off in the S3 mode (power saving / standby mode), while in the S4 mode (the maximum power saving mode) Turn off all power. That is, in the S4 mode and the S5 mode in which the power is OFF, 0V is output. In other words, the VDD signal is 0 V in the OFF state of the system standby power and in the case of the S4 mode, and the system operation which is the standby power ON condition (Power ON state) and S3 (power saving / standby mode), the VDD signal outputs 1.2 to 1.5V. Therefore, in S5 and S6, the voltage V DD supplied to the memory is checked (S5),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Vr: 0.7 V, for example) The power 'on' state is maintained, and less than (V DD ≪ Vr), the system standby power is turned off (S7).
상기 제4 종래기술은, 메모리로 공급되는 전압(VDD)을 체크하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S3 및 S4 모드를 인식하고, 메모리 등의 시스템에 여전히 전원 공급이 필요한 S3 모드에서는 5V 대기 전원을 계속 공급하고, 그렇지 않은 S4 모드에서는 대기 전원을 차단하여 대시 모드에서의 전력을 절감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그것도 추가적인 케이블 공사를 하지 않고도 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다. The fourth prior art recognizes the S3 and S4 modes by a relatively simple method of checking the voltage (V DD ) supplied to the memory and continues to supply the 5V standby power in the S3 mode, In the S4 mode, the standby power is cut off to save power in the dash mode. Howev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performed without additional cable construction.
그런데, S3(대기/절전모드)에서는 사실 5V의 대기전원을 공급할 필요까지는 없고, 3V 정도의 대기 전원만 공급하더라도 충분한바, 상기 제4 종래기술에서는 이에 대한 대비가 없는 실정이다. However, in S3 (standby / power saving mode), there is no need to supply a standby power of 5 V, and only a standby power of about 3 V is sufficient. However, the fourth prior art does not provide such a standby power supply.
또한, 상기 종래기술들은 S3 및 S4 등의 모드 인식이, 메모리와 같이 2차적인 장치에서의 전압으로 체크하였기 때문에, 이를 체크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고, 아울러 이러한 센싱 전압의 검출 장치로부터 제어용 마이컴까지의 배선이나 별도의 케이블이 필요하며, 아울러 가능성이 아주 낮기는 하지만 시스템의 에러로 인하여 현재 모드와 메모리 등의 2차적 장치 간의 불일치의 경우에는 정확한 센싱이 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techniques, since the mode recognition such as S3 and S4 is checked with a voltage in a secondary device such as a memory, a separate device for checking the mode is necessary. In addition, A wiring to the microcomputer and a separate cable are required. In addition, although the possibility is very low,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ystem can not accurately sense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secondary device such as the current mode and the memory due to the error of the system.
한편, 본 발명자는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동작모드에서 에너지 절감을 목적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6-0087595호 (GPIO 포트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절전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활용한 컴퓨터 시스템)(이하, '제5 종래기술'이라 한다) 을 출원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 has proposed a power sa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mputer system using a GPIO port, and a computer system utilizing the same, in order to save energy in various operation mode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16-0087595 )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fth prior art").
우선, 제5 종래기술의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상태 측정 방법 및 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an embodiment of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mputer system of the fifth conventional techniqu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Fig.
도 11은 제5 종래기술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12는 제5 종래기술의 시스템 중에서 관련된 구성요소만을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13은 제5 종래기술의 전력이 절감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수퍼 IO의 동작흐름도이다.Fig. 1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fth prior art system, Fig. 12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only related components among systems of a fifth prior art system, Fig. 13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perconducting Fig.
먼저, 제5 종래기술의 컴퓨터 시스템의 절전 장치는,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 보드에서 수퍼 IO(19)와 ATX 파워 커넥터(60) 사이에 제1 스위칭부(40) 및 상기 수퍼 IO(19)와 칩셋(PCH)(14) 사이에 제2 스위칭부(41)가 추가되어 이루어진다.11 and 12, the power saving apparatus of the fifth prior art computer system includes a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전원 공급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SMPS(20)와 같은 파워 서플라이에서 메인 보드(10)로 ATX 파워 커넥터(60)를 통해 이루어지는바, 이를 일례로 5VSB 전원선을 통해 적절히 제어하는 마이컴(30)과 같은 장치를 통해 절전을 행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2, the power supply in the general computer system is performed through a power supply such as the
한편, 최근에는 수퍼 IO(19)에서 ATX 파워 커넥터(60)를 통해 SMPS(20)와 같은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바, 이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파워 버튼(13)이 활성화되면, 이를 수퍼 IO(19) 내의 파워 상태 검출기(19b)가 인식하여, 칩셋(14)으로 파워온(PWRON#)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응하여 칩셋(14)은 수퍼 IO(19)로 'SLP_4' 및 'SLP_3' 신호선 단자들을 통해 현재 전원 상태(모드)를 알리며, 이에 응하여 상기 수퍼 IO(19) 내의 파워 상태 검출기(19b)는 제1 스위칭부(40)를 통해 ATX 파워 커넥터(60)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수퍼 IO(19) 동작을 개시하게 된다.11, the super-IO 19 receives power from a power supply such as the
한편, 제5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수퍼 IO(19) 내의 파워 상태 검출기(19b)가 상기 파워 버튼(13) 활성화를 인식하고, 칩셋(14)으로 파워온(PWRON#) 신호를 출력하면, 이에 응하여 칩셋(14)으로부터의 'SLP_4' 및 'SLP_3' 신호선 단자들을 통해 현재 전원 상태(모드)를 파악하는 점까지는 종래기술과 동일하나, 제5 종래기술은, 현재 모드에 따라 GPIO 포트를 통해 상이한 동작을 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수퍼 IO칩에는 약 50 개 정도의 GPIO (General Purpose Input Output) 포트가 있는바, 이들은 BIOS에 의해 특정 목적의 포트로 프로그래밍되어질 수 있고, 그 중에서 어느 두 개의 포트를 제5 종래기술에서는 'GPIO A' 포트 및 'GPIO B' 포트로 사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ifth conventional technique, when the
먼저, 칩셋(14)으로부터의 'SLP_4' 신호선 단자를 통해 현재 전원 상태가 S4 모드(최대절전모드)라고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수퍼 IO(19)의 파워 상태 검출기(19b)는 'GPIO B'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스위칭부(40)의 제3 트랜지스터(Q3)의 제어단에 'L'신호를 출력하며 동시에 상기 수퍼IO(19)는 PSON# 신호를 활성화하여 상기 ATX 파워 커넥터(60)로 출력하게 된다. 결국 상기 제1 스위칭부(40)의 상기 제3 트랜지스터(Q3) 및 제1 트랜지스터(Q1)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스위칭부(40)의 출력단(OUT)의 신호(5VSB_ATX)에는 하이(5V) 전압이 실리게 되며, 따라서 일종의 전압 레귤레이터인 PMOS(10d) 및 LDO(10e)로 각각 인가되는바, 상기 PMOS(10d)의 출력인 5VSB가 시스템의 제1 동작 전원으로 되어 후술하는 제2 스위칭부(41)의 동작 전원이 되며, 및 상기 LDO(10e)의 출력인 3VSB는 제2 동작 전원으로 상기 수퍼IO(19)의 동작 전원으로 인가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수퍼 IO칩(19) 및 'GPIO B' 포트를 이용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별도의 추가적인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컴퓨터 시스템의 기동시 전력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The
계속해서, 상기 수퍼 IO(19)는 현재 전원 상태가 S3 모드(절전/대기모드)로 진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바, 칩셋(14)으로부터의 'SLP_3' 신호선 단자를 통해 현재 전원 상태가 S3 모드(절전/대기모드)라고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수퍼 IO(19)의 'GPIO A'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스위칭부(41)의 입력측에 'L'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상기 제2 스위칭부(41)는 제2 스위칭부(41)의 출력을 저전압(3VSB)으로 하여, 수퍼 IO 및 칩셋(14)의 전원 단자(3VSB/5VSB 단자) 및 칩셋의 'PWRBTN#' 단자에 인가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이때, 상기 제2 스위칭부(41)는, 분압용 저항(R3~R5) 및 커패시터(C2~C3) 등의 주변 소자들과 전압 레귤레이터(41a)에 의해, 입력측에 'H'신호가 입력되면 종래대로 고전압(5VSB)을 출력하나, 입력측에 'L'신호가 입력되면 이 경우(절전/대기모드)에는 최소 전원만 유지하면 되고 5V의 고전압이 필요없는 경우이므로 저전압(3VSB)으로 조절하여 출력함으로써, 결국 전체 소비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H' signal is input to the input side by the peripheral devices such as resistances R3 to R5 and the capacitors C2 to C3 and the
한편, 계속해서 상기 수퍼 IO(19)는 현재 전원 상태가 S3 모드(절전/대기모드)로 진행된 후, 다시 S2 이하의 동작모드로 진행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바(즉, S0(컴퓨터 동작 모드), S1(아이들모드) 또는 S2(딥슬립모드): 이하 'S2 이하 모드' 또는 '동작모드'로 통칭한다), 칩셋(14)으로부터의 'SLP_3' 신호선 단자를 통해 현재 전원 상태가 S2 이하 모드(동작모드)라고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수퍼 IO(19)의 'GPIO A'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스위칭부(41)의 입력측에 'H'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상기 제2 스위칭부(41)는 제2 스위칭부(41)의 출력을 고전압(5VSB)으로 하여, 수퍼 IO 및 칩셋(14)의 전원 단자(3VSB/5VSB 단자) 및 칩셋의 'PWRBTN#' 단자에 인가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super I /
한편, 칩셋(14)으로부터의 'SLP_4' 및 'SLP_3' 신호선 단자들을 통해 현재 전원 상태(모드)를 파악한 결과, 'SLP_4'가 'L'인 경우에는, 이미 컴퓨터 시스템이 부팅 후에 최대절전모드로 된 것이므로, 'SLP_3' 신호선 단자를 검출하여, 'SLP_3'가 'H'인 경우에는 시스템을 웨이크업 시키고, 바로 'GPIO A'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스위칭부(41)의 입력측에 'H'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 스위칭부(41)의 출력을 고전압(5VSB)으로 하여, 수퍼 IO 및 칩셋(14)의 전원 단자(3VSB/5VSB 단자) 및 칩셋의 'PWRBTN#' 단자에 인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urrent power state (mode) is determined through the SLP_4 and SLP_3 signal line terminals from the
물론, 칩셋(14)으로부터의 'SLP_4' 및 'SLP_3' 신호선 단자들을 통해 현재 전원 상태(모드)를 파악한 결과, 'SLP_4'가 'L'이며 'SLP_3'도 'L'인 경우에는, 당연히 컴퓨터 시스템이 동작 중인 것이므로, 'GPIO A'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스위칭부(41)의 입력측에 'H'신호를 계속해서 출력하여, 상기 제2 스위칭부(41)의 출력을 고전압(5VSB)으로 유지하게 된다.Of course, when the current power state (mode) is determined through the SLP_4 and SLP_3 signal line terminals from the
마지막으로, 이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이 동작 중이므로 'GPIO A'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스위칭부(41)의 입력측에 'H'신호를 계속해서 출력하여 상기 제2 스위칭부(41)의 출력을 고전압(5VSB)으로 유지하다가, PWR_OFF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수퍼 IO(19)의 파워 상태 검출기(19b)는 'GPIO B'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스위칭부(40)의 제3 트랜지스터(Q3)의 제어단에 'H'신호를 출력하며, 따라서 상기 제1 스위칭부(40)의 상기 제3 트랜지스터(Q3) 및 제1 트랜지스터(Q1)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스위칭부(40)의 출력단(OUT)의 신호(5VSB_ATX)에는 제로 전압(0V)이 걸리게 되고, PMOS(10d) 및 LDO(10e)의 출력도 0V가 되면서, 결국 상기 수퍼IO(19)의 동작이 오프되며, 역시, 상기 수퍼 IO칩(19) 및 'GPIO B' 포트를 이용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별도의 추가적인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컴퓨터 시스템의 종료시에도 조기에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어, 전체적인 전력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Finally, since the computer system is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the 'H' signal is continuously output to the input side of the
이제, 상기 제5 종래기술의 GPIO 포트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절전 방법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특히 도 13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Now, a power saving method of a computer system using the GPIO port of the fifth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particularly with reference to FIG.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이 시작되면, 수퍼 IO(19) 내의 파워 상태 검출기(19b)가 파워온(PWRON#) 신호 발생 여부를 체크하여(S11), 파워온(PWRON#) 신호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예를들어 파워 버튼이 턴온되지 않았으면) 계속 체크하고, 파워온(PWRON#) 신호가 발생하였으면, 이에 응하여 칩셋(14)으로부터의 'SLP_4' 및 'SLP_3' 신호선 단자들을 통해 현재 전원 상태(모드)를 체크하는바, 먼저, 칩셋(14)으로부터의 'SLP_4' 신호선이 'H'인지 여부를 체크하게 된다(S12).13, when the computer system is started, the
상기 'SLP_4' 신호선이 'H'인 경우에는, 현재 전원 상태가 S4 모드(최대절전모드)라고 판단된 경우이므로, 상기 수퍼 IO(19)의 파워 상태 검출기(19b)는 'GPIO B'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스위칭부(40)로 'L'신호를 출력하여(S13), 상기 제1 스위칭부(40)의 출력단(OUT)의 신호(5VSB_ATX)에 하이(5V) 전압이 실리게 하며, 동시에 상기 수퍼IO(19)는 PSON# 신호를 활성화하여(S15) 상기 ATX 파워 커넥터(60)로 출력하여 상기 수퍼IO(19)가 기동하도록 한다.The
계속해서, 상기 수퍼 IO(19)는 칩셋(14)으로부터의 'SLP_3' 신호선이 'H'인지 여부를 체크하여(S17), 현재 전원 상태가 S3 모드(절전/대기모드)로 진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바, 칩셋(14)으로부터의 'SLP_3' 신호선 단자를 통해 현재 전원 상태가 S3 모드(절전/대기모드)라고 판단될 경우에는(SLP_3='H'), 상기 수퍼 IO(19)의 'GPIO A'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스위칭부(41)의 입력측에 'L'신호를 출력하게 되며(S18), 이에 상기 제2 스위칭부(41)는 제2 스위칭부(41)의 출력을 저전압(3VSB)으로 하여, 수퍼 IO 및 칩셋(14)의 전원 단자(3VSB/5VSB 단자) 및 칩셋의 'PWRBTN#' 단자에 인가하게 된다.The
이후, 계속해서 상기 수퍼 IO(19)는 현재 전원 상태가 S3 모드(절전/대기모드)로 진행된 후, 'SLP_3' 신호선이 'L'인지 여부를 체크하여(S19), 다시 S2 이하의 동작모드로 진행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바, 칩셋(14)으로부터의 'SLP_3' 신호선 단자를 통해 현재 전원 상태가 S2 이하 모드(동작모드)라고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수퍼 IO(19)의 'GPIO A'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스위칭부(41)의 입력측에 'H'신호를 출력하게 되며(S20), 상기 제2 스위칭부(41)는 제2 스위칭부(41)의 출력을 고전압(5VSB)으로 하여, 수퍼 IO 및 칩셋(14)의 전원 단자(3VSB/5VSB 단자) 및 칩셋의 'PWRBTN#' 단자에 인가하게 된다. 이로써 부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된다.Thereafter, the
한편, S17 단계에서 판단 결과, 'SLP_3' 신호선이 'H'가 아닌 경우에는, 정상적인 부팅 상태에서 벗어난 경우이므로, PWR_OFF 여부를 체크하게 되며(S32), 만약 파워 오프 상태가 아니면 다시 S17 단계를 반복하여 체크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파워 오프인 경우)에는 부팅 에러로 판단하게 된다(S33).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7 that the 'SLP_3' signal line is not 'H', it is checked whether the PWR_OFF state is satisfied (S32) And if it is not (power off), it is determined to be a boot error (S33).
만약, S17 단계에서 S3 모드로 이행된 사실을 확인하여 S18 단계로 이행하였으나, S19 단계에서 SLP_3='L'이 아닌 경우에도, 정상적인 부팅 과정에서 벗어난 것이므로, PWR_OFF 여부를 체크하며(S32), 역시 파워 오프가 아닌 경우에는 S19 단계로 이행하여 반복하며, 파워 오프인 경우에는 역시 부팅 에러로 판단하게 된다(S33).If the SLP_3 is not 'L' in step S19, it is determined that the booting process is out of the normal booting process. Therefor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2. In step S32, If it is not power-off,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9 and repeats. If the power is off, it is determined as a boot error (S33).
또다른 한편, 상기 S12 단계에서 판단 결과, 'SLP_4'가 'L'인 경우에는, 이미 부팅이 이루어진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인바, 이때도 상기 S17 단계와 같이, 'SLP_3' 신호선이 'H'인지 여부를 체크하게 되는바(S14), 'SLP_3'='L' 인 경우에는 S2 이하 모드(동작모드)임을 말하는 것이며, 따라서 상기 S20 단계로 진행하여 계속해서 상기 수퍼 IO(19)의 'GPIO A'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스위칭부(41)의 입력측에 'H'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상기 제2 스위칭부(41)는 제2 스위칭부(41)의 출력을 고전압(5VSB)으로 하여 수퍼 IO 및 칩셋(14)의 전원 단자(3VSB/5VSB 단자) 및 칩셋의 'PWRBTN#' 단자에 인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2 that 'SLP_4' is 'L', it indicates that the boot has already been performed. In this case as wel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LP_3' signal line is 'H' (Step S14). If the SLP_3 is 'L', it means that the mode is the mode S2 (operation mode). Accordingly,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0, and the 'GPIO A' H "signal to the input side of the
그러나, 만약 상기 S14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SLP_3'='H' 인 경우에는 부팅 후 동작하다가 S3 모드(절전/대기모드)로 이행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되므로, 시스템을 웨이크업한 후에(S16), 바로 상기 S2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퍼 IO(19)의 'GPIO A' 포트를 통해 상기 제2 스위칭부(41)의 입력측에 'H'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이 경우에는, 상기 S18 단계와 S3 모드임은 동일하지만, S18 단계가 부팅시 S4에서 S3로 진행한 상황과는 달리 S2 이하 모드에서 S3 모드로 진행한 상황을 나타내므로, 웨이크업 후, 곧바로 상기 S20 단계로 진행하여 동작 모드로 이행하는 것이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4 that 'SLP_3' = 'H', it indicates that the system is in the S3 mode (power save / standby mode) while booting after booting. , The process directly proceeds to step S20 and outputs 'H' signal to the input side of the
마지막으로, 부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서 S2 이하 모드(동작 모드)로 진행되는 경우(S11, S12, S1, S15, S17~S20) 혹은 계속해서 동작 모드인 경우(S14, S16, S20), 주기적으로 파워 오프(PWR_OFF)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바(S21), 상기 S2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파워 오프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GPIO='H'로 하여, 상기 제1 스위칭부(40)를 통해 출력 전압이 0V가 되고 하고 (즉, 5VSB_ATX를 오프상태로 하고)(S22), 시스템을 종료하게 되며(S23), 역으로 상기 S21 단계에서 파워 오프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S12 단계로 리턴하여(S41), 칩셋(14)으로부터의 'SLP_4' 및 'SLP_3' 신호선 단자들을 통해 현재 전원 상태(모드)를 파악하여 다음 진행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Finally, when the booting has been successfully perform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sub-S2 mode (operation mode) (S11, S12, S1, S15, S17 to S20) (S21).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1 that power-off is to be performed, GPIO = 'H', and output through the
결국 상기 제5 종래기술에 관한 GPIO 포트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절전 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추가적인 하드웨어나 케이블 설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BIOS를 통해 수퍼 IO 칩의 GPIO 포트를 프로그램밍함으로써, 순수하게 소프트웨어만으로도 시스템의 현재 동작 상태의 감지가 간단히 가능하며, 단지 제1 스위칭부(40)만으로도 부팅시 전력 절감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ower saving method of the computer system using the GPIO port according to the fifth related art, the GPIO port of the super IO chip is programmed through the BIOS without any additional hardware or cable installation work,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ct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system by using only the software, and it is possible to save power at booting by using only the
추가적으로, 부팅 중에는 S3 모드일지라도 5VSB 대신 3VSB 동작 전압의 인가에 의해 전력절감이 가능하며, 한편 동작 중에 S4 모드가 되면 역시 곧바로 3VSB 동작 전압의 인가로 전환함으로써, 시스템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최대한 전력 절감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바, 더욱이 추가적인 센싱 장치나 케이블 작업 없이 단지 제2 스위칭부(41) 만으로 이상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ave power by applying 3VSB operating voltage instead of 5VSB even in S3 mode during boot, and switch to 3VSB operating voltage immediately after S4 mode in operation, It is advantageous in that only the
그러나, 상기 제5 종래기술 역시, 종전의 기술에 비해서는 새로운 하드웨어 추가가 월등히 줄어들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제1 스위칭부(40) 및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최소한의 케이블에 따른 커텍팅 작업은 필요하며, 아울러 S3 및 S4 모드라고 하는 기존의 메인 모드 설계자들의 기존 틀에 갇혀서 전원절감을 행하게 되므로, 사실상 대기전력이 불필요한 경우에도 S0~S5 모드라고 하는 기존 틀을 뛰어넘어서 전력절감을 행할 수는 없다는 한계가 존재하였다.However, although the above fifth conventional technique also significantly reduces the number of new hardware additions compared to the prior art, nevertheless still requires a minimum amount of cable coupling to connect the
아울러, 상기 종래기술들 모두, 컴퓨터의 동작 중에 시스템의 유휴자원에 따라 레지스트리의 설정 값을 제어함으로써, 동작 모드를 포함한 각 모드에서 최적의 에너지 절감을 구현하고자 하는 시도는 없었다. 즉, 대기모드나 롱텀 아이들 모드에서는 에너지 절감을 꾀하였으나, 일례로 시스템의 일부 자원이 유휴 상태인 경우에 그에 맞추어 CPU의 속도나 디스플레이어의 밝기를 1~90% 까지 다양하게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 방식은 시도되지 않았다.In addition, there has been no attempt to realize optimal energy saving in each mode including the operation mode by controlling the set value of the registry according to the idle resources of the system during operation of the computer. In other words, although energy is saved in the idle mode or the long-term idle mode, for example, when some resources of the system are idle, an energy saving method of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CPU or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language by 1 to 90% Was not attempted.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 중 전원 OFF 또는 대기모드(S3), 그리고 Long-term idle 모드를 체크하여 각 모드에서 에너지 절감을 구현하되, 전원 OFF 시에는 대기전력을 차단함은 물론, Short-term idle 모드에서는 모니터의 픽셀변화를 감지, 키보드 또는 마우스 입력 감지 등으로 현재 시스템의 상황을 체크하여 CPU 속도를 일정치 (일례로 50% 이상) 드롭(drop)하고 불필요한 프로세스들을 제거하며, OS가 부팅되고 안정화되면, 시스템 유휴자원에 따라 Registry의 값을 최적화하는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하는 컴퓨터 유휴자원에 따라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설정 값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energy saving is implemented in each mode by checking the power off mode, the standby mode (S3), and the long-term idle mode during operation of the computer system. In the term idle mode, it detects the pixel change of the monitor, detects the current state of the system by keyboard or mouse input detection, drops the CPU speed to a fixed value (for example, 50% or more), removes unnecessary processes, When booted and stabilized, it provides an energy saving method that automatically controls registry settings according to computer idle resources, which helps to save energy by management programs that optimize the value of the registry based on system idle resource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컴퓨터 유휴자원에 따라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설정 값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 방법은, 메인보드와, 메인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SMPS 및 주변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에너지 절감 장치로서, ATX 파워 커넥터(60)를 통해 SMPS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파워 버튼(13)이 활성화되면 이를 인식하여 전파하는 SIO(19); 상기 SIO(19)에 현재 전원 상태(모드)를 알리는 칩셋(14); 상기 칩셋(14)을 통해 현재 모드에 따라 SIO(19)의 출력을 행하도록 프로그래밍하는 ROM BIOS(10b); 상기 ATX 파워 커넥터(6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5VSB_PWR)을 메인 보드 상의 소자들에 공급하는 파워스위칭 컴포넌트(140); 현재 작업 DB 및 프로세스 DB의 작업 및 프로세스 DB(131)로부터 현재 진행 중인 작업 및 프로세스를 파악하여 이를 OS(10c)에 통지하여 줌으로써 현재 아이들 모드(S3 모드)인지 혹은 유휴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윈도우 작업관리자(130); 및 상기 OS(10c)의 지시에 따라서 환경변수(151)를 세팅함으로써, 최적의 절전이 행하여 지도록 하는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 를 포함하는 컴퓨터 유휴자원에 따라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설정 값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 장치를 이용한 컴퓨터 유휴자원에 따라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설정 값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 방법으로서, (b) 컴퓨터 시스템이 시작되어 메인보드가 활성화되면, OS(10c)는 CPU 상태 레지스터들을 체크하고, 윈도우 작업관리자(130)를 콜(call)하는 단계(S3); (c) 상기 (b) 단계 후에, 현재 윈도우가 유휴상태인지 여부를 체크하게 되는 단계(S4); (d) 상기 (c)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윈도우 유휴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OS(10c)는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을 콜(Call)하여(S21), 에너지(소비전력) 절약을 위해 환경변수를 최적이 되도록 세팅하도록 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 이후,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로부터 환경변수 값의 리턴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체크하여(S22), 밸류 리턴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계속해서 체크하고, 밸류 리턴이 이루어지면 그 값에 따라 OS 내의 레지스트리 롸이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다음으로 진행하게 되는 단계; (f)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로부터 밸류 리턴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c)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윈도우가 유휴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명되면, OS(10c)는 일정 시간(T1) 동안 CPU 이용율의 변화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5); (g) 상기 (f)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일정 시간 동안 CPU 이용율의 변화가 있으면, 상기 (b) 단계로 리턴하여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고 일정 시간 동안 변화가 없으면, 비로소 '레지스트리 최적화 1단계'를 시행하게 되는 단계(S6); (h) 상기 (g) 단계 이후, CPU 이용율의 변화량이 X1% 미만인지 여부를 다시 체크하는 단계(P7), (j) 상기 (h)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CPU 이용율의 변화량이 X1% 미만이면, '레지스트리 최적화 2단계'를 시행하여(S8), CPU에서 공급되는 성능을 더욱 제한하게 되는 단계; (n) 상기 (h)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CPU 이용율의 변화량이 X1% 이상이면 웨이크업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레지스트리를 초기화하고(S10), 상기 (b) 단계로 리턴하여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단계; (k) 상기 (n) 단계 이후, CPU 이용율의 변화량이 X2% 미만인지 여부를 또다시 체크하는 단계(S9); (m) 상기 (k)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CPU 이용율의 변화량이 X2% 미만이면, '레지스트리 최적화 3단계'를 시행하게 되는 단계(S11); (n') 상기 (k)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CPU 이용율의 변화량이 X2% 이상이면 웨이크업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레지스트리를 초기화하고(S10), 상기 (b) 단계로 리턴하여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단계; (v) 상기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은, OS(10c)로부터의 레지스트리 관리 툴 콜(Call) 여부를 체크하게 되는 단계(S31); (w) 상기 (v)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콜이 없으면 계속해서 체크하고, 콜이 발생하였으면 환경변수(151)에 환경변수 콜(Call)을 행하게 되는 단계(S32); (y) 상기 (w) 단계 이후, 에너지(소비전력) 절약을 위해 환경변수를 최적이 되도록 세팅하는 단계(S33); 및 (z) 상기 (y) 단계 이후, 환경변수 콜백(Call Back)을 기다려(S34), 콜백이 되면, 상기 OS(10c)로 밸류 리턴을 행하여(S35), OS(10c) 내의 레지스트리에 롸이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환경변수는, CPU 성능에 관한 것과 디스플레이어 밝기 설정에 관한 것을 포함하며, 상기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은 CPU 성능 및 디스플레이 밝기값을 각각 최대치의 1% 내지 90% 중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레지스트리 최적화 1단계'는, 'POWER SCHEMES' 레지스트리 최적화 시행 단계로서 CPU 성능이 최대치의 y1% 로 제한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레지스트리 최적화 2단계'는, CPU 성능이 더욱 제한되도록 최대치의 y2% 로 제한되도록 설정하되, y1은 y2 보다 더 큰 값이며 (90 ≥ y1 > y2 ≥ 1), 상기 '레지스트리 최적화 3단계'는, 디스플레이어 밝기 환경 변수를 최대치의 z1% 로 제한되도록 설정하는 (90 ≥ z1 ≥ 1)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nergy saving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registry setting value according to computer idle resources, including a main board, an SMP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in board, An energy saving device for a computer system, comprising: an SIO (19) receiving power from an SMPS via an ATX power connector (60) and recognizing and propagating power when the power button (13) is activated; A chipset 14 informing the SIO 19 of a current power state (mode); A ROM BIOS 10b for programming through the chipset 14 to output the SIO 19 according to the current mode; A power switching component 140 for supplying a power source 5VSB_PWR supplied from the ATX power connector 60 to elements on the main board; (S3 mode) or idle state by notifying the OS 10c of the job and the process currently in process from the job DB 13 of the current job DB and the process DB, A window operation manager 130; And a registry management tool 150 for setting an environment variable 151 according to an instruction of the OS 10c so as to perform optimal power saving; (B) a computer system is started and a main board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and the main board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When activated, the OS 10c checks the CPU status registers and calls the window task manager 130 (S3); (c) after step (b),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window is idle (S4); (d) If it is determined in the step (c) that the window is idle, the OS 10c calls the registry management tool 150 (S21) and saves energy (power consumption) Setting an environment variable to be optimal; (e) After the step (d),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environment variable value is returned from the registry management tool 150 (S22). If the value return is not made, A step of registering in the OS according to the value, and proceeding to the next step; (f) If the value returned from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은 CPU 성능 및 디스플레이 밝기값을 각각 최대치의 5% 내지 60% 중에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바람직하게는, (a) 상기 (b) 단계 이전에, 전원 버튼(13) 신호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S1), 전원 버튼이 턴온되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체크하고, 전원 버튼 신호가 발생하였으면, 이에 응하여 S1O(19)는 '전원ON' 신호를 ATX 파워 커넥터(60)에 인가하여 시스템을 활성화시키되 '5VSB_POWER'가 ATX 파워 커넥터(60)로부터 파워스위칭 컴포넌트(140)를 통해 S1O(19)를 비롯한 메인보드의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게 됨으로써 상기 메인보드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단계(S2);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p) 상기 (m) 단계 이후, OS는 시스템이 아이들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단계(S12); (q) 상기 (p)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아이들 모드가 아니면 계속해서 체크하고, 아이들 모드이면, 'PCIex_PD#' 신호를 비활성화하여, 주변장치가 딥 슬립 모드로 이행하도록 하는 단계(S13); (r) 상기 (q) 단계 이후, 슬립 모드(S3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여(S14), 슬립 모드가 아니면 계속해서 체크하고, 슬립 모드이면 그에 맞도록 'Suspended RAM'을 비롯한 슬립 모드에 필요한 동작을 취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s) 상기 (r) 단계 이후, 다시 전원 OFF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15); 및 (t) 상기 (s)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전원 OFF가 아니면 계속해서 체크하고, 전원 OFF이면 SIO(19)로 하여금 '5VSB_OFF' 신호를 발하여 모든 전원이 차단되고, 메인보드가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단계(S16);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a) checking whether or not the
More preferably, (p) after step (m), the OS determines whether the system is in the idle mode (S12); (q) continuously checking if it is not the idle mod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p), and if the mode is the idle mode, deactivating the PCIex_PD # signal to cause the peripheral device to transition to the deep sleep mode (S13); (r) After the step (q), it is checked whether the sleep mode is the S3 mode (S14). If it is not the sleep mode, it is continuously checked. If it is the sleep mode, Taking an action; And further comprising:
Most preferably, (s) the step (S15) of checking whether the power is turned off again after the step (r); And (t)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 that the power is not turned off, it is checked continuously. If the power is off, th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유휴자원에 따라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설정 값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 방법에 따르면, 동작시에도 시스템 유휴자원에 따라 Registry의 값을 최적화하는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되, 유휴자원에 대한 한계를 설정하고, 응용프로그램을 사용 중에도 절전 가능하고, Short-term idle mode 시에도 절전기능이 수행되며, 기존 OS에서 절감하는 기능과 조합하여 최적의 에너지 절감 환경을 제공함은 물론, 추가적인 절전기능을 위하여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nergy saving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registry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computer idle resou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y consumption is minimized by the management program that optimizes the value of the registry according to the system idle resource even durin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save power while using the application program, to perform the power saving function even in the short-term idle mode, and to provide the optimum energy saving environment in combination with the saving function in the existing OS, The program can be changed easily.
상기 목적 및 효과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종래의 컴퓨터 전원공급장치의 개념도.
도 2는 제3 종래기술에 따른 대기전력이 절감되는 컴퓨터 전원공급장치의 블록도.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파워온 동작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3의 PS_ON 회로(19a)의 블록도.
도 5는 도 3의 각 신호들의 타이밍 챠트.
도 6은 종래의 일반적인 파워온 동작의 개념을 설명하는 또다른 예의 도면.
도 7은 도 6의 각 신호들의 타이밍 챠트.
도 8은 제4 종래기술에 따른 대기전력이 절감되는 컴퓨터 전원공급장치의 블록도.
도 9는 제4 종래기술에 따른 대기전력이 절감되는 컴퓨터 전원공급장치의 상세 회로도.
도 10은 제4 종래기술에 따른 대기전력이 절감되는 컴퓨터 전원공급장치의 마이컴의 동작흐름도.
도 11은 제5 종래기술의 시스템 구성도.
도 12는 제5 종래기술의 시스템 중에서 관련된 구성요소만을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
도 13은 제5 종래기술의 전력이 절감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수퍼 IO의 동작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중에서 본 발명과 직접 관련된 구성요소만을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 방법 중 OS의 동작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 방법 중 레지스트리 관리 툴의 동작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 방법에서 CPU 성능 설정의 일 예.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 방법에서 디스플레이어의 밝기 설정의 일 예.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tional computer power supply;
2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power supply in which standby power is reduced according to the third prior art.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cept of a conventional general power-on operation;
4 is a block diagram of the
5 is a timing chart of the signals of FIG. 3;
FIG. 6 is another example of a concept of a conventional general power-on operation; FIG.
FIG. 7 is a timing chart of the signals of FIG. 6; FIG.
FIG. 8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power supply in which standby power is reduced according to a fourth prior art; FIG.
FIG. 9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computer power supply apparatus in which standby power is reduced according to a fourth prior art; FIG.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icrocomputer of a computer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prior art in which standby power is reduced. FIG.
1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fth prior art.
12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only related components among the systems of the fifth prior art;
Fig. 13 is a flow chart of the operation of the super IO of a computer system in which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fth prior art is reduced. Fig.
FIG. 14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only components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syst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an OS among energy saving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registry management tool among the energy saving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n example of CPU performance setting in the energy sa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n example of the brightness setting of the displayer in the energy sa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You will know.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컴퓨터 유휴자원에 따라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설정 값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 방법의 최적 실시예에 대하여,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timal embodiment of an energy saving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registry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computer idle resourc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8. FIG.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중에서 본 발명과 직접 관련된 구성요소만을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 방법 중 OS의 동작흐름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 방법 중 레지스트리 관리 툴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 방법에서 CPU 성능 설정의 일 예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 방법에서 디스플레이어의 밝기 설정의 일 예이다.FIG. 14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only components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mong syst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n OS among energy saving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A flowchart of the operation of the registry management tool. FIG. 17 shows an example of CPU performance setting in the energy sa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shows an example of brightness setting of the display in the energy sa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유휴자원에 따라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설정 값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 장치에 대하여,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an energy sav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registry setting value according to computer idle resour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중에서 본 발명과 직접 관련된 구성요소만을 설명하면,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의 시작은, 파워 버튼(13)의 온/오프 신호를 받아서 SIO(19)에 파워온스위치(PONSWH#) 신호를 출력할 때, 메인 보드의 SIO(19)가 전원공급장치로서의 SMPS의 ATX 파워온 커넥터(60)에 '전원ON' 신호를 주게 되며, 메인보드의 ATX 파워 커넥터(60)가 파워스위칭 컴포넌트(140)에 5VSB 전압(5VSB_PWR)을 공급하여 활성화시키며, 동시에 전원버튼(13)의 신호에 응하여 파워스위칭 컴포넌트(140)는 5VSB 전압(5VSB_POWER)을 시스템에 공급함으로써 메인보드가 부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비로소 상기 메인보드가 활성화되며, 상기 SIO(19), BIOS(10d) 및 PCH 칩셋(14) 등으로 5VSB를 인가한다.14, the computer system is started by receiving an on / off signal of the
반면, 시스템 오프 동작은, SIO(19)가 파워스위칭 컴포넌트(140)로 '5VSB_OFF' 신호를 공급하여 비활성화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ystem off operation causes the
아울러, 상기 SIO(19)는 OS(10c)와 CPU_Clock 신호 및 SYS_OFF 신호를 주고 받으며 (이때 OS(10c)는 CPU(11)로 CPU_Clok_drop 신호를 제공함), 한편으로는 ROM BIOS(10b) 및 PCH 칩셋(14)은 SPI 포트를 통해 신호를 주고받으며, CPU(11)에 프로세서 성능 제어신호(C0~C7)를 주게 된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SIO(19)는 PCI 디바이스(151)에 'PCIex_PD#' 신호를 인가하여 유휴 주변장치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Meanwhile, the
다른 한편, 윈도우 작업관리자(130)는, 현재 작업 DB 및 프로세스 DB의 작업 및 프로세스 DB(131)로부터 현재 진행 중인 작업 및 프로세스를 파악하여 이를 OS(10c)에 통지하여 줌으로써 현재 아이들 모드(S3 모드)인지 혹은 유휴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절전을 위한 레지스트리 환경 설정을 행하도록 지원한다.On the other hand, the
이제, 본 발명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에 대하여 설명하면, OS(10c)는 윈도우 작업관리자(130)를 통해 현재 작업 DB 등을 읽어서 관리자를 통해 절전 정책을 결정하도록 하는바, 상기 OS(10c)의 지시에 따라서 상기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은 환경변수(151)를 세팅함으로써, 최적의 절전이 행하여 지도록 한다. The
환경변수의 예로는, 도 17에서와 같은 CPU 성능에 관한 것과 도 18의 디스플레이어 밝기 설정과 같은 것이 있을 수 있다. 즉,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은 CPU 성능(속도)을 1% 내지 100% 중에서 설정할 수 있는바, 도 17의 첫번째 케이스는 프로세서 상태 최소치를 100%로 설정한 경우로서, 헥사코드 '00000064'로 설정될 수 있고, 두번째 케이스는 프로세서 상태 최소치를 70%로 설정한 경우로서, 헥사코드 '00000046'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세번째 케이스는 프로세서 상태 최소치를 1%로 설정한 경우로서, 헥사코드 '00000001'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7의 적색 밑줄친 부분 참조). Examples of the environment variables may include the CPU performance as shown in FIG. 17, and the brightness setting of the display of FIG. 18. That is, as shown in FIG. 17, the
한편, 도 18의 경우는, 디스플레이어 밝기 설정의 예로서, 디스플레이 밝기값을 '50'으로 설정한 경우이다. 또한, 밝기 조절 가능 옵션으로는, 'dward:00000001'이 설정되어 있는바, 이는 밝기 조절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것이며, 맨 마지막 행의 'dward:00000000'은 밝기 조절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8의 적색 밑줄친 부분 참조).In the case of FIG. 18, the display brightness is set to '50' as an example of the display brightness setting. In addition, 'dward: 00000001' is set as the brightness adjustable option, which indicates that brightness adjustment is possible, and 'dward: 00000000' in the last row indicates that brightness adjustment is not possible (See underlined red underneath).
이외에도 여러가지 환경변수가 있는바, 환경변수들의 설정의 일례는 다음 [표 1]과 같다.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environment variables, and an example of the setting of environment variables i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이제, 본 발명의 컴퓨터 유휴자원에 따라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설정 값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 방법에 대해,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되, 특히 도 15 및 도 16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Now, an energy saving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registry settings according to the computer idle resourc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6, particularly with reference mainly to FIG. 15 and FIG.
먼저,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이 시작되어, 전원 버튼(13) 신호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S1), 전원 버튼이 턴온되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체크하고, 전원 버튼 신호가 발생하였으면, 이에 응하여 S1O(19)는 '전원ON' 신호를 ATX 파워 커넥터(60)에 인가하여 시스템을 활성화시키되 '5VSB_POWER'가 ATX 파워 커넥터(60)로부터 파워스위칭 컴포넌트(140)를 통해 S1O(19)를 비롯한 메인보드의 소자에 대기 전원을 공급하게 됨으로써 상기 메인보드가 활성화되도록 한다(S2).15, a computer system is started to check whether or not a
이제, OS(10c)는 CPU 상태 레지스터들을 체크하고, 윈도우 작업관리자(130)를 콜(call)하여(S3), 현재 윈도우가 유휴상태인지 여부를 체크하게 된다(S4). Now, the
예를들어, OS(10c)는 주어진 시간 동안 (1분 동안)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통한 사용자 상호 작용이 없고(Wait execute processor=0) 하드드라이브(HDD)와 프로세서(CPU)가 90% 이상 유휴 상태인 경우 (즉, 대기 프로세서가 제로이고 현재 CPU 사용율이 10% 이내인 경우), Windows가 유휴 상태인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For example, the
상기 S4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윈도우 유휴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OS(10c)는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을 콜(Call)하여(S21), 에너지(소비전력) 절약을 위해 환경변수를 최적이 되도록 세팅하도록 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indow is idle, the
이후, 최적의 환경변수(151)가 세팅되어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로부터 최적의 환경변수 값의 리턴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체크하여(S22), 밸류 리턴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계속해서 체크하고, 밸류 리턴이 이루어지면 그 값에 따라 OS 내의 레지스트리 롸이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다음 단계(S5)로 진행하게 된다.Thereafter, an
한편, 상기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로부터 밸류 리턴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S4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윈도우가 유휴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명되면, 일정 시간(T1) 동안 (일례로 60초 동안) 변화 여부를 체크하고(S5), 일정 시간 동안 변화가 없으면, 비로소 '레지스트리 최적화 1단계'를 시행하게 된다(S6). 본 실시예에서는, 'POWER SCHEMES' 레지스트리 최적화를 시행하게 되는바, 도 17에서와 같이 CPU에서 공급되는 성능을 1% ~ 90%로 제한하게 된다(C0~C7 모드 시행). 예를들어, [표 1]에서의 '절전단계1'과 같이, CPU 성능을 50%, 30% 혹은 60%로 제한하게 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alue returned from the
상기 S6 단계 이후, 변화량이 X1% (일례로 10%) 미만인지 여부를 다시 체크하여(S7), 변화량이 X1% (일례로 10%) 미만이면, '레지스트리 최적화 2단계'를 시행하게 되는바(S8), CPU에서 공급되는 성능을 더욱 제한하게 되며, 예를들어, [표 1]에서의 '절전단계2'와 같이, CPU 성능을 5%, 10% 혹은 15%로 제한하게 된다.If the amount of change is less than X1% (for example, 10%), it is checked whether the amount of change is less than X1% (for example, 10%) after step S6 (S8), the performance supplied from the CPU is further restricted. For example, as in the
이후, 다시 변화량이 X2% (일례로 10%) 미만인지 여부를 또다시 체크하여(S9), 변화량이 X2% (일례로 10%) 미만이면, 기타 레지스트리 최적화를 시행하는'레지스트리 최적화 3단계'를 시행하게 되는바(S11), 여기서는 일례로 도 18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어 밝기 환경 변수를 제한 (일례로 최대 밝기의 50%로 제한) 하게 된다.Thereafter, it is again checked whether the change amount is less than X2% (for example, 10%) (S9). If the change amount is less than X2% (for example, 10% (S1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8, the brightness parameter of the display brightness is limited (for example, the brightness is limited to 50% of the maximum brightness).
반면, 상기 S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T1 시간 동안 변화가 있으면, 상기 S3 단계로 리턴하여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며, 상기 S7 단계 및 S9 단계에서 변화량이 일정치 이상이면 웨이크업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레지스트리를 초기화하고(S10), 상기 S3 단계로 리턴하여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 time T1,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 and starts again from the beginning.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 and step S9 that the amount of chan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registry is initialized (S10),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 and starts again from the beginning.
이제, OS는 시스템이 아이들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바(S12), 아이들 모드가 아니면 계속해서 체크하고, 아이들 모드이면, 'PCIex_PD#' 신호를 비활성화하여, 주변장치가 딥 슬립 모드로 이행하도록 하여 더욱 절전을 행하게 된다(S13).The OS then determines whether the system is in the idle mode (S12). If it is not the idle mode, it continues to check. In the idle mode, the OS deactivates the signal 'PCIex_PD #' so that the peripheral device enters the deep sleep mode And further performs power saving (S13).
계속해서, 슬립 모드(S3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게 되는바(S14), 슬립 모드가 아니면 계속해서 체크하고, 슬립 모드이면 그에 맞도록 'Suspended RAM'을 비롯한 슬립 모드에 필요한 동작을 취한 후, 다시 전원 OFF 여부를 체크하여(S15), 전원 OFF이면 SIO(19)로 하여금 '5VSB_OFF' 신호를 발하여 모든 전원이 차단되고, 메인보드가 비활성화되도록 한다(S16).Subsequently, it is checked whether it is the sleep mode (S3 mode) (S14). If it is not the sleep mode, it is checked continuously. If it is the sleep mode, the operation necessary for the sleep mode including 'Suspended RAM' If the power is turned off, the
마지막으로, 도 16을 참조하여,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의 환경변수 세팅 동작을 설명한다.Finally, the environment variable setting operation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S4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윈도우 유휴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OS(10c)는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을 콜(Call)하게 되는바(S21), 이에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은 에너지(소비전력) 절약을 위해 환경변수를 최적이 되도록 세팅하여야 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 that the window is idle, the
먼저, 상기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은, OS(10c)로부터의 레지스트리 관리 툴 콜(Call) 여부를 체크하게 되는바(S31), 콜이 없으면 계속해서 체크하고, 콜이 발생하였으면 환경변수(151)에 환경변수 콜(Call)을 행하게 된다(S32). First, the
이후, 에너지(소비전력) 절약을 위해 환경변수를 최적이 되도록 세팅하고(S33), 환경변수 콜백(Call Back)을 기다려(S34), 콜백이 되면, 상기 OS(10c)로 밸류 리턴을 행하여(S35), OS(10c) 내의 레지스트리에 롸이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reafter, the environment variable is set to be optimal for saving energy (power consumption) (S33), the environment variable callback is waited for (S34), and when the callback is made, a value return is performed to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유휴자원에 따라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설정 값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 방법에 따르면, 동작시에도 시스템 유휴자원에 따라 Registry의 값을 최적화하는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되, 유휴자원에 대한 한계를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함으로서 응용프로그램을 사용 중에도 절전 가능하고, Short-term idle mode시에도 절전기능이 수행되며, 기존 OS에서 절감하는 기능과 조합하여 최적의 에너지 절감 환경을 제공함은 물론, 추가적인 절전기능을 위하여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energy saving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registry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computer idle resou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y consumption is minimized by the management program that optimizes the value of the registry according to the system idle resource even during operation, By setting the limits of resources automatically by the defined program, it is possible to save power while using the application program, save power even in short-term idle mode, And the program can be easily changed for an additional power saving func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Of course.
(종래기술)
10 : 메인보드 10a: 메모리
10b: ROM BIOS 10c: OS
10d: PMOS(P형 MOS) 10e: LDO(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11 : CPU 12 : SIO (System IO)
13 : 파워 버튼 14 : 칩셋
15 : 리셋 버튼 16 : 제1 배터리
17 : 리쥼리셋 18 : LAN
19 : 수퍼IO (Super IO) 19a : PS_ON 회로
19c: 파워 상태 검출기
20 : 파워서플라이 (SMPS) 30 : 마이컴
40 : 제1 스위칭부 41 : 제2 스위칭부
50 : 케이스 파워 스위치 60 : 파워 커넥터
70 : VDD 감지부
(본 발명)
130 : 윈도우 작업관리자 131 : 작업 및 프로세스 DB
140 : 파워스위칭 컴퍼넌트(Power Switching Component)
150 : 레지스트리 관리 툴 151 : 환경 변수(Prior art)
10:
10b:
10d: PMOS (P-type MOS) 10e: LDO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11: CPU 12: SIO (System IO)
13: Power button 14: Chipset
15: reset button 16: first battery
17: RESET RESET 18: LAN
19: Super IO (Super IO) 19a: PS_ON circuit
19c: Power state detector
20: Power supply (SMPS) 30: Microcomputer
40: first switching unit 41: second switching unit
50: Case power switch 60: Power connector
70: V DD sensing unit
(Invention)
130: Windows Task Manager 131: Task and Process DB
140: Power Switching Component
150: Registry Management Tool 151: Environment Variables
Claims (7)
(b) 컴퓨터 시스템이 시작되어 메인보드가 활성화되면, OS(10c)는 CPU 상태 레지스터들을 체크하고, 윈도우 작업관리자(130)를 콜(call)하는 단계(S3);
(c) 상기 (b) 단계 후에, 현재 윈도우가 유휴상태인지 여부를 체크하게 되는 단계(S4);
(d) 상기 (c)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윈도우 유휴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OS(10c)는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을 콜(Call)하여(S21), 에너지(소비전력) 절약을 위해 환경변수를 최적이 되도록 세팅하도록 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 이후,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로부터 환경변수 값의 리턴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체크하여(S22), 밸류 리턴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계속해서 체크하고, 밸류 리턴이 이루어지면 그 값에 따라 OS 내의 레지스트리 롸이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다음으로 진행하게 되는 단계;
(f)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로부터 밸류 리턴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c)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윈도우가 유휴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명되면, OS(10c)는 일정 시간(T1) 동안 CPU 이용율의 변화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5);
(g) 상기 (f)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일정 시간 동안 CPU 이용율의 변화가 있으면, 상기 (b) 단계로 리턴하여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고 일정 시간 동안 변화가 없으면, 비로소 '레지스트리 최적화 1단계'를 시행하게 되는 단계(S6);
(h) 상기 (g) 단계 이후, CPU 이용율의 변화량이 X1% 미만인지 여부를 다시 체크하는 단계(P7),
(j) 상기 (h)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CPU 이용율의 변화량이 X1% 미만이면, '레지스트리 최적화 2단계'를 시행하여(S8), CPU에서 공급되는 성능을 더욱 제한하게 되는 단계;
(n) 상기 (h)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CPU 이용율의 변화량이 X1% 이상이면 웨이크업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레지스트리를 초기화하고(S10), 상기 (b) 단계로 리턴하여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단계;
(k) 상기 (n) 단계 이후, CPU 이용율의 변화량이 X2% 미만인지 여부를 또다시 체크하는 단계(S9);
(m) 상기 (k)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CPU 이용율의 변화량이 X2% 미만이면, '레지스트리 최적화 3단계'를 시행하게 되는 단계(S11);
(n') 상기 (k)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CPU 이용율의 변화량이 X2% 이상이면 웨이크업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레지스트리를 초기화하고(S10), 상기 (b) 단계로 리턴하여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단계;
(v) 상기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은, OS(10c)로부터의 레지스트리 관리 툴 콜(Call) 여부를 체크하게 되는 단계(S31);
(w) 상기 (v)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콜이 없으면 계속해서 체크하고, 콜이 발생하였으면 환경변수(151)에 환경변수 콜(Call)을 행하게 되는 단계(S32);
(y) 상기 (w) 단계 이후, 에너지(소비전력) 절약을 위해 환경변수를 최적이 되도록 세팅하는 단계(S33); 및
(z) 상기 (y) 단계 이후, 환경변수 콜백(Call Back)을 기다려(S34), 콜백이 되면, 상기 OS(10c)로 밸류 리턴을 행하여(S35), OS(10c) 내의 레지스트리에 롸이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환경변수는, CPU 성능에 관한 것과 디스플레이어 밝기 설정에 관한 것을 포함하며, 상기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은 CPU 성능 및 디스플레이 밝기값을 각각 최대치의 1% 내지 90% 중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레지스트리 최적화 1단계'는, 'POWER SCHEMES' 레지스트리 최적화 시행 단계로서 CPU 성능이 최대치의 y1% 로 제한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레지스트리 최적화 2단계'는, CPU 성능이 더욱 제한되도록 최대치의 y2% 로 제한되도록 설정하되, y1은 y2 보다 더 큰 값이며 (90 ≥ y1 > y2 ≥ 1),
상기 '레지스트리 최적화 3단계'는, 디스플레이어 밝기 환경 변수를 최대치의 z1% 로 제한되도록 설정하는 (90 ≥ z1 ≥ 1)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휴자원에 따라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설정 값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 방법.An energy saving device for a computer system including a main board, an SMPS and a peripheral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in board, wherein power is supplied from the SMPS via the ATX power connector (60) The SIO 19 recognizing and propagating; A chipset 14 informing the SIO 19 of a current power state (mode); A ROM BIOS 10b for programming through the chipset 14 to output the SIO 19 according to the current mode; A power switching component 140 for supplying a power (5VSB_PWR) supplied from the ATX power connector 60 to elements on the main board; (S3 mode) or idle state by notifying the OS 10c of the job and the process currently in process from the job DB 13 of the current job DB and the process DB, A window operation manager 130; And a registry management tool 150 for setting an environment variable 151 according to an instruction of the OS 10c so as to perform optimal power saving;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a registry setting value according to a computer idle resource using an energy sav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controls a registry setting value according to computer idle resources,
(b) When the computer system is started and the main board is activated, the OS 10c checks the CPU status registers and calls the window task manager 130 (S3);
(c) after step (b),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window is idle (S4);
(d) If it is determined in the step (c) that the window is idle, the OS 10c calls the registry management tool 150 (S21) and saves energy (power consumption) Setting an environment variable to be optimal;
(e) After the step (d),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environment variable value is returned from the registry management tool 150 (S22). If the value return is not made, A step of registering in the OS according to the value, and proceeding to the next step;
(f) If the value returned from the registry management tool 150 in step (e) or the window is not id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c), the OS 10c sets a predetermined time (S5) of checking whether the CPU utilization rate has changed during the period T1);
(g) If it is determined in step (f)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 CPU utilization rat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b) (S6);
(h) a step (P7) of checking again whether or not the change amount of the CPU utilization rate is less than X1% after the step (g)
(j) if the change in the CPU utilization rate is less than X1%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h), performing the 'registry optimization step 2' (S8) to further restrict the performance of the CPU;
(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h)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PU utilization rate is X1% or more, it is regarded that wakeup has occurred and the registry is initialized (S10) ;
(k) checking again (S9) whether or not the change amount of the CPU utilization rate is less than X2% after the step (n);
(m) a step (S11) of performing the 'registry optimization step 3' if the change amount of the CPU utilization rate is less than X2%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k);
(n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PU utilization rate is X2% or mor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k), the wakeup is considered to have occurred and the registry is initialized (S10) Starting;
(v) the registry management tool 150 checks whether a registry management tool call is called from the OS 10c (S31);
(w) checking if there is no call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v), and (c) performing an environment variable call in the environment variable 151 if a call occurs;
(y) setting (step S33) an environment variable to be optimal for saving energy (power consumption) after the step (w); And
(z) After the step (y), the environment variable call back is waited (S34). When the call back is made, a value return is performed to the OS 10c (S35) ;
/ RTI >
The environment variable includes the CPU performance and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The registry management tool 150 can set the CPU performance and the display brightness to 1% to 90% of the maximum value, respectively.
The 'registry optimization step 1' sets the CPU performance to be limited to y1% of the maximum value as the 'POWER SCHEMES' registry optimization execution step, and the 'registry optimization step 2' , Where y1 is greater than y2 (90 > y1 > y2 > = 1)
The 'registry optimization third step' is a step of setting the brightness parameter of the display language to be limited to z1% of the maximum value (90 ≥ z1 ≥ 1)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registry settings according to computer idle resources.
상기 레지스트리 관리 툴(150)은 CPU 성능 및 디스플레이 밝기값을 각각 최대치의 5% 내지 60% 중에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휴자원에 따라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설정 값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gistry management tool (150) is capable of setting a CPU performance and a display brightness value from 5% to 60% of a maximum value, respectively, wherein the registry setting value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computer idle resources.
(a) 상기 (b) 단계 이전에, 전원 버튼(13) 신호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S1), 전원 버튼이 턴온되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체크하고, 전원 버튼 신호가 발생하였으면, 이에 응하여 S1O(19)는 '전원ON' 신호를 ATX 파워 커넥터(60)에 인가하여 시스템을 활성화시키되 '5VSB_POWER'가 ATX 파워 커넥터(60)로부터 파워스위칭 컴포넌트(140)를 통해 S1O(19)를 비롯한 메인보드의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게 됨으로써 상기 메인보드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단계(S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휴자원에 따라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설정 값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efore the step (b),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power button 13 signal is input (S1). If the power button is not turned on, the power button signal is continuously checked. 19 activates the system by applying a power ON signal to the ATX power connector 60 so that the 5VSB_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ATX power connector 60 via the power switching component 140 to the main board Allowing the main board to be activated by supplying power to the device (S2);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a registry setting value according to computer idle resources.
(p) 상기 (m) 단계 이후, OS는 시스템이 아이들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단계(S12);
(q) 상기 (p)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아이들 모드가 아니면 계속해서 체크하고, 아이들 모드이면, 'PCIex_PD#' 신호를 비활성화하여, 주변장치가 딥 슬립 모드로 이행하도록 하는 단계(S13);
(r) 상기 (q) 단계 이후, 슬립 모드(S3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여(S14), 슬립 모드가 아니면 계속해서 체크하고, 슬립 모드이면 그에 맞도록 'Suspended RAM'을 비롯한 슬립 모드에 필요한 동작을 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휴자원에 따라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설정 값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p) after the step (m), the OS determines whether the system is in the idle mode (S12);
(q) continuously checking if it is not the idle mod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p), and if the mode is the idle mode, deactivating the PCIex_PD # signal to cause the peripheral device to transition to the deep sleep mode (S13);
(r) After the step (q), it is checked whether the sleep mode is the S3 mode (S14). If it is not the sleep mode, it is continuously checked. If it is the sleep mode, Taking an action;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a registry setting value according to computer idle resources.
(s) 상기 (r) 단계 이후, 다시 전원 OFF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15); 및
(t) 상기 (s)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전원 OFF가 아니면 계속해서 체크하고, 전원 OFF이면 SIO(19)로 하여금 '5VSB_OFF' 신호를 발하여 모든 전원이 차단되고, 메인보드가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단계(S16);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유휴자원에 따라 자동으로 레지스트리 설정 값을 제어하는 에너지 절감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s) a step (S15) of checking whether the power is turned off again after the step (r); And
(t)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 that the power is not turned off, it is checked continuously. If the power is off, the SIO 19 issues a '5VSB_OFF' signal to turn off all the power sources and deactivate the main board (S16);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a registry setting value according to computer idle resourc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9354A KR101972917B1 (en) | 2018-12-26 | 2018-12-26 | A power saving method of a computer system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registry setting values according to the idle resour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9354A KR101972917B1 (en) | 2018-12-26 | 2018-12-26 | A power saving method of a computer system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registry setting values according to the idle resour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2917B1 true KR101972917B1 (en) | 2019-04-26 |
Family
ID=66281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9354A Active KR101972917B1 (en) | 2018-12-26 | 2018-12-26 | A power saving method of a computer system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registry setting values according to the idle resour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2917B1 (en) |
Citation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71206A (en) * | 1996-04-24 | 1997-11-07 | 유기범 | Power Supply for Computer |
KR970076166A (en) * | 1996-05-21 | 1997-12-12 | 배순훈 | Instantaneous control of power saving monitor |
JP2010250792A (en) * | 2009-04-10 | 2010-11-04 | Chung-Wen Chan | Power-saving electronic device for use with computer motherboard in standby state |
KR20130043923A (en) | 2011-10-21 | 2013-05-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for power supplying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KR20130004051U (en) * | 2011-12-26 | 2013-07-04 |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 System for controlling of power supply |
KR101328393B1 (en) | 2013-06-10 | 2013-11-13 | (주)엔텍 | A power supply apparatus to a computer |
KR101623756B1 (en) | 2015-12-24 | 2016-05-24 | 사회복지법인 한국소아마비협회 | A method for interrupting power supply in an apparatus for interrupting power supply utilizing the voltage supplied to the system memory |
KR20160087595A (en) | 2015-01-14 | 2016-07-22 |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 pallet transferring and s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
KR101759345B1 (en) * | 2016-12-05 | 2017-07-31 | (주)알파스캔디스플레이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a monitor having deep sleep mode |
KR101805879B1 (en) * | 2017-08-01 | 2017-12-07 | 주식회사 다나와컴퓨터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the energy consumption in a computer system by using the controling signals of a memory power supply controller(MPSC) |
KR20180082786A (en) * | 2017-01-11 | 2018-07-19 | 김창현 | Automatic power consumption reduction device and method for personal computer |
KR101872245B1 (en) * | 2018-03-08 | 2018-07-31 | 주식회사 성주컴텍 | A method for saving a system energy by using ME test port signals |
KR101929044B1 (en) * | 2018-09-07 | 2018-12-13 | (주)제스트전자 | A method for saving a system energy by using a PWM control IC |
-
2018
- 2018-12-26 KR KR1020180169354A patent/KR10197291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71206A (en) * | 1996-04-24 | 1997-11-07 | 유기범 | Power Supply for Computer |
KR970076166A (en) * | 1996-05-21 | 1997-12-12 | 배순훈 | Instantaneous control of power saving monitor |
JP2010250792A (en) * | 2009-04-10 | 2010-11-04 | Chung-Wen Chan | Power-saving electronic device for use with computer motherboard in standby state |
KR20130043923A (en) | 2011-10-21 | 2013-05-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for power supplying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KR20130004051U (en) * | 2011-12-26 | 2013-07-04 |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 System for controlling of power supply |
KR101328393B1 (en) | 2013-06-10 | 2013-11-13 | (주)엔텍 | A power supply apparatus to a computer |
KR20160087595A (en) | 2015-01-14 | 2016-07-22 |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 pallet transferring and s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
KR101623756B1 (en) | 2015-12-24 | 2016-05-24 | 사회복지법인 한국소아마비협회 | A method for interrupting power supply in an apparatus for interrupting power supply utilizing the voltage supplied to the system memory |
KR101759345B1 (en) * | 2016-12-05 | 2017-07-31 | (주)알파스캔디스플레이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a monitor having deep sleep mode |
KR20180082786A (en) * | 2017-01-11 | 2018-07-19 | 김창현 | Automatic power consumption reduction device and method for personal computer |
KR101805879B1 (en) * | 2017-08-01 | 2017-12-07 | 주식회사 다나와컴퓨터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the energy consumption in a computer system by using the controling signals of a memory power supply controller(MPSC) |
KR101872245B1 (en) * | 2018-03-08 | 2018-07-31 | 주식회사 성주컴텍 | A method for saving a system energy by using ME test port signals |
KR101929044B1 (en) * | 2018-09-07 | 2018-12-13 | (주)제스트전자 | A method for saving a system energy by using a PWM control IC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3756B1 (en) | A method for interrupting power supply in an apparatus for interrupting power supply utilizing the voltage supplied to the system memory | |
KR101815239B1 (en)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mizing the stanby power of a computer system by using a switching device | |
KR101739501B1 (en) | A power saving method of a computer system | |
KR101692538B1 (en)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rupting power supply utilizing the GPIO port | |
KR101753338B1 (en) | A power saving apparatus and method of a computer system by using PWM signals | |
KR100316647B1 (en) |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in computer system using wake on LAN signal | |
KR101518323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ybrid-shutdown and fast startup processes | |
US8756448B2 (en) |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6453423B1 (en) | Computer remote power on | |
KR102516895B1 (en) | An energy-saving computer system by controlling the power according to CPU frequency limi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 |
US20030110331A1 (en) |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initiating computer system operation | |
KR102516672B1 (en) | An energy-saving computer system by controlling the power according to CPU usage rat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 |
US5664203A (en) | Peripheral device input-initiated resume system for combined hibernation system and back-up power supply for computer | |
US20080065917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sume Control Method | |
KR101805879B1 (en)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the energy consumption in a computer system by using the controling signals of a memory power supply controller(MPSC) | |
KR102702988B1 (en) | A power saving apparatus and method of a computer system by the optimized clock frequency and voltage of GPU | |
JP3789792B2 (en) | Portable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741225B1 (en) | A power saving apparatus and method of a computer system using SIO | |
KR101929044B1 (en) | A method for saving a system energy by using a PWM control IC | |
US685106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resume tasks during a suspend routine | |
KR101872245B1 (en) | A method for saving a system energy by using ME test port signals | |
KR102214153B1 (en) | A method for saving a computer system energy by using a VID | |
KR101978323B1 (en)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efficient power supply by using GPIO ports | |
KR102129563B1 (en)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the consumption energy of a computer system by optimizing system resources | |
KR102694377B1 (en) | A computer system for saving the energy by controlling computer resource according to priority-based schedul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2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4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